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714A - 해외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해외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714A
KR20200041714A KR1020180122144A KR20180122144A KR20200041714A KR 20200041714 A KR20200041714 A KR 20200041714A KR 1020180122144 A KR1020180122144 A KR 1020180122144A KR 20180122144 A KR20180122144 A KR 20180122144A KR 20200041714 A KR20200041714 A KR 20200041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al
purchase
buyer
condi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파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파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파츠
Priority to KR1020180122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1714A/ko
Publication of KR20200041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5Supply or demand aggre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1Request for offers or quo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공동구매에 관한 딜(deal) 게시조건 및 딜 승인조건을 포함하는 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여 딜 정보를 생성하는 딜 관리부; 구매자로부터 상기 딜에 대한 구매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딜 게시조건 및 상기 딜 승인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딜 관리부로부터 수신한 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딜 관리부는 상기 공동구매 상품의 개별 부피와 상기 상품의 운송되는 컨테이너의 총 부피를 비교하여, 컨테이너 총 부피의 일정 부피 비율 이상으로 선적되는 상품의 총 개수를 최소판매개수로 생성하며, 상기 딜 승인조건은 상기 구매자의 구매요청 개수가 상기 최소판매개수 이상인 것을 정지조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공동구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은 해외공동구매시 컨테이너 단위로 공동구매를 진행하여 배송비를 최소화함으로써 구매자가 정상가에서 할인된 공동구매 할인 가격으로 공동구매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외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OVERSEAS COOPERATIVE PURCHASE}
본 발명은 해외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외 상품을 공동구매시 배송비를 최소화하여 특정 구매자가 정상가에서 할인된 공동구매 할인 가격으로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해외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전자상거래(e-commerce)는 인터넷과 같은 정보 통신망의 확대와 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일반화되어 있고, 그에 따라 상품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서 직접 매장을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졌으며, 보안 방법에 있어서도 실질적으로 안정화 단계에 이르게 되었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상품 주요 구매 수단으로 정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전자상거래의 일종으로 소셜커머스가 각광받고 있다.
소셜커머스(Social commerce)는 소셜미디어와 온라인 미디어를 활용하는 전자상거래의 일종으로 야후에 의해 2005년에 처음 명명된 새로운 영업 방법이다. 당시 야후는 장바구니 공유서비스인 쇼퍼스피어(Shoposphere)를 선보였는데, 소셜커머스는 전자 상거래 플랫폼을 소비자들에게 개방하고, 소비자들 각자의 상거래 경험을 서로 공유시킨다는 개념에서 "소셜 커머스"라고 명명하게 되었다.
이후 온라인 환경에서 트위터나 페이스북와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활성화됨에 따라, "소셜 커머스"는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까페, 블로그, 그리고 기타 여러 사람들이 공동체를 형성하고 공동체 간에 쉽게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인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상거래 장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소셜 커머스를 구현하는 방식도 매우 다양화되고 있는데, 이커머스 사이트에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과 연동되는 버튼을 추가하는 것 외에도 페이스북의 오픈 그래프를 이용하여 개인화된 쇼핑 환경을 만들어 주거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안에 상거래 전용 공간을 오픈하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처럼 소셜 커머스를 구현하면 소비자는 프로슈머이자, 마켓슈머, 소셜미디어에서 신규 고객을 유입시키는 통로로 변하게 되는데, 소셜 커머스 사업자의 역할은 상품 정보를 등록하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연동되는 플랫폼을 개설할 뿐 나머지는 소비자의 몫이 된다.
일반적으로 소셜 커머스는 소셜 링크형, 소셜 웹형, 공동구매형, 오프라인 연동형의 네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2008년에 그루폰(Groupon)이 설립된 이후 전세계적인 공동구매형 소셜 커머스 붐이 일어났는데, 공동구매형 소셜 커머스는 공동구매 사이트가 소셜네트워크와 결합한 형태이다. 기존의 쇼핑몰이 상품판매를 하기 위해 포탈 사이트 광고 등을 활용하여, 무작위의 사람들에게 쇼핑을 유인하는 것이라면 소셜커머스는 이미 형성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정보를 공유하면서 상거래를 일으키는 것이다.
