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106B1 -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106B1
KR101244106B1 KR1020110074177A KR20110074177A KR101244106B1 KR 101244106 B1 KR101244106 B1 KR 101244106B1 KR 1020110074177 A KR1020110074177 A KR 1020110074177A KR 20110074177 A KR20110074177 A KR 20110074177A KR 101244106 B1 KR101244106 B1 KR 101244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erver
buyer
sell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2785A (ko
Inventor
안희성
Original Assignee
안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성 filed Critical 안희성
Priority to KR1020110074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1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10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양한 상점에 네트워크와 연결된 카메라 또는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이 설치되고, 진열장에 진열된 물품을 실시간 또는 녹화 영상으로 특정 서버에 송출하여 인터넷에 접속한 소비자가 상기 송출된 영상을 보유한 상점의 카테고리와 세부 품목을 검색 및 클릭하여 원하는 물품이 진열된 가게에 상품을 직접 눈으로 확인한 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상거래 기술 및 그에 수반되는 관리자 입장에서의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사대체상품 발송을 차단하고, 상품정보가 이미지 처리된 확인서를 제공하며, 실시간 동영상을 송출하여 상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주문현황과 반품현황을 차트로 누계처리 하여 상품에 대한 전체 흐름을 구매자가 이해하기 쉽게 직관적으로 제공하며, 판매자 입장에서 원격지에서도 상품에 대한 보안과 상태 확인 및 검색 등의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 및 운용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The E-commerce and Security System's Supporting Method which using of Multiful Real-time VOD in Interactive Network Environmen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양한 상점에 네트워크와 연결된 카메라 또는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이 설치되고, 진열장에 진열된 물품을 실시간 또는 녹화 영상으로 특정 서버에 송출하여 인터넷에 접속한 소비자가 상기 송출된 영상을 보유한 상점의 카테고리와 세부 품목을 검색 및 클릭하여 원하는 물품이 진열된 가게에 상품을 직접 눈으로 확인한 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상거래 기술 및 그에 수반되는 관리자 입장에서의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영상에 의한 전자상거래 시스템이나 통상적인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네트워크와 연결된 카메라 또는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을 이용한 물품 구입방법은 각 가계의 진열장 전면부에 상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방송 장비를 설치하는 단계와, 소비자가 컴퓨터나 인터넷이 가능한 휴대폰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단계와, 판매 사이트에 접속 한 후 사고 싶은 물품이 있는 상점을 선택(클릭)하는 단계와, 현재 진열장에 전시된 물품을 영상을 영역을 설정하거나 확대 등을 통하여 소비자(구매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는 단계와, 사고자 하는 물품을 선택하여 주문 및 결제하는 단계 및 결제가 완료된 물품에 대한 정보가 해당 판매자에게 전송되고, 당해 판매장에서 결제된 물품을 발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0015718호(출원일: 2000년03월28일, 발명의 명칭: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문 배달 방법) - 본 발명은 통신상에서 주문한 상품과 배달된 상품이 동일한지 또는 상품이 수령자에게 잘 도착되었는지 화상을 통하여 확인한 후 상품의 대금을 결제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문 배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주문자 단말기, 회원점포 사이트, 메인 서버 및 통신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며, 주문자가 서버에 접속한 후 상품 배달지역을 선택하고 상기 지역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지역의 회원 점포 사이트로 연결한다. 그후 주문자가 상품을 검색하고 선택함과 동시에 상품 수령자에 선택된 상품을 배송하는데 그 전에 배송 화상을 제작하는 배송 단계를 거치고 상기 배송 화상을 상기 주문자가 확인하는 배송 확인 후 주문자가 상품 대금을 결제하는 결제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실제로 배달되는 상품이 주문자가 원하는 상품과 일치하는가를 확인한 후에, 그리고 상품 주문자와 수령자가 다른 경우에 주문자는 상품이 수령자에게 잘 배달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상품의 대금을 결제하고, 또한 상품 주문자는 직접 상품 배달 지역의 점포에 접속되어 직접 상품을 주문하므로 중계 수수료가 감면되어 싼값으로 양질의 상품을 수령인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주문자 단말기, 회원점포 사이트, 메인 서버 및 통신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품을 주문 배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된 주문자의 회원 인증 여부를 확인하고 관리하는 사용자 인증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단계에서 인증된 주문자가 상기 주문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하여 상품 배달지역을 선택하고, 상기 메인서버에서 상기 배달지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지역 선택단계; 상기 지역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지역의 해당 회원점포 사이트로 연결하는 사이트 연결단계; 상기 주문자가 상기 주문자 단말기를 통하여, 접속된 상기 회원점포 사이트에 저장된 상품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품을 검색하고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하면, 선택된 상품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회원점포 사이트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상품 검색단계; 상기 상품 검색단계에서 선택된 상품의 수령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주문자 단말기를 통하여 일력하고, 입력된 수령인 정보는 상기 회원점포 사이트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수령인 정보 