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586A - 운동량 측정 시스템, 신발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운동량 측정 시스템, 신발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13586A KR20220013586A KR1020227001461A KR20227001461A KR20220013586A KR 20220013586 A KR20220013586 A KR 20220013586A KR 1020227001461 A KR1020227001461 A KR 1020227001461A KR 20227001461 A KR20227001461 A KR 20227001461A KR 20220013586 A KR20220013586 A KR 202200135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ercise
- unit
- sensor
- information
- measure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8450 motiv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2747 volunta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4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386 athl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08 change reques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749 polyuretha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632 reaction speed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BZHJMEDXRYGGRV-UHFFFAOYSA-N Vi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 BZHJMEDXRYGGR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935 allerg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66 destr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610 hyper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03 stamin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3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electric heating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61B5/6807—Footwea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2/00—Measuring distance traversed on the ground by vehicles, persons, animals or other moving solid bodies, e.g. using odometers, using pedometers
- G01C22/006—Pedome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3/00—Counters with additional faciliti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65—Evaluating the fitness, e.g. fitness level or fitness index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착용자의 자발적인 운동 의욕을 야기시킨다. 운동량 측정 시스템은, 신발과, 해당 신발을 사용하여 행해진 운동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는 표시를 행하는 통신 단말기를 갖는다. 1족의 신발 중 적어도 한쪽은, 해당 신발에 생긴 운동을 검출하는 센서와, 센서에 의한 운동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신발에 따른 보수를 측정한다. 신발은, 소정의 기간에 측정된 보수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기간을 식별 가능하게 기억하고, 기억한 운동 정보를 요구에 응하여 통신 단말기에 송신한다. 신발과의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게 구성된 통신 단말기는 수신한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기간별 보수의 정보를 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운동량 측정 시스템, 신발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가속도 센서나 맥박 센서 등을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보행 동작 등을 검출하여, 미리 정해진 적당한 운동량의 조건을 만족시켰는지 여부를 LED의 점등 상태에 의해 보고하는 운동화가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과 같은 운동화는, 해당 신발에 마련된 LED를 확인함으로써 조건 달성의 유무는 파악할 수 있기는 하지만, 그 상세나 운동의 이력 등을 관리할 수 없으며, 예를 들어 운동의 습관 들이기를 행하는 용도나, 착용자의 자발적인 운동 의욕을 야기하는 용도로서는, 적합한 결과가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운동 의욕을 야기시키는 운동량 측정 시스템, 신발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운동량 측정 시스템은, 신발과, 해당 신발을 사용하여 행해진 운동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는 표시를 행하는 통신 단말기를 갖는 운동량 측정 시스템이며, 1족의 신발 중 적어도 한쪽은, 해당 신발에 생긴 운동을 검출하는 센서와, 센서에 의한 운동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신발에 따른 보수(步數)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소정의 기간에 측정 수단에 의하여 측정된 보수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기간을 식별 가능하게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통신 단말기와의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운동 정보를 통신 단말기에 송신하는 제1 통신 수단을 갖고, 통신 단말기는, 신발과의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신발로부터 운동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 수단과, 제2 통신 수단에 의하여 수신된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기간별 보수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의 운동 의욕을 야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량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화(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 유닛(500)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겉창부(204)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 유닛(5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단말기(6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단말기(600)에 있어서 실행되는,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 모드에 따른 표시 제어 처리를 예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의 결과 표시를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단말기(600)에 있어서 실행되는,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처리를 예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단말기(600)에 있어서 실행되는,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의 트레이닝 모드에 따른 칭호 결정 처리를 예시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단말기(600)에 있어서 실행되는,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의 트레이닝 모드에 따른 칭호 결정 처리를 예시한, 다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화(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 유닛(500)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겉창부(204)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 유닛(5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단말기(6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단말기(600)에 있어서 실행되는,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 모드에 따른 표시 제어 처리를 예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의 결과 표시를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단말기(600)에 있어서 실행되는,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처리를 예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단말기(600)에 있어서 실행되는,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의 트레이닝 모드에 따른 칭호 결정 처리를 예시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단말기(600)에 있어서 실행되는,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의 트레이닝 모드에 따른 칭호 결정 처리를 예시한, 다른 흐름도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 형태는, 운동량 측정 시스템의 일례로서의, 운동 검출을 위한 센서를 내장하고, 적어도 보수를 측정하는 운동화와, 운동화에 있어서 측정된 보수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통신 단말기로 구성되는 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운동 검출을 위한 센서를 내장한 임의의 종류의 신발과, 해당 신발에 의하여 측정된 운동량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운동량 측정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운동량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통신 단말기(600)에 대하여 최대 3족의 운동화(100)가 통신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1족의 운동화(100)는, 착용된 경우에 행해진 운동을 검출 가능하도록 적어도 그 한쪽(한발측)에 운동 검출용의 센서 유닛(500)(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생산 비용이나 통신 단말기(600)와의 정보 교환을 간편화하기 위하여 1족 중의 한쪽에 센서 유닛(500)이 내장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 유닛(500)은 1족의 운동화(100)의 양쪽(왼발용 및 오른발용) 각각에 마련되는 것이어도 된다.
운동화(100)와 통신 단말기(600), 보다 상세하게는 운동화(100)에 내장되는 센서 유닛(500)과 통신 단말기(600)는, Bluetooth(등록 상표)에 준거한 통신 방식으로 접속되어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후술하겠지만 당해 정보 통신이나 통신 접속은 상시 행해지는 것일 필요는 없다.
<운동화의 구성> 계속해서, 운동화(100)의 구조에 대하여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화(100)는 어퍼(201), 안창(202), 중창(203) 및 겉창부(204)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 유닛(500)은 내구성, 운동화(100)의 착탈 용이성, 방수성을 고려하여 겉창부(204)에 내장된다.
겉창부(204)는, 소위 미드솔, 또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이면 미드솔 및 아웃솔에 해당하며, 강성 및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된다. 겉창부(204)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구성되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운동화(100)에 있어서 센서 유닛(500)의 배치 장소로서 채용된다.
겉창부(204)에는, 예를 들어 어퍼(201)의 하부가 말려 들어가게 하는 양태에서, 직물로 구성되는 중창(203)이 꿰매어 부착됨으로써 어퍼(201), 중창(203) 및 겉창부(204)가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 시에는 겉창부(204)의 상면(천장면)은 중창(203)에 의하여 덮이게 되기 때문에, 외견상 센서 유닛(500)의 유무를 판단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운동화(100)에서는, 센서 유닛(500)은 비파괴로는 취출 불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완충재로서 기능하는 안창(202)이 중창(203) 상부에 더 배치되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센서 유닛(500)의 존재를 의식하게 하는 일 없이 착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착용자는 운동화(100) 외에, 운동 측정용의, 예를 들어 보수계와 같은 기구를 의식하고 몸에 지닐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계속적인 운동 기록을 무리 없이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어 운동화(100)가 아동의 상용화로서 이용되는 경우에도 외견상으로는 종전의 운동화와 마찬가지이며, 또한 통신 단말기(600)와 통신 접속하지 않는 한 흥취 요소를 제공하는 기능은 실현되지 않기 때문에, 학교 등의, 특수 장치의 반입이 제한되는 장소에 있어서도 사용할 수 있어서, 일상에서 행해지는 착용자의 운동을 보다 망라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센서 유닛(500)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창부(204)에 들어가도록 두께 및 외형 치수가 정해져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 유닛(500)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용으로 채용되는 버튼형 전지의 크기를 기준으로, 필요 기판이 들어가는 치수로 구성된다.
또한 센서 유닛(500)은 박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겉창부(204) 중 어느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치용 공간을 확보하기 쉬운 두께를 가져서, 사용 시의 겉창부(204)에 생길 수 있는 변형이 적은, 겉창부(204) 중의 발뒤꿈치부에 내장된다.
상세하게는, 센서 유닛(5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창부(204)에 마련된 오목부 내에 배치됨으로써 내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겉창부(204)의 발뒤꿈치부에는, 겉창부(204)의 상면에 개구를 갖는, 2층으로 구성된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1 층으로서의 하층(305)에 존재하는 제1 오목부(301)에 센서 유닛(500)은 배치된다. 제1 오목부(301)에 의하여 하층(305)에 형성되는 공간은 센서 유닛(500)과 대략 동일 크기로 되어 있어서, 센서 유닛(500)을 배치한 경우에는, 센서 유닛(500)은 해당 공간 내에 유격 없이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운동화(100)가 움직여졌을 때의 센서 유닛(500)의 진동에 기초하는 음의 발생이나, 당해 진동에 기초하는 오검출이 생기기 어렵도록, 제1 오목부(301)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는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층으로서의 상층(306)에 존재하는 제2 오목부(302)에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수지(PU)나 염화비닐 수지(PVC) 등의, 착용 시에 센서 유닛(500)에 대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일정한 탄성 및 강성을 담보하는 강성 소재(303)가 배치된다. 통기성의 관점에서는 PU가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내하중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면 강성 소재(303)의 재료는 어느 것이어도 되며, 강도를 담보하기 위하여 코어 포함 소재가 이용되어도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오목부(302)의 개구 면적은 제1 오목부(301)의 개구 면적보다도 크게 구성되며, 강성 소재(303)는 제1 오목부(301)의 개구의 외연에 존재하고, 제2 오목부(302)의 저면을 형성하는 에지부(304)(도 4에 있어서 해칭으로 표시되는 상층(306)에 속하는 영역)에 의하여 담지된다. 강성 소재(303)가 제2 오목부(302)에 배치되어 에지부(304)에 접착됨으로써 센서 유닛(500)은 겉창부(204)(제1 오목부(301))에 봉입되어, 다소의 방수를 실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겉창부(204)에는, 2층으로 구성된 제1 오목부(301) 및 제2 오목부(302)를 마련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센서 유닛(500) 수용을 위하여 마련되는 오목부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공성이나 생산성을 고려하면 2층이 바람직하지만, 오목부는 적어도 2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몇 층이어도 된다.
