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3697A -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697A
KR20210153697A KR1020217037719A KR20217037719A KR20210153697A KR 20210153697 A KR20210153697 A KR 20210153697A KR 1020217037719 A KR1020217037719 A KR 1020217037719A KR 20217037719 A KR20217037719 A KR 20217037719A KR 20210153697 A KR20210153697 A KR 20210153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ushion
airbag
unit
ven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6501B1 (ko
Inventor
유토 고바야시
미츠오 노가미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10153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4Seat posi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0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the bag being integrated in a multi-ba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60R2021/239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comprising means to control the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충돌 시 에어백에 의한 승차인의 구속 성능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한다.
에어백 장치는 차량 시트 양측 각각에 설치되는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와, 제1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제1 액티브 벤트 및 제2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제2 액티브 벤트와,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가 팽창 전개할 때에 제1 액티브 벤트 및 제2 액티브 벤트 중 어느 일방을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타방을 폐색 상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치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충돌 등의 긴급 시에 작동하는 안전 장치로서의 에어백이 장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운전석용 에어백은 스티어링 휠의 중심부에 설치되고 조수석용 에어백은 차량 내의 계기판 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충돌 시에 차량용 시트의 차량 폭 방향에 설치된 텐션 크로스가 전개함으로써 승차인의 차량 폭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 : 국제공개 제2013/099888호 공보
최근 자동 운전 기술의 개발이 진전하고 있으며 승차인의 취향에 따라서 자동 운전 중에 차량 내의 좌석을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좌석의 위치가 변경되면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의 방향이 변하기 때문에 충돌 시 에어백에 의한 승차인의 구속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한 것이며 충돌 시 에어백에 의한 승차인의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는 차량 시트의 양측 각각에 설치되는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와,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제1 액티브 벤트 및 상기 제2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제2 액티브 벤트와,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가 팽창 전개할 때에 상기 제1 액티브 벤트 및 상기 제2 액티브 벤트 중 어느 일방을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타방을 폐색 상태로 억제하는 억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차인의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차량 좌석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 장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제1 배치열의 경우의 충돌 시에 있어서의 에어백 쿠션부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제2 배치열의 경우의 충돌 시에 있어서의 에어백 쿠션부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액티브 벤트 구성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액티브 벤트 구성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액티브 벤트 구성의 제3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액티브 벤트 구성의 제4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A는 액티브 벤트 구성의 제5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B는 액티브 벤트 구성의 제5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액티브 벤트 구성의 제6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액티브 벤트 구성의 제7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충돌 시에 있어서의 머리부 쿠션부 상태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충돌 시에 있어서의 머리부 쿠션부 상태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제3 배치열의 경우의 충돌 시에 있어서의 에어백 쿠션부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제4 배치열의 경우의 충돌 시에 있어서의 에어백 쿠션부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제5 배치열의 경우의 충돌 시에 있어서의 에어백 쿠션부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차량 좌석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차량(1)에는 시트로서의 운전석(10), 조수석(20) 및 뒷좌석(30)이 배치되고 운전석(10)의 전방에는 스티어링 휠(3)이 배치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이른바 좌측 핸들의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데 우측 핸들이어도 된다. 운전석(10)에는 시트백(11), 헤드레스트(12), 운전석(10)의 좌우 일방측의 에어백 쿠션부를 수용하는 수용부(51), 운전석(10)의 좌우 타방측의 에어백 쿠션부를 수용하는 수용부(52)를 구비한다. 조수석(20)에는 시트백(21), 헤드레스트(22), 조수석(20)의 좌우 일방측의 에어백 쿠션부를 수용하는 수용부(61), 조수석(20)의 좌우 타방측의 에어백 쿠션부를 수용하는 수용부(62)를 구비한다. 뒷좌석(30)은 시트백(31), 헤드레스트(32)를 구비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운전석(10), 조수석(20) 및 뒷좌석(30)을 합쳐서 좌석이라고도 칭한다.
도 1에 있어서의 운전석(10) 및 조수석(20)의 위치(착석한 승차인의 방향)는 통상 때의 위치를 나타낸다. 즉, 운전석(10)의 좌우 일방측의 에어백 쿠션부(도에서는 수용부(51)에 수용된 에어백 쿠션부)는 차량(1)의 보디(2)에 가까운 위치로서 운전석(10)의 좌우 타방측의 에어백 쿠션부(도에서는 수용부(52)에 수용된 에어백 쿠션부)는 차량(1)의 보디(2)로부터 먼 위치에 있다. 조수석(20)의 좌우 에어백 쿠션부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차량(1)은 자동 운전 제어(예를 들어 운전자의 조작이 불필요한 레벨)에 의한 주행이 가능하고, 운전석(10) 및 조수석(20)은 360도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 장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에어백 장치는 제어부로서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100), 운전석(10)에 설치된 제1 에어백 쿠션부(511), 제2 에어백 쿠션부(521), 제1 에어백 쿠션부(511)에 설치된 제1 액티브 벤트(512), 제2 에어백 쿠션부(521)에 설치된 제2 액티브 벤트(522), 제1 에어백 쿠션부(511) 및 제2 에어백 쿠션부(521) 각각에 설치된 인플레이터(가스 발생 장치)(15)를 구비한다. 또한 에어백 장치는 조수석(20)에 설치된 제1 에어백 쿠션부(611), 제2 에어백 쿠션부(621), 제1 에어백 쿠션부(611)에 설치된 제1 액티브 벤트(612), 제2 에어백 쿠션부(621)에 설치된 제2 액티브 벤트(622), 제1 에어백 쿠션부(611) 및 제2 에어백 쿠션부(621) 각각에 설치된 인플레이터(가스 발생 장치)(25)를 구비한다. ECU(100)에는 차량(1)의 충돌을 검출하는 센서(130), 운전석(10)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운전석 회전 위치 검출부(110), 조수석(20)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조수석 회전 위치 검출부(12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제1 에어백 쿠션부(511), 제2 에어백 쿠션부(521), 제1 에어백 쿠션부(611) 및 제2 에어백 쿠션부(621)를 편의상 팽창 전개한 상태로서 파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차량 충돌 시에는, ECU(100)는 센서(130)가 출력하는 신호에 의거하여 인플레이터(15, 25)를 작동시킨다. 인플레이터(15)는 예를 들어 압축 가스가 충전되어 있고 ECU(100)가 출력하는 작동 신호에 의거하여 제1 에어백 쿠션부(511) 및 제2 에어백 쿠션부(521) 내에 가스를 공급하여 제1 에어백 쿠션부(511) 및 제2 에어백 쿠션부(521)를 팽창 전개시킨다. 마찬가지로 인플레이터(25)는 예를 들어 압축 가스가 충전되어 있고 ECU(100)가 출력하는 작동 신호에 의거하여 제1 에어백 쿠션부(611) 및 제2 에어백 쿠션부(621) 내에 가스를 공급하여 제1 에어백 쿠션부(611) 및 제2 에어백 쿠션부(621)를 팽창 전개시킨다.
