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122A -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그 응용 - Google Patents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그 응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122A
KR20210057122A KR1020217010628A KR20217010628A KR20210057122A KR 20210057122 A KR20210057122 A KR 20210057122A KR 1020217010628 A KR1020217010628 A KR 1020217010628A KR 20217010628 A KR20217010628 A KR 20217010628A KR 20210057122 A KR20210057122 A KR 20210057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parts
lethargy
functional food
foo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우 청 장
소 노르 셀리 렁
Original Assignee
소 노르 셀리 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 노르 셀리 렁 filed Critical 소 노르 셀리 렁
Publication of KR20210057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5Foeniculum (fenn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6Ligusticum (licorice-r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2Juglandaceae (Walnu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9Arecaceae, Palmae or Palmaceae (Palm family), e.g. date or coconut palm or palmett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iabet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의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그 응용에 관한 것이다. 질량부 계산에 따라, 제조되는 그 조성물에 필요한 원료는 아래를 포함함: 민들레 5질량부 ~ 40질량부, 인경채류 10질량부 ~ 120질량부, 향신채류 10질량부 ~ 100질량부, 과일 8질량부 ~ 16질량부. 그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함: 민들레, 인경채류, 향신채류 등 원료를 분쇄, 혼합하여, 고체 혼합물을 획득한다; 고체 혼합물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침출하고, 여과하여 침출액을 획득한다; 침출액에 대해 농축을 진행하여 농축액을 획득한다; 에탄올 농축액을 첨가하여 침전시켜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제액을 획득한다; 정제액에 대해 포매 처리하여, 추출액을 획득한다; 추출액을 냉동 건조 처리하여,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냉동 건조 분말을 획득한다. 이 방법으로 제조하여 획득한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호르몬, 명백한 독성 및 부작용을 가지지 않고, 무기력증을 개선하고, 보신장양의 효과가 있다. 제조하여 획득한 그 조성물은 보건류의 제품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그 응용
본 발명은 건강기능식품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종의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그 응용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의 생활 리듬이 부단히 빨라짐에 따라, 업무와 생활 스트레스가 부단히 증가하고 있어, 서브헬스(sub-health) 상태에 처한 사람들 또한 부단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남성의 경우, 중년에 이르게 되면, 체력이 모자라고, 간과 신장이 음허(陰虛, 음액이 부족하여, 열이 오르고 대변이 굳으며 입안이 건조함)하고, 신장이 양허(陽虛, 양기가 부족하여 얼굴이 창백하고 손발이 차고 대변이 묽고 맥이 허약함)하는 등의 증상이 종종 발생한다. 이는 환자에게 극도로 큰 정신적 스트레스를 가져오고, 심지어 정상적인 가정 생활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이 때문에, 환자는 종종 약물의 도움을 찾게 된다.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는 보신장양(신장, 성기능을 보강하고 양기를 증진시킴)류의 약물은 그 종류가 많으나, 대부분 성호르몬을 함유하거나, 명백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어, 장기간 복용할 경우 약물 의존을 야기하고, 심지어 신체 건강을 해치게 된다.
이에 따르면, 명백한 독성 및 부작용이 없고, 무기력증 개선, 보신장양 효과의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 밖에,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 응용을 더 제공한다.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질량부 계산에 따라, 제조되는 상기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원료는, 민들레 5질량부 ~ 40질량부, 인경채류(bulb vegetable) 10질량부 ~ 120질량부, 향신채류 10질량부 ~ 100 질량부, 과일 8질량부 ~ 16 질량부; 를 포함하고, 그중, 상기 인경채류는 파, 양파 및 마늘 중 적어도 한가지 종류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향신채류는 부추, 셀러리(Apium graveolens) 및 고수(Coriander) 중 적어도 한가지 종류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과일은 포도, 블루베리, 까막까치밥(blackcurrant), 레몬, 귤, 오렌지, 여지(litchi), 앵두, 용안(Dimocarpus longan Lour), 딸기, 파인애플, 야자, 화룡과(pitaya), 야콘(yacon), 두리안(durian), 노니(noni), 황금과(Solanum mammosum L.) 및 토마토 중 적어도 한가지 종류로부터 선택된다.
상술한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원료는 모두 흔히 보이는 야채나 과일로부터 선택된 것으로, 성호르몬을 함유하지 않고, 명백한 독성 및 부작용이 없으며; 발명자는 임상실험을 통해 상술한 원료로부터 제조획득되는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무기력증 개선, 보신장양의 효과를 구비하였음을 입증하였다.
그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질량부 계산에 따라, 제조되는 상기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원료는, 0질량부 ~ 6질량부의 식용 종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용 종자는 구기자, 여감자(Phyllanthus emblica), 사극(sea buckthorn), 귀리, 타타르 메밀(Hippophae rhamnoides L.), 낫토, 상심자(Fructus Mori Albae), 호두알, 참깨, 모란화 종자, 패션프루트(passionfruit), 아몬드알, 복숭아 종자, 홍화 종자(Safflower seed), 들깨(Perillafrutescens) 종자, 호박 종자, 여주(Momordica charantia Linnaeus) 종자, 잣, 모링가(moringa) 종자, 마카(Lepidium meyenii) 종자, 옐로우 오크라 종자,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 카카오 콩 및 커피 콩 중 적어도 한종류로부터 선택된다.
그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질량부 계산에 따라, 제조되는 상기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원료는, 0질량부 ~ 6질량부의 차 종자 금화균(tea seed Eurotium cristatum) 및 0질량부 ~ 6질량부의 송화 가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질량부 계산에 따라, 제조되는 상기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원료는, 0질량부 ~ 6질량부의 향신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향신료는 생강, 육계, 회향(fennel), 팔각, 후추, 향과(천궁, Ligusticum chuanxiong Hort.), 산초 및 정향 중 적어도 한종류로부터 선택된다.
상술한 임의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보건 약물, 보건 음료 또는 초콜렛 중의 제조에의 응용이다.
그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원료를 분쇄, 혼합한 후, 정제수 중에 70℃~80℃에서 침출 처리하여, 침출액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침출 처리의 단계 이후에, 상기 침출액을 상대 밀도 1.18~1.20까지 농축하여, 농축액을 획득하는 단계; 0.3%~6%의 농축액 부피의 포매제(embedding agent)를 첨가하여 포매 처리하여, 추출액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농축 시의 역삼투압은 30kg/cm²~ 150kg/cm²이고, 상기 포매제는 β-시클로덱스트린 또는 다공 전분이다.
그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농축 처리 단계 이후, 상기 포매 처리의 단계 이전에, 3배 농축액 부피의 에탄올 용액을 첨가하여 침전시켜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제액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탄올 용액 중의 에탄올의 부피 백분함량은 70%보다 높다.
