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259B1 -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259B1
KR102082259B1 KR1020190105025A KR20190105025A KR102082259B1 KR 102082259 B1 KR102082259 B1 KR 102082259B1 KR 1020190105025 A KR1020190105025 A KR 1020190105025A KR 20190105025 A KR20190105025 A KR 20190105025A KR 102082259 B1 KR102082259 B1 KR 102082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material
delivery
merchant
information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제이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제이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제이컴퍼니
Priority to KR1020190105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맹점에 대한 식자재 배송 관리에 있어서, 각 식자재에 대해 해당 식자재를 주문한 가맹점 식별정보, 식자재 명칭, 식자재 수량 정보가 저장되는 식자재 인식 코드가 표시된 주문 라벨을 부착하여 배송시키고, 배송 완료 시 식자재 인식 코드의 스캔을 통해 각 가맹점에 배송된 식자재 정보가 자동으로 프랜차이즈 본사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배송 완료된 식자재 정보를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각 가맹점의 식자재 배송 누락 여부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하여 배송자 및 가맹점주에게 제공함으로써 누락된 식자재가 대해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되어 가맹점 영업 차질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FOOD MATERIALS DELIVERY MANAGEMENT SYSTEM FOR AFFILIATED STORES}
본 발명은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운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맹점에 대한 식자재 배송 관리에 있어서, 각 식자재에 대해 해당 식자재를 주문한 가맹점 식별정보, 식자재 명칭, 식자재 수량 정보가 저장되는 식자재 인식 코드가 표시된 주문 라벨을 부착하여 배송시키고, 배송 완료 시 식자재 인식 코드의 스캔을 통해 각 가맹점에 배송된 식자재 정보가 자동으로 프랜차이즈 본사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배송 완료된 식자재 정보를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으며, 각 가맹점의 식자재 배송 누락 여부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의 판매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는 고객을 유치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영업 방식을 이용하는데, 이러한 영업 방식 중 하나로 프랜차이즈(Franchise) 영업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프랜차이즈 영업에서는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프랜차이즈 상표를 홍보, 마케팅하고, 가맹점은 프랜차이즈 본사의 상표를 사용하며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개발하고 광고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프랜차이즈에서 제공하는 영업 방식으로 운영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마케팅 능력 및 사업체 운영 경험이 부족한 가맹점주라 하더라도 프랜차이즈 본사로부터 이미 검증된 상품이나 서비스를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제안하는 방식으로 운영하는 것을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사업체를 운영할 수 있어 프랜차이즈 영업은 현재 가장 활발한 영업 방식 중 하나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한편, 위와 같은 프랜차이즈 영업에 있어서, 각 가맹점은 프랜차이즈 본사로부터 대부분의 식자재를 구매하고 있고, 프랜차이즈 본사에서는 각 가맹점에서 주문한 식자재를 각 가맹점에 영업을 시작하기 전에 각 가맹점에 배송하여 주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식자재를 배송하는 과정에서 주문된 식자재가 누락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식자재의 누락 여부는 대부분 가맹점주가 가맹점에 출근하여 배송된 식자재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발견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누락된 식자재를 신속하게 다시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 당일 영업에 차질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식자재 배송 누락을 최소화시킴과 더불어 식자재 배송 누락 발생 시 신속하게 배송자 및 가맹점주에게 식자재 배송 누락 및 미배송 식자재 정보를 전송하고 미배송 식자재에 대한 신속한 재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의 구현이 필요하다.
또한, 프랜차이즈 영업에 있어서 다른 문제점으로 각 가맹점이 수익을 높이기 위해 프랜차이즈에서 제공하는 검증된 식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가격이 저렴한 검증되지 않은 식자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위와 같이, 각 가맹점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검증되지 않은 식자재를 자체적으로 조달하여 사용하는 경우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개발하고 홍보하여왔던 프랜차이즈 상품의 품질이 유지되지 않음으로써 프랜차이즈 상품의 가치가 하락할 수 있으며, 프랜차이즈 상품의 가치가 하락하는 경우 장기적으로 프랜차이즈 본사 뿐만 아니라 가맹점의 수익이 악화되어 프랜차이즈 사업 자체를 위협하는 요소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가맹점에서 자체적으로 식자재를 조달하여 사용하는 것을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현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1994607호(등록일자 2019년 06월 24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맹점에 대한 식자재 배송 관리에 있어서, 각 식자재에 대해 해당 식자재를 주문한 가맹점 식별정보, 식자재 명칭, 식자재 수량 정보가 저장되는 식자재 인식 코드가 표시된 주문 라벨을 부착하여 배송시키고, 배송 완료 시 식자재 인식 코드의 스캔을 통해 각 가맹점에 배송된 식자재 정보가 자동으로 프랜차이즈 본사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배송 완료된 식자재 정보를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으며, 각 가맹점의 식자재 배송 누락 여부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가맹점에 설치된 가맹점 단말과 연결되며, 상기 가맹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각 가맹점에서 요청된 식자재에 대한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주문 정보 수신부와,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각 식자재 명칭과 수량을 확인하고, 각 식자재 명칭과 수량 및 식자재를 주문한 가맹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식자재 정보가 표시되는 주문 라벨을 생성하되, 상기 주문 라벨상 일측 영역에 상기 식자재 정보가 저장된 식자재 인식 코드를 표시시키는 주문 라벨 생성부와, 상기 주문 라벨을 인쇄하는 라벨 프린터와, 상기 주문 라벨이 부착된 각 식자재를 각 가맹점으로 배송하는 배송자의 배송자 단말과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각 식자재가 대응되는 각 가맹점으로 배송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식자재 인식 코드의 스캔을 통해 인식된 상기 식자재 정보를 상기 배송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배송 정보 수신부와, 상기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각 가맹점에서 주문된 주문 품목을 확인하고, 상기 배송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식자재 정보를 기반으로 각 가맹점에 배송 완료된 배송 품목을 확인한 후, 상기 배송 품목과 상기 주문 품목을 비교하여 각 가맹점에 식자재가 정확히 배송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배송 검사부와, 상기 라벨 프린터를 제어하여 상기 주문 라벨을 인쇄시키며, 상기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주문 품목과 배송 품목이 서로 일치하지 않아 배송 오류가 발생한 타겟 가맹점을 확인하고, 