ECU(100)는 운전석 회전 위치 검출부(110)가 출력하는 신호에 의거하여 제1 액티브 벤트(512) 및 제2 액티브 벤트(522) 중 어느 일방을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타방을 폐색 상태로 제어한다. 또한 ECU(100)는 조수석 회전 위치 검출부(120)가 출력하는 신호에 의거하여 제1 액티브 벤트(612) 및 제2 액티브 벤트(622) 중 어느 일방을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타방을 폐색 상태로 제어한다.
도 3은 운전석(10) 및 조수석(20)의 제1 배치예의 경우의 충돌 시에 있어서의 에어백 쿠션부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1 배치예는 운전석(10) 및 조수석(20)이 전방을 향하고 있는 경우로서 통상 상태이고, 운전석(10) 및 조수석(20)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이 전방을 향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도에서는, 개방 상태의 액티브 벤트에는 가스가 빠져 있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화살표를 도시하고, 폐색 상태의 액티브 벤트에는 화살표를 붙이지 않았다.
ECU(100)는 차량의 충돌 시 등에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가 팽창 전개할 때에 제1 액티브 벤트 및 제2 액티브 벤트 중 어느 일방을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타방을 폐색 상태로 제어한다.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를 개방 상태로 하면 에어백 쿠션부의 팽창 전개 개시 때 또는 팽창 전개 초기 단계에 있어서 에어백 쿠션부 내의 압력을 자동적으로 개방하면서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승차인이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 쿠션부에 가까운 위치(정상이 아닌 위치)에 있는 경우 등에 에어백 쿠션부의 압력을 방출하면서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다.
한편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를 폐색 상태로 하면 에어백 쿠션부의 팽창 전개에 있어서 에어백 쿠션부 내의 압력을 보유 유지하면서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차인이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 쿠션부에 대하여 정상 위치에 있는 경우 등에 에어백 쿠션부의 압력을 보유 유지하여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차량(1)의 운전석(10) 및 조수석(20) 각각 양측에 설치된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중 어느 일방은 에어백 쿠션부 내의 압력을 자동적으로 개방하면서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고, 타방은 에어백 쿠션부의 압력을 보유 유지하여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어 승차인의 구속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ECU(100)는 운전석(10) 및 조수석(20)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중 차량(1)의 보디(2)에 가까운 쪽의 에어백 쿠션부(511, 611)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512, 612)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보디(2)로부터 먼 쪽의 에어백 쿠션부(521, 621)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522, 622)를 폐색 상태로 제어한다.
차량(1)의 보디(2)에 가까운 쪽의 에어백 쿠션부(511, 611)는 팽창 전개 시에 승차인의 위치가 에어백 쿠션부(511, 611)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부(511, 611) 내의 압력을 자동적으로 개방하면서 승차인을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디(2)로부터 먼 쪽의 에어백 쿠션부(521, 621)는 팽창 전개 시에 승차인의 위치가 에어백 쿠션부(521, 621)에 대하여 정상 위치에 있는 경향이 있으므로 에어백 쿠션부(521, 621) 내의 압력을 보유 유지하여 승차인을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차량(1)의 보디(2)에 가까운 쪽의 에어백 쿠션부(511, 611)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512, 612)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보디(2)로부터 먼 쪽의 에어백 쿠션부(521, 621)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522, 622)를 폐색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승차인의 구속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4는 운전석(10) 및 조수석(20)의 제2 배치열의 경우의 충돌 시에 있어서의 에어백 쿠션부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2 배치열은 운전석(10) 및 조수석(20)이 후방을 향하고 있는 경우로서 예를 들어 자동 운전 중이고 운전석(10) 및 조수석(20)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이 후방을 향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도에서는 개방 상태의 액티브 벤트에는 가스가 빠져 있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화살표를 도시하고 폐색 상태의 액티브 벤트에는 화살표를 붙이지 않았다. 또한 도 4의 예에서는 운전석(10) 및 조수석(20)의 양방이 후방을 향하고 있는데 운전석(10) 및 조수석(20)의 일방만이 후방을 향하고 있어도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ECU(100)는 운전석(10) 및 조수석(20)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중 차량(1)의 보디(2)에 가까운 쪽의 에어백 쿠션부(521, 621)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522, 622)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보디(2)로부터 먼 쪽의 에어백 쿠션부(511, 611)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512, 612)를 폐색 상태로 제어한다.
차량(1)의 보디(2)에 가까운 쪽의 에어백 쿠션부(521, 621)는 팽창 전개 시에 승차인의 위치가 에어백 쿠션부(521, 621)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부(521, 621) 내의 압력을 자동적으로 개방하면서 승차인을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디(2)로부터 먼 쪽의 에어백 쿠션부(511, 611)는 팽창 전개 시에 승차인의 위치가 에어백 쿠션부(511, 611)에 대하여 정상 위치에 있는 경향이 있으므로 에어백 쿠션부(511, 611) 내의 압력을 보유 유지하여 승차인을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차량(1)의 보디(2)에 가까운 쪽의 에어백 쿠션부(521, 621)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522, 622)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보디(2)로부터 먼 쪽의 에어백 쿠션부(511, 611)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512, 612)를 폐색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차량(1) 내에서 운전석(10) 또는 조수석(20)이 회전했을 경우에도 승차인의 구속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운전석(1) 및 조수석(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좌석의 이동은 회전 이동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선 이동이어도 된다. 즉, ECU(100)는 차량(1)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운전석(10) 및 조수석(20)의 이동 위치에 따라서 제1 액티브 벤트 및 제2 액티브 벤트 중 어느 일방을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타방을 폐색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동 가능은 예를 들어 회전 이동, 직선 이동 등을 포함한다. 좌석의 이동 위치가 변함으로써 좌석의 폭 방향(차량 폭 방향)의 일방과 타방에서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 쿠션부에 대한 승차인의 위치가 정상 위치(혹은 더욱 정상 위치)가 되거나, 정상이 아닌 위치(혹은 더욱 정상이 아닌 위치)가 되거나로 변할 수 있다.
그래서 좌석의 이동 위치에 따라서 제1 액티브 벤트 및 제2 액티브 벤트 중 어느 일방을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타방을 폐색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차량 내에서 좌석이 이동했을 경우에도 승차인의 구속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이어서 에어백 쿠션부의 액티브 벤트의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액티브 벤트의 구성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에어백 쿠션부(511)가 팽창 전개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에어백 쿠션부(511)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다른 에어백 쿠션부(521, 611, 621)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부(511)는 인플레이터(15), 테더 보유 지지부(16), 테더(17), 액티브 벤트(512)를 구비하고 에어백 쿠션부(511)에 벤트(513)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액티브 벤트(512)는 에어백 쿠션부(511)의 외측으로 접어서 겹쳐지도록 설치되고 테더(17)의 일단이 테더 보유 지지부(16)에 접속되고 테더(17)의 타단은 벤트(513)를 통하여 액티브 벤트(512)에 접속되어 있다. 테더 보유 지지부(16)는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 등으로 구성할 수 있고 ECU(100)가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테더(17)를 보유 지지 또는 비 보유 지지한다. 테더(17)는 예를 들어 나일론 직물 등과 같이 딱딱하고 강도가 있는 소재로 형성할 수 있고 끈 형상 또는 띠 형상을 이룬다.
