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171A -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및 안경 렌즈 - Google Patents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및 안경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171A
KR20210095171A KR1020217019231A KR20217019231A KR20210095171A KR 20210095171 A KR20210095171 A KR 20210095171A KR 1020217019231 A KR1020217019231 A KR 1020217019231A KR 20217019231 A KR20217019231 A KR 20217019231A KR 20210095171 A KR20210095171 A KR 20210095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 layer
group
hard
composition
spectacl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9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6091B1 (ko
Inventor
유카 이가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에시로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에시로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에시로루
Publication of KR20210095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09D183/08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B29D11/00884Spin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230/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 C08F230/08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4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boron, silicon,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4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4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boron, silicon,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4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2Ophthalmic lenses having special refractive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0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6Laminated or compound len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Eyeglass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하는 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경도가 우수한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인산기 및 설폰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적어도 1개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세인과, 금속 산화물 입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및 안경 렌즈
본 발명은,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및 안경 렌즈에 관한 것이다.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세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하드 코트제로서 유용하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5-224294호 공보
본 개시는, 인산기 및 설폰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적어도 1개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세인과, 금속 산화물 입자를 포함하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 1] 안경 렌즈의 일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대해 상술한다.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로서는, 인접하는 층(예를 들어, 프라이머층, 반사 방지막)과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경도가 우수한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이 요망된다. 본 실시형태의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이면, 상기 특성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하드 코트층은, 그 위에 반사 방지막을 배치했을 때의 내찰상성도 우수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란 그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치 및 상한치로서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하,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에 대해 상술한다.
<인산기 및 설폰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적어도 1개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인산기 및 설폰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이후, 간단히 「특정기」라고도 칭한다)를 적어도 1개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이후, 간단히 「특정 (메트)아크릴레이트」라고도 칭한다)를 포함한다.
한편,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특정기로서는, 인산기가 바람직하다.
특정 (메트)아크릴레이트 중에 있어서의 특정기의 수는 1 이상이면 되고, 2이상이어도 된다. 상한으로서는, 예를 들어, 5 이하로 할 수 있다.
특정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작용이어도, 다작용이어도 된다. 한편, 다작용이란, 특정 (메트)아크릴레이트가 2 이상의 특정기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인산기는, 이하 식으로 표시되는 기이다. *는,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설폰산기는, 이하 식으로 표시되는 기이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특정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식(A)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식(A) CH2=CRa-COO-La-X
Ra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La는, 헤테로원자(예를 들어, 산소 원자, 질소 원자, 황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2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2가의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1∼10이 바람직하다. 2가의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렌기, 알켄일렌기, 알킨일렌기, 아릴렌기, 및 이들 기의 조합을 들 수 있고,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알킬렌기(예를 들어, -O-알킬렌기-)가 바람직하다.
X는, 인산기 및 설폰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나타낸다.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세인>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세인을 포함한다.
라디칼 중합성기로서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기가 바람직하다.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기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일기, 스타이릴기, 및 바이닐기를 들 수 있다.
한편, (메트)아크릴로일기란,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를 의미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실세스퀴옥세인 화합물이란, 알콕시실레인, 클로로실레인, 및 실란올 등의 3작용성 실레인 화합물을 가수분해함으로써 얻어지는 식(B)로 표시되는 기본 골격을 갖는 실레인 화합물이다. 실세스퀴옥세인 화합물의 구조로서는, 랜덤 구조로 불리는 불규칙의 형태 외에, 래더 구조, 바구니형(완전 축합 케이지형) 구조, 및 불완전 바구니형 구조(바구니형 구조의 부분 개렬 구조체로서, 바구니형 구조로부터 규소 원자 중 일부가 결여된 구조나 바구니형 구조의 일부의 규소-산소 결합이 절단된 구조의 것)가 알려져 있다.
이하 식(B) 중, Rb는 유기기를 나타낸다.
