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367B1 -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 - Google Patents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367B1
KR101793367B1 KR1020160033244A KR20160033244A KR101793367B1 KR 101793367 B1 KR101793367 B1 KR 101793367B1 KR 1020160033244 A KR1020160033244 A KR 1020160033244A KR 20160033244 A KR20160033244 A KR 20160033244A KR 101793367 B1 KR101793367 B1 KR 101793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air
flow path
dryer
ai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9307A (ko
Inventor
유은희
Original Assignee
유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은희 filed Critical 유은희
Priority to KR1020160033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367B1/ko
Publication of KR20170109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1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26B3/2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being a heated surface, e.g. a moving belt or convey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2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이어의 기능과 고대기의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기유로가 마련되고, 상기 공기유로와 연통되도록 둘레면에 공기배출공이 형성되며, 선단부에 연결단자가 구비된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하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마주보는 내면에 각각 설치된 열판; 상기 하부몸체의 선단부에 구성된 충전단자 및 충전지;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된 상기 공기유로의 일부를 개폐시켜 용액이 담겨진 용기가 설치되도록 구성된 장착스위치; 상기 상부몸체의 공기유로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공기유로에 결합 시 상기 충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몸체의 연결단자와 연결되는 송풍부재; 그리고, 상기 충전지에서 상기 열판 및 송풍팬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 및 공급하도록 설치된 조작스위치;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RADIO HAIR TRETMENT DEVICE HAVING DRYER}
본 발명은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라이어의 기능과 고대기의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드라이기는 머리를 감은 후 젖은 모발을 신속하게 건조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헤어드라이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에 토출구(10a)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흡입그릴(10b)이 구비된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되며 흡입그릴(10b) 측에 배치된 송풍팬(12)과, 송풍팬(12)의 작동을 위한 구동모터(14)와, 케이스(10)의 토출구(10a) 측에 내장되는 히터코일(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케이스(10)의 단부에는 손잡이부(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부(101)에는 구동모터(14) 및 히터코일(16)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조작스위치(18)가 구비되어 있다.
즉, 헤어드라이기는 구동모터(14)의 작동으로 회전되는 송풍팬(12)에 의해 외부공기가 흡입그릴(10b)을 통해 케이스(10) 내로 흡입되고, 흡입된 외부공기가 히터코일(16)을 거치면서 가열된 다음, 토출구(10a)로 토출되는 원리로 작동된다.
한편, 도 2는 시중에서 판매중인 고대기를 도시한 것으로, 고대기(2)는 전방에 열선이 내장된 발열판(22)을 구비한 가압부재(21)를 대향되게 배치하고, 발열판(22) 사이에 헤어를 위치시킨 뒤 발열판을 밀착시키면서 헤어를 당겨 롤링 스트레이트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헤어드라이기와 고대기는 캠핑과 같이 주거지를 벗어난 여행지에서 사용하게 되는 경우, 비교적 부피가 큰 헤어드라이기와 고대기를 함께 준비물로 챙겨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늘어나는 문제점은 물론, 전기 장치가 마련되지 않는 곳에서는 헤어드라이기와 고대기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행지가 아닌 호텔 또는 모텔 등에서 숙박을 하는 경우에는 그 장소에서 제공하는 헤어드라이기가 비치되어 있지만, 비치된 헤어드라이기는 여러 사람들이 공용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므로 손잡이 부분이 매우 비위생적일 수 밖에 없다.
