KR20220062532A - 재료수송장치, 재료 분배에 편리한 가공설비와 재료분배방법 - Google Patents

재료수송장치, 재료 분배에 편리한 가공설비와 재료분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532A
KR20220062532A KR1020227008865A KR20227008865A KR20220062532A KR 20220062532 A KR20220062532 A KR 20220062532A KR 1020227008865 A KR1020227008865 A KR 1020227008865A KR 20227008865 A KR20227008865 A KR 20227008865A KR 20220062532 A KR20220062532 A KR 20220062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assembly
rail
transport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8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성 취
창펑 리
쥔성 시아
지엔 양
홍쥔 우
펑 인
진 쟈
카이창 루안
지밍 황
푸량 가오
디엔치우 저우
Original Assignee
창저우 밍실 로봇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1242287.8A external-priority patent/CN111038941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1241389.8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803474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211359.9A external-priority patent/CN111282781A/zh
Application filed by 창저우 밍실 로봇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창저우 밍실 로봇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62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5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4Switching conveyors
    • B65G47/641Switching conveyors by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 B65G47/642Switching conveyors by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in a horizont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Tunnel Furnaces (AREA)

Abstract

재료수송장치는 프레임(11), 제1 수송유닛(20), 제2 수송유닛(30)과 환적 수송 어셈블리(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송유닛(20)은 상기 프레임(11)에 설치하고, 상기 제2 수송유닛(30)은 상기 프레임(11)에 설치하고, 상기 환적 수송 어셈블리(40)는 상기 프레임(11)에 설치되어 재료를 상기 제1 수송유닛(20)과 상기 제2 수송유닛(30) 사이에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공개는 재료를 분배하는 데 편리한 가공설비와 재료분배방법을 창출한다.

Description

재료수송장치, 재료 분배에 편리한 가공설비와 재료분배방법
관련 출원의 교차 인용
본 공개는 출원인이 2019년 12월 6일에 제출하였고, 발명 명칭이“재료 분배에 편리한 가공장치”이고, 출원 번호가“CN201911241389.8”인 중국 특허 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청구한다.
본 공개는 출원인이 2019년 12월 6일에 제출하였고, 발명 명칭이“재료분배방법, 장치, 컴퓨터 저장 매개체 및 전자설비”이고, 출원 번호가“CN201911242287.8”인 중국 특허 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청구한다.
본 공개는 출원인이 2020년 3월 24일에 제출하였고, 발명 명칭이“재료수송장치와 이 재료수송장치를 구비한 코일 합병 접착제 도포 로봇”이고, 출원 번호가 “CN202010211359.9”인 중국 특허 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청구한다.
본 공개는 궤도 수송 기술분야에 속하고, 상세하게는, 재료수송장치, 재료 분배에 편리한 가공설비와 재료분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진보하는 현단계에 있어서, 인력 원가를 줄이고 무인 작업현장을 구성하는 것은 향후 제조업 공장의 발전 방향이다. 고도의 자동화로 구성된 무인 작업현장을 실현하려면 각 공정의 생산설비를 연결시켜 연결성 생산을 진행해야 한다. 기존의 설비 연결은 통상적으로 전통적인 단일 궤도 직렬 연결방식을 이용하고, 단일 궤도 직렬 연결기는 결함이 비교적 많아 생산라인의 단일 설비에 대한 오버홀(overhaul), 성능 시험 등 행위로 전체 라인의 생산 정지가 발생하게 되는 동시에, 제품이 설비 궤도에서 생산되어 전송하는 과정에서 서로 뒤섞이고 간섭이 발생하여 제품이 궤도에서 수송을 대기하는 시간이 너무 길게 되며, 이런 결함은 모두 생산효율을 대폭 떨어뜨린다.
본 공개의 목적은, 적어도 종래기술에 존재하는 기술문제 중 하나를 해결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공개는 사용하는 데 편리하고 생산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재료수송장치를 창출한다.
본 공개는 재료 분배에 편리한 가공설비를 더 창출한다.
본 공개는 재료분배방법을 더 창출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수송장치는 프레임, 제1 수송유닛, 제2 수송유닛과 환적 수송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송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하고, 상기 제2 수송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하고, 상기 환적 수송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재료를 상기 제1 수송유닛과 상기 제2 수송유닛 사이에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수송장치는 환적 수송 어셈블리를 통해 제1 수송유닛의 재료 입구 위치와 제2 수송유닛의 재료 입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여 재료가 제1 수송유닛과 제2 수송유닛 사이에서 전환되고 분배되도록 하고, 이 재료수송장치는 다른 생산공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재료를 제1 수송유닛과 제2 수송유닛 중에서 대응되는 그 수송유닛까지 환적 수송할 수 있다. 이 재료수송장치는 생산효율이 높고, 유연성이 강하고, 제품 양산화에 부합되는 등 장점을 갖고 있다.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환적 수송 어셈블리는 재료 방향 전환 모듈과 재료 추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재료 방향 전환 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하여 상기 제1 수송유닛과 상기 제2 수송유닛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재료 추출 모듈은 상기 재료 방향 전환 모듈과 서로 연결되어 상기 재료 방향 전환 모듈의 구동하에 상기 제1 수송유닛의 재료 입구 위치와 상기 제2 수송유닛의 재료 입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재료를 상기 제1 수송유닛과 상기 제2 수송유닛 사이에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환적 수송 어셈블리는 승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모듈은 각각 상기 재료 방향 전환 모듈 및 상기 재료 추출 모듈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승강모듈은 상기 재료 추출 모듈의 고도가 높아지게 또는 낮아지게 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재료 방향 전환 모듈은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와 방향 전환 드라이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하여 상기 승강모듈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방향 전환 드라이버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하여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와 서로 연결되고, 상기 방향 전환 드라이버 어셈블리는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를 구동해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승강모듈은 승강 운동 어셈블리와 승강 드라이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및 상기 재료 추출 모듈과 서로 연결되며; 상기 승강 드라이버 어셈블리는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와 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를 구동하고 재료 추출 모듈을 움직여 상기 재료를 상기 제1 수송유닛 또는 상기 제2 수송유닛에서 꺼내거나 또는 상기 재료를 상기 제1 수송유닛 또는 상기 제2 수송유닛에 놓는다.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는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바닥판,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와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이동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바닥판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하고,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는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바닥판을 통해 상기 프레임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는 상기 제1 수송유닛과 상기 제2 수송유닛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이동 블록은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에 이동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는 승강 운동 어셈블리 바닥판, 승강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스크류 페어(screw pair)와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슬라이딩 페어(sliding pair)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 바닥판은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이동 블록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는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 바닥판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스크류 페어는 상기 승강 드라이버 어셈블리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슬라이딩 페어는 각각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스크류 페어 및 상기 재료 추출 모듈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슬라이딩 페어는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스크류 페어를 통해 상기 재료 추출 모듈을 움직여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에서 승강 이동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재료 추출 모듈은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스크류 페어와 서로 연결된 받침대 바닥판; 상기 받침대 바닥판과 서로 연결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재료에 대한 흡착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흡착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제1 수송유닛과 상기 제2 수송유닛은 각각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재료를 적재하여 수송하는 데 사용하는 전동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수량은 2개이고, 2개의 상기 가이드레일 간은 간격을 두고 상대되도록 설치하고, 2개의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의 간격은 조정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제1 수송유닛 및/또는 상기 제2 수송유닛에는 작업유닛이 대응되게 설치된다.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제1 수송유닛은 작업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유닛은 상기 제1 수송유닛에 설치하고, 상기 제2 수송유닛은 공공 수송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환적 수송 어셈블리는 접속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레일은 상기 프레임에 이동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접속 레일은 상기 공공 수송 레일과 상기 작업 레일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접속 레일에서 상기 공공 수송 레일과 상기 작업 레일의 일측에 위치할 경우, 재료는 상기 접속 레일의 재료배출구를 통해 상기 공공 수송 레일 또는 상기 작업 레일의 재료진입구까지 수송되고, 상기 접속 레일에서 상기 공공 수송 레일과 상기 작업 레일의 다른 일측에 위치할 경우, 재료는 상기 공공 수송 레일 또는 상기 작업 레일의 재료배출구에서 상기 접속 레일의 재료진입구까지 수송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라 재료를 분배하는 가공설비는 직렬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상기 재료수송장치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재료수송장치의 재료진입측과 재료배출측은 모두 상기 환적 수송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분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공방법은 재료를 분배하는 데 편리한 가공설비를 사용하고, 상기 가공방법은, 1개의 상기 재료수송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수송유닛에 가공 중인 이전 재료가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S1; 다음 재료를 수송방향을 따라 1개의 재료수송장치의 일측의 상기 환적 수송 어셈블리까지 수송하는 단계 S2; 1개의 상기 재료수송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수송유닛에 가공 중인 이전 재료가 있을 경우, 1개의 상기 재료수송장치의 일측의 상기 환적 수송 어셈블리가 다음 재료를 1개의 상기 재료수송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수송유닛까지 수송하고, 인접한 2개의 상기 재료수송장치 사이의 환적 수송 어셈블리를 통해 또 다른 1개의 상기 재료수송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수송유닛 또는 상기 제2 수송유닛까지 이동시키는 단계 S3;를 포함한다.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1개의 상기 재료수송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수송유닛의 이전 재료가 가공 완료된 후, 인접한 2개의 상기 재료수송장치 사이의 환적 수송 어셈블리를 통해, 가공 완료된 이전 재료를 또 다른 1개의 상기 재료수송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수송유닛 또는 상기 제2 수송유닛까지 이동시키는 단계 S4;를 더 포함한다.
