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339B1 -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339B1
KR102340339B1 KR1020210013922A KR20210013922A KR102340339B1 KR 102340339 B1 KR102340339 B1 KR 102340339B1 KR 1020210013922 A KR1020210013922 A KR 1020210013922A KR 20210013922 A KR20210013922 A KR 20210013922A KR 102340339 B1 KR102340339 B1 KR 102340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information
product
electronic device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율희
문보라
장주란
배호연
이혜빈
임영수
조연정
김영수
김영진
피정호
나유철
홍순호
김한솔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3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339B1/ko
Priority to KR1020210177704A priority patent/KR20210158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오배송 이벤트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 및 배달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배달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달원이 이용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배달원이 이용가능할 경우 상기 배달원에 대응하는 제1 단말에 상기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DELIVER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오배송 이벤트의 확인을 기초로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전자상거래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전자상거래 시장은 거래가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래가 이루어진 상품의 운송을 위한 배송 서비스가 동반된다. 배송 서비스는 고객이 입력한 배송지로 주문한 상품을 배달원이 배송하는 서비스이다. 즉, 배달원은 배송지를 확인하여 배송지가 나타내는 주소로 상품을 배송함으로써 배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만, 경우에 따라 배달원의 착오 등으로 인해 고객이 입력한 배송지가 아닌 잘못된 배송지로 상품을 배송하게 되는 오배송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품이 고객에게 정상적으로 배송되기 위해서는 재출고를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상품의 배송에 있어서, 당초 예상되었던 시간 보다 긴 시간이 소요되어 고객으로 하여금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오배송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고객에게 발생 가능한 불편함이 최소화되도록 배송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실시 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달원의 이용가능여부를 기반으로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처리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 상황을 반영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오배송 이벤트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라,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오배송 이벤트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 및 배달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배달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달원이 이용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배달원이 이용가능할 경우 상기 배달원에 대응하는 제1 단말에 상기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라,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는, 트랜시버와,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오배송 이벤트를 확인하고, 상기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 및 배달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배달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달원이 이용가능한지 확인하고, 상기 배달원이 이용가능할 경우 상기 배달원에 대응하는 제1 단말에 상기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를 전송하 있다.
제3 실시 예에 따라,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일시적 기록매체로서, 제어 방법은, 오배송 이벤트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 및 배달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배달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달원이 이용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배달원이 이용가능할 경우 상기 배달원에 대응하는 제1 단말에 상기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배달원의 이용가능여부를 기반으로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처리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 상황을 반영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오배송 이벤트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오배송 이벤트의 확인에 대응하여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 및 배달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고객에게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연결 관계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배달원에 대응하는 제1 단말에 표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배달원에 대응하는 제1 단말에 표시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배달원에 대응하는 제1 단말에 표시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정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연결 관계에 대한 개념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고객 단말(101), 전자 장치(102) 및 복수의 배달원 단말(103, 104, 105)의 연결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웹사이트를 통한 상품 거래가 발생하면 상품 거래의 관리자(예: 상품의 판매자, 웹사이트의 배송 관리자)는 주문된 상품을 고객이 요청한 배송지로 배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객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는 도 1의 고객 단말(101)에 대응할 수 있고, 상품 거래의 관리자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2)에 대응할 수 있으며, 주문된 상품의 배송을 위한 배달원(courier)의 전자 장치는 도 1의 배달원 단말(예: 제1 배달원 단말(103))에 대응할 수 있다. 고객 단말(101), 전자 장치(102) 또는 배달원 단말(예: 제1 배달원 단말(103), 제2 배달원 단말(104), 제3 배달원 단말(105))은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 태블릿, 또는 데스크탑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전자 장치(102)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2)는 상기 웹사이트와 관련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102)는 상품 거래의 관리자에 대응하는 다른 전자 장치와의 연결 또는 고객 단말(101)과의 연결을 기반으로 입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정보는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정보는 오배송이 이루어진 상품의 주문 정보,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정정 배송 요청 시점,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정정 배송 요청기한, 및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정정 배송 실패에 대응한 상품 처리 방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관련된 '상품의 거래'는 웹사이트를 통한 거래, 즉 전자 상거래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품의 배송 서비스가 수반되는 다양한 거래, 예를 들면 홈쇼핑 거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품 거래의 관리자는 예를 들면 상품의 배송을 관리하는 자, 배송 관리를 위한 권리를 위임 받은 자, 또는 웹사이트의 상담원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술된 예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웹사이트를 통해 상품의 주문은 복수의 고객으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품을 주문한 복수의 고객 각각의 위치가 상이한 경우 복수의 배달원 각각은 서로 다른 고객에게 상품을 배송할 수 있다. 주문된 상품의 배송을 위한 배달원 또는 배달원 단말은 상품을 주문한 고객이 요청한 배송지를 기초로 기결정된 것일 수 있다.