참조문헌: 대한민국특허 제 079937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헤어드라이기와 고대기를 하나의 본체로 구성하여 휴대성이 우수함은 물론, 무선 방식을 통해 헤어 스타일의 연출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는 드라이어 기능의 작동 시 모발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영양제를 분무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세라믹 열판의 가동시 발생되는 원적외선을 통해 모발 및 두피 건강에 유익함을 제공할 수 있는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공기유로가 마련되고, 상기 공기유로와 연통되도록 둘레면에 공기배출공이 형성되며, 선단부에 연결단자가 구비된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하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마주보는 내면에 각각 설치된 열판; 상기 하부몸체의 선단부에 구성된 충전단자 및 충전지;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된 상기 공기유로의 일부를 개폐시켜 용액이 담겨진 용기가 설치되도록 구성된 장착스위치; 상기 상부몸체의 공기유로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공기유로에 결합 시 상기 충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몸체의 연결단자와 연결되는 송풍부재; 그리고, 상기 충전지에서 상기 열판 및 송풍팬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 및 공급하도록 설치된 조작스위치; 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몸체의 둘레면에는 브러시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브러시결합홈에는 브러시 고정용 착탈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몸체에는 상기 공기유로의 일부를 개폐시키는 장착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선단부에는 걸림고리 및 걸림후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부재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연결관체가 돌출 형성되고 외면 양측에 외부공기가 케이스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그릴망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는 헤어드라이기와 고대기를 하나의 본체로 구성하여 휴대성이 우수함은 물론, 무선 방식을 통해 헤어스타일의 연출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본인이 사용중인 제품을 야외에서도 그대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 위생성 역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는 드라이어 기능의 작동 시 모발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영양제를 분무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세라믹 열판의 가동시 발생되는 원적외선을 통해 모발 및 두피 건강에 유익함을 제공할 수 있는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헤어드라이기 계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
도 2는 종래 판매되고 있는 고대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의 작용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의 작용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의 다른 실시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100)는 상부몸체(110)와, 상부몸체(110)와 힌지 결합된 하부몸체(200)와,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200)에 각각 설치된 열판(300)과, 하부몸체(200)에 구성된 충전단자(400) 및 충전지(500)와, 상부몸체(110)에 결합되는 송풍부재(600)와, 충전지(500) 및 송풍팬(680)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조작스위치(700)를 포함한다.
상부몸체(110)는 내부에 공기유로(112)가 마련되도록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구성된다.
상부몸체(110)의 선단부 둘레면에는 공기유로(112)와 연통되도록 공기배출공(114)이 형성되어 있는데, 공기배출공(114)은 복수개의 홀이 일정간격마다 형성되거나 그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배출공(114)은 상부몸체(110)의 둘레면 중 만곡된 중앙부위에 형성되거나 둘레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감안하여 둘레면 일측에 형성되도록 도시하였다.
또한 공기배출공(114)이 형성된 반대부에는 공기유로(112)와 연통되도록 연결단자(115)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단자(115)는 공기유로(112)의 단부 내측면에 구성되어 후술하게될 송풍팬(68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부몸체(110)는 하부몸체(200)와 힌지를 통해 결합된다. 하부몸체(200)는 상부몸체(110)와 동일 재질 및 규격으로 제조된다.
이때, 하부몸체(200)의 내부에는 일정규격을 갖는 충전지(500)가 분리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며, 충전지(5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전단자(400)가 단부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200)의 마주보는 내면에는 각각 열판(300)이 설치된다. 열판(300)은 세라믹을 주요 소재로 채용하고 있으며, 열선에서 발생된 열이 전도되어 발열된다.
이러한 열판(300)의 발열구조는 현재 시중에서 판매중인 고대기의 발열원리를 그대로 적용하였다.
또한 상부몸체(110)의 연결단자(115)에는 송풍부재(600)가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송풍부재(600)는 케이스(620)와 송풍팬(680)을 포함한다.
송풍팬(680)은 수용공간이 구비된 케이스(620)의 내측에 수용되는데, 케이스(620)의 경우 일측이 개방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송풍팬(680)을 넣거나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620)의 일측에는 상부몸체(110)의 연결단자(115)에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관체(630)가 돌출되어 있으며, 케이스(620)의 외면 양측에는 외부공기가 케이스(62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그릴망(64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몸체(110) 또는 하부몸체(200) 중 어느 하나에는 조작스위치(700)가 설치된다. 조작스위치(700)는 충전지(500)에서 열판(300) 및 송풍부재(6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 및 공급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심미감과 온 오프 상태를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램프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스위치(700)는 열판(300)의 온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스위치와 드라이 기능을 나타내는 스위치로 구분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각기 다른 위치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조작스위치(700)에는 열판(300)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송풍팬(680)의 회전속도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의 작용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먼저, 무선 고대기(100)를 사용하기 전 충전단자(400)를 통해 충전지(500)를 충전시킨다.
