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819B1 - 실시간으로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으로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819B1
KR100930819B1 KR1020090028467A KR20090028467A KR100930819B1 KR 100930819 B1 KR100930819 B1 KR 100930819B1 KR 1020090028467 A KR1020090028467 A KR 1020090028467A KR 20090028467 A KR20090028467 A KR 20090028467A KR 100930819 B1 KR100930819 B1 KR 100930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ybill
information
shopping mall
goods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구철
Original Assignee
(주)굿스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68404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3081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굿스플로 filed Critical (주)굿스플로
Priority to KR1020090028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운송장 양식들 중 쇼핑몰 서버에서 전송된 판매 정보에 대해 운송장 양식을 선택하고, 상기 운송장 양식에 상기 판매 정보를 매핑하여 운송장을 생성한 후 생성된 운송장은 상품 판매자에게 제공하고 판매 상품에 대한 운송장 번호는 상기 쇼핑몰 서버로 제공하는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쇼핑몰 서버들 중 어느 하나의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품의 판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의 판매자와 계약된 택배사의 운송장 양식들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운송장 양식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운송장 양식에 상기 판매 정보를 매핑하여 운송장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운송장은 상기 판매자에게 제공하고, 판매 상품에 대한 운송장 번호는 쇼핑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쇼핑몰, 운송장, 운송장 번호, 상품 판매자, 배송

Description

실시간으로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WAYBILL AND A DELIVERY INFORMATION}
본 발명은 판매된 상품에 대한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쇼핑몰에서 판매된 상품에 대한 운송장을 판매자가 신속히 출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배송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쇼핑몰, 택배사 및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CJ몰, GS이숍, G마켓, 옥션 등의 온라인 쇼핑몰에 상품을 등록하고 판매하는 판매자들은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품의 주문 내역을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 받은 후, 주문된 상품을 구분하고, 이 파일을 계약된 택배사의 서버에 로그인하여 운송장 출력 프로그램을 통해 운송장을 출력하며,이때 택배사로부터 생성된 운송장 번호를 다시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하여 쇼핑몰의 판매 자료중 주문 내역과 매칭하는 작업을 엑셀 프로그램에서 수행하고, 쇼핑몰 서버의 관리 페이지에 재로그인하여 주문에 매칭되는 운송장 번호를 업로드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식은, 판매자가 일일이 주문 내역(판매 정보)을 다운받아 택배사의 운송장 양식에 맞게 수정하고, 이를 택배사 운송장 출력 프로그램에 업로드하여 운송장을 출력하여 상품을 포장한 박스에 부착하여 택배사로 하여금 배송을 하도록 하며, 판매자는 운송장 번호를 대표값으로 하여 쇼핑몰의 주문 내역과 일일이 매칭하고, 그 결과를 쇼핑몰 서버에 업로드하게 된다.
