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204A - 포충기 - Google Patents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204A
KR20220004204A KR1020217039854A KR20217039854A KR20220004204A KR 20220004204 A KR20220004204 A KR 20220004204A KR 1020217039854 A KR1020217039854 A KR 1020217039854A KR 20217039854 A KR20217039854 A KR 20217039854A KR 20220004204 A KR20220004204 A KR 20220004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cylindrical portion
insect
insect trap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후미 히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카리 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카리 바이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카리 바이오
Publication of KR20220004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해충의 구제 확률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해져, 해충에 의한 과수, 채소, 작물에 대한 피해를 억제할 수 있는 포충기를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00)는 벌레를 유인하는 광을 발하는 유인 광원(210)과, 상기 유인 광원의 연직 하방에 배치되고, 연직 하방을 향해서 개구경이 좁혀지는 유발 형상부(160)와, 상기 유발 형상부(160)의 연직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유발 형상부(160)로부터 연장되는 원통부(170)와, 상기 유발 형상부(160)의 개구로부터 상기 원통부(170) 내로 흡인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팬(190)과, 상기 원통부(170)의 연직 하방에 배치되고, 광을 투과하는 투명 장척 원통부(180)와, 상기 투명 장척 원통부(180)의 연직 하방에 배치되고, 벌레를 포획하는 포획 네트(3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충기
본 발명은 농원에서 해충에 의한 재배 작물의 식해(食害)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이를 구제(驅除)하는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딸기나, 복숭아 등의 과수가 재배되는 과수원, 혹은, 시금치, 국화 등의 농작물이 재배되는 농원에서는, 해충에 의한 과수, 작물의 식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이를 구제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청색 형광등을 사용한 유인 광원으로 해충을 유인하고, 그것을 전기 자극으로 살충하거나, 송풍기로 흡인하여, 포획하거나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29997호)에는, 도 1과 관련하여, 유인 광원(2)과 반사판(4, 5), 추가로 전동기(6)와 팬(7)과 백색 포충망(8) 등으로 이루어진 비상(飛翔) 수단, 추가로 살상 포획 수단으로 구성된 포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포충기에 있어서는, 광원(2)의 광으로 유인되어 온 곤충을 반사판(4, 5)에서 미끄러져 떨어지게 하는 동시에 그 아래에 있는 송풍기(6, 7)로 흡인, 살상하여 포획망(8)에 떨어뜨리도록 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29997호
종래의 포충기에 있어서는, 반사판(5) 하방측의 에어리어에 유인 광원(2)으로부터의 광이 닿지 않아, 상기 에어리어에 있는 해충이 유인 광원(2)에 의해 유인되고, 포획·구제될 확률이 매우 적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포충기에서는, 포획되지 않았던 해충은 극히 적었다고 해도, 해충의 종류에 따라서는 번식 속도가 매우 빠르고, 시간 경과와 함께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는 것도 많기 때문에, 약간의 구제 확률의 저하에도 과수, 채소, 작물의 피해로의 영향은 커져, 문제였다.
