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281Y1 - 전기 고데기 - Google Patents

전기 고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281Y1
KR200391281Y1 KR20-2005-0013815U KR20050013815U KR200391281Y1 KR 200391281 Y1 KR200391281 Y1 KR 200391281Y1 KR 20050013815 U KR20050013815 U KR 20050013815U KR 200391281 Y1 KR200391281 Y1 KR 2003912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member
curling
handle
hea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8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목
Original Assignee
김유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목 filed Critical 김유목
Priority to KR20-2005-00138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2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2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2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2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머리손질을 할 때 사용하는 전기 고데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류공급 스위치가 구비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 단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평탄면과 곡면을 가지며 상기 스위치 동작에 따라 발열하는 제1 가열부재, 상기 손잡이의 일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가열부재의 평탄면과 면 접촉하며 상기 스위치 동작에 따라 발열하는 제2 가열부재, 상기 제1 가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가열부재의 곡면과 면 접촉하는 제1 컬형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전기 고데기는 다양한 머리모양을 한번에 손질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고데기{ELECTRIC CURLING IRON}
본 고안은 전기 고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손질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복합기능을 갖는 전기 고데기에 관한 것이다.
머리모양이 다양해짐에 따라 머리를 모양내는 전기 고데기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예들 들어 머리카락을 직선형태로 곧게 펴는 고데기, 머리카락에 곱슬곱슬하게 만드는 고데기 등이 있다. 이들 고데기는 집게 형태로 된 부재가 머리카락을 집은 후 고온의 열을 가하여 머리카락 형태를 변형시킨다. 집게의 접촉면 형태는 고데기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즉, 머리카락을 곧게 펴는 고데기는 머리카락을 집는 면이 평면 형태이고, 머리카락을 곱슬곱슬하게 만드는 고데기는 집게의 접촉면이 곡면 형태이다. 이러한 고데기는 머리모양에 따라 각각 용도에 맞게 사용된다.
최근 들어 머리모양이 매우 다양해지면서 여러 종류의 고데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고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데기를 가열된 상태로 준비해 두어야 한다. 그런데 위와 같이 여러 종류의 고데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데기 수만큼의 콘센트와 비치 공간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머리모양에 따라 수시로 고데기를 교체해야 하므로 고데기를 떨어뜨리는 실수를 범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열의 고데기가 사람의 맨 살에 떨어지면 큰 화상을 초래할 수 있다. 아울러, 실제 고데기를 사용하는 시간에 비하여 불필요하게 오랜 시간동안 가열상태로 방치해 두게 되므로 에너지 낭비를 초래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작업의 편의성과 안정성 그리고 더 나아가 에너지를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전기 고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류공급 스위치가 구비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 단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평탄면과 곡면을 가지며 상기 스위치 동작에 따라 발열하는 제1 가열부재, 상기 손잡이의 일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가열부재의 평탄면과 면 접촉하며 상기 스위치 동작에 따라 발열하는 제2 가열부재, 상기 제1 가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가열부재의 곡면과 면 접촉하는 제1 컬형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고데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전기 고데기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고데기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고데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데기는 손잡이(10), 제1 가열부재(20), 제2 가열부재(30), 제1 컬형성 부재(40)로 구성된다.
손잡이(10)는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원통형상이다. 손잡이(10)의 일 단에는 단 턱이 형성된다. 이 단 턱은 손잡이(10)를 잡은 손이 뜨거운 제1 가열부재(20)와 닿는 것을 방지하는 구실을 한다. 제1 가열부재(20)가 결합되는 일 단에는 경첩부(16)가 형성된다. 아울러 손잡이(10)에는 전원 스위치(12)와 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케 하는 표시등(14)이 설치된다.
제1 가열부재(20)는 손잡이(10)의 일 단에 고정 결합된다. 제1 가열부재(20)는 전원 스위치(12)의 동작에 따라 뜨겁게 가열된다. 제1 가열부재(20)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즉, 제1 가열부재(20)의 일 측면은 편평한 평면이고 타 측면은 곡면이다. 제1 가열부재(20)에는 상하 관통하는 체결공(22)이 형성된다.
