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2507A - 고-전압 구성요소 - Google Patents

고-전압 구성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507A
KR20220062507A KR1020227007375A KR20227007375A KR20220062507A KR 20220062507 A KR20220062507 A KR 20220062507A KR 1020227007375 A KR1020227007375 A KR 1020227007375A KR 20227007375 A KR20227007375 A KR 20227007375A KR 20220062507 A KR20220062507 A KR 20220062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ass
polymer composition
parts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7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헨 엔트너
디르크 슈미츠
마티아스 빈뮐러
볼프강 밤바흐
Original Assignee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62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50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8Adding charges, i.e. additives
    • B29B7/90Fillers or reinforcements, e.g.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005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8Treatment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06PBT, i.e. polybut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2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29K2995/0016Non-flammable or 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06Components, e.g. resis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009Sulf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62Six-membered rings
    • C08K5/3465Six-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1종의 폴리에스테르 및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을 기초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고-전압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또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제품을 고-전압 구성요소로서 마킹하기 위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전압 구성요소
본 발명은 적어도 1종의 폴리에스테르 및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을 기초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특히 e모빌리티(electromobility)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 및 폴리에스테르계 고-전압 구성요소의 제조를 위한 또는 레이저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제품의 고-전압 구성요소로서의 마킹을 위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기술적 열가소성 물질, 예컨대 폴리에스테르는 그의 우수한 기계적 안정성, 그의 내화학성, 매우 우수한 전기적 성질 및 우수한 작업성으로 인하여, 특히 또한 자동차용 구성요소의 분야에서, 중요한 물질이다.
폴리에스테르는 수년 동안 까다로운 자동차 구성요소를 제작하기 위한 중요한 구성요소를 형성해 왔다. 내연 엔진이 수년 동안 지배적인 구동 개념이지만, 대체 구동 개념을 위한 연구의 과정에서 재료의 선택과 관련된 새로운 요건이 또한 발생한다. 여기서 유의한 역할이 e모빌리티에 의해 수행되며, 여기서 내연 엔진은 배터리 또는 연료 전지로부터 그들의 전기 에너지를 전형적으로 끌어오는 하나 이상의 전기 모터에 의해 부분적으로(하이브리드 차량[HEV, PHEV, BEV Rex]) 또는 완전히(전기 차량[BEV, FCEV]) 대체되었다. 그들의 추진의 유일한 수단으로서 내연 엔진(ICE)을 갖는 통상적인 차량은 전형적으로 12 V 온보드 전압 시스템과 함께 작동하지만, 구동 유닛으로서 전기 모터를 갖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 차량은 유의하게 더 높은 전압을 필요로 한다. 이는 이러한 고-전압부의 직접적인 영역 및 바로 주변에 대해 심각한 추가적인 위험 포텐셜을 제기하며, 이는 기술적 사양 또는 표준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사람들(운전자, 정비사 등)과의 의도치 않은 접촉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중요한 역할이 이들 위험한 영역의 명확한 마킹에 의해 수행되며, 이러한 고-전압 어셈블리의 명확한 색 마킹이 또한 특히 중요하다.
예를 들어, https://avt.inl.gov/sites/default/files/pdf/hev/hevtechspecr1.pdf에서, 아이다호 국립 HEV(하이브리드 전기 차량(Hybrid Electric Vehicle)) 연구소(Idaho National Laboratory for HEV)의 고급 차량 팀(Advanced Vehicle Team)은 "고전압(HIGH VOLTAGE)"으로서의 정확한 마킹을 포함하여 60 V 이상의 고전압에 노출되는 모든 장치에 대한 권장사항과 함께 기술적 사양을 공개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마킹을 위해 오렌지색을 또한 제안한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 배합 동안 및 사출 성형 동안 > 300 ℃의 높은 가공 온도로 인해, 오렌지색에 대해 적합한 착색제의 선택은, 특히 기술적 열가소성 물질, 예컨대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매우 제한된다.
WO 01/ 42371 A1은 폴리에스테르인 우랄락®(Uralac®) SN800을 기초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개시한다. 청구항 16에 따르면, C2S3은 희토류 금속 황화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EP 0 041 274 B1은 빛의 파장을 변경시킬 수 있는 형광 조성물, 광파-변화 소자와 같은 조성물을 기초로 하는 성형품, 및 이러한 소자를 사용해서 광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기 위한 장치를 기재한다. EP 0 041 274 B1의 실시예는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에서 12H-프탈로페린-12-온을 사용한다.
솔벤트 오렌지 60(Solvent Orange 60)으로서 공지된 12H-프탈로페린-12-온[CAS 번호 6925-69-5]은, 예를 들어, 쾰른 소재의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Lanxess Deutschland GmbH)로부터 마크롤렉스® 오렌지 3G(Macrolex® Orange 3G)로서 입수가능하다. 그러나, 단점은 극한의 요구 하에서, 특히 e모빌리티에서 보여지는 요구 하에서, 솔벤트 오렌지 60이 플라스틱 매트릭스 밖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가지며, 이는 승온에서 색 강도의 감소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솔벤트 오렌지 60은 플라스틱의 표면으로 이동한다(블루밍). 거기에서 이는 문질러질 수 있거나, 세척될 수 있거나 또는 용해될 수 있거나, 휘발될 수 있거나(포깅) 또는 다른 물질(예를 들어 인접한 플라스틱 또는 고무 부분)로 이동할 수 있다(블리딩). 원래의 플라스틱 중의 솔벤트 오렌지 60의 농도가 감소되어, 색 강도의 감소를 야기한다. 이동된 솔벤트 오렌지 60은 또한 기계적 또는 물리적 공정에 의해 인접한 구성요소 부분으로 수송되어 그곳에서 성능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예는 전기 접촉부의 표면 상의 솔벤트 오렌지 60의 침착으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스위치 접촉부에서의 상승된 전기 저항을 포함한다. 전기 구성요소의 분야에서, 플라스틱으로부터의 성분의 이동은 그것이 플라스틱 및 공간적으로 인접한 부분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그 결과 일부 경우에 전기 구성요소의 기능이 더 이상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EP 0 041 274 B1의 교시로부터 진행하여,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12H-프탈로페린-12-온을 기초로 하는 EP 0 041 274 B1에서의 해결책과 비교하여 이동, 특히 블리딩이 덜 쉬운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전기 차량에서의 고-전압 구성요소를 위한, 폴리에스테르를 기초로 하는 오렌지색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에 있어서, 추가 정보, 예컨대 일련 번호, 제조업체 특징, 설치 정보 또는 안전성-관련 정보를 사용하여 이들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의 가능성이 또한 중요하다. 플라스틱계 구성요소 식별의 적합한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 레이저 또는 1064 nm 파장의 ND:YAG 레이저를 사용하는 레이저 각인(https://de.wikipedia.org/wiki/Laserbeschriftung 참조)이다.
선행 기술에 따르면, 1064 nm 파장의 레이저를 사용한 각인의 경우에, 통상적으로 안티모니 트리옥시드계의 첨가물이 각인 대비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EP 3 281 974 A1 참조). 그러나, 안티모니 트리옥시드의 사용은 그것이 H351 위험 문구("암을 유발할 것으로 의심됨")로 인해 시장에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회피되어야 한다. 심지어 안티모니 트리옥시드는 IEC 60112에 따라 트래킹 저항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고, 비교적 낮은 트래킹 저항의 경우에, 전류-베어링 어셈블리 사이의 거리가 원치 않는 전류 흐름의 결과로서의 안전성 위험을 배제하기 위해 증가되어야 할 것이기 때문에, 이는 구체적으로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에의 적용에 특히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안티모니 트리옥시드 또는 안티모니 트리옥시드-함유 유도체의 첨가 없이도 1064 nm의 레이저 파장에서 레이저 각인성이 가능하도록 하고, 가능한 경우, 트래킹 저항의 감소의 결과로서 안티모니 트리옥시드에 상응하는 임의의 단점을 수용할 필요가 없게 하기 위한 것이다. 오렌지색 폴리에스테르계 성형 화합물은, 레이저 각인성 뿐만 아니라, 이상적으로는 또한, 사출 성형 직후에 달성된 원래 색이 12H-프탈로페린-12-온에 비해 UV 광 하에 또는 열 응력 하에 각 경우에 보다 긴 기간에 걸쳐 유지된다는 점에서, 상기 인용된 선행 기술보다 개선된 내광견뢰도 및 개선된 열 안정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열 응력과 관련하여 보다 긴 기간은 80 ℃에서 12시간 동안의 열풍 건조 캐비닛에서의 저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내광견뢰도와 관련하여 보다 긴 기간은 크세논 램프, 1500 와트, 45-130 klx 및 300-800 nm 파장을 사용한 96시간 동안의 조사 시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이르러, 놀랍게도, 폴리에스테르 및 오렌지색 착색제로서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을 기초로 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가 블리딩, 내광견뢰도 및 필수 레이저 각인성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대상
본 발명은 적어도 1종의 폴리에스테르 및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을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폴리에스테르 100 질량부당,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 0.01 내지 5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질량부가 사용되는 중합체 조성물이 추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1종의 폴리에스테르 및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을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기초로 하는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1종의 폴리에스테르 100 질량부당,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 0.01 내지 5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질량부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기초로 하는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폴리에스테르계 고-전압 구성요소의 제조를 위한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레이저,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 레이저 또는 1064 nm 파장에서 ND:YAG 레이저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제품의 고-전압 구성요소로서의 마킹을 위한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그로부터 제조되는 성형 화합물, 및 차례로 그로부터 제조되는 고-전압 구성요소 또는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며, 단 이들은,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또는 RAL2011에 상응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레이저,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 레이저 또는 1064 nm 파장에서 ND:YAG 레이저를 사용하여, 제품을 조사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계 제품을 고-전압 구성요소로서 마킹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이 폴리에스테르에 사용된다.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는 C2-C1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특히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이다.
고-전압 구성요소로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조성물의 배합은 반응물로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A) 폴리에스테르 및 B)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을 적어도 하나의 혼합 시스템에서 혼합함으로서 실시되며, 단 A) 및 B)에 기초하여 그로부터 제조되는 중합체 조성물 또는 고-전압 구성요소 또는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는,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또는 RAL2011에 상응한다.
혼합은,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을 기초로 하는 성형 화합물을 중간체로서 제공한다. 이러한 성형 화합물은 전적으로 구성요소 A) 및 B)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구성요소 A) 및 B)에 더하여 적어도 1종의 추가 구성요소를 함유할 수 있으며, 단 A) 및 B) 및 경우에 따라 추가 구성요소를 기초로 하여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 화합물 또는 고-전압 구성요소 또는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는,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또는 RAL2011에 상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어진 이유 때문에, 안티모니계 구성요소의 사용, 특히 안티모니 트리옥시드-함유 유도체의 사용은, 중합체 조성물 또는 성형 화합물의 제조에서 생략된다.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또는 바람직한 범위에서 언급된 모든 정의 및 파라미터를 임의의 목적하는 조합으로 포괄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본 출원의 문맥에서 인용된 표준은 본 발명의 출원일에서의 현재 버전에 관한 것이다.
블리딩
본 발명의 문맥에서, 블리딩은 하기와 같이 확인된다:
60*40*2 mm3의 치수를 갖는 플라스틱 시트가 검사될 착색제-함유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부터 먼저 제작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플라스틱 시트의 경우, 사용된 색은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이다. 30*20*2 mm3의 치수를 갖는 가소화 PVC 필름이 초기에 제작된 플라스틱 시트 중 2개 사이에 후속적으로 배치되고, 모든 시트 전체가 80 ℃에서 열풍 건조 캐비닛에 12시간 동안 저장된다. 2개의 플라스틱 시트에서 가소화된 PVC 내로 이동한 착색제는 이어서 ISO 105-A02에 따라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로 시각적으로 평가되며, '5'는 PVC 필름이 색 변화를 나타내지 않음을 의미하고(폴리에스테르 플라스틱 시트로부터 PVC 필름으로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한 착색제 전이가 없음), '1'은 PVC 필름이 유의한 색 변화를 나타냄을 의미한다(폴리에스테르 플라스틱 시트로부터 PVC 필름으로 유의한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한 착색제 전이가 있음).
내광견뢰도
본 발명의 문맥에서 사용된 내광견뢰도의 척도는, 선테스트 CPS+(Suntest CPS+) 유형의 UV 광과 공기-냉각된 아틀라스 크세논(Atlas Xenon) 램프, 1500 와트, 45-130 klx, 300-800 nm 파장 및 독일 린젠게리히트 소재의 아틀라스 머터리얼 테스팅 테크놀로지 게엠베하(Atlas Material Testing Technology GmbH)로부터의 윈도우 유리 필터 250-267 W/m2 및 96시간의 조사 시간으로 검사될 착색제-함유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상기-기재된 플라스틱 시트의 UV 저장 후의 변색이다. 변색은 DIN EN ISO 105-B02에 따라 블루 울 스케일(blue wool scale)을 기초로 하여 시각적으로 평가되며, '8'은 특출한 내광견뢰도(적은 색 변화)를 나타내고, '1'은 매우 낮은 내광견뢰도(유의한 색 변화)를 나타낸다.
고전압
유엔 유럽 경제 위원회(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UNECE)의 규정 번호 100 - 전력 트레인[2015/505]에 대한 특정 요건과 관련된 차량의 승인에 관한 통일 조항 제 2.17항은, 그의 작동 전압이 근평균제곱(root mean square)(rms) > 60 V 및 ≤ 1500 V(직류) 또는 > 30 V 및 ≤ 1000 V(교류)인 경우에 전기 구성요소 또는 회로의 분류로서 용어 "고전압"을 기재한다.