입력단계; 상기 상품 검색단계에서 선택된 상품을 수령인 정보에 따라 수령인에게 배송하고, 배송되는 장면을 촬영한 배송 화상을 상기 회원점포 사이트에 입력하고 저장되는 배상 화상을 제작하는 배송 단계; 상기 회원점포 사이트에 저장된 배상 화상을 상기 주문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주문자가 배송 화상을 확인하는 배송 확인단계; 및 상기 배송 확인단계에서 상기 주문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배송 화상을 통하여 확인한 상기 주문자가 상품대금을 결제하는 결제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0030809호(출원일: 2000년06월05일, 발명의 명칭: 인터넷을 이용한 생산물의 생산과정 실시간 관찰 시스템) -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생산물의 생산과정 등의 실시간 관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홈페이지(2)가 로드되는 서버(1)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서버(1)에 접속될 수 있도록 된 생산자측 단말기(6)와 소비자측 단말기(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생산자측 단말기(6)에는 농산물, 특화작물, 축산물, 수산물 또는 그 가공품 등의 생산물의 재배, 양식, 채취 기타 생산현장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도록 된 카메라(10)가 설치되고, 상기 생산자측 단말기(6)에서는 생산물의 실시간 영상데이타 상기 서버(1)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1)는 상기 생산물에 대한 영상 및 예상 출하시기에 대한 데이타를 유지관리하는 데이타베이스(12)를 포함하고, 이들 데이타를 생산물에 대한 실시간 영상디스플레이부(22)와 예상출하시기 표시부(24)를 포함하는 인터넷 홈페이지(2)에 로드시키며, 소비자측 단말기(8)에서는 상기 인터넷 홈페이지(2)에서 생산물에 대한 실시간 영상데이타 및 예상출하시기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여 생산물을 구매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물의 생산과정 실시간 관찰시스템이 제공된다. 인터넷 홈페이지(2)가 로드되는 서버(1)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서버(1)에 접속될 수 있도록 된 생산자측 단말기(6)와 소비자측 단말기(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생산자측 단말기(6)에는 농산물, 특화작물, 축산물, 수산물 또는 그 가공품 등의 생산물의 재배, 양식, 채취 기타 생산현장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도록 된 카메라(10)가 설치되고, 상기 생산자측 단말기(6)에서는 생산물의 실시간 영상데이타 상기 서버(1)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1)는 상기 생산물에 대한 영상 및 예상 출하시기에 대한 데이타를 유지관리하는 데이타베이스(12)를 포함하고, 이들 데이타를 생산물에 대한 실시간 영상디스플레이부(22)와 예상출하시기 표시부(24)를 포함하는 인터넷 홈페이지(2)에 로드시키며, 소비자측 단말기(8)에서는 상기 인터넷 홈페이지(2)에서 생산물에 대한 실시간 영상데이타 및 예상출하시기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여 생산물을 구매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물의 생산과정 실시간 관찰시스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0015718호(출원일: 2000년07월24일, 발명의 명칭: 생산지 상품의 영상 데이터를 통한 상품 주문 시스템) - 본 발명의 목적은 구매자에게 생산지에 설치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생산 완료된 상품의 상태를 판매소에 설치된 모니터를 통해 영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구매자들이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상품 주문을 하는 것으로, 판매소에 설치된 모니터를 통해 생산된 상품의 구매를 주문하면 이러한 주문정보가 상품 생산자에게 전달되고, 상품 생산자는 이를 통해 생산된 상품을 바로 구매자에게 직접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다.도 2는 본 발명의 영상 신호 전송 과정 및 구매 예약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배추·무 등의 야채를 생산하는 곳에서 생산된 야채의 상태를 구매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카메라를 설치하여 생산된 야채를 촬영(301)한다면, 이렇게 촬영된 영상은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로를 통해 서버 장치(3)에 전송(302)된다. 서버 장치(3)는 상기 전송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영상 신호의 전송지 즉, 생산지와 함께 기록(303)하고 영상신호의 전송지 즉, 생산지와 연계되어 생산지의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소를 검색(304)한 후에, 상기 검색된 판매소로 전송로를 통해 영상 신호를 전송(305)하여 설치된 컴퓨터(4)를 통해 수신되도록 하는 것이다. 수신된 영상신호는 컴퓨터(4)의 모니터를 통해 영상 신호를 재생(306)하여, 구매자들에게 야채의 생산된 상태를 실시간 영상으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과정을 통해 생산된 야채의 상태를 관찰(401)한 이용자가 상품의 구매를 원할 경우(402), 판매소에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4)를 통해 구매자의 구매 주문 정보(구매자, 구매 품목, 구매량)를 입력(403)하면, 입력된 예약 정보는 전송로를 통해 서버 장치(3)로 전송(404)되어, 본 시스템의 구매 처리부(206)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된 판매소와 전송된 주문 정보와 연관된 해당 생산지를 검색(405)하여, 구매 주문 정보를 검색된 생산지로 전달(406)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구매 예약자가 배추 5통과 무 2개를 판매소를 통해 구매 주문한다면 이러한 예약 정보는 서버 장치로 전송되어 상품 구매를 예약한 판매소와 연계되어 있는 생산지를 검색하고 생산지의 생산자에게 구매자의 구매 주문 정보를 전달하고, 생산자는 전달된 구매 주문 정보를 통해 생산된 배추와 무를 생산지에서 직송으로 야채를 신선한 상태에서 구매자에게 직접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7-0112820호(출원일: 2007년11월06일, 발명의 명칭: 실시간 화상정보를 이용한 인터넷쇼핑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상품거래방법) -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농축수산물의 상품거래에 있어서 생산지(원산지) 및 제조과정(포장 유통과정)에 실시간 웹컴을 설치하여 소비자가 24시간 가정에서 직접 볼 수 있어 신뢰하고 구매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을 통한 실시간 화상정보를 이용한 인터넷쇼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품거래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품이나 채소류, 어패류, 육류, 가공음식 등의 농축수산물 및 한약재 등에 대한 상품거래에는 신속한 유통과 신선한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특히 유기농 식품의 경우 인터넷쇼핑의 특성상 상품을 직접적으로 확인하여 유기농인지 확인할 수 없으므로 이를 