제2 가열부재(30)는 손잡이(10)의 일 단에 결합되며 제1 가열부재(20)의 평면과 대칭을 이룬다. 제2 가열부재(30)에는 손잡이(10)의 경첩부(16)에 결합되는 힌지(34)가 마련된다. 제2 가열부재(30)는 핀(70)을 매개로 경첩부(16)에 결합되어 제1 가열부재(20)와 달리 자유롭게 회전된다. 제2 가열부재(30)의 일 측에는 손잡이(10)쪽으로 유선형으로 뻗은 누름부(32)가 형성된다.
제1 컬형성 부재(40)는 제1 가열부재(20)에 결합된다. 제1 컬형성 부재(40)는 제1 가열부재(20)의 곡면형태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환형의 단면을 갖는다. 제1 컬형성 부재(40)에는 힌지(44)가 형성되어 핀(72)을 매개로 제1 가열부재(20)의 체결공(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컬형성 부재(40)의 일 측에는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는 누름부(42)가 형성된다.
한편, 손잡이(10)에는 제2 가열부재(30)와 제1 컬형성 부재(40)를 제1 가열부재(20)와 맞닿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60, 6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된 전기 고데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가 된다. 제1 가열부재(20)의 일 측인 평면에는 제2 가열부재(30)가 맞닿아 있으며, 제1 가열부재(20)의 타 측인 곡면에는 제1 컬형성 부재(40)가 맞닿아 있다. 따라서, 전원 스위치(12)의 스위칭 동작으로 전류가 공급되어 제1 가열부재(20)가 고온으로 가열되고, 제1 가열부재(20)에 맞닿아 있는 제2 가열부재(30)와 제1 컬형성 부재(40)도 고온으로 가열된다.
이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제2 가열부재(30)의 누름부(32)를 누르거나 제1 컬형성 부재(40)의 누름부(42)를 누르면, 제2 가열부재(30)와 제1 컬형성 부재(40)가 핀(70, 72)을 축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어 머리카락을 집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누름부(32, 42)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60, 62)의 탄성력에 의해 제2 가열부재(30)와 제1 컬형성 부재(40)는 다시 제1 가열부재(20)와 면 접촉하여 가열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전기 고데기는 2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머리카락을 제1 가열부재(20)와 제2 가열부재(30) 사이에 넣고 집으면 제1 가열부재(20)와 제2 가열부재(30)의 접촉면 형태(평면)에 따라 머리카락이 곧게 펴지고, 머리카락을 제1 가열부재(20)와 제1 컬형성 부재(40) 사이에 넣고 집으면 제1 가열부재(20)와 제1 컬형성 부재(40)의 접촉면 형태(곡면)에 따라 머리카락이 곱슬곱슬하게 변형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고데기를 교체하며 작업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 전기 고데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기 고데기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6과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전기 고데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실시예는 위 실시예의 전기 고데기에 한 가지 기능을 더 추가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고데기는 위 실시예의 손잡이(10), 제1 가열부재(20), 제2 가열부재(30), 제1 컬형성 부재(40) 외 제2 컬형성 부재(50)가 더 구비된다.
손잡이(10)에는 전원 스위치(12) 및 표시등(14)이 구비된다. 그리고, 손잡이(10)의 일 측에는 경첩부(16)와 관통공(18)이 형성된다. 관통공(18)은 손잡이(10)의 일 측 단부에서 측면으로 소통되는 ㄴ자 형태를 갖는다.
제1 가열부재(20)는 손잡이(10)의 일 단에 결합된다.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가열부재(20)의 일 측면은 평면이고 타 측면은 곡면이다. 제1 가열부재(20)의 일 측에는 상하 소통되는 체결공(22)이 형성된다.
