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8761A - 배송 상태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배송 상태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8761A
KR20210158761A KR1020210030702A KR20210030702A KR20210158761A KR 20210158761 A KR20210158761 A KR 20210158761A KR 1020210030702 A KR1020210030702 A KR 1020210030702A KR 20210030702 A KR20210030702 A KR 20210030702A KR 20210158761 A KR20210158761 A KR 20210158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type
information
terminal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7970B1 (ko
Inventor
이율희
문보라
임영수
김태년
나유철
피정호
이상석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0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970B1/ko
Publication of KR20210158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761A/ko
Priority to KR1020220011683A priority patent/KR20220018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2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distribution or 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7Return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7Cancellation of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Abstract

전자 장치에서 수행하는 배송 상태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배송 상태 관리 방법은 물품(item)과 관련된 정보를 배송원 단말(courier terminal)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배송원 단말로부터 상기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제1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물품에 대한 환불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배송 중단에 따른 환불이 지연되지 않고, 배송 중단과 함께 고객에게 환불 절차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는 배송 상태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송 상태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DELIVERY STATUS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본 개시는 주문된 물품의 배송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상거래가 본격적으로 구현되고 수많은 사용자들이 물품을 인터넷을 통해 구입하면서 물품의 신속 배송이 중요하게 되고 있다. 그러나 배송원이 물품을 배송할 때, 여러 사유로 인해 배송 지연되거나 또는 배송 중단될 수 있다. 이때, 배송 지연되거나 또는 배송 중단되는 사유가 고객에게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았고, 배송 중단으로 인해 환불되는 경우에도 환불 절차가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배송 중단되는 경우, 고객이 배송된 물품의 수취 거부를 한 경우가 아니더라도 고객에게 수취 거부로 인해 배송 중단된다고 안내되어, 정확한 배송 중단 사유가 고객에게 안내되지 않았다. 또한, 배송 중단으로 인해 환불되는 경우, 배송원이 물품을 보유하고 있어 즉시 환불이 가능함에도 환불이 지연되고 있었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주문된 물품의 배송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개시하고자 한다. 이하의 실시 예들을 통해 도출될 수 있는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실시 예들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실시 예들을 통해 도출될 수 있는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물품(item)과 관련된 정보를 배송원 단말(courier terminal)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배송원 단말로부터 상기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제1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물품에 대한 환불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송 상태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상기 구매자가 수취 거부(refusal to receive)를 한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물품의 배송 주소가 잘못된 주소(wrong address)인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물품의 배송 주소가 출입제한지역인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타입에 대응하는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배송원 단말에서 상기 물품의 배송 주소 정보가 표시된 화면에서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환불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물품의 구매자에게 환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제1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물품에 대한 회수 지시를 상기 배송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타입에 대응하는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배송원 단말에서 제2 타입에 대응하는 배송 진행 상태와 다른 입력 화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제2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다음 시프트(shift)에 상기 물품이 배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배송원이 진입 불가한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배송원이 상기 물품을 배송하기에 시간 부족한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배송원이 오분류 또는 오적재한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제3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물품에 대한 환불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상기 구매자가 주문 취소를 한 상기 물품이 상기 구매자에게 배송되기 전 상태에서 상기 배송원에 의해 취소 확인된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환불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의 횟수와 기준 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타입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환불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송원 단말(courier terminal)에서 배송 상태 관리 방법은, 물품(item)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제1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물품에 대한 환불 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상기 구매자가 수취 거부(refusal to receive)를 한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물품의 배송 주소가 잘못된 주소(wrong address)인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물품의 배송 주소가 출입제한지역인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제2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다음 시프트에 상기 물품이 배송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배송원이 진입 불가한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배송원이 상기 물품을 배송하기에 시간 부족한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배송원이 오분류 또는 오적재한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제3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물품에 대한 환불 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상기 구매자가 주문 취소를 한 상기 물품이 상기 구매자에게 배송되기 전 상태에서 상기 배송원에 의해 취소 확인된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배송 상태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고객이 수취 거부한 것 이외에 배송이 불가한 경우, 배송 불가에 대한 정확한 사유가 고객에게 안내될 수 있는 배송 상태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배송 중단에 따른 환불이 지연되지 않고, 배송 중단과 함께 고객에게 환불 절차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는 배송 상태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배송원의 주의를 환기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 상의 UI(User Interface)를 제공함으로써, 배송원의 이용 편의성 및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는 배송 상태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도출 가능한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 상태 관리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는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 상태 관리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 상태 관리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물품의 배송 상태를 관리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원 단말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원 단말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배송 상태 관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임의의 구성요소 간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임의의 구성요소 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고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포함한다",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상거래 시스템(1)은 전자 장치(10), 구매자 단말(20), 판매자 단말(30), 및 배송원 단말(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전자상거래 시스템(1)은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 구매자 단말(20), 판매자 단말(30), 및 배송원 단말(40)은 네트워크(50) 내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5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매자 단말(20)은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주문 및 배송 요청에 수반되는 구매자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매자 단말(20)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구매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물품에 대한 주문 정보, 및 물품에 대한 배송 요청에 수반되는 구매자 정보를 구매자 단말(20)에 입력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20)에 입력된 물품 주문 정보 및 구매자 정보는 전자 장치(10)로 전송될 수 있다.