이러한 소셜 커머스 중 현재는 공동구매형 소셜 커머스가 각광을 받고 있는데, 공동구매형 소셜 커머스는 제품 별로 정한 최소 구매 수량이 달성되면 구매자에게 50% 이상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구매자들로 하여금 적극적으로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잠재적인 소비자들을 공동구매에 참여시키는 매력을 갖고 있다. 또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연동된 소셜 커머스 업체에서 소비자를 추천하여 공동구매를 유인하게 하는 구매자에게는 현금 또는 포인트를 적립해 주는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소셜 커머스의 확대가 가능한 장점도 있다.
특히, 소셜커머스를 포함한 전자상거래의 초기 단계에는 그 거래 범위가 국내에 국한되었지만, 현재에는 국제적인 무역 거래까지 그 범위가 확장되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국제 물류 배송 환경의 상당한 발전으로 인해, 국제적인 온라인 전자상거래의 이용률이 더욱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러한 온라인 무역 거래는 상품 배송, 결제 방법, 및 국외 온라인 쇼핑몰로의 상품 등록 등과 관련하여 그 운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상품의 판매가격에서 배송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지나치게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해외공동구매시 컨테이너 단위로 공동구매를 진행하여 배송비를 최소화함으로써 구매자가 정상가에서 할인된 공동구매 할인 가격으로 공동구매 상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공동구매에 관한 딜(deal) 게시조건 및 딜 승인조건을 포함하는 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여 딜 정보를 생성하는 딜 관리부; 구매자로부터 상기 딜에 대한 구매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딜 게시조건 및 상기 딜 승인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딜 관리부로부터 수신한 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딜 관리부는 상기 공동구매 상품의 개별 부피와 상기 상품의 운송되는 컨테이너의 총 부피를 비교하여, 컨테이너 총 부피의 일정 부피 비율 이상으로 선적되는 상품의 총 개수를 최소판매개수로 생성하며, 상기 딜 승인조건은 상기 구매자의 구매요청 개수가 상기 최소판매개수 이상인 것을 정지조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공동구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딜 게시조건은 공동구매 기간이 만료되는 조건 또는 딜에 대한 구매자의 구매요청 개수가 목표판매개수에 도달되는 조건을 해제조건으로 하며, 상기 목표판매개수는 판매자가 제공할 수 있는 최대 상품 개수와 상기 컨테이너 내에 선적될 수 있는 최대 상품 개수 중 작은 개수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외공동구매 시스템은 상기 구매자의 판매업체 이용 횟수, 상기 구매자의 상기 판매업체와의 딜 성공 횟수, 딜을 통해 달성된 구매총액, 및 상기 구매자가 획득한 현재 등급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자의 회원등급을 산정하는 등급산정모듈; 및 산정된 회원등급에 대응하는 혜택 정보를 구매자 단말기 또는 판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혜택 정보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회원등급관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해외공동구매 서버를 이용한 해외공동구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외공동구매 서버가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공동구매에 관한 딜(deal) 게시조건 및 딜 승인조건을 포함하는 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여 딜 정보를 단계; 상기 해외공동구매 서버가 상기 딜 게시조건이 성취되기까지 구매자로부터 상기 공동구매 상품에 대한 구매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딜 게시조건이 성취되어 상기 딜의 게시가 종료된 후, 상기 공동구매서버가 상기 딜 승인조건의 성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딜 승인조건이 성취된 경우, 상기 공동구매서버가 상기 공동구매 상품에 대한 공동구매 할인 가격으로 상기 구매자에게 공동구매 거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딜 승인조건은 상기 구매자의 구매요청 개수가 상기 최소판매개수 이상인 것을 정지조건으로 하며, 상기 최소판매개수는 상기 공동구매 상품의 개별 부피와 상기 상품의 운송되는 컨테이너의 총 부피를 비교하여, 상기 컨테이너 총 부피의 일정 부피 비율 이상으로 선적되는 상품의 총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공동구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딜 게시조건은 공동구매 기간이 만료되는 조건 또는 딜에 대한 구매자의 구매요청 개수가 목표판매개수에 도달되는 조건을 해제조건으로 하며, 상기 목표판매개수는 판매자가 제공할 수 있는 최대 상품 개수와 상기 컨테이너 내에 선적될 수 있는 최대 상품 개수 중 작은 