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3782A -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782A
KR20210153782A KR1020200070107A KR20200070107A KR20210153782A KR 20210153782 A KR20210153782 A KR 20210153782A KR 1020200070107 A KR1020200070107 A KR 1020200070107A KR 20200070107 A KR20200070107 A KR 20200070107A KR 20210153782 A KR20210153782 A KR 20210153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module
folding
packaging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5619B1 (ko
Inventor
정정
진평곤
서순교
조충헌
이재용
이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지
Priority to KR1020200070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619B1/ko
Publication of KR20210153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8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packaging of 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16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 B65B43/18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65B43/185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specially adapted for carton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265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2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external pressure diagonally applied
    • B65B43/325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external pressure diagonally applied to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2Machines characterised by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5/024Machines characterised by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for making containers from preformed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2Applying adhesives or seal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3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related to the packag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5Adjustable conve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6Packaging contents into primary and secondary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양측면에 8개의 절첩날개를 마련하는 포장박스재를 한 단위씩 공급하는 박스공급모듈(110)과, 박스공급모듈(110)에서 포장박스재를 픽업하여 입체화하고 박스이송모듈(140)에 안착하는 박스안착모듈(120)과, 박스이송모듈(140)에 안착된 포장박스의 내부에 콘택트렌즈가 개별 밀봉된 패키지를 공급하여 수납하는 렌즈패키지공급모듈(130)과, 패키지가 수납된 포장박스를 한 단위씩 고정하고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박스이송모듈(140)과, 박스이송모듈(140)의 경로 상에서 양측에 배치하여 이송 중인 포장박스의 절첩날개를 순차적으로 접어주는 날개절첩모듈(150)과, 날개절첩모듈(150)에 의해 최후에 접어지는 절첩날개를 접착하여 포장박스의 양측면을 봉인하는 날개봉인모듈(160)과, 날개봉인모듈(160)에 의해 봉인된 포장박스를 선별하여 배출하는 배출모듈(170)을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콘택트렌즈 패키지를 포장박스에 수납하고 봉인 및 반출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CONTACT LENS PACKING SYSTEM}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콘택트렌즈를 개별 봉인하는 콘택트렌즈 패키지를 포장박스에 수납하여 봉인 및 반출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콘택트렌즈는 시력 교정이나 치료와 같은 의학용, 또는 미용 등의 목적에서 눈의 각막에 장착하는 렌즈이다. 안경에 비해 수차가 거의 없고 시야가 넓으며 외관상 착용 상태가 거의 표시되지 않는 등의 다양한 이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콘택트렌즈가 장착되는 안구의 각막은 대략 구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콘택트렌즈의 구조 역시 그에 맞게 전면 커브, 후면 커브, 및 엣지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콘택트렌즈는 일반적으로 주형 몰드를 이용하는 주조법에 의해 제조되는바, 암·수형 몰드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콘택트렌즈의 원료인 단량체를 주입하고 일정 시간 동안 단량체를 경화시킴으로써 콘택트렌즈의 형상으로 제조하게 된다.
콘택트렌즈는 재질적으로 외부 손상에 취약하고 무균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등 취급상의 주의가 요구되므로 대부분의 콘택트렌즈는 포장용기나 블리스터 패키지와 같은 포장재에 개별 밀봉한 후 포장박스에 수납하여 공급하는 방식으로 포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 10 - 0408580 호에는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를 갖고 캐비티 주변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플랜지 및 당해 플랜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 벽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성형된 플라스틱 기본 부재로서, 캐비티가 곡선 형태의 오목한 만입부로 이루어지고 캐비티 내에 수용하기에 적합한 콘택트 렌즈의 형상과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 기본 부재와, 기본 부재 위에 포개어지고 포개진 커버 시트와 접촉되어 접하는 평면 표면을 갖고 포개진 커버 시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 표면의 한쪽 말단에 지지 벽 부분을 갖는 플랜지에 분리 가능하게 밀봉되도록 하는 가요성 커버 시트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를 밀봉 수용하기 위한 나열형 포장 용기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975160 호에는 개별의 밀봉된 블리스터 팩 및 폴리머 필름을 포함하는 연결 라벨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용 