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438A -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438A
KR20100114438A KR1020090049128A KR20090049128A KR20100114438A KR 20100114438 A KR20100114438 A KR 20100114438A KR 1020090049128 A KR1020090049128 A KR 1020090049128A KR 20090049128 A KR20090049128 A KR 20090049128A KR 20100114438 A KR20100114438 A KR 20100114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product
barcode
ordering
inven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설
Original Assignee
이기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설 filed Critical 이기설
Publication of KR20100114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방법은, (a) 상기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고객이 주문한 상품의 메타 정보, 주문수량, 바코드 및 배송지 주소를 포함하는 주문 내역을 수신하여 주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상품 보관소에 입고되는 상품 별로 바코드를 부여하는 한편, 상품 보관소에 입고되어 있는 상품 별로 상품 메타 정보, 재고수량 및 바코드를 포함하는 재고 내역을 재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 (c) 관리자 단말로부터 주문 내역과 재고 내역의 매칭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매칭 검색 요청의 수신에 따라 상기 주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각의 주문 내역 별로 바코드를 검색키로 하여 주문 내역에 포함된 상품과 매칭되는 상품의 재고 내역을 상기 재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e) 상기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주문 내역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로 출력하되, 검색된 재고 내역에 포함된 재고수량과 상기 주문내역에 포함된 주문수량을 비교하여 각 주문 내역 별로 상품 발송 가능 상태와 상품 발주 필요 상태를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온라인 쇼핑몰, 주문, 발송, 발주

Description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nd ordering on-line shopping mall order commodities}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주문을 발송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주문된 상품에 대하여 주문 내역과 재고 내역을 매칭함으로써 상품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거래는 상품의 판매처까지 직접 갈 필요가 없고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품 구매자에게 유리하고, 또한 중간 유통 과정을 줄여 상품 공급 단가를 낮추고, 별도의 매장을 임대할 필요가 없으며, 보다 쉽고 폭넓게 수요자층에 다가갈 수 있으므로 상품 판매자 입장에서도 유리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장점으로 인하여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거래는 매년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상품의 주문과 제공이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는 오프라인 쇼핑몰과는 달리, 온라인 쇼핑몰은 상품의 주문과 상품 제공 사이에 일정한 시간적 간격이 존 재하고 상품구매자가 수취 전에 상품을 미리 확인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주문과 제공된 상품 사이에 상품 종류나 상태, 수량 등에 있어서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거래의 활성화로 인하여 처리해야 할 주문이 많아짐에 따라, 판매자가 상품 발송(배송)시 발송되는 상품을 정확하게 확인하기가 어려워 이러한 오차 발생은 더욱 빈번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상품이 주문되면, 판매자는 주문된 상품의 종류, 주문수량, 배송지 주소 등의 주문 내역을 파악 및 관리하고, 주문 내역에 따라 그와 일치하는 상품의 재고 상황을 파악해야 한다. 그리하여 재고가 있는 상품의 경우 해당 배송지로 발송하고, 재고가 없는 상품은 발주처에 해당 상품을 발주하게 된다.
주문 내역은 컴퓨터 등을 통해 저장 및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재고 상황 파악이나 주문 상품의 발송 가능 여부, 또는 상품 발주 필요 여부 등을 판매자가 파악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며, 그 과정에서 판매자 측의 실수로 오차가 많이 발생한다.
또한, 상품을 발송하는 과정에서도 잘못된 상품을 발송하거나 일부 상품을 누락하고 발송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상품 재고가 부족하여 상품을 발주하는 과정에서 상품의 발송이 늦어지게 되는 문제점도 많이 발생하였다.
온라인 쇼핑몰은 구매자의 주문과 일치하는 정확한 상품의 발송 및 신속한 전달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잘못된 상품을 발송하거나 일부 상품을 누락하는 경우, 또는 상품 발송 지연 등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쇼핑몰은 신뢰성을 잃어 판매자가 더 이상 사업을 지속할 수 없는 상황에까지 이를 수 있다. 특히, 온라인 쇼핑몰은 그 특성상 구매자로부터 나쁜 평판을 받은 경우 다시 신뢰성을 회복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품 발송 사고를 줄이고, 정확하고 신속하게 상품을 발송할 수 있는 방안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주문 내역과 해당 상품의 재고 내역을 자동으로 매칭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주문을 처리하고, 재고수량이 부족한 경우 상품을 신속하게 발주할 수 있는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방법은, (a) 상기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고객이 주문한 상품의 메타 정보, 주문수량, 바코드 및 배송지 주소를 포함하는 주문 내역을 수신하여 주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상품 보관소에 입고되는 상품 별로 바코드를 부여하는 한편, 상품 보관소에 입고되어 있는 상품 별로 상품 메타 정보, 재고수량 및 바코드를 포함하는 재고 내역을 재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 (c) 관리자 단말로부터 주문 내역과 재고 내역의 매칭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매칭 검색 요청의 수신에 따라 상기 주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각의 주문 내역 별로 바코드를 검색키로 하여 주문 내역에 포함된 상품과 매칭되는 상품의 재고 내역을 상기 재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e) 상기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주문 내역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로 출력하되, 검색된 재고 내역에 포함된 재고수량과 상기 주문내역에 포함된 주문수량을 비교하여 각 주문 내역 별로 상품 발송 가능 상태와 상품 발주 필요 상태를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시스템은, 상기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고객이 주문한 상품의 메타 정보, 주문수량, 바코드 및 배송지 주소를 포함하는 주문 내역이 저장되는 주문 데이터베이스; 상품 보관소에 입고되는 상품 별로 부여된 바코드, 상품 메타 정보 및 재고수량을 포함하는 재고 내역을 저장하는 재고 데이터베이스; 및 관리자 단말로부터 주문 내역과 재고 내역의 매칭 검색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주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각의 주문 내역 별로 바코드를 검색키로 하여 주문 내역에 포함된 상품과 매칭되는 상품의 재고 내역을 상기 재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주문 내역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로 출력하되, 검색된 재고 내역에 포함된 재고수량과 상기 주문 내역에 포함된 주문수량을 비교하여 각 주문 내역 별로 상품 발송 가능 상태와 상품 발주 필요 상태를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매칭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주문에 대하여 상품 보관소의 재고 내역을 정확하게 파악 및 관리하고, 재고가 충분한 물품에 대하여는 해당 상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발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재고가 부족한 물품에 대하여는, 발주가 필요한 상품으로 표시하고 리스트화여 발주 상품 목록을 제공함으로써 신속하게 상품 발주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품 발송시 정확한 상품을 발송하는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상품의 배송 사고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시스템은, 주문 데이터베이스(110), 재고 데이터베이스(120) 및 매칭서버(130)를 포함한다.