또한, 키가 큰 농작물에 있어서는, 뿌리 주위에 차가운 공기가 체류함으로써, 질병의 발생률이 높아지는 동시에, 뿌리 부근에서는 결실(結實)하기 어려워 생산량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지만, 종래의 포충기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벌레를 유인하는 광을 발하는 유인 광원과, 상기 유인 광원의 연직 하방에 배치되고, 연직 하방을 향해서 개구경이 좁혀지는 유발 형상부와, 상기 유발 형상부의 연직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유발 형상부로부터 연장되는 원통부와, 상기 유발 형상부의 개구로부터 상기 원통부 내로 흡인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팬과, 상기 원통부의 연직 하방에 배치되고, 광을 투과하는 투명 장척 원통부와, 상기 투명 장척 원통부의 연직 하방에 배치되고, 벌레를 포획하는 네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상기 유발 형상부의 근방에 벌레를 유인하는 유인제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상기 투명 장척 원통부에 점착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상기 투명 장척 원통부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원통 형상의 보호망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상기 보호망에 점착 시트가 상기 보호망의 외측 또는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상기 유인 광원이 500nm 이상 750nm 이하의 방사 파장역을 갖고, 540nm 이상 630nm 이하의 범위에서 최대 방사 피크 파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방사 파장이 565nm 부근에서 최대 방사 피크를 갖는 보조 광원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상기 유인 광원이 300nm 이상 500nm 이하의 방사 파장역을 갖고, 340nm 이상 450nm 이하의 범위에서 최대 방사 피크 파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방사 파장이 340nm 이상 450nm 이하에서 최대 방사 피크 파장을 갖는 보조 광원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방사 파장이 540nm 이상 630nm 이하에서 최대 방사 피크 파장을 갖는 보조 광원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원통부의 연직 하방에 광을 투과하는 투명 장척 원통부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에 의하면, 투명 장척 원통부를 통해서 하방측의 에어리어에도 유인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도달하기 때문에, 상기 에어리어에 있는 해충이 상기 유인 광원에 의해 유인되어 포획·구제되므로, 해충의 구제 확률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해져, 해충에 의한 과수, 채소, 작물에 대한 피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에 의하면, 투명 장척 원통부로부터 농작물의 뿌리 주위에 따뜻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농작물의 질병 발생률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뿌리 부근에서 결실시킬 수 있게 되어, 작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에 의한 포충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에 의한 공기 순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에 의한 포충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포충기(100)는, 예를 들어, 적하선(吊下線; Hanging wire)(110)에 의해 이것을 현수시킴으로써 이용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포충기(100)의 주요 구성은, 적하선(110)이 통과하는 가상축(OO')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유인 광원(210)은 대략 도넛 형상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적하선(110)은 원추 형상부(150)를 현수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원추 형상부(150)의 상방의 적하선(110)에는 화학 물질 배치부(130)가 부착되어 있다.
원추 형상부(150)의 주면의 상측 3개소로부터는 고정 금구(151)가 상기 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도록 마련되어 있고, 3개의 고정 금구(151)에 의해 유인 광원(210)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원추 형상부(150)의 주면에 마련되는 고정 금구(151)의 수는 상기와 같이 3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유인 광원(210)은 도시하지 않은 안정기에 의해 발광하는 형광관이며, 소정의 방사 파장역을 갖고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유인 광원(210)으로서 형광관을 사용하는 예에 기초하여 설명을 행하지만, 유인 광원으로서는 백열 전구, 수은등, 나트륨등, LED 등의 기타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유인 광원(210)은 발광하면, 해충을 유인하는 광원으로서 기능한다.
원추 형상부(150)의 바닥부에서의 3개소로부터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 삿대가 연장되어 나와 있고, 이러한 지지 삿대로 유발 형상부(160)와 원추 형상부(150)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원추 형상부(150)의 바닥부와 유발 형상부(160) 사이에서의, 지지 삿대 이외의 공간은 간극으로 되어 있고, 이 간극으로부터 해충을 흡인하거나, 유인 광원(210)으로부터의 광이 하방측으로 진입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유발 형상부(160)의 바닥부로부터는 연직 하방으로 원통부(170)가 연장되어 있다.
유발 형상부(160), 원추 형상부(150), 원통부(17) 등은 철이나 스테인리스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또한, 이러한 각각의 부재에는 내후성을 갖는 도료를 도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통부(170)의 하방측에는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투명 장척 원통부(180)가 부착되어 있다. 유발 형상부(160)와 원추 형상부(150) 사이의 틈새로부터, 진입한 유인 광원(210)으로부터의 광은, 투명 장척 원통부(180)로부터 조사광(t)으로서, 포충기(100)의 하방측을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투명 장척 원통부(180)의 연직 하방에는 포획 네트(310)가 부착되어 있다. 포획 네트(310)의 네트에 의해, 흡인된 해충이 포획·구제된다.
길이가 상이한 투명 장척 원통부(180)를 준비해 두고, 작물의 성장에 맞춰, 길이가 상이한 투명 장척 원통부(180)로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원통부(170) 내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팬(19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의 팬(190)이 회전함으로써, 원추 형상부(150)와 유발 형상부(160) 사이의 간극에서, 유발 형상부(160) 내의 연직 하방으로 흡인하는 기류를 발생시킨다.