판매자 단말(30)은 물품에 대한 주문 및 배송 요청에 수반되는 구매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매자 단말(30)은 네트워크(50)를 이용하여 구매자 단말(20)로부터 물품 주문 정보 및 구매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판매자는 물품 주문 및 배송을 처리하기 위해 물품의 운송장 정보를 전자 장치(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는 판매자 단말(20)을 통해 전자 장치(10)로 물품의 배송을 요청할 수 있고, 판매자 단말(20)은 전자 장치(10)로부터 물품의 운송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물품 배송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는 물품 배송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판매자 단말(30) 또는 배송원 단말(40)에게 제공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에 접속된 판매자 단말(30) 또는 배송원 단말(40)을 통해 물품 배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물품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판매자 단말(30)로부터 수신한 물품의 배송 요청에 대응하여, 복수의 배송원 중에서 선택된 배송원의 배송원 단말(40)을 통해 물품의 배송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는 선택된 배송원의 배송원 단말(40)로 물품과 관련된 정보를 배송원 단말(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물품과 관련된 정보는 물품의 배송을 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운송장 번호 및 구매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운송장 번호는 물품의 운송에 관한 제반 사항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의 번호일 수 있고, 구매자 정보는 구매자 이름, 전화번호 및 주소와 같은 구매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정보는 구매자가 상품을 배송받고자 희망하는 배송지 주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 정보는 배송지의 우편 번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원은 배송원 단말(40)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로부터 물품의 배송을 할당받을 수 있다. 각각의 배송원은 고유의 배송원 단말(40)을 적어도 하나 가지고 있으며, 배송원 단말(40)은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전자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관련 정보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배송원 단말(40)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배송원 단말(40)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 구매자 단말(20), 판매자 단말(30) 및 배송원 단말(40)에서 수행되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이하 도면들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 상태 관리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240)을 이용하여 구매하려는 물품을 결정할 수 있고, 물품에 대해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즉, 단계 S201에서 구매자 단말(240)은 판매자 단말(230)로 물품 구매 요청 및 결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03에서, 판매자는 판매자 단말(230)을 이용하여 구매 요청된 물품 및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결제된 물품에 대한 배송 요청을 전자 장치(2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20)는 판매자 단말(230)과 연계되어 구매자에게 물품에 대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기로서, 배송 요청에 대응하여 운송장 번호를 판매자 단말(230) 또는 구매자 단말(24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20)와 판매자 단말(230)이 별도의 노드로 구성된 것을 설명하나 이는 동일한 서버에서 논리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노드일 수 있다.
단계 S205에서, 전자 장치(220)는 배송원 단말(210)로 물품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20)는 복수의 배송원 중에서 배송 요청된 물품의 배송에 적합한 배송원을 결정할 수 있고, 배송원 단말(210)을 이용하여 배송원에게 물품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물품과 관련된 정보는 물품의 배송에 필요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운송장 번호, 배송지 주소, 고객이 입력한 주소, 구매자 이름 및 구매자 연락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7에서, 배송원 단말(210)은 전자 장치(220)로 제1 타입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송원 단말(210)을 이용하여 물품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한 배송원은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에게 해당 물품을 배송할 수 있다. 이때, 배송원은 배송원 단말(210)을 이용하여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배송원 단말(210)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장치(220)로 입력 받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제1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 제2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 및 제3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타입에 대응하는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배송원 단말(210)에서 제2 타입에 대응하는 배송 진행 상태와 다른 입력 화면에서 배송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1 타입에 대응하는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배송원 단말(210)에서 물품의 배송 주소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에서 배송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배송원이 배송원 단말(210)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 도 6 내지 도 9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제1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물품의 배송 중단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일례로 구매자가 배송된 물품에 대해 수취 거부를 한 경우, 또는 물품의 배송지 주소가 잘못된 주소로서 배송지 주소를 찾을 수 없는 경우, 또는 물품의 배송지 주소는 찾을 수 있지만 출입제한지역으로 배송이 어려운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매자가 배송원과 대면하여 수취 거부 의사를 명확히 표시하거나 또는 구매자가 배송원에게 유선상으로 수취 거부 의사를 명확히 표시하거나 또는 배송지 주소가 잘못된 주소로서 배송지 주소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전염병으로 인한 병동폐쇄와 같이 배송지 주소를 찾을 수 있지만 배송원의 출입이 제한되는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209에서, 전자 장치(220)는 배송원 단말(21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진행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20)는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를 제1 상태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태는 물품의 배송이 중단된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타입에 대응하여 물품의 배송이 중단된 경우, 전자 장치는 해당 물품에 대한 반품 운송장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잘못된 주소로 인해 배송 중단된 경우, 전자 장치는 배송 진행 상태를 제1 상태로 업데이트 하면서, 해당 물품에 대한 반품 운송장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반품 운송장이 생성된 물품은 회수 대상으로서, 이하 단계 S213과 같이 회수 지시가 전자 장치에서 배송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단계 S211에서, 전자 장치(220)는 제1 상태에 대응하는 물품에 대한 환불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배송 중단된 물품은 더 이상 배송이 시도되지 않고, 전자 장치(220)는 구매자 단말(240)로 즉시 환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환불 절차가 지연되지 않고,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220)가 구매자의 수취 거부로 인해 배송원 단말(210)로부터 제1 