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0291A - 장력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장력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0291A
KR19980050291A KR1019960069091A KR19960069091A KR19980050291A KR 19980050291 A KR19980050291 A KR 19980050291A KR 1019960069091 A KR1019960069091 A KR 1019960069091A KR 19960069091 A KR19960069091 A KR 19960069091A KR 19980050291 A KR19980050291 A KR 19980050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pulley
tension pulley
springs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7944B1 (ko
Inventor
문영주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69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944B1/ko
Publication of KR19980050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2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083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dissipating material type, e.g. elastomeric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션 풀리의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차체(10)에 고정된 브라켓(25)과, 힌지축(26)을 중심으로 상기 브라켓(25)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장력 조절 부재(30)와, 상기 장력 조절 부재(30)의 내부 중심에 텐션 풀리(38)가 위치하도록 부세하는 복수의 스프링(32)(34)(3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32)(34)(36)은 리턴 스프링으로서, 제 2 스프링(34)을 중심으로 서로 120°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자동적으로 텐션 풀리의 장력을 조절하며, 순간적인 충격 발생시, 스프링의 탄력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장력 조절 장치
본 발명은 텐션 풀리의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구동축의 회전 동력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텐션 풀리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텐션 풀리의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피동 벨트(20)는 차체(10)에 고정된 에어콘 콤프레서 풀리(2)와 제 1 텐션 풀리(14)에 권취되고, 제 1 구동 벨트(18)는 제 1 텐션 풀리(14)와 엔진 크랭크 축 풀리(6)에 권취되며, 또한 제 2 피동 벨트(28)는 라디에이터 풀리(12)와 제 2 텐션 풀리(16)에 권취되고, 제 2 구동 벨트(24)는 제 2 텐션 풀리(16)와 엔진 크랭크 축 풀리(6)에 권취되어, 엔진 블록(4)의 동력이 에어콘및 라디에이터(8)에 전달된다.
상기 텐션 풀리(14)(16)는 흔들리는 구동축과 고정된 피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구동축과 피구동축의 회전비를 변경시킨다.
종래의 텐션 풀리의 장력 조절장치는 엔진 블록(4)의 구동및 제 1및 제 2 구동 벨트(18)(24)가 노후화에 따라 느슨해지면, 리디에이터(8)쪽은 텐션 조정 바아(22)를 조절하여 제 2 텐션 풀리(16)의 장력을 조절하였야 하였지만, 텐션 조정 바아(22)가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조정이 어려웠으며, 에어콘쪽은 구동 벨트를 교체해야만 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텐션 풀리의 장력을 자동으로 조절하므로서 구동축의 회전 동력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는 텐션 풀리의 장력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텐션 풀리의 장력 조절 장치는 차체에 고정된 브라켓과,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장력 조절 부재와, 상기 장력 조절 부재의 내부 중심에 텐션 풀리가 위치하도록 부세하는 복수의 스프링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스프링은 리턴 스프링으로서, 제 2 스프링을 중심으로 서로 120°의 각도를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동력 전달 구조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텐션 풀리의 장력 조절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풀리의 장력 조절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에어콘 콤프레서 풀리 4 : 엔진 블록
6 : 엔진 크랭크 축 풀리 8 : 라디에이터
10 : 차체 12 : 라디에이터 풀리
14 : 제 1 텐션 풀리 16 : 제 2 텐션 풀리
18 : 제 1 구동 풀리 20 : 제 1 피동 풀리
22 : 텐션 조정 바아 24 : 제 2 구동 벨트
25 : 브라켓 26 : 힌지 축
28 : 제 2 피동 벨트 30 : 장력 조절 부재
32, 34, 36 : 제 1-제 3 스프링
38 : 텐션 풀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풀리의 장력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력 조절 장치는 브라켓(25)이 차체(10)에 고정된다. 장력 조절 부재(30)는 힌지축(26)을 중심으로 상기 브라켓(25)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장력 조절 부재(30)의 내부에는 복수의 스프링(32)(34)(36)이 위치되어, 특히 제 2 스프링(34)을 중심으로 서로 120°의 각도를 이루도록 위치되어, 텐션 풀리(38)가 장력 조절 부재(30)의 내부 중심에 위치되도록 부세한다. 이때, 스프링(32)(34)(36)은 리턴 스프링이 바람직하다.