신뢰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쇼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생산지, 가공지 및 보관유통 등에 실시간으로 화상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CCTV를 설치하고 소비자가 인터넷상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실시간 CCTV에서 촬영되는 화상정보를 소비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여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소비자가 판매자로부터 잘못된 상품을 구매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비자의 신뢰를 상실하지 않도록 하며, 더 나아가 소비자가 중간과정 없이 직접 생산, 가공자와 거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판매자의 경우에도 고객이 직접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므로 자체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건전한 상거래를 장려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화상정보를 이용한 상품거래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소비자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로그인 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S1). 다음 소비자 단말기(100)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게 되고(S2), 상품정보처리 서버(310)에 접속하게 되고(S3), 소비자가 관심을 갖는 상품에 대하여 선택하여 관심상품 정보를 요청한다(S4). 다음 상기 상품정보처리 서버(310)는 상기 관심상품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 단말기(100)에 전송해 주며, 상기 관심상품에 대한 실시간 화상정보를 전송받기 위해 실시간 화상정보처리 서버(350)에 접속하게 된다(S5). 상기 실시간 화상정보처리서버(350)는 실시간 화상촬영 기기(600)에 접속하여 관심상품의 생산지, 가공지 또는 보관유통 단계의 실시간 화상정보를 전송받게 된다(S6). 상기와 같이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기(100)를 통해 상품 정보 및 실시간 화상정보를 전송받은 후, 대상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상품거래 서버(330)에 접속하게 된다(S7). 상기 상품거래 서버(330)는 소비자 단말기(100)로부터 구매상품에 대한 대금을 결제하고(S8), 상기 구매자의 결제정보를 판매자 단말기(500)에 전송하여 판매 승인하게 된다(S9). 이렇게 이루어진 상품 결제에 따라 종국적으로 판매자가 상품을 오프라인 상으로 소비자에게 배송하게 된다(S10).
본 발명은,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통신망에 연결된 폐쇄회로 텔레비전이나 카메라 등과 연동하여, 판매자와 구매자 및 필요한 경우 중개인을 통한 거래를 인터넷상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다양한 부가 기능과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거래가 안전하고, 상품의 신뢰도가 높으며, 대규모 거래에 적합하고, 고객에 대한 관리 및 분석 가능한 시스템을 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장비를 통한 인터넷 쇼핑몰은 다양한 기술이 상용화되어 실시되고 있으며, 그 시장도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기재 및 상용화된 종래의 쇼핑몰의 한 유형으로, 실시간으로 영상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 신선도가 유지되어야 하는 야채나 고기류 및 유통기간이 짧거나 보관 방법이 특정된 발효식품, 유제품 등의 주문은 영상에 의존하기보다는 공급자의 명성과 신뢰도에 의존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영세한 업자인 경우 구매 수요자들로부터 신뢰성 확보에 애로가 많고, 매출이 높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쇼핑몰의 다른 유형으로, 구매자들이 자신의 제품에 대한 주문현황만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물품에 대한 전체 판매규모나 호응도를 쉽게 파악하기 곤란하고, 판매자가 운영하는 게시판 등에 쪽지를 남기거나 리플을 확인하는 정도에서 그 신뢰도가 떨어지며, 특히 해당 제품에 대한 전체 반품현황이 제공되지 못하여 거래량이 실제보다 높게 왜곡되어 있는 문제를 구매자 입장에서 효과적으로 판별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 쇼핑몰의 다른 유형으로, 기성품이나 정형화되지 않은 상품을 스틸 이미지나 영상을 통하여 주문한 경우, 화면상에서 보았던 상품과 실제 배송되어 받은 상품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실시간 주문상태에서 판매된 제품의 영상을 매번 바꿔가야 하는 번거로움과 기술적 문제, 비용상 곤란 등으로 판매자에게는 관리비용 증가에 따른 수익률을 저감시키고 구매자에게는 제품의 만족도를 급감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사대체상품 발송을 차단하고, 상품정보가 이미지 처리된 확인서를 제공하며, 실시간 동영상을 송출하여 상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주문현황과 반품현황을 차트로 누계처리 하여 상품에 대한 전체 흐름을 구매자가 이해하기 쉽게 직관적으로 제공하며, 판매자 입장에서 원격지에서도 상품에 대한 보안과 상태 확인 및 검색 등의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 및 운용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유사 기술에 대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있는 것으로, 구매자에게는 상품에 대한 품질과 일관성을 제공할 수 있어 상품에 대한 높은 신뢰도와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판매자 입장에서는 직거래의 마진구조 개선에 따른 기본적인 수익성을 물론이고 대량의 상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보안적 측면과 전자상거래 측면의 양자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유용성을 제공하며, 중개인이나 판매자가 될 수 있는 사이트 관리자의 측면에서 직거래 또는 중개거래를 유도하여 수수료 구조를 통한 과금 정책을 구축하고 회원고객에 대한 분석과 전체 관리를 통한 수익성이 보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로, 네트워크를 통한 주문배달 시스템의 일반적인 흐름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예약 주문과정의 일반적인 플로어를 보인 개략도.
도 3은 종래 기술로, 실시간 화상정보를 통한 상품거래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상거래 프로세스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상거래 프로세스의 전체 서비스 플로어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 6에 의한 구매관리 프로세스의 서비스 플로어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 6에 의한 보안관리 프로세스의 서비스 플로어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도 6에 의한 판매관리 프로세스의 서비스 플로어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상품 간 인증 서비스를 위한 매트릭스 코드 이미지.
