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212B1 - 고데기 - Google Patents

고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212B1
KR101771212B1 KR1020150124111A KR20150124111A KR101771212B1 KR 101771212 B1 KR101771212 B1 KR 101771212B1 KR 1020150124111 A KR1020150124111 A KR 1020150124111A KR 20150124111 A KR20150124111 A KR 20150124111A KR 101771212 B1 KR101771212 B1 KR 101771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comb teeth
hair
protrusion
co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7469A (ko
Inventor
정권열
Original Assignee
정권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권열 filed Critical 정권열
Priority to KR1020150124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212B1/ko
Priority to US15/756,590 priority patent/US20180177273A1/en
Priority to CN201680054717.1A priority patent/CN108024609A/zh
Priority to PCT/KR2016/009511 priority patent/WO2017039239A1/ko
Publication of KR20170027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1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45D1/0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the jaws remaining parallel to each other during use, e.g. the jaws sliding parallel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01Hair straightening appliances
    • A45D2/002Hair straightening appliances with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2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의 스트레이트 또는 컬을 형성시키면서도 모발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고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1 발열체와 제2 발열체 사이로 머리카락이 통과하도록 구성된 고데기로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판 형상면을 갖도록 구성된 제1 중앙부와, 제1 발열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돌출된 능선(稜線)을 갖는 다수의 빗살 돌기가 제1 발열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중앙부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 상태로 배치된 빗살 돌기부를 포함하는 제1 발열체; 및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판 형상면을 갖도록 구성된 제2 중앙부와, 상기 각각의 빗살 돌기를 수용하는 다수의 돌기 수납홈이 제2 발열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중앙부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 상태로 배치된 수납홈부를 포함하는 제2 발열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고데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고데기 {Hair curling iron}
본 발명은 고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일측 발열체에 판 형상을 갖는 중앙부와 능선을 갖는 빗살 돌기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스트레이트 및 컬링을 하나의 고데기로 할 수 있으며, 일측 발열체의 빗살 돌기와 타측 발열체의 돌기 수납홈 사이의 간극을 통해 모발의 수분 증발 및 큐티클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스트레이트 및 컬링이 잘 이뤄지도록 하는 고데기에 관한 것이다.
여성들뿐 아니라 헤어스타일에 관심이 많은 남성들이 손쉽게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도록 많은 미용기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고데기'는 열로 모발을 데우거나 뜨겁게 하여 머리 모양을 다듬는 기구로서, 비교적 간편하게 헤어스타일 표현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데기는 평평한 두 개의 발열체를 서로 맞닿도록 하고, 두 발열체 사이로 모발이 지나가도록 하여 다리미와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모발에 펴짐, 즉 스트레이트(straight)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용되거나, 가열된 원통형 발열체에 모발을 감는 등의 방법으로 모발에 구부러짐, 즉 컬(curl)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스트레이트 또는 컬 중 어느 하나에 대해 특히 특화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나, 다른 헤어스타일의 표현에는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67655호의 "고데기 겸용 빗살형 브러쉬 헤어 아이롱"이 있으며, 상기 종래 기술은 상, 하부 몸체 사이에 히터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 하부 몸체 외측에 빗살형 브러쉬를 형성함으로써, 스트레이트 기능과 컬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상, 하부 몸체 외측에 형성된 빗살형 브러쉬가 직접적으로 모발에 열을 가할 수 없으므로, 컬 성형된 헤어스타일이 오래도록 유지될 수 없고, 히터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모발이 전체적으로, 장시간 히터 플레이트에 접촉하게 되므로, 모발이 많이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67655호 (2014년06월05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측 발열체에 판 형상을 갖는 중앙부와 능선을 갖는 빗살 돌기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스트레이트 및 컬링을 하나의 고데기로 할 수 있으며, 일측 발열체의 빗살 돌기와 타측 발열체의 돌기 수납홈 사이의 간극을 통해 모발의 수분 증발 및 큐티클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스트레이트 및 컬링이 잘 이뤄지도록 하는 고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1 발열체와 제2 발열체 사이로 머리카락이 통과하도록 구성된 고데기로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판 형상면을 갖도록 구성된 제1 중앙부와, 제1 발열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돌출된 능선(稜線)을 갖는 다수의 빗살 돌기가 제1 발열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중앙부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 