그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매 처리 단계 이후에, -70˚C~-35˚C의 온도에서, 상기 추출액을 냉동 건조하여 냉동 건조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은 실시예 방식의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래에서는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 전면으로 설명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많은 서로 다른 형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고,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이러한 실시예를 제공하는 목적은 본 발명이 공개하는 내용에 대한 이해를 더 철저히 하기 위해서이다.
다른 정의가 있지 않는 한, 본문에서 사용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함의와 서로 같다. 본문 중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술어는 단지 구체적인 실시예를 묘사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 방식의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110): 질량부 계산에 따라, 5질량부 ~ 40질량부의 민들레, 10질량부 ~ 120질량부의 인경채류(bulb vegetable), 10질량부 ~ 100 질량부의 향신채류, 8질량부 ~ 16 질량부의 과일, 0질량부 ~ 6질량부의 식용 종자, 0질량부 ~ 6질량부의 차 종자 금화균(tea seed Eurotium cristatum), 0질량부 ~ 6질량부의 송화 가루 및 0질량부 ~ 6질량부의 향신료를 분쇄, 혼합하여 고체 혼합물을 획득한다.
그중, 민들레는 국화과 다년생 초본식물 민들레의 풀 전체를 지칭한다. 민들레는 맛이 달고, 차고(cold), 무독성이고, 간과 신경(족소음신경으로 십이 경맥의 하나)에 작용한다. 중의학의 권위 있는 저작물에는 그것의 기능이 해열해독, 이뇨 작용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강목>에는: "머리카락을 검게 하고, 근골을 장대하게 한다."라고 기재되어 있고, <의림찬요>에는: "비장 및 위 기능을 보강하고, 음의 기운을 키워 피를 차게 하고, 근육이 편하고 치아가 견고해지고, 젖이 나오고 정신이 들게 한다."라고 기재되어 있고, "흥분을 가라앉히고 평온하게 한다."는 효과도 기재되어 있고; <본초구전>에는 그것이 "양의 기운이 들어 위를 밝게 하고, 간에 양기가 들게 하고, 피를 식혀 해열한다."고 기재되어 있고; 희옹이라는 인물은 "달콤함과 평온함의 하는 약제로, 간과 신장을 개선할 수 있다."라고 했다.
그중, 인경채류는 파, 양파 및 마늘 중 적어도 한가지 종류로부터 선택된다. 파는, 맛이 맵고, 따뜻한 기운이 있고, 폐, 위, 간 3경(經)에 작용하고, 그 기능은 독기를 발산시키고, 양기가 통하도록 하고, 해독 작용을 한다. 그리고 관절에 통하고, 양기를 통하도록 하고, 고뿔을 내보내고; 표면과 내부에 도달할 수 있다. 파는 신장을 따뜻하게 하고, 눈을 맑게 하며, 발기부전을 치료하는 기능이 있다. 파는 독특한 매운 성분을 가지고 있는데, 파가 함유한 사과산(mallic acid) 및 인산당(phosphoketuronic acid)은 신경을 흥분시킬 수 있어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마늘은 백합과 파속 중 비늘싹이 구성하는 비늘의 초본식물로, 따뜻한 성질이 있고, 맛이 맵고, 흥분을 가라앉히고, 풍을 제거하고, 통증을 흩어버리고, 독기운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는데, 마늘은 철, 마그네슘, 게르마늄 및 셀레늄을 함유하고, 17종의 아미노산을 더 함유하고, 아르기닌 함량이 가장 높은데, 아미노산 총량의 20.4%를 차지한다. 마늘은 알리신(allicin)을 더 함유하는데, 알리인(alliin)은 알리이나제(Alliinase)의 작용을 거쳐 형성되는 일종의 휘발성 황화물이다. 연구에 따르면, 마늘은 혈압을 낮추고, 혈소판 응집을 막고, 항동맥경화 및 항암 효과를 가진다. 마늘 중의 식물 살균소는 비교적 강한 살균 작용을 가진다.
설명해 두어야 할 것은, 상술한 파, 양파는 구체적인 품종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인데, 예를 들어 그것은 대파, 쪽파, 각총(Allium victorialis L.), 산총, 움파 등이 더 될 수 있고; 구체적인 식용 부위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그것은 파 잎, 파 뿌리, 파 꽃, 파 종자 등일 수 있다. 동일하게, 상술한 마늘도 구체적인 품종으로 제한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그것은 마늘, 흑마늘 등이 더 될 수 있고; 마늘도 구체적인 식용 부위에 제한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그것은 마늘 알, 마늘 싹, 마늘 대 등이 더 될 수 있다.
그중, 상기 향신채류는 부추, 셀러리(Apium graveolens) 및 고수(Coriander) 중 적어도 한가지 종류로부터 선택된다. 부추는, 맵고 따뜻하여, 간, 위, 신경(腎經, 족소음신경으로 십이 경맥의 하나)에 작용한다. <본초습유>에는: "속을 덥게 하고, 흥분을 가라앉히고, 허약함을 보충하고, 흥분을 가라앉히며 오장육부를 알맞게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일화자본초>에는: "정기 배출을 그치게 하고, 허리와 무릎을 따뜻하게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중약대사전>에는: "속을 덥게 하고, 막힌 기를 뚫고, 피가 돌게 하며, 독을 분해한다.", "양기가 허하고 신장이 차가운 것, 양도부진, 또는 허리 무릎의 차가운 통증을 다스리고, 몽정을 다스린다."고 기재되어 있다. 부추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함량이 비교적 높고, 비타민 함량이 풍부하며, 칼슘, 인, 철 등의 광물질이 풍부하고, 휘발성 정유(精油) 및 황화물 등의 성분을 더 함유하여, 신경을 흥분시키는 등의 작용이 있고, 알칼로이드(alkaloid), 사포닌(saponin)도 함유하여, 간과 신장을 보온하고, 정기를 고정시키고 양기를 키울 수 있다. 셀러리는 미나리과 셀러리속 중 형성되는 말랑말랑한 잎자루의 2년생 본초식물이다. 이것은 중국 셀러리 및 서양 셀러리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셀러리는 간을 평온하게 하고 열을 내리는 작용을 한다. 셀러리는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C, 칼슘, 철, 인 등 영양 성분을 함유한다. 셀러리는 함유한 철분이 비교적 많아, 철분 보충을 위한 식이요법에 적합한 식품이다. 셀러리는 아피게닌(apigenin), 베르갑텐(bergapten)을 함유하고 휘발성 기름 및 부틸프탈라이드(Butylphthalide) 등의 성분을 함유한다. 셀러리가 더 함유한 평활근을 이완시키는 물질은, 혈압을 낮추고 뇌를 건강하게 하는 등의 작용을 한다. 고수는 미나리과 고수속 중 식용잎 및 부드러운 줄기의 일년생 본초식물이다. 고수는 땀을 배출하고, 발진을 멎게 하고, 소화시켜 흥분을 가라앉히고, 기분전환을 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고수는 칼슘, 인, 철, 카로틴, 비타민 C, 티아민, 리보플라빈을 함유하고, 아로마틱 오일류(예를 들어, 리날롤(linalool), 이소쿠마린(Isocoumarin) A, B 및 베르갑텐(bergapten) 등)를 함유하는 것으로, 방향 물질의 주요 근원이다.