본 발명에 의한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은 상기와 같은 목적과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와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상거래 프로세스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본 발명은 구매자(101)와 판매자(410) 간에 거래되는 상품(제품)에 대한 중개를 유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구매를 희망하는 다수의 구매자로 구성된 구매자 군(100)과, 상품의 가격을 낮추기 위하여 대량으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판매자(410) 들로 구성된 판매자 군(400)을 관리하는 중간 업체인 벤더(310)와 상기 벤더(310)들이 모여 있는 벤더 군(300)이 마련될 수 있다.
판매자(410)는, 세부적으로 자신의 상품을 실시간 또는 캡처 영상으로 촬영한 데이터를 가지며,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장비(420)로 카메라, CCTV, 웹캠, 스마트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판매자(410)는 본 발명에 의한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중 웹서버(210)와 네트워크상에서 연결되며, 벤더 군(300)은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중 중개서버(240)와 네트워크상에서 연결된다.
연결방식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웹서버(210)와 중개서버(24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DB서버(220) 및 영상을 인터넷(200)을 통하여 송출하기 위한 스트리밍 서버(230)와 연동하여 하나의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구성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상거래 프로세스의 전체 서비스 플로어 순서도로서, 포워딩 되어있는 도메인 주소로 접속하면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가 시작(S100)되며, 로그인 화면을 통하여 고객이 회원가입을 하고, 회원가입시에 판매자 여부 및 구매자 여부를 포함하여 인적 정보를 입력 및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과정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회원으로 가입된 고객이 로그인 하는 단계(S200)가 개시된다.
로그인 단계(S200)를 통하여, 회원에 대한 인증절차가 수행되면, DB서버(220)는 등록된 고객의 정보를 검색하여, 회원을 분류하는 단계(S300)를 수행한다.
상기 회원을 분류하는 단계(S300)는 회원 가입시에 등록한 구매자 여부와 판매자(생산자) 여부에 따라 분류되며, 구매자로 등록된 경우 구매관리 프로세스(S500)가 수행되며, 판매자(또는 생산자)로 등록한 경우, 자신의 상품에 대한 보안관리를 수행할 것인지를 묻는 단계(S400)를 통하여, 보안관리를 선택한 경우(Yes) 보안관리 프로세스(S600)가 수행되고, 보안관리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No) 판매관리 프로세스(S700)가 각기 수행된다.
본 발명에 의한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양한 상점에 네트워크와 연결된 카메라 또는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이 설치되고, 진열장에 진열된 물품을 실시간 또는 녹화 영상으로 특정 서버에 송출하여 인터넷에 접속한 소비자(구매자)가 상기 송출된 영상을 보유한 상점의 카테고리와 세부 품목을 검색 및 클릭하여 원하는 물품이 진열된 가게에 상품을 직접 눈으로 확인한 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상거래 기술 및 그에 수반되는 관리자 입장에서의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판매자(또는 생산자)(410)의 영상장비(420)들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양한 상품을 웹상에 특정 사이트에 소개하기 위하여,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연결 방법은, 개인 간 직거래, 다자간 직거래 및 다자간 중개거래의 형태가 가능하며, 개인 간 직거래의 경우 판매자가 단일 형태로 존재하며, 판매자는 자신의 영상정보를 웹서버(210)를 통하여 스트리밍서버(230)와 DB서버(220)에 저장 및 송출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운영자와 판매자가 동일한 경우로 중개서버(240)와 벤더(300)가 존재하지 않는 형태이다.
또한, 다자간 직거래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운영자가 별도로 존재하며, 다수의 판매자(410)가 존재하고, 판매자는 사전등록절차 및 설정을 통하여 운영자가 할당한 공간 내에 접속하여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실시간 또는 VOD형태로 상품을 촬영하고 있는 영상을 제공하며, 다자간 중개거래는 판매자(410)들이 제공하는 영상을 직접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전송하지 않고, 복수의 판매자(410)들로 이루어진 판매자 군(400)을 관리하기 위해 벤더(310)가 존재하며, 상기 벤더(310)는 중개업자 개인 또는 업체가 될 수 있다.
이처럼 벤더(310)들은 중개서버(240)를 통하여 대량의 구매자에게 보다 저렴한 가격 흥정을 통하여 상품을 대량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도 6에 의한 구매관리 프로세스의 서비스 플로어 순서도로서, 도 5에서의 회원을 분류하는 단계(S300)를 통하여, 회원 가입시에 구매자로 등록된 경우로서, 구매자(101)가 개인인지 단체인지를 확인하는 고객 군 확인단계(S502)가 수행되며, 고객 군이 개인 구매자(101)인 경우, 상기 구매자는 웹서버(210)와 연동하는 스트리밍서버(230)를 통하여 송출되는 영상정보를 통하여, 해당 제품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자신이 원하는 제품을 선택하는 단계(S503)가 수행된다.
제품을 선택한 경우, 주문 단계(S504)가 수행되며, 상기 주문 단계(S504)에서 주문을 하지 않는 경우(No), 프로세스는 종료 단계(S513)로 분기한다.
상기 주문 단계(S504)는 웹서버(210)에 표시되는 제품과 함께 버튼을 마련하여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버튼을 클릭하면 마우스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벤트는 함수로 표시되어 웹서버에서 해당 제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S508)로 진행된다.
상기 구매자(101)가 개인인지 단체인지를 확인하는 고객 군 확인단계(S502)에서 고객 군이 대량구매를 소망하는 개인 또는 단체로 구성된 구매자 군(100)인 경우, 상기 구매자 군(100)은 중개서버(240)와 스트리밍서버(230)를 통하여 송출되는 상품 영상정보 및 그와 같은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벤더(310)들로 구성된 벤더 군(300)을 검색하여, 자신이 원하는 벤더를 선택하는 단계(S505)가 수행된다.