개수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딜은 컨테이너별로 생성되어 게시되며, 상기 딜 정보는 상품명, 원산지, 판매처(제조사), 정상가, 공동구매 할인 가격, 컨테이너 출발일자, 컨테이너 도착일자, 및 배송 추적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외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은 해외공동구매시 컨테이너 단위로 공동구매를 진행하여 배송비를 최소화함으로써 구매자가 정상가에서 할인된 공동구매 할인 가격으로 공동구매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해외공동구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동구매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동구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공동구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해외공동구매"란 상품 배송이 선박을 통하여 컨테이너 수송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해외 국가의 상품 구매에 있어서, 공동구매 참여자가 특정 인원 이상인 경우, 국내 시장에서 유통되는 정상가보다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자들에게 상품을 공급해 주는 구매자 중심의 상품 거래 방식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컨테이너(container)"란 화물을 능률적이고 경제적으로 수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자형 용기(容器)로서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는 프레이트 컨테이너(freight container), 미국규격협회(ANSI)에서는 카고 컨테이너(cargo container)라고 통칭된다. 컨테이너 수송은 화물을 문에서 문까지, 형태의 변경 없이 운송할 수 있다는 데 큰 의의가 있으며, 예컨대, 컨테이너 수송은 육상과 해상에 연계수송이 대부분을 이루는 만큼, 그에 맞는 컨테이너 터미널은 항구 앞에 위치를 잡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정상가"란 특정 공동구매 상품에 대하여 국내 시장에서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가격을 의미한다. 또한, "공동구매 할인 가격"이란 특정 공동구매 상품의 정상가에서 일정 금액이 할인된 가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동구매 할인 가격은 공동구매 조건이 충족될 것을 전제로 다수의 공동구매자들에게 판매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해외공동구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해외공동구매 시스템(100)은 구매자 단말기(10), 판매자 단말기(30) 및 공동구매 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10)와 판매자 단말기(3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구매자 단말기(10)와 판매자 단말기(30)는 고정 단말기(예를 들어, 데스크 탑 컴퓨터)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등이 있다.
상기 구매자는 기 설정된 공동구매 기간 내에 '공동구매에 참여'하는 구매자들을 의미한다. 상기 구매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공동구매 서버(20)에 접속하여 공동구매 기간 내에 특정 공동구매 상품에 대한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매자의 구매 요청에 근거하여 공동구매 성립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공동구매 성립이란 해당 공동구매에 대한 공동구매 조건(예컨대, 최소구매인원 초과)이 충족되는 경우, 공동구매에 참여한 구매자들에게 공동구매 할인 가격을 적용해 줄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공동구매 서버(20)는 판매자 단말기(30)로부터 공동구매 상품에 대한 딜 정보를 입력받고, 공동구매에 관한 딜을 게시할 수 있는 특정 웹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동구매 서버(20)는 상기 특정 웹사이트를 통해서 구매자들로부터 공동구매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딜의 대상인 공동구매 상품은 유형 상품이다. 유형 상품이라 함은 일정한 형태를 구비하는 실 상품(real product)을 가리키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의류, 전자기기, 가구, 식료품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공동구매 서버(20)의 구성에 대해 도 2를 참조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동구매 서버(2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동구매 서버(20)는 딜 관리부(210), 수신부(220), 판단부(230), 회원가입부(240), 회원등급관리부(250), 저장부(260), 결제부(270), 및 제어부(28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공동구매 서버(2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상기 공동구매 서버(20)는 구현될 수 있다.
딜 관리부(210)는 공동구매에 대한 딜(deal)을 생성 및 관리한다..
