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8738A -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8738A
KR20210118738A KR1020210020556A KR20210020556A KR20210118738A KR 20210118738 A KR20210118738 A KR 20210118738A KR 1020210020556 A KR1020210020556 A KR 1020210020556A KR 20210020556 A KR20210020556 A KR 20210020556A KR 20210118738 A KR20210118738 A KR 20210118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ontact member
peripheral portion
contact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0716B1 (ko
Inventor
히로유키 가지야
이치로 하사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ublication of KR20210118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05Caps, spittoons or covers for cleaning or preventing drying out
    • B41J2/16508Caps, spittoons or covers for cleaning or preventing drying out connected with the printer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05Caps, spittoons or covers for cleaning or preventing drying out
    • B41J2/16508Caps, spittoons or covers for cleaning or preventing drying out connected with the printer frame
    • B41J2/16511Constructions for cap pos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02Printhead constructions to prevent nozzle clogging or facilitate nozzle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 B41J2/16523Waste ink transport from caps or spittoo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8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for paper-width or non-reciprocating print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41J2002/165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025/008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plurality of print heads placed around a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Abstract

(과제) 경사 자세의 헤드부에 형성된 노즐면으로부터 기재의 상면에 잉크를 토출하여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잉크의 노즐면에 대한 재부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해결 수단) 헤드부의 하면은, 기재의 장척 방향과 평행한 제 1 단변 및 제 2 단변과, 기재의 폭 방향과 평행한 제 1 장변 및 제 2 장변을 가지고 있다. 또, 헤드부는, 연직 방향에 있어서 제 1 장변이 제 2 장변보다 하방에 위치하여 하면의 주연부 중 제 1 장변을 따르는 제 1 하면 주연 부위가 가장 연직 하방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부의 하방에 배치됨으로써 노즐면을 하방으로부터 덮는 커버 부재의 내측 바닥면의 주위로부터 세워 형성하는 복수의 측벽은, 상단 부위가 제 1 장변으로부터 장척 방향에 있어서 제 2 장변과 반대측에 떨어져 위치하는 제 1 측벽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인쇄 장치{PRINTING APPARATUS}
이 발명은 기재 (基材) 의 상면에 잉크를 토출하여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나타내는 일본 출원의 명세서, 도면 및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개시 내용은, 참조에 의해 그 전체 내용이 본서에 포함된다 :
일본 특허출원 2020-051336 (2020년 3월 23일 출원).
헤드부로부터 잉크젯 방식으로 수성이나 유성 등의 잉크를 기재에 토출하여 기재의 상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119609호에 기재된 인쇄 장치에서는, 하면에 노즐면을 갖는 헤드부가 복수 대, 기재의 인쇄 경로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각 헤드부는 노즐면으로부터 액적상의 잉크를 기재의 상면에 토출하여 인쇄한다. 이 때문에, 노즐면에 부착되는 부착물이 건조되어 고착되면, 노즐의 막힘이 발생하여 인쇄 성능의 저하를 초래한다. 그래서,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119609호에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이 인쇄 장치에서는, 헤드부의 하면에 대향하여 개구된 박스상의 커버 부재에 의해 노즐면 전체를 하방으로부터 덮은 상태에서 여러 가지 메인터넌스 동작이 실행된다. 그 중 하나가 잉크의 퍼지 처리이다. 이 퍼지 처리는, 헤드부의 노즐면에 부착되는 부착물이 건조되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주목적의 하나로 하여, 일정 시간마다 잉크를 압출하는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119609호에 기재된 인쇄 장치에 장비된 헤드부의 일부에서는, 노즐면의 법선이 연직 방향에 대해 경사진 자세 (이하, 「경사 자세」라고 한다) 로 인쇄가 실행된다. 또, 퍼지 처리도 경사 자세로 실행된다. 이 때문에, 퍼지 처리 중에 있어서, 노즐면으로부터 잉크가 떨어지기 전에, 당해 경사진 노즐면을 따라 잉크가 흘러내리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하여 흘러내린 잉크는 헤드부의 하면에 대향하여 개구되어 있는 커버 부재의 측벽 상방에 부착되어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킨다. 예를 들어 당해 잉크가 퇴적되어 굳어지고, 그 일부가 노즐면에 전사되면, 인쇄 품질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경사 자세의 헤드부에 형성된 노즐면으로부터 기재의 상면에 잉크를 토출하여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잉크의 노즐면에 대한 재부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은, 장척 띠상의 기재의 상면에 잉크를 토출하여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 장치로서, 사각형 형상을 갖는 하면의 중앙부에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면이 형성되는 헤드부와, 내측 바닥면의 주위로부터 상방으로 복수의 측벽이 세워져 형성됨으로써 상방을 향하여 개구된 박스 형상을 갖고, 헤드부의 하방에 배치됨으로써 노즐면을 하방으로부터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하면은, 기재의 장척 방향과 평행한 제 1 단변 및 제 2 단변과, 기재의 폭 방향과 평행한 제 1 장변 및 제 2 장변을 갖고, 헤드부는, 연직 방향에 있어서 제 1 장변이 제 2 장변보다 하방에 위치하여 하면의 주연부 중 제 1 장변을 따르는 제 1 하면 주연 부위가 가장 연직 하방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로 배치되고, 복수의 측벽은, 상단 부위가 제 1 장변으로부터 장척 방향에 있어서 제 2 장변과 반대측에 떨어져 위치하는 제 1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헤드부는 경사 자세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퍼지 처리 등을 실시하면, 노즐면으로부터 토출된 잉크는 노즐면을 따라 제 1 하면 주연 부위로 흘러내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커버 부재를 구성하는 측벽의 하나인 제 1 측벽은, 상단 부위가 제 1 장변으로부터 장척 방향에 있어서 제 2 장변과 반대측에 떨어져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하면 주연 부위로 흘러내린 잉크는 헤드부의 하면의 제 1 장변에 이른 후에 당해 제 1 장변으로부터 자중 (自重) 에 의해 낙하하지만, 제 1 측벽의 상단 부위에 부착되지 않고, 커버 부재에 의해 포집된다. 따라서, 제 1 하면 주연 부위에서의 잉크 고화를 방지할 수 있어, 잉크의 노즐면에 대한 재부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각 양태가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는 전부가 필수인 것은 아니고, 상기 서술한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 혹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히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의 일부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변경, 삭제, 새로운 다른 구성 요소와의 교체, 한정 내용의 일부 삭제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서술한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 혹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포함되는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포함되는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부와 조합하여, 본 발명의 독립된 한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인쇄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중의 A-A 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A 는 헤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 는 보수 (保守) 상태의 헤드부, 메인터넌스부 및 기밀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헤드부, 메인터넌스부 및 기밀 제어부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인쇄 장치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 메인터넌스부 및 기밀 제어부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인쇄 장치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 메인터넌스부 및 기밀 제어부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인쇄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인쇄 장치 (100) 는 장척 띠상의 기재 (BM) 를 롤ㆍ투ㆍ롤 방식으로 반송하면서, 기재 (BM) 의 상면에 잉크를 토출하여 인쇄하는 장치이다. 기재 (BM) 에는, 종이 혹은 필름 등의 여러 가지 인쇄 소재가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각 도면에 있어서 장치 각 부의 배치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기재 (BM) 의 폭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Y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있다. 또한, 연직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있다.
