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492A - 브라이들 장치 및 강대의 사행 제어 방법 그리고 강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브라이들 장치 및 강대의 사행 제어 방법 그리고 강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492A
KR20210068492A KR1020217012482A KR20217012482A KR20210068492A KR 20210068492 A KR20210068492 A KR 20210068492A KR 1020217012482 A KR1020217012482 A KR 1020217012482A KR 20217012482 A KR20217012482 A KR 20217012482A KR 20210068492 A KR20210068492 A KR 20210068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trip
meandering
amount
bridle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0128B1 (ko
Inventor
다카시 도이
쇼지 가사이
데루히코 도베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8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68Camber or steering control for strip, sheets or plates, e.g. preventing mean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8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 B21B39/082Bridl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16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 B21C1/27Carriages; Drives
    • B21C1/30Drives, e.g. carriage-traversing mechanisms; Driving elements, e.g. drawing chains; Controlling th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5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tension or advance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5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tension or advance of the material
    • B21C47/3458Endlessly revolving chai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 B65H23/032Controlling transverse register of web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1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the working step(s) being of interest
    • C21D8/1222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7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involving a particular surfac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3/00Path parameters
    • B21B2273/04Lateral deviation, meandering, camber of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6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3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종래 (20 mpm 정도) 보다 빠른 라인 속도여도, 고규소 강대를 제조할 때에 발생하는 강대의 사행을 억제하여, 보다 고능률로 강대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 브라이들 장치 및 강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대를 협지하고, 회전 이동 가능한 상하 1 쌍의 무단 벨트 또는 캐터필러를 갖고, 스티어링 기구에 의해 강대 폭방향으로 이동 또는 요동 가능한 브라이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 1 쌍의 무단 벨트 또는 캐터필러에 의해, 상기 강대의 협지 부분을 압하하는 압하 기구를 추가로 갖고, 상기 강대의 사행량에 따라 정해지는 스티어링량 및 압하량에 기초하여, 상기 스티어링 기구는 상기 브라이들 장치를 강대 폭방향으로 이동 또는 요동시킴과 함께, 상기 압하 기구는, 강대 폭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단부를 압하하는 브라이들 장치.

Description

브라이들 장치 및 강대의 사행 제어 방법 그리고 강대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기체 침규법에 의한 고규소 강대의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브라이들 장치와, 본 발명의 브라이들 장치를 사용하여 강대의 사행 제어를 실시하는 강대의 사행 제어 방법 및 강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규소 강판을 공업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는 기체 침규법에 의한 제조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제조 방법은, Si 함유량이 비교적 낮은 강대를 가열하여 염화 규소 가스를 포함하는 무산화성 가스를 분위기 중에서 침규 처리함으로써 Si 를 침투시키고, 이어서 Si 를 판두께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 처리를 실시하고, 냉각 후 코일 형상으로 권취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연속 라인화하여, 고규소 강대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고규소 강대를 제조하기 위한 연속 침규 처리 설비는, 수평형의 연속로이며, 강대를 1000 ℃ 이상의 고온으로 처리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강대의 사행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연속 침규 처리 설비에 있어서의 침규 처리대에서는, 침규 반응에 의해 강대에 Si 가 첨가되는 데에 수반하여 강대의 격자 정수가 서서히 변화해 가고, 강대가 수축한다. 이 때문에, 강대 폭방향에서 Si 첨가량의 분포차가 있으면, 강대 폭방향에서의 수축차가 생기기 때문에, 강대 폭방향의 길이가 다르다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 결과, 강대에 부분적으로 캠버가 발생하고, 같은 온도로 저규소 강판을 통판시키는 경우에 비해, 강대의 사행량이 커져 버린다.
