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832B1 - 건빵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건빵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832B1
KR101587832B1 KR1020140069335A KR20140069335A KR101587832B1 KR 101587832 B1 KR101587832 B1 KR 101587832B1 KR 1020140069335 A KR1020140069335 A KR 1020140069335A KR 20140069335 A KR20140069335 A KR 20140069335A KR 101587832 B1 KR101587832 B1 KR 101587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ase
biscuit
bag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0993A (ko
Inventor
김재춘
Original Assignee
영양제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양제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양제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9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832B1/ko
Publication of KR20150140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5/00Apparatus or devices for supporting or holding wrappers during wrapp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자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빵 등의 과자를 포장봉지에 일정량씩 담는 일련의 포장작업을 자동으로 연속 수행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사방 중 제1측방의 상측에 설치되어 포장봉지를 일렬로 적재하는 봉지적재대와, 상기 베이스의 사방 중심부에 장착된 회전대와, 상기 회전대의 사방에 장착되어 상기 봉지적재대 내의 포장봉지를 하나씩 진공 흡착하여 인출하는 봉지홀딩부와, 상기 봉지홀딩부가 순차적으로 상기 베이스의 사방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대를 상기 베이스의 사방 중심부를 축으로 하여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의 사방 중 제2측방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봉지홀딩부에 의해 회전이동된 포장봉지를 벌리는 봉지벌림부와, 상기 베이스의 사방 중 제3측방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봉지홀딩부에 의해 회전이동된 포장봉지에 건빵을 담는 건빵투입부와, 상기 베이스의 사방 중 제4측방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봉지홀딩부에 의해 회전이동된 건빵이 담긴 포장봉지를 전달받아 이송하는 활송부를 포함하는 건빵 포장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건빵 포장장치{PACKAGING DEVICE FOR HARDTACK}
본 발명은 연속식 과자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빵 등의 과자를 포장봉지에 일정량씩 담는 일련의 포장작업을 자동으로 연속하여 수행함으로써 포장 인력 및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여 작업능률은 물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건빵 포장용 자동화 장치에 대한 것이다.
건빵은 수분과 당분이 적어 저장성 및 보존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휴대하기 편리하고 먹기가 간편하여 군대의 비상식량이나 긴급 재해대책용 비축식량으로 많이 쓰이고 있으며, 근래에는 식사대용이나 간식용으로도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건빵은 일반적으로 종이제 또는 합성수지제 포장봉지(혹은 포대)를 사용하여 일정 중량으로 포장한다. 즉, 포장봉지에 일정량의 건빵을 담은 후 개구부를 실링(sealing) 처리 등의 방법으로 함봉 및 밀봉하여 보관 및 유통하고 있다.
그런데 작업자가 건빵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포장할 경우 많은 노동력과 작업시간이 소요되어 포장작업의 능률 및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질 수밖에 없는 데다 식품의 특성상 건빵이 작업자의 신체 등과 접촉 시 이물질이 혼입되거나 오염되면서 보관 및 유통과정에서 쉽게 부패가 진행되는 등 위생적으로도 한계가 있다.