"고전압"의 이러한 분류는 ISO6469-3:2018("전기적으로 추진되는 도로 차량 - 안전 사양 - 파트 3: 전기 안전")의 전압 등급 B에 상응한다. 그의 섹션 5.2는 또한 적절한 위험 기호 또는 색 '오렌지색'을 통해 전압 등급 B의 전기 구성요소에 대한 마킹 요건을 포함한다.
고-전압 구성요소 및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고-전압 구성요소는 상기 언급된 유엔 유럽 경제 위원회(UNECE)의 규정 번호 100의 섹션 2.17에 따른 작동 전압에 적용되는 구성요소 또는 제작 용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는 30 V(직류) 이상 또는 20 V(교류) 이상의 작동 전압, 보다 바람직하게는 - ISO6469-3:2018의 전압 등급 B에 따라 - 60 V(직류) 초과 또는 30 V(교류) 초과의 작동 전압에 적용되는 전기 차량 내의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는 전압-전도 부분과 직접 접촉하는 구성요소 뿐만 아니라, 그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거나 또는 그에 공간적으로 근접한, 터치 가드, 경고 마커 또는 차폐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전압-전도 부분과 직접 접촉하는 구성요소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 그로부터 제조되는 제품, 바람직하게는 고-전압 구성요소, 보다 바람직하게는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는,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 때문에, 오렌지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및 RAL2011에 상응하는 색상,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8 및 RAL2009에 상응하는 색상, 및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RAL2003이다.
본 발명에 따라 마찬가지로 허용 가능한 "유사한 색상"은 L*a*b* 시스템에서의 색 거리가 RAL 색 차트에 정의된 특정 RAL 색상의 L*a*b* 값으로부터 <20, 바람직하게는 ΔE<10, 보다 바람직하게는 ΔE<5의 ΔE를 갖는 색상이다. ΔE의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하기를 참조한다:
https://de.wikipedia.org/wiki/Delta_E.
오렌지색
본 발명의 문맥에서, 오렌지색은 https://de.wikipedia.org/wiki/RAL-Farbe#Orange에 따른 RAL 색 시스템에서, RAL 색 차트에서 "2"로 시작하는 색 수를 갖는 색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특히, 본 발명의 출원일에 표 1에 따라 오렌지색 색상이 구별된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은 각각의 RAL 값에 대한 장치-독립적 CIE L*a*b* 색 값을 나타낸다: L*는 휘도를 나타내고, a* = D65 및 b* = 10°이다. 색 모델은 EN ISO 11664-4 "비색법 -- 파트 4: CIE 1976 L*a*b* 색 공간"에서 표준화되었다. L*a*b* 색 공간(또한: CIELAB)에 대해 하기를 참조한다: https://de.wikipedia.org/wiki/Lab-Farbraum.
색 공간의 각각의 색은 데카르트 좌표{L*, a*, b*}를 갖는 색 좌위에 의해 정의된다. a*b* 좌표면은 반대 색 이론을 사용하여 구축되었다. 녹색 및 적색은 a*축의 서로 반대쪽 끝에 있고, b*축은 청색에서 황색으로 이어진다. 보색은 각각 서로 180° 반대이고, 이들 사이의 중심점(좌표 원점 a*=0, b*=0)은 회색이다.
L*축은 0 내지 100의 값을 가지고 색의 명도(휘도)를 나타낸다. 다이어그램에서 그것은 원점에서 a*b* 평면에 대해 수직을 나타낸다. 이는 또한 흑색(L* = 0) 및 백색(L* = 100)의 끝점 사이에 모든 무채색 색상(회색)이 함유되기 때문에 중성 회색 축으로 지칭될 수 있다. a* 축은 색의 녹색 또는 적색 분율을 나타내며, 음의 값은 녹색을 나타내고 양의 값은 적색을 나타낸다. b* 축은 색의 청색 또는 황색 분율을 나타내며, 음의 값은 청색을 나타내고 양의 값은 황색을 나타낸다.
a* 값은 대략 -170 내지 +100의 범위이고 b* 값은 -100 내지 +150의 범위이며, 최대 값은 특정 색상의 중간 명도에서만 달성된다. CIELAB 색 공간은 색 범위에 따라 높이 및 크기가 상이하지만, 중간 명도의 영역에서 가장 큰 규모를 가진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66.02/41.22/52.36의 L*a*b*를 갖는 파스텔 오렌지, RAL 2003에 가능한 한 근접한, 또는 심지어 정확하게 상응하는 색수를 갖는 중합체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 가능한 고-전압 구성요소가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RAL 2003이 결과로서 이상적으로 달성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에 사용되는 구성요소의 양을 선택할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구성요소 A) 및 B)에 더하여, 또한 C) 적어도 1종의 충전제 및/또는 강화제를, 각 경우에 구성요소 A) 100 질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 질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질량부의 양으로 포함하며, 단 중합체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고-전압 구성요소 또는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는,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또는 RAL2011, 보다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8 또는 RAL2009, 가장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 2003에 상응하는 것인, 중합체 조성물,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구성요소 A), B) 및 C)에 더하여, 또는 C) 대신에, 또한 D) 적어도 1종의 난연제를, 각 경우에 구성요소 A) 100 질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 질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질량부의 양으로 포함하며, 단 A), B), C) 및 D)를 기초로 하거나 또는 A), B) 및 D)를 기초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고-전압 구성요소 또는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는,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또는 RAL2011, 보다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8 또는 RAL2009, 가장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 2003에 상응하는 것인, 중합체 조성물,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구성요소 A), B), C), D)에 더하여, 또는 C) 및/또는 D) 대신에, 또한 E) 구성요소 B), C) 및 D) 이외의 적어도 1종의 추가의 첨가제를, 각 경우에 구성요소 A) 100 질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8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0 질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질량부의 양으로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E)는 바람직하게는 단 A), B), C), D) 및 E)를 기초로 하거나 또는 A), B), E)를 기초로 하거나 또는 A), B), C) 및 E)를 기초로 하거나 또는 A), B), D) 및 E)를 기초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고-전압 구성요소 또는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가,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또는 RAL2011, 보다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8 또는 RAL2009, 가장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 2003에 상응하는 것일 때 사용된다.
구성요소 A)로서의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구성요소 A)로서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C2-C1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알코올 부분 내에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코올 부분과 테레프탈산의 반응 생성물이다. C2-C1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문헌에 광범위하게 기재되어 있다. 이들은 주쇄에 테레프탈산으로부터 유도된 방향족 고리 및 디히드록시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지방족 부분을 함유한다. 테레프탈산의 방향족 고리는 또한 치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치환기는 할로겐 또는 C1-C4-알킬 기이다. 바람직한 할로겐은 염소 또는 브로민이다. 바람직한 C1-C4-알킬 기는 메틸-, 에틸-, n-프로필- 또는 n-, i- 또는 t-부틸 기이다.
구성요소 A)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C2-C1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그들의 에스테르 또는 다른 에스테르-형성 유도체와 지방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수득 가능하다.
구성요소 A)로서 사용하기 위한 C2-C1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경우에, 이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테레프탈산의 일부는, 30 mol% 이하로,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소프탈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테레프탈산의 70 mol%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mol% 이하가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예컨대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도데칸디오산 및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지방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중에서,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디올, 특히 에탄-1,2-디올, 프로판-1,3-디올, 부탄-1,4-디올, 헥산-1,6-디올, 헥산-1,4-디올, 시클로헥산-1,4-디올, 시클로헥산-1,4-디메탄올 및 네오펜틸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칸디올로부터 유도된다. 이들 중,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추가의 단량체 단위로서 1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75 중량% 이하의 헥산-1,6-디올 및/또는 2-메틸펜탄-1,5-디올을 함유하는 PBT 및/또는 PET가 바람직하다.
구성요소 A)로서 사용하기 위한 C2-C1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가 25 ℃에서 1:1 중량 페놀/o-디클로로벤젠 혼합물 중 0.5 중량% 용액에서 측정시, ISO 1628에 따라 측정된 50 내지 220 범위,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60 범위의 점도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성요소 A)로서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C2-C1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100 meq/kg 폴리에스테르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eq/kg 폴리에스테르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meq/kg 폴리에스테르 이하의 카르복실 말단 기 함량을 갖는다. 이러한 C2-C1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예를 들어, DE-A 44 01 055에 따른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카르복실 말단 기 함량은 전형적으로 적정 공정, 특히 전위차법에 의해 측정된다.
구성요소 A)로서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한 C2-C10-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Ti 촉매로 제조된다. 중합 후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 250 ppm의, 특히 바람직하게는 < 200 ppm의,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 150 ppm의 잔류 Ti 함량을 갖는다.
구성요소 A)로서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CAS 번호 24968-12-5]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의 반응성 유도체 및 부탄디올로부터 공지된 방법(Kunststoff-Handbuch [Plastics Handbook], vol. VⅢ, p. 695-743, Karl Hanser Verlag, Munich 1973)에 의해 제조된다.
구성요소 A)로서 사용하기 위한 PBT는 바람직하게는 디카르복실산을 기초로 하여 적어도 80 mol%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mol%의 테레프탈산 라디칼을 함유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 A)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PBT는 테레프탈산 라디칼에 더하여 20 mol% 이하의, 8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다른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라디칼 또는 4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라디칼, 특히 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아젤라산, 시클로헥산디아세트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2,5-푸란디카르복실산의 라디칼을 함유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 A)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PBT는 부탄디올에 더하여 20 mol% 이하의 3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다른 지방족 디올 또는 20 mol% 이하의 6 내지 21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지방족 디올, 바람직하게는 프로판-1,3-디올, 2-에틸프로판-1,3-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펜탄-1,5-디올, 헥산-1,6-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3-메틸펜탄-2,4-디올, 2-메틸펜탄-2,4-디올, 2,2,4-트리메틸펜탄-1,3-디올, 2,2,4-트리메틸펜탄-1,5-디올, 2-에틸헥산-1,3-디올, 2,2-디에틸프로판-1,3-디올, 헥산-2,5-디올, 1,4-디(β-히드록시에톡시)벤젠, 2,2-비스(4-히드록시시클로헥실)프로판, 2,4-디히드록시-1,1,3,3-테트라메틸시클로부탄, 2,2-비스(3-β-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및 2,2-비스(4-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의 라디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 A)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PBT는, 각 경우에 우베로데(Ubbelohde) 점도계에서 25 ℃에서 페놀/o-디클로로벤젠(1:1 중량부) 중에서 측정된, 40 내지 170 cm3/g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 cm3/g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135 cm3/g 범위의, EN-ISO 1628/5에 따른 고유 점도를 갖는다. 슈타우딩거 지수(Staudinger Index) 또는 극한 점도로서 또한 지칭되는 고유 점도(intrinsic viscosity, iV)는 마크-후윙크(Mark-Houwink) 방적식에 따라 평균 분자 질량에 비례하고, 소실 중합체 농도의 경우에 대한 점도수(viscosity number, VN)의 외삽이다. 이는 일련의 측정으로부터 또는 적합한 근사 방법(예를 들어, 빌마이어(Billmeyer))의 사용을 통해 추정될 수 있다. VN[ml/g]은 모세관 점도계, 예를 들어 우베로데 점도계에서의 용액 점도의 측정으로부터 수득된다. 용액 점도는 플라스틱의 평균 분자량의 척도이다. 측정은 사용된 농도 및 다양한 용매(m-크레졸, 테트라클로로에탄, 페놀, 1,2-디클로로벤젠, 등)를 사용하여 용해된 중합체에 대해 수행된다. 점도수 VN은 플라스틱의 가공 및 성능 특징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중합체에 대한 열 부하, 노화 과정 또는 화학물질, 풍화 및 빛에 대한 노출은 비교 측정의 방법에 의해 조사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또한 하기를 참조한다: http://de.wikipedia.org/wiki/Viskosimetrie 및 "http://de.wikipedia.org/wiki/Mark-Houwink-Gleichung".
구성요소 A)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PBT는 또한 다른 중합체와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PBT 블렌드의 제조는 배합에 의해 수행된다. 이러한 배합 작업 동안, 통상의 첨가제, 특히 금형 이형제 또는 엘라스토머가 블렌드의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용융물에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PBT는 쾰른 소재의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로부터 명칭 포칸®(Pocan®) B 1300 하에 입수 가능하다
구성요소 A)로서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본 발명에 따르면, 구성요소 A)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또한 폴리카르보네이트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I)의 비스페놀을 기초로 하는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이고,
HO-Z-OH (I)
여기서 Z는 6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1개 이상의 방향족 기를 함유하는 2가 유기 라디칼을 나타낸다.
구성요소 A)로서, 하기 화학식 (Ia)의 비스페놀을 기초로 하는 적어도 1종의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Figure pct00002
(Ia)
여기서
A는 단일 결합 또는 추가의 방향족, 경우에 따라 헤테로원자-함유의, 고리가 축합될 수 있는 C1-C5-알킬렌, C2-C5-알킬리덴, C5-C6-시클로알킬리덴, -O-, -SO-, -CO-, -S-, -SO2-, C6-C12-아릴렌의 군으로부터의 라디칼을 나타내고,
또는 A는 하기 화학식 (Ⅱ) 또는 (Ⅲ)의 라디칼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03
(Ⅱ)
Figure pct00004
(Ⅲ)
여기서
R7 및 R8은 각각의 Y에 대해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 바람직하게는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을 나타내고,
B는 각 경우에 C1-C12-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 및/또는 브로민을 나타내고,
x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0, 1 또는 2를 나타내고,
p는 1 또는 0을 나타내고,
Y는 탄소를 나타내고, 및
m은 4 내지 7, 바람직하게는 4 또는 5의 정수를 나타내며, 단 적어도 1개의 Y(탄소 원자)상의 R7 및 R8은 동시에 알킬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m이 4를 나타내는 경우에, Y는 -CR7R8-CR7R8-CR7R8-CR7R8-을 나타내고;
m이 5를 나타내는 경우에, Y는 -CR7R8-CR7R8-CR7R8-CR7R8-CR7R8-을 나타내고;
m이 6을 나타내는 경우에, Y는 -CR7R8-CR7R8-CR7R8-CR7R8-CR7R8-CR7R8-을 나타내고; 및
m이 7을 나타내는 경우에, Y는 -CR7R8-CR7R8-CR7R8-CR7R8-CR7R8-CR7R8-CR7R8-을 나타낸다.