딜 관리부(210)는 해외 국가의 상품 운송에 이용되는 컨테이너 별로 딜을 구분하여 게시한다. 일 실시예로서, 딜 관리부(210)는 제1 컨테이너, 제2 컨테이너, 제3 컨테이너, 제4 컨테이너로 구분하여 딜을 각각 게시할 수 있으며, 제1 컨테이너에는 의류를, 제2 컨테이너에는 식료품을, 제3 컨테이너에는 휴대폰을, 제4 컨테이너에는 의자를 공동구매 상품으로 각각 지정하여 공동구매를 진행할 수 있다.
딜 관리부(210)는 판매자 단말기(30)로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딜을 작성하고 게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판매자 단말기(30)로부터 기 작성된 딜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딜 관리부(210)는 판매자로부터 수신된 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딜 정보는 딜의 대상이 되는 상품 정보, 딜의 게시조건, 딜의 승인 조건을 포함한다.
딜 관리부(210)가 생성하는 상기 상품 정보는 상품명, 원산지, 판매처(제조사), 정상가, 공동구매 할인 가격, 컨테이너 출발일자, 컨테이너 도착일자, 배송 추적 정보 등을 포함한다.
딜 관리부(210)는 판매자로부터 입력받은 딜 게시조건과 딜 승인조건을 생성한다. 상기 딜 게시조건은 공동구매 기간이 만료되는 조건 또는 딜에 대한 구매자의 구매요청 개수가 목표판매개수에 도달되는 조건이 성취되는 것을 해제조건으로 하며, 상기 딜 게시조건이 성취되기까지 딜이 게시된다. 상기 목표판매개수는 판매자가 판매를 원하는 상품개수 또는 판매가능한 최대 상품개수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목표판매개수는 판매자가 제공할 수 있는 최대상품개수와 컨테이너 내에 선적될 수 있는 최대상품개수 중 작은 개수로 정해질 수 있다.
상기 판매자 단말기(30)로부터 입력된 공동구매 기간과 목표판매개수는 수신된 상품 정보와 함께 온라인 서비스에 표시되며, 상기 게시조건이 성취되는 경우에 딜의 게시가 종료된다 예로서, 공동구매기간이 48시간으로 주어지고, 목표판매개수가 100개인 경우, 딜이 게시된 후 48시간이 종료하거나 48시간이 종료하기 전이라도 100개 상품 모두에 대하여 구매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딜의 게시가 종료된다.
상기 딜 승인조건은 공동구매에 대한 딜이 성립되기 위한 조건으로 최소판매개수 이상의 구매요청이 이루어지는 것을 정지조건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딜 관리부는 공동구매 상품의 개별 부피와 컨테이너의 총 부피를 비교하여, 컨테이너 총 부피의 일정 부피 비율 이상으로 선적되는 상품의 총 개수를 최소판매개수로 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딜의 공동구매 상품이 의자인 경우, 컨테이너에 선적될 수 있는 의자의 총 개수가 1,000개인 경우, 목표판매개수는 1,000개로 설정되며, 판매자는 컨테이너 부피의 70% 이상으로 상품이 선적되는 것을 딜 승인조건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700개가 딜이 성립될 수 있는 최소구매개수가 된다.
또한, 판매자로부터 수신된 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딜 정보는 저장부(260)에 저장되어 유지될 수 있다.
수신부(220)는 상기 기 설정된 딜 게시조건이 성취되기 전까지 구매자(100)로부터 상기 딜의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판단부(230)는 딜이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게시될 수 있는 게시조건이 성취된 경우, 즉, 공동구매기간이 종료되거나 구매자의 구매요청 개수가 목표판매개수에 도달한 경우에는 딜의 게시를 종료하고 딜의 성립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딜 승인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판단부(230)는 딜 게시조건을 만족하더라도 최소판매개수 이상의 구매 요청이 있는 경우에만 해당 상품의 공동구매를 승인할 수 있다. 만일, 최소판매개수 미만의 구매 요청이 있는 경우, 딜 승인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므로, 구매자들은 공동구매 할인 가격으로 해당 상품을 구입할 수 없게 된다.
