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0348A - 헤어 스타일링 기기 - Google Patents

헤어 스타일링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0348A
KR20220020348A KR1020227000754A KR20227000754A KR20220020348A KR 20220020348 A KR20220020348 A KR 20220020348A KR 1020227000754 A KR1020227000754 A KR 1020227000754A KR 20227000754 A KR20227000754 A KR 20227000754A KR 20220020348 A KR20220020348 A KR 20220020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panel
heating
panels
sty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프레도 디베네딕티스
야누스루시앙 홀랜드
마크크리스토퍼 휴스
마틴말콤 해리스
제임스로버트 넬슨
Original Assignee
자팜 그룹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1809825.1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809825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1819218.7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819218D0/en
Application filed by 자팜 그룹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자팜 그룹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20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01Hair straightening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45D1/1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of helical or zig-zag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a ceramic component, e.g. heater, styl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45D2001/045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the power being supplied by batteries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 스타일링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어 스트레이트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헤어 스타일링 기기(10; 210)는 제1 아암(12; 212)과 제2 아암 (14; 214)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아암은 동작 상태와 비동작 상태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제1 부재(12; 212)는 제1 가열 패널 (16; 116; 216)을 구비하는 한편 제2 부재(14; 214)는 제2 가열 패널(18; 118; 218)을 갖는다. 상기 가열 패널(16, 18; 116, 118; 216, 218)은 가열 패널 사이에서 모발이 반드시 지나야할 경로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파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가열 패널은 동작 상태에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어서 그 사이의 모발을 압착하거나 클램핑하지 않는다. 상기 l제 부재(12; 212)는 제1 압착 패널 (26; 126; 226)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제2 부재(14; 214) 역시도 제2 압착 패널 (28; 128; 228)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압착 패널은 동작 위치에서 맞물려서 압착 패널 사이에서 모발의 압착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헤어 스타일링 기기
본 발명은 헤어 스타일링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어 스트레이트너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일반적인 헤어 스트레이트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모발을 스트레이트닝하거나 모발에 웨이브를 부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여성 모발의 헤어 스트레이트닝에 사용하는 것을 다루고 있으나, 본 발명은 물론 남성에게도 사용될 수 있다.
여성의 모발에 있어서, 자연스런 스트레이트 모발에 웨이브나 컬을 부가하거나 웨이브나 컬링된 모발을 자연스럽게 스트레이트닝하는 등의 스타일링 바램은 오래 전부터 이어지고 있다. 모발의 스타일링을 위해서는 모발에 자연스러운 형태를 부여하는 화학적 결합의 일부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상기의 화학적 결합은 파마 용액(perming solution)을 이용한 화학적으로, 열 및/또는 압력의 적용을 통해서 변경될 수 있다.
헤어 스트레이트너는 모발의 스타일링을 위해 열과 압력을 이용하는 특별한 형태의 헤어 스타일링 기기이다. 헤어 스트레이트너는 가열된 "다리미(iron)"과 평탄면 사이에서 모발을 압착하는 것과 같이 모발을 다림질하는 동작을 모사한다는 사실을 반영해서 처음에는 "스트레이트닝 아이롱"으로 불리웠다.
대부분의 헤어 스트레이트너는 서로에 대해서 힌지회동하는 한쌍의 아암으로 이루어지고, 이때 각 아암은 전기 가열 패널이 구비된다. 상기 아암이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는 선택된 모발 가닥의 두피쪽 단부를 아암들 사이에 삽입하고 나서 아암을 서로 눌러 모발 가닥이 가열 패널들 사이에서 압착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헤어 스트레이트너는 두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을 함에 따라 모발 가닥은 패널들 사이에서 당겨진 채로 가열 및 압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모발은 상기 패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모발에 적용된 열과 압력에 의해서 스타일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모발의 스트레이트닝을 위해서 상기 가열 패널은 상기 두피에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한편 상기 모발 가닥은 상기 패널들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직선적인 방향에서 당겨지도록 아암이 배향된다. 한편, 모발이 가열 패널을 지나면서 상대적으로 날카로운 모서리 주위에서 모발을 굴곡시키는 힘이 가해지도록 두피에 대한 아암을 방향지움으로써 모발 가닥에 웨이브나 컬을 부가하는 용도로도 헤어스트레이트너가 사용될 수도 있다.
헤어 스트레이트너에 세라믹 히터가 적용됨에 따라 헤어 스트레이트너의 용도가 상당히 증가되었다. 세라믹 히터는 가열 패널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세라믹 히터는 히팅 패널로 하여금신속하고도 오래 지속되는 스타일링을 가능하게 하는 온도로 인식되고 있는 200℃를 넘는 온도에 손쉽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세라믹 히터의 사용은 제조업자들이 가열 패널의 폭을 감소시킬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세련된 외관의 제품을 제공할 수가 있다. 특히, 가열 패널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스타일링을 위해 모발에서 요구되는 온도에 보다 빠르게 도달할 수 있고; 패널은 모발을 소정의 스타일링 온도에 이르도록 하는데 필요로 했던 이전만큼의 넓은 폭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모발 유형들간의 차이로 인해서, 모든 여성에게 오래 지속되는 스타일링을 생성하기에 효과적인 유일한 열과 온도의 조합은 있을 수가 없다. 대신에 개개인은 실습을 통해서 가열 패널 사이의 모발 가닥에 얼마만큼의 압력을 가해야 하는지, 그리고 자신의 특정한 모발에 대해 소정의 스타일링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얼마나 빨리 자신의 두피로부터 가열 패널을 이동시켜야 하는지를 알아낼 필요가 있다. 많은 경우에 사용자는 가열 패널 사이의 동일한 모발 가닥을 소정의 스타일링이 완성되기까지 한 번 이상 가열 패널 사이로 통과시키게 될 것이다.
상기 가열 패널에 가해진 열과 압력은 모발의 큐티클(cuticle)을 납작하게 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모발은 원래가 실질적인 원형 단면을 취하고 있으나, 큐티클을 납작하게 함으로써(그리고 그에 따라 단면을 납작하게 함으로써) 모발의 반사를 증가시키는 한편 모발의 윤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수의 사용자는 큐티클을 납작하게 해서 얻어지는 증가된 윤기로 말미암아 헤어 스트레이트너가 자신의 모발이 한층 건강하게 보이도록 한다고 믿는다.
일부의 헤어 스트레이트너 제조업체들은 헤어 스트레이트너가 좀 더 효과적이면서도 가열 패널이 모발을 벗어날 때 적극적으로 냉각을 행함으로써 스타일이 보다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도록 노력해 왔다. 일례로 미국특허 제6,354,305호에는 그 사이에 눌려진 상태로 모발의 통과가 이루어지는 서로 대향하는 가열 패널에 의해서 형성된 곡선형 가열 영역을 갖는 헤어 스트레이트너가 개시되고 있다. 대향하는 냉각 표면에 의해서 별도의 곡선형 냉각 영역도 제공된다. 사용자는 모발 가닥이 모발을 부드럽게 하면서도 스타일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기 가열 영역을 통과시키고, 이어서 스타일링이 "냉동된"다고 불리워지는 상기 냉각 영역으로 상기 모발을 통과시키게 된다. 미국특허 제6,354,305호는 상기 가열 및 냉각 영역이 평탄하면서도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또 다른 배열을 보여주고 있다.
유럽특허 EP 1 909 609에는 기존의 헤어 스트레이트너와 유사한 형태로서 그 사이에 사용자의 모발이 통과되는 서로 대향하는 가열 패널이 구비된 한 쌍의 아암으로 이루어진 헤어 스타일링 기기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아암은 또한 서로 대향하는 냉각 패널을 구비하고 있어서 사용자는 냉각 패널이 뒤따르는 가열 패널 사이로 모발을 통과시킬 수 있게 되어서 상기 모발은 대향하는 패널의 각 쌍 사이에서 압착된다.
영국특허 GB 2 498 417호의 헤어 스타일링 기기에는 어느 정도 유사하기는 하나 가열 패널의 타측에 냉각 패널이 구비된 배열이 개시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24122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0- 0010088호 및 제2013-0116097호에도 그 사이로 모발이 압착 상태로 통과되는 가열 패널과 냉각 패널을 갖는 헤어 스트레이트너가 개시되어 있다.
국제특허출원 WO2008/062293호에는 대향하는 가열 패널과 냉각 패널을 갖는 한 쌍의 아암이 구비된 헤어 스트레이트너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발명의 일실시예에는 각 아암의 냉각 패널이 상기 가열 패널에 대해서 피벗 회동이 가능하여 사용자는 가열 패널만 이용하거나 냉각 패널이 뒤따르는 가열 패널을 이용할 수 있다.
헤어 크림퍼는 또 다른 형태의 헤어 스타일링 기기이다. 헤어 크림퍼는 파형 가열 패널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헤어 스트레이트너와 차이를 보인다. 헤어 스트레이트너에서는 패널들이 서로 압착하는 때에 가열 패널들 사이에서 모발이 이동되는 것과는 달리 헤어 크림퍼에서 모발은 크림핑 패널들 사이에서 스타일링이 셋팅되기까지 정지된 상태로 클림핑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발 가닥의 일부를 클램핑함에 의해서 모발 가닥의 개별적인 부분을 스타일링하게 되고, 이어서 가열 패널을 분리시킴과 아울러 모발 가닥의 다른 부분을 클램핑하기 전에 모발 가닥을 따라 상기 가열 패널을 재위치시킨 상태에서 모발 가닥의 전체에 대한 스타일링이 이루어질 때까지 계속해서 순차적으로 스타일링을 행하게 된다.