타입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220)는 배송 중단으로 배송 진행 상태를 업데이트하면서 구매자 단말(240)로 환불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환불 안내 메시지는 주문 정보, 환불 안내 사유 및 환불 소요 기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20)는 판매자 단말(230)으로 환불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213에서, 전자 장치(220)는 배송원 단말(210)로 물품에 대한 회수 지시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20)가 배송원 단말(210)로부터 제1 타입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경우, 물품에 대한 반품 운송장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220)는 배송원 단말(210)로 반품 운송장에 대응하여 회수 지시를 전송할 수 있고, 배송원은 회수 지시에 따른 회수 확인을 배송원 단말(210)에 입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20)는 배송원 단말(210)의 위치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송원 단말(210)에 내장된 위치 센서를 통해 확인된 위치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장치(220)에서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20)는 회수 확인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송원 단말(210)의 위치가 배송지 주소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배송원 단말(210)로 거리와 시간을 고려하여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수 확인 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송원 단말(210)의 위치가 배송지 주소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멀어지는 거리와 시간을 반영하여 1단계 알림 메시지(예를 들면, 소리) / 2단계 알림 메시지(예를 들면, 진동) / 3단계 알림 메시지(예를 들면, 소리 및 진동)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전자 장치(220)로부터 배송원 단말(210)로 알림 메시지가 전송되었지만 배송원이 회수를 하지 않고 배송지 주소로부터 멀어진 경우, 전자 장치(220)는 배송지 주소의 근처에 위치하는 다른 배송원의 회수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배송원이 회수 가능한 경우, 전자 장치(220)는 배송지 주소 인근의 회수 가능한 다른 배송원 단말로 회수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는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 상태 관리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01에서 구매자 단말(340)은 판매자 단말(330)로 물품 구매 요청 및 결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01은 도 2의 단계 S201의 내용을 포함하는 바,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303에서 판매자 단말(330)은 전자 장치(320)로 결제된 물품에 대한 배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03은 도 2의 단계 S203의 내용을 포함하는 바,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305에서 전자 장치(320)는 배송원 단말(310)로 물품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05는 도 2의 단계 S205의 내용을 포함하는 바,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307에서 배송원 단말(310)은 전자 장치(320)로 제2 타입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송원 단말(310)을 이용하여 물품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한 배송원은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에게 해당 물품을 배송할 수 있다. 이때, 배송원은 배송원 단말(310)을 이용하여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배송원 단말(310)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장치(320)로 입력 받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제1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 제2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 및 제3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다음 시프트(shift)에 다시 물품의 배송이 시도되는 경우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가 배송원 단말(310)에서 입력된 경우, 배송원은 다음 시프트(shift)에 해당 물품의 배송을 다시 시도할 수 있다. 이때, 제2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일례로 배송원이 진입 불가한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배송원이 물품을 배송하기에 시간 부족한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배송원이 오분류 또는 오적재한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매자가 현관 출입 번호를 알려주지 않아 배송원이 진입 불가하거나 또는 구매자가 기재한 현관 출입 번호가 잘못되어 배송원이 진입 불가하거나 또는 경비원이 부재하여 배송원이 진입 불가하거나 또는 배송 예정일에 물품을 배송하기에 시간이 부족하거나 또는 배송원이 결제된 물품이 아닌 다른 물품으로 오분류 또는 오적재한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309에서 전자 장치(320)는 배송원 단말(31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진행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320)는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를 제2 상태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상태는 배송 예정일에 배송이 불가하여 다음 시프트(shift)에 물품의 배송이 다시 시도되는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제1 타입과 달리, 제2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해당 물품에 대한 반품 운송장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S311에서 전자 장치(320)는 구매자 단말(340)으로 배송 지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배송원이 입력한 제2 타입과 관련된 정보가 구매자 단말(340)을 통해 표시될 수 있고, 구매자는 배송 지연 사유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313에서 전자 장치(320)는 배송원 단말(310)로 다음 시프트(shift)에 재배송을 지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320)는 재배송 대상이 되는 물품이 우선 순위로 배송될 수 있도록 배송원 단말(310)로 재배송 지시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배송 대상이 되는 물품이 우선 순위로 배송될 수 있도록, 다른 물품과 구별되는 표시가 배송원 단말(310)에 표현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 상태 관리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01에서 구매자 단말(440)은 판매자 단말(430)로 물품 구매 요청 및 결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4301은 도 2의 단계 S201의 내용을 포함하는 바,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4303에서 판매자 단말(430)은 전자 장치(420)로 결제된 물품에 대한 배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03은 도 2의 단계 S203의 내용을 포함하는 바,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405에서 전자 장치(420)는 배송원 단말(410)로 물품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05는 도 2의 단계 S205의 내용을 포함하는 바,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407에서 구매자 단말(440)은 판매자 단말(430)로 취소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단계 S409에서 판매자 단말(430)은 전자 장치(420)로 취소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 또는 전자 장치가 취소 요청을 수신한 경우, 판매자 단말 또는 전자 장치는 주문 취소된 물품에 대한 반품 운송장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타입에 대응하여 생성된 반품 운송장은 배송원 단말로부터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지만, 제3 타입에 대응하여 생성된 반품 운송장은 배송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관계 없이 구매자의 취소 요청을 수신하면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단계 S411에서, 취소 요청된 물품이 배송원에게 할당된 후인 경우, 전자 장치(420)는 배송원 단말(410)로 