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007A - 이형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점착 시트 적층체 - Google Patents

이형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점착 시트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007A
KR20210057007A KR1020217003657A KR20217003657A KR20210057007A KR 20210057007 A KR20210057007 A KR 20210057007A KR 1020217003657 A KR1020217003657 A KR 1020217003657A KR 20217003657 A KR20217003657 A KR 20217003657A KR 20210057007 A KR20210057007 A KR 20210057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ensity
release
release film
density pol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147B1 (ko
Inventor
히로시 오타니
타츠유키 타사키
나오키 타니
Original Assignee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57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1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5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of the release l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기재(지지층)와 이형층의 밀착성이 양호한 이형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즉, 적어도 지지층과 이형층을 갖는 이형 필름으로서, 상기 이형층은 밀도가 0.940g/cm3 이하인 저밀도 폴리에틸렌(A)을 함유하고, 상기 지지층은 폴리프로필렌(B) 및 밀도가 0.941g/cm3 이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C)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밀도가 0.940g/cm3 이하인 저밀도 폴리에틸렌(D)을 함유하는 이형 필름이다.

Description

이형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점착 시트 적층체
본 발명은 이형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점착 시트 적층체에 적합한 이형 필름에 관한 것이다.
점착 시트에 사용되는 이형 필름에는 박리성이 우수한 실리콘계 이형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리콘계 이형제에 포함되는 실리콘 화합물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와 같은 전자 기기에 부식이나 오동작 등의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와 같은 전자 기기에 사용하는 점착 시트에는 실리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이형층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폴리올레핀 필름 등의 기재에, 언더코트층이나 베이스코트층을 통해서 라미네이트된 이형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2).
일본특허공개 2005-350650호 공보 국제공개 제2009/060924호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폴리올레핀 필름 등의 기재 상에 폴리에틸렌 함유 이형층을 형성한 이형 필름은 기재와 이형층의 밀착성이 충분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재(지지층)와 이형층의 밀착성이 양호한 이형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하의 발명에 의해 달성되었다.
[1] 적어도 지지층과 이형층을 갖는 이형 필름으로서, 상기 이형층은 밀도가 0.940g/cm3 이하인 저밀도 폴리에틸렌(A)을 함유하고, 상기 지지층은 폴리프로필렌(B) 및 밀도가 0.941g/cm3 이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C)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밀도가 0.940g/cm3 이하인 저밀도 폴리에틸렌(D)을 함유하는 이형 필름.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층과 이형층의 밀착성이 양호한 이형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적어도 지지층과 이형층을 갖는다. 이형층은 밀도가 0.940g/cm3 이하인 저밀도 폴리에틸렌(A)을 함유한다. 이러한 이형층을 사용함으로써, 비교적 양호한 박리성이 얻어진다.
지지층은 폴리프로필렌(B) 및 밀도가 0.941g/cm3 이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C)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밀도가 0.940g/cm3 이하인 저밀도 폴리에틸렌(D)을 함유한다. 이러한 지지층과 상기 이형층을 적층함으로써, 이형층과 지지층의 밀착성이 향상한다. 또한, 지지층이 폴리프로필렌(B) 및 밀도가 0.941g/cm3 이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C)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함으로써, 이형 필름의 강성이 높아져(탄성이 강하게 되어), 이형 필름의 취급성이나 박리 작업성이 향상한다.
[이형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형층은 밀도가 0.940g/cm3 이하인 저밀도 폴리에틸렌(A)을 함유한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A)은 점착 시트와의 박리성을 향상시킨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밀도가 0.935g/cm3 이하가 바람직하고, 0.930g/cm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928g/cm3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도는 0.850g/cm3 이상이 바람직하고, 0.860g/cm3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870g/cm3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밀도가 0.940g/cm3 이하인 저밀도 폴리에틸렌(A)을 「저밀도 폴리에틸렌(A)」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에는 분기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있다. 일반적으로,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라고 하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이외의 분기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형층에는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점착 시트와의 박리성을 더욱 향상시킨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이형층에 있어서의 저밀도 폴리에틸렌(A)은 적어도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밀도가 0.850∼0.940g/cm3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에틸렌 모노머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에 α-올레핀을 공중합한 것이다. 여기서, 주성분이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체의 50몰% 이상 포함되는 성분을 의미한다.