회원가입부(240)는 구매자 단말기(10)로부터 구매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구매자 정보를 저장부(26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회원가입부(240)는 구매자 단말기(10)로부터 상기 구매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구매자 정보를 저장부(260)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구매자의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회원등급관리부(250)는 구매자에 의한 딜 수행의 결과를 평가하여 상기 구매자의 회원등급을 결정하고, 결정된 회원등급에 대응하는 혜택 정보를 구매자 단말기(1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매자는 제공된 혜택 정보에 포함된 혜택을 판매자인 판매업체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회원등급관리부(250)는 구매자의 등급을 결정하기 위한 등급산정모듈과 상기 구매자에게 혜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혜택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급산정모듈은 상기 구매자의 회원등급을 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등급산정모듈은 상기 구매자의 판매업체 이용 횟수, 상기 구매자의 상기 판매업체와의 딜 성공 횟수, 딜을 통해 달성된 구매총액, 및 상기 구매자가 획득한 현재 등급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자의 회원등급을 산정할 수 있다.
상기 등급산정모듈은 상기 구매자의 등급을 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구매자 단말기(10) 또는 판매자 단말기(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등급산정모듈은 상기 구매자의 상기 회원등급을 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부(26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등급산정모듈은 저장부(260)에 저장된 구매자 정보와 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구매자의 회원등급을 산정할 수 있다.
상기 혜택정보제공모듈은 산정된 회원등급에 대응하는 혜택 정보를 구매자 단말기(10) 또는 판매자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혜택정보제공모듈은 구매자 단말기(10)로 상기 구매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 코드, 예컨대 바코드(barcode)를 전송하고, 판매자 단말기(30)로 상기 구매자에게 제공되는 혜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구매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구매자의 이름, 상기 구매자의 아이디, 또는 상기 구매자에게 부여된 식별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기(10)로 수신한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판매자에 제시하고, 상기 판매자는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구매자에게 상기 판매자 단말기(30)로 수신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바코드는 이차원 바코드(two-dimentional barcode) 또는 매트릭스 바코드(matrix barcode)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혜택정보제공모듈은 전자 쿠폰(electronic coupon)을 구매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쿠폰은 상기 구매자에게 제공되는 혜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기(10)로 수신한 상기 전자 쿠폰을 상기 판매자에 제시함으로써, 상기 전자 쿠폰에 포함된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저장부(260)는 회원가입부(240)로부터 수신한 구매자의 구매자 정보, 딜 관리부(210)로부터 수신한 딜 정보 및 딜 조건, 등급산정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구매자의 회원 등급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260)는 상기 구매자 정보, 상기 딜 정보, 상기 딜 조건 및 상기 회원 등급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를 맵핑(mapping)시키기 위한 맵핑 테이블(mapping tabl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판매자는 하나 이상의 딜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저장부(260)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DB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공동구매 서버(20)의 각 구성 요소는 일종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러나,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 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구성 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결제부(270)는 승인된 딜에 관하여 구매자와의 거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제부(270)는 상기 구매자와의 결제를 위해 상기 승인된 딜의 결제 화면을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제부(270)는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구매자의 결제 정보(신용카드 번호, 신용카드의 유효기간, 또는 비밀 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제 정보를 지불게이트웨이(payment gateway)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승인된 딜에 관한 결제를 요청한다. 상기 결제가 승인되면, 결제부(270)는 결제 결과(결제금액, 승인번호 등)를 상기 지불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결제 결과를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실시예에 따라, 신용 카드를 이용한 결제 방식 이외의 계좌 이체 또는 휴대폰 결제 등의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280)는 딜 관리부(210), 수신부(220), 판단부(230), 회원가입부(240), 회원등급관리부(250), 저장부(260), 및 결제부(27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동구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동구매 서버(20)는 기 설정된 딜 게시조건이 성취될 때까지 구매자로부터 상기 딜의 공동구매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3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동구매 서버(20)는 상기 공동구매 상품에 대한 딜 게시조건의 성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0).