그러나, 각 택배사나 쇼핑몰이 이용하고 있는 운송장 양식 또는 주문 내역 확인 양식이 제각각 이기 때문에, 판매자가 판매 정보 또는 배송 정보 등을 업로드하고 운송장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각 택배사 또는 쇼핑몰 서버별로 개별적인 수정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오류의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운송장 양식들 중 쇼핑몰 서버에서 전송된 판매 정보에 따라 판매자와 계약관계에 있는 택배사의 운송장 양식을 선택하고, 상기 운송장 양식에 상기 판매 정보를 매핑하여 운송장을 생성하여, 생성된 운송장은 상품 판매자에게 제공하고, 운송장 생정 정보는 택배사로 전송하며, 주문 상품에 대한 운송장 번호를 상기 쇼핑몰 서버로 제공할 수 있는, 실시간으로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쇼핑몰 서버들 중 어느 하나의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품의 판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품 판매자와 계약된 택배사의 운송장 양식들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운송장 양식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운송장 양식에 상기 판매 정보를 매핑하여 운송장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운송장을 상품의 판매자가 출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판매 상품에 대한 해당 운송장 번호를 상기 쇼핑몰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쇼핑몰 서버에서 전송된 판매 정보에 대한 어느 하나의 택배사가 제공한 운송장 양식을 선택하고, 상기 운송장 양식에 상기 판매 정보를 매핑하여 운송장을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운송장은 상품 판매자에게 제공하고, 운송장 생성 정보는 상기 택배사로 제공하며, 판매 상품에 대한 운송장 번호를 상기 쇼핑몰 서버로 제공하므로써, 판매자가 상품 배송에 따른 복잡한 처리 절차를 거치지 않고 운송장을 출력할 수 있고, 상기 택배사도 운송장 생성 정보를 바탕으로 필요에 따라 택배사 서버에 저장된 운송장 양식에 운송장 생정 정보를 매핑하여 운송장을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쇼핑몰 서버에는 판매 상품에 대한 운송장 번호가 등록되어 상기 주문된 개별 상품의 배송 진행 과정을 상품 구매자에게 신속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품 판매자는 판매된 상품 배송을 위한 복잡한 업무 처리 절차를 거치지 않고 운송장을 출력할 수 있게 되고, 정보 입력의 누락이나 오류의 위험을 현전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이하,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로 약술함)가 다수의 쇼핑몰 서버와 다수의 택배사를 상대로 하여 배송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배송 정보와 관련된 어렵고 통일되지 않은 다양한 용어들이 고객들도 쉽게 알 수 있는 용어로 통일하여 제공할 수 있고, 개별 쇼핑몰별 주문 내역이 아닌 다수의 쇼핑몰의 주문 내역을 한번에 모아서 각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쇼핑몰 배송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쇼핑몰 배송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판매자들이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쇼핑몰 사이트를 제공하는 다수의 쇼핑몰 서버(10), 어느 하나의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이 이용하는 다수의 고객 단말기(20), 적어도 어느 하나의 쇼핑몰 서버에 상품을 등록하여 판매하는 판매자가 이용하는 다수의 판매자 단말기(30),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운송장에 따라 상품을 배송하는 택배사(40) 및 다수의 택배사에서 이용되는 운송장 양식들 중에서 선택된 운송장 양식에 판매 정보를 매핑하여 운송장을 생성하고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50)를 포함한다.
쇼핑몰 서버(10)는 CJ몰, GS이숍, G마켓, 옥션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가상의 상점으로서, 쇼핑몰 서버는 다수의 판매자가 각자의 물건을 판매할 수 있도록 개별적인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쇼핑몰 서버의 관리 주체 또는 쇼핑몰 서버를 운영하는 업체를 간단히 쇼핑몰이라 한다.
고객 단말기(20)는 쇼핑몰 서버에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이 이용하는 단말기로서, 현재 이용되고 있는 다양한 매체들,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은 유선 단말기 및 핸드폰과 같은 무선 단말기들이 이용될 수 있다.
판매자 단말기(30)는 쇼핑몰 서버를 통해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가 이용하는 단말기로서, 판매자는 다수의 쇼핑몰과 업무 제휴를 할 수 있으며, 판매 자는 판매자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상품에 대한 정보를 업무 제휴를 한 쇼핑몰의 쇼핑몰 서버에 등록함으로써, 온라인 상에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혹은, 판매자에 따라 자체 쇼핑몰을 운영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판매자 단말기 자체가 하나의 쇼핑몰일 수도 있다.