상기 타겟 가맹점에 식자재를 배송한 배송자의 타겟 배송자 단말로 상기 타겟 가맹점의 식별정보와 미배송 식자재 정보를 전송하는 배송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각 가맹점에서 주문한 상기 주문 품목을 주문 날짜 별로 저장하는 식자재 주문 정보 DB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송 검사부는, 상기 식자재 주문 정보 DB를 참조하여 각 가맹점에서 주문한 상기 주문 품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송자 단말은, 실행되는 경우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스템에 연결되는 배송 관리앱이 설치되고, 상기 배송 관리앱은, 상기 배송 관리앱의 메뉴 화면에서 상기 식자재 인식 코드 스캔 메뉴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식자재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기능이 활성화되며, 상기 식자재 인식 코드의 스캔을 통해 상기 식자재 인식 코드에 저장된 상기 식자재 정보를 읽어들여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배송 관리앱의 메뉴 화면에서 배송 완료 메시지 전송 메뉴키가 입력되는 경우 배송 완료 정보를 발생시켜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배송 관리부는, 상기 배송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각 가맹점에 식자재 배송이 완료된 것을 인식하고, 상기 배송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식자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송 완료된 배송 품목을 각 가맹점의 상기 가맹점 단말 또는 각 가맹점주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송 관리부는, 상기 배송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타겟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 및 상기 타겟 가맹점의 가맹점주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배송 오류 발생 및 상기 미배송 식자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송 관리부는, 각 배송 차량이 배송을 수행해야 하는 각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배송 오류가 발생한 시점에 각 가맹점으로 식자재 배송을 위해 이동 중인 복수의 배송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각 배송 차량을 운행 중인 배송자의 배송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배송 완료 정보를 기반으로 각 배송 차량이 배송을 수행하여야 하는 잔여 가맹점의 수를 확인하고, 상기 잔여 가맹점을 경유하여 본사의 식자재 물류창고로 복귀하는 경로의 총 이동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잔여 가맹점 수와 상기 총 이동 거리를 기반으로 각 배송 차량이 상기 식자재 물류창고에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복귀 예상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복귀 예상 시간이 가장 낮게 산출된 배송 차량에 대응되는 배송자 단말로 상기 미배송 식자재와 상기 타겟 가맹점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미배송 식자재의 재배송을 명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송 관리부는, 상기 복귀 예상 시간을 산출함에 있어서, 각 가맹점에서 식자재 배송에 소요되는 평균 배송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배송 시간에 상기 잔여 가맹점수를 곱하여 상기 잔여 가맹점 전체에서 배송이 완료되는데 소요되는 제1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총 이동 거리를 각 배송 차량이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제2 시간을 산출한 후, 상기 제1 시간과 제2 시간을 합산하여 상기 복귀 예상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송 관리부는, 상기 배송 차량에 설치되는 GPS 발생 장치 또는 상기 배송자 단말에 설치되는 GPS 발생장치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GPS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송 오류가 발생한 시점에 상기 배송 차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문 정보 수신부는,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식자재에 대한 구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시스템의 홈페이지 화면상 상기 식자재 명칭과 수량을 입력할 수 있는 주문 정보 입력창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주문 정보 입력창을 통해 상기 식자재 명칭과 수량을 입력받아 상기 주문 정보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자재 인식 코드는, 상기 주문 라벨상 서로 다른 영역에 적어도 2개 이상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자재 인식 코드는, 바코드 또는 큐알 코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자재는, 돈가스 소스와 돈육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각 가맹점에서 주문되는 식자재 중 상기 돈가스 소스와 상기 돈육의 주문량을 검사하여 외부 식자재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식자재 도용 검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식자재 도용 검사부는, 상기 돈육의 단위 중량당 대응되는 상기 돈가스 소스의 기준 중량을 기반으로 상기 돈육의 주문량에 대응되는 상기 돈가스 소스의 필요량을 산출하고, 상기 돈가스 소스의 주문량과 상기 돈가스 소스의 필요량간 중량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가맹점에서 상기 돈육에 대한 외부 식자재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가맹점 단말은, 상기 돈가스 소스의 잔여량을 측정하는 전자저울을 포함하고, 상기 각 가맹점 단말은, 상기 주문 정보를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 시 상기 주문 정보가 전송되는 시점에 상기 전자저울에서 측정된 상기 돈가스 소스의 잔여량을 상기 주문 정보와 함께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식자재 도용 검사부는, 상기 돈가스 소스의 잔여량을 고려하여 상기 돈가스 소스의 필요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배송 오류가 발생한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송 오류가 기설정된 기준 회수보다 많은 적어도 하나의 주의 대상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배송 오류 주의 대상 리스트로 관리하며, 상기 주문 라벨 생성부와 연동하여 상기 배송 오류 주의 대상 리스트에 포함된 가맹점에서 주문한 식자재에 대해서는 상기 주문 라벨 생성시 특정 경고 표식이 인쇄되도록 제어하는 배송 오류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맹점에 대한 식자재 배송 관리에 있어서, 각 식자재에 대해 해당 식자재를 주문한 가맹점 식별정보, 식자재 명칭, 식자재 수량 정보가 저장되는 식자재 인식 코드가 표시된 주문 라벨을 부착하여 배송시키고, 배송 완료 시 식자재 인식 코드의 스캔을 통해 각 가맹점에 배송된 식자재 정보가 자동으로 프랜차이즈 본사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배송 완료된 식자재 정보를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각 가맹점의 식자재 배송 누락 여부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하여 배송자 및 가맹점주에게 제공함으로써 누락된 식자재가 대해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되어 가맹점 영업 차질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문 정보 입력창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단말에 연결되는 전자저울 예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문 라벨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에서의 동작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과 네트워크상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맹점 단말(100)은 유무선 통신망에 구축된 프랜차이즈 본사의 식자재 구입 홈페이지 등에 접속하여 가맹점주에 의해 입력되는 식자재의 구매 요청에 대응되는 식자재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각 가맹점에 설치되는 통신 단말일 수 있다.
즉, 가맹점 단말(100)은 가맹점주에 의해 입력된 식자재 구맹 요청을 수신하여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으로 가맹점주에 의해 입력된 식자재의 구매 요청을 전송한다.