설명해 두어야 할 것은, 상기 부추, 셀러리 및 고수는 구체적인 품종에 제한되지 않고, 구체적인 식용 부위에 제한되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그중, 과일은 포도, 블루베리, 까막까치밥, 레몬, 귤, 오렌지, 여지(litchi), 앵두, 용안(Dimocarpus longan Lour), 딸기, 파인애플, 야자, 화룡과(pitaya), 야콘(yacon), 두리안(durian), 노니(noni), 황금과(Solanum mammosum L.) 및 토마토 중 적어도 한가지 종류로부터 선택된다. 포도는, 새콤달콤하고, 평온하게 하는 것으로, 폐, 비장, 신경(腎經)에 작용한다. <중약대사전>에는 그것이: "기혈을 보충하고, 근골을 강대하게 하고, 소변을 나오게 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본경>에는: "주근골 풍습, 기를 더하고 힘을 나게 하고, 기억력을 강화시킨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전남본초>에는: "기혈을 크게 보강하고, 근육을 이완하여 유동적으로 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수식거음식보>에는: "기를 보강하고, 신장액을 증진시키고, 간의 양기를 더하고, 근골을 강하게 하고, 갈증을 멎게 하고, 유산을 방지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육천본초>에는: "자양강장, 보혈, 심장을 강하게 하고 이뇨작용을 한다."을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레몬은, <중약대사전>에: "침이 돌게 하고, 기갈을 그치게 하고, 더위를 가시게 하며, 유산을 방지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식물고>에는: "임부에게 먹이기 적합하고, 유산을 방지할 수 있다."라고 기재되어 있고, <강목유습>에는: "흥분을 가라앉히고 위를 편하게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레몬은 근육 작업 능력을 개선할 수 있고, 피로를 방지하고 이미 발생한 피로를 해소할 수 있다. 블루베리는 펙틴 함량이 높고, 비타민 C가 풍부하고, 미량의 망간 원소를 함유하고, 안토시안(화청소) 함량이 풍부한 과일로, 40여종의 과일 중 항산화 기능이 최고이다. 그것이 함유한 류의 플라빈(flavin)은 뇌세포가 자유 라디칼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블루베리 섭취는 암을 예방하고 노화를 늦출 수 있으며, 노인의 평형감각 및 신체조화를 높일 수 있고, 특히 기억력 감퇴 및 신경 운동에 있어, 더욱 큰 예방 효과가 있다. 그 밖에 블루베리는 모세혈관을 보호하고 심장건강을 증진시키는, 폴리페놀류 물질, 안토시안 등의 성분을 함유하여, 인체 면역력을 강화할 수 있다. 연구결과는 블루베리의 유효성분인 안토시안은 혈관 내피 세포를 통해 일산화질소의 합성을 자극하므로, 남성 발기의 질을 개선시킨다. 까막까치밥은, 한포도(旱葡萄, 마른 포도), 자매(紫梅, 보라색 매실), 흑두과(黑豆果, 까만 콩과) 등으로도 불린다. 과실은 안토시안, 페놀류 물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당류, 다양한 비타민 및 유기산 등을 함유하는데, 특히 비타민 C 함량이 매우 높고, 인, 마그네슘, 칼륨, 칼슘을 함유하고, 그중 아연 함량이 높다. 그 종자는 리놀산 함량이 높아, 혈압을 낮추고, 혈지방을 낮추고, 항동맥경화 등의 기능이 있고, 그 밖에 r-리놀렌산은 인체가 합성할 수 없는 특유의 성분으로, 심혈관 질병을 방지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과실은 신장을 보호하고, 기혈을 더하는 기능을 하고, 그 보건 효과는: 통풍, 빈혈, 부종, 관절염, 풍습, 구강인후질환을 방지하고, 심뇌혈관, 고혈압 등에 매우 효과가 좋다. 까막까치밥은 비교적 높은 약용 가치가 있는데, 인체 면역력을 증강시킬 수 있고, 항노화 작용을 할 수 있다. 귤은 위를 활성화하고 기를 다스리는 등의 작용을 하는데, 칼슘, 인, 철, 칼륨, 카로틴,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C등을 함유하고, 귤에 함유된 다양한 종류의 유기산, 비타민은 심장을 흥분시킬 수 있어, 모세혈관이 부스러지기 쉬운 성질을 낮춰 노인 및 심혈관 환자에 대한 보건 의의를 갖는다. 오렌지는 기를 다스리고, 소화 및 위 활성화, 거담 작용을 하고, 각종 유기산, 비타민을 풍부하게 함유하여, 인체 신진대사 및 심장에 매우 유익하다. 그 밖에, 귤과 오렌지 중에 함유된 플라본류 물질은 관상동맥을 확장시킬 수 있어, 관상동맥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심장 보건을 보호하고 유지하는 중요한 물질이다.
설명해 두어야 할 것은, 상술한 각종 과일은 그 형태가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으로, 예를 들어 그것들은 신선한 과일, 건과 또는 과즙일 수 있다.
그중, 상기 식용 종자는 구기자, 여감자(Phyllanthus emblica), 사극(sea buckthorn), 귀리, 타타르 메밀(Hippophae rhamnoides L.), 낫토, 상심자(Fructus Mori Albae), 호두알, 참깨, 모란화 종자, 패션프루트(passionfruit), 아몬드알, 복숭아 종자, 홍화 종자(Safflower seed), 들깨(Perillafrutescens) 종자, 호박 종자, 여주(Momordica charantia Linnaeus) 종자, 잣, 모링가(moringa) 종자, 마카(Lepidium meyenii) 종자, 옐로우 오크라 종자,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 카카오 콩 및 커피 콩 중 적어도 한종류로부터 선택된다.
그중, 향신료는 생강, 육계, 회향(fennel), 팔각, 후추, 향과(천궁, Ligusticum chuanxiong Hort.), 산초 및 정향 중 적어도 한종류로부터 선택된다.
단계(S120): 800ml의 정제수를 상기 고체 혼합물에 첨가하여, 70˚C~80˚C까지 온도를 증가시키고 1시간 ~ 2시간 침출하여, 여과하여 침출액을 획득한다.
단계(S130): 상기 침출액을 역삼투압은 30kg/cm²150kg/cm²의 압력에서, 상대 밀도 1.18~1.20의 농축액이 되도록 농축한다.
단계(S140): 상기 농축액에 3배 농축액 부피의 에탄올 용액을 첨가하여 침전시켜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제액을 획득한다.
그중, 에탄올 용액 중의 에탄올의 부피 백분함량은 70%보다 높다.