점보 웨이버를 포함한 헤어 웨이버는 헤어 크림퍼와 동일한 동작 원리를 공유하는바, 사용자의 모발에 보다 큰 크기의 웨이브를 형헝하기 위하여 보다 큰 파형을 갖는다는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헤어 스트레이트너와 헤어 크림퍼 및 헤어 웨이버는 서로 대향하는 가열 패널의 특징을 공유하는 한편 사용자는 상기 가열 패널 사이에서 자신의 모발에 압력을 가하여 모발의 스타일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작 원리도 공유하고 있긴 하나, (통상적으로) 헤어 스트레이트너에서의 모발은 가열 패널 사이에서 이동됨에 반해서 (통상적으로) 헤어 크림퍼 및 웨이버에서 모발은 가열 패널 사이에서 이동되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압착(press)"과 클램프(clamp)"(그리고 이들의 파생어)란 단어는 종종 호환가능하게 사용될수 있는바, 본 명세서에서 "압착"이란 단어는 스트레이트너 등에서 패널에 대해서 상대적인 이동을 하는 모발에 압력을 가해서 스타일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사용되고, "클램프"란 단어는 헤어 클림퍼 등에서 패널에 대해 정지된 상태에서 압력을 가해서 모발의 스타일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유럽특허 EP 1 909 609에는 (가동) 클림핑 패널이 구비된 가열 영역과 냉각 영역의 이용, 다시 말하면 동일한 가열 및 냉각 패널을 갖는 동일한 아암이 평탄한 패널과 함께 헤어 스트레이트너로 또는 파형 패널과 함께 헤어 크림퍼로 이용될수 있음이 개시되고 있다.
유럽특허 EP 0 606 691에는 곱슬거리는(frizzy) 모발(다수의 적은 컬을 갖는)에 적합한 헤어 스트레이트너가 개시되고 있다. 기존의 헤어 스트레이트너와는 달리 상기 기기는 가열 패널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모발을 클랭핑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기존의 헤어 스트레이트너와는 달리 상기 가열 패널은 파형이다. 그런데 상기 파형은 상대적으로 얕아서 파장의 1/5 내지 1/30의 진폭을 나타내어 기존의 헤어 크림퍼/웨이버의 파형에 비해서 훨씬 얕다. 상기 헤어 스트레이트너는 상술된 기존의 헤어 크림퍼와 유사하게 사용되는바, 즉 사용자는 모발 가닥의 일부를 클램핑하여 모발 가닥의 개별 부위를 순차적으로 스타일링하고, 이어서 모발 가닥의 다른 부위를 클램핑하기 전에 가열 패널을 분리시킴과 아울러 이들을 모발 가닥을 따라 재-위치시키게 된다. 상기 파형은 그 사이에 모발이 반복적으로 클램핑됨에 따라 모발이 확실하게 곧게 펴지도록 한다.
유럽특허 EP 0606 691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파형 가열 패널은 각기 평탄한 (1차) 가열 패널에 연결된 2차 가열 패널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형 가열 패널을 함께 클램핑될 수 있는 반면에, 평탄한 가열 패널과 약 0.4mm 만큼 떨어져 있다. 상기 평탄한 가열 패널은 가열 패널의 전체 폭 중에서 약 1/3을 차지하고 나머지 2/3는 파형 가열 패널로 이루어진다. "1차" 및 "2차"라는 단어는 기기의 사용시에 파형 패널들 사이에서 클램핑되기 전에 평탄한 패널들 사이에서 가열된다는 사실을 반영하여 사용되고 있다.
유럽특허 EP 0606 691가 주로 모발을 파형 패널 사이에서 클램핑 하는데 사용됨에 불구하고, 모발이 파형 패널들 사이에서 압착되는, 즉 기존의 헤어 스트레이트너와 유사하게 상기 평탄한 패널과 파형 패널이 함께 모발의 뿌리 부위로부터 자유단부까지의 모발 가닥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마무리 단계가 개시되고 있다.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일상적이고도 반복된 사용, 그리고 특히 모발에 대한 과도한 스타일링은 모발을 손상시킬 수 있다. 헤어 스트레이트너 및/또는 헤어 크림퍼의 일상적이고도 반복적인 사용은 일예로 모발에 오래 지속되는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모발을 고온으로 가열하고, 모발에 큰 압력을 가하며, 가열 패널을 두피로부터 잡아당기면서 모발을 스트레칭하는 것은 특히 이들의 영향들이 조합될 때 오래 지속되는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헤어 스타일링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는바, 특히 오래 지속되는 스타일링을 생성하는데 기존의 기기만큼 효과적이면서도 사용자의 모발에 초래되는(또는 초래될)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헤어 스트레이트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제1 부재와 제2 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부재는 닫히거나 동작 상태와 열리거나 비동작 상태 사이에서 서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제1 가열 패널을 갖고 상기 제2 부재는 제2 가열 패널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가열 패널은 파형으로서 모발 가닥이 이들 사이를 이동함에 따라 모발 가닥의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열 패널은 비동작 상태에 비해 동작 상태에서 서로 더 가까워지며, 동작 상태에서 서로 떨어짐에 따라 모발 가닥은 사용시의 가열 패널 사이에서 압착되지 않고, 상기 제1 부재도 제1 압착 패널을 구비하고, 제2 부재도 제2 압착 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압착 패널은 실질적으로 평탄하고 동작 상태의 가열 패널에 비해서 서로 더 가깝게 위치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모발 가닥에 열과 압력을 동시에 가할 필요가 없고, 그 대신에 이들 동작은 어느 정도 분리될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모발 가닥은 가열 부재 사이를 통과하면서 연속적인 가열이 가능하긴 하나 그렇게 통과하는 일부만이 압착될 뿐이다. 이에 따라 모발 가닥은 한층 짧아진 경로와 기존의 헤어 스트레이트너에 비해 이상적으로는 훨씬 짧은 시간에 가열, 압착 및 스트레칭의 조합된 효과를 겪을 수 있음으로 해서 모발에 손상이 초래될 위험을 줄일 수가 있다.
파형 가열 패널을 제공함으써 패널의 전체 폭을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모발 가닥이 가열 패널 사이를 통과하면서 지나게 되는 경로의 증가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유럽특허 EP 0606 691에서 밝히고 있는 것과는 반대로 주어진 이동 속도 하에서 모발 가닥은 동일한 전체 폭의 평탄한 패널에 비해 파형 패널 사이를 더 길게 통과하게 될 것이다. 더 길어진 이동 시간은 모발 가닥이 가열 패널 사이의 가열 영역을 벗어나기 전에 도달하게 될 온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미적 외관의 향상을 위해서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전체 폭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럽특허 EP 0606 691와는 반대로 상기 압착 패널은 모발이 압착 패널을 통과하면서 거쳐야하는 모발 가닥의 경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실질적으로 평탄하다. 가열, 압착 및 스트레칭의 조합된 효과는 모발이 압착 패널 사이를 통과하면서 겪게 되고, 그와 같은 조합된 효과가 이루어지는 경로를 줄임으로써(그리고 그에 따른 시간도)모발의 손상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더하여, 실질적으로 평탄한 압착 패널이 모발을 스트레이트닝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기존의 헤어 스트레이트너와는 달리, 평탄한 패널은 요구되는 열의 전부를 모발에 부과하거나 소정의 스타일링을 형성하기 위해서 모발을 압착할 필요가 없다. 모발은 평탄한 압착 패널로 진입하기 전에 그리고 어떠한 압착이 일어나기 이전에 파형 가열 패널 사이에서 스타일링 온도로 가열된다. 가열된 모발 가닥은 평탄한 압착 패널을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빠르게 스타일링이 이루어지게 될 것으로 예견되기에 상기 압착 패널은 기존 헤어 스트레이트너의 가열 패널에 비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어진 이동 속도 하에서 모발 가닥은 기존의 헤어 스트레이트너에 비해 짧아진 시간 동안에 압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서 모발이 상기 압착 패널 사이에서 스타일링의 온도에서 유지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모발의 손상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 예를 들면 기존의 헤어 스트레이트너는 20mm 이상의 폭을 갖는 가열 패널을 구비하고 있음에 반해서, 본 발명의 압착 패널은 스타일링 성능의 저하를 초래함이 없이 20mm 폭 보다 훨씬 적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압착 패널은 전용 (세라믹) 히터에 의해서 직접 가열되거나 가열 패널로부터의 전도에 의해서 간접 가열될 수 있다. 압착 패널의 온도는 경우에 따라서는 가열 패널과 같거나 거의 같을 수 있다. 압착 패널 사이의 조합된 가열과 압착에도 불구하고, 압착 패널의 폭이 좁을수록 모발의 손상가능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모발은 스타일링 온도로 가열된 때에 가장 손상되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헤어 스트레이트너에서 모발은 가열 패널이 스타일링 (최대) 온도로 유지되는 동안에 가열 패널 사이에서 압착된 상태로 이동된다(그리고 대개 당겨지고 늘려진 가운데). 압착 패널의 잠재적인 온도 저하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모발에 가장 취약한 동안에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고 눌려지는 경로(및 시간)를 줄이도록 하는 압착 패널의 폭 감소가 가능해지게 된다.
깊은 파형은 얕은 파형에 비해서 이동 경로를 증가시킬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깊은 파형은 가열 패널 사이에서 모발의 이동에 대한 마찰 저항을 증가시키게 될 것이다. 따라서, 모발이 가열 패널 사이에서 압착되지 않더라도 모발이 반드시 파형을 따라야 한다는 사실은 모발 가닥에 에 대하여 드래그(drag)를 초래하게 될 피크와 필연적으로 결합하게 될 것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깊은 파형은 모발의 이동 경로를 최대화하고, 얕은 파형은 드래그를 최소화하게 될 것이다.