ECU(100)가 액티브 벤트를 폐색 상태로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테더 보유 지지부(16)는 테더(17)의 일단을 비 보유 지지한다. 테더(17)는 이완 상태가 되고 액티브 벤트(512)는 벤트(513)를 막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에어백 쿠션부(511)는 폐색 상태인 채 팽창 전개한다.
한편 ECU(100)가 액티브 벤트를 개방 상태로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테더 보유 지지부(16)는 테더(17)의 일단을 보유 지지한다. 테더(17)는 잡아당겨진 상태가 된다. 에어백 쿠션부(511)가 팽창 전개하면 예를 들어 팽창 전개의 개시 때 또는 팽창 전개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테더(17)가 접어서 겹쳐진 액티브 벤트(512)를 풀도록 동작하고 액티브 벤트(512)의 일부가 벤트(513)로부터 멀어지고 벤트(513)가 개방된다. 이에 의해 에어백 쿠션(511)은 개방 상태가 되어 팽창 전개한다.
도 6은 액티브 벤트의 구성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의 예에서는 액티브 벤트(512)는 에어백 쿠션부(511)의 벤트(513)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다. 테더(17)의 일단이 테더 보유 지지부(16)에 접속되고 테더(17)의 타단은 액티브 벤트(512)에 연결되어 있다.
ECU(100)가 액티브 벤트를 폐색 상태로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테더 보유 지지부(16)는 테더(17)의 일단을 비 보유 지지한다. 테더(17)는 이완 상태가 되고 액티브 벤트(512)는 벤트(513)를 막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에어백 쿠션부(511)는 폐색 상태인 채로 팽창 전개한다.
한편 ECU(100)가 액티브 벤트를 개방 상태로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테더 보유 지지부(16)는 테더(17)의 일단을 보유 지지한다. 테더(17)는 잡아당겨진 상태가 된다. 에어백 쿠션부(511)가 팽창 전개하면 예를 들어 팽창 전개의 개시 때 또는 팽창 전개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테더(17)가 액티브 벤트(512)를 풀도록 동작하고 액티브 벤트(512)의 일부가 벤트(513)로부터 멀어지며 벤트(513)가 개방된다. 이에 의해 에어백 쿠션부(511)는 개방 상태가 되어 팽창 전개한다.
도 7은 액티브 벤트의 구성의 제3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의 예에서는 액티브 벤트(512)는 에어백 쿠션부(511)의 벤트의 주위의 기포(基布)를 하나로 테더(17)에 의해 묶인 상태가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벤트는 폐색 상태가 된다.
ECU(100)가 액티브 벤트를 폐색 상태로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테더 보유 지지부(16)는 테더(17)의 일단을 보유 지지한다. 테더(17)는 잡아당겨진 상태가 된다. 테더(17)는 벤트의 주위의 기포를 묶은 상태로 유지하고 에어백 쿠션부(511)는 폐색 상태인 채 팽창 전개한다.
한편 ECU(100)가 액티브 벤트를 개방 상태로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테더 보유 지지부(16)는 테더(17)의 일단을 비 보유 지지한다. 테더(17)는 이완 상태가 된다. 에어백 쿠션부(511)가 팽창 전개하면 에어백 쿠션부(511) 내의 압력에 의해 벤트 주위의 기포를 묶은 상태의 테더(17)를 풀도록 동작하고 벤트가 개방된다. 이것에 의해 에어백 쿠션부(511)는 개방 상태가 되어 팽창 전개한다.
도 8은 액티브 벤트의 구성의 제4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의 예에서는 패치(18)를 구비한다. 패치(18)는 예를 들어 기포 소재 또는 다른 알맞은 직물로 형성할 수 있고 패치(18)의 형상은 벤트(513)를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로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사각형, 원형, 삼각형 또는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패치(18)는 벤트(513)를 막도록 벤트(513)의 주위에 봉합 또는 접착되어 있다.
ECU(100)가 액티브 벤트를 폐색 상태로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테더 보유 지지부(16)는 테더(17)의 일단을 비 보유 지지한다. 테더(17)는 이완 상태가 된다. 패치(18)는 벤트(513)의 주위에 봉합 또는 접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에어백 쿠션부(511)는 폐색 상태인 채 팽창 전개한다.
한편 ECU(100)가 액티브 벤트를 개방 상태로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테더 보유 지지부(16)는 테더(17)의 일단을 보유 지지한다. 테더(17)는 잡아당겨진 상태가 된다. 에어백 쿠션부(511)가 팽창 전개하면 패치(18)는 테더(17)에 의해 잡아당겨져 벤트(513)의 주위에 봉합 또는 접착된 부분의 일부가 개방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에어백 쿠션부(511)는 개방 상태가 되어 팽창 전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티브 벤트는 에어백 쿠션부(511)에 설치된 벤트(513)를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로 하는 패치(18)를 구비한다. 에어백 쿠션부(521, 611, 621) 각각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도 동일하다. 패치(18)는 예를 들어 기포 소재 또는 다른 알맞은 직물로 형성할 수 있고 형상은 벤트(513)를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로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사각형, 원형, 삼각형 또는 다른 적절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에어백 쿠션부(511)는 일단이 패치(18)에 접속되고 타단이 테더 보유 지지부(16)에 접속되는 테더(17)를 구비한다. 에어백 쿠션부(521, 611, 621)도 동일하다. 테더(17)는 예를 들어 나일론 직물 등과 같이 딱딱하고 강도가 있는 소재로 형성할 수 있고 끈 형상 또는 띠 형상을 이룬다. 테더 보유 지지부(16)는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 등으로 구성할 수 있고 ECU(100)가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테더(17)의 타단을 보유 지지 또는 비 보유 지지할 수 있다.
테더 보유 지지부(16)가 테더(17)를 보유 지지 또는 비 보유 지지함으로써 패치(18)가 벤트(513)를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 중 어느 상태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더 보유 지지부(16)가 테더(17)를 보유 지지함으로써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 쿠션부(511) 내의 테더(17)를 팽팽한 상태로 함으로써 도 8과 같이 패치(18)를 벤트(513)로부터 이탈시켜 벤트(513)를 개방 상태로 해도 되고 혹은 도시하지 않지만 패치(18)를 벤트(513)에 밀착시켜 벤트(513)를 폐색 상태로 해도 된다. 또한 테더 보유 지지부(16)가 테더(17)를 비 보유 지지함으로써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 쿠션부(511) 내의 테더(17)를 이완 상태로 함으로써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치(18)를 벤트(513)에 밀착시켜 벤트(513)를 폐색 상태로 해도 되고 도시하지 않지만 패치(18)를 벤트(513)로부터 이탈시켜 벤트(513)를 개방 상태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ECU(100)가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서 에어백 쿠션부(511, 521, 611, 621) 각각을 개별 독립적으로 개방 상태로 하는 것도 폐색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9A 및 도 9B는 액티브 벤트의 구성의 제5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A는 전술한 도 8의 제4 예를 다른 각도에서 본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부(511)가 폐색 상태인 경우 테더(17)는 이완 상태가 되고 패치(18)는 벤트(513)를 막은 상태로 벤트(513)의 주위에 봉합 또는 접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에어백 쿠션부(511)가 개방 상태인 경우 테더(17)는 잡아당겨지고 패치(18)는 테더(17)에 의해 잡아당겨져 벤트(513)의 주위에 봉합 또는 접착된 부분의 일부가 분리되어 벤트(513)는 개방 상태가 되어 있다.
