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610B1 - 자동차용 브이 벨트 장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브이 벨트 장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610B1
KR100326610B1 KR1019990001358A KR19990001358A KR100326610B1 KR 100326610 B1 KR100326610 B1 KR 100326610B1 KR 1019990001358 A KR1019990001358 A KR 1019990001358A KR 19990001358 A KR19990001358 A KR 19990001358A KR 100326610 B1 KR100326610 B1 KR 100326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ension
pulleys
pulley
li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1103A (ko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01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610B1/ko
Publication of KR20000051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6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0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76Control or adjustment of actuators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콤프레서가 설치된 버스에 사용되는 자동차용 V벨트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에 축핀(21) 삽입용 홀(22)이 형성되어 있는 중심부(23)의 양측으로 일정길이의 제 1 및 제 2 링크(24)(25)가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24)(25)의 끝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공(24a)(25a)에는 텐션 조절용 제 1 및 제 2 텐션풀리(27)(28)를 설치하되, 상기 중심부(23)는 엔진 구조물에 대해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장력조절수단(20)을 구비하여,
크랭크풀리와 제 1 및 제 2 콤프레서풀리를 1개의 V벨트로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구성의 단순화로 제품의 성능이 향상되고, V벨트의 진동이 감소하므로 V벨트의 내구성 증가 및 수명연장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V벨트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브이벨트 장력 조절장치{Tension control device of V belt for cars}
본 발명은 2개의 콤프레서가 설치된 버스에 사용되는 자동차용 V벨트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심부의 양측으로 V벨트 텐션 조절용 풀리를 설치하여 V벨트의 진동을 자체적으로 흡수하면서 장력을 조절해주는 장력조절수단을 구비하여 2개의 콤프레서와 크랭크풀리를 1개의 V벨트로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구성의 단순화로 제품의 성능이 향상되고, V벨트의 진동이 감소하므로 V벨트의 내구성 증가 및 수명연장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V벨트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와 같은 대형차량에서는 에어콘의 냉방성능 향상을 위해 2개의 콤프레서를 사용하고 있으며, 2개의 콤프레서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2개의 V벨트를 이용해서 크랭크풀리와 각각의 콤프레서를 연결시켜 구동시키고 있다.
종래의 기술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크랭크풀리(1)와 제 1 콤프레서풀리(2)를 제 1 V벨트(6)로서 연결하고, 크랭크풀리(1)와 제 2 콤프레서풀리(3)를 제 2 V벨트(7)로서 연결한 구성이다.
크랭크풀리(1)와 제 1 및 제 2 콤프레서풀리(2)(3)를 V벨트(6)(7)로서 연결할 때에는 V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별도의 텐션풀리(4)(5)가 설치된다.
즉, 크랭크풀리(1)와 제 1 콤프레서풀리(2)를 연결하는 제 1 V벨트(6)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텐션풀리(5)가 설치되고, 크랭크풀리(1)와 제 2콤프레서풀리(3)를 연결하는 제 2 V벨트(7)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텐션풀리(4)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텐션풀리(4)(5)에는 텐션풀리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텐션볼트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텐션볼트를 이용해서 V벨트의 장력을 셋팅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V벨트의 상,하 진동을 조절해주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엔진이 구동하여 V벨트가 회전하면 V벨트의 A부분과 B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심하게 흔들리게 되고, 이러한 현상이 심화되면 각각의 V벨트가 콤프레서풀리로 부터 완전히 이탈되거나 V벨트의 모서리부분이 심하게 손상되어 V벨트의 수명이 현저히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심부의 양측으로 V벨트 텐션 조절용 풀리를 설치하여 V벨트의 진동을 자체적으로 흡수하면서 장력을 조절해주는 장력조절수단을 구비하여 2개의 콤프레서와 크랭크풀리를 1개의 V벨트로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구성의 단순화로 제품의 성능이 향상되고, V벨트의 진동이 감소하므로 V벨트의 내구성 증가 및 수명연장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V벨트 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중앙에 축핀 삽입용 홀이 형성되어 있는 중심부의 양측으로 일정길이의 제 1 및 제 2 링크가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의 끝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공에는 텐션 조절용 제 1 및 제 2 텐션풀리를 설치하되, 상기 중심부는 축핀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장력조절수단을 구비하여,
크랭크풀리와 제 1 및 제 2 콤프레서풀리를 1개의 V벨트로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을 장방향으로 형성하여 제 1 및 제 2 텐션풀리의 고정위치를 V벨트의 장력에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장력 조절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랭크풀리, 2,3 : 콤프레서 풀리,
10 : V벨트, 20 : 장력 조절수단(TENSIONER),
21 : 축핀, 22 : 홀,
23 : 중심부, 24,25: 링크,
24a,25a : 결합공, 26 : 너트,
27,28 : 텐션풀리,
이하,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 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V벨트(10)의 텐션을 조절해주는 장력 조절수단(20)을 구성하여 크랭크축 풀리(1)와 제 1 및 제 2 콤프레서 풀리(2)(3)를 하나의 V벨트(10)로 연결한 것이다.