또한, 측면이 중심선을 따라 포개지면서 납작한 형태로 접히는 이른바 접철식 포장봉지의 경우 건빵을 담기 위해서는 매번 작업자가 포장봉지의 입구를 양손으로 잡고 벌리거나 입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입구를 벌려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수작업으로 건빵을 포장봉지에 담는 과정에서 삽과 같은 포장용 도구에 의해 찍히거나 긁히면서 외관상에 손상을 입어 품질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4696호(2013.07.1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7205호(2012.11.2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8311호(2013.02.2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7098호(2014.01.0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7005호(2013.09.11)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건빵을 포장봉지에 일정량씩 담는 일련의 포장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포장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일정량의 건빵을 포장봉지에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건빵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사방 중 제1측방의 상측에 설치되어 접힌 상태의 포장봉지를 일렬로 적재하는 봉지적재대와, 상기 베이스의 사방 중심부에 장착된 회전대와, 상기 회전대의 사방에 장착되어 상기 봉지적재대 내의 포장봉지를 하나씩 진공 흡착하여 인출하는 봉지홀딩부와, 상기 봉지홀딩부가 순차적으로 상기 베이스의 사방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대를 상기 베이스의 사방 중심부를 축으로 하여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의 사방 중 제2측방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봉지홀딩부에 의해 회전이동된 포장봉지를 벌리는 봉지벌림부와, 상기 베이스의 사방 중 제3측방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봉지벌림부에 의해 입구가 벌어진 채로 상기 봉지홀딩부에 의해 회전이동된 포장봉지에 건빵을 일정량씩 담는 건빵투입부와, 상기 베이스의 사방 중 제4측방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건빵투입부에 의해 건빵이 담긴 채로 상기 봉지홀딩부에 의해 회전이동된 포장봉지를 전달받아 이송하는 활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빵 포장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일정량의 건빵을 포장봉지에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어 포장에 필요한 인력 및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하여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봉지적재대는,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포장봉지를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포장봉지가 일렬로 적재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봉지홀딩부는, 포장봉지를 선택적으로 진공 흡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흡착구와 상기 제1흡착구의 위치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1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봉지홀딩부는, 상기 회전대의 사방에 각각 장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봉지벌림부는, 상기 봉지홀딩부에 한쪽 면이 흡착된 포장봉지의 반대쪽 면을 선택적으로 진공 흡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흡착구와 상기 제2흡착구의 위치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2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봉지벌림부는, 상기 베이스의 사방 중 제2측방의 상측에 노즐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포장봉지의 개구부에 압축공기를 불어넣는 노즐과, 상기 노즐이 상기 포장봉지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포장봉지의 개구부를 일시적으로 죄어 밀폐시키는 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건빵투입부는, 상기 봉지홀딩부에 한쪽 면이 흡착된 포장봉지의 반대쪽 면을 선택적으로 진공 흡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흡착구와, 상기 제3흡착구의 위치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3액추에이터와, 상기 베이스의 사방 중 제3측방의 상측에 설치되고, 건빵의 배출량을 조정하여 포장봉지에 건빵을 일정량씩 투입하는 호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오븐에서 구워져 나온 건빵을 포장봉지에 일정량씩 투입한 후 후속 공정 라인으로 이송하는 과정을 로터리 방식을 통해 연속적으로 처리하므로 건빵을 포장봉지에 담는 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과 시간을 줄이는 등 양산에 따른 공정의 단축 및 자동화로 포장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직접적인 접촉이나 수작업 없이 포장봉지에 건빵을 일정량씩 담아 이송하기 때문에 건빵을 포장봉지에 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형의 변형이나 손상을 최소화하여 양질의 건빵 생산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생성의 위해(危害)요소를 제거함으로 인해 작업자의 접촉을 통해 건빵에 이물질 및 불순물이 들어가는 것을 예방하여 안전성을 확보 및 위생성을 한층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빵 포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빵 포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빵 포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빵 포장장치 중 봉지벌림부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부"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빵 포장장치는 크게 베이스(10), 봉지적재대(20), 회전대(30), 봉지홀딩부(40), 구동부(50), 봉지벌림부(60), 건빵투입부(70) 및 활송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10)는 봉지적재대(20), 회전대(30), 봉지홀딩부(40), 구동부(50), 봉지벌림부(60), 건빵투입부(70) 및 활송부(80)를 지지 및 지탱하도록 다수의 프레임이 일정 형태로 연결 및 골격을 이루어 지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봉지적재대(20)는 양쪽 면이 포개져 납작하게 접힌 형태의 포장봉지(P)를 일렬로 촘촘히 적재하도록 베이스(10)의 사방 중 제1측방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봉지적재대(20)는 다양한 크기의 포장봉지(P)에 대응하도록 적재 폭 및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포장봉지(P)를 인출 가능하도록 봉지홀딩부(40)를 향하는 쪽 측면이 개구된 매거진(21)과, 이 매거진(21)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다수 개의 포장봉지(P)를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포장봉지(P)들이 일렬로 촘촘히 적재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가이드(22)를 포함한다.