인쇄 장치 (100) 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 인쇄부 (110), 전단 건조부 (120), 후단 인쇄부 (130) 및 후단 건조부 (140) 가 서로 동일한 높이에서 수평 방향 (X) 으로 이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또, 이 인쇄 장치 (100) 에서는, 조출 롤 (150) 에서 권취 롤 (160) 로 롤ㆍ투ㆍ롤로 기재 (BM) 가 반송된다. 인쇄 장치 (100) 는, 전단 인쇄부 (110) 에서 인쇄한 기재 (BM) 를 전단 건조부 (120) 에서 건조시키고, 또한 후단 인쇄부 (130) 에서 인쇄한 기재 (BM) 를 후단 건조부 (140) 에서 건조시킨다.
전단 인쇄부 (110) 는, 도 1 중의 부분 확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BM) 를 우측에서 좌측으로 반송하는 반송부 (1) 를 가지고 있다. 반송부 (1) 는, 조출 롤 (150) 로부터 조출된 기재 (BM) 를 전단 인쇄부 (110) 의 하우징 내로 반입하는 반입 롤러 (11) 와, 기재 (BM) 를 전단 건조부 (120) 를 향하여 반출하는 반출 롤러 (12) 를 갖는다. 반입 롤러 (11) 및 반출 롤러 (12) 는, 기재 (BM) 의 이면을 하방으로부터 감아 걸어 기재 (BM) 를 구동시킨다. 또, 반입 롤러 (11) 와 반출 롤러 (12) 사이에는, 복수의 백업 롤러 (13) 를 갖는다. 이들 백업 롤러 (13) 의 각각은 기재 (BM) 의 이면을 하방으로부터 감아 걺으로써 기재 (BM) 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복수의 백업 롤러 (13) 중 반송 방향에 있어서 최상류의 백업 롤러 (13) 와 최하류의 백업 롤러 (13) 는 동일 높이 위치를 가지고 있으며, 이 사이에서 전단 인쇄가 실행된다. 요컨대, 양 백업 롤러 (13, 13) 의 사이가 전단 인쇄 경로로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전단 인쇄 경로를 따라 복수의 백업 롤러 (13) 가 일정 간격만큼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백업 롤러 (13) 는 전단 인쇄 경로의 중앙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기재 (BM) 를 지지하고 있다. 그 결과, 기재 (BM) 의 반송 방향은 일정하지 않아, 전단 인쇄 경로의 전반에서는 기재 (BM) 의 반송 방향은 수평 방향 (X) 에 대해 비스듬한 상방이 되고, 중앙 부분에서 수평 방향 (X) 과 거의 평행이 되고, 또한 후반에서는 수평 방향 (X) 에 대해 비스듬한 하방이 되어 있다. 요컨대, 반송부 (1) 는, 상방으로 돌출된 대략 원호상의 전단 인쇄 경로에서 장척 띠상의 기재 (BM) 를 연속적으로 반송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반송되는 기재 (BM) 의 상면에 대해 잉크를 토출하여 인쇄하는 헤드부 (2) 가 복수 대, 전단 인쇄 경로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인접하는 2 개의 백업 롤러 (13) 사이를 나아가는 기재 (BM) 의 상면의 상방 위치에 헤드부 (2) 가 배치되어 있다. 각 헤드부 (2) 는, 이렇게 하여 양측이 2 개의 백업 롤러 (13) 에 의해 지지된 기재 (BM) 의 상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잉크를 토출한다. 여기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4 색의 프로세스 컬러 (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 의 잉크를 토출하는 4 개의 헤드부 (2) 와, 2 색의 특색 잉크 (오렌지, 바이올렛, 그린 등) 를 토출하는 2 개의 헤드부 (2) 를 포함하는 6 개의 헤드부 (2) 가 형성되어 있다. 각 헤드부 (2) 는 하면에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면을 가지고 있으며, 당해 노즐면으로부터 잉크를 대략 원호상의 전단 인쇄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기재 (BM) 의 상면에 토출한다. 이 때문에, 이후에서 상세히 서술하는 바와 같이 전단 인쇄 경로의 반송 방향에 따라 헤드부 (2) 는 경사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도 2 는 도 1 중의 A-A 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 (2) 는 전단 인쇄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기재 (BM) 의 상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헤드부 (2) 는 기재 (BM) 의 상면의 면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게 형성됨과 함께 헤드 구동부 (29) 와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 (도시 생략) 로부터의 승강 지령에 따라 헤드 구동부 (29) 가 작동함으로써, 헤드부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BM) 의 상면에 근접하여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 위치, 도 2 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위치로부터 크게 상방으로 퇴피한 퇴피 위치, 및 도 2 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의 보수 위치 사이에서 승강 구동된다. 또, 헤드 수평 지령에 따라 헤드 구동부 (29) 가 작동함으로써, 헤드부 (2) 는 기재 (BM) 의 폭 방향 (Y) 으로 이동된다.