α-올레핀으로서는 탄소수가 3∼12개인 α-올레핀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4∼10개인 α-올레핀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등이 열거된다. 이들의 α-올레핀은 단독 또는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α-올레핀 중에서도 탄소수가 4∼8개인 α-올레핀이 더욱 바람직하고, 특히, 1-부텐, 1-헥센, 1-옥텐이 중합 생산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점착 시트와의 박리성을 향상시킨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이형층에 있어서의 저밀도 폴리에틸렌(A)의 함유량은 이형층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하여 5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이 특히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은 100질량%이다.
이형층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A)으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분기 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분기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1∼50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40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30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형층은 밀도가 0.850∼0.940g/cm3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 밀도가 0.900g/cm3 이상 0.940g/cm3 이하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밀도가 0.850g/cm3 이상 0.900g/cm3 미만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점착 시트와의 박리성이 더욱 향상한다.
또한, 밀도가 0.850g/cm3 이상 0.900g/cm3 미만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직쇄상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 밀도가 0.900g/cm3 이상 0.940g/cm3 이하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LLDPE」라고 하는 경우가 있고, 밀도가 0.850g/cm3 이상 0.900g/cm3 미만인 직쇄상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을 「VLDPE」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LLDPE 및 VLDPE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고, α-올레핀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밀도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LLDPE에 있어서의 α-올레핀의 함유량은 모노머 성분 전체의 0.5∼15몰%가 바람직하고, 1∼10몰%가 보다 바람직하고, 2∼7몰%가 특히 바람직하다. VLDPE에 있어서의 α-올레핀의 함유량은 모노머 성분 전체의 4∼30몰%가 바람직하고, 7∼25몰%가 보다 바람직하고, 10∼20몰%가 특히 바람직하다.
LLDPE는 에틸렌과 탄소수가 3∼12개인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에틸렌과 탄소수가 4∼10개인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에틸렌과 탄소수가 4∼8개인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가 4∼8개인 α-올레핀 중에서도 1-부텐, 1-헥센, 1-옥텐이 바람직하다.
LLDPE의 밀도는 0.910g/cm3 이상이 바람직하고, 0.915g/cm3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917g/cm3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도는 0.940g/cm3 이하이지만, 0.935g/cm3 이하가 바람직하고, 0.930g/cm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928g/cm3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VLDPE는 에틸렌과 탄소수가 3∼12개인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에틸렌과 탄소수가 4∼10개인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에틸렌과 탄소수가 4∼8개인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의 탄소수가 4∼8개인 α-올레핀 중에서도, 1-부텐, 1-헥센, 1-옥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VLDPE를 이형층에 함유시킴으로써 가열 후의 박리력의 상승이 억제되기 쉬워진다. 특히, VLDPE가 에틸렌과 1-옥텐의 공중합체인 경우에 가열 후의 박리력 상승의 억제 효과가 커진다.
VLDPE의 밀도는 0.895g/cm3 미만이 바람직하고, 0.890g/cm3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고, 0.885g/m3 미만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도는 0.855g/cm3 이상이 바람직하고, 0.860g/cm3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865g/cm3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LLDPE와 VLDPE의 함유 비율로서는 점착 시트와의 박리성을 보다 향상시킨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이형층이 LLDPE 100질량부에 대하여 VLDPE를 2∼30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20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15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형층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A) 이외의 폴리올레핀(이하, 「다른 폴리올레핀」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4-메틸-1-펜텐),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과 α-올레핀 이외의 성분의 공중합체 등이 열거된다.
상기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α-올레핀으로서는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3-메틸-1-부텐, 4-메틸-1-펜텐등이 열거된다.
상기 에틸렌과 α-올레핀 이외의 성분의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등의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에틸렌-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EEA), 에틸렌-메타크릴산 메틸 공중합체(EMMA) 등의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등이 열거된다.