팬(190)에 의해 발생되는, 유발 형상부(160)의 개구로부터 원통부(170) 내로 흡인하는 기류에 의해, 유인 광원(210)으로 유인된 해충은 원통부(170), 투명 장척 원통부(180)를 통해서 포획 네트(310)로 유도된다.
유인 광원(210)이 발광함으로써, 유인 광원(210)의 연직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원추 형상부(150)의 사선부가 반사면으로서 기능함으로써, 반사광(r1)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유인 광원(210)이 발광함으로써, 유인 광원(210)의 연직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유발 형상부(160)의 내면부가 반사면으로서 기능함으로써, 반사광(r2)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유인 광원(210)이 발광함으로써, 투명 장척 원통부(180)로부터의 조사광(t)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조사광(t)에 의해 유발 형상부(160)의 하방의 에어리어에 있는 해충도 유인 광원에 의해 유인되어, 팬(190)에서 발생되는 기류에 의해 흡인되어 포획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00)에 의하면, 투명 장척 원통부(180)를 통해서 하방측의 에어리어에도 유인 광원(210)으로부터의 광이 도달하기 때문에, 상기 에어리어에 있는 해충이 유인 광원(210)에 의해 유인되어 포획·구제되기 때문에, 해충의 구제 확률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해져, 해충에 의한 과수, 채소, 작물에 대한 피해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사광(t)은 일조 시간의 증가와 동일한 작용을 작물에 부여하기 때문에, 작물의 생산량 증가에도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유인 광원(210)으로서는, 500nm 이상 750nm 이하의 방사 파장역을 갖고, 540nm 이상 630nm 이하의 파장역에서 최대 방사 피크 파장역을 형성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인 광원(210)에 의하면, 가루이류, 총채벌레류, 파리류, 진딧물류를 효율적으로 유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분광 특성을 갖는 유인 광원(210)은 형광관(백색의 형광등; 색온도 4200K)의 관 표면에 도막을 형성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형광관의 관 표면의 도막은 광학 필터로서 기능하여, 500nm 부근으로부터 단파장의 방사광을 차단하고, 그것보다 장파장역의 방사광을 효율적으로 투과하도록 하고 있다. 수산기 함유 아크릴 수지와 벤즈이미다졸론의 혼합물, 에폭시 수지, 클리어, 경화제(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시너의 혼합물이 형광관에 도포됨으로써, 이러한 도막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도막 처리가 실시되어 이루어진 유인 광원(210)은, 방사 파장이 545nm 부근, 및, 575nm 부근의 2개에 국소적인 방사 피크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지만, 유인 광원(210)은 방사 파장으로 500nm 부근 내지 650nm 부근에 2개의 국소적인 방사선 피크를 갖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유인 광원(210)으로서는 300nm 이상 500nm 이하의 방사 파장역을 갖고, 340nm 이상 450nm 이하의 파장역에서 최대 방사 피크 파장역을 형성하는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분광 특성을 갖는 유인 광원(210)으로서는 블랙라이트 전구, 블랙라이트 형광등, 블랙라이트 LE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인 광원(210)에 의하면, 총채벌레류, 파리류, 밤나방류, 노린재류, 잎벌레류를 효율적으로 유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피크 파장 등을 핀 포인트적으로 545nm로 하여 언급하는 경우에는, 그 파장의 ±15nm정도의 차이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파장의 범위를, 지정한 파장과 그 파장의 ±15nm의 범위로 규정하지만, 이와 같이 범위로서 파장을 규정하는 이유는, 동일한 종류의 벌레라도 지역 등에 의한 다양성이 있어, 광원의 파장에 대한 포충 효과에는 예를 들어 지역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유인 광원(210)은 대략 도넛 형상의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00)에 있어서는, 광원의 형상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유인 광원으로서, 1종류의 유인 광원(210)을 마련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보다 많은 종류의 유인 광원을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유인 광원(210)으로서, 방사 파장역이 상이한 것을 2종류 사용하도록 하면, 상기 유인 광원에 의해, 유도 가능한 해충의 종류가 증가하여, 해충의 구제 확률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해져, 해충에 의한 과수, 채소, 작물에 대한 피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포획 네트(310)의 그물코(의 사이즈)가 0.1mm 내지 0.3mm정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혹은, 포획 네트(310)의 그물코(의 사이즈)가 상이한 것을 이중으로 해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포획 네트(310)로서는, 그물코(의 사이즈)가 0.1mm 내지 0.3mm정도의 것과, 그물코(의 사이즈)가 5mm 정도의 것을 이중으로 하는 것도 적합한 실시형태이다. 비교적 대형의 곤충이 포획되어 버린 경우에도, 눈이 성긴 개소가 상기 곤충에 의해 물려 찢어져 구멍이 생기는 일은 없으므로, 포획한 해충이 상기 네트로부터 도망쳐 버리는 일이 없어, 해충의 구제 확률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해져, 해충에 의한 과수, 채소, 작물에 대한 피해를 억제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에 있어서는, 적하선(110)에는 화학 물질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화학 물질 배치부(130)가 마련되어 있다. 이 화학 물질 배치부(130)에 배치하는 화학 물질로서는, 해충을 유인하는, 성 페로몬제, 집합 페로몬제, 유산균 분비물 등의 유인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인 광원(210)에 의한 해충의 유인 효과와의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화학 물질 배치부(130)를 마련하는 개소는 반드시, 적하선(110)으로 할 필요는 없고, 유발 형상부(160)의 근방이며, 적정하게 해충을 유인할 수 있다면, 어느 개소라도 좋다.
