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819A -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형된 주조품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주조품 몰드의 몰드 코어에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를 도입하는 방법, 냉각 요소 및 주조품 - Google Patents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형된 주조품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주조품 몰드의 몰드 코어에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를 도입하는 방법, 냉각 요소 및 주조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819A
KR20210154819A KR1020217037126A KR20217037126A KR20210154819A KR 20210154819 A KR20210154819 A KR 20210154819A KR 1020217037126 A KR1020217037126 A KR 1020217037126A KR 20217037126 A KR20217037126 A KR 20217037126A KR 20210154819 A KR20210154819 A KR 20210154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element
casting
removal
mold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티아스 바란즈케
요켄 빌헬름
게랄드 디알. 클라우스
토마스 바이저
디르크 디알. 슈누벨
Original Assignee
네마크 에스.에이.비.드 씨.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마크 에스.에이.비.드 씨. 브이. filed Critical 네마크 에스.에이.비.드 씨. 브이.
Publication of KR20210154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5/00Casting using a mould or core of which a part significant to the process is of high thermal conductivity, e.g. chill casting; Mould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5/00Casting using a mould or core of which a part significant to the process is of high thermal conductivity, e.g. chill casting; Mould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2D15/04Machines or apparatus for chill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22Moulds for peculiarly-shaped cas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7/00Treating the metal in the mould while it is molten or ductile ; Pressure or vacuum casting
    • B22D27/04Influencing the temperature of the metal, e.g. by heating or cooling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0/00Cooling castings, not restricted to casting processes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Ind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형된 주조품(22), 특히 경금속 합금으로 형성된 전기 모터용 주조 하우징(22)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냉각 요소(2-2d)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2d)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1; 1b)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형된 주조품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2d)를 제거하는 방법, 주조품 몰드(22)의 몰드 코어(26, 35)에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2d)를 도입하는 방법, 냉각 요소(2-2d) 및 주조품(22)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형된 주조품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주조품 몰드의 몰드 코어에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를 도입하는 방법, 냉각 요소 및 주조품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형된 주조품, 특히 경금속 합금으로 형성된 전기 모터용 주조 하우징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도구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형된 주조품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를 제거하는 방법, 주조품 몰드의 몰드 코어에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를 도입하는 방법, 냉각 요소 및 주조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부터, 회주철 또는 가공 강으로 제조된 소위 쿨링 아이언이 주조품 몰드에 도입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결과, 특히 쿨링 아이언의 유효 영역에서 응고하는 동안 주조품에서 다공성의 감소 및 기계적 특성의 개선이 달성된다. 적어도 부분적인 탈형, 특히 부분적인 디샌딩 후에, 주물 부품에 부착된 쿨링 아이언은 수동으로 제거되거나 제거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의 자동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앞서 언급된 유형의 장치를 생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목적은 제거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에 부착된 제거 돌출부를 파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는 것으로 달성된다. 제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고정되도록 배열된 주조품(cast part)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이동 가능하게 설계된다. 제거 장치가 고정되도록 배열되고 냉각 요소 제거를 위한 주조품이 제거 장치에 대해 이동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냉각 요소의 수동 제거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더욱이, 센터링은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거된 냉각 요소의 일관되게 동일한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제거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재사용을 위한 보관 팔레트에 자동화된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경금속 합금,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합금으로 형성되고 전기 모터용 하우징으로 제공되는 주조품의 제조에서, 낮은 다공성 및/또는 고강도와 같은 특정 특성이 고정자 또는 고정자 캐리어를 받는 역할을 하는 영역에서 요구된다. 컴팩트한 하우징과 엔진 작동 중 신뢰할 수 있는 냉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은 냉각제 손실을 방지하도록 특히 냉각 채널 영역에서 특히 낮은 다공성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주형 부품이 제조되는 주조품 몰드 내에, 예를 들어 모래 또는 염 코어일 수 있는 몰드 코어에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조품 몰드는 다이와 같은 영구 주형 또는 일회용으로 의도한 모래 주형일 수 있다.
제거 돌출부는 냉각 요소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냉각 요소에 물질적으로 결합되거나, 냉각 요소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거 돌출부의 특히 용이한 교체는 분리 가능한 연결을 통해 유리하게 가능하다. 필요한 유지 보수 및/또는 수리 작업이 저감된다. 냉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회주철 또는 강, 특히 가공 강으로 형성된다.