도 1의 복수의 배달원 단말(103, 104, 105)은 복수의 배달원 각각에 대응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배달원 단말은 제1 배달원에 대응하는 단말이고, 제2 배달원 단말은 제2 배달원에 대응하는 단말이며, 제3 배달원 단말은 제1 배달원에 대응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배달원 단말은 생략될 수도 있고 다른 배달원 단말이 추가될 수도 있다. 상술한 웹사이트를 통한 거래를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및 전자 상거래에 수반되는 배송 서비스와 관련하여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한 바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2)는 고객 단말(101) 및 복수의 배달원 단말(103, 104, 105) 중 적어도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고객 단말(101)은 복수의 배달원 단말(103, 104, 105) 중 하나(예: 제1 배달원 단말(103))에 대응하는 배달원이 배송할 상품에 대응하는 고객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2)는 연결을 기반으로 고객 단말(101) 및 복수의 배달원 단말(103, 104, 105) 중 적어도 일부와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2)는 고객 단말(101)과의 연결을 기반으로, 고객 단말(101)로부터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를 수신하고 고객 단말(101)에게 정정 배송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는 오배송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2)는 제1 배달원 단말(103)과의 연결을 기반으로, 제1 배달원 단말(103)에게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고, 제1 배달원 단말(103)로부터 배송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배달원 단말(103)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정보는 예를 들면 오배송과 관련된 처리 정보로, 예를 들면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정정 배송의 처리 불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처리 불가에 대한 사유를 나타내는 정보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응답 정보는 배달원 단말에 대응하는 배달원에 의한 입력을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배달원에 의한 입력과 관련된 구체적인 예는 도 11을 참조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2)는 고객 단말(101)과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기반으로 고객과 통화하는 상담원의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2)는 고객과 통화하는 상담원이 사용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담원은 고객과의 통화를 기초로 고객으로부터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여 전자 장치(102)에 입력할 수 있고, 이러한 상담원의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02)는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2)는 고객 단말(101)과 연결되어 고객의 입력을 기초로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2)는 웹사이트에서 관리하는 상품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2)는 상품 별 배송 현황, 상품 별 배송 결과, 상품 별 배송지 및 상품 별 배송이 완료됨에 대응하여 촬영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송 현황, 상기 배송 결과, 및 상기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는 상품의 배송에 대응하는 배달원의 단말(예: 제1 배달원 단말(103))로부터 전송된 것이고, 배송지는 상품의 주문에 대응하여 획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에는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트랜시버(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각 요소(element)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트랜시버(2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operating device)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는 메모리(220), 프로세서(230)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실시 예에서 도 2의 전자 장치(200)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200)의 구현 방식에 의해 본 명세서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트랜시버(210)는 다른 전자 장치와 연결되어 전자 장치(200)와 다른 전자 장치 사이에 정보가 송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210)를 통해 전자 장치(200)는 다른 전자 장치로 정보를 전송하거나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트랜시버(210)의 통신 방식에 대해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한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
메모리(220)는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instruction)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23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명령어를 기반으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전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명령어를 기초로 전자 장치(200)의 요소를 제어하여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오배송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고객에 대응하는 단말(예: 고객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오배송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230)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오배송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입력은 주문한 상품이 오배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오배송 이벤트는 예를 들면 주문한 상품이 오배송된 경우, 즉 상품에 대응하는 올바른 배송지가 아닌 다른 배송지로 상품이 배송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 및 배달원(courier)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오배송 이벤트가 확인되면,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 및 배달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확인되는 정보 및 전자 장치(200) 내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확인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획득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는 예를 들면 상품의 주문 정보,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정정 배송 요청 시점,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정정 배송 요청기한, 및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정정 배송 실패에 대응한 상품 처리 방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품의 주문 정보는 오배송된 상품에 대응하는 송장정보 또는 주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정 배송 요청 시점은 고객에 의해 정정 배송이 요청된 경우 정정 배송이 요청된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정정 배송 요청 기한은 정정 배송이 완료되도록 요청된 기한으로, 예를 들면 정정 배송이 요청된 시점으로부터 3시간 내, 또는 오후 5시 이전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처리 방법은 정정 배송이 실패하는 경우 상품을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상품의 환불 또는 상품의 재출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예는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이러한 예에 본 명세서의 실시 예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전자 장치(200) 내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확인되는 정보는 예를 들면, 오배송 이벤트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 정보,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정정 배송을 위한 주소 정보 및 정정 배송 주소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배송 이벤트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 정보는 상품이 오배송된 경우 오배송지에서 촬영된 상품의 이미지 정보로, 오배송에 대응하여 배달원 단말로부터 전자 장치(200)로 전송됨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200) 내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정정 배송을 위한 주소 정보는 상품을 주문한 고객이 기존에 입력하였던 상품의 배송을 위한 주소 정보, 즉 올바른 배송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정 배송 주소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는 과거에 상기 올바른 배송지로 정확하게 배송이 수행됨에 대응하여 올바른 배송지에서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정 배송 주소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는 과거의 배송에 대응하여 배달원 단말로부터 기획득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이러한 예에 본 명세서의 실시 예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여기서 정정 배송은 오배송지로 오배송된 상품이 올바른 배송지로 재배송되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배송된 상품은 오배송지에서 수거되어 올바른 배송지로 재배송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동일한 상품이 여유 물량에 포함된 경우 여유 물량 중에서 재배송될 수도 있다.