가열 영역에서 모발에 대한 드래그는 필요에 따라 가열 패널에 저마찰 코팅을 비롯한 파형 피크(모발에 대한 전체 드래그의 상당 부분이 파형 피크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에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롤러는 필요에 따라 가열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가열 패널의 나머지 부위에 비해서 약간 낮은 온도를 유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낮아진 온도에 있는 가열 패널 부위에만 직접적으로 결합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파형의 피크에 절연 물질이 위치하여 모발과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가열 패널의 온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파형에 의해 정해진 스타일을 획득하기 위해서 파형 가열 패널 사이에서 모발의 클램핑이 이루어지는 헤어 클램프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 모발은 상기 피크와 골을 지나서 이동함에 따라 파형에 의해서 스파일링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파형은 모발이 가열 패널 사이에서 복잡하고 길어진 경로를 따르는 이동을 유도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일차적으로 모발이 가열 패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열 패널의 양쪽 피크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가열 패널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신속하게 열을 획득하게 된다. 이차적으로는 모발 가닥이 가열 패널 사이에 긴 시간 동안(헤어 스트레이트너의 주어진 이동 속도로)남아 있도록 함으로써 모발이 열을 획득할 수 있는 시간이 증가된다.
압착 패널은 사용시에 제1 및 제2 가열 패널에 비해서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럽특허 EP 0 606 691에서 파형 패널이 평탄한 패널과 동일한 온도로 가열되는 것과 달리, 그리고 본 발명의 압착 패널이 가열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압착 패널은 가열 패널에 비해서 상당히 낮은 온도로 가열되어서 모발 가닥이 가열 패널로부터 압착 패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온도에 있어서의 상당한 저하를 접하게 된다. 압착 패널이 가열되는 실시예에서, 가열 패널과 압착 패널 사이의 온도 차이는 아마도 30 ∼ 60℃로 유지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보다 더 크거나 적은 온도차가 유지될 수도 있다. 상기 모발(및 상기 압착 패널)이 상기 압착 패널 사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주위의 온도에 비해 상당히 뜨거울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모발은 가열 영역을 지나면서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압착 패널에 의해서 모발에 가해지는 압력은 가열 패널(그리고 기존의 헤어 스트레이트너의 패널 보다도 낮은 온도에서)에 의한 것보다 낮은 온도에서 일어나게 되어서 이 또한 모발의 손상을 상당히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제1 압착 패널은 동작 위치와 비동작 위치 사이에서 제1 가열 패널에 대해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고, 제2 압착 패널은 가동 위치와 비가동 위치 사이에서 제2 가열 패널에 대해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압착 패널은 독자적으로 모발을 스타일링하기에는 너무 좁아서(그리고 충분히 뜨겁지도 않으며) 가열 패널과 함께인 경우에만 작동하도록 설계된다. 두피측의 모발을 신속하게 스타일링하기 위해서는 모발의 해당 부위에 가열 패널을 직접 적용할 필요가 있다. 상기 압착 패널은 헤어 스타일링 기기가 두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과정에서 모발을 따라서 가열 패널을 "뒤따르기" 때문에,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압착 패널은 스타일링 동작의 초기 부위 동안에 멀어지게 이동하여서 두피 인근의 모발에 대한 스타일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압착 패널은 헤어 스타일링 기기가 사용자의 두피로부터 충분히 멀리 이동한 때에 자신의 압착 위치로 이동해서 사용자의 두피에 인접한 가열된 모발을 압착하게 된다.
동작 상태에 있는 가열 패널은 적어도 0.5mm, 이상적으로는 1mm 이상 및 3mm정도만큼 서로 떨어져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패널 사이의 갭이 적기는 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열 패널 사이에서 압착됨이 없이 통과하여 모발의 "리본(ribbon)"(즉, 얕으면서도 폭이 넓은 단면)이 이루어지도록 하기에는 충분하다.
파형의 수는 용도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파형은 주로 가열 패널 사이의 모발에 대한 통과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하나의 큰 파형에 의해서 또는 여럿의 적은 파형에 의해서 동일하게 증가된 경로 길이를 얻을 수 있는 바, 이들 둘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각 가열 패널 상에 적어도 하나의 파형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가열 패널 상에 적어도 두 개의 파형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 패널은 동작 상태에서 서로 떨어져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그 사이에서 모발이 통과하는 부위까지도 포함한 가열 패널의 격리된 부위가 닿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모발에 가해지는 드래그 저감을 위해서 파형의 일부 또는 모두의 피크에 롤러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롤러는 다른 가열 패널의 트로프(trough)와 맞물릴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발이 롤러를 통과함에 따라 모발 가닥이 순간적으로 통과하게 될 것인바, 그와 같은 가열된 모발의 순간적인 통과는 모발의 손상 우려를 심각하게 증가시키지는 않을 것으로 예견된다.
그러나, 상기 가열 패널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제1 부재나 아암 그리고 제2 부재나 아암은 동작 상태에서 가열 패널 사이에 소정의 갭을 유지하도록 하는 적어도 한 세트의 연동 간격 형성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제1 및 제2 단부와 함께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부재는 부재들의 제1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피벗 조인트(pivoting joint)에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동 간격 형성구는 부재들의 제2 단부, 즉 간격 기능(spacing function)에 있어서 특히 효과적인 피벗 조인트의 반대편 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재들의 제2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두개의 연동 간격 형성구가 바람직하고, 이들 두개의 연동 간격 형성구는 부재들을 가로질러서 서로 떨어져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부재나 아암과 제2 부재나 아암은 동작 상태에서 부재들의 정렬(및 그에 따라 가열 및 압착 패널의 정렬을 유지하는)이 유지되도록 작용하는 적어도 한 세트의 연동 정렬 형성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렬 부재는 패널들이 비동작 상태로부터 동작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각 패널이 적절한 정렬을 이루도록 하는 가이드 기능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상기 제1 부재나 아암 및/또는 제2 부재나 아암은 평면도 상에서 비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기는 모발이 압착 패널 사이를 통과하기 전에 가열 패널 사이를 통과하도록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두피와의 관계에서 기기의 옳바른 방향을 사용자에게 상기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대칭 부재(또는 부재들)는 사용자에게 올바른 방향으로 상기시켜 주기에 효과적인 방식이다. 상기 비대칭은 부재(들)의 일측면 모서리를 따르는 불연속(일예로 단차 등)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차는 부재들의 핸들부 부근에 위치하는바, 핸들부와 가열 및 압착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상기 압착 패널은 가열 패널을 향해서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게 이동가능하게끔 배열될 수 있는바, 특별히 가열 패널에 결합되고 분리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상기 압착 패널은 각 패녈이 결합된 때에 가열 패널로부터의 전도에 의해 수동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압착 패널은 그 사이의 압착 패널의 온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그리고 가열 패널과 압착 패널 사이의 온도 차이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에어 갭을 유지한 상태로 가열 패널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제1 부재 및 제2 부재로 이루어진 헤어 스타일링 기기가 제공되는데,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부재는 동작 상태와 비동작 상태 사이에서 서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제1 가열 패널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제2 부재는 제2 가열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열 패널은 모발 가닥이 이들의 사이를 이동함에 따라 동작 상태에서 서로 간격을 유지한 채 모발 가닥을 가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발 가닥은 사용시에 제1 및 제2 가열 패널 사이에서 가열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부재는 제1 압착 패널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제2 부재도 제2 압착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압착 패널은 실질적으로 평탄하며, 상기 모발 가닥은 사용시 제1 및 제2 압착 패널 사이의 압착 경로를 따라서 이동하며, 가열 경로의 길이는 압착 경로의 길이보다도 크다.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특징에 의해서 모발의 주어진 길이는 상기 압착 패널 사이보다는 상기 가열 패널 사이에서 보다 긴 경로(그리고 그에 따라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를 갖게됨이 명확해지게 되고; 가열 패널 사이에서 보다 많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모발 가닥은 더 많은 열을 확보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온도를 더 높일 수 있고; 압착 패널 사이에서 더 짧은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모발이 열과 압력이 조합된(그리고 잠재적인 손상) 효과를 겪게 되는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상기 가열 경로의 길이는 압착 경로 길이의 적어도 2배, 이상적으로는 적어도 3배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제1 부재와 제2 부재로 이루어진 헤어 스타일링 기기가 제공되는데,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부재는 동작 상태와 비동작 상태 사이에서 서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제1 가열 패널을 구비함과 아울러 제2 부재는 제2 가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열 부재는 모발 가닥이 이들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라 모발 가닥을 가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열 패널은 비동작 상태에 비해 동작 상태에서 서로 더 근접되고 상기 제1 부재는 제1 압착 부재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제2 부재 역시 제2 압착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압착 패널은 평탄하며 적어도 3mm의 폭을 갖는다.
상기 제3의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열 패널은 동작 상태에서 이격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 기술적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가열 패널이 전체 폭에 걸쳐서 다른 가열 패널에 접촉하더라도 동작이 가능함에 따라 가열 패널은 사용시 패널들 사이에 모발이 존재할 때에만 서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정렬에서는 모발 가닥이 가열 패널 사이에서 압착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덜 바람직하기는 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헤어 스타일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평탄한 패널의 최소 폭은 평탄한 부분이 없이 파형 가열/압착 패널을 갖는 기존의 점보 웨이버 등과는 구별된다.