냉각 요소가 복수의 제거 돌출부를 갖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제거 돌출부 중 하나가 손상되면, 다른 하나가 주조품으로부터 냉각 요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각적인 교체는 필요하지 않다.
일체형 몰드가 유리하게는 간단한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반면에, 물질적으로 결합된 연결은 용접 및 납땜에 의해 손상된 제거 돌출부를 교체하거나 수리될 수 있게 한다.
편리하게는, 파지 수단은 제거 돌출부 뒤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서로 이격된 적어도 한 쌍의 레일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제거 돌출부는 레일의 길이 방향에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또는 거의 수직으로 작용하는 제거력만이 전달되는 방식으로 한 쌍의 레일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 또는 레일에 손상을 줄 수 있는 횡력 또는 굽힘 모멘트의 전달은 유리하게 방지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의 제거 돌출부는 파지 수단에 의해 파지되도록 구성되는 서로 이격된 적어도 한 쌍의 레일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제거 장치는 설계 면에서 단순화되고 따라서 더 긴 휴지 시간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파지 수단은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또는 절두 원추형(truncated cone-shaped) 제거 헤드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옆에 배열되고 특히 종축에 평행하거나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복수의 레일 쌍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복수의 냉각 요소가 단일 작업 단계에서 동시에 제거될 수 있고 제거될 때 제거 헤드에 의해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냉각 요소들은 전기 모터의 회전자 또는 회전자 캐리어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 공간을 나타내는 주조품 몰드의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또는 절두 원추형 몰드 코어에 도입된다.
바람직하게는 몰드 코어의 플러시 표면 섹션을 형성하고 주조품 몰드를 충전(filling)하는 동안 용융물과 접촉하는 복수의 냉각 요소가 제공되는 경우, 각각은 외부 윤곽이 그곳으로부터 냉각 요소를 제거될 수 있는 주조품의 중공 공간의 기능적 내부 윤곽 섹션과 거의 동일한 표면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주조품은 최종 윤곽에 가깝게 제조될 수 있다.
주조품 몰드를 충전할 때 용융물과 접촉하는 한쪽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냉각 요소의 한쪽에 제거 돌출부가 배열되는 경우, 몰드 코어에 냉각 요소를 특히 잘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조품으로부터 제거하는 동안 특히 잘 파지하는 능력이 얻어진다. 결과적으로, 제거 돌출부는 한편으로 몰드 코어와 래칭 연결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파지 수단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위해 특히 적합한 몰드 코어는 하나 이상의 부분, 특히 두 개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특히 높은 수준의 설계 자유도가 있다.
복수의 표면 섹션이 형성되고 그 중에 적어도 하나가 냉각 요소의 외측에 의해 형성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가 몰드 코어에 도입되도록 하기 위해, 냉각 요소는 성형 모래가 도입되기 전에 몰드 코어 제조 도구에 놓여질 수 있다. 몰드 코어 제조 도구 안에 고정 배열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구의 유지 장치에 맞물리는 제거 돌출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성형 모래가 압력하에서 도구 내로 발사되는 경우에도 고정된 배열이 보장된다. 제거 돌출부는 유리하게는 몰드 코어 제조 도구에 고정하기 위해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샌딩한 주조품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의 파지 수단에 대한 카운터홀더로서 작용한다.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인 제거 헤드의 종축에 평행하거나 비스듬한 레일의 배열로 인해, 제거 헤드가 중공 공간으로 직선 이동하는 경우에 각 쌍의 레일이 관련된 제거 돌출부 뒤에 맞물릴 수 있다. 유리하게는, 여러 냉각 요소들이 하나의 작업 단계에서 제거될 수 있다. 냉각 요소들은 또한 제거될 때 유리하게는 중앙에 위치된다. 이를 통해 특히 냉각 요소들을 쿨링 아이언(cooling iron) 보관 팔레트에 자동으로 삽입하고 코어 제조 공정에 다시 공급할 수 있다. 수동 개입 없이 완전 자동화된 제조 프로세스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각각의 레일은 제거 장치의 회전 대칭,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또는 절두 원추형 제거 헤드에 또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손상된 레일은 쉽게 교체될 수 있다. 유지 관리 및/또는 수리 작업이 저감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에서, 제거 장치의 실질적으로 절두 원추형 제거 헤드의 직경은 제거 헤드가 냉각 요소의 제거를 위한 주조품 중공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거 헤드의 길이 방향과 동축인 방향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확대로 인해 탈형 경사도가 형성되며, 이는 주조품으로부터 냉각 요소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힘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방식으로 가해지는 것을 보장한다. 제거 헤드를 손상시킬 수 있는 장력 피크는 유리하게 방지된다.