제2 가열부재(30)는 손잡이(10)의 일 단에 결합된다. 제2 가열부재(30)의 일 측면은 평면이나 타 측면은 주름면(56)이다. 제2 가열부재(30)에는 경첩부(16)와 결합되는 힌지(34)가 형성되고, 상하 소통되는 체결공(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손잡이(10)와 가까운 제2 가열부재(30)의 일 측에는 끼움 홈(38)이 형성된다. 제2 가열부재(30)는 경첩부(16)와 힌지(34)를 관통 결합하는 핀(70)을 매개로 손잡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컬형성 부재(40)는 만곡형 단면을 갖는다. 제1 컬형성 부재(40)에는 힌지(44)가 형성된다. 제1 컬형성 부재(40)의 일 단은 곡선을 이루며 휘어진 형태이다. 이 일 단에는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누름부(42)가 형성된다. 제1 컬형성 부재(40)는 힌지(44)와 제1 가열부재(20)의 체결공(22)을 관통 결합하는 핀(72)을 매개로 제1 가열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컬형성 부재(50)는 제2 가열부재(30)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제2 컬형성 부재(50)의 일 측면에는 제2 가열부재(30)의 주름면(39)과 맞물릴 수 있도록 주름부(56)가 형성된다. 제2 컬형성 부재(50)에는 제2 가열부재(30)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힌지(54)가 형성된다. 제2 컬형성 부재(50)의 일 단은 곡선을 이루며 휘어진 형태이다. 이 일 단에는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누름부(52)가 형성된다. 제2 컬형성 부재(50)는 힌지(54)와 제2 가열부재(30)의 체결공(36)을 관통 결합하는 핀(74)에 의해 제2 가열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손잡이(10)에는 제1 컬형성 부재(40)와 제2 컬형성 부재(50)를 제1 가열부재(20)와 맞닿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60, 62)이 결합된다. 이 때 제2 컬형성 부재(50)에 가해지는 스프링(60) 탄성력은 제2 가열부재(30)까지 미친다. 따라서, 제2 가열부재(30), 제1 컬형성 부재(40), 및 제2 컬형성 부재(50)는 평상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열부재(20)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손잡이(10)의 관통공(18)에는 고정핀(80)과 누름판(82)이 결합된다. 고정핀(80)은 관통공(18)을 통해 소통하면서 제2 가열부재(30)의 끼움 홈(38)에 끼워진다. 누름판(82)은 고정핀(80)의 일 단에 결합되며 손잡이(10) 외측에 노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누름판(82)을 이용하면 고정핀(80)을 끼움 홈(38)에 임의로 소통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기 고데기는 평상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가열부재(20)를 중심으로 제2 가열부재(30), 제1 컬형성 부재(40), 제2 컬형성 부재(50)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제1 가열부재(20)에 전류가 공급되면 온도가 상승하면 제1 가열부재(2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제2 가열부재(30), 제1 컬형성 부재(30), 제2 컬형성 부재(50)가 가열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머리카락을 곱슬곱슬하게 손질할 필요가 있으면 제1 컬형성 부재(40)의 누름부(42)를 누른다. 그러면 제1 컬형성 부재(40)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가열부재(20)와 제1 컬형성 부재(40) 사이가 벌어진다.
아울러, 머리카락을 곧게 손질할 필요가 있으면 제2 컬형성 부재(50)의 누름부(52)를 누른다. 그러면 제2 컬형성 부재(50)와 함께 제2 가열부재(30)가 회전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열부재(20)와 제2 가열부재(30) 사이가 벌어진다. 제2 컬형성 부재(50)의 누름부(52)를 누르는데 제2 가열부재(30)가 회전하는 이유는 스프링(62)이 제2 가열부재(30)와 제2 컬형성 부재(50)에 힘을 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제2 가열부재(30)의 회전기준 축이 제2 컬형성 부재(50)보다 손잡이(10)와 가깝기 때문이다. 즉, 누름부(52)에 힘을 가했을 때 제2 가열부재(30)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더 크기 때문이다.
한편, 머리카락에 주름을 형성하고 싶을 경우에는 누름판(82)을 매개로 고정핀(80)을 제2 가열부재(30)의 끼움 홈(38)에 고정시키면 된다. 그러면 제2 가열부재(30)의 움직임이 제약을 받아 누름부(52)에 힘을 가했을 때 제2 컬형성 부재(50)만 회전되어 제2 가열부재(30)와 제2 컬형성 부재(50) 사이가 벌어진다. 이때 제2 가열부재(30)와 제2 컬형성 부재(50)가 맞닿는 면은 주름면이므로 제1 컬형성 부재(40)와 제1 가열부재(20)가 제공하는 것과는 다른 머리모양을 만들어준다.