패키징이며, 개별의 밀봉된 블리스터 팩의 각각은 단일의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는 플라스틱 기부 부재, 및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라벨은 개별의 밀봉된 블리스터 팩의 각각의 밀봉 부재에 부착되어 블리스터 팩을 함께 바인딩하는 패키징을 구성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 - 0408580 호 (2005.02.03) 한국등록특허 제 10 - 1975160 호 (2019.05.03) 한국등록특허 제 10 - 0912460 호 (2009.08.14) 한국등록특허 제 10 - 1343713 호 (2013.12.20)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콘택트렌즈 포장 기술은 콘택트렌즈 형상의 다수의 캐비티를 형성하여 각 캐비티에 개별 콘택트렌즈를 수용하는 플라스틱 기본 부재와, 기본 부재에 부착하여 밀봉하는 커버 시트로 이루어진 블리스터 패키지로 1차 포장이 이루어진 후, 포장박스에 패키지를 수납하는 2차 포장 공정을 거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콘택트렌즈 포장 방식은 콘택트렌즈를 1차 포장하는 블리스터 패키지 공정은 자동화가 이루어져 있으나 패키지를 포장박스에 2차 포장하는 공정은 대부분 인력에 의한 수작업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포장 기술은 콘택트렌즈 포장공정 전반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것은 물론, 수동 포장 과정에서 누락이나 오류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므로 포장공정의 전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양측면에 8개의 절첩날개를 마련하는 포장박스재를 한 단위씩 공급하는 박스공급모듈(110)과,
상기 박스공급모듈(110)에서 포장박스재를 픽업하여 입체화하고 박스이송모듈(140)에 안착하는 박스안착모듈(120)과,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에 안착된 포장박스의 내부에 콘택트렌즈가 개별 밀봉된 패키지를 공급하여 수납하는 렌즈패키지공급모듈(130)과,
상기 패키지가 수납된 포장박스를 한 단위씩 고정하고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박스이송모듈(140)과,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의 경로 상에서 양측에 배치하여 이송 중인 포장박스의 절첩날개를 순차적으로 접어주는 날개절첩모듈(150)과,
상기 날개절첩모듈(150)에 의해 최후에 접어지는 절첩날개를 접착하여 포장박스의 양측면을 봉인하는 날개봉인모듈(160)과,
상기 날개봉인모듈(160)에 의해 봉인된 포장박스를 선별하여 배출하는 배출모듈(17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콘택트렌즈 패키지를 포장박스에 수납하고 봉인 및 반출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포장용기나 블리스터 패키지와 같은 포장재에 개별 봉인된 콘택트렌즈를 포장박스에 수납하여 반출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포장공정 전반을 자동화하여 종래의 수동 포장 방식에 비해 오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함으로써 공정 품질을 향상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박스의 종류에 따라서 시스템 구성을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포장시스템의 운용이 용이하고 생산성 및 효율성을 현저히 증대하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A'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2의 'B'부분 확대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의 개략적인 예시 이미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을 이용한 포장방법의 공정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A'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2의 'B'부분 확대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의 개략적인 예시 이미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을 이용한 포장방법의 공정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은 다수의 콘택트렌즈를 개별 봉인하는 콘택트렌즈 패키지를 포장박스에 수납하여 반출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은 포장박스재와 렌즈패키지를 공급하여 제품 포장이 완료된 포장박스를 배출하도록 박스공급모듈(110)과, 박스안착모듈(120)과, 렌즈패키지공급모듈(130)과, 박스이송모듈(140)과, 날개절첩모듈(150)과, 날개봉인모듈(160)과, 배출모듈(17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박스공급모듈(110)은 양측면에 8개의 절첩날개를 마련하는 포장박스재를 한 단위씩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박스공급모듈(110)은 소정의 컨베어어 장치를 적용하여 포장박스재를 후술하게 될 박스안착모듈(120)을 향해 공급하도록 구비하되, 박스안착모듈(120)에서 포장박스재를 보다 용이하게 픽업 가능하도록 컨베이어의 후단부는 하향 경사지게 마련하여 구성한다.
상기 박스공급모듈(110)에 의해 공급되는 포장박스재는 입체화 된 상태에서 6면을 형성하는 카톤 상자를 평면 상태, 즉 콘택트렌즈 패키지가 출입 가능하도록 양측면에 마련되는 8개의 절첩날개가 펼쳐지고 4벽면은 포개어져 접힌 상태로 컨베이어 상에 한 단위씩 일정 간격으로 공급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박스안착모듈(120)은 상기 박스공급모듈(110)에서 포장박스재를 픽업하여 입체화하고 박스이송모듈(140)에 안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박스안착모듈(120)은 상기 박스공급모듈(110)의 진행방향 후단에서 후술하게 될 하측 박스이동모듈과의 사이에서 작동하도록 구비하여 포장박스에 콘택트렌즈 패키지를 수납 가능한 상태로 박스이동모듈에 안착시키도록 구비하며, 픽업부(121)와, 회전부(122)와, 입체화부(123), 및 승강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픽업부(121)는 박스공급모듈(110)의 내측으로 전, 후진하도록 구비하여 공급되는 포장박스재의 상면을 흡착하여 픽업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픽업부(121)는 하나 이상의 흡착수단을 구비하는 바 형태로 형성하고 예컨대, 실린더와 같은 구동수단에 결합하여 전, 후진 가능하도록 마련하여 포장박스재를 픽업하는 동작 및 안착하는 동작 시 흡착 및 전, 후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회전부(122)는 상기 픽업부(121)를 장착하고 상기 박스공급모듈(110)과 박스이송모듈(140) 사이를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포장박스재의 하면이 박스이송모듈(140)을 향해 회전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회전부(122)는 상기 픽업부(121)의 일측을 축 결합하여 일체를 회전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상기 박스공급모듈(110)로부터 포장박스재를 픽업하고 상기 박스이송모듈(140)로 안착하기 위한 