장력 피크가 더욱 감소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냉각 요소의 제거 돌출부는 T자형 단면을 갖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쿨링 아이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T-바(T-bar)는 바람직하게는 제거 돌출부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횡력 또는 굽힘 모멘트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방식으로 파지 수단, 특히 한 쌍의 레일에 의해 후방에서 파지되거나 맞물릴 수 있다.
T-바의 두께가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까지, 특히 냉각 요소의 길이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제거 헤드의 선형 이동 또는 고정 제거 헤드에 대한 주조품의 선형 이동이 T-바 후방에 결합하기 위한 레일 쌍이 있는 파지 수단을 사용하여 제거 헤드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운동 성분을 갖는 냉각 요소들의 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주조품으로부터 냉각 요소들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더욱 유리하게는, 주조품 또는 제거 헤드의 선형 이동은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의 다르게 배향된 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평하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레일들이 T-바를 따라 활주한다.
제거 헤드가 또한 탈형 경사도를 갖는, 예를 들어 2도 내지 5도, 바람직하게는 4도인 경우, 주조품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냉각 요소를 해제하여 중앙에 위치시키키고 최종적으로 제거를 위해록 주조품 중공 공간에서 가져오는 데 충분히 강한 힘을 적용하기 위하여 제거 이동 중에 두께가 변하는 T-바와 조합하여 특히 짧은 경로가 필요하다.
하나 이상의 냉각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주조품 제조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와 한쪽이 맞닿고 3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의 2차 수지상 가지 거리를 갖는 주조품 벽 섹션이 주조품에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특히 높은 강도와 더불어 낮은 다공성이 얻어진다. 주조품 벽 섹션이 엔진 작동 중에 액체 냉각 매체가 안내되는 냉각 채널을 구획하는 경우, 낮은 다공성이 특히 필요하다.
주조품이 밀봉 링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 홈을 포함하는 경우, 기공들은 최대 0.9 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8 mm의 페렛 직경(Feret diameter)을 갖는다. 특히 밀도가 높은 주조품이 유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엔진 작동 중에 냉각제 손실은 방지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 및 예시적인 실시예와 관련된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거 장치를 복수의 관점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요소를 다른 관점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주조품으로부터 냉각 요소를 제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제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요소가 제공된 두 부분의 몰드 코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요소 및 관련된 몰드 코어 제조 도구가 제공된 일체형 몰드 코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되지 않은 주조품으로부터 원형 방식으로 서로 옆에 배열된 8개의 동일한 금속 쿨링 아이언(2)을 제거하기 위한 도 1a에 사시도로 도시된 장치(1)는 도 1c 내지 도 1e에 상세하게 도시된 실질적으로 절두 원추형 제거 헤드(3)를 포함하며, 제거 헤드에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8개의 길이 방향 홈(4)이 삽입되고, 상기 제거 장치(1)를 향하는 쿨링 아이언(2)의 한쪽(6)으로부터 돌출된 단면이 T자형이며 쿨링 아이언에 일체로 형성된 제거 돌출부(5)가 홈 내에서 안내된다.
제거 장치(1)는 제거 헤드(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일정한 두께로 경화강으로부터 형성된 레일(8, 9)들을 포함하며, 레일들은 원주 방향으로 쌍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되고 복수의 나사(10)에 의해 제거 헤드(3)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레일(8, 9)들이 길이 방향으로 변화하는 두께를 갖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양쪽으로부터의 평면도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8, 9)은 양단에서 테이퍼져 있으며 주조품에서 쿨링 아이언(2)을 제거할 때 제거 돌출부(5)의 T-바(7) 후방에 맞물리기 위해 제공된다.
쿨링 아이언(2)을 제거하기 위해, 제거 장치(1)의 제거 헤드(3)가 도 1a에 도시된 화살표(11) 방향으로 종축에 평행하게 주조품 내로 이동되며, 이에 의해 예로서 도 1b에 도시된 화살표(12) 방향으로 쿨링 아이언(2)의 이동이 일어난다. 그 결과, 쿨링 아이언(2)은 도 3에 도시된 주조품으로부터 제거되고, 동일한 단계에서 중앙에 위치되어 제거될 수 있다.