여기서, 충전단자(400)에 결합되는 케이블은 스마트폰 충전기와 같이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중인 케이블이 사용되거나 전자제품 전용 충전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충전지(500)에 충전이 완료되면, 케이블을 충전단자(400)에서 분리하고 송풍팬(680)이 수용된 케이스(620)를 상부몸체(110)의 연결단자(115)에 끼운다.
이때, 사용자가 열풍에 의한 드라이어 기능을 원할 경우에는 조작스위치(700)를 작동시켜 열판(300)이 가열되도록 한다.
열판(300)이 가열되기 시작하면, 조작스위치(700)를 작동시켜 송풍팬(680)을 작동시킨다.
송풍팬(680)이 작동하기 시작하면, 송풍팬(680)에서 공급되는 바람이 공기유로(112)를 통과하여 가열된 열판(300)을 지나게 되면서 열판(300)에서 발생된 열을 상부몸체(110)의 공기배출공(114)으로 송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드라이어와 같이 열풍이 공기배출공(114)을 통해 송출될 수 있어 사용자가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200)의 단부를 잡고 드라이어와 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열풍이 아닌 송풍을 통해 헤어를 건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열판(300)이 가열되지 않도록 조작스위치(70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송풍팬(680)만이 작동되도록 위치시키면 된다.
사용자가 드라이어를 통해 헤어 건조를 끝낸 다음 고대기의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송풍부재(600)를 상부몸체(110)에서 분리하고, 조작스위치(700)를 조작하여 열판(300)을 가열시킨 후 사용하면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의 다른 실시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부몸체(110)의 둘레면에는 헤어 브러시(B)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브러시결합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결합홈(116)은 상부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브러시결합홈(116)에는 브러시(B)가 결합된 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브러시(B) 고정용 착탈스위치(117)가 구성될 수 있다.
착탈스위치(117)는 브러시결합홈(116)의 단부측에 구성되며, 힌지축(미부호)을 중심으로 고정편(미부호)이 회전되면서 브러시(B)의 단부를 고정시키거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슬라이드편(미도시)의 이동을 통해 브러시(B)의 단부를 고정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200)의 선단부에는 걸림고리(800) 및 걸림후크(85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렇게 걸림고리(800)와 걸림후크(850)가 구성되면, 사용자가 무선 고대기(100)를 잡고 드라이어 기능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200)가 하나의 몸체처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롤 도시한 것으로, 상부몸체(110)에는 상기 공기유로(112)의 일부를 개폐시키는 장착스위치(11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장착스위치(118)는 슬라이드 형태로 슬라이드패널(미부호)이 이동되거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힌지축을 중심으로 가림편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장착스위치(118)를 통해 상부몸체(110)의 일부분이 개방되면, 향균제용액이나 트리트먼트용액, 두피비듬제거 용액 등이 수용된 용기(900)를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용기(900)에 수용된 각 용액들은 상부몸체(110)에 장착 시 용기(900)를 거꾸로 장착하게 될 경우 용기(900)로부터 미스트 형태로 조금씩 흘러나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팬(680)의 작동으로 외부공기가 공기유로(112)를 통해 이동하게 되면, 용기(900)에서 흘러나오는 미스트 용액 역시 외부공기와 함께 공기배출공(114)을 통해 송출될 수 있어 사용자의 헤어에 다양한 영양성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100)는 열풍과 송풍 중 어느 하나를 편리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헤어의 건조 과정에서 브러시(B)를 이용해 헤어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헤어에 유익한 각종 영양성분들을 헤어의 건조과정에서 동시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헤어의 건조 후 헤어 관리를 위해 투입되던 시간 소요도 상당부분 절약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상부몸체
112: 공기유로
114: 공기배출공
115: 연결단자
116: 브러시결합홈
117: 착탈스위치
118: 장착스위치
200: 하부몸체
300: 열판
400: 충전단자
500: 충전지
600: 송풍부재
620: 케이스
630: 연결관체
640: 그릴망
680: 송풍팬
700: 조작스위치
800: 걸림고리
850: 걸림후크
900: 용기
100: 무선고대기

Claims (6)