식(B) Rb-SiO3/2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세인 화합물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랜덤 구조, 래더 구조, 바구니형 구조, 및 불완전 바구니형 구조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한 복수종의 구조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실세스퀴옥세인 화합물에 포함되는 라디칼 중합성기 당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하드 코트층의 경도가 보다 우수한 점에서, 30∼500g/eq.가 바람직하고, 30∼150g/eq.가 보다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세인 화합물은, 공지된 방법으로 합성해도 되고, 시판품을 이용해도 된다.
<금속 산화물 입자>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금속 산화물 입자를 포함한다.
금속 산화물 입자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금속 산화물 입자를 들 수 있다. 금속 산화물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Si, Al, Sn, Sb, Ta, Ce, La, Fe, Zn, W, Zr, In, 및 Ti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의 산화물의 입자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취급성의 점에서, 금속 산화물 입자를, Si를 포함하는 산화물의 입자(산화 규소 입자), Sn을 포함하는 산화물의 입자(산화 주석 입자), Zr을 포함하는 산화물의 입자(산화 지르코늄 입자), 또는, Ti를 포함하는 산화물의 입자(산화 타이타늄 입자)가 바람직하다.
한편, 금속 산화물 입자에는, 상기에 예시한 1종의 금속(금속 원자)만이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2종 이상의 금속(금속 원자)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Si(규소)는 반금속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Si를 금속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한다.
금속 산화물 입자의 평균 입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200nm가 바람직하고, 5∼30nm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이면,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중에서의 금속 산화물 입자의 분산 안정성이 보다 우수함과 함께, 경화물의 백색화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평균 입경은, 투과형 현미경으로 100개 이상의 금속 산화물 입자의 직경을 측정하고, 그들을 산술 평균하여 구한다. 한편, 금속 산화물 입자가 진원상이 아닌 경우, 장경을 직경으로 한다.
금속 산화물 입자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각종 작용기가 도입되어 있어도 된다.
<그 외 성분>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특정 (메트)아크릴레이트,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세인 화합물, 금속 산화물 입자)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작용 아크릴레이트)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하드 코트층의 인접하는 층에 대한 밀착성이 보다 우수하다, 하드 코트층 자체의 경도가 보다 우수하다, 및 하드 코트층의 크랙이 보다 억제된다, 중 적어도 1개의 효과가 얻어지는 점(이후, 간단히 「소정의 효과가 보다 우수한 점」이라고도 칭한다.)에서, 특정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세인의 어느 것과도 상이한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란, (메트)아크릴로일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이다. (메트)아크릴로일기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6개가 바람직하고, 2∼3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식(C)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식(C) CH2=CRc1-CO-Lc1-CO-CRc2=CH2
Rc1 및 Rc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Lc1은, 헤테로원자(예를 들어, 산소 원자, 질소 원자, 황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2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2가의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1∼10이 바람직하다. 2가의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렌기, 알켄일렌기, 알킨일렌기, 아릴렌기, 및 이들 기의 조합을 들 수 있고,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알킬렌기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렌기가 바람직하고, -O-(Lc2-O)m-으로 표시되는 기가 바람직하다. 한편, Lc2는, 알킬렌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를 나타낸다. m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1∼10의 정수가 바람직하고, 2∼5의 정수가 보다 바람직하다.
(식(1)로 표시되는 가수분해성 규소 화합물, 그의 가수분해물, 및 그의 가수분해 축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소정의 효과가 보다 우수한 점에서, 식(1)로 표시되는 가수분해성 규소 화합물, 그의 가수분해물, 및 그의 가수분해 축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후, 간단히 「가수분해성 규소 화합물류」로도 칭한다)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한편, 가수분해성 규소 화합물이란, 규소 원자에 가수분해성기가 결합한 화합물을 의도한다.
식(1) X-L-Si(R1)n(R2)3-n
X는, 에폭시기를 나타낸다.
에폭시기란, 이하의 식으로 표시되는 기이다. R3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및 프로필기)를 나타낸다. *는,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L은,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2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1∼10이 바람직하다. 2가의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렌기, 알켄일렌기, 알킨일렌기, 아릴렌기, 및 이들 기의 조합을 들 수 있고,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알킬렌기가 바람직하다.