즉, 봉지홀딩부(40)의 제1흡착구(41)는 매거진(21)의 개구부를 통해 포장봉지(P)의 한쪽 측면과 접촉되면서 흡착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봉지적재대(20)는 적재된 포장봉지(P)가 모두 인출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90)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이때 제어부(90)는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별도의 알람 또는 경보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거나 작동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회전대(30)는 봉지홀딩부(40)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해 베이스(10)의 사방 중심부에 장착되어 있다.
봉지홀딩부(40)는 봉지적재대(20) 내에 적재된 최전방의 포장봉지(P1)를 하나씩 진공 흡착하여 인출하기 위해 회전대(30)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봉지홀딩부(40)는 회전대(30)의 사방에 90도 각도를 두고 각각 장착함으로써 일정 시간 내에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봉지홀딩부(40)는 포장봉지(P)를 진공 흡착하기 위해 포장봉지(P)의 폭과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 제1흡착구(41)와, 이 제1흡착구(41)의 위치를 양쪽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제1액추에이터(4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어부(90)에 의해 그 각각의 구동 및 작동이 전반적으로 제어된다.
즉, 봉지홀딩부(40)의 제1흡착구(41)는 그 흡착 작용과 제1액추에이터(42)의 전진 작동에 의해 매거진(21)의 개구부를 통해 봉지적재대(20) 내의 최전방에 적재된 포장봉지(P1)의 한쪽 측면을 흡착한 상태로 제1액추에이터(42)의 후진 작동에 의해 회전대(30) 쪽으로 인출한다.
이 상태로 회전대(30)의 회전 작동에 의해 포장봉지(P2)가 봉지벌림부(60)와 마주하는 베이스(10)의 제2측방에 위치하게 되면 제1액추에이터(42)가 전진 작동하고, 회전대(30)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10)의 제3측방을 거쳐 포장봉지(P4)가 활송부(80) 상에 위치하게 되면 진공 흡착력이 제거되어 포장봉지(P4)를 활송부(80) 상에 놓고, 제1액추에이터(42)의 후진 작동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포장봉지(P)가 봉지적재대(20)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슬립현상 없이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흡착구(41)는 진공 흡착력에 의해 포장봉지(P1)를 흡착하는데, 이는 흡착패드에 내부의 진공 경로를 통해 진공펌프로부터 발생하는 진공 흡착력을 제공받아 구현하는 통상의 방식인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흡착구(41)의 전후진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액추에이터(42)는 유압실린더와 실린더 로드로 구성되어 제어부(컨트롤러)가 컴프레셔 등의 구동원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유압이나 공기압으로 그 실린더 로드를 가동시키면 전진 및 후진 또는 승강하는 구조의 통상적인 액추에이터 기구나 장치를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포장봉지(P1)가 봉지홀딩부(40)의 제1흡착구(41)에 흡착되지 않으면 이를 센서(미도시)가 감지하여 제어부(90)로 신호를 출력하고, 이때 제어부(90)는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별도의 알람 또는 경보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거나 작동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구동부(50)는 회전대(30)를 베이스(10)의 사방 중심부를 축으로 하여 간헐적으로 회전시켜 봉지홀딩부(40)가 순차적으로 베이스(10)의 사방을 향하도록 베이스(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부(50)는 기어(gear) 및 캠(cam) 등으로 구성된 동력 전달구조를 지닌 인덱스 테이블(index table)과 인덱스 테이블의 회전축을 구동하기 위한 인덕션 모터(induction motor) 및 드라이버, 그리고 인덱스 테이블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등을 포함하여 회전대를 특정 분할 각도 및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인 인덱스 드라이브 시스템(index drive system)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50)는 제어부(90)에 의해 구동 및 작동이 전반적으로 제어된다.
봉지벌림부(60)는 봉지홀딩부(40)에 의해 회전이동된 포장봉지(P2)를 벌리기 위해 베이스(10)의 사방 중 제2측방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봉지벌림부(60)는 봉지홀딩부(40)에 한쪽 면이 흡착된 포장봉지(P2)의 반대쪽 면을 선택적으로 진공 흡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흡착구(61)와, 이 제2흡착구(61)의 위치를 양쪽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제2액추에이터(6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어부(90)에 의해 그 구동 및 작동이 전반적으로 제어된다.
