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975A - 직기 - Google Patents

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975A
KR20210150975A KR1020210066028A KR20210066028A KR20210150975A KR 20210150975 A KR20210150975 A KR 20210150975A KR 1020210066028 A KR1020210066028 A KR 1020210066028A KR 20210066028 A KR20210066028 A KR 20210066028A KR 20210150975 A KR20210150975 A KR 20210150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rive
drive shaft
driving
s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이치 묘기
다이고 야마기시
고이치 다무라
가즈야 야마
Original Assignee
츠다코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다코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다코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50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9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2Construction of loom framework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3/00Shedd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C13/02Shedd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independent drive moto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60Construction or operation of slay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60Construction or operation of slay
    • D03D49/62Reeds mounted on slay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07Loom optimisat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2General arrangements of driving mechanism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6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using particular methods of stopp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52Shuttle boxes
    • D03D49/54Braking means; Sw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동 모터의 회전을 구동축에 전달하는 구동 전달 기구를 구동축의 비틀림이 가급적으로 작아지도록 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구동축에 연결되는 장치에 있어서의 위상의 어긋남을 작게 할 수 있는 직기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동 전달 기구가, 사이드 프레임의 공간 내에서 구동축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사이드 프레임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된 구동 전달축으로서 원동 모터에 연결되는 구동 전달축과 구동 전달축과 구동축을 연결하는 전달 기구를 포함하고, 전달 기구가, 구동축과 요동 기구와의 연결 위치보다 사이드 프레임의 폭 방향에서의 주축 측의 위치에서 구동 전달축과 구동축을 연결한다.

Description

직기{LOOM}
본 발명은, 직기(織機)의 주축(主軸; main spindle)이 연결되는 구동축으로서 바디(筬; reed)를 요동 구동시키기 위한 요동축(搖動軸)이 요동 기구(機構)를 통해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이 구동 전달 기구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원동(原動) 모터와, 구동축에 연결된 주축에 제동을 거는 브레이크 장치와, 구동축 및 요동축의 각각의 축선(軸線) 방향을 폭 방향과 일치시키는 방향으로 구동축 및 요동축을 수용하는 하우징(housing) 형상의 사이드 프레임을 구비한 직기에 관한 것이다.
직기에 있어서, 프레임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그 사이드 프레임이 복수의 빔재로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직기는, 메인 구동원으로서의 원동 모터를 구비하고 있고, 그 원동 모터에 의해 주축(메인 샤프트)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원동 모터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중 한쪽의 사이드 프레임의 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사이드 프레임은, 하우징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한쪽의 사이드 프레임 내에는, 그 일단부(一端部)에 주축이 연결되는 구동축이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그 구동축이 원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됨으로써, 그 구동축에 연결된 주축이 회전 구동된다. 또한, 그 구동축의 회전은, 바디를 요동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도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한쪽의 사이드 프레임 내에는 바디를 요동 구동시키기 위한 요동축도 수용되어 있고, 그 요동축이 캠 기구, 크랭크 기구라는 요동 기구를 통해 구동축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축이 회전 구동되는 데 수반하여, 요동축이 요동 구동되고, 그에 따라 바디가 요동 구동되도록 직기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원동 모터에 의해 구동축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해 구동축과 원동 모터를 연결하는 구성(구동 전달 기구)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그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구동축은, 주축이 연결되는 일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端部)(타단부)가 사이드 프레임의 외측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설명은 없지만, 일반적인 직기에서는, 구동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원동 모터는, 그 구동축을 수용하는 사이드 프레임의 외측에 있어서, 사이드 프레임 등에 장착된 브래킷(bracket)에 지지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원동 모터와 구동축은, 예를 들면, 원동 모터의 출력축 및 구동축의 타단부의 각각에 장착된 풀리(pully)와 양 풀리에 걸쳐진 타이밍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직기는, 구동축에 연결된 주축에 제동을 걸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예를 들면, 전자(電磁) 브레이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는, 그 브레이크 장치는, 구동축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구동축에 제동을 거는 것에 의해 주축에 제동을 걸도록 설치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4-107838호 공보
그런데, 구동축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일단부에 있어서 주축과 연결되고 또한, 그 중간부에 있어서 요동 기구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그 주축에는, 주축을를 구동원으로 하는 장치(예를 들면, 개구 장치)가 연결되고 또한, 요동 기구에는, 바디 장치(reeding device)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원동 모터에 의해 구동축을 회전 구동시키면, (특히 구동 개시에 있어서,) 이들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부하가, 주축 및 요동 기구가 연결되는 위치에 있어서 회전 저항으로서 구동축에 대하여 작용한다.