단계(S150): 상기 정제액에 0.3%~6%의 농축액 부피의 포매제를 첨가하여, 교반(攪拌)혼합하여 포매 처리하여, 추출액을 획득한다.
그중, 포매제는 β-시클로덱스트린 및 다공 전분 중 적어도 한종류로부터 선택된다.
단계(S160): 상기 추출액을 -70˚C~-35˚C에서 냉동건조하여,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냉동 건조 분말을 제조한다.
단계(S170): 질량부 계산에 따라, 상기 추출액 또는 냉동 건조 분말에 0.01질량부 ~ 5질량부의 감미료, 0.01질량부 ~ 0.05질량부의 식염, 0.3질량부 ~ 0.5질량부의 탄산수소나트륨 및 0.1질량부 ~ 0.3 질량부의 조미제를 첨가하여 액체 음료 또는 고체 음료를 제조한다.
그중, 감미료는 식품 가공 영역에서 흔히 사용되는 감미료, 예를 들면 포도당, 흑설탕, 꿀, 백설탕, 결정당, 과당, 단백당, 스테비오사이드, 자일리톨, 시클라메이트 및 아세설페임 포타슘(Acesulfame Potassium) 중의 적어도 한종류로부터 선택된다. 동일하게, 조미제 역시 흔히 이용되는 조미제 제품을 이용하는데, 여기에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설명해 두어야 할 것은, 단계(S110~S150)가 제조하여 획득한 추출액은 액체 음료 제조에 이용되는데; 그중 단계(S140)은 생략할 수 있고, 생략 후, 단계(S150)는 직접적으로 단계(S130) 중의 농축액에 대해 포매 처리를 진행한다. 단계(S160)가 제조하여 획득한 냉동 건조 분말은 고체 음료 제조에 이용되는데, 다시 말해서, 고체 음료 제조가 불필요한 경우, 단계(S160)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S170)는 단계(S150)에서의 추출액을 건강기능식품 액체 음료로 만드는데 이용되거나, 또는 단계(S160)에서의 냉동 건조 분말을 건강기능식품 고체 음료로 만드는데 이용된다.
상술한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따라, 상술한 각종 원료를 상술한 비율에 따라 분쇄, 혼합하고, 그후 상응하는 단계에 따라 처리, 제조하여 액체 상태 또는 고체 상태의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획득한다. 상기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적당량의 식품 첨가제를 첨가하는, 식품 가공 프로세스의 채용은, 보건 약물, 보건 음료(보건 식초, 보건 술, 효소류 등) 또는 초콜렛 등의 제품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그중 보건 약물의 제형은 구복형, 캡술형, 환약형, 타블렛형, 밀랍 고약형 등 흔히 보이는 용제형이다.
상술한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조하여 획득한,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모든 제조 원료는 야채, 과일 또는 약용식용 겸용 재료로부터 취득되고, 호르몬을 함유하지 않고, 명백한 독성이나 부작용이 없다. 그 밖에, 임상실험을 거쳐: 상술한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무기력증 개선, 보신장양 효과를 가짐이 증명되었다.
이하는 실시예 부분임:
실시예 1
본 실시예의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조 과정은 이하와 같다:
(1) 질량부 계산에 따라, 25질량부 민들레, 35질량부 파, 10질량부 부추, 8질량부 포도, 블루베리 및 까막까치밥의 혼합물, 3질량부 차 종자 금화균(tea seed Eurotium cristatum), 3질량부 송화 가루, 3질량부 호박 종자, 여주 종자 및 참깨의 혼합물 및 3질량부 생강을 분쇄, 혼합하여, 고체 혼합물을 획득한다.
(2) 800ml의 정제수를 상기 고체 혼합물에 첨가하고, 온도를 70˚C로 올려 100분 동안 침출하고, 여과하여 침출액을 획득한다.
(3) 상기 침출액을 역삼투압 30kg/cm²의 압력에서, 상대 밀도가 1.18인 농축액이 될 때까지 농축한다.
(4) 상기 농축액에 3배 농축액 부피의 에탄올 용액(에탄올 부피 백분함량은 70%)을 첨가하여 침전시켜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제액을 획득한다.
(5) 상기 정제액에 0.3%의 농축액 부피의 β-시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여, 교반혼합하고 포매 처리하여, 추출액을 획득한다.
(6) 질량부 계산에 따라, 상기 추출액에 3질량부 포도당, 0.01질량부 식염을 첨가하고, 온도를 76.6˚C으로 올려 2분간 살균하고, 고루 섞어 제조한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액체 음료를 획득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의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조 과정은 이하와 같다:
(1) 질량부 계산에 따라, 30질량부 민들레, 10질량부 파, 10질량부 부추, 8질량부 레몬, 귤 및 오렌지의 혼합물, 3질량부 차 종자 금화균(tea seed Eurotium cristatum), 3질량부 구기자, 여감자 및 사극의 혼합물 및 3질량부 육계를, 분쇄, 혼합하여, 고체 혼합물을 획득한다.
(2) 800ml의 정제수를 상기 고체 혼합물에 첨가하고, 온도를 70˚C로 올려 100분 동안 침출하고, 여과하여 침출액을 획득한다.
(3) 상기 침출액을 역삼투압 100kg/cm²의 압력에서, 상대 밀도가 1.20인 농축액이 될 때까지 농축한다.
(4) 상기 농축액에 3배 농축액 부피의 에탄올 용액(에탄올 부피 백분함량은 75%)을 첨가하여 침전시켜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제액을 획득한다.
(5) 상기 정제액에 0.6%의 농축액 부피의 β-시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여, 교반혼합하고 포매 처리하여, 추출액을 획득한다.
(6) 상기 추출액을 -70˚C에서 냉동 건조하여,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냉동 건조 분말을 제조한다.
(7) 질량부 계산에 따라, 5질량부 흑설탕을, 60˚C에서 12시간 동안 열건조하여, 분쇄한 후 60 목(目, 체 그물에 있는 구멍의 크기로 60목은 체 그물의 구멍의 크기가 0.25mm임) 체에 걸러, 흑설탕 처리물을 획득하고; 0.1 질량부 식염을, 105˚C에서 3시간 동안 열건조하여, 실온냉각한 후 16목(16목은 체 그물의 구멍 크기가 1.18mm임) 체에 걸러, 식염 처리물을 획득하고; 12˚C에서 상기 냉동 건조 분말, 흑설탕 처리물, 식염 처리물 및 0.1 질량부 에센스(혼합물)를 혼합하여,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고체 음료를 획득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의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조 과정은 이하와 같다:
(1) 질량부 계산에 따라, 20질량부 민들레, 10질량부 파, 80질량부 부추, 14질량부 여지와 용안의 혼합물, 6질량부 송화 가루, 모링가 종자 및 마카 종자의 혼합물 및 3질량부의 회향을, 분쇄, 혼합하여, 고체 혼합물을 획득한다.