본 공개의 부가적 측면과 장점은 이하의 서술에서 일부 제공될 것이고, 일부는 이하의 서술에서 뚜렷해거나 또는 본 공개에 대한 실천에서 터득하게 될것이다.
본 공개의 상기 및/또는 부가적 측면과 장점은 아래 도면을 결합해 실시예를 서술하는 과정에서 뚜렷해지고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될것이며, 여기에서,
도 1a 내지 도 1f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수송장치가 환적 수송 어셈블리를 통해 재료를 그 중의 일측 수송유닛에서 다른 일측의 수송유닛까지 전환시키는 전환 작업 상태에 대한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수송장치의 환적 수송 어셈블리에 대한 입체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수송장치의 환적 수송 어셈블리에 대한 정면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수송장치의 환적 수송 어셈블리에 대한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수송장치의 환적 수송 어셈블리에 대한 좌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분배방법의 흐름 설명도이고;
도 7은 본 공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유닛의 구조 설명도이고;
도 8은 본 공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유닛의 조감도이고;
도 9는 본 공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료분배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10은 본 공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재료분배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11은 본 공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유닛의 구조 설명도이고;
도 12는 본 공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재료분배방법의 설명도이다.
현재 도면을 결합해 본 공개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런 도면은 모두 간략하게 제도된 설명도로서, 예시 방식으로 본 공개의 기본 구조를 설명할 뿐이므로, 본 공개와 관련된 구성만 표시할 뿐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수송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f 및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수송장치(100)는 프레임(11), 제1 수송유닛(20), 제2 수송유닛(30)과 환적 수송 어셈블리(4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 제1 수송유닛(20)는 프레임(11)에 설치하고, 제2 수송유닛(30)은 프레임(11)에 설치하고, 환적 수송 어셈블리(40)는 프레임(11)에 설치하고, 환적 수송 어셈블리(40)는 재료(200)를 제1 수송유닛(20)과 제2 수송유닛(30) 사이에서 환적 수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레임(11)에 제1 수송유닛(20)과 제2 수송유닛(30)이 장착되고, 이전 코스의 공정에서 재료를 공급할 경우, 환적 수송 어셈블리(40)를 통해 공정 수요에 의해 공급된 재료를 제1 수송유닛(20) 또는 제2 수송유닛(30)까지 수송한다. 상세하게, 프레임(11)에 환적 수송 어셈블리(40)가 설치되고, 환적 수송 어셈블리(40)는 제1 수송유닛(20)의 재료 입구 위치와 제2 수송유닛(30)의 재료 입구 위치 사이에서 왕복으로 이동함으로써, 재료(200)가 제1 수송유닛(20)과 제2 수송유닛(30) 사이에서 전환되는 기술방안을 실현하여, 재료수송장치(100)가 생산효율이 높고, 유연성이 강하고, 제품 양산화에 부합되는 등 장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제1 수송유닛(20)과 제2 수송유닛(30)의 재료 입구 위치는 재료진입구의 위치일 수 있고 재료배출구의 위치일 수도 있다. 제1 수송유닛(20)과 제2 수송유닛(30)의 수송유닛은 전동 벨트, 에어실린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가죽벨트 드라이버, 체인 전동장치, 자기력 휠 등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수송장치(100)는 환적 수송 어셈블리(40)를 통해 제1 수송유닛(20)의 재료 입구 위치와 제2 수송유닛(30)의 재료 입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여, 재료(200)가 제1 수송유닛(20)과 제2 수송유닛(30) 사이에서 전환되고 분배되도록 하고, 이 재료수송장치(100)는 다른 생산공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재료(200)를 제1 수송유닛(20)과 제2 수송유닛(30) 중에서 대응되는 그 수송유닛까지 환적 수송할 수 있다. 이 재료수송장치(100)는 생산효율이 높고, 유연성이 강하고, 제품 양산화에 부합되는 등 장점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적 수송 어셈블리(40)는 재료 방향 전환 모듈(41)과 재료 추출 모듈(42)을 포함하고, 재료 방향 전환 모듈(41)은 프레임(11)에 설치해 제1 수송유닛(20)과 제2 수송유닛(30)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재료 추출 모듈(42)은 재료 방향 전환 모듈(41)과 서로 연결되어 재료 방향 전환 모듈(41)의 구동하에 제1 수송유닛(20)의 재료 입구 위치와 제2 수송유닛(30)의 재료 입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어, 재료(200)를 제1 수송유닛(20)과 제2 수송유닛(30) 사이에서 전환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프레임(11)에는 재료 방향 전환 모듈(41)이 설치되고, 재료 방향 전환 모듈(41)은 그와 서로 연결된 재료 추출 모듈(42)을 구동해 제1 수송유닛(20)의 재료 입구 위치와 제2 수송유닛(30)의 재료 입구 위치 사이에서 왕복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재료(200)가 제1 수송유닛(20)과 제2 수송유닛(30) 사이에서 전환되는 기술방안을 실현한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적 수송 어셈블리(40)는 승강모듈(43)을 더 포함하고, 승강모듈(43)은 각각 재료 방향 전환 모듈(41) 및 재료 추출 모듈(42)과 서로 연결되고, 승강모듈(43)은 재료 추출 모듈(42)의 고도가 높아지게 또는 낮아지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승강모듈(43)은 재료 추출 모듈(42)을 제1 수송유닛(20)의 재료 입구 위치 또는 제2 수송유닛(30)의 재료 입구 위치에 대응되는 고도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재료 방향 전환 모듈(41)은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44)와 방향 전환 드라이버 어셈블리(45)를 포함하고,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44)는 프레임(11)에 설치하여 승강모듈(43)과 서로 연결되고, 방향 전환 드라이버 어셈블리(45)는 프레임(11)에 설치하여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44)와 서로 연결되고, 방향 전환 드라이버 어셈블리(45)는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44)를 구동해 이동하도록 하고 승강모듈(43)을 움직여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44)는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바닥판(44a),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44b)와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이동 블록(44c)을 포함한다.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바닥판(44a)은 프레임(11)에 설치하고,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44b)는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바닥판(44a)을 통해 프레임(11)과 서로 연결되고,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바닥판(44a)은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44b)를 프레임(11)에 고정시킬 수 있고,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44b)는 제1 수송유닛(20)과 제2 수송유닛(30) 사이에 설치하고,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이동 블록(44c)은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44b)에 이동하도록 설치한다.
다시 말해, 재료 방향 전환 모듈(41)은 횡방향 운동을 실현할 수 있고, 방향 전환 드라이버 어셈블리(45)는 방향 전환 드라이버 모터, 방향 전환 드라이버 벨트 휠 페어(belt wheel pair)와 방향 전환 드라이버 장착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횡방향 운동의 작동과정은, 메인기기가 방향 전환 드라이버 모터를 제어해 전기가 통하도록 하고 방향 전환 드라이버 벨트 휠 페어를 움직여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을 진행하도록 하며, 방향 전환 드라이버 벨트 휠 페어의 일단을 방향 전환 드라이버 모터의 출력축에 장착하고 다른 일단을 방향 전환 운동부재 메인바디의 입력축에 장착하여 방향 전환 드라이버 모터의 회전 운동을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이동 블록(44c)의 왕복 이동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기술방안을 실현한다.