또한 도 4의 예에서는, 겉창부(204)의 발뒤꿈치 위치의 형상(횡폭), 및 오목부를 마련하는 위치에 따른 겉창부(204) 자체의 강도를 고려하여, 발뒤꿈치부의, 장심부 근방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운동화(100)의 사이즈 및 겉창부(204)의 형상에 따라 이동되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센서의 기능 구성)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 유닛(5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마이크로컴퓨터(501)는, 예를 들어 CPU, ROM, RAM으로 구성되는 마이크로컴퓨터이며, 센서 유닛(500)의 각 블록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컴퓨터(501)의 CPU는, ROM에 기록된 각 블록의 동작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RAM에 전개하여 실행함으로써 각 블록의 동작을 제어한다.
기록용 메모리(502)는, 본 실시 형태의 운동화(100)를 착용하고 행해진 운동의 측정 결과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이다. 간단화를 위하여 본 실시 형태의 센서 유닛(500)은, 센서 유닛(500)의 각 블록의 동작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ROM과는 별도로 기록용 메모리(502)를 갖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속도 센서(503)는, 센서 유닛(500)에 생긴 동작을 검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속도 센서(503)는 3축 방향의 가속도를 계측 가능하게 구성된다. 계측의 대상으로 되는 3축 방향은, 예를 들어 오른손 좌표계로 형성되는 것이어도 되고, 센서 유닛(500)을 수평면에 설치한 경우에 당해 수평면 내의 발뒤꿈치로부터 발끝을 향하는 Y축 방향, 동 면 내에서 Y축에 직교하는 X축 방향, 및 높이 방향에 해당하는 Z축 방향이어도 된다. 가속도 센서(503)는, XYZ축 각각에 대하여 생긴 가속도를 검출하고, 센서 유닛(500)을 착용하고 행해진 동작의 운동량의 측정에 이용되는 각 축의 파형 데이터(미가공(生) 데이터)를 출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속도 센서(503)는 소정의 샘플링 주기로 가속도의 검출을 행하고, 대응하는 시간 간격으로 검출값을 출력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 유닛(500)이 갖는 센서는 가속도 센서인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운동화(100)를 착용하고 행해진 소정의 운동을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면, 어떠한 센서가 채용되어도 된다.
측정부(504)는, 가속도 센서(503)에 의하여 출력된 파형 데이터를 해석하여, 미리 정해진 운동이 행해졌는지 여부의 판정, 및 행해진 경우에는 그 운동에 따른 측정 결과를 도출하여 운동 정보로서 기록용 메모리(502)에 기록하거나, 또는 이미 기록되어 있는 운동 정보를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갱신한다. 상세는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 형태의 운동화(100)에는, 측정 대상의 운동 항목이 상이한 복수의 모드가 마련되어 있으며, 측정부(504)는, 센서 유닛(500)에 설정되어 있는 모드에 따라 파형 데이터의 해석 수법을 달리하여, 해당의 운동 항목의 측정 결과를 도출한다.
모드 설정부(505)는 센서 유닛(500)의 모드 설정을 관리한다. 기본적으로는 모드 설정부(505)는, 통신 단말기(600)에 있어서 이루어진 모드 변경 조작에 기초하는 모드 변경 요구와, 변경 후의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센서 유닛(500)에 설정되어 있는 모드의 변경을 행한다. 센서 유닛(500)에 설정되어 있는 모드의 정보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501)의 ROM에 기억되어 관리되는 것이어도 되고, 측정부(504)는 해당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파형 데이터의 해석 수법을 결정한다.
통신부(506)는, 센서 유닛(500)이 갖는, 통신 단말기(600)와의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통신부(506)는, Bluetooth(등록 상표)에 준거한 통신 방식으로 정보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통신부(506)는 상시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은 아니며, 통신 단말기(600)와의 통신 접속을 행한다는 소정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 통신 가능한 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센서 유닛(500)에서는, 운동화(100)의 착용자의 운동을 측정하고자, 기본적으로는 가속도 센서(503)가, 발생한 가속도의 검출을 상시 행하고, 해당 검출 결과의 파형 데이터의 해석을 행하여 운동량의 측정을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측정 자체를 상시 행할 필요는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 유닛(500)은, 비파괴로 분리 불가능하게 겉창부(204)에 내장되어 전지식으로 구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착용 시나 정지 시에 해석을 행하여 측정 결과의 도출을 행할 필요는 없다. 그러므로 마이크로컴퓨터(501)는,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503)에 의하여 출력되는 파형 데이터에 있어서 소정의 기간, 역치 이상의 변동이 없는 경우에는 측정부(504)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소위 슬립 상태로 센서 유닛(500)의 상태를 천이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해당 슬립 상태는, 파형 데이터에 있어서 다시 역치 이상의 변동이 검출된 경우에 해제되는 것이어도 되며, 해제하였을 때에 마이크로컴퓨터(501)는 측정에 따른 측정부(504)의 동작을 재개시키도록 제어하면 된다.
<통신 단말기의 구성> 다음으로, 통신 단말기(600)의 기능 구성에 대하여 도 6의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통신 단말기(600)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나 스마트폰 등의 범용적인 통신 장치여도 되며,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운동량 측정 시스템의 통신 단말기(600)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한다.
제어부(601)는, 예를 들어 CPU이며, 통신 단말기(600)가 갖는 각 블록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601)는, 예를 들어 기록부(602)에 기록되어 있는 각 블록의 동작 프로그램이나, 측정 결과의 표시 기능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메모리(603)에 전개하여 실행함으로써 각 블록의 동작을 제어한다.
기록부(602)는, 예를 들어 불휘발성 메모리나 HDD 등의, 항구적으로 데이터를 유지 가능한 기록 장치이다. 기록부(602)는, 통신 단말기(600)가 갖는 각 블록의 동작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더해, 각 블록의 동작에 있어서 필요한 파라미터나 측정 결과를 축적한 데이터(이력 데이터) 등의 정보를 기억한다. 메모리(603)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등의, 일시적인 데이터 기억에 사용되는 기억 장치이다. 메모리(603)는, 각 블록의 동작 프로그램의 전개 영역으로서뿐 아니라, 각 블록의 동작에 있어서 출력된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저장 영역으로서도 이용된다.
표시 제어부(604)는, 예를 들어 묘화용 칩 등의 묘화 장치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LCD 등이어도 되는 표시부(605)에 표시시킬 화면을 생성할 때에는 소정의 묘화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의 운동량 측정 시스템에서는, 표시 제어부(604)는, 주로 운동화(100)를 착용함으로써 이루어진 운동의 측정 결과의 정보의 제시에 따른 표시 제어를 행한다.
조작 입력부(606)는, 예를 들어 결정 입력용 조작 부재나 각종 센서 등의, 통신 단말기(600)가 갖는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조작 입력부(606)는, 조작 부재에 대한 조작 입력이 이루어진 것을 검출하면, 해당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601)에 출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입력부(606)는 물리적인 조작 부재에 더해, 예를 들어 표시부(605)의 화면 상에 이루어진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입력 검출 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단말기 통신부(607)는, 통신 단말기(600)가 갖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기 통신부(607)는 센서 유닛(500)과의 사이에서 기기 간 통신을 행하여, 기록용 메모리(502)에 기록된 운동 정보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607)는 센서 유닛(500)으로부터 운동 정보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록부(602)에 저장하고, 측정 결과의 표시 기능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이하,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있어서 참조되는, 해당의 이력 데이터를 갱신하고, 측정 결과를 표시 가능한 상태로 한다. 또한 단말기 통신부(607)는, 도시하지 않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기기와 접속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모드의 종류와 운동량의 기록》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운동량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센서 유닛(500)에 설정 가능하게 마련된 복수의 모드와, 각 모드에 있어서 측정 결과로서 운동 정보에 기록되는 운동 항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발의 움직임의 일 양태로서 보행을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발의 움직임의 양태로서 주행도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센서 유닛(500)에 설정 가능하게 마련된 복수의 모드는 크게 구별하여, 제1 분류의 모드로서의, 미리 정해진 보행과는 상이한 운동 항목의 측정 결과를 기록하는 트레이닝 모드와, 제2 분류의 모드로서의, 일상 행해지는 착용자의 보행을 기록하는 데이 모드로 분류된다. 데이 모드가, 착용자가 의식하지 않고 행하는 일상의 보행 동작을 기록하는 모드인 데 비해, 트레이닝 모드는, 각각 측정 대상의 운동 메뉴가 상이한 6종류의 모드(하위 모드)를 포함하며, 착용자에게 하위 모드에 따른 운동 동작을 의식적으로 행하게 하여 기록하는 모드로 되어 있다.
데이 모드에서는, 운동화(100)를 착용하고 행해진 보행의 보수를 계수하며, 계수된 보수가 측정 결과로서 기록된다. 본 실시 형태의 운동량 측정 시스템에서는, 센서 유닛(500)이 데이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착용자에 의하여 행해진 보행의 보행 종별을 판별하고, 보행 종별별로 보수의 계수를 행한다. 측정하는 보행 종별에는, 예를 들어 통상의 보행(걷기), 조깅(가벼운 주행), 대시(조깅보다도 빠른 주행)의 3종류여도 되며, 가속도 센서(503)에 의하여 출력되는 파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측정부(504)가 이들을 판별하여 보수를 계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측정부(504)는 출력된 파형 데이터 중의, 예를 들어 Z축 방향의 출력 파형이, 미리 설정된 보행 시의 패턴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해석하여, 보행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경우, 그 피크 간격에 따라 3종류의 보행 종별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판별한다.
데이 모드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의 기록은, 예를 들어 1시간 등 미리 정해진 기간마다 집계하여 기록용 메모리(502)의 운동 정보에 저장된다. 기간 중(집계 중)의 보행 종별별 보수의 정보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501)의 RAM 등에 일시 기억되며, 기간 종료 후에, 해당 기간을 식별하는 정보가 관련지어져서 기록용 메모리(502)의 운동 정보에 추가된다. 따라서 센서 유닛(500)과 통신 단말기(600)가 통신 접속되어 운동 정보의 취득 요구가 통신 단말기(600)로부터 송신된 경우, 전회의 통신 접속 시부터 금회의 통신 접속 시까지 행해진 각 보행 종별의 보수의 정보가 집계 기간별로 센서 유닛(500)으로부터 통신 단말기(600)에 전송되게 된다.