여기에서 「보수 위치」란 헤드부 (2) 에 대해 메인터넌스를 실시하는 위치를 의미하고 있다. 즉, 각 헤드부 (2) 는, 이른바 잉크젯 방식으로 잉크를 노즐면으로부터 토출한다. 이 때문에, 장시간 인쇄 공정을 실시하고 있으면, 점차 노즐의 토출 불량이 발생한다. 또, 인쇄를 일시적으로 정지시켰을 때에, 노즐면에 부착된 잉크가 고화되어, 토출 불량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인쇄를 재개시키기 전, 헤드부 (2) 는 인쇄 위치보다 약간 높은 보수 위치로 위치 결정된다. 또, 당해 헤드부 (2) 의 노즐면에 대해 메인터넌스부 (3) 가 각종 메인터넌스를 실시한다.
메인터넌스부 (3) 는 토출 불량을 일으킨 노즐을 갖는 헤드부 (2) 에 대해 퍼지 처리나 와이핑 처리 등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헤드부 (2) 마다 형성되어 있다. 메인터넌스부 (3) 는 메인터넌스 구동부 (39) 와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어부로부터의 수평 이동 지령에 따라 메인터넌스 구동부 (39) 가 작동함으로써, 메인터넌스부 (3) 는 기재 (BM) 의 폭 방향 (Y) 으로 이동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터넌스부 (3) 는 기재 (BM) 로부터 Y 방향으로 떨어진 대기 위치 (도 2 의 실선 위치) 와, 퇴피 위치에 위치하는 헤드부 (2) 와 기재 (BM) 사이의 보수 위치 (도 2 의 점선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한다. 특히, 메인터넌스부 (3) 가 메인터넌스 구동부 (39) 에 의해 보수 위치로 위치 결정된 후에 헤드부 (2) 가 헤드 구동부 (29) 에 의해 퇴피 위치로부터 보수 위치까지 이동됨으로써 헤드부 (2) 의 노즐면이 메인터넌스부 (3) 의 커버 부재 (30) 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캡핑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드 구동부 (29) 및 메인터넌스 구동부 (39) 는 본 발명의 「이동부」로서 기능하고, 헤드부 (2) 및 메인터넌스부 (3) 의 위치를 제어하여 인쇄 상태와 보수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6 개의 헤드부 (2) 는 모두 동일 구조를 갖고, 6 개의 메인터넌스부 (3) 도 모두 동일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하에 있어서는, 반송 방향에 있어서 최하류에 위치하는 헤드부 (2) 및 메인터넌스부 (3) 에 주목하여 헤드부 (2) 및 메인터넌스부 (3) 의 구성이나 동작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인쇄 상태」란, 도 1 중의 부분 확대 도면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면 (21) 이 기재 (BM) 의 바로 위쪽에서 근접하도록 헤드부 (2) 는 인쇄 위치로 위치 결정됨과 함께, 메인터넌스부 (3) 는 도 2 중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BM) 의 상방 위치로부터 Y 방향으로 이간된 퇴피 위치로 위치 결정된 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이 인쇄 상태에서 노즐면 (21) 으로부터 잉크가 기재 (BM) 의 상면에 토출되어 인쇄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보수 상태」란, 도 2 중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터넌스부 (3) 가 기재 (BM) 의 전단 인쇄 경로의 바로 위쪽 위치로 위치 결정됨과 함께 헤드부 (2) 가 메인터넌스부 (3) 로 강하하여 메인터넌스부 (3) 에 의해 노즐면 (21) 이 외부로부터 밀폐된 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이 보수 상태에서 메인터넌스부 (3) 에 의해 퍼지 처리가 실행된다.
도 3A 는 헤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인쇄 상태의 헤드부 (2) 를 기재 (BM) 의 전단 인쇄 경로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B 는 보수 상태의 헤드부, 메인터넌스부 및 기밀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헤드부, 메인터넌스부 및 기밀 제어부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헤드부 (2) 는, 노즐면 (21) 의 면법선이 기재 (BM) 의 상면의 면법선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BM) 의 전단 인쇄 경로가 대략 원호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에 대응하여 헤드부 (2) 는 연직 방향 (Z) 에 대해 경사진 자세를 가지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부 (2) 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헤드부 (2) 는 연직 방향 (Z) 에 대해 경사진 헤드 기대 (基臺) (22) 를 가지고 있다. 헤드 기대 (22) 는 기재 (BM) 의 폭 방향 (Y) 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 헤드 기대 (22) 의 측면에 대해, 하면에 노즐면을 갖는 기록 헤드 (23) 가 Y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헤드부 (2) 의 하면 (24) 은 기재 (BM) 에서 보면 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면 (24) 은, 기재 (BM) 의 장척 방향과 평행한 단변 (241, 242) 과, 기재 (BM) 의 폭 방향 (Y) 과 평행한 장변 (243, 244) 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사각형 형상을 갖는 하면 (24) 의 중앙부가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면 (21) 으로 되어 있다. 또, 헤드부 (2) 의 하면 중 노즐면 (21) 을 제외한 영역, 요컨대 노즐면 (21) 을 둘러싸는 영역이 잉크를 토출하지 않는 주연부 (25) 로 되어 있다. 또, 헤드부 (2) 는 기재 (BM) 의 전단 인쇄 경로에 대응한 경사 자세로 배치되는 것으로부터,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직 방향 (Z) 에 있어서 장변 (243) 이 장변 (244)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주연부 (25) 중 장변 (243) 을 따른 주연 부위 (251) 가 가장 연직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3A 에서는 노즐면 (21) 과 주연부 (25) 를 명확하게 구별하기 위해, 노즐면 (21) 에 대해 해칭을 하고 있다. 또, 본 명세서는, 주연 부위 (251) 와, 주연 부위 (251) 이외의 주연 부위 (252) 를 구별하기 위해, 적절히 주연 부위 (251) 와 주연 부위 (252) 를 각각 「제 1 하면 주연 부위 (251)」 및 「제 2 하면 주연 부위 (252)」라고 칭한다.