상기와 같은 문제에 대해,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의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고규소 강대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22707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19419호
그러나, 고규소 강대를 제조하는 연속 침규 처리 설비의 고능률화에 수반하여, 사행 교정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케이스가 발생하고 있다. 사행 교정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강대 폭방향의 이동량이나 요동량을 크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고규소 강대에 부여되는 비틀림이 커져, 강대 에지부의 균열을 일으키게 하여 최악의 경우에는 파단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종래 (20 mpm 정도) 보다 빠른 라인 속도여도, 고규소 강대를 제조할 때에 발생하는 강대의 사행을 억제하여, 보다 고능률로 강대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 브라이들 장치 및 강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한 결과, 침규 처리대의 출구에 배치하는 브라이들 장치에 대해, 종래의 폭방향으로 이동 혹은 요동하는 기술과 합쳐, 강대를 협지할 때의 폭방향의 압하량을 불균일하게 함으로써, 압하량이 높은 측으로 강대를 사행 수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높은 사행 수정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짐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상기 지견에 근거하는 것이며, 그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강대를 협지하고, 회전이동 가능한 상하 1 쌍의 무단 벨트 또는 캐터필러를 갖고, 스티어링 기구에 의해 강대 폭방향으로 이동 또는 요동 가능한 브라이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 1 쌍의 무단 벨트 또는 캐터필러에 의해, 상기 강대의 협지 부분을 압하하는 압하 기구를 추가로 갖고,
상기 강대의 사행량에 따라 정해지는 스티어링량 및 압하량에 기초하여,
상기 스티어링 기구는 상기 브라이들 장치를 강대 폭방향으로 이동 또는 요동시킴과 함께,
상기 압하 기구는, 강대 폭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단부를 압하하는 브라이들 장치.
[2] [1] 에 기재된 브라이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하 기구는, 상기 강대의 사행 방향과 반대 방향의 압하량이 높아지도록, 강대 폭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단부를 압하하는 브라이들 장치.
[3] 상기 스티어링량에 대한 상기 압하량의 비율을, 1.5 ∼ 2.5 배로 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브라이들 장치.
[4]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브라이들 장치를 사용하여 강대의 사행을 제어하는 강대의 사행 제어 방법.
[5]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브라이들 장치를 사용하여 강대를 제조하는 강대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보다 빠른 라인 속도여도, 고규소 강대를 제조할 때에 발생하는 강대의 사행을 억제하여, 보다 고능률로 강대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고규소 강대의 침규 처리를 실시하는 연속 침규 처리 설비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브라이들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브라이들 장치의 스티어링 기구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브라이들 장치에 있어서의, 압하 기구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와 유지 기구의 제어 플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브라이들 장치에 있어서의, 유지 기구에 의한 압하량 제어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도 5(a) 는 강대의 사행이 발생하고 있지 않는 경우의 브라이들 장치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 도 5(b) 는 강대의 사행이 발생하고 있지 않는 경우의 강대 폭방향의 압력의 분포도, 도 5(c) 는 강대가 조작측 (OP 측) 으로 사행했을 때에 구동측 (DR 측) 의 압력이 높아지도록 한 경우의 브라이들 장치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 도 5(d) 는 강대가 조작측 (OP 측) 으로 사행했을 때에 구동측 (DR 측) 의 압력이 높아지도록 한 경우의 강대 폭방향의 압력의 분포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브라이들 장치에 있어서의, 스티어링량과 압하량의 제어 방안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강대가 사행한 상태로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사행이 교정되는 상황을 각 제어 패턴 마다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라인 속도와 강판 사행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은, 고규소 강대의 침규 처리를 실시하는 연속 침규 처리 설비의 개략도이다. 