여기에서, 방향 전환 드라이버 장착 지지대는 방향 전환 드라이버 어셈블리(45)와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44)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방향 전환 드라이버 벨트 휠 페어는 1개 세트의 동기성 벨트 휠과 가죽벨트로 한 쌍의 회전 페어(pair)를 구성한다.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이동 블록(44c)는 승강모듈(43)을 고정시키고 승강모듈(43)을 움직여 재료 방향 전환 모듈(41)에서 왕복 이동을 진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공개의 1개의 실시예에 근거해, 승강모듈(43)은 승강 운동 어셈블리와 승강 드라이버 어셈블리(43b)를 포함한다. 승강 운동 어셈블리는 각각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44) 및 재료 추출 모듈(42)과 서로 연결한다. 승강 드라이버 어셈블리(43b)는 승강 운동 어셈블리와 서로 연결됨으로써, 승강 운동 어셈블리를 구동하고 재료 추출 모듈(42)을 움직여 전동부재의 재료(200)를 꺼내거나 또는 재료(200)를 제1 수송유닛(20) 또는 제2 수송유닛(30)에 놓는다. 승강 드라이버 어셈블리(43b)는 승강 드라이버 모터, 방향 전환 승강 벨트 휠 페어와 승강 드라이버 장착 지지대를 포함한다.
본 공개의 일부 구체적인 실시방식에서, 승강 운동 어셈블리는 승강 운동 어셈블리 바닥판(43c), 승강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43d),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스크류 페어(screw pair)(43e)와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슬라이딩 페어(sliding pair)(43f)를 포함한다. 승강 운동 어셈블리 바닥판(43c)은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이동 블록(44c)과 서로 연결되고, 승강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43d)는 승강 운동 어셈블리 바닥판(43c)과 서로 연결되고,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스크류 페어(43e)는 승강 드라이버 어셈블리(43b)와 서로 연결되고,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슬라이딩 페어(43f)는 각각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스크류 페어(43e) 및 재료 추출 모듈(42)과 서로 연결되고,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슬라이딩 페어는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스크류 페어(43e)를 통해 재료 추출 모듈(42)을 움직여 승강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43d)에서 승강 이동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승강 운동 어셈블리를 통해 재료 추출 모듈(42)을 구동하여 상하 운동을 진행하도록 하는 작동 과정은, 메인기기가 승강 드라이버 모터를 제어해 전기가 통하도록 하고 승강 벨트 휠 페어를 움직여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을 진행하도록 하며, 승강 벨트 휠 페어의 일단을 승강 드라이버 모터의 출력축에 장착하고 다른 일단을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스크류 페어(43e)의 입력축에 장착하여 방향 전환 드라이버 모터의 회전 운동을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슬라이딩 페어(43f)의 승강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기술방안을 실현한다. 여기에서, 승강 운동 어셈블리 바닥판(43c)은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이동 블록(44c)과 승강모듈(43)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승강 드라이버 장착 지지대는 승강 드라이버 모터와 승강 벨트 휠 페어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승강 벨트 휠 페어는 1개 세트의 동기성 벨트 휠과 가죽벨트로 한 쌍의 회전 페어를 구성한다.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스크류 페어(43e)는 1개 세트의 와이어 로드(wire rod)와 너트로 한 쌍의 회전 페어를 구성한다.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슬라이딩 페어(43f)는 재료판 받침대 모듈(재료 추출 모듈(42))을 고정시키고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스크류 페어(43e)를 통해 재료판 받침대 모듈을 움직여 승강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43d)에서 승강 이동을 진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무엇보다도, 승강모듈의 드라이버 유닛은 와이어 로드 모터, 에어실린더, 리니어 모터, 가죽벨트 드라이버, 체인 전동장치, 자기력 휠 등일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공개에 따른 1개의 실시예에서, 재료 추출 모듈(42)은 받침대 바닥판(42a), 받침대(42b)와 흡착 어셈블리(42c)를 포함한다. 받침대 바닥판(42a)은 승강모듈(43)과 서로 연결되고, 받침대(42b)는 받침대 바닥판(42a)과 서로 연결되고, 흡착 어셈블리(42c)는 받침대(42b)와 서로 연결되어 재료(200)에 대한 흡착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흡착 어셈블리(42c)는 흡착판을 포함한다. 흡착판은 적재면에 설치되어 재료(200)를 흡착하는 데 사용하고, 흡착판이 받침대(42b)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조정할 수 있다. 흡착판은 완충하고, 지지하고, 부압으로 정압을 증대시켜 재료(200)가 방향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피하도록 하는 등 역할을 한다.
본 공개의 일부 구체적인 실시방식에서, 제1 수송유닛(20)과 제2 수송유닛(30)은 각각 슬라이딩 레일(15)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레일(15)에는 전송 벨트와 같이 재료(200)를 적재하여 수송하는 데 사용하는 전동부재가 설치된다. 또한, 슬라이딩 레일(15)의 수량은 2개이다. 2개의 슬라이딩 레일(15) 간은 간격을 두고 상대되도록 설치하고, 2개의 가이드레일(15) 사이의 간격은 조정할 수 있고, 간격 거리를 조절하여 규격과 사이즈가 다른 재료(200)에 대한 수송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수송유닛(20) 및/또는 제2 수송유닛(30)에는 작업유닛이 설치될 수 있고, 제1 수송유닛(20)은 제2 수송유닛(30)에 대응되는 작업유닛과 같거나 또는 달라 같은 공정 생산 또는 다른 공정 생산을 실현할 수 있다. 제1 수송유닛(20)과 제2 수송유닛(30) 중 1개에 작업유닛이 설치되고 다른 1개에 작업유닛이 설치되지 않았을 경우, 제1 수송유닛(20)과 제2 수송유닛(30)은 각각 작업유닛과 공공수송유닛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수송장치(100)은 공급 재료 검측 어셈블리가 매칭되도록 설치되어 공급 재료 검측 어셈블리의 판단에 의해 재료(200)를 제1 수송유닛(20) 또는 제2 수송유닛(30)까지 수송할 수도 있다. 제1 수송유닛(20)과 제2 수송유닛(30)에 모두 작업유닛이 설치될 경우, 제1 수송유닛(20)과 제2 수송유닛(30) 중 1개에 대응되는 작업유닛이 잠시 작업을 정지하면 환적 수송 어셈블리(40)는 공급된 재료를 자동으로 제1 수송유닛(20)과 제2 수송유닛(30) 중 다른 1개에 대응되는 작업유닛까지 수송할 수 있다.
본 공개의 1개의 실시예에 근거해, 제1 수송유닛(20)의 재료 입구 위치 및 제2 수송유닛(30)의 재료 입구 위치와 환적 수송 어셈블리(40) 사이에는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설치되고, 다시 말해, 환적 수송 어셈블리(40)는 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에서 이동하여 재료(200)가 제1 수송유닛(20)과 제2 수송유닛(30) 사이에서 왕복으로 전환되는 기술방안을 실현할 수 있다.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은 제1 수송유닛(20) 및 제2 수송유닛(30)의 상방에 위치한 상부 이동 공간과 제1 수송유닛(20) 및 제2 수송유닛(30)의 상방에 위치한 하부 이동 공간을 포함하고, 상부 이동 공간을 설치해 환적 수송 어셈블리(40)가 재료(200)를 움직여 제1 수송유닛(20)과 제2 수송유닛(30) 사이에서 왕복으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고, 하부 이동 공간을 설치해 환적 수송 어셈블리(40)가 재료(200)를 대응되는 슬라이딩 레일(15)에 놓은 후, 신속히 리셋해 다음 재료(200)를 대기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수송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재료 피딩 과정: 도 1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료(200)는 이전 코스에서 제1 수송유닛(20) 또는 제2 수송유닛(30)의 재료진입구 위치로 수송되고, 광전기 감응 신호를 감지하여 메인기기에게 발송하고, 도 1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모듈(43)을 제어하여 제1 수송유닛(20) 또는 제2 수송유닛(30)의 슬라이딩 레일(15) 하방에서 올려지도록 해 재료(200)를 슬라이딩 레일(15) 상방까지 상향으로 리프팅하고, 도 1c와 도 1d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다음, 승강모듈(43)이 재료(200)를 움직여 제2 수송유닛(30) 또는 제1 수송유닛(20)의 상방에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도 1e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모듈(43)은 하강하여 재료(200)가 제2 수송유닛(30) 또는 제1 수송유닛(20)의 수송용 가죽벨트에 완전히 떨어지도록 한다. 도 1f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료(200)가 대응되는 슬라이딩 레일(15)에 수송된 후, 메인기기는 메인 수송 모듈을 제어해 재료(200)를 작업 구역까지 계속 수송하고, 이와 동시에, 승강모듈(43)은 제2 수송유닛(30) 또는 제1 수송유닛(20)의 하방에서 재료 피딩-대기-리프팅 구역까지 리셋한다.