배달원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면 오배송을 수행한 배달원에 대한 정보 및 오배송을 수행한 배달원에 대응하는 배달원 단말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확인된 배달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배달원이 이용가능(available)한지 확인할 수 있다. 배달원의 이용가능여부는 예를 들면 배달원이 정정 배송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30)는 배달원의 근무 정보, 배달원의 현재 위치 및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처리 요청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배달원이 이용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 배달원의 근무 정보는 예를 들면 배달원이 현재 근무 중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달원의 현재 위치는 예를 들면 배달원에 대응하는 배달원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처리 요청 시간은 예를 들면 정정 배송 요청 기한과 관련하여 기한을 만족하기 까지 남은 시간 또는 기한에 대응하는 시간(예: 오후 5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배달원이 현재 근무 중이며, 배달원의 현재 위치가 오배송지로부터 특정 거리 범위 내이고, 정정 배송 요청 기한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 배달원이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230)는 배달원이 현재 근무 중이며 배달원의 현재 위치가 오배송지로부터 특정 거리 범위 내이지만 정정 배송 요청 기한이 초과한 경우 배달원이 이용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230)는 배달원이 현재 근무 중이며 정정 배송 요청 기한이 초과되지 않았지만 배달원의 현재 위치가 오배송지로부터 특정 거리 범위 밖인 경우 배달원이 이용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배달원이 이용가능할 경우 배달원에 대응하는 제1 단말(예: 배달원 단말)에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배송 정보의 전송에 대응하여 제1 단말에는 배송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예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30)는 배달원이 이용가능하지 않을 경우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처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처리 정보는 상품에 대한 환불과 관련된 정보 및 상품에 대한 재출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처리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미리 지정된 것으로, 배달원이 이용가능하지 않을 경우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프로세서(230)는 오배송된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특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처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배달원의 이용가능여부와 무관하게 오배송된 시점으로부터 12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처리 정보(예: 재출고, 환불)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생성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의 처리 절차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30)는 제1 단말로부터 응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응답 정보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제1 단말로 전송된 배송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응답 정보는 제1 단말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응답 정보는 예를 들면 제1 단말에 표시되는 배송 정보에 대응하여 가해지는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로, 정정 배송이 불가함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정정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예는 도 11을 참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30)는 응답 정보가 제1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품에 대한 처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정보는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정정 배송의 처리 불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처리 불가에 대한 사유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불가에 대한 사유는 예를 들면 정정 배송의 시간 부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정정 배송의 처리가 불가능한 다양한 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에 대한 처리 정보는 상품에 대한 환불과 관련된 정보 및 상품에 대한 재출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처리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미리 지정된 것으로, 배달원이 이용가능하지 않을 경우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30)는 수신된 응답 정보가 제2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정정 배송이 완료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정보는 정정 배송의 처리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생성된 정보를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고객에 대응하는 제2 단말(예: 고객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생성된 정보의 수신을 기초로 제2 단말에는 수신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30)는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를 기초로 오배송된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오배송의 완료에 대응하여 배달원의 제1 단말로부터 배송 완료 정보(에: 배송 완료 시점, 배송이 완료됨에 대응하여 제1 단말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오배송 이벤트의 확인에 대응하여 수신된 배송 완료 정보가 나타내는 배송 완료 시점을 오배송된 시점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확인된 오배송된 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의 시간 경과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경과된 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230)는 확인된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확인된 시간 정보가 고객이 요청한 정정 배송 요청 기한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프로세서(230)는 확인된 시간 정보, 즉 오배송된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5시간이고 정정 배송 요청 기한이 6시간인 경우, 경과된 시간이 정정 배송 요청 기한을 만족하므로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를 배달원의 제1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확인된 시간 정보가 고객이 요청한 정정 배송 요청 기한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를 전송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확인된 시간 정보가 7시간이고 정정 배송 요청 기한이 6시간인 경우, 경과된 시간이 정정 배송 요청 기한을 초과하여 만족하지 못하므로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를 배달원의 제1 단말에게 전송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30)는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품에 대한 처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230)는 배송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품과 관련된 처리 절차를 재출고 또는 환불로 설정하여 상품이 재출고 또는 환불되도록 할 수 있다. 