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202B1 -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순위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택배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순위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택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202B1
KR101997202B1 KR1020170124044A KR20170124044A KR101997202B1 KR 101997202 B1 KR101997202 B1 KR 101997202B1 KR 1020170124044 A KR1020170124044 A KR 1020170124044A KR 20170124044 A KR20170124044 A KR 20170124044A KR 101997202 B1 KR101997202 B1 KR 101997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courier
recipient
article
st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5152A (ko
Inventor
명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엠
Priority to KR1020170124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2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 관리 서버에서 실행되는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자동화 방법은 복수의 배송 상품을 각각의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을 지역 별로 나누는 단계, 지역 별로 나누어진 복수의 배송 상품 중 특정 배송 기사가 담당하는 지역의 배송 상품에 대해서, 상기 특정 배송 기사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내에 있는 배송 상품의 배송처 위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배송 상품을 추출하여 제1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배송 상품 리스트 상의 배송 상품에 대해서 교통 정보 및 거리 정보에 따라 상기 배송 상품의 순서를 재배치하여 제2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여 택배 기사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순위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택배시스템{METHOD OF DECISION OF RANK DELIVERY SERVICE BASED ON CLOUD AND SYSTEM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순위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택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의 특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가족 구조가 핵가족화되었다는 것과, 아파트나 오피스 빌딩과 같은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인구가 급격히 증가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여성의 지위 향상으로 인하여 미혼여성은 물론 기혼여성의 취업인구가 증가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 티브이 홈쇼핑 및 통신판매와 같은 온라인 상의 상품판매량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터넷상에서 판매된 물건(택배물)이 수령인이 부재중일 때 배달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종래의 아파트나 오피스 빌딩에 있어서는 수령인이 부재중일 때 배달되는 택배물이나 우편물을 경비실에서 접수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저녁 무렵에 해당 가정에 전화로 통보하여 그 물건을 찾아가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 택배물 배달원이 경비실로 이동하여 택배물의 보관을 부탁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경비실 근무자 입장에서 볼 때 수령인에게 일일이 전화를 걸어 택배물을 찾아가라고 통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경비실에 근무자가 자리를 비우는 경우 아예 택배물을 배달하지 못하는 배달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택배 회사에서 소속된 택배 기사 각각에게 택배 물건을 배분하며, 택배 기사는 하루 배달 량과 배달 주소를 체크하고, 배달 주소에 도착하여 택배 상품을 배송하고 배송을 완료하게 된다.
이를 위해, 택배 기사는 자신의 경험을 통한 지리정보를 근거로 배송지의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하고, 네비게이션 또는 서면의 지도 및 건물의 주소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고객의 주소지에 도착하여 택배 상품을 배송하고 배송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배송을 담당하는 택배 기사가 배송지역의 지리정보를 대략적으로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네비게이션과 지도를 반복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전체 이동 경로에서 최단거리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여 택배기사의 선택에 따라 가까운 배송지를 두고 먼 배송지로 이동하여 배송한 다음 다시 처음 배송지와 가까운 배송지로 이동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으로 인하여 이동거리 및 이동시간이 증가됨은 물론, 배송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배송지역에서 벗어나거나, 배송지역의 지리정보를 파악하지 못한 택배기사의 경우라면, 배송 시 이동거리 또는 이동 경로를 전혀 고려하지 못한 채 배송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하루 배송할 물량을 다 채우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품을 받는 고객들도 배송이 지연됨에 따라 상품을 필요하나 때 받지 못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주소의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배송을 하던 택배기사들 역시 2014년부터 변경되는 도로명 주소는 파악이 어렵기 때문에 배송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11801호는 다수의 경유지에 대한 경로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경유지간 경로 이동 시간과 출발지부터 경유지간 경로 이동 시간을 기반으로 최적 경로를 설정함으로써, 카풀을 하거나 택배, 물품 배송 등과 같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우선순위에 상관없는 여러 경유지를 경유해야 하는 경우 계속적인 목적지 입력이나 별다른 설정 없이 각각의 경유지를 최적의 경로를 통해 최소의 시간으로 모두 경유할 수 있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인용발명과 같은 경우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우선순위에 상관없는 여러 경유지를 경유해야 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하며, 경로산출장치가 하나로 이루어져 입력, 산출, 설정 및 표시가 하나의 장치에서 모두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지만 단말은 상에서 연산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며, 복잡한 연산을 처리하기 위해 높은 상양의 단말이 요구되기 때문에 단말의 가격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택배 기사의 방문 시에 부득이한 사정에 의해 부재중일 경우 택배를 배송했다는 검증 사진 및 동영상을 저장하여 관리하고 추후 고객이 택배를 분실하더라도 택배가 배송되지 않았다는 고객의 민원의 검증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어 택배 기사의 개인적인 돈으로 택배 상품을 물어 주거나, 환불해 주는 사고를 미리 방지하여 충성도 높은 택배 기사 고객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자동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서 직선 거리 반경 내에 있는 택배 배송 리스트를 바탕으로 도로 기준 거리 및 교통 순서에 따라 택배를 배송할 수 있도록 하여 택배기사의 정확하지 않은 지리정보 및 도로명 주소 변경 등으로 인한 복잡한 이동경로를 최소화하여 하루에 더 많은 택배 상품을 배송할 수 있고 이동 거리의 감소로 유류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자동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택배 배송 현황 지도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택배 배송 현황의 인지를 신속하게 하고 편리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자동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택배지점 현황 관리의 용이성 향상 및 효율적인 상황전개가 가능하도록 하는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자동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택배 관리 서버에서 