도 9B는 도 9A와 같은 방향에서 본 경우의 제5 예를 나타낸다. 도 9B에서는, 테더(17)가 잡아당겨지는 방향을 가령 X축 방향으로 하면 벤트(513)의 위치가 X축 또는 X축 근방에 위치하는 구성(도 9A) 대신에 벤트(513)가 테더(17)의 위치로부터 Y축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9B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에어백 쿠션부(511)가 팽창 전개하여 테더(17)가 잡아당긴 상태가 된 경우에 패치(18)의 일부가 즉시 벤트(513)로부터 분리되는 일 없이 얼마간 벤트(513)가 막힌 상태가 계속되므로 에어백 쿠션부(511)의 Y 방향으로의 팽창 전개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10은 액티브 벤트의 구성의 제6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의 예에서는 에어백 쿠션부(511)는 배플(515)을 구비한다. 배플(515)은 예를 들어 필요한 기포로 형성할 수 있고 판 형상으로 형성된 기포에 벤트(513)를 형성해두고 접음으로써 벤트(513)를 막은 상태로 하고, 전개된 상태에서 벤트(513)를 개방한 상태로 할 수 있다. 테더(17)에 의해 배플(515)을 접은 상태로 할 수 있고 테더(17)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배플(515)을 전개 가능하게 하여 벤트(513)를 개방한 상태로 할 수 있다.
ECU(100)가 액티브 벤트를 폐색 상태로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테더 보유 지지부(16)는 테더(17)의 일단을 보유 지지한다. 테더(17)는 잡아당겨진 상태가 된다. 배플(515)은 테더(17)에 의해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벤트(513)는 막힌 상태인 채가 된다. 에어백 쿠션부(511)는 폐색 상태인 채 팽창 전개한다.
한편 ECU(100)가 액티브 벤트를 개방 상태로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테더 보유 지지부(16)는 테더(17)의 일단을 비 보유 지지한다. 테더(17)는 이완 상태가 된다. 배플(515)은 전개하여 벤트(513)는 개방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에어백 쿠션부(511)는 개방 상태가 되어 팽창 전개한다.
도 11은 액티브 벤트의 구성의 제7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의 예에서는 에어백 쿠션부(511)는 벤트(181a)가 형성된 띠 형상의 패치(181) 및 벤트(182a)가 형성되고 패치(181)를 내부에 삽입 통과시켜 슬라이딩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가이드(182)를 구비한다. 패치(181)와 가이드(182)의 상대 위치가 변함으로써 벤트(181a)의 위치와 벤트(182a)의 위치가 전부 또는 일부 겹치면 벤트는 개방 상태가 되고 벤트(181a)의 위치와 벤트(182a)의 위치가 완전히 어긋나면(전혀 겹치지 않으면) 벤트는 폐색 상태가 된다.
ECU(100)가 액티브 벤트를 폐색 상태로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테더 보유 지지부(16)는 테더(17)의 일단을 비 보유 지지한다. 테더(17)는 이완 상태가 된다. 패치(181)와 가이드(182)의 상대 위치는 유지되고 벤트(181a)의 위치와 벤트(182a)의 위치가 완전히 어긋나는 상태가 된다. 에어백 쿠션부(511)는 폐색 상태인 채 팽창 전개한다.
한편 ECU(100)가 액티브 벤트를 개방 상태로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테더 보유 지지부(16)는 테더(17)의 일단을 보유 지지한다. 테더(17)는 잡아당겨진 상태가 된다. 에어백 쿠션부(511)가 팽창 전개함에 따라 패치(181)와 가이드(182)의 상대 위치가 변하고 벤트(181a)의 위치와 벤트(182a)의 위치가 전부 또는 일부 겹치고 벤트는 개방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에어백 쿠션부(511)는 개방 상태가 되어 팽창 전개한다.
이어서 승차인의 머리부 보호용의 머리부 쿠션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에어백 쿠션부(511)에는 승차인의 머리부 보호용의 머리부 쿠션부(517)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에어백 쿠션부(521, 611, 621)에도 머리부 쿠션부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에어백 쿠션부(511, 521)가 팽창 전개할 때에 에어백 쿠션부(511)에 설치된 머리부 쿠션부 및 에어백 쿠션부(521)에 설치된 머리부 쿠션부 중 어느 일방을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에어백 쿠션부(611, 621)가 팽창 전개할 때에 에어백 쿠션부(611)에 설치된 머리부 쿠션부 및 에어백 쿠션부(621)에 설치된 머리부 쿠션부 중 어느 일방을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또한 타방의 머리부 쿠션부는 팽창 전개시키지 않고 예를 들어 에어백 쿠션부의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좌석의 양측에 설치된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된 머리부 쿠션부는 내부의 압력을 자동적으로 개방하면서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고 타방에 설치된 머리부 쿠션부는 압력을 보유 지지하여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고 승차인의 구속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2는 충돌 시에 있어서의 머리부 쿠션부의 상태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에어백 쿠션부(511)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다른 에어백 쿠션부(521, 611, 621)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부(511)가 폐색 상태로 제어된 경우, 에어백 쿠션부(511)에 설치된 머리부 쿠션부(517)를 팽창 전개시킨다. 또한 에어백 쿠션부(511)가 개방 상태로 제어된 경우, 에어백 쿠션부(511)에 설치된 머리부 쿠션부(517)를 전개시키지 않는다. 즉,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의 어느 일방이 폐색 상태로 제어된 경우, 폐색 상태로 제어된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머리부 쿠션부를 팽창 전개시킨다. 에어백 쿠션부를 폐색 상태로 하는 경우, 승차인의 위치는 에어백 쿠션부에 대하여 정상 위치(가까운 위치가 아님)에 있으므로 승차인의 머리부를 보호하기 위해 머리부 쿠션부를 팽창 전개시킨다. 이에 의해 승차인의 구속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머리부 쿠션부(517)의 전부 또는 일부는 에어백 쿠션부(511)의 내측에 수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머리부 쿠션부(517)의 전부 또는 일부는 에어백 쿠션부(511)의 내측을 향하여 접혀 있다. 접힌 부분을 턱인(tuck in)된 부분이라고 칭한다. 다른 에어백 쿠션부(521, 611, 621)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색 상태로 제어된 에어백 쿠션부(511)의 내부의 가스에 의해 에어백 쿠션부(511)의 내측에 수용된 머리부 쿠션부(517)를 팽창 전개시킨다. 에어백 쿠션부(511)를 폐색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팽창 전개 시의 에어백 쿠션부(511) 내의 압력이 일정한 이상 높아지면 에어백 쿠션부(511) 내의 가스가 머리부 쿠션부(517)에 유입하고, 에어백 쿠션부(511)의 내측에 수용된 머리부 쿠션부(517)가 에어백 쿠션부(511)의 외측을 향하여 전개(확장)하여 머리부 쿠션부(517)를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테더 보유 지지부(16)가 테더(17)를 보유 지지함으로써 액티브 벤트(512)는 벤트(513)를 폐색 상태로 한다.