상기 제1 및 제2 부재는 동작 상태에서 결합하는 연동 형성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부재의 형성은 상기 제2 부재의 형성과 연동해서 부재들의 상대적인 닫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동작 상태를 규정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 패널은 동작 상태에서 떨어져 있고, 그 떨어진 간격은 암착 패널의 맞물림 및/또는 연동 형성구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연동 형성구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사용시에 구조적인 강성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이들이 동작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부재를 가이드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상기 연동 형성구는 상기 제1 및 제2 부재 중 일측 상의 돌기나 기립구 (upstand)와 상기 제1 및 제2 부재의 타측 상의 대응되게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헤어 스트레이트너와 마찬가지로, 상기 압착 패널은 필요에 따라서는 냉각 유체(주변 공기 등의), 냉매 또는 펠티에 효과(Peltier effect)에 의해서 능동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체(등)는 압착 패널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예를 들면, 상기 압착 패널은 방열핀 등과 열적 연결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압착 패널을 냉각시키지 않고서도 효과적인 헤어 스타일링을 제공할 수 있다.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각 기술적 특징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징은 호환가능한 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의 어떠한 특징이나 모든 특징들과 결합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2는 하나의 구현가능한 구조에서 제2 실시예의 가열 및 압착 패널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3은 다른 구현 가능한 구조에서 제2 실시예의 가열 및 압착 패널의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상향 사시도이며,
도5는 도4의 기기에 대한 하향 사시도이고,
도6은 도4의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가열 패널과 압착 패널을 통한 단면도이다.
도1에서 요부만으로 도시된 헤어 스타일링 기기(10)는 제1 부재나 아암(12)과 제2 부재나 아암(14)로 이루어진다. 기존의 방식에서, 상기 제1 및 제2 아암은 도1에 도시된 열린 또는 비동작 상태와 닫힌 또는 동작상태(도면 미도시) 사이에서 서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아암(12, 14)은 기존에 알려진 바의 힌지나 피벗 조인트에 의해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 아암(12)은 제1 가열 패널(16)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아암(14)은 제2 가열 패널(18)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가열 패널(16, 18)은 각기 금속재로서 각기 세라믹 히터(20)를 갖는다, 상기 세라믹 히터(20)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 (10)의 컨트롤러(도면 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전류에 의해서 작동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열 패널(16, 18)의 온도를 몇가지 별개의 온도 중 하나로 제어하여 사용자가 실습을 거쳐 자신의 모발에 최적 셋팅 온도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의 비동작(열린) 상태의 가열 패널(16, 18)은 가열 패널(16, 18) 사이로 선택된 모발 가닥의 도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거리만큼 벌어져 있다. 상기 헤어 스타일링 기기(10)는 상기 아암(12, 14)을 갖는 기존의 헤어 스트레이트너와 유사하게 아암의 타측 단부가 오픈 갭을 유지한 채 아암의 일측 단부에서 피벗 조인트에 의해서 연결됨으로써 사용자는 가열 패널이 비동작 상태(도4 내지 도6의 제3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일 때 모발 가닥을 상기 오픈 갭과 상기 가열 패널(16, 18)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기존의 방식과 같이, 모발 가닥이 상기 가열 패널(16, 18) 사이에 삽입되는 때에 상기 스타일링 기기는 헤어 스타일링이 시작되고자 하는 사용자의 두피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의 두피에 대해서 올바르게 위치된 때에, 상기 아암(12, 14)은 도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함께 이동될 수 있는바, 특히 가열 패널(16, 18)이 서로 근접되는 동작 상태로 이동되어 모발 가닥이 가열 패널(16, 18)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적은 갭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가열 패널(16, 18)은 제2 가열 패널(18) 각각의 트로프 (24b) 및 피크(22b)와 대향하는 제1 가열 패널(16)의 피크(22a)와 트로프(24a)를 갖는 파형으로 형성된다(도2 및 도3의 실시예에서 유사한 대향 피크 및 트로프 참조).
상기 아암(12, 14)이 모여 들어 상기 제1 및 제2 가열 부재(16, 18)가 동작 상태일 때(도면 미도시), 상기 가열 패널(16, 18)은 이격된 상태로 남아서 모발 가닥은 가열 패널 사이에서 압착되지 않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가열 패널 (16, 18) 사이의 모발 가닥은 상기 모발이 가열 패널(16, 18)과 맞물림에 따라 주로 전도에 의해서 가열될 것이다.
파형을 통해서 두 가지 방식으로 모발 가닥의 가열이 향상된다. 첫째는, 모발 가닥이 상기 가열 패널(16, 18)을 통과함에 따라 반드시 거치게 되는 파형의 경로는 가열 패널의 주어진 폭에 대한 이동 경로를 증가시키키게 되고, 그에 따라 가열 패널 사이에서 모발 가닥이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된다{헤어 스타일링 기기(10)가 사용자의 두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의 주어진 이동 속도에 대하여}. 둘째는, 상기 파형 경로는 모발 가닥이 가열 패널(16, 18)의 피크(22a, 22b)에 맞물리도록 하는 결과를 낳고, 이와 같은 가열 패널과의 맞물림이 커질수록 모발에로의 열 전도가 커지게 된다.
상기 첫번째의 향상은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이해될 수 있는바, 모발이 가열 패널(116, 118) 사이를 통과함에 있어 모발 가닥(40)의 파형 이동 경로는 가열 패널의 전체 폭(W)에 비해 훨씬 길다.
상기 두번째의 향상 역시도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이해될 수 있는바, 모발 가닥(40)이 가열 패널(116, 118) 사이의 파형 경로를 취하도록 하면 모발 가닥은 가열 패널 사이에서 당겨지는 가운데 파형의 피크와 맞물리는 결과를 낳는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아암(12)은 또한 제1 압착 패널(26)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아암(14)도 제2 압착 패널(28)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압착 패널(26, 28)은 경우에 따라서는 가열 패널(16, 18)과 동일한 온도로 유지되거나 전용 세라믹 가열 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압착 패널(26, 28)은 사용시 상기 제1 및 제2 가열 패널(16, 18)에 비해서 낮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온도의 차이는 예를 들면 가열 패널 (16, 18)에 비해서 낮은 온도가 되도록 상기 압착 패널(26, 28)을 능동적으로 가열함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상기 압착 패널의 온도가 주변 온도와 유사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는 가열 패널과 압착부 사이의 에어 갭이나 열 장벽 및/또는 각 압착 패널(26, 28)의 연장부 (32, 34)에 방열핀을 장착함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도1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압착 패널(26)은 상기 제1 가열 패널(16)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2 압착 패널(28)은 상기 제2 가열 패널(18)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각각의 압착 패널(26, 28)은 도1에 도시된 바의 비동작 상태와 동작 상태(도면 미도시) 사이에서 가열 패널(16, 18)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동작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압착 패널(26, 28)은 모발 가닥을 그 사이에서 압착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근접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각 압착 패널은 그 아암의 가열 패널에 대해서 고정되어 각 아암의 가열 패널과 압착 패널은 동작 상태와 비동작 상태 사이에서 함께 이동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 아암의 가열 패널과 압착 패널 사이에 에어 갭이나 열 장벽이 형성되어 압착 패널의 온도는 가열 패널과는 독립적으로(바람직하기로는 가열 패널에 비해 낮은 온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서, 각 압착 패널(26, 28)은 각각의 가열 패널(16, 18)에 직접 장착되어 점선으로 도시된 경로(30)를 따라서 가열 패널에 대해서 이동이 가능하다{상기 곡선 경로(30)는 일예로 각 압착 패널 단부의 돌출 보스가 따라서 슬라이드할 수 있는 채널을 나타낸다}.
따라서, 모발 가닥이 가열 패널(16, 18)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모발 가닥의 압착은 이루어지지 않으나 상기 압착 패널(26, 28)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발 가닥은 모발 가닥을 스타일링하는데 요구되는 바에 따라 가열 및 압착이 이루어지는바, 이들 두 동작은 상기 헤어 스타일링 기기(10)의 상이한 부분에 의해서 개별적으로(및 순차적으로) 효과적으로 수행된 다.
상기 압착 패널(26, 28)은 도1에서 일반적으로 타원형인 것으로 도시되고 있는바, 그에 따라 이들은 동작 위치에서 비교적 적은 접촉 면적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압착 패널의 접촉 영역은 접촉 면적의 증가를 위해서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도2 및 도3에서와 같이). 그러나 타원형인 경우에 있어서도 모발이 압착 패널(26, 28)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전에 가열된 모발에 대한 압력은 모발 가닥을 스타일링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도1에는 비동작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압착 패널((26, 28)이 가열 패널 (16, 18)과의 정렬을 벗어나게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열 패널(16, 18)은 상기 압착 패널(26, 28)에 방해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두피 가까이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사용중에 상기 압착 패널(26, 28)은 스타일링될 모발 가닥을 따라 가열 패널(16, 18)을 "뒤따르는(follow)"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두피와 매우 근접되게 스타일링을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 상기 가열 패널(16, 18)은 스타일링 동작의 시작 시점에 사용자의 두피에 매우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을 것이 요구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패널(16, 18)에 대해 압착 패널(26, 28)을 이동시킴으로써 가열 패널(16, 18)이 사용자의 두피에 매우 가깝게 이동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두피 가까이에 있는 모발이 가열되고, 헤어 스타일링 기기(10)가 사용자의 두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됨에 따라 상기 압착 패널(26, 28)은 가열된 모발을 압착하여 스타일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작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본 실시예는 도시되고 아래에서 설명되듯이 두 개의 가능한 구조(동작 및 비동작 위치 모두에서)를 갖는다. 도2 및 도3 모두 동작 상태의 가열 패널(116, 118)과, 동작 상태의 압착 패널 (126, 128)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도1을 참조하게 되면, 상기 패널 (116, 126)을 동반하는 상기 제1 부재나 아암(도면 미도시)과, 패널(118, 128)을 동반하는 상기 제2 부재나 아암은 기존의 헤어 스트레이트너와 유사한 방식으로 멀어지게 이동하여 각 패널을 분리시키게 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압착 패널(126, 128)은 가열 패널로부터 떨어진 비동작 위치로 이동될 수도 있어서 가열 패널의 후단부(T)가 스타일링 작업의 시작시에 사용자의 두피로 매우 가깝게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 패널(116, 118)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은 세라믹 히터(120)를 구비한다. 상기 압착 패널(126, 128) 역시도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 요소를 구비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상기 압착 패널(126, 128)은 압착 패널에서 필요로 하는 온도에 따라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의 두 구조 사이에서 가열 패널(116, 118)에 대하여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도2에서 각 압착 패널(126, 128)은 각각의 패널(116, 118)과 맞물리고, 압착 패널이 금속재임에 따라 이들 압착 패널들은 전도에 의해서 상기 가열 패널로부터 열을 얻게 된다. 상기 구조에서는 특별히 사용시에 압착 패널(126, 128)의 온도가 가열 패널(116, 118)의 온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도3의 위치에서는, 압착 패널(126, 128)이 각각의 가열 패널(116, 118)로부터 간격(S)만큼 떨어져 있고, 상기 간격(S)에 의해서 에어 갭이 제공됨에 따라 가열 패널(116, 118)로부터의 어떠한 전도도 피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압착 패널(126, 128)은 도2 및 도3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다른 연결 부품을 통한 전도와, 사용시에 압착 패널 사이를 통과하는 모발 가닥(40)에 의한 전도, 및 복사와 대류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긴하나, 도3에 도시된 압착 패널(126, 128)은 도2에 도시된 구조에 비해서 매우 낮게 유지될 것이다. 상기 간격(S)은 압착 패널과 가열 패널 사이가 소정의 온도 차이로 설정되도록 사용자에 의해서(또는 컨트롤러에 의해서) 조정되어질 수 있다.