벤더 선택 단계(S505)의 수행으로 인하여 선택된 벤더(310)는, 구매자 군(100)으로부터 자신이 제안한 주문 물량에 따른 할인율에 의해 가격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지는 단계(S506)가 수행되며, 상기 할인율은 기존 회원가입시에 등록할 수 있도록 벤더 가입자에 대한 별도의 필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격 조정 단계(S506)는, 물량에 대한 할인율이 정형화된 테이블에 의하여 선택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주문자인 구매자 군(100)이 자신의 주문 물량을 입력하면 할인율이 계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격 조정 단계(S506)를 통하여 구매자 군(100)이 주문을 하지 않는 경우(No), 프로세스는 종료 단계(S513)로 분기한다.
이처럼 상기 개인고객에 의한 주문단계(S504) 및 대량구매고객에 의한 주문단계(S507)가 수행되면, 결제단계(S508)가 수행된다.
상기 결제단계(S508)는 일반적인 전자결제시스템을 통하여 신용카드, 포인트, 마일리지, 휴대폰결제 등의 통상적인 외부 전자결제시스템과 연동하도록 포팅될 수 있다.
결제 단계(S508)가 완료되면, 고객의 주문결과가 DB서버(220)에 저장되는 단계(S509)가 수행되고, 상기 주문정보를 판매자 단말기로 이메일, MMS, 웹페이지(MyPage) 등에서 확인될 수 있도록 전송하는 푸시 단계(S510)가 수행된다.
판매자에게 구매자의 주문정보가 전송되면, 판매자에 의한 배송 단계(S511)가 수행되며, 상기 배송 단계(S511)는, 택배사의 송장번호나 우체국 등기번호와 연동하여 배송 결과가 조회되며, 웹서버나 스마트폰의 모바일 어플에 접속한 구매자에 의해 배송 확인 결과가 전송되면, 판매자 등록계좌로 결제금액을 송금하는 단계(S512)가 수행되고 해당 프로세스는 종료(S513)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도 6에 의한 보안관리 프로세스의 서비스 플로어 순서도로서, 도 5의 회원을 분류하는 단계(S300) 중 판매자(또는 생산자)로 등록한 경우에서 자신의 상품에 대한 보안관리를 수행할 것인지를 묻는 단계(S400)를 통하여, 보안관리를 선택한 경우(Yes)에 대한 프로세스 순서도이다.
보안관리 프로세스(S600)는, 판매자(410)가 실시간으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에서, 상품에 대한 중개거래 또는 주문에 따른 배송 등으로 해당 상품의 중복 주문이나 결제를 차단하거나 재개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즉, 특정 상품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웹서버(210)를 통하여 구매자(101)에게 전송되는 것을 보류하기 위하여, 랜카드와 연결된 해당 영상장비(420)의 전원을 차단한 경우와, 정전 등으로 일시적으로 영상장비가 위치한 지역의 전원이 나갔다가 다시 공급되는 경우에 장비가 자동 부팅되지 못하는 관계로, 상품 판매와 광고 송출에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원격제어를 통한 원격지 전원공급 및 부팅을 통한 보안관리 프로세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장비는 인터넷에 연결되고, WOL(WAKE ON LAN)기능을 가지는 랜카드와 외부접속 보안에 의한 원격 관리 포트 기능을 가진 공유기 및 바이오스에서 WOL을 지원하는 단말기가 필요하다.
WOL설정 확인 단계(S602)가 수행되며, WOL 설정이 되어있지 않은 경우(No), WOL을 셋팅하는 단계(S603)를 판매자 단말기에서 수행하여야 하며, 해당 프로세스는 종료(S609)한다.
WOL설정은, 단말기 메인보드의 CMOS에서 롬BIOS의 기능 중 PCI Device Power On과, OnBoard LAN Boot ROM 기능을 활성화(Enable)시키고, 랜(LAN)카드 WOL설정에서 매직 패킷 발생시 깨우기를 설정하고, 또한 MS계열 운영체계를 사용하는 단말기의 원격데스크탑 설정(체크)과 방화벽차단을 해지하여야 하며, 공유기 네트워크 보안에서 포트 포워딩을 설정하여야 한다.
WOL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Yes), 원격 제어를 위해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S604)를 수행한다.
상기 어플 실행 단계(S604)는, 원격지의 단말이 MS계열 운영체계를 사용하는 경우 시작 >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통신 > "원격 데스크탑 연결"을 통하여 실행될 수 있다.
어플이 실행한 후, 원격지 IP주소와 공유기에 포워딩된 포트번호를 입력하는 단계(S605)를 수행하면,, 매직 패킷이 전송(S606)되어 시스템이 부팅(S607)되고, 전원이 차단되었던 영상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활성화 단계(S608)가 수행된다.
상기 보안관리 프로세스(S600)는, 정전이나 전원의 차단에 의해 영상전송이 보류된 상품에 대한 전원공급 및 영상전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실제 판매중에 있지 않은 상품(예를 들면, 재배 및 상품 준비중에 있는 채소나 과일)에 대하여 원격지에서 필요한 시점에 인터넷에 연결하여 영상장비를 동작시켜 주변상황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원격지 보안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도 6에 의한 판매관리 프로세스의 서비스 플로어 순서도로서, 도 5의 회원을 분류하는 단계(S300) 중 판매자(또는 생산자)로 등록한 경우에서 자신의 상품에 대한 보안관리를 수행할 것인지를 묻는 단계(S400)를 통하여, 보안관리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No)에 대한 프로세스 순서도이다.