상품에 대한 처리 방식은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미리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오배송 이벤트의 확인에 대응하여 상품에 대한 처리 방법이 재출고라는 정보를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미리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230)는 배송 정보가 전송되지 않으면 상품의 재출고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30)는 배달원의 제1 단말(예: 배달원 단말)로부터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정정 배송 처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제1 단말로부터 정정 배송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정정 배송 처리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고객의 제2 단말(예: 고객 단말)에 알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정정 배송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제2 단말에게 정정 배송 완료를 나타내는 알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단말에는 정정 배송 완료를 나타내는 알람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제어 방법의 각 단계는 경우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그 순서를 달리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도 1 및 도 2에서 서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이 생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전자 장치는 오배송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오배송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면 고객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화를 하는 상담원에 의해 전자 장치에 가해지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는 고객 단말과 연결될 수 있고, 고객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오배송 이벤트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고객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예를 들면 고객 단말에 가해지는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전자 장치는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 및 배달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오배송 이벤트가 확인되면,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 및 배달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는 예를 들면 오배송 이벤트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 정보,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정정 배송을 위한 주소 정보 및 정정 배송 주소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 상품의 주문 정보,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정정 배송 요청 시점,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정정 배송 요청기한, 및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정정 배송 실패에 대응한 상품 처리 방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달원에 대한 정보는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품을 오배송한 배달원과 관련된 정보로, 예를 들면 배달원의 근무 정보, 배달원의 현재 위치 및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처리 요청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30에서, 전자 장치는 확인된 배달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배달원이 이용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근무 여부, 배달원의 현재 위치 및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처리 요청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배달원이 이용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근무 여부, 배달원의 현재 위치 및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처리 요청 시간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배달원이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배달원의 근무 여부, 배달원의 현재 위치 및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처리 요청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배달원이 이용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단계 340에서, 전자 장치는 배달원이 이용가능할 경우 배달원에 대응하는 제1 단말에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배달원이 이용가능할 경우 배달원에 대응하는 제1 단말에 배송 정보를 전송하여 정정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배송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응답 정보는 예를 들면 정정 배송의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 정정 배송의 미완료를 나타내는 정보 및 정정 배송의 처리 불가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응답 정보에 정정 배송의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고객에 대응하는 단말인 제2 단말에 정정 배송의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예: 알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응답 정보에 정정 배송의 미완료 또는 처리 불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전자 장치는 상품에 대한 처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품에 대한 처리 방식(예: 재출고 또는 환불)은 미리 지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제2 단말에 정정 배송의 실패를 나타내는 정보(예: 알람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만약 정정 배송의 실패 사유를 나타내는 정보가 응답 정보에 포함된 경우 전자 장치는 제2 단말에 실패 사유를 나타내는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배달원이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처리 정보를 생성하여, 상품에 대한 처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품에 대한 처리는 상품에 대한 재출고 또는 환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처리 방식은 미리 지정된 것일 수 있다.
도 4는 내지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여 확인된 상품의 정보가 표시된 전자 장치의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주문번호의 확인에 대응하여 주문번호와 관련된 상품 정보가 전자 장치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는 고객 단말로부터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주문번호(예: 도 4의 주문번호 14000063458726) 정보를 수신하면, 주문번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에 대응하는 배달원이 근무 중인지 여부에 따라 상품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주문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주문번호의 확인을 기초로 주문번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에 대응하는 배달원이 근무 중인지 여부에 따라 상품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품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면 상품명, 상품의 용량, 상품의 주문수량 및 상품을 나타내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품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배달원이 근무 중인 경우 '배달원 근무 중'이라는 텍스트가 표시되고, 배달원에 의해 정정 배송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배달원이 근무 중인지 여부는 예를 들면 배달원에 대응하는 단말에 대한 입력 또는 정보를 기초로 확인될 수 있고, 배달원 별로 정정 배송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은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특정 주문번호와 관련된 배달원이 배달원 A와 배달원 B인 경우, 배달원 A는 근무 중이고 배달원 B는 근무 중이 아닐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달원 근무 중' 텍스트와 관련된 리스트에는 배달원 A에 의해 정정 배송의 수행이 가능한 상품, 'A 바디워시', 'B 주스' 및 'C 김'이 표시될 수 있다. '배달원 근무 종료' 텍스트와 관련된 리스트에는 배달원 B가 근무 중일 경우 정정 배송이 수행될 수 있는 상품, 'D 청소포', 'E 주스' 및 'F 김'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의 운송장 번호는 상품의 포장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상품의 관리를 위한 번호를 의미할 수도 있다.