이때, 위와 같은 식자재 구맹 요청의 전송에 있어서, 예를 들어, 가맹점 단말(100)이 가맹점주의 조작에 의해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에 접속한 경우, 가맹점 단말상에는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상에 구축된 식자재 구입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식자재 구입을 위한 메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메뉴 화면 중 가맹점 단말(100)에 의해 식자재 구입을 위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식자재 구매 요청을 위한 주문 정보 입력창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주문 정보 입력창이 표시되는 경우, 가맹점주는 가맹점 단말(100)에 표시되는 주문 정보 입력창 화면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식자재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게 되고, 이러한 식자재에 대한 정보가 주문 정보로서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홈페이지 화면에서 주문 정보 입력을 위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주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주문 정보 입력창이 표시되도록 하고, 주문 정보 입력창을 통해 가맹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주문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위와 같은 주문 정보는 예를 들어 돈육, 돈가스 소스, 감자, 당근 등의 프랜차이즈 식당 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식자재 명칭, 구매 수량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맹점 단말(10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배송 오류 발생 시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에서 전송되는 미배송된 식자재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시킴으로써, 가맹점주가 자신 주문한 식자재중 배송되지 못한 미배송 식자재 정보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미배송 식자재에 대한 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맹점 단말(100)은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 가맹점에서 구매한 돈가스 소스(306)의 잔여량을 측정하는 돈가스 소스량 측정을 위한 전자저울(3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예를 들어 프랜차이즈 사업의 종류가 돈가스 전문점인 경우, 각 가맹점주는 식자재 중 핵심 재료일 수 있는 돈가스 소스의 잔여량이 본사에서 관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맹점 단말(100)과 연결되는 전자저울(300)을 구비하는 것이 필수 조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맹점주는 프랜차이즈 본사로부터 구매한 돈가스 소스를 항상 전자저울(300)과 일체형 등으로 형성되는 소스 보관통(302)에 보관하는 것이 가정되며, 이러한 경우 가맹점 단말(100)은 주문 정보를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으로 전송 시 해당 주문 정보가 전송되는 시점에 전자저울(300)에서 측정된 돈가스 소스(306)의 잔여량을 주문 정보와 함께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에서는 각 가맹점에 남아 있는 핵심 식자재인 돈가스 소스(306)의 잔여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돈가스 소스(306)의 잔여량을 기반으로 각 가맹점에서 운영되는 돈가스 소스의 총량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며, 돈가스 소스의 총량을 기반으로 각 가맹점에서 주문되는 돈육의 주문량이 정상적인지 비정상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즉,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돈육의 단위 중량당 대응되는 돈가스 소스의 기준 중량을 기준으로, 각 가맹점에서 요청되는 돈육의 주문량에 대응되는 돈가스 소스의 필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각 가맹점에서 주문한 돈육의 주문량과 돈가스 소스 잔여량을 조합하여 돈가스 소스의 필요량를 산출하고, 각 가맹점에서 실제 주문한 돈가스 소스의 주문량과 위에서 산출된 돈가스 소스의 필요량간 중량의 차이값을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후, 돈가스 소스의 필요량과 주문량간 중량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가맹점에서 돈육을 프랜차이즈 본사가 아닌 외부 업체로부터 구매하고 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소스 보관통(302)은 냉장 상태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냉장 기능이 구현된 보관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가맹점 단말(100)은 예를 들어, 웹브라우저 등을 탑재한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등을 탑재하는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통신장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송자 단말(130)은 각 가맹점에서 주문한 식자재를 배송 차량(140)에 적재하여 각 가맹점으로 배송하는 배송자에 의해 소지되는 통신 단말일 수 있으며, 이러한 배송자 단말(13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본 발명의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배송자 단말(1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식자재에 부착되는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주문 라벨(124)상 식자재 인식 코드(400)를 스캔하여 식자재 인식 코드에 포함된 각 식자재 명칭과 수량 및 식자재를 주문한 가맹점 식별정보 등의 식자재 정보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식자재 정보를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배송 관리앱이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배송 관리앱은 배송자 등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과 연결되며, 식자재 인식 코드의 스캔 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의 제공을 위한 메뉴 화면을 표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 관리앱은 배송 관리앱의 메뉴 화면에서 식자재 인식 코드 스캔 메뉴키가 입력되는 경우, 식자재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기능이 활성화된다. 이어 식자재 인식 코드의 스캔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배송자 단말(130)이 식자재 인식 코드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식자재 인식 코드를 스캔하여 식자재 인식 코드에 저장된 식자재 정보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식자재 정보를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배송 관리앱의 메뉴 화면에서 배송 완료 메시지 전송 메뉴키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가맹점에 대한 식자재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배송 완료 정보를 발생시켜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배송자는 각 가맹점에 주문 라벨(124)이 부착된 식자재를 배송하고 배송이 완료되는 경우, 소지한 배송자 단말(130)의 배송 관리앱을 실행시킨 후 식자재 인식 코드 스캔 메뉴키를 선택하여 배송한 모든 식자재의 식자재 인식 코드(124)를 스캔한다. 이에 따라, 식자재 인식 코드(124)에 저장된 식자재 정보가 배송 관리앱을 통해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으로 전송되어 배송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배송 식자재 목록을 작성하지 않더라도 각 가맹점에 배송된 식자재 명칭과 수량 등의 식자재 정보가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으로 전송되어 각 가맹점에 배송된 식자재 정보로 자동으로 저장된다.
또한, 위와 같이 모든 식자재 인식 코드(124)를 스캔한 경우, 배송자는 배송 관리앱상 배송 완료 메시지 전송 메뉴키를 선택하여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가맹점에 대한 식자재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정보가 배송 관리앱을 통해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에서는 각 가맹점에 대한 식자재 배송의 완료 여부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배송자 단말(130)은 웹브라우저 등을 탑재한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등을 탑재하는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통신장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프랜차이즈 본사 등에 설치되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각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100) 및 배송자 단말(130)과 통신을 수행하고 각 가맹점의 식자재 주문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각 가맹점에 설치된 가맹점 단말(100)로부터 식자재 구매 요청을 수신하고, 구매 요청된 식자재가 배송 차량(140)을 통해 각 가맹점으로 배송되도록 제어하며, 배송 완료 후 배송자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식자재 정보로부터 분석된 배송 품목과 각 가맹점에서 주문한 주문 품목을 비교하여 누락된 식자재가 있는 경우 누락된 식자재에 대한 신속한 재배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가맹점에 설치된 가맹점 단말(100)과 연결되며, 가맹점 단말(100)을 통해 입력되는 각 가맹점에서 요청된 식자재에 대한 주문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주문 정보를 수신함에 있어서,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가맹점 단말(100)로부터 식자재에 대한 구매 요청이 있는 경우,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의 홈페이지 화면상 식자재 명칭과 수량을 입력할 수 있는 도 2에서와 같은 주문 정보 입력창이 표시되도록 하고, 주문 정보 입력창을 통해 식자재 명칭과 수량을 입력받아 주문 정보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주문 정보에 포함된 각 식자재 명칭과 수량을 확인하고, 각 식자재 명칭과 수량 및 식자재를 주문한 가맹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식자재 정보가 표시되는 주문 라벨(124)을 생성하며, 생성된 주문 라벨(124)을 라벨 프린터(122)를 통해 출력시킨다. 위와 같은 주문 라벨(124)은 각 식자재에 부착되어 배송자가 식자재가 배송될 가맹점을 보다 쉽게 인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은 주문 라벨(124)의 생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주문 라벨(124)상 일측 영역에 식자재 정보가 저장된 식자재 인식 코드(400)를 표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식자재 인식 코드(400)는 추후 배송자가 식자재를 각 가맹점에 배송하는 경우 배송 완료된 식자재 정보를 보다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자재 인식 코드가 삽입된 주문 라벨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문 라벨(124) 상에는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식자재를 주문한 가맹점의 식별정보가 예를 들어 “강남점” 등과 같이 인쇄될 수 있고, 식자재 명칭은 예를 들어 “돈육” 등과 같이 인쇄될 수 있으며, 수량 정보는 예를 들어 “10kg” 등과 같이 인쇄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주문 라벨(124)은 각 가맹점별로 서로 다른 색깔이나 문양이 인쇄된 인쇄지 상에 인쇄되도록 구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주문 라벨(124)이 각 식자재에 부착되는 경우, 배송자는 식자재를 주문한 가맹점과 각 식자재가 어떤 것인지를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어 식자재를 식별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주문 라벨(124)에는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주문 라벨(124)의 일측 영역에 각 식자재 명칭과 수량 및 식자재를 주문한 가맹점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식자재 정보가 저장된 식자재 인식 코드(40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식자재 인식 코드(400)는 배송자가 식자재를 해당 가맹점에 배송한 후, 배송자 단말(130)을 통해 식자재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방식 등으로 자신이 배송한 식자재 정보를 쉽게 입력하여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종래에는 배송자가 각 가맹점에 식자재를 배송한 후 미리 인쇄된 배송 품목 서류상에 실제로 배송한 식자재 품목을 수기로 체크하여 각 가맹점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실제로 해당 식자재를 배송하였음을 증명하여 왔다.