로그인(S200)을 통하여, 판매자로 접속하면 접속자가 직거래를 위한 판매자(410)인지 아니면 판매자 군(400)을 형성하여 대량거래를 위한 중개거래 형태의 벤더(310)인지를 분류하는 판매군 확인 단계(S702)가 수행되며, 직거래 형태의 판매자(410)인 경우, 판매할 상품을 등록하기 위하여 영상장비를 통하여 제품을 실시간 또는 VOD형태로 촬영하여 웹서버(210)에 전송 및 등록하는 상품설정 단계(S703)를 포함하며, 구매자(101)로부터 판매자 단말에 푸시(S510)되어 들어온 주문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708)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판매군 확인 단계(S702)를 통하여 접속자가 중개거래 형태의 벤더(310)인 경우, 당해 접속 정보를 통하여 DB서버(220)로부터 중개서버(240)에 접속되고, 판매할 상품을 등록하기 위하여 영상장비를 통하여 제품을 실시간 또는 VOD형태로 촬영하여 스트리밍서버(230)에 전송 및 등록할 수 있는 중개서버등록 단계(S705)를 포함하며, 구매자 군(100)으로부터 자신이 제안한 주문 물량에 따른 할인율에 의해 가격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지는 단계(S506)에서 주문자인 구매자 군(100)이 자신의 주문 물량을 입력하여 적용된 할인율이 주문시점에서의 시세 등으로 인하여 적용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흥정확인 단계(S706)를 수행한 후, 계약이 불가능하면 벤더 가입자에 대해 별도로 마련된 필드에 물량에 대한 할인율이 정형화된 테이블을 새로운 제안 조건으로 수정하게 되며, 수정이 이루어지면 상기 정보는 가격조정단계(S506)를 수행한 구매자 군(100)의 등록된 정보로 메일, MMS 및 웹페이지(MyPage) 등에 전달한다.
또한, 흥정확인 단계(S706)를 통하여 계약 가능한 경우, 벤더(310)는 계약 체결버튼을 클릭하는 등의 마우스 이벤트를 통하여 계약이 체결되는 단계(S707)가 수행되며, 그 결과는 구매자 군(100)의 등록된 정보로 메일, MMS 및 웹페이지(MyPage) 등에 전달되고, 최종적인 주문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708)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주문확인 단계(S708)에서 주문확인버튼을 클릭하는 등의 마우스 이벤트를 수행하면, 웹서버(210) 또는 중개서버(240)는 해당 상품에 대한 매트릭스코드(도 9)를 DB서버(220)에 요청하게 되며, 스트리밍서버(230)는 주문확인상품에 대한 중복 결제나 재고 유무 등을 관리하기 위하여 송출되던 관련 자료의 송출을 정지하는 단계(S710)가 수행된다.
이후, 배송단계(S711)가 수행되며, 배송이 완료되지 못하거나 환불 내지 교환이 발생하면 스트리밍서버(230)에 의해 정지되었던 주문확인상품에 대한 영상이 다시 송출되는 자료송출개시 단계(S712)가 수행되고, 배송이 완료되면 DB서버(220)에 저장된 매트릭스코드 자료는 삭제(S713)되며, 판매자(410)나 벤더(310)에 대한 판매대금에 따른 시스템 이용 수수료가 청구되는 과금 단계(S714)가 수행된 후 프로세스는 종료(S715)한다.
상기 과금 단계(S714)는 구매관리 프로세스(S500)를 통하여 배송 단계(S511) 수행이후 진행되는 송금 단계(S512)와 연동하여, 판매자(410)나 벤더(310)에게 송금하기 전에 과금(수수료)을 정산한 후 진행되는 것이 특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상품 간 인증 서비스를 위한 매트릭스 코드 이미지로서, 주문확인단계(S708) 수행에 따라 DB서버(220)에 캡쳐되어 저장되며, 판매관리 프로세스(S700)에서 구매자에 의한 주문 확인 단계(S708)가 수행된 후 구매자(101)에게 전송되는 스틸 이미지로서, 주문한 상품에 매핑되어 표시되는 가로, 세로, 사선의 눈금표시와 좌우 코드가 입력되어 있다.
이는, 발송되는 제품이 기성품이 아닌 채소나 과일과 같은 제품인 경우, 실제 주문한 상품과 배송되는 상품 간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선도의 문제나 유사대체 상품이 발송된 경우, 환불이나 교환 등을 요구하기 위한 확인서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그 실시 예로서, 발송되는 주문 상품은 상기 매트릭스 코드로 되어 있는 사선이 눈금표시되어 있는 스틸 이미지가 전송되어, 실제 배송받은 제품과 대조하여 각 상하 좌우 좌표값과 사선의 시작점과 끝점 등을 비교하여 실제 제품이 스틸 이미지 상에서의 제품과 상이한 경우, 상기 좌표값과 사선 시작 종료 값을 입력한 이미지를 웹서버에 마련된 환불코너에 전송하여 반송 내지 교환 요청을 진행할 수 있다.