택배사(40)는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품이 판매된 경우,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장치로부터 운송장 생성 정보를 제공받아 그에 따라 자체적으로 운송장을 출력하여 상품의 배송을 관리할 수도 있고 한편, 운송장이 발행된 이후부터 상품이 구매자에게 배송될 때까지의 배송 상태 정보를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50)는 업무 제휴를 한 쇼핑몰이 운영하는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품에 대한 판매 정보가 전송된 경우, 상기 쇼핑몰 또는 상품의 판매자와 계약되어 있는 택배사가 이용하는 운송장 양식에 판매 정보를 매핑시켜 생성된 운송장 생성 정보를 상기 택배사로 전송하는 한편, 판매 상품에 대한 운송장 번호를 쇼핑몰 서버로 전송하며, 택배사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배송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쇼핑몰 서버 또는 고객 단말기로 제공하고, 생성한 운송장을 상품 판매자가 출력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의 상세한 구성은 이하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한편, 운송장은 운송장 양식에 상품의 판매 정보등이 기입된 양식으로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품 판매자가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운송장 생성 정보는 운송장에 입력되는 정보들로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택배사로 전송되는 것이고, 운송장 처리 정보(이하, 판매 상품에 대한 운송장 번호라고 함)는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쇼핑몰 서버로 전송되는 것이며, 배송 상태 정보는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가 택배사로부터 제공받아 쇼핑몰 서버 또는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로부터 운송장을 전달받은 택배사가, 판매자로부터 상품을 전달받아 상품을 주문한 고객에게 실질적으로 전달할 때까지의 모든 상태 정보를 말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50)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쇼핑몰 배송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는, 판매자(또는 쇼핑몰 서버의 관리자)(이하, 간단히 '사용자'라 함)가 운송장을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품 정보, 구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51), 판매 상품의 집하 지점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쇼핑몰 서버에 관한 정보와 다수의 판매자(또는 쇼핑몰)와 계약되어 있는 다수의 택배사에 할당된 운송장 번호, 운송장 양식, 발송지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부(53),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54),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55), 판매자에게 제공하는 운송장과, 택배사에게 제공하는 운송장 생성 정 보와, 쇼핑몰에 제공되는 운송장 번호와, 쇼핑몰 또는 고객 단말기에 제공하는 배송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배송 정보 제공부(56) 및 상기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며, 특히 판매 정보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선택된 운송장 양식에 판매 정보를 매핑시켜 운송장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는(52)는, 상품 판매자와 계약된 택배사들로부터 제공된 운송장 양식들을 검색하는 정보 검색부(52a), 상기 운송장 양식들 중 상기 상품을 판매한 쇼핑몰 서버의 관리자 또는 상기 상품을 제공한 판매자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따라 운송장 양식을 선택하는 운송장 선택부(52b) 및 상기 운송장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운송장 양식에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전송된 판매 정보와 택배사 정보를 매핑하는 운송장 생성부(52c)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운송장 생성부는 운송장 양식에 판매 정보를 매핑시킬 때, 수신된 판매 정보를 분석하여 동일한 구매자에게 배송될 상품의 경우에는, 상기 운송장 번호를, 동일 구매자에게 배송될 상품의 박스단위로 발급할 수도 있다. 또한, 운송장 생성부는 택배사로부터 제공된 할당된 운송장 번호가 없는 경우에는 임의로 운송장 번호를 생성하여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51)는 네트워크를 통해 쇼핑몰 서버, 고객 단말기, 판매자 단말기, 택배사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정보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베이스부(53)는 판매 상품의 집하 지점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품 판매자 또는 쇼핑몰 서버에 관한 정보, 다수의 사용자와 계약된 다수의 택배사에 할당된 운송장 번호, 운송장 양식, 발송지점 정보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부(54)는 판매자가 판매 상품에 대해 생성된 운송장 양식을 모니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55)는 운송장 생성을 위한 각종 정보를 입력받고, 특히, 출력부를 통해 다수의 운송장 양식이 출력된 경우에, 어느 하나의 운송장 양식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배송 정보 제공부(56)는 상기한 바와 같이, 판매자에게 제공되는 운송장, 쇼핑몰 서버로 전송되는 운송장 번호, 택배사에 제공되는 운송장 생성 정보, 판매된 상품이 구매자에게 배송될 때까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배송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쇼핑몰 서버, 고객 단말기, 판매자 단말기, 택배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하기 위하여 운송장, 운송장 생성 및 운송장 처리 정보, 배송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배송 정보 제공부는 제어부에서 생성된 운송장과, 운송장 생성 및 처리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제어부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정보들을 판매자 단말기, 택배사, 쇼핑몰 서버로 각각 전송하며, 택배사로부터 전송된 배송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쇼핑몰 서버 또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쇼핑몰 서버 또는 고객 단말기로 배송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송장 생성 및 배송 정보 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방법은 이하에서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의 관리자 혹은 상품 판매자가 운송장 양식을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방법을 이용하고자 하는 쇼핑몰은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업체와 업무 제휴를 하게 되며, 쇼핑몰 및 상품 판매자와 계약하여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배송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택배사 역시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업체와 업무 제휴를 한다. 