화학식 (Ⅱ)를 함유하는 바람직한 비스페놀은 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히드록시페닐)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시클로알칸, 인단비스페놀, 비스(히드록시페닐) 황화물, 비스(히드록시페닐) 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 케톤,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폰,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폭시드 및 α,α'-비스(히드록시페닐)디이소프로필벤젠의 군으로부터의 비스페놀이다.
언급된 비스페놀의 방향족 고리에서의 알킬화 또는 할로겐화에 의해 바람직하게 수득 가능한 언급된 비스페놀의 유도체는 또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화학식 (Ⅱ)를 함유하는 비스페놀이다.
화학식 (Ⅱ)를 함유하는 특히 바람직한 비스페놀은 히드로퀴논, 레조르시놀, 4,4'-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4-히드록시페닐) 황화물, 비스(4-히드록시페닐) 술폰,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 술폰,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p/m-디이소프로필벤젠, 1,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3-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디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4-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즉, 비스페놀 A),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2,4-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α,α'-비스(4-히드록시페닐)-o-디이소프로필벤젠, α,α'-비스(4-히드록시페닐)-m-디이소프로필벤젠(즉, 비스페놀 M), α,α'-비스(4-히드록시페닐)-p-디이소프로필벤젠 및 인단비스페놀이다.
화학식 (Ⅱ)의 기재된 비스페놀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공정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상응하는 페놀 및 케톤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구성요소 A)로서 사용하기 위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또한 공지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공정은 예를 들어 위상 간섭 공정에 의한 비스페놀과 포스겐으로부터의, 또는 균일 상 공정, 소위 피리딘 공정에 의한 비스페놀과 포스겐으로부터의, 또는 용융 에스테르교환 공정에 의한 비스페놀과 카르보네이트 에스테르로부터의 제조이다. 언급된 비스페놀 및 그의 제조를 위한 공정은 예를 들어 논문[H. 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Polymer Reviews, Volume 9, p. 77-98,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London, Sydney, 1964] 및 US-A 3 028 635, US-A 3 062 781, US-A 2 999 835, US-A 3 148 172, US-A 2 991 273, US-A 3 271 367, US-A 4 982 014, US-A 2 999 846, DE-A 1 570 703, DE-A 2 063 050, DE-A 2 036 052, DE-A 2 211 956, DE-A 3 832 396 FR-A 1 561 518 및 또한 출원 번호 JP-A 62039 1986, JP-A 62040 1986 JP-A 105550 1986을 갖는 일본 공개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및 그의 제조는, 예를 들어, US-A 4 982 014에 기재되어 있다.
인단비스페놀 및 그의 제조는, 예를 들어, US-A 3 288 864, JP-A 60 035 150 US-A 4 334 106에 기재되어 있다. 인단비스페놀은, 예를 들어, 유기 용매 중 프리델-크래프트(Friedel-Craft) 촉매의 존재 중에서 이소프로페닐페놀 또는 그의 유도체로부터 또는 이소프로페닐페놀 또는 그의 유도체의 이량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용융 에스테르교환 공정은 문헌[H. 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Polymer Reviews, Volume 9, pages 44 to 51,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London, Sydney, 1964] 및 DE-A 1 031 512에 기재되어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서, 낮은 수준의 불순물을 갖는 보조제 및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용융 에스테르교환 공정에 의한 제조의 경우, 사용되는 비스페놀 및 사용되는 탄산 유도체는 이상적으로는 알칼리 금속 이온 및 알칼리 토금속 이온이 매우 실질적으로는 없어야 한다. 이러한 정도의 순도를 갖는 원료는 예를 들어 탄산 유도체, 특히 카르보네이트 에스테르, 및 비스페놀을 재결정화, 세척 혹은 증류함으로써 수득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하기 위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초원심분리([K. Schilling, Analytische Ultrazentrifugation, Nanolytics GmbH, Dallgow, pages 1-15] 참조) 또는 DIN EN ISO 16014-5:2012-10에 따른 산란광 측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10,000 내지 200,000 g/mol 범위의 중량-평균 몰 질량 Mw를 가진다. 사용하기 위한 폴리카르보네이트가 12,000 내지 80,000 g/mol 범위의 중량-평균 몰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35,000 g/mol 범위의 중량-평균 몰 질량을 갖는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요소 A)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폴리카르보네이트의 평균 몰 질량은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양의 쇄 종결제를 통해 공지된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쇄 종결제는 단독으로 또는 상이한 쇄 종결제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쇄 종결제는 모노페놀 및 모노카르복실산 둘 다이다. 바람직한 모노페놀은 페놀, p-클로로페놀, p-tert-부틸페놀, 쿠밀페놀 및 2,4,6-트리브로모페놀, 및 또한 장쇄 알킬페놀, 특히 알킬 치환기에 총 8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모노알킬페놀/디알킬페놀 또는 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특히 3,5-디-tert-부틸페놀, p-tert-옥틸페놀, p-도데실페놀, 2-(3,5-디메틸헵틸)페놀 또는 4-(3,5-디메틸헵틸)페놀이다. 바람직한 모노카르복실산은 벤조산, 알킬벤조산 또는 할로벤조산이다.
특히 바람직한 쇄 종결제는 페놀, p-tert-부틸페놀, 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또는 쿠밀페놀이다.
사용되는 쇄 종결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에 사용되는 비스페놀의 총 합계를 기초로 하여 0.25 내지 10 mol% 범위이다.
구성요소 A)로서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하기 위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공지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삼관능성 또는 삼관능성 초과인 분지화제의 혼입에 의해 분지화 될 수 있다. 바람직한 분지화제는 3개 또는 3개 초과의 페놀성 기 또는 3개 또는 3개 초과의 카르복실산 기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분지화제는 플로로글루시놀,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트-2-엔,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탄, 1,3,5-트리(4-히드록시페닐)벤젠, 1,1,1-트리스-(4-히드록시페닐)에탄, 트리(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4-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놀, 2,6-비스(2-히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놀, 2-(4-히드록시페닐)-2-(2,4-디히드록시페닐)프로판, 헥사(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닐) 테레프탈레이트, 테트라(4-히드록시페닐)메탄, 테트라(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녹시)메탄 및 1,4-비스(4',4"-디히드록시트리페닐)메틸벤젠, 2,4-디히드록시벤조산, 트리메스산, 염화시아누르산, 3,3-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 트리메실 트리클로라이드 또는 α,α',α"-트리스-(4-히드록시페놀)-1,3,5-트리이소프로필벤젠이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분지화제는 1,1,1-트리스(4-히드록시페닐)에탄 또는 3,3-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이다.
사용되는 분지화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비스페놀의 몰을 기초로 하여 0.05 mol% 내지 2 mol% 범위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가 계면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 분지화제는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및 쇄 종결제와 함께 초기에 충전된 수성 알칼리 상에 포함되거나 또는 유기 용매 중의 용액으로서 탄산 유도체와 함께 첨가된다. 에스테르교환 공정이 사용되는 경우, 분지화제는 바람직하게는 디히드록시방향족 또는 비스페놀과 함께 계량 첨가된다.
용융 에스테르교환 공정에 의해 구성요소 A)로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한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촉매는, 예를 들어, US-A 3 442 864, JP-A-14742/72, US-A 5 399 659 또는 DE-A 19 539 290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암모늄 염 및 포스포늄 염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코폴리카르보네이트가 또한 구성요소 A)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특히, 초원심분리 또는 산란광 측정에 의한 사전 보정 후에 DIN EN ISO 16014-5:2012-10의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200,000 g/mol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80,000 g/mol 범위의 중량-평균 몰 질량 Mw를 갖는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폴리카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이다.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폴리카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중 방향족 카르보네이트 구조 단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75 중량% 내지 97.5 중량%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중량% 내지 97 중량% 범위이다.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폴리카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중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구조 단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내지 2.5 중량%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3 중량% 범위이다.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폴리카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α,ω-비스히드록시아릴옥시 말단 기를 함유하고 5 내지 100 범위의 평균 중합도 Pn을 갖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범위의 평균 중합도 Pn을 갖는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으로부터 진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성요소 A)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하기 위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비스페놀 A)를 기초로 하는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을 기초로 하는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및 2종의 단량체 비스페놀 A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비스페놀 TMC)을 기초로 하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이다. 구성요소 A)로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예를 들어, 레버쿠젠 소재의 코베스트로 아게(Covestro AG)로부터의 마크롤론®(Makrolon®) 브랜드 하에서 입수 가능하다.
한 실시양태에서, 구성요소 A)로 사용하기 위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이에 대해 용융물 중에 첨가되거나 또는 표면에 적용되는 통상의 첨가제, 특히 이형제를 가질 수 있다. 구성요소 A)로 사용하기 위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다른 구성요소와의 후속 배합 전에 이형제를 이미 함유하고, 여기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배합을 플라스틱 가공과 동의어인, 플라스틱 산업 용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며, 이는 특성의 프로파일의 제어된 최적화를 위한 첨가 물질(충전제, 첨가제 등)의 부가혼합에 의한 플라스틱 가공의 공정을 기재한다. 배합은 바람직하게는 압출기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동방향-회전 이축-스크류 압출기, 역방향-회전 이축-스크류 압출기, 유성 스크류 압출기 또는 공-배합기에서 수행되고, 운반, 용융, 분산, 혼합, 탈기 및 압력 축적의 공정 작업을 포함한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구성요소 A)로서 마크로블렌드®(Makroblend®) 브랜드 하에서 코베스트로 아게에 의해 마찬가지로 시판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블렌드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PC-PET 블렌드, PC-PBT 블렌드 또는 PC-PCT-G 블렌드이며, 여기서 PC는 폴리카르보네이트, PET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PCT는 폴리시클로헥실렌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나타낸다.
구성요소 B)
본 발명에 따르면,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이 구성요소 B)로서 사용된다. 세륨을 함유하는 바람직한 황화물은 C.I. 피그먼트 오렌지 75(C.I. Pigment Orange 75)로도 또한 공지되는 세륨(Ⅲ) 황화물(Ce2S3)[CAS 번호 12014-93-6], 또는 C.I. 피그먼트 오렌지 78(C.I. Pigment Orange 78)로도 또한 공지되는 세륨(Ⅲ) 황화물/란타넘(Ⅲ) 황화물(Ce2S3/La2S3)[CAS 번호 12014-93-6, CAS 번호 12031-49-1]이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세륨을 함유하는 황화물은 혼합된 황화물인 세륨(Ⅲ) 황화물/란타넘(Ⅲ) 황화물(C.I. 피그먼트 오렌지 78)이다. C.I. 분류와 관련하여 https://de.wikipedia.org/wiki/Colour_Index 를 참조한다.
피그먼트 오렌지 75 및 피그먼트 오렌지 78은, 예를 들어, 독일 카를스루 소재의 케미코스(Chemikos), 올리버 슈미트 박사(Dr. Oliver Schmitt)로부터[ https://www.chemikos.de/cersulfid-orange-pigmente ] 또는 중국 '내몽골' 소재의 바오토우 홍보 테 테크놀로지 캄파니 리미티드(Baotou Hongbo Te Technology co. Ltd)로부터 상표명 네올로르® 오렌지 S(Neolor® Orange S) 또는 네올로르® 라이트 오렌지 S(Neolor® Light Orange S)하에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은 단독으로 또는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추가의 황화물과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본 발명은 또한 세륨과 다른 란타넘 계열 원소, 바람직하게는 란타넘의 혼합 산화물 또는 혼합 황화물을 포괄하며, 단 중합체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고-전압 구성요소 또는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는,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또는 RAL2011, 보다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8 또는 RAL2009, 가장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 2003에 상응한다.
구성요소 B)로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은 분말로서 또는 페이스트 또는 마스터배치, 압축물 또는 농축물의 형태로 구성요소 A)에 직접 사용될 수 있고, 마스터배치가 바람직하며, 특정 구성요소 A)에 상응하는 중합체 매트릭스 중의 마스터배치가 특히 바람직하다.
구성요소 C)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1종의 충전제 또는 강화제가 구성요소 C)로서 사용된다. 여기서 2종 이상의 상이한 충전제 또는 강화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탄소 섬유[CAS 번호 7440-44-0], 유리 비드 또는 솔리드 또는 중공 유리 비드, 유리 섬유, 분쇄 유리, 무정형 석영 유리, 1 %의 알칼리 금속 함량을 갖는 알루미늄 보로실리케이트 유리(E 유리)[CAS 번호 65997-17-3], 무정형 실리카[CAS번호 7631-86-9], 석영 가루[CAS 번호 14808-60-7], 규산칼슘[CAS 번호 1344-95-2], 메타규산칼슘[CAS 번호 10101-39-0], 탄산마그네슘[CAS 번호 546-93-0], 카올린[CAS 번호 1332-58-7], 소성 카올린[CAS 번호 92704-41-1], 백악[CAS 번호 1317-65-3], 키아나이트[CAS 번호 1302-76-7], 분말 또는 분쇄 석영[CAS 번호 14808-60-7], 운모[CAS 번호 1318-94-1], 금운모[CAS 번호 12251-00-2], 황산바륨[CAS 번호 7727-43-7], 장석[CAS 번호 68476-25-5], 규회석[CAS 번호 13983-17-0], 몬모릴로나이트[CAS 번호 67479-91-8], 화학식 AlO(OH)의 유사보에마이트, 탄산마그네슘[CAS 번호 12125-28-9] 및 활석[CAS 번호 14807-96-6]의 군으로부터 적어도 1종의 충전제 또는 강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상 충전제 또는 강화제 중에서, 유리 섬유 및 규회석이 특히 바람직하고, 유리 섬유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충전제 또는 강화제로서 탄소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유리 섬유와 관련하여,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http://de.wikipedia.org/wiki/Faser-Kunststoff-Verbund"에 따라, 0.1 내지 1 mm 범위의 길이를 갖는, 단섬유라고도 또한 불리는, 세단된 섬유, 1 내지 50 mm 범위의 길이를 갖는 장섬유, 및 L > 50 mm의 길이를 갖는 연속 섬유를 구별한다. 단섬유는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방법에 사용되며 압출기로 직접 가공될 수 있다. 장섬유는 마찬가지로 여전히 압출기에서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섬유는 섬유 분무에 널리 사용된다. 장섬유는 충전재로서 열경화성 물질에 흔히 첨가된다. 연속 섬유는 섬유-강화 플라스틱에서 로빙 또는 직물의 형태로 사용된다. 연속 섬유를 포함하는 제품은 가장 높은 강성도 및 강도 값을 달성한다. 분쇄 후의 길이가 전형적으로 70 내지 200 μm 범위인 분쇄 유리 섬유가 또한 이용 가능하다.