취소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취소 요청된 물품이 배송원에게 할당되기 전인 경우, 전자 장치(420)는 취소 처리에 따른 환불에 대한 정보를 구매자 단말(44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13에서, 배송원 단말(410)은 전자 장치(420)으로 제3 타입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송원은 배송원 단말(410)을 이용하여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배송원 단말(210)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장치(220)로 입력 받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제1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 제2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 및 제3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취소 요청(S411)에 대응하는 물품이 아직 구매자에게 배송되기 전 상태에서 배송원에 의해 취소 확인된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송원이 배송원 단말(410)을 이용하여 취소 요청을 수신하였을 때, 해당 물품에 대해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취소 확인을 입력한 경우, 제3 타입과 관련된 정보가 전자 장치(42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배송원 단말(410)에서는 제1 타입 및 제2 타입과 일부 다른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대해 이하 도 9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단계 S415에서, 전자 장치(420)는 배송원 단말(41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진행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420)는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를 제3 상태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상태는 주문 취소에 따른 물품의 배송 중단된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 S417에서, 전자 장치(420)는 물품에 대한 환불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문 취소에 따라 배송 중단된 물품은 더 이상 배송이 시도되지 않고, 전자 장치(420)는 구매자 단말(440)로 환불 안내 메시지를 통해 환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송원에게 배송이 할당된 후에 취소 요청(S411)에 따른 취소 확인이 배송원 단말(410)에 입력되었을 때, 구매자 단말(440)은 전자 장치(420)로부터 환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배송원에게 배송이 할당되기 전에 전자 장치(420)가 취소 요청(S409)를 수신하였을 때, 구매자 단말(440)은 전자 장치(420)로부터 환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420)는 판매자 단말(430)으로 환불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물품의 배송 상태를 관리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10에서 전자 장치는 물품과 관련된 정보를 배송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매자가 물품에 대해 구매 요청 및 결제를 한 경우, 판매자는 판매자 단말을 이용하여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판매자는 판매자 단말을 통해 전자 장치로 결제된 물품에 대한 배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판매자 단말과 연계되어 구매자에게 물품에 대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기로서, 배송 요청에 대응하여 운송장 번호를 판매자 단말 또는 구매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배송원 단말은 배송원에 대응하는 단말로서, 배송원은 배송원 단말을 이용하여 물품을 구매자에게 배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복수의 배송원 중에서 배송 요청된 물품의 배송에 적합한 배송원을 결정할 수 있고, 배송원 단말로 물품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물품과 관련된 정보는 물품의 배송에 필요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운송장 번호, 배송지 주소, 고객이 입력한 주소, 구매자 이름 및 구매자 연락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전자 장치는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배송원은 배송원 단말을 이용하여 물품을 배송할 때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배송원 단말에 입력할 수 있고, 배송원 단말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장치로 입력 받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제1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 제2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 및 제3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일례로 구매자가 배송된 물품에 대해 수취 거부를 한 경우, 또는 물품의 배송지 주소가 잘못된 주소로서 배송지 주소를 찾을 수 없는 경우, 또는 물품의 배송지 주소는 찾을 수 있지만 출입제한지역으로 배송이 어려운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일례로 배송원이 진입 불가한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배송원이 물품을 배송하기에 시간 부족한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배송원이 오분류 또는 오적재한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주문 취소 요청에 대응하는 물품이 아직 구매자에게 배송되기 전 상태에서 배송원에 의해 취소 확인된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전자 장치는 수신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전자 장치는 수신한 정보가 제1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제1 상태로 배송 진행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제1 상태는 물품의 배송이 중단된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배송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확인하여, 제1 타입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배송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내용으로부터 제1 타입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배송원 단말로부터 수신한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의 내용을 분석하여 출입 제한 지역에 해당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배송원 단말로부터 수신한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의 횟수 및/또는 배송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횟수로부터 제1 타입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의 횟수 및/또는 배송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횟수와 기준 값을 비교하여 제1 타입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배송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의 횟수 및/또는 배송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횟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송원이 도 6의 제1 화면에서 미배송 버튼(611)을 입력하고, 그림 710의 제2 화면에서 미배송 사유 버튼(711)을 입력하고, 미배송 처리 버튼(715)을 입력한 경우, 전자 장치는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화면 및 제2 화면을 통해 3회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기준 값 1(예를 들면, 2회) 보다 크고 기준 값 2(예를 들면, 4회) 보다 작은 경우, 배송원 단말로부터 수신한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2 타입에 대응하는 배송 지연으로 확인할 수 있고, 다음 시프트에 재배송을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배송원이 도 6의 제1 화면에서 미배송 버튼(611)을 입력하고, 그림 710의 제2 화면에서 그외사유 버튼(713)을 입력하고, 그림 720의 제3 화면에서 잘못된 주소 버튼(721)을 입력하고, 그림 810의 제4 화면에서 알림 메시지(815)를 입력하고 미배송 처리를 입력한 경우, 전자 장치는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화면 ~ 제4 화면을 통해 5회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기준 값 2(예를 들면, 4회) 보다 큰 경우, 배송원 단말로부터 수신한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타입에 대응하는 배송 중단으로 확인할 수 있고, 환불을 진행할 수 있다.