제거 장치(1)는 도 1c에 사시도로, 도 1d에 분해도로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1e에 측면도로 도시된 실질적으로 절두 원추형 제거 장치(1)의 경우에, 표면 라인(13)이 원뿔축에 대해 4도 기울어진 것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것은 탈형 경사도를 형성한다.
동일하거나 동일한 부분에는 도 1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가 지정되어 있고 각각의 경우에 문자 a가 해당 참조 번호에 추가되어 있는, 도 2를 이제 참조한다.
외측의 위쪽에서 본 사시도로 도 2a에 도시된 쿨링 아이언(2a)은 만곡된 표면(14)을 가지며, 그 외측 윤곽은 냉각 요소(2a)가 제거될 수 있는 (23)으로 도 3에 지정된 주조품(22)의 중공 공간의 기능적 내부 윤곽 섹션과 거의 동일하다. 표면(14)은 주조품 몰드를 충전하는 금속 용융물과 접촉하도록 제공된다. 이는 특히 우수한 주조품 품질, 특히 쿨링 아이언(2a)에 인접한 주조품 영역에서 고강도 및 낮은 다공성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이것은 쿨링 아이언(2a)으로부터 최대 25 mm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페렛 직경이 최대 0.8 mm인 기공들이 있는 다공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돌출부(16)는 제1 단부면(15)에 일체로 형성되는 반면에, 2개의 추가 돌출부(18, 19)들이 제2 단부면(17)에 형성된다. 돌출부(16, 19)들은 쿨링 아이언(2b)이 도입되는 몰드 코어에 의해 후방에 맞물리도록 제공된다. 이것은 몰드 코어에서의 고정 및 쿨링 아이언(2a)의 만곡된 표면(14)과 몰드 코어의 표면의 플러시 플러시 엔딩을 모두 달성한다.
내측 사시도로 도 2b에 도시된 쿨링 아이언(2a)은 단면이 T자형이고 쿨링 아이언(2a)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거 돌출부(5a)를 포함한다. T-바(7a)의 두께는 제1 단부(20)에서 제2 단부(21)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이것은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제거 장치가 화살표(11a) 방향으로 삽입 이동하는 동안 도 1에 도시된 레일을 활주하고 (8, 9)로 표시되는 비스듬한 평면을 생성한다. 이것은 도 1b에서 (12)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주조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사상의 방향 성분을 갖는 쿨링 아이언(2a)의 이동으로 제거 장치의 선형 이동을 야기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여기서 동일하거나 동일한 부분은 도 1 및 도 2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지정되고 각각의 경우에 문자 b가 해당 참조 번호에 추가된다.
평면도로 도 3a에 도시되어 있고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는 전기 모터용 하우징(22)은 원뿔축에 대해 1도 기울어진 표면 라인을 갖는 실질적으로 절두 원추형의 중공 공간(23)을 포함하는데, 이는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전기 모터의 고정자 또는 고정자 캐리어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쿨링 아이언(2b)을 위한 제거 장치(1b)가 중공 공간(23)으로 도입되고, 그 레일(8b, 9b)들은 쿨링 아이언(2b)의 T자형 제거 돌출부(5b) 후방에 맞물리며 도 3a에서 쿨링 아이언(2b)에 제거력이 전혀 작용하지 않는 초기 위치에 있다. 각각의 쿨링 아이언(2a)은 관련 주조품 벽 섹션(24)에 대항하여 도 2a 및 도 2b에 (14)로 지정된 표면과 맞닿아 부착된다.
제거 장치(1b)가 중공 공간(23)으로 직선 이동하는 동안, 레일(8b, 9b)들은 도 2에 도시된 제거 돌출부(5d)의 가파른 평면을 따라 활주하며, 이에 의해 쿨링 아이언(2b)이 맞닿아 접착되는 주조품 벽 섹션(24)으로부터 멀어지는 이동이 중공 공간(23)의 방사상 방향으로의 운동 성분으로 인해 야기된다. 쿨링 아이언(2b)은 도 3b에 도시된 종료 위치에서 주물 부품(22)으로부터 분리된다. 쿨링 아이언(2b)과 관련 주조품 벽 섹션(24) 사이에 갭(25)이 형성된다. 이 위치에서, 쿨링 아이언(2b)은 제거 장치(1b)에 의해 유지되고 삽입 방향과 반대되는 이동 방향을 통해 중공 공간(23)의 밖으로 꺼낼 수도 있다.
