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145Y1 - 가위식전기고데기 - Google Patents

가위식전기고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145Y1
KR200362145Y1 KR20-2004-0013704U KR20040013704U KR200362145Y1 KR 200362145 Y1 KR200362145 Y1 KR 200362145Y1 KR 20040013704 U KR20040013704 U KR 20040013704U KR 200362145 Y1 KR200362145 Y1 KR 200362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late
handle
hinge portion
hing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종섭
Original Assignee
구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종섭 filed Critical 구종섭
Priority to KR20-2004-0013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1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1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45D1/0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the jaws remaining parallel to each other during use, e.g. the jaws sliding paralle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2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헤어 스타일을 연출하는 미용기구인 전기 고데기에 관한 것으로서, 힌지부의 위치를 종래의 전기 고데기의 집게식 구조(상측, 하측 지지대의 연결 부위인 힌지부가 한쪽 끝에 위치함)(도1)에서 본 고안은 힌지부를 상하측 손잡이(50)(60)의 중심(지렛대의 원리를 이용)(도2)에 둔 가위식 구조로서, 장시간 사용시에 손의 피로도를 줄이고, 기존의 집게식 구조에서는 사용 방법에 따라 손의 잡는 위치가 정확하지 않아 고열의 발열판 가까이 올 수 있어 화상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도 있는 바, 본 고안은 발열판과 손잡이 부분이 중심에 위치한 힌지부에 의해 확실하게 분리가 되어 있어 머리 손질 도중에 보다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위식전기고데기{Magic hair iron}
본 고안은 다양한 헤어 스타일을 연출하는 미용기구인 전기 고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게 형상의 미용 고데기에서의 힌지부의 위치를 각 지지대의 일측 끝부분에서 지지대의 중앙에 위치시켜 각 지지대가 교차하도록 하는 구조로서 발열판과 손잡이가 되는 부분을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확실하게 구분시킴으로서 사용시의 손의 피로도를 줄이고, 발열판에 의해 고온으로 발열된 발열판 뒷면에 의한 화상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함에 있다.
여성의 헤어스타일은 미용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으로서 수시로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하여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으며, 근래 들어 여성의 머리카락이 긴머리가 유행함으로 그 사용 빈도는 날로 더해가고 있으며, 주로 업소에서 사용하던 예전과는 달리 시중에 여러가지 다양한 종류의 고데기가 늘어나고 가격이 저렴해짐으로서 가정에서도 부담없이 구입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더 많은 사용자가 늘어나고, 사용 빈도가 많아짐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고데기의 하나인 집게식 구조의 전기 고데기는 상하부로 구분되며 내부에 각각 히터의 발열을 위한 전기장치가 내재되어 있고, 각 상하부의 일측에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연결되어 동작이 가능하며 힌지부 내부에 고정된 스프링의 탄지에 의해 힌지부를 중심으로 항상 활개되어 있으며, 힌지부의 반대측 각 컬부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발열판이 부착되어 있고 발열판의 내측에는 히터 장치가 내장되어 발열판을 발열시키게 되고, 각 손잡이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힌지부의 반대측은 발열판이 부착되고 그 뒷면은 컬을 형성하는 컬부가 되고 사용시에는 발열판의 열이 전도되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며, 중앙에서 힌지부 방향으로는 손잡이가 되어 힘을 가하면 각 발열판이 서로 당접되고 활개되는 동작을 하게 하여 발열판 사이에 머리카락을 적당량 잡아서 빗어주거나 말아줌으로써 고데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집게식 미용용 고데기의 경우,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같은 힘의 강도로 당접시킬 때 힌지부에서 멀어질수록 발열판에 가해지는 힘은 더 커지게 되므로 그 만큼 발열판 가까이 올수록 적은 힘으로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는 힌지부에 내장된 스프링의 탄지되는 스프링의 강도에 따라 차이는 있겠으나 어느 정도의 강도는 유지가 될 수밖에 없으며 장시간 사용시에는 손의 피로가 증가하게 되고, 손잡이가 되는 부분의 위치가 발열판과 가까이 오거나 컬부까지 손잡이가 위치할 수 있어 고온으로 발열된 컬부에 의한 화상의 위험이 노출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고데기의 발열판의 온도는 약 150도에서 200도까지의 고온에서 고데가 가능하고 그 뒷면인 합성수지 재질의 컬부에 전도되는 발열 온도가 약120도에서 150도 가까이 나오게 되는데 이런 이유로 손잡이가 컬부 가까이 올수록 그 위험은 커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고데를 사용하여 머리카락을 펴주거나 웨이브를 주거나 여러가지 다양한 헤어 스타일을 연출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는게 아니고 상당히 오랜시간이 걸리는 작업이 되므로, 발열부와 손잡이부가 확실하게 구분이 되어 있지 않는 한, 손의 피로가 증가될수록 손의 잡는 위치가 발열판에 근접하거나 컬부에 올 수도 있으므로 화상의 위험은 손의 피로도가 증가할수록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도 노출되어 있으므로 항시 조심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사용시의 손의 피로도를 줄임으로서 좀더 능률을 올리고 사용자의 미적 감각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하고 안전하고 도모하는데 그 근본적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기존의 집게식 구조의 힌지부(30)를 지지대의 끝 부분에서 본 고안에 따라 힌지부(70)를 각 지지대의 중앙에 위치하게 하고, 각 상측(50), 하측(60) 지지대를 서로 힌지부를 중심으로 교차하도록 하여 컬부와 손잡이부가 명확하게 구분이 되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측 지지대의 손잡이측 끝에 회전식 전원 입력 코드선이 연결되게 하여 컬을 형성시킬 때 전원 코드선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고, 손잡이측 내부에 각 히터로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장치가 내재되어 있으며 각 발열판의 내측에 부착된 히터장치로 전원을 공급하여 발열하게 한 것을 포함하는 미용용 고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집게식 구조인 전기 고데기의 정면도이다.