또한 테더 보유 지지부(16)가 테더(17)를 비 보유 지지함으로써 액티브 벤트(512)는 벤트(513)를 개방 상태로 한다. 에어백 쿠션부(511)를 개방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팽창 전개 시의 에어백 쿠션부(511) 내의 압력이 높아지지 않고 머리부 쿠션부(517)는 에어백 쿠션부(511) 내부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도 13은 충돌 시에 있어서의 머리부 쿠션부의 상태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2 예의 경우에도 제1 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머리부 쿠션부(517)의 전부 또는 일부는 에어백 쿠션부(511)의 내측에 수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머리부 쿠션부(517)의 전부 또는 일부는 에어백 쿠션부(511)의 내측을 향하여 접혀 있다. 제2 예에서는 테더(17)의 일단이 테더 보유 지지부(16)에 접속되고 테더(17)의 타단은 머리부 쿠션부(517)의 필요한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폐색 상태의 경우, 머리부 쿠션부(517)를 팽창 전개시킨다. 예를 들어 인플레이터(15)에 의해 공급된 가스에 의하여 머리부 쿠션부(517)를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테더 보유 지지부(16)가 테더(17)를 비 보유 지지함으로써 머리부 쿠션부(517)를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머리부 쿠션부(517)가 팽창 전개하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부(511)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보다도 높아지지 않고 액티브 벤트(512)는 벤트(513)를 폐색 상태로 함으로써 에어백 쿠션부(511)를 폐색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개방 상태의 경우, 머리부 쿠션부(517)는 에어백 쿠션부(511)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는 테더 보유 지지부(16)가 테더(17)를 보유 지지함으로써 머리부 쿠션부(517)를 에어백 쿠션부(511)의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유지 가능하다. 이 경우, 머리부 쿠션부(517)가 전개하지 않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부(511)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보다도 높아지고 상기 압력에 의해 액티브 벤트(512)는 벤트(513)를 개방 상태로 하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부(511)를 개방 상태로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에어백 쿠션부(511) 및 에어백 쿠션부(521)는 팽창 전개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동일한 주머니 형상(동일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팽창 전개하지 않은 상태란 에어백 쿠션부(511, 521)가 조립된 상태(제작된 상태)로서 예를 들어 평면 상에서 전개된 상태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에어백 쿠션부(611) 및 에어백 쿠션부(621)도 팽창 전개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동일한 주머니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좌석 양측에 설치된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중 어느 것도 마찬가지로 압력을 자동적으로 개방하면서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고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중 어느 것도 마찬가지로 압력을 보유 지지하여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에어백 쿠션부(511, 521, 611, 621) 각각은 팽창 전개 상태에 있어서 에어백 쿠션부 내에 가스를 공급하는 개구부에 대향시켜 액티브 벤트를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는 예를 들어 인플레이터(15, 25)의 가스 공급구여도 되고 혹은 에어백 쿠션부(511, 521, 611, 621) 내부에 있어서 인플레이터(15, 25)를 덮는 격벽을 구비하는 경우, 격벽에 설치된 가스 공급구여도 된다.
이에 의해 충돌 등 시에 에어백 쿠션부 내에 개구부로부터 가스를 공급시켜 에어백 쿠션부를 팽창 전개시킬 때에 개구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즉시 액티브 벤트로부터 개방되는 것을 억지할 수 있고 에어백 쿠션부가 필요한 상태(예를 들어 필요한 형상, 필요한 내부 압력)가 되도록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이어서 차량(1)의 좌석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운전석(10) 및 조수석(20)의 제3 배치예의 경우의 충돌 시에 있어서의 에어백 쿠션부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3 배치예는 운전석(10) 및 조수석(20)이 대향하는 경우로서 예를 들어 자동 운전 중이고 운전석(10) 및 조수석(20)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이 마주보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운전석(10) 및 조수석(20)의 차량 길이 방향의 상대 위치를 적절하게 어긋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에서는 개방 상태의 액티브 벤트에는 가스가 빠져 있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화살표를 도시하고 폐색 상태의 액티브 벤트에는 화살표를 붙이지 않았다.
차량(1)의 보디(2) 또는 계기판에 가까운 쪽의 에어백 쿠션부(511, 611)는 팽창 전개 시에 승차인의 위치가 에어백 쿠션부(511, 611)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부(511, 611) 내의 압력을 자동적으로 개방하면서 승차인을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디(2)로부터 먼 쪽 또는 차량 내측의 에어백 쿠션부(521, 621)는 팽창 전개 시에 승차인의 위치가 에어백 쿠션부(521, 621)에 대하여 정상 위치에 있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부(521, 621) 내의 압력을 보유 지지하여 승차인을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차량(1)의 보디(2) 또는 계기판에 가까운 쪽의 에어백 쿠션부(511, 611)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512, 612)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보디(2)로부터 먼 쪽 또는 차량 내측의 에어백 쿠션부(521, 621)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522, 622)를 폐색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차량(1) 내에서 운전석(10) 또는 조수석(20)이 회전했을 경우에도 승차인의 구속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5는 운전석(10) 및 조수석(20)의 제4 배치열의 경우의 충돌 시에 있어서의 에어백 쿠션부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4 배치열은 운전석(10) 및 조수석(20)이 후방을 향하고 또한 대향하고 있는 경우로서 예를 들어 자동 운전 중이고 운전석(10) 및 조수석(20)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이 후방을 향하면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이다. 제4 배치열의 경우에는 제2 배치열의 경우와 동일한 제어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운전석(10) 및 조수석(20)의 제5 배치열의 경우의 충돌 시에 있어서의 에어백 쿠션부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5 배치열은 운전석(10) 및 조수석(20) 외에 후방부 좌석(30)도 분리, 이동이 가능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고, 예를 들어 자동 운전 중이다. 운전석(10) 및 조수석(20)의 배치열은 도 14의 제3 배치열과 동일하므로 제3 배치열과 동일한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부 좌석(30)은 제1 후방부 좌석(30a)과 제2 후방부 좌석(30b)으로 분리할 수 있고 제1 후방부 좌석(30a)과 제2 후방부 좌석(30b)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도 대향하는 상태이다. 이 경우, 운전석(10) 및 조수석(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방부 좌석(30)의 분리나 이동을 검출 가능한 후방부 좌석 회전 위치 검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차량(1)의 리어측의 보디(2)에 가까운 쪽의 에어백 쿠션부(321a, 321b)는 팽창 전개 시에 승차인의 위치가 에어백 쿠션부(321a, 321b)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부(321a, 321b) 내의 압력을 자동적으로 개방하면서 승차인을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어측의 보디(2)로부터 먼 쪽 또는 차량측의 에어백 쿠션부(311a, 311b)는 팽창 전개 시에 승차인의 위치가 에어백 쿠션부(311a, 311b)에 대하여 정상 위치에 있는 경향이 있으므로 에어백 쿠션부(311a, 311b) 내의 압력을 보유 지지하여 승차인을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차량(1)의 리어측의 보디(2)에 가까운 쪽의 에어백 쿠션부(321a, 321b)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322a, 322b)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리어측의 보디(2)로부터 먼 쪽 또는 차량 내측의 에어백 쿠션부(311a, 311b)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312a, 312b)를 폐색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차량(1) 내에서 후방부 좌석(30)이 이동한 경우에도 승차인의 구속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시트의 양측 각각에 설치되는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와,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제1 액티브 벤트 및 상기 제2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제2 액티브 벤트와,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가 팽창 전개할 때에 상기 제1 액티브 벤트 및 상기 제2 액티브 벤트 중 어느 일방을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타방을 폐색 상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차량의 시트의 양측에는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가 설치되고 제1 액티브 벤트가 제1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되고 제2 액티브 벤트가 제2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는 차량의 충돌 등 때에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가 팽창 전개할 때에 제1 액티브 벤트 및 제2 액티브 벤트 중 어느 일방을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타방을 폐색 상태로 제어한다.