상기 구매자는 자신의 단말기(예컨대, 컴퓨터, 스마트 폰 등)를 통해 구매요청이 목표판매개수에 도달하거나 공동구매 기간이 종료할 때까지 상기 공동구매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공동구매 기간은 기 설정된 시간 단위일 수 있다. 예컨대, 공동구매 기간이 24시간으로 설정된 경우, 공동구매 시작 후 24시간이 경과 하면 공동구매 기간이 종료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매자(100)가 구매한 상품 개수가 판매자가 판매를 원하는 상품개수 또는 판매가능한 최대 상품개수 조건인 목표판매개수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공동구매 기간 만료 전이라도 딜의 게시가 종료될 수 있다.
따라서, 기 설정된 공동구매 기간 및 목표판매개수에 도달하는 시간 중 먼저 만료하는 때를 공동구매 기간의 종료 시점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공동구매가 하루 동안 진행되더라도 공동구매 시작 후 1시간 내에 구매자들이 구매한 상품 개수가 목표판매개수인 500개에 도달하게 되면, 공동구매가 종료될 수 있다. 또한, 구매자들이 구매한 상품 개수가 최대 구매 개수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기 설정된 시간인 하루가 경과하면 공동구매가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공동구매 기간이 종료된 경우, 상기 공동구매 서버(20)는 상기 공동구매 상품에 대한 딜 승인조건의 성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딜 승인조건의 충족 여부는 상기 구매자들의 구매 요청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딜의 대상이 되는 공동구매 상품이 TV 인 경우, 딜의 공동구매 기간이 48시간이며, 컨테이너의 기준 부피에 선적될 수 있는 TV 개수가 1,000개라고 가정하면, 딜의 게시시간 조건인 48시간이 종료되는 시간과 구매자들의 구매 요청 개수가 목표판매개수인 1,000개에 도달하는 시점 중 먼저 종료하는 시점에 딜의 게시가 종료된다.
이때, 공동구매 기간이 종료한 후 구매자들의 구매요청이 목표판매개수에 미달되는 경우에 공동구매서버(20)는 딜의 승인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딜 승인조건의 성취여부는 공동구매 상품인 TV의 개별 부피와 컨테이너 총 부피를 비교하여 컨테이너 총 부피의 일정 부피 이상이 되는 TV의 개수를 최소판매개수로 정할 수 있다. 예로서, 구매요청 개수가 컨테이너 부피의 70% 이상인 경우에 딜이 승인된다고 가정하면, 공동구매 기간인 48시간 종료 후 구매요청 개수가 최소판매개수인 700개 이상인 경우에만 딜의 승인조건이 성취될 수 있다.
상기 공동구매 서버(20)는 딜 승인조건이 성취되면 결제, 배송 등의 거래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S3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매자들은 공동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를 딜의 승인조건 충족 여부 결정 전에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구매자들은 공동구매 상품에 대해 결제하면서 구매 요청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만일 딜의 승인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공동구매 서버(20)는 상기 구매자에게 별도의 결제 요청을 하지 않고, 상품의 배송을 시작할 수 있다. 반면에 딜의 승인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상기 공동구매 서버(20)는 상기 구매자에게 결제 금액을 환불해 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동구매 서버(20)는 딜의 승인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상기 구매자에게 결제를 요청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구매자는 구매 요청시 결제를 하지 않으며, 딜의 승인조건 충족 여부에 따라 공동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매자들은 포인트로 상기 공동구매 상품을 결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공동구매 서버(20)는 상기 구매자들의 구매 요청시 공동구매 할인 가격만큼의 포인트를 차감할 수도 있고, 공동구매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한해 상기 구매자들의 포인트를 자동으로 차감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공동구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동구매 서버(20)는 구매자가 구매하거나 조회한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수집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구매성향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350). 