그러나, 위와 같이 배송자가 수기로 배송 품목을 체크하는 경우 배송 품목을 잘못 체크하거나 배송 품목을 착각하여 다른 배송 품목에 체크하는 등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가맹점에서 주문한 주문 품목과 실제 배송된 배송 품목이 서로 일치하지 않아 배송 오류가 발생한 경우 각 가맹점주가 매장에 출근하여 배송 품목을 확인하기 전까지 배송 오류가 발견되지 않아 미배송 식자재에 대한 재배송이 상당히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와 같이 위와 같은 배송자 단말(130)을 이용한 스캔 등을 통해 정보가 추출이 가능한 식자재 인식 코드(400)가 삽입된 주문 라벨(124)을 이용하는 경우, 각 가맹점에 식자재 배송을 완료한 배송자가 단순히 배송자 단말(130)로 식자재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동작을 통해 식자재 인식 코드에 저장된 식자재 정보가 자동으로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으로 전송될 수 있게 되어 배송자가 일일이 수기로 작성해야 했던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배송자의 수기 작업에 따른 오류가 방지될 수 있어 배송 완료된 식자재 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각 가맹점에서 주문한 주문 품목과 배송 완료된 배송 품목을 기반으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배송 오류의 발생을 인지할 수 있고, 미배송 식자재의 재배송 스케줄링을 실행할 수 있는 등 배송 오류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러한 식자재 인식 코드(400)는 바코드(bar code) 또는 큐알 코드(QR cod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식자재 인식 코드(400)는 배송 과정 등에서 손상되어 인식이 불가하게 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주문 라벨(124)상 서로 다른 영역에 적어도 2개 이상 인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4에서는 위와 같은 식자재 인식 코드(400)가 주문 라벨(124)상에 각 모서리 부근에 4개가 인쇄되도록 하는 것을 예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주문 라벨(124)이 부착된 각 식자재를 각 가맹점으로 배송하는 배송자가 소지한 배송자 단말(130)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각 식자재가 대응되는 각 가맹점으로 배송이 완료되는 경우, 식자재 인식 코드(400)의 스캔을 통해 인식된 식자재 정보를 배송자 단말(130)로부터 수신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문 라벨(124)이 부착된 식자재를 각 가맹점에 배송한 배송자는 주문 라벨(124)상 식자재 인식 코드(400)의 스캔을 통한 정보 추출이 가능한 배송 관리앱이 탑재된 배송자 단말(130)을 통해 식자재 인식 코드(400)를 스캔한다. 이에 따라 식자재 인식 코드(400)에 저장된 각 식자재 명칭과 수량 및 식자재를 주문한 가맹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식자재 정보가 배송자 단말(130)을 통해 인식된 후 유무선 통신망상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으로 전송되는 것이다.
또한,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배송자 단말(130)로부터 전송된 식자재 정보를 기반으로 각 가맹점에 배송 완료된 배송 품목을 확인하고,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각 가맹점에서 주문된 주문 품목을 확인한 후, 배송 품목과 주문 품목을 비교하여 각 가맹점에 식자재가 정확히 배송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어어,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위와 같은 검사결과를 기반으로 주문 품목과 배송 품목이 서로 일치하지 않아 배송 오류가 발생한 타겟 가맹점을 확인하고, 타겟 가맹점에 식자재를 배송한 배송자의 배송자 단말(130)로 타겟 가맹점의 식별정보와 미배송 식자재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위와 같은 배송 오류의 발생 및 미배송 식자재 정보에 대해서는 타겟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100) 및 타겟 가명점의 가맹점주의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102)로도 전송하여 가맹점에서도 미배송 식자재 정보를 확인하여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미배송 식자재에 대해서는 배송 스케줄링을 실행하여 다시 배송 스케줄이 조정되도록 함으로서, 배송 오류가 발생한 타겟 가맹점으로 신속히 미배송 식자재가 재배송되도록 한다.
이때, 미배송 식자재의 재배송을 위한 배송 스케줄 조정에 있어서, 예를 들어,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배송 오류가 발생한 시점에 각 가맹점으로 식자재 배송을 위해 이동 중인 복수의 배송 차량(140)의 위치를 확인하고, 각 배송 차량(140)을 운행 중인 배송자의 배송자 단말(130)로부터 전송된 배송 완료 정보를 기반으로 각 배송 차량이 배송을 수행하여야 하는 잔여 가맹점의 수를 확인한다.
이어,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잔여 가맹점을 경유하여 본사의 식자재 물류창고(150)로 복귀하는 경로의 총 이동 거리를 산출하며, 잔여 가맹점 수와 총 이동 거리를 기반으로 각 배송 차량이 식자재 물류창고(150)에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복귀 예상 시간을 산출하고, 복귀 예상 시간이 가장 낮게 산출된 배송 차량으로 미배송 식자재와 타겟 가맹점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미배송 식자재의 재배송을 명령할 수 있다.
이때,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복귀 예상 시간을 산출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각 가맹점에서 식자재 배송에 소요되는 평균 배송 시간을 산출하고, 평균 배송 시간에 잔여 가맹점수를 곱하여 잔여 가맹점 전체에서 배송이 완료되는데 소요되는 제1 시간을 산출하고, 총 이동 거리를 각 배송 차량이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제2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제1 시간과 제2 시간을 합산하여 각 배송 차량의 복귀 예상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배송 차량(130)의 위치를 확인함에 있어서, 배송 차량(130)에 설치되는 GPS 발생 장치 또는 각 배송 차량을 운행 중인 배송자가 소지한 배송자 단말(130)에 설치되는 GPS 발생장치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GPS 정보를 기반으로 배송 차량(13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상기 배송 오류가 발생한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송 오류가 기설정된 기준 회수보다 많은 적어도 하나의 주의 대상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배송 오류 주의 대상 리스트로 관리하며, 배송 오류 주의 대상 리스트에 포함된 가맹점에서 주문한 식자재에 대해서는 주문 라벨 생성시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주문 라벨(124)상 특정 경고 표식(410)이 인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송자는 주문 라벨(400)상 특정 경고 표식(410)이 존재하는 식자재에 대해서는 보다 주의를 기울여 배송하게 됨으로써 동일한 가맹점에서 배송 오류가 반복해서 발생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랜차이즈 사업이 예를 들어 돈가스를 주메뉴로 하는 프랜차이즈 사업인 경우,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가맹점으로 제공하는 주요한 식자재로 돈육과 돈가스 소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돈육과 돈가스 소스가 주요한 식자재인 경우 프랜차이즈 본사에서는 가맹점에서 프랜차이즈 본사가 아닌 외부 식자재 공급처로부터 동일한 식자재를 공급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돈가스 소스와 돈육간 적정한 중량 비율값을 설정하고, 이러한 중량 비율값을 기반으로 돈육의 주문량에 기반한 적정한 돈가스 소스의 주문량을 산출하여 저장하여 놓을 수 있다. 이는 가맹점이 외부 업체로부터 구매가 어려울 수 있는 돈가스 소스만을 본사로부터 구매하고, 돈육은 외부 식자재 공급처로부터 공급받는 등의 비정상적 가맹점 운영을 방지시키기 위함이다.