액티브 벤트가 설치된 에어백 쿠션부는 차량의 충돌 등 때에 인플레이터(가스 발생 장치)에 의해 공급된 가스에 의해 팽창 전개한다.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를 개방 상태로 하면 에어백 쿠션부의 팽창 전개의 개시 때 또는 팽창 전개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 에어백 쿠션부 내의 압력을 자동적으로 개방하면서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승차인이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 쿠션부에 가까운 위치(정상이 아닌 위치)에 있는 경우 등에 에어백 쿠션부의 압력을 개방하면서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다.
한편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를 폐색 상태로 하면 에어백 쿠션부의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 에어백 쿠션부 내의 압력을 보유 지지하면서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승차인이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 쿠션부에 대하여 정상인 위치에 있는 등 경우에 에어백 쿠션부의 압력을 보유 지지하여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차량의 시트의 양측에 설치된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중 어느 일방은 에어백 쿠션부 내의 압력을 자동적으로 개방하면서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고 타방은 에어백 쿠션부의 압력을 보유 지지하면서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으며 승차인의 구속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시트의 이동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 액티브 벤트 및 상기 제2 액티브 벤트 중 어느 일방을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타방을 폐색 상태로 제어한다.
제어부는 차량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의 이동 위치에 따라서 제1 액티브 벤트 및 제2 액티브 벤트 중 어느 일방을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타방을 폐색 상태로 제어한다. 이동 가능은 예를 들어 회전 이동, 직선 이동 등을 포함한다. 시트의 이동 위치가 변함으로써 시트의 폭 방향(차량 폭 방향)의 일방과 타방에서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 쿠션부에 대한 승차인의 위치가 정상인 위치(혹은 더욱 정상인 위치)가 되거나, 정상이 아닌 위치(혹은 더욱 정상이 아닌 위치)가 되거나로 변할 수 있다.
그래서 시트의 이동 위치에 따라서 제1 액티브 벤트 및 제2 액티브 벤트 중 어느 일방을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타방을 폐색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차량 내에서 시트가 이동했을 경우에도 승차인의 구속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트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중 차량의 보디에 가까운 쪽의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보디로부터 먼 쪽의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를 폐색 상태로 제어한다.
제어부는 시트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중 차량의 보디에 가까운 쪽의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보디로부터 먼 쪽의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를 폐색 상태로 제어한다.
시트의 회전 위치는 예를 들어 승차인이 차량의 전방을 향하고 있는 통상 때의 위치나 승차인이 차량의 후방을 향하고 있는 반전 때의 위치 등을 포함한다. 시트의 회전 위치에 관계없이 차량의 보디에 가까운 쪽의 에어백 쿠션부는 팽창 전개 시에 승차인의 위치가 에어백 쿠션부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부 내의 압력을 자동적으로 개방하면서 승차인을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디로부터 먼 쪽의 에어백 쿠션부는 팽창 전개 시에 승차인의 위치가 에어백 쿠션부에 대하여 정상인 위치에 있는 경향이 있으므로 에어백 쿠션부 내의 압력을 보유 지지하여 승차인을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차량의 보디에 가까운 쪽의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보디로부터 먼 쪽의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를 폐색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차량 내에서 시트가 회전했을 경우에도 승차인의 구속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 장치는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승차인의 머리부 보호용 제1 머리부 쿠션부와, 상기 제2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승차인의 머리부 보호용 제2 머리부 쿠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가 팽창 전개할 때에 상기 제1 머리부 쿠션부 및 상기 제2 머리부 쿠션부 중 어느 일방을 팽창 전개시킨다.
승차인의 머리부 보호용 제1 머리부 쿠션부는 제1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되고 제2 머리부 쿠션부는 제2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가 팽창 전개할 때에 제1 머리부 쿠션부 및 제2 머리부 쿠션부 중 어느 일방을 팽창 전개시킨다. 또한 타방의 머리부 쿠션부는 팽창 전개시키지 않고 예를 들어 에어백 쿠션부의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차량의 시트의 양측에 설치된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된 머리부 쿠션부는 내부의 압력을 자동적으로 개방하면서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고 타방에 설치된 머리부 쿠션부는 압력을 보유 지지하여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으며 승차인의 구속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 장치는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중 어느 일방이 폐색 상태로 제어된 경우, 폐색 상태로 제어된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머리부 쿠션부를 팽창 전개시킨다.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중 어느 일방이 폐색 상태로 제어된 경우, 폐색 상태로 제어된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머리부 쿠션부를 팽창 전개시킨다. 에어백 쿠션부를 폐색 상태로 하는 경우, 승차인의 위치는 에어백 쿠션부에 대하여 정상인 위치(가까운 위치가 아님)에 있으므로 승차인의 머리부를 보호하기 위해 머리부 쿠션부를 팽창 전개시킨다. 이에 의해 승차인의 구속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 장치는 상기 제1 머리부 쿠션부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에 수용하고 있고 상기 제2 머리부 쿠션부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제2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폐색 상태로 제어된 에어백 쿠션부의 내부 가스에 의해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에 수용된 머리부 쿠션부를 팽창 전개시킨다.