한편, 화학 물질 배치부(130)에 배치하는 화학 물질로서는 곤충이 기피하는 기피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농원, 과수원에 바람직하지 않은 곤충류를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작물에 해를 끼치는 해충은 유인 광원(210)에 의한 해충의 유인 효과에 기초하여, 포획·구제할 수 있게 된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포충기(100)를 적하선(110)에 의해 현수시켜, 가상 축(OO')이 연직 방향과 평행이 되는 설치 형태로 설명했지만, 과수, 채소, 작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포충기(100)의 가상 축(OO')이 수평면과 평행이 되도록, 포충기(100)를 설치하는 형태로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키가 큰 농작물에 있어서는, 뿌리 주위에 차가운 공기가 체류함으로써, 질병의 발생률이 높아지는 동시에, 뿌리 부근에서는 결실하기 어려워 생산량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00)는, 유발 형상부(160)에서 빨아들여진 온도가 높은 층의 공기(W)가 팬(190)에 의해 농작물의 뿌리 주위에 공급되는 구성으로도 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에 의한 공기 순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키가 큰 농작물의 뿌리에도 따뜻한 공기(W)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은 제 1 실시형태에서 투명 장척 원통부(180)를 사용한 것에 의한 바가 크다. 작물에도 따르지만, 투명 장척 원통부(180)는 1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00)에 의하면, 투명 장척 원통부(180)로부터 농작물의 뿌리 주위에 따뜻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농작물의 질병의 발생률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뿌리 부근에서 결실시킬 수 있게 되어, 작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앞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의 투명 장척 원통부(180)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도 4의 (B)는 본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의 투명 장척 원통부(180)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다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와의 상위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 설명하는 다양한 다른 실시형태의 특징점은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포충기(100)의 어느 실시형태와도 조합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의 투명 장척 원통부(180) 자체에 대해서는 특단의 연구는 이루어져 있지 않았지만,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의 투명 장척 원통부(180)에 있어서는 점착제(270)가 도포되어 이루어진다.
유인 광원(210)이 발광함으로써, 투명 장척 원통부(180)로부터의 조사광(t)이 형성되는 것은 설명했다. 이와 같은 조사광(t)에 의해 해충이 투명 장척 원통부(180) 자체에 머무는 경우도 종종 있다. 그래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에서는, 투명 장척 원통부(180)에 점착제(270)를 도포하여, 투명 장척 원통부(180) 자체로 해충을 포획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제 2 실시형태에서도, 포획 네트(310)에 있어서도 해충은 포획되는 것이 상정되고, 포획 네트(310)에 의한 포획분에 더하여, 점착제(270)에서의 포획분에 의해, 전체로서의 해충 포획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앞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에서는, 투명 장척 원통부(180)의 외위부(外圍部)에 점착제(270)가 도포되어 있었기 때문에, 농작물의 잎, 혹은 농작업자의 머리카락 등이 점착제(270)에 달라붙어 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그래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투명 장척 원통부(180)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원통 형상의 보호망(280)을 배치하도록 했다. 보호망(280)의 고정 수단으로서는 원통부(170)나 투명 장척 원통부(180)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암 부재(도시하지 않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보호망(280)의 눈의 사이즈로서는 5mm 내지 10cm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포획 네트(310)에 의한 포획분에 더하여, 점착제(270)에서의 포획분에 의해, 전체로서의 해충 포획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농작물의 잎, 혹은 농작업자의 머리카락 등의 달라붙음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2 실시형태 및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투명 장척 원통부(180)의 외위부에 점착제(270)를 도포하도록 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에서는, 투명 장척 원통부(180)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원통 형상의 보호망(280)을 배치하도록 하고, 그 보호망(280)에 대하여, 점착 시트(285)를 외측에서 둘러 감도록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조사광(t)에 의해 유인된 해충이 점착 시트(285)로 포착되는 동시에, 이러한 점착 시트(285)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다.