도 1의 (1-1)은 종래 집게식 구조인 전기 고데기의 사용 전의 활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1-2)는 손잡이가 되는 부분(A)을 힘을 가하여 발열판을 서로 당접시킨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위식 구조인 전기 고데기의 정면도이다.
도 2의 (2-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위식 구조인 전기 고데기의 평상시 사용 전의 활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2-2)는 손잡이가 되는 부분(B)을 힘을 가하여 발열판을 서로 당접시킨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 고데기의 상하측 지지대를 따로 분리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고안에 따른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종래의 집게식 고데기의 구조에 대해서 첨부 도면(1-1)(1-2)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상하측(10)(20) 두개의 지지대가 힌지부(30)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지지대(10)(20)의 일측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발열판(11)(21)이 부착되어 있고, 힌지부 내에 내장된 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 각 지지대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손잡이부(A)에 힘을 가하지 않을 시에는 항상 벌려져 있는 상태(1-1)이고, 손잡이부(A)에 손으로 눌러주는 힘을 가하면 각 지지대(10)(20)에 부착된 발열판(11)(21)이 당접되고 힘을 줄이면 떨어지는 동작을 하게 된다.
전원 코드(40)에 인가된 입력 전원은 내부의 전원장치에 의해 각 발열판(11)(21)의 내측에 부착되어 있는 히터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히터로 하여금 발열하여 발열판(11)(21)에 열을 전도하게 되고 이로써 고온으로 발열된 각 발열판(11)(21) 사이에 머리카락을 일정량 잡은 상태로 펴주거나 말리는 동작을 함으로써 고데가 가능하게 된다. 종래의 거의 모든 집게식 고데기의 구성이나 동작 방식은 이와 같으며, 손잡이(A)가 되는 부분의 위치에 따라서 힘을 가하는 정도가 달라지며, 힌지부(40)에서 멀리 잡아줄수록 적은 힘으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종래의 집게식 구조의 전기 고데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였고, 본 고안에 따른 가위식 구조의 전기고데기를 설명하면, 도면 2에서 각 지지대(50)(60)는 발열판을 좌우에서 조립, 나사 체결하여 부착시켰으며, 중앙에 위치한 힌지부(70)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교차하도록 되어 있고, 힌지부(70) 내에 내장된 탄지 스프링에 의해 각 지지대(50)(60)는 손잡이(B)가 되는 부분에 힘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항상 벌려져 있는 상태로 있으며, 상측 지지대(50)의 손잡이(B)의 끝부분에 조립되어 있는 전원 코드(80)에 인가된 입력 전원은 상측 지지대(50)의 손잡이(B) 내측에 내장되어 있는 전원 회로를 거쳐 각 발열판(51)(61)의 내측에 부착되어 있는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여 발열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본 고안에서 주요 특징은 상기 각 지지대(50)(60)의 중앙에 서로 교차하도록 한 힌지부(70)인데 이를 위해서 각 지지대(50)(60)는 종래의 일자형 구조가 아닌 도면 3에서 보는 것과 같은 구조가 되며, 각 지지대(50)(60)에 부착되어 있는 발열판(51)(61)은 금속 재질인 알루미늄에 경질 피막을 하여 고온에서도 머리카락이 늘어붙지 않도록 표면처리를 하였고, 발열판(51)(61)의 내측에는 히터 장치가 부착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열하여 발열판(51)(61)에 열을 전도하게 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70)는 중앙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발열판(51)(61)이 부착되어 있는 부분을 컬부라 할 때 컬부와 손잡이(B)를 구분하는 구분점이 되며, 평상시 손잡이(B)에 힘을 가하지 않을 때에는 힌지부(70)의 내측에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에 탄지되는 힘에 의해 각 지지대(50)(60)의 컬부와 손잡이(B)가 항상 떨어져 있는 상태(2-1)가 되고, 손잡이(B)부분을 손으로 잡아서 힘을 주게되면, 각 지지대(50)(60)의 발열판(51)(61)과 손잡이(B)가 당접(2-2)하고 손으로 잡아 주는 힘을 줄이면 떨어지는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동작을 하여 고데가 가능하며 각 발열판에 인가된 온도는 약 150도 이상의 고온이 되며 발열판(51)(61)을 감싸주는 합성수지 재질의 지지대(50)(60)에 전도되는 온도는 약 120도 이상으로 전도되게 된다. 