제1 머리부의 쿠션부의 전부 또는 일부는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에 수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 머리부 쿠션부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제1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을 향하여 접혀 있다. 접힌 부분을 턱인된 부분이라고도 칭한다. 제2 머리부 쿠션부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제2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에 수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2 머리부 쿠션부의 전부 또는 제2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을 향하여 접혀 있다.
폐색 상태로 제어된 에어백 쿠션부의 내부 가스에 의하여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에 수용된 머리부 쿠션부를 팽창 전개시킨다. 에어백 쿠션부를 폐색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팽창 전개 시의 에어백 쿠션부 내의 압력이 일정한 이상 높아지면 에어백 쿠션부 내의 가스가 머리부 쿠션부에 유입하고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에 수용된 머리부 쿠션부가 에어백 쿠션부의 외측을 향하여 전개(확장)하고 머리부 쿠션부를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 장치는 상기 제1 머리부 쿠션부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제2 머리부 쿠션부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제2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에 수용하고 있고 상기 제1 머리부 쿠션부 또는 상기 제2 머리부 쿠션부의 어느 일방을 팽창 전개시킴으로써 팽창 전개하는 머리부 쿠션부가 수용된 에어백 쿠션부를 폐색 상태로 한다.
제1 머리부 쿠션부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제1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에 수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 머리부 쿠션부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제1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을 향하여 접혀 있다. 접힌 부분을 턱인(tuck-in)된 부분이라고도 칭한다. 제2 머리부 쿠션부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제2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에 수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2 머리부 쿠션부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제2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을 향하여 접혀 있다.
제1 머리부 쿠션부 또는 제2 머리부 쿠션부 중 어느 일방을 팽창 전개시킨다. 예를 들어 인플레이터(가스 발생 장치)에 의해 공급된 가스에 의하여 제1 머리부 쿠션부 또는 제2 머리부 쿠션부 중 어느 일방을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머리부 쿠션부가 팽창 전개함으로써 상기 머리부 쿠션부를 수용한 에어백 쿠션부의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지 않고 액티브 벤트를 폐색 상태인 채로 할 수 있고 에어백 쿠션부를 폐색 상태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 장치는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는 팽창 전개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동일한 주머니 형상을 이룬다.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는 팽창 전개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동일한 주머니 형상을 이룬다. 이에 의해 차량의 시트 양측에 설치된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중 어느 것도 동일하게 압력을 자동적으로 개방하면서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고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의 어느 것도 동일하게 압력을 보유 지지하여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각각은 팽창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내에 가스를 공급하는 개구부에 대향시켜 상기 제1 액티브 벤트 및 상기 제2 액티브 벤트를 배치하고 있다.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각각은 팽창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내에 가스를 공급하는 개구부에 대향시켜 제1 액티브 벤트 및 제2 액티브 벤트를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충돌 등 시에 에어백 쿠션부 내에 개구부로부터 가스를 공급시켜 에어백 쿠션부를 팽창 전개시켰을 때에 개구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즉시 액티브 벤트로부터 개방되는 것을 억지할 수 있고 에어백 쿠션부가 필요한 상태가 되도록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액티브 벤트 및 상기 제2 액티브 벤트 각각은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벤트를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로 하는 패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각각은 일단이 상기 패치에 접속되는 테더와, 상기 테더의 타단이 접속되고, 상기 테더를 보유 지지 또는 비 보유 지지하는 테더 보유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테더 보유 지지부가 상기 테더를 보유 지지 또는 비 보유 지지함으로써 상기 패치가 상기 벤트를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 중 어느 상태로 한다.
제1 액티브 벤트는 제1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벤트를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로 하는 패치를 구비하고, 제2 액티브 벤트는 제2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벤트를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로 하는 패치를 구비한다. 패치는 예를 들어 기포 소재 또는 다른 알맞은 직물로 형성할 수 있고 형상은 벤트를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로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사각형, 원형, 삼각형 또는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각각은 일단이 패치에 접속되고, 타단이 테더 보유 지지부에 접속되는 테더를 구비한다. 테더는 예를 들어 나일론 직물 등과 같이 딱딱하고 강도가 있는 소재로 형성할 수 있고 끈 형상 또는 띠 형상을 이룬다. 테더 보유 지지부는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 등으로 구성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테더의 타단을 보유 지지 또는 비 보유 지지할 수 있다.
테더 보유 지지부가 테더를 보유 지지 또는 비 보유 지지함으로써 패치가 벤트를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 중 어느 상태로 한다. 예를 들어 테더 보유 지지부가 테더를 보유 지지함으로써,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 쿠션부 내의 테더를 팽팽한 상태로 함으로써 패치를 벤트에 밀착시켜 벤트를 폐색 상태로 해도 되고 혹은 패치를 벤트로부터 이탈시켜 벤트를 개방 상태로 해도 된다. 또한 테더 보유 지지부가 테더를 비 보유 지지함으로써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 쿠션부 내의 테더를 이완 상태로 함으로써 패치를 벤트에 밀착시켜 벤트를 폐색 상태로 해도 되고 혹은 패치를 벤트로부터 이탈시켜 벤트를 개방 상태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를 개방 상태로 하는 것도, 폐색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1 차량
2 보디
3 스티어링 휠
10 운전석
20 조수석
30 후방부 좌석
30a 제1 후방부 좌석
30b 제2 후방부 좌석
11, 21, 31 시트백
12, 22, 32 헤드레스트
51, 52, 61, 62 수용부
15, 25 인플레이터
16 테더 보유 지지부
17 테더
18 패치
100 ECU
110 운전석 회전 위치 검출부
120 조수석 회전 위치 검출부
130 센서
511, 521, 611, 621, 311a, 311b, 321a, 321b 에어백 쿠션부
512, 522, 612, 622, 312a, 312b, 322a, 322b 액티브 벤트
513, 181a, 182a 벤트
515 배플
181 패치
182 가이드
517 머리부 쿠션부
516 봉제부
516a 접는 선

Claims (10)

  1. 차량 시트 양측 각각에 설치되는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와,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제1 액티브 벤트 및 제2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제2 액티브 벤트와,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가 팽창 전개할 때에 상기 제1 액티브 벤트 및 상기 제2 액티브 벤트 중 어느 일방을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타방을 폐색 상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시트의 이동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 액티브 벤트 및 상기 제2 액티브 벤트 중 어느 일방을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타방을 폐색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중에 차량 보디에 가까운 쪽의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보디로부터 먼 쪽의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액티브 벤트를 폐색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승차인의 머리부 보호용 제1 머리부 쿠션과,
    상기 제2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승차인의 머리부 보호용 제2 머리부 쿠션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가 팽창 전개할 때에 상기 제1 머리부 쿠션부 및 상기 제2 머리부 쿠션부 중 어느 일방을 팽창 전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중 어느 일방이 폐색 상태로 제어된 경우, 폐색 상태로 제어된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머리부 쿠션부를 팽창 전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머리부 쿠션부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에 수용하고 있고,
    상기 제2 머리부 쿠션부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제2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폐색 상태로 제어된 에어백 쿠션부의 내부 가스에 의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에 수용된 머리부 쿠션부를 팽창 전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머리부 쿠션부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에 수용하고 있고,