레일(8b, 9b)들의 규칙적인 배열 및 종료 위치로 제거 장치(1b)의 이동은 쿨링 아이언(2b)의 센터링을 추가로 유발하며, 이에 의해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은 쿨링 아이언 보관 팔레트에 자동 삽입이 가능해진다.
제거 장치(1b)가 제1 측면의 중공 공간에 삽입되며 제1 측면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측면의 중공 공간(23)을 빠져 나오고 쿨링 다리미(2b)도 함께 가져가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것은 삽입 방향과 반대되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할 때 개별 쿨링 아이언(2b)이 고착되어 자동 제거 프로세스에서 정지를 야기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여기서 동일하거나 동일한 부분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지정되고 각각의 경우에 문자 c가 해당 참조 번호에 추가된다.
분해도로 도 4a에 도시되고 성형 모래로 형성되는 두 부분의 절두 원추형 모래 코어(26)는 푸시-인 및 접착 연결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두 개의 모래 코어부(27, 28)를 갖고 있는데, 이것에 의해서 제1 몰드 코어부(27)의 링형 돌출부(29)가 도 4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접착제를 갖고 있는 홈에 삽입된다.
복수의 재료 오목부(30)는 모래 코어(26)에 쿨링 아이언(2c)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제거 돌출부(5c)의 T-바(7c)는 두 개의 샌드 바(31)에 의해서 파지된다. 도 4c에 도시된 쿨링 아이언(2c)의 돌출부(16c)는 모래 코어부(27)의 포켓(32)에 삽입되도록 제공되지만, 추가의 돌출부(19c)는 모래 코어부(28)의 포켓(33)에 결합된다.
총 8개의 쿨링 아이언(2c)이 사시도로 도 4b에 도시된 조립된 모래 코어(26)에 도입된다. 샌드 바(34)의 표면은 쿨링 아이언 표면(14c)과 같은 높이이며 주조품 몰드를 충전할 때 주조품 몰드를 채우는 금속 용융물과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평평한 전체 표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코어로 생산되는 주조품은 최종 윤곽에 가깝게 제조된다.
종단면도로 도 4c에 도시된 조립된 두 부분의 모래 코어(26)의 경우에, 모래 코어부(27)의 샌드 바(31)는 유지 돌출부(5c)의 T-바(7c) 후방에 맞물린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여기서 동일하거나 동일한 부분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지정되는 각각의 경우에 문자 d가 해당 참조 번호에 추가된다.
사시도로 도 5a 및 부분 단면 측면도로 도 5b에 도시된 모래 코어(35)는 일체로 형성된다. 쿨링 아이언(2d)은 그 제조를 위해, 단면 측면도로 도 5c에 도시된 몰드 코어 제조 도구(36)에 도입되고 코어 제조 동안 소성된다. 즉, 몰드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경화 가능한 성형 모래 주위와 함께 회류된다.
몰드 코어 제조 도구(36)는, 코어 제조를 위해 성형 모래 및 쿨링 아이언(2d)이 도입될 수 있는 공간을 둘러싸며 제조된 몰드 코어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상부(37) 및 하부(38)를 포함한다.
쿨링 아이언(2d)의 상측(14d)은 주형 벽면(39)에 맞닿는다.
또한, 쿨링 아이언(2d)의 유지 돌출부(5d)가 맞물리는 유지 오목부(40)가 제공되어, 몰드 코어 제조 도구(36)에서 고정 배치가 보장된다.