상태로 배치된 빗살 돌기부를 포함하는 제1 발열체; 및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판 형상면을 갖도록 구성된 제2 중앙부와, 상기 각각의 빗살 돌기를 수용하는 다수의 돌기 수납홈이 제2 발열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중앙부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 상태로 배치된 수납홈부를 포함하는 제2 발열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고데기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빗살 돌기는 상기 능선(稜線)을 중심으로 전후 양측으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기 수납홈은 상기 빗살 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발열체와 제2 발열체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빗살 돌기의 경사면과 해당 빗살 돌기를 수납하는 각각의 돌기 수납홈의 내측면 사이에 제1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빗살 돌기는 상기 능선(稜線)과 상기 제1 중앙부를 좌우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경사부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발열체와 제2 발열체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빗살 돌기의 경사부와 해당 빗살 돌기를 수납하는 각각의 돌기 수납홈의 내측면 사이에 제2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발열체는 좌측 및 우측 단부가 제2 발열체의 대응하는 단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상기 빗살 돌기는 외측 단부가 낮아지는 형태로 만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간극의 크기는 0.32mm 내지 0.52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간극의 크기는 0.33mm 내지 0.53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빗살 돌기의 최대 돌출 높이는 2.4mm 내지 2.6mm이며, 각각의 상기 빗살 돌기 사이의 중심 거리는 3.5mm 내지 4.5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각의 빗살 돌기는 내측 단부에서 외측 단부로 갈수록 빗살 돌기의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고데기를 한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헤어스타일링이 이뤄질 수 있으며, 큰 힘과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용이하게 헤어스타일링이 이뤄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데기 발열체에 형성된 다수의 빗살 돌기가 모발을 적당하게 분산시켜 좌우 방향으로 머리결을 만들어 통과시켜주므로, 고데기 작업 시에 별도의 빗을 사용하지 않아도 양호한 머리결 상태를 만들어 준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데기 발열체에 형성된 다수의 빗살 돌기에 의해 컬 형성 효과가 머리결 전반에 골고루 전달되므로, 쉽게 변형되지 않는 강한 컬 형성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퍼머액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퍼머기로서의 사용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데기의 회전각을 조절하거나 고데기의 상하를 뒤집어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모발에 적용되는 헤어스타일링의 종류 즉, 스트레이트 또는 다양한 종류의 컬을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발에서 열에 의해 증발되는 수분이 고데기 내부에 일부 잔존하도록 함으로써 모발의 수분 증발을 줄여 모발의 손상을 억제하고 모발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데기 내부에 형성되는 간극으로 인해, 모발이 발열체의 접촉 가압에 의한 열과 압력을 덜 받게 됨으로써, 모발의 케로틴 성분이 녹아서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모발의 손상을 억제하고 모발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데기의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a,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데기의 열려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데기가 닫혀진 상태에서의 제1, 2 발열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데기가 닫혀진 상태에서의 제1, 2 발열체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데기(10)의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데기(10)의 열려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시점에서 고데기(10)가 열려진 상태를 나타내고, 도 2b는 도 2a의 상하를 뒤집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데기(10)가 닫혀진 상태에서의 제1, 2 발열체(100, 200)의 측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데기(10)가 닫혀진 상태에서의 제1, 2 발열체(100, 200)의 정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3 내지 도 4b에서는 고데기(10)의 다른 부분은 생략하고, 제1, 2 발열체(100, 200)만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4b의 T-T'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고, 도 4a는 도 3의 S-S'에서 바라본 정단면도, 도 4b는 도 3의 P-P'에서 바라본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데기(10)는 제1 발열체(100)와 제2 발열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데기(1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1 발열체(100)와 제2 발열체(200) 사이로 머리카락이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전후 방향'은 고데기(10)의 길이방향을 의미하며, '좌우 방향'은 고데기(10)의 폭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헤어스타일링을 위해서는 모발(毛髮), 즉 머리카락을 상기 제1 발열체(100)와 제2 발열체(200) 사이에 놓고 상기 고데기(10)를 고데기의 폭방향, 즉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고데기(10)를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발열체(100)는 제1 중앙부(120)와 빗살 돌기부(14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제1 중앙부(12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판 형상면을 갖도록 구성되며, 후술하는 제2 중앙부(220)에 대응된다.