구성요소 C)로서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유리 섬유는 1 내지 50 mm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mm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 mm 범위의, ISO 13320의 레이저 회절측정법에 의해 측정되는 평균 시작 길이를 갖는 세단된 긴 유리 섬유이다. 표준 ISO 13320에 따른 레이저 회절 입자 크기 측정/레이저 회절측정법에 관하여 하기를 참고한다:
https://de.wikipedia.org/wiki/Laserbeugungs-Partikelgr%C3%B6%C3%9Fenanalyse
구성요소 C)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유리 섬유는 7 내지 18 μm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5 μm 범위의, ISO 13320의 레이저 회절측정법에 의해 측정되는 평균 섬유 직경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구성요소 C)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유리 섬유는 적합한 사이징 시스템 또는 접착 촉진제/접착 촉진제 시스템으로 변형되어진다. 실란계의 사이징 시스템 또는 접착 촉진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성요소 E)의 처리, 특히 유리 섬유의 처리를 위한 특히 바람직한 실란계의 접착 촉진제는, 하기 화학식 (I)의 실란 화합물로
(X-(CH2)q)k-Si-(O-CrH2r+1)4-k (I)
여기서
X는 NH2-, 카르복실-, HO- 또는
Figure pct00005
이고,
화학식 (I)의 q는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화학식 (I)의 r은 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의 정수를 나타내고, 및
화학식 (I)의 k는 1 내지 3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1을 나타낸다.
특히 바람직한 접착 촉진제는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아미노부틸트리메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아미노부틸트리에톡시실란, 및 X 치환기로서 글리시딜 기 또는 카르복실 기,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 기를 함유하는 상응하는 실란의 군으로부터의 실란 화합물이다.
구성요소 C)로서 사용하기 위한 충전제, 바람직하게는 유리 섬유의 변형을 위해, 접착 촉진제,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의 실란 화합물은 각 경우에 구성요소 C)의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2 중량% 범위의 양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중량% 내지 1.5 중량% 범위의 양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1 중량% 범위의 양으로 사용된다.
구성요소 C)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유리 섬유는, 조성물을 제공하거나 또는 제품을 제공하는 가공의 결과로서, 원래 사용되는 유리 섬유보다 조성물 또는 제품에서 더 짧을 수 있다. 따라서, 고-해상도 x선 컴퓨터 단층촬영법에 의해 측정되는 가공 후 유리 섬유 길이의 산술 평균은 흔히 단지 150 μm 내지 300 μm 범위이다.
"http://www.r-g.de/wiki/Glasfasern"에 따르면, 유리 섬유는 용융-방사 공정(다이 드로잉, 로드 드로잉 및 다이 블로잉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다이 드로잉 공정에서, 유리의 고온 덩어리는 중력 하에서 백금 방사구 플레이트의 수백 개의 다이 구멍을 통해 흐른다. 필라멘트는 3-4 km/분의 속도로 무제한의 길이로 연신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상이한 유형의 유리 섬유를 구별하며, 이들 중 일부는 예로서 본원에 열거된다:
● 최적의 비용-이익 비율을 갖는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인, E 유리(R&G로부터의 E 유리)
● 감소된 중량을 위한 중공 유리 섬유인, H 유리(R&G 중공 유리 섬유 직물 160 g/m2 및 216 g/m2)
● 상승된 기계적 요건을 위한, R, S 유리(R&G로부터의 S2 유리)
● 상승된 전기적 요건을 위한 보로실리케이트 유리인, D 유리
● 증가된 내화학성을 갖는, C 유리
● 높은 열 안정성을 갖는, 석영 유리
추가의 예는 “http://de.wikipedia.org/wiki/Glasfaser"에서 찾아볼 수 있다. E 유리 섬유는 플라스틱의 강화에 있어 가장 큰 중요성을 갖게 되었다. E는, 그것이 특히 전기 산업에서 원래 사용되었기 때문에, 전기 유리를 나타낸다.
E 유리의 제조를 위해, 유리 용융물은 석회석, 카올린 및 붕산을 첨가하여 순수한 석영으로부터 제조된다. 이산화규소 뿐만 아니라, 이들은 상이한 양의 다양한 금속 산화물을 함유한다. 조성물은 제품의 특성을 결정한다. E 유리, H 유리, R, S 유리, D 유리, C 유리 및 석영 유리의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유리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고, E 유리로 제조된 유리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E 유리로 제조된 유리 섬유가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강화 물질이다. 강도 특성은 E 유리 섬유를 함유하는 라미네이트의 비중량이 금속보다 낮은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의 특성에 상응한다. E 유리 섬유는 불연성이고, 약 400 ℃까지 내열성이며 대부분의 화학물질 및 풍화 효과에 대해 안정하다.
구성요소 C)로서 추가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은 또한 침상 광물 충전제이다. 침상 광물 충전제는 본 발명에 따라 매우 현저한 침상 특성을 갖는 광물 충전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구성요소 C)로서 사용되기에 바람직한 침상 광물 충전제는 규회석이다. 침상 광물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35:1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19:1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4:1 내지 12:1 범위의, 고-해상도 x선 컴퓨터 단층촬영법에 의해 측정되는 길이-직경 비를 갖는다. 고-해상도 x선 컴퓨터 단층촬영법에 의한 측정을 위한 침상 광물 충전제의 평균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20 μ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μm 미만,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10 μm 미만이다.
대안적으로, 구성요소 C)로서, 5 내지 250 μm 범위의 d9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 μm 범위의 d9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0 μm 범위의 d90, 가장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5 μm 범위의 d90을 갖는, ISO 13320의 레이저 회절측정법에 의해 측정되는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비-섬유상 및 비-발포 분쇄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90 값, 그의 측정 및 그의 유의성의 면에서, 문헌[Chemie Ingenieur Technik(72) pp. 273-276, 3/2000, Wiley-VCH Verlags GmbH, Weinheim, 2000]이 참조되며, 이에 따르면 d90 값은 입자의 양의 90 %가 그 크기 미만에 있는 입자 크기이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비-섬유상 및 비-발포 분쇄 유리는 미립자, 비-원통형 형상이고, 5 미만, 바람직하게는 3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미만의, ISO 13320의 레이저 회절측정법에 의해 측정되는 길이 대 두께 비를 갖는다. 0의 값은 물론 불가능하다.
한 실시양태에서 구성요소 C)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비-발포 및 비-섬유상 분쇄 유리는, 5 초과의, ISO 13320의 레이저 회절측정법에 의해 측정된 길이 대 직경 비(L/D 비)를 갖는 원통형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갖는 섬유상 유리의 전형적인 유리 기하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추가로 특징으로 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구성요소 C)로서 본 발명에 따라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비-발포 및 비-섬유상 분쇄 유리는 바람직하게는, 밀, 바람직하게는 볼 밀, 보다 바람직하게는 후속 시프팅 또는 체질로 유리를 분쇄함으로써 수득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구성요소 C)로서 사용하기 위한 비-섬유상 및 비-발포 분쇄 유리의 분쇄를 위한 바람직한 시작 물질은 또한, 특히 유리 제품의 제조에서, 원하지 않는 부산물로서 및/또는 규격-외 1차 제품(소위 규격외 물질)으로서 생성된 유리 폐기물을 포함한다. 이들은, 특히 창문 또는 병 유리의 제조에서, 및 유리-함유 충전제 및 강화제의 제조에서, 특히 소위 용융 케이크의 형태로 수득될 수 있는 폐유리, 재활용 유리 및 파손 유리를 특히 포함한다. 유리는 착색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 C)로서 사용하기 위한 시작 물질로서 비-착색된 유리가 바람직하다.
구성요소 D)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1종의 난연제가 구성요소 D)로서 사용된다. 바람직한 난연제는 구성요소 C) 이외의 광물 난연제, 질소-함유 난연제 또는 인-함유 난연제이다.
광물 난연제 중에서, 수산화마그네슘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산화마그네슘[CAS 번호 1309-42-8]은 그 기원 및 제조 방식의 결과로서 불순할 수 있다. 전형적인 불순물은, 예를 들어, 수산화마그네슘 결정에서 산화물의 형태로 삽입될 수 있는, 예를 들어, 규소-, 철-, 칼슘- 및/또는 알루미늄-함유 종을 포함한다. 광물 난연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수산화마그네슘은 사이징되지 않거나 또는 사이징될 수 있다. 사이징제는 플라스틱(매트릭스) 및 사이징제가 제공되는 구성요소 사이의 기계적 결합의 품질에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광물 난연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수산화마그네슘은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레이트 또는 아미노실록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실록산을 기초로 하는 사이징제와 함께 제공된다. 광물 난연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하기 위한 수산화마그네슘은 0.5 μm 내지 6 μm 범위의, ISO 13320의 레이저 회절측정법에 의해 측정된 중앙치 입자 크기 d50을 가지고, 0.7 μm 내지 3.8 μm 범위의 d50이 바람직하고, 1.0 μm 내지 2.6 μm 범위의 d50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물 난연제로서 적합한 수산화마그네슘 유형은 예를 들어 독일 베르그하임 소재의 마르틴스베르크 게엠베하(Martinswerk GmbH)로부터의 마그니핀®(Magnifin®) H5IV 또는 멕시코 멕시코시티 소재의 페놀레스(Penoles)로부터의 히드로마그®(Hidromag®) Q2015 TC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질소-함유 난연제는 CAS 번호 1078142-02-5의 트리클로로트리아진, 피페라진 및 모르폴린의 반응 생성물, 특히 스위스 비엘-벤켄 소재의 MCA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MCA Technologies GmbH)로부터의 MCA PPM 트리아진 HF(MCA PPM Triazine HF), 및 또한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및 멜라민의 축합 생성물, 특히 멜렘, 멜람, 멜론 또는 이러한 유형의 보다 고도로 축합된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무기 질소-함유 화합물은 암모늄염이다.
또한, 지방족 및 방향족 술폰산의 염 및 광물 난연 첨가제, 특히 수산화알루미늄 또는 Ca-Mg 카르보네이트 수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DE-A 4 236 122).
산소-, 질소- 또는 황-함유 금속 화합물의 군으로부터의 내연성 증강제가 또한 구성요소 D)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들 중에서 아연-무함유 화합물, 특히 산화몰리브데넘, 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산화칼슘, 질화티타늄, 질화마그네슘, 인산칼슘, 붕산칼슘, 붕산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대안적 실시양태에서, 필요한 경우에 구성요소 D)로서 아연-함유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산화아연, 붕산아연, 주석산아연, 히드록시주석산아연, 황화아연 및 질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인-함유 난연제는 유기 금속 포스피네이트, 포스폰산의 알루미늄 염, 적린, 무기 금속 차아인산염, 금속 포스포네이트, 9,10-디히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 10-옥시드의 유도체(DOPO 유도체), 올리고머를 포함한 레조르시놀 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RDP), 올리고머를 포함한 비스페놀 A 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BDP),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멜라민 폴리(알루미늄 포스페이트), 멜라민 폴리(아연 포스페이트) 또는 페녹시포스파젠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유기 금속 포스피네이트는 알루미늄 트리스(디에틸포스피네이트)이다. 바람직한 무기 금속 차아인산염은 차아인산 알루미늄이다.
구성요소 D)로서 사용하기 위한 추가의 난연제는 차르 형성제, 특히 바람직하게는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술폰 또는 폴리에테르 케톤, 및 또한 점적방지제, 특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중합체이다.
구성요소 D)로서 사용되는 난연제는 순수한 형태로, 또는 마스터배치 또는 압축물을 통해 구성요소 A)에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 실시양태에서 - 필요한 경우 및 난연제의 할로겐으로부터의 자유 손실의 단점을 고려한다면 - 할로겐-함유 난연제가 또한 난연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할로겐-함유 난연제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유기 할로겐 화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독으로 또는 증강제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에틸렌-1,2-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에폭시 올리고머,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올리고카르보네이트, 테트라클로로비스페놀 A 올리고카르보네이트, 폴리펜타브로모벤질 아크릴레이트, 브로민화 폴리스티렌 또는 브로민화 폴리페닐렌 에테르이며, 할로겐화 난연제 중 브로민화 폴리스티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브로민화 폴리스티렌은 각 경우에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10-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며, 여기서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1종은 모든 중량 백분율의 총 합계가 항상 100이 되도록 하는 규모로 감소된다.
추가의 대안적 실시양태에서, 사용되는 내연성 증강제는 대안적으로 - 필요한 경우 및 H351 분류와 관련하여 서두에 기재된 단점 및 일부 상황 하에서 불리한 트래킹 저항에 대한 효과를 고려한다면 - 또한 안티모니 트리옥시드 및 안티모니 펜트옥시드일 수 있다.