100: 구매자 군(群) 101: 구매자
200: 인터넷(망) 210: 웹서버(WEB SERVER)
220: DB서버(DATABASE SERVER) 230: 스트리밍서버(STREAMING SERVER)
240: 중개서버(MEDIATIONG SERVER) 300: 벤더 군(群)
310: 벤더(VENDOR) 400: 판매자 군(群)
410: 판매자 420: 영상장비

Claims (3)

  1. 로그인 단계(S200)를 통하여, 회원에 대한 인증절차가 수행되면, DB서버(220)는 등록된 고객의 정보를 검색하여, 회원을 분류하는 단계(S300)를 수행하며, 상기 회원을 분류하는 단계(S300)는 회원 가입시에 등록한 구매자 여부와 판매자(생산자) 여부에 따라 분류되며, 구매자로 등록된 경우 구매관리 프로세스(S500)가 수행되며, 판매자(또는 생산자)로 등록한 경우, 자신의 상품에 대한 보안관리를 수행할 것인지를 묻는 단계(S400)를 통하여, 보안관리를 선택한 경우(Yes) 보안관리 프로세스(S600)가 수행되고, 보안관리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No) 판매관리 프로세스(S700)가 각기 수행되는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에 있어서;
    회원을 분류하는 단계(S300)를 통하여, 회원 가입시에 구매자로 등록된 경우로서, 구매자(101)가 개인인지 단체인지를 확인하는 고객 군 확인단계(S502); 고객 군이 개인 구매자(101)인 경우, 상기 구매자는 웹서버(210)와 연동하는 스트리밍서버(230)를 통하여 송출되는 영상정보를 통하여, 해당 제품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자신이 원하는 제품을 선택하는 단계(S503); 제품을 선택한 경우, 주문 단계(S504)가 수행되 웹서버(210)에 표시되는 제품과 함께 버튼을 마련하여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버튼을 클릭하면 마우스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벤트는 함수로 표시되어 웹서버에서 해당 제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S508); 상기 구매자(101)가 개인인지 단체인지를 확인하는 고객 군 확인단계(S502)에서 고객 군이 대량구매를 소망하는 개인 또는 단체로 구성된 구매자 군(100)인 경우, 상기 구매자 군(100)은 중개서버(240)와 스트리밍서버(230)를 통하여 송출되는 상품 영상정보 및 그와 같은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벤더(310)들로 구성된 벤더 군(300)을 검색하여, 자신이 원하는 벤더를 선택하는 단계(S505); 벤더 선택 단계(S505)의 수행으로 인하여 선택된 벤더(310)는, 구매자 군(100)으로부터 자신이 제안한 주문 물량에 따른 할인율에 의해 가격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지는 단계(S506); 상기 개인고객에 의한 주문단계(S504) 및 대량구매고객에 의한 주문단계(S507) 이후 수행되는 결제단계(S508)와; 고객의 주문결과가 DB서버(220)에 저장되는 단계(S509)가 수행되고, 상기 주문정보를 판매자 단말기로 이메일, MMS, 웹페이지(MyPage)에서 확인될 수 있도록 전송하는 푸시 단계(S510); 판매자에게 구매자의 주문정보가 전송되면, 판매자에 의한 배송 단계(S511)가 수행되며, 상기 배송 단계(S511)는, 택배사의 송장번호나 우체국 등기번호와 연동하여 배송 결과가 조회되며, 웹서버나 스마트폰의 모바일 어플에 접속한 구매자에 의해 배송 확인 결과가 전송되면, 판매자 등록계좌로 결제금액을 송금하는 단계(S512); 로 이루어지는 구매관리 프로세스(S500)와;
    로그인(S200)을 통하여, 판매자로 접속하면 접속자가 직거래를 위한 판매자(410)인지 아니면 판매자 군(400)을 형성하여 대량거래를 위한 중개거래 형태의 벤더(310) 인지를 분류하는 판매군 확인 단계(S702); 직거래 형태의 판매자(410)인 경우, 판매할 상품을 등록하기 위하여 영상장비를 통하여 제품을 실시간 또는 VOD형태로 촬영하여 웹서버(210)에 전송 및 등록하는 상품설정 단계(S703); 구매자(101)로부터 판매자 단말에 푸시(S510)되어 들어온 주문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708); 판매군 확인 단계(S702)를 통하여 접속자가 중개거래 형태의 벤더(310)인 경우, 당해 접속 정보를 통하여 DB서버(220)로부터 중개서버(240)에 접속되고, 판매할 상품을 등록하기 위하여 영상장비를 통하여 제품을 실시간 또는 VOD형태로 촬영하여 스트리밍서버(230)에 전송 및 등록할 수 있는 중개서버등록 단계(S705); 구매자 군(100)으로부터 자신이 제안한 주문 물량에 따른 할인율에 의해 가격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지는 단계(S506)에서 주문자인 구매자 군(100)이 자신의 주문 물량을 입력하여 적용된 할인율이 주문시점에서의 시세 등으로 인하여 적용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흥정확인 단계(S706); 흥정확인 단계(S706)를 통하여 계약 가능한 경우, 벤더(310)는 계약 체결버튼을 클릭하는 등의 마우스 이벤트를 통하여 계약이 체결되는 단계(S707); 구매자 군(100)의 등록된 정보로 메일, MMS 및 웹페이지(MyPage) 등에 전달되고, 최종적인 주문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708); 웹서버(210) 또는 중개서버(240)는 해당 상품에 대한 매트릭스코드를 DB서버(220)에 요청하게 되며, 스트리밍서버(230)는 주문확인상품에 대한 중복 결제나 재고 유무 등을 관리하기 위하여 송출되던 관련 자료의 송출을 정지하는 단계(S710); 배송이 완료되면 DB서버(220)에 저장된 매트릭스코드 자료는 삭제(S713)되며, 판매자(410)나 벤더(310)에 대한 판매대금에 따른 시스템 이용 수수료가 청구되는 과금 단계(S714); 로 이루어지는 판매관리 프로세스(S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코드는, 주문확인단계(S708) 수행에 따라 DB서버(220)에 캡쳐되어 저장되며, 판매관리 프로세스(S700)에서 구매자에 의한 주문 확인 단계(S708)가 수행된 후 구매자(101)에게 전송되는 스틸 이미지로서, 주문한 상품에 매핑되어 표시되는 가로, 세로, 사선의 눈금표시와 좌우 코드가 입력되어 있으며, 발송되는 제품이 기성품 이외의 채소나 과일일 경우, 실제 주문한 상품과 배송되는 상품 간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선도의 문제나 유사대체 상품이 발송된 경우, 환불이나 교환 등을 요구하기 위한 확인서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원을 분류하는 단계(S300) 중 판매자(또는 생산자)로 등록한 경우에서 자신의 상품에 대한 보안관리를 수행할 것인지를 묻는 단계(S400)를 통하여, WOL설정 확인 단계(S602);
    WOL 설정이 되어있지 않은 경우, WOL을 셋팅하는 단계(S603);
    단말기 메인보드의 CMOS에서 롬BIOS의 기능 중 PCI Device Power On과, OnBoard LAN Boot ROM 기능을 활성화(Enable)시키고, 랜(LAN)카드 WOL설정에서 매직 패킷 발생시 깨우기를 설정하고, 또한 MS계열 운영체계를 사용하는 단말기의 원격데스크탑 설정(체크)과 방화벽차단을 해지하여야 하며, 공유기 네트워크 보안에서 포트 포워딩을 설정하는 단계;
    WOL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Yes), 원격 제어를 위해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원격지의 단말이 MS계열 운영체계를 사용하는 경우 시작 >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통신 > "원격 데스크탑 연결"을 실행하는 단계(S604);
    어플이 실행한 후, 원격지 IP주소와 공유기에 포워딩된 포트번호를 입력하는 단계(S605);