R1은, 가수분해성기를 나타낸다. 가수분해성기는, Si(규소 원자)에 직결하여, 가수분해 반응 및/또는 축합 반응을 진행할 수 있는 기이다. 가수분해성기로서는, 예를 들어, 알콕시기, 수산기, 할로젠 원자, 아실옥시기, 알켄일옥시기, 및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를 들 수 있다.
R2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알킬기의 탄소수는, 1∼10이 바람직하다.
n은, 1∼3의 정수를 나타낸다. n은, 3이 바람직하다.
가수분해성 규소 화합물의 가수분해물이란, 가수분해성 규소 화합물 중의 가수분해성기가 가수분해되어 얻어지는 화합물을 의도한다. 한편, 상기 가수분해물은, 가수분해성기의 모두가 가수분해되어 있는 것(완전 가수분해물)이어도, 가수분해성기의 일부가 가수분해되어 있는 것(부분 가수분해물)이어도 된다. 즉, 상기 가수분해물은, 완전 가수분해물, 부분 가수분해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또한, 가수분해성 규소 화합물의 가수분해 축합물이란, 가수분해성 규소 화합물 중의 가수분해성기가 가수분해되어, 얻어진 가수분해물을 축합하여 얻어지는 화합물을 의도한다. 한편, 상기 가수분해 축합물로서는, 모든 가수분해성기가 가수분해되고, 또한 가수분해물이 모두 축합되어 있는 것(완전 가수분해 축합물)이어도, 일부의 가수분해성기가 가수분해되고, 일부의 가수분해물이 축합되어 있는 것(부분 가수분해 축합물)이어도 된다. 즉, 상기 가수분해 축합물은, 완전 가수분해 축합물,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 및 열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BASF사제 IRGACURE127, 184, 07, 651, 1700, 1800, 819, 369, 261, TPO, DAROCUR1173, 니혼 시베르 헤그너사제 에자큐어 KIP150, TZT, 닛폰 화약 주식회사제 카야큐어 BMS, 및 카야큐어 DMBI를 들 수 있다.
(용매)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용매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용매로서는, 물이어도, 유기 용매여도 된다.
유기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알코올계 용매, 케톤계 용매, 에터계 용매, 에스터계 용매, 탄화수소계 용매, 할로젠화 탄화수소계 용매, 아마이드계 용매, 설폰계 용매, 및 설폭사이드계 용매를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자외선 흡수제, 노화 방지제, 도막 조정제, 광안정제, 산화 방지제, 착색 방지제, 염료, 충전제, 및 내부 이형제 등의 여러 가지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전술한 각종 성분을 포함한다.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술한 성분을 일괄로 혼합해도 되고, 분할하여 단계적으로 각 성분을 혼합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가수분해성 규소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가수분해성 규소 화합물의 가수분해 반응 및 축합 반응을 진행시켜, 가수분해물 및/또는 가수분해 축합물을 제조한 후, 가수분해물 및/또는 가수분해 축합물과 다른 성분을 혼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특정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소정의 효과가 보다 우수한 점에서,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전체 고형분 (하드 코트층 구성 성분)에 대해서, 5∼30질량%가 바람직하고, 5∼2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전체 고형분 (하드 코트층 구성 성분)이란, 경화 처리에 의해 하드 코트층을 구성하는 성분이며, 전술한, 특정 (메트)아크릴레이트,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세인 화합물, 금속 산화물 입자,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가수분해성 규소 화합물류, 및 라디칼 중합 개시제 등이 해당하고, 용매는 고형분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성분이 액상이어도, 하드 코트층을 구성하는 성분이면, 고형분으로서 계산한다.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세인 화합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소정의 효과가 보다 우수한 점에서,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해서, 10∼60질량%가 바람직하고, 20∼5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금속 산화물 입자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소정의 효과가 보다 우수한 점에서,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해서, 10∼70질량%가 바람직하고, 25∼5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되는 경우,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소정의 효과가 보다 우수한 점에서,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해서, 1∼30질량%가 바람직하고, 3∼16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가수분해성 규소 화합물류가 포함되는 경우, 가수분해성 규소 화합물류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소정의 효과가 보다 우수한 점에서,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해서, 0.5∼30질량%가 바람직하고, 1∼1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가수분해성 규소 화합물류의 함유량을 산출할 때에는, 편의상, 그 화합물의 가수분해 전의 질량을 기준으로 산출한다.