도2 및 도3에는 모발 가닥(40)이 도시되어 있다. 모발 가닥의 단부(42)는 두피측 단부이고, 모발 가닥의 단부(44)는 자유 단부이다. 기존의 헤어 스트레이트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먼저 가열 패널(116, 118)을 두피에 인접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중에 기기가 두피로부터 멀어지게, 다시 말하면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의 좌측 방향으로 향해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모발 가닥(40)은 압착 패널(126, 128)이 상기 가열 패널(116, 118)을 뒤따르는 가운데 두피측 단부(42)로부터 자유 단부(44)측으로 점진적인 스타일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먼저 가열 패널(116, 118) 사이를 통과하면서 스타일링 온도로 가열되고(압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이어서 압착 패널(126, 128) 사이에서 압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제3 실시예의 헤어 스타일일 기기는 제1 부재나 아암 (212)과 제2 부재나 아암(2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아암은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의 열린 또는 비동작 상태와 도6에 도시된 바의 닫힌 또는 비동작 상태 사이에서 서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아암(212, 214)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각각 핸들부 (232, 234)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아암(212, 214)은 기존의 방식대로 힌지나 피벗 조인트(50)에 의해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기존의 방식대로 상기 아암(212, 214)은 도4 및 도5의 비동작 상태로 피벗 조인트(50) 가까이에 위치하는 스프링(도면 미도시)에 의해 적절하게 바이어스되어 서로 떨어져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 아암(212)은 제1 가열 패널(216)을 갖고, 상기 제2 아암(214)은 제2 가열 패널(218)을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 가열 패널(216, 218)은 금속재로서 각기 세라믹 히터(220)를 구비한다(도6). 상기 세라믹 히터(220)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210)의 컨트롤러(도면 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전류에 의해서 동작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서로 다른 몇가지의 온도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가열 패널(216, 218)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해서 사용자로 하여금 실습을 통해서 자신의 모발을 셋팅하기에 최적인 온도를 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 및 도5의 비동작(열린) 위치에서, 가열 패널(216, 218)은 가열 패널 (216, 218) 사이에 선택된 모발 가닥이 도입되기에 충분한 거리만큼 떨어지게 된다. 기존의 방식에서와 같이, 모발 가닥이 아암(212, 214) 사이에 삽입되는 때에 상기 헤어 스타일링 기기는 소정의 헤어 스타일링이 시작되는 위치로서의 사용자의 두피 가까이로 이동되어질 수 있다.
사용자의 두피에 대해서 정확하게 위치된 때에, 핸들부(232, 234)는 도4 및 도5의 위치로부터 서로 눌려져서 도6의 동작 상태로 된다. 이러한 동작 상태에서 상기 압착 패널(226, 228)은 전체 영역에 걸쳐 서로 실질적으로 맞물리게 되고, 상기 가열 패널(216, 218)은 모발 가닥의 통과가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의 좁은 갭을 유지한 상태로 서로 근접된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서 가열 패널이 일부 또는 전체 폭에 걸쳐 서로 맞물리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지라도, 바람직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 패널(216, 218) 사이에는 제어된 갭이 유지되어 모발 가닥이 그 사이에서 압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1 및 제2 가열 패널(216, 218)은 파형으로서 상기 제1 가열 패널 (216)의 피크와 트로프는 상기 제2 가열 패널(218)의 트로프와 피크 각각과 대향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가열 패널은 하나의 전체적인 피크와 하나의 전체적인 트로프(완전한 싸인 웨이부와 일응 유사한)로 이루어짐에 비해, 다른 실시예에서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완전한 피크 이하 및/또는 하나의 완전한 트로프 이하일 수 있거나, 하나의 완전한 피크 이상 및/또는 하나의 완전한 트로프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헤어 스타일링 기기(210)는 비동작 위치에서 가열 패널(216, 218)의 분리가 유지되도록 하는 연동 형성구를 갖는다. 제1 연동 형성구는 제1 아암(212)에 형성된 두 개의 성형 돌기(52, 54)와 제2 아암(214) 내에 대응 형성된 두개의 홈(56)이다{도5에는 하나의 홈(56)만이 도시되고 있다}.
상기 제2 연동 형성구는 제1 아암(212)에 형성된 성형 돌기(60)로서 제2 아암(214) 내의 홈(62)과 대응된다.
제3 연동 형성구는 제2 아암(214)에 형성된 성형 돌기(64)로서, 이는 제1 아암(212) 내의 홈(66)에 대응된다.
상기 연동 형성구의 정확한 수, 형상 및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본 발명을 저해함이 없이 형성구가 생략, 이동 또는 변경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 및 제3 연동 성형구의 위치와 형상이 이상적인바, 그 이유는 이들이 가열 패널(216, 218)의 피크와 트로프의 연장선이기 때문이다.
상기 아암(212, 214)이 동작 상태로 이동하는 때에 상기 성형 돌기(52)(및 54)는 홈(56)과 맞물리고, 성형 돌기(60, 64)는 각각의 홈(62, 66)과 맞물리게 되고; 그에 따라 제1 및 제2 가열 패널(216, 218)은 전체 영역에 걸쳐 소정의 갭을 유지하거나 분리된 상태로 떨어져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연동 형성구는 가열 패널(216, 218)의 어느 한쪽 단부에서 가열 패널의 어느 한 면에 함께 작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연동 형성구 모두는 사용 중에 제1 및 제2 아암에 작용하는 어떠한 불균형된 힘이나 편향력에도 불구하고 가열 패널 사이에서 단부간 분리와 면간 분리가 확실하고 일관되게 유지된다.
상기 헤어 스타일링 기기(210)는 기기의 비동작 상태에서 구조적인 안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연동 형성구(70)과 홈(72)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동 형성구 (70)는 경우에 따라서는 가열 부재의 구동을 위해서 홈(72) 내의 스위치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연동 성형구의 간격 형성 기능에 추가하여, 이들의 테이퍼링(tapering)이나 곡선 형상 또한 가이드나 정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가열 패널(214, 216)과 압착 패널(226, 228)이 동작 상태에서 적절하게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성형 돌기(226, 228) 각각은 각 홈(76) 내에 긴밀하게 위치하는 각각의 가이드부(74)가 구비됨에 따라 아암(212, 214)의 정확하고도 똑바른 정렬이 확실해지게 된다. 피벗 핀(50)에 대한 각 아암의 반대편 단부에서 가이드부(74)의 위치는 아암이 함께 동작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아암을 가이드하는데 있어서의 유용성을 최대화함과 아울러 사용 중에 가열 패널(216, 218)과 압착 패널(226, 228)의 정확한 정렬이 유지되도록 하는데 있어서의 유용성도 최대화한다.
상기 가열 패널(216, 218)은 상기 핸들부(232, 234)로부터 약간 오프셋된, 즉 반대편 모서리는 직선상임에 비해서 아암(212, 214)의 측면 모서리 일측은 단차 (80)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머리에 대해 기기의 방향이 올바르게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기기를 자신의 머리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켜서 모발 가닥이 먼저 가열 패널(216, 218) 사이를 통과한 연후에 압착 패널(226, 228)을 통과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느 쪽이 기기의 앞쪽이고 어느 쪽이 뒤쪽인가를 기기가 거울을 통해서 관찰될 때인 경우라도 쉽게 알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기를 비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표시를 제공하는, 다시 말하면 기기의 한쪽면에 형성된 단차(80)에 의해서 사용자의 머리 가까이에 놓여져야할 모서리의 시각적인 표시를 명확하게 제시하게 된다.