실행되는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자동화 방법은 복수의 배송 상품을 각각의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을 지역 별로 나누는 단계, 지역 별로 나누어진 복수의 배송 상품 중 특정 배송 기사가 담당하는 지역의 배송 상품에 대해서, 상기 특정 배송 기사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내에 있는 배송 상품의 배송처 위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배송 상품을 추출하여 제1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배송 상품 리스트 상의 배송 상품에 대해서 도로 기준 거리 및 교통 상황에 따라 상기 배송 상품의 순서를 재배치하여 제2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여 택배 기사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자동화 시스템은 택배 수령인이 부재중일 경우 택배를 대리인에게 전달함을 인증하는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여 택배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택배 기사 단말 및 복수의 배송 상품을 각각의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을 지역 별로 나누고, 지역 별로 나누어진 복수의 배송 상품 중 특정 배송 기사가 담당하는 지역의 배송 상품에 대해서, 상기 특정 배송 기사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내에 있는 배송 상품의 배송처 위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배송 상품을 추출하여 제1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배송 상품 리스트 상의 배송 상품에 대해서 도로 기준 거리 및 교통 상황에 따라 상기 배송 상품의 순서를 재배치하여 제2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여 택배 기사 단말에 제공하는 택배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택배 기사의 방문 시에 부득이한 사정에 의해 부재중일 경우 택배를 배송했다는 검증 사진 및 동영상을 저장하여 관리하고 추후 고객이 택배를 분실하더라도 택배가 배송되지 않았다는 고객의 민원의 검증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어 택배 기사의 개인적인 돈으로 택배 상품을 물어 주거나, 환불해 주는 사고를 미리 방지하여 충성도 높은 택배 기사 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서 직선 거리 반경 내에 있는 택배 배송 리스트를 바탕으로 도로 기준 거리 및 교통 상황에 따라 택배를 배송할 수 있도록 하여 택배기사의 정확하지 않은 지리정보 및 도로명 주소 변경 등으로 인한 복잡한 이동경로를 최소화하여 하루에 더 많은 택배 상품을 배송할 수 있고 이동 거리의 감소로 유류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택배 배송 현황 지도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택배 배송 현황의 인지를 신속하게 하고 편리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택배지점 현황 관리의 용이성 향상 및 효율적인 상황전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자동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 기사 단말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상품 별 직선 거리를 통해 제1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 배송 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자동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자동화 시스템은 택배 관리 서버(100), 택배 기사 단말(200) 및 수령인 단말(300)을 포함한다.
택배 관리 서버(100)는 택배 기사가 택배를 수령인에게 배송하는 과정을 관리하는 서버이다.
택배 관리 서버(100)는 택배 수령인이 부재중일 경우 택배 기사 단말(200)로부터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면,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를 인증한 후 택배 수령인 별로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는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예를 들어, 이미지, 동영상 등), 택배 기사의 위치, 택배 배송 완료 시간 등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택배 관리 서버(100)는 택배 기사 단말(200)로부터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면,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 중 그래픽 데이터에서 그래픽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를 추출하고,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택배 기사의 위치 및 택배 수령인의 주소에 해당하는 위치를 비교하여 해당 결과에 따라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의 인증에 성공 또는 실패하였다고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택배 관리 서버(100)는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택배 기사의 위치 및 택배 수령인의 주소에 해당하는 위치가 특정 반경 내에 위치하면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의 인증에 성공하였다고 판단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택배 관리 서버(100)는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의 인증에 성공하면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의 부가 정보로 택배 배송 완료 인증 시간을 삽입하여 수령인 별로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와 같은 이유는, 추후에 택배 기사 단말(200)로부터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의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해당 날짜의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그런 다음, 택배 관리 서버(100)는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를 수령인 단말(300)에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를 수령인 단말(300)에 제공할 때 수령인과 연관된 광고 데이터를 함께 수령인 단말(30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택배 관리 서버(100)는 수령인의 구매 내역에 따라 구매 패턴 및 구매 성향을 생성하고 구매 패턴에 해당하는 광고 데이터를 수령인 단말(300)에 제공한다.
한편, 택배 관리 서버(100)는 수령인이 택배를 수령한 위치에 따라 수령인의 라이프 사이클을 생성한 후 라이프 사이클에 해당하는 광고 데이터를 수령인 단말(300)에 제공한다.
택배 관리 서버(100)는 택배 기사 단말(200)로부터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의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날짜에 인증된 택배 수령인의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를 추출하여 택배 기사 단말(200)에 제공한다.
또한, 택배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배송 상품을 각각의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을 지역 별로 나눈다.
일 실시예에서, 택배 관리 서버(100)는 n차원 좌표계 상에 복수의 n차원 지역별 클러스터를 배치하고 배송 상품의 배송지를 배송지 좌표로서 n차원 좌표계 상에 배치하며, 복수의 n차원 지역별 클러스터와 배송지 좌표 사이의 거리를 기초하여 n차원 지역별 클러스터 각각으로 배송지 좌표를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을 지역 별로 나눌 수 있다. 이때, 지역별 클러스터는 동단위, 구단위, 시단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역별 클러스터는 n차원 좌표 상에서 해당 지역의 가운데 좌표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계1동 클러스터, 상계2동 클러스터 및 제1 배송지 좌표가 n차원 좌표계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택배 관리 서버(100)는 제1 배송지 좌표와 상계1동 클러스터와의 거리 및 제1 배송지 좌표와 상계2동 클러스터와의 거리를 산출하며, 제1 배송지 좌표를 가까운 거리에 해당하는 클러스터로 클러스터링 시켜 제1 배송지의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제1 배송지 좌표와 상계1동 클러스터와의 거리가 제1 배송지 좌표와 상계2동 클러스터와의 거리보다 짧으면 제1 배송지는 상계1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택배 관리 서버(100)는 지역 별로 나누어진 복수의 배송 상품의 각각의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 순위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택배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배송 상품의 각각의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상품의 종류 및 고객 패턴에 따라 배송 순번을 결정한다.