그러므로, 특허문헌 1과 같은 구성에서는, 구동축에서의 원동 모터 측(구동 전달 기구)과 연결되는 연결 위치[구속점(拘束点)]에 대한 축단 측(일단부 측)의 부분(= 구동축 전체)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회전 저항이 모두 걸리게 된다. 그 결과 구동축에 대하여 큰 비틀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그와 같은 큰 비틀림이 발생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축에 연결되는 각각의 장치의 위상이, 구동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원동 모터의 회전 위상과 비교하여 지연된 상태로 된다. 이로써, 바디 비팅(reed beating) 타이밍이나 개구 타이밍 등에도 어긋남이 생기고, 그 결과 제직(製織)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동 모터의 회전을 구동축에 전달하는 구동 전달 기구를 구동축의 비틀림이 가급적으로 작아지도록 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구동축에 연결되는 장치에 있어서의 위상의 어긋남을 작게 할 수 있는 직기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직기에 있어서, 구동 전달 기구가, 사이드 프레임의 공간 내에서 구동축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사이드 프레임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된 구동 전달축으로서 원동 모터에 연결되는 구동 전달축과 구동 전달축과 구동축을 연결하는 전달 기구를 포함하고, 전달 기구가, 구동축과 요동 기구와의 연결 위치보다 사이드 프레임의 폭 방향에서의 주축 측의 위치에서 구동 전달축과 구동축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그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직기에 있어서, 전달 기구는, 구동 전달축에 장착되는 구동 기어와 구동축에 장착되는 종동(從動)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열이라도 된다. 또한, 브레이크 장치는, 구동 전달축을 통해 구동축에 제동을 걸도록 구동 전달축에 연결되는 것이라도 된다. 또한, 구동축을, 그 중간 부분이 양측의 부분에 대하여 편심(偏心)되는 편심부(偏心部)로서 형성된 크랭크 형상의 축으로 하고, 편심부에 대하여 요동 기구가 연결되는 것이라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직기에 의하면, 원동 모터에 연결되는 구동 전달축과 구동축과의 연결 위치(상기 구속점)가, 구동축에서의 요동 기구와의 연결 위치보다 주축 측으로 되도록, 구동 전달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소에 있어서 구동축에 대하여 작용하는 상기 회전 저항은, 구동축에서의 상기 구속점에 대한 양 축단 측(일단부 측 및 타단부 측)의 부분에서, 각각 1개소씩에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그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직기에 의하면, 구동축의 상기 구속점보다 축단 측의 부분에 대하여 작용하는 상기 회전 저항이 상기한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작아지게 되므로, 구동축의 비틀림도 그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작은 것으로 된다. 이로써, 구동축의 비틀림에 기인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위상의 어긋남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그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직기에 있어서, 구동축과 구동 전달축을 연결하는 전달 기구를 기어열로 함으로써, 그와 같이 구성된 구동 전달 기구는, 유지보수의 면에 있어서 유리한 것으로 된다. 상세하게는, 전달 기구의 구성으로서는, 풀리 및 타이밍 벨트를 통해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단, 이 경우에는, 타이밍 벨트의 장력(張力)의 조정 등의 작업이 필요해진다. 그에 대하여, 전달 기구를 기어열로 함으로써, 그와 같은 작업이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그 구성에 의하면, 구동 전달 기구는, 유지보수의 면에 있어서 유리한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직기에 있어서, 구동축과 연결된 구동 전달축에 제동을 걸도록 브레이크 장치가 구동 전달축에 연결되는 것으로 함으로써, 브레이크 장치에 의한 주축의 제동 시에서의 구동축의 비틀림도 작게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축에 제동을 걸 수 있도록 구동축에 제동을 걸면, 구동축 및 주축에 연결된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부하(관성력)가, 상기한 회전 저항과 마찬가지로, 구동축과 주축 및 요동 기구와의 연결 위치에 있어서 구동축에 대하여 작용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축과 연결된 구동 전달축에 제동을 거는 것과 같은 직기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동 시에 구동축에 가해지는 부하가 작아져, 구동축의 비틀림도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작은 것으로 된다. 그리고, 그와 같이 제동 시에서의 구동축의 비틀림이 작아지게 됨으로써, 그 구동축의 비틀림에 기인하는 구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에 가해지는 부하도 작아지고, 그 결과 그 베어링의 파손을 가급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직기에서의 요동 기구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캠 기구나 크랭크 기구가 존재하지만, 구동축이 크랭크 형상의 축, 즉 요동 기구가 크랭크 기구인 직기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는 쪽이 보다 효과적이다. 상세하게는, 크랭크 기구를 요동 기구로서 채용한 경우, 구동축이 편심 부분을 구비하는 크랭크 형상의 축이므로, 구동축이 편심 부분을 가지지 않는 축인 캠 기구의 경우와 비교하여, 바디의 요동 구동에 수반하여 구동축에 가해지는 부하(상기 회전 저항)에 의해 축의 비틀림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요동 기구가 크랭크 기구인 직기 쪽이, 본 발명을 적용하는 데 있어서 더욱 유효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직기(1)의 정면단면도(正面斷面圖)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斷面圖)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된 직기의 일 실시형태(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직기(1)에 있어서, 프레임(10)은, 하우징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2, 12)을 포함하고, 그 사이드 프레임(12)이 복수의 빔재로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직기(1)는, 원동 모터(20)를 구비하고 있고, 그 원동 모터(20)에 의해 직기(1)의 주축(5)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원동 