본 고안은 하나의 가열부재를 이용하여 머리카락을 곧게 펴거나 곱슬곱슬하게 하는 복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을 사용하면 머리손질 시간이 단축되며 에너지 절약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전기 고데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고안 전기 고데기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고데기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고데기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전기 고데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기 고데기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6과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전기 고데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손잡이 12 : 스위치
14 : 표시등 16 : 경첩부
18 : 관통공 20 : 제1 가열부재
22 : 체결공 30 : 제2 가열부재
32 : 누름부 34 : 힌지
36 : 체결공 38 : 끼움 홈
39 : 주름면 40 : 제1 컬형성 부재
42 : 누름부 44 : 힌지
50 : 제2 컬형성 부재 52 : 누름부
54 : 힌지 56 : 주름부
60, 62, 64 : 스프링 70, 72, 74 : 핀
80 : 고정핀 82 : 누름판

Claims (4)

  1. 전류공급 스위치가 구비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 단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평탄면과 곡면을 가지며 상기 스위치 동작에 따라 발열하는 제1 가열부재,
    상기 손잡이의 일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가열부재의 평탄면과 면 접촉하며 상기 스위치 동작에 따라 발열하는 제2 가열부재,
    상기 제1 가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가열부재의 곡면과 면 접촉하는 제1 컬형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고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제2 가열부재가 상기 제1 가열부재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관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고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제1 컬형성 부재가 상기 제1 가열부재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관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고데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열부재의 외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주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열부재에는 상기 주름부와 맞물리는 제2 컬형성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고데기.
KR20-2005-0013815U 2005-05-17 2005-05-17 전기 고데기 KR2003912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815U KR200391281Y1 (ko) 2005-05-17 2005-05-17 전기 고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815U KR200391281Y1 (ko) 2005-05-17 2005-05-17 전기 고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488A Division KR100539586B1 (ko) 2005-05-16 2005-05-16 전기 고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281Y1 true KR200391281Y1 (ko) 2005-08-01

Family

ID=43692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815U KR200391281Y1 (ko) 2005-05-17 2005-05-17 전기 고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2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80Y1 (ko) 2012-09-04 2013-10-11 주식회사 비투와이 헤어 아이론의 착탈식 헤어 클립
KR20180002350U (ko) * 2017-01-25 2018-08-02 조성찬 헤어로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80Y1 (ko) 2012-09-04 2013-10-11 주식회사 비투와이 헤어 아이론의 착탈식 헤어 클립
KR20180002350U (ko) * 2017-01-25 2018-08-02 조성찬 헤어로드
KR200488610Y1 (ko) * 2017-01-25 2019-06-11 조성찬 헤어로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9586B1 (ko) 전기 고데기
US20120138081A1 (en) Electric curling iron
KR20010088269A (ko) 헤어 아이론
JP2006006909A (ja) ヘアアイロン
US7992578B2 (en) Hair treatment device
CN106307936B (zh) 一种直卷两用美发器
KR200391281Y1 (ko) 전기 고데기
KR100805945B1 (ko) 파마용 전기 머리 인두기
TW200300071A (en) Eyelash shaper
JP2004154555A (ja) 加熱される凹凸表面を有するカール用アイロン
WO2022005803A1 (en) Hair straightening and styling appliance
CN205923297U (zh) 一种直卷两用美发器
KR102481990B1 (ko) 균등한 히팅을 제공하여 모발 연출이 편리한 헤어 고데기
KR101144160B1 (ko) 히터 내장형 접이식 컬용 고데 겸용 빗
JP3123139U (ja) セラミックヘアアイロン
KR200246302Y1 (ko) 미용용 고데기
US20200297092A1 (en) Hair Iron Sheath
KR20150086088A (ko) 헤어 고데기
KR101967556B1 (ko) 속눈썹 고데기
CN202800493U (zh) 多功能直发卷发梳发器
KR102481994B1 (ko) 오버 히팅이 조절되며 실시간 온도를 센싱하여 오동작 시 화상을 방지하는 헤어 고데기
KR102564674B1 (ko) 전기 고데기
KR200432939Y1 (ko) 헤어컬링기
CN215271023U (zh) 一种多功能美发器
CN215583349U (zh) 一种卷发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