(2)재료 투입 과정(이전 코스의 공정에 대응되는 제1 수송유닛(20)의 재료(200)를 투입하여 다음 코스의 공정에 대응되는 제2 수송유닛(30)까지 수송하는 점을 예로 들어 설명): 재료(200)에 대한 작업이 완성된 후, 메인기기는 재료(200)를 제어하여 이전 코스의 공정에 대응되는 제1 수송유닛(20)의 재료 대기 구역에 수송하고, 광전기 감응 신호를 감지하여 메인기기에게 발송하고, 승강모듈(43)을 제어하여 이전 코스의 공정에 대응되는 제1 수송유닛(20)의 슬라이딩 레일(15) 하방에서 올려지도록 해 재료(200)를 이전 코스의 공정에 대응되는 제1 수송유닛(20)의 상방까지 상향으로 리프팅한다. 승강모듈(43)은 재료(200)를 움직여 다음 코스의 공정에 대응되는 제2 수송유닛(30)에 대응되는 슬라이딩 레일(15)의 상방에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승강모듈(43)은 하강하여 재료(200)가 다음 코스의 공정에 대응되는 제2 수송유닛(30)의 수송용 가죽벨트에 완전히 떨어지도록 하고, 그 다음, 메인기기는 다음 코스의 공정에 대응되는 제2 수송유닛(30)을 제어해 재료(200)를 재료배출구 재료 대기 구역까지 수송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승강모듈(43)은 다음 코스의 공정에 대응되는 제2 수송유닛(30)의 하방에서 작업이 완성된 후의 재료 대기-리프팅 구역까지 리셋한다.
총체적으로,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수송장치(100)는 주로 프레임(11), 제1 수송유닛(20), 제2 수송유닛(30)과 환적 수송 어셈블리(40)로 구성되며, 궤도 수송과 승강-방향 전환-접속을 서로 결합시키는 기술방안을 실현하여 제품 양산화 과정에서의 제어 가능화와 완전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일 공정 또는 다양한 공정의 생산에 부합되며, 이 재료수송장치는 인력과 에너지를 절약하고, 인력 조작의 단점을 피하고, 산업화와 양산화 및 제품 전면 검측의 기술요구를 더 잘 만족시켜 제품의 소급 가능성과 가공 일치성이 더 완벽하게 실현되도록 하는 등 장점을 갖고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수송장치(100)는 자동화 정도가 높아 종래의 최신형 가시적 제어 및 가시적 검측 기술을 결합해 제품의 합격률을 대폭 향상시키는 동시에, 검사오차율과 검사누락율을 최소로 줄일 수 있다.
본 공개에 따른 1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6 내지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송유닛(20)은 작업 레일(12)을 포함하고, 작업유닛은 제1 수송유닛(20)에 설치하고, 제2 수송유닛(30)은 공공 수송 레일(13)을 포함하고, 환적 수송 어셈블리는 접속 레일(14)을 포함하며, 접속 레일(14)은 프레임(11)에 이동하도록 설치하고, 접속 레일(14)은 공공 수송 레일(13)과 작업 레일(12)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위치하고, 접속 레일(14)이 공공 수송 레일(13)과 작업 레일(12)의 일측에 위치할 경우, 재료(200)는 접속 레일(14)의 재료배출구를 통해 공공 수송 레일(13) 또는 작업 레일(12)의 재료진입구까지 수송되고, 접속 레일(14)이 공공 수송 레일(13)과 작업 레일(12)의 다른 일측에 위치할 경우, 재료(200)는 공공 수송 레일(13) 또는 작업 레일(12)의 재료배출구에서 접속 레일(14)의 재료진입구까지 수송된다.
상세하게, 작업 레일(12)은 프레임(11)에 설치하고, 공공 수송 레일(13)은 프레임(11)에 설치해 작업 레일(12)과 간격을 두고 분포되고, 공공 수송 레일(13)의 재료진입구와 작업 레일(12)의 재료진입구는 같은 측에 위치하고, 공공 수송 레일(13)의 재료배출구와 작업 레일(12)의 재료배출구는 같은 측에 위치하고, 접속 레일(14)은 프레임(11)에 이동하도록 설치하고, 접속 레일(14)은 공공 수송 레일(13)과 작업 레일(12)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위치하고, 접속 레일(14)이 공공 수송 레일(13)과 작업 레일(12)의 일측에 위치할 경우, 재료(200)는 접속 레일(14)의 재료배출구를 통해 공공 수송 레일(13) 또는 작업 레일(12)의 재료진입구까지 수송되고, 접속 레일(14)이 공공 수송 레일(13)과 작업 레일(12)의 다른 일측에 위치할 경우, 재료(200)는 공공 수송 레일(13) 또는 작업 레일(12)의 재료배출구를 통해 접속 레일(14)의 재료진입구까지 수송되고, 작업유닛은 프레임(11)에 설치하고 작업 레일(12)와 상대되도록 설치하여 작업 레일(12)에 위치하는 재료(200)를 가공하는 데 사용한다.
다시 말해, 재료수송장치(100)는 각각 프레임(11), 작업 레일(12), 공공 수송 레일(13), 접속 레일(14)과 작업유닛을 포함하고, 이 재료수송장치(100)는 가공 기능을 구비한다. 프레임(11)에는 작업 레일(12), 공공 수송 레일(13)과 접속 레일(14)이 장착될 수 있고, 공공 수송 레일(13)과 작업 레일(12)은 나란히 분포할 수 있고, 공공 수송 레일(13)의 재료진입구와 작업 레일(12)의 재료진입구는 같은 측에 위치할 수 있고, 공공 수송 레일(13)의 재료배출구와 작업 레일(12)의 재료배출구는 같은 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접속 레일(14)이 공공 수송 레일(13)과 작업 레일(12)의 일측에 위치할 경우, 공급된 재료는 먼저 접속 레일(14)에 흘러 들어가고, 그 다음, 재료(200)를 공공 수송 레일(13)까지 수송하는 지 아니면 작업 레일(12)까지 수송하는 지를 판단하고, 판단이 완료된 후, 접속 레일(14)은 대응되는 위치까지 운동할 수 있어 재료(200)를 대응되는 위치까지 수송한다. 무엇보다도, 판단하는 과정은 인력으로 판단하거나 또는 검측부를 통해 판단할 있고, 검측부는 CCM、센서 등일 수 있다. 프레임(11)에는 작업유닛이 장착될 수 있고, 작업유닛은 작업 레일(12)과 서로 대응되어 작업유닛을 통해 재료(200)에 대한 가공, 검측 등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재료수송장치(100)는 직렬 연결시켜 가공설비(10)로 조합할 수 있다.