상기 장력 조절수단(20)은 중앙에 홀(22)이 형성되어 있는 중심부(23)의 양측으로 일정길이의 제 1 및 제 2 링크(24)(25)를 형성하되, 제 1 및 제 2 링크(24)(25)가 중심부(23)에 대해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하며, 상기 홀(22)에는 별도의 축핀(21)이 삽입되어 중심부(23)를 비롯한 제 1 및 제 2 링크(24)(25)가 엔진 구조물에 대해 일정각도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24)(25)의 끝단부에는 장방형의 결합공(24a)(25a)을 각각 형성하고, 이 결합공(24a)(25a)에는 V벨트(10)의 장력을 조절해주는 제 1 및 제 2 텐션풀리(27)(28)가 볼트(26)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텐션풀리(27)(28)의 결합 위치는 V벨트(10)의 장력 정도에 따라 장방형으로 형성된 결합공(24a)(25a) 내에서 가변시킬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장력 조절수단(20)을 설치할 때에는 도 3 과같이 크랭크풀리(1)와 제 1 및 제 2 콤프레서 풀리(2)(3)를 1개의 V벨트(10)로서 연결하고, 상기 제 2 콤프레서 풀리(3)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장력 조절수단(20)을 설치한다.
이때, V벨트(10)가 제 1 텐션풀리(27)와 제 2 텐션풀리(28)의 안쪽으로 감기도록 하여 도 3 과 같이 V벨트(10)가 소정의 장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1 및 제 2 텐션풀리(27)(28)에 V벨트(10)가 감겼는데도 불구하고 V벨트(10)가 장력을 갖지 않는다면, 제 1 및 제 2 텐션풀리(27)(28)를 결합공(24a)(25a)의 안쪽으로 이동시키므로서 V벨트(10)에 보다 강한 장력을 가할 수 있다.
텐션풀리(27)(28)를 이동시킬 때에는 링크(24)(25)의 외측에서 삽입되어 텐션풀리의 중심축을 관통하도록 된 텐션볼트(29)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텐션풀리(27)(28)를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좌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텐션풀리(27)(28)가 어느 정도의 장력을 갖도록 셋팅된 상태에서 V벨트(10)의 장력을 가하고자 할때에는 텐션볼트(29)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텐션풀리(27)(28)가 링크(24)(25)의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V벨트(10)의 장력을 감소시키고자 할때에는 텐션볼트(29)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텐션풀리(27)(28)가 링크(24)(25)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이 구동하면 크랭크풀리(1)가 회전하면서 이에 감겨있는 V벨트(10) 또한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V벨트(10)가 고속으로 회전하면 V벨트(1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콤프레서 풀리(2)(3) 또한 연동되어 고속으로 회전한다.
이와같이 V벨트(10)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V벨트(10)의 P1 부분에 상,하방향의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상,하 방향의 진동이 발생하면 그 진동력이 제 2 텐션풀리(28)에 가해지면서 제 1 링크(24)와 제 2 링크(2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 링크(24)와 제 2 링크(2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V벨트(10)의 P1 부분에서 발생된 진동이 제 2 텐션풀리(28)의 이동에 의해 흡수되면서, 제 1 텐션풀리(27)가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V벨트(10)의 P2 부분을 눌러주게 되므로 V벨트(10)가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더라도 V벨트(10)가 제 1 및 제 2 콤프레서 풀리(2)(3)로 부터 이탈되는 불상사는 일어나지 않게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 1 링크와 제 2 링크를 중심부(23)로 부터 분리시키고, 분리된 제 1 및 제 2 링크의 중앙부위를 중심부(23)에 볼트로서 결합하게 되면 제 1 및 제 2 링크의 설치각을 보다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장력 조절수단을 설치할때 V벨트(10)의 장력을 보다 편리하게 셋팅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즉, 상기 설명과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 1 링크와 제 2 링크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설치하게 되면 V벨트(10)의 장력은 그만큼 세지게되는 것이고, 제 1 링크와 제 2 링크가 서로 멀어지도록 설치하게 되면 V벨트(10)의 장력은그만큼 약해지게 되는 것이므로 V벨트(10)의 원하는 장력을 보다 손쉽게 설정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중심부의 양측으로 V벨트 텐션 조절용 풀리를 설치하여 V벨트의 진동을 자체적으로 흡수하면서 장력을 조절해주는 장력조절수단을 구비하여 2개의 콤프레서와 크랭크풀리를 1개의 V벨트로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구성의 단순화로 제품의 성능이 향상되고, V벨트의 진동이 감소하므로 V벨트의 내구성 증가 및 수명연장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V벨트 장력 조절장치 이다.

