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421B1 - 고데기 - Google Patents

고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421B1
KR101447421B1 KR1020140071523A KR20140071523A KR101447421B1 KR 101447421 B1 KR101447421 B1 KR 101447421B1 KR 1020140071523 A KR1020140071523 A KR 1020140071523A KR 20140071523 A KR20140071523 A KR 20140071523A KR 101447421 B1 KR101447421 B1 KR 101447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eating plate
protrusions
heating
proj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기
Original Assignee
박근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기 filed Critical 박근기
Priority to KR1020140071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421B1/ko
Priority to PCT/KR2014/009283 priority patent/WO201519065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1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1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a single heated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45D1/0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the jaws remaining parallel to each other during use, e.g. the jaws sliding parallel to each other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데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한 쌍의 마주보는 가열판을 구비한 고데기에 있어서, 어느 한 가열판에는 복수의 돌기가 솟아나 있고, 나머지 가열판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에 대응하는 홈들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열판들이 맞물리 때에 상기 돌기가 대응하는 홈에 수용되면서, 상기 가열판이 면접하는 고데기를 제시한다.

Description

고데기{Hair iron}
본 발명은 헤어 스타일을 형성함에 있어, 머리카락을 잡아주는 성능이 개선된 고데기와 관련된다.
고데기는 뜨거워진 가열판을 이용하여 머리카락에 주로 컬을 부여하는데 사용되는 미용기구이다. 고데기는 대략 집게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긴 머리카락을 고데기에 말거나, 고데기를 적당히 회전시켜 다양한 컬을 만들 수 있다. 때로 미용전문가는 고데기를 이용하여 곱슬한 머리카락을 곧데 피는데도 사용한다.
고데기의 가열판은 전류가 흐름에 따라 발열하는 열선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집게 형상의 몸체 내측에는 서로 마주보게 가열판을 설치해 두고, 가꾸고자 하는 머리카락들을 가열판 사이에 물린 상태에서, 고데기를 쓸어 내리는 식으로 사용하게 된다.
고데기를 사용함에 있어 가열판이 머리카락에 가열하는 접촉시간과 압력에 따라 컬의 완성도와 머리카락의 손상 정도가 달라진다. 특히 잦은 퍼머, 드라이 등으로 손상된 머리카락의 경우, 고데기의 오랜 사용은 머릿결을 크게 악화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사용자는 가열된 머리카락에 강한 텐션을 걸어주기 위하여, 머리카락의 단부를 물어주는 가열판을 강하게 압착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이로써 머리카락의 형상 세팅은 강하게 이루어지만, 가열판의 열이 머리카락에 크게 전달되면서 머릿결의 손상이 쉽게 일어나게 된다.
한편 고데기는 때로 빗과 함께 사용된다. 빗은 고데기에 진입하는 머리카락을 고르게 하여, 고데기를 통과하는 가능한 모든 머리카락이 올바른 방향으로 말리거나 펼쳐질 수 있게 한다. 고데기와 빗을 사용하는 경우에 컬의 완성도는 좋게 나오지만 양 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므로 자세가 불편하여 개인이 혼자 거울을 보며 빗과 고데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다.
고데기와 관련된 선행기술 중에는 고데기의 일측면에 빗을 가열판으로 들어가는 머리카락이 빗살을 거쳐 진입하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빗이 부가된 고데기를 사용하더라도 컬을 잘 내려면 고데기를 강하게 쥐어야 하고, 그로 인해 머릿결의 손상 등의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6276호 (2011.12.13)
본 발명은 고데기의 개선된 가열판을 제시하여 다양한 헤어 스타일을 쉬우면서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가열판이 머리카락을 잘 잡아주어 고데기를 당길 때 머리카락에 적정한 텐션을 줄 수 있게 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한 쌍의 마주보는 가열판을 구비한 고데기에 있어서, 어느 한 가열판에는 복수의 돌기가 솟아나 있고, 나머지 가열판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에 대응하는 홈들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열판들이 맞물릴 때에 상기 돌기가 대응하는 홈에 수용되면서, 상기 가열판이 면접하는 고데기를 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가열판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복수의 가로줄과 세로줄에 따라 배열되어 있고, 이웃하는 세로줄의 돌기들은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홈의 단면은, 머리카락이 통과하는 방향인 상기 가열판의 폭 방향에 따라 장축이 놓이는 타원형이고, 상기 홈의 단축의 길이는 상기 돌기의 직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가열판으로부터 열을 전도받아 발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홈이 형성된 가열판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돌기가 형성된 가열판은 상부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대기에 머리카락이 잘 물려지므로 머리카락의 끝까지 잡아주어 헤어 스타일링이 쉽고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고데기를 당기면서 머리카락에 형성되는 텐션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데기를 강하게 쥘 필요가 없어지므로, 모발의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머리카락에 열전달이 우수하므로 반복적으로 고데기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고, 그에 따라 전체 헤어 스타일링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가열판들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돌기가 구비된 가열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와 홈의 단면적을 비교한 도면.