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라디칼 중합 개시제가 포함되는 경우,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소정의 효과가 보다 우수한 점에서,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해서, 0.05∼5질량%가 바람직하고, 0.1∼3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 산화물 입자의 함유량에 대한, 특정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의 질량비(특정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금속 산화물 입자의 함유량)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소정의 효과가 보다 우수한 점에서, 0.15∼0.80이 바람직하고, 0.20∼0.80이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 산화물 입자의 함유량에 대한,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세인의 함유량의 질량비(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세인의 함유량/금속 산화물 입자의 함유량)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소정의 효과가 보다 우수한 점에서, 0.60∼5.0이 바람직하고, 0.60∼1.00이 보다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세인의 함유량에 대한, 특정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의 질량비(특정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세인의 함유량)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소정의 효과가 보다 우수한 점에서, 0.10∼0.70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기재 상에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호적하게 이용된다. 기재로서는, 안경 렌즈 기재가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로서는, 플라스틱 기재가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 및 플라스틱 필름을 들 수 있다.
후단에서는, 일례로서,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 상에 상기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적용한 태양에 대해 상술한다. 한편, 후단에서는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를 이용한 경우에 대해 기술하지만, 이 태양으로 한정되지 않고, 기재(특히, 안경 렌즈 기재)이면 된다.
<안경 렌즈>
도 1은, 안경 렌즈의 일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안경 렌즈(10)는,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12)와,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12)의 양면 상에 배치된 하드 코트층(14)을 포함한다. 하드 코트층(14)은, 전술한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형성)된 층이다.
한편, 도 1에 있어서는, 하드 코트층(14)은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12)에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이 형태에는 제한되지 않고,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12)와 하드 코트층(14) 사이에 다른 층(예를 들어, 프라이머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즉, 하드 코트층(14)은,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12) 상에 직접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다른 층을 개재시켜 간접적으로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12)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12)의 양면에 하드 코트층(14)이 배치되어 있지만,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12)의 편면에만 하드 코트층(14)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 안경 렌즈(10)에 포함되는 각 부재에 대해 상술한다.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볼록면 및 오목면 모두 광학적으로 마무리하여, 소망의 도수에 맞추어 성형되는 피니시 렌즈를 들 수 있다.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를 구성하는 플라스틱(이른바,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계 수지, 싸이오유레테인계 수지, 알릴계 수지, 에피설파이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유레테인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폴리에터 설폰계 수지, 폴리4-메틸펜텐-1계 수지,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비스알릴카보네이트계 수지(CR-39), 및 폴리염화 바이닐계 수지를 들 수 있다.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취급성의 점에서, 1∼30mm 정도인 경우가 많다.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의 굴절률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는 투광성을 갖고 있으면 투명하지 않아도 되고,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하드 코트층)
하드 코트층은,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 상에 배치되는 층이고,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에 내찰상성을 부여하는 층이다.
하드 코트층은, 전술한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층이다.
하드 코트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전술한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 상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도막에 대해서 광조사 처리 등의 경화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한편, 도막을 형성한 후, 필요에 따라서, 도막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서, 가열 처리 등의 건조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예를 들어, 디핑 코팅법, 스핀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잉크젯 코팅법, 및 플로 코팅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핑 코팅법을 이용하는 경우,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를 침지하고, 그 후,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를 끌어올려 건조하는 것에 의해,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 상에 소정의 막 두께의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 상에 형성되는 도막의 막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소정의 하드 코트층의 막 두께가 되는 막 두께가 적절히 선택된다.