(2) 800ml의 정제수를 상기 고체 혼합물에 첨가하고, 온도를 70˚C로 올려 60분 동안 침출하고, 여과하여 침출액을 획득한다.
(3) 상기 침출액을 역삼투압 150kg/cm²의 압력에서, 상대 밀도가 1.20인 농축액이 될 때까지 농축한다.
(4) 상기 농축액에 3배 농축액 부피의 에탄올 용액(에탄올 부피 백분함량은 75%)을 첨가하여 침전시켜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제액을 획득한다.
(5) 상기 정제액에 1.5%의 농축액 부피의 β-시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여, 교반혼합하고 포매 처리하여, 추출액을 획득한다.
(6) 질량부 계산에 따라, 상기 추출액에 3질량부 포도당, 0.01질량부 식염을 첨가하고, 온도를 93˚C로 올려 3분간 살균하고, 고루 섞어 제조한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액체 음료를 획득한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의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조 과정은 이하와 같다:
(1) 질량부 계산에 따라, 30질량부 민들레, 30질량부 파, 10질량부 부추, 11질량부 앵두, 딸기 및 토마토의 혼합물, 6질량부 차 종자 금화균(tea seed Eurotium cristatum) 및 6질량부 송화 가루를, 분쇄, 혼합하여, 고체 혼합물을 획득한다.
(2) 800ml의 정제수를 상기 고체 혼합물에 첨가하고, 온도를 75˚C로 올려 120분 동안 침출하고, 여과하여 침출액을 획득한다.
(3) 상기 침출액을 역삼투압 80kg/cm²의 압력에서, 상대 밀도가 1.20인 농축액이 될 때까지 농축한다.
(4) 상기 농축액에 3배 농축액 부피의 에탄올 용액(에탄올 부피 백분함량은 96%)을 첨가하여 침전시켜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제액을 획득한다.
(5) 상기 정제액에 1.5%의 농축액 부피의 β-시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여, 교반혼합하고 포매 처리하여, 추출액을 획득한다.
(6) 상기 추출액을 -50˚C에서 냉동 건조하여,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냉동 건조 분말을 제조한다.
(7) 질량부 계산에 따라, 4질량부 백설탕을, 60˚C에서 12시간 동안 열건조하여, 분쇄한 후 60 목(目) 체에 걸러, 백설탕 처리물을 획득하고; 0.05 질량부 식염을, 105˚C에서 3시간 동안 열건조하여, 실온냉각한 후 16목(目) 체에 걸러, 식염 처리물을 획득하고; 12˚C에서 상기 냉동 건조 분말, 백설탕 처리물, 식염 처리물, 0.5질량부 탄산수소나트륨 및 0.3질량부 조미제를 혼합하여,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고체 음료를 획득한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의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조 과정은 이하와 같다:
(1) 질량부 계산에 따라, 40질량부 민들레, 120질량부 파 종자, 10질량부 구황부추, 16질량부 파인애플, 야자 및 화룡과의 혼합물, 3질량부 홍화 종자, 들깨 종자 및 옐로우 오크라 종자의 혼합물 및 3질량부 후추를, 분쇄, 혼합하여, 고체 혼합물을 획득한다.
(2) 800ml의 정제수를 상기 고체 혼합물에 첨가하고, 온도를 75˚C로 올려 90분 동안 침출하고, 여과하여 침출액을 획득한다.
(3) 상기 침출액을 역삼투압 100kg/cm²의 압력에서, 상대 밀도가 1.20인 농축액이 될 때까지 농축한다.
(4) 상기 농축액에 3배 농축액 부피의 에탄올 용액(에탄올 부피 백분함량은 75%)을 첨가하여 침전시켜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제액을 획득한다.
(5) 상기 정제액에 3%의 농축액 부피의 β-시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여, 교반혼합하고 포매 처리하여, 추출액을 획득한다.
(6) 상기 추출액을 -50˚C에서 냉동 건조하여,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냉동 건조 분말을 제조한다.
(7) 질량부 계산에 따라, 3질량부 결정당을, 60℃에서 12시간 동안 열건조하여, 60목(目) 체에 걸러, 결정당 처리물을 획득하고; 0.2질량부 식염을 105℃에서 3시간 동안 열건조하여, 실온냉각한 후 16목(目) 체에 걸러, 식염 처리물을 획득하고; 12˚C에서 상기 냉동 건조 분말, 결정당 처리물, 식염 처리물, 0.5질량부 탄산수소나트륨 및 0.3질량부 조미제를 혼합하여,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고체 음료를 획득한다.
실시예 6
본 실시예의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조 과정은 이하와 같다:
(1) 질량부 계산에 따라, 40질량부 민들레, 10질량부 파 뿌리, 100질량부 부추 종자, 9질량부 야콘과 두리안의 혼합물, 3질량부 귀리, 타타르 메밀 및 모란화 종자의 혼합물 및 6질량부 천궁을, 분쇄, 혼합하여, 고체 혼합물을 획득한다.
(2) 800ml의 정제수를 상기 고체 혼합물에 첨가하고, 온도를 75˚C로 올려 90분 동안 침출하고, 여과하여 침출액을 획득한다.
(3) 상기 침출액을 역삼투압 100kg/cm²의 압력에서, 상대 밀도가 1.20인 농축액이 될 때까지 농축한다.
(4) 상기 농축액에 3배 농축액 부피의 에탄올 용액(에탄올 부피 백분함량은 80%)을 첨가하여 침전시켜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제액을 획득한다.
(5) 상기 정제액에 1.5%의 농축액 부피의 다공 전분을 첨가하여, 교반혼합하고 포매 처리하여, 추출액을 획득한다.
(6) 상기 추출액을 -60℃에서 냉동 건조하여,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냉동 건조 분말을 제조한다.
(7) 질량부 계산에 따라, 3질량부 흑설탕을, 60˚C에서 12시간 동안 열건조하여, 분쇄한 후 60목(目) 체에 걸러, 흑설탕 처리물을 획득하고; 0.3질량부 식염을 105˚C에서 3시간 동안 열건조하여, 실온냉각한 후 16목(目) 체에 걸러, 식염 처리물을 획득하고; 12˚C에서 상기 냉동 건조 분말, 흑설탕 처리물, 식염 처리물, 0.5질량부 탄산수소나트륨 및 0.2질량부 조미제를 혼합하여,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고체 음료를 획득한다.
실시예 7
본 실시예의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조 과정은 이하와 같다:
(1) 질량부 계산에 따라, 10질량부 민들레, 15질량부 양파, 25질량부 셀러리, 8질량부 노니, 6질량부 차 종자 금화균(tea seed Eurotium cristatum), 6질량부 송화 가루, 6질량부의 상심자, 패션프루트 및 산사의 혼합물 및 3질량부 산초를, 혼합, 분쇄하여, 고체 혼합물을 획득한다.