즉, 예를 들어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위와 같은 돈육의 단위 중량당 대응되는 돈가스 소스의 기준 중량을 나타내는 중량 비율값을 기반으로, 가맹점에서 주문된 돈육의 주문량에 대응되는 돈가스 소스의 필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돈가스 소스의 주문량과 돈가스 소스의 필요량간 중량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가맹점에서 돈육에 대한 외부 식자재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또한 각 가맹점에는 가맹점 단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돈가스 소스량 측정을 위한 전자저울(300)이 구비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즉, 각 가맹점 단말(100)은 주문 정보를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으로 전송 시 주문 정보가 전송되는 시점에 전자저울(300)에서 측정된 돈가스 소스(306)의 잔여량을 주문 정보와 함께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돈육의 주문량에 대응되는 돈가스 소스의 필요량 산출 시, 가맹점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각 가맹점에 남아 있는 돈가스 소스 잔여랑을 고려하여 돈가스 소스의 필요량을 산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의 각 구성요소에서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주문 정보 수신부(5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가맹점에 설치된 가맹점 단말(100)과 연결되며, 가맹점 단말(100)을 통해 입력되는 각 가맹점에서 요청된 식자재에 대한 주문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주문 정보를 수신함에 있어서, 주문 정보 수신부(500)는 가맹점 단말(100)로부터 식자재에 대한 구매 요청이 있는 경우, 도 2에서와 같은 주문 정보 입력창이 표시되도록 하고, 주문 정보 입력창을 통해 가맹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식자재 명칭과 수량을 입력받아 주문 정보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주문 정보 수신부(500)는 각 가맹점의 식별정보와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에 접속 가능하도록 각 가맹점에 부여한 아이디(ID), 패스워드(password) 등의 정보를 가맹점 정보 DB(502)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각 가맹점 단말(130)이 접속하는 경우, 가맹점 정보 DB(502)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접속한 각 가맹점 단말(130)이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에 등록된 정당한 가맹점 단말(130)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문 정보 수신부(500)는 각 가맹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주문 정보를 식자재 주문 정보 DB(504)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식자재 주문 정보 DB(504)에는 각 가맹점에서 주문한 주문 품목이 날짜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주문 라벨 생성부(510)는 주문 정보 수신부(500)로부터 주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주문 정보에 포함된 각 식자재 명칭과 수량을 확인하고, 각 식자재 명칭과 수량 및 식자재를 주문한 가맹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식자재 정보가 표시되는 주문 라벨(124)을 생성하며, 생성된 주문 라벨(124)은 배송 관리부(540)의 제어에 따라 라벨 프린터(12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주문 라벨(124)은 식자재 물류창고(150)내 작업자에 의해 각 식자재를 포장한 박스 등에 부착되어 배송자가 식자재의 품목과 배송될 가맹점을 보다 쉽게 인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은 주문 라벨(124)의 생성에 있어서, 주문 라벨 생성부(510)는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주문 라벨(124)상 일측 영역에 식자재 정보가 저장된 식자재 인식 코드(400)를 표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식자재 인식 코드(400)는 추후 배송자가 식자재를 각 가맹점에 배송하는 경우 배송 완료된 식자재 정보를 보다 쉽게 입력하도록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배송 정보 수신부(520)는 주문 라벨(124)이 부착된 각 식자재를 각 가맹점으로 배송하는 배송자가 소지한 배송자 단말(130)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각 식자재가 대응되는 각 가맹점으로 배송이 완료된 경우, 식자재 인식 코드(400)의 스캔(scan)을 통해 인식된 식자재 정보를 배송자 단말(130)로부터 수신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문 라벨(124)이 부착된 식자재를 각 가맹점에 배송한 배송자는 주문 라벨(124)상 식자재 인식 코드(400)에 대해 스캔을 통한 정보 추출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배송 관리앱이 탑재된 배송자 단말(130)을 이용하여 식자재 인식 코드(400)를 스캔한다. 이에 따라 식자재 인식 코드(400)에 저장된 각 식자재 명칭과 수량 및 식자재를 주문한 가맹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식자재 정보가 배송자 단말(130)을 통해 인식된 후 유무선 통신망상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으로 전송되는 것이다.
또한, 배송 정보 수신부(520)는 위와 같이 배송자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각 가맹점에 배송된 식자재 정보 등을 식자재 배송 정보 DB(522)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배송 검사부(530)는 배송자 단말(130)로부터 전송된 식자재 정보를 기반으로 각 가맹점에 배송 완료된 배송 품목을 확인하고,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각 가맹점에서 주문된 주문 품목을 확인한 후, 배송 품목과 주문 품목을 비교하여 각 가맹점에 식자재가 정확히 배송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배송 검사부(530)는 예를 들어 식자재 주문 정보 DB(522)를 참조하여 각 가맹점에서 주문한 주문 품목을 확인할 수 있다.
배송 관리부(540)는 배송자 단말(130)로부터 배송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각 가맹점에 식자재 배송이 완료된 것을 인식하고, 배송자 단말(130)로부터 전송된 식자재 정보를 기반으로 배송 완료된 배송 품목을 확인한 후, 배송 완료된 배송 품목을 각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100) 또는 각 가맹점주의 사용자 단말(102)로 전송하여 준다.
또한, 배송 관리부(540)는 배송 검사부(530)로부터 산출된 검사결과를 기반으로 주문 품목과 배송 품목이 서로 일치하지 않아 배송 오류가 발생한 타겟 가맹점을 확인하고, 타겟 가맹점에 식자재를 배송한 배송자의 배송자 단말(130)로 타겟 가맹점의 식별정보와 배송 오류 발생으로 인해 배송되지 못한 미배송 식자재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배송 관리부(540)는 위와 같은 배송 오류의 발생 및 미배송 식자재 정보에 대해서는 타겟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100) 및 타겟 가명점의 가맹점주의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102)로도 전송하여 가맹점에서도 미배송 식자재 정보를 확인하여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송 관리부(540)는 미배송 식자재에 대해서는 배송 스케줄링을 실행하여 다시 배송 스케줄이 설정되도록 함으로서, 배송 오류가 발생한 타겟 가맹점으로 신속히 미배송 식자재가 재배송되도록 한다.