상기 단차(80)는 가열 패널(216, 218) 형성부측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기의 사용시에 사용자는 핸들부(232, 234)를 함께 누르게 될 것이고, 그에 따라 압착 패널(226, 228)을 함께 누르게 된다. 상기 압착 패널(226, 228)은 핸들과 일직선을 이루게 해서 일말의 편향력이라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아암(212, 214)의 가열 패널(216, 218)과 압착 패널(226, 228) 사이에는 직접적인 연결이 없고, 반대로 이들 사이에는 작은 에어 갭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압착 패널은 가열 패널과 인접함에 의해서 약간 가열될 것이기는 하나, 가열 패널에 비해서는 상당히 낮은 온도가 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착 패널(226, 228)은 자체적인 가열 부재(220)를 구비함으로써 압착 패널의 온도는 가열 패널의 온도와는 별개로 이상적인 낮은 온도로 제어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실질적인 변화로서, 가열 패널 (116, 118)의 폭(W)이 압착 패널(126, 128)의 폭(w) 보다 크게 되는, 이상적으로는 상당히 더 커서 모발 가닥인 사이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압착 패널 사이를 통과하는 데 비해서 훨씬 길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폭(W)은 약 35mm이고 폭(w)은 약 10mm - 15mm이다. 제3 실시예에서도 유사하게, 가열 패널(216, 218)의 폭이 특히 도6에 도시된 바의 압착 패널(226, 228)의 폭보다 월등히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의 한 바람직한 예에서, 가열 패널(216, 218)의 폭{도3의 폭(W)에 대응되는}은 35mm이고 압착 패널(226, 228)의 폭{도3의 폭(w)에 대응되는}은 12mm이다.
10 - 15mm 폭의 압착 패널(126, 128, 216, 218)은 압착 패널의 온도가 약 200℃라 하더라도 모발에 대해 효과적으로 스타일링을 행할 수 없을 것이다(이러한 이유로 해서 기존의 헤어 스트레이트너는 대개 20mm 이상의 폭을 갖는 가열 패널를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발은 가열 패널(116, 118) 사이에서 압착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 사이를 통과함에 따라 효과적으로 스타일링되지 않을 것인바,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단계에서 약 200℃로 가열되어질 수 있다. 그 대신에 본 발명에서 모발의 스타일링에서는 가열 패널과 이를 뒤따르는 압착 패널이 조합이 요구된다. 따라서 모발은 단지 10 - 15mm 폭 정도인 패널들 사이에서의 압착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스타일링이 이루어질 수 있고, 기존의 헤어스트레이트너에 비해 줄어든 패널 폭으로 인해서 모발의 손상 위험이 가장 높은 동안에 모발이 당겨지면서 압착되는 경로 길이(및 시간)을 줄임으로써 모발의 손상가능성이 감소된다.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모든 실시예의 아암(12, 14;212, 214)은 기존의 헤어 스트레이트너에서와 같이 탄성적으로 바이어스되어 서로 떨어져 있는바,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아암들을 파지하여 이들을 함께 누를 것이 요구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붙어 있도록 바이어스되어 사용시에 사용자는 이들을 서로 떨어지도록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하나의 적절한 대안적 구성에서는 아암의 핸들부와 가열 및 압착 패널 사이에 피벗을 구비한다). 후자의 구성에서는 동작 상태의 가열된 패널을 유지하기 위해서 아암을 파지할 필요가 없다는 일차적인 장점이 있으며; 특히 사용전에 기기를 가열하는 동안에 대기 중으로 손실될 수 있는 열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후자의 구조는 기기의 조작 중에 사용자가 예기치않게 가열 패널에 접촉될 가능성이 줄어들게 되어 화상 우려가 감소된다는 제2의 장점이 있다. 상기 후자의 구성에서는 동작 위치에서 압착 패널 사이의 압력은 사용자의 파지 보다는 스프링에 의해서(또는 여타의 탄성 바이어스 수단이나 일예로 마그네트에 의해) 제어됨에 따라 사용 중에, 특히 장시간 사용 중에 압착 패널 사이에서 보다 일관된 압력이 적용될 수가 있다는 제3의 장점이 있다. 상기 후자의 구성은 또한 기기의 미사용시에는 외관이 한층 세련되기도 하다.
제3 실시예의 바람직한 예에서 파형의 진폭은 파장의 약 1/3이고(진폭은 약 10mm이고 파장은 약 35mm); 필요에 따라 더 깊거나 더 얕은 파형(각각 진폭이 파장의 1/3 보다 크거나 적은)이 제공될 수 있다. 파형이 더 깊어지게 되면 가열 패널 사이를 통과하는 모발 가닥의 경로가 증가하게 됨과 아울러 가열 패널 사이의 모발 이동에 대한 마찰 저항 역시도 증가하게 된다. 도6에 도시된 바의 상대적이 진폭과 파장은 바람직하게 절충된 경우이다.
도4 내지 도6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제작되고 상술한 바의 형상과 치수를 구비한 가열 패널(216, 218)을 포함하는 실제의 헤어 스타일링 기기에서 가열 패널 사이의 모발 통과를 위한 경로 길이는 약 43mm로 된다. 따라서 가열 패널의 굴곡진 또는 파형의 형상에 의해서 모발이 소정의 스타일링 온도에 도달하기 충분한 경로 길이가 제공되지만, 기기의 전체적인 폭은 상당히 감소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파형의 진폭과 파장은 조정가능하게 제작될 수 있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 패널은 가요성 파형 시트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시트의 단부들로부터 안쪽으로 향하는 힘이 가해져서 파형의 파장이 줄어들고 진복이 증가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서 파형의 파장이 증가되고 진폭이 감소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압착 패널은 롤러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작은 접촉 영역을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이들 롤러는 미리 가열된 모발을 스타일링하기에 충분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열 패널은 파형의 외주면을 갖는 롤러로 이루어지고, 한 롤러의 파형 피크는 다른 롤러의 파형의 트로프와 느슨하게 맞물리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이상적으로는 상기 모발은 파형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롤러는 그 사이를 통과하는 모발의 통과를 돕기위해서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Claims (20)

  1. 제1 부재(12; 212)와 제2 부재(14; 21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부재들은 동작 상태와 비동작 상태 사이에서 서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1 부재(12; 212)는 제1 가열 패널(16; 116; 216)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제2 부재 (14; 214)는 제2 가열 패널(18; 118, 218)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열 패널 (16, 18; 116, 118; 216, 218)은 각각 제2 가열 패널(18; 118; 218)의 트로프(24b) 및 피크(22b)와 대향하는 제1 가열 패널(16; 116; 216)의 피크(22a)와 트로프(24a)가 구비된 파형이고, 상기 제1 및 제2 가열 패널은 사용시에 모발 가닥이 그 사이를 이동함에 따라 모발 가닥(40)을 가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열 패널(16, 18; 116, 118; 216, 218)은 비동작 상태에 비해 동작 상태에서 서로 근접됨과 아울러 동작 상태에서 간격이 유지되고, 상기 제1 부재(12; 212)는 제1 압착 패널(26; 126; 226)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제2 부재(14; 214)도 제2 압착 패널(28; 128; 228)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압착 패널은 동작 상태에서 상기 가열 패널에 비해 서로 더 근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0; 2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패널(26,28; 126,128; 226,228)은 사용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0; 2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패널(26,28; 126,128; 226,228)은 사용시 가열 패널(16,18; 116,118; 216,218)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0; 210).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각 압착 패널(26,28; 126,128; 226,228)은 가열 부재(22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0; 210).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패널(26,28; 126,128)은 가열 패널(16,18; 116,118)로부터 전도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0; 21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212)와 상기 제2 부재(214)는 비동작 상태에서 상기 가열 패널(216, 218)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갭을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한 세트의 연동 간격 형성구(52,54,56; 60,62; 64,6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21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212)와 상기 제2 부재(214)는 제1 및 제2 단부를 지니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부재는 상기 부재들의 상기 제1 단부에 인접한 피벗팅 조인트(50)에서 서로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연동 형성구(60,62,; 64,66)는 부재들의 제2 단부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210).
  8. 제7항에 있어서, 두 개의 연동 형성구(60,62; 64,66)가 상기 부재들의 상기 제2 단부와 인접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210).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형성구(60,62; 64,66)는 상기 파형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2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형성구(60,62; 64,66)는 파형의 피크와 정렬된 돌기(60; 64)와 파형의 트로프와 정렬된 홈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21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212)와 상기 제2 부재(214)는 비동작 상태에서 부재들(212, 214)의 정렬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세트의 연동 정렬 형성구(52,54,56; 60,62; 64,6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21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212)와 상기 제2 부재(214)의 적어도 하나는 평면도에서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21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212)와 상기 제2 부재의 양쪽 모두는 평면도에서 대응되게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210)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부재(들)(212,214)는 단차(80)를 갖는 제1 측면 모서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210).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부재(들)(212,214)는 실질적으로 직선상인 제2 측면 모서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210).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부재(들)(212,214)는 상기 가열 및 압착 패널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핸들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차(80)는 상기 핸들부와 상기 패널들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210).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패널(216,218)은 상기 제1 측면 모서리에 인접하며, 상기 압착 패널(226,228)은 상기 제2 측면 모서리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210).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 패널(126)은 상기 제1 가열 패널(116)을 향하도록 그리고 멀어지도록 이동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압착 패널(128)은 상기 제2 가열 패널(118)을 향하도록 그리고 멀어지도록 이동가능함으로써 압착 패널과 가열 패널 사이의 온도 차이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일 기기(10).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형의 피크에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210).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 패널(26; 126)은 동작 위치와 비동작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가열 패널(16; 116)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2 압착 패널(28; 128)은 동작 상태와 비동작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2 가열 패널(18; 118)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0).