특히 운동화(100)가 아동용 신발인 양태에 있어서는, 착용자인 아동의 보호자가 소유하는 단말기가 통신 단말기(600)로서 사용될 것이 상정된다. 즉, 운동화(100)의 사용은, 통신 단말기(600)의 사용이나 통신 단말기(600)에 있어서의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는 독립적으로 행해지는 것이며, 최신의 운동 정보의 취득이 행해지는 빈도도, 경우에 따라서는 1주일에 1회 등으로 될 가능성도 있다. 그러므로 기록용 메모리(502)에는, 데이 모드에 따른 운동 정보용으로, 예를 들어 1주일분(=24시간×7=168시간분: 1시간당 3종류의 보행 종별의 보수를 기록)의 정보를 저장 가능한 영역이 확보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데이 모드에 대하여 기록용 메모리(502)에 저장된 운동 정보는, 기본적으로는 통신 단말기(600)로의 송신이 이루어지기까지는 저장 영역에 보유되고, 송신 후에는 삭제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데이 모드의 기록용으로 확보된 저장 영역이, 미송신된 운동 정보로 채워진 경우에는, 오래된 정보부터 삭제하고 새로운 운동 정보로 덮어쓰기하는 것이어도 된다.
한편, 트레이닝 모드에서는, 통신 단말기(600)에서 실행되는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상에서 선택된 하위 모드에 대하여, 대응하는 동작(운동 메뉴)의 실시를 운동화(100)의 착용자에게 재촉하며, 미리 정해진 운동 항목의 측정 결과가 운동 정보로서 기록된다. 본 실시 형태의 운동량 측정 시스템에서는, 센서 유닛(500)에 설정 가능한 트레이닝 모드로서, 보행과는 상이한 운동 항목을 측정하는, 다음 6종류의 운동 메뉴를 착용자에게 실시시키는 하위 모드가 포함된다. ·퀵 리액션 ·대시 스쿼트 ·사이드 아질리티 ·백 앤드 고 ·스프링 점프 ·풋 리프트
퀵 리액션은, 착용자의 반응 속도를 측정하고자, 착용자가 정지해 있는 상태로부터, 통신 단말기(600)에 있어서 발해진 스타트음에 반응하여 주행을 시작하기까지 요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운동 항목이다. 측정부(504)는, 가속도 센서(503)에 의하여 출력되는 파형 데이터 중의, 예를 들어 Y축 방향의 출력 파형을 참조하여, 스타트음이 발해지기 전부터 정지해 있다고 간주하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고, 스타트음이 발해진 타이밍으로부터 맨 먼저 보행 시의 패턴이 나타나기까지 요한 시간을 측정한다.
대시 스쿼트는, 착용자의 지구력을 측정하고자, 소정의 기간 내에 행해진, 소위 그 자리 제자리걸음의 횟수를 측정하는 운동 항목이다. 단, 소정의 기간 내에 제자리걸음 동작과 스쿼트 동작이 교대로 행해진다. 착용자는 제자리걸음 동작 중에 스쿼트 동작을 끼워 넣음으로써, 제자리걸음 동작만일 때에 비해 부하가 걸린 상태에서 제자리걸음 동작을 실행하게 되며, 이것에 의하여 착용자의 지구력이 측정된다. 여기서 제자리걸음이란, 동일한 장소에서 보행과 같은 발의 상하 운동을 상정하고 있지만, 그 자리에서의 발의 상하 운동이 아니라, 이동(보행 또는 주행)하는 상태에서의 소정 기간 내의 보수로서 제자리걸음의 횟수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측정부(504)는, 가속도 센서(503)에 의하여 출력되는 파형 데이터 중의, 예를 들어 Z축 방향의 출력 파형을 참조하여, 스타트음이 발해진 후 개시된 제자리걸음의 횟수를 측정하여 보수로서 출력한다. 스타트음이 발해진 후의 10초간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으로 3회 음이 더 발해지며, 그 음이 울렸을 때에는 착용자는 스쿼트 동작을 행한다. 또한 스쿼트 동작은, 제자리걸음하고 있는 장소와 동일한 장소에서 웅크리고 지면에 접촉하는 동작을 상정하고 있으며, 이 동작 중에는 발은 지면에 디딘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스쿼트 동작에 관한 측정은 행해지지 않는다.
사이드 아질리티는, 착용자의 준민성을 측정하고자, 소정의 기간 내에 행해진, 소위 반복 옆뛰기의 횟수를 측정하는 운동 항목이다. 측정부(504)는, 가속도 센서(503)에 의하여 출력되는 파형 데이터 중, 예를 들어 Z축 방향의 출력 파형을 참조하여, 스타트음이 발생되기 전부터 정지해 있다고 간주하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고, 스타트음이 발생된 후에 Z축 방향으로 도약 패턴이 나타나는데, 그때 실시된 운동 횟수를 측정한다. 또한 X축 방향의 가속 방향이 1회째와 2회째에서 상이한 것을 가지고 1회로서 계측하는 규칙으로 운동 횟수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 연산의 부하를 감소시켜 데이터의 처리를 간략화할 목적으로, 착용자에게 있어 좌우로 움직이는 동작을 하고 있을, 즉, X축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을 것을 전제로 함으로써, Z축 방향의 출력 파형만을 참조하여 실시된 운동 횟수를 측정해도 된다.
백 앤드 고는, 착용자의 체간(體幹)의 안정성을 측정하고자, 소정의 기간 내에 교대로 행해진 전후 방향의 도약 횟수를 측정하는 운동 항목이다. 측정부(504)는, 가속도 센서(503)에 의하여 출력되는 파형 데이터 중, 예를 들어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의 출력 파형을 참조하여, 스타트음이 발생되기 전부터 정지해 있다고 간주하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고, 스타트음이 발생된 후에 Z축 방향으로 도약의 패턴이 나타난 횟수를 계수하는데, 이때에 홀수 회와 짝수 회에서 Y축 방향의 가속 방향이 상이한 것을 가지고 각 회의 계수를 행하는 규칙으로 도약 횟수를 측정한다. 이때, 도약 간격의 균등성도 측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데이터 연산의 부하를 감소시켜 데이터의 처리를 간략화할 목적으로, 착용자에게 있어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하고 있음, 즉, Y축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음을 전제로 함으로써, Z축 방향의 출력 파형만을 참조하여, Z축 방향으로 2회의 도약의 패턴이 나타난 것을 가지고 1회로서 계수하는 규칙으로 해도 된다.
스프링 점프는, 착용자의 도약력을 측정하고자 도약 시간을 측정하는 운동 항목이다. 측정부(504)는, 가속도 센서(503)에 의하여 출력되는 파형 데이터 중, 예를 들어 Z축 방향의 출력 파형을 참조하여, 스타트음이 발해진 후에 1회의 도약에 따른 패턴이 나타났을 때에, 그 시작부터 종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풋 리프트는, 착용자의 근력(각력(脚力))을 측정하고자, 소정의 기간 내에 행해진, 소위 그 자리 제자리걸음의 횟수를 측정하는 운동 항목이다. 측정부(504)는, 가속도 센서(503)에 의하여 출력되는 파형 데이터 중, 예를 들어 Z축 방향의 출력 파형을 참조하여, 스타트음이 발생되기 전부터 정지해 있다고 간주하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고, 스타트음이 발생된 후에 Z축 방향으로 보행의 패턴이 나타난 횟수를 계수한다. 또한 풋 리프트는 트레이닝 모드 중, 대시 스쿼트와 마찬가지로 보수를 측정 결과로서 출력하는데, 대시 스쿼트와 마찬가지로 당해 운동이 일정한 장소(범위)에 머물러 행해졌는지 여부의 판단은 행하지 않는다. 판단을 행하지 않음으로써,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출력 파형도 참조할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에, 데이터 연산의 부하를 감소시켜 데이터의 처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착용자의 운동 능력을 측정하고자, 일정한 장소(범위)에 머물러 운동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Z축 방향으로 보행의 패턴이 나타난 횟수를 계수할 때에, Z축 방향의 출력 파형에 더해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출력 파형도 참조함으로써, 착용자가 운동을 실시하고 있는 위치가 소정의 공간 내에 들어가 있는지를 판단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트레이닝 모드에 있어서는, 3축 방향 중 각 운동 능력의 측정에 필요한 축의 데이터만을 참조한다. 여기서, 상세한 운동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축의 데이터를 참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데이터 연산의 부하를 감소시켜 데이터의 처리를 간략화하는 관점에서는, 데이터를 참조하는 축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를 참조하는 축을 1축만으로 하는 것이다. 단, 예를 들어 사이드 아질리티의 경우에서 생각하면, Z축의 데이터만을 참조하기만 해서는, 소위 반복 옆뛰기에 있어서의 착용자의 좌우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는 없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트레이닝 모드의 각 모드를 착용자가 실행하기 전에, 각 모드에 있어서 착용자가 어떠한 동작을 실행해야 하는지를 통신 단말기(600)의 표시부(605)에서 표시하여 착용자에게 바람직한 동작을 미리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시를 행함으로써, 착용자가 제시 정보에 따른 동작을 행하고 있다는(사이드 아질리티에 있어서는 도약 및 좌우의 움직임) 전제에 기초하여 Z축의 데이터만을 참조함으로써, 소위 반복 옆뛰기의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고 착용자에게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트레이닝 모드의 각 하위 모드에서는, 각각 상이한 정보를 해석하고, 또한 측정 결과로서 출력하여 운동 정보로서 저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 유닛(500)이 트레이닝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데이 모드에 따른 측정은 행하지 않지만, 데이 모드에 따른 운동 정보의 저장 영역은 담보해야 하기 때문에, 트레이닝 모드에 따른 운동 정보는, 데이 모드에 따른 운동 정보와는 분리하여 보유되도록 기록용 메모리(502) 내의 다른 영역에 저장된다.