작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입체화부(123)는 상기 픽업부(121)의 전, 혹은 후측에서 회동하도록 구비하여 평면 상태의 포장박스재의 전면 또는 후면을 가압하여 입체화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입체화부(123)는 상기 회전부(122)에 의해 하면이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을 향하도록 회전된 포장박스재의 일측을 향해 회동하는 소정의 핸들 형태로 구비하여 평면 상태로 접혀 공급되는 포장박스재의 양측면이 개방된 상태로 입체화함으로써 콘택트렌즈 패키지의 출입이 가능한 포장박스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승강부(124)는 상기 회전부(122)를 장착하고 상기 박스공급모듈(110)과 박스이송모듈(140) 사이에서 높이를 승강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승강부(124)는 상기 픽업부(121)가 장착되는 회전부(122) 일체를 승강하도록 구비하여 상기 박스이송모듈(140)로 포장박스재를 안착하기 위한 작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렌즈패키지공급모듈(130)은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에 안착된 포장박스의 내부에 콘택트렌즈가 개별 밀봉된 패키지를 공급하여 수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렌즈패키지공급모듈(130)은 상기 박스안착모듈(120)에 의해 양측면이 개방된 상태로 박스이송모듈(140)에 안착된 포장박스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공급바(131)를 전, 후진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공급바(131)는 예컨대, 실린더와 같은 구동수단을 마련하여 콘택트렌즈 패키지를 한 단위씩 포장박스의 내부로 이송하도록 구성하며, 패키지의 크기나 포장박스의 규격에 따라서 공급바(131)의 전, 후 작동 구조를 다단으로 마련하여 포장박스 내부에 안정적인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은 상기 패키지가 수납된 포장박스를 한 단위씩 고정하고 일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은 상기 박스공급모듈(110)과 동일한 진행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마련하되, 상기 박스안착모듈(120) 및 렌즈패키지공급모듈(130)에 의해 콘택트렌즈 패키지가 수납된 포장박스를 이송하면서 후술하게 될 날개절첩모듈(150) 및 날개봉인모듈(160)에 의한 포장박스의 밀봉 단계가 수행되도록 일정 길이로 구비하여 배출모듈(170)을 향해 구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은 포장박스의 규격에 따라서 양측을 고정하여 이송하도록 구비하며 제1이송부(141)와, 제2이송부(142)와, 제1박스고정부(143)와, 제2박스고정부(144)와, 전후간격조절부(14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이송부(141) 및 제2이송부(142)는 후술하게 될 제1박스고정부(143) 및 제2박스고정부(144)를 구동하되 포장박스의 규격별로 전, 후면 폭에 상응하여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1이송부(141)와 제2이송부(142)가 개별적으로 구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이송부(141)는 박스안착모듈(120)의 하부 양측에서 대칭하도록 구비하여 배출모듈(170)을 향해 일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이송부(141)는 예컨대 벨트나 체인 구동수단을 적용하여 상기 박스안착모듈(120)의 하측에서 배출모듈(170) 사이를 일 방향 수평 구동하도록 마련하여 다수의 제1박스고정부(143)를 장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이송부(142)는 박스안착모듈(120)의 하부 양측에서 대칭하도록 구비하되 제1이송부(141)와 연동하여 배출모듈(170)을 향해 일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이송부(142) 역시 예컨대 벨트나 체인 구동수단을 적용하여 상기 박스안착모듈(120)의 하측에서 배출모듈(170) 사이를 일 방향 수평 구동하도록 마련하며 다수의 제2박스고정부(144)를 장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이송부(141)와 제2이송부(142)는 각각 양측에서 상호 근접하는 위치에서 구동하도록 구비하여 상기 제1이송부(141)에 장착하는 제1박스고정부(143)와 제2이송부(142)에 장착하는 제2박스고정부(144)가 각각 포장박스의 전면 및 후면에 당접하여 포장박스의 중심을 향해 상호 안정적인 고정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박스고정부(143) 및 제2박스고정부(144)는 포장박스의 양측에서 포장박스의 전면 및 후면에 당접하여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1박스고정부(143)는 상기 제1이송부(141) 상에 다수를 일정 간격 배치하되 포장박스의 전면에 접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박스고정부(143)는 일반적인 콘택트렌즈 패키지 포장용 포장상자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형성하도록 마련하여 하단을 진행 방향 양측에 마련되는 상기 제1이송부(141)에 장착한다. 개별 제1박스고정부(143)는 포장박스의 전면에 당접하도록 구비하므로 제1박스고정부(143) 간의 배치 간격은 포장박스의 전, 후면 사이의 폭 및 제2박스고정부(144)의 크기를 고려하여 충분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2박스고정부(144)는 상기 제2이송부(142) 상에 다수를 일정 간격 배치하되 제1박스고정부(143)와 연동하여 포장박스의 후면에 접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박스고정부(144) 역시 일반적인 콘택트렌즈 패키지 포장용 포장상자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형성하도록 마련하여 하단을 진행 방향 양측에 마련되는 상기 제2이송부(142)에 장착한다. 개별 제2박스고정부(144)는 포장박스의 후면에 당접하도록 구비하므로 제2박스고정부(144) 간의 배치 간격은 포장박스의 전, 후면 사이의 폭 및 제1박스고정부(143)의 크기를 고려하여 충분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구성한다.
한편, 제1이송부(141) 및 제2이송부(142)의 일측에는 상기 제1이송부(141) 및 제2이송부(142)에 각각 장착하고 제1박스고정부(143) 및 제2박스고정부(144) 사이의 전, 후 간격을 조절하도록 전후간격조절부(145)를 구비한다.
상기 전후간격조절부(145)는 포장박스의 규격별로 전, 후면 폭에 상응하여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이송부(141)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제2이송부(142)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제1박스고정부(143) 및 제2박스고정부(144)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되 동일 속도로 구동하여 포장박스를 고정한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날개절첩모듈(150)은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의 경로 상에서 양측에 배치하여 이송 중인 포장박스의 절첩날개를 순차적으로 접어주도록 구성한다.