도 5는 도 2의 A-A 선에 따라 가열판들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 선에 따라 가열판들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데기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기술적 의미가 동일성 범위에 있는 구성요소를 편의상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어떠한 하나의 구성은 임의적으로 '제1구성' 또는 '제2구성'으로 명명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데기(100)가 개략적인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고데기(100)는 힌지(13) 결합되어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한 쌍의 몸체(1)를 구비한다. 어느 한 몸체(1)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선(2)이 연결되어 있다. 대략 집게 형상인 양 몸체(1)의 마주보는 면 각각에는 가열판(3)이 구비되어 있다. 가열판(3)은 전기선(2)을 통해 공급된 전기를 이용하여 발열하게 된다. 이러한 몸체(1)부와 가열판(3)의 세부 구성과 작용은 이미 알려진 바와 사실상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서로 마주보는 가열판(3) 중 어느 한 가열판(3)에는 복수의 돌기(311)가 돌출되어 있고, 다른 가열판(3)에는 복수의 돌기(311)에 대응하여 돌기(311)를 수용하는 홈(321)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돌기(311)가 형성된 상부의 가열판(3)을 제1 가열판(31)이라 하며, 홈(321)이 형성된 하부의 가열판(3)을 제2 가열판(32)이라 한다.
도면에서 제1 가열판(31)은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2가열판(3)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가열판(31)의 단면 곡선과 제2 가열판(32)의 단면 곡선이 서로 대응됨에 따라, 고데기(100)를 쥐었을 때에 제1 가열판(31)과 제2 가열판(32)은 서로 면접할 수 있다.
돌기(311)가 홈(321)에 수용되면서 두 가열판(3)이 면접할 수 있으므로, 가열판(3) 사이에 물린 소수의 머리카락(10)도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한 번에 물려야 하는 머리카락(10)들의 최소 굵기 등에 구애됨 없이 고데기(10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가열판(31)에 형성된 돌기(311)는 가열판(3)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복수의 가로줄과 세로줄에 따라 배열되어 있다. 도면에서 5 가로줄과, 31 세로줄로 돌기(311)들이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돌기(311)들의 간격은 대략 2.5mm 내지 3mm로 하는 것이 머리카락(10)이 고데기(100)에 잘 물리면서 작업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세로줄의 돌기들은 이웃하는 세로줄의 돌기들과는, 가열판(3)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어, 돌기(311)들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머리카락(10)은 대략 돌기(311)들의 세로줄 방향으로 가로판을 통과하게 하며, 이때 돌기(311)들이 형성한 하나의 가로줄은 머리카락(10)들을 빗어주는 빗과 같이 작용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5줄로 돌기(311)들이 배열됨에 따라, 5개의 빗이 빗어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3에는 지그재그로 배치된 돌기(311)들을 머리카락(10)이 통과하는 유형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3의 (a)는 머리카락(10)이 돌기(311)들의 세로줄 사이를 거의 평행하게 통과하는 유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빗으로 빗어줄 때에 머리카락(10)이 정렬되는 것과 유사하다. 머리카락(10)들은 가로 방향으로 이웃하게 놓인 돌기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저항을 받게 된다.