여기서 제2흡착구(61)는 제1흡착구(41)와 마찬가지로 진공 흡착력에 의해 포장봉지(P2)를 흡착하는데, 이는 흡착패드에 내부의 진공 경로를 통해 진공펌프로부터 발생하는 진공 흡착력을 제공받아 구현하는 통상의 방식인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흡착구(61)의 전후진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액추에이터(62)는 제1액추에이터(42)와 마찬가지로 유압실린더와 실린더 로드로 구성되어 제어부(90)가 컴프레셔 등의 구동원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유압이나 공기압으로 그 실린더 로드를 가동시키면 전진 및 후진 또는 승강하는 구조의 통상적인 액추에이터 기구나 장치를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봉지(P2)의 개구부에 압축공기를 불어넣기 위해 베이스(10)의 사방 중 제2측방의 상측에 노즐 액추에이터(65)의 작동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노즐(63)과, 이 노즐(63)이 포장봉지(P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 액추에이터(66)의 작동에 의해 포장봉지(P2)의 개구부를 양쪽에서 일시적으로 죄어 밀폐시키는 한 쌍의 조(6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노즐(63)의 승강 작동을 위한 노즐 액추에이터(65)와, 한 쌍의 조(64)의 조임 작동을 위한 조 액추에이터(66)는 제1액추에이터(42)와 마찬가지로 유압실린더와 실린더 로드로 구성되어 제어부(90)가 컴프레셔 등의 구동원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유압이나 공기압으로 그 실린더 로드를 가동시키면 전진 및 후진 또는 승강하는 구조의 통상적인 액추에이터 기구나 장치를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한 쌍의 조(64) 중 어느 하나는 조 액추에이터(66)의 실린더 로드와 링크구조로 연결되고, 그와 마주하는 다른 하나와는 섹터 기어 등의 톱니바퀴구조로 연결되어 조 액추에이터(66)의 승강 작동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포장봉지(P2)의 개구부를 양쪽에서 죄거나 그 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아울러 포장봉지(P2)의 개구부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밀착패드(미부호)를 장착함으로써 포장봉지(P2)의 개구부를 한층 더 긴밀하고 양호하게 밀폐시킬 수 있음은 물론 노즐(63)이 포장봉지(P2)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불어넣기 위해 삽입된 상태에서 노즐(63)과 접촉에 따른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건빵투입부(70)는 봉지벌림부(60)에 의해 상부의 입구가 벌어진 채로 회전대(30) 및 봉지홀딩부(40)에 의해 회전이동된 개개의 포장봉지(P)에 건빵을 일정량씩 담기 위해 베이스(10)의 사방 중 제3측방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건빵투입부(70)는 봉지홀딩부(40)에 의해 한쪽 면이 흡착된 포장봉지(P3)의 반대쪽 면을 선택적으로 진공 흡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흡착구(71)와, 이 제3흡착구(71)의 위치를 양쪽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제3액추에이터(72) 및 건빵의 배출량을 조정하여 포장봉지(P3)에 건빵을 일정량씩 투입하기 위해 베이스(10)의 사방 중 제3측방의 상측에 설치된 호퍼(7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어부(90)에 의해 그 각각의 구동 및 작동이 전반적으로 제어된다.