상기 빗살 돌기부(140)는 제1 발열체(10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돌출된 능선(稜線, 142a)을 갖는 다수의 빗살 돌기(142)를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빗살 돌기(142)가 제1 발열체(10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중앙부(120)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 상태로 배치되어 이뤄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발열체(200)는 제2 중앙부(220)와 수납홈부(24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제2 중앙부(22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판 형상면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중앙부(120)에 대응된다.
상기 수납홈부(240)는 상기 각각의 빗살 돌기(142)를 수용하는 다수의 돌기 수납홈(242)을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돌기 수납홈(242)이 제2 발열체(20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중앙부(220)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 상태로 배치되어 이뤄진다.
상기 제1 중앙부(120)와 제2 중앙부(220)는 제1 발열체(100)와 제2 발열체(200)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호 접촉이 이뤄질 수 있으며, 특히 모발의 펴짐이 이뤄질 수 있다. 즉, 제1 발열체(100)와 제2 발열체(200) 사이에 모발이 놓여진 상태에서 가압하여 제1 발열체(100)와 제2 발열체(200)가 닫혀지고, 고데기(10)를 빗질 방향(M)으로 이동하는 경우, 모발이 상기 제1 중앙부(120)와 제 2 중앙부의 사이를 이동하면서, 제1 발열체(100)와 제2 발열체(200)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모발이 다림질되어 펴지게 된다. 상기 빗질 방향(M)은 모발의 뿌리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서, 빗질이 이뤄지는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빗질 방향(M)을 일측 특정 방향으로 표현하였으나, 고데기를 잡는 방향 및 모발의 뿌리 방향에 따라 이와 다른 방향이 빗질 방향(M)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중앙부(120)와 제2 중앙부(220)가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며, 다른 예로서 약간의 곡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빗살 돌기부(140)와 수납홈부(240)는 제1 발열체(100)와 제2 발열체(200)가 닫혀진 상태에서 일부 상호 접촉이 이뤄질 수 있다.
제1 발열체(100)와 제2 발열체(200) 사이에 모발이 놓여진 상태에서 고데기(10)의 상하측을 가압하여 제1 발열체(100)와 제2 발열체(200)가 닫혀지고, 고데기(10)를 빗질 방향(M)으로 이동하는 경우, 모발이 상기 제1 중앙부(120)와 제2 중앙부(220)의 사이를 통과하고 빗살 돌기부(140)와 수납홈부(240)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제1 발열체(100)와 제2 발열체(200)에서 발산되는 열과 상기 빗살 돌기부(140)와 수납홈부(240)의 굴곡 형상에 의해 모발에 다양한 헤어스타일링이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빗살 돌기(142)는 모발이 제1, 2 발열체(100, 200)에 의해 직접적으로 압력을 받는 부위를 분산화 내지 균질화함으로써, 이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헤어스타일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모발의 손상을 줄이는 효과를 동시에 얻도록 한다.