모터(20)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2, 12) 중 한쪽의 사이드 프레임(이하, 「구동측 프레임」이라고 함)(12)의 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측 프레임(12)은, 주체적(主體的)인 부분인 프레임 본체(14)와, 프레임 본체(14)에 장착되는 프레임 커버(16)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 본체(14)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직기(1)의 폭 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되는 측벽(외벽부)(14a)에서의 일부분[폭 방향에서 볼 때 후술하는 요동 기구(60) 등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방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커버(16)는, 판형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프레임 본체(14)의 개방된 부분(개방부)(14c)을 덮는 것이 가능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구동측 프레임(12)은, 프레임 본체(14)에 대하여 개방부(14c)를 덮도록 한 형태로 프레임 커버(16)가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되는 구동측 프레임(12)의 측벽(외측벽)(12a)은, 프레임 본체(14)의 외벽부(14a)와 그 개방부(14c)를 덮는 프레임 커버(16)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프레임 본체(14)에 대한 프레임 커버(16)의 장착은, 볼트 등의 나사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행해지고 있고, 프레임 커버(16)는 프레임 본체(14)에 대하여 착탈(着脫)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직기(1)는, 원동 모터(20)와 주축(5)과의 사이에 개재(interposition)되는 구동축(30)으로서, 원동 모터(20)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주축(5)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축(3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직기(1)는, 바디 장치(40)에서의 록킹축(44)을 요동 구동시키기 위한 요동축(50), 및 그 요동축(50)과 구동축(30)을 연결하는 요동 기구(6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그 요동 기구(60)로서 크랭크 기구가 채용된 예이다. 그리고, 그 구동축(30), 요동축(50) 및 요동 기구(60)는, 상기 폭 방향에서 볼 때 구동측 프레임(12)에서의 개방부(14c)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한 배치이며, 상기한 구동측 프레임(12) 내의 공간에 수용되어 있다. 그와 같은 직기(1)에서의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다.
구동축(30)은, 그 축선 방향에서의 치수(길이 치수)가 구동측 프레임(12)의 상기 폭 방향에서의 치수보다 큰 축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단, 구동축(30)은, 그 중간의 부분이 양측의 부분(양 측부)에 대하여 편심하는 편심부(32)로서 형성된 크랭크 형상의 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축(30)은, 그 축선 방향을 상기 폭 방향으로 일치시킨 방향으로, 구동측 프레임(12)의 양 측벽(12a), (12b)에 대하여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와 같은 형태로 구동측 프레임(12)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그 지지 위치는, 구동측 프레임(12)을 상기 폭 방향에서 볼 때, 구동축(30)이 프레임 본체(14)에서의 개방부(14c) 내의 중간 부근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한 위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축(30)은, 그 일단측에 있어서는, 그 일단부에서 프레임 커버(16)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축(30)은, 그 타단 측에 있어서는, 타단부를 포함하는 부분이 프레임 본체(14)의 상기 폭 방향에서의 내측의 측벽(내벽부)(14b)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구동축(30)은, 그 돌출하는 부분보다 구동측 프레임(12) 측의 부분에서 프레임 본체(14)의 내벽부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그 구동축(30)에서의 타단부에는, 커플링 부재(70)에 의해 주축(5)이 연결되어 있다.
요동축(50)은, 구동축(30)과 같이, 구동측 프레임(12)의 상기 폭 방향에서의 치수보다 큰 축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축(50)은, 구동축(30)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동축(30)과 마찬가지로 구동측 프레임(12)의 양 측벽(12a), (12b)에 대하여 베어링을 통해 지지되고, 구동측 프레임(12)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그 지지 위치는, 구동측 프레임(12)을 상기 폭 방향에서 볼 때, 구동축(30)과 같이 프레임 본체(14)에서의 개방부(14c)의 범위 내의 위치로서, 구동축(30)보다 상측의 위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축(50)도, 그 일단부에 있어서 프레임 커버(16)에 지지되고 또한, 타단부를 포함하는 부분이 프레임 본체(14)의 내벽부(14b)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그 타단 측에 있어서 프레임 본체(14)의 내벽부(14b)에 지지되어 있다. 그에 더하여, 그 요동축(50)의 타단부에는, 바디(42)를 지지하는 록킹축(44)이 커플링 부재(7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요동 기구(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크랭크 기구이며, 요동축(5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 요동암(arm)(62)과, 그 요동암(62)과 구동축(30)의 편심부(32)를 연결하는 링크인 연결 레버(64)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요동축(50)과 요동암(62)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 레버(64)는, 요동암(62) 및 구동축(30)[편심부(3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에 더하여, 그 요동 기구(60)에 있어서는, 구동축(30)이 회전 구동되어 편심부(32)가 양 측부의 축심(軸心; axis)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회전 운동함으로써, 연결 레버(64)를 통해 편심부(32)에 연결된 요동암(62)[요동축(50)]이 요동 구동된다. 따라서, 그 구성에서는, 구동축(30)의 일부도 요동 기구(60)로서 기능하고 있다. 그리고, 그와 같이 요동축(50)이 요동 구동됨으로써, 그 요동축(50)에 연결된 록킹축(44), 및 그 록킹축(44)에 지지된 바디(42)가 요동 운동하여, 바디 비팅 동작이 행해진다.