상기한 다른 폴리올레핀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이형층이 다른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경우의 다른 폴리올레핀의 함유량은 저밀도 폴리에틸렌(A) 100질량부에 대하여, 1∼30질량부가 적당하다.
점착 시트와의 박리성을 더욱 향상시킨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이형층은 표면 거칠기가 비교적 큰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이형층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는 0.5㎛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형층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가 과도하게 커지면, 점착 시트에 이형층의 요철 형상이 전사해서 점착 시트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피착체의 밀착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어서, 상기 산술 평균 거칠기 Ra는 7.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한 이형층의 표면 거칠기는 이형층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이형층 표면의 요철 형상으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요철 패턴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것, 다른 요철 패턴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것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요철 패턴으로서는 예를 들면, 격자 형상 패턴, 견직물 형상 패턴, 이지(梨地) 형상 패턴, 도트 형상 패턴 등이 열거된다.
또한, 이형층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는 경우, 최대 높이 거칠기 Rz는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1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1.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최대 높이 거칠기 Rz의 상한은 50㎛ 정도이다. 이형층 표면의 최대 높이 거칠기 Rz가 5.0㎛ 이상임으로써,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임으로써, 가열 후의 점착 시트와의 박리력의 상승이 억제되기 쉬워진다.
이형층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엠보스 처리, 샌드 블라스트 처리, 화학 처리 또는 이형층의 제막 공정에서 용융 상태의 이형층에 요철 조각을 실시한 성형 롤을 압박하는 방법이 열거된다.
상기의 요철 형성 방법 중에서도, 엠보스 처리가 바람직하다. 엠보스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이형 필름의 이형층에 가열한 엠보스 롤 압박 방법이 바람직하고, 엠보스 롤의 가열 온도나 프레스압을 조정함으로써 이형층에 형성되는 요철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엠보스 롤의 가열 온도로서는 80℃∼160℃가 바람직하고, 100℃∼140℃가 보다 바람직하다.
[지지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지층은 폴리프로필렌(B) 및 밀도가 0.941g/cm3 이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C)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밀도가 0.940g/cm3 이하인 저밀도 폴리에틸렌(D)을 함유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밀도가 0.941g/cm3 이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C)을 「고밀도 폴리에틸렌(C)」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밀도가 0.940g/cm3 이하인 저밀도 폴리에틸렌(D)을 「저밀도 폴리에틸렌(D)」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지지층에 함유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B)으로서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다른 α-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3-메틸-1-부텐, 4-메틸-1-펜텐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서는 랜덤 공중합체 및 블록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α-올레핀의 함유량은 2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α-올레핀의 함유량이 20질량%를 초과하면 결정화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프로필렌(B)은 이형 필름의 강성을 높인다(탄성을 강하게 한다)라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결정화도가 높은 쪽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지지층에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B)의 결정화도는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결정화도의 상한은 100%이다.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도는 지지층의 용융 압출에 의한 제막 공정에서 용융 압출 후의 냉각 온도나 냉각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각 속도를 느리게 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도는 높게 된다. 또한, 결정 핵제를 병용함으로써, 결정화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결정 핵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탤크 등의 무기물, 카르복실산 금속염, 인산 금속염, 소르비톨계 유도체, 로진의 금속염 등이 열거된다.
지지층에 함유할 수 있는 고밀도 폴리에틸렌(C)으로서는 밀도가 0.941∼0.980g/cm3인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고, 밀도가 0.945∼0.975g/cm3인 폴리에틸렌이 보다 바람직하고, 밀도가 0.950∼0.970g/cm3인 폴리에틸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지지층은 폴리프로필렌(B)과 고밀도 폴리에틸렌(C)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병용해도 된다. 폴리프로필렌(B)과 고밀도 폴리에틸렌(C)을 병용하는 경우의 함유 비율(B:C)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질량비로 98:2∼2:98이 바람직하고, 95:5∼5:95가 보다 바람직하다.