(2) 800ml의 정제수를 상기 고체 혼합물에 첨가하고, 온도를 80℃로 올려 120분 동안 침출하고, 여과하여 침출액을 획득한다.
(3) 상기 침출액을 역삼투압 100kg/cm²의 압력에서, 상대 밀도가 1.20인 농축액이 될 때까지 농축한다.
(4) 상기 농축액에 3배의 농축액 부피의 에탄올 용액(에탄올 부피 백분함량은 85%)을 첨가하여 침전시켜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제액을 획득한다.
(5) 상기 정제액에 5%의 농축액 부피의 다공 전분을 첨가하여, 교반혼합하고 포매 처리하여, 추출액을 획득한다.
(6) 상기 추출액을 -35˚C에서 냉동 건조하여,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냉동 건조 분말을 제조한다.
(7) 질량부 계산에 따라, 4질량부의 과당을, 60˚C에서 12시간 동안 열건조하여, 분쇄한 후 60목(目) 체에 걸러, 과당 처리물을 획득하고; 0.15질량부 식염을, 105˚C에서 3시간 동안 열건조하여, 실온냉각한 후 16목(目) 회 체에 걸러, 식염 처리물을 획득하고; 12˚C에서 상기 냉동 건조 분말, 과당 처리물, 식염 처리물, 0.3질량부 탄산수소나트륨 및 0.3질량부 조미제를 혼합하여,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고체 음료를 획득한다.
실시예 8
본 실시예의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조 과정은 이하와 같다:
(1) 질량부 계산에 따라, 5질량부 민들레, 10질량부 마늘, 30질량부 부추 뿌리, 6질량부 황금과, 6질량부 차 종자 금화균(tea seed Eurotium cristatum), 6질량부 송화 가루 및 3질량부 호두알, 아몬드 및 복숭아 종자의 혼합물 및 6질량부 정향을, 분쇄, 혼합하여, 고체 혼합물을 획득한다.
(2) 800ml의 정제수를 상기 고체 혼합물에 첨가하고, 온도를 80˚C로 올려 60분 동안 침출하고, 여과하여 침출액을 획득한다.
(3) 상기 침출액을 역삼투압 100kg/cm²의 압력에서, 상대 밀도가 1.20인 농축액이 될 때까지 농축한다.
(4) 상기 농축액에 3배 농축액 부피의 에탄올 용액(에탄올 부피 백분함량은 96%)을 첨가하여 침전시켜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제액을 획득한다.
(5) 상기 정제액에 5%의 농축액 부피의 다공 전분을 첨가하여, 교반혼합하고 포매 처리하여, 추출액을 획득한다.
(6) 상기 추출액을 -35˚C에서 냉동 건조하여,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냉동 건조 분말을 제조한다.
(7) 질량부 계산에 따라, 0.05질량부 단백당을, 60˚C에서 12시간 동안 열건조하여, 분쇄한 후 60목(目) 체에 걸러, 단백당 처리물을 획득하고; 0.05 질량부 식염을, 105˚C에서 3시간 동안 열건조하여, 실온냉각한 후 16목(目) 체에 걸러, 식염 처리물을 획득하고; 12˚C에서 상기 냉동 건조 분말, 단백당 처리물, 식염 처리물, 0.4질량부 탄산수소나트륨 및 0.2질량부 조미제를 혼합하여,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고체 음료를 획득한다.
실시예 9
본 실시예의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조 과정은 이하와 같다:
(1) 질량부 계산에 따라, 5질량부 민들레, 25질량부 대파, 10질량부 고수, 8질량부 두리안, 6질량부 차 종자 금화균(tea seed Eurotium cristatum), 3질량부 나토, 카카오 콩 및 커피 콩의 혼합물 및 2질량부 팔각을, 분쇄, 혼합하여, 고체 혼합물을 획득한다.
(2) 800ml의 정제수를 상기 고체 혼합물에 첨가하고, 온도를 80˚C로 올려 60분 동안 침출하고, 여과하여 침출액을 획득한다.
(3) 상기 침출액을 역삼투압 100kg/cm²의 압력에서, 상대 밀도가 1.20인 농축액이 될 때까지 농축한다.
(4) 상기 농축액에 3배 농축액 부피의 에탄올 용액(에탄올 부피 백분함량은 75%)을 첨가하여 침전시켜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제액을 획득한다.
(5) 상기 정제액에 6%의 농축액 부피의 다공 전분을 첨가하여, 교반혼합하고 포매 처리하여, 추출액을 획득한다.
(6) 상기 추출액을 -35˚C에서 냉동 건조하여,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냉동 건조 분말을 제조한다.
(7) 질량부 계산에 따라, 0.01질량부 스테비오사이드를, 60˚C에서 12시간 동안 열건조하여, 분쇄한 후 60목(目) 체에 걸러, 스테비오사이드 처리물을 획득하고; 0.02질량부 식염을, 105˚C에서 3시간 동안 열건조하여, 실온냉각한 후 16목(目) 체에 걸러, 식염 처리물을 획득하고; 12˚C에서 상기 냉동 건조 분말, 스테비오사이드 처리물, 식염 처리물, 0.3질량부 탄산수소나트륨 및 0.3질량부 조미제를 혼합하여,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고체 음료를 획득한다.
실험부분:
실시예 및 중약 "삼용삼편(중약 명칭)" 분말, "희득강(중약 명칭)" 분말에 대해 이하와 같은 임상실험을 진행함:
1. 실험대상 자료
모든 관찰대상은 신허(腎虛, 식은땀이 나거나 허리가 시큰거리고 유정, 발기 불능 등의 증상을 수반하는 병)로 임상확진된 서브헬스 집단으로 모두 36명으로, 모두 남성이며, 연령은 최소 21세, 최대 66세이고, 평균 연령은 44세이다.
서브헬스 집단은 3개의 집단으로 나뉘는데, 각 집단은 12명이고, 각각 집단 1 내지 집단 3으로 명명하고, SPSS 통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3개 집단 연령에 대해, 중의학 증상 점수를 비교하여, P>0.05, 차이는 통계학적 의의가 없고, 이 3개 집단은 비교성을 지님을 의미한다.
2. 실험대상의 선택기준
2.1 병례(case) 납입 기준
(1) 임상확진된 서브헬스 집단;
(2) 연령 18~75 세;
(3) 상황 이해 동의서에 서명;
2.2 병례 배제 기준
(1) 알러지 병력이 있는 자;
(2) 간, 신장, 조혈계통 및 심장, 뇌혈관 등을 수반하는 원발성 지병 및 정신질환자;
(3) 간 기능 이상자;
(4) 기타 장기 병변이 있는 자;
3. 실험방법
집단 1의 서브헬스 집단은 각각 실시예 1이 제조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획득한 고체 분말을 복용하고, 집단 2 및 집단 3은 각각 대비 1, 대비 2에서 제조한 중약 “삼용삼편" 분말 및 "희득강" 분말을, 일회에 15g, 하루에 2회 복용하고, 피험자의 신체 반응을 검사하고 기록한다.