헤드부 (2) 에서는, 복수의 기록 헤드 (23) 를 보호하기 위해, 도 3A 및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기록 헤드 (23) 를 사이에 두고 헤드 기대 (22) 의 반대측에 가드 부재 (26) 가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노즐면 (21) 을 하방으로 향한 상태에서 헤드 기대 (22), 복수의 기록 헤드 (23) 및 가드 부재 (26) 가 일체적으로 헤드 구동부 (29) 에 의해 승강된다.
메인터넌스부 (3) 는 상방으로 개구된 박스 형상의 커버 부재 (30) 를 가지고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변 (241, 242) 의 연신 방향 (요컨대 기재 (BM) 의 장척 방향과 평행한 방향) 에 있어서, 커버 부재 (30) 의 상단부는 헤드부 (2) 의 하면 (24) 보다 길게 되어 있다. 또, 도 2 및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변 (243, 244) 의 연신 방향 (요컨대 기재 (BM) 의 폭 방향 (Y) 과 평행한 방향) 에 있어서, 커버 부재 (30) 의 상단부는 노즐면 (21) 보다 길고, 또한 헤드부 (2) 의 하면 (24) 보다 짧게 되어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 (30) 는 노즐면 (21) 을 덮기에 충분한 사이즈의 개구를 가짐과 함께 당해 개구와 대향하는 내측 바닥면 (35) 을 가지고 있다. 이 내측 바닥면 (35) 을 커버 부재 (30) 의 개구측에서 보면 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부 (2) 의 하면 (24) 의 단변 (241, 242) 의 연신 방향 (요컨대 기재 (BM) 의 장척 방향과 평행한 방향) 과 평행한 2 개의 단변과, 장변 (243, 244) 의 연신 방향 (요컨대 기재 (BM) 의 폭 방향 (Y) 과 평행한 방향) 과 평행한 2 개의 장변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 내측 바닥면 (35) 의 네 변으로부터 측벽 (31 ∼ 34) 이 각각 세워져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이후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퍼지 처리에 의해 노즐면 (21) 으로부터 토출되는 잉크를 포집하는 포집 공간 (SP)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바닥면 (35)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 (Y) 으로 나아감에 따라 연직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마무리되어, 경사면을 따라 흘러 온 잉크를 포집하고, 배출관 (36) 을 통해 회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커버 부재 (30) 가 메인터넌스 구동부 (39) 에 의해 보수 위치에 배치되면, 커버 부재 (30) 의 각 부는 이하와 같이 위치 결정되고, 헤드부 (2) 의 노즐면 (21) 을 하방으로부터 덮는다. 즉, 도 2 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 (Y) 에 있어서의 커버 부재 (30) 의 측벽 (31, 32) 의 상단 부위 (311, 321) (도 3B) 는 헤드부 (2) 의 하면 (24) 의 제 2 하면 주연 부위 (252) 에 대향한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 (30) 의 측벽 (34) 의 상단 부위 (341) 는 상단 부위 (311, 321) 와 마찬가지로 제 2 하면 주연 부위 (252) 에 대향한다. 한편, 커버 부재 (30) 의 측벽 (33) 의 상단 부위 (331) 는 헤드부 (2) 의 하면 (24) 으로부터 기재 (BM) 의 장척 방향과 평행한 방향 (도 4 의 비스듬히 왼쪽 아래 방향) 으로 떨어져 있다. 요컨대, 상단 부위 (331) 는 헤드부 (2) 의 장변 (243) 으로부터 장척 방향에 있어서 장변 (244) 과 반대측에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퇴피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헤드부 (2) 의 하방에 커버 부재 (30) 가 보수 위치에 배치된 후에, 헤드부 (2) 가 헤드 구동부 (29) 에 의해 퍼지 처리를 실시하는 보수 위치까지 하강되면, 헤드부 (2) 의 하면 (24) 이 커버 부재 (30) 에 근접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 의 (b) 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 (30) 의 상단 부위 (311, 321, 341) 가 제 2 하면 주연 부위 (252) 에 근접하여 위치 결정됨과 함께, 상단 부위 (331) 가 헤드부 (2) 의 하면 (24) 으로부터 이간된 상태에서 하면 (24) 보다 상방으로 돌출 상태로 위치 결정된다. 이로써, 헤드부 (2) 의 노즐면 (21) 이 커버 부재 (30) 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덮인다. 따라서, 경사 자세로 퍼지 처리를 실시했다고 해도, 노즐면 (21) 을 따라 제 1 하면 주연 부위 (251) 로 흘러내려온 잉크는 장변 (243) 에 이르고, 당해 장변 (243) 으로부터 자중에 의해 낙하하지만, 측벽 (33) 의 상단 부위 (331) 에 부착되지 않고, 커버 부재 (30) 에 의해 포집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지 커버 부재 (30) 로 잉크를 포집할 뿐만 아니라, 퍼지 처리 등의 메인터넌스를 양호하게 실시하기 위해, 노즐면 (21) 을 둘러싸는 분위기의 기밀성을 높이는 기밀 제어부 (4) 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기밀 제어부 (4) 는 탄성체의 접촉 부재 (41 ∼ 44) 를 사용하여 노즐면 (21) 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고 있고, 탄성체의 일례로서 고무 스펀지를 사용하고 있다. 접촉 부재 (41 ∼ 44) 는 각각 커버 부재 (30) 의 4 개의 측벽 (31 ∼ 34) 에 대응하는 것으로, 접촉 부재 (41, 42, 44) 는 커버 부재 (30) 에 장착되는 한편, 접촉 부재 (43) 는 헤드부 (2) 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3A, 도 3B 및 도 4 에서는 접촉 부재 (41 ∼ 44) 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접촉 부재 (41 ∼ 44) 에 대해 도트를 부여하고 있다.