단계 S550에서, 전자 장치는 수신한 정보가 제2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제2 상태로 배송 진행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상태는 배송 예정일에 배송이 불가하여 다음 시프트(shift)에 물품의 배송이 다시 시도되는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다음 시프트에 물품 배송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배송원 혹은 다른 배송 시간에 배송이 수행될 수 있도록 배송 프로세스가 관리될 수 있다.
단계 S560에서, 전자 장치는 수신한 정보가 제3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제3 상태로 배송 진행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상태는 주문 취소에 따른 물품의 배송 중단된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원 단말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교환/재배송(601)은 물품의 배송과 관련하여 주의 사항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재배송(601)이 기재된 경우, 지난 시프트에 배송이 되지 않아 이번 시프트에 재배송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가 제2 상태일 경우, 재배송(601)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교환(601)으로 기재된 경우, 지난 시프트에 배송된 상품이 이번 시프트에 교환된 상품으로 배송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배송되는 물품의 운송장 번호(605) XXXX가 배송원 단말에 표시된다. 여기서, 운송장 번호는 물품의 운송에 관한 제반 사항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의 번호일 수 있다. 구매자는 운송장 번호를 조회하여, 주문한 물품의 배송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주소(609)는 고객이 입력한 주소 ZZZZ로서,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한 주소를 나타낸다. 주소(607)는 배송지 주소 YYYY로서, 고객이 입력한 주소 ZZZZ에 기반하여 결정된 주소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고객이 입력한 주소 ZZZZ에 기반하여 결정된 도로명 주소가 배송지 주소 YYYY일 수 있다. 이때, 배송원은 배송지 주소 YYYY를 네비게이션에 이용하여,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다.
고객이 요청한 배송 위치(603)가 배송원 단말에 표시될 수 있으며, 배송 위치는 예를 들면 문앞 / 경비실 / 무인 택배함 등이 기재될 수 있다. 따라서, 배송원은 배송지 주소에 도달하여, 고객이 요청한 배송 위치(603)에 물품을 배송할 수 있다.
배송 완료 버튼(613)은 물품이 배송지 주소의 배송 위치에 배송이 완료된 경우 선택되는 버튼을 나타내며, 배송 완료 이후 애플리케이션에서 배송원에 의해 배송 완료 버튼이 선택될 수 있다. 반대로, 미배송 버튼(611)은 물품의 배송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선택되는 버튼을 나타내며, 배송이 완료될 수 없을 경우 애플리케이션에서 배송원에 의해 미배송 버튼이 선택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원이 미배송 버튼(611)을 선택한 경우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배송 진행 상태가 제1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또는 제2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배송 완료 버튼(613)이 아닌 미배송 버튼(611)이 선택될 수 있다.
그림 710은 미배송 버튼(611)이 선택된 경우 표시되는 화면이고, 그림 720은 '그외사유'(713)가 선택된 경우 표시되는 화면이다. '그외사유'(713)의 경우 배송원의 주의를 위해 미배송 사유(711)와 다른 입력 화면이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림 710에서, 미배송 사유(711)는 전술한 제2 타입에 대응하고, '그외사유'(713)은 전술한 제1 타입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와 달리 제1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에 따르면 배송 중단 및 환불 절차가 진행되므로, 배송원의 주의가 필요할 수 있다. 이에, 제1 타입에 대응하는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배송원 단말에서 제2 타입에 대응하는 배송 진행 상태와 다른 입력 화면에서 배송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타입에 대응하는 시간 부족이 그림 710에서 선택되고, 미배송 처리 버튼(715)이 선택된 경우, 다음 시프트에서 재배송이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그림 710에서 '그외사유'(713)가 선택된 경우, 다른 입력 화면인 그림 720이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림 720에서, 미배송 사유(721)은 전술한 제1 타입에 대응할 수 있고, 배송원의 주의를 환기하기 위해 알림 메시지(723)가 표시될 수 있다. 알림 메시지(723)는 미배송 사유(721)가 선택된 경우 배송 중단 및 환불 절차가 진행되어 배송원의 주의를 환기하기 위함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그림 810은 그림 720에서 잘못된 주소가 선택된 경우 나타나는 입력 화면이고 그림 820은 그림 720에서 출입제한지역이 선택된 경우 나타나는 입력 화면이다. 그림 810 및 그림 820과 같이, 잘못된 주소 및 출입제한지역의 경우 배송원의 주의를 추가적으로 환기시키고 이중 체크를 위해 표시되는 입력 화면이다.