여기서 제3흡착구(71)는 제1흡착구(41)와 마찬가지로 진공 흡착력에 의해 포장봉지(P3)를 흡착하는데, 이는 흡착패드에 내부의 진공 경로를 통해 진공펌프로부터 발생하는 진공 흡착력을 제공받아 구현하는 통상의 방식인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3흡착구(71)의 전후진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액추에이터(72)는 제1액추에이터(42)와 마찬가지로 유압실린더와 실린더 로드로 구성되어 제어부(컨트롤러)가 컴프레셔 등의 구동원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유압이나 공기압으로 그 실린더 로드를 가동시키면 전진 및 후진 또는 승강하는 구조의 통상적인 액추에이터 기구나 장치를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호퍼(73)의 건빵 배출량은 제1액추에이터(42)와 마찬가지로 유압실린더와 실린더 로드로 구성되어 제어부(90)가 컴프레셔 등의 구동원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유압이나 공기압으로 그 실린더 로드를 가동시키면 전진 및 후진 또는 승강하는 구조의 통상적인 액추에이터 기구나 장치를 채용하여 호퍼(73)의 배출구를 개폐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활송부(80)는 건빵투입부(70)에 의해 건빵이 담긴 채로 회전대(30) 및 봉지홀딩부(40)에 의해 회전이동된 포장봉지(P4)를 전달받아 이송하도록 베이스(10)의 사방 중 제4측방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활송부(80)는 건빵이 담긴 포장봉지(P4)를 미끄러지듯이 아래로 내려보내는 미끄럼틀 구조를 채용하거나 엔들리스 벨트를 벨트 바퀴에 걸고 이를 전동기로 회전시켜서 구동함으로써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회전력으로 건빵이 담긴 포장봉지(P)를 일정 거리만큼 운반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빵 포장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봉지적재대(20)에 포장봉지(P)를 일렬로 적재한 상태에서 제어부(90)를 설정 및 조작하여 작동시키면 봉지홀딩부(40)의 제1액추에이터(42)가 전진 작동과 동시에 포장봉지(P)와 마주하는 제1흡착구(41)에 진공 흡착력이 발생하여 봉지적재대(20)의 최전방에 위치된 포장봉지(P1)의 한쪽 측면을 흡착하고, 이 상태에서 제1액추에이터(42)가 후진 작동함으로써 최전방의 포장봉지(P1)를 봉지적재대(20)에서 순차적으로 하나씩 인출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0)의 간헐적인 1단계 구동력에 의해 회전대(3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봉지홀딩부(40)의 제1흡착구(41)에 의해 한쪽 측면이 흡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포장봉지(P2)가 봉지벌림부(60)와 마주하는 베이스(10)의 제2측방에 위치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액추에이터(42)가 전진 작동하고, 이때 봉지벌림부(60)의 제2액추에이터(62)가 전진 작동과 동시에 제2흡착구(61)에 진공 흡착력이 발생하여 포장봉지(P2)의 반대쪽 측면을 흡착 지지하고, 이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액추에이터(62)가 후진 작동함으로써 포장봉지(P2)를 양쪽으로 벌린다.
이렇게 되면 포장봉지(P2)의 상방 입구가 개구되고, 이 상태에서 노즐 액추에이터(65)의 하강 작동에 의해 노즐(63)이 포장봉지(P2)의 상방 입구를 통해 포장봉지(P2) 내부로 하강하여 삽입되고,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조(64)가 조 액추에이터(66)의 하강 작동에 의해 포장봉지(P2)의 상방 입구를 서로 마주하는 양측에서 죄어 밀폐시키고, 이때 노즐(63)에서 일정 시간 동안 압축공기가 분사되어 포장봉지(P)가 완전히 펴지게 된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63)은 노즐 액추에이터(65)의 상승 작동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상승 복귀하고 조(64)는 조 액추에이터(66)의 상승 작동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상승 복귀하여 포장봉지(P2)의 상방 입구를 파지하는 상태를 해제하며, 계속해서 제2흡착구(61)의 진공 흡착력이 제거됨과 동시에 봉지홀딩부(40)의 제1액추에이터(42)가 후진 작동한다.
이 상태에서 구동부(50)의 간헐적인 2단계 구동력에 의해 회전대(3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봉지홀딩부(40)의 제1흡착구(41)에 의해 한쪽 측면이 흡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포장봉지(P3)가 건빵투입부(70)와 마주하는 베이스(10)의 제3측방에 위치하게 되면, 건빵투입부(70)의 제3액추에이터(72)가 전진 작동과 동시에 제3흡착구(71)에 진공 흡착력이 발생하여 포장봉지(P3)의 반대쪽 측면을 흡착 지지하고, 이 상태에서 호퍼(73)를 통해 건빵이 일정량 투입된다.
이후, 제3흡착구(71)의 진공 흡착력이 제거됨과 동시에 제3액추에이터(72)가 후진 작동한 상태에서 구동부(50)의 간헐적인 3단계 구동력에 의해 회전대(3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봉지홀딩부(40)의 제1흡착구(41)에 의해 한쪽 측면이 흡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포장봉지(P4)가 활송부(80)와 마주하는 베이스(10)의 제4측방에 위치하게 되면, 제1흡착구(41)의 진공 흡착력이 제거되고 제1액추에이터(42)가 후진 작동하여 건빵이 담긴 포장봉지(P4)를 활송부(80) 위로 내려놓는다.