트레이닝 모드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의 기록은, 데이 모드와는 달리, 기본적으로는 각종 운동 항목 측정의 개시 전후에 센서 유닛(500)과 통신 단말기(600)가 다양한 정보 통신을 행하여 모드 전환, 측정 개시의 지시, 운동 정보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이닝 모드의 이용에 초점을 맞추면, 먼저 운동화(100)를 흔드는 등의 소정의 운동이 센서 유닛(500)에 있어서 검출된 것에 의하여 센서 유닛(500)이 통신 대기 상태로 된 후, 통신 단말기(600)에 있어서 실행되는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소정의 조작이 이루어진 것으로써 센서 유닛(500)과 통신 단말기(600)의 통신 접속이 확립된다. 그 후, 통신 단말기(600)에 있어서 트레이닝 모드의 하위 모드 중 어느 것이 선택되면, 선택된 하위 모드에 따른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모드 변경 요구가 통신 단말기(600)로부터 센서 유닛(500)에 송출된다. 모드 변경 요구를 수신하면, 모드 설정부(505)는 수신한 모드 정보에 따라, 현재의 센서 유닛(500)의 모드를 선택된 하위 모드로 설정한다. 또한 통신 단말기(600)에 있어서, 선택된 하위 모드의 측정 대상으로 되는 운동 항목에 대한 가이던스 표시가 이루어져, 착용자에게 행하게 할 운동의 내용, 주의점 등이 제시된다. 그 후, 통신 단말기(600)의 표시는 측정 개시 지시가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며, 통신 단말기(600)의 유저는, 착용자의 상태에 따라 임의의 타이밍에 측정 개시 지시에 따른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해당 조작이 이루어지면, 측정 개시 요구가 통신 단말기(600)로부터 센서 유닛(500)에 송출된다.
이때, 측정 개시에 착용자의 정지가 조건부로 되어 있는 하위 모드에 대해서는, 가속도 센서(503)의 출력 파형에 기초하여 정지해 있다고 간주하는 상태로 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센서 유닛(500)으로부터 수신한 것을 가지고, 제어부(601)는 측정 개시 지시에 따른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제어해도 된다. 또한 보다 엄밀한 능력 측정을 행하고자 스타트음의 발생 타이밍을 랜덤으로 하는 경우, 제어부(601)는 측정 개시 요구의 송출로부터 스타트음을 발생시킬 타이밍까지의 시간 차를 결정하고, 해당 시간의 정보를 측정 개시 요구와 함께 센서 유닛(500)에 송출하며, 측정부(504)는 측정 개시 요구의 수신으로부터 해당 시간 차를 고려하여 스타트음이 발해진 타이밍을 파악하여 측정을 행하면 된다. 또는 스타트음의 발생 시에, 통신 단말기(600)로부터 센서 유닛(500)으로 스타트음이 발해지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송신되는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측정이 완료되면(측정 결과에 따른 운동 정보가 기록용 메모리(502)에 저장되면), 마이크로컴퓨터(501)는 금번 설정된 하위 모드에 따른 운동 정보를 통신부(506)를 통하여 통신 단말기(600)에 송출하고, 제어부(601)는 운동 정보를 수신하면, 대응하는 센서 유닛(500)에 대하여 관리하고 있는 이력 정보(세이브 데이터)를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갱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운동량 측정 시스템에서는, 착용자의 반응 속도를 측정하는 퀵 리액션에 대해서는, 스타트음으로부터 운동(주행)이 개시되기까지 요한 시간이 측정 항목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 외의 하위 모드와는 달리, 스타트음이 발해지기 전에 착용자가 정지해 있지 않은 상태로 된 경우에는 공정한 측정 결과의 기록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소위 플라잉으로서 취급하여, 측정 결과로서 남기지 않고 측정 실패인 취지를 제시하도록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601)는, 예를 들어 스타트음을 발생시킬 타이밍을 랜덤으로 결정하여 측정 개시 요구와 함께 센서 유닛(500)에 이를 전송하고, 마이크로컴퓨터(501)는, 해당 요구의 수신으로부터 스타트음을 발생시킬 타이밍까지 정지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측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이를 플라잉으로서 취급하여, 그 취지를 운동 정보로서 통신 단말기(600)에 송출하면 된다.
또한 센서 유닛(500)과 통신 단말기(600)의 통신 접속의 절단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지만, 선택된 하위 모드에 대한 1회의 측정 결과를 송신할 때마다 센서 유닛(500)은 통신 절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이어도 되고, 계속해서 트레이닝 모드에 따른 측정이 행해질 것을 고려하여,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상에서 명시적인 절단 지시가 이루어지기까지는 통신 접속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이어도 된다.
여기서, 데이 모드는 일상의 보행을 측정하는 모드이기 때문에, 착용자의 보행 동작을 빠짐없이 측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트레이닝 모드는 일상의 보행과는 상이한 동작을 착용자에게 행하게 하는 것이며, 트레이닝 모드 중의 보행 동작은 일상의 동작과는 괴리되는 것이기 때문에, 데이 모드에 따른 측정 결과에 이를 포함시키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그러므로 본 실시 형태의 센서 유닛(500)에서는, 데이 모드에 따른 측정과 트레이닝 모드에 따른 측정은 병행하여 실시되지 않는 것으로 하며, 또한 기록용 메모리(502)에 있어서의 운동 정보의 저장 영역도 서로 배타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이닝 모드가 설정되어, 해당의 운동 항목의 측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트레이닝 모드로부터 데이 모드로 이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상에서 명시적인 절단 지시가 이루어지기까지 통신 접속을 유지하는 경우, 모드 설정부(505)는 통신 절단을 명시적인 트레이닝 모드의 종료로서 판단하여 데이 모드로 설정 변경하도록 처리해도 되고, 절단 전에 제어부(601)가 데이 모드의 변경 요구를 송출하고 이를 수신하여 데이 모드로 설정 변경하도록 처리해도 된다. 또한 트레이닝 모드에 따른 측정 결과인 운동 정보의 송신 후에 마이크로컴퓨터(501)가 통신 절단하는 경우, 모드 설정부(505)는 통신 단말기(600)로부터의 모드의 변경 요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소정 시간의 경과 후에 데이 모드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면 된다.
또한, 특히 아동이 운동화(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례에서는, 트레이닝 모드로 설정 변경한 후, 운동 정보의 송출 전에 센서 유닛(500)과 통신 단말기(600)가 통신 가능한 거리 이상으로 멀리 떨어져 버려 운동 정보를 송출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도 있다. 이와 같은 사례도 고려하여, 측정 후의 운동 정보의 송출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해당 운동 정보는, 다음에 통신 단말기(600)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되기까지 기록용 메모리(502)에 보유되며, 데이 모드의 변경은, 운동 정보의 송출에 실패한 것, 또는 통신 절단이 생긴 것에 기초하여 행해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간단화를 위하여, 트레이닝 모드에 따른 측정 결과는, 마이크로컴퓨터(501)가 측정 완료나 통신 접속의 확립 등을 조건으로 하여 송출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데이 모드와 마찬가지로 통신 단말기(600)로부터의 취득 요구가 이루어진 경우에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 개요》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통신 단말기(600)에 있어서 실행되는, 센서 유닛(500)에 의하여 측정된 착용자의 동작의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운동화의 등록> 본 실시 형태의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3족의 운동화(100)(3개의 센서 유닛(500))의 관리(세이브 데이터의 보유)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하나의 세이브 데이터에는, 페어링된 하나의 센서 유닛(500)이 대응지어지며(센서 유닛(500)을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식별 정보(센서 ID)가 관련지어지며), 유저가 세이브 데이터에 대응지어진 운동화(100)를 식별 가능하도록, 신발의 특징이나 임의의 문자열 등을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한번 페어링된 센서 유닛(500)의 마이크로컴퓨터(501)는, 접속한 통신 단말기(600)를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식별 정보를 ROM에 저장하며, 이후 (소정의 강제 해제 조작이 이루어지기까지) 해당 통신 단말기(600)하고만 통신 접속한다. 1대의 통신 단말기(600)에 있어서,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동시기에 통신 접속이 가능한 센서 유닛(500)의 수는 하나이며, 복수의 세이브 데이터가 관리되는 경우에는, 통신 단말기(600)는, 예를 들어 세이브 데이터별로 운동 정보의 수신을 하고자 세이브 데이터 판독 화면에 있어서 순서대로 세이브 데이터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운동화(100)는 생활 소모품인 특성상, 사이즈 변경이나 교환 등이 당연히 생길 수 있는 것이므로, 세이브 데이터에 대응지어진 센서 유닛(500)을 다른 운동화(100)의 센서 유닛(500)으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세이브 데이터에 기록된 운동 이력의 정보는 유지한 채, 차회 이후, 새로운 센서 유닛(500)으로부터의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이력의 정보를 갱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세이브 데이터에 대하여, 지금까지 대응짓고 있던 센서 유닛(500)과의 페어링을 해제하는 조작이 이루어진 후에, 해당 세이브 데이터에 새로운 센서 유닛(500)의 대응짓기를 가능하게 하도록 처리하면 된다. 또는 페어링 해제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세이브 데이터에 대한 센서 유닛(500)(운동화(100))의 대응짓기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양태에서는, 그때까지의 운동 이력의 정보를 이어받아 사용할지 여부가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면 된다.