이때, 잘못된 주소 및 출입제한지역의 경우 물품의 배송 주소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에서 입력될 수 있다. 배송 주소 정보는 고객이 입력한 주소(811, 821) 및 배송지 주소(813, 8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림 810 및 그림 820에서, 배송원의 주의를 환기하기 위해 알림 메시지(815, 825)가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배송원이 물품의 배송을 완료할 수 없는 경우, 배송원 단말에서 미배송 버튼(611)이 선택될 수 있다. 미배송 사유가 제1 타입(713)에 대응하는 정보인 경우 제2 타입(711)에 대응하는 정보가 입력되는 화면과 다른 입력 화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타입(711)에 대응하는 정보는 그림 710 화면에서 선택 및 처리될 수 있고, 제1 타입(713)에 대응하는 정보는 그림 710에서 '그외사유' 버튼을 선택한 경우 표시되는 그림 720 화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만약, 잘못된 주소가 선택된 경우 물품의 배송 주소 정보가 표시되는 그림 810 화면에서 미배송 처리(815)될 수 있고, 또한 출입제한지역이 선택된 경우 물품의 배송 주소 정보가 표시되는 그림 820 화면에서 미배송 처리(825)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배송원이 배송지 주소의 배송 위치에 물품을 배송한 경우, 배송원 단말에서 배송완료 버튼(613)이 선택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원 단말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취소(901)는 물품에 대한 취소 요청이 접수되었음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구매자 단말에서 물품에 대해 취소 요청을 판매자 단말로 전송한 경우, 판매자 단말은 배송 상태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로 취소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주문 취소된 물품의 배송을 중단하기 위해, 도 6과 달리 취소(901)가 배송원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배송원은 주문 취소된 물품을 구매자에게 배송하지 않을 수 있다.
주문 취소(901)가 수신된 경우, 미배송 버튼(611) 또는 배송 완료 버튼(613)이 아닌 취소 확인 버튼(911)이 표시될 수 있다. 주문 취소가 전자 장치에 접수된 경우, 배송원 단말은 취소 확인 버튼(911)만 표시할 수 있어, 배송원은 실수로 미배송 버튼 또는 배송 완료 버튼을 선택를 할 수 없다. 배송원에 의해 취소 확인(911)된 경우, 배송원 단말은 전술한 제3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고, 배송 중단 및 환불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도 9의 배송 위치(903), 운송장 번호(905), 배송지 주소(907) 및 고객이 입력한 주소(909)와 관련된 내용은 도 6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는 메모리(1010), 프로세서(1020) 및 통신부(103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0)는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통신부(1030)는 외부의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의 기기는 단말 또는 서버가 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30)가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다.
통신부(1030)는 물품에 대한 배송 요청에 수반되는 구매자 정보 및 취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30)는 배송 요청된 물품과 관련된 운송장 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전자 장치(1000)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및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0)는 메모리(10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에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송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배송 상태 관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단계 S1110에서, 배송원 단말은 물품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배송원 단말은 전자 장치로부터 물품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물품과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면, 운송장 번호 및 구매자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20에서, 배송원 단말은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제1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 제2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 및 제3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물품의 배송 중단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다음 시프트(shift)에 다시 물품의 배송이 시도되는 경우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취소 요청에 대응하는 물품이 아직 구매자에게 배송되기 전 상태에서 배송원에 의해 취소 확인된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30에서,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제1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배송원 단말은 물품에 대한 환불 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제1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배송원 단말은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제2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다음 시프트에 물품이 배송될 수 있도록 제2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배송원 단말은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제3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물품에 대한 환불 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제3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일 예시일 뿐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5)

  1. 배송원 단말(courier terminal)에서 배송 상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물품(item)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물품과 관련된 정보의 표시에 대응하여 제1 타입, 제2 타입 및 제3 타입 중 상기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에 대응하는 타입을 확인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통해 순차적으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가 상기 제1 타입 또는 상기 제3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물품에 대한 환불 절차 및 상기 물품의 반품을 위한 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가 상기 제2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물품의 재배송을 위한 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의 수신을 위해서 제공되는 페이지의 수는 상기 제2 타입 또는 상기 제3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의 수신을 위해서 제공되는 페이지의 숫자보다 많고, 상기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에 대응하는 타입과 관련하여 상기 제공된 페이지를 통해 상기 제1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가 수신되는 횟수는 상기 제2 타입 또는 상기 제3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가 수신되는 횟수보다 많은,
    배송 상태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상기 제공된 페이지를 통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주소가 잘못된 주소(wrong address)인 경우를 나타내는 배송 진행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상태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가 상기 제1 타입 또는 상기 제3 타입에 대응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되는 상기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물품의 구매자에게 환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상태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가 상기 제2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되는 상기 관련된 정보는,
    배송원이 배송한 시프트(shift)의 다음 시프트에 상기 물품이 배송 처리될 수 있도록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상태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상기 제공된 페이지를 통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원이 진입 불가한 경우, 상기 배송원이 상기 물품을 배송하기에 시간 부족한 경우 및 상기 배송원이 오분류 또는 오적재한 경우를 나타내는 배송 진행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상태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상기 제공된 페이지를 통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자가 주문 취소를 한 상기 물품이 상기 구매자에게 배송되기 전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는 배송 진행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상태 관리 방법.