광조사 처리의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되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조건이 선택된다.
광조사 시의 광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자외선 및 가시광선을 들 수 있다. 광원으로서는, 예를 들어, 고압 수은등을 들 수 있다.
광조사 시의 적산 광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생산성 및 도막의 경화성의 점에서, 100∼3000mJ/cm2가 바람직하고, 100∼1500mJ/cm2가 보다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의 막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μm 이상이 바람직하고, 5μ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μm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막 두께의 상한은, 예를 들어, 30μm 이하로 할 수 있다.
상기 막 두께는 평균 막 두께이며, 그 측정 방법으로서는, 하드 코트층의 임의의 5점의 막 두께를 측정하고, 그들을 산술 평균하여 구한다.
프라이머층은, 기재와 하드 코트층 사이에 배치되는 층이고, 하드 코트층의 기재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층이다.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주로 수지가 사용된다.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유레테인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페놀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들 수 있다.
프라이머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소정의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서 경화 처리를 실시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0.3∼2μm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플라스틱 안경 렌즈는 도 1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플라스틱 안경 렌즈는, 하드 코트층 상에 배치되는 반사 방지막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반사 방지막은, 입사된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층이다. 구체적으로는, 400∼700nm의 가시 영역 전역에 걸쳐서, 낮은 반사 특성(광대역 저반사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반사 방지막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단층 구조여도, 다층 구조여도 된다.
반사 방지막으로서는, 무기 반사 방지막이 바람직하다. 무기 반사 방지막이란, 무기 화합물로 구성되는 반사 방지막이다.
다층 구조의 경우,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을 교대로 적층한 구조가 바람직하다. 한편, 고굴절률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타이타늄, 지르콘, 알루미늄, 니오븀, 탄탈럼, 또는 란타늄의 산화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저굴절률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카의 산화물을 들 수 있다.
반사 방지막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이온 빔 어시스트법, 및 CVD법 등의 건식법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관해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특정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애시드 포스포옥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포스머 M, 유니케미컬사제)(10질량부)와,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세인으로서 메타크릴계 실세스퀴옥세인(AC-SQTA-100, 도아 합성사제)(40질량부)과, 금속 산화물 입자로서 이산화 규소 나노입자 함유 나노텍 슬러리(CIK 나노텍사제: 이산화 규소 40질량%,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60질량%)(125질량부)와, 라디칼 중합 개시제 IRGACURE127(3중량부)을 혼합하여,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1을 얻었다.
수계 유레테인 디스퍼전(에바파놀 HA170, 닛카 화학사제, 고형분 농도 37질량%)(200질량부)에, 순수(289질량부),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10.6질량부), 계면활성제로서 L77(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제)(0.2중량부)과 L7604(다우·케미컬제)(0.2질량부)를 가하고 교반하여, 고형분 농도 14.8질량%의 프라이머 용액을 제작했다.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로서, 굴절률 1.60의 렌즈((주) 니콘·에실로르제: 니콘 라이트 3AS 생지 S-3.00D)를 이용했다.
상기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를 프라이머 용액에 침지하고, 그 후,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를 끌어올리고, 90℃에서 20분간 소성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했다.
다음에, 프라이머층 상에,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1(1.5mL)을 늘어뜨린 후, 스핀 코팅에 의해,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1이 도포된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를 1000rpm으로 10초간 회전시켰다. 다음에, 얻어진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를 90℃에서 10분간 가열한 후, 광원으로서 고압 수은등(100mW/cm2)을 이용하여, 도막에 대해서 UV 조사(적산 광량: 1.6J/cm2)하여, 하드 코트층을 형성했다.