상기 날개절첩모듈(150)은 상기 박스안착모듈(120)에 의해 입체화된 포장박스의 양측면에 구비하는 8개의 절첩날개를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에 의한 이송 과정에서 접어주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날개절첩부 내지 제8날개절첩부로 구성한다.
상기 제1날개절첩부 내지 제4날개절첩부는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에 의해 이송되는 포장박스의 양측 전, 후방에 위치하는 4개의 절첩날개를 진행 단계별로 접어주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1날개절첩부(151)는 박스안착모듈(120)의 일측에서 횡동하여 안착된 포장박스의 일측 후방 절첩날개를 접어주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날개절첩부(151)는 포장박스의 일측, 즉 상기 렌즈패키지공급모듈(130)이 위치하여 렌즈패키지가 수납되는 포장박스 입구의 반대측에서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 포장박스의 전, 후 방향으로 횡동하는 슬라이더 형태로 구비하여 일측 후방 절첩날개를 접어주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날개절첩부(151)는 렌즈패키지가 포장박스에 공급 시 반대측으로 반출되지 않고 수납되도록 상기 렌즈패키지공급모듈(130)보다 먼저 동작하도록 구비하며, 포장박스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하여 일측 상, 하부 절첩날개 사이를 통과하면서 후방 절첩날개가 접어지는 방향으로 횡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3날개절첩부(152)는 박스이송모듈(140)의 경로 상에서 양측에 돌출 구비하여 이송되는 포장박스의 양측 전방 절첩날개를 통과하면서 접히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3날개절첩부(152)는 상기 렌즈패키지공급모듈(130)을 거쳐 렌즈패키지가 수납된 상태로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을 따라 이송되는 포장박스의 진행 방향 양측에서 양측 전방 절첩날개를 향해 수평 돌출하는 소정의 핀 형태로 구비하여 이송 과정에서 양측 전방 절첩날개가 동시에 접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4날개절첩부(153)는 제2,3날개절첩부(152)의 일측에서 회동하여 포장박스의 타측 후방 절첩날개를 접어주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4날개절첩부(153)는 포장박스의 타측, 즉 상기 제1날개절첩부(151)에 의해 접어진 포장박스의 일측 후방 절첩날개의 반대측에서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 포장박스의 타측 후방 절첩날개가 접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에서 회동하는 핸들 형태로 구비하여 접어주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5날개절첩부 내지 제8날개절첩부는 양측 전, 후방 절첩날개가 모두 접어진 상태로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에 의해 이송되는 포장박스의 양측 상, 하부에 위치하는 4개의 절첩날개를 진행 단계별로 접어주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5,6날개절첩부(154)는 박스이송모듈(140)의 경로 상에서 양측 상부에 구비하여 이송되는 포장박스의 양측 상부 절첩날개를 동시에 접어주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5,6날개절첩부(154)는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을 따라 이송되는 포장박스의 진행 방향 양측에 구비하여 이송 과정에서 양측 상부 절첩날개가 동시에 접히도록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5,6날개절첩부(154)는 포장박스의 상부 높이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상부절첩사면(155)을 형성하여 양측 상부 절첩날개의 외측면이 절첩사면을 따라서 접촉된 상태로 접히면서 이송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7,8날개절첩부(156)는 박스이송모듈(140)의 경로 상에서 양측 하부에 구비하여 이송되는 포장박스의 양측 하부 절첩날개를 동시에 접어주도록 구비한다.
상기 7,8날개절첩부는 상기 제1날개절첩부 내지 제6날개절첩부에 의해 접어진 절첩날개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포장박스의 양측면을 밀봉하게 되는 제7,8절첩날개를 접어주기 위한 구성으로, 후술하게 될 날개봉인모듈(160)의 일측에서 양측 하부 절첩날개의 내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후에 박스이송모듈(140)을 따라 이송되는 포장박스의 양측 상부 절첩날개가 동시에 접히도록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7,8날개절첩부(156)는 포장박스의 하부 높이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하부절첩사면(157)을 형성하여 양측 하부 절첩날개의 외측면이 절첩사면을 따라서 접촉된 상태로 접히면서 이송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날개봉인모듈(160)은 상기 날개절첩모듈(150)에 의해 최후에 접어지는 절첩날개를 접착하여 포장박스의 양측면을 봉인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날개봉인모듈(160)은 상기 제7,8날개절첩부(156)에 의한 양측 하부 절첩날개를 절첩하기 전에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제7,8날개절첩부(156)에 의해 접어진 후에 완전한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접착부(161)와, 날개가압부(162)와, 가압가이드부(163)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부(161)는 박스이송모듈(140)의 경로 상에서 양측에 구비하여 포장박스의 양측 하부 절첩날개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접착부(161)는 예컨대, 핫멜트와 같은 접착수단을 저장하는 소정의 탱크 및 이를 도포하기 위한 노즐로 이루어져 포장박스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양측에서 상호 대칭하도록 구비하며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에 