이때, 미배송 식자재의 재배송을 위한 배송 스케줄 설정에 있어서, 예를 들어, 배송 관리부(540)는 배송 오류가 발생한 시점에 각 가맹점으로 식자재 배송을 위해 이동 중인 복수의 배송 차량(140)의 위치를 확인하고, 각 배송 차량(140)을 운행 중인 배송자의 배송자 단말(130)로부터 전송된 배송 완료 정보를 기반으로 각 배송 차량(140)이 배송을 수행하여야 하는 잔여 가맹점의 수를 확인한다.
이어, 배송 관리부(540)는 잔여 가맹점을 경유하여 본사의 식자재 물류창고(150)로 복귀하는 경로의 총 이동 거리를 산출하며, 잔여 가맹점 수와 총 이동 거리를 기반으로 각 배송 차량(140)이 식자재 물류창고(150)에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복귀 예상 시간을 산출하고, 복귀 예상 시간이 가장 낮게 산출된 배송 차량의 배송자 단말(130)로 미배송 식자재와 타겟 가맹점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미배송 식자재의 재배송을 명령할 수 있다.
이때, 배송 관리부(540)는 각 배송 차량의 복귀 예상 시간을 산출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각 가맹점에서 식자재 배송에 소요되는 평균 배송 시간을 산출하고, 평균 배송 시간에 잔여 가맹점수를 곱하여 잔여 가맹점 전체에서 배송이 완료되는데 소요되는 제1 시간을 산출하며, 총 이동 거리를 각 배송 차량(140)이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제2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 배송 관리부(540)는 제1 시간과 제2 시간을 합산하여 각 배송 차량의 복귀 예상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배송 관리부(540)는 배송 차량(130)의 위치를 확인함에 있어서, 배송 차량(140)에 설치되는 GPS 발생 장치 또는 각 배송 차량을 운행 중인 배송자가 소지한 배송자 단말(130)에 설치되는 GPS 발생장치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GPS 정보를 기반으로 배송 차량(14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배송 관리부(540)는 배송 오류가 발생한 타겟 가맹점에 대한 정보와 미배송 식자재 정보 등을 배송 오류 정보 DB(542)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배송 오류 방지부(560)는 배송 오류 정보 DB(542)에 저장된 배송 오류가 발생한 가맹점 정보 등과 같은 배송 오류가 발생한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배송 오류가 기설정된 기준 회수보다 많은 적어도 하나의 주의 대상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배송 오류 주의 대상 리스트로 관리하며, 배송 오류 주의 대상 리스트에 포함된 가맹점에서 주문한 식자재에 대해서는 주문 라벨 생성시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주문 라벨(124)상 특정 경고 표식(410)이 인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송자는 주문 라벨(400)상 특정 경고 표식(410)이 존재하는 식자재에 대해서는 보다 주의를 기울여 배송하게 됨으로써 동일한 가맹점에서 배송 오류가 반복해서 발생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식자재 도용 검사부(550)는 각 가맹점에서 주문되는 식자재 중 상기 돈가스 소스와 상기 돈육의 주문량을 검사하여 외부 식자재 사용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외부 식자재 사용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식자재 도용 검사부(550)는 예를 들어, 돈육의 단위 중량당 대응되는 돈가스 소스의 기준 중량을 기반으로, 돈육의 주문량에 대응되는 돈가스 소스의 필요량을 산출하다. 이어 식자재 도용 검사부(550)는 돈가스 소스의 주문량과 돈가스 소스의 필요량간 중량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가맹점에서 돈육에 대한 외부 식자재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식자재 도용 검사부(550)는 식자재 주문 시 각 가맹점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돈가스 소스 잔여량에 대한 정보 등을 각 가맹점의 식별정보와 연동시켜 식자재 도용 정보 DB(552)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에서의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가맹점 단말(100)로부터 식자재에 대한 구매 요청이 있는 경우(S700),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의 홈페이지 화면상 식자재 명칭과 수량을 입력할 수 있는 도 2에서와 같은 주문 정보 입력창이 표시되도록 하고(S702), 주문 정보 입력창을 통해 식자재 명칭과 수량을 입력받아 주문 정보로 수신할 수 있다(S704).
이때, 위와 같은 주문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 예를 들어 주문 정보 입력창이 표시되는 경우, 가맹점주는 가맹점 단말(100)에 표시되는 주문 정보 입력창 화면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식자재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게 되고, 이러한 식자재에 대한 정보가 주문 정보로서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어,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주문 정보에 포함된 각 식자재 명칭과 수량을 확인하고, 각 식자재 명칭과 수량 및 식자재를 주문한 가맹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식자재 정보가 표시되는 주문 라벨(124)을 생성하며, 생성된 주문 라벨(124)을 라벨 프린터(122)를 통해 출력시킨다(S706). 위와 같은 주문 라벨(124)은 각 식자재에 부착되어 배송자가 식자재가 배송될 가맹점을 보다 쉽게 인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은 주문 라벨(124)의 생성에 있어서,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주문 라벨(124)상 일측 영역에 식자재 정보가 저장된 식자재 인식 코드(400)를 표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식자재 인식 코드(400)는 추후 배송자가 식자재를 각 가맹점에 배송하는 경우 배송 완료된 식자재 정보를 보다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위와 같은 주문 라벨은 예를 들어 식자재 물류창고(150)내 식자재 포장 등을 수행하는 작업자에 의해 각 식자재를 포장한 박스 등에 부착된 후, 배송 차량(140)에 적재되어 각 가맹점으로 배송이 이루어지게 된다(S708).
또한, 배송 차량(140)을 운행하는 배송자는 각 가맹점에서 주문된 식자재를 각 가맹점에 배송 완료한 후 배송 완료된 식자재에 부착된 주문 라벨상 식자재 인식 코드를 배송자 단말(130)을 통해 스캔하여 배송 완료된 식자재 정보를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각 가맹점으로 배송이 완료된 식자재에 대해, 식자재 인식 코드(400)의 스캔을 통해 인식된 식자재 정보를 배송자 단말(130)로부터 수신한다(S610).
이어,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배송자 단말(130)로부터 전송된 식자재 정보를 기반으로 각 가맹점에 배송 완료된 배송 품목을 확인하고,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각 가맹점에서 주문된 주문 품목을 확인한 후, 배송 품목과 주문 품목을 비교하여 각 가맹점에 식자재가 정확히 배송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712).
어어,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위와 같은 검사결과를 기반으로 주문 품목과 배송 품목이 서로 일치하지 않아 배송 오류가 발생한 타겟 가맹점을 확인한다(S714).
그리고,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타겟 가맹점에 식자재를 배송한 배송자의 배송자 단말(130)로 타겟 가맹점의 식별정보와 미배송 식자재 정보를 전송하고, 타겟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100)로도 배송 오류 발생 및 미배송 식자재 정보를 전송한다(S716).