상기 업무 제휴에 따라 쇼핑몰 서버,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 택배사 간에는 전자적인 연동이 이루어져 정보가 공유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적 연동 방식으로는 FTP 연동 방식 또는 DB 연동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FTP 연동 방식이란 전용선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식으로서, 시간별로 판매 정보를 잘라서 파일화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관리 비용이 비싸지만 전송효율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DB 연동 방식은 상호 접근 권한을 주어 데이터를 가져 오는 방식을 말한다. 그외 전자적 연동 방식은 웹서비스 연동방식, 메신저 연동 방식등 통상적인 다양한 방식이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는 업무 제휴한 쇼핑몰과 택배사로부터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정보들, 예를 들어, 운송장 번호, 운송장 양식, 운송 계약 정보, 발송지점 정보 등을 제공받아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업무 제휴한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품 정보, 구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가 수신되면(302),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의 제어부(정보 검색부)는 데이터 베이스부를 통해 운송장 양식을 검색하는 한편(304), 검색된 운송장 양식들을 출력부의 모니터를 통해 출력한다(306). 즉, 제어부는 판매 정보가 수신되면, 판매 정보가 제공된 상품 판매자 또는 쇼핑몰 서버와 계약되어 있는 택배사가 제공하는 운송장 양식을 데이터 베이스부로부터 검색하여 검색된 운송장 양식들을 출력부의 모니터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상품 판매자(쇼핑몰 포함)는 출력된 운송장 양식들 중, 판매 정보를 전송한 쇼핑몰 서버 또는 상품 판매자와 계약되어 있는 택배사가 제공한 운송장 양식을 선택하거나, 또는 판매 정보를 전송한 쇼핑몰 서버 또는 판매자와 계약된 택배사가 없는 경우에는 다양한 조건들(예를 들어, 상품의 집하장과 택배사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최적의 택배사를 선정한 후 선정된 택배사가 제공한 운송장 양식을 선택하게 된다(308).
어느 하나의 운송장 양식이 상품 판매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의 운송장 선택부가 운송장 양식을 선택하여 추출하며, 운송장 생성부는 선택된 운송장 양식에 맞게 판매 정보를 매핑하여 운송장을 생성한다(310).
제어부가 생성된 운송장을 배송 정보 제공부에 저장하면, 배송 정보 제공부는 상품 판매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된 운송장을 출력하도록 제공한다(312).
또한, 제어부는 판매 상품에 대한 운송장 번호를 쇼핑몰 서버에 통지하기 위하여, 쇼핑몰 서버에서 요구하는 양식에 따라 판매된 상품에 대한 운송장 번호를 생성하여 쇼핑몰 서버로 전송한다(314). 즉, 제어부는 운송장이 발송되었음을 쇼핑몰 서버에 확인시켜 주기 위하여 운송장 처리 정보를 쇼핑몰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는, 운송장에 따라 구매자로 배송되는 상품의 배송 상태 정보를 택배사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고 있다가 쇼핑몰 서버 또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쇼핑몰 서버 또는 고객 단말기로 배송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316). 즉, 상품 구매자는 고객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상품을 구매한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배송 상태 정보를 요청하거나 또는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에 접속하여 직접 배송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해당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가 다양한 쇼핑몰 서버에서 판매된 판매 정보들을 취합하여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구매자는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에 접속하여, 다양한 쇼핑몰 서버에서 자신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배송 상태 정보를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사용자(판매자 또는 쇼핑몰 서버의 관리자)가 운송장 양식을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업체, 쇼핑몰, 택배사 간의 업무 제휴 및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가 쇼핑몰 서버로부터 판매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402)은 제1실시예에서의 과정(302)과 동일함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판매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판매 정보 수신을 알리는 수신 통지를 사용 자가 이용하는 단말기(판매자 단말기 또는 쇼핑몰 서버의 관리자 단말기)(사용자 단말기라 함)로 전송하며(404), 수신 통지를 수신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에 접속하게 된다(406). 이때,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수신 통지를 받지 않더라도 자체적인 통지 방법에 의해 판매 정보가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되었음을 확인한 후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로 상기 판매 정보와 관련된 운송장 양식 검색을 요청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어부는 제1실시예에서의 운송장 양식 검색 과정(304)과 동일하게 운송장 양식을 검색한다(408).
제어부는 검색된 운송장 양식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출력한다(410).
이때, 사용자는 출력된 운송장 양식들 중, 판매 정보를 전송한 쇼핑몰 또는 판매자와 계약되어 있는 택배사가 제공한 운송장 양식을 선택하거나 또는 판매 정보를 전송한 쇼핑몰 또는 판매자와 계약된 택배사가 없는 경우에는 다양한 조건들(예를 들어, 상품의 집하장과 택배사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택배사를 선정한 후 선정된 택배사가 제공한 운송장 양식을 선택하게 된다(412).