Claims (2)

  1. 중앙에 축핀(21) 삽입용 홀(22)이 형성되어 있는 중심부(23)의 양측으로 일정길이의 제 1 및 제 2 링크(24)(25)가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24)(25)의 끝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공(24a)(25a)에는 텐션 조절용 제 1 및 제 2 텐션풀리(27)(28)를 삽입하여 볼트(26)로서 고정 설치하되, 상기 중심부(23)는 엔진 구조물에 대해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장력조절수단(20)을 구비하여,
    크랭크풀리와 제 1 및 제 2 콤프레서풀리를 1개의 V벨트로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V벨트 장력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24a)(25a)을 장방향으로 형성하여 제 1 및 제 2 텐션풀리(27)(28)의 고정위치를 V벨트의 장력에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V벨트 장력 조절장치.
KR1019990001358A 1999-01-19 1999-01-19 자동차용 브이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100326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358A KR100326610B1 (ko) 1999-01-19 1999-01-19 자동차용 브이 벨트 장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358A KR100326610B1 (ko) 1999-01-19 1999-01-19 자동차용 브이 벨트 장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103A KR20000051103A (ko) 2000-08-16
KR100326610B1 true KR100326610B1 (ko) 2002-03-02

Family

ID=19571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358A KR100326610B1 (ko) 1999-01-19 1999-01-19 자동차용 브이 벨트 장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66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197B1 (ko) * 2002-07-11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토 텐셔너
CN107606081B (zh) * 2017-07-25 2023-08-18 周鑫 一种皮带轮传动系统
KR20190001725U (ko) 2017-12-28 2019-07-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자동 장력조절부를 갖는 동력전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103A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944B1 (ko) 가역 토크하중 풀리를 제어하기 위한 벨트 텐셔너 시스템
US6942589B2 (en) Offset starter generator drive utilizing a fixed-offset dual-arm pivoted tensioner
CA3036700C (en) Tensioner
KR100570933B1 (ko) 벨트 텐셔너
CA2330891A1 (en) Tensioning device for a flexible driving element
US20050224040A1 (en) Mounting structure of motor genera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50282669A1 (en) Belt tensioning arrangement and belt drive with such a belt tensioning arrangement
US20070010362A1 (en) Wraparound drive
KR100326610B1 (ko) 자동차용 브이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102383227B1 (ko) 차량용 벨트 연결 구조
KR102406124B1 (ko)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
KR200247720Y1 (ko) 자동차의스윙암구조
KR100535108B1 (ko) 차량용 오토 텐셔너
KR100199806B1 (ko) 구동체인의 댐핑용 가이드
KR100534817B1 (ko) 버스용 에어컨 컴프레서의 장착구조
KR100312520B1 (ko) 차량용에어콘의압축기장착장치
KR100320506B1 (ko) 에어컨 콤프레서용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100232453B1 (ko)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
KR19980050291A (ko) 장력 조절 장치
KR0138840Y1 (ko) 자동차의 에어컨용 컴프레서 풀리의 스윙 암 구조
KR100401878B1 (ko) 차량용 타이밍체인의 소음저감구조
KR200158959Y1 (ko) 자동차 타이밍 벨트용 텐셔너의 구조
KR0138841Y1 (ko) 자동차의 에어컨용 컴프레서 풀리의 스윙 암과 터언버클 연결구조
KR19980046461A (ko) 자동차의 벨트 텐셔너
KR20000043487A (ko) 에어컨 컴프레서 구동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