이 연속 침규 처리 설비는 수평형의 연속로 (A) 로 구성되어 있고, 통상, 노 내는 입측으로부터 차례로 가열대 (1), 침규대 (2), 확산 균열대 (3), 냉각대 (4)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속로 (A) 에서는, 노 내에 도입된 강대 (S) 를 통판시켜 (도 1 에 있어서의 화살표는 강대 (S) 의 통판 방향), 가열대 (1) 로 침규 처리 온도 (1023 ∼ 1200 ℃) 또는 그 근방까지 가열한 후, 침규대 (2) 에 있어서 SiCl4 등의 염화 규소 가스를 포함하는 처리 가스와 접촉시킨다. 통상, 가스 노즐로부터 강대의 양면에 처리 가스를 분사함으로써 강대 (S) 표면에 Si 를 침투시키고, 이어서 확산 균열대 (3) 에 있어서 Si 를 판두께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 열처리를 실시한 후, 냉각대 (4) 로 강대 (S) 를 냉각시켜 침규 처리를 종료하고, 노 출측으로부터 도출시킨다. 본 발명의 브라이들 장치는, 연속로 (A) 의 출측, 즉 냉각대 (4) 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브라이들 장치는, 강대를 협지하고, 회전이동 가능한 상하 1 쌍의 무단 벨트 또는 캐터필러와, 상부의 무단 벨트 또는 상부의 캐터필러를 유지하고, 또한 강대를 압하하기 위한 유지 기구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브라이들 장치는, 스티어링 기구에 의해 회전하는 상하 1 쌍의 무단 벨트 또는 캐터필러의 일부가 강대 패스 라인 상에서 강대 폭방향으로 이동 (수평 이동) 하도록 가이드되고, 이 수평 이동부를 강대 양면에 면 접촉시키면서 강대를 협지한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브라이들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브라이들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 에 있어서, 브라이들 장치 (5) 는 강대 (S) 를 협지하는 상하 1 쌍의 캐터필러체 (6a, 6b) 와, 상부 캐터필러체 (6a) 를 유지하고 또한 강대 (S) 를 압하하기 위한 유지 기구 (7) (실린더 장치 등) 와 상하 1 쌍의 캐터필러체 (6a, 6b) 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 (도시 생략) 를 구비하고 있다. 상하의 각 캐터필러체 (6a, 6b) 는, 다수의 사각 형상의 세그먼트 (8) 를 연결한 체인 벨트 (9) 에 의해 구성되고, 그 각 내측에는 체인 벨트 (9) 를 유지하기 위한 환상의 가이드 기구 (10) (도 2 에서는, 하부 캐터필러체 (6b) 에 대해서만 가이드 기구 (10) 를 나타낸다.)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캐터필러체 (6a, 6b) 내측의 일방의 단에는 체인 벨트 (9) 를 구동하는 스프로킷 휠 (11)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캐터필러체 (6a, 6b) 는, 이 스프로킷 휠 (11) 에 의해 구동되고, 환상의 가이드 기구 (10) 를 따라 순환 이동한다. 또, 각 세그먼트 (8) 의 상면에는 고무 피복층 (도시하지 않음)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라이들 장치 (5) 본체는 프레임 (13)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환상의 가이드 기구 (10) 는, 캐터필러 둘레 방향 중 강대 협지부를 직선상으로, 또 그 이외의 부분을 호상 등의 적절한 형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이로써 상하의 캐터필러체 (6a, 6b) 의 강대 핀치부는, 복수의 세그먼트 (8) 가 단부 끼리를 접촉시켜 수평상으로 이동하고, 이 수평 이동부 (12) 로 강대 (S) 를 협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 브라이들 장치 (5) 로 강대 (S) 를 면 접촉에 의해 확실하게 협지하고, 이로써 강대 (S) 를 굽히는 일 없이 강대 (S) 의 반송 및 장력 분리 기능을 완수할 수 있다.
또, 브라이들 장치 (5) 는, 강대 패스 라인에 대해, 강대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것이 브라이들 장치 (5) 의 스티어링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브라이들 장치의 스티어링 기구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브라이들 장치 (5) 의 스티어링 기구는, 프레임 (13) 내에 내장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브라이들 장치 (5) 는, 강대 패스 라인에 대해, 강대 폭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14) (가이드 레일등) 에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 가이드 (14) 는, 연속로측의 가상점 (P) 을 중심으로 한 원호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가이드 (14) 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 브라이들 장치 (5) 는, 강대 패스 라인에 있어서, 강대 폭방향 (수평 방향) 으로, 가상점 (P) 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상으로 이동 또는 요동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라이들 장치 (5) 의 직후에는 강대 (S) 의 사행 검출 장치 (15) (예를 들어, 투수광기를 구비한 위치 검출기)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사행 검출 장치 (15) 에 의해 강대 (S) 의 사행을 검출했을 때, 스티어링 기구는, 브라이들 장치 (5) 를 강대 (S) 의 폭방향에서 이동시키는 스티어링을 실시하여, 사행을 수정한다. 