의한 포장박스의 이송 과정에서 양측 하부 절첩날개에 길이 방향으로 접착제도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날개가압부(162)는 접착부(161)의 일측에 구비하여 접착된 양측 하부 절첩날개의 외측면을 가압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날개가압부(162)는 포장박스의 양측면을 향해 회동하는 소정의 핸들 형태로 구비하여 상기 접착부(161)에 의해 양측 하부 절첩날개에 접착제가 도포된 후 상기 제7,8날개절첩부(156)에 의해 접어진 상태에서 포장박스의 양측면에 대한 각을 잡아주면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가압가이드부(163)는 날개가압부(162)의 일측에서 포장박스의 이송 방향을 따라서 구비하여 양측 하부 절첩날개가 가압 상태로 이송을 안내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가압가이드부(163)는 상기 날개봉인모듈(160)에 의해 밀봉된 포장박스의 양측면에 당접하는 바 형상으로 구비하여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에 의한 포장박스의 이송 과정에서 가압을 지속하면서 후술하게 될 배출모듈(170)로 안내하여 안정적인 밀봉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배출모듈(170)은 상기 날개봉인모듈(160)에 의해 봉인된 포장박스를 선별하여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배출모듈(170)은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의 진행 방향 후단에 구비하여 콘택트렌즈 패키지가 포장되어 봉인된 포장박스의 중량을 측정하고 기 설정된 정상 중량과 비교하여 양품 및 불량품을 선별, 배출하도록 구성하며 배출가이드부(172)와 선별부(173)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가이드부(172)는 날개봉인모듈(160)을 거쳐 슈트를 통해 배출되는 포장박스를 한 단위씩 취합하여 로드셀(171)에 위치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배출가이드부(172)는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의 후단 하측에서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 전, 후로 횡동하도록 구비하되, 상단부에 로드셀(171)을 탑재하여 포장박스의 중량을 측정하고 하측 선별부(173)로 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선별부(173)는 배출가이드부(172)의 일측에 구비하여 로드셀(171)에 의한 측정 결과에 따라서 불량품을 선별 배출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선별부(173)는 상기 배출가이드부(172)의 하측에서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의 진행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핸들을 전, 후진하도록 구비하여 양품 또는 불량품을 선별 배출하도록 구비한다.
한편,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의 일측에는 포장박스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양측이 상호 대칭하도록 마련되는 상기 박스이송모듈(140)과, 날개절첩모듈(150)과, 날개봉인모듈(160) 일체의 양측 간격을 포장박스의 폭에 따라서 조절하도록 구비하는 양측간격조절모듈(180)을 구비한다.
상기 양측간격조절모듈(180)은 상기 상기 박스이송모듈(140)과, 날개절첩모듈(150)과, 날개봉인모듈(160)을 포장박스의 진행 방향에 대해 양측에 각각 탑재하는 프레임 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비하여, 상기 제1박스고정부(143) 및 제2박스고정부(144)의 양측 간격, 상기 제1날개절첩부 내지 제8날개절첩부의 양측 간격, 상기 접착부(161) 및 날개가압부(162), 날개가이드부의 양측 간격 일체를 포장박스의 폭에 따라 조절하여 적용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을 이용한 포장방법은 크게 박스공급단계(S10)와, 박스안착단계(S20)와, 렌즈패키지공급단계(S40)와, 박스이송단계(S50)와, 날개절첩단계와, 날개봉인단계(S110), 및 배출단계(S120)를 포함한다.
상기 박스공급단계(S10)는 포장박스재를 한 단위씩 공급하는 단계이다. 상기 박스공급모듈(110)에 평면 상태, 즉 양측면에 마련되는 8개의 절첩날개가 펼쳐지고 4벽면은 포개어져 접힌 상태의 포장박스재를 컨베이어 상에 한 단위씩 일정 간격으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박스안착단계(S20)는 포장박스재를 픽업하여 입체화하고 박스이송모듈(140)에 안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박스안착모듈(120)의 픽업부(121)가 상기 박스공급모듈(110)로부터 포장박스재의 상면을 흡착하여 픽업하고, 회전부(122)가 포장박스재를 회전하여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입체화부(123)가 포장박스재의 전면 또는 후면을 가압하여 접힌 상태의 4벽면을 입체화함으로써 양측면이 개구된다. 승강부(124)가 입체화된 포장박스를 하측 박스이송모듈(140)로 하강하여 안착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렌즈패키지공급단계(S40)는 포장박스에 콘택트렌즈 패키지를 공급하여 수납하는 단계이다. 상기 렌즈패키지공급모듈(130)에는 콘택트렌즈 패키지가 한 단위씩 수동 또는 자동으로 공급되며 공급바(131)가 전, 후진하여 포장박스 내부로 패키지를 이송하여 수납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렌즈패키지공급단계(S40)를 수행하기에 앞서 후술하게 될 제1절첩단계(S30)를 실시하여 포장박스의 일측 후방 절첩날개를 접어줌으로써 콘택트렌즈 패키지가 수납되는 과정에서 반대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박스이송단계(S50)는 패키지가 수납된 포장박스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이다.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은 포장박스의 제1이송부(141)에 의해 구동하는 제1박스고정부(143)와 제2이송부(142)에 의해 구동하는 제2박스고정부(144)를 포장박스의 양측 전, 후면에 당접하도록 고정하고 배출모듈(170)을 향해 이송한다. 