비록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이동가능한 제거 헤드(3; 3b)를 갖는 제거 장치(1; 1b)들은 고정되도록 배열된 주조품(22)으로부터 냉각 요소(2-2d)의 제거를 위해 도시되었지만, 제거 헤드(3; 3b)들이 고정되도록 배열되고 주조품(22)이 냉각 요소의 제거를 위해 이동 가능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Claims (21)

  1.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형된 주조품(22), 특히 경금속 합금으로 형성된 전기 모터용 하우징(22)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2d)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2d)를 제거하는 장치(1; 1b)를 갖고 있으며, 제거 장치(1; 1b)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2d)에 부착된 제거 돌출부(5-5d)를 파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파지 수단은 제거 돌출부(5-5d) 후방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서로 이격된 적어도 한 쌍의 레일(8, 9; 8b, 9b)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2d)의 제거 돌출부(5-5d)는, 파지 수단이 후방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서로 이격된 적어도 한 쌍의 레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파지 수단은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또는 절두 원추형 제거 헤드(3; 3b)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되고 특히 그 종축에 평행하거나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복수의 레일 쌍(8, 9; 8b, 9b)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레일(8, 9; 8b, 9b)들은 제거 장치(1; 1b)의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또는 절두 원추형 제거 헤드(3; 3b)에 또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2d)에 분리할 수 있게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거 장치(1; 1b)의 실질적으로 절두 원추형 제거 헤드(3; 3b)의 직경이, 제거 헤드(3; 3b)가 냉각 요소(2-2d)를 제거하기 위해 주조 공동(23) 내로 이동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거 헤드(3; 3b)의 길이 방향과 동축인 방향(11; 11a)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형된 주조품(22)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2d)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거 장치(1; 1b)가 주조품(22)의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또는 절두 원추형 중공 공간(23)으로 바람직하게는 종축에 평행하게, 동축으로 또는 비스듬하게 도입되며,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2d)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거 돌출부(5-5d)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2d)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1; 1b)의 파지 수단(8, 9; 8b, 9b)에 의해 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거 장치(1; 1b)를 이동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2d)가 또한 중공 공간(23)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회전 대칭 중공 공간(23) 내로 제거 장치(1; 1b)의 이동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2d)의 이동은 방사상 운동 성분(12)을 갖는 중공 공간(23)의 방향(1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2d)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형된 상태에서 제거될 수 있고, 주조품(22)의 제조를 위해 제공되는 주조품 몰드의 몰드 코어 내에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2d)를 도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2d)가 주조품 몰드를 충전할 때 용융물과 접촉을 위해 제공되는 복수의 표면 섹션(14c, 34; 34d)들이 형성되게 하는 방식으로 몰드 코어(36; 35) 내로 도입되며, 표면 섹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의 외측면(14; 14c; 14d)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2d)는 성형 모래를 도입하기 전에 몰드 코어 제조 주형(36) 내로 도입되고 성형 모래가 도입되는 동안 몰드 코어 제조 주형(36)에서 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거 돌출부(5 -5d)를 향하는 쪽이 몰드 코어 제조 주형 벽(39)에 맞닿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2d)가 몰드 코어 제조 주형(36) 내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2d)가 각 몰드 코어부(27, 28)의 포켓(32, 33)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냉각 요소(2-2d)가 적어도 두 부분으로 구성된 몰드 코어(26)의 제1 부분(27)에 도입되고 몰드 코어(26)의 제2 부분(28)은 제1 부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경금속 합금으로 형성된 주조품(22)을 제조하기 위한 주조품 몰드의 몰드 코어(26, 35) 내로 도입되도록 제공되는 냉각 요소(2-2d)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형된 주조품(22)으로부터 냉각 요소(2-2d)를 제거할 때 제거 장치(1; 1b)의 파지 수단(8, 9; 8b, 9b)에 의해 파지되도록 구성된 제거 돌출부(5-5d)가 주조품 몰드를 충전할 때 용융물과 접촉하는 측면을 향하는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냉각 요소.
  15. 제14항에 있어서,
    제거 돌출부(5-5d)는 T자형 단면을 갖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냉각 요소(2-2d)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거나 레일의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요소.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제거 돌출부(5-5d)의 T-레그(7; 7a; 7c)의 두께가 제1 단부(20)에서 제2 단부(21)까지, 바람직하게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요소.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거 돌출부(5-5d)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냉각 요소(2-2d)에 물질적으로 결합된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냉각 요소(2-2d)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요소.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면(14; 14c; 14d)이 제공되고, 그 외부 윤곽은 냉각 요소(2-2d)가 제거될 수 있는 주조품(22)의 중공 공간(23)의 기능적 내부 윤곽 섹션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요소.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2d)를 구비한 몰드 코어(26, 35)에 의해 제조되거나 또는 제조될 수 있는 전기 모터의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회전 대칭,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또는 절두 원추형 중공 공간(23)을 가진 주조품(22), 특히 경금속 합금으로 형성된 주조품(22)으로서,
    주조품 벽 섹션(24)이 주조품을 제조 동안, 한면으로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2d)에 맞닿는 중공 공간(23)을 구획하는 주조품 벽 섹션은 3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15 및 25 ㎛의 2차 수지상 가지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품.
