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595A -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595A
KR20190027595A KR1020170114572A KR20170114572A KR20190027595A KR 20190027595 A KR20190027595 A KR 20190027595A KR 1020170114572 A KR1020170114572 A KR 1020170114572A KR 20170114572 A KR20170114572 A KR 20170114572A KR 20190027595 A KR20190027595 A KR 20190027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er
engine
generator
mild hybrid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6124B1 (ko
Inventor
권희도
송계웅
노태훈
이종원
이재균
서인재
백현정
이재규
웅 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4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124B1/ko
Priority to US15/821,965 priority patent/US10619712B2/en
Publication of KR20190027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54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81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where the axis of the pulley moves along a substantially circul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10Pumping liquid coolant; Arrangements of coolant pumps
    • F01P5/12Pump-driv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4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the motors being associated with current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42Mounting or support of tensio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65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4Two or more finally actuated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3Circul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7External to internal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16H2055/366Pulleys with means providing resilience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는 실린더블록에 구비된 크랭크샤프트에 장착되는 댐퍼풀리와 제1 벨트를 통해 연결되는 워터펌프, 및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Mild Hybrid Starter and Generator)와, 상기 댐퍼풀리와 제2 벨트를 통해 연결되는 에어컨 컴프레서를 포함하는 엔진에서 상기 제1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워터펌프와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의 사이에서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에 장착되는 제1 텐셔너; 및 상기 댐퍼풀리와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의 사이에서 상기 엔진에 장착된 체인 커버에 장착되는 제2 텐셔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TENSIONER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Mild Hybrid Starter and Generator)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엔진에 장착되는 보기류(accessory elements)의 레이아웃을 최적화시키도록 장착되는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샤프트, 알터네이터, 파워스티어링 펌프(Power Steering Pump), 에어컨 컴프레서(Air Conditioner Compressor) 등의 보기류는 엔진에 장착되며, 벨트에 의해 엔진의 크랭크샤프트에 연결된다. 따라서, 크랭크샤프트의 동력이 벨트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보기류에 전달된다.
최근 하이브리드 차량에서는 시동, 또는 낮은 엔진 회전수, 또는 엔진의 작동 정지구간에서의 구동을 위하여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Mild Hybrid Starter and Generator)가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에는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가 보기류와 함께 장착되며, 크랭크샤프트와 보기류에 벨트를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는 그 부하가 커서 벨트의 슬립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운행조건에 따라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벨트의 장력이 너무 센 경우에는 벨트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마찰 손실이 커지게 되며, 벨트의 장력이 너무 작으면 벨트의 슬립이 발생하여 동력 전달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엔진에는 벨트의 장력 조절을 위한 텐셔너가 벨트와 접촉되도록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텐셔너 장착구조에서는 텐셔너의 작동범위 내에서 각 구성요소들과 간섭을 피해 엔진에 텐셔너를 장착해야만 하는 바, 각 보기류의 배치 레이아웃에 제약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엔진의 전체크기가 증가하여 컴팩트한 구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텐셔너 장착구조에서는 각 보기류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텐셔너를 작동시키기 위해 텐셔너 암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기가 어렵고, 이로 인해, 텐셔너의 내구력 및 벨트 추종성(conformability)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Mild Hybrid Starter and Generator)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엔진에 장착되는 보기류(accessory elements)의 레이아웃을 최적화시키도록 장착되는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는 실린더블록에 구비된 크랭크샤프트에 장착되는 댐퍼풀리와 제1 벨트를 통해 연결되는 워터펌프, 및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Mild Hybrid Starter and Generator)와, 상기 댐퍼풀리와 제2 벨트를 통해 연결되는 에어컨 컴프레서를 포함하는 엔진에서 상기 제1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워터펌프와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의 사이에서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에 장착되는 제1 텐셔너; 및 상기 댐퍼풀리와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의 사이에서 상기 엔진에 장착된 체인 커버에 장착되는 제2 텐셔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텐셔너는 일단이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에 힌지 연결되는 제1 텐셔너 암; 및 상기 제1 텐셔너 암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엔진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상기 제1 벨트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1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텐셔너 암은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에 장착된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풀리의 장착 점까지의 길이(D)가 약 80mm 일 수 있다.