상기 박스이송단계(S50)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후술하게 될 제2,3절첩단계 내지 제7,8절첩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날개절첩단계는 포장박스를 이송하면서 양측면에 구비된 절첩날개를 순차적으로 접어주는 단계이다. 상기 날개절첩단계는 상기 렌즈패키지공급단계(S40) 이전에 수행하는 제1절첩단계(S30)와, 상기 박스이송단계(S50)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행하는 제2,3절첩단계(S60)와, 제4절첩단계(S70)와, 제5,6절첩단계(S80)와, 제7,8절찹단계(S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절첩단계(S30)는 안착된 포장박스의 일측 후방 절첩날개를 접어주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절첩단계(S30)는 상기 렌즈패키지공급단계(S40)를 수행하기에 앞서 상기 날개절첩모듈(150)의 제1날개절첩부(151)의 횡동에 의해 포장박스의 일측 후방 절첩날개를 접어줌으로써 콘택트렌즈 패키지가 수납되는 과정에서 반대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3절첩단계(S60)는 포장박스의 양측 전방 절첩날개를 동시에 접어주는 단계이다. 콘택트렌즈 패키지가 수납된 포장박스는 상기 박스이송단계(S50)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날개절첩모듈(150)의 제2,3날개절첩부(152)를 통과하면서 양측 전방 절첩날개가 동시에 접어지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4절첩단계(S70)는 포장박스의 타측 후방 절첩날개를 접어주는 단계이다. 일측 후방 절첩날개 및 양측 전방 절첩날개가 접힌 포장박스는 상기 박스이송단계(S50)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날개절첩모듈(150)의 제4날개절첩부(153)의 회동에 의해 타측 후방 절첩날개를 접어줌으로써 양측 전, 후방 4개의 절첩날개가 모두 절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5,6절첩단계(S80)는 포장박스의 양측 상부 절첩날개를 동시에 접어주는 단계이다. 양측 전, 후방 절첩날개가 접힌 포장박스는 상기 박스이송단계(S50)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날개절첩모듈(150)의 제5,6날개절첩부(154)의 상부절첩사면(155)을 통과하면서 양측 상부 절첩날개가 동시에 접어지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7,8절첩단계(S100)는 접착제가 도포된 포장박스의 양측 하부 절첩날개를 동시에 접어주는 단계이다. 포장박스의 양측에 마련된 8개의 절첩날개들 중에서 최후에 남은 양측 하부 절첩날개를 접어주도록 하되, 상기 제7,8절첩단계(S100)는 후술하게 될 날개봉인단계(S110)에서 접착제를 도포하는 과정을 먼저 수행한 후에 실시한다. 상기 박스이송단계(S50)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날개절첩모듈(150)의 제7,8날개절첩부(156)의 하부절첩사면(157)을 통과하면서 양측 상부 절첩날개가 동시에 접어지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날개봉인단계(S110)는 포장박스에서 최후에 접어지는 절첩날개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가압하여 양측면을 봉인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7,8절첩단계(S100)를 실시하기에 앞서 상기 날개봉인모듈(160)의 접착부(161)에 의해 양측 상부 절첩날개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며, 상기 제7,8날개절첩단계를 실시한 후에는 완전한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날개가압부(162)에 의해 양측 하부 절첩날개의 외측면을 가압하고, 가압가이드부(163)를 거치면서 가압 상태로 배출모듈(170)을 향해 이송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단계(S120)는 양측면이 봉인된 포장박스를 한 단위씩 배출하되 중량 측정에 의해 포장 불량품을 선별하고 배출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은 날개봉인단계(S110)를 거쳐 상기 배출모듈(170)로 이송되는 포장박스는 상기 배출가이드부(172)에 의해 로드셀(171)에 위치하여 중량을 측정한 후 선별부(173)로 낙하한다. 상기 선별부(173)는 로드셀(171)에 의한 측정 결과에 따라서 양품 및 불량품을 서로 다른 경로로 선별 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은 콘택트렌즈 패키지를 포장박스에 수납하여 봉인, 반출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포장공정 전반을 자동화하여 종래의 수동 포장 방식에 비해 공정 품질을 향상함은 물론, 포장박스의 종류에 따라서 시스템 구성을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의 운용이 용이하고 생산성 및 효율성을 현저히 증대하는 등의 다양한 이점이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110: 박스공급모듈 120: 박스안착모듈
130: 렌즈패키지공급모듈 140: 박스이송모듈
150: 날개절첩모듈 160: 날개봉인모듈
170: 배출모듈 180: 양측간격조절모듈
S10: 박스공급단계 S20: 박스안착단계
S30: 제1절첩단계 S40: 렌즈패키지공급단계
S50: 박스이송단계 S60: 제2,3절첩단계
S70: 제4절첩단계 S80: 제5,6절첩단계
S100: 제7,8절첩단계 S110: 날개봉인단계
S120: 배출단계

Claims (10)

  1. 양측면에 8개의 절첩날개를 마련하는 포장박스재를 한 단위씩 공급하는 박스공급모듈(110)과,
    상기 박스공급모듈(110)에서 포장박스재를 픽업하여 입체화하고 박스이송모듈(140)에 안착하는 박스안착모듈(120)과,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에 안착된 포장박스의 내부에 콘택트렌즈가 개별 밀봉된 패키지를 공급하여 수납하는 렌즈패키지공급모듈(130)과,
    상기 패키지가 수납된 포장박스를 한 단위씩 고정하고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박스이송모듈(140)과,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의 경로 상에서 양측에 배치하여 이송 중인 포장박스의 절첩날개를 순차적으로 접어주는 날개절첩모듈(150)과,
    상기 날개절첩모듈(150)에 의해 최후에 접어지는 절첩날개를 접착하여 포장박스의 양측면을 봉인하는 날개봉인모듈(160)과,
    상기 날개봉인모듈(160)에 의해 봉인된 포장박스를 선별하여 배출하는 배출모듈(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안착모듈(120)은,