상기 주문 데이터베이스(110)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주문된 주문 내역을 저장한다. 즉, 온라인 쇼핑몰 서버(160)의 홈페이지를 통해 고객이 상품을 주문하 면, 온라인 쇼핑몰 서버(160)는 이러한 고객의 주문 내역을 전송하고 상기 매칭서버(130)가 전송된 주문 내역을 수신하여 주문 데이터베이스(110)로 저장한다. 이때, 상기 매칭서버(1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문 내역을 수신할 수 있는데, 주문 내역의 리스트는 엑셀 파일 형태로 수신하는 것이 좋다. 엑셀 파일은 호환성이 뛰어나고 각종 리스트의 통계 및 처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복수의 주문 내역을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매칭서버(130)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160)로부터 엑셀 파일로 된 주문 내역 리스트를 다운로드하는 것이 좋다. 상기 매칭서버(130)가 온라인 쇼핑몰 서버(160)로부터 수신한 주문 내역은 주문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엑셀 파일은 매칭서버(130)의 관리자가 온라인 쇼핑몰 운영 회사로부터 제공 받아 매칭서버(130) 또는 주문 데이터베이스(110)로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주문 내역에는 주문된 상품의 메타 정보, 주문수량, 바코드 및 배송지 주소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품 메타 정보란 상품의 명칭, 색상, 및 사이즈 등의 다양한 상품 속성을 말한다. 상기 주문 데이터베이스(110)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160) 내에 존재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핑몰 서버(160)와는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서버(160)는 상품 판매자가 운영하는 서버로서, 고객으로부터 상품 주문을 접수 받는다. 예를 들면, 상품을 주문하고자 하는 고객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버(160)가 제공하는 홈페이지에 로그인하여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다. 판매자는 접수된 주문 내역 리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매칭 서버(130) 가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주문내역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라인 쇼핑몰 서버(160)가 고객의 상품 주문을 접수 받으면, 주문 내역 리스트를 매칭서버(130)로 자동으로 전송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재고 데이터베이스(120)는 바코드를 기반으로 상품의 재고 내역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즉, 상기 재고 데이터베이스(120)는, 상품 보관소에 입고되는 상품 별로 부여된 바코드를 저장하는 한편, 상품 보관소에 입고되어 있는 상품 별로 상품 메타 정보 및 재고수량을 포함하는 재고 내역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재고 데이터베이스(120)를 구축 및 관리하기 위해, 상품 보관소에 입고되는 상품 별로 바코드를 부여하고 상품에 부착할 바코드 스티커를 발부하는 입고 상품 관리 단말을 별도로 운영할 수 있다. 상기 입고 상품 관리 단말은 바코드 스티커가 부착된 상품의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상기 재고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해당 상품의 재고 내역을 자동으로 갱신할 수 있도록 바코드 스캐너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고 데이터베이스(120) 내에 저장된 재고 내역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재고 데이데이터베이스(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고 내역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재고 내역에는 상품의 바코드, 품번(상품번호), 상품명이나 색상, 사이즈 등의 상품 메타 정보, 재고수량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도 2에 나타난 화면은, 상품을 주문자에게 발송하는 상품 보관소 의 컴퓨터 등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품 보관소에서는 상품의 입고, 출고 및 재고상황 등을 기록하여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관련 정보를 쉽게 열람할 수 있다.
상기 매칭서버(130)는, 관리자 단말(140)로부터 주문 내역과 재고 내역의 매칭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주문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각각의 주문 내역 별로 바코드를 검색키로 하여 주문 내역에 포함된 상품과 매칭되는 상품의 재고 내역을 상기 재고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검색한다. 그리고, 이러한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주문 내역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140)로 출력하되, 검색된 재고 내역에 포함된 재고수량과 상기 주문 내역에 포함된 주문수량을 비교하여 각 주문 내역 별로 상품 발송 가능 상태와 상품 발주 필요 상태를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한다.