이어,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미배송 식자재에 대해서는 배송 스케줄링을 실행하여 다시 배송 스케줄이 조정되도록 함으로서, 배송 오류가 발생한 타겟 가맹점으로 신속히 미배송 식자재가 재배송되도록 한다(S718).
이때, 미배송 식자재의 재배송을 위한 배송 스케줄 조정에 있어서, 예를 들어,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배송 오류가 발생한 시점에 각 가맹점으로 식자재 배송을 위해 이동 중인 복수의 배송 차량(140)의 위치를 확인하고, 각 배송 차량(140)을 운행 중인 배송자의 배송자 단말(130)로부터 전송된 배송 완료 정보를 기반으로 각 배송 차량이 배송을 수행하여야 하는 잔여 가맹점의 수를 확인한다.
이어,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120)은 잔여 가맹점을 경유하여 본사의 식자재 물류창고(150)로 복귀하는 경로의 총 이동 거리를 산출하며, 잔여 가맹점 수와 총 이동 거리를 기반으로 각 배송 차량이 식자재 물류창고(150)에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복귀 예상 시간을 산출하고, 복귀 예상 시간이 가장 낮게 산출된 배송 차량으로 미배송 식자재와 타겟 가맹점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미배송 식자재의 재배송을 명령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맹점에 대한 식자재 배송 관리에 있어서, 각 식자재에 대해 해당 식자재를 주문한 가맹점 식별정보, 식자재 명칭, 식자재 수량 정보가 저장되는 식자재 인식 코드가 표시된 주문 라벨을 부착하여 배송시키고, 배송 완료 시 식자재 인식 코드의 스캔을 통해 각 가맹점에 배송된 식자재 정보가 자동으로 프랜차이즈 본사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배송 완료된 식자재 정보를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각 가맹점의 식자재 배송 누락 여부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하여 배송자 및 가맹점주에게 제공함으로써 누락된 식자재가 대해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되어 가맹점 영업 차질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 가맹점 단말 120 :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시스템
122 : 라벨 프린터 130 : 배송자 단말
500 : 주문 정보 수신부 502 : 가맹점 정보 DB
504 : 식자재 주문 정보 DB 510 : 주문라벨 생성부
520 : 배송정보 수신부 522 : 식자재 배송 정보 DB
530 : 배송 검사부 540 : 배송 관리부
542 : 배송 오류 정보 DB 550 : 식자재 도용 검사부
552 : 식자재 도용 정보 DB

Claims (13)

  1.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가맹점에 설치된 가맹점 단말과 연결되며, 상기 가맹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각 가맹점에서 요청된 식자재에 대한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주문 정보 수신부와,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각 식자재 명칭과 수량을 확인하고, 각 식자재 명칭과 수량 및 식자재를 주문한 가맹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식자재 정보가 표시되는 주문 라벨을 생성하되, 상기 주문 라벨상 일측 영역에 상기 식자재 정보가 저장된 식자재 인식 코드를 표시시키는 주문 라벨 생성부와,
    상기 주문 라벨을 인쇄하는 라벨 프린터와,
    상기 주문 라벨이 부착된 각 식자재를 각 가맹점으로 배송하는 배송자의 배송자 단말과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각 식자재가 대응되는 각 가맹점으로 배송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식자재 인식 코드의 스캔을 통해 인식된 상기 식자재 정보를 상기 배송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배송 정보 수신부와,
    상기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각 가맹점에서 주문된 주문 품목을 확인하고, 상기 배송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식자재 정보를 기반으로 각 가맹점에 배송 완료된 배송 품목을 확인한 후, 상기 배송 품목과 상기 주문 품목을 비교하여 각 가맹점에 식자재가 정확히 배송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배송 검사부와,
    상기 라벨 프린터를 제어하여 상기 주문 라벨을 인쇄시키며, 상기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주문 품목과 배송 품목이 서로 일치하지 않아 배송 오류가 발생한 타겟 가맹점을 확인하고, 상기 타겟 가맹점에 식자재를 배송한 배송자의 타겟 배송자 단말로 상기 타겟 가맹점의 식별정보와 미배송 식자재 정보를 전송하는 배송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자재는, 돈가스 소스와 돈육을 포함하고,
    각 가맹점에서 주문되는 식자재 중 상기 돈가스 소스와 상기 돈육의 주문량을 검사하여 외부 식자재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식자재 도용 검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식자재 도용 검사부는,
    상기 돈육의 단위 중량당 대응되는 상기 돈가스 소스의 기준 중량을 기반으로 상기 돈육의 주문량에 대응되는 상기 돈가스 소스의 필요량을 산출하고,
    상기 돈가스 소스의 주문량과 상기 돈가스 소스의 필요량간 중량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가맹점에서 상기 돈육에 대한 외부 식자재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판단하는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각 가맹점에서 주문한 상기 주문 품목을 주문 날짜 별로 저장하는 식자재 주문 정보 DB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송 검사부는,
    상기 식자재 주문 정보 DB를 참조하여 각 가맹점에서 주문한 상기 주문 품목을 확인하는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자 단말은,
    실행되는 경우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스템에 연결되는 배송 관리앱이 설치되고,
    상기 배송 관리앱은,
    상기 배송 관리앱의 메뉴 화면에서 상기 식자재 인식 코드 스캔 메뉴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식자재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기능이 활성화되며, 상기 식자재 인식 코드의 스캔을 통해 상기 식자재 인식 코드에 저장된 상기 식자재 정보를 읽어들여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배송 관리앱의 메뉴 화면에서 배송 완료 메시지 전송 메뉴키가 입력되는 경우 배송 완료 정보를 발생시켜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배송 관리부는,
    상기 배송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각 가맹점에 식자재 배송이 완료된 것을 인식하고, 상기 배송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식자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송 완료된 배송 품목을 각 가맹점의 상기 가맹점 단말 또는 각 가맹점주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부는,
    상기 배송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타겟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 및 상기 타겟 가맹점의 가맹점주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배송 오류 발생 및 상기 미배송 식자재 정보를 전송하는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부는,
    각 배송 차량이 배송을 수행해야 하는 각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배송 오류가 발생한 시점에 각 가맹점으로 식자재 배송을 위해 이동 중인 복수의 배송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각 배송 차량을 운행 중인 배송자의 배송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배송 완료 정보를 기반으로 각 배송 차량이 배송을 수행하여야 하는 잔여 가맹점의 수를 확인하고,
    상기 잔여 가맹점을 경유하여 본사의 식자재 물류창고로 복귀하는 경로의 총 이동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잔여 가맹점 수와 상기 총 이동 거리를 기반으로 각 배송 차량이 상기 식자재 물류창고에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복귀 예상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복귀 예상 시간이 가장 낮게 산출된 배송 차량에 대응되는 배송자 단말로 상기 미배송 식자재와 상기 타겟 가맹점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미배송 식자재의 재배송을 명령하는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부는,
    상기 복귀 예상 시간을 산출함에 있어서,
    각 가맹점에서 식자재 배송에 소요되는 평균 배송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배송 시간에 상기 잔여 가맹점수를 곱하여 상기 잔여 가맹점 전체에서 배송이 완료되는데 소요되는 제1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총 이동 거리를 각 배송 차량이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제2 시간을 산출한 후,
    상기 제1 시간과 제2 시간을 합산하여 상기 복귀 예상 시간을 산출하는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부는,
    상기 배송 차량에 설치되는 GPS 발생 장치 또는 상기 배송자 단말에 설치되는 GPS 발생장치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GPS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송 오류가 발생한 시점에 상기 배송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는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정보 수신부는,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식자재에 대한 구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시스템의 홈페이지 화면상 상기 식자재 명칭과 수량을 입력할 수 있는 주문 정보 입력창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주문 정보 입력창을 통해 상기 식자재 명칭과 수량을 입력받아 상기 주문 정보로 수신하는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자재 인식 코드는,