상기 제2 텐셔너는 상기 댐퍼풀리에 대응하여 상기 엔진의 하부에서 상기 체인 커버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텐셔너 암; 상기 제2 텐셔너 암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엔진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기 제1 벨트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2 풀리; 및 상기 제2 텐셔너 암의 하부 일측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워터펌프와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의 사이에서 상기 체인 커버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2 텐셔너 암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유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텐셔너 암과 상기 유압장치는 11자 형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펌프는 상기 댐퍼풀리의 상부 일측에서 상기 엔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는 상기 엔진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워터펌프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엔진의 상부에서 상기 체인 커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에어컨 컴프레서는 상기 엔진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댐퍼풀리로부터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의 반대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엔진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에 의하면,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Mild Hybrid Starter and Generator)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엔진에 장착되는 보기류(accessory elements)의 레이아웃을 최적화시키도록 장착됨으로써, 보기류가 장착된 엔진의 전체크기를 축소하고, 보기류의 컴팩트한 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텐셔너 암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제1 텐셔너의 내구력 및 벨트 추종성(conform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텐셔너에서 제2 텐셔너 암과 유압장치를 11자 구조(평행 구조)로 배치함으로써, 제2 텐셔너의 장착공간과 작동공간 확보에 유리하고, 드라이브 샤프트와 같은 타 부품과의 간섭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B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가 적용되는 엔진(10)은 실린더블록(미도시)에 구비된 크랭크샤프트(12)에 장착되는 댐퍼풀리(14)와, 제1 벨트(19)를 통해 연결되는 워터펌프(16), 및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Mild Hybrid Starter and Generator : 1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워터펌프(16)는 상기 댐퍼풀리(14)의 상부 일측에서 상기 엔진(10)에 장착된다.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18)는 상기 엔진(1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워터펌프(16)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엔진(10)의 상부에서 체인 커버(11)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18)는 상기 댐퍼풀리(14)를 중심으로 상기 엔진(10)의 상부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18)는 상기 워터펌프(16)로부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체인 커버(11)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벨트(19)는 상기 크랭크샤프트(12)의 동력, 또는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18)의 동력을 상기 워터펌프(16)에 전달하도록 상기 댐퍼풀리(14),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18) 및 상기 워터펌프(16)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10)은 상기 댐퍼풀리(14)와 제2 벨트(22)를 통해 연결되는 에어컨 컴프레서(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컨 컴프레서(20)는 상기 엔진(1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댐퍼풀리(14)로부터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18)의 반대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엔진(10)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벨트(22)는 상기 크랭크샤프트(12)의 동력, 또는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18)의 동력을 상기 에어컨 컴프레서(20)에 전달하도록 상기 제1 벨트(19)와는 별도로 상기 댐퍼풀리(14)와 상기 에어컨 컴프레서(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엔진(10)은 차량의 운행조건에 따라 상기 크랭크샤프트(12)의 동력 또는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18)의 동력을 상기 제1 및 제2 벨트(19, 22)를 통해 상기 워터펌프(16)와 상기 에어컨 컴프레서(18)에 각각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1은 상기 엔진(10)의 전방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상기 댐퍼풀리(14)는 상기 엔진(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10)의 우측(도 1을 기준으로 좌측)에는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18)가 위치되며, 상기 엔진(10)의 좌측(도 1을 기준으로 우측)에는 상기 에어컨 컴프레서(20)가 위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엔진(10)에서 차량의 운행조건에 따라 상기 제1 벨트(19)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제1 및 제2 텐셔너(30, 40)를 최적화된 위치에 장착하도록 적용된다.
먼저, 상기 제1 텐셔너(3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워터펌프(16)와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18)의 사이에서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18)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텐셔너(30)는 제1 텐셔너 암(32)과 제1 풀리(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텐셔너 암(32)은 일단이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18)에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풀리(34)는 상기 제1 텐셔너 암(32)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엔진(10)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상기 제1 벨트(19)에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1 텐셔너(30)는 기계식 텐셔너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텐셔너 암(32)은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18)에 장착된 회전 중심(31)으로부터 상기 제1 풀리(34)의 장착 점(33)까지의 길이(D)가 약 80mm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텐셔너(30)는 상기 제1 텐셔너 암(32)이 약 80mm의 길이(D)를 확보함으로써, 내구력 및 벨트 추종성(conform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에서 상기 제1 텐셔너(30)는 