이상과 같은 직기(1)에 있어서, 그 직기(1)는, 주축(5)에 연결된 구동축(30)을 원동 모터(20)에 의해 회전 구동시키기 위해 구동축(30)과 원동 모터(20)를 연결하는 구동 전달 기구(80)를 구비하고 있다. 그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그 구동 전달 기구(80)가, 원동 모터(20)에 연결되는 구동 전달축(82), 및 그 구동 전달축(82)과 구동축(30)을 연결하는 전달 기구(8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그 전달 기구(84)가 기어열인 동시에, 그 기어열이 구동측 프레임(12) 내에 수용되는 예이다. 그와 같은 본 실시예의 구동 전달 기구(80)에 대하여,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다.
구동 전달축(82)은, 그 축선 방향에서의 치수(길이 치수)가 구동측 프레임(12)의 상기 폭 방향에서의 치수보다 크고 또한, 상기한 구동축(30)의 길이 치수보다 큰 축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에 더하여, 구동 전달축(82)은, 구동축(30)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그 일단부의 측에 있어서 구동측 프레임(12)의 내측벽(12b)에 대하여 베어링을 통해 지지되고 또한, 프레임 본체(14)의 외벽부(14a)[구동측 프레임(12)의 외측벽(12a)]을 관통하고, 그 타단부가 외벽부(14a)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전달축(82)은,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외벽부(14a)에 이르는 사이의 부분이 구동측 프레임(12) 내에 수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단, 구동 전달축(8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부의 측에 있어서 내측벽(12b)에 지지되지만, 그 일단부가 내측벽(12b)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내측벽(12b)으로부터도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에 더하여, 그와 같이 설치된 구동 전달축(82)은, 구동측 프레임(12) 내에 있어서, 전달 기구(84)에 의해 구동축(30)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그 구동 전달축(82)의 지지 위치는, 프레임 본체(14)에서의 개방부(14c)의 범위 밖의 위치로서 구동축(30)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이격된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본체(14)의 외벽부(14a)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동 전달축(82)의 관통을 허용하기 위해, 그 지지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14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달 기구(84)는,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측 프레임(12) 내에 수용되는 2개의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열로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전달 기구(84)는, 구동 전달축(82)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기어(84a)와, 그 구동 기어(84a)에 맞물리는 종동 기어(84b)로서 구동축(30)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종동 기어(84b)로 구성되어 있다. 단, 구동 기어(84a) 및 종동 기어(84b)가 각 축에 대하여 장착되는 위치는, 상기한 구동축(30)[편심부(32)]와 요동 기구(60)[연결 레버(64)]와의 연결 위치보다, 상기 폭 방향에서의 구동측 프레임(12)의 내측벽(12b) 측의 위치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전달축(82)과 구동축(30)이, 구동축(30)과 요동 기구(60)와의 연결 위치보다 상기 폭 방향에서의 구동측 프레임(12)의 내측벽(12b) 측의 위치에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구동 전달축(82)은, 그 타단부 측에 있어서, 그 구동 전달축(82)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원동(原動) 기구(90)로서, 원동 모터(20)를 포함하는 원동 기구(90)와 연결되어 있다. 그 원동 기구(90)는, 원동 모터(20)에 더하여, 원동 모터(20)의 출력축(22)과 구동 전달축(82)을 연결하는 원동 기어열(9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원동 기구(90)는, 기체(基體)로 되는 하우징 형상의 원동 박스(94)를 구비하고 있고, 원동 모터(20)가 그 원동 박스(94)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또한, 원동 기어열(92)이 그 원동 박스(94) 내에 수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원동 박스(94)는,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94a), (94b) 중 한쪽 벽(94a)에서의 외측면(94a1)에 원동 모터(20)가 장착되고 또한, 그 양 측벽(94a), (94b)이 구동측 프레임(12)에서의 외측벽(12a)과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원동 박스(94)는, 직기(1)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구동측 프레임(12)과 중복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측 프레임(12)으로부터 돌출되는 구동 전달축(82)이 원동 박스(94) 내에 수용된 원동 기어열(92)과 연결되므로, 구동 전달축(82)은, 원동 박스(94)에서의 한 쌍의 측벽(94a), (94b) 중 다른 쪽의 측벽(94b)을 관통하고, 그 타단부 측의 부분이 원동 박스(94) 내에 위치하는[원동 박스(94)에 수용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그 원동 박스(94)에서의 다른 쪽의 측벽(94b)에는, 그와 같은 구동 전달축(82)의 관통을 허용하는 관통공(94d)이 형성되어 있다.