    박스공급모듈(110)의 내측으로 전, 후진하도록 구비하여 공급되는 포장박스재의 상면을 흡착하여 픽업하도록 구비하는 픽업부(121)와,
    픽업부(121)를 장착하고 상기 박스공급모듈(110)과 박스이송모듈(140) 사이를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포장박스재의 하면이 박스이송모듈(140)을 향하도록 회전하는 회전부(122)와,
    픽업부(121)의 전, 혹은 후측에서 회동하도록 구비하여 평면 상태의 포장박스재의 전면 또는 후면을 가압하여 입체화하는 입체화부(123)와,
    회전부(122)를 장착하고 상기 박스공급모듈(110)과 박스이송모듈(140) 사이에서 높이를 승강하도록 구비하는 승강부(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은,
    박스안착모듈(120)의 하부 양측에서 대칭하도록 구비하여 배출모듈(170)을 향해 일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1이송부(141)와,
    박스안착모듈(120)의 하부 양측에서 대칭하도록 구비하되 제1이송부(141)와 연동하여 배출모듈(170)을 향해 일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2이송부(142)와,
    상기 제1이송부(141) 상에 다수를 일정 간격 배치하되 포장박스의 전면에 접하도록 구비하는 제1박스고정부(143)와,
    상기 제2이송부(142) 상에 다수를 일정 간격 배치하되 제1박스고정부(143)와 연동하여 포장박스의 후면에 접하도록 구비하는 제2박스고정부(144)와,
    상기 제1이송부(141) 및 제2이송부(142)에 각각 장착하고 제1박스고정부(143) 및 제2박스고정부(144) 사이의 전, 후 간격을 조절하는 전후간격조절부(1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절첩모듈(150)은,
    박스안착모듈(120)의 일측에서 횡동하여 안착된 포장박스의 일측 후방 절첩날개를 접어주는 제1날개절첩부(151)와,
    박스이송모듈(140)의 경로 상에서 양측에 돌출 구비하여 이송되는 포장박스의 양측 전방 절첩날개를 통과하면서 접히도록 구비하는 제2,3날개절첩부(152)와,
    제2,3날개절첩부(152)의 일측에서 회동하여 포장박스의 타측 후방 절첩날개를 접어주는 제4날개절첩부(153)와,
    박스이송모듈(140)의 경로 상에서 양측 상부에 구비하여 이송되는 포장박스의 양측 상부 절첩날개를 동시에 접어주는 제5,6날개절첩부(154)와,
    박스이송모듈(140)의 경로 상에서 양측 하부에 구비하여 이송되는 포장박스의 양측 하부 절첩날개를 동시에 접어주는 제7,8날개절첩부(1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5,6날개절첩부(154)는, 포장박스의 상부 높이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상부절첩사면(155)을 형성하여 양측 상부 절첩날개의 외측면이 절첩사면을 따라서 접촉된 상태로 접히면서 이송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제7,8날개절첩부(156)는, 포장박스의 하부 높이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하부절첩사면(157)을 형성하여 양측 하부 절첩날개의 외측면이 절첩사면을 따라서 접촉된 상태로 접히면서 이송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봉인모듈(160)은,
    박스이송모듈(140)의 경로 상에서 양측에 구비하여 포장박스의 양측 하부 절첩날개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부(161)와,
    접착부(161)의 일측에 구비하여 접착된 양측 하부 절첩날개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날개가압부(162)와,
    날개가압부(162)의 일측에서 포장박스의 이송 방향을 따라서 구비하여 양측 하부 절첩날개가 가압 상태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가압가이드부(1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모듈(170)은,
    날개봉인모듈(160)을 거쳐 슈트를 통해 배출되는 포장박스를 한 단위씩 취합하여 로드셀(171)에 위치하도록 구비하는 배출가이드부(172)와,
    배출가이드부(172)의 일측에 구비하여 로드셀(171)에 의한 측정 결과에 따라서 불량품을 선별 배출하는 선별부(1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이송모듈(140)의 일측에는,
    포장박스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양측이 상호 대칭하도록 마련되는 상기 박스이송모듈(140)과, 날개절첩모듈(150)과, 날개봉인모듈(160) 일체의 양측 간격을 포장박스의 폭에 따라서 조절하도록 구비하는 양측간격조절모듈(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을 이용한 포장방법에 있어서,
    포장박스재를 한 단위씩 공급하는 박스공급단계(S10)와,
    포장박스재를 픽업하여 입체화하고 박스이송모듈(140)에 안착하는 박스안착단계(S20)와,
    포장박스에 콘택트렌즈 패키지를 공급하여 수납하는 렌즈패키지공급단계(S40)와,
    패키지가 수납된 포장박스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박스이송단계(S50)와,
    포장박스를 이송하면서 양측면에 구비된 절첩날개를 순차적으로 접어주는 날개절첩단계와,
    포장박스에서 최후에 접어지는 절첩날개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가압하여 양측면을 봉인하는 날개봉인단계(S110)와,
    양측면이 봉인된 포장박스를 한 단위씩 배출하되 중량 측정에 의해 포장 불량품을 선별하고 배출하는 배출단계(S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포장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절첩단계는,
    렌즈패키지공급단계(S40) 이전에, 안착된 포장박스의 일측 후방 절첩날개를 접어주는 제1절첩단계(S30)와,
    박스이송단계(S50)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포장박스의 양측 전방 절첩날개를 동시에 접어주는 제2,3절첩단계(S60)와, 포장박스의 타측 후방 절첩날개를 접어주는 제4절첩단계(S70)와, 포장박스의 양측 상부 절첩날개를 동시에 접어주는 제5,6절첩단계(S80)와,
    날개봉인단계(S110)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포장박스의 양측 하부 절첩날개를 동시에 접어주는 제7,8절첩단계(S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포장방법.