이후, 구동부(50)의 간헐적인 4단계 구동력에 의해 회전대(3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봉지홀딩부(40)는 최초 작동 상태인 봉지적재대(20)와 마주하는 베이스(10)의 제4측방으로 복귀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포장봉지(P)에 건빵을 일정량씩 담아 후속 공정상의 라인으로 가동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포장봉지(P)에 대한 참조 부호는 작동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단계별(P, P1, P2, P3, P4)로 구분하여 사용 및 표시한 것이므로, 이로 인한 발명의 목적에 어긋남이나 작동 관계의 혼동 및 불명료함은 없다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베이스 20: 봉지적재대
21: 매거진 22: 가이드
30: 회전대 40: 봉지홀딩부
41: 제1흡착구 42: 제1액추에이터
50: 구동부 60: 봉지벌림부
61: 제2흡착구 62: 제2액추에이터
63: 노즐 64: 조(jaw)
65: 노즐 액추에이터 66: 조 액추에이터
70: 건빵투입부 71: 제3흡착구
72: 제3액추에이터 73: 호퍼
80: 활송부

Claims (7)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사방 중 제1측방의 상측에 설치되어 포장봉지를 일렬로 적재하는 봉지적재대;
    상기 베이스의 사방 중심부에 장착된 회전대;
    상기 포장봉지를 선택적으로 진공 흡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흡착구 및 상기 제1흡착구의 위치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1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대의 사방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봉지적재대 내의 포장봉지를 하나씩 진공 흡착하여 인출하는 봉지홀딩부;
    상기 봉지홀딩부가 순차적으로 상기 베이스의 사방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대를 상기 베이스의 사방 중심부를 축으로 하여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베이스의 사방 중 제2측방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봉지홀딩부에 의해 회전이동된 포장봉지를 벌리는 봉지벌림부;
    상기 베이스의 사방 중 제3측방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봉지벌림부에 의해 입구가 벌어진 채로 상기 봉지홀딩부에 의해 회전이동된 포장봉지에 건빵을 일정량씩 담는 건빵투입부;
    상기 베이스의 사방 중 제4측방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건빵투입부에 의해 건빵이 담긴 채로 상기 봉지홀딩부에 의해 회전이동된 포장봉지를 전달받아 이송하는 활송부;
    를 포함하는 건빵 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적재대는,
    매거진;
    상기 매거진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포장봉지를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포장봉지가 일렬로 적재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이드;
    를 포함하는 건빵 포장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벌림부는,
    상기 봉지홀딩부에 한쪽 면이 흡착된 포장봉지의 반대쪽 면을 선택적으로 진공 흡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흡착구;
    상기 제2흡착구의 위치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2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건빵 포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벌림부는,
    상기 베이스의 사방 중 제2측방의 상측에 노즐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포장봉지의 개구부에 압축공기를 불어넣는 노즐;
    상기 노즐이 포장봉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포장봉지의 개구부를 일시적으로 죄어 밀폐시키는 한 쌍의 조;
    를 더 포함하는 건빵 포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빵투입부는,
    상기 봉지홀딩부에 한쪽 면이 흡착된 포장봉지의 반대쪽 면을 선택적으로 진공 흡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흡착구;
    상기 제3흡착구의 위치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3액추에이터;
    상기 베이스의 사방 중 제3측방의 상측에 설치되고, 건빵의 배출량을 조정하여 포장봉지에 건빵을 일정량씩 투입하는 호퍼;
    를 포함하는 건빵 포장장치.
KR1020140069335A 2014-06-09 2014-06-09 건빵 포장장치 KR101587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335A KR101587832B1 (ko) 2014-06-09 2014-06-09 건빵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335A KR101587832B1 (ko) 2014-06-09 2014-06-09 건빵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993A KR20150140993A (ko) 2015-12-17
KR101587832B1 true KR101587832B1 (ko) 2016-01-25

Family

ID=5508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335A KR101587832B1 (ko) 2014-06-09 2014-06-09 건빵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061A (ko) * 2021-11-17 2023-05-24 김금성 가정용 자동포장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337B1 (ko) * 2017-09-12 2019-08-14 주식회사 나오팩 스파우트와 파우치를 실링하기 위한 로터리형 자동실링장치.