도 5는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실시 예에서, 배달원이 근무 중일 경우 오배송된 상품에 대한 정정 배송이 수행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 정보 중 적어도 일부(예: 접수유형, 기한, 대체요청, 참고사항 및 상세)가 전자 장치에 입력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 입력을 기초로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 정보는 접수일시, 접수유형, 기한, 대체요청 및 참고사항 및 상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접수일시는 오배송 이벤트가 확인된 시점 또는 오배송된 상품에 대한 정정 배송이 요청된 시점을 포함하고, 접수유형은 오배송된 상품에 대한 처리 방식으로 예를 들어 정정 배송, 환불 또는 재출고를 포함할 수 있다. 기한은 오배송된 상품에 대한 처리 방식으로 정정 배송이 입력된 경우 정정 배송을 요청하는 기한으로 마감일시와 같은 특정 시점 또는 정정 배송 접수 시점으로부터 특정한 기간으로 나타날 수 있다. 대체요청은 정정 배송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또는 정정 배송이 불가한 경우) 오배송된 상품의 처리 방식에 대한 것으로 예를 들어 환불 또는 재출고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사항 및 상세는 오배송 이벤트 또는 정정 배송과 관련하여 배달원이 참고할만한 사항으로 고객으로부터 확인되는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참고사항 및 상세는 예를 들어 정정 배송 시 필요한 현관 비밀번호, 정정 배송시 고객이 부재중일 경우 배달원의 대처 방안(예: 옆집 배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표시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제1 영역(501)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501)의 '배송기사 요청' 항목에 '정정배송 요청' 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접수유형은 정정 배송으로 확인되고, '기한' 항목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라는 숫자가 입력되는 경우 기한은 4시간으로 확인될 수 있다. '기한 내 미이행시 고객요청' 항목에 '환불'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대체요청은 환불로 확인될 수 있고, '참고사항 및 상세내용' 항목에 텍스트가 입력되면 입력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정보가 '참고사항 및 상세'로 확인될 수 있다. 제1 영역(501)에 대한 항목 별 입력이 완료된 후에 접수 버튼(502)에 대한 입력이 가해지면, 최종적으로 항목 별 입력이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 정보의 적어도 일부로 확인되어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제1 영역(501)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표시되는 상품과 관련된 복수의 체크 박스 중 제1 체크 박스(5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입력이 가해지면, 제1 영역(501)을 제1 체크 박스(503)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해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제1 체크 박스(503)에 해당하는 상품에 대한 배송 정보가 입력되도록 제1 영역(501)을 활성화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 정보는 상품 별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 정보는 'A 바디워시'와 'B 우유' 각각에 대해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상품과 관련된 배달원이 확인되고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 정보가 확인되면 배달원이 이용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 배달원의 이용가능 여부는 배달원이 근무중인지 여부에 더하여 배달원에 대한 다양한 정보, 예를 들어 배달원의 현재 위치를 고려하여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달원이 근무 중이고 배달원의 위치가 오배송지로부터 특정 거리 범위 내인 경우 배달원은 이용가능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배달원이 이용가능한 경우 배달원에 대응하는 단말, 즉 배달원 단말에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달원 단말에 배송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배달원은 표시되는 정보를 기초로 정정 배송을 수행할 수 있다.
정정 배송의 수행이 완료되거나 특정 사유로 인해 정정 배송의 수행이 미완료 되는 경우 배달원 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정정 배송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정정 배송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시간이 부족하여 정정 배송이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거나 기한을 초과하여 정정 배송이 불가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제2 영역(512) 또는 제3 영역(513)과 같이 정정 배송이 어려운 사유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정보가 수신되기 전에는 제2 영역(512) 및 제3 영역(513)의 표시가 생략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정정 배송의 진행 중인 경우 제2 영역(512) 및 제3 영역(513)의 표시는 유지되지만 각 영역이 비활성화 상태로 표시되고, 제2 영역(512) 및 제3 영역(513) 중 하나에 대응하는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제2 영역(512) 및 제3 영역(513) 중 하나가 활성화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4 영역(514)은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4 영역(514)의 적어도 일부의 표시가 변경되면서 정정 배송의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에 해당하는 부분이 '시간 부족' 또는 '기한 초과'와 같은 텍스트로 변경되면서 정정 배송의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배달원의 근무가 종료한 경우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오배송 이벤트가 확인(또는 정정 배송이 요청)되었으나 특정 사유로 인해 정정 배송이 완료되지 못하고 배달원의 근무가 종료한 경우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오배송된 상품이 오배송지에 존재하지 않아 정정 배송이 미완료된 경우, 이러한 사유를 나타내는 '오배송 상품 부재'라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정정 배송의 미완료에 대응하여 오배송된 상품과 관련된 처리 방식과 관련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배송된 상품의 정정 배송이 미완료됨에 대응하여 상품을 환불할지 또는 재출고할지 여부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의 수신 방법에 대해서는 도 5를 통해 서술한 바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겠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도시한 화면 중 적어도 일부는 고객 단말에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앞서 서술한 전자 장치로부터 배달원 단말로의 정보의 전송은, 고객 단말이 전자 장치를 통해 배달원 단말로 정보를 전송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서술한 배달원 단말로부터 전자 장치로의 정보의 전송은, 배달원 단말이 전자 장치를 통해 고객 단말로 정보를 전송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배달원에 대응하는 제1 단말에 표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배달원에 대응하는 제1 단말, 즉 배달원 단말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의 참조번호 701은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 정보의 수신에 대응하여 제1 단말에 배송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701에 의하면,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 정보가 제1 단말에 수신되면, 제1 단말에는 배송 정보의 수신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알림 정보는 예를 들어 정정 배송이 요청됨을 나타내는 텍스트, 정정 배송의 기한, 정정 배송과 관련된 주소 정보 및 정정 배송과 관련된 고객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정보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하단에 팝업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 따라, 알림 정보의 제공과 함께 정정 배송과 관련된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도에 정정 배송과 관련된 주소 정보, 즉 정정 배송지가 표시된 화면이 제1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단말의 사용자, 즉 배달원은 정정 배송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참조번호 702는 알림 정보의 표시가 중지되고 정정 배송지(711)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제1 단말의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702에 따르면 정정 배송지(711)는 다른 배송지와는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정 배송지(711)는 다른 배송지와는 다른 색으로 표시되거나 다른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참조번호 703은 정정 배송지(711)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실시 예에서, 정정 배송지(711)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입력(예: 터치)이 수신되면, 참조번호 703과 같이 화면의 하단에 정정 배송 요청 기한, 정정 배송과 관련된 고객 정보 및 정정 배송지의 주소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 정보 중 적어도 하나 표시될 수도 있다.