브로민화 폴리스티렌은 매우 다양한 제품 품질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그의 예는, 예를 들어 독일 쾰른 소재의 란세스로부터의 파이어마스터®(Firemaster®) PBS64 및 미국 바톤 루지 소재의 알베마를(Albemarle)로부터의 세이텍스®(Saytex®) HP-3010이다.
구성요소 D)로서 사용하기 위한 난연제 중에서, 알루미늄 트리스(디에틸포스피네이트)[CAS 번호 225789-38-8], 및 알루미늄 트리스(디에틸포스피네이트) 및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의 조합 또는 알루미늄 트리스(디에틸포스피네이트) 및 포스폰산의 적어도 1종의 알루미늄 염의 조합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며, 후자의 조합이 특별히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트리스(디에틸포스피네이트) 및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의, 또는 알루미늄 트리스(디에틸포스피네이트) 및 포스폰산의 적어도 1종의 알루미늄 염의 조합의 경우에, 알루미늄 트리스(디에틸포스피네이트)의 비율은 각 경우에 알루미늄 트리스(디에틸포스피네이트) 및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의 조합 또는 알루미늄 트리스(디에틸포스피네이트) 및 포스폰산의 적어도 1종의 알루미늄 염의 조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 중량부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중량부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 중량부 범위이다.
구성요소 D)로서 사용되는 알루미늄 트리스(디에틸포스피네이트)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스위스 무텐츠 소재의 클라리언트 인터내셔널 리미티드(Clariant International Ltd.)로부터의 엑솔리트®(Exolit®) OP1230 또는 엑솔리트® OP1240으로서 공지되어 있다.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는 매우 다양항 제품 품질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이의 예는, 예를 들어 독일 루드비히스하펜 소재의 바스프로부터의 멜라푸르®(Melapur®) 200/70 및 또한 독일 부덴하임 소재의 부덴하임(Budenheim)으로부터의 부디트®(Budit®) 3141이다.
포스폰산의 바람직한 알루미늄 염은
1차 알루미늄 포스포네이트[Al(H2PO3)3],
염기성 알루미늄 포스포네이트[Al((OH)H2PO3)2H2O],
x는 2.27 내지 1 범위이고, n은 0 내지 4 범위인, Al2(HPO3)x Al2OnH2O,
q는 0 내지 4 범위인, 화학식 (II)의 Al2(HPO3)(H2O)q, 특히 알루미늄 포스포네이트 4수화물[Al2(HPO3)4H2O] 또는 2차 알루미늄 포스포네이트[Al2(HPO3)3],
M은 알칼리 금속 이온(들)을 나타내고, z는 0.01 내지 1.5 범위이고, y는 2.63-3.5 범위이고, v는 0 내지 2 범위이고, w는 0 내지 4 범위인, 화학식 (Ⅲ)의 Al2Mz(HPO3)y(OH)v ·(H2O)w, 및
u는 2 내지 2.99 범위이고 t는 2 내지 0.01 범위이고, s는 0 내지 4 범위인 화학식 (IV)의 Al2(HPO3)u(H2PO3)(H2O)s
의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화학식 (Ⅲ)에서의 z, y 및 v, 및 화학식 (IV)에서의 u 및 t는 단지 상응하는 포스폰산의 알루미늄 염이 전체적으로 전하를 갖지 않도록 하는 수 만을 가정할 수 있다.
화학식 (Ⅲ)에서 바람직한 알칼리 금속 M은 나트륨 및 칼륨이다.
기재된 포스폰산의 알루미늄 염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포스폰산의 알루미늄 염은,
1차 알루미늄 포스포네이트[Al(H2PO3)3],
2차 알루미늄 포스포네이트[Al2(HPO3)3],
염기성 알루미늄 포스포네이트[Al((OH)H2PO3)2H2O],
알루미늄 포스포네이트 4수화물[Al2(HPO3)4H2O], 및
x는 2.27 내지 1 범위이고, n은 0 내지 4 범위인, Al2(HPO3)x Al2On H2O
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2차 알루미늄 포스포네이트 Al2(HPO3)3[CAS 번호 71449-76-8] 및 2차 알루미늄 포스포네이트 4수화물 Al2(HPO3)4H2O[CAS 번호 156024-71-4]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고, 2차 알루미늄 포스포네이트 Al2(HPO3)3이 특별히 바람직하다.
구성요소 D)로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포스폰산의 알루미늄 염의 제조는, 예를 들어, WO 2013/083247 A1에 기재되어 있다. 이는 전형적으로, 알루미늄 공급원,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시드, 질산알루미늄, 염화알루미늄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을 인 공급원, 바람직하게는 포스폰산, 암모늄 포스포네이트, 알칼리 금속 포스포네이트, 및 경우에 따라 템플레이트와, 용매 중에서 20 ℃ 내지 200 ℃로 최대 4일의 기간에 걸쳐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알루미늄 공급원과 인 공급원은 혼합되고, 열수 조건 하에서 또는 환류에서 가열되고, 여과되고, 세척되고, 건조된다. 바람직한 템플레이트는 헥산-1,6-디아민, 구아니딘 카르보네이트 또는 암모니아이다. 바람직한 용매는 물이다.
구성요소 E)
구성요소 B) 내지 D) 이외의 적어도 1종의 추가의 첨가제가 구성요소 E)로서 사용된다. 구성요소 E)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첨가제는 항산화제, 열 안정화제, UV 안정화제, 감마선 안정화제, 물 흡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성요소 또는 가수분해 안정화제, 대전방지제, 유화제, 기핵제, 가소제, 가공 보조제, 내충격 개질제, 윤활제 및/또는 이형제, 물 흡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성요소, 유동성 보조제 또는 엘라스토머 개질제, 쇄-연장 첨가제, 구성요소 B) 이외의 착색제 및, 필요한 경우, 추가의 레이저 흡수제이다. 첨가제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또는 마스터배치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구성요소 E)의 바람직한 열 안정화제는 입체 장애 페놀, 특히 적어도 1종의 2,6-디-tert-부틸페닐 및/또는 2-tert-부틸-6-메틸페닐 기를 함유하는 것들, 및 또한 아인산염, 차아인산염, 특히 차아인산 나트륨 NaH2PO2, 히드로퀴논, 방향족 2차 아민, 치환된 레조르시놀, 살리실레이트, 벤조트리아졸 및 벤조페논, 3,3'-티오디프로피온산 에스테르 및 이들 기의 다양하게 치환된 대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구성요소 E)에서 사용되는 열 안정화제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차아인산나트륨 NaH2PO2와 조합된 구리 염일 수 있다. 사용되는 구리 염은 바람직하게는 아이오딘화구리(I)[CAS 번호 7681-65-4] 및/또는 (트리페닐포스피노)아이오딘화구리[CAS 번호 47107-74-4]이다. 구리 염을 차아인산나트륨 NaH2PO2 또는 적어도 1종의 아이오딘화 알칼리 금속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아이오딘화 알칼리 금속은 아이오딘화칼륨[CAS 번호 7681-11-0]이다.
구성요소 E)로서 사용하기 위한 열 안정화제는 각 경우에 구성요소 A) 100 질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질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구성요소 E)로서 사용되는 UV 안정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치환된 레조르시놀, 살리실레이트, 벤조트리아졸 및 벤조페논, 적어도 1개의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단위 또는 벤조페논을 함유하는 HALS 유도체("장애 아민 광 안정화제(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s)")이다.
구성요소 E)로서 사용하기 위한 UV 안정화제는 각 경우에 구성요소 A) 100 질량부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질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구성요소 E)로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B) 이외의 착색제는 바람직하게는 무기 안료, 보다 바람직하게는 울트라마린 블루, 비스무트 메타바나데이트[CAS 번호 14059-33-7], 산화철[CAS 번호 1309-37-1], 이산화티타늄[CAS 번호 13463-67-7(루틸) 또는 CAS 번호 1317-70-0(아나타제)], 황산바륨[CAS 번호 7727-43-7], 황화아연[CAS 번호 1314-98-3] 또는 주석 티타늄 아연 산화물[CAS 번호 923954-49-8]이고, 황산바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 실시양태에서, 구성요소 E)로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B) 이외의 착색제는 바람직하게는 유기 착색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탈로시아닌, 퀴나크리돈, 벤즈이미다졸, 특히 Ni-2-히드록시나프틸벤즈이미다졸[CAS 번호 42844-93-9] 및/또는 피리미딘-아조-벤즈이미다졸[CAS 번호 72102-84-2] 및/또는 피그먼트 옐로우 192(Pigment Yellow 192)[CAS 번호 56279-27-7], 및 또한 페릴렌, 안트라퀴논, 특히 C.I. 솔벤트 옐로우 163(C.I. Solvent Yellow 163)[CAS 번호 13676-91-0]이다.
구성요소 E)로서 사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 착색제의 열거은 결정적이지 않다.
한 실시양태에서, 필요한 경우, 카본 블랙 또는 니그로신이 착색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이산화티타늄은 피그먼트 화이트 6(Pigment White 6) 또는 CI 77891로 또한 지칭되는 티타늄 백색 착색제로서 구성요소 E)에 사용된다.
구성요소 E)로서 사용되는 기핵제는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페닐포스피네이트 또는 칼슘 페닐포스피네이트, 산화알루미늄 또는 산화규소, 가장 바람직하게는 활석이며, 이러한 열거는 비-결정적이다.
구성요소 E)로서 사용되는 유동성 보조제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종의 α-올레핀과 지방족 알코올의 적어도 1종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이다. 여기서 α-올레핀이 에텐 및/또는 프로펜으로부터 형성되고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아크릴산 에스테르가 그의 알코올 구성요소로서 6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 기를 함유하는 것인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유동성 보조제로서 적합한 공중합체의 특징은 그들의 조성 뿐만 아니라 그들의 저분자량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열분해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는 중합체 조성물에 적합한 공중합체는 특히 190 ℃ 및 2.16 kg의 하중에서 측정된, 적어도 100 g/10 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0 g/10 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0 g/10 분의 MFI 값을 갖는 것들이다. MFI, 용융 유동 지수(melt flow index)는, 열가소성 물질의 용융물의 유동성을 특징화하고 표준 ISO 1133 또는 ASTM D 1238에 의해 지배된다. 사용되는 유동성 보조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텐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와 로트릴®(Lotryl®) 37EH550으로 공지된, MFI550의 공중합체이다.
구성요소 E)로서 사용되는 쇄-연장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분자 당 적어도 2개의 분지 또는 쇄-연장 관능기를 함유하는 이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분지 또는 쇄-연장 첨가제이다. 바람직한 분지 또는 쇄-연장 첨가제는 1차 및/또는 2차 아미노 기 및/또는 아미드 기 및/또는 카르복실산 기와 반응할 수 있는, 분자 당 적어도 2개의 쇄-연장 관능기를 갖는 저분자량 또는 올리고머 화합물을 포함한다. 쇄-연장 관능기는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 알코올, 블로킹된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드, 말레산 무수물, 옥사졸린, 옥사진, 옥사졸론이고, 에폭시드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이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분지 또는 쇄-연장 첨가제는, 디글리시딜 에테르(비스페놀 및 에피클로로히드린)를 기초로 하는, 아민 에폭시 수지(아닐린 및 에피클로로히드린)를 기초로 하는, 디글리시딜 에스테르(시클로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에피클로로히드린)를 기초로 하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의 디에폭시드, 및 또한 2,2-비스[p-히드록시페닐]프로판 디글리시딜 에테르, 비스[p-(N-메틸-N-2,3-에폭시프로필아미노)페닐]메탄 및 분자 당 적어도 2개의 에폭시 기를 포함하는 글리세롤의 에폭시화 지방산 에스테르이다.
특히 바람직한 이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분지 또는 쇄-연장 첨가제는 글리시딜 에테르,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CAS 번호 98460-24-3] 또는 글리세롤의 에폭시화 지방산 에스테르 및 또한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폭시화 대두유[CAS 번호 8013-07-8] 및/또는 에폭시화 아마인유이다.
구성요소 E)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가소제는 디옥틸 프탈레이트, 디벤질 프탈레이즈,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탄화수소유 또는 N-(n-부틸)벤젠술폰아미드이다.
구성요소 E)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엘라스토머 개질제는 하기의 하나 이상의 그라프트 중합체를 포함한다.
E.1 5 중량%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내지 90 중량%의 적어도 1종의 비닐 단량체, 및
E.2 < 10 ℃, 바람직하게는 < 0 ℃, 보다 바람직하게는 < -20 ℃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95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내지 10 중량%의 1종 이상의 그라프트 기재이며, 여기서 중량%는 엘라스토머 개질제 100 중량%를 기초로 한다.
그라프트 기재 E.2는 일반적으로 0.05 내지 10 μm 범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μm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 μm 범위의, ISO 13320의 레이저 회절측정법에 의해 측정된 중앙치 입자 크기 d50 값을 갖는다.
단량체 E.1은 바람직하게는 하기의 혼합물이다.
E.1.1 50 중량% 내지 99 중량%의 비닐방향족 및/또는 고리-치환된 비닐방향족, 특히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및/또는 (C1-C8)-알킬 메타크릴레이트, 특히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E.1.2 1 중량% 내지 50 중량%의 비닐 시아나이드, 특히 불포화 니트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 및/또는 (C1-C8)-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특히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t-부틸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유도체, 특히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무수물 및 이미드, 특히 말레산 무수물 또는 N-페닐말레이미드이며, 여기서 중량%는 엘라스토머 개질제 100 중량%를 기초로 한다.