즉, 택배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배송 상품의 각각의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상품이 음식, 분유, 기저귀 등과 같이 긴급 상품인 경우 해당 배송 상품의 배송 순번을 높여 빠르게 배송되도록 한다.
한편, 택배 관리 서버(100)는 고객 패턴이 직접 수령 선호 고객이라고 판단되면, 해당 배송 상품의 배송 순번을 늦추어 다음날 배송되도록 한다. 이때, 수령자에 의해 직접 수령이 요청되거나 분실 히스토리가 존재하는 수령자인 경우 해당 고객 패턴은 직접 수령 선호 고객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택배 관리 서버(100)는 택배 기사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이내에 택배 기사가 배송해야 하는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처 위치가 존재하면, 택배 기사의 위치 및 배송처 위치를 비교하여 택배 기사의 위치 및 배송처 위치 사이의 직선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인 배송 상품을 추출하여 제1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택배 관리 서버(100)는 직선 거리를 기준으로 한 제1 배송 상품 리스트 상의 배송 상품에 대해서 도로 기준 거리 및 교통 상황에 따라 배송 순번을 할당하여 제2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즉, 택배 관리 서버(100)는 제1 배송 상품 리스트 상의 배송 상품에 대해서 도로 기준 거리 배송 순위 및 교통 상황 기준 배송 순위를 결정하여 배송 순번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택배 관리 서버(100)는 직선 거리 기준 배송 순위가 1순위이고 도로 기준 거리 기준 배송 순위가 1순위인 경우 해당 배송 상품의 배송 순서를 1번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택배 관리 서버(100)는 직선 거리 기준 배송 순위가 2순위이고 도로 기준 거리 배송 순위가 1순위인 경우 또는 직선 거리 기준 배송 순위가 1순위이고 도로 거리 기준 배송 순위가 2순위인 경우 해당 배송 상품의 배송 순서를 2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택배 관리 서버(100)는 택배 기사와 연관된 배송 상품의 배송 순서에 따라 배송 상품의 배송 정보를 택배 기사 단말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택배 관리 서버(100)는 택배 기사 단말(200)로부터 배송 상품의 배송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배송 순서에 따라 다음 배송 상품의 배송지를 택배 기사 단말(200)에 제공하면, 택배 기사 단말(200)은 배송 상품의 배송지까지 가는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이때, 택배 관리 서버(100)는 다음 배송 상품의 배송지를 택배 기사 단말(200)에 제공함과 동시에 고객에 의해 미리 설정된 고객의 단말에 배송 안내 문자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택배 관리 서버(100)는 고객의 단말에 30분 후에 택배가 배송된다는 배송 안내 문자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택배 관리 서버(100)는 택배 기사 단말(200)과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해야 한다.
택배 관리 서버(100)는 택배 기사 각각의 택배 배송 발생 현황 및 택배 배송 미결 현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택배 관리 서버(100)는 택배 기사 각각의 택배 배송 발생 현황을 이용하여 특정 기간 단위로 택배 기사가 배송해야 하는 택배 발생 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택배 관리 서버(100)는 주간 단위로 택배 기사가 배송해야 하는 택배량을 제공한다. 이때, 택배 관리 서버(100)는 택배 발생 건이 전주 대비 얼마만큼 증가 또는 감소했는지 전주 대비 증감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택배 관리 서버(100)는 택배 배송 미결 현황을 이용하여 택배 기사 별 배송 상황을 관리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택배 관리 서버(100)는 택배 배송 미결 현황을 이용하여 택배 기사 별 총미결일 및 완료 예정일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택배 관리 서버(100)는 기준 일자(즉, 조회 일자), 지사, 지점 및 센터의 센터 정보 선택 절차를 제공하고, 센터 정보 선택 정차를 통해 기준 일자, 지사, 지점 및 센터가 선택되면 해당 센터에 소속된 택배 기사 중 미결된 날짜 및 완료 예정일을 함께 제공한다.
택배 기사 단말(200)은 배송 상품을 고객에게 배송하는 택배 기사가 보유하는 단말이다. 예를 들어, 택배 기사 단말(200)은 PC,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과 같이, 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 장치를 구비한 단말이다.
택배 기사 단말(200)은 배송 상품을 고객에게 배송하는 과정에서 택배 관리 서버(100)에 접속 또는 통신을 유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택배 기사 단말(200)은 택배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기 위한 택배 기사용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일부를 적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배송 상품의 배송을 완료한 후에 배송 완료 버튼을 눌러 택배 관리 서버(100)로 배송 완료를 보고하는 연산 중 적어도 일부는 빠른 처리를 위하여 택배 기사 단말(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택배 기사 단말(200)은 자체로 구비한 뱅킹 엔진에서 연산된 결과를 택배 관리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택배 기사용 어플리케이션은 택배 관리 서버(100)로부터 특정 배송 상품에 대한 배송지를 수신하면 위치 안내 장치(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자동으로 실행하여 배송지까지 가는 경로가 안내되도록 하며, 택배 기사에 의해 배송 상품의 배송이 완료되어 고객의 싸인 입력되거나 배송 완료 버튼, 배송 불가 버튼, 업무 완료 버튼 등이 눌려 지면 택배 기사 단말(200)을 통해 택배 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택배 관리 서버(100)는 택배 기사 정보 데이터베이스(110), 택배 배송 완료 정보 데이터베이스(120), 경로 탐색부(130), 배송 상태 관리부(140), 경로 전달부(150) 및 택배 배송 현황 제공부(160)를 포함한다.