접촉 부재 (41) 는, 도 3B 의 부분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 (31) 의 상단 부위 (311) 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자세로 지지 부재 (45) 에 의해 측벽 (31) 에 장착되어 있다. 또, 접촉 부재 (42, 44) 도, 기본적으로 접촉 부재 (41) 와 마찬가지로, 각각 상단 부위 (321, 341) 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자세로 지지 부재 (45)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동 부분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 부재 (44) 의 일방 단부 (端部) 는 접촉 부재 (41) 와 접촉함과 함께,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타방 단부도 접촉 부재 (42) 와 접촉하고 있다. 한편, 접촉 부재 (43) 는, 도 3A, 도 3B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 (2) 에 장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 부재 (43) 는, 그 하면을 상단 부위 (331) 로 향한 상태에서 각 기록 헤드 (23) 의 측면부 (231) 에 밀접하면서 헤드부 (2) 의 가드 부재 (26) 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인쇄 장치 (100) 에 있어서 인쇄를 실시할 때에는, 헤드부 (2) 및 메인터넌스부 (3) 는 인쇄 상태로 되어 있다. 요컨대, 헤드부 (2) 는 기재 (BM) 의 전단 인쇄 경로의 상방으로 위치 결정됨과 함께 메인터넌스부 (3) 는 상기 전단 인쇄 경로로부터 폭 방향 (Y) 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3A 및 도 4 의 (a) 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 부재 (41, 42, 44) 는 기재 (BM) 의 전단 인쇄 경로로부터 퇴피하고 있다. 또, 접촉 부재 (43) 는 헤드부 (2) 에 장착되기는 하지만, 그 장착은 연직 방향 (Z) 에 있어서 장변 (243) 보다 높은 위치에서 실시되고 있다. 따라서, 어느 접촉 부재 (41 ∼ 44) 도 기재 (BM) 와 간섭하지 않고, 인쇄 동작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메인터넌스의 일환으로서 퍼지 처리를 실시할 때에는, 도 3B 및 도 4 의 (b) 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 (2) 및 커버 부재 (30) 가 서로 근접하면, 접촉 부재 (41, 42, 44) 가 헤드부 (2) 의 제 2 하면 주연 부위 (252) 에 밀접함과 함께 기록 헤드 (23) 의 측면부 (231) 에 밀접한 채로 접촉 부재 (43) 가 상단 부위 (331) 와 밀접한다. 또한 동시에, 도 3B 의 부분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 부재 (43) 의 일방 단부가 접촉 부재 (41) 와 접촉함과 함께,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타방 단부도 접촉 부재 (42) 와 접촉한다. 이렇게 하여, 접촉 부재 (41 ∼ 44) 로 구성되는 기밀 제어부 (4) 에 의해 헤드부 (2) 와 커버 부재 (30) 의 간극이 막혀 노즐면 (21) 을 외부로부터 밀폐하여 노즐면 (21) 을 둘러싸는 분위기의 기밀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헤드부 (2) 는 경사 자세를 하고 있으며, 도 4 의 (b) 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면 (21) 은 왼쪽 하방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 때문에, 퍼지 처리 등을 실시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노즐면 (21) 으로부터 토출된 잉크는 노즐면 (21) 을 따라 제 1 하면 주연 부위 (251) 로 흘러내려 기밀 제어부 (4) 의 접촉 부재 (43) 에 가까워진다. 그러나, 접촉 부재 (43) 는, 측벽 (33) 의 상단 부위 (331) 와 마찬가지로, 헤드부 (2) 의 하면 (24) 으로부터 이간된 상태에서 하면 (24) 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동 도면의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면 (21) 으로부터 흘러내려온 잉크는 제 1 하면 주연 부위 (251) 를 경유하여 포집 공간 (SP) 에 확실하게 포집된다. 따라서, 측벽 (33) 의 상단 부위 (331) 및 접촉 부재 (43) 에 대한 잉크 부착 및 고화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의 노즐면 (21) 에 대한 재부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인쇄 처리를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변 (241, 242) 이 각각 본 발명의 「제 1 단변」 및 「제 2 단변」의 일례에 상당하고, 장변 (243, 244) 이 각각 본 발명의 「제 1 장변」 및 「제 2 장변」의 일례에 상당하고 있다. 또, 커버 부재 (30) 의 측벽 (31 ∼ 34) 중 측벽 (33) 이 본 발명의 「제 1 측벽」의 일례에 상당하는 한편, 나머지 측벽 (31, 32, 34) 이 본 발명의 「제 2 측벽」의 일례에 상당하고 있다. 또, 접촉 부재 (43) 가 본 발명의 「측면 접촉 부재」의 일례에 상당하는 한편, 접촉 부재 (41, 42, 44) 가 본 발명의 「하면 접촉 부재」의 일례에 상당하고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인쇄 장치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 메인터넌스부 및 기밀 제어부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실시형태가 제 1 실시형태와 크게 상이한 점은 기밀 제어부 (4) 의 구성, 특히 제 1 하면 주연 부위 (251) 측의 접촉 부재의 구성이고, 그 밖의 구성 및 동작은 제 1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는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접촉 부재 (43) 대신에, 2 개의 접촉 부재 (431, 432) 가 헤드부 (2) 의 가드 부재 (26) 에 장착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 부재 (431) 는 접촉 부재 (432) 보다 상방에서 각 기록 헤드 (23) 의 측면부 (231) 에 밀접하면서 헤드부 (2) 의 가드 부재 (26) 에 장착되어 있고, 본 발명의 「제 1 헤드 접촉 부재」의 일례에 상당하고 있다. 또, 접촉 부재 (432) 는, 그 하면을 상단 부위 (331) 로 향한 상태에서 헤드부 (2) 의 가드 부재 (26) 에 장착되어 있고, 본 발명의 「커버 접촉 부재」의 일례에 상당하고 있다. 단, 접촉 부재 (432) 의 하면은 연직 방향 (Z) 에 있어서 장변 (243)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인쇄 장치 (100) 에 있어서 인쇄를 실시할 때에는, 도 5 의 (a) 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 (2) 는 기재 (BM) 의 전단 인쇄 경로의 상방으로 위치 결정된다. 한편, 메인터넌스부 (3) 는 상기 전단 인쇄 경로로부터 폭 방향 (Y) 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접촉 부재 (41, 42, 44) 는 기재 (BM) 의 전단 인쇄 경로로부터 퇴피하고 있다. 또, 접촉 부재 (431, 432) 는 헤드부 (2) 에 장착되기는 하지만, 그것들의 장착은 연직 방향 (Z) 에 있어서 장변 (243) 보다 높은 위치에서 실시되고 있다. 