구매자의 구매성향을 분석함으로써 구매자의 구매성향에 최적화된 공동구매에 대한 딜을 추천할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구매성향을 분석하는 단계(S350)는 구매자 단말기의 시청 화면을 캡처하여 매칭부로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에 포함된 html 소스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하나의 경로와, html 소스가 배제된 이미지로부터 이미지를 텍스트로 인식하거나 이미지에 포함된 사물을 인식하거나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는 또 하나의 경로를 통해 사용자의 관심을 텍스트 워드로 분석하여 매칭되는 상품을 추천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구매성향을 분석하는 단계(S350)는 상기 구매자가 보고 있는 화면으로부터 HTML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과, 구매자가 보고 있는 이미지를 캡처하여 추출한 화면 데이터를 매칭부로 전송하는 시청화면 데이터 전송단계(S351); 상기 구매자로부터 전송된 시청화면 데이터 중 소스 추출이 가능한 html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시청화면 데이터 인식단계(S352); 소스 추출이 불가한 캡처된 이미지로부터 분석을 위한 텍스트로 추출하기 위한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인식과, 이미지에 포함된 사물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미지를 텍스트로 추출하기 위한 이미지 인식과,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미지를 텍스트로 추출하기 위한 이미지 인식을 포함하는 이미지 인식단계로 텍스트를 추출하여 데이터를 인식하는 이미지 인식단계(S353); 상기 html 데이터와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과정과, 수집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데이터에 의미를 부여하는 분석과정과, 수집되고 분석된 데이터를 분야별로 분류하는 분류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분석단계(S354);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개인별, 매체별, 저장일자별, 시간별, 관심사별, 성별, 연령별...... 등 다양한 분석 데이터로 DB에 저장하는 빅데이터 저장단계(S355); 다양한 메타 정보를 가진 상품들을 DB에 기록하고 있는 상품 DB를 통해 구매자에게 추천할 상품을 도출하는 추천 상품 정보 매칭단계(S356); 및 매칭된 추천 상품 정보를 구매자 측으로 전송하는 상품 추천단계(S35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공동구매에 관한 딜(deal) 게시조건 및 딜 승인조건을 포함하는 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여 딜 정보를 생성하는 딜 관리부;
    구매자로부터 상기 딜에 대한 구매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딜 게시조건 및 상기 딜 승인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딜 관리부로부터 수신한 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딜 관리부는 상기 공동구매 상품의 개별 부피와 상기 상품의 운송되는 컨테이너의 총 부피를 비교하여, 컨테이너 총 부피의 일정 부피 비율 이상으로 선적되는 상품의 총 개수를 최소판매개수로 생성하며,
    상기 딜 승인조건은 상기 구매자의 구매요청 개수가 상기 최소판매개수 이상인 것을 정지조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공동구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딜 게시조건은 공동구매 기간이 만료되는 조건 또는 딜에 대한 구매자의 구매요청 개수가 목표판매개수에 도달되는 조건을 해제조건으로 하며, 상기 목표판매개수는 판매자가 제공할 수 있는 최대 상품 개수와 상기 컨테이너 내에 선적될 수 있는 최대 상품 개수 중 작은 개수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공동구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의 판매업체 이용 횟수, 상기 구매자의 상기 판매업체와의 딜 성공 횟수, 딜을 통해 달성된 구매총액, 및 상기 구매자가 획득한 현재 등급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자의 회원등급을 산정하는 등급산정모듈; 및
    산정된 회원등급에 대응하는 혜택 정보를 구매자 단말기 또는 판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혜택 정보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회원등급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해외공동구매 시스템.