지지층에 함유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D)으로서는 밀도가 0.935g/cm3 이하가 바람직하고, 0.930g/cm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928g/cm3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도는 0.870g/cm3 이상이 바람직하고, 0.890g/cm3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900g/cm3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저밀도 폴리에틸렌(D)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어도 되고, 분기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2종을 병용할 수 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D)은 상술의 이형층에 사용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A)과 동종 또는 이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밀착성 및 생산성의 관점으로부터 동종의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분기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이종이고, 밀도차가 0.005g/cm3 이상인 경우는 이종으로 하고, 상기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를 동종으로 한다.
지지층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B)과 고밀도 폴리에틸렌(C)의 합계 함유량은 이형 필름의 강성을 향상시킨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지지층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하여, 5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프로필렌(B)과 고밀도 폴리에틸렌(C)의 합계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이형층과의 밀착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상기 합계 함유량은 97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95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지지층에 있어서의 저밀도 폴리에틸렌(D)의 함유량은 이형층과 지지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킨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지지층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하여, 3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5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저밀도 폴리에틸렌(D)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이형 필름의 강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상기 함유량은 4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5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지지층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B)과 고밀도 폴리에틸렌(C)의 합계(B+C)와 저밀도 폴리에틸렌(D)의 함유 비율{(B+C):(D)}은 질량비로 97:3∼60:40인 것이 바람직하고, 95:5∼70:30이 보다 바람직하고, 93:7∼75:25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로 함유함으로써, 이형 필름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층은 착색 안료나 산화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형 필름]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적어도 지지층과 이형층을 갖는다. 이형층은 지지층에 직접 또는 다른 층을 통해서 배치할 수 있지만, 이형층과 지지층의 밀착성의 관점으로부터, 이형층은 지지층에 직접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이형층 표면에, 실리콘계 이형제 또는 실리콘계 이형제 이외의 이형제, 예를 들면 장쇄 알킬 이형제, 알키드 수지 이형제, 불소계 이형제 등으로 표면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점착 시트와의 박리성이 비교적 양호한 것 및 이형제의 점착 시트로의 이행 등을 고려하면, 상기의 이형제에 의한 표면 처리는 실시하지 않는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형 필름에는 지지층의 이형층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면에 배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배면층은 이형층과는 동종 또는 이종의 조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배면층에 대해서는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이형 필름의 두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30∼150㎛가 바람직하고, 40∼120㎛가 보다 바람직하고, 50∼100㎛가 특히 바람직하다.
지지층의 두께는 20∼130㎛가 바람직하고, 30∼120㎛가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40∼100㎛가 바람직하고, 50∼80㎛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형층의 두께는 5∼40㎛가 바람직하고, 10∼35㎛가 보다 바람직하고, 15∼30㎛가 특히 바람직하다.
점착 시트와의 박리성 및 이형 필름의 강성의 관점으로부터, 지지층의 두께(St)에 대한 이형층의 두께(Rt)의 비율(Rt/St)은 0.05∼0.50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0.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5∼0.4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용융 압출법이나 용융 압출 라미네이트법 등의 공지 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지지층과 이형층 및 필요에 따라서 형성되는 배면층을 용융 공압출법으로 제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이형층과 지지층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또한, 용융 공압출법은 생산성의 관점으로부터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이형층/지지층/배면층의 3층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층은 모두 폴리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용융 공압출법으로 제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폴리올레핀의 다층(3층) 공압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가열함으로써 점착 시트와의 박리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가열 온도는 70℃ 이상이 바람직하고, 7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한은 130℃ 정도이다. 가열 시간은 가열 온도 및 이형 필름의 형태에 의해 적당하게 설정된다.
이형 필름의 제막 공정 등의 필름 반송 공정에서 가열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75∼130℃의 온도에서, 30초 이상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초 이상 가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초 이상 가열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이형 필름이 롤형상 형태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70∼100℃의 온도에서, 1시간 이상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시간 이상 가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시간 이상 가열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형 필름의 가열에 의한 박리력 저감 효과는 이형층이 LLDPE와 VLDPE를 함유하는 경우에 커지는 경향이 있다. LLDPE와 VLDPE를 함유하는 이형층을 갖는 이형 필름은 상기의 가열 처리를 행함으로써, 이형층 표면에 엠보스 처리 등으로 요철을 형성하지 않아도 박리력을 저감할 수 있다.