상기 제1 발열체(100) 및 빗살 돌기부(140), 제2 발열체 및 수납홈부(240)는 각각 하나의 소재로 이뤄질 수 있으며, 열을 전달할 수 있는 소재로서 빠른 시간 안에 고온이 발생할 수 있고, 열에 의해 변형이 이뤄지지 않는 소재이면 어느 소재나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전기 절연 코팅된 금속재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빗살 돌기(142)는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능선(稜線, 142a)을 중심으로 전후 양측으로 경사면(142b)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142b)은 모발이 경사면(142b)을 따라 골고루 분산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며, 제1, 2 발열체(100, 200)에 의해 제공되는 열이 모발에 분산 내지 균질적으로 배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빗살 돌기(142)의 경사면(142b)의 경사각도 또는 표면 형상은 가공 측면 등을 고려하여 다소의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돌기 수납홈(242)은 일예로, 상기 빗살 돌기(142)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기 수납홈(242)에 의해 모발에 균일한 열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빗살 돌기(142)와 돌기 수납홈(242)은, 상기 제1 발열체(100)와 제2 발열체(200)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빗살 돌기(142)의 경사면(142b)과 해당 빗살 돌기(142)를 수납하는 각각의 돌기 수납홈의 내측면(242b) 사이에 제1 간극(a)이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동양인 여성의 머리카락 굵기는 평균적으로 0.08 ~ 0.1mm이며, 서양인 여성은 0.05mm 정도로 동양인에 비해 가는 모발을 갖는다. 제1 간극(a)의 크기는, 일예로 동양인 여성의 머리카락을 기준으로 할 때, 대략 3 ~ 7가닥 정도가 나란히 통과될 수 있을 정도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간극(a)의 크기는 0.32mm 내지 0.52mm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발열체(100)와 제2 발열체(200)가 닫혀지고, 고데기(10)를 이동함에 따라, 모발이 빗살 돌기(142)와 돌기 수납홈(242)을 거치게 되고, 상기 빗살 돌기(142)의 경사면(142b)과 돌기 수납홈의 내측면(242b)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간극(a)에 다수의 모발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모발은 제1 발열체(100)와 제2 발열체(200)의 닫힘에도 모발을 양측에서 가압하는 압력을 과도하게 받지 않으면서도, 제1, 2 발열체(100, 200)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받게 되며, 상기 빗살 돌기부(140)와 수납홈부(240)의 사이를 큰 저항 없이 통과하면서도 다양한 헤어스타일링이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간극(a)은 모발에 직접적으로 제1, 2 발열체(100, 200)의 과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므로, 고온 및 고압으로 인해 모발의 큐티클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며, 케로틴이 녹아서 제거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빗살 돌기(142)는 상기 능선(稜線, 142a)과 상기 제1 중앙부(120)를 좌우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경사부(142c)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발열체(100)와 제2 발열체(200)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빗살 돌기(142)의 경사부(142c)와 해당 빗살 돌기(142)를 수납하는 각각의 돌기 수납홈의 내측면(242c) 사이에 제2 간극(b)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간극(b)은 제1 중앙부(120)와 제2 중앙부(220)의 사이를 통과한 모발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던 압력 및 고온을 일시적으로 해소하는 한편, 제1 간극(a)과 유사하게 큐티클의 파괴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간극(b)의 크기는 동양인 여성의 머리카락을 기준으로 할 때, 대략 3 ~ 7가닥 정도가 나란히 지나갈 수 있을 정도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0.33mm 내지 0.53mm가 되도록 형성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 중앙부(120, 220)와 상기 돌기 수납홈의 내측면(242c)이 이루는 굴곡 형상은, 전술한 빗살 돌기(142)와 돌기 수납홈(242)에 의해 형성되는 굴곡 형상과 더불어 모발에 다양한 헤어스타일링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2 중앙부(120, 220)의 형상, 제1, 2 중앙부와 상기 돌기 수납홈의 내측면(242c)이 이루는 굴곡 형상, 상기 빗살 돌기(142)와 돌기 수납홈(242)의 형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데기의 회전각(α)을 조절하고 빗질 방향(M)으로 빗질하는 것만으로도 모발에 스트레이트(straight) 또는 다양한 종류의 컬(curl)을 줄 수 있게 된다.