KR1020227000754A 2018-06-15 2019-06-14 헤어 스타일링 기기 KR202200203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809825.1A GB201809825D0 (en) 2018-06-15 2018-06-15 Hair styling device
GBGB1819218.7A GB201819218D0 (en) 2018-11-26 2018-11-26 Hair styling device
PCT/EP2019/065773 WO2019238961A1 (en) 2018-06-15 2019-06-14 Hair styl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348A true KR20220020348A (ko) 2022-02-18

Family

ID=66951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754A KR20220020348A (ko) 2018-06-15 2019-06-14 헤어 스타일링 기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963596B2 (ko)
EP (2) EP3982784B8 (ko)
JP (1) JP7370086B2 (ko)
KR (1) KR20220020348A (ko)
CN (1) CN114025638A (ko)
AU (1) AU2019287362A1 (ko)
BR (1) BR112021024169A2 (ko)
CA (1) CA3153984A1 (ko)
ES (1) ES2967116T3 (ko)
GB (2) GB2599037B (ko)
WO (1) WO2019238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1042A (zh) * 2018-12-27 2019-03-08 东莞港电电器制品有限公司 一种偏角式扭纹头发造型器
GB201902443D0 (en) 2019-02-22 2019-04-10 Hd3 Ltd Hair styling device
USD1004842S1 (en) * 2021-02-18 2023-11-14 Parlor Studio LLC Hair styling tool
CN215737360U (zh) * 2021-07-21 2022-02-08 东莞市三乡科技有限公司 一种直发美发器
GB202207891D0 (en) 2022-05-27 2022-07-13 Japham Group Ltd Hair styl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06711A (en) 1931-05-26 Morris salzhtan
DE172581C (de) 1905-02-16 1906-07-05 Lockenschere mit mehrwelligen schenkeln
FR434713A (fr) 1911-09-29 1912-02-10 Albert Bourgeois Appareil à onduler les cheveux
US1494507A (en) 1923-05-02 1924-05-20 Ruffio Louis Hair-waving device
US1609810A (en) 1926-02-27 1926-12-07 Harry C Gates Marcelling iron
US1636967A (en) 1926-05-13 1927-07-26 Perry Elsie Permanent-marcel-wave apparatus
FR38041E (fr) 1927-09-20 1931-03-03 Dispositif pour l'ondulation dite permanente
FR641097A (fr) 1927-09-20 1928-07-27 Dispositif pour l'ondulation dite permanente
GB302952A (en) 1927-09-21 1928-12-21 Gustav Ding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air curling appliances
GB303043A (en) 1927-09-26 1928-12-27 Ernest Holma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vices for curling or waving hair
US1827785A (en) 1927-10-27 1931-10-20 Ernest O Frederics Method and means for sectional treatment in permanent waving of hair
US1709981A (en) 1927-12-14 1929-04-23 Headington Susanna Cocroft Process of and apparatus for waving hair
US1701270A (en) 1928-04-21 1929-02-05 Moskovitz Sophie Hair waver
US1814116A (en) 1930-05-29 1931-07-14 Borden Method Inc Winding device for hair wavers
US1831487A (en) 1930-12-18 1931-11-10 Oscar J Elam Hair waving appliance
US1877776A (en) 1931-04-10 1932-09-20 Pezzella Rocco Hair wrapping instrument
US1884305A (en) 1931-06-26 1932-10-25 Shelton William Gentry Hair curling apparatus and method
US1894624A (en) 1931-09-03 1933-01-17 Francois R Marcel Permanent waving device
US1895653A (en) 1932-04-25 1933-01-31 Fisher Sol Hair waving and curling rod
US1951154A (en) 1932-05-02 1934-03-13 Klein Richard Curling rod for permanent waving
US1981362A (en) 1933-05-18 1934-11-20 William H Joyce Wrapper for use in hair waving processes
US1997690A (en) 1934-03-16 1935-04-16 Samuel Bonat Device for winding hair
US2197821A (en) 1938-08-18 1940-04-23 William Neary Hair curler
US2593544A (en) 1949-01-08 1952-04-22 Duart Mfg Co Ltd Hair curling device
US2595844A (en) 1950-08-22 1952-05-06 Edith M Graham Hair curler
US2791225A (en) 1952-12-01 1957-05-07 Simmons Stanley Vacuum hair curler
US2906272A (en) 1956-07-24 1959-09-29 Eugene A Heidel Apparatus for producing pin curls
US2935070A (en) 1957-01-02 1960-05-03 Cape E Auz Hair curling device
US2867223A (en) 1957-03-06 1959-01-06 Rose L Anzalone Hair curling device
NL127330C (ko) 1962-05-09
US3255765A (en) 1962-10-16 1966-06-14 Jules H Heims Automatic coiling hair curler
US3223093A (en) 1963-01-17 1965-12-14 Charles E Winters Vacuum hair curler
US3213859A (en) 1963-03-01 1965-10-26 Gillette Co Device for curling hair by suction
GB1157814A (en) 1965-07-19 1969-07-09 Skyline Oil Company Hair Curler
US3605762A (en) 1970-08-17 1971-09-20 Dennis L Taelman Electric hair roller
US3786819A (en) 1971-10-18 1974-01-22 A Cantrell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hair
US3805810A (en) 1972-11-13 1974-04-23 D Savala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hair
US3835292A (en) 1973-02-28 1974-09-10 Clairol Inc Steam curling iron
US3894547A (en) 1974-02-01 1975-07-15 Malibu Personal Beauty Product Hair styling apparatus
JPS51141181U (ko) 1975-05-07 1976-11-13
US3968805A (en) 1975-09-08 1976-07-13 Sobeck Jr Thomas J Hair treatment apparatus
US4222398A (en) 1976-08-05 1980-09-16 Dennis L. Taelman Electrically powered hair rolling device
IT1067953B (it) 1976-12-20 1985-03-21 Gnaga Vittorio Apparecchio per arricciare automaticamente i capelli
IT1079587B (it) 1977-02-09 1985-05-13 Gnaga Vittorio Complesso motore bigodino per l'applicazione automatica di bigodini alle capigliature da arricciare
US4342323A (en) 1978-12-22 1982-08-03 Shearpower International Corporation Hair styling apparatus and techniques
JPS60140502U (ja) 1984-02-28 1985-09-18 斉藤 明 コ−ルドパ−マネント用具
JPS6110102U (ja) 1984-06-25 1986-01-21 晃一 星野 自動毛髪カ−ラ
US4603246A (en) 1984-08-29 1986-07-29 Olimpic Di Costa Lorenzo & C. S.N.C. Hair dryer for professional and domestic use
JPS6278801U (ko) 1985-11-05 1987-05-20
JPS633808A (ja) 1986-06-25 1988-01-08 松下電工株式会社 ヘア−ドライヤ
US4829156A (en) 1987-04-15 1989-05-09 Thompson Robert I Electric curling iron having a reversible motor-driven rotatable curling mandrel
US4884583A (en) 1988-01-11 1989-12-05 Long Jr Oscar C Hair roller and rotating apparatus
DE3837297A1 (de) 1988-11-03 1990-05-10 Wella Ag Heissluftlockenstabgeraet
JPH03123402A (ja) 1989-10-05 1991-05-2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可搬式軌道作業車
JPH0748161Y2 (ja) * 1990-03-23 1995-11-08 徳 向井 縮毛矯正用アイロン
US5119847A (en) 1990-09-10 1992-06-09 Quartern Group Apparatus and method for axially twisting hair
GB9119557D0 (en) 1991-09-13 1991-10-23 Beneditis Alfredo De Method of treating hair
US5323792A (en) 1991-10-03 1994-06-28 Caruso Richard B Steam hair curler having an improved shield
US5327919A (en) 1992-06-10 1994-07-12 Hanlon John F Water extraction device
US5357988A (en) 1992-12-29 1994-10-25 Tetugi Nakamura Hair iron for hair straightening
JPH07303513A (ja) 1993-04-06 1995-11-21 Toshihiro Kimata ウエーブパーマ等のヘア処理方法とその処理装置
US5472003A (en) 1994-01-14 1995-12-05 Frame; Chad R. Hair accessory for ponytail
GB2287403B (en) 1994-02-28 1997-08-27 Benedictis Alfredo De Device and method for treatment of hair
BE1009997A3 (fr) 1996-01-31 1997-11-04 Patrick Brams Bigoudi.