바람직한 단량체 E.1.1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1종의 단량체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한 단량체 E.1.2는 아크릴로니트릴, 말레산 무수물,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1종의 단량체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단량체는 E.1.1 스티렌 및 E.1.2 아크릴로니트릴이다.
엘라스토머 개질제에 사용하기 위한 그라프트 중합체에 적합한 그라프트 기재 E.2는, 예를 들어, 디엔 고무, EPDM 고무, 즉 에틸렌/프로필렌 및 경우에 따라 디엔을 기초로 하는 것들, 및 또한 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실리콘, 클로로프렌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고무이다. EPDM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그라프트 기재 E.2는 디엔 고무, 특히 부타디엔, 이소프렌 등을 기초로 하는 것, 또는 디엔 고무의 혼합물 또는 디엔 고무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과 추가의 공중합성 단량체, 특히 E.1.1 및 E.1.2의 혼합물이며, 단 구성요소 E.2의 유리 전이 온도는 < 10 ℃, 바람직하게는 < 0 ℃, 보다 바람직하게는 < -10 ℃이다.
특히 바람직한 그라프트 기재 E.2는 예를 들어, DE-A 2 035 390 또는 DE-A 2 248 242 또는 문헌[Ullmann, Enzyklopaedie der Technischen Chemie, vol. 19 (1980), p. 277-295]에 기재된 바와 같은 ABS 중합체(유화, 벌크 및 현탁 ABS)이며, 여기서 ABS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을 나타낸다. 그라프트 기재 E.2의 겔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중량%(톨루엔 중에서 측정)이다.
구성요소 E)로서 사용하기 위한 엘라스토머 개질제/그라프트 중합체는 자유-라디칼 중합, 바람직하게는 유화, 현탁, 용액 또는 벌크 중합, 특히 유화 또는 벌크 중합에 의해 제조된다.
특히 적합한 그라프트 고무는 또한 US-A 4 937 285에 따라 유기 히드로퍼옥시드 및 아스코르브산으로 구성된 개시제 시스템을 사용한 산화환원 개시에 의해 제조된 ABS 중합체를 포함한다.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그라프트 단량체는 그라프팅 반응에서 그라프트 기재 상에 반드시 완전히 그라프팅되지는 않기 때문에, 그라프트 중합체는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그라프트 기재의 존재 하에 그라프트 단량체의 (공)중합으로써 야기되고 또한 후처리에서 수득되는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마찬가지로 적합한 아크릴레이트 고무는, 바람직하게는, 경우에 따라, E.2를 기초로 하여, 최대 40 중량%의 다른 중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인 그라프트 기재 E.2를 기초로 한다. 바람직한 중합성 아크릴산 에스테르는 C1-C8-알킬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부틸, n-옥틸 및 2-에틸헥실 에스테르; 할로알킬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할로-C1-C8-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클로로에틸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이들 단량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코어로서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쉘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갖는 그라프트 중합체, 특히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Dow Corning Corporation)의 파라로이드®(Paraloid®) EXL2300이 여기서 특히 바람직하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대한 대체물로서, 가교는 1개 초과의 중합성 이중 결합을 갖는 단량체를 공중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가교 단량체는 3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및 3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불포화 1가 알코올의, 또는 2 내지 4개의 OH 기 및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폴리올의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다중불포화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트리비닐 시아누레이트 및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다관능성 비닐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디- 및 트리비닐벤젠; 뿐만 아니라 트리알릴 포스페이트 및 디알릴 프탈레이트이다.
특히 바람직한 가교 단량체는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알릴 프탈레이트 및 적어도 3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기를 갖는 헤테로시클릭 화합물이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가교 단량체는 시클릭 단량체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로일헥사히드로-s-트리아진, 트리알릴벤젠이다. 가교된 단량체의 양은, 그라프트 기재 E.2를 기초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0.05 중량% 내지 2 중량%이다.
적어도 3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기를 갖는 시클릭 가교 단량체의 경우에, 그 양을 그라프트 기재 E.2의 1 중량%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이 유리하다.
아크릴산 에스테르에 더하여, 그라프트 기재 E.2를 제조하는데 경우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바람직한 중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아크릴아미드, 비닐 C1-C6-알킬 에테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이다. 그라프트 기재 E.2로서 바람직한 아크릴레이트 고무는 적어도 60 중량%의 겔 함량을 갖는 유화 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 적합한 추가의 그라프트 기재 E.2는 DE-A 3 704 657, DE-A 3 704 655, DE-A 3 631 540DE-A 3 631 539에 기재된 바와 같은 그라프트 활성 부위를 갖는 실리콘 고무이다.
실리콘 함량을 갖는 바람직한 그라프트 중합체는 쉘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및 코어로서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를 갖는 것들이다. 쉘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은 메타블렌®(Metablen®) SRK200이다. 쉘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는 메타블렌® S2001 또는 메타블렌® S2030 또는 메타블렌® SX-005이다. 메타블렌® S2001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메타블렌® 상표명을 갖는 제품은 일본 도쿄 소재의 미츠비시 레이온 캄파니, 리미티드(Mitsubishi Rayon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가교는 1개 초과의 중합성 이중 결합을 갖는 단량체를 공중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가교 단량체의 바람직한 예는 3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및 3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불포화 1가 알코올의, 또는 2 내지 4개의 OH 기 및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폴리올의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다중불포화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트리비닐 시아누레이트 및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다관능성 비닐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디- 및 트리비닐벤젠; 뿐만 아니라 트리알릴 포스페이트 및 디알릴 프탈레이트이다.
바람직한 가교 단량체는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알릴 프탈레이트 및 적어도 3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기를 갖는 헤테로시클릭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가교 단량체는 시클릭 단량체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로일헥사히드로-s-트리아진, 트리알릴벤젠이다. 가교된 단량체의 양은, 그라프트 기재 E.2를 기초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0.05 중량% 내지 2 중량%이다.
적어도 3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기를 갖는 시클릭 가교 단량체의 경우에, 그 양을 그라프트 기재 E.2의 1 중량%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이 유리하다.
아크릴산 에스테르에 더하여 그라프트 기재 E.2를 제조하는데 경우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다른" 중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아크릴아미드, 비닐 C1-C6-알킬 에테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이다. 그라프트 기재 E.2로서 바람직한 아크릴레이트 고무는 적어도 60 중량%의 겔 함량을 갖는 유화 중합체이다.
그라프트 중합체를 기초로 하는 엘라스토머 개질제에 더하여, 그라프트 중합체를 기초로 하지 않고 < 10 ℃, 바람직하게는 < 0 ℃, 보다 바람직하게는 < -20 ℃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엘라스토머 개질제를 사용하는 것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블록 공중합체 구조를 갖는 엘라스토머, 및 추가로 열가소성 용융성 엘라스토머, 특히 EPM, EPDM 및/또는 SEBS 고무(EPM =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EPDM =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및 SEBS = 스티렌-에텐-부텐-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구성요소 E)로서 사용하기 위한 윤활제 및/또는 이형제는 바람직하게는 장쇄 지방산, 특히 스테아르산 또는 베헨산, 이의 염, 특히 스테아르산칼슘 또는 스테아르산아연, 및 이의 에스테르 유도체, 특히 펜타에리트리톨을 기초로 하는 것들, 특히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아미드 유도체의 지방산 에스테르, 특히 에틸렌비스스테아릴아미드, 몬탄 왁스 및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이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몬탄 왁스는 28 내지 32개의 탄소 원자의 쇄 길이를 갖는 직쇄 포화 카르복실산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8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카르복실산과 지방족 포화 알코올의 에스테르 또는 2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민과 8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불포화 지방족 카르복실산의 아미드의 군으로부터의, 또는 각각의 카르복실산 대신에 8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카르복실산의 금속 염의 윤활제 및/또는 이형제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구성요소 E)로서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윤활제 및/또는 이형제는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CAS 번호 115-83-3], 에틸렌비스스테아릴아미드, 스테아르산칼슘 및 에틸렌 글리콜 디몬타네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어야 한다. 스테아르산칼슘[CAS 번호 1592-23-0] 또는 에틸렌비스스테아릴아미드[CAS 번호 110-30-5]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에틸렌비스스테아릴아미드(에머리 올레오케미칼스(Emery Oleochemicals)로부터의 록시올®(Loxiol®) EBS)의 사용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구성요소 E)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가수분해 안정화제/물 흡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이며, 여기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는 각 경우에 전체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20 중량%의 농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중량% 내지 15 중량%의 농도로 사용되며, 단 중합체 조성물의 모든 중량 백분율의 총 합계는 항상 100 중량%이다.
구성요소 E)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레이저 흡수제는 바람직하게는 산화주석, 주석 오르토포스페이트, 티타늄산바륨, 산화알루미늄, 구리 히드록시포스페이트, 구리 오르토포스페이트, 칼륨 구리 디포스페이트, 수산화구리, 삼산화비스무트 및 안트라퀴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산화주석이 특히 바람직하다.
대안적 실시양태에서, 사용되는 레이저 흡수제는 대안적으로 - 필요한 경우에, H351 위험 분류와 관련하여 서두에 기재된 단점 및 트래킹 저항에 대한 불리한 효과를 고려하여 - 또한 안티모니 주석 옥시드, 안티모니 트리옥시드 또는 안티모니 펜트옥시드일 수 있다.
레이저 흡수제는 분말로서 또는 마스터배치의 형태로 직접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마스터배치는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폴리올레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을 기초로 하는 것이다.
레이저 흡수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레이저 흡수제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레이저 흡수제는 특정 파장의 레이저 광을 흡수할 수 있다. 실제로, 이 파장은 157 nm 내지 10.6 μm 범위이다. 이들 파장의 레이저의 예는 WO2009/003976 A1에 기재되어 있다. 1064, 532, 355 및 266 nm의 파장을 달성할 수 있는 Nd:YAG 레이저 및 CO2 레이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적어도 1종의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C2-C1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특히 PBT 100 질량부당,
B)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 0.01 내지 5 질량부, 및
C) 유리 비드 또는 솔리드 또는 중공 유리 비드, 또는 유리 섬유, 또는 분쇄 유리, 무정형 석영 유리, 1 %의 알칼리 함량을 갖는 알루미늄 보로실리케이트 유리(E 유리), 무정형 실리카, 석영 가루, 규산칼슘, 메타규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카올린, 소성 카올린, 백악, 키아나이트, 분말 또는 분쇄 석영, 운모, 금운모, 황산바륨, 장석, 규회석, 몬모릴로나이트, 화학식 AlO(OH)의 유사보에마이트, 탄산마그네슘 및 활석, 특히 유리 섬유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충전제 또는 강화제 1 내지 150 질량부
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기초로 하고,
단 고-전압 구성요소 또는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는,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또는 RAL2011, 보다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8 또는 RAL2009, 가장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 2003에 상응하는 것인,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가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다.
A) 적어도 1종의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C2-C1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특히 PBT 100 질량부당,
B)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 0.01 내지 5 질량부, 및
C) 적어도 이산화티타늄 0.01 내지 2 질량부
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기초로 하고,
단 고-전압 구성요소 또는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는,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또는 RAL2011, 보다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8 또는 RAL2009, 가장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 2003에 상응하는 것인,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가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다.
A) 적어도 1종의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C2-C1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특히 PBT 100 질량부당,
B) 적어도 세륨(Ⅲ) 황화물(Ce2S3) 또는 세륨(Ⅲ) 황화물/란타넘(Ⅲ) 황화물 0.01 내지 5 질량부, 및
C) 적어도 이산화티타늄 0.01 내지 2 질량부
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기초로 하고,
단 고-전압 구성요소 또는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는,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또는 RAL2011, 보다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8 또는 RAL2009, 가장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 2003에 상응하는 것인,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가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다.
A) 적어도 1종의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C2-C1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특히 PBT 100 질량부당,
B) 적어도 세륨(Ⅲ) 황화물(Ce2S3) 또는 세륨(Ⅲ) 황화물/란타넘(Ⅲ) 황화물 0.01 내지 5 질량부, 및
C) 유리 비드 또는 솔리드 또는 중공 유리 비드, 또는 유리 섬유, 또는 분쇄 유리, 무정형 석영 유리, 1 %의 알칼리 함량을 갖는 알루미늄 보로실리케이트 유리(E 유리), 무정형 실리카, 석영 가루, 규산칼슘, 메타규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카올린, 소성 카올린, 백악, 키아나이트, 분말 또는 분쇄 석영, 운모, 금운모, 황산바륨, 장석, 규회석, 몬모릴로나이트, 화학식 AlO(OH)의 유사보에마이트, 탄산마그네슘 및 활석, 특히 유리 섬유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충전제 또는 강화제 1 내지 150 질량부
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기초로 하고,
단 고-전압 구성요소 또는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는,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또는 RAL2011, 보다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8 또는 RAL2009, 가장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 2003에 상응하는 것인,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가 본 발명에 따라 특히 바람직하다.
A) 적어도 1종의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C2-C1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특히 PBT 100 질량부당,
B)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 0.01 내지 5 질량부,
C) 바람직하게는 유리 비드 또는 솔리드 또는 중공 유리 비드, 또는 유리 섬유, 또는 분쇄 유리, 무정형 석영 유리, 1 %의 알칼리 함량을 갖는 알루미늄 보로실리케이트 유리(E 유리), 무정형 실리카, 석영 가루, 규산칼슘, 메타규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카올린, 소성 카올린, 백악, 키아나이트, 분말 또는 분쇄 석영, 운모, 금운모, 황산바륨, 장석, 규회석, 몬모릴로나이트, 화학식 AlO(OH)의 유사보에마이트, 탄산마그네슘 및 활석, 특히 유리 섬유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충전제 또는 강화제 1 내지 150 질량부, 및
D) 바람직하게는 광물 난연제, 질소-함유 난연제 또는 인-함유 난연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난연 첨가제 3 내지 100 질량부
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기초로 하고,
단 고-전압 구성요소 또는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는,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또는 RAL2011, 보다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8 또는 RAL2009, 가장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 2003에 상응하는 것인,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가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다.