일예로, 모발의 스트레이트(straight)는 제1 중앙부(120)와 제2 중앙부(220)의 판 형상면을 기준으로 회전각(α)이 0인 상태, 즉 고데기의 회전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빗질 방향(M)으로 고데기를 이동시켜 이뤄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모발의 컬(curl)은, 제1 중앙부(120)와 제2 중앙부(220)의 판 형상면을 기준으로 회전각(α)이 0이 아닌 상태, 즉 고데기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뤄지고, 빗질 방향(M)으로 고데기를 이동시켜 이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데기(10)는 상기 회전각(α)의 크기에 따라 컬의 형상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으며, 회전각(α)이 클수록 강한 컬이 이뤄질 수 있다.
일예로, 회전각(α)이 45°부근에서는 C컬, 90°부근에서는 J컬, 180°부근에서는 S컬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도는 제1, 2 중앙부(120, 220)와 상기 돌기 수납홈의 내측면(242c)이 이루는 굴곡 구조의 형상, 상기 빗살 돌기(142)와 돌기 수납홈(242)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특히, 고데기의 상하를 뒤집어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제1 발열체가 상측으로 가도록 위치시키고 사용하는 경우, 동일한 회전각을 주더라도, 제1 발열체가 하측으로 가도록 위치시키고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더욱 강한 컬 형성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발열체(100)는 좌측 및 우측 단부가 제2 발열체(200)의 대응하는 단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 형성된다. 즉 제2 발열체(200)의 위치와 반대 방향으로(도면의 하측으로) 만곡되는 것으로, 이와 함께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발열체(200)는 제1 발열체(100)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2 발열체(200)가 제1 발열체(100)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제1 간극(a) 및/또는 제2 간극(b)이 형성됨으로써, 모발에 잔존하는 수분 등이 제1, 2 발열체(100, 200)에 의해 증발시 외부로 전량 배출되지 않고 상당량이 내부에 존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발열체(100)와 제2 발열체(200) 사이에 존재하는 증기 형태의 수분으로 인해, 고온의 열에 의한 모발의 손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발열체(100)의 양측 단부 만곡 형성시, 각각의 상기 빗살 돌기(142)는 외측 단부(좌우측 양단부)가 낮아지는 형태로 만곡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데기의 회전각(α)에 따른 컬 형성시 상기 빗살 돌기(142)의 외측 단부가 낮아지는 형태의 만곡 형성에 의해 컬이 더 잘 이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빗살 돌기(142)의 최대 돌출 높이(h)는 바람직하게 2.4mm 내지 2.6mm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빗살 돌기(142)의 최대 돌출 높이가 상기 범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제1 발열체(100)와 제2 발열체(200) 사이에 모발이 놓여지고 제1 발열체(100)와 제2 발열체(200)가 닫혀진 상태에서, 고데기(10)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데 더 많은 힘을 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빗살 돌기(142)의 최대 돌출 높이가 상기 범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 모발에 대한 컬 형성 효과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상기 빗살 돌기(142) 사이의 중심 거리(p)는 3.5mm 내지 4.5mm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빗살 돌기(142) 사이의 중심 거리가 지나치게 짧아지는 경우 스트레이트 작업시 긴장감이 높아져 고데기(10)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데 더 많은 힘을 요하게 되고, 빗살 돌기(142) 사이의 중심 거리가 지나치게 길어지는 경우 모발에 대한 컬 형성 효과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각각의 빗살 돌기(142)는 내측 단부에서 외측 단부로 갈수록 빗살 돌기의 단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발열체(100)와 제2 발열체(200) 사이에 위치한 모발이, 고데기(10)를 빗질 방향(M)으로 움직일 때 용이하게 고데기(10)로부터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발열체(100) 및 제2 발열체(200)에는 각각 제1 발열체 결합부(150) 및 제2 발열체 결합부(2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2 발열체 결합부(150, 250)가 고데기(10)에 형성되는 본체결합부(미도시)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제1, 2 발열체(100, 200)가 고데기(1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발열체(100) 및 제2 발열체(200)의 각각의 외측에는 전기 발열부(예, 코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 : 고데기