    상기 주문 라벨상 서로 다른 영역에 적어도 2개 이상 인쇄되는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식자재 인식 코드는,
    바코드 또는 큐알 코드인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맹점 단말은,
    상기 돈가스 소스의 잔여량을 측정하는 전자저울을 포함하고,
    상기 각 가맹점 단말은,
    상기 주문 정보를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 시 상기 주문 정보가 전송되는 시점에 상기 전자저울에서 측정된 상기 돈가스 소스의 잔여량을 상기 주문 정보와 함께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식자재 도용 검사부는,
    상기 돈가스 소스의 잔여량을 고려하여 상기 돈가스 소스의 필요량을 산출하는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배송 오류가 발생한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송 오류가 기설정된 기준 회수보다 많은 적어도 하나의 주의 대상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배송 오류 주의 대상 리스트로 관리하며,
    상기 주문 라벨 생성부와 연동하여 상기 배송 오류 주의 대상 리스트에 포함된 가맹점에서 주문한 식자재에 대해서는 상기 주문 라벨 생성시 특정 경고 표식이 인쇄되도록 제어하는 배송 오류 방지부
    를 더 포함하는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KR1020190105025A 2019-08-27 2019-08-27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KR102082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025A KR102082259B1 (ko) 2019-08-27 2019-08-27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025A KR102082259B1 (ko) 2019-08-27 2019-08-27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259B1 true KR102082259B1 (ko) 2020-02-27

Family

ID=69647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025A KR102082259B1 (ko) 2019-08-27 2019-08-27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25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08488A (zh) * 2020-10-28 2021-02-02 深圳御膳坊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冷链配送系统及控制方法
KR102213896B1 (ko) * 2020-06-24 2021-02-08 쿠팡 주식회사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36585A (ko) * 2020-09-16 2022-03-23 주식회사 케이에프 식품 유통 통합관리솔루션 제공 시스템
KR20220038981A (ko) * 2020-09-21 2022-03-29 이주범 참치 프랜차이즈 사업관리시스템 및 방법
US11429978B2 (en) 2020-06-24 2022-08-30 Coupang Corp. Delivery status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KR20230018605A (ko)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리드플래닛 가맹점의 식자재 발주수량 또는 사용중량에 기초한 품질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ai 학습 모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217A (ko) * 2000-01-21 2000-04-06 강승일 이동 물류관리 시스템 및 그 활용방법
KR20060118152A (ko) * 2005-05-16 2006-11-23 주식회사 케이티 전자거래코드를 이용한 공급체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28588A (ko) * 2012-10-11 2012-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커뮤니케이터를 이용한 물품 배송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1594395B1 (ko) * 2015-05-06 2016-02-16 조희은 네트워크 상에서의 물품 배송자 중개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중개 서버
KR101994607B1 (ko) 2019-04-25 2019-06-28 이종범 식음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는 식자재 유통 시스템
KR101999997B1 (ko) * 2019-04-11 2019-07-15 김영수 휴먼 에러 방지를 위한 식자재 주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217A (ko) * 2000-01-21 2000-04-06 강승일 이동 물류관리 시스템 및 그 활용방법
KR20060118152A (ko) * 2005-05-16 2006-11-23 주식회사 케이티 전자거래코드를 이용한 공급체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28588A (ko) * 2012-10-11 2012-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커뮤니케이터를 이용한 물품 배송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1594395B1 (ko) * 2015-05-06 2016-02-16 조희은 네트워크 상에서의 물품 배송자 중개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중개 서버
KR101999997B1 (ko) * 2019-04-11 2019-07-15 김영수 휴먼 에러 방지를 위한 식자재 주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94607B1 (ko) 2019-04-25 2019-06-28 이종범 식음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는 식자재 유통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896B1 (ko) * 2020-06-24 2021-02-08 쿠팡 주식회사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0339B1 (ko) * 2020-06-24 2021-12-20 쿠팡 주식회사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261652A1 (ko) * 2020-06-24 2021-12-30 쿠팡 주식회사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429978B2 (en) 2020-06-24 2022-08-30 Coupang Corp. Delivery status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KR20220036585A (ko) * 2020-09-16 2022-03-23 주식회사 케이에프 식품 유통 통합관리솔루션 제공 시스템
KR102464725B1 (ko) * 2020-09-16 2022-11-08 주식회사 케이에프 식품 유통 통합관리솔루션 제공 시스템
KR20220038981A (ko) * 2020-09-21 2022-03-29 이주범 참치 프랜차이즈 사업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625077B1 (ko) * 2020-09-21 2024-01-12 이주범 참치 프랜차이즈 사업관리시스템 및 방법
CN112308488A (zh) * 2020-10-28 2021-02-02 深圳御膳坊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冷链配送系统及控制方法
KR20230018605A (ko)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리드플래닛 가맹점의 식자재 발주수량 또는 사용중량에 기초한 품질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ai 학습 모델
KR102621790B1 (ko) 2021-07-30 2024-01-09 주식회사 리드플래닛 가맹점의 식자재 발주수량에 기초한 품질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259B1 (ko)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US107962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hipment information
US77613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solidated global shipping
US20050060165A1 (en) Return-shipping label usage
KR100837971B1 (ko) 물품 배송 정보 관리 시스템
WO2020232590A1 (zh) 一种电子商务物流管理系统
US201602105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detailed delivery tracking
KR20100127504A (ko)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주문에 대한 출고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14438A (ko)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3506057A (zh) 物流系统、方法、服务器以及终端
JP6678855B1 (ja) 在庫管理システム
JP5261966B2 (ja) 配送管理システム及び配送管理方法
JP2014227269A (ja) 物資配送支援システム、並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装置及び方法
KR20130142216A (ko)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의 포장관리방법
US10733652B2 (en) Method of handling weight data in a data processing system
JP2003288507A (ja) 物品自動発注システム
JP2008251002A (ja) 商品情報処理システム
JP4410806B2 (ja) Posシステム
JP2023144689A (ja) 出荷管理システム、出荷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30082077A (ko) 택배 발송 오류 방지 시스템
JP2004244146A (ja) 物流検品システム
JP2004362364A (ja) 卸売市場における商品の入荷伝票処理方法
JP2003288445A (ja) 物品納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