한편,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의 다른 쪽의 표면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시하여,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의 양면에 하드 코트층을 배치한 하드 코트층 부가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층 부가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를 진공조 내에 설치된 회전하는 돔에 세팅하고, 진공조 내의 온도를 70℃로 가열하고, 압력이 1.0×10-3Pa이 될 때까지 배기했다. 다음에, 가속 전압 500V 및 가속 전류 100mA의 조건에서 Ar이온 빔 클리닝을 한쪽의 하드 코트층에 대해서 60초간 실시한 후, 클리닝한 하드 코트층 상에, 순차적으로, 제1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90λ, 제2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038λ, 제3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393λ, 제4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04λ, 제5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69λ, 제6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289λ, 및 제7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263λ로 적층하여, 반사 방지막을 형성했다. 한편, λ는 설계의 중심 파장으로 500nm로 했다.
또한, 다른 쪽의 하드 코트층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시하여, 하드 코트층 부가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의 양면에 반사 방지막을 형성하여, 반사 방지막 부가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안경 렌즈에 해당)를 얻었다.
<실시예 2∼8, 비교예 1>
후술하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하는 성분의 함유량(질량부)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순에 따라, 하드 코트층 부가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 및 반사 방지막 부가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안경 렌즈에 해당)를 얻었다.
한편, 표 1 중의 「ZrO2 입자」로서는, 산화 지르코늄 나노입자 졸(간토 덴카 공업사제, 산화 지르코늄 40질량%,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60질량%)을 이용했다.
또한, 표 1 중의 「가수분해성 규소 화합물류」로서는, 3-글라이시독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KBM403, 신에쓰 실리콘사제)을 이용했다.
또한, 표 1 중의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테트라에틸렌 글라이콜 다이아크릴레이트를 이용했다.
또한, 표 1 중의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IRGACURE127(BASF사제)을 이용했다.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하드 코트층 부가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 및 반사 방지막 부가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를 이용하여, 이하의 평가를 실시했다. 한편, 결과는, 후술하는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밀착성(1))
JIS-K5600에 준하여, 크로스컷 테이프 시험에 의해 하드 코트층의 밀착성을 평가했다.
즉, 나이프를 이용하여, 하드 코트층 부가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의 하드 코트층 표면에 1mm 간격으로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까지 도달하는 칼집을 넣어, 네모칸을 25개 형성했다. 다음에, 칼집을 넣은 하드 코트층 상에 스카치 테이프(3M사제)를 강하게 눌러 붙였다. 그 후, 하드 코트층 표면으로부터 60° 방향으로 재빠르게 스카치 테이프를 하중 4kg으로 인장하여, 박리시킨 후,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 상에 남아 있는 네모칸의 수를 세었다.
(밀착성(2))
JIS-K5600에 준하여, 크로스컷 테이프 시험에 의해 하드 코트층의 밀착성을 평가했다.
즉, 나이프를 이용하여, 반사 방지막 부가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의 반사 방지막 표면에 1mm 간격으로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까지 도달하는 칼집을 넣어 네모칸을 100개 형성했다. 다음에, 칼집을 넣은 반사 방지막 상에 스카치 테이프(3M사제)를 강하게 눌러 붙였다. 그 후, 반사 방지막 표면으로부터 60° 방향으로 재빠르게 스카치 테이프를 하중 4kg으로 인장하여, 박리시킨 후,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 상에 남아 있는 네모칸의 수를 세었다.
(내찰상성)
본스타 #0000 스틸 울(닛폰 스틸 울(주)제)로 2kg의 하중을 걸어, 반사 방지막 부가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 중의 하드 코트층 표면을 50왕복 마찰하고, 하드 코트층 표면(1cm×3cm)에 있어서 흠집난 정도를 육안으로 다음의 단계로 나누어 평가했다.
○: 우수하다(흠집은 관측되지 않는다)
△: 양호(30개 미만의 얕은 흠집이 관찰되지만 실용상 문제없다)
×: 불량(30개를 초과하는 흠집이 관찰되고, 실용상 문제가 있다)
(경도)
하드 코트층 부가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를 이용하여, 하드 코트층의 경도를 연필로 계측했다. 하드 코트층에 대해 대각선으로부터 연필을 파고들게 하여, 흠집이 난 경도 바로 전의 경도를, 그 막의 경도로 한다. 예를 들어, 8H에서 흠집이 나지 않지만, 9H에서 흠집이 났을 경우, 그 하드 코트층의 경도는 8H로 한다.