(등록 처리) 이하, 본 실시 형태의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에서, 하나의 세이브 데이터(대상 세이브 데이터)에 대하여 운동화(100)(센서 유닛(500))를 대응지을 때에 행해지는 등록 처리에 대하여, 도 9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처리를 설명한다. 해당 흐름도에 대응하는 처리는, 제어부(601)가, 예를 들어 기록부(602)에 기억되어 있는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메모리(603)에 전개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등록 처리는, 예를 들어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화면에 있어서, 3개 중의 하나의 대상 세이브 데이터가 선택되고, 해당 세이브 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운동화(센서 유닛)의 등록에 따른 조작 입력이 이루어졌을 때에 개시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S901에서 제어부(601)는, 통신 단말기(600)의 부근에 존재하는 센서 유닛(500)에 대하여, 단말기 통신부(607)를 통하여 센서 ID의 ID 송신 요구를 송출한다. 본 스텝에 있어서 송출되는 ID 송신 요구는, 페어링된 특정 센서 유닛(500)에 대하여 송출되는 것이 아니라, 수신 가능한 상태인 센서 유닛(500), 즉, 슬립 상태로 이행해 있지 않고, 또한 통신 단말기(600)로부터의 기기 간 통신권 내에 존재하는 센서 유닛(500)이 수신 가능한 양태에서 송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송출된 ID 송신 요구를 수신한 경우, 센서 유닛(500)은, 해당 센서 유닛(500)이 어느 통신 단말기(600)와 페어링되어 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반송하는 것으로 한다.
S902에서 제어부(601)는, S901에 있어서의 ID 송신 요구의 송신으로부터 소정 시간 대기하며, 해당 대기 중에 어느 센서 유닛(500)으로부터의 센서 ID의 반송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601)는, 어느 센서 유닛(500)으로부터의 센서 ID의 반송이 있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S903으로 이행하고, 어느 센서 유닛(500)으로부터도 센서 ID의 반송이 없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S911로 이행한다. 또한 1회의 ID 송신 요구의 송신에 대하여 반송된 센서 ID는, 하나의 센서 ID 테이블에 추가되어 메모리(603)에 저장되는 것으로 한다.
S903에서 제어부(601)는, 대응지어져 있지 않은 센서 ID가 복수 반송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페어링할 운동화를 교환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대상 세이브 데이터에 대하여 이미 대응지어진 센서 ID는, 본 스텝에 있어서의 계수의 대상 외로 한다. 따라서 제어부(601)는 반송된 센서 ID(센서 ID 테이블에 추가된 센서 ID) 중, 이미 대상 세이브 데이터에 대응지어진 센서 ID를 제외하는 센서 ID가 복수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601)는, 대응지어져 있지 않은 센서 ID가 복수 반송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S904로 이행하고, 하나만 반송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S905로 이행한다.
센서 ID가 어느 운동화(100) 내의 센서 유닛(500)에 대응하고 있는지는 유저에게는 판별이 곤란하며, 복수의 센서 ID가 반송되어 있는 상황 하에서는 이들을 리스트 표시하였다고 하더라도, 유저가 원하는 운동화(100)를 대상 세이브 데이터에 대응지을 수 없을 것이 상정된다. 즉,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센서 유닛(500)이 대상 세이브 데이터에 대응지어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본 실시 형태의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가이던스 표시를 행하여 유저에게 당해 상황을 보고한다. 따라서 S904에서 표시 제어부(604)는, 제어부(601)의 제어 하, 반송되는 센서 ID를 하나로 하기 위한 가이던스 표시를 표시부(605)에 표시시킨다.
당해 가이던스 표시는, 예를 들어 이하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복수의 센서 ID가 반송되는 상황은, 슬립 상태로 되어 있지 않은 센서 유닛(500)이 통신 단말기(600)의 기기 간 통신권 내에 복수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대응짓기를 원하지 않는 운동화(100)에 대해서는 일정 시간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그 후에 운동화의 등록에 따른 조작을 다시 행하도록 지시하는 표시가 포함된다. 해당 일정 시간은, 센서 유닛(500)이 슬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지 기간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가이던스 표시에는, 대응짓기를 원하는 운동화(100)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흔들거나 착용하여 움직이는 등, 슬립 상태로 이행하지 않게 하도록 지시하는 표시가 포함된다.
제어부(601)는 유저가 대응짓기를 원하는 운동화(100)의 센서 유닛(500)만이 검출되는 가이던스 표시를 행한 후, 본 등록 처리를 완료한다. 이 경우, 유저는 가이던스 표시에 따라 각 운동화의 상태를 변경시킨 후, 다시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에서 대상 세이브 데이터에 대하여 운동화를 대응짓는 조작 입력을 행함으로써, 변경 후의 상태의 운동화를 대상으로 하여 등록 처리를 재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S903에 있어서 대응지어져 있지 않은 센서 ID가 하나만 반송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표시 제어부(604)는 S905에서, 제어부(601)의 제어 하, S901에 있어서 송출된 ID 송신 요구에 기초하여, 센서 ID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센서 ID의 각각을 선택 가능하게 표시부(605)에 표시한다. 즉, 본 스텝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표시에는, 이미 대상 세이브 데이터에 대응지어져 있는 센서 유닛(500)이 존재하고 있으면, 해당 센서 유닛의 유닛 ID와, 페어링되어 있지 않은 1족의 운동화(100)에 따른, 대응짓기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센서 유닛(500)의 유닛 ID가 포함된다. 이때, 이미 대응지어져 있는 센서 유닛(500)의 유닛 ID는, 페어링 완료된 운동화(100)에 대응하는 것임이 판별 가능하도록 표시 양태를 달리하여 표시되는 것이어도 된다. 당해 표시는, 유저에게 대상 세이브 데이터와 페어링시킬 운동화(100)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하나의 유닛 ID에 따른 표시 항목의 선택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에 제어부(601)는 처리를 S906으로 진행시킨다.
S906에서 제어부(601)는, S905에 있어서 이루어진 표시에 대하여, 어느 센서 유닛(500)에 따른 유닛 ID를 선택하는 선택 조작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601)는, 이미 대응지어져 있는 센서 유닛(500)의 유닛 ID를 선택하는 선택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대응지어져 있는 센서 유닛(500)을 변경하지 않고 본 등록 처리를 완료한다. 한편, 제어부(601)는, 대응짓기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센서 유닛(500)의 유닛 ID를 선택하는 선택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처리를 S907로 이행한다.
S907에서 제어부(601)는, 선택된 센서 유닛(500)(선택 유닛)이 이미 다른 통신 단말기와 페어링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당해 판단은, 제어부(601)가 단말기 통신부(607)를 통하여 페어링 상황의 확인 요구를 선택 유닛에 송출하여, 해당 요구에 대하여 반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페어링된 센서 유닛(500)의 마이크로컴퓨터(501)의 메모리에는, 페어링된 통신 단말기(600)를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501)는 확인 요구에 응하여 당해 식별 정보, 또는 저장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를 반송한다. 따라서 제어부(601)는, 선택 유닛의 메모리에 페어링된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의 유무에 기초하여, 페어링 상태에 있는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방식을 예시하지만, 센서 유닛(500)이 페어링 상태에 있는지 여부의 판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601)는, 선택 유닛이 이미 다른 통신 단말기와 페어링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S908로 이행하고, 어느 통신 단말기와도 페어링 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S910으로 이행한다.
S908에서 제어부(601)는, 선택 유닛에 대하여 이미 이루어져 있는 페어링을 해제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당해 판단은, 표시 제어부(604)가 제어부(601)의 제어 하, 선택 유닛에 대하여 이루어져 있는 페어링을 해제할지 여부의 문의 화면을 표시부(605)에 표시시키고, 해당 화면에 대하여 이루어진 조작 입력에 따라 행해지는 것이어도 된다. 제어부(601)는, 선택 유닛에 대하여 이루어져 있는 페어링을 해제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S909로 이행한다. 또한 제어부(601)는, 선택 유닛에 대하여 이루어져 있는 페어링을 해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604)에 등록을 중지하였다는 취지의 통지를 표시부(605)에 표시시키고 본 등록 처리를 완료한다.
S909에서 제어부(601)는, 단말기 통신부(607)를 통하여 선택 유닛에 대하여 페어링 해제 요구를 송신시킨다. 이때, 페어링 해제 요구를 수신한 선택 유닛의 마이크로컴퓨터(501)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 페어링 상태에 있는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삭제하고, 어느 통신 단말기와도 페어링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변경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상 세이브 데이터에 대하여 새로운 센서 유닛(500)을 대응지을 때에, 필요에 따라 해당 센서 유닛에 대하여 페어링 해제 요구를 송신하고, 설정 완료인 페어링 기기를 해제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해 페어링 해제에 따른 처리는, 예를 들어 세이브 데이터와의 대응짓기가 이루어져 있는 센서 유닛(500)을 갖는 운동화(100)를 양도하는 경우 등에, 해당 세이브 데이터에 따른 설정 화면으로부터 강제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S910에서 제어부(601)는, 대상 세이브 데이터에 대하여 기록부(602)에 관리되어 있는 정보 중의, 페어링한 센서 유닛(500)의 유닛 ID의 정보를, 선택 유닛에 대하여 수신한 유닛 ID에서 갱신한다. 또한 제어부(601)는, 자신의 단말기의 식별 정보(통신 단말기(600)의 식별 정보)를 단말기 통신부(607)에 전송하고, 페어링 등록 요구와 함께 선택 유닛에 송신시킨다. 이때, 페어링 등록 요구를 수신한 선택 유닛의 마이크로컴퓨터(501)는, 수신한 식별 정보의 정보를 페어링 상태에 있는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로서 메모리에 저장한다.
한편, S902에 있어서 어느 센서 유닛(500)으로부터도 센서 ID의 반송이 없었던 경우, 표시 제어부(604)는 S911에서, 제어부(601)의 제어 하, 등록을 원하는 운동화의 센서 유닛(500)을 슬립 상태로부터 복구시킨 후, 다시 등록을 행할 것을 촉구하는 가이던스 표시를 표시부(605)에 표시시킨다. 당해 가이던스 표시에는, 예를 들어 대응짓기를 원하는 운동화(100)를 흔들거나 착용하여 움직이는 등, 슬립 상태로 이행하지 않게 하도록 지시하는 표시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대상 세이브 데이터에 대한 선택 유닛의 대응짓기, 및 선택 유닛의 페어링처의 기기의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데이 모드 결과 표시> 이하, 본 실시 형태의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데이 모드에 따른 운동 정보의 취득을 행하였을 때에 행해지는 표시 제어 처리에 대하여, 도 7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처리를 설명한다. 해당 흐름도에 대응하는 처리는, 제어부(601)가, 예를 들어 기록부(602)에 기억되어 있는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메모리(603)에 전개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표시 제어 처리는, 예를 들어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지시가 이루어진 후에, 판독을 행하는 세이브 데이터를 선택하는 화면으로 천이하였을 때에 개시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S701에서 제어부(601)는, 세이브 데이터의 선택 조작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601)는, 세이브 데이터의 선택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S702로 이행하고, 이루어져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본 스텝의 처리를 반복한다.