만일 상기 주문 내역이 배송지 주소가 동일한 복수 상품에 대한 주문 내역을 포함한 경우, 상기 매칭서버(130)는, 상기 복수 상품 각각에 대하여 상품 발송 가능 상태와 상품 발주 필요 상태를 표시하되, 상기 주문 내역에 포함된 상기 복수 상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이 발주 필요 상태이면 상기 복수 상품 전체에 대한 상품 발송을 보류 상태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주문시, 한 사람이 여러 상품을 함께 주문하는 경우에는 주문된 상품의 배송지 주소가 동일한 경우가 많으며, 이때에 주문자는 주문한 상품을 한꺼번에 배송받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판매자 입장에서도 묶음 배송을 하는 것이 배송비 절감 및 주문 관리의 효율화 차원에서 좋다. 따라 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일부 주문 상품의 재고가 있다 하더라도 다른 주문 상품의 재고가 없다면 일단 재고가 있는 상품에 대하여도 발송을 보류하고, 다른 상품의 재고가 확보된 뒤에 일괄적으로 발송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동일 주문번호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 중 재고가 있는 것부터 발송할 수 있도록 상품 발송 가능 상태와 상품 발주 필요 상태를 상품 별로 표시하는 것을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매칭서버(130)가 재고 내역에 포함된 재고수량과 주문내역에 포함된 상품(들)의 주문수량을 비교하여 각 주문 내역 별로 상품 발송 가능 상태와 상품 발주 필요 상태를 관리자 단말(140)의 화면 상에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Y'는 'Yes'를 의미하며, 'N'은 'No'를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주문번호 6930 및 6931은 배송지 주소가 다르므로 각 주문 내역마다 주문번호가 다르나, 주문번호 6932의 두 주문 내역은 주문 상품은 다르지만 배송지 주소가 동일하므로 두 개의 주문 내역의 주문번호가 서로 동일하다. 주문번호 6930 및 6931의 경우, 재고수량이 주문수량보다 많아 재고할당가능여부를 'Y'로 나타내며, 이때는 상품발송이 가능하므로 해당 주문번호에 대하여 발송가능여부도 'Y'로 나타낸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매칭서버(130)가 재고할당가능여부와 발송가능여부를 모두 'Y'로 표시하는 경우, 상품 발송 가능 상태를 나타낸다.
주문번호 6932에서 첫번째 주문 내역의 경우, 재고수량이 주문수량보다 적어 재고할당가능여부를 'N'으로 나타내며, 이때는 재고 부족으로 상품발송이 불가능하 므로 해당 주문 내역에 대하여 발송가능여부를 'N'으로 나타내고, 상품의 재고를 확보하기 위해 상품의 발주를 필요로 하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매칭서버(130)가 재고할당가능여부와 발송가능여부를 모두 'N'으로 표시하는 경우, 상품 발주 필요 상태를 나타낸다.
주문번호 6932에서 두 번째 주문 내역의 경우, 재고수량이 주문수량보다 많아 재고할당가능여부는 'Y'로 나타낸다. 그러나, 주문번호 6932의 첫번째 주문 내역에서 상품의 발송이 불가능하여 발주가 필요한 상태로 판단되었으므로, 두 번째 주문 내역에 대하여 상품 발송을 보류하도록 하여 발송가능여부를 'N'으로 나타낸다. 즉, 재고할당가능여부를 'Y'로 나타내고, 발송가능여부를 'N'으로 표시하는 경우, 해당 상품의 재고는 있으나, 배송지 주소가 동일한 타상품의 재고 부족으로 인하여 상품 발송을 보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시스템은 발송 검수를 수행하는 송장 출력 모듈(170) 및 발송 검수 단말(1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서버(130)는 상품 발송을 검수하는 검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장 출력 모듈(170)은, 주문 내역에 대하여 송장번호를 생성하고 송장번호를 바코드로 변환한다. 그리고, 송장번호 바코드, 상품 발송자 정보 및 배송지 정보를 포함하는 택배 송장을 구성하여 출력한다.
송장 출력 모듈(170)은 택배 회사 측에 마련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때, 판매자는 택배 회사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배송 물품 정보, 상품 발송자 정보 및 배 송지 정보 등의 택배 송장을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면서, 택배 송장을 출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는 판매자가 수동으로 입력하지 않더라도 온라인 쇼핑몰 서버(160)가 택배 송장을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장 출력 모듈(170)로 전송하면서 택배 송장을 출력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그러면, 택배 회사는 송장 출력 모듈(170)을 통해 송장을 출력한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송장 출력 모듈(170)은 매칭 서버(130)에 포함되어 운영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판매자나 온라인 쇼핑몰 서버(160)가 택배 송장을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직접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송장 출력 모듈(170)이 주문 데이터베이스(110)를 조회하여 해당하는 주문 내역에 포함된 상품 발송자 정보 및 상품 배송지 정보를 리드하고 각 주문 내역마다 고유의 송장번호를 부여하여 송장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발송 검수 단말(190)은 바코드 스캐너(191)를 구비하여 택배 송장이 부착된 상품 포장 상자에 대하여 발송 검수를 수행한다. 발송 검수 단말(190)은 바코드 스캐너(191)를 통해 상품 포장 상자 내에 수납된 개별 상품의 바코드와 상품 포장 상자에 부착된 택배 송장의 송장번호 바코드를 입력 받는다. 즉, 배송 검수자는 상기 바코드 스캐너(191)를 이용하여 택배로 발송될 상자 내의 개별 상품을 각각 스캐닝하고, 또한 상자 외부에 부착된 송장에서 송장번호를 스캐닝한다.