택배 기사 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는 택배 기사 별로 배송 상품의 정보, 배송 정보 및 배송 상태가 저장된다. 배송 상품의 정보는 배송 상품의 종류, 판매처, 판매처의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배송 정보는 고객의 이름, 주소, 전화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택배 배송 완료 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는 수령자 별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때,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는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예를 들어, 이미지, 동영상 등), 택배 기사의 위치, 택배 배송 완료 시간 등을 포함한다.
경로 탐색부(130)는 택배 기사 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서 택배 기사와 연관된 복수의 배송 상품의 배송 정보를 독출하고,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순서를 결정한다.
먼저, 경로 탐색부(130)는 복수의 배송 상품을 각각의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을 지역 별로 나눈다.
일 실시예에서, 경로 탐색부(130)는 n차원 좌표계 상에 복수의 n차원 지역별 클러스터를 배치하고 배송 상품의 배송지를 배송지 좌표로서 n차원 좌표계 상에 배치하며, 복수의 n차원 지역별 클러스터와 배송지 좌표 사이의 거리를 기초하여 n차원 지역별 클러스터 각각으로 배송지 좌표를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을 지역 별로 나눌 수 있다. 이때, 지역별 클러스터는 동단위, 구단위, 시단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역별 클러스터는 n차원 좌표 상에서 해당 지역의 가운데 좌표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계1동 클러스터, 상계2동 클러스터 및 제1 배송지 좌표가 n차원 좌표계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경로 탐색부(130)는 제1 배송지 좌표와 상계1동 클러스터와의 거리 및 제1 배송지 좌표와 상계2동 클러스터와의 거리를 산출하며, 제1 배송지 좌표를 가까운 거리에 해당하는 클러스터로 클러스터링 시켜 제1 배송지의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제1 배송지 좌표와 상계1동 클러스터와의 거리가 제1 배송지 좌표와 상계2동 클러스터와의 거리보다 짧으면 제1 배송지는 상계1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경로 탐색부(130)는 지역 별로 나누어진 복수의 배송 상품의 각각의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 순위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경로 탐색부(130)는 복수의 배송 상품의 각각의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상품의 종류 및 고객 패턴에 따라 배송 순번을 결정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경로 탐색부(130)는 택배 기사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이내에 택배 기사가 배송해야 하는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처 위치가 존재하면, 택배 기사의 위치 및 배송처 위치를 비교하여 택배 기사의 위치 및 배송처 위치 사이의 직선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인 배송 상품을 추출하여 제1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경로 탐색부(130)는 제1 배송 상품 리스트 상의 배송 상품에 대해서 교통 정보 및 거리 정보에 따라 배송 순번을 할당하여 제2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즉, 경로 탐색부(130)는 제1 배송 상품 리스트 상의 배송 상품에 대해서 거리 기준 배송 순위 및 교통 상황 기준 배송 순위를 결정하여 배송 순번을 할당할 수 있다.
배송 상태 관리부(140)는 택배 기사에게 할당된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 상태를 관리한다.
배송 상태 관리부(140)는 택배 기사 단말(200)로부터 특정 배송 상품의 배송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복수의 배송 상품 중 해당 배송 상품의 배송 상태를 완료 상품으로 변경하여 택배 기사 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
배송 상태 관리부(140)는 택배 기사 단말(200)로부터 특정 배송 상품의 배송 불가 메시지를 수신하면 복수의 배송 상품 중 해당 배송 상품의 배송 상태를 보류 상품으로 변경하여 택배 기사 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
배송 상태 관리부(140)는 택배 기사 단말(200)로부터 업무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복수의 배송 상품 중 배송 완료되지 않은 배송 상품의 배송 상태를 보류 상품으로 변경하여 택배 기사 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
배송 상태 관리부(140)는 택배 기사 단말(200)로부터 택배 수령인이 부재중일 경우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면,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를 인증한 후 택배 수령인 별로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를 택배 배송 완료 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한다. 이때,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는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예를 들어, 이미지, 동영상 등), 택배 기사의 위치, 택배 배송 완료 시간 등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송 상태 관리부(140)는 택배 기사 단말(200)로부터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면,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 중 그래픽 데이터에서 그래픽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를 추출하고,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택배 기사의 위치 및 택배 수령인의 주소에 해당하는 위치를 비교하여 해당 결과에 따라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의 인증에 성공 또는 실패하였다고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배송 상태 관리부(140)는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택배 기사의 위치 및 택배 수령인의 주소에 해당하는 위치가 특정 반경 내에 위치하면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의 인증에 성공하였다고 판단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배송 상태 관리부(140)는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의 인증에 성공하면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의 부가 정보로 택배 배송 완료 인증 시간을 삽입하여 수령인 별로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와 같은 이유는, 추후에 택배 기사 단말(200)로부터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의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해당 날짜의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그런 다음, 배송 상태 관리부(140)는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를 수령인 단말(300)에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를 수령인 단말(300)에 제공할 때 미리 결정된 수령인과 연관된 광고 데이터를 함께 수령인 단말(300)에 제공한다.