S702에서 제어부(601)는, 선택된 세이브 데이터(대상 세이브 데이터)에 대응지어져 있는 페어링 기기의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의 센서 유닛(500)과의 통신 접속을 확립시키는 처리를 실행한다.
S703에서 제어부(601)는, 해당의 센서 유닛(500)과의 통신 접속이 확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601)는, 해당의 통신 접속이 확립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S704로 이행하고,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본 스텝의 처리를 반복한다.
S704에서 제어부(601)는, 단말기 통신부(607)를 통하여 접속 중인 센서 유닛(500)에 대하여, 데이 모드에 따른 운동 정보의 취득 요구를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간단화를 위하여, 세이브 데이터의 선택 시에 통신 접속을 행하여 데이 모드에 따른 운동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저에 의한 운동 정보의 취득에 따른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취득 요구를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S705에서 제어부(601)는, 접속 중인 센서 유닛(500)으로부터 데이 모드에 따른 운동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601)는, 데이 모드에 따른 운동 정보를 수신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S706으로 이행한다. 또한 제어부(601)는, 데이 모드에 따른 운동 정보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소정의 타임아웃 시간의 경과까지는 본 스텝의 처리를 반복하고, 타임아웃 시간의 경과 후에는 통신 접속을 절단하고 본 표시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본 스텝에서는, 간단화를 위하여, 운동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채 타임 아웃된 경우에는 그 후의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예를 들어 이미 수신한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세이브 데이터에 축적되어 있는 이력 정보(보행 기록 데이터)에 기초하는 표시를 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S706에서 제어부(601)는, 접속 중인 센서 유닛(500)과의 통신 접속을 절단한다.
S707에서 제어부(601)는, 수신한 운동 정보에 포함되는 각 보행 종별의 보수의 정보를 실제의 보수(정확하게는 실제로 이루어졌을 보수)로 변환하여, 대상 세이브 데이터의 보행 기록 데이터를 갱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운동량 측정 시스템에서는, 1족의 운동화(100)는 한쪽에만 센서 유닛(500)을 내장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센서 유닛(500)에 있어서 측정된 보수는, 착용자의 한발에 따른 보수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어부(601)는 각 보수를 단순히 배로 함으로써 실제의 보수를 도출한다. 또한 보행 기록 데이터는 운동 정보와 마찬가지로, 보행이 이루어진 일시(소정의 시간 간격)별로 각 보행 종별의 보수를 참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S708에서 제어부(601)는, 금회 수신한 운동 정보에 따른 보수의 시간 분포를, 예를 들어 도 8의 (a)과 같은 양태에서 제시한다. 도 8의 (a)의 예에서는, 1일에 따른 보행 기록 데이터를, 보행, 조깅, 대시 각각의 보수를 3시간별로 집계한 막대그래프로 되어 있다.
S709에서 제어부(601)는, 데이 모드의 측정 결과의 표시에 따른 게임 처리를 개시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착용자 및 유저의 흥취성을 높이기 위하여, S708과 같은 단순 집계 결과에 더해, 보행 기록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행 제어가 이루어지는 게임의 게임 화면으로서 측정 결과의 표시를 행한다.
S710에서 제어부(601)는, 금회 수신한 운동 정보에 포함되어 있던 보수의 정보를, 게임의 진행 제어에 이용되는 게임 포인트로 환산한다. 게임 포인트로의 환산은, 예를 들어 보수에 대하여 보행 종별에 따른 계수를 승산한 값을 적산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이어도 되며, 착용자에 대한 부하가 높은 보행 종별일수록 계수의 값이 크게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대시용 계수>조깅용 계수>보행용 계수).
S711에서 제어부(601)는, 금회 수신한 운동 정보에 따른 게임 포인트를 기존의 게임 포인트에 가산하여 누적 게임 포인트를 도출하고, 해당 누적 게임 포인트가, 게임에 대하여 정해진 소정의 게임 내 조건을 만족시켰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게임 내 조건은, 예를 들어 착용자에 따른 아바타 캐릭터의 레벨 상승의 조건이나 스테이지 이동의 조건, 아바타 캐릭터에 승부를 걸어 오는 대전 캐릭터 등장의 조건 등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간단화를 위하여 대전 캐릭터 등장의 조건인 것으로서 설명한다. 제어부(601)는, 누적 게임 포인트가 게임 내 조건을 만족시켰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S712로 이행하고, 만족시키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S714로 이행한다.
S712에서 제어부(601)는, 만족된 게임 내 조건에 따른 캐릭터를 대전 캐릭터로서 게임 내에 등장시켜 대전 처리를 행한다. 대전 처리는, 예를 들어 유저 조작이나 추첨에 의하여 승패가 결정되는 게임을 제공하는 것이어도 되고, 누적 게임 포인트가 많을수록 승리 확률이 높게 설정되는 것이어도 된다.
S713에서 제어부(601)는, 대전 처리의 결과 정보를 세이브 데이터에 추가하여 대전 처리의 결과 표시를 행한다.
S714에서 제어부(601)는 게임 처리를 종료하고 본 표시 제어 처리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기록용 메모리(502)에 축적된 운동 정보를, 통신 단말기(600)와의 통신 시에 단순히 보수만을 제시할 뿐 아니라, 연동된 게임에 의하여 흥취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착용자의 자발적인 운동 의욕을 야기시킬 수 있다.
<트레이닝 모드 결과 표시> 트레이닝 모드에 있어서의 운동 정보의 취득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지만, 트레이닝으로서 단발이 아니라 집중적으로 복수 회 행해질 것이 상정되기 때문에, 측정 결과의 표시는, 데이 모드와 같은 게임 화면 표시 등을 포함하지 않고 간소하게 확인 가능하게 행해지는 것이어도 된다. 트레이닝 모드에 따른 결과 표시는, 예를 들어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레이더 차트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운동 정보에 포함되는 측정 결과를 평가 기준에 준하여 채점하여 항목의 점수로서 제시하는 것이어도 된다. 도 8의 (b)의 예에서는, 트레이닝 모드에 대하여 준비되어 있는 6종류의 운동 항목의 각각이 차트의 각 성분에 대응하고 있으며, 퀵 리액션의 점수가 반응 속도 성분, 대시 스쿼트의 점수가 지구력 성분, 사이드 아질리티의 점수가 준민성 성분, 백 앤드 고의 점수가 체간 안정성 성분, 스프링 점프의 점수가 도약력 성분, 풋 리프트의 점수가 근력 성분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각 성분에 있어서의 표시는, 새로이 취득한 운동 정보에 따른 결과와 그 전에 취득한 운동 정보에 따른 결과가 대비 가능하게 표시되어 있어서, 과거의 최고 기록과 대비하는 것보다도 착용자의 운동 의욕을 더 야기시킬 것이 기대된다.
또한, 예를 들어 각 운동 항목에 대하여 점수에 따른 칭호 등이 준비되어 있어도 되고, 착용자에 대하여 측정 결과를 칭찬하거나 평가하는 요소를 포함시키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칭호는, 트레이닝 모드의 각 하위 모드에서 측정되는 운동 항목에 대하여 정해진 능력명에, 평가 기준에 기초하는 점수에 따른 계급명을 붙임으로써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퀵 리액션, 대시 스쿼트, 사이드 아질리티, 백 앤드 고, 스프링 점프, 풋 리프트의 각각에 정해지는 능력명은, 예를 들어 「퀵」, 「스태미나」, 「스피드」, 「컨트롤」, 「스프링」, 「머슬」이어도 된다. 또한 점수에 따른 계급명은, 예를 들어 100점 이하가 「챌린저」, 101 내지 200점이 「루키」, 201 내지 300점이 「위저드」, 301 내지 400점이 「마스터」, 401점 이상이 「갓」이어도 된다. 따라서 해당 양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8의 (b)의 사이드 아질리티에 대응하는 준민성의 항목에 대하여 제공되는 칭호는 「스피드 위저드」로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측정 결과에 따른 점수에 기초하여 칭호를 제공하는 양태에서는, 예를 들어 운동이 익숙치 않은 착용자는 적합한 칭호를 얻지 못하여, 결과로서 착용자의 운동 의욕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칭호 등의 칭찬 요소는 다음과 같이 처리하여, 착용자에게 적합한 칭찬 요소가 제공되기 쉽도록 제어해도 된다.
(칭호 결정 처리) 이하, 본 실시 형태의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트레이닝 모드에 따른 운동 정보의 취득을 행하였을 때에, 칭찬 요소로서 칭호를 제공할 때에 행해지는 칭호 결정 처리에 대하여, 도 10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처리를 설명한다. 해당 흐름도에 대응하는 처리는, 제어부(601)가, 예를 들어 기록부(602)에 기억되어 있는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메모리(603)에 전개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칭호 결정 처리는, 예를 들어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트레이닝 모드에 따른 측정 결과가 얻어졌을 때에 개시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도 10에서는, 측정 결과에 대하여 제공되는 칭찬 요소가 칭호인 양태의 처리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트레이닝 모드에 대하여 제공되는 칭찬 요소가 칭호일 필요는 없다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S1001에서 제어부(601)는, 취득된 측정 결과에 따른 운동 항목(대상 운동 항목)에 따른 능력명을 제공 능력명으로서 메모리(603)에 저장한다.
S1002에서 제어부(601)는, 취득된 측정 결과에 따른 점수가 해당하는 계급(순수 계급)을 특정한다. 당해 순수 계급의 특정은, 채점 결과의 점수가 상술한 점수 범위 중 어느 것에 속하는지에 따라 행해지는 것이어도 된다.