작동반경 내에 타 부품과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상기 제1 텐셔너 암(32)의 길이(D)가 확보되도록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18)에 장착됨으로써, 종래에 비해 텐셔너 암의 길이 부족에 의한 내구력 및 성능 불만족을 해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텐셔너(4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댐퍼풀리(14)와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18)의 사이에서 상기 엔진(10)에 장착된 상기 체인 커버(11)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텐셔너(40)는 제2 텐셔너 암(42), 제2 풀리(44), 및 유압장치(46)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2 텐셔너 암(42)은 상기 댐퍼풀리(14)에 대응하여 상기 엔진(10)의 하부에서 상기 체인 커버(11)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2 풀리(44)는 상기 제2 텐셔너 암(42)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제2 풀리(44)는 상기 엔진(10)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기 제1 벨트(19)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압장치(46)는 상기 제2 텐셔너 암(44)의 하부 일측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워터펌프(16)와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18)의 사이에서 상기 체인 커버(11)에 힌지 연결된다. 이러한 유압장치(46)는 상기 제2 텐셔너 암(44)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2 텐셔너(40)는 유압식 텐셔너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텐셔너 암(44)과 상기 유압장치(46)는 11자 형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텐셔너(40)는 상기 엔진(10)의 하부에서 휠에 연결되는 드라이브 샤프트(미도시)와 간섭을 회피하면서 작동영역을 확보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어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텐셔너(40)는 상기 유압장치(44)가 작동될 경우, 상기 제2 텐셔너 암(42)이 상기 체인 커버(11)에 장착된 일단을 중심으로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18)를 향해 상기 엔진(10)의 외측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댐퍼풀리(14)를 향해 상기 엔진(10)의 중심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제2 풀리(44)는 상기 엔진(10)의 운행조건에 따라 원활하게 이동되어 상기 제1 벨트(19)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 텐셔너(30)와 함께 상기 제1 벨트(19)의 장력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를 적용하면,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18)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상기 엔진(10)에 장착되는 워터펌프(16),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18), 및 상기 에어컨 컴프레서(20)를 포함한 보기류(accessory elements)의 레이아웃을 최적화시키도록 장착됨으로써, 보기류가 장착된 상기 엔진(10)의 전체크기를 축소하고, 보기류의 컴팩트한 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텐셔너 암(32)의 길이(D)를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상기 제1 텐셔너(30)의 내구력 및 벨트 추종성(conform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텐셔너(40)에서 상기 제2 텐셔너 암(42)과 상기 유압장치(46)를 11자 구조(평행 구조)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2 텐셔너(40)의 장착공간과 작동공간 확보에 유리하고, 드라이브 샤프트와 같은 타 부품과의 간섭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엔진
11 : 체인 커버
12 : 크랭크샤프트
14 : 댐퍼풀리
16 : 워터펌프
18 :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
19 : 제1 벨트
20 : 에어컨 컴프레서
22 : 제2 벨트
30 : 제1 텐셔너
32 : 제1 텐셔너 암
34 : 제1 풀리
40 : 제2 텐셔너
42 : 제2 텐셔너 암
44 : 제2 풀리
46 : 유압장치

Claims (8)

  1. 실린더블록에 구비된 크랭크샤프트에 장착되는 댐퍼풀리와 제1 벨트를 통해 연결되는 워터펌프 및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Mild Hybrid Starter and Generator)와, 상기 댐퍼풀리와 제2 벨트를 통해 연결되는 에어컨 컴프레서를 포함하는 엔진에서 상기 제1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워터펌프와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의 사이에서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에 장착되는 제1 텐셔너; 및
    상기 댐퍼풀리와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의 사이에서 상기 엔진에 장착된 체인 커버에 장착되는 제2 텐셔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텐셔너는
    일단이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에 힌지 연결되는 제1 텐셔너 암; 및
    상기 제1 텐셔너 암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엔진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상기 제1 벨트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1 풀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텐셔너 암은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에 장착된 회전 중심(C)으로부터 상기 제1 풀리의 장착 점(P)까지의 길이(D)가 약 8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텐셔너는
    상기 댐퍼풀리에 대응하여 상기 엔진의 하부에서 상기 체인 커버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텐셔너 암;
    상기 제2 텐셔너 암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엔진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기 제1 벨트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2 풀리; 및
    상기 제2 텐셔너 암의 하부 일측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워터펌프와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의 사이에서 상기 체인 커버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2 텐셔너 암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유압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텐셔너 암과 상기 유압장치는
    11자 형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펌프는
    상기 댐퍼풀리의 상부 일측에서 상기 엔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는
    상기 엔진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워터펌프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엔진의 상부에서 상기 체인 커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컴프레서는
    상기 엔진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댐퍼풀리로부터 상기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동 발전기의 반대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엔진의 하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