도 4는, 발송 검수 단말(190)의 바코드 스캐너(191)를 통해 상품 포장 상자의 개별 상품 바코드와 송장번호 바코드를 스캐닝한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바코드 스캐너(191)가 상품 포장 상자 내에 수납되어 있는 5개의 발송 상품을 스캐닝한 결과로서, 도면의 상단과 같이 각 발송 상품의 바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품 포장 상자에 부착된 택배 송장을 스캐닝한 결과로서 도면의 하단과 같이 송장번호 바코드가 '검수번호'로 표시될 수 있다. 그 밖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장번호 바코드의 스캐닝 결과와 함께 '검수초기화'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송 검수자는 '검수 초기화' 버튼을 클릭하여 기존의 스캐닝 결과를 모두 삭제하고 택배 송장과 상품 바코드의 스캐닝 과정을 다시 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캐닝된 개별 상품의 바코드 및 송장번호 바코드는 매칭서버(130)로 전송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칭서버(130)에 포함된 검수 모듈(131)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매칭서버(130)의 검수 모듈(131)은 송장번호저장부(131a), 바코드수신부(131b), 주문데이터베이스조회부(131c) 및 비교부(131d)를 포함한다.
상기 송장번호저장부(131a)는 송장 출력 모듈(170)로부터 송장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송장번호를 그와 대응되는 주문 내역과 매칭시켜 저장한다. 즉, 상기 송장 출력 모듈(170)이 송장번호를 생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택배 송장을 출력하면, 상기 송장번호저장부(131a)가 생성된 송장번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매칭서버(130)가 수신하여 주문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한 주문 내역 리스트에서 수신된 송장번호에 대응하는 주문 내역을 검색하여 해당 주문 내역에 송장번호를 매칭 시켜 저장한다. 송장번호저장부(131a)가 송장 출력 모듈(170)로부터 송장번호를 수신할 때, 복수의 주문 내역에 해당하는 복수의 송장번호 리스트를 엑셀 파일 형태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그러나, 개별 주문 내역에 대한 개개의 송장 번호를 따로 수신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송장번호는 매칭서버(130)의 관리자가 각 주문 내역 별 송장번호를 엑셀 파일로 리스트화하여 상기 송장번호저장부(131a)에 입력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송장번호저장부(131a)는 주문 내역 별 송장번호를 식별하여 각 송장번호를 주문 데이터베이스(110) 내의 대응하는 주문 내역과 매칭시켜 주문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한다.
상기 바코드수신부(131b)는 발송 검수의 대상이 되는 상품 포장 상자마다 그 포장 상자 내에 수납된 각각의 발송 상품 바코드와 상품 포장 상자에 부착된 송장번호 바코드를 전송 받는다. 즉, 발송 검수 단말(190)의 바코드 스캐너(191)로부터 스캐닝된 상품 포장 상자 내에 수납된 각 발송 상품 바코드와 스캐닝된 송장번호 바코드를 전송받는다.
상기 주문데이터베이스조회부(131c)은 주문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스캐닝된 송장번호 바코드에 대응하는 송장번호와 이 송장번호와 매칭된 주문상품(들)의 바코드를 조회한다. 상기 비교부(131d)는 조회된 주문상품 바코드와 스캐닝된 발송 상품 바코드를 대비하고, 조회된 바코드와 스캐닝된 바코드의 일치 여부에 따라 발송 검수 결과를 발송 검수 단말(190)로 출력한다.
이때, 발송 검수 단말(190)은 발송 검수 결과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소리 등을 통해 검수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교부(131d)는 스캐닝된 바코드와 조회된 바코드가 모두 일치하면 발송 검수 단말(190)의 화면에 발송 검수 결과로서 O를 표시하고, 스캐닝된 바코드와 조회된 바코드가 하나라도 일치하지 않으면 발송 검수 단말(190)의 화면에 발송 검수 결과로서 X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비교부(131d)가 발송 검수 단말(190)의 화면에 발송 검수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수의 대상이 되는 상품 포장 상자의 송장으로부터 스캐닝된 송장번호 바코드가 '검수번호'로서 표시되며, 발송 검수를 초기화할 수 있는 '검수초기화'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비교부(131d)의 검수 결과, 스캐닝된 바코드와 조회된 바코드가 모두 일치하면 발송 검수 단말(190)의 화면에 O를 표시한다. 반면, 비교부(131d)의 검수 결과 스캐닝된 바코드와 조회된 바코드가 하나라도 일치하지 않으면 발송 검수 단말(190)의 화면에 X를 표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발송 검수 결과를 표시하는 구체적인 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칭서버(130)는 상기 검수 모듈(131)의 발송 검수 결과 문제가 없는 상품 포장 상자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송장번호를 식별하고, 식별된 송장번호에 대응하는 주문 상품 각각에 대한 재고를 재고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조회하여 재고 수량을 발송 수량만큼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의 발송과 재고 상황의 업데이트가 동시에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재고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재고 내역의 관리가 더욱 용이하다.