텐션 풀리(38)에는 피동 벨트(20)와 구동 벨트(18)가 권취되어 있다. 작동 중에 구동 벨트(18)에 힘이 가해져서 텐션 풀리(38)가 구동 벨트(18)측으로 이동되면 스프링(36)은 압축되나 구동벨트(18)에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36)의 탄력에 의해서 텐션 풀리(38)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온다. 다시말해서 텐션 풀리(38)는 스프링(32)(34)(36)에 의해서 항상 중앙위치로 유지되므로 텐션 풀리(38)에 권취된 피동 벨트(20)와 구동 벨트(18)는 벨트의 장력이 유지되어 원활한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텐션 풀리의 장력 조절 장치는 구동 벨트(18)가 엔진의 진동 또는 노후화에 따라 느슨해지면, 스프링(36)이 텐션 풀리(38)를 좌측으로 밀어 올리므로서 구동 벨트(18)와 각 스프링(32)(34)(36)이 서로 균형을 유지하게 되어, 자동적으로 구동 벨트(18)의 장력을 조절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력 조절 장치는 텐션 풀리에 순간적인 충격 발생시, 스프링의 탄력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충격 제거시 텐션 풀리를 중앙 위치로 귀환시키므로 텐션 풀리에 권취된 벨트의 장력이 균일하게 유지되고 벨트의 노후로 인해 느슨해 지는 경우에도 스프링에 의해 벨트의 장력이 조절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구동벨트와 피동벨트가 권취되는 텐션 풀리의 장력 조절 장치에 있어서,
    차체(10)에 고정된 브라켓(25)과, 힌지축(26)을 중심으로 상기 브라켓(25)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장력 조절 부재(30)와, 상기 장력 조절 부재(30)의 내부 중심에 텐션 풀리(38)가 위치하도록 부세하는 복수의 스프링(32)(34)(3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2)(34)(36)은 리턴 스프링으로서, 제 2 스프링(34)을 중심으로 서로 120°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조절 장치.
KR1019960069091A 1996-12-20 1996-12-20 장력 조절 장치 KR100227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091A KR100227944B1 (ko) 1996-12-20 1996-12-20 장력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091A KR100227944B1 (ko) 1996-12-20 1996-12-20 장력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291A true KR19980050291A (ko) 1998-09-15
KR100227944B1 KR100227944B1 (ko) 2000-01-15

Family

ID=19489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091A KR100227944B1 (ko) 1996-12-20 1996-12-20 장력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9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7944B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90336B1 (en) Belt tensioner
KR100783455B1 (ko) 이중 속도비의 벨트 구동 시스템
US4473362A (en) Belt tensioner with variably proportional damping
EP1907728B1 (en) Tensioner for a drive belt of a motor vehicle
CA2447996C (en) Method of tuning a belt drive system
US4610645A (en) Belt stretcher unit designed for assembly on a flexible drive particularly on a motor vehicle
USRE34543E (en) Belt tensioner with releasable belt load damping
US4504254A (en) Belt tensio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784631A (en) Belt tensio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746264B2 (en) Rotary tensioner
KR950002995B1 (ko) 활형 운동범위가 증가된 벨트 텐셔너
EP3253995A1 (en) Dual arm tensioner
US20050282669A1 (en) Belt tensioning arrangement and belt drive with such a belt tensioning arrangement
WO2006055255A2 (en) Belt tensioner system
US4728318A (en) Belt tensio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9980050291A (ko) 장력 조절 장치
KR100326610B1 (ko) 자동차용 브이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100494409B1 (ko) 아이들 풀리의 지지구조
KR100312520B1 (ko) 차량용에어콘의압축기장착장치
KR200247720Y1 (ko) 자동차의스윙암구조
KR20020044774A (ko) 엔진 벨트 자동 텐션 기구
KR19980044446A (ko) 벨트풀리 구조
KR20040033879A (ko) 차량용 오토 텐셔너
JPH04124361U (ja) Vベルトのオ−トテンシヨ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