도 8은 정정 배송의 수행과 관련하여 제1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특정 고객(예: 김미선)과 관련하여 오배송 이벤트가 확인됨에 대응하여 정정 배송이 요구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단말로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수신된 배송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특정 고객과 관련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801과 같이 수신된 배송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영역(811)에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영역(811) 이외의 다른 영역에는 상품의 배송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영역(811) 이외의 다른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는 상품이 오배송되던 시점, 즉 최초로 상품을 배송할 때에 표시된 정보(예: 상품의 배송과 관련된 주의 사항, 다른 상품 배송과 관련된 스케쥴 목록)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번호 802는 정정 배송의 완료에 대응하여 제1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단말은 정정 배송의 완료에 대응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정정 배송의 완료에 대응하는 입력의 수신을 기초로 참조번호 802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정정 배송의 완료에 대응하여 제1 단말은 참조번호 803과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참조번호 803에 의하면, 정정 배송의 완료에 대응하여 제1 영역(811)의 표시가 중지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배달원에 대응하는 제1 단말에 표시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 예에서, 배달원에 대응하는 제1 단말에는 참조번호 901과 참조번호 902에 대응하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참조번호 901에 의하면, 제1 단말에는 오배송 이벤트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 정보(예: 제1 이미지 정보(911))가 표시될 수 있다. 이미지 정보는 정정 배송이 요청된 상품 별로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정 배송이 요청된 상품이 3개인 경우를 나타내므로, 3개의 상품 각각에 대해 이미지 정보(예: 제1 이미지 정보(911), 제2 이미지 정보(912), 제3 이미지 정보(913))가 참조번호 901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정정 배송이 완료되거나 실패한 경우 제1 단말에는 정정 배송의 완료 또는 실패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정 배송의 완료 또는 실패에 대응하여 제1 단말에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정 배송이 완료된 경우, 완료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이 제1 단말에 수신되고, 정정 배송이 실패한 경우, 실패(예: 정정 배송 불가, 정정 배송 취소)에 대응하는 제2 입력이 제1 단말에 수신될 수 있다. 제1 단말은 정정 배송의 결과, 즉 완료 또는 실패와 관련된 입력의 수신을 기초로 결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정정 배송이 요구되는 상품이 복수인 경우, 참조번호 902와 같이,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해 정정 배송의 결과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단말에는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 정보 이외에도 정정 배송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에는 배달원에 대한 알람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배달원에 대한 알람 정보는 예를 들면 '정정 배송하시면 해당 오배송건은 배송평가에서 제외됩니다.'라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배송과 관련하여 배달원에게 안내되는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단말에는 정정 배송 주소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정정 배송 주소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는, 오배송된 상품의 올바를 배송지에서 과거 정확하게 배송이 수행됨에 기초하여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정정 배송 주소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는 올바른 배송지의 문 앞을 촬영한 이미지로 경우에 따라 문 앞에 놓여진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배달원에 대응하는 제1 단말에 표시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 예에서, 배달원에 대응하는 제1 단말에는 참조번호 901과 참조번호 902에 대응하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참조번호 1001에 의하면, 제1 단말에는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 정보의 적어도 일부 및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정정 배송이 가능한 시간 2시간 15분 남음'에 대응하는 정정 배송의 기한, 오배송 이벤트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또는 정정 배송 주소와 관련된 이미지), 및'호수는 맞으나 문이 고객님 댁이 아님'에 대응하는 정정 배송과 관련된 참고사항 및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고객이 고객 단말을 통해 직접 작성한 정보가 있는 경우 '고객작성'항목에 작성된 정보가 표시되고, 정정 배송지와 관련하여 공용 출입문에 참고사항이 있는 경우 '공용' 항목에 참고사항 정보가 표시되며, 또는 정정 배송지와 관련된 입주 세대에 참고사항이 있는 경우 '세대' 항목에 참고사항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술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생략되거나 다른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참조번호 1001에 의하면 제1 단말에는 정정 배송 불가 또는 정정 배송 완료에 대한 입력이 가능한 버튼(1011)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단말은 버튼(1011, 1012)에 대한 입력을 기초로 정보를 생성하여 전자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정 배송 불가 버튼(1011)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면, 제1 단말은 정정 배송 불가에 대응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전자 장치로 생성된 정보를 전송될 수 있다. 정정 배송 완료 버튼(1012)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면, 제1 단말은 정정 배송 완료에 대응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전자 장치로 생성된 정보를 전송될 수 있다.