CN108557168B (zh) * 2018-05-09 2023-12-01 深圳汇科自动化设备有限公司 包装机
CN109808954A (zh) * 2019-03-27 2019-05-28 无锡市第二人民医院 一种多工位眼科手术器械包装方法
KR102291390B1 (ko) * 2021-02-18 2021-08-18 한동희 마스크 포장재 실링 장치
KR102291388B1 (ko) * 2021-02-18 2021-08-18 한동희 마스크 포장재 실링 시스템
KR102515266B1 (ko) * 2021-03-04 2023-03-29 이상복 원료 자동 포장 장치
CN113562266B (zh) * 2021-09-22 2021-12-10 南通林德安全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口罩生产用包装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1306A (ja) 2005-09-30 2007-04-12 Toyo Jidoki Co Ltd ロータリー式縦型充填機及び2ローター式縦型真空包装装置
KR100798753B1 (ko) * 2005-05-19 2008-01-28 김원석 포장기
KR101246307B1 (ko) * 2012-10-02 2013-03-22 (주)원팩 회전식 사료 자동 포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696B1 (ko) 2009-05-15 2013-07-16 이지용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KR20120127205A (ko) 2011-05-11 2012-11-21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봉지 충전 포장에서의 봉지바닥 지지방법 및 장치
KR101238311B1 (ko) 2012-08-13 2013-02-28 박윤구 스틱형 과자 포장 장치
KR101347098B1 (ko) 2013-04-16 2014-01-06 (주)라이스코리아 자동포장장치
KR101307005B1 (ko) 2013-07-29 2013-09-11 노영신 사료포장기용 사료포대의 벌림가이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753B1 (ko) * 2005-05-19 2008-01-28 김원석 포장기
JP2007091306A (ja) 2005-09-30 2007-04-12 Toyo Jidoki Co Ltd ロータリー式縦型充填機及び2ローター式縦型真空包装装置
KR101246307B1 (ko) * 2012-10-02 2013-03-22 (주)원팩 회전식 사료 자동 포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061A (ko) * 2021-11-17 2023-05-24 김금성 가정용 자동포장기
KR102558351B1 (ko) * 2021-11-17 2023-07-21 김금성 가정용 자동포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993A (ko)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832B1 (ko) 건빵 포장장치
EP1502853B1 (en) Packaging system
CN107878820B (zh) 包装袋智能自动分垛调头堆叠装置及自动包装生产线
JPH11189201A (ja) 袋詰め装置および方法
WO2015137005A1 (ja) 箱詰めシステム
CN100494000C (zh) 给袋式全自动包装机的平送袋机构
KR101929419B1 (ko) 랩 어라운드 포장시스템
CN115367233A (zh) 一种产品包装生产线及其包装方法
KR101323532B1 (ko) 각티슈 케이스의 자동패커 포장장치
JP2014198571A (ja) 物品把持装置と容器詰め装置
CN107804536B (zh) 包装袋自动分装包装生产线
CN219728747U (zh) 一种自动装袋封口机
EP3639987A1 (en) Robotic tool for a replenishment plant
US4086746A (en) Packaging machines
CN109353627B (zh) 一种颗粒状农药中间体自动输送装置
CN218806868U (zh) 一种载板自动真空包装折角机
CN204623899U (zh) 一种重膜包装机
CN214986397U (zh) 一种pcb电路板包装机
CN113911441A (zh) 一种食品装袋设备
CN107856912B (zh) 包装袋母袋自动取料拆口装置及自动包装生产线
JP4472983B2 (ja) 箱詰装置
CN107892026B (zh) 包装袋自动拆口装袋装置及自动包装生产线
CN112498876A (zh) 一种射孔弹包装系统
CN210000670U (zh) 一种包装设备装袋机构
CN100532206C (zh) 柔性容器开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