A) 적어도 1종의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C2-C1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특히 PBT 100 질량부당,
B) 적어도 세륨(Ⅲ) 황화물(Ce2S3) 또는 세륨(Ⅲ) 황화물/란타넘(Ⅲ) 황화물 0.01 내지 5 질량부,
C) 바람직하게는 유리 비드 또는 솔리드 또는 중공 유리 비드, 또는 유리 섬유, 또는 분쇄 유리, 무정형 석영 유리, 1 %의 알칼리 함량을 갖는 알루미늄 보로실리케이트 유리(E 유리), 무정형 실리카, 석영 가루, 규산칼슘, 메타규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카올린, 소성 카올린, 백악, 키아나이트, 분말 또는 분쇄 석영, 운모, 금운모, 황산바륨, 장석, 규회석, 몬모릴로나이트, 화학식 AlO(OH)의 유사보에마이트, 탄산마그네슘 및 활석, 특히 유리 섬유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충전제 또는 강화제 1 내지 150 질량부, 및
D) 바람직하게는 광물 난연제, 질소-함유 난연제 또는 인-함유 난연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난연 첨가제 3 내지 100 질량부
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기초로 하고,
단 고-전압 구성요소 또는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는,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또는 RAL2011, 보다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8 또는 RAL2009, 가장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 2003에 상응하는 것인,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가 본 발명에 따라 특히 바람직하다.
A) 적어도 1종의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C2-C1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특히 PBT 100 질량부당,
B)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 0.01 내지 5 질량부,
C) 바람직하게는 유리 비드 또는 솔리드 또는 중공 유리 비드, 또는 유리 섬유, 또는 분쇄 유리, 무정형 석영 유리, 1 %의 알칼리 함량을 갖는 알루미늄 보로실리케이트 유리(E 유리), 무정형 실리카, 석영 가루, 규산칼슘, 메타규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카올린, 소성 카올린, 백악, 키아나이트, 분말 또는 분쇄 석영, 운모, 금운모, 황산바륨, 장석, 규회석, 몬모릴로나이트, 화학식 AlO(OH)의 유사보에마이트, 탄산마그네슘 및 활석, 특히 유리 섬유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충전제 또는 강화제 1 내지 150 질량부, 및
E) 바람직하게는 입체 장애 페놀, 특히 적어도 1개의 2,6-디-tert-부틸페닐 기 및/또는 2-tert-부틸-6-메틸페닐 기를 함유하는 것들, 또한 아인산염, 차아인산염, 특히 차아인산나트륨 NaH2PO2, 히드로퀴논, 방향족 2차 아민 및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열 안정화제 0.01 내지 2 질량부
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기초로 하고,
단 고-전압 구성요소 또는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는,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또는 RAL2011, 보다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8 또는 RAL2009, 가장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 2003에 상응하는 것인,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가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다.
A) 적어도 1종의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C2-C1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특히 PBT 100 질량부당,
B) 적어도 세륨(Ⅲ) 황화물(Ce2S--3) 또는 세륨(Ⅲ) 황화물/란타넘(Ⅲ) 황화물 0.01 내지 5 질량부,
C) 바람직하게는 유리 비드 또는 솔리드 또는 중공 유리 비드, 또는 유리 섬유, 또는 분쇄 유리, 무정형 석영 유리, 1 %의 알칼리 함량을 갖는 알루미늄 보로실리케이트 유리(E 유리), 무정형 실리카, 석영 가루, 규산칼슘, 메타규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카올린, 소성 카올린, 백악, 키아나이트, 분말 또는 분쇄 석영, 운모, 금운모, 황산바륨, 장석, 규회석, 몬모릴로나이트, 화학식 AlO(OH)의 유사보에마이트, 탄산마그네슘 및 활석, 특히 유리 섬유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충전제 및 강화제 1 내지 150 질량부, 및
E) 바람직하게는 입체 장애 페놀, 특히 적어도 1개의 2,6-디-tert-부틸페닐 기 및/또는 2-tert-부틸-6-메틸페닐 기를 함유하는 것들, 또한 아인산염, 차아인산염, 특히 차아인산나트륨 NaH2PO2, 히드로퀴논, 방향족 2차 아민 및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열 안정화제 0.01 내지 2 질량부
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기초로 하고,
단 고-전압 구성요소 또는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는,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또는 RAL2011, 보다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8 또는 RAL2009, 가장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 2003에 상응하는 것인,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가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다. 구성요소 E)로서 이산화티타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적어도 1종의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C2-C1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특히 PBT 100 질량부당,
B)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 0.01 내지 5 질량부,
C) 바람직하게는 유리 비드 또는 솔리드 또는 중공 유리 비드, 또는 유리 섬유, 또는 분쇄 유리, 무정형 석영 유리, 1 %의 알칼리 함량을 갖는 알루미늄 보로실리케이트 유리(E 유리), 무정형 실리카, 석영 가루, 규산칼슘, 메타규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카올린, 소성 카올린, 백악, 키아나이트, 분말 또는 분쇄 석영, 운모, 금운모, 황산바륨, 장석, 규회석, 몬모릴로나이트, 화학식 AlO(OH)의 유사보에마이트, 탄산마그네슘 및 활석, 특히 유리 섬유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충전제 및 강화제 1 내지 150 질량부,
D) 바람직하게는 광물 난연제, 질소-함유 난연제 또는 인-함유 난연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난연 첨가제 3 내지 100 질량부, 및
E) 바람직하게는 입체 장애 페놀, 특히 적어도 1개의 2,6-디-tert-부틸페닐 기 및/또는 2-tert-부틸-6-메틸페닐 기를 함유하는 것들, 또한 아인산염, 차아인산염, 특히 차아인산나트륨 NaH2PO2, 히드로퀴논, 방향족 2차 아민 및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열 안정화제 0.01 내지 2 질량부
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기초로 하고,
단 고-전압 구성요소 또는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는,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또는 RAL2011, 보다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8 또는 RAL2009, 가장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 2003에 상응하는 것인,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가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다. 구성요소 E)로서 이산화티타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적어도 1종의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C2-C1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특히 PBT 100 질량부당,
B) 적어도 세륨(Ⅲ) 황화물(Ce2S3) 또는 세륨(Ⅲ) 황화물/란타넘(Ⅲ) 황화물 0.01 내지 5 질량부,
C) 바람직하게는 유리 비드 또는 솔리드 또는 중공 유리 비드, 또는 유리 섬유, 또는 분쇄 유리, 무정형 석영 유리, 1 %의 알칼리 함량을 갖는 알루미늄 보로실리케이트 유리(E 유리), 무정형 실리카, 석영 가루, 규산칼슘, 메타규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카올린, 소성 카올린, 백악, 키아나이트, 분말 또는 분쇄 석영, 운모, 금운모, 황산바륨, 장석, 규회석, 몬모릴로나이트, 화학식 AlO(OH)의 유사보에마이트, 탄산마그네슘 및 활석, 특히 유리 섬유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충전제 또는 강화제 1 내지 150 질량부,
D) 바람직하게는 광물 난연제, 질소-함유 난연제 또는 인-함유 난연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난연 첨가제 3 내지 100 질량부, 및
E) 바람직하게는 입체 장애 페놀, 특히 적어도 1개의 2,6-디-tert-부틸페닐 기 및/또는 2-tert-부틸-6-메틸페닐 기를 함유하는 것들, 또한 아인산염, 차아인산염, 특히 차아인산나트륨 NaH2PO2, 히드로퀴논, 방향족 2차 아민 및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열 안정화제 0.01 내지 2 질량부
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기초로 하고,
단 고-전압 구성요소 또는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는,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 2003, RAL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또는 RAL2011, 보다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8 또는 RAL2009, 가장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 2003에 상응하는 것인,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가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다. 구성요소 E)로서 이산화티타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본 발명은 추가로, A) 적어도 1종의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C2-C1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특히 PBT, 및 B)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 및 경우에 따라 추가 구성요소 C), D) 또는 E)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혼합 시스템에서 서로 혼합되며, 단 고-전압 구성요소 또는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는,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 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또는 RAL2011, 보다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8 또는 RAL2009, 가장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 2003에 상응하는 것인,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에 사용되는 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적어도 1종의 중합체 100질량부당,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 0.01 내지 5 질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륨을 함유하는 바람직한 황화물은 세륨(Ⅲ) 황화물(Ce2S3) 또는 세륨(Ⅲ) 황화물/란타넘(Ⅲ) 황화물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중합체 조성물이 GIT(기체 사출 방법(gas injection methodology)), WIT(물 사출 방법(water injection methodology)) 및 PIT(발사체 사출 방법(projectile injection methodology))의 특별한 방법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이형 압출을 포함하는 압출 방법에 의해, 또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추가적으로 가공되는,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 관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 중합체 조성물은, 추가의 가공에 앞서, 스트랜드로 압출되고, 펠렛화 가능할 때까지 냉각되고, 경우에 따라 건조되고 펠렛화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조성물은 중간에 펠렛화된 형태로 저장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A) 적어도 1종의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C2-C1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특히 PBT, 및 B)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종의 폴리에스테르 100 질량부당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 0.01 내지 5 질량부가 서로 혼합되어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고, 배출되어 스트랜드를 제공하고, 펠렛화 가능할 때까지 냉각되고 펠렛화되고, 중합체 조성물은 이어서 GIT(가스 사출 방법), WIT(물 사출 방법) 및 PIT(발사체 사출 방법)의 특별한 방법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이형 압출을 포함하는 압출 방법에 의해, 또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추가로 가공되며, 단 고-전압 구성요소 또는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는,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또는 RAL2011, 보다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8 또는 RAL2009, 가장 바람직하게는 색 수 RAL 2003에 상응하는 것인,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 관한 것이다. 세륨을 함유하는 바람직한 황화물은 세륨(Ⅲ) 황화물(Ce2S3) 또는 세륨(Ⅲ) 황화물/란타넘(Ⅲ) 황화물이다.
고-전압 구성요소
바람직한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는 전기 구동트레인 및/또는 배터리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특히 바람직한 고-전압 구성요소는 전기장치 또는 전자장치용 커버, 제어 장치, 퓨즈용 커버/하우징, 계전기, 배터리 셀 모듈, 퓨즈 홀더, 퓨즈 플러그, 단자, 케이블 홀더 또는 외장재, 특히 고-전압 버스 바의 외장재이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라 기재된 특성의 개선을 입증하기 위해, 상응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조성물을 먼저 배합에 의해 구성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개별 구성요소를 이축-스크류 압출기(코페리온 베르너 운트 플라이데러(Coperion Werner & Pfleiderer)(독일 슈투트가르트)로부터의 ZSK 25 컴파운더(ZSK 25 Compounder))에서 270 내지 300 ℃의 온도에서 혼합하고, 스트랜드로서 배출시키고, 펠렛화 가능할 때까지 냉각하고 펠렛화하였다. 건조 후(일반적으로 진공 건조 캐비닛에서 80 ℃에서 2일 동안), 펠렛을 270 내지 290 ℃ 범위의 온도에서 가공하여 각각의 시험을 위한 표준 시험 시편을 제공하였다.
본 실험의 문맥에서, 블리딩은, 표 2에 제시된 조성물을 기초로 하는 2개의 60*40*2 mm3 플라스틱 시트 사이에 고정되어 열풍 건조 캐비닛에서 80 ℃에서 12시간 동안 저장되었던 30*20*2 mm3 가소화 PVC 필름(독일 에이토르프 소재의 제디 쿤스트스토프테크닉 게엠베하(Jedi Kunststofftechnik GmbH)로부터의 P-PVC, FB110 백색, 표준 저온 강도)의 변색을 통해 측정하였다. 이에 이어서 ISO 105-A02의 그레이 스케일에 따른 시각적 평가를 수행하였고, 여기서 '5'는 PVC 필름이 색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음을 의미하고 '1'은 PVC 필름이 유의한 색 변화를 나타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내광견뢰도의 척도는 96시간 동안 독일 린젠게리히트 소재의 아틀라스 머티리얼 테스팅 테크놀로지 게엠베하로부터의 윈도우 유리 필터 250-765 W/m2을 사용하여, 선테스트 CPS+로부터의 UV광 300-800 nm, 45-130 klx를 사용하여 UV 하에서 저장 후 60*40*2 mm3 시트 형태의, 표 2에 기재된 성형 화합물의 변색인 것으로 간주하였다. 변색은 DIN EN ISO 105-B02에 따라 블루 울 스케일을 기초로 하여 시각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여기서 '8'은 특출한 내광견뢰도(적은 색 변화)를 나타내고, '1'은 매우 낮은 내광견뢰도(유의한 색 변화)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1064 nm에서 레이저 각인성의 품질의 척도는 레이저 빔으로 처리되지 않은 표면과 비교하여 레이저 빔으로 처리된 표면의 대비인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매직마크V3(MagicMarkV3) 각인 소프트웨어 및 포커싱 렌즈 F-세타 163(F-Theta 163)이 장착된, 독일 켐니츠 소재의 ACI 레이저 게엠베하(ACI Laser GmbH)로부터의 DPL-제네시스-마커(DPL-Genesis-Marker)(8 W) 레이저 각인 장치를 사용하였다. Nd:YAG 레이저 결정은 그 안에서 레이저로서 기능하였고 1064 nm 파장의 레이저 광을 전달하였다. 각인 후 대비의 비교를 위해, 300 mm/s의 기록 속도, 8000 Hz의 펄스 주파수 및 100 μm의 라인 간격을 선택하였으며, 펄스 폭은 3 μs이고 장치의 레이저 출력은 90 %였다.