4. 중의 증후 치료 효과 평가 기준
신허(腎虛)하고 정기가 부족하고, 기혈 모두가 허하고, 불면 증세, 건망 증세, 허리와 다리가 노곤하고, 현기증이 나고 귀가 울리는 등의 증상은 없음, 경함, 중함 3개의 등급으로 나누고, 대응되는 점수는 0, 2, 4점이고, 20일 복용 후 관찰자에 대해 평가를 진행한다.
치료효과 지수(n) = [(치료 전 점수 - 치료 후 점수) ÷ 치료 전 점수]×100%
명백한 효과: 징후 중 상술한 증상 대부분이 사라진 경우, 유효율 n≥70%;
유효한 효과: 징후 중 상술한 증상이 대체적으로 사라진 경우, 유효율 30%n≤n<70%;
효과 없음: 징후 중 상술한 증상이 일정 부분 개선된 경우, 유효율 n<30%;
유효율=[명백한 효과 케이스 수(number of case) + 유효한 효과의 케이스 수/총 케이스 수]×100%
5. 실험결과
임상실험 결과
조별 명백한 효과/명 유효한 효과/명 효과 없음/명 유효율%
1 7 4 1 91.66
2 5 5 2 83.33
3 8 2 2 83.33
표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이 제조한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신허가 야기하는 무기력한 서브헬스 상태에 대해 무기력증을 개선하고, 보신장양을 하는 효과를 구비하고, 유효율은 91.66%에 달한다.
6. 병례 피드백
병례 1: 조 모씨, 남자, 60세, 근1년간 신체가 허약하고 병이 많음, 체질이 허약함, 전신이 찌뿌둥함, 쉽게 피로함, 조금만 일했다 하면 피곤해짐, 마음이 불편함, 다리에 힘이 없음, 때때로 귀에 울림소리가 남, 본 조성물 액체 음료를 6병 복용함, 정신이 맑아지고, 피로가 경감되고, 신체가 편안함을 느낌. 총 20일간의 치료 기간 동안 복용하여, 체질이 개선되고, 보이던 증상이 회복되고, 정신이 충만해지고, 정력이 왕성해지고, 체력이 정상으로 회복됨.
병례 2: 장 모씨, 남자, 24세, 여자친구와 사귄지 반년, 성생활이 여의치 않음, 발기가 잘 되지 않음, 조루 증상을 수반함, 연애 전 자위를 한 경험이 있음, 본 조성물 분말을 복용하여, 일회의 치료 기간에, 성기능이 회복되고, 여자친구와의 성생활이 40분 지속되고, 성욕이 강렬해짐.
병례 3: 주 모씨, 남자, 29세, 성욕 감퇴, 야간 빈뇨, 피로하고 무기력함, 본 조성물 분말을 복용, 1병 복용한 후 바로 성충동이 생김, 5~6병을 연달아 마신 후, 발기가 잘 됨, 야간 빈뇨가 명백히 감소함, 사고 능력이 명백히 높아짐, 일주일에 이와 같이, 운동 반응이 예전에 비해 영민하고, 민첩해지고, 야간 작업에도 피곤을 느끼지 않고, 특히 성생활이 왕성해지고, 성교 후에도 피로감이 없음.
종합하면, 상술한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적어도 이하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진다:
(1) 상술한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필요한 원료는 일상생활 중 흔히 보이는 야채, 과일 및 식용 종자 등이므로, 상술한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성호르몬을 포함하지 않고, 명백한 독성 및 부작용이 없다;
(2) 상술한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임상실험을 거쳐 양호한 무기력증 개선의 효과가 있고, 보신장양의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상에서, 상술한 실시예의 각각의 기술특징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고, 간결한 설명을 위해, 상술한 실시예 중의 각각의 기술특징의 모든 가능한 조합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기술특징의 조합에 모순이 없다면, 본 명세서의 기재 범위로 보아야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 방식을 표현한 것으로, 그 설명이 비교적 구체적이고 상세한데, 본 발명의 특허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설명해 두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에서, 약간의 변형 및 개선이 가해질 수 있고, 이러한 것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특허의 보호범위는 마땅히 청구항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10)

  1. 무기력증(lethargy)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질량부 계산에 따라, 제조되는 상기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원료는,
    민들레 5질량부 ~ 40질량부, 인경채류(bulb vegetable) 10질량부 ~ 120질량부, 향신채류 10질량부 ~ 100 질량부, 과일 8질량부 ~ 16 질량부; 를 포함하고,
    그중, 상기 인경채류는 파, 양파 및 마늘 중 적어도 한가지 종류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향신채류는 부추, 셀러리(Apium graveolens) 및 고수(Coriander) 중 적어도 한가지 종류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과일은 포도, 블루베리, 까막까치밥(blackcurrant), 레몬, 귤, 오렌지, 여지(litchi), 앵두, 용안(Dimocarpus longan Lour), 딸기, 파인애플, 야자, 화룡과(pitaya), 야콘(yacon), 두리안(durian), 노니(noni), 황금과(오지과, Solanum mammosum L.) 및 토마토 중 적어도 한가지 종류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원료는 0질량부 ~ 6질량부의 식용 종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용 종자는 구기자, 여감자(Phyllanthus emblica), 사극(sea buckthorn), 귀리, 타타르 메밀(Hippophae rhamnoides L.), 낫토, 상심자(Fructus Mori Albae), 호두알, 참깨, 모란화 종자, 패션프루트(passionfruit), 아몬드알, 복숭아 종자, 홍화 종자(Safflower seed), 들깨(Perillafrutescens) 종자, 호박 종자, 여주(Momordica charantia Linnaeus) 종자, 잣, 모링가(moringa) 종자, 마카(Lepidium meyenii) 종자, 옐로우 오크라(okra) 종자,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 카카오 콩 및 커피 콩 중 적어도 한종류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원료는 0질량부 ~ 6질량부의 차 종자 금화균(tea seed Eurotium cristatum) 및 0질량부 ~ 6질량부의 송화 가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원료는 0질량부 ~ 6질량부의 향신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향신료는 생강, 육계(Cinnamomum loureirii), 회향(fennel), 팔각, 후추, 향과(천궁, Ligusticum chuanxiong Hort.), 산초 및 정향 중 적어도 한종류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보건 약물, 보건 음료 또는 초콜렛 중의 제조에의 응용.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료를 분쇄, 혼합한 후, 정제수 중에 70℃~80℃에서 침출(leach) 처리하여, 침출액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침출 처리의 단계 이후에,
    상기 침출액을 상대 밀도 1.18~1.20까지 농축하여, 농축액을 획득하는 단계;
    0.3%~6%의 농축액 부피의 포매제(embedding agent)를 첨가하여 포매 처리하여, 추출액을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 시의 역삼투압은 30kg/cm²150kg/cm²이고, 상기 포매제는 β-시클로덱스트린 또는 다공 전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 처리 단계 이후, 상기 포매 처리의 단계 이전에,
    3배 농축액 부피의 에탄올 용액을 첨가하여 침전시켜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제액을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탄올 용액 중의 에탄올의 부피 백분함량은 70%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매 처리 단계 이후에,
    -70˚C~-35˚C의 온도에서, 상기 추출액을 냉동 건조하여 냉동 건조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217010628A 2018-10-10 2019-10-09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그 응용 KR202100571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K18112945.1 2018-10-10