그에 더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측 프레임(12)으로부터 돌출되는 구동 전달축(82)은, 그 타단부에 있어서 원동 박스(94)에서의 한쪽 벽(94a)에 대하여 베어링을 통해 지지되어 있다. 단, 그 원동 박스(94)는, 그 구동 전달축(82)이 관통하는 다른 쪽의 측벽(94b)이 구동측 프레임(1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원동 모터(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된 구동 전달축(82)에 대하여 위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출력축(22)을 구동측 프레임(12)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볼트 등(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원동 박스(94)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그 원동 모터(20)가 장착되는 원동 박스(94)에서의 한쪽 벽(94a)에는, 그 장착 위치에 있어서, 원동 모터(20)의 출력축(22)의 관통을 허용하는 관통공(94c)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원동 박스(94)에 원동 모터(2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그 출력축(22)은, 원동 박스(94) 내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구동 전달축(82)과 평행을 이루도록 존재하고 있다. 그에 더하여, 그 출력축(22)은, 원동 박스(94) 내에 있어서, 구동 전달축(82)의 타단부 측의 부분에 대하여 원동 기어열(92)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그 원동 기어열(92)은, 구동축(30)과 구동 전달축(82)을 연결하는 기어열(84)과 같이, 2개의 기어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동 기어열(92)은, 원동 모터(20)의 출력축(22)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기어(92a)와, 그 구동 기어(92a)에 맞물리는 종동 기어(92b)로서 구동 전달축(82)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종동 기어(92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직기(1)는, 구동축(30)에 연결된 주축(5)에 제동을 걸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예를 들면, 전자 브레이크)(11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장치(110)는, 구동측 프레임(12)보다 상기 폭 방향에서의 내측의 위치에서, 구동 전달축(82)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전달축(82)은, 그 브레이크 장치(110)와의 연결을 위해, 그 일단부가 구동측 프레임(12)의 내측벽(12b)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에 더하여, 브레이크 장치(110)는, 구동측 프레임(12)의 내측벽(12b)에 대하여 장착되고 또한, 그 돌출하는 구동 전달축(82)의 일단부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그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직기(1)[주축(5)]의 제동에 있어서, 브레이크 장치(110)에 의해 구동 전달축(82)에 대하여 제동을 걸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전달 기구(84)를 통해 연결된 구동축(30)에 대하여 제동을 걸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그 구동축(30)에 연결된 주축(5)의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프레임 본체(14)는, 그 외벽부(14a)에서의 관통공(14d)의 주위에 있어서 외벽부(14a)로부터 원동 박스(94)의 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14e)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원동 박스(94)도, 그의 다른 쪽의 측벽(94b)에서의 관통공(94d)의 주위에 있어서 다른 쪽의 측벽(94b)으로부터 구동측 프레임(12)의 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94e)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 본체(14) 및 원동 박스(94)는, 그 양 돌출부(14e), (94e)가 서로 끼워맞추어지는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그 돌출부(14e), (94e) 내의 공간에 있어서, 돌출부(14e), (94e)의 내주면(內周面)과 구동 전달축(82)과의 사이에는, 오일 시일(100)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직기(1)에 의하면, 원동 모터(20)[출력축(22)]의 회전을 주축(5)에 전달하는 구동 전달 기구(80)에서의 구동 전달축(82)으로서, 주축(5)에 연결되고 또한, 원동 모터(2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전달축(82)은, 그 일단부 측의 부분이 구동측 프레임(12)에 수용되고 또한, 구동측 프레임(12) 내에 있어서 구동축(30)과 연결되어 있다.
그에 더하여, 그 구동 전달축(82)과 구동축(30)과의 연결 위치는, 상기 폭 방향에 관한 것이며, 구동축(30)과 요동 기구(60)와의 연결 위치에 대하여 주축(5) 측[구동축(30)과 주축(5)과의 연결 위치 측]인 구동측 프레임(12)의 내측벽(12b) 측의 위치로 되어 있다. 이로써, 구동축(30) 상에서는, 구동 전달 기구(80)[전달 기구(84)]와의 연결 위치가 그 구동축(30)의 구속점으로 되지만, 요동 기구(60)와의 연결 위치 및 주축(5)과의 연결 위치는, 그 한쪽[요동 기구(60) 측]이 그 구속점에 대한 한쪽의 축단부 측(일단부 측)에 위치하고, 다른 쪽[주축(5) 측]이 다른 쪽의 축단부 측(타단부 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요동 기구(60)와의 연결 위치 및 주축(5)과의 연결 위치에 있어서 구동축(30)에 작용하는 회전 저항은, 구속점에 대한 양 축단부 측(일단부 측 및 타단부 측)의 각각에 있어서 1개소씩에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그와 같이 구성된 직기(1)에 의하면, 구속점에 대한 한쪽의 축단부 측으로 모든 회전 저항이 작용하도록 한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구동축(30)에서의 요동 기구(60)와의 연결 부분 및 주축(5)과의 연결 부분에서의 각각의 비틀림의 양이 적어지게 된다. 그 결과 구동축(30)에 연결되는 장치에 있어서 구동축(30)의 비틀림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위상의 어긋남이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작아지게 된다.