즉, 브라이들 장치 (5) 는 상하의 캐터필러체 (6a, 6b) 로 강대 (S) 를 협지한 채로 강대 폭방향에 있어서 강대 사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강대 (S) 의 사행을 수정한다. 또한, 스티어링량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스티어링량 및 압하량에 기초하여, 강대 (S) 의 사행을 제어한다. 또, 브라이들 장치 (5) 의 강대 패스 라인 폭방향에서의 이동 궤적은, 도 3 과 같은 원호상이 아니라 강대 패스 라인과 직행하는 직선상 혹은 도 3 과 역방향의 원호상이어도 되고, 이들의 경우에는 각각의 이동 궤적에 따라 가이드 (14) 의 구성이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의 브라이들 장치 (5) 의 강대 패스 라인 상의 이동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장치 (예를 들어 실린더 장치 등) 의 구동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 도 2 및 3 에서는, 강대 (S) 의 협지 수단이 상하 캐터필러체인 장치를 나타냈지만, 이와 같은 상하 캐터필러체 대신에, 상하의 무단 벨트를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브라이들 장치는, 상하 1 쌍의 무단 벨트 또는 캐터필러에 의해, 강대의 협지 부분을 압하하는 압하 기구를 추가로 갖고, 강대의 사행량에 따라 정해지는 스티어링량 및 압하량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기구는 브라이들 장치를 강대 폭방향으로 이동 또는 요동시킴과 함께, 압하 기구는, 강대의 사행 방향과 반대 방향의 압하량이 높아지도록, 강대 폭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단부를 압하한다. 이로써, 종래의 폭방향으로 이동 혹은 요동하는 스티어링 기구의 기술과 합쳐, 압하 기구에 의해 강대를 협지할 때의 강대 폭방향의 압하량을 불균일하게 함으로써, 압하량이 높은 측으로 강대를 사행 수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종래보다 빠른 라인 속도여도, 보다 높은 사행 수정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 는, 본 발명의 브라이들 장치에 있어서의, 압하 기구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와 유지 기구의 제어 플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브라이들 장치 (5) 는, 강대를 협지할 때의 상부 캐터필러 (6a) 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압하 기구 (16) 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캐터필러 (6a) 를 승강시키는 유압 실린더 (16a, 16b) 를, 강대 폭방향의 양측에 갖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압 실린더 (16a, 16b) 를 조작하여, 압하 제어를 실시한다. 즉, 강대 폭방향의 일방의 유압 실린더 (16a) 의 압력과, 다른 일방의 유압 실린더 (16b) 의 압력을 상이한 압력으로 함으로써, 강대 폭방향으로 강대 (S) 를 불균일하게 압하한다. 또한, 유압 실린더 (16a, 16b) 는, 모터 (16c) 에 접속되어 있고, 모터 (16c) 에 의해 압력량은 적절히 조정된다. 또한, 구동축 (17) 은 모터 (16c) 와 접속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브라이들 장치 (5) 의 직후에 형성된 강대 (S) 의 사행 검출 (CPC) 장치 (14) 에 의해 강대 (S) 의 사행을 검출했을 때, 이 사행을 수정하도록, 스티어링량 및 압하량의 밸런스 조정을 실시하여, 사행을 수정한다. 요컨대, 사행 검출 장치 (14) 에 의해 검출된 사행량에 기초하여, PLC 상에서 후술하는 제어 방안에 따라서, 스티어링량과 압하량 (압력 밸런스) 을 자동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한 스티어링량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기구는 브라이들 장치를 강대 폭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결정한 압하량에 기초하여 압하 기구는 강대를 압하한다.
압하 제어에 대해, 구체적으로는 압하 기구, 즉 유압 실린더를 조작함으로써 압하 제어를 실시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브라이들 장치에 있어서의, 유지 기구에 의한 압하량 제어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예를 들어, 일방의 유압 실린더 (16a) 의 압력을 1 로 했을 경우에, 다른 일방의 유압 실린더 (16b) 의 압력을 0.6 ∼ 1.5 의 범위로 하여, 유압 실린더 (16a, 16b) 의 압력을 각각 제어했을 경우의 모식도이다.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대 (S) 의 사행이 발생하고 있지 않는 경우, 도 5(b) 에 나타내는 그래프와 같이, 강대 폭방향에 있어서 균일한 압력이 되도록 상하 캐터필러 (6a, 6b) 는 강판을 협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5(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대 (S) 가 조작측 (OP 측) 으로 사행했을 경우, 구동측 (DR 측) 으로 사행을 교정하기 위해서, DR 측의 압력이 높아지도록 유압 실린더를 조정한다. 