  7. 전자 장치에서 배송 상태 관리 방법에 있어서,
    물품(item)과 관련된 정보를 배송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물품의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하여 제1 타입, 제2 타입 및 제3 타입 중에서 대응하는 타입을 확인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통해 순차적으로 정보를 상기 배송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배송원 단말에서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고려하여 배송 진행 상태와 관련된 타입(type)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배송 진행 상태가 상기 제1 타입 또는 상기 제3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물품에 대한 환불 절차 및 상기 물품의 반품을 위한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배송 진행 상태가 상기 제2 타입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물품의 재배송을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입과 관련하여 상기 배송원 단말로 제공되는 페이지의 수는 상기 제2 타입 또는 상기 제3 타입과 관련하여 상기 배송원 단말로 제공되는 페이지의 숫자보다 많고, 상기 제1 타입과 관련하여 페이지를 통해 상기 배송원 단말에서 입력된 정보의 횟수는 상기 제2 타입 또는 상기 제3 타입과 관련하여 페이지를 통해 상기 배송원 단말에서 입력된 정보의 횟수보다 많은,
    배송 상태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원 단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배송원 단말의 위치가 배송 주소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진 경우, 상기 제1 타입에 따른 반품을 위한 지시를 상기 배송원 단말과 다른 배송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배송 상태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품을 위한 지시를 상기 다른 배송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배송원 단말로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알람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타입에 따른 상기 물품에 대한 반품이 상기 배송원 단말을 통해 수행되지 않은 상태로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진 경우, 상기 배송원 단말과 다른 배송원 단말로 반품을 위한 지시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송 상태 관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배송원은,
    상기 배송 주소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배송 상태 관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상기 제공된 페이지를 통해 순차적으로 상기 배송원 단말에서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주소가 잘못된 주소(wrong address)인 경우를 나타내는 배송 진행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상태 관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상기 제공된 페이지를 통해 순차적으로 상기 배송원 단말에서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원이 진입 불가한 경우, 상기 배송원이 상기 물품을 배송하기에 시간 부족한 경우 및 상기 배송원이 오분류 또는 오적재한 경우를 나타내는 배송 진행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상태 관리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는,
    상기 제공된 페이지를 통해 순차적으로 상기 배송원 단말에서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자가 주문 취소를 한 상기 물품이 상기 구매자에게 배송되기 전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는 배송 진행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상태 관리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 또는 상기 제3 타입에 대응할 경우 환불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물품의 구매자에게 환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입에 대응할 경우 재배송을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배송원이 배송한 시프트(shift)의 다음 시프트에 상기 물품이 재배송될 수 있도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송 상태 관리 방법.
  15. 제1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
KR1020210030702A 2020-06-24 2021-03-09 배송 상태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357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702A KR102357970B1 (ko) 2020-06-24 2021-03-09 배송 상태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0220011683A KR20220018995A (ko) 2020-06-24 2022-01-26 배송 상태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228A KR102228191B1 (ko) 2020-06-24 2020-06-24 배송 상태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0210030702A KR102357970B1 (ko) 2020-06-24 2021-03-09 배송 상태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228A Division KR102228191B1 (ko) 2020-06-24 2020-06-24 배송 상태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683A Division KR20220018995A (ko) 2020-06-24 2022-01-26 배송 상태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761A true KR20210158761A (ko) 2021-12-31
KR102357970B1 KR102357970B1 (ko) 2022-02-08

Family

ID=7524347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228A KR102228191B1 (ko) 2020-06-24 2020-06-24 배송 상태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0210030702A KR102357970B1 (ko) 2020-06-24 2021-03-09 배송 상태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0220011683A KR20220018995A (ko) 2020-06-24 2022-01-26 배송 상태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228A KR102228191B1 (ko) 2020-06-24 2020-06-24 배송 상태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683A KR20220018995A (ko) 2020-06-24 2022-01-26 배송 상태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29978B2 (ko)
JP (2) JP6980865B1 (ko)
KR (3) KR102228191B1 (ko)
CN (1) CN113994355A (ko)
AU (1) AU2020294215A1 (ko)
TW (1) TW202201340A (ko)
WO (1) WO20212616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582A1 (ko) * 2022-07-13 2024-01-18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반품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384B1 (ko) 2021-07-30 2022-07-29 쿠팡 주식회사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620192B1 (ko) * 2023-03-08 2024-01-02 쿠팡 주식회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0454A (ja) * 2001-01-31 2002-08-16 Sun Logisco Co Ltd 商取引支援方法