HK18112945 2018-10-10
PCT/CN2019/110142 WO2020073922A1 (zh) 2018-10-10 2019-10-09 补虚损保健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其应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122A true KR20210057122A (ko) 2021-05-20

Family

ID=70164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628A KR20210057122A (ko) 2018-10-10 2019-10-09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그 응용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228667A1 (ko)
EP (1) EP3864969A4 (ko)
JP (1) JP7199518B2 (ko)
KR (1) KR20210057122A (ko)
AU (1) AU2019357838A1 (ko)
CA (1) CA3115743A1 (ko)
SG (1) SG11202103646UA (ko)
TW (1) TWI732309B (ko)
WO (1) WO202007392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258B1 (ko) * 2021-08-17 2022-03-29 재단법인 포항테크노파크 햄프씨드를 함유하는 건강기능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619906B1 (ko) 2023-06-16 2023-12-29 정인영 한방 발효 조성물을 첨가한 흑염소 진액의 최적의 배합비
KR102619904B1 (ko) 2023-06-16 2023-12-29 정인영 면역개선 및 기력증진용 흑염소 한방 발효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92527B (zh) * 2023-03-10 2024-02-13 山东宏济堂制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改善慢性肾脏病的制剂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91127B1 (it) * 1997-04-01 1998-12-29 Sigma Tau Ind Farmaceuti Integratore alimentare per soggetti dediti ad intensa e prolungata attivita' fisica
IT1299161B1 (it) * 1998-04-17 2000-02-29 Sigma Tau Healthscience Spa Composizione comprendente l-carnitina o un'alcanoil l-carnitina e nadh e/o nadph
CN101467623A (zh) * 2007-12-25 2009-07-01 刘泳宏 一种天然五色健美豆腐制品及加工方法
JP2011087566A (ja) * 2009-10-26 2011-05-06 Shinzo Matsui ゴーヤの種子粉末を配合した健康増進剤
KR101040682B1 (ko) * 2010-11-04 2011-06-10 김병주 면역력이 강화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조성물
CN104096015A (zh) * 2012-01-05 2014-10-15 谢有珠 芦荟有病能治无病能防植物性中草药与皮肤吸收水药和食疗
CN103622002A (zh) * 2012-08-29 2014-03-12 浙江劲膳美生物科技有限公司 改善贫血食疗配餐或代餐品
CN103960562A (zh) * 2014-05-26 2014-08-06 通化长城药业股份有限公司 松花粉片
KR101775613B1 (ko) * 2014-09-16 2017-09-07 주식회사 메디바이오랩 망고스틴 추출물 또는 알파, 감마 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10226441B2 (en) * 2014-12-09 2019-03-12 Nihon Sizen Hakkoh Co., Ltd. Aging inhibitor
JP6569994B2 (ja) * 2015-03-30 2019-09-04 株式会社富士見養蜂園 蜂産物エキスの製造方法及び蜂産物エキス
KR101578070B1 (ko) * 2015-04-08 2015-12-16 김경일 발모 촉진, 탈모 완화 및 개선, 혈당 조절, 위장 장애 증상 완화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CN105614718A (zh) * 2015-12-25 2016-06-01 绍兴文理学院 一种适用于糖尿病人的乌发美容养颜药膳及其制备方法
CN107683929B (zh) * 2016-08-05 2021-04-09 四川师范大学 金花菌对栘*叶化学成分的微生物转化及应用
CN108567820B (zh) * 2017-03-13 2021-07-09 左安刚 一种用于肿瘤治疗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308614A (zh) * 2018-03-23 2018-07-24 杨伏文 一种均衡营养细胞、调理五脏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258B1 (ko) * 2021-08-17 2022-03-29 재단법인 포항테크노파크 햄프씨드를 함유하는 건강기능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619906B1 (ko) 2023-06-16 2023-12-29 정인영 한방 발효 조성물을 첨가한 흑염소 진액의 최적의 배합비
KR102619904B1 (ko) 2023-06-16 2023-12-29 정인영 면역개선 및 기력증진용 흑염소 한방 발효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01387A (ja) 2022-01-06
TW202027617A (zh) 2020-08-01
TWI732309B (zh) 2021-07-01
EP3864969A1 (en) 2021-08-18
WO2020073922A1 (zh) 2020-04-16
AU2019357838A1 (en) 2021-04-15
CA3115743A1 (en) 2020-04-16
US20210228667A1 (en) 2021-07-29
JP7199518B2 (ja) 2023-01-05
SG11202103646UA (en) 2021-05-28
EP3864969A4 (en)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17001B (zh) 一种季节型消脂减肥养生保健制剂
KR20210057122A (ko) 무기력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그 응용
CN106728802A (zh) 一种多功能养身食品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应用方法
CN105454576A (zh) 茉莉花八宝茶及其制备方法
KR20200010912A (ko) 식품 첨가물
CN104109609A (zh) 糯米酒荞麦果汁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70062755A (ko) 한약재를 이용한 장어탕의 제조방법
KR20160000695A (ko) Dha 함유 기억력 강화 및 피로회복 증진용 한약재 조성물 수능환 및 그 제조방법
Singh et al. Potential of onion (Allium cepa) as traditional therapeutic and functional food: An update
CN106418143A (zh) 一种改善睡眠和视力的组合物及其用途
KR102353626B1 (ko) 젤리 타입 녹용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Ashok et al. Nutraceutical values of minor fruits on immunity development to combat diseases
KR101783549B1 (ko) Dha 함유 피로회복 증진 보조식품용 조성물 수능단(수능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38595A (ko) 보양식 순대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순대 제조방법
CN111035007A (zh) 补虚损保健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其应用
CN114748583A (zh) 一种滋补养生的中药药酒
RU2792449C2 (ru) Состав фиточая, содержащего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е добавки
CN104323388A (zh) 一种饮料原液、菊花苗复合植物饮料及其制备方法
Ye et al. Traditional Chinese dates (Jujubes)-based functional foods in Chinese history
Arya Food is your Medicine
CN107788180A (zh) 一种稳定降血压的保健养生茶及其制备方法
CN109170052A (zh) 一种石斛养胃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20100035961A (ko) 산양산삼 분말을 함유하는 공진단 조성물
CN107494630A (zh) 一种治疗八月瓜炭疽病的组合物
CN105918550A (zh) 一种雪菊养生茶组方及其制备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