S1003에서 제어부(601)는, 예를 들어 기록부(602)에 저장되어 있는, 착용자의 대상 운동 항목에 따른 측정 횟수의 정보를 참조하여, 순수 계급에 대하여 정해진 측정 횟수의 역치를 상회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측정 횟수의 역치는, 예를 들어 100점 이하에 대해서는 5회, 101 내지 200점에 대해서는 10회, 201 내지 300점에 대해서는 20회, 301 내지 400점에 대해서는 50회 등, 단계적으로 상승하는 값으로 정해지는 것이어도 된다. 제어부(601)는, 측정 횟수가, 순수 계급에 대하여 정해진 측정 횟수의 역치를 상회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S1004로 이행하고, 역치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S1005로 이행한다.
또한 순수 계급이 최상위의 점수 범위에 따른 계급인 경우에는 본 스텝의 처리를 행하지 않으며, 처리는 S1005로 이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S1004에서 제어부(601)는, 순수 계급의 하나 위의 계급(높은 점수 범위가 정해져 있는 계급)에 따른 계급명을 제공 계급명으로서 메모리(603)에 저장한다.
한편, S1003에 있어서 측정 횟수가, 순수 계급에 대하여 정해진 측정 횟수의 역치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601)는 S1005에서, 순수 계급에 따른 계급명을 제공 계급명으로서 메모리(603)에 저장한다.
그리고 S1006에서 제어부(601)는, 메모리(603)에 저장된 제공 능력명과 제공 계급명을 접속한 텍스트를, 제공할 칭호로서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운동이 익숙치 않은 착용자이더라도 측정을 반복함으로써 통상의 평가 이상의 칭호를 제공할 수 있어서, 결과로서 착용자의 운동 의욕을 야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간단화를 위하여, 각 계급에 대하여 정해지는 역치는 하나로 하고, 이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순수 계급의 하나 위의 계급에 따른 계급명으로 할지, 순수 계급에 따른 계급명으로 할지를 전환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각 계급에 대하여 정해지는 역치는, 해당 계급보다도 위에 존재하는 계급 수만큼 단계적으로 더 마련되는 것이어도 되고,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은, 측정 횟수에 따라 최상위의 계급에 따른 칭호도 제공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정 횟수가 역치를 상회하는지 여부에 따라 계급명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측정 결과에 따른 점수의 산출에 있어서, 측정 결과에 대하여 정해지는 점수에 대하여 측정 횟수에 따른 계수를 승산함으로써 최종적인 점수를 도출하고, 측정 횟수가 많을수록 높은 계급에 해당하도록 조정함으로써, 제공할 칭호를 제어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는 트레이닝 모드의 1회의 측정에 대하여 0점 이상의 점수를 부여하고, 부여된 점수를 측정별로 가산함으로써 축적된 점수(축적점)를 도출하고, 이 축적점이 소정의 역치를 초과한 것에 기초하여, 소정의 계급에 따른 칭호를 부여하는 방식을 채용하도록 해도 된다. 축적점이 소정의 역치를 초과한 것에 기초하여 칭호를 부여하는 경우, 트레이닝 모드의 1회의 측정에 대한 소정의 점수로서, 측정 결과에 구애되지 않고 1회의 측정을 행하는 것에 기초하여 부여되는 1점 이상의 점수(기초점)를 마련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초점을 마련해 둠으로써, 측정 횟수를 거듭함으로써 축적점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운동 능력이 높지 않은 착용자이더라도 보다 상위의 칭호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트레이닝 모드의 1회의 측정에 대한 소정의 점수로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부여되는 점수(가산점)를 더 마련해 두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초점에 더해 가산점도 마련해 둠으로써, 예를 들어 측정 결과의 평가가 좋을수록 보다 많이 가산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면, 좋은 평가의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던 착용자는 가산점만큼 축적점이 보다 많이 축적되어 가므로, 측정 결과가 좋지 않은 착용자에 비해 빨리 축적점이 소정의 역치를 초과하여 상위의 칭호를 얻을 수 있으므로, 좋은 평가를 얻을 수 있는 측정 결과를 내고자 하는 동기로 된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양태에서의 칭호 결정 처리에 대하여, 도 11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처리를 설명한다. 해당 흐름도에 대응하는 처리는 상술한 칭호 결정 처리와 마찬가지로, 제어부(601)가, 예를 들어 기록부(602)에 기억되어 있는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메모리(603)에 전개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칭호 결정 처리는, 예를 들어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트레이닝 모드에 따른 측정 결과가 얻어졌을 때에 개시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도, 측정 결과에 대하여 제공되는 칭찬 요소가 칭호인 양태의 처리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트레이닝 모드에 대하여 제공되는 칭찬 요소가 칭호일 필요는 없다는 것은 마찬가지로 이해될 것이다.
S1101에서 제어부(601)는, 취득된 측정 결과에 따른 운동 항목(대상 운동 항목)에 따른 능력명을 제공 능력명으로서 메모리(603)에 저장한다.
S1102에서 제어부(601)는, 대상 운동 항목에 대하여 금회 행해진 측정에 대하여, 측정 결과에 구애되지 않는 기초점(예를 들어 5점)을 금회의 점수(초기값 0)로 저장한다. 여기서, 기초점은 측정 결과에 구애되지 않는 점이기 때문에, 순수히 대상 운동 항목에 따른 측정 횟수의 증가에 수반하여, 대상 운동 항목의 측정에 대하여 축적되는 점수(축적점)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S1103에서 제어부(601)는, 취득된 측정 결과에 따른 점수(가산점)를 도출하여 금회의 점수에 가산한다. 본 양태에 있어서 도출되는 가산점은 소정의 값 범위(예를 들어 0 내지 5점)에서 결정된다. 가산점은, 측정 결과를 소정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채점함으로써 도출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본 예시와 같이, 측정 결과가 적합할수록 소정의 값 범위에서 높은 가산점을 얻을 수 있도록 설정함으로써, 착용자가 보다 빨리 칭호를 얻기 위하여 트레이닝 모드에서의 측정에서 좋은 결과를 내고자 하는 동기로 된다.
본 예시에서는, 간단화를 위하여, 가산점은, 측정 결과가 적합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하는 운동 항목에 따라 이 채점 기준이나 값 범위는 상이한 것이어도 되며, 예를 들어 신체적 부하가 높은(측정 시간이 길거나 필요한 보수가 많은 등) 운동 항목에 대해서는, 신체적 부하가 낮은(측정 시간이 짧거나 필요한 보수가 적은 등) 운동 항목보다도 높은 가산점이 도출되도록 설정이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이는 가산점에 한정되는 것일 필요는 없으며, 기초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운동 항목 간에서 차를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측정 시점에서 얻어져 있는 칭호에 따라 기초점에 차를 마련하도록 해도 되고, 가산점의 채점 기준이나 값 범위가 상이하도록 설정해도 되며, 예를 들어 측정 시점에서 얻어져 있는 칭호가 높아짐에 따라 기초점을 낮게, 가산점의 값 범위를 넓게 설정해도 된다.
S1104에서 제어부(601)는, 예를 들어 기록부(602)에 저장되어 있는 착용자의 대상 운동 항목에 따른 축적점에 금회의 점수(기초점+가산점)를 가산하여, 금회의 측정 결과를 반영한 새로운 축적점을 도출한다.
S1105에서 제어부(601)는, S1104에 있어서 도출한 새로운 축적점에 기초하여, 금회의 측정 결과를 반영한 축적점이 해당하는 계급을 특정하고, 해당 계급에 따른 계급명을 제공 계급명으로서 메모리(603)에 저장한다. 본 스텝에서 행해지는 계급의 특정은, S1104에 있어서 도출한 새로운 축적점이 상술한 점수 범위 중 어느 것에 속하는지(상술한 점수 범위의 각각의 최저점(소정의 역치)을 초과하였는지)에 따라 행해지면 된다.
S1106에서 제어부(601)는, 메모리(603)에 저장된 제공 능력명과 제공 계급명을 접속한 텍스트를, 제공할 칭호로서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능력이 높지 않은 착용자 및 능력이 높은 착용자 중 어느 착용자의 운동 의욕도 야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양태에서는, 측정 횟수마저 거듭하면, 측정 결과에 구애되지 않더라도 간단히 축적점을 증대 가능하게 해 버리기 때문에, 예를 들어 소정 시간 내에 행해지는 측정에 대하여 기초점 및 가산점 중 적어도 어느 것이 가산되는 횟수를 제한하도록 해도 된다. 이 밖에, 측정 결과가 최고 기록을 상회한 경우 등, 가산점을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착용자의 운동 의욕을 야기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데이 모드 및 트레이닝 모드에 따른 운동 정보를 취득하여 결과 표시를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즉,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각 모드에서의 결과 표시는, 통신 단말기(600)와 센서 유닛(500)의 통신을 요건으로 하여 행해지는 것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결과 표시 애플리케이션은, 운동화(100)가 통신 단말기(600)의 부근에 존재하고 있지 않은 상황이나 운동화(100)가 현재 착용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 있어서도 기동하여 결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과거에 각 모드에 따른 운동 정보를 수신하고 있는 것이면, 도 8의 (a)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해당 모드에 대한 결과 표시를, 수신 완료된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운동량 측정 시스템에 의하면, 이루어진 운동량의 측정이 가능한 신발의 착용자의 자발적인 운동 의욕을 야기시킬 수 있다.
[그 외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는 일 없이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량 측정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를 해당 운동량 측정 시스템의 신발 및/또는 통신 단말기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에 의해서도 실현 가능하다. 해당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됨으로써, 또는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하여 제공/배포할 수 있다.