이후의 과정(414 내지 420)은 제1실시예에서의 과정(310 내지 316)과 동일함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즉, 어느 하나의 운송장 양식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는 선택된 운송장 양식에 판매 정보를 매핑하여 운송장을 생성하며(414), 생성된 운송장을 판매자에게 제공하고(416), 운송장 번호를 생성하여 쇼핑몰 서버로 전송하며(418), 배송 상태 정보를 쇼핑몰 서버 또는 고객 단말기로 전송한다(420).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5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는, 상품 발송 지점, 배송지, 판매 정보를 제공한 쇼핑몰, 상기 쇼핑몰 또는 상품 판매자와 계약된 택배사의 유무 등을 고려하여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가 자동으로 운송장 양식을 선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품 정보, 구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51), 판매 상품의 집하 지점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쇼핑몰 서버에 관한 정보와 다수의 판매자(또는 쇼핑몰)와 거래하는 다수의 택배사에 할당된 운송장 번호, 운송장 양식, 운송 계약 정보, 발송지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부(53),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운송장 또는 배송 정보등의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54),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55), 운송장과, 운송장 생성 및 처리 정보와, 배송 상태 정보를 상품 판매자, 택배사, 쇼핑몰 서버 또는 고객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배송 정보 제공부(56) 및 상기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판매 정보가 수신된 경우 판매 정보를 고려하여 운송장 양식을 선택한 후 선택된 운송장 양식에 판매 정보를 매핑시켜 운송장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는 제어부의 기능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어부의 기능에 대하여만 설명된다.
즉, 제어부는(52)는 운송장을 소정의 설정된 기준에 따라 자동적으로 생성 하여 상품 판매자로 제공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운송장 전송과 관련하여 쇼핑몰 서버로 운송장 번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판매된 상품이 구매자에게 배송될 때까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배송 상태 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택배사들로부터 제공된 운송장 양식들을 검색하는 정보 검색부(52a), 상품 발송 지점, 배송지, 판매 정보를 제공한 쇼핑몰, 상기 쇼핑몰과 계약한 택배사의 유무 등을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택배사가 제공하는 운송장 양식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운송장 선택부(52b) 및 상기 운송장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운송장 양식에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전송된 판매 정보와 택배사 정보를 자동으로 매핑하는 운송장 생성부(52c)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정보 검색부(52a) 및 운송장 생성부(52c)는 제1실시예에서의 정보 검색부(52a) 및 운송장 생성부(52c)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는, 제1실시예와 비교해 볼 때 그 구성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는, 운송장 선택부(52b)가 각종 정보들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운송장 양식을 선택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에서 실행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방법은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가 운송장 양식을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업체, 쇼핑몰, 택배사 간의 업무 제휴 및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가 쇼핑몰 서버로부터 판매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602)은 제1실시예에서의 과정(302)과 동일함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판매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상품 발송 지점, 배송지, 판매 정보를 제공한 쇼핑몰, 상기 쇼핑몰(상품 판매자 포함)과 계약한 택배사의 유무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부로부터 어느 하나의 택배사가 제공하는 운송장 양식을 선택한다(604). 즉,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실시예에서는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판매자 또는 쇼핑몰 서버의 관리자)가 운송장 양식을 선택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부 중 특히, 운송장 선택부가 판매 정보에 입력되어 있는 쇼핑몰 정보, 상품 발송 지점, 배송지, 판매자 정보와 함께, 상기 쇼핑몰 또는 판매자와 업무 제휴되어 있는 택배사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택배사가 제공한 운송장 양식을 자동으로 선택한다. 운송장의 자동 선택은 배송지 또는 운송장에 기재될 정보의 양을 고려하여 소 정의 기준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선택을 하게 된다. 