도 5(d) 의 그래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력차를 최대로 부여한 경우에는, OP 측은 0.6 ㎫ 가 되고, DR 측은 1.5 ㎫ 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강대 (S) 의 사행량에 따라, 각각의 유압 실린더의 압하량 (압력 밸런스) 을 자동으로 변경하고, 강대 (S) 를 협지할 때에 강대 (S) 에 가해지는 압력을, 강대 폭방향에서 불균일하게 하는, 구체적으로는, 강대 폭방향에 있어서, 강대의 사행 방향의 반대 방향의 압하량이 높아지도록 강대 폭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단부를 압하함으로써, 사행 교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도 6 에, 본 발명의 제어 방안의 일례를 나타낸다. 종래의 브라이들 장치에서는, 강대 (S) 의 사행량에 대해, 스티어링량만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제어 방안이 되고 있다 (도 6 의 실선). 도 6 의 경우, ±30 ㎜ 의 사행량이 생겼을 경우에, 스티어링량이 최대가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스티어링량에 더하여, 강대 폭방향의 압력 밸런스 (압하량) 를 변경함으로써 사행을 교정하는 기능을 추가하고 (도 6 의 파선), 예를 들어 사행량이 ±15 ㎜ 일 때에 압력 밸런스가 폭방향으로 최대가 되도록 제어를 실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어 방안에 대해, 스티어링량에 대한 압하 밸런스의 비율에 대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도 1 에 나타내는 연속 침규 처리 설비로, 판두께 : 0.1 ㎜, 판폭 : 640 ㎜ 의 강대 (S) 를 침규 처리하였다 (라인 속도 : 30 mpm, 라인 장력 : 0.1 ㎏/㎟). 표 1 에 나타내는 스티어링량과 압하 밸런스 (5 개의 패턴) 에 의해 사행 교정을 실시하였다. 스티어링량과 압하 밸런스의 관계, 및 사행 교정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표 1 내의 강판 사행량은, 도 6 의 가로축에 해당하는 숫자이다. 또, 사행량의 평가는 표 1 란 외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Figure pct00001
(1) 은, 강판 사행량에 따라 변화하는 스티어링량의 기울기에 대해, 압력 밸런스의 기울기가 1 : 1 로 변화하는 패턴이다. 즉, (1) 에서 (5) 로 됨에 따라서, 스티어링량에 대한 압력 밸런스가 커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표 1 내에 기재된 각 비율은, 스티어링량이나 압력 밸런스의 출력% 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에, 표 1 에서 나타내는 각 패턴에서의 강대 (S) 의 사행 교정시의 이미지도를 나타낸다. 도 7 은, 강대 (S) 가 사행한 상태로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사행이 교정되는 상황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각 제어 패턴 마다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패턴 (2), (3), (4) 의 경우와 같이, 스티어링량에 대한 압력 밸런스의 비율을 1.5 ∼ 2.5 배의 범위 내가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강대 (S) 의 사행을 효과적으로 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5 배 미만인 경우, 사행량이 작으면 (사행량 ≤ ±10 ㎜), 압력 밸런스의 출력이 작아진다. 그 때문에, 사행 발생시의 교정 능력이 작고, 사행 교정까지에 시간이 걸린다. 한편, 2.5 배 초과하는 경우, 적은 사행량으로도 압력 밸런스의 출력이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압력 밸런스의 헌팅이 발생하여, 장치 자체가 사행의 발생원이 되어 버린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티어링량에 대한 압하량의 비율을 1.5 ∼ 2.5 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브라이들 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폭방향으로 이동 혹은 요동하는 스티어링 기구의 기술과 합쳐, 압하 기구에 의해 강대를 협지할 때의 강대 폭방향의 압하량을 불균일하게 함으로써, 압하량이 높은 측으로 강대를 사행 수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종래보다 빠른 라인 속도여도, 강대를 제조할 때에 발생하는 강대의 사행을 억제하여, 보다 고능률로 강대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브라이들 장치를 적용한 고규소 강대의 제조 설비와, 종래의 브라이들 장치를 적용한 고규소 강대의 제조 설비에 있어서, 각각 고규소 강대의 제조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판두께 0.1 ㎜, 판폭 640 ㎜ 의 3 % Si 강대를 침규 처리하여, 6.5 % Si 강대를 제조하였다. 또, 장력 부여 수단인 댄서 롤에 의해 강대의 노 내 장력을 0.1 ㎏/㎟ 로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브라이들 장치 (압하 밸런스 유) 와 종래의 브라이들 장치 (압하 밸런스 무) 의 경우에 있어서의, 제조시의 라인 속도에 대한 강판 사행량 (스티어링 이동량) 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도 8 에 나타낸다.