즉, LLDPE와 VLDPE를 함유하는 이형층을 갖는 이형 필름은 이형층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가 0.5㎛ 미만이어도 점착 시트와의 박리력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이형층 표면의 점착 테이프에 대한 박리력(상태 박리력)이 7.0N/50mm 이하가 바람직하고, 4.0N/50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2.0N/50mm 이하가 바람직하고, 1.0N/50m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력의 하한은 0.05N/50mm 정도이다. 또한, 가열 박리력과 상태 박리력의 차(가열 박리력으로부터 상태 박리력을 뺀 값)은 2.0N/50mm 이하가 바람직하고, 1.0N/50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0.7N/50mm 이하가 바람직하고, 0.3N/50m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형층 표면의 점착 테이프에 대한 박리력은 후술의 실시예에 있어서, 박리력(B)으로서 측정한 것이다. 측정 방법의 상세는 후술한다. 또한, 상태 박리력 및 가열 박리력에 관해서도, 박리력(B)의 측정 방법에 준한다.
[배면층]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지지층의 이형층을 갖는 면과는 반대면에 배면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층은 지지층의 보호 또는 이형 필름의 슬라이딩성 향상을 위해 형성할 수 있다.
배면층은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올레핀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폴리올레핀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한다란, 배면층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하여 폴리올레핀을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폴리올레핀을 6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한은 100질량%이다.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및 탄소수가 4∼10개인 α-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및 이들의 공중합체가 열거된다. 탄소수가 4∼10개인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3-메틸-1-부텐, 4-메틸-1-펜텐 등이 열거된다.
상기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탄소수가 4∼10개인 α-올레핀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탄소수가 4∼10개인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프로필렌과 탄소수 4∼10개인 α-올레핀의 공중합체가 열거된다.
상기 폴리올레핀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배면층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으로서는 상술의 저밀도 폴리에틸렌(A)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배면층은 이형층과 동종의 조성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이종의 조성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배면층은 이형 필름의 슬라이딩성을 확보한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비교적 조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형층 표면이 비교적 평활한 경우(엠보스 처리 등에 의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구체적으로는 이형층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가 0.5㎛ 미만, 또한 0.3㎛ 미만인 경우에는 배면층은 비교적 조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배면층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는 0.1∼0.5㎛인 것이 바람직하고, 0.2∼0.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배면층의 표면의 최대 높이 거칠기 Rz는 1.0∼7.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5.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배면층을 조면화하기 위해서, 배면층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이외의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이외의 폴리올레핀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탄소수가 4∼10개인 α-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및 에틸렌과 탄소수가 4∼10개인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들 중에서도, 프로필렌-에틸렌·랜덤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배면층의 두께는 2∼40㎛가 바람직하고, 5∼40㎛가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10∼35㎛가 바람직하고, 15∼30㎛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형 필름이, 이형층/지지층/배면층의 구성인 경우, 이형 필름의 강성을 확보해서 컬을 억제한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이형층과 배면층의 합계 두께에 대한 지지층 두께의 비율{(지지층 두께)/(이형층과 배면층의 합계 두께)}은 1.0 이상 4.0 미만이 바람직하고, 1.2 이상 3.5 미만이 바람직하고, 1.5 이상 3.0 미만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용예]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점착 시트의 이형 필름으로서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기재 필름 상에 점착층을 구비한 점착 시트의 점착층 상에 적층되는 이형 필름으로서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시트의 이형 필름으로서 바람직하다. 이 점착 시트는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실리콘 점착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시트]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이 적용되는 점착 시트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점착 시트를 구성하는 점착층에는 아크릴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등의 비실리콘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점착 시트를 구성하는 기재 필름으로서는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알루미늄박, 동박 등의 금속박 및 플라스틱 필름과 금속박의 적층 필름이 열거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 적층체(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는 본 발명의 이형 필름과 점착 시트가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 적층체이고, 상기 점착 시트는 기재 필름 상에 점착층을 구비한 점착 시트이며, 상기 이형 필름의 이형층과 상기 점착 시트의 점착층이 접하도록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점착 시트 적층체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시트 적층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착 시트는 비실리콘계 점착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
(1) 폴리에틸렌의 밀도의 측정
JIS K7112(1999)를 따라서 밀도 구배관법(23℃)에 의해 측정했다.