이 전도열로써 머리카락을 말아주는 웨이브가 가능하며 고온으로 발열한 각 발열판(51)(61)의 사이에 일정량의 머리카락을 잡아서 쓸어내림으로서 머리를 펴주는 고데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사용할 시에 손잡이(B)부분에 손으로 잡아주는 힘은 힌지부에서 멀어질수록 적은 힘으로 이접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중앙에 서로 교차하도록한 힌지부에 의해 컬부와 손잡이가 명확히 따로 분리되어 있어 손의 피로나 부주의로 인한 화상의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손잡이의 잡아주는 힘은 좀더 적은 힘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손의 피로도를 줄일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각 지지대를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며 서로 마주보게 발열판을 부착 설치된 각 지지대를 이접 동작하게 하고 전원장치에 의해 발열한 발열판을 이용하여 이접 동작에 의해 헤어 고데가 가능하게 한 전기 고데기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대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중앙에 설치하여 힌지부를 중심으로 일측은 발열판이 부착되는 컬부가 되고, 반대측은 손잡이가 되게 하고, 내장된 전원회로에 의해 각 발열판을 발열하게 한 각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각 지지대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발열판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서로 교차하게 연결하고, 내장된 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 각 발열판이 떨어지도록 하여 손잡이에 힘을 가하여 붙여주면 발열판도 서로 붙게되는 구조로 한 가위식 구조의 고데기.
  3. 제2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게 하여 발열된 발열판이 부착된 컬부와 이접 동작을 하게 하는 손잡이를 명확히 분리시키기 위해 중앙에 위치하여 서로 교차하게 한 힌지부를 특징으로 손잡이에 의한 화상을 방지하고, 좀 더 적은 힘으로 동작이 가능한 미용용 헤어 아이론.
KR20-2004-0013704U 2004-05-18 2004-05-18 가위식전기고데기 KR200362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704U KR200362145Y1 (ko) 2004-05-18 2004-05-18 가위식전기고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704U KR200362145Y1 (ko) 2004-05-18 2004-05-18 가위식전기고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145Y1 true KR200362145Y1 (ko) 2004-09-21

Family

ID=4935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704U KR200362145Y1 (ko) 2004-05-18 2004-05-18 가위식전기고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1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661B2 (en) Hair styling appliance
KR101263801B1 (ko) 고데기
KR101771212B1 (ko) 고데기
WO2011021783A2 (ko) 전기 고데기
JP2005152588A (ja) 美容用コテ
KR100539586B1 (ko) 전기 고데기
US20060278251A1 (en) Hair curling iron
US7992578B2 (en) Hair treatment device
KR200446107Y1 (ko) 전기 고데기
WO2022005803A1 (en) Hair straightening and styling appliance
US20050150511A1 (en) Hair Iron
KR101144160B1 (ko) 히터 내장형 접이식 컬용 고데 겸용 빗
KR200362145Y1 (ko) 가위식전기고데기
CN105077953B (zh) 一种卷发器
KR102051445B1 (ko) 냉온 기능을 갖는 고데기
KR200397148Y1 (ko) 고데기용 누름 스프링
JP3123139U (ja) セラミックヘアアイロン
KR200246302Y1 (ko) 미용용 고데기
KR100408988B1 (ko) 전자석을 이용한 전기헤어아이론
KR200393691Y1 (ko) 헤어아이론
US20200297092A1 (en) Hair Iron Sheath
KR101447421B1 (ko) 고데기
TWM515319U (zh) 燙髮器
KR100916541B1 (ko) 머리카락 손질용 미용기구
KR200391281Y1 (ko) 전기 고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