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409B1 - 아이들 풀리의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아이들 풀리의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409B1
KR100494409B1 KR10-2002-0020335A KR20020020335A KR100494409B1 KR 100494409 B1 KR100494409 B1 KR 100494409B1 KR 20020020335 A KR20020020335 A KR 20020020335A KR 100494409 B1 KR100494409 B1 KR 100494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sh plate
pulley
shaft
idle pulley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1889A (ko
Inventor
이용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0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409B1/ko
Publication of KR20030081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4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상용차에서 엔진의 크랭크 축과 비교적 거리가 먼 풀리 축까지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장착되는 아이들 풀리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벨트 얼라이먼트 조절시 보다 수월하게 조절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들 풀리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대형 상용차에서 크랭크 축의 풀리와 에어콘 콤푸레서의 풀리 사이의 아이들 풀리가 장치되고, 크랭크 축 풀리와 아이들 풀리가 벨트로써 연결되며, 상기 아이들 풀리와 에어콘 콤푸레서 풀리가 또 다른 벨트로써 연결되어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구조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한 아이들 풀리의 축이 축지되고, 타측에 장착의 고정측에 지지되어지되 축방향으로 소정 구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공이 장착부에 형성되는 고정축에 축지되며, 상기 가이드 공이 형성된 측의 끝단 도중에 사판의 외주연이 끼워지기 위한 힌지공이 형성되는 스윙 암과;
상기한 고정축의 평행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축으로, 그 양측 끝단에 공구가 끼워지기 위한 공구 홈이 형성되는 사판축과;
상기한 사판축의 도중에 상기 사판축과 경사진 방향으로 축지되는 원판으로 형성되며, 그 원판의 외주연이 상기한 스윙 암의 힌지공에 끼워지는 사판; 으로 구성되어, 벨트 얼라이먼트 조절시에 공구로써 상기한 사판축을 돌려 사판이 회전되면서 상기한 스윙 암이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이들 풀리의 지지구조{Mounting apparatus for idle pulley}
본 발명은 아이들 풀리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상용차에서 엔진의 크랭크 축과 비교적 거리가 먼 풀리 축까지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장착되는 아이들 풀리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벨트 얼라이먼트 조절시 보다 수월하게 조절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들 풀리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와 트럭과 같은 대형상용차의 경우, 회전력을 필요로 하는 장치에서는 엔진의 동력을 벨트 및 체인으로써 전달받아 구동되고 있다. 그리고 에어콘 콤푸레서의 경우, 엔진의 크랭크 축과 에어콘 콤푸레서 축간의 거리가 비교적 멀기 때문에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크랭크 축 풀리(10)와 에어콘 컴푸레서 풀리(11) 사이에 아이들 풀리(12)가 형성되고, 크랭크 축 풀리(10)와 아이들 풀리(12), 아이들 풀리(12)와 에어콘 콤푸레서 풀리(11)가 각각 별도의 벨트(13,14)로써 연결되어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아이들 풀리(12)를 매개로 일측은 구동축과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종동축에 연결되므로서 각각의 벨트(13,14)에 전달되는 벨트장력은 각기 다르게 발생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각기 다른 벨트장력이 전달되는 벨트 (13,14)의 회전이 원활해지도록 하기 위해 아이들 풀리(12)는 스윙 암(15)에 의해 장착되어진다. 상기 스윙 암(15)은 장착부의 일측에 부착되는 브라켓(16)에 일단이 축(17)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스윙 암(15)의 다른 일단에 아이들 풀리(12)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윙암에 의해 아이들 풀리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벨트의 얼라이먼트 조절을 위해서는 스윙암을 풀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각각의 풀리의 궤선도가 일치되지 않아 벨트의 마모량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대형 상용차에서 엔진의 크랭크 축과 비교적 거리가 먼 풀리 축까지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장착되는 아이들 풀리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벨트 얼라이먼트 조절시 보다 수월하게 조절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들 풀리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대형 상용차에서 크랭크 축의 풀리와 에어콘 콤푸레서의 풀리 사이의 아이들 풀리가 장치되고, 크랭크 축 풀리와 아이들 풀리가 벨트로써 연결되며, 상기 아이들 풀리와 에어콘 콤푸레서 풀리가 또 다른 벨트로써 연결되어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구조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한 아이들 풀리의 축이 축지되고, 타측에 장착의 고정측에 지지되어지되 축방향으로 소정 구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공이 장착부에 형성되는 고정축에 축지되며, 상기 가이드 공이 형성된 측의 끝단 도중에 사판의 외주연이 끼워지기 위한 힌지공이 형성되는 스윙 암과;
상기한 고정축의 평행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축으로, 그 양측 끝단에 공구가 끼워지기 위한 공구 홈이 형성되는 사판축과;
상기한 사판축의 도중에 상기 사판축과 경사진 방향으로 축지되는 원판으로 형성되며, 그 원판의 외주연이 상기한 스윙 암의 힌지공에 끼워지는 사판; 으로 구성되어, 벨트 얼라이먼트 조절시에 공구로써 상기한 사판축을 돌려 사판이 회전되면서 상기한 스윙 암이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아이들 풀리의 장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아이들 풀리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사판의 사시도이다.