100 : 제1 발열체 120 : 제1 중앙부
142a : 능선(稜線) 142b : 경사면
142c : 경사부 142 : 빗살 돌기
140 : 빗살 돌기부
200 : 제2 발열체 220 : 제2 중앙부
242 : 돌기 수납홈 242b, 242c : 돌기 수납홈의 내측면
240 : 수납홈부
a: 제1 간극
b: 제2 간극

Claims (9)

  1.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1 발열체와 제2 발열체 사이로 머리카락이 통과하도록 구성된 고데기로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판 형상면을 갖도록 구성된 제1 중앙부와, 제1 발열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돌출된 능선(稜線)을 갖는 다수의 빗살 돌기가 제1 발열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중앙부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 상태로 배치된 빗살 돌기부를 포함하는 제1 발열체; 및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판 형상면을 갖도록 구성된 제2 중앙부와, 상기 각각의 빗살 돌기를 수용하는 다수의 돌기 수납홈이 제2 발열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중앙부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 상태로 배치된 수납홈부를 포함하는 제2 발열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빗살 돌기는 상기 능선(稜線)을 중심으로 전후 양측으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기 수납홈은 상기 빗살 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발열체와 제2 발열체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빗살 돌기의 경사면과 해당 빗살 돌기를 수납하는 각각의 돌기 수납홈의 내측면 사이에 제1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빗살 돌기는 상기 능선(稜線)과 상기 제1 중앙부를 좌우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경사부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발열체와 제2 발열체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빗살 돌기의 경사부와 해당 빗살 돌기를 수납하는 각각의 돌기 수납홈의 내측면 사이에 제2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발열체는 좌측 및 우측 단부가 제2 발열체의 대응하는 단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빗살 돌기는 외측 단부가 낮아지는 형태로 만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극의 크기는 0.32mm 내지 0.5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간극의 크기는 0.33mm 내지 0.5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 돌기의 최대 돌출 높이는 2.4mm 내지 2.6mm이며, 각각의 상기 빗살 돌기 사이의 중심 거리는 3.5mm 내지 4.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빗살 돌기는 내측 단부에서 외측 단부로 갈수록 빗살 돌기의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데기.
KR1020150124111A 2015-09-02 2015-09-02 고데기 KR101771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111A KR101771212B1 (ko) 2015-09-02 2015-09-02 고데기
US15/756,590 US20180177273A1 (en) 2015-09-02 2016-08-26 Hair iron
CN201680054717.1A CN108024609A (zh) 2015-09-02 2016-08-26 卷发器
PCT/KR2016/009511 WO2017039239A1 (ko) 2015-09-02 2016-08-26 고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111A KR101771212B1 (ko) 2015-09-02 2015-09-02 고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469A KR20170027469A (ko) 2017-03-10
KR101771212B1 true KR101771212B1 (ko) 2017-09-05

Family

ID=58188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111A KR101771212B1 (ko) 2015-09-02 2015-09-02 고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177273A1 (ko)
KR (1) KR101771212B1 (ko)
CN (1) CN108024609A (ko)
WO (1) WO20170392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706B1 (ko) * 2020-08-21 2021-11-17 조병규 더블 히팅콤이 구비된 스타일링 빗 겸용 고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6013S1 (en) * 2017-07-19 2020-02-18 Jcyholdings Co., Ltd. Hair iron heating plates