또한 상기 매칭서버(130)는, 관리자 단말(140)로부터 발주 상품 목록의 제공 을 요청받은 경우, 상품 발주 필요 상태로 표시된 각 상품을 리스트화하여 상품 발주 목록이 포함된 상품 발주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품 발주서를 관리자 단말(140)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품 발주서에 포함된 발주 상품 목록은 발주하는 상품의 상품명 및 발주수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매칭서버(130)는, 상기 온라인 쇼핑몰에서 취급하는 각 상품에 대한 발주처 정보를 각 상품에 부여한 바코드를 식별키로 하여 발주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품 발주 필요 상태로 표시된 각 상품의 바코드를 검색키로 하여 발주처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발주처 정보를 독출하며, 상기 상품 발주 목록에 상품의 발주처 정보를 포함시켜 상품 발주서를 생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발주처 정보는 발주처에 대한 이메일 어드레스, 팩스 번호 또는 이동통신 전화번호 등의 연락처와 함께 발주처의 주소와 해당 발주처에서 사용하는 상품의 별칭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상품 발주서는 상품 배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시간 대에 출력하여 상품 발주자에게 제공된다. 그러면 상품 발주자는 오프라인을 통해 상품 발주서에 포함된 각 상품에 대하여 주문을 수행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매칭서버(130)는 상기 발주처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에 기초하여 각 상품 발주처의 이메일, 팩스, 문자메시지(발주처 관리자의 휴대폰으로 전송) 또는 개인화된 웹 페이지 공간으로 상품 발주서를 온라인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화된 웹 페이지 공간은, 상품 발주처의 관리자가 로그인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웹 문서를 말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을 구현하는 사업자는 발주처에서 개인화된 웹 페이지 공간으로 전송된 상품 발주서를 확인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마련하여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상품 보관소에서 직접 상품의 재고 부족을 파악하여 상품을 발주했으나, 상기 대안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매칭서버(130)가 상품의 재고상황을 파악하여 발주처에 해당 상품을 자동으로 발주하므로, 상품 보관소 측에서 재고 상황을 파악하고 발주하는 과정에서 드는 노력이나 시간 지연을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주문된 상품의 메타 정보, 주문수량, 바코드 및 배송지 주소 등을 포함하는 주문 내역을 주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110).
이와는 별도로, 상품 보관소에 입고되는 상품 별로 바코드를 부여하는 한편, 상품 보관소에 입고되어 있는 상품 별로 상품 메타 정보, 재고수량 및 바코드를 포함하는 재고 내역을 재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한다(S120).
한편, 관리자 단말로부터 주문 내역과 재고 내역의 매칭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S130), 매칭 검색 요청의 수신에 따라 주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각의 주문 내역 별로 바코드를 검색키로 하여 주문 내역에 포함된 상품과 매칭되는 상품의 재고 내역을 재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다(S140). 그리고 나서, 그러한 검색 결 과를 바탕으로 주문 내역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로 출력하되, 검색된 재고 내역에 포함된 재고수량과 주문내역에 포함된 주문수량을 비교하여 각 주문 내역 별로 상품 발송 가능 상태와 상품 발주 필요 상태를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한다(S150).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주문에 대하여 주문수량 및 재고수량을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발송 가능 상태 또는 발주 필요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관리자 단말로부터 주문 내역과 재고 내역의 매칭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S210), 주문 내역에 포함된 상품과 매칭되는 상품의 재고 내역을 재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다(S220). 다음으로, 검색된 재고 내역에 포함된 재고수량과 주문내역에 포함된 주문수량을 비교하여(S230), 재고수량이 주문수량보다 많으면 상품 발송 가능 상태를 표시하고(S240), 재고수량이 주문수량보다 적으면 상품 발주 필요 상태를 표시한다(S250).
한편 도 7에서, 주문 내역은 배송지 주소가 동일한 복수 상품에 대한 주문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S150) 단계에서 복수 상품 각각에 대하여 상품 발송 가능 상태와 상품 발주 필요 상태를 표시하되, 주문 내역에 포함된 복수 상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이 발주 필요 상태이면, 복수 상품 전체에 대한 상품 발송을 보류 상태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방법은, 상품 발송 가능 상태로 표시된 각각의 주문 내역에 대하여 송장번호를 생성하 고 상기 송장번호를 바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송장번호 바코드, 상품 발송자 정보 및 배송지 정보를 포함하는 택배 송장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송장번호를 수신하여 대응되는 주문 내역에 저장하는 단계; 바코드 스캐너를 구비하여 택배 송장이 부착된 상품 포장 상자에 대한 발송 검수를 수행하는 발송 검수 단말을 제공하는 단계; 발송 검수의 대상이 되는 상품 포장 상자마다 발송 검수 단말의 바코드 스캐너로부터 스캐닝된 상품 포장 상자 내에 수납된 각각의 발송 상품 바코드와 송장번호 바코드를 전송받는 단계; 주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스캐닝된 송장번호 바코드에 대응하는 송장번호와 이 송장번호와 매칭된 주문상품 바코드를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조회된 주문상품 바코드와 상기 스캐닝된 발송 상품 바코드를 대비하고, 조회된 바코드와 스캐닝된 바코드의 일치 여부에 따라 발송 검수 결과를 발송 검수 단말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상품의 발송 전에 상품을 검수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잘못된 상품이 배송되거나, 일부 상품이 누락되어 배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품 발송 가능 상태로 표시된 상품에 대하여 발송 전에 상품을 검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상품 발송 가능 상태로 표시된 주문 내역을 추출하고(S310), 각 주문 내역에 대하여 송장번호를 생성하여 이를 바코드로 변환하고 송장번호 바코드, 상품 발송자 정보 및 배송지 정보를 포함하는 택배 송장을 출력한다(S320). 그리고 나서, 생성된 송장번호를 수신하고 이를 대응되는 주문 내역에 저장한다(S330). 다음으로, 바코드 스캐너가 구비된 발송 검수 단말이 제공되어(S340), 발송 검수 단말에 의해 각 발송 상품 바코드 및 송장번호 바코드가 스캐닝되어 전송된다(S350). 다음으로, 전송된 송장번호 바코드에 대응하는 송장번호와 이 송장번호와 매칭된 주문상품 바코드를 주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고(S360), 조회된 주문상품 바코드와 스캐닝된 바코드를 대비하여(S370), 그 결과를 발송 검수 단말로 출력한다(S380).