DE19748067A1 (de) 1997-10-31 1999-05-12 Braun Gmbh Haarformgerät und Verfahren zum Formen der Haare
JPH11216012A (ja) 1998-02-04 1999-08-10 Tetsuji Nakamura ヘアーアイロン
SE512684C2 (sv) 1998-07-09 2000-05-02 Volumaster Ab Anordning för hår och en hårtång med en sådan anordning
GB9817618D0 (en) 1998-08-14 1998-10-07 Benedictis Alfredo De Hair treatment device and method
WO2000057744A1 (en) 1999-03-30 2000-10-05 Alfredo De Benedictis Hair treatment device and method
JP2001104036A (ja) * 1999-10-12 2001-04-17 Keisuke Wada ヘアーアイロン
KR20010088269A (ko) 2000-03-10 2001-09-26 이만택 헤어 아이론
EP1304946B1 (de) 2000-07-21 2005-08-03 Ursula Kraus Lockenwickelelement zum formen von haaren
JP2005324073A (ja) 2001-07-19 2005-11-24 Kao Corp 毛髪処理器具
US7500487B2 (en) 2001-07-19 2009-03-10 Kao Corporation Hair treating implement
EP1411796B1 (en) 2001-07-26 2006-03-29 Danielle Anita De Benedictis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treating strands of hair
DE20119863U1 (de) 2001-12-07 2003-04-10 Wik Far East Ltd Haarformer sowie Haarformaufsatz
US6637441B2 (en) 2002-01-14 2003-10-28 Spectrum Associates Llc Hair wrapper
JP4076128B2 (ja) 2002-04-24 2008-04-16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髪処理装置
JP3998529B2 (ja) 2002-07-25 2007-10-31 花王株式会社 毛髪保持具
US6962159B1 (en) 2002-09-07 2005-11-08 Michael Adam Hair styler
ATE366059T1 (de) 2002-11-14 2007-07-15 Procter & Gamble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haarsträhnen und verfahren zum behandeln von haarsträhnen
KR20050092744A (ko) 2003-01-15 2005-09-22 카오카부시키가이샤 모발 삽입구
GB0310288D0 (en) 2003-05-03 2003-06-11 Imij Property Holdings Ltd A hair styling device
US20040237991A1 (en) 2003-05-30 2004-12-02 Glucksman Dov Z. Hair wrapping device
JP3919711B2 (ja) 2003-07-31 2007-05-30 花王株式会社 糸挿通型及び糸挿通方法
US20070084479A1 (en) 2003-09-02 2007-04-19 Ryan-Jakimas Kellie L Convertible hair roller
EP1704791A4 (en) 2004-01-15 2011-11-23 Kao Corp HAIR RETENTION INSTRUMENT
WO2005074742A1 (ja) 2004-02-09 2005-08-18 Kao Corporation 毛髪保持具
WO2005082198A1 (en) 2004-02-20 2005-09-09 Dickson Industrial Co. Ltd. Hair styling apparatus
US20080035167A1 (en) 2004-02-20 2008-02-14 Dickson Industrial Co., Ltd. Hair Styling Apparatus
CN1960657B (zh) 2004-04-10 2010-12-29 汉高两合股份公司 卷发筒
US20050241663A1 (en) 2004-04-29 2005-11-03 Getahun Dereje K Hair twister
JP2006015121A (ja) 2004-06-03 2006-01-19 Toshihiro Kimata カール器具、及びカール付与方法
US20050284493A1 (en) 2004-06-24 2005-12-29 Allen Racquel R Hair setter
KR100596704B1 (ko) * 2005-03-02 2006-07-10 최영범 완충부재가 부착된 고대기
KR100602874B1 (ko) * 2005-03-09 2006-07-28 (주)신우굿아이템 헤어아이론
US20060207625A1 (en) * 2005-03-15 2006-09-21 Chan Wing K Hair straightener with magnetic means
US8393338B2 (en) 2005-06-02 2013-03-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applicator with torque limiter
CN101801231B (zh) 2005-06-29 2013-01-02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头发定型器具
US20070017541A1 (en) 2005-07-25 2007-01-25 Wilmore Delois A Hair twist
DE102005035609A1 (de) 2005-07-29 2007-03-29 Wella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Umhüllen einer Haarsträhne
CN101262794A (zh) 2005-09-12 2008-09-10 花王株式会社 毛发保持具
WO2007100062A1 (ja) 2006-03-03 2007-09-07 Kao Corporation 毛髪保持具
WO2007100088A1 (ja) 2006-03-03 2007-09-07 Kao Corporation 毛髪保持具、毛髪保持体用開閉治具及び毛髪処理用の毛髪保持具
DE102006037647A1 (de) 2006-08-10 2008-02-14 Braun Gmbh Harformgerät mit Führ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Haarformung
EP2088894A1 (en) 2006-11-23 2009-08-19 Dickson Industrial Co., Ltd. A hair styling apparatus with hair cooling arrangement
FR2913570B1 (fr) 2007-03-16 2011-02-11 Seb Sa Appareil de coiffure
FR2916944B1 (fr) 2007-06-11 2009-08-14 Seb Sa Appareil de coiffure
US8110778B2 (en) * 2007-07-10 2012-02-07 Dickson Industrial Co., Ltd. Hair crimper (local heating)
DE102007035245A1 (de) 2007-07-27 2009-01-29 Braun Gmbh Haarpflegegerät
GB2455716C (en) 2007-12-17 2013-02-20 Tf3 Ltd A hair styling aid
KR20100010088A (ko) 2008-07-22 2010-02-01 신진전자주식회사 냉온 모발 성형용 가열기
FR2937839A1 (fr) 2008-10-30 2010-05-07 Claudine Saada Dispositif de mise en forme des cheveux
US9049913B2 (en) 2010-03-09 2015-06-09 Conair Corporation Styling brush with spinning attachment
FR2960747A1 (fr) 2010-06-07 2011-12-09 Seb Sa Appareil de coiffure avec mandrin motorise
FR2961667B1 (fr) * 2010-06-25 2012-08-17 Seb Sa Appareil de coiffure a machoires
GB201021458D0 (en) 2010-12-17 2011-02-02 Tf3 Ltd Hair styling device
DE102011002402A1 (de) 2011-01-03 2012-07-0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arglätter
US20120186601A1 (en) 2011-01-25 2012-07-26 Susan Cohen Ungar Device for assisting with hair styling
GB201107671D0 (en) 2011-05-09 2011-06-22 Sf3 Ltd Improved hair styling device
GB2498516A (en) * 2012-01-10 2013-07-24 Jemella Ltd Hair styling apparatus comprising a curved cooling section
KR101326656B1 (ko) 2012-04-06 2013-11-07 최진호 빗살이 출몰되는 헤어아이론
KR101365268B1 (ko) 2012-04-13 2014-02-20 정찬이 헤어스타일링 아이론
GB201210274D0 (en) 2012-06-11 2012-07-25 Tf3 Ltd Hair styling device
GB201302043D0 (en) 2013-02-05 2013-03-20 Debenedictis Alfredo Hair styling device
WO2014201424A1 (en) 2013-06-14 2014-12-18 Trade Box, Llc Automatic hair styling device
WO2015063461A1 (en) 2013-10-28 2015-05-07 Tf3 Limited Hair styling device
KR101391803B1 (ko) 2013-10-28 2014-05-07 박창수 나선형 헤어스타일 작업이 용이한 회전형 모발성형장치
KR101424122B1 (ko) 2013-11-01 2014-08-06 주식회사 누쿠 열 구동 제어가 우수한 스타일러 구조
AU2014349908B2 (en) * 2013-11-12 2019-09-26 Jemella Limited Hair styling apparatus
TWM477191U (zh) 2014-01-06 2014-05-01 Ever Bridge Internat Co Ltd 電熱捲髮裝置
GB2519010B (en) * 2014-03-07 2015-10-21 Hd3 Ltd Hair styling device
DE102014213292A1 (de) * 2014-07-09 2016-01-14 BSH Hausgeräte GmbH Haarstylinggerät
FR3039754B1 (fr) 2015-08-07 2017-09-01 Seb Sa Appareil de coiffure pour le bouclage des cheveux avec une fente d'introduction munie de moyens de guidage
KR101771212B1 (ko) 2015-09-02 2017-09-05 정권열 고데기
GB2542207B (en) 2015-09-14 2021-06-16 Jemella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hair
GB2543034B (en) 2015-09-30 2021-03-24 Jemella Ltd Hair styling apparatus
KR101791190B1 (ko) 2015-11-11 2017-11-20 김일희 브러시 구조가 구비된 헤어드라이어
KR101793367B1 (ko) 2016-03-21 2017-11-02 유은희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
TW201922138A (zh) 2017-10-17 2019-06-16 英商Hd3有限公司 頭髮造型裝置、頭髮造型方法及驅動系統
KR101894759B1 (ko) 2017-11-30 2018-10-04 주식회사 장인 자전형 헤어 드라이어
CN208339131U (zh) 2018-05-14 2019-01-08 杭州乐秀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电吹风
CN108813896A (zh) 2018-08-10 2018-11-16 中山市迪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电吹风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95723A2 (en) 2023-12-27
EP4295723A3 (en) 2024-02-21
ES2967116T3 (es) 2024-04-26
WO2019238961A1 (en) 2019-12-19
GB202117412D0 (en) 2022-01-19
JP7370086B2 (ja) 2023-10-27
EP3982784B8 (en) 2023-11-29
GB202303361D0 (en) 2023-04-19
AU2019287362A1 (en) 2022-01-27
US11963596B2 (en) 2024-04-23
GB2614463A (en) 2023-07-05
CN114025638A (zh) 2022-02-08
CA3153984A1 (en) 2019-12-19
GB2599037B (en) 2023-04-26
GB2614463B (en) 2024-04-10
EP3982784B1 (en) 2023-10-25
US20220322802A1 (en) 2022-10-13
EP3982784A1 (en) 2022-04-20
GB2599037A (en) 2022-03-23
EP3982784C0 (en) 2023-10-25
JP2022526866A (ja) 2022-05-26
BR112021024169A2 (pt)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20348A (ko) 헤어 스타일링 기기
CN201899028U (zh) 用于定型头发的直发烫钳
JP4279464B2 (ja) ヘヤーアレンジメント装置およびかかる装置を備えたヘヤートング
KR100444821B1 (ko) 두발스타일링용품및스타일링방법
US20220160092A1 (en) Hair styling appliance
EP3941306B1 (en) A hair styling appliance
US20110259356A1 (en) Hair styling implement
CA2240986C (en) Hair styling appliance and method of styling hair
WO2022005803A1 (en) Hair straightening and styling appliance
KR100455740B1 (ko) 헤어 아이론
KR200397148Y1 (ko) 고데기용 누름 스프링
KR20120054897A (ko) 스트레이트 및 웨이브 성형이 가능한 헤어 아이론
KR101447421B1 (ko) 고데기
CN105077953A (zh) 一种卷发器
CN100376183C (zh) 头发成型装置
KR200436660Y1 (ko) 헤어 고데기의 가열판
EP1596686B1 (en) Hair styling attachment
CN208301199U (zh) 一种令头发受热均匀的烫发梳
EP2633778A1 (en) Hair styling electrical apparatus
JP3068706U (ja) ヘアアイロン
KR200362145Y1 (ko) 가위식전기고데기
JPS6228241Y2 (ko)
JPH0779730B2 (ja) ヘア−アイロ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