한편, 점착 시트(285)를 보호망(280)의 내측에 배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호망(280)의 내측의 점착 시트(285)로 해충을 포획한다. 이 경우, 점착 시트(285)의 교환은 하기 어려워지긴 하지만, 농작물의 잎, 혹은 농작업자의 머리카락 등이 점착 시트(285)에 달라붙어 버릴 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가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상위한 점은, 광원으로서 광원(200)에 더해서, 적하선(110)의 도중에 보조 광원(220)이 배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조 광원(220)의 하측에 화학 물질 배치부(130)를 마련하도록 하고 있지만, 화학 물질 배치부(130)를 보조 광원(220)의 상측에 마련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혹은, 화학 물질 배치부(130)를 보조 광원(220)의 상측 및 하측 양방에 각각 마련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보조 광원(220)은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되고 있던 광원(200)과는 종별이 상이한 것이다.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되고 있던 유인 광원(210)에는, 예를 들어, 형광등에 소정의 도막 처리를 실시한 것이 사용되고 있었다. 한편, 보조 광원(220)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 소자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보조 광원(220)은 예를 들어 적하선(110)의 도중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보조 광원(220)을 배치하는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조 광원(220)에는 복수개의 LED 소자(223)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LED 소자(223)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지향성을 갖는다. 지향성이 있으면 효율적인 해충의 유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LED 소자(223)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광 확산 수단으로서, 투명한 광 확산 수지(230)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광 확산 수단은 투명 수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리 등의 도광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유인 광원(210)으로서, 500nm 이상 750nm 이하의 방사 파장역을 갖는 것을 사용하도록 한 경우, 제 5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보조 광원(220)은 방사 파장이 565nm 부근에서 최대 방사 피크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인 광원(210)과 보조 광원(220)으로 이루어진 광원에 의해, 특히 가루이류, 총채벌레류, 진딧물류(유시(有翅)), 굴파리류, 파리류를 보다 효율적으로 유인할 수 있다.
한편, 유인 광원(210)으로서, 상기 유인 광원이 300nm 이상 500nm 이하의 방사 파장역을 갖는 것을 사용하도록 한 경우, 제 5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보조 광원(220)은 방사 파장이 340nm 이상 450nm 이하에서 최대 방사 피크 파장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인 광원(210)과 보조 광원(220)으로 이루어진 광원에 의해, 특히 총채벌레류, 파리류, 밤나방류, 노린재류, 잎벌레류를 보다 효율적으로 유인할 수 있다.