이때, 상기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방법은, 발송 검수 결과 문제가 없는 상품 포장 상자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송장번호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송장번호에 대응하는 주문 상품 각각에 대한 재고를 재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여 재고 수량을 발송 수량만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상품의 발송에 따른 재고수량 변동을 재고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반영함으로써, 재고 데이터베이스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방법은,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발주 상품 목록의 제공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상품 발주 필요 상태로 표시된 각 상품을 리스트화하여 상품 발주 목록이 포함된 상품 발주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상품 발주서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발주 상품 목록은 발주하는 상품의 상품명 및 발주수량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 발주 필요 상태로 표시된 상품을 발주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상품 발주 필요 상태로 표시된 주문내역을 추출하고(S410), 관리자 단말이 발주 상품 목록의 제공을 요청하면(S420), 상품 발주 필요 상태로 표시된 각 상품을 리스트화하여 상품 발주서를 생성하고(S430), 상품 발주서가 관리자 단말로 출력된다(S440).
또한, 상기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방법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취급하는 각 상품에 대한 발주처 정보를 각 상품에 부여한 바코드를 식별키로 하여 발주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품 발주서를 생성하는 단계(S430)는, 상품 발주 필요 상태로 표시된 각 상품의 바코드를 검색키로 하여 발주처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각 상품에 대한 발주처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품 발주 목록에 상품의 발주처 정보를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발주처 정보는 발주처에 대한 이메일 어드레스, 팩스 번호 또는 이동통신 전화번호 등의 연락처와 함께 발주처의 주소와 해당 발주처에서 사용하는 상품의 별칭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상품 발주서는 상품 배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시간 대에 출력하여 상품 발주자에게 제공된다. 그러면 상품 발주자는 오프라인을 통해 상품 발주서에 포함된 각 상품에 대하여 주문을 수행한다.
대안적으로, 상품 발주자는 상기 발주처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에 기초하여 각 상품 발주처의 이메일, 팩스, 문자메시지(발주처 관리자의 휴대폰으로 전송) 또 는 개인화된 웹 페이지 공간으로 상품 발주서를 온라인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화된 웹 페이지 공간은, 상품 발주처의 관리자가 로그인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웹 문서를 말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을 구현하는 사업자는 발주처에서 개인화된 웹 페이지 공간으로 전송된 상품 발주서를 확인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마련하여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서버', '모듈' 또는 '부'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고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재고 내역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매칭서버가 재고 내역에 포함된 재고수량과 주문내역에 포함된 상품(들)의 주문수량을 비교하여 각 주문 내역 별로 상품 발송 가능 상태와 상품 발주 필요 상태를 관리자 단말의 화면 상에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발송 검수 단말의 바코드 스캐너를 통해 상품 포장 상자의 개별 상품 바코드와 송장번호 바코드를 스캐닝한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칭서버에 포함된 검수 모듈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비교부가 발송 검수 단말의 화면에 발송 검수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주문에 대하여 주문수량 및 재고수량을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발송 가능 상태 또는 발주 필 요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품 발송 가능 상태로 표시된 상품에 대하여 발송 전에 상품을 검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 발주 필요 상태로 표시된 상품을 발주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6)

  1.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처리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고객이 주문한 상품의 메타 정보, 주문수량, 바코드 및 배송지 주소를 포함하는 주문 내역을 수신하여 주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상품 보관소에 입고되는 상품 별로 바코드를 부여하는 한편, 상품 보관소에 입고되어 있는 상품 별로 상품 메타 정보, 재고수량 및 바코드를 포함하는 재고 내역을 재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
    (c) 관리자 단말로부터 주문 내역과 재고 내역의 매칭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매칭 검색 요청의 수신에 따라 상기 주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각의 주문 내역 별로 바코드를 검색키로 하여 주문 내역에 포함된 상품과 매칭되는 상품의 재고 내역을 상기 재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및
    (e) 상기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주문 내역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로 출력하되, 검색된 재고 내역에 포함된 재고수량과 상기 주문내역에 포함된 주문수량을 비교하여 각 주문 내역 별로 상품 발송 가능 상태와 상품 발주 필요 상태를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내역은 배송지 주소가 동일한 복수 상품에 대한 주문 내역을 포함하고,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복수 상품 각각에 대하여 상품 발송 가능 상태와 상품 발주 필요 상태를 표시하되, 상기 주문 내역에 포함된 상기 복수 상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이 발주 필요 상태이면, 상기 복수 상품 전체에 대한 상품 발송을 보류 상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품 발송 가능 상태로 표시된 각각의 주문 내역에 대하여 송장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송장번호를 바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송장번호 바코드, 상품 발송자 정보 및 배송지 정보를 포함하는 택배 송장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송장번호를 수신하여 대응되는 주문 내역에 저장하는 단계;
    바코드 스캐너를 구비하여 상기 택배 송장이 부착된 상품 포장 상자에 대한 발송 검수를 수행하는 발송 검수 단말을 제공하는 단계;