KR1020200070107A 2020-06-10 2020-06-10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 KR102405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107A KR102405619B1 (ko) 2020-06-10 2020-06-10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107A KR102405619B1 (ko) 2020-06-10 2020-06-10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782A true KR20210153782A (ko) 2021-12-20
KR102405619B1 KR102405619B1 (ko) 2022-06-08

Family

ID=79033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107A KR102405619B1 (ko) 2020-06-10 2020-06-10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6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04985A1 (it) * 2022-03-15 2023-09-15 Plusline S R L Macchina incartonatric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580B1 (ko) 1993-11-02 2005-02-03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콘택트렌즈용나열형포장용기및이를수용하기위한복합포장재
KR100912460B1 (ko) 2001-08-17 2009-08-14 가부시끼가이샤 메니콘 일회용 소프트 렌즈용 포장
KR101323467B1 (ko) * 2013-04-19 2013-10-29 김용섭 박스포장장치
KR101343713B1 (ko) 2012-05-04 2013-12-20 백성희 콘택트렌즈 포장케이스
KR101596929B1 (ko) * 2015-01-30 2016-02-23 최병훈 과일 선별기
KR101975160B1 (ko) 2016-02-29 2019-05-03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콘택트 렌즈 블리스터 팩 라벨 및 블리스터 팩 접합 방법
KR102005092B1 (ko) * 2018-04-10 2019-10-01 (주)제이에스아이 범용성 있으면서 안전하게 사용되게 하는 포장시스템
KR20190118066A (ko) * 2018-04-09 2019-10-17 (주)진성 테크템 어태치먼트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어태치 컨베이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580B1 (ko) 1993-11-02 2005-02-03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콘택트렌즈용나열형포장용기및이를수용하기위한복합포장재
KR100912460B1 (ko) 2001-08-17 2009-08-14 가부시끼가이샤 메니콘 일회용 소프트 렌즈용 포장
KR101343713B1 (ko) 2012-05-04 2013-12-20 백성희 콘택트렌즈 포장케이스
KR101323467B1 (ko) * 2013-04-19 2013-10-29 김용섭 박스포장장치
KR101596929B1 (ko) * 2015-01-30 2016-02-23 최병훈 과일 선별기
KR101975160B1 (ko) 2016-02-29 2019-05-03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콘택트 렌즈 블리스터 팩 라벨 및 블리스터 팩 접합 방법
KR20190118066A (ko) * 2018-04-09 2019-10-17 (주)진성 테크템 어태치먼트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어태치 컨베이어
KR102005092B1 (ko) * 2018-04-10 2019-10-01 (주)제이에스아이 범용성 있으면서 안전하게 사용되게 하는 포장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04985A1 (it) * 2022-03-15 2023-09-15 Plusline S R L Macchina incartonatrice.
WO2023175639A1 (en) * 2022-03-15 2023-09-21 Plusline S.R.L. Carton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619B1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0988B2 (ja) 包装するための製品の取りまとめ自動装置
JP4219421B2 (ja) 殺菌及び二次包装装置とその使用方法
JP4059935B2 (ja) 水和後のコンタクトレンズ搬送、検査、包装のための方法及びその装置
US9114897B2 (en) Automatic packing apparatus and automatic packing method using the same
JPH0894491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を検査ならびに梱包用に準備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12009825A (zh) 一种双线自动化外包装生产线
KR101587832B1 (ko) 건빵 포장장치
KR102405619B1 (ko) 콘택트렌즈 포장시스템
ES2217383T3 (es) Aparato para embalar productos de articulos en cajas, formadas a partir de una hoja de carton plana.
US6364090B1 (en) Apparatus for handling bags
CN115485201A (zh) 包装盒的打开系统
CN110605869A (zh) 包装盒贴衬机
KR101323532B1 (ko) 각티슈 케이스의 자동패커 포장장치
CN114604461B (zh) 一种机器人上下料生产线工艺
CN116409502A (zh) 吸塑盒包装机
CN110606247A (zh) 一种玻璃瓶热塑包自动拆包机
CN210851507U (zh) 包装盒贴衬机
CN210761687U (zh) 一种玻璃瓶热塑包自动拆包机
JP6462216B2 (ja) チューブ容器用搬送装置
JP6378891B2 (ja) 印字装置
JP3708166B2 (ja) 果菜物箱詰め装置
CN217146532U (zh) 一种用于薄膜捆包机的上料机构
KR102285730B1 (ko) 트레이 팩킹 장치
CN218576954U (zh) 一种除飞边装置及其塑料容器自动加工设备
JP2015151164A (ja) 糊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