(크랙)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 부가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를 각각 3매씩 제작하고, 육안으로 하드 코트층에 크랙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3매 중, 크랙이 없는 하드 코트층 부가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의 수를 평가했다(표 1 중, 「X/3」은, 크랙이 없는 하드 코트층 부가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의 수를 X로서 나타낸다.).
표 1 중,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함유량(질량부)을 나타낸다.
표 1 중의 「막 두께(μm)」는, 하드 코트층의 막 두께를 나타낸다.
표 1 중, 「A/B」는, (B)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세인의 함유량에 대한, (A) 특정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의 질량비를 나타낸다.
표 1 중, 「A/C」는, (C) 금속 산화물 입자의 함유량에 대한, (A) 특정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의 질량비를 나타낸다.
표 1 중, 「B/C」는, (C) 금속 산화물 입자의 함유량에 대한, (B)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세인의 함유량의 질량비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성분을 포함하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프라이머층 및 반사 방지막과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높은 경도를 갖는 소망의 효과가 얻어짐이 확인되었다.
그 중에서도, 실시예 1∼2와 실시예 3∼4의 비교로부터, 금속 산화물 입자의 함유량에 대한,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세인의 함유량의 질량비가, 0.60∼1.00인 경우, 크랙이 보다 생기기 어려움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과 5 및 6의 비교로부터,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이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가수분해성 규소 화합물류를 포함하는 경우, 크랙이 보다 생기기 어려움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3과 실시예 7의 비교로부터, 금속 산화물 입자로서 SiO2 입자를 이용한 경우, 경도가 보다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8의 비교로부터, 특정 (메트)아크릴레이트가 인산기를 갖는 경우, 경도가 보다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10 안경 렌즈
12 플라스틱 안경 렌즈 기재
14 하드 코트층

Claims (10)

  1. 인산기 및 설폰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적어도 1개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세스퀴옥세인과,
    금속 산화물 입자를 포함하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실세스퀴옥세인의 어느 것과도 상이한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식(1)로 표시되는 가수분해성 규소 화합물, 그의 가수분해물, 및 그의 가수분해 축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추가로 포함하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식(1) X-L-Si(R1)n(R2)3-n
    X는, 에폭시기를 나타낸다. L은,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2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1은, 가수분해성기를 나타낸다. R2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n은, 1∼3의 정수를 나타낸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 입자의 함유량에 대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의 질량비가, 0.20∼0.80인,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 입자의 함유량에 대한, 상기 실세스퀴옥세인의 함유량의 질량비가, 0.60∼5.0인,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재 상에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로서,
    상기 기재가, 안경 렌즈 기재인,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7. 안경 렌즈 기재와,
    상기 안경 렌즈 기재 상에 배치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하드 코트층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의 막 두께가 10μm 이상인, 안경 렌즈.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상기 하드 코트층 사이에 배치되는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 상에 배치되는 반사 방지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
KR1020217019231A 2018-12-28 2019-12-12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및 안경 렌즈 KR102596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47236 2018-12-28
JP2018247236 2018-12-28
PCT/JP2019/048730 WO2020137588A1 (ja) 2018-12-28 2019-12-12 ハードコート層形成用組成物、眼鏡レン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171A true KR20210095171A (ko) 2021-07-30
KR102596091B1 KR102596091B1 (ko) 2023-10-30

Family

ID=7112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9231A KR102596091B1 (ko) 2018-12-28 2019-12-12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및 안경 렌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17336A1 (ko)
EP (1) EP3904462A4 (ko)
JP (1) JP7128907B2 (ko)
KR (1) KR102596091B1 (ko)