가령, 보다 신속한 배송을 위해 배송지를 고려하여 배송에 최적인 택배사의 운송장 양식을 선택하거나, 운송장에 기재될 정보의 양(가령, 20자 이상, 30자 이상등등)에 따라 택배사의 운송장 양식을 자동으로 선택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의 운송장 생성부는 이미 발송된 운송장 또는 운송장 생성 및 처리 정보를 배송 정보 제공부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이후, 또 다른 판매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배송 정보 제공부의 운송장 생성 정보를 분석하여, 동일한 쇼핑몰로부터 동일한 상품에 대한 판매 정보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이미 발송된 운송장의 운송장 양식과 동일한 운송장 양식을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한편, 이미 발송된 운송장 또는 운송장 생성 정보를 이용한 자동 선택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운송장 또는 운송장 생성 및 처리 정보를 이용한 자동 선택을 1차적으로 수행하여 그에 따른 운송장 양식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2차적으로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 운송장 양식에 대한 선택권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후의 과정(606 내지 612)은 제1실시예에서의 과정(310 내지 316)과 동일함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즉, 어느 하나의 운송장 양식이 자동적으로 선택되면, 제어부의 운송장 생성부는 선택된 운송장 양식에 판매 정보를 매핑하여 운송장을 생성한다(606). 이후, 제어부가 생성된 운송장을 배송 정보 제공부에 저장하면, 배송 정보 제공부가 판매자의 요청에 따라 운송장을 판매자에게 제공한다(608). 또한, 제어부는 운송장 처리 결과 정보(판매 상품에 대한 운송장 번호)를 쇼핑몰 서버로 전송하며(610), 배송 상태 정보를 쇼핑몰 서버 또는 고객 단말기로 전송한다(612).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가 다수의 택배사에 대한 운송장을 작성하여 판매자에게 제공하고, 운송장 생성 및 처리 정보와 배송 상태 정보를 일괄적으로 정리하여 각 쇼핑몰 서버 또는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상품 배송과 관련된 다양한 용어들이 통일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배송 상태 정보 중에는 택배사에 따라 같은 의미도 다르게 표현되는 단어들이 많은바, 본 발명은 이를 통일해서 구매자가 가장 알기 쉬운 용어로 배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의 상품을 구매자가 구매하면, 택배사에 따라 같은 용어를 다음과 같이 다르게 표현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즉, 집하처리- 간선상차- 간선하차- 소분류- 배송출발- 배송완료라고 표현하는 택배사가 있는 반면에, 집하- 배송중(출고)- 배송중(입고)- 보관중- 배달중- 배달완료라고 표현하는 택배사도 있다.
상기 예에서 집하는 물건을 모았다는 의미이고, 간선상차는 집하된 장소에서 출고를 하였다는 의미이고, 간선하차는 물건을 입고 받았다는 의미이고, 소분류는 입고된 물건을 보관중이란 의미이고, 배송 출발은 구매자에게 물건을 배달하는 중이란 의미이며, 배달완료는 배달을 다 했다는 의미이지만 이러한 용어는 일반 구매자가 이해하기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배송 정보와 관련된 어렵고 통일되지 않은 다양한 용어들이 다수의 쇼핑몰과 다수의 택배사를 중계하고 있는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알기 쉬운 용어로 통일되어 제공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쇼핑몰 배송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쇼핑몰 서버 20 : 고객 단말기
30 : 판매자 단말기 40 : 택배사
50 :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장치

Claims (13)

  1. 쇼핑몰 서버들에서 판매되는 상품들의 집하 지점 정보, 상기 쇼핑몰 서버들에 관한 정보, 상기 쇼핑몰 서버들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들의 정보, 상기 판매자들 또는 상기 쇼핑몰 서버들과 계약된 택배사에 대한 할당된 운송장 번호들, 운송장 양식들 및 발송지점 정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쇼핑몰 서버들 중 어느 하나의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품의 판매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상품의 판매자와 계약되어 있는 택배사의 상기 운송장 양식들을 검색하는 정보 검색부;
    상기 검색된 운송장 양식들 중 상기 상품을 판매한 쇼핑몰 서버의 관리자 또는 상기 상품을 제공한 판매자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따라 운송장 양식을 선택하는 운송장 선택부
    상기 검색된 운송장 양식중 상기 운송장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운송장 양식에 판매 정보를 매핑시켜 운송장을 생성하는 운송장 생성부;
    상기 운송장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운송장은 상기 판매자가 출력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판매된 상품에 대한 운송장 번호는 상기 쇼핑몰 서버에 제공하는 배송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장 선택부는 상기 상품의 발송 지점, 상기 상품의 배송지, 운송장에 기재될 정보의 양, 상기 쇼핑몰 서버와 계약된택배사에 대한 정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택배사가 제공한 운송장 양식들 중 어느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장 생성부는,