본 공개의 1개의 실시예에 근거해, 작업 레일(12)과 공공 수송 레일(13)은평행되게 분포되어 장착하는 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접속 레일(14)이 작업 레일(12)과 공공 수송 레일(13) 사이에서 이동하는 데도 편리하여, 재료(200)가 접속 레일(14)에서 작업 레일(12) 또는 공공 수송 레일(13)로 흘러들어가는 효율 또는 재료(200)가 작업 레일(12) 또는 공공 수송 레일(13)에서 접속 레일(14)로 흘러들어가는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7 내지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공개의 일부 구체적인 실시방식에서, 접속 레일(14)의 수량은 2개이고, 1개의 접속 레일(14)이 공공 수송 레일(13)과 작업 레일(12)의 일측에 위치하고 다른 1개의 접속 레일(14)이 공공 수송 레일(13)과 작업 레일(12)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며, 다시 말해, 각 재료수송장치(100)의 내부에는 2개의 접속 레일(14)이 설치되고, 2개의 접속 레일(14)은 각각 공공 수송 레일(13)과 작업 레일(12)의 양측에 설치할 수 있어 생산효율과 유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공개의 1개의 실시예에서, 재료수송장치(100)는 드라이버부를 더 포함하고, 이 드라이버부는 환적 수송 어셈블리(40)의 일부일 수 있고, 드라이버부는 프레임(11)에 설치해 접속 레일(14)과 서로 연결되고, 드라이버부는 접속 레일(14)을 구동해 작업 레일(12) 또는 공공 수송 레일(13)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접속 레일(14)이 작업 레일(12) 또는 공공 수송 레일(13)과 연통되도록 할 수 있고, 드라이버부를 이용하면 자동화 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공개의 일부 구체적인 실시방식에서, 재료수송장치(100)는 슬라이딩 레일(15)을 더 포함하고, 슬라이딩 레일(15)은 환적 수송 어셈블리(40)의 일부일 수 있고, 슬라이딩 레일(15)은 프레임(11)에 설치해 접속 레일(14)과 이동하도록 서로 연결되고, 접속 레일(14)은 슬라이딩 레일(15)을 따라 작업 레일(12)과 공공 수송 레일(13)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어 접속 레일(14)이 공공 수송 레일(13)과 작업 레일(12) 사이에서 이동하는 데 편리하도록 하고, 운동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본 공개의 1개의 실시예에 근거해, 작업 레일(12)과 공공 수송 레일(13)은 접속 레일(14)과 서로 평행되어 설비 구조의 치밀성을 향상시키고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200)가 접속 레일(14)과 작업 레일(12) 또는 공공 수송 레일(13) 사이에서 이동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여기에서, 슬라이딩 레일(15)의 연장방향은 접속 레일(14)의 이동방향과 같고 작업 레일(12)의 연장방향과 수직된다. 따라서, 재료(200)가 작업 레일(12)과 접속 레일(14) 사이에서 수송되는 데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인접한 2개의 재료수송장치(100)는 2개의 작업 레일(12)이 동축이고 2개의 공공 수송 레일(13)이 동축으로서, 재료(200)의 수송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공개의 1개의 실시예에 근거해, 각각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공공 수송 레일(13)과 작업 레일(12)의 수량은 각각 1개 또는 다수 개로서, 다시 말해, 공공 수송 레일(13)의 수량은 1개 또는 다수 개일 수 있고, 작업 레일(12)의 수량은 1개 또는 다수 개 일 수 있고, 구체적인 수량은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일부 구체적인 실시방식에서, 가공설비(10)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는 접속 레일(14)과 서로 연결되고,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 레일(12)에 1개의 재료(200)가 적재될 경우, 1개의 접속 레일(14)을 구동해 1개의 재료(200)를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공공 수송 레일(13)까지 수송하고, 다른 1개의 접속 레일(14)을 통해 그를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와 인접한 다른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 레일(12)까지 수송한다. 다시 말해,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 레일(12)에 재료(200)가 적재된 것으로 검측될 경우, 제어기는 1개의 접속 레일(14)을 제어하고 구동해 후속의 1개의 가공할 재료(200)를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공공 수송 레일(13)까지 수송하고,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 및 인접한 또 다른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 사이의 또 다른 1개의 접속 레일(14)을 통해, 이 재료(200)를 인접한 또 다른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 레일(12) 또는 공공 수송 레일(13)까지 수송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수송장치(100)는 판단모듈, 분배모듈과 드라이버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세하게, 판단모듈은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 레일(12)에 가공 중인 이전 재료(200)가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분배모듈은 작업 레일(12) 및 작업 레일(12)과 병렬해 분포된 공공 수송 레일(13) 사이에서 이동해 재료(200)를 작업 레일(12) 또는 공공 수송 레일(13)까지 수송할 수 있고, 드라이버모듈은 각각 판단모듈 및 분배모듈과 서로 연결되고, 드라이버모듈은 판단 결과에 근거해 분배모듈을 구동하여 작업 레일(12)과 공공 수송 레일(13)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접속 레일(14)이 공공 수송 레일(13)과 작업 레일(12)의 일측에 위치할 경우, 공급된 재료는 먼저 접속 레일(14)에 흘러 들어가고, 그 다음, 판단모듈의 판단 결과에 근거해 재료(200)를 공공 수송 레일(13)까지 수송하는 지 아니면 작업 레일(12)까지 수송하는 지를 판단하고, 판단이 완료된 후, 드라이버모듈은 접속 레일(14)을 구동해 대응되는 위치까지 운동하도록 하여 재료(200)를 대응되는 위치까지 수송한다. 무엇보다도, 판단모듈은 CCM,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유닛은 공공 수송 레일(13)과 서로 대응되어, 작업유닛을 통해 재료(200)에 대한 가공, 검측 등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 레일(12)에 가공 중인 이전 재료(200)가 있을 경우,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의 일측의 분배모듈은 다음 재료(200)를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공공 수송 레일(13)까지 수송하고, 인접한 2개의 재료수송장치(100) 사이의 분배모듈을 통해 또 다른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 레일(12) 또는 공공 수송 레일(13)까지 이동시킨다.
본 공개의 1개의 실시예에 근거해, 드라이버모듈은 드라이버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드라이버모듈은 접속 레일(14)을 구동해 작업 레일(12) 또는 공공 수송 레일(13)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접속 레일(14)이 작업 레일(12) 또는 공공 수송 레일(13)과 연통되도록 할 수 있고, 드라이버모듈을 이용하면 자동화 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공개의 1개의 실시예에 근거해, 각각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공공 수송 레일(13)과 작업 레일(12)의 수량은 각각 1개 또는 다수 개로서, 다시 말해, 공공 수송 레일(13)의 수량은 1개 또는 다수 개일 수 있고, 작업 레일(12)의 수량은 1개 또는 다수 개 일 수 있고, 구체적인 수량은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라 재료(200를 분배하는 데 편리한 가공설비(10)는 직렬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재료수송장치(100)를 포함하고, 각각의 재료수송장치(100)의 재료진입측과 재료배출측은 모두 환적 수송 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 인접한 2개의 재료수송장치(100) 사이에 접속 레일(14)이 설치된다.
따라서, 직렬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재료수송장치(100)를 서로 결합시키고,각 재료수송장치(100)의 내부에는 병렬해 설치한 공공 수송 레일(13)과 작업 레일(12)이 설치될 수 있고, 인접한 2개의 재료수송장치(100)는 궤도를 병렬해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재료(200)를 분배하는 유연성을 향상시켜 1개의 재료(200)가 가공 중인 상황에서 후속 재료(200)의 대기 시간이 지나치게 긴 등 상황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한다.
무엇보다도, 재료수송장치(100)의 수량이 3개일 경우, 3개의 재료수송장치(100)는 차례대로 서로 연결되고, 첫 번째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 레일(12)에 가공 중인 재료(200)가 적재되고, 접속 레일(14)을 통해 다음에 가공할 재료(200)를 두 번째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 레일(12) 또는 공공 수송 레일(13)까지 수송하며, 재료(200)가 두 번째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공공 수송 레일(13)까지 수송되었을 경우, 접속 레일(14)은 두 번째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공공 수송 레일(13)의 재료(200)를 계속 세 번째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 레일(12)까지 수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접속 레일(14)은 이전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 레일(12)에 가공 중인 재료(200)가 적재된 여부의 전제하에, 다른 수요와 상황에 근거해 재료(200)를 다음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 레일(12)까지 수송하는 지 아니면 공공 수송 레일(13)까지 수송하는 지를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다수 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유닛이 같거나 또는 다르거나 또는 교체되게 관통 삽입하는 등 상황에 근거해 설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 본 공개의 제3 측면에 다른 실시예의 재료(200) 분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200) 분배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S1.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제1 수송유닛(20)에 가공 중인 이전 재료(200)가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세하게, 주로 제1 수송유닛(20)의 작업 레일(12)에 가공 중인 이전 재료(200)가 있는 지 여부를 관찰한다.
S2. 다음 재료(200)를 수송방향을 따라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의 일측의 환적 수송 어셈블리까지 수송하고, 상세하게, 다음 재료(200)를 수송방향을 따라 대응되는 접속 레일(14)까지 수송하고, 접속 레일(14)의 재료(200)가 분배받도록 대기한다.
S3.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제1 수송유닛(20)의 작업 레일(12)에 가공 중인 이전 재료(200)가 있을 경우,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의 일측의 환적 수송 어셈블리의 접속 레일(14)이 다음 재료(200)를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공공 수송 레일(13)까지 수송하고, 인접한 2개의 재료수송장치(100) 사이의 접속 레일(14)을 통해 또 다른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제1 수송유닛(20) 또는 제2 수송유닛(30)까지, 즉, 대응되는 작업 레일(12) 또는 공공 수송 레일(13)까지 이동시키며, 다시 말해, 단계 S1의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접속 레일(14)을 구동해 공공 수송 레일(13) 또는 작업 레일(12)까지 이동하도록 한다.