단, 보조 광원(220)으로서, 방사 파장이 340nm 이상 450nm 이하에서 최대 방사 피크 파장을 갖는 것 대신에, 방사 파장이 540nm 이상 630nm 이하에서 최대 방사 피크 파장을 갖는 것을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혹은, 보조 광원(220)으로서, 쌍방의 최대 방사 피크 파장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에 의하면, 주광원으로서 기능하는 유인 광원(210)의 효과에 더해, 보조 광원(220)의 효과에 의해, 해충의 포획수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5 실시형태에서는 보조 광원(220)을 적하선(110)에 배치하도록 했지만,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투명 장척 원통부(180)의 하방 단측에 지지 부재(240)를 마련하고, 이 지지 부재(240)에 연직 상방을 조사하는 보조 광원(220)을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유인 광원(210)과 보조 광원(220)의 각각의 분광 특성은 제 5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에서는, 보조 광원(220)에 의해 하방측에서 투명 장척 원통부(180)를 조사하게 되므로,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는 투명 장척 원통부(180)의 외위부에 점착제(270)를 도포한 실시형태나, 보호망(280)에 점착 시트(285)를 배치한 실시형태와 조합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해충의 포획을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원통부의 연직 하방에 광을 투과하는 투명 장척 원통부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에 의하면, 투명 장척 원통부를 통해서 하방측의 에어리어에도 유인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도달하기 때문에, 상기 에어리어에 있는 해충이 상기 유인 광원에 의해 유인되어 포획·구제되므로, 해충의 구제 확률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해져, 해충에 의한 과수, 채소, 작물에 대한 피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에 의하면, 투명 장척 원통부로부터 농작물의 뿌리 주위에 따뜻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농작물의 질병의 발생률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뿌리 부근에서 결실시킬 수 있게 되어, 작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성
본 발명은, 농원에서 해충에 의한 재배 작물의 식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이것을 유인하여 구제하는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포충기에 있어서는, 종래, 하방측의 에어리어에 유인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닿지 않아, 상기 에어리어에 있는 해충이 유인 광원에 의해 유인되어, 포획·구제될 확률이 매우 적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키가 큰 농작물에 있어서는, 뿌리 주위에 차가운 공기가 체류함으로써, 질병의 발생률이 높아지는 동시에, 뿌리 부근에서는 결실하기 어려워 생산량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지만, 종래의 포충기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원통부의 연직 하방에 광을 투과하는 투명 장척 원통부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에 의하면, 투명 장척 원통부를 통해서 하방측의 에어리어에도 유인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도달하기 때문에, 상기 에어리어에 있는 해충이 상기 유인 광원에 의해 유인되어 포획·구제되므로, 해충의 구제 확률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해져, 해충에 의한 과수, 채소, 작물에 대한 피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에 의하면, 투명 장척 원통부로부터 농작물의 뿌리 주위에 따뜻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농작물의 질병의 발생률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뿌리 부근에서 결실시킬 수 있게 되어, 작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산업상의 이용성이 매우 크다.
100 ··· 포충기
110 ··· 적하선
130 ··· 화학 물질 배치부
150 ··· 원추 형상부
151 ··· 고정 금구
160 ··· 유발 형상부
170 ··· 원통부
180 ··· 투명 장척 원통부
190 ··· 팬
210 ··· 유인 광원
220 ··· 보조 광원
223 ··· LED 소자
230 ··· 광 확산 수지(광 확산 수단)
240 ··· 지지 부재
270 ··· 점착제
280 ··· 보호망
285 ··· 점착 시트
310 ··· 포획 네트

Claims (10)

  1. 벌레를 유인하는 광을 발하는 유인 광원과,
    상기 유인 광원의 연직 하방에 배치되고, 연직 하방을 향해서 개구경이 좁혀지는 유발 형상부와,
    상기 유발 형상부의 연직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유발 형상부로부터 연장되는 원통부와,
    상기 유발 형상부의 개구로부터 상기 원통부 내로 흡인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팬과,
    상기 원통부의 연직 하방에 배치되고, 광을 투과하는 투명 장척 원통부와,