또한, 그 직기(1)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장치(110)가, 구동축(30)과 연결된 구동 전달축(82)에 제동을 걸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그 구성에 의하면, 주축(5)의 제동에 있어서, 구동축(30)에서의 주축(5) 및 요동 기구(60)와의 연결 위치에 가해지는 부하(관성력)가, 상기한 회전 저항과 마찬가지로, 상기 구속점에 대한 양 축단부 측의 각각에 있어서 1개소씩에서 작용하게 된다. 이로써, 주축(5)의 제동 시의 부하에 기인하는 구동축(30)의 비틀림의 양도, 상기한 회전 저항에 의한 비틀림의 양과 마찬가지로 작아져, 제동 시에서의 구동축(30)의 비틀림에 기인하는 베어링의 파손을 가급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직기의 일 실시형태(이하, 「상기 실시예」라고 함)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음과 같은 다른 실시형태(변형예)에서의 실시도 가능하다.
(1) 구동축과 구동 전달축을 연결하는 전달 기구에 대하여, 그 전달 기구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구동측 프레임(12) 내에 수용되는 구동 기어(84a) 및 종동 기어(84b)의 2개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그 전달 기구는, 동일하게 기어열로 구성된 것이라도, 3 이상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열이라도 된다. 또한, 그 전달 기구는, 기어열로 구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축에 장착된 풀리와 구동 전달축에 장착된 풀리를 타이밍 벨트에 의해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이라도 된다.
(2) 구동축과 구동 전달축을 전달 기구로 연결하는 위치에 대하여, 그 연결 위치(구속점)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구동측 프레임 내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구동 전달축을 구동측 프레임의 내측벽보다 주축 측으로 돌출하도록 한 축으로서 형성한 후, 구동축과 구동 전달축을 구동측 프레임 밖의 위치(구동측 프레임의 내측벽보다 상기 폭 방향에서의 주축 측의 위치)에서 연결하도록 해도 된다.
(3) 브레이크 장치를 설치하는 위치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 장치(110)는, 구동 전달축(82)에 연결되는 형태로, 구동측 프레임(12)에 대한 상기 폭 방향에서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브레이크 장치를 설치하는 위치는, 구동 전달축에 연결되는 경우라도, 구동측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내측에 한정되지 않고, 외측이라도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그 브레이크 장치를, 구동측 프레임의 외측벽에 장착하거나, 또는 원동 박스의 측벽에 장착하는 형태로 설치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전달축에 연결하는 형태로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축에 연결되는 형태로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라도 된다. 또한, 그 브레이크 장치의 배치에 대해서는, 구동축 및 구동 전달축과는 다른 축(브레이크축)으로서, 구동축 또는 구동 전달축에 대하여 기어열 등을 통해 연결되는 브레이크축을 사이드 프레임 내에 설치하고, 그 브레이크 축에 대하여 연결되도록 브레이크 장치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4) 요동 기구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는, 요동 기구(60)로서 크랭크 기구가 채용된 직기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예이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요동 기구(60)에서의 요동암(62)이 요동축(50)과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그 요동 기구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크랭크 기구라도, 요동암과 요동축이 별개의 부재로서 형성된 후에, 양자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이라도 된다. 또한, 그 요동 기구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크랭크 기구에 한정되지 않고, 캠 기구라도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캠이 장착되는 축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구동축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1; 직기
5: 주축
10: 프레임
12: 구동측 프레임(사이드 프레임)
12a: 구동측 프레임의 외측벽
12b: 구동측 프레임의 내측벽
14: 프레임 본체
14a: 프레임 본체의 외벽부
14b: 프레임 본체의 내벽부
14c: 개방부
14d: 관통공
14e: 돌출부
16: 프레임 커버
20: 원동 모터
22: 출력축
30: 구동축
32: 편심부
40: 바디 장치
42: 바디
44: 록킹축
50: 요동축
60: 요동 기구
62: 요동암
64: 연결 레버
70: 커플링 부재
72: 커플링 부재
80: 구동 전달 기구
82: 구동 전달축
84: 전달 기구
84a: 구동 기어
84b: 종동 기어
90: 원동 기구
92: 원동 기어열
92a: 구동 기어
92b: 종동 기어
94: 원동 박스
94a: 한쪽 벽
94a1: 외측면
94b: 다른 쪽의 측벽
94c: 관통공
94d: 관통공
94e: 돌출부
100: 오일 시일
110: 브레이크 장치

Claims (4)

  1. 직기(織機)의 주축(主軸; main spindle)이 연결되는 구동축으로서 바디(筬; reed)를 요동 구동시키기 위한 요동축(搖動軸)이 요동 기구(機構)를 통해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이 구동 전달 기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원동(原動) 모터와, 상기 구동축에 연결된 상기 주축에 대하여 제동을 거는 브레이크 장치와, 상기 구동축 및 상기 요동축의 각각의 축선(軸線) 방향을 폭 방향과 일치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구동축 및 상기 요동축을 수용하는 하우징(housing) 형상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직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 기구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공간 내에서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된 구동 전달축으로서 상기 원동 모터에 연결되는 구동 전달축과, 상기 구동 전달축과 상기 구동축을 연결하는 전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 기구는, 상기 구동축과 상기 요동 기구와의 연결 위치보다 상기 폭 방향에서의 상기 주축 측의 위치에서 상기 구동 전달축과 상기 구동축을 연결하는,
    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기구는, 상기 구동 전달축에 장착되는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축에 장착되는 종동(從動)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열인, 직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구동 전달축을 통해 상기 구동축에 제동을 걸도록 상기 구동 전달축에 연결되어 있는, 직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그 중간 부분이 양측의 부분에 대하여 편심되는 편심부(偏心部)로서 형성된 크랭크 형상의 축이며, 상기 편심부에 대하여 상기 요동 기구가 연결되어 있는, 직기.