100: 운동화
201: 어퍼
202: 안창
203: 중창
204: 겉창부
301: 제1 오목부
302: 제2 오목부
303: 강성 소재
304: 에지부
305: 하층
306: 상층
500: 센서 유닛
501: 마이크로컴퓨터
502: 기록용 메모리
503: 가속도 센서
504: 측정부
505: 모드 설정부
506: 통신부
600: 통신 단말기
601: 제어부
602: 기록부
603: 메모리
604: 표시 제어부
605: 표시부
606: 조작 입력부
607: 단말기 통신부
201: 어퍼
202: 안창
203: 중창
204: 겉창부
301: 제1 오목부
302: 제2 오목부
303: 강성 소재
304: 에지부
305: 하층
306: 상층
500: 센서 유닛
501: 마이크로컴퓨터
502: 기록용 메모리
503: 가속도 센서
504: 측정부
505: 모드 설정부
506: 통신부
600: 통신 단말기
601: 제어부
602: 기록부
603: 메모리
604: 표시 제어부
605: 표시부
606: 조작 입력부
607: 단말기 통신부
Claims (1)
- 신발과, 해당 신발을 착용하고 행해진 운동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는 표시를 행하는 통신 단말기를 갖는 운동량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212677 | 2017-11-02 | ||
JPJP-P-2018-024302 | 2018-02-14 | ||
JP2018024302A JP6498332B1 (ja) | 2017-11-02 | 2018-02-14 | 運動量測定システム、靴及びプログラム |
PCT/JP2019/002293 WO2019159636A1 (ja) | 2017-11-02 | 2019-01-24 | 運動量測定システム、靴及びプログラム |
KR1020197033377A KR102432590B1 (ko) | 2017-11-02 | 2019-01-24 | 운동량 측정 시스템, 신발 및 프로그램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33377A Division KR102432590B1 (ko) | 2017-11-02 | 2019-01-24 | 운동량 측정 시스템, 신발 및 프로그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3586A true KR20220013586A (ko) | 2022-02-04 |
Family
ID=660925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01461A KR20220013586A (ko) | 2017-11-02 | 2019-01-24 | 운동량 측정 시스템, 신발 및 프로그램 |
KR1020197033377A KR102432590B1 (ko) | 2017-11-02 | 2019-01-24 | 운동량 측정 시스템, 신발 및 프로그램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33377A KR102432590B1 (ko) | 2017-11-02 | 2019-01-24 | 운동량 측정 시스템, 신발 및 프로그램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2) | JP6498332B1 (ko) |
KR (2) | KR20220013586A (ko) |
CN (1) | CN110636793A (ko) |
TW (3) | TWI688880B (ko) |
WO (2) | WO201908761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03294A (zh) * | 2019-07-10 | 2019-11-05 | 北京三垣科技有限公司 | 一种智能运动鞋及其销售平台与方法 |
JP2022095318A (ja) * | 2020-12-16 | 2022-06-28 | 株式会社タニタ | 目標達成度評価装置、目標達成度評価方法、及び目標達成度評価プログラム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46323A (ja) | 2005-06-20 | 2006-12-28 | Sanyo Electric Co Ltd | 運動靴 |
Family Cites Families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65400B2 (ja) * | 1991-09-30 | 2000-07-17 | 日立電子株式会社 | トレーニング信号検出方式 |
JP3065400U (ja) * | 1998-12-11 | 2000-02-02 | 聖賢 林 | 発光装置を備える履き物 |
JP3806285B2 (ja) | 2000-06-09 | 2006-08-09 | ヤマハ株式会社 | 発光玩具および発光玩具を用いた身体状態記録/判定システム |
JP2003315085A (ja) * | 2002-02-25 | 2003-11-06 | Seiko Instruments Inc | ペース計測装置 |
JP2004261555A (ja) * | 2003-03-03 | 2004-09-24 | Mikio Uehara | 運動情報を記録する機能つきの靴 |
US7188439B2 (en) * | 2003-03-10 | 2007-03-13 |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 Intelligent footwear systems |
JP2005237926A (ja) * | 2004-02-26 | 2005-09-08 | Mikio Uehara | 歩行距離と時刻を記録する機能付の靴 |
JP4592360B2 (ja) | 2004-09-02 | 2010-12-01 | 公立大学法人会津大学 | 身体状態監視装置 |
JP4579652B2 (ja) * | 2004-11-08 | 2010-11-10 | 株式会社スポトレンド | スポーツ能力評価システム |
US8028443B2 (en) * | 2005-06-27 | 2011-10-04 | Nike, Inc. | Systems for activating and/or authenticating electronic devices for operation with footwear |
US8740751B2 (en) * | 2005-07-25 | 2014-06-03 | Nike, Inc. | Interfaces and systems for displaying athletic performance information on electronic devices |
DE602005014641D1 (de) * | 2005-10-03 | 2009-07-09 | St Microelectronics Srl | Schrittmesservorrichtung und Schrittdetektionsverfahren mittels Algorithmus für selbstadaptive Berechnung von Beschleunigungsgrenzwerten |
US7607243B2 (en) * | 2006-05-03 | 2009-10-27 | Nike, Inc. | Athletic or other performance sensing systems |
US8702430B2 (en) * | 2007-08-17 | 2014-04-22 |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 Sports electronic training system, and applications thereof |
EP2027817B1 (fr) * | 2007-08-23 | 2016-02-24 | Myotest SA | Accéléromètre et procédé de commande adapté |
JP5049810B2 (ja) * | 2008-02-01 | 2012-10-17 | シチズ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 体動検出装置 |
JP5349063B2 (ja) * | 2009-01-19 | 2013-11-20 | 株式会社コナミスポーツ&ライフ | 運動データ管理システム |
JP5306883B2 (ja) | 2009-04-09 | 2013-10-02 | 日機装株式会社 | センサモジュール固定装置、生体成分測定装置及び人工膵臓装置 |
JP5507129B2 (ja) * | 2009-06-26 | 2014-05-28 |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歩数計および活動量計 |
JP5870656B2 (ja) | 2011-11-30 | 2016-03-01 | 富士通株式会社 | 軌跡演算装置および軌跡演算方法 |
CN102818913B (zh) * | 2012-07-31 | 2013-11-27 | 宋子健 | 一种人体运动信息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
CN103349395A (zh) * | 2013-06-21 | 2013-10-16 | 赵聪 | 一种运动指标测量鞋垫及其对应的数据处理方法 |
JP6539272B2 (ja) | 2013-08-07 | 2019-07-03 |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 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現される方法、非一時的かつ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媒体、および単一装置 |
KR102192060B1 (ko) * | 2014-01-02 | 2020-12-1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스마트 신발 및 스마트 신발의 센서 정보 제공 방법, 스마트 디바이스 및 스마트 디바이스의 가이드 프로그램 제공 방법 |
TWI563975B (zh) * | 2014-06-03 | 2017-01-01 | 國立成功大學 | 腳步偵測系統及其應用 |
JP2016131827A (ja) | 2015-01-22 | 2016-07-25 | 株式会社デジタル・スタンダード | 通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
JP6505614B2 (ja) * | 2016-01-15 | 2019-04-24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トレーニング分類システム、トレーニング分類方法およびトレーニング分類サーバ |
TWI615129B (zh) * | 2016-02-19 | 2018-02-21 |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 步態分析系統及方法 |
-
2018
- 2018-02-14 JP JP2018024302A patent/JP6498332B1/ja active Active
- 2018-09-21 WO PCT/JP2018/035007 patent/WO201908761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10-26 TW TW107137882A patent/TWI688880B/zh active
-
2019
- 2019-01-24 WO PCT/JP2019/002293 patent/WO201915963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01-24 CN CN201980002451.XA patent/CN110636793A/zh active Pending
- 2019-01-24 KR KR1020227001461A patent/KR2022001358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9-01-24 KR KR1020197033377A patent/KR10243259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2-01 TW TW109120965A patent/TW202045054A/zh unknown
- 2019-02-01 TW TW108104103A patent/TWI700050B/zh active
- 2019-03-12 JP JP2019045112A patent/JP7086019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46323A (ja) | 2005-06-20 | 2006-12-28 | Sanyo Electric Co Ltd | 運動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498332B1 (ja) | 2019-04-10 |
TW201940093A (zh) | 2019-10-16 |
KR102432590B1 (ko) | 2022-08-17 |
CN110636793A (zh) | 2019-12-31 |
WO2019159636A1 (ja) | 2019-08-22 |
KR20190139263A (ko) | 2019-12-17 |
TWI700050B (zh) | 2020-08-01 |
JP7086019B2 (ja) | 2022-06-17 |
TWI688880B (zh) | 2020-03-21 |
JP2019130325A (ja) | 2019-08-08 |
TW202045054A (zh) | 2020-12-16 |
JP2019084330A (ja) | 2019-06-06 |
WO2019087611A1 (ja) | 2019-05-09 |
TW201923519A (zh) | 2019-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740163B2 (ja) | データ送信機能を含む履物製品 | |
US2017009569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run tracking with a wearable activity monitor | |
JP6539273B2 (ja) | 活動リマインダによる活動認識 | |
CN104123435B (zh) | 用于计算运动活动参数的电子模块和活动监控系统 | |
US10789855B2 (en) | Fitness device configured to provide goal motivation | |
EP2675312B1 (en) | Footwear having sensor system | |
JP5760139B1 (ja) |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 | |
JP6362701B2 (ja) | アスレチック活動セッションおよびグループ | |
JP6332574B1 (ja) | 移動能力評価装置、移動能力評価システム、移動能力評価プログラムおよび移動能力評価方法 | |
CN105455304A (zh) | 智能鞋垫系统 | |
KR102432590B1 (ko) | 운동량 측정 시스템, 신발 및 프로그램 | |
KR20160045833A (ko) | 에너지 소모 디바이스 | |
CN103476285A (zh) | 带传感器系统的鞋 | |
WO2016196123A1 (en) | Smart top routes | |
WO2014181604A1 (ja) | 歩行姿勢計およびプログラム | |
CN109806567A (zh) | 电子设备 | |
JP2018008026A (ja) | 靴用のインナーソール | |
JP6365031B2 (ja) | 活動量測定装置、活動量の測定方法、活動量の測定プログラム | |
CN106573173A (zh) | 动作信息测定装置、游戏控制程序和动作信息测定程序 | |
JP7419034B2 (ja) |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CN111819832A (zh) |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