KR1020170114572A 2017-09-07 2017-09-07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 KR102406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572A KR102406124B1 (ko) 2017-09-07 2017-09-07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
US15/821,965 US10619712B2 (en) 2017-09-07 2017-11-24 Tensioner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572A KR102406124B1 (ko) 2017-09-07 2017-09-07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595A true KR20190027595A (ko) 2019-03-15
KR102406124B1 KR102406124B1 (ko) 2022-06-07

Family

ID=65517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572A KR102406124B1 (ko) 2017-09-07 2017-09-07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19712B2 (ko)
KR (1) KR1024061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2623A (zh) * 2019-08-21 2021-02-26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bsg混合动力发动机的附件轮系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15254B2 (ja) * 2018-03-20 2019-12-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1094A1 (en) * 2004-05-18 2005-11-24 Foster Randy C Magnetorheological fluid V-ribbed belt tensioner with through shaft
US20110065539A1 (en) * 2009-09-11 2011-03-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Engine Accessory Drive With Belt Tensioner and Same Plane Idler
KR101219879B1 (ko) * 2011-07-04 2013-01-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벨트구동 스타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8208A (en) * 1987-07-13 1988-07-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tomatic belt tensioner for vehicle combined starter-generator
US4959042A (en) * 1988-05-13 1990-09-25 Mazda Motor Corporation Layout of auxiliary mechanisms for an engine
JPH0718349B2 (ja) * 1989-02-09 1995-03-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巻掛伝動装置
US5131889A (en) * 1990-10-22 1992-07-21 Ford Motor Company Automotive engine accessory drive tensioner
JP2980750B2 (ja) 1991-10-07 1999-11-2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両用動弁装置におけるタイミング帯の弛み防止構造
DE19926615A1 (de) * 1999-06-11 2000-12-14 Schaeffler Waelzlager Ohg Spanneinrichtung für Zugmittel wie Riemen oder Ketten
DE60321308D1 (de) * 2003-04-02 2008-07-1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Zweiarmiger Riemenspanner
US7494434B2 (en) * 2005-06-15 2009-02-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Belt alternator starter accessory drive with dual tensioner
ATE454575T1 (de) * 2005-07-14 2010-01-15 Dayco Europe Srl Spannvorrichtung für einen antriebsriemen eines kraftfahrzeugs
JP4994285B2 (ja) 2008-03-31 2012-08-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用内燃機関
US8092328B2 (en) * 2009-06-30 2012-01-10 The Gates Corporation Dual tensioner assembly
US8602930B2 (en) * 2009-09-18 2013-12-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rive belt tensioner for motor generator unit
US8057334B2 (en) * 2009-09-23 2011-11-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cessory drive tensioner assembly
JP2011220408A (ja) 2010-04-07 2011-11-04 Toyota Motor Corp ベルトテンショナ装置
US10018254B2 (en) * 2016-05-27 2018-07-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elt drive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1094A1 (en) * 2004-05-18 2005-11-24 Foster Randy C Magnetorheological fluid V-ribbed belt tensioner with through shaft
US20110065539A1 (en) * 2009-09-11 2011-03-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Engine Accessory Drive With Belt Tensioner and Same Plane Idler
KR101219879B1 (ko) * 2011-07-04 2013-01-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벨트구동 스타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2623A (zh) * 2019-08-21 2021-02-26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bsg混合动力发动机的附件轮系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124B1 (ko) 2022-06-07
US10619712B2 (en) 2020-04-14
US20190072159A1 (en)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01914A (ja) テンション装置を有するトラクション機構
JP5807731B1 (ja) エンジンのベルト張力調整装置
CA3036700C (en) Tensioner
CA2330891A1 (en) Tensioning device for a flexible driving element
US7124733B2 (en) Mounting structure of motor genera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2383227B1 (ko) 차량용 벨트 연결 구조
JP4544088B2 (ja) エンジンの前部構造
KR20190027595A (ko)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
US20070161444A1 (en) Traction mechanism drive, in particula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06055255A2 (en) Belt tensioner system
JP2006283912A (ja) 補機駆動用のベルト伝動装置
KR101405733B1 (ko) 엔진 벨트의 장력 형성 장치
KR100326610B1 (ko) 자동차용 브이 벨트 장력 조절장치
JPH0666154A (ja) エンジンの補機駆動装置
KR100535108B1 (ko) 차량용 오토 텐셔너
JPH09280067A (ja) 内燃機関の補機配置構造
KR100391612B1 (ko) 자동차용 파워 스티어링 오일 펌프 풀리의 랩엥글 개선구조
JP3743454B2 (ja) 内燃機関のカム駆動装置
EP1636512B1 (en) Engine-driven vehicle
JP2002138848A (ja) 内燃機関の補機駆動装置
JPH08270456A (ja) エンジンの補機駆動装置
WO2016103406A1 (ja) V型エンジンのスーパーチャージャー駆動機構
KR20040033879A (ko) 차량용 오토 텐셔너
JP2010185404A (ja) 補機ベルトのレイアウト構造
JPH02283818A (ja) チェーンガイド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