따라서, 어느 접촉 부재 (41, 42, 44, 431, 432) 도 기재 (BM) 와 간섭하지 않고, 인쇄 동작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메인터넌스의 일환으로서 퍼지 처리를 실시할 때에는, 도 5 의 (b) 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 (2) 및 커버 부재 (30) 가 서로 근접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촉 부재 (41, 42, 44) 가 헤드부 (2) 의 제 2 하면 주연 부위 (252) 에 밀접함과 함께, 접촉 부재 (432) 가 상단 부위 (331) 와 밀접한다. 또한 동시에, 도면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접촉 부재 (432) 의 일방 단부가 접촉 부재 (41) 와 접촉함과 함께 타방 단부가 접촉 부재 (42) 와 접촉한다. 이렇게 하여,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접촉 부재 (41, 42, 44, 431, 432) 로 구성되는 기밀 제어부 (4) 에 의해 헤드부 (2) 와 커버 부재 (30) 의 간극의 대부분이 막혀 노즐면 (21) 을 둘러싸는 분위기의 기밀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하면 주연 부위 (251) 측의 측벽 (33) 의 상단 부위 (331) 가 헤드부 (2) 의 하면 (24) 으로부터 이간됨과 함께 제 1 하면 주연 부위 (251) 측에서의 밀폐가 접촉 부재 (431, 432) 를 제 1 하면 주연 부위 (251) 로부터 이간시킨 상태에서 실행된다. 이 때문에, 동 도면의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면 (21) 으로부터 흘러내려온 잉크가 제 1 하면 주연 부위 (251) 를 경유하여 포집 공간 (SP) 에 확실하게 포집된다. 그 때문에, 측벽 (33) 의 상단 부위 (331) 및 접촉 부재 (432) 에 대한 잉크 부착 및 고화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의 노즐면 (21) 에 대한 재부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인쇄 처리를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인쇄 장치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 메인터넌스부 및 기밀 제어부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3 실시형태가 제 2 실시형태와 크게 상이한 점은, 기밀 제어부 (4) 의 구성, 특히 측벽 (33) 과 헤드부 (2) 의 간극을 막는 접촉 부재의 구성이고, 그 밖의 구성 및 동작은 제 2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는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커버 접촉 부재」로서 기능하는 접촉 부재 (432) 대신에, 본 발명의 「제 2 헤드 접촉 부재」로서 기능하는 접촉 부재 (43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 부재 (433) 는, 도 6 의 (b) 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 (33) 의 상단 부위 (331) 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자세로 지지 부재 (45) 에 의해 측벽 (33) 에 장착되어 있다. 도면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접촉 부재 (433) 의 일방 단부가 접촉 부재 (41) 와 접촉함과 함께 타방 단부가 접촉 부재 (42) 와 접촉하고 있다. 요컨대, 커버 부재 (30) 의 상방 주연부의 전체 둘레가 고무 스펀지제 접촉 부재 (41, 42, 44, 433) 로 둘러싸여 있고, 이 상태에서 커버 부재 (30) 는 폭 방향 (Y) 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인쇄 장치 (100) 에 있어서 인쇄를 실시할 때에는, 도 6 의 (a) 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 (2) 는 기재 (BM) 의 전단 인쇄 경로의 상방으로 위치 결정된다. 한편, 메인터넌스부 (3) 는 상기 전단 인쇄 경로로부터 폭 방향 (Y) 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접촉 부재 (41, 42, 44, 433) 는 기재 (BM) 의 전단 인쇄 경로로부터 퇴피하고 있다. 또, 접촉 부재 (431) 는 헤드부 (2) 에 장착되기는 하지만, 그것들의 장착은 연직 방향 (Z) 에 있어서 장변 (243) 보다 높은 위치에서 실시되고 있다. 따라서, 어느 접촉 부재 (41, 42, 44, 431, 433) 도 기재 (BM) 와 간섭하지 않고, 인쇄 동작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메인터넌스의 일환으로서 퍼지 처리를 실시할 때에는, 도 6 의 (b) 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 (2) 및 커버 부재 (30) 가 서로 근접하면, 접촉 부재 (41, 42, 44) 가 헤드부 (2) 의 제 2 하면 주연 부위 (252) 에 밀접함과 함께, 접촉 부재 (433) 가 헤드부 (2) 의 가드 부재 (26) 의 하면과 밀접한다. 이렇게 하여,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접촉 부재 (41, 42, 44, 431, 433) 로 구성되는 기밀 제어부 (4) 에 의해 헤드부 (2) 와 커버 부재 (30) 의 간극의 대부분이 막혀 노즐면 (21) 을 둘러싸는 분위기의 기밀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하면 주연 부위 (251) 측의 측벽 (33) 의 상단 부위 (331) 가 헤드부 (2) 의 하면 (24) 으로부터 이간됨과 함께 제 1 하면 주연 부위 (251) 측에서의 밀폐가 접촉 부재 (431, 433) 를 제 1 하면 주연 부위 (251) 로부터 이간시킨 상태에서 실행된다. 이 때문에, 동 도면의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면 (21) 으로부터 흘러내려온 잉크가 제 1 하면 주연 부위 (251) 를 경유하여 포집 공간 (SP) 에 확실하게 포집된다. 그 때문에, 측벽 (33) 의 상단 부위 (331) 및 접촉 부재 (433) 에 대한 잉크 부착 및 고화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의 노즐면 (21) 에 대한 재부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인쇄 처리를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것 이외에 여러 가지 변경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접촉 부재 (41 ∼ 44, 431 ∼ 433) 를 구성하는 탄성체로서 고무 스펀지로 구성하고 있지만, 고무 스펀지 대신에 탄성 변형하여 헤드부 (2) 와 커버 부재 (30) 의 간극을 막을 수 있는 다른 탄성체를 사용해도 된다. 또, 접촉 부재 (41 ∼ 44, 431 ∼ 433) 전체를 탄성체로 구성하고 있지만, 헤드부 (2) 나 커버 부재 (30) 와 접촉하는 부분만을 탄성체로 구성해도 된다. 또, 접촉 부재끼리가 접촉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탄성체로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BM) 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하류측에 위치하는 장변 (243) 이 상류측의 장변 (244) 보다 연직 방향 (Z) 으로 낮다는 경사 자세인 경우 (전단 인쇄부 (110) 중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2 개의 헤드부 (2)) 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지만, 반대의 경사 자세인 경우 (전단 인쇄부 (110) 중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3 개의 헤드부 (2) 나 후단 인쇄부 (130) 중의 헤드부) 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헤드 구동부 (29) 및 메인터넌스 구동부 (39) 로 본 발명의 「이동부」를 구성하고, 이것들에 의해 인쇄 상태와 보수 상태를 전환하고 있지만, 메인터넌스부 (3) 를 고정 배치하면서 헤드 구동부 (29) 에 의해 헤드부 (2) 만을 이동시켜 인쇄 상태와 보수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상, 특정 실시예를 따라 발명을 설명했지만, 이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해석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개시된 실시형태의 여러 가지 변형예가, 이 기술에 정통한 사람에게 분명해질 것이다. 따라서, 첨부한 특허청구범위는, 발명의 진정한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변형예 또는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 발명은, 경사 자세의 헤드부에 형성된 노즐면으로부터 기재의 상면에 잉크를 토출하여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 장치 전반에 적용할 수 있다.