참조번호 1002는 정정 배송의 완료에 대응하여 제1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참조번호 1002는 참조번호 1001의 정정 배송 완료 버튼(1012)에 대한 입력을 기초로 제1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실시 예에서, 정정 배송이 완료되면, 제1 단말에는 참조번호 1002와 같이 정정 배송이 완료됨을 나타내는 '처리완료'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특정 고객, 예를 들어 참조번호 1002에서 나타나는 '김미선'고객에게 정정 배송되어야 할 상품이 복수일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정정 배송된 상품의 수가 반영된 배송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정 배송되어야 할 상품이 3건인데 1건에 대한 정정 배송이 완료된 경우 제1 영역(1013)의 정정 배송될 상품의 수를 나타내는 문구는 도시된 바와 같이'2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정정 배송의 불가에 대응하여 제1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 예에서, 제1 단말에는 응답 정보의 입력을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1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에는 정정 배송 불가의 사유와 관련된 시간부족, 배송상품 부재 및 고객주소 못찾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단말은 상기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고, 정정 배송 불가 처리 버튼(1111)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면, 입력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전자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단말은 '상세사유 입력'과 관련된 제1 영역(1112)에 대한 텍스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단말은 상기 선택된 정보(시간부족, 배송상품 부재 및 고객주소 못찾음 중 적어도 하나) 및 상세사유 입력에 대응하는 텍스트 입력을 응답 정보로서 생성하여 전자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참조번호 1101은 도 10의 참조번호 1001의 정정 배송 불가 버튼(1111)에 대한 입력을 기초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정정 배송의 불가에 대응하는 입력을 기초로 참조번호 1101에 대응하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참조번호 1102는 정정 배송 불가 처리 버튼(1111)에 대한 입력을 기초로 응답 정보가 생성되어 제1 단말로부터 전자 장치로 응답 정보가 전송된 후 제1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참조번호 1102에 의하면, 제1 단말에는 정정 배송의 불가 처리가 완료됨을 나타내는 메시지, 예를 들어 '정정 배송 불가 처리가 완료되었습니다.'라는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텍스트의 표시는 다른 화면에 오버랩되어 나타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특정 위치에서 자리를 차지하도록 표시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정정 배송 불가 처리가 완료된 경우 연관된 배송 항목이 제1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참조번호 1103과 같이 연관된 배송 항목의 송장 번호가 제1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연관된 배송 항목에 대한 선택 입력을 기초로 선택된 배송 항목에 대한 세부 내용이 제1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연관된 배송 항목은 예를 들면 정정 배송 불가 처리가 완료된 상품과 동일한 고객으로부터 주문되어, 배송이 예정된 상품 또는 배송이 완료된 상품에 대한 배송 항목을 포함할 수 있으나,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배달원의 이용가능여부를 기반으로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처리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배송 상황을 반영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오배송 이벤트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오배송 이벤트의 확인에 대응하여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 및 배달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고객에게 오배송 이벤트와 관련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오배송 이벤트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은 일 예시일 뿐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9)

  1.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에 의해,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확인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 각각에 대응하는 배달원이 근무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확인된 배달원이 근무 중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 각각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 중 배달원이 근무 중인 제1 상품에 대한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상품과 관련된 배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상품에 대응하는 제1 배달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입력된 배송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배달원이 정정 배송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배달원이 정정 배송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제1 배달원에 대응하는 단말에 상기 배송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송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배달원이 상기 제1 상품을 상기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오배송지에서 수거하도록 하는 정정 배송 관련 정보를,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제1 배달원에 대응하는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정 배송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배달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오배송지로부터 특정 거리 범위 내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정정 배송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정보는 정정 배송 요청 기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정정 배송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배달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오배송지로부터 특정 거리 범위 내이고 상기 정정 배송 요청 기한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정정 배송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배달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오배송지로부터 상기 특정 거리 범위 내이고 상기 정정 배송 요청 기한이 초과된 경우 상기 정정 배송을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제1 배달원에 대응하는 단말로부터 상기 정정 배송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정정 배송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정정 배송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정 배송은 상기 제1 배달원의 여유 물량을 기초로 상기 제1 상품을 재배송하는 경우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정보는 상기 오배송 이벤트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 정보, 상기 정정 배송을 위한 주소 정보 및 상기 정정 배송을 위한 주소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 상기 제1 상품의 주문 정보, 정정 배송 요청 시점, 정정 배송 요청기한, 및 정정 배송 실패에 대응한 상품 처리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서, 상기 정정 배송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처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8. 제1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