도면 중에 포시되는 도면부호 2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스윙 암을 지시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3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사판을 지시하는 것이며, 일부의 도면부호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서 사용된 부호가 인용된다.
상기한 스윙 암(20)의 일측에는 아이들 풀리(12)가 장착되기 위한 축공(21)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장착부(24)에 브라켓(25) 등으로써 고정된 고정축(23)에 끼워진 채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스윙 암(20)의 폭을 관통한 가이드 공(22)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한 고정축(23)은 가이드 공(22)의 전체길이 보다도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어 상기한 스윙 암(20)이 도면 상으로 좌우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가이드 공(22)이 형성된 측의 스윙 암(20)의 일끝단 도중에는 후설할 사판(30)의 외주연 일부가 끼워지기 위한 힌지공(26)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한 힌지공(26)에는 사판(30)의 외주연 일부가 끼워진 채 원활히 회전되도록 사판(30)의 외주연 양측면을 안내하기 위한 반원형상의 가이드 슈(2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사판(30)은 고정축(23)과 평행하며 소정 간격이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사판축(33)의 도중에 상기 사판축(33)의 축방향과는 경사진 채로 고정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사판축(33)의 양측은 장착부(24)의 고정 측에 장착되는 브라켓(35)에 축지되며, 그 양측 끝단에는 상기 사판축(33)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끼워질 수 있도록 공구 홈(34)이 형성된다. 상기 공구 홈(34)은 일반적인 작업공구인 육각렌치가 사용될 수 있도록 육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한 사판축(33)에 축고정되는 사판(30)의 중앙부는 보강을 위해 원통형상으로 보어(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장착되는 아이들 풀리(12)는 일측으로 크랭크 축 풀리(10)와 벨트(13)로써 동력이 전달되고, 타측으로는 에어콘 콤푸레서 풀리(11)와 다른 벨트(14)로써 연결되어 크랭크 축 풀리(10)의 동력이 아이들 풀리(12)를 거쳐 에어콘 콤푸레서 풀리(11)로 전달되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아이들 풀리(12)가 장착되는 구조에서 벨트(13,14)의 장력을 조절하거나, 벨트(13,14)가 틀어져서 제 위치를 잡아야 하거나, 벨트(13,14)가 마모되어 교환해야 하는 등, 상기한 벨트(13,14) 얼라이먼트 조절시에 종래의 경우에는 스윙 암을 풀어 벨트(13,14)를 느슨하게 한 다음, 다음 벨트의 조정이나 교환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지지되는 아이들 풀리(12) 지지구조에서는 상기한 사판축(33)의 일측에 형성된 공구 홈(34)에 공구를 끼워 사판축(33)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사판축(33)의 도중에 형성된 사판(30)이 비스듬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사판(30)의 외주연이 스윙 암(20)의 힌지공(26)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상기한 사판(30)은 힌지공(26)을 사판(30)의 진행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힌지공(26)과 일체로 형성된 스윙 암(20)이 이동되고, 상기 스윙 암(20)이 이동된 방향 및 길이 만큼 벨트(13,14)는 느슨해지거나 팽팽해지게 된다.