2 : 헤드부
4 : 기밀 제어부
21 : 노즐면
24 : (헤드부의) 하면
25 : (하면의) 주연부
29 : 헤드 구동부 (이동부)
30 : 커버 부재
31 : (제 1) 측벽
32 ∼ 34 : (제 2) 측벽
35 : (커버 부재의) 내측 바닥면
39 : 메인터넌스 구동부 (이동부)
41 ∼ 44, 431 ∼ 433 : 접촉 부재
100 : 인쇄 장치
231 : (헤드부의) 측면부
241, 242 : (하면의) 단변
243, 244 : (하면의) 장변
251 : 제 1 하면 주연 부위
252 : 제 2 하면 주연 부위
311, 321, 331, 341 : (측벽의) 상단 부위
BM : 기재
Y : 폭 방향

Claims (10)

  1. 장척 띠상의 기재의 상면에 잉크를 토출하여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 장치로서,
    사각형 형상을 갖는 하면의 중앙부에 상기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면이 형성되는 헤드부와,
    내측 바닥면의 주위로부터 상방으로 복수의 측벽이 세워져 형성됨으로써 상방을 향하여 개구된 박스 형상을 갖고, 상기 헤드부의 하방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노즐면을 하방으로부터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면은, 상기 기재의 장척 방향과 평행한 제 1 단변 및 제 2 단변과, 상기 기재의 폭 방향과 평행한 제 1 장변 및 제 2 장변을 갖고,
    상기 헤드부는, 연직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변이 상기 제 2 장변보다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하면의 주연부 중 상기 제 1 장변을 따르는 제 1 하면 주연 부위가 가장 연직 하방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측벽은, 상단 부위가 상기 제 1 장변으로부터 상기 장척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변과 반대측에 떨어져 위치하는 제 1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커버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커버 부재에 의해 상기 헤드부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보수 상태와, 상기 헤드부의 하방으로부터 상기 커버 부재를 퇴피시켜 상기 인쇄를 가능하게 하는 인쇄 상태로 전환하는 이동부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생기는 간극의 적어도 일부를 막아 상기 노즐면을 둘러싸는 분위기의 기밀성을 높이는 기밀 제어부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벽은, 상단 부위가 상기 하면의 주연부 중 상기 제 1 하면 주연 부위를 제외한 제 2 하면 주연 부위의 연직 하방에 위치하는 제 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기밀 제어부는,
    상기 제 1 하면 주연 부위로부터 이간되면서, 상기 제 1 장변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상기 헤드부의 측면부와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개재하는 측면 접촉 부재와,
    상기 제 2 하면 주연 부위와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개재하는 하면 접촉 부재를 가짐과 함께, 상기 하면 접촉 부재와 상기 측면 접촉 부재를 서로 밀접시켜 상기 노즐면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인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접촉 부재는, 상기 측면부에 밀접하면서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고, 상기 보수 상태에서 상기 제 1 측벽의 상단 부위와 밀접하고,
    상기 하면 접촉 부재는, 상기 제 2 측벽의 상단 부위에 장착되고, 상기 보수 상태에서 상기 제 2 하면 주연 부위와 밀접하는, 인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접촉 부재 중 적어도 상기 제 1 측벽의 상단 부위와 밀접하는 영역은 탄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하면 접촉 부재 중 적어도 상기 제 2 하면 주연 부위와 밀접하는 영역은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는, 인쇄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벽은, 상단 부위가 상기 하면의 주연부 중 상기 제 1 하면 주연 부위를 제외한 제 2 하면 주연 부위의 연직 하방에 위치하는 제 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기밀 제어부는,
    상기 제 1 하면 주연 부위로부터 이간되면서, 상기 헤드부의 측면부에 밀접하면서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는 제 1 헤드 접촉 부재와,
    상기 제 1 측벽의 상단 부위에 대향하면서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어 상기 보수 상태에서 상기 제 1 측벽의 상단 부위와 밀접하는 커버 접촉 부재와,
    상기 제 2 측벽의 상단 부위에 장착되고, 상기 보수 상태에서 상기 제 2 하면 주연 부위와 밀접하는 하면 접촉 부재를 가짐과 함께, 상기 하면 접촉 부재와 상기 커버 접촉 부재를 서로 밀접시키는, 인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헤드 접촉 부재 및 상기 커버 접촉 부재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측벽의 상단 부위와 밀접하는 영역은 탄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하면 접촉 부재 중 적어도 상기 제 2 하면 주연 부위와 밀접하는 영역은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는, 인쇄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벽은, 상단 부위가 상기 하면의 주연부 중 상기 제 1 하면 주연 부위를 제외한 제 2 하면 주연 부위의 연직 하방에 위치하는 제 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기밀 제어부는,
    상기 제 1 하면 주연 부위로부터 이간되면서, 상기 헤드부의 측면부에 밀접하면서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는 제 1 헤드 접촉 부재와,
    상기 제 1 측벽의 상단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보수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와 밀접하여 상기 헤드부와 상기 제 1 측벽의 상단 부위의 간극을 막는 제 2 헤드 접촉 부재와,