경로 전달부(150)는 택배 기사와 연관된 배송 상품의 배송 순서에 따라 배송 상품의 배송지를 택배 기사 단말(20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경로 전달부(150)는 택배 기사 단말(200)로부터 특정 배송 상품의 배송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배송 순서에 따라 다음 배송 상품의 배송지를 택배 기사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로 전달부(150)는 보류 상품 중 가장 마지막에 배송되는 배송 상품의 배송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나머지 상품(예를 들어, 오늘 할당된 배송 상품) 중 첫 번째 배송되는 배송 상품의 배송지를 택배 기사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택배 배송 현황 제공부(160)는 택배 기사 각각의 택배 배송 발생 현황 및 택배 배송 미결 현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택배 배송 현황 제공부(160)는 택배 기사 각각의 택배 배송 발생 현황을 이용하여 특정 기간 단위로 택배 기사가 배송해야 하는 택배 발생 건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택배 배송 현황 제공부(160)는 택배 배송 미결 현황을 이용하여 택배 기사 별 배송 상황을 관리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택배 배송 현황 제공부(160)는 택배 배송 미결 현황을 이용하여 택배 기사 별 총미결일 및 완료 예정일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택배 배송 현황 제공부(160)는 기준 일자(즉, 조회 일자), 지사, 지점 및 센터의 센터 정보 선택 절차를 제공하고, 센터 정보 선택 정차를 통해 기준 일자, 지사, 지점 및 센터가 선택되면 해당 센터에 소속된 택배 기사 중 미결된 날짜 및 완료 예정일을 함께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 기사 단말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택배 기사 단말(200)은 통신부(210), 디스플레이부(220), 업무 관리부(230), 네이비게이션부(240), 메모리(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택배 관리 서버(도 1, 100)와 택배 기사 단말(도 1, 200)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디스플레이부(220)는 택배 기사 단말(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20)는 택배 기사의 업무 관련 창(배송 완료 버튼, 배송 불가 버튼, 고객의 싸인 영역 등을 포함) 및 배송지를 안내하는 길 안내 창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택배 기사에 의해 어느 하나의 창이 클릭되거나 드래그 되면 해당 창을 전체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체화면이 클릭되거나 드래그 되면 원래대로 두 개의 창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220)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220)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22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22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22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6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260)는 디스플레이부(22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업무 관리부(230)는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표시된 택배 기사의 업무 관련 창에서 배송 완료 버튼이 눌려지거나 고객의 사인이 입력되면 통신부(210)를 통해 배송 완료 메시지를 택배 관리 서버(100)에 제공하고, 배송 불가 버튼이 눌려지면 통신부(210)를 통해 배송 불가 메시지를 택배 관리 서버(100)에 제공하고, 업무 완료 버튼이 눌려지면 업무 완료 메시지를 택배 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네이비게이션부(240)는 통신부(210)를 통해 배송 상품의 배송지가 수신되면 자동으로 실행되어 배송 상품의 배송지까지 가는 경로를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안내한다.
메모리(250)는 제어부(26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250)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50)는 택배 기사용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2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통상적으로 택배 기사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상품 별 직선 거리를 통해 제1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택배 관리 서버(100)는 택배 기사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이내에 택배 기사가 배송해야 하는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처 위치가 존재하면, 택배 기사의 위치 및 배송처 위치를 비교하여 택배 기사의 위치 및 배송처 위치 사이의 직선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인 경우, 해당 배송처에 배달되는 배송 상품을 추출하여 제1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한다.
즉, 택배 관리 서버(100)는 택배 기사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410) 이내에 택배 기사가 배송해야 하는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처 위치(A, B, C, D, E, F, H, I, J)에 대해서, 택배 기사의 위치(420) 및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처 위치(A, B, C, D, E, F, H, I, J) 사이의 직선 거리를 산출한다.
그런 다음, 택배 관리 서버(100)는 택배 기사의 위치(420) 및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처 위치(A, B, C, D, E, F, H, I, J) 사이의 직선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인 경우, 해당 배송처에 배달되는 배송 상품을 추출하여 제1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한다.
즉, 택배 관리 서버(100)는 택배 기사의 위치(420) 및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처 위치(A, B, C, D, E, F, H, I, J) 사이의 직선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인 배송처 위치(A, C, F, H, I, J)에 배달되는 배송 상품을 추출하여 제1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택배 관리 서버(100)는 제1 배송 상품 리스트 상의 배송 상품에 대해서 도로 기준 거리 및 교통 상황에 따라 배송 순번을 할당하여 제2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즉, 택배 관리 서버(100)는 제1 배송 상품 리스트 상의 배송 상품에 대해서 도로 기준 거리 배송 순위 및 교통 상황 기준 배송 순위를 결정하여 배송 순번을 할당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 배송 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택배 관리 서버(100)는 도 5와 같이 택배 기사 각각의 택배 배송 발생 현황 및 택배 배송 미결 현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도 5에서 택배 배송 현황이 선택되면 도 6과 같은 화면을 제공하고, 도 5에서 택배 배송 미결 현황이 선택되면 도 7과 같은 화면을 제공한다.
먼저, 택배 관리 서버(100)는 도 5에서 택배 배송 현황이 선택되면 도 6과 같은 화면을 제공하며, 도 6에서와 같이 주소 별 또는 조직 별 택배 배송 발생 현황을 지도 상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택배 기사 별 발생 건 및 전주 대비 증감을 수치로 제공한다.