도 3의 (b)에는 머리카락(10)들이 사선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고데기(100)를 머리카락(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대고 쥐는 경우 주로 나타나게 된다. 머리카락(10)과 가열판(3)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게 되어 더 큰 열을 머리카락(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돌기(311)들이 지그재그로 솟아나 있으므로 머리카락(10)에 걸리는 저항은, 도 4의 (a)보다 증가하지만 크게 다르지 않다.
만일 돌기(311)들이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있지 않고 바둑판 형태로 정렬되어 있다면, 사선 방향으로 걸린 머리카락(10)들이 밀집된 돌기(311)들에 걸려 고데기(100)의 진행에 큰 저항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돌기(311)들이 지그재그로 배열됨에 따라 사선 방향으로 걸린 머리카락(10)들이 진행하는데 큰 저항이 없게 된다.
도 3의 (c)는 머리카락(10)이 세로줄과 평행한 방향과 사선 방향으로 걸리는 유형을 나타내고 있다.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돌기(311)들은 통과하는 머리카락(10)에 적당한 마찰을 주므로, 고데기(100) 사용 중에 머리카락(10)에 적당한 텐션을 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종래의 고데기(100)를 사용하는 경우, 열을 준 머리카락(10)에 텐션을 크게 주기 위하여 고데기(100)를 강하게 쥐어야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데기(100)는 지그재그로 배열한 돌기(311)들이 이동하는 머리카락(10)에 적당한 저항을 주므로, 고데기(100)를 강하게 쥐지 아니한 상태에서 고데기(100)를 이동시키더라도, 헤어 스타일링을 위한 적정한 텐션이 유지된다.
이에 따라 머리카락(10)이 손상되지 않고 손상된 모발이나 곱슬모발 등의 손보기 어려운 모발의 경우에도 적절하게 대응이 가능하면서 헤어 디자이너의 손목에도 무리가 가지 않고 작업속도가 빨라진다.
고데기(100)가 머리카락(10)의 끝부분에 이르면 가열판(3)들 사이에 물린 머리카락(10)이 줄어든다. 이와 같은 머리카락(10)의 감소에 따라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데기(100)는 머리카락(10)의 끝부분에 다다르면 텐션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데기(100)는 돌기(311)들이 이동하는 머리카락(10)과 마찰되면서 저항감을 주므로, 고데기(100)가 머리카락(10) 끝부분에 이르러 가열판(3)들 사이에 물린 머리카락(10)의 수가 줄어들더라도 머리카락(10)이 가열판(3) 사이로 바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머리카락(10) 끝까지 정확한 마무리 작업이 가능하며 종래와 같이 꼬리빗으로 모발을 펴서 받치는 동작이 필요하지 않다.
도 4와 도 5는 홈(321)과 관련된다.
제2 가열판(32)에 형성된 홈(321)의 단면은 타원형이다. 홈(321)의 단면을 이루는 타원을 도 4에 표시하였다. 이 타원의 장축(L)은 머리카락(10)이 통과하는 방향인 가열판(3)의 폭 방향이다(도 3 (a)의 화살표 참고). 타원의 단축(S)은 제2 가열판(32)의 길이 방향에 따라 형성되어 있는데, 단축(S)의 길이는 돌기(311)의 직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다.
홈(321)의 단축(S) 방향 길이가 돌기(311)의 직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된 이유는, 돌기(311)가 돌출된 제1 가열판(31)이 홈(321)을 향하여 수직 하강하지 않고, 몸체(1)의 힌지(13) 결합에 따라 비스듬한 각도에서 회전하며 하강하여 홈(321) 안으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타원 단축(S)의 길이를 돌기(311)의 직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제1,2 가열판(3)이 서로 근접할 때에 돌기(311)가 간섭하지 않게 된다.
도 5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머리카락(10)은 돌기(311)들 사이를 통과하여, 제1 가열판(31)과 제2 가열판(32)의 사이에 놓이게 된다. 때때로 일부의 머리카락(10)은 돌기(311)의 단부에 눌려 홈(321)의 내부까지 들어갈 수 있다.