KR1020210066028A 2020-06-04 2021-05-24 직기 KR202101509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97692A JP7401397B2 (ja) 2020-06-04 2020-06-04 織機
JPJP-P-2020-097692 2020-06-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975A true KR20210150975A (ko) 2021-12-13

Family

ID=76283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028A KR20210150975A (ko) 2020-06-04 2021-05-24 직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32389B2 (ko)
EP (1) EP3919662A1 (ko)
JP (1) JP7401397B2 (ko)
KR (1) KR20210150975A (ko)
CN (2) CN214882087U (ko)
TW (1) TW2021467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7372B2 (ja) * 2020-06-04 2024-05-0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
JP7401397B2 (ja) * 2020-06-04 2023-12-19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
JP7384747B2 (ja) * 2020-06-04 2023-11-2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
US11591725B2 (en) * 2020-11-24 2023-02-28 Tsudakoma Kogyo Kabushiki Kaisha Crank-type drive device for loo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7838A (ja) 2002-09-20 2004-04-08 Tsudakoma Corp 織機のフレーム及び織機における筬打方式切換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550A (en) * 1907-08-06 1911-02-07 Us Automatic Loom Attachment Company Loom.
US2561416A (en) * 1946-02-26 1951-07-24 Bond Worth & Sons Ltd T Selvage forming mechanism
US2522629A (en) * 1947-05-10 1950-09-19 Kellogg M W Co Warp stop mechanism
US2582761A (en) * 1950-07-31 1952-01-15 Lansdowne Steel & Iron Company Actuating mechanism for picking sticks
US2889855A (en) * 1954-06-23 1959-06-09 Singer Mfg Co Loom driving mechanism
US2791242A (en) * 1954-12-14 1957-05-07 Emerson P Cashion Automatic filling rake
BE671649A (ko) * 1964-11-02 1966-02-14
US3441058A (en) * 1965-11-05 1969-04-29 Friedrich Wilhelm Bassing Loom crankshaft arrangement
US3400423A (en) * 1966-08-23 1968-09-10 Parks Cramer Co Air outlet suspension system for textile traveling cleaners
US3460660A (en) * 1967-07-07 1969-08-12 Pyle National Co Loom beam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
SE307925B (ko) 1968-09-02 1969-01-20 Aelmhults Bruk Ab
FR2478682A1 (fr) * 1980-03-20 1981-09-25 Staubli Sa Ets Perfectionnements aux ratieres du type rotatif pour metiers a tisser
WO1983002466A1 (en) * 1982-01-16 1983-07-21 Griffith, John, Dalton Yarn holding device
US4850399A (en) * 1987-06-27 1989-07-25 Lindauer Dorner Gesellschaft M.B.H. Weaving loom with pneumatic weft thread injection
EP0344100B1 (de) * 1988-05-20 1992-07-08 GebràœDer Sulzer Aktiengesellschaft Elektromagnetische Einrichtung für Webmaschinen
BE1002764A6 (nl) * 1989-01-23 1991-05-28 Wiele Michel Van De Nv Stuurmechanisme voor het selecteren van inslagdraden bij grijperweefmachines.
BE1004896A3 (nl) 1991-05-23 1993-02-16 Picanol N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aandrijven van een weefmachine gedurende de traagloop.