택배 관리 서버(100)는 도 5에서 택배 관리 서버(100)는 도 5에서 택배 배송 현황이 선택되면 도 7과 같이 미결 현황을 지도 상으로 제공함과 택배 기사 별 발생 건 및 전주 대비 증감을 수치로 제공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택배 관리 서버(100)는 수령인이 택배를 수령한 위치에 따라 수령인의 라이프 사이클을 생성한 후 행동 반경에 해당하는 광고 데이터를 수령인 단말(30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택배 관리 서버(100)는 특정 기간 단위에 해당하는 수령인의 구매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라이프 사이클을 생성한다. 즉, 택배 관리 서버(100)는 도 9와 같이 08년 7월, 08년 8월, 08년 9월 및 08년 10월에 해당하는 수령인의 구매 정보를 그래프로 나타내고, 08년 7월, 08년 8월, 08년 9월 및 08년 10월에 해당하는 수령인의 구매 정보 각각의 편차 값이 특정 값 이하인 구간을 결정하고, 해당 구간을 사용자의 라이프 사이클로 결정한다.
그런 다음, 택배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의 라이프 사이클에 맞추어 해당하는 광고 데이터를 제공한다. 즉, 택배 관리 서버(100)는 라이프 사이클을 기초로 현재 출근 시간이라고 판단되면, 집에서 직장까지의 교통 정보와 함께 집에서 회사까지의 교통 상황 데이터를 제공한다. 그리고, 택배 관리 서버(100)는 라이프 사이클을 기초로 현재 출근 시간이 임박했다고 판단되면 회사 근처 주차 정보를 제공한다.
택배 관리 서버(100)는 라이프 사이클을 기초로 현재 회사의 점심 시간으로 판단되면 식당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라이프 사이클을 기초로 현재 회사의 퇴근 시간이라고 판단되면 직장에서 집까지의 교통 정보, 회식 장소 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제공한다.
즉, 수령인이 택배를 수령한 위치를 기준으로 생성한 라이프 사이클을 이용해 수령인의 행동반경에 해당하는 생활 정보 광고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시 한번 설명하면, 택배 관리 서버에서 실행되는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순위결정 방법은 복수의 배송 상품을 각각의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배송 상품을 각각 지역별로 나누는 단계; 지역별로 나누어진 복수의 배송 상품 중 특정 배송 기사가 담당하는 지역의 배송 상품에 대해서, 상기 특정 배송 기사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이내에 택배 기사가 배송해야 하는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처 위치에 대해서 택배기사의 위치 및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처 위치 사이의 직선거리를 산출하여 배송 상품의 배송처를 비교하는 단계; 택배기사의 위치 및 배송처의 위치 사이의 직선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인 경우, 해당 배송처에 배송되는 상품을 추출하여 제1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배송 상품 리스트 상의 배송 상품에 대해서 도로 기준 거리 및 교통 상황에 따라 상기 배송 상품의 순서를 재배치하여 제2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여 택배 기사 단말(200)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수령인의 부재중인 상태에서 택배 기사가 택배 배송을 완료한 후 택배 기사 단말(200)로부터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면,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 중 그래픽 데이터에서 그래픽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및 택배 배송 완료 시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택배 기사의 위치 및 수령인의 주소에 해당하는 위치를 비교하는 단계;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택배기사의 위치 및 택배 수령인의 주소에 해당하는 위치가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면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의 인증에 성공하였다고 판단하고 결과에 따라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의 인증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택배 배송 완료 인증 시간을 삽입하여 수령인 별로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와 함께 수령인의 구매 내역에 따라 구매 패턴 및 구매 성향을 생성하고, 수령인이 택배를 수령한 위치에 따라 수령인의 라이프 사이클을 생성한 후 구매 패턴 및 라이프 사이클에 해당하는 광고 데이터를 수령인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역별로 나누어진 복수의 배송 상품의 각각의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이 긴급 상품인 경우 해당 배송 상품의 순번을 높여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수령자에 의해 직접 수령이 요청되거나 분실 히스토리가 존재하는 수령자인 경우 직접 수령고객이라 판단하고 해당 배송상품의 순번을 늦추어 다음 날 직접 배송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순위결정 택배시스템은 택배 수령인이 부재중일 경우 택배를 대리인에게 전달함을 인증하는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여 택배 관리 서버(100)에 제공하는 택배 기사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배송 상품을 각각의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배송 상품을 각각 지역별로 나누고, 지역별로 나누어진 복수의 배송 상품 중 특정 배송 기사가 담당하는 지역의 배송 상품에 대해서 상기 특정 배송 기사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이내에 택배 기사가 배송해야 하는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처 위치에 대해서 택배기사의 위치 및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처 위치 사이의 직선거리를 산출하여 배송 상품의 배송처를 비교하고, 택배기사의 위치 및 배송처의 위치 사이의 직선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인 경우 해당 배송처에 배송되는 상품을 추출하여 제1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배송 상품 리스트 상의 배송 상품에 대해서 도로 기준 거리 및 교통 상황에 따라 상기 배송 상품의 순서를 재배치하여 제2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여 택배 기사 단말(200)에 제공하되, 수령인의 부재중인 상태에서 택배 기사가 택배 배송을 완료한 후 택배 기사 단말(200)로부터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면,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 중 그래픽 데이터에서 그래픽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및 택배 배송 완료 시간을 추출하며, 상기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택배 기사의 위치 및 수령인의 주소에 해당하는 위치를 비교하고,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택배기사의 위치 및 택배 수령인의 주소에 해당하는 위치가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면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의 인증에 성공하였다고 판단하고 결과에 따라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의 인증을 실행하고,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택배 배송 완료 인증 시간을 삽입하여 수령인 별로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를 저장하며,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와 함께 수령인의 구매 내역에 따라 구매 패턴 및 구매 성향을 생성하고, 수령인이 택배를 수령한 위치에 따라 수령인의 라이프 사이클을 생성한 후 구매 패턴 및 라이프 사이클에 해당하는 광고 데이터를 수령인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역별로 나누어진 복수의 배송 상품의 각각의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이 긴급 상품인 경우 해당 배송 상품의 순번을 높여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 순위를 결정하고, 수령자에 의해 직접 수령이 요청되거나 분실 히스토리가 존재하는 수령자인 경우 직접 수령고객이라 판단하고 해당 배송상품의 순번을 늦추어 다음 날 직접 배송하도록 택배 기사 단말에 제공하는 택배 관리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택배 관리 서버