대비는 ISO 105-A03에 따라 그레이 스케일을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분류된다:
● 분류 (-): 레이저-조사된 표면은 ISO 105-A03에 따른 등급 3, 3/4, 4, 4/5 또는 5의 그레이 스케일에 필적하는 레이저-조사되지-않은 표면과 다르다. 따라서, 레이저-조사된 표면은 레이저-조사되지-않은 표면과 어렵게만 구분할 수 있었다.
● 분류 (+): 레이저-조사된 표면은 ISO 105-A03에 따른 등급 1 내지 2/3의 그레이 스케일에 필적하는 레이저-조사되지-않은 표면과 다르다. 따라서 레이저-조사된 표면은 레이저-조사되지-않은 표면과 쉽게 구분할 수 있었다.
반응물:
구성요소 A) 93 cm3/g의 고유 점도(25 ℃에서 페놀:1,2-디클로로벤젠 = 1:1 중에서 측정)를 갖는 직쇄형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독일 쾰른 소재의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로부터의 상업용 제품, 포칸®(Pocan®) B 1300)
구성요소 B1): 세륨(Ⅲ) 황화물/란타넘(Ⅲ) 황화물[C.I. 피그먼트 오렌지 78(중국 '내몽골' 소재의 바오토우 홍보 테 테크놀로지 캄파니 리미티드로부터의 네올로르 라이트 오렌지 S)]
구성요소 X/1): 쾰른 소재의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로부터의 마크롤렉스® 오렌지 3G 형태의 12H-프탈로페린-12-온[CAS 번호 6925-69-5]
표 2
Figure pct00006
표 2의 결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 1만이 높은 내광견뢰도 및 매우 낮은 블리딩 경향과 함께, 또한 1064 nm에서 Nd:YAG 레이저 결정을 사용한 레이저 각인 후에 충분히 우수한 대비를 동시에 나타낸 반면, 선행 기술에 따른 착색제는 우수한 대비 및 우수한 내광견뢰도 및 낮은 블리딩 경향을 동시에 갖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Claims (15)

  1. 적어도 1종의 폴리에스테르 및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을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A) 적어도 1종의 폴리에스테르 100 질량부당,
    B)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 0.01 내지 5 질량부가 사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세륨(Ⅲ) 황화물 또는 세륨(Ⅲ) 황화물/란타넘(Ⅲ) 황화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C2-C1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특히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성요소 A) 및 B)에 더하여, 또한, C) 구성요소 A) 100 질량부를 기초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0 질량부의 양의, 적어도 1종의 충전제 또는 강화제가 사용되며, 단 중합체 조성물은,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또는 RAL2011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구성요소 A), B) 및 C)에 더하여 또는 C) 대신에, 또한, D) 구성요소 A) 100 질량부를 기초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0 질량부의 양의, 적어도 1종의 난연제가 사용되며, 단 중합체 조성물은,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또는 RAL2011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구성요소 A), B), C) 및 D)에 더하여 또는 C) 및/또는 D) 대신에, 또한, E) 구성요소 A) 100 질량부를 기초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80 질량부의 양의, 구성요소 B), C) 및 D) 이외의 적어도 1종의 첨가제가 사용되며, 단 중합체 조성물은, RAL 색 시스템에서, 색 수 RAL2003, RAL2004, RAL2007, RAL2008, RAL2009, RAL2010 또는 RAL2011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제 또는 강화제가 유리 비드 또는 솔리드 또는 중공 유리 비드, 또는 유리 섬유, 분쇄 유리, 무정형 석영 유리, 1 %의 알칼리 금속 함량을 갖는 알루미늄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무정형 실리카, 석영 가루, 규산칼슘, 메타규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카올린, 소성 카올린, 백악, 키아나이트, 분말 또는 분쇄 석영, 운모, 금운모, 황산바륨, 장석, 규회석, 몬모릴로나이트, 화학식 AlO(OH)의 유사보에마이트, 탄산마그네슘 및 활석, 특히 유리 섬유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난연제가 광물 난연제, 질소-함유 난연제 및 인-함유 난연제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열 안정화제가 첨가제 E)로서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입체 장애 페놀, 특히 적어도 1개의 2,6-디-tert-부틸페닐 기 및/또는 2-tert-부틸-6-메틸페닐기를 함유하는 것들, 또한 아인산염, 차아인산염, 특히 차아인산나트륨 NaH2PO2, 히드로퀴논, 방향족 2차 아민 및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을 기초로 하는,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
  12. 제11항에 있어서, 전기장치 또는 전자장치용 커버, 제어 장치, 퓨즈용 커버/하우징, 계전기, 배터리 셀 모듈, 퓨즈 홀더, 퓨즈 플러그, 단자, 케이블 홀더 또는 외장재, 특히 고-전압 버스 바의 외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구성요소.
  13.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및/또는 레이저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제품의, 바람직하게는 e모빌리티를 위한 폴리에스테르계 고-전압 구성요소의 고-전압 구성요소로서의 마킹을 위한,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의 용도.
  14. A) 적어도 1종의 폴리에스테르 및 B) 세륨을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황화물,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100 질량부당 세륨을 함유하는 황화물 0.01 내지 5 질량부가 서로 혼합되어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고, 배출되어 스트랜드를 제공하고, 펠렛화 가능할 때까지 냉각되고, 건조되고 펠렛화되고, 중합체 조성물은 이어서 가스 사출 방법, 물 사출 방법 및 발사체 사출 방법의 특별한 방법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이형 압출을 포함하는 압출 방법에 의해, 또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추가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구성요소, 특히 e모빌리티를 위한 고-전압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C2-C1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특히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또는 공정.
KR1020227007375A 2019-09-10 2020-08-31 고-전압 구성요소 KR202200625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96336.2 2019-09-10
EP19196336.2A EP3792303A1 (de) 2019-09-10 2019-09-10 Hochvoltkomponenten
PCT/EP2020/074239 WO2021047937A1 (de) 2019-09-10 2020-08-31 Hochvoltkomponent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507A true KR20220062507A (ko) 2022-05-17

Family

ID=67909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375A KR20220062507A (ko) 2019-09-10 2020-08-31 고-전압 구성요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48744A1 (ko)
EP (2) EP3792303A1 (ko)
JP (1) JP7472273B2 (ko)
KR (1) KR20220062507A (ko)
CN (1) CN114364728B (ko)
WO (1) WO20210479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2497B (zh) * 2022-08-16 2022-11-01 杭州和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向拉伸阻燃聚酯薄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7996B (de) 1955-03-26 1957-05-09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thermoplastischer Kunststoffe
DE1031512B (de) 1955-12-21 1958-06-04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chmolekularen faser- und filmbildenden Polycarbonaten
US2991273A (en) 1956-07-07 1961-07-04 Bayer Ag Process for manufacture of vacuum moulded parts of high molecular weight thermoplastic polycarbonates
US3148172A (en) 1956-07-19 1964-09-08 Gen Electric Polycarbonates of dihydroxyaryl ethers
US2999846A (en) 1956-11-30 1961-09-12 Schnell Hermann High molecular weight thermoplastic aromatic sulfoxy polycarbonates
US3062781A (en) 1958-07-02 1962-11-06 Bayer A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carbonates
US2999835A (en) 1959-01-02 1961-09-12 Gen Electric Resinous mixture comprising organo-polysiloxane and polymer of a carbonate of a dihydric phenol, and products containing same
US3028635A (en) 1959-04-17 1962-04-10 Schlumberger Cie N Advancing screw for gill box
US3288864A (en) 1962-05-11 1966-11-29 Union Carbide Corp Reaction products of isopropenyl phenols and of linear dimers thereof
GB1122003A (en) 1964-10-07 1968-07-31 Gen Electric Improvements in aromatic polycarbonates
US3442864A (en) 1965-06-30 1969-05-06 Diamond Alkali Co Formals of norbornane-2,7-diols and copolymers thereof with trioxane
NL152889B (nl) 1967-03-10 1977-04-15 Gen Electric Werkwijze ter bereiding van een lineair polycarbonaatcopolymeer, alsmede orienteerbare textielvezel van dit copolymeer.
US3644574A (en) 1969-07-17 1972-02-22 Eastman Kodak Co Shaped articles of blends of polyesters and polyvinyls
DE2036052A1 (en) 1970-07-21 1972-01-27 Milchwirtschafthche Forschungs und Untersuchungs Gesellschaft mbH, 2100 Hamburg Working up of additives in fat and protein - contng foodstuffs
DE2063050C3 (de) 1970-12-22 1983-12-15 Bayer Ag, 5090 Leverkusen Verseifungsbeständige Polycarbon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US4013613A (en) 1971-10-01 1977-03-22 General Electric Company Reinforced intercrystalline thermoplastic polyester compositions
DE2211956A1 (de) 1972-03-11 1973-10-25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erseifungsstabiler blockcopolycarbonate
DE3162637D1 (en) 1980-06-04 1984-04-19 Teijin Ltd Fluorescent composition having the ability to change wavelengths of light, shaped article of said composition as a light wavelength converting element, and device for converting optical energy to electrical energy using said element
US4334106A (en) 1981-02-05 1982-06-08 The Upjohn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ydroxyphenyl-indanols
JPS6035150A (ja) 1983-08-05 1985-02-22 Aisan Ind Co Ltd エンジンのアイドル回転数制御方法
JPS6162039A (ja) 1984-09-04 1986-03-29 Fuji Xerox Co Ltd 電子写真用感光体
JPS6162040A (ja) 1984-09-04 1986-03-29 Fuji Xerox Co Ltd 電子写真用感光体
JPS61105550A (ja) 1984-10-29 1986-05-23 Fuji Xerox Co Ltd 電子写真用感光体
DE3631539A1 (de) 1986-09-17 1988-03-24 Bayer Ag Alterungsbestaendig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mit guter zaehigkeit
DE3631540A1 (de) 1986-09-17 1988-03-24 Bayer Ag Thermoplastische formmassen mit hoher alterungsbestaendigkeit und guter tieftemperaturzaehigkeit
DE3704655A1 (de) 1987-02-14 1988-08-25 Bayer Ag Teilchenfoermige mehrphasenpolymerisate
DE3704657A1 (de) 1987-02-14 1988-08-25 Bayer Ag Teilchenfoermige mehrphasenpolymerisate
DE3738143A1 (de) 1987-11-10 1989-05-18 Bayer Ag Verwendung von redoxpfropfpolymerisaten zur verbesserung der benzinbestaendigkeit von thermoplastischen, aromatischen polycarbonat- und/oder polyestercarbonat-formmassen
NO170326C (no) 1988-08-12 1992-10-07 Bayer Ag Dihydroksydifenylcykloalkaner
DE3832396A1 (de) 1988-08-12 1990-02-15 Bayer Ag Dihydroxydiphenylcycloalkane,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hochmolekularen polycarbonaten
DE4236122A1 (de) 1992-10-27 1994-04-28 Bayer Ag Flammgeschützte, mineralgefüllt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mit hoher Kriechstromfestigkeit
DE4312390A1 (de) 1993-04-16 1994-10-20 Bayer Ag Zweistufen-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hermoplastischem Polycarbonat
DE4401055A1 (de) 1994-01-15 1995-07-20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hermoplastischen Polyestern mit niedrigem Carboxylendgruppengehalt
FR2719576B1 (fr) * 1994-05-06 1996-07-12 Rhone Poulenc Chimie Composition à base d'un sulfure de terre rare comprenant au moins un élément alcalin, son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son utilisation comme pigment coloré.
DE19539290A1 (de) 1995-10-23 1997-04-24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diorganosiloxan)-Polycarbonat-Blockcopolymeren
FR2801894A1 (fr) * 1999-12-07 2001-06-08 Rhodia Terres Rares Composition a base d'un sulfure de terre rare presentant un groupement organique en surface, son utilisation comme pigment colore notamment dans les peintures
FR2807023B1 (fr) * 2000-03-30 2002-12-20 Rhodia Terres Rares Composition a base d'un sulfure de terre rare a stabilite chimique amelioree,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son utilisation comme pigment
JP2002194208A (ja) * 2000-12-27 2002-07-10 Daicel Degussa Ltd 赤系色に着色されたポリアミド系樹脂組成物
CN101903182B (zh) 2007-06-29 2013-04-10 默克专利股份有限公司 包含聚合物核、壳和吸收剂的微球体,其用途及其制备方法
DE102011120200A1 (de) 2011-12-05 2013-06-06 Clariant International Ltd. Flammschutzmittel-Mischungen enthaltend Flammschutzmittel und Aluminiumphosphi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EP3181643A1 (en) * 2015-12-14 2017-06-21 Cappelle Pigments nv A coated bismuth oxy halide-based pigment
EP3281974A1 (en) 2016-08-11 2018-02-14 Innocabs B.V. Laser marking additive
JP7054105B2 (ja) * 2017-08-22 2022-04-13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レーザー溶着用樹脂組成物及びその溶着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46868A (ja) 2022-11-09
WO2021047937A1 (de) 2021-03-18
CN114364728B (zh) 2023-11-28
JP7472273B2 (ja) 2024-04-22
US20220348744A1 (en) 2022-11-03
EP4028465A1 (de) 2022-07-20
EP3792303A1 (de) 2021-03-17
CN114364728A (zh)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0625B2 (ja) 高電圧用構成材料
KR101117338B1 (ko) 개질된 내충격성 및 성형시 발생하는 색상을 갖는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카르보네이트 블렌드를기재로 한 내후성 조성물
US20150148466A1 (en) Polyester compositions
JP7167210B2 (ja) 高電圧用構成材料
JP7472273B2 (ja) 高電圧用構成部品
JP6592034B2 (ja)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成形コンパウンド物
KR20210141542A (ko) 고 전압 구성요소
JP7381726B2 (ja) 高電圧構成部品
JP7399181B2 (ja) 高電圧用構成材料
KR102370309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US20230132793A1 (en) Use of polyamide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