    상기 제2 머리부 쿠션부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제2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에 수용하고 있고,
    상기 제1 머리부 쿠션부 또는 상기 제2 머리부 쿠션부의 어느 일방을 팽창 전개시킴으로써 팽창 전개하는 머리부 쿠션부가 수용된 에어백 쿠션부를 폐색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는 팽창 전개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동일한 주머니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각각은,
    팽창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내에 가스를 공급하는 개구부에 대향시켜 상기 제1 액티브 벤트 및 상기 제2 액티브 벤트를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티브 벤트 및 상기 제2 액티브 벤트 각각은,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에 설치된 벤트를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로 하는 패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에어백 쿠션부 및 제2 에어백 쿠션부 각각은,
    일단이 상기 패치에 접속되는 테더와,
    상기 테더의 타단이 접속되고 상기 테더를 보유 지지 또는 비 보유 지지하는 테더 보유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테더 보유 지지부가 상기 테더를 보유 지지 또는 비 보유 지지함으로써 상기 패치가 상기 벤트를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 중 어느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KR1020217037719A 2019-04-24 2020-03-27 에어백 장치 KR1025965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83252 2019-04-24
JP2019083252 2019-04-24
PCT/JP2020/014285 WO2020217859A1 (ja) 2019-04-24 2020-03-27 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697A true KR20210153697A (ko) 2021-12-17
KR102596501B1 KR102596501B1 (ko) 2023-11-01

Family

ID=72942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719A KR102596501B1 (ko) 2019-04-24 2020-03-27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20319B2 (ko)
EP (1) EP3960552A4 (ko)
JP (1) JP7247328B2 (ko)
KR (1) KR102596501B1 (ko)
CN (1) CN113710546B (ko)
WO (1) WO20202178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7859A1 (ja) * 2019-04-24 2020-10-2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DE102019123622A1 (de) * 2019-09-04 2021-03-04 Zf Automotive Germany Gmbh Insassen-Rückhaltesystem mit einem Sitz sowie Fahrzeug mit einem Insassen-Rückhaltesystem
US11110883B1 (en) * 2020-07-08 2021-09-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assembly including a vent cover
WO2023157634A1 (ja) * 2022-02-16 2023-08-2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82Y2 (ja) * 1990-02-23 1996-01-24 マツダ株式会社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JP2010006237A (ja) * 2008-06-26 2010-01-14 Nippon Plast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13099888A1 (ja) 2011-12-28 2013-07-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2014034356A (ja) * 2012-08-10 2014-02-24 Toyota Motor Corp 乗員保護装置
JP2019006153A (ja) * 2017-06-20 2019-01-1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6598A (ja) * 1995-11-16 1997-05-27 Toyota Motor Corp 胸部頭部一体式エアバッグ装置
DE10142819B4 (de) * 2001-08-22 2009-04-30 Takata-Petri Ag Airbaganordnung
DE602004001528T2 (de) * 2003-02-25 2007-02-22 Takata Corp. Kindersitz.
DE202006002605U1 (de) * 2006-02-14 2006-05-11 Takata-Petri (Ulm) Gmbh Seitengassackanordnung
JP2009040206A (ja) * 2007-08-08 2009-02-26 Takata Corp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5104234B2 (ja) * 2007-11-09 2012-12-19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ITVR20100042A1 (it) * 2010-03-09 2011-09-10 Dainese Spa Assieme di copertura per un sedile e sedile adatto per una protezione di un utilizzatore.
US8534704B2 (en) * 2011-05-24 2013-09-1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ctive air bag vent
JP5781985B2 (ja) * 2012-07-05 2015-09-2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422911B2 (ja) * 2015-04-14 2018-11-1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0131312B2 (en) * 2016-02-16 2018-11-20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Center side airbag module
JP6271622B2 (ja) * 2016-03-18 2018-01-31 株式会社Subaru エアバッグ装置
US9650011B1 (en) * 2016-05-04 2017-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ssenger airbag including deployable extensions
KR101931125B1 (ko) * 2016-11-21 2018-12-2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JP6767564B2 (ja) 2017-03-16 2020-10-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員保護制御装置、乗員保護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369956B2 (en) * 2017-03-20 2019-08-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with necking chamber
KR102435980B1 (ko) * 2017-10-26 2022-08-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튼 에어백
CN109334605B (zh) * 2018-09-10 2021-07-20 江苏大学 一种后排中置安全气囊及其控制方法
US10730472B2 (en) * 2018-10-23 2020-08-04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bag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occupant of a vehicle
KR102154195B1 (ko) * 2018-12-20 2020-09-0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WO2020217859A1 (ja) * 2019-04-24 2020-10-2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US11091111B2 (en) * 2019-10-01 2021-08-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including lower lobe and upper lobe
US11161473B2 (en) * 2020-01-22 2021-1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82Y2 (ja) * 1990-02-23 1996-01-24 マツダ株式会社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JP2010006237A (ja) * 2008-06-26 2010-01-14 Nippon Plast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13099888A1 (ja) 2011-12-28 2013-07-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2014034356A (ja) * 2012-08-10 2014-02-24 Toyota Motor Corp 乗員保護装置
JP2019006153A (ja) * 2017-06-20 2019-01-1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60552A4 (en) 2023-01-18
JPWO2020217859A1 (ko) 2020-10-29
CN113710546B (zh) 2023-09-12
JP7247328B2 (ja) 2023-03-28
EP3960552A1 (en) 2022-03-02
WO2020217859A1 (ja) 2020-10-29
KR102596501B1 (ko) 2023-11-01
CN113710546A (zh) 2021-11-26
US11820319B2 (en) 2023-11-21
US20230054543A1 (en)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4143B1 (ko) 차량용 멀티 전방에어백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전개시스템
JP5949737B2 (ja)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210153697A (ko) 에어백 장치
JP5123941B2 (ja) 延長肩部分を持つサイドカーテンエアバッグ
US7156418B2 (en) Method for folding airbag, airbag apparatus, and airbag
WO2019168579A1 (en) Roof-mounted occupant restraint system
US8678431B2 (en) Air bag with tether and pulley arrangement
JP7288510B2 (ja) エアバッグ装置
EP1442946B1 (en) Airbag device, use thereof and seat provided therewith
US9821751B2 (en) Airbag module
JP2007216954A (ja) エアバッグ用クッション形状づけスリーブおよびテザー
JP2019018791A (ja) エアバッグ及び乗員拘束装置
JP4156121B2 (ja) エアバッグ装置
CN114763120A (zh) 乘员约束系统
JP6217350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1126413A (ja) シート付け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4414248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3643567B1 (en) Airbag arrangement
JP6302768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6273151A (ja) エアバッグ装置
JP6460070B2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5104834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5437345B2 (ja) 乗員拘束装置
JP5549577B2 (ja) 後席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195734B2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