KR101909394B1 (ko) * 2017-10-23 2018-10-18 박달원 습도센서를 부가한 헤어 아이론
USD875311S1 (en) * 2018-03-29 2020-02-11 Huizhou Shenchuang Industrial Co., Ltd. Hair straightener
ES2967116T3 (es) 2018-06-15 2024-04-26 Japham Group Ltd Dispositivo de peinado del cabello
CN109431042A (zh) * 2018-12-27 2019-03-08 东莞港电电器制品有限公司 一种偏角式扭纹头发造型器
USD870968S1 (en) * 2019-01-27 2019-12-24 ShenZhen Umickoo Technology company Limited Hair straightener
GB2584066A (en) * 2019-03-07 2020-11-25 Okorji Rachel A hair treatment device
USD921289S1 (en) * 2019-03-19 2021-06-01 Guangdong Huanengda Electrical Appliances Co., Ltd. Hair straightener
FR3101526B1 (fr) * 2019-10-02 2021-10-01 Oreal Dispositif de traitement de la chevelure comportant un peigne chauffant
JP7130268B2 (ja) * 2020-12-01 2022-09-05 株式会社next innovation ヘアーアイロン
CN215271021U (zh) * 2021-08-11 2021-12-24 广东鸿源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电夹板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357Y1 (ko) * 2002-04-09 2002-08-22 고영승 헤어 세팅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05540A (en) * 1924-12-30 1926-11-02 James J Gibney Marcel iron
CN2384490Y (zh) * 1999-08-02 2000-06-28 罗振星 手捧式整烫发器
KR20010057876A (ko) * 1999-12-23 2001-07-05 서상만 헤어스타일 손질장치
KR200406640Y1 (ko) * 2005-11-09 2006-01-23 방현호 헤어고데기의 발열 빗살 장치
KR100766871B1 (ko) * 2006-10-30 2007-10-15 박국철 고데기
US20080283081A1 (en) * 2007-05-15 2008-11-20 Masood Habibi Hair styling device
KR20090007180U (ko) * 2008-01-11 2009-07-15 곽은주 헤어 아이론
KR101534374B1 (ko) * 2012-03-07 2015-07-24 박금채 브러시가 구비된 고데기
KR101417421B1 (ko) * 2012-11-21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 장치의 답력 능동 조절방법
KR20140067655A (ko) 2012-11-27 2014-06-05 권경회 고데기 겸용 빗살형 브러쉬 헤어 아이롱
CN203952740U (zh) * 2014-03-21 2014-11-26 黄山市华特电器有限公司 卷发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357Y1 (ko) * 2002-04-09 2002-08-22 고영승 헤어 세팅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706B1 (ko) * 2020-08-21 2021-11-17 조병규 더블 히팅콤이 구비된 스타일링 빗 겸용 고데기
KR20220023741A (ko) * 2020-08-21 2022-03-02 조병규 스타일링 효과가 향상되는 빗 겸용 고데기
KR102374560B1 (ko) 2020-08-21 2022-03-15 조병규 스타일링 효과가 향상되는 빗 겸용 고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9239A1 (ko) 2017-03-09
KR20170027469A (ko) 2017-03-10
US20180177273A1 (en) 2018-06-28
CN108024609A (zh)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212B1 (ko) 고데기
EP3289918B1 (en) Heated hair paddle
KR102366275B1 (ko) 다양한 컬 사이즈를 형성하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
USRE38713E1 (en) Heated hair styling system
TWI238698B (en) Hair iron
JP6184584B2 (ja) ヘアケア装置
US20100132732A1 (en) Hair styler
US20080283081A1 (en) Hair styling device
JP2009501558A (ja) ヘアスタイリング器具
JP2013056195A (ja) ヘアアイロン装置
KR100455740B1 (ko) 헤어 아이론
KR20030085159A (ko) 헤어 브러쉬
CN111418982A (zh) 睫毛卷翘器
JP3213090U (ja) ヘアーアイロン
KR20120054897A (ko) 스트레이트 및 웨이브 성형이 가능한 헤어 아이론
JP3123139U (ja) セラミックヘアアイロン
EP2076151B1 (en) Hair styling iron with raised fins
KR101447421B1 (ko) 고데기
KR102267546B1 (ko) 빗형 고데기
KR101987745B1 (ko) 멀티 기능을 갖는 헤어 고데기
JP3218799U (ja) 髪をストレートにするためのパーマ櫛
KR200391281Y1 (ko) 전기 고데기
CN217285006U (zh) 一种直发卷发梳
KR102617049B1 (ko) 헤어고데기
KR200362145Y1 (ko) 가위식전기고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