종래의 브라이들 장치에서는 라인 속도가 40 mpm 정도에서 사행이 발생하고, 사행량이 제조 불가 레벨까지 증가하여, 제조를 계속할 수 없게 되어 버렸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브라이들 장치에서는 라인 속도가 50 mpm 에서도 사행량은 허용 범위 내로 되어, 제조를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1 : 가열대
2 : 침규대
3 : 확산 균열대
4 : 냉각대
5 : 브라이들 장치
6a : 상부 캐터필러체
6b : 하부 캐터필러체
7 : 유지 기구
8 : 세그먼트
9 : 체인 벨트
10 : 가이드 기구
11 : 스프로킷 휠
12 : 수평 이동부
13 : 프레임
14 : 가이드
15 : 사행 검출 장치
16 : 압하 기구
16a : 유압 실린더
16b : 유압 실린더
16c : 모터
17 : 구동축
A : 연속로
P : 가상점
S : 강대

Claims (5)

  1. 강대를 협지하고, 회전이동 가능한 상하 1 쌍의 무단 벨트 또는 캐터필러를 갖고, 스티어링 기구에 의해 강대 폭방향으로 이동 또는 요동 가능한 브라이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 1 쌍의 무단 벨트 또는 캐터필러에 의해, 상기 강대의 협지 부분을 압하하는 압하 기구를 추가로 갖고,
    상기 강대의 사행량에 따라 정해지는 스티어링량 및 압하량에 기초하여,
    상기 스티어링 기구는 상기 브라이들 장치를 강대 폭방향으로 이동 또는 요동시킴과 함께,
    상기 압하 기구는, 강대 폭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단부를 압하하는 브라이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하 기구는, 상기 강대의 사행 방향과 반대 방향의 압하량이 높아지도록, 강대 폭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단부를 압하하는 브라이들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량에 대한 상기 압하량의 비율을, 1.5 ∼ 2.5 배로 하는 브라이들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브라이들 장치를 사용하여 강대의 사행을 제어하는 강대의 사행 제어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브라이들 장치를 사용하여 강대를 제조하는 강대의 제조 방법.
KR1020217012482A 2018-11-02 2019-10-16 브라이들 장치 및 강대의 사행 제어 방법 그리고 강대의 제조 방법 KR102530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07075 2018-11-02
JP2018207075 2018-11-02
PCT/JP2019/040557 WO2020090453A1 (ja) 2018-11-02 2019-10-16 ブライドル装置および鋼帯の蛇行制御方法ならびに鋼帯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492A true KR20210068492A (ko) 2021-06-09
KR102530128B1 KR102530128B1 (ko) 2023-05-08

Family

ID=70464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482A KR102530128B1 (ko) 2018-11-02 2019-10-16 브라이들 장치 및 강대의 사행 제어 방법 그리고 강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73174B2 (ko)
EP (1) EP3858770A4 (ko)
JP (1) JP6773250B1 (ko)
KR (1) KR102530128B1 (ko)
CN (1) CN112996930A (ko)
RU (1) RU2771056C1 (ko)
WO (1) WO20200904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5070B2 (en) * 2016-09-15 2020-12-29 Jdc, Inc. Device for applying coiling-tension to a slit band sheet
CN114543512B (zh) * 2022-04-01 2023-09-29 宁波依司特加热设备有限公司 一种钢带炉钢带纠偏方法、系统、控制终端及存储介质
CN114825182A (zh) * 2022-04-21 2022-07-29 长缆电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缆转弯半径可调的电缆敷设设备
CN114914455B (zh) * 2022-05-16 2024-04-16 荣烯新材(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集流体箔片表面微造型装置以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7078A (ja) 1986-03-28 1987-10-06 Nippon Kokan Kk <Nkk> 連続ラインにおける高珪素鋼帯の製造方法
JPH082759A (ja) * 1994-06-15 1996-01-09 Yodogawa Steel Works Ltd 金属ストリップ用の送給制御装置
JPH10219419A (ja) 1997-02-10 1998-08-18 Nkk Corp 高珪素鋼帯の連続製造方法および設備
JP2006257493A (ja) * 2005-03-17 2006-09-28 Jfe Steel Kk 連続ラインにおける金属帯の蛇行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044367A1 (ru) 1982-08-05 1983-09-30 Институт черной металлургии Нат 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тана холодной прокатки сдвоенных полос
JPS59193704A (ja) * 1983-04-19 1984-11-02 Kawasaki Steel Corp 圧延方法及びその設備
SU1355635A1 (ru) 1985-07-04 1987-11-30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Г-4585 Установка дл термомеханического упрочнени изделий
JPH1143248A (ja) 1997-07-25 1999-02-16 Plus Seiki Kk ウェブライン蛇行調整装置
ES2203253T3 (es) * 1998-11-11 2004-04-01 Norbert Umlauf Sistema de arrastre en dispositivos para tirar de, o frenar, bandas metalicas.