  9.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트랜시버와,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확인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 각각에 대응하는 배달원이 근무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배달원이 근무 중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 각각을 구분하여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 중 배달원이 근무 중인 제1 상품에 대한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상품과 관련된 배송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상품에 대응하는 배달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입력된 배송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상품에 대응하는 배달원이 정정 배송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상품에 대응하는 배달원이 정정 배송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배달원에 대응하는 단말에 상기 배송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상품에 관한 배송 정보의 제공은, 상기 배달원이 상기 제1 상품을 상기 오배송 이벤트에 대응하는 오배송지에서 수거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정정 배송 관련 정보를 상기 배달원에 대응하는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10013922A 2020-06-24 2021-02-01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0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922A KR102340339B1 (ko) 2020-06-24 2021-02-01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177704A KR20210158826A (ko) 2020-06-24 2021-12-13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239A KR102213896B1 (ko) 2020-06-24 2020-06-24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013922A KR102340339B1 (ko) 2020-06-24 2021-02-01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239A Division KR102213896B1 (ko) 2020-06-24 2020-06-24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704A Division KR20210158826A (ko) 2020-06-24 2021-12-13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339B1 true KR102340339B1 (ko) 2021-12-20

Family

ID=7456007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239A KR102213896B1 (ko) 2020-06-24 2020-06-24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013922A KR102340339B1 (ko) 2020-06-24 2021-02-01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177704A KR20210158826A (ko) 2020-06-24 2021-12-13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239A KR102213896B1 (ko) 2020-06-24 2020-06-24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704A KR20210158826A (ko) 2020-06-24 2021-12-13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406821A1 (ko)
JP (2) JP7066094B2 (ko)
KR (3) KR102213896B1 (ko)
TW (1) TW202201339A (ko)
WO (1) WO202126165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422A (ko) * 2014-07-14 2016-01-22 명태현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자동화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082259B1 (ko) * 2019-08-27 2020-02-27 주식회사 에스엠제이컴퍼니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3094A (ja) * 2003-01-28 2004-08-19 Krs:Kk 配達支援装置、配達支援プログラム及び運行管理システム
KR20070072784A (ko) * 2006-01-02 2007-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커뮤니케이터를 이용한 물품 배송 확인 시스템 및방법
JP2010039961A (ja) * 2008-08-08 2010-02-18 Saroute:Kk 配送業務支援システム、配送予測時間算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70143B2 (ja) * 2010-04-05 2014-04-16 日本通運株式会社 荷物誤配防止システム
DE102010042813A1 (de) * 2010-10-22 2012-04-26 Deutsche Pos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ourenplanung
WO2016204307A1 (ko) * 2015-06-15 2016-12-22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배송 정보를 처리하고 출근을 확인하는 방법과 서버
CN106327113A (zh) * 2015-06-23 2017-01-1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自动推送配送信息、提供揽收信息的方法、终端和服务器
KR101863945B1 (ko) * 2016-09-19 2018-06-01 주식회사 라이브원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JP2019006550A (ja) * 2017-06-23 2019-01-17 株式会社Life 配達物追跡管理システム
JP6596799B2 (ja) * 2017-07-06 2019-10-30 アスクル株式会社 配達管理システム、配達管理装置、配達管理方法および配達管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422A (ko) * 2014-07-14 2016-01-22 명태현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자동화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082259B1 (ko) * 2019-08-27 2020-02-27 주식회사 에스엠제이컴퍼니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07848A (ja) 2022-01-13
TW202201339A (zh) 2022-01-01
WO2021261652A1 (ko) 2021-12-30
JP2022008287A (ja) 2022-01-13
JP7066094B2 (ja) 2022-05-13
KR20210158826A (ko) 2021-12-31
US20210406821A1 (en) 2021-12-30
KR102213896B1 (ko) 202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2130B (zh) Stock depletion notification system, stock depletion notification device, stock depletion no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product
US6578013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between supplier and customer devices
US20220188956A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managing transporting item on fulfillment center and information managing method thereof
TWI455056B (zh) Notification control system, notification control means, notif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product
US200700110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ng inventory management in a supply chain
KR20210006820A (ko) 재고 관리를 위해 풀필먼트 센터 내 아이템의 수량을 확인하는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50170A (ko) 택배 물품 포장 관리 시스템
KR102532756B1 (ko) 작업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N110544340A (zh) 一种取药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2340339B1 (ko)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74406B1 (ko) 아이템 납품을 위한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N115081977A (zh) 采购自动化实现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102377873B1 (ko)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JP2002236730A (ja) 在庫管理システム
KR102489489B1 (ko) 아이템 판매를 위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N111292032A (zh) 仓储作业方法、装置、可读介质及系统
KR20210028032A (ko) 보장된 배달 시간 선택의 표시 및 결정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 및 방법
CN113272843A (zh) 用于管理交付的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JP2001283060A (ja) 受注処理装置、受注処理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KR102496023B1 (ko) 발주 자동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통합 발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8181347A (ja) 試用システム、試用方法、試用処理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2498821B1 (ko) 위탁 판매 관리 서버
US8655855B2 (en) Post storing correction
JP2009001401A (ja) 在庫管理システム
KR20240013441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