이 때, 벨트(13,14)의 장력을 조절하거나 벨트를 교환하거나 하는 등의 벨트 얼라이먼트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아이들 풀리 지지구조는 벨트 얼라이먼트를 조절하는데 있어서 종래의 기술에서보다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벨트의 얼라이먼트 조절이 용이해지므로서 벨트의 장착상태가 종래보다 좋아지게 되어 벨트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는 벨트의 수명연장으로 이어지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아이들 풀리의 장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아이들 풀리의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사판의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일반적인 아이들 풀리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종래의 아이들 풀리 장착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크랭크 축 풀리 11 : 에어콘 콤푸레서 풀리
12 : 아이들 풀리 13,14 : 벨트
20 : 스윙 암 21 : 측공
22 : 가이드 공 23 : 고정축
24 : 장착부 25 : 브라켓
26 : 힌지공 27 : 가이드 슈
30 : 사판 31 : 보어
33 : 사판축 34 : 공구 홈

Claims (3)

  1. 대형 상용차에서 크랭크 축의 풀리와 에어콘 콤푸레서의 풀리 사이의 아이들 풀리가 장치되고, 크랭크 축 풀리와 아이들 풀리가 벨트로써 연결되며, 상기 아이들 풀리와 에어콘 콤푸레서 풀리가 또 다른 벨트로써 연결되어지되,
    상기한 벨트의 얼라이먼트 조절을 위해서 상기 아이들 풀리는 일측에는 아이들 풀리의 축이 축지지되기 위한 축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장착부의 고정축에 지지되어 축방향으로 소정 구간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 공이 형성된 스윙 암에 축지지되는 아이들 풀리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스윙 암(20)의 가이드 공(22)이 형성된 측의 끝단 도중에 외측단이 개방된 채로 형성되는 힌지공(26)과;
    상기한 고정축(23)의 평행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축으로, 그 양측 끝단에 공구가 끼워지기 위한 공구 홈(34)이 형성되는 사판축(33)과;
    상기한 사판축(33)의 도중에 상기 사판축(33)과 경사진 방향으로 축지되는 원판으로 형성되며, 그 원판의 외주연이 상기한 스윙 암(20)의 힌지공(26)에 끼워지는 사판(30); 이 더 추가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들 풀리의 지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힌지공(26)과, 상기 힌지공(26)에 끼워지는 사판(30)의 양측면 사이에는 반원형상의 가이드 슈(27)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들 풀리의 지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사판축(33)에 축고정되는 사판(30)의 중앙부는 보강을 위해 원통형상으로 보어(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들 풀리의 지지구조.
KR10-2002-0020335A 2002-04-15 2002-04-15 아이들 풀리의 지지구조 KR100494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335A KR100494409B1 (ko) 2002-04-15 2002-04-15 아이들 풀리의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335A KR100494409B1 (ko) 2002-04-15 2002-04-15 아이들 풀리의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889A KR20030081889A (ko) 2003-10-22
KR100494409B1 true KR100494409B1 (ko) 2005-06-13

Family

ID=3237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335A KR100494409B1 (ko) 2002-04-15 2002-04-15 아이들 풀리의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4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780B1 (ko) * 2004-11-25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냉각팬 풀리 얼라인먼트 조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734U (ko) * 1993-11-15 1995-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에어컨용 컴프레서 풀리의 스윙 암 구조
JPH09144822A (ja) * 1995-11-22 1997-06-03 Denso Corp ベルト張力調整装置
KR19980023955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버스용 아이들 풀리암의 설치구조
KR19980059887A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버스 에어콘의 압축기 벨트 장력조절용 풀리 조립체
KR20020025288A (ko) * 2000-09-28 2002-04-04 황한규 압축기의 벨트장력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734U (ko) * 1993-11-15 1995-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에어컨용 컴프레서 풀리의 스윙 암 구조
JPH09144822A (ja) * 1995-11-22 1997-06-03 Denso Corp ベルト張力調整装置
KR19980023955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버스용 아이들 풀리암의 설치구조
KR19980059887A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버스 에어콘의 압축기 벨트 장력조절용 풀리 조립체
KR20020025288A (ko) * 2000-09-28 2002-04-04 황한규 압축기의 벨트장력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889A (ko) 200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5290B2 (ja) 動力伝達装置及びそれが用いられた携帯型作業機
CA2474503C (en) Belt tensioner with pivot bushing
JP3526653B2 (ja) 携帯式作業機
US8668027B2 (en) Power tool
CN1965179B (zh) 用于内燃机的牵引机构
JP4028846B2 (ja) ベルト装着用具
JP2017067152A (ja) ベルトテンショナ
KR100494409B1 (ko) 아이들 풀리의 지지구조
EP1701062A2 (en) Jig and method for loosening engine belt, and belt tensioner
JP2005530971A (ja) ベルト取り付け工具
KR20190027595A (ko)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
CN110735895B (zh) 一种集成可调皮带张紧装置
WO2005124123A1 (de) Anordnung einer umlenkrolle in einem umschlingungstrieb
CN220082049U (zh) 一种用于张紧总成的安装机构
KR100326610B1 (ko) 자동차용 브이 벨트 장력 조절장치
JP4831821B2 (ja) ベルトテンショナ及びベルトテンショナの製造方法
KR100227944B1 (ko) 장력 조절 장치
JP2006292017A (ja) プーリアームの支持装置
CN115244288A (zh) 自动张紧器的安装构造
JP4203286B2 (ja) ベルト伝動装置
KR200231668Y1 (ko) 먹 연마기의 벨트장력 조절장치
KR200247720Y1 (ko) 자동차의스윙암구조
KR100535108B1 (ko) 차량용 오토 텐셔너
US20030022745A1 (en) Multi-spindle drive and belt tensioning assembly
KR100391359B1 (ko) 핸들이 부착된 오토텐셔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