110: 택배 기사 정보 데이터베이스
120: 택배 배송 완료 정보 데이터베이스
130: 경로 탐색부
140: 배송 상태 관리부
150: 경로 전달부
160: 택배 배송 현황 제공부
200: 택배 기사 단말
210: 통신부
220: 디스플레이부
230: 업무 관리부
240: 네이비게이션부
250: 메모리
260: 제어부

Claims (8)

  1. 택배 관리 서버에서 실행되는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순위결정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배송 상품을 각각의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배송 상품을 각각 지역별로 나누는 단계;
    지역별로 나누어진 복수의 배송 상품 중 특정 배송 기사가 담당하는 지역의 배송 상품에 대해서, 상기 특정 배송 기사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이내에 택배 기사가 배송해야 하는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처 위치에 대해서 택배기사의 위치 및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처 위치 사이의 직선거리를 산출하여 배송 상품의 배송처를 비교하는 단계;
    택배기사의 위치 및 배송처의 위치 사이의 직선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인 경우, 해당 배송처에 배송되는 상품을 추출하여 제1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배송 상품 리스트 상의 배송 상품에 대해서 도로 기준 거리 및 교통 상황에 따라 상기 배송 상품의 순서를 재배치하여 제2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여 택배 기사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수령인의 부재중인 상태에서 택배 기사가 택배 배송을 완료한 후 택배 기사 단말로부터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면,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 중 그래픽 데이터에서 그래픽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및 택배 배송 완료 시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택배 기사의 위치 및 수령인의 주소에 해당하는 위치를 비교하는 단계;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택배기사의 위치 및 택배 수령인의 주소에 해당하는 위치가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면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의 인증에 성공하였다고 판단하고 결과에 따라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의 인증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택배 배송 완료 인증 시간을 삽입하여 수령인 별로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와 함께 수령인의 구매 내역에 따라 구매 패턴 및 구매 성향을 생성하고, 수령인이 택배를 수령한 위치에 따라 수령인의 라이프 사이클을 생성한 후 구매 패턴 및 라이프 사이클에 해당하는 광고 데이터를 수령인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포함하되,
    상기 지역별로 나누어진 복수의 배송 상품의 각각의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이 긴급 상품인 경우 해당 배송 상품의 순번을 높여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수령자에 의해 직접 수령이 요청되거나 분실 히스토리가 존재하는 수령자인 경우 직접 수령고객이라 판단하고 해당 배송상품의 순번을 늦추어 다음 날 직접 배송하며,
    택배 기사 각각의 택배 배송 발생 현황 및 택배 배송 미결 현황 선택 절차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택배 배송 발생 현황이 선택되면 주소 별 또는 조직 별 택배 배송 발생 현황을 지도 상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특정 기간 단위로 기사가 배송해야 하는 택배 발생 건 및 전주 대비 증감을 수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택배 배송 미결 현황이 선택되면 센터별 미결 현황을 지도 상으로 제공함과 택배 기사 별 발생 건 및 전주 대비 증감을 수치로 제공하고, 택배 기사별 총미결일 및 완료 예정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택배 기사 각각의 택배 배송 발생 현황 및 택배 배송 미결 현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수령인이 택배를 수령한 위치를 기준으로 생성한 라이프 사이클을 이용해 수령인의 행동반경에 해당하는 생활 정보 광고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순위결정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택배 수령인이 부재중일 경우 택배를 대리인에게 전달함을 인증하는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여 택배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택배 기사 단말; 및
    복수의 배송 상품을 각각의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배송 상품을 각각 지역별로 나누고, 지역별로 나누어진 복수의 배송 상품 중 특정 배송 기사가 담당하는 지역의 배송 상품에 대해서 상기 특정 배송 기사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이내에 택배 기사가 배송해야 하는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처 위치에 대해서 택배기사의 위치 및 복수의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처 위치 사이의 직선거리를 산출하여 배송 상품의 배송처를 비교하고, 택배기사의 위치 및 배송처의 위치 사이의 직선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인 경우 해당 배송처에 배송되는 상품을 추출하여 제1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배송 상품 리스트 상의 배송 상품에 대해서 도로 기준 거리 및 교통 상황에 따라 상기 배송 상품의 순서를 재배치하여 제2 배송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여 택배 기사 단말에 제공하되,
    수령인의 부재중인 상태에서 택배 기사가 택배 배송을 완료한 후 택배 기사 단말로부터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면,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 중 그래픽 데이터에서 그래픽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및 택배 배송 완료 시간을 추출하며, 상기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택배 기사의 위치 및 수령인의 주소에 해당하는 위치를 비교하고,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택배기사의 위치 및 택배 수령인의 주소에 해당하는 위치가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면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의 인증에 성공하였다고 판단하고 결과에 따라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의 인증을 실행하고,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택배 배송 완료 인증 시간을 삽입하여 수령인 별로 택배 배송 완료 인증 데이터를 저장하며,
    택배 배송 완료 인증 그래픽 데이터와 함께 수령인의 구매 내역에 따라 구매 패턴 및 구매 성향을 생성하고, 수령인이 택배를 수령한 위치에 따라 수령인의 라이프 사이클을 생성한 후 구매 패턴 및 라이프 사이클에 해당하는 광고 데이터를 수령인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지역별로 나누어진 복수의 배송 상품의 각각의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이 긴급 상품인 경우 해당 배송 상품의 순번을 높여 배송 상품 각각의 배송 순위를 결정하고, 수령자에 의해 직접 수령이 요청되거나 분실 히스토리가 존재하는 수령자인 경우 직접 수령고객이라 판단하고 해당 배송상품의 순번을 늦추어 다음 날 직접 배송하도록 택배 기사 단말에 제공하며,