만일 홈(321)과 돌기(311) 사이에 충분한 여유 공간이 없다면, 머리카락(10)은 돌기(311)와 홈(321) 사이에 끼워져 뜯기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돌기(311)에 의해 머리카락(10)이 홈(321) 안으로 들어온 경우라 해도, 홈(321)의 장축(L)을 머리카락(10)이 이동하는 방향에 맞추어 둠으로써, 고데기(100)의 이동에 따라 머리카락(10)이 홈(321)과 돌기(311) 사이에 끼이지 않고 통과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데기(100)를 파마나 드라이에 사용할 때 모근부 모발의 뒤틀림이 없고 머리카락(10)의 볼륨감이 탁월하게 된다.
이러한 효과와 더불어, 타원형 단면의 홈(321)은, 머리카락(10)과 접촉하는 제2 가열판(32)의 면적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게 하여 준다. 만일 홈(321)을 타원 장축(L)과 같은 직경의 원으로 형성한다면, 머리카락(10)과 접촉하는 제2 가열판(32)의 면적이 크게 줄어들어 고데기(100) 본연의 기능이 크게 저하된다.
또한 모발에 수분이 많이 있는 상태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수분이 끓지 않고 원활하게 증발할 수 있으므로 지직거리는 소리나 모발의 손상이 적어진다.
지그재그식 돌기(311)의 배열과 타원형 홈(321)은, 돌기(311)의 집약적인 배치를 가능케 하는 구조이다. 돌기(311)의 배치에 따라 홈(321)들도 제2 가열판(32)에 지그재그로 형성된다. 세로방향으로 장축(L)이 형성된 홈(321)들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다. 더우기 지그재그로 배치됨에 따라 배치 간격을 더욱 좁게 할 수 있다.
한편 돌기(311)는 가열판(3)으로부터 열을 전도받아 발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돌기(311)는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 가열판(31)과 제2 가열판(32)에 물린 머리카락(10)들이 도시되어 있다. 가열판(3)들 사이의 머리카락(10) 뭉치는 상하의 가열판(3)들에 의해 가열되면서, 좌우의 돌기(311)들에 의해서도 가열된다. 이와 같이 상하좌우에서 열이 전달되므로 머리카락(10)은 적정 온도까지 신속하게 상승되며, 종래의 기술과 같이 더 열을 전달하기 위하여 가열판(3)의 온도 설정을 높이거나 고데기(100)를 강하게 쥐지 아니하여도 된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홈(321)이 형성된 제2 가열판(32)은 하부에 위치하고, 돌기(311)가 형성된 제1 가열판(31)은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1 가열판(31)은 상부몸체(11)에 부착된다. 상부몸체(11)는 헤어 디자이너가 고데기(100)를 사용하면서 제1 가열판(31)을 내리고자 할 때 힌지(13)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부분이다. 한편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가열판(32)은 하부몸체(12)에 부착되는데 상부몸체(11)가 회전하는 기준이 된다.
고데기(100)의 사용에 있어, 몇몇의 머리카락(10)을 취한 후 먼저 하부의 위치한 제2 가열판(32)에 올려 놓는다. 제2 가열판(32)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머리카락(10)들이 고르게 펼쳐질 수 있다.
이후 고데기(100)를 쥐어 제1 가열판(31)을 내리면 돌기(311)가 홈(321)에 맞춰들어가면서 도 5나 도 6과 같이 머리카락(10)들이 가열판(3)들 사이에 물려진다. 도 6에서 제2 가열판(32) 위에 고르게 펼쳐진 머리카락(10)들은 복수의 돌기(311)가 형성하는 다수의 공간에 고르게 모이게 된다. 이로써 어느 한 공간에는 머리카락(10)이 몰리고, 다른 공간에는 머리카락(10)이 적어 공간이 크게 비워지는 일이 없게 된다. 각 공간 내에 머리카락(10)이 고르게 배분되어 들어가감에 따라 다물어진 가열판(3)의 이격 간격이 최소가 되고, 전술한 열전도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몸체
11 : 상부몸체 12 : 하부몸체 13 : 힌지
2 : 전기선
3 : 가열판
31 : 제1 가열판 32 : 제2 가열판
311 : 돌기 321 : 홈
L : 장축 S : 단축
10 : 머리카락
100 : 고데기

Claims (5)

  1. 한 쌍의 마주보는 가열판을 구비한 고데기에 있어서,
    어느 한 가열판에는 복수의 돌기가 솟아나 있고,
    나머지 가열판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에 대응하는 홈들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열판들이 맞물릴 때에 상기 돌기가 대응하는 홈에 수용되면서, 상기 가열판이 면접하고,
    상기 홈의 단면은, 머리카락이 통과하는 방향인 상기 가열판의 폭 방향에 따라 장축이 놓이는 타원형이고,
    상기 홈의 단축의 길이는 상기 돌기의 직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는 고데기.