본 공개의 1개의 실시예에 근거해, 인접한 2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유닛이 같을 경우, 단계 S3에서,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의 일측의 접속 레일(14)은 다음 재료(200)를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공공 수송 레일(13)까지 수송하고, 또 다른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 레일(12)까지 이동시킨다.
본 공개의 일부 구체적인 실시방식에서, 재료(200) 분배방법은,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 레일(12)의 이전 재료(200)가 가공 완료된 후, 인접한 2개의 재료수송장치(100) 사이의 접속 레일(14)을 통해, 가공 완료된 이전 재료(200)를 또 다른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 레일(12) 또는 공공 수송 레일(13)까지 이동시키는 단계 S4;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단계 S4에서, 인접한 2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유닛이 같을 경우, 인접한 2개의 재료수송장치(100) 사이의 접속 레일(14)을 통해, 가공 완료된 이전 재료(200)를 또 다른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공공 수송 레일(13)까지 이동시키고, 인접한 2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유닛이 같지 않을 경우, 인접한 2개의 재료수송장치(100) 사이의 접속 레일(14)을 통해, 가공 완료된 이전 재료(200)를 또 다른 1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 레일(12)까지 이동시킨다.
본 공개의 1개의 실시예에 근거해, 인접한 2개의 재료수송장치 사이에는 2개의 접속 레일(14)이 설치되고, 각 재료수송장치(100)의 양측은 각각 1개의 접속 레일(14)이 설치되며, 다시 말해, 각각의 재료수송장치(100)에 있어서, 1개의 접속 레일(14)이 공공 수송 레일(13)과 작업 레일(12)의 일측에 위치하고 다른 1개의 접속 레일(14)은 공공 수송 레일(13)과 작업 레일(12)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여 생산효율과 유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공개의 일부 구체적인 실시방식에서, 작업 레일(12)과 공공 수송 레일(13)은 접속 레일(14)과 서로 평행되어 설비 구조의 치밀성을 향상시키고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200)가 접속 레일(14)과 작업 레일(12) 또는 공공 수송 레일(13) 사이에서 이동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공개의 1개의 실시예에 근거해, 인접한 2개의 재료수송장치(100)는 2개의 작업 레일(12)이 동축이고 2개의 공공 수송 레일(13)이 동축으로서, 재료(200)의 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총체적으로,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200) 분배방법은 다수 개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한 연결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200)의 분배 및 가공 효율을 향상시키고, 재료(200)가 연결되는 과정에서 대기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 “폐쇄”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합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200) 분배방법과 재료수송장치(1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4와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 레일(12)에서 재료(200)에 대한 작업이 진행 중인 경우, 전방은 공급된 재료를 생산하고, 이 때 다음 재료(200)는 도 4와 도 9 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좌측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접속 레일(14), 공공 수송 레일(13), 접속 레일(14)을 경유한 후, 우측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접속 레일(14)에 흘러들어가고, 접속 레일(14)에 의해 이전되어 우측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 레일(12)에 들여보내져 생산을 진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 도 6과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작업 레일(12)의 재료(200)는 작업이 완료된 후,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좌측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접속 레일(14)을 경유하여 우측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접속 레일(14)에 흘러들어가고, 그 다음, 우측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접속 레일(14)에 의해 이전되어 우측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공공 수송 레일(13)에 들여보내지고, 다시, 우측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접속 레일(14)을 경유하여 다음 코스의 작업대까지 이동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6, 도 7과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속이 빈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전방 설비의 선택에 의해 재료(200)를 좌측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공공 수송 레일(13) 또는 작업 레일(12)로 들여보내지고, 재료(200)는 좌측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접속 레일(14)에 흘러들어간 후, 접속 레일(14)에 의해 분배되고, 재료(200)는 우측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공공 수송 레일(13) 또는 작업 레일(12)에 들여보내지고, 마지막으로, 재료(200)는 우측의 재료수송장치(100)에 대응되는 접속 레일(14)에 의해 분배되어 후방으로 전송된다. 접속 레일(14)은 도 12에 도시된 속이 찬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총체적으로,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수송장치(100)는 직렬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재료수송장치(100)의 재료(200)에 대한 분배를 진행할 수 있고, 각 재료수송장치(100)의 내부에는 병렬해 설치한 공공 수송 레일(13)과 작업 레일(12)이 설치될 수 있고, 인접한 2개의 재료수송장치(100) 사이의 접속 레일(14)을 통해, 재료(200)를 공공 수송 레일(13)까지 수송하는 지 또는 작업 레일(12)까지 수송하는 지를 선택할 수 있고, 다음 재료(200)가 이전 재료(200)를 기다리는 시간이 지나치게 긴 문제를 방지하여 작업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본 공개의 실시예는 컴퓨터 저장 매개체를 더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저장 매개체는 1개 또는 다수 개의 컴퓨터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1개 또는 다수 개의 컴퓨터 명령은 실행할 때 상기 어느 한 항에 따른 재료분배방법을 실현한다.
다시 말해, 상기 컴퓨터 저장 매개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운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어느 한 항에 따른 재료분배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설비(300)는 메모리(310)와 프로세서(32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310)는 1개 또는 다수 개의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데 사용하고,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1개 또는 다수 개의 컴퓨터 명령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상기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현하는 데 사용한다.
다시 말해, 전자설비(300)는 프로세서(320)와 메모리(31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310)에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저장되고, 여기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운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320)가 상기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설비(3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0), 입력설비(340), 하드디스크(350)와 디스플레이 설비(3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각 인터페이스와 설비 사이는 버스 아키텍처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이 포함될 수 있는 상호 연결된 버스와 브리지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320)를 대표로 하는 1개 또는 다수 개의 중앙 처리 장치(CPU)와, 메모리(310)를 대표로 하는 1개 또는 다수 개의 메모리의 다양한 회로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주변설비, 전압 안정기와 출력 관리 회로 등의 다양한 다른 회로를 함께 연결시킬 수 있다. 버스 아키텍처가 이런 어셈블리 간을 연결시키는 통신에 이용되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버스 아키텍처는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는 외에도, 전원 버스, 제어 버스와 상태 신호 버스를 더 포함하며, 이런 것들은 모두 본 기술분야에서 주지하고 있는 기술구성이므로, 본 문장에서는 그를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0)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 근거리 통신망 등)까지 연결하여 네트워크에서 관련 데이터를 획득해 하드디스크(350)에 보존할 수 있다.
상기 입력설비(340)는 조작자가 입력한 각종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되도록 프로세서(320)에 발송할 수 있다. 상기 입력설비(340)는 키보드 또는 클릭 설비(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설비(360)는 프로세서(320)가 명령을 실행해 회득한 결과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310)는 운영시스템 운행에 필수적인 프로그램과 데이터 및 프로세서(320) 계산과정 중의 중간 결과 등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한다.
본 공개에 따른 실시예 중의 메모리(310)가 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양자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롬(ROM), 프로그램 가능 읽기용 기억 장치(PROM), 소거 프로그램 가능 읽기용 기억 장치(EPROM), 전기적 소거 프로그램 가능 읽기용 기억 장치(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램(RAM)일 수 있고, 그는 외부 캐시로 사용한다. 본 문장에서 서술한 장치와 방법의 메모리(310)는 이런 것들과 알맞는 유형의 임의의 다른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방식에서, 메모리(310)는 아래의 요소를 저장하였고, 모듈 또는 데이터 구조, 또는 그들의 서브 집합, 또는 그들의 확장 집합; 운영시스템(311)과 응용 프로그램(312)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운영시스템(311)은 프레임 층, 코어 라이브러리 층, 드라이버 층 등과 같은 다양한 시스템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다양한 기초 업무를 실현하고 하드웨어에 기반한 태스크를 처리하는 데 사용한다. 응용 프로그램(312)은 브라우저(Browser)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다양한 응용 업무를 실현하는 데 사용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은 응용 프로그램(312) 중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메모리(310).중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상세하게는, 응용 프로그램(312) 중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호출해 실행할 경우, 제1 집합과 제2 집합 중의 1개를 상기 제1 집합과 제2 집합 중의 어느 1개에 분포된 노드까지 분산시켜 발송할 수 있고, 여기에서, 상기 어느 1개는 적어도 2개의 노드에 분산해 저장하며; 또한, 상기 제1 집합의 노드 분포와 상기 제2 집합의 노드 분포에 근거해 노드별로 교집합 처리를 진행한다.