    택배 기사 각각의 택배 배송 발생 현황 및 택배 배송 미결 현황 선택 절차를 제공하고, 상기 택배 배송 발생 현황이 선택되면 주소 별 또는 조직 별 택배 배송 발생 현황을 지도 상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특정 기간 단위로 기사가 배송해야 하는 택배 발생 건 및 전주 대비 증감을 수치로 제공하고, 상기 택배 배송 미결 현황이 선택되면 센터별 미결 현황을 지도 상으로 제공함과 택배 기사 별 발생 건 및 전주 대비 증감을 수치로 제공하고, 택배 기사별 총미결일 및 완료 예정일을 제공하며, 택배 기사 각각의 택배 배송 발생 현황 및 택배 배송 미결 현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수령인이 택배를 수령한 위치를 기준으로 생성한 라이프 사이클을 이용해 수령인의 행동반경에 해당하는 생활 정보 광고 데이터를 제공하는 택배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순위결정 택배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124044A 2017-09-26 2017-09-26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순위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택배시스템 KR101997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044A KR101997202B1 (ko) 2017-09-26 2017-09-26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순위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택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044A KR101997202B1 (ko) 2017-09-26 2017-09-26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순위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택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152A KR20190035152A (ko) 2019-04-03
KR101997202B1 true KR101997202B1 (ko) 2019-07-05

Family

ID=6616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044A KR101997202B1 (ko) 2017-09-26 2017-09-26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순위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택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2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354B1 (ko) * 2020-05-12 2021-07-30 쿠팡 주식회사 온라인 고객 보조를 위한 지능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520B1 (ko) 2019-06-04 2021-05-14 주식회사 한컴위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퀵서비스 배송 정보의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퀵서비스 관리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28191B1 (ko) 2020-06-24 2021-03-17 쿠팡 주식회사 배송 상태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257108B1 (ko) * 2020-07-03 2021-05-27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87392B1 (ko) * 2021-02-19 2023-10-10 장민우 택배기사의 업무지역에 따른 선별적 광고방법
KR102425057B1 (ko) * 2021-09-28 2022-07-27 차가은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 시스템
WO2023128002A1 (ko) *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남도마켓 중계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081B1 (ko) * 2013-03-06 2014-04-29 주식회사 코리아로지스 전자 화물 인수증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223A (ko) * 2005-07-05 2007-01-10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및 상품 주문/결제를 제공하는모바일 판매 서버 및 방법
KR101682276B1 (ko) * 2014-07-14 2016-12-12 명태현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자동화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081B1 (ko) * 2013-03-06 2014-04-29 주식회사 코리아로지스 전자 화물 인수증 관리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354B1 (ko) * 2020-05-12 2021-07-30 쿠팡 주식회사 온라인 고객 보조를 위한 지능형 시스템
WO2021229290A1 (en) * 2020-05-12 2021-11-18 Coupang Corp. Intelligent system for online customer assistance
KR20210138521A (ko) * 2020-05-12 2021-11-19 쿠팡 주식회사 온라인 고객 보조를 위한 지능형 시스템
US11238463B2 (en) 2020-05-12 2022-02-01 Coupang Corp. Intelligent system for online customer assistance
KR102432153B1 (ko) * 2020-05-12 2022-08-16 쿠팡 주식회사 온라인 고객 보조를 위한 지능형 시스템
TWI824221B (zh) * 2020-05-12 2023-12-01 南韓商韓領有限公司 用於線上顧客協助的電腦實行系統及電腦實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152A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202B1 (ko)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순위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택배시스템
KR101682276B1 (ko)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자동화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US20150193731A1 (en) Providing optimized delivery locations for an order
KR102240997B1 (ko) 배송 서비스 시스템
KR102525092B1 (ko) 지능형 준비 시간 분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1014393A (ja) 商品の発注、配達システム及び商品の発注、配達方法
WO2020003709A1 (ja) 商品配達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408794B1 (ko) 하이퍼미디어 요소들을 갖는 동적 웹사이트들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EP1535226A2 (en) Parcel or service delivery with partially scheduled time windows
US11093889B2 (en) Delegate item delivery
US1101071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errors of asynchronously enqueued requests
US200700110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ng inventory management in a supply chain
RU2679229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й синхронизации процесса сборки товаров в магазине на основании заказов пользователей
CN110222860A (zh) 一种生成订单的配送库房列表的方法和装置
CN111094158B (zh) 提示装置以及提示方法
US20220027821A1 (en) Merchandise delivery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US10902379B2 (en) System for customized unrequested item resolution
KR20200112265A (ko) 배송 서비스 시스템
KR20210153197A (ko) 배달 생태계의 활성화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배달 플랫폼 지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664824B1 (ko) 상품 분류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262592B1 (ko) 다지점 도착 분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8181238A (ja) 在庫管理装置、在庫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060108A (ja) 物流管理システム
KR101710361B1 (ko) 배송오더 제공 방법
KR20180118360A (ko) 통합 문자 발송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