JP2002308436A (ja) * 2001-04-13 2002-10-23 Yazaki Corp 物流管理システムおよび物流管理方法
KR20160008422A (ko) * 2014-07-14 2016-01-22 명태현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자동화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7310B2 (ja) * 2000-12-20 2012-12-12 株式会社三井住友銀行 商品購入代金の決済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2216061A (ja) * 2001-01-15 2002-08-02 Isato Matsuda 商品売買等における代金決済処理システム
JP2002255351A (ja) * 2001-02-27 2002-09-11 Casio Comput Co Ltd 宅配管理装置、宅配管理方法、及び宅配管理プログラム
US7617133B1 (en) 2004-11-12 2009-11-10 Amazon Technologies, Inc. Dynamic determination of item returns during transit
KR101057016B1 (ko) * 2009-04-10 2011-08-17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인터넷 중개 사이트를 이용한 인터넷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00324959A1 (en) * 2009-06-18 2010-12-23 Templeton William P Processing Shipment Status Events
US8473326B1 (en) * 2011-03-23 2013-06-25 Amazon Technologies, Inc. Courier management
KR101244106B1 (ko) * 2011-07-26 2013-03-18 안희성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
US10282766B2 (en) * 2013-01-15 2019-05-07 Drizly, Inc. Distribution of products
US20160104112A1 (en) * 2014-10-13 2016-04-14 Marc Gorlin Peer to Peer Delivery System
CN107153931B (zh) 2016-03-03 2020-11-20 重庆邮电大学 一种快递物流配送异常检测方法
US9792575B2 (en) * 2016-03-11 2017-10-17 Route4Me, Inc. Complex dynamic route sequencing for multi-vehicle fleets using traffic and real-world constraints
KR101863945B1 (ko) 2016-09-19 2018-06-01 주식회사 라이브원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20180056258A (ko) 2016-11-18 2018-05-28 주식회사 하우저 가구 관련 업무 대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6596799B2 (ja) * 2017-07-06 2019-10-30 アスクル株式会社 配達管理システム、配達管理装置、配達管理方法および配達管理プログラム
US20190019146A1 (en) * 2017-07-17 2019-01-17 Rajaa Chraibi System and method for arranging deliveries and ride sharings
KR101955527B1 (ko) 2017-09-04 2019-05-30 씨제이대한통운(주) 배송기사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997202B1 (ko) 2017-09-26 2019-07-05 주식회사 넥스엠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순위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택배시스템
JP2019082903A (ja) * 2017-10-31 2019-05-30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配達員端末、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492063A (zh) 2018-03-06 2018-09-04 中国邮政集团公司广州市分公司 一种gps精准定位物流轨迹系统
KR20200062662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리턴박스 반품 효율성이 향상된 반품서비스 시스템
KR102216514B1 (ko) * 2018-11-30 2021-02-17 주식회사 리턴박스 신속한 반품 및 환불이 가능한 반품서비스 시스템
KR20200077228A (ko) 2018-12-20 2020-06-30 박형국 항균 항바이러스항암제
US10664793B1 (en) 2019-03-18 2020-05-26 Coupang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package tracking and prioritized reordering
KR102082259B1 (ko) 2019-08-27 2020-02-27 주식회사 에스엠제이컴퍼니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0454A (ja) * 2001-01-31 2002-08-16 Sun Logisco Co Ltd 商取引支援方法
JP2002308436A (ja) * 2001-04-13 2002-10-23 Yazaki Corp 物流管理システムおよび物流管理方法
KR20160008422A (ko) * 2014-07-14 2016-01-22 명태현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자동화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582A1 (ko) * 2022-07-13 2024-01-18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반품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24063A (ja) 2022-02-08
JP2022007847A (ja) 2022-01-13
CN113994355A (zh) 2022-01-28
WO2021261651A1 (ko) 2021-12-30
AU2020294215A1 (en) 2022-01-20
KR102228191B1 (ko) 2021-03-17
US20210406892A1 (en) 2021-12-30
JP6980865B1 (ja) 2021-12-15
KR102357970B1 (ko) 2022-02-08
TW202201340A (zh) 2022-01-01
KR20220018995A (ko) 2022-02-15
JP7297364B2 (ja) 2023-06-26
US11429978B2 (en)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7970B1 (ko) 배송 상태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200019685A (ko) 소포 픽업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0674321B2 (en) Lost device detection using geospatial location data
KR102240997B1 (ko) 배송 서비스 시스템
KR102339697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04550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119994A (ko) 물류 수배송 인수확인 시스템
AU2017310715A1 (en) Management devic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KR101989435B1 (ko) 고객대기순번 관리시스템
US201803303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Updating Stored Lists Based on Contemporaneous Location Data Associated with Client Devices
JP2006335565A (ja) 宅配管理システム
US20210406821A1 (en)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deliver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90000665A (ko) 택배 서비스의 물품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AU202028105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30164915A (ko) 주문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AU2020281178A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managing delivery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4053371A (ja) 管理装置、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01715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20173532A (ja) 運送計画支援装置、運送計画支援システム及び運送計画支援方法
JP2019036266A (ja) 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