  2.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가열판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복수의 가로줄과 세로줄에 따라 배열되어 있고,
    이웃하는 세로줄의 돌기들은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는 고데기.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가열판으로부터 열을 전도받아 발열하는 것인 고데기.
  5. 제1항에서,
    상기 홈이 형성된 가열판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돌기가 형성된 가열판은 상부에 위치하는 고데기.
KR1020140071523A 2014-06-12 2014-06-12 고데기 KR101447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523A KR101447421B1 (ko) 2014-06-12 2014-06-12 고데기
PCT/KR2014/009283 WO2015190653A1 (ko) 2014-06-12 2014-10-01 고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523A KR101447421B1 (ko) 2014-06-12 2014-06-12 고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421B1 true KR101447421B1 (ko) 2014-10-06

Family

ID=51996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523A KR101447421B1 (ko) 2014-06-12 2014-06-12 고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7421B1 (ko)
WO (1) WO20151906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939A (ko) 2015-08-13 2017-02-22 이근태 헤어 고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20818A1 (it) * 2020-09-02 2022-03-02 Panigada Carlo Tinta a spruzz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5207A (ja) 1994-12-15 2004-09-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チームヘアーセッター
KR100455740B1 (ko) * 2002-04-29 2004-11-06 이만택 헤어 아이론
KR100766871B1 (ko) 2006-10-30 2007-10-15 박국철 고데기
KR20090074031A (ko) * 2006-10-27 2009-07-03 콘에어 코포레이션 돌출된 핀을 구비한 헤어 스타일링 아이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9702A (en) * 1999-02-26 2000-09-19 Habibi; Masood Heated hair styling system
KR200338792Y1 (ko) * 2003-09-05 2004-01-24 김유목 빗살이 형성되는 헤어아이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5207A (ja) 1994-12-15 2004-09-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チームヘアーセッター
KR100455740B1 (ko) * 2002-04-29 2004-11-06 이만택 헤어 아이론
KR20090074031A (ko) * 2006-10-27 2009-07-03 콘에어 코포레이션 돌출된 핀을 구비한 헤어 스타일링 아이론
KR100766871B1 (ko) 2006-10-30 2007-10-15 박국철 고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939A (ko) 2015-08-13 2017-02-22 이근태 헤어 고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0653A1 (ko)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00262B2 (ja) 縮れ毛矯正アイロン
US20180177273A1 (en) Hair iron
US20080283081A1 (en) Hair styling device
KR100766871B1 (ko) 고데기
JP7064480B2 (ja) ねじれヘアスタイリング装置
CN102281791A (zh) 理发设备
US20140353301A1 (en) Hair styling appliance
US20130199561A1 (en) Curling Iron and Flat Iron That Decrease Injury Due to Burns
CN115336851A (zh) 用于卷发的装置
GB2543034A (en) Hair styling apparatus
KR101447421B1 (ko) 고데기
KR20160098811A (ko) 헤어브러시
US20090107518A1 (en) Hair styling iron with raised fins
US20220000239A1 (en) Hair straightening and styling appliance
KR100455740B1 (ko) 헤어 아이론
KR101238439B1 (ko) 스트레이트 및 웨이브 성형이 가능한 헤어 아이론
KR200460916Y1 (ko) 머리 미용기구
US20180255897A1 (en) Combination comb and flat iron device
CA2665811C (en) Hair styling iron with raised fins
KR200494792Y1 (ko) 클램프를 구비하는 빗살형 고데기
CN208301199U (zh) 一种令头发受热均匀的烫发梳
KR101987745B1 (ko) 멀티 기능을 갖는 헤어 고데기
KR100770592B1 (ko) 빗형 전기 헤어인두
KR101445788B1 (ko) 헤어아이론
CN206275334U (zh) 一种梳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