본 공개의 상기 실시예에서 개시한 방법은 프로세서(320) 중에 응용하거나 또는 프로세서(320)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집적회로 칩일 수 있어 신호에 대한 처리 능력을 구비한다. 실현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320) 중 하드웨어의 집적 로직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해 완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전용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로직 소자, 디스크리트 게이트(discrete gate)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소자, 디스크리트(discrete) 하드웨어 어셈블리일 수 있고, 본 공개에 따른 실시예에서 공개한 각 방법, 단계 및 로직 블록도를 실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또는 어느 전통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본 공개에 따른 실시예가 공개한 방법을 결합한 단계는 하드웨어 복호화 프로세서가 실행해 완성하는 기술수단 또는 복호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해 완성하는 기술수단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램(RAM), 플래시 메모리, 롬(ROM), 프로그램 가능 읽기용 기억 장치 또는 전기적 소거 프로그램 가능  기억 장치, 레지스터 등과 같이 기술분야의 성숙된 저장 매개체 중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저장 매개체는 메모리(31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320)는 메모리(310) 중의 정보를 읽고 그 하드웨어를 결합해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본 문장에서 설명한 이런 실시예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또는 그 조합을 이용해 실현할 수 있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드웨어의 실현에 있어서, 처리유닛은 1개 또는 다수 개의 전용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설비(DSPD), 프로그램 가능 로직설비(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범용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본 출원의 상기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하는 다른 전자유닛 또는 그 조합 중에서 실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실현에 있어서, 본 문장에 기재한 기능의 모듈(예를 들어, 과정, 함수 등)을 통해 본 문장에 기재한 기술을 실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하여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중에서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실현할 수 있다.
상세하게, 프로세서(320)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읽어 상기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이 제공한 몇 개의 실시예에서, 개시한 방법과 장치가 다른 방식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은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내용에 기재된 장치에 대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예를 들어, 상기 유닛에 대한 구분은 로직 기능에 대한 구분에 불과하여 실제적으로는 실현할 때 다른 구분방식이 있을 수 있고, 예를 들어, 다수 개의 유닛 또는 어셈블리가 다른 1개의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고, 또는 일부 특징을 간과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디스플레이 또는 논의된 상호 간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해 이루어지는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이외에도, 본 공개에 따른 각 실시예 중의 각각의 기능유닛은 1개의 처리유닛 중에 집적될 수 있고, 각 유닛이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포함될 수 있고,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식을 이용해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에 소프트웨어의 기능유닛을 추가하는 형식으로 실현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 기능유닛의 형식으로 실현해 집적된 유닛은 1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개체 중에 저정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유닛은 1개의 저장 매개체 중에 저장하고, 다수 개의 명령을 포함하여, 1대의 컴퓨터 설비(퍼스널 컴퓨터, 서버 또느 네트워크 설비 등일 수 있음)가 본 공개에 따른 각각의 실시예에 기재된 송수신방법의 일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한다. 단, 상기 저장 매개체는 USB 플래시 디스크, 이동식 하드디스크, 롬(Read-Only Memory, ROM라고 약칭), 램(Random Access Memory, RAM라고 약칭),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과 같이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개체를 포함한다.
본 공개에 대한 서술에서, 용어“중심”,“종방향”,“횡방향”,“길이”, “너비”,“두께”,“상”,“하”,“전”,“후”,“좌”,“우”,“수직”,“수평”,“꼭대기”,“바닥”,“내부”,“외부”,“시계 방향”,“시계 반대 방향”,“축 방향”,“반경 방향”,“원주 방향”등이 지칭하는 방위 또는 위치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관계를 기반으로 하고, 본 공개를 편리하고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뿐이고, 지칭하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갖고 특정된 방위에 의해 구성하여 조작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 또는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공개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은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대한 설명에서, 용어“1개의 실시예”,“일부 실시예”,“예시적 실시예”,“실례”,“구체적인 실례”또는“일부 실례”등을 참조해 설명하는 것은 이 실시예 또는 실례를 결합해 기재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징이 본 공개의 적어도 1개의 실시예 또는 실례 중에 포함된다는 것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예시적 서술은 반드시 같은 실시예 또는 실례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기재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본 공개의 원리와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상황에서, 이런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변화, 수정, 치환과 변형을 진행할 수 있고, 본 공개의 범위는 청구항 및 그 균등물에 의해 한정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재료수송장치
10: 가공설비
11: 프레임
12: 작업 레일
13: 공공 수송 레일
14: 접속 레일
15: 슬라이딩 레일
20: 제1 수송유닛
30: 제2 수송유닛
40: 환적 수송 어셈블리
41: 재료 방향 전환 모듈
42: 재료 추출 모듈
42a: 받침대 바닥판
42b: 받침대
42c: 흡착 어셈블리
43: 승강모듈
43b: 승강 드라이버 어셈블리
43c: 승강 운동 어셈블리 바닥판
43d: 승강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
43e: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스크류 페어(screw pair)
43f: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슬라이딩 페어(sliding pair)
44: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44a: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바닥판
44b: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
44c: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이동 블록
45: 방향 전환 드라이버 어셈블리
200: 재료

Claims (12)

  1. 재료수송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제1 수송유닛, 제2 수송유닛과 환적 수송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송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하고;
    상기 제2 수송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하고;
    상기 환적 수송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재료를 상기 제1 수송유닛과 상기 제2 수송유닛 사이에서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수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적 수송 어셈블리는 재료 방향 전환 모듈과 재료 추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재료 방향 전환 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하여 상기 제1 수송유닛과 상기 제2 수송유닛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재료 추출 모듈은 상기 재료 방향 전환 모듈과 서로 연결되어 상기 재료 방향 전환 모듈의 구동하에 상기 제1 수송유닛의 재료 입구 위치와 상기 제2 수송유닛의 재료 입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재료를 상기 제1 수송유닛과 상기 제2 수송유닛 사이에서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수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적 수송 어셈블리는 승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모듈은 각각 상기 재료 방향 전환 모듈 및 상기 재료 추출 모듈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승강모듈은 상기 재료 추출 모듈의 고도가 높아지게 또는 낮아지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수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방향 전환 모듈은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와 방향 전환 드라이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하여 상기 승강모듈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방향 전환 드라이버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하여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와 서로 연결되고, 상기 방향 전환 드라이버 어셈블리는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를 구동해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승강모듈은 승강 운동 어셈블리와 승강 드라이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및 상기 재료 추출 모듈과 서로 연결되며; 상기 승강 드라이버 어셈블리는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와 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를 구동하고 재료 추출 모듈을 움직여 상기 재료를 상기 제1 수송유닛 또는 상기 제2 수송유닛에서 꺼내거나 또는 상기 재료를 상기 제1 수송유닛 또는 상기 제2 수송유닛에 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수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는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바닥판,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와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이동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바닥판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하고,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는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바닥판을 통해 상기 프레임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는 상기 제1 수송유닛과 상기 제2 수송유닛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이동 블록은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에 이동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는 승강 운동 어셈블리 바닥판, 승강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스크류 페어(screw pair)와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슬라이딩 페어(sliding pair)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 바닥판은 상기 방향 전환 운동 어셈블리 이동 블록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는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 바닥판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스크류 페어는 상기 승강 드라이버 어셈블리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슬라이딩 페어는 각각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스크류 페어 및 상기 재료 추출 모듈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슬라이딩 페어는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스크류 페어를 통해 상기 재료 추출 모듈을 움직여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 메인바디에서 승강 이동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수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추출 모듈은 상기 승강 운동 어셈블리 스크류 페어와 서로 연결된 받침대 바닥판;
    상기 받침대 바닥판과 서로 연결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재료에 대한 흡착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흡착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수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송유닛과 상기 제2 수송유닛은 각각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재료를 적재하여 수송하는 데 사용하는 전동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수량은 2개이고, 2개의 상기 가이드레일 간은 간격을 두고 상대되도록 설치하고, 2개의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의 간격은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수송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송유닛 및/또는 상기 제2 수송유닛에는 작업유닛이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수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송유닛은 작업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유닛은 상기 제1 수송유닛에 설치하고, 상기 제2 수송유닛은 공공 수송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환적 수송 어셈블리는 접속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레일은 상기 프레임에 이동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접속 레일은 상기 공공 수송 레일과 상기 작업 레일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접속 레일에서 상기 공공 수송 레일과 상기 작업 레일의 일측에 위치할 경우, 재료는 상기 접속 레일의 재료배출구를 통해 상기 공공 수송 레일 또는 상기 작업 레일의 재료진입구까지 수송되고, 상기 접속 레일에서 상기 공공 수송 레일과 상기 작업 레일의 다른 일측에 위치할 경우, 재료는 상기 공공 수송 레일 또는 상기 작업 레일의 재료배출구에서 상기 접속 레일의 재료진입구까지 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수송장치.