    상기 운송장 양식에 상기 판매 정보를 매핑시킬 때, 동일한 구매자에게 배송될 상품들에 대하여는, 상기 구매자에게 배송될 상품의 박스단위로 상기 운송장에 대한 번호를 발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정보 제공부는,
    상기 택배사에서도 운송장을 출력할 수 있도록 운송장 생성 정보를 상기 택배사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정보 제공부는, 상기 상품이 구매자에게 배송될 때까지의 배송 상태 정보를 상기 택배사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쇼핑몰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정보 제공부는 상기 쇼핑몰들로부터 수신된 판매 정보를 구매자별로 분류하여, 상기 상품을 구매한 고객이 이용하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배송 상태 정보가 요청된 경우에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쇼핑몰들로부터 구매한 구매 상품에 대한 배송 상태 정보를 일괄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
  8. 쇼핑몰 서버들 중 어느 하나의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품의 판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쇼핑몰 서버들에서 판매되는 상품들의 집하 지점 정보, 상기 쇼핑몰 서버들에 관한 정보, 상기 쇼핑몰 서버들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들의 정보, 상기 판매자들 또는 상기 쇼핑몰 서버들과 계약된 택배사에 대한 할당된 운송장 번호들, 운송장 양식들 및 발송지점 정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쇼핑몰 또는 상품의 판매자와 계약되어 있는 택배사의 운송장 양식들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운송장 양식들의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품을 판매한 상기 쇼핑몰 서버의 관리자 또는 상기 상품 판매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검색된 운송장 양식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운송장 양식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운송장 양식에 상기 판매 정보를 매핑하여 운송장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운송장은 상기 판매자가 출력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상기 판매된 상품에 대한 운송장 번호는 상기 쇼핑몰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장 양식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의 발송 지점, 상기 상품의 배송지, 운송장에 기재될 정보의 양, 상기 쇼핑몰 서버 혹은 상품 판매자와 계약된 택배사에 대한 정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택배사가 제공하는 운송장 양식들 중 어느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이 구매자에게 배송될 때까지의 배송 상태 정보를 상기 택배사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쇼핑몰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들로부터 수신된 판매 정보를 구매자별로 분류하여, 상기 상품을 구매한 고객이 이용하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배송 상태 정보가 요청된 경우에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쇼핑몰들로부터 구매한 구매 상품에 대한 배송 상태 정보를 일괄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방법.
  13. 쇼핑몰 서버들 중 어느 하나의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품의 판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매 정보를 전송한 상기 쇼핑몰 서버와 동일한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과 동일한 상품에 대한 판매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수신된 상기 판매 정보와 동일한 판매 정보가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기 저장되어 있는 판매 정보가 매핑된 운송장 양식에 상기 수신된 판매 정보를 매핑하여 상기 운송장을 생성하고, 상기 상품의 기저장된 판매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쇼핑몰 서버들에서 판매되는 상품들의 집하 지점 정보, 상기 쇼핑몰 서버들에 관한 정보, 상기 쇼핑몰 서버들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들의 정보, 상기 판매자들 또는 상기 쇼핑몰 서버들과 계약된 택배사에 대한 할당된 운송장 번호들, 운송장 양식들 및 발송지점 정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부로부터 판매자와 계약되어 있는 택배사의 운송장 양식들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운송장 양식들의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품을 판매한 상기 쇼핑몰 서버의 관리자 또는 상기 상품 판매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검색된 운송장 양식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운송장 양식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운송장 양식에 상기 판매 정보를 매핑하여 운송장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운송장은 상기 판매자가 출력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상기 판매된 상품에 대한 운송장 번호는 상기 쇼핑몰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송장 및 배송 정보 제공 방법.