  20. 제19항에 있어서,
    주조품 벽 섹션(24)이 냉각 채널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품.
  21. 제19항에 있어서,
    주조품 벽 섹션(24)은 바람직하게는 주조품 벽 섹션(24)으로부터 돌출된 홈 벽으로 밀봉 링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 벽은 페렛 직경이 최대 0.9 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8 mm인 기공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품.
KR1020217037126A 2019-04-24 2020-04-23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형된 주조품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주조품 몰드의 몰드 코어에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를 도입하는 방법, 냉각 요소 및 주조품 KR202101548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10580.3 2019-04-24
DE102019110580.3A DE102019110580A1 (de) 2019-04-24 2019-04-24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ntnahme mindestens eines Kühlelementes aus einem wenigstens teilweise entformten Gussteil, Verfahren zur Einbringung mindestens eines Kühlelementes in einen Formkern einer Gussteilform, Kühlelement sowie Gussteil
PCT/IB2020/053845 WO2020217199A1 (de) 2019-04-24 2020-04-23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ntnahme mindestens eines kühlelementes aus einem wenigstens teilweise entformten gussteil, verfahren zur einbringung mindestens eines kühlelementes in einen formkern einer gussteilform, kühlelement sowie gusste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819A true KR20210154819A (ko) 2021-12-21

Family

ID=70476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126A KR20210154819A (ko) 2019-04-24 2020-04-23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형된 주조품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주조품 몰드의 몰드 코어에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를 도입하는 방법, 냉각 요소 및 주조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20203434A1 (ko)
EP (1) EP3810357B1 (ko)
JP (1) JP7421568B2 (ko)
KR (1) KR20210154819A (ko)
CN (1) CN114096363B (ko)
BR (1) BR112021020431A2 (ko)
CA (1) CA3137784C (ko)
DE (1) DE102019110580A1 (ko)
HU (1) HUE058311T2 (ko)
MX (1) MX2021012757A (ko)
PL (1) PL3810357T3 (ko)
WO (1) WO20202171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502349B1 (de) 2022-06-24 2024-01-09 Nemak Sab De Cv Gießform zur Herstellung eines aus einer Leichtmetalllegierung gebildeten Gussteil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8248A (en) * 1978-08-04 1980-12-09 Swiss Aluminium Ltd. Process for preparing low earing aluminum alloy strip on strip casting machine
JPH0524132U (ja) * 1991-09-05 1993-03-30 日立金属株式会社 冷し金
JP2571591Y2 (ja) * 1992-05-01 1998-05-18 株式会社 大阪シエル工業所 鋳造用中子製造装置における冷し金供給装置
JPH06284622A (ja) * 1993-03-26 1994-10-07 Hitachi Ltd 回転電機
DE4322181A1 (de) * 1993-06-29 1995-01-12 Hottinger Adolf Masc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Greifen eines Gießereikerns, insbesondere eines Sohlenkerns
JP2943674B2 (ja) * 1994-12-26 1999-08-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中子成形方法
JP3301919B2 (ja) * 1996-06-26 2002-07-1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切粉分断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押出材
DE19816163A1 (de) * 1998-04-09 1999-10-14 Gut Gieserei Umwelt Technik Gm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ntnahme von Gußtrauben aus kastenlos hergestellten verlorenen Formen
US6343641B1 (en) * 1999-10-22 2002-02-05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ling casting grain spacing
JP4445335B2 (ja) * 2004-06-21 2010-04-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金型装置及びシリンダブロックの製造方法
US7017648B2 (en) * 2004-08-24 2006-03-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ld design for castings requiring multiple chills