  4. 해외공동구매 서버를 이용한 해외공동구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외공동구매 서버가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공동구매에 관한 딜(deal) 게시조건 및 딜 승인조건을 포함하는 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여 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해외공동구매 서버가 상기 딜 게시조건이 성취되기까지 구매자로부터 상기 공동구매 상품에 대한 구매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딜 게시조건이 성취되어 상기 딜의 게시가 종료된 후, 상기 공동구매서버가 상기 딜 승인조건의 성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딜 승인조건이 성취된 경우, 상기 공동구매서버가 상기 공동구매 상품에 대한 공동구매 할인 가격으로 상기 구매자에게 공동구매 거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딜 승인조건은 상기 구매자의 구매요청 개수가 상기 최소판매개수 이상인 것을 정지조건으로 하며,
    상기 최소판매개수는 상기 공동구매 상품의 개별 부피와 상기 상품의 운송되는 컨테이너의 총 부피를 비교하여, 상기 컨테이너 총 부피의 일정 부피 비율 이상으로 선적되는 상품의 총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공동구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딜 게시조건은 공동구매 기간이 만료되는 조건 또는 딜에 대한 구매자의 구매요청 개수가 목표판매개수에 도달되는 조건을 해제조건으로 하며, 상기 목표판매개수는 판매자가 제공할 수 있는 최대 상품 개수와 상기 컨테이너 내에 선적될 수 있는 최대 상품 개수 중 작은 개수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공동구매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딜은 컨테이너별로 생성되어 게시되며,
    상기 딜 정보는 상품명, 원산지, 판매처(제조사), 정상가, 공동구매 할인 가격, 컨테이너 출발일자, 컨테이너 도착일자, 및 배송 추적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공동구매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구매자가 구매하거나 조회한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수집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구매성향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구매성향을 분석하는 단계는,
    구매자 단말기의 시청 화면을 캡처하여 매칭부로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에 포함된 html 소스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하나의 경로와, html 소스가 배제된 이미지로부터 이미지를 텍스트로 인식하거나 이미지에 포함된 사물을 인식하거나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는 또 하나의 경로를 통해 사용자의 관심을 텍스트 워드로 분석하여 매칭되는 상품을 추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공동구매 방법.
KR1020180122144A 2018-10-12 2018-10-12 해외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1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144A KR20200041714A (ko) 2018-10-12 2018-10-12 해외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144A KR20200041714A (ko) 2018-10-12 2018-10-12 해외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714A true KR20200041714A (ko) 2020-04-22

Family

ID=70473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144A KR20200041714A (ko) 2018-10-12 2018-10-12 해외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17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8878A3 (ko) * 2021-01-21 2022-09-15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품목별 구매자 연합 정보를 이용한 거래 진행 시스템
JP2023152413A (ja) * 2022-04-04 2023-10-17 株式会社遊びまクリエイト 販売管理装置、ユーザ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8878A3 (ko) * 2021-01-21 2022-09-15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품목별 구매자 연합 정보를 이용한 거래 진행 시스템
JP2023152413A (ja) * 2022-04-04 2023-10-17 株式会社遊びまクリエイト 販売管理装置、ユーザ装置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894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network based on uniform code issuance, method therefor, and sensing access device
US9129324B2 (en) Social platform ecommer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102356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ocial discovery relationships
US20120022965A1 (en) Geolocation based bidd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11631096B2 (en) Inventory ingestion, image processing, and market descriptor pricing system
US20210256551A1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flow-through private label card acquisition
US2015028703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necting multiple merchants to an interactive element in a web page
US93904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sales strategy optimization
US11651410B2 (en) Inventory ingestion and pricing, including enhanced new user experience embodiments
EP37579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commerce product returns using orders for returned items
KR102307662B1 (ko)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41714A (ko) 해외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
KR101789922B1 (ko)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개인간 거래 방법
US20230267528A1 (en) Removing purchases from online containers
KR20150126465A (ko) 온라인을 이용한 자동차 견적정보 제공 시스템
JP6872269B2 (ja) インターネットショッピングモール管理方法
KR20130062400A (ko) 실시간 조건 맞춤형 거래 시스템
KR101478795B1 (ko) 글로벌 마케팅을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3007339A (ja) スペースステーションに基づく商品転売の方法、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KR20180117434A (ko) Sns를 이용한 쇼핑 활성화와 안전 거래를 위한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1864538B1 (ko) 키워드 코딩 매매시스템.
Peštek et al. CUSTOMER ATTITUDES TOWARDS E-COMMERCE: CASE OF BOSNIA AND HERZEGOVINA
Safibullaevna et al. Projecting Parametres Trade Electronic Platform
KR20180114789A (ko) 온라인 농수산물 직거래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US20220335485A1 (en) Partner fee recommendation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