    상기 투명 장척 원통부의 연직 하방에 배치되고, 벌레를 포획하는 네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발 형상부의 근방에 벌레를 유인하는 유인제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장척 원통부에는 점착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장척 원통부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원통 형상의 보호망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망에는 점착 시트가 상기 보호망의 외측 또는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 광원이 500nm 이상 750nm 이하의 방사 파장역을 갖고, 540nm 이상 630nm 이하의 범위에서 최대 방사 피크 파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방사 파장이 565nm 부근에서 최대 방사 피크를 갖는 보조 광원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 광원이 300nm 이상 500nm 이하의 방사 파장역을 갖고, 340nm 이상 450nm 이하의 범위에서 최대 방사 피크 파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방사 파장이 340nm 이상 450nm 이하에서 최대 방사 피크 파장을 갖는 보조 광원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방사 파장이 540nm 이상 630nm 이하에서 최대 방사 피크 파장을 갖는 보조 광원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KR1020217039854A 2019-05-07 2020-01-20 포충기 KR202200042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87271 2019-05-07
JP2019087271A JP6685451B1 (ja) 2019-05-07 2019-05-07 捕虫器
PCT/JP2020/001656 WO2020225944A1 (ja) 2019-05-07 2020-01-20 捕虫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204A true KR20220004204A (ko) 2022-01-11

Family

ID=70286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854A KR20220004204A (ko) 2019-05-07 2020-01-20 포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967139A4 (ko)
JP (1) JP6685451B1 (ko)
KR (1) KR20220004204A (ko)
CN (1) CN113784617A (ko)
TW (1) TWI820305B (ko)
WO (1) WO20202259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0676A (zh) * 2021-08-04 2021-11-09 上海英粤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动物语音采集自动标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8625Y2 (ja) * 1993-11-09 1997-12-24 フルタ電機株式会社 吊下げ方式でなる捕虫機の捕虫袋構造
JPH1175657A (ja) * 1997-09-16 1999-03-23 Ishimoto Nougiken:Kk 捕虫器
JP2005229997A (ja) * 2004-02-23 2005-09-02 N Bii T Kk 終日点灯型光防虫器
JP2006115715A (ja) * 2004-10-19 2006-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捕獲殺虫装置
JP2006180855A (ja) * 2004-12-25 2006-07-13 N Bii T Kk 光を用いた移動式昆虫捕獲器
JP4912667B2 (ja) * 2005-11-10 2012-04-11 博通 山▲崎▼ 飛翔虫捕獲器
JP2009195208A (ja) * 2008-02-25 2009-09-03 Fulta Electric Machinery Co Ltd 撹拌機能付き捕虫機
JP5117922B2 (ja) * 2008-05-09 2013-01-16 株式会社竹中工務店 捕虫装置
EP2401912B1 (en) * 2009-02-24 2019-08-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Destructive insect-controlling device
JP5641472B2 (ja) * 2009-08-26 2014-1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害虫誘引照明方法及び害虫誘引照明システム
CN102487915A (zh) * 2011-12-01 2012-06-13 倪叶舟 一种灭蚊灯
JP2014083006A (ja) * 2012-10-25 2014-05-12 Hikari-Bio Inc 捕虫器
JP2014083005A (ja) * 2012-10-25 2014-05-12 Hikari-Bio Inc 捕虫器
CN203661851U (zh) * 2013-11-14 2014-06-25 嵊州德庆机械有限公司 一种农业诱捕杀虫装置
CN205884471U (zh) * 2016-08-08 2017-01-18 青岛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农业捕虫装置
JP2018033449A (ja) * 2016-08-25 2018-03-08 株式会社岡本組 エアフィルタ、空気清浄器、捕虫器及び建築物の換気構造
CN106508853B (zh) * 2016-11-21 2022-09-02 河南工业大学 一种便携式捕虫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67139A1 (en) 2022-03-16
JP6685451B1 (ja) 2020-04-22
JP2020182397A (ja) 2020-11-12
CN113784617A (zh) 2021-12-10
WO2020225944A1 (ja) 2020-11-12
TW202041146A (zh) 2020-11-16
EP3967139A4 (en) 2023-02-01
TWI820305B (zh)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7324B1 (ko) 포충기
US20170094960A1 (en) Insect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60043085A (ko) 종일 점등형 광 방충기
JP6082228B2 (ja) 捕虫器
WO2010098252A1 (ja) 害虫防除装置
JP2005229997A5 (ko)
JP2014083006A (ja) 捕虫器
JP4389557B2 (ja) 虫防除装置
KR20220004204A (ko) 포충기
CN111050847B (zh) 蚊虫管理
JP2006180855A (ja) 光を用いた移動式昆虫捕獲器
JP2014083005A (ja) 捕虫器
JP2001258454A (ja) 昆虫の行動抑制光源からなる防虫器
JP2007082479A (ja) 捕獲殺虫装置
JP7340260B2 (ja) 捕虫器
JP7444480B2 (ja) 捕虫器
JP2010193754A (ja) 害虫防除装置
JP2020028266A (ja) 捕虫装置及び当該捕虫装置を用いた捕虫方法
JP3057127B2 (ja) 防虫器
JP2004208676A (ja) 施工と移動が簡単な高機能防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