DE102006006132A1 (de) * 2006-02-10 2007-08-16 Hydro Aluminium Alucas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ontieren einer Gießform zum Gießen eines Gussteils aus einer Metallschmelze
DE102006053404A1 (de) * 2006-11-10 2008-05-15 Hydro Aluminium Alucast Gmbh Gießform zum Gießen eines Gussteils und Verwendung einer solchen Gießform
DE102008019200A1 (de) * 2008-04-17 2009-10-22 Honsel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m Gießen von Leichtmetall-Zylindergehäusen sowie Gießform
DE102010054496B4 (de) * 2010-12-14 2020-06-18 Volkswagen Ag Durch Gießen hergestelltes Elektromotorgehäuseteil für einen Elektromotor
CN202490914U (zh) * 2011-09-19 2012-10-17 南车戚墅堰机车车辆工艺研究所有限公司 铸件圆孔部位的冷铁结构
CN102672112A (zh) * 2012-04-28 2012-09-19 浙江坤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电机壳体的铸造方法
DE102012221790A1 (de) * 2012-11-28 2014-05-28 Oskar Frech Gmbh + Co. Kg Faltkern und damit ausgerüstete Gießformhälfte
US9601978B2 (en) * 2013-04-26 2017-03-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luminum alloy rotor for an electromagnetic device
NO2756167T3 (ko) * 2014-01-29 2018-06-16
DE102015225588A1 (de) * 2015-12-17 2017-06-2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Gießverfahren und Kühleinsatz zur Herstellung eines Gussteiles
DE102017109921A1 (de) * 2017-05-09 2018-11-15 Martinrea Honsel Germany Gmbh Form zum Herstellen eines Gießkerns
CN207255172U (zh) * 2017-08-18 2018-04-20 广东铸德实业有限公司 一种油缸类铸件的防缩孔缩松结构
DE102017216645A1 (de) * 2017-09-20 2019-03-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ühlpinole
CN109434027A (zh) * 2018-12-29 2019-03-08 广东肇庆动力金属股份有限公司 一种内芯模
CN109663860B (zh) * 2019-02-26 2020-05-01 西北工业大学 带纵横内筋构件旋压成形模具及尺寸设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37784A1 (en) 2020-10-29
US20220203434A1 (en) 2022-06-30
CN114096363B (zh) 2024-03-05
PL3810357T3 (pl) 2022-07-11
DE102019110580A1 (de) 2020-10-29
JP7421568B2 (ja) 2024-01-24
MX2021012757A (es) 2021-11-18
EP3810357A1 (de) 2021-04-28
WO2020217199A9 (de) 2021-02-18
WO2020217199A1 (de) 2020-10-29
CN114096363A (zh) 2022-02-25
EP3810357B1 (de) 2021-12-15
BR112021020431A2 (pt) 2022-03-08
JP2022529902A (ja) 2022-06-27
CA3137784C (en) 2023-11-07
HUE058311T2 (hu)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8366B2 (en) Internal gear manufacturing method and metallic glass internal gear manufactured thereby
US6615901B2 (en) Casting of engine blocks
US6527039B2 (en) Casting of engine blocks
US6533020B2 (en) Casting of engine blocks
US6598655B2 (en) Casting of engine blocks
KR20210154819A (ko)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형된 주조품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주조품 몰드의 몰드 코어에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를 도입하는 방법, 냉각 요소 및 주조품
JPH09271924A (ja) クローズドデッキタイプシリンダブロック鋳造装置と該装置に用いられる砂中子との組合せ
US6527040B2 (en) Casting of engine blocks
JP2008212942A (ja) シリンダブロックの製造方法
US5385705A (en) Reusable core apparatus for a casting mold, and methods of utilizing same
JP2011042149A (ja) 樹脂成形金型装置
US5964274A (en) Die assembly for a die casting machine
JP2005178066A (ja) 射出成形方法及びこの成形方法により成形された成形品
KR101099504B1 (ko) 다이캐스팅 금형
JP2012223989A (ja) 射出成形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射出成形用金型
CN113976854B (zh) 具有中孔的铝压铸件的压铸模和使用方法
JP2020082598A (ja) 射出成形金型
CN114769520B (zh) 用于砂芯模具的顶杆配合机构
JP7305280B2 (ja) 樹脂製のバルブボディ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161173B2 (en) Casting apparatus and casting method
CN109877292B (zh) 一种铝合金吊臂压铸模具
CN112808968B (zh) 一种组合式型芯及压铸模具
SU1234043A2 (ru) Пресс-форма дл лить под давлением
JP2009207278A (ja) ステータ製造方法
JP2003084172A (ja) 光コネクタ用ファイバー支持体の製造方法及び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