    발송 검수의 대상이 되는 상품 포장 상자마다 상기 발송 검수 단말의 바코드 스캐너로부터 스캐닝된 상품 포장 상자 내에 수납된 각 발송 상품 바코드와 스캐닝된 송장번호 바코드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주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스캐닝된 송장번호 바코드에 대응하는 송장번호와 이 송장번호와 매칭된 주문상품 바코드를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조회된 주문상품 바코드와 상기 스캐닝된 발송 상품 바코드를 대비하고, 조회된 바코드와 스캐닝된 바코드의 일치 여부에 따라 발송 검수 결과를 발송 검수 단말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 검수 결과 문제가 없는 상품 포장 상자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송장번호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송장번호에 대응하는 주문 상품 각각에 대한 재고를 재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여 재고 수량을 발송 수량만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발주 상품 목록의 제공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상품 발주 필요 상태로 표시된 각 상품을 리스트화하여 발주 상품 목록이 포함된 상품 발주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상품 발주서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주 상품 목록은 발주하는 상품의 상품명 및 발주수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쇼핑몰에서 취급하는 각 상품에 대한 발주처 정보를 각 상품에 부여한 바코드를 식별키로 하여 발주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품 발주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 발주 필요 상태로 표시된 각 상품의 바코드를 검색키로 하여 상기 발주처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각 상품에 대한 발주처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발주 목록에 상품의 발주처 정보를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주처 정보는 상기 발주처에 대한 이메일 어드레스, 팩스 번호, 또는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발주서는 상기 발주처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에 기초하여 각 상품 발주처의 이메일, 팩스, 문자메시지, 또는 개인화된 웹 페이지 공간으로 온라인 전 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방법.
  9.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처리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고객이 주문한 상품의 메타 정보, 주문수량, 바코드 및 배송지 주소를 포함하는 주문 내역이 저장되는 주문 데이터베이스;
    상품 보관소에 입고되는 상품 별로 부여된 바코드, 상품 메타 정보 및 재고수량을 포함하는 재고 내역을 저장하는 재고 데이터베이스; 및
    관리자 단말로부터 주문 내역과 재고 내역의 매칭 검색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주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각의 주문 내역 별로 바코드를 검색키로 하여 주문 내역에 포함된 상품과 매칭되는 상품의 재고 내역을 상기 재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주문 내역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로 출력하되, 검색된 재고 내역에 포함된 재고수량과 상기 주문 내역에 포함된 주문수량을 비교하여 각 주문 내역 별로 상품 발송 가능 상태와 상품 발주 필요 상태를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매칭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내역은 배송지 주소가 동일한 복수 상품에 대한 주문 내역을 포함하고,
    상기 매칭서버는, 상기 복수 상품 각각에 대하여 상품 발송 가능 상태와 상품 발주 필요 상태를 표시하되, 상기 주문 내역에 포함된 상기 복수 상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이 발주 필요 상태이면 상기 복수 상품 전체에 대한 상품 발송을 보류 상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주문 내역에 대하여 송장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송장번호를 바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송장번호 바코드, 상품 발송자 정보 및 배송지 정보를 포함하는 택배 송장을 출력하는 송장 출력 모듈;
    바코드 스캐너를 구비하여 상기 택배 송장이 부착된 상품 포장 상자에 대한 발송 검수를 수행하는 발송 검수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서버는, 상기 송장 출력 모듈로부터 송장번호를 수신하여 대응되는 주문 내역에 저장하는 송장번호저장부; 발송 검수의 대상이 되는 상품 포장 상자마다 상기 발송 검수 단말의 바코드 스캐너로부터 스캐닝된 상품 포장 상자 내에 수납된 각 발송 상품 바코드와 스캐닝된 송장번호 바코드를 전송받는 바코드수신부; 상기 주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스캐닝된 송장번호 바코드에 대응하는 송장번호와 이 송장번호와 매칭된 주문상품 바코드를 조회하는 주문데이터베이스조회부; 및 상기 조회된 주문상품 바코드와 상기 스캐닝된 발송 상품 바코드를 대비하고, 조회된 바코드와 스캐닝된 바코드의 일치 여부에 따라 발송 검수 결과를 발송 검수 단말로 출력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검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서버는, 상기 검수 모듈의 발송 검수 결과 문제가 없는 상품 포장 상자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송장번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송장번호에 대응하는 주문 상품 각각에 대한 재고를 재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여 재고 수량을 발송 수량만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발주 상품 목록의 제공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상품 발주 필요 상태로 표시된 각 상품을 리스트화하여 상품 발주 목록이 포함된 상품 발주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품 발주서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주 상품 목록은 발주하는 상품의 상품명 및 발주수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서버는, 상기 온라인 쇼핑몰에서 취급하는 각 상품에 대한 발주처 정보를 각 상품에 부여한 바코드를 식별키로 하여 발주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상품 발주 필요 상태로 표시된 각 상품의 바코드를 검색키로 하여 상기 발주처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발주처 정보를 독출하며, 상기 상품 발주 목록에 상품의 발주처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상품 발주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주처 정보는 상기 발주처에 대한 이메일 어드레스, 팩스 번호, 또는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서버는, 상기 발주처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에 기초하여 각 상품 발주처의 이메일, 팩스, 문자메시지, 또는 개인화된 웹 페이지 공간으로 상기 상품 발주서를 온라인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시스템.