JP3421718B2 (ja) * 2001-08-09 2003-06-3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スキンパスミルにおける蛇行防止方法
RU2004113028A (ru) 2004-04-27 2005-10-27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ово-Краматорский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ный завод" (UA)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межклетевого натяжения полосы при горячей прокатке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EP2933032B1 (en) * 2012-12-12 2019-07-17 JFE Steel Corporation Device for preventing steel plate meandering in vertical looper and method for preventing meandering of steel plate
US9242284B2 (en) * 2013-03-15 2016-01-26 Norbert Umlauf Method and apparatus for straightening metal bands
DE102016104182B4 (de) 2016-03-08 2017-10-26 Muhr Und Bender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ransportieren von metallischem Langmateri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7078A (ja) 1986-03-28 1987-10-06 Nippon Kokan Kk <Nkk> 連続ラインにおける高珪素鋼帯の製造方法
JPH082759A (ja) * 1994-06-15 1996-01-09 Yodogawa Steel Works Ltd 金属ストリップ用の送給制御装置
JPH10219419A (ja) 1997-02-10 1998-08-18 Nkk Corp 高珪素鋼帯の連続製造方法および設備
JP2006257493A (ja) * 2005-03-17 2006-09-28 Jfe Steel Kk 連続ラインにおける金属帯の蛇行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58770A1 (en) 2021-08-04
JP6773250B1 (ja) 2020-10-21
RU2771056C1 (ru) 2022-04-25
KR102530128B1 (ko) 2023-05-08
US20220001429A1 (en) 2022-01-06
EP3858770A4 (en) 2021-08-04
CN112996930A (zh) 2021-06-18
US11673174B2 (en) 2023-06-13
JPWO2020090453A1 (ja) 2021-02-15
WO2020090453A1 (ja)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68492A (ko) 브라이들 장치 및 강대의 사행 제어 방법 그리고 강대의 제조 방법
JP5399076B2 (ja) シート状製品の硬さを調整する方法
JP6450608B2 (ja) 加熱方法及び加熱装置並びにプレス成形品の作製方法
KR20140050552A (ko) 금속 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052668A (ko) 코일강판 연속열처리장치
JPWO2018150585A1 (ja) 板反り矯正装置、溶融金属めっき設備、板反り矯正方法
AU5980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ension to be exerted on metal strip in continuous annealing furnace
JP4373883B2 (ja) 高周波熱処理方法及び高周波熱処理装置
KR20160095172A (ko) 라미네이터
KR101739862B1 (ko)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조용 소둔로의 스트립 장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8381788B2 (e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heet with cords
WO2020110442A1 (ja) 加工装置及び加工装置の制御方法
WO2016009478A1 (ja) 帯鋸の熱処理加工装置
JP3209131B2 (ja) 高珪素鋼帯の連続製造方法および設備
KR101343444B1 (ko) 롤러를 이용한 원단의 좌우장력 자동 균형 맞춤장치
JP2005067000A (ja) シート・フィルムの縦延伸装置
JP2001219201A (ja) 熱間幅圧下プレスにおける材料センタリング装置および方法
JP4537513B2 (ja) 紫外線照射表面加工装置
JP2015182121A (ja) 長尺材のロール曲げ装置及び曲げ加工方法
KR102382246B1 (ko) 세퍼레이터 필름 제조 장치 및 세퍼레이터 필름의 제조 방법
RU276912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заготовки
JPH0538515A (ja) 厚鋼板の強制冷却方法及びその装置
NZ200220A (en) Controlling transport speed of hot glass sheets
JP2007204193A (ja) 鋼帯の連続通板ラインにおける蛇行矯正方法および装置
JP6692431B2 (ja) 鋼板の熱処理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