CN (1) CN113227263A (ko)
CA (1) CA3125081A1 (ko)
WO (1) WO20201375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19888A (ja) * 2021-07-30 2023-02-0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積層体、屋外用積層体、及びハードコート層形成材料
US20230124713A1 (en) * 2021-10-18 2023-04-20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Uv-curing resin compositions for hard coat applica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6634A (ja) * 2000-02-16 2001-08-21 Showa Denko Kk 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2007009079A (ja) * 2005-06-30 2007-01-18 Nagase Chemtex Corp 光学用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2015224294A (ja) 2014-05-28 2015-12-14 株式会社菱晃 硬化性樹脂組成物、その硬化物、光学部材及びコーティング物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9148B2 (ja) * 2002-03-28 2009-04-30 チッソ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用シール材料
JP2003335983A (ja) * 2002-05-22 2003-11-28 Sekisui Chem Co Ltd ハードコート組成物、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反射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4099752A (ja) * 2002-09-10 2004-04-02 Toray Ind Inc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8222848A (ja) * 2007-03-13 2008-09-25 Aica Kogyo Co Ltd 紫外線硬化型ハードコ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物
CN102863893B (zh) * 2012-09-10 2015-04-29 湖南松井新材料有限公司 紫外光固化涂料
JP6701690B2 (ja) * 2015-11-30 2020-05-27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ガラス基材被覆用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
JP6645316B2 (ja) * 2016-03-29 2020-02-14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硬化物及び積層体
KR102031660B1 (ko) * 2016-09-30 2019-10-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JP7002895B2 (ja) * 2016-09-30 2022-01-20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
CN110036312B (zh) * 2016-12-28 2021-08-06 株式会社尼康依视路 硬涂层形成用组合物及眼镜镜片
JP2018177951A (ja) * 2017-04-12 2018-11-15 株式会社ダイセル 硬化性組成物、硬化物及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8189800A (ja) * 2017-05-02 2018-11-29 株式会社ダイセル 曲面ディスプレイ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付き透明基板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412888B1 (ko) * 2017-05-12 2022-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JP2018193485A (ja) * 2017-05-18 2018-12-06 ナトコ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6634A (ja) * 2000-02-16 2001-08-21 Showa Denko Kk 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2007009079A (ja) * 2005-06-30 2007-01-18 Nagase Chemtex Corp 光学用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2015224294A (ja) 2014-05-28 2015-12-14 株式会社菱晃 硬化性樹脂組成物、その硬化物、光学部材及びコーティング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4462A4 (en) 2022-10-05
KR102596091B1 (ko) 2023-10-30
CA3125081A1 (en) 2020-07-02
JP7128907B2 (ja) 2022-08-31
EP3904462A1 (en) 2021-11-03
CN113227263A (zh) 2021-08-06
WO2020137588A1 (ja) 2020-07-02
JPWO2020137588A1 (ja) 2021-11-11
US20210317336A1 (en)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0289B1 (ko)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안경 렌즈
EP2718750B1 (en) Method for obtaining optical articles having superior abrasion resistant properties, and coated articles prepared according to such method
JP2006527402A (ja) 皮膜付き光学レンズの仮の最外皮膜層上に別の皮膜層を成膜もしくはそれにより該最外皮膜層を置換する方法
JP2009175500A (ja) 光学部材の製造方法
JP6480951B2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該コーティング組成物よりなるコート層を有する光学物品
KR102596091B1 (ko)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및 안경 렌즈
US20090232978A1 (en)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 Article
JP2020187188A (ja) 眼鏡レンズ
WO2017110522A1 (ja) ハードコート層形成用組成物、および、光学部材
KR20210148248A (ko) 안경 렌즈, 및 조성물
WO2023112703A1 (ja) 液状組成物、ハードコート層、眼鏡レンズ
CN107001673A (zh) 用溅射涂层改善粘附性的组合物和方法
CN115516343B (zh) 光学部件
JP2007025631A (ja) 光学部品の製造方法及び光学部品
WO2023243610A1 (ja) 眼鏡レンズ
WO2023127566A1 (ja) 膜、眼鏡レンズ、組成物
JP2010015006A (ja) 光学物品の製造方法及び光学物品
JP2007248998A (ja) 光学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