    상기 제 2 측벽의 상단 부위에 장착되고, 상기 보수 상태에서 상기 제 2 하면 주연 부위와 밀접하는 하면 접촉 부재를 가짐과 함께, 상기 하면 접촉 부재와 상기 제 2 헤드 접촉 부재를 서로 밀접시키는, 인쇄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헤드 접촉 부재 및 상기 제 2 헤드 접촉 부재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헤드부와 밀접하는 영역은 탄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하면 접촉 부재 중 적어도 상기 제 2 하면 주연 부위와 밀접하는 영역은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는, 인쇄 장치.
KR1020210020556A 2020-03-23 2021-02-16 인쇄 장치 KR102530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51336 2020-03-23
JP2020051336A JP7401367B2 (ja) 2020-03-23 2020-03-23 印刷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738A true KR20210118738A (ko) 2021-10-01
KR102530716B1 KR102530716B1 (ko) 2023-05-09

Family

ID=74672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556A KR102530716B1 (ko) 2020-03-23 2021-02-16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79043B2 (ko)
EP (1) EP3885145B1 (ko)
JP (1) JP7401367B2 (ko)
KR (1) KR1025307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8639A (ja) * 2012-06-28 2014-01-20 Fujifilm Corp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メンテナンス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4019105A (ja) * 2012-07-20 2014-02-03 Fujifilm Corp 液体吐出装置、及び液体吐出ヘッドの保湿装置
JP2015066761A (ja) * 2013-09-27 2015-04-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滴吐出装置
JP2015080913A (ja) * 2013-10-23 2015-04-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4541A1 (de) * 2001-03-21 2002-10-02 Francotyp Postalia Ag Vorrichtung zum Drucken
JP3975741B2 (ja) 2001-12-18 2007-09-1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US6814423B2 (en) * 2002-06-18 2004-11-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pping system for a printhead
JP2010036438A (ja) 2008-08-05 2010-02-18 Kyocera Mita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674806B2 (ja) * 2016-03-17 2020-04-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WO2018230275A1 (ja) 2017-06-15 2020-03-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保湿装置、メンテナンス装置、及び液体吐出装置
JP6939292B2 (ja) 2017-09-08 2021-09-22 株式会社リコー 液滴吐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WO2019131843A1 (ja) 2017-12-28 2019-07-04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印刷装置
JP2019119609A (ja) 2017-12-28 2019-07-22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印刷装置
US10518537B1 (en) 2018-11-29 2019-12-31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ttenuating the drying of ink from a printhea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8639A (ja) * 2012-06-28 2014-01-20 Fujifilm Corp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メンテナンス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4019105A (ja) * 2012-07-20 2014-02-03 Fujifilm Corp 液体吐出装置、及び液体吐出ヘッドの保湿装置
JP2015066761A (ja) * 2013-09-27 2015-04-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滴吐出装置
JP2015080913A (ja) * 2013-10-23 2015-04-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01367B2 (ja) 2023-12-19
US20210291529A1 (en) 2021-09-23
JP2021146697A (ja) 2021-09-27
EP3885145A1 (en) 2021-09-29
US11479043B2 (en) 2022-10-25
KR102530716B1 (ko) 2023-05-09
EP3885145B1 (en) 202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9974B2 (ja) 液滴吐出装置
JP5271837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259458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記録ヘッドのメンテナンス方法
JP692166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746784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463626B2 (en) Liquid droplet discharge device
US733486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restoration process
EP2689935B1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2016000516A (ja) 液滴吐出ヘッド回復機構
JP392572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14406A (ja) インクジェット式プリンタ
JP5935968B2 (ja) 記録装置
KR20210118738A (ko) 인쇄 장치
JP2007216420A (ja) 画像記録装置
US7753479B2 (en) Method of maintaining an inkjet printhead by producing laminar ink flow to remove particulates
JP200519954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401967B2 (ja) 液体吐出装置
US20080238989A1 (en) Liquid discharging device
US7832828B2 (en) Maintenance station for printhead with laminar ink flow cleaning methodology
JP4899490B2 (ja) 液滴吐出装置
JP2005104036A (ja) 画像形成装置
JP454366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1934052B1 (en) Printhead maintenance assembly with film transport of ink
JP4582016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922613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清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