JPH06212537A (ja) * 1993-01-19 1994-08-02 Yoshida Kogyo Kk <Ykk> 織 機
US5259420A (en) * 1993-02-10 1993-11-09 Foster Harry L Upper warp beam supporting assembly and method
DE4306612C1 (de) * 1993-03-03 1994-01-13 Dornier Gmbh Lindauer Kurvengetriebe mit wahlweise schaltbarem konstanten und variablen Hub einer Abtriebswelle
JPH0978405A (ja) 1995-09-08 1997-03-25 Nissan Tecsys Kk 織機の織段防止装置
BE1010849A3 (nl) * 1997-01-14 1999-02-02 Picanol Nv Aandrijving voor een weefmachine.
DE60136686D1 (de) 2001-03-29 2009-01-08 Promatech Spa Multipositionskupplung mit Blockiereinrichtung des beweglichen Elementes in einer Webmaschinenantriebsvorrichtung
EP1452265B1 (de) * 2003-02-26 2005-04-20 FELSOMAT GmbH & Co. KG Grundgestell für eine Handhabungsvorrichtung und Handhabungsvorrichtung
ITVI20040129A1 (it) 2004-05-25 2004-08-25 Smit Spa Dispositivo di comando per telai tessili
BE1016108A6 (ko) 2004-07-05 2006-03-07 Picanol Nv
JP4595408B2 (ja) * 2004-07-08 2010-12-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圧縮機
JP2007107147A (ja) 2005-10-14 2007-04-26 Tsudakoma Corp 織機の緯糸測長貯留装置
US7610931B2 (en) 2006-02-08 2009-11-03 Mark Wittig Bypass valve with an integral flow sensor for a water treatment system
ITBS20060066A1 (it) * 2006-03-23 2007-09-24 Santoni & C Spa Dispositivo di comando di oscillazione di barre porta passette per macchine tessili lineari
JP2007332477A (ja) 2006-06-13 2007-12-27 Tsudakoma Corp 織機の駆動装置
US7520788B1 (en) * 2007-09-28 2009-04-21 Gustavo Gonzalez Reciprocating oar with propulsion reversing system
JP5156551B2 (ja) 2008-09-08 2013-03-06 新日本無線株式会社 Fm−cwレーダ
CN101922076B (zh) 2009-06-12 2012-08-15 赵斯伟 织机开口装置
JP5691045B2 (ja) 2011-03-04 2015-04-01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電力変換用モジュール
JP5628086B2 (ja) 2011-04-22 2014-1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画面の全点試験方法及び全点試験装置
WO2019099933A1 (en) * 2017-11-16 2019-05-23 Akurate Dynamics, Llc In-line electric heater for plural component materials
CN209508527U (zh) 2018-12-13 2019-10-18 浙江泰坦股份有限公司 一种织机传动机构
NL2022751B1 (nl) * 2019-03-15 2020-11-26 Top Vision Group Montuurbeveiliginginrichting en werkwijze
JP2021172901A (ja) * 2020-04-22 2021-11-0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フレーム構造
JP7401397B2 (ja) * 2020-06-04 2023-12-19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
JP7477372B2 (ja) * 2020-06-04 2024-05-0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
JP7384747B2 (ja) * 2020-06-04 2023-11-2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
JP2022057131A (ja) * 2020-09-30 2022-04-1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フレーム
JP7453115B2 (ja) * 2020-09-30 2024-03-19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
FR3118070B1 (fr) * 2020-12-21 2022-12-23 Staubli Lyon Mecanisme de formation de la foule et metier a tisser de type jacquar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7838A (ja) 2002-09-20 2004-04-08 Tsudakoma Corp 織機のフレーム及び織機における筬打方式切換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01397B2 (ja) 2023-12-19
EP3919662A1 (en) 2021-12-08
US11732389B2 (en) 2023-08-22
CN214882087U (zh) 2021-11-26
TW202146725A (zh) 2021-12-16
US20210381138A1 (en) 2021-12-09
JP2021188215A (ja) 2021-12-13
CN113755995A (zh)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50975A (ko) 직기
KR20210150976A (ko) 직기
KR20210150974A (ko) 직기
JP5162591B2 (ja) ツーウェイダンパーを有するテンショナ
US4504254A (en) Belt tensio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140760A (en) Arrangement for rotator units
US6959682B2 (en) Engine balancer with chain drive vibration isolation
KR101266357B1 (ko) 재봉기의 하축 베어링기구
US5074829A (en) Combination chain &amp; gear reducing device
JP5410814B2 (ja) 織機における製織関連装置用の駆動機構
KR20220151539A (ko) 직기
US11993872B2 (en) Loom
DE19936825B9 (de) Drehmoment-Ausgleichsmechanismus
US20220356613A1 (en) Loom
JP3587277B2 (ja) 紡機用ダブルテンション装置
JPS634849Y2 (ko)
EP0842596A1 (en) Device for fastening a drive unit to a lawn-mower body
JPH08226022A (ja) 繊維機械
JP2010281018A (ja) 織機のカム開口装置
KR19980050291A (ko) 장력 조절 장치
JPS63302142A (ja) 変速機付ベルトテンショナ
KR19990030117U (ko) 자동차의 스윙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