  1. 내부에 공기유로가 마련되고, 상기 공기유로와 연통되도록 둘레면에 공기배출공이 형성되며, 선단부에 연결단자가 구비된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하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마주보는 내면에 각각 설치된 열판;
    상기 하부몸체의 선단부에 구성된 충전단자 및 충전지;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된 상기 공기유로의 일부를 개폐시켜 용액이 담겨진 용기가 설치되도록 구성된 장착스위치;
    상기 상부몸체의 공기유로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공기유로에 결합 시 상기 충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몸체의 연결단자와 연결되는 송풍부재; 그리고,
    상기 충전지에서 상기 열판 및 송풍팬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 및 공급하도록 상부몸체 또는 하부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조작스위치; 를 포함하는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둘레면에는 브러시결합홈이 형성된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결합홈에는 브러시 고정용 착탈스위치가 더 구비된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선단부에는 걸림고리 및 걸림후크가 더 구비된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재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연결관체가 돌출 형성되고 외면 양측에 외부공기가 케이스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그릴망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
KR1020160033244A 2016-03-21 2016-03-21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 KR101793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244A KR101793367B1 (ko) 2016-03-21 2016-03-21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244A KR101793367B1 (ko) 2016-03-21 2016-03-21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307A KR20170109307A (ko) 2017-09-29
KR101793367B1 true KR101793367B1 (ko) 2017-11-02

Family

ID=60035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244A KR101793367B1 (ko) 2016-03-21 2016-03-21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3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957B1 (ko) * 2018-04-25 2019-10-21 배명수 에어분사와 가열 및 고데기 기능을 구비한 헤어 미용 장치
CA3153984A1 (en) 2018-06-15 2019-12-19 Japham Group Limited Hair styling device
GB201902443D0 (en) * 2019-02-22 2019-04-10 Hd3 Ltd Hair styl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709B1 (ko) * 2012-05-31 2013-01-21 이영진 열풍과 동시에 토출되는 자연풍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헤어 드라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709B1 (ko) * 2012-05-31 2013-01-21 이영진 열풍과 동시에 토출되는 자연풍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헤어 드라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307A (ko) 2017-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33390B2 (ja) 髪処理装置
US9439493B2 (en) Hair dryer and smoother
CN103251199B (zh) 一种具有吹干、梳理和保健功能的智能梳子
KR101793367B1 (ko)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
US20160302548A1 (en) Dryer
JPS6125682Y2 (ko)
WO2016072657A1 (ko) 헤어드라이기용 뿌리볼륨노즐
CN108209119B (zh) 一种可卷发的吹风机
CN210901818U (zh) 手持吹风机
US3267587A (en) Hair dryer
CN109222379B (zh) 一种头发护理器具
CN205813875U (zh) 一种吹风机
KR102067545B1 (ko) 베개형 모발 건조기
KR101771206B1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KR101713997B1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CN206836513U (zh) 一种车用吹风机
KR200382263Y1 (ko) 벽걸이용 헤어 드라이기
KR101721592B1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CN208403540U (zh) 一种热风梳
WO2021021056A1 (en) Novelty in relation to a hair-dryer
CN210901815U (zh) 手持吹风机
CN212117386U (zh) 风嘴组件及手持吹风机
KR20170097393A (ko) 헤어 드라이기용 노즐
GB1015492A (en) Hair dryer
CN206150738U (zh) 多功能电吹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