KR1020090049128A 2009-04-15 2009-06-03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144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2650 2009-04-15
KR1020090032650 2009-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438A true KR20100114438A (ko) 2010-10-25

Family

ID=43133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128A KR20100114438A (ko) 2009-04-15 2009-06-03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4438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921B1 (ko) * 2012-06-14 2013-10-29 주식회사 플레이오토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관리방법
KR101662707B1 (ko) * 2015-05-06 2016-10-05 에이제이전시몰 주식회사 중고 물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고 물품의 거래 시스템
CN109062086A (zh) * 2018-06-20 2018-12-21 上海机商实业有限公司 售卖机的电控系统及电控方法
JP2019008544A (ja) * 2017-06-23 2019-01-1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発注システム
KR20200038011A (ko) * 2018-10-02 2020-04-10 카페24 주식회사 다중 주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2558891A (zh) * 2020-12-10 2021-03-26 深圳一道创新技术有限公司 基于web与云应用的标签打印系统及方法
RU2749645C1 (ru) * 2021-03-01 2021-06-16 Олеся Вячеславовна Савельева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терилизационным боксом, используемым для доставки товара
KR20210105081A (ko) * 2020-02-18 2021-08-26 윤성구 온라인 쇼핑몰 체인 시스템
KR102296843B1 (ko) * 2021-02-10 2021-09-01 주식회사 테크타카 디지털 어소팅 시스템을 위한 작업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3554400A (zh) * 2021-08-03 2021-10-26 杭州拼便宜网络科技有限公司 库存数据更新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WO2021235817A1 (ko) * 2020-05-18 2021-11-25 (주)오아시스 사용자에 의한 상품 패킹 및 배송을 보조하는 방법 및 장치
CN115357766A (zh) * 2022-10-17 2022-11-18 深圳美云集网络科技有限责任公司 数据匹配方法及相关装置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921B1 (ko) * 2012-06-14 2013-10-29 주식회사 플레이오토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관리방법
KR101662707B1 (ko) * 2015-05-06 2016-10-05 에이제이전시몰 주식회사 중고 물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고 물품의 거래 시스템
JP2019008544A (ja) * 2017-06-23 2019-01-1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発注システム
CN109062086A (zh) * 2018-06-20 2018-12-21 上海机商实业有限公司 售卖机的电控系统及电控方法
KR20200038011A (ko) * 2018-10-02 2020-04-10 카페24 주식회사 다중 주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10105081A (ko) * 2020-02-18 2021-08-26 윤성구 온라인 쇼핑몰 체인 시스템
WO2021235817A1 (ko) * 2020-05-18 2021-11-25 (주)오아시스 사용자에 의한 상품 패킹 및 배송을 보조하는 방법 및 장치
CN112558891A (zh) * 2020-12-10 2021-03-26 深圳一道创新技术有限公司 基于web与云应用的标签打印系统及方法
KR102296843B1 (ko) * 2021-02-10 2021-09-01 주식회사 테크타카 디지털 어소팅 시스템을 위한 작업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173100A1 (ko) * 2021-02-10 2022-08-18 주식회사 테크타카 디지털 어소팅 시스템을 위한 작업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RU2749645C1 (ru) * 2021-03-01 2021-06-16 Олеся Вячеславовна Савельева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терилизационным боксом, используемым для доставки товара
CN113554400A (zh) * 2021-08-03 2021-10-26 杭州拼便宜网络科技有限公司 库存数据更新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5357766A (zh) * 2022-10-17 2022-11-18 深圳美云集网络科技有限责任公司 数据匹配方法及相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4438A (ko)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주문에 대한 발송 및 발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27504A (ko)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주문에 대한 출고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5642490B2 (ja) 履歴情報管理システム、履歴情報管理サーバ、及び履歴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102508478B1 (ko)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와 방법
US202002426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ified Product Recalls Analytics & Notification Platform
KR20160067807A (ko) 실시간 재고 파악이 가능한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
KR100930819B1 (ko) 실시간으로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23153242A (ja) 返品情報生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18749A (ja) 国際発送支援システム、国際発送支援方法及び国際発送支援プログラム
JP7200538B2 (ja) 商品トレースシステム、商品情報管理サーバ、情報端末、商品トレー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77662B1 (ko)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의 주문상품 정보의 정렬방법
JP2007233688A (ja) 商品管理システム、商品管理装置、商品管理方法、および商品管理プログラム
JP6678855B1 (ja) 在庫管理システム
JP2004315116A (ja) 物品配送方法および配送システム
JP2018063583A (ja) 宅配管理システム及び宅配管理方法
US8095474B2 (en) Method for processing advanced ship notices (ASNs)
CN113469636A (zh) 一种异业合作平台的会员管理系统及方法
JP4925850B2 (ja) 配達受領証明システム
JP5358214B2 (ja) 商品発送システム
JP5078601B2 (ja) 商品マスタ包括生成サーバ、及び商品マスタ包括生成システム
JP6565026B1 (ja) 出品および納品を一括的に支援する方法、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支援システム
JP2017224104A (ja) 顧客情報管理装置、顧客情報管理システム、販売装置及び販売システム
JP5078600B2 (ja) 商品マスタ包括生成サーバ、及び商品マスタ包括生成システム
JP5042007B2 (ja) 商品マスタ包括生成サーバ、及び商品マスタ包括生成システム
US2024009573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tif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