    매직 패킷이 전송(S606)되어 시스템이 부팅(S607)되고, 전원이 차단되었던 영상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활성화 단계(S608);로 이루어지는 보안관리 프로세스(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
KR1020110074177A 2011-07-26 2011-07-26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 KR101244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177A KR101244106B1 (ko) 2011-07-26 2011-07-26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177A KR101244106B1 (ko) 2011-07-26 2011-07-26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785A KR20130012785A (ko) 2013-02-05
KR101244106B1 true KR101244106B1 (ko) 2013-03-18

Family

ID=4789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177A KR101244106B1 (ko) 2011-07-26 2011-07-26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1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193A (ko) 2015-03-26 2016-10-07 주식회사 코어앤모바일 모바일 통합 실시간 쇼핑 방송 및 전자상거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191B1 (ko) * 2020-06-24 2021-03-17 쿠팡 주식회사 배송 상태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N112651795B (zh) * 2020-12-11 2023-11-17 深圳市智莱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售卖机的出货方法、自动售卖机和可读存储介质
CN117009453B (zh) * 2023-10-07 2023-12-26 杭州雅拓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数字化营销实时查询客户所在客群列表的方法和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738A (ko) * 2007-11-01 2009-05-07 (주)윌코스 화상 카메라 및 사용자제작 컨텐츠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운영 방법
KR20090046589A (ko) * 2007-11-06 2009-05-11 송진우 실시간 화상정보를 이용한 인터넷쇼핑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상품거래방법
KR20090072898A (ko) * 2007-12-28 2009-07-02 염철호 동영상 촬영화면 보면서 쇼핑하기
KR20100128446A (ko) * 2009-05-28 2010-12-08 (주)아이에스코어넷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738A (ko) * 2007-11-01 2009-05-07 (주)윌코스 화상 카메라 및 사용자제작 컨텐츠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운영 방법
KR20090046589A (ko) * 2007-11-06 2009-05-11 송진우 실시간 화상정보를 이용한 인터넷쇼핑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상품거래방법
KR20090072898A (ko) * 2007-12-28 2009-07-02 염철호 동영상 촬영화면 보면서 쇼핑하기
KR20100128446A (ko) * 2009-05-28 2010-12-08 (주)아이에스코어넷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193A (ko) 2015-03-26 2016-10-07 주식회사 코어앤모바일 모바일 통합 실시간 쇼핑 방송 및 전자상거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785A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544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website synchronization
US201300068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ormation of submitted listings
US81609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bid solicitation during transaction process
US20160086131A1 (en) Storage system
US10037582B2 (en) Personal merchandise cataloguing system with item tracking and social network functionality
US10217155B2 (en) Product cross-selling method and system
US20120054108A1 (en) Buyer Driven Market System and Method
US20150269591A1 (en) Online auctions with collectible authenticity insurance systems and methods
KR101244106B1 (ko)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
JP2012048458A (ja) 花卉販売システム及び販売方法
JP2019125386A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方法及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US20180305905A1 (en) Personal merchandise cataloguing system with item tracking and social network functionality
KR101274788B1 (ko) 실시간 개별상담 가능한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
US201600711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and purchasing advertising space on out of home electronic digital media devices
Umar et al. Development of e-marketplace in department of agriculture food crops and horticulture as a means to expand the market of processed food
US10621215B1 (en) Optimized search results system and methods
KR20200041714A (ko) 해외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0744A (ko) 이사 준비 단계부터 이사 이후 단계까지의 전 주기를 포괄하는 종합 이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100994257B1 (ko) 전자카탈로그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096405B1 (ko) 온라인 쇼핑몰 중개 방법 및 온라인 쇼핑몰 중개 시스템
US20210019758A1 (en) Managing cost data based on community supplier and commodity information
KR20090046589A (ko) 실시간 화상정보를 이용한 인터넷쇼핑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상품거래방법
JP2008262334A (ja) 水産流通支援システム
KR20020043544A (ko) 메신저 기반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976894B1 (ko) 소셜 공유플랫폼 제공장치 및 그 소셜 공유플랫폼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