  10. 재료를 분배하는 데 편리한 가공설비에 있어서,
    직렬 연결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2개의 상기 재료수송장치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재료수송장치의 재료진입측과 재료배출측은 모두 상기 환적 수송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를 분배하는 데 편리한 가공설비.
  11. 재료분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공방법은 제10항에 따른 재료를 분배하는 데 편리한 가공설비를 사용하고, 상기 가공방법은,
    1개의 상기 재료수송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수송유닛에 가공 중인 이전 재료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S1;
    다음 재료를 수송방향을 따라 1개의 재료수송장치의 일측의 상기 환적 수송 어셈블리까지 수송하는 단계 S2;
    1개의 상기 재료수송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수송유닛에 가공 중인 이전 재료가 있을 경우, 1개의 상기 재료수송장치의 일측의 상기 환적 수송 어셈블리가 다음 재료를 1개의 상기 재료수송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수송유닛까지 수송하고, 인접한 2개의 상기 재료수송장치 사이의 환적 수송 어셈블리를 통해 또 다른 1개의 상기 재료수송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수송유닛 또는 상기 제2 수송유닛까지 이동시키는 단계 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분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1개의 상기 재료수송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수송유닛의 이전 재료가 가공 완료된 후, 인접한 2개의 상기 재료수송장치 사이의 환적 수송 어셈블리를 통해, 가공 완료된 이전 재료를 또 다른 1개의 상기 재료수송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수송유닛 또는 상기 제2 수송유닛까지 이동시키는 단계 S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분배방법.
KR1020227008865A 2019-12-06 2020-11-27 재료수송장치, 재료 분배에 편리한 가공설비와 재료분배방법 KR202200625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242287.8 2019-12-06
CN201911241389.8 2019-12-06
CN201911242287.8A CN111038941B (zh) 2019-12-06 2019-12-06 物料分配方法、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201911241389.8A CN110803474A (zh) 2019-12-06 2019-12-06 便于物料分配的加工装置
CN202010211359.9A CN111282781A (zh) 2020-03-24 2020-03-24 物料输送装置和具有该物料输送装置的并线点胶机器人
CN202010211359.9 2020-03-24
PCT/CN2020/132130 WO2021109930A1 (zh) 2019-12-06 2020-11-27 物料输送装置、便于物料分配的加工设备和物料分配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532A true KR20220062532A (ko) 2022-05-17

Family

ID=7622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8865A KR20220062532A (ko) 2019-12-06 2020-11-27 재료수송장치, 재료 분배에 편리한 가공설비와 재료분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52222B2 (ko)
JP (1) JP7375171B2 (ko)
KR (1) KR20220062532A (ko)
TW (1) TWI796850B (ko)
WO (1) WO20211099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5633B (zh) * 2022-09-29 2023-04-11 广州载德自动化智能科技有限公司 电芯输送调度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7294A (en) * 1943-04-23 1945-05-29 Owens Illinois Glass Co Article transfer mechanism
JPH04176528A (ja) * 1990-11-07 1992-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搬送装置を有する生産装置
JP2008503415A (ja) * 2004-06-18 2008-02-07 ロイ ウィークス 紙葉処理装置
TWM394979U (en) * 2009-08-04 2010-12-21 Mirle Automation Corp The mechanism for eliminating the bottleneck in transporting flat and thin work piece in optoelectronic industry
JP5449089B2 (ja) 2010-08-19 2014-03-19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シャトルコンベヤおよび対回路基板作業機
CN102991982A (zh) * 2011-09-09 2013-03-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流动板循环机构
JP2015044595A (ja) * 2013-08-27 2015-03-12 株式会社豊製作所 落とし入れ装置
CN105775674B (zh) 2016-04-15 2018-06-22 厦门攸信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多设备串联送料装置
KR101715314B1 (ko) * 2016-04-29 2017-03-13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이송물 합류시스템
US10843880B2 (en) * 2016-10-05 2020-11-24 Laitram, L.L.C. Linear-motor conveyor system
JP6745527B2 (ja) * 2016-11-17 2020-08-26 株式会社豊製作所 落とし入れ装置
CN108100545A (zh) 2016-11-25 2018-06-01 深圳市今天国际智能机器人有限公司 回转式穿梭车轨道及穿梭车系统
CN206999362U (zh) 2017-06-21 2018-02-13 北京精雕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板片类产品数控加工用的自动化生产线
CN207158194U (zh) 2017-09-20 2018-03-30 广东利迅达机器人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pcb线路板及治具板的运输线机构
CN107902356B (zh) * 2017-12-19 2023-10-27 深圳市格林晟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全自动物料输送系统
CN207917870U (zh) * 2017-12-19 2018-09-28 深圳市格林晟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全自动物料输送系统
CN208585791U (zh) 2018-07-12 2019-03-08 无锡奥特维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盒输送装置及电池片上料输送机
CN109081069B (zh) 2018-08-16 2020-09-29 矽电半导体设备(深圳)股份有限公司 一种运料方法
CN209275615U (zh) 2018-10-28 2019-08-20 深圳市兴禾自动化有限公司 一种车传动式电芯加工传送线
CN209720719U (zh) 2019-02-21 2019-12-03 深圳市博世恺自动化有限公司 一种后段出料设备
CN110237974B (zh) 2019-05-30 2023-11-17 浩德重工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细长结构工件自动喷涂生产线
CN111282781A (zh) * 2020-03-24 2020-06-16 常州铭赛机器人科技股份有限公司 物料输送装置和具有该物料输送装置的并线点胶机器人
CN111038941B (zh) * 2019-12-06 2021-11-16 常州铭赛机器人科技股份有限公司 物料分配方法、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211443908U (zh) * 2019-12-06 2020-09-08 常州铭赛机器人科技股份有限公司 便于物料分配的加工装置
CN110803474A (zh) * 2019-12-06 2020-02-18 常州铭赛机器人科技股份有限公司 便于物料分配的加工装置
CN212370507U (zh) * 2020-03-24 2021-01-19 常州铭赛机器人科技股份有限公司 物料输送装置和具有该物料输送装置的并线点胶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75171B2 (ja) 2023-11-07
US20220212881A1 (en) 2022-07-07
JP2022547065A (ja) 2022-11-10
TWI796850B (zh) 2023-03-21
TW202225076A (zh) 2022-07-01
US11952222B2 (en) 2024-04-09
WO2021109930A1 (zh)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968412U (zh) 一种棒料上料装置
CN107380869B (zh) 一种适用于货运集装箱的物流取码系统的使用方法
CN104354262A (zh) 一种插针自动化注塑成型生产装置
CN205274540U (zh) 一种产品输送线
CN206536457U (zh) 一种基板搬送机器人
CN102820060B (zh) 全自动在线烧录装置
KR20220062532A (ko) 재료수송장치, 재료 분배에 편리한 가공설비와 재료분배방법
CN203237764U (zh) 送料机构
CN107915032A (zh) 一种混测自动化测试线
CN107352207A (zh) 一种适用于货运集装箱的物流取码系统
US20220334484A1 (en) Coating and Development Equipment
CN107352278A (zh) 一种物流取码系统装卸装置的控制方法
CN107298272A (zh) 一种物流取码系统的装卸装置
CN104192562B (zh) 自动化机械抓手搬运机
CN207142197U (zh) 一种自动排片机
CN204431251U (zh) 一种智能旋转式上下料机械手
CN205312651U (zh) 物料夹持装置
CN108374244A (zh) 缝纫机的自动送料及收料装置及自动送料及收料方法
CN105665288A (zh) 一种物料分拣装置
CN202754526U (zh) 线路板输送用拍板装置
CN211109261U (zh) 一种用于分类存储的机器人
CN111038941B (zh) 物料分配方法、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205471468U (zh) 一种换向装置及物流输送系统
CN105321844A (zh) 堆叠布局的半导体设备
CN204222081U (zh) 一种插针自动化注塑成型生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