KR1020090028467A 2009-04-02 2009-04-02 실시간으로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930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467A KR100930819B1 (ko) 2009-04-02 2009-04-02 실시간으로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467A KR100930819B1 (ko) 2009-04-02 2009-04-02 실시간으로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0819B1 true KR100930819B1 (ko) 2009-12-10

Family

ID=41684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467A KR100930819B1 (ko) 2009-04-02 2009-04-02 실시간으로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81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419B1 (ko) * 2011-08-22 2012-08-07 (주)코리아센터닷컴 상품 판매 시스템의 배송 관리 장치
KR20170014752A (ko) 2015-07-31 2017-02-08 애드게이트홀딩스 주식회사 신선상품 택배 배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74521A (ko) 2017-12-20 2019-06-28 (주)파슬넷 회송택배를 이용하는 택배 서비스 방법
WO2020175762A1 (ko) * 2019-02-28 2020-09-03 (주)굿스플로 운송장 출력 서비스 장치 및 운송장 출력 서비스 방법
CN111967932A (zh) * 2020-08-10 2020-11-20 上海中通吉网络技术有限公司 快递单号的生成方法及系统
KR102242946B1 (ko) 2020-01-19 2021-05-04 주식회사굿스플로 반품 서비스 방법
KR20220045138A (ko) * 2020-09-01 2022-04-12 쿠팡 주식회사 물류 관리 방법 및 이의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047A (ja) * 2001-01-19 2002-08-02 Toshiba Tec Corp 仮想店舗用送り状発行装置、仮想店舗開設サーバおよび仮想店舗販売商品送り状自動発行システム
KR20080041004A (ko) * 2006-11-06 2008-05-09 종 진 임 운송장번호를 이용한 쇼핑몰 배송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047A (ja) * 2001-01-19 2002-08-02 Toshiba Tec Corp 仮想店舗用送り状発行装置、仮想店舗開設サーバおよび仮想店舗販売商品送り状自動発行システム
KR20080041004A (ko) * 2006-11-06 2008-05-09 종 진 임 운송장번호를 이용한 쇼핑몰 배송 처리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419B1 (ko) * 2011-08-22 2012-08-07 (주)코리아센터닷컴 상품 판매 시스템의 배송 관리 장치
KR20170014752A (ko) 2015-07-31 2017-02-08 애드게이트홀딩스 주식회사 신선상품 택배 배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74521A (ko) 2017-12-20 2019-06-28 (주)파슬넷 회송택배를 이용하는 택배 서비스 방법
WO2020175762A1 (ko) * 2019-02-28 2020-09-03 (주)굿스플로 운송장 출력 서비스 장치 및 운송장 출력 서비스 방법
KR102242946B1 (ko) 2020-01-19 2021-05-04 주식회사굿스플로 반품 서비스 방법
CN111967932A (zh) * 2020-08-10 2020-11-20 上海中通吉网络技术有限公司 快递单号的生成方法及系统
KR20220045138A (ko) * 2020-09-01 2022-04-12 쿠팡 주식회사 물류 관리 방법 및 이의 전자 장치
KR102660940B1 (ko) * 2020-09-01 2024-04-25 쿠팡 주식회사 물류 관리 방법 및 이의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466B1 (ko) 고객정보 보호가 가능한 공유 및 통합 운송장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930819B1 (ko) 실시간으로 운송장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19200753A (ja) 決定装置、決定方法および決定プログラム
JP5149958B2 (ja) 商品受注装置、商品受注方法、商品受注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20200005233A1 (en) Beverage product acquisition an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KR20130052233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소셜 커머스와 오픈 마켓을 결합한 휴대폰 판매 서비스 방법
JP6479108B2 (ja) 変更装置、変更方法、および変更プログラム
JP5719414B2 (ja) アフターサービス管理システム、サーバー、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30142B2 (ja) Ediサーバコンピュータ及びediシステム
KR20210105010A (ko) 주문 트렌드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653234B1 (ko)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US11640579B2 (en) Method, system, server processing system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managing inventory
JP7307870B2 (ja) 在庫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2212471A (ja) Web−POS方式
KR101299829B1 (ko) 온라인 트레이딩 중개 방법
JP2009075819A (ja) コンテンツ記録媒体受注システム
KR101062378B1 (ko) 수발주 시스템하에서 상품 등록 및 판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3951610B2 (ja) 配達方法、配達依頼方法、配達管理装置および配達依頼管理装置
KR20160104755A (ko)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4989A (ko)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대화형 주문 관리 서비스 방법
JP6270421B2 (ja) 商品受発注装置、および商品受発注システム
KR20210104993A (ko)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대화형 주문 관리 서비스를 위한 정보처리 프로그램
KR20210104991A (ko)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대화형 주문 관리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210104985A (ko) 도소매 및 사입 간 주문서 중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KR20210104992A (ko)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주문서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0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