(2) 지지층에 포함되는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도의 측정
제작한 이형 필름으로부터, 시차 주사 열량계(DSC)(Shimadzu Corporation 제작 C-60Plus)를 이용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측정 방법>
0℃부터 250℃까지, 승온 속도 10℃/분으로 승온하고, 융해 열량을 구했다. 얻어진 융해 열량 ΔH(J/g)으로부터 (ΔH/수지 분율/209)×100(%)의 식에서 결정화도를 구했다. 여기서, 수지 분율이란 재료 중의 폴리머 분율을 나타내고, 수지 성분이 100%이면 1.0이다. 209는 폴리프로필렌의 100% 결정화 시의 융해 열량 (J/g)이다.
(3) 밀착성의 평가
이형 필름의 이형층 면에, 1mm2의 크로스컷을 100개 넣고, NICHIBAN CO., LTD.제작 셀로판 테이프를 그 위에 부착하고, 손가락으로 강하게 압박한 후, 90도 방향으로 급속하게 박리했다. 셀로판 테이프를 박리한 후의 이형층면에 잔존한 크로스컷의 갯수에 의해, 이하의 기준으로 밀착성을 평가했다.
A; 100개
B; 80∼99개
C; 50∼79개
D; 50개 미만
(4) 박리력(A)의 측정
이형 필름의 이형층 표면에 하기의 점착 시트의 점착면이 대향하도록 부착하여 자중 5kg의 고무 롤러로 압박하면서 1왕복시켜서 서로 부착시켜 점착 시트 적층체(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를 작성했다.
이 점착 시트 적층체를, 실온(23±2℃)에서 24시간 방치한 샘플, 40℃에서 10일간 가열한 샘플을 제작하고, 각각의 샘플에 대해서, 인장 시험기(Shimadzu Corporation 제작「EZ-SX」품번)로 300mm/min의 속도에서, 점착 시트측을 180°로 당겨 박리했을 때의 박리력을 측정했다.
실온(23±2℃)에서 24시간 방치한 샘플의 박리력을 상태 박리력, 40℃에서 10일간 가열한 샘플의 박리력을 가열 박리력으로 했다.
<점착 시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93질량부와 아크릴산 7질량부를, 아세트산 에틸 중에서 중합 개시제(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의 존재 하에 상법에 의해 용액 중합시켜서, 질량 평균 분자량이 150만의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고형분 농도 25질량%)을 얻었다. 이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 100질량부에, 가교제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Ltd. 제작「코로네이트L」)를 2질량부 가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이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두께가 5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Toray Industries, Inc. 제작 "루미러(등록상표)" S-105) 상에 건조 두께가 25㎛가 되도록 도포하고, 140℃에서 3분간 건조해서 아크릴계 점착 시트를 얻었다.
(5) 박리력(B)의 측정
이형 필름의 이형층 표면에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Nitto Denko Corporation제작의 「No. 31B」)의 점착면이 대향하도록 겹쳐서 자중 5kg의 고무 롤러로 압박하면서 1왕복시켜 부착시켜 실온(23±2℃)에서 24시간 방치한 샘플 및 70℃에서 24시간 가열한 샘플을 각각 제작했다. 각각의 샘플에 대해서, 인장 시험기(Shimadzu Corporation 제작 「EZ-SX」품번)로 300mm/min의 속도에서, 점착 시트측을 180°로 당겨 박리했을 때의 박리력을 측정했다.
실온(23±2℃)에서 24시간 방치한 샘플의 박리력을 상태 박리력, 70℃에서 24시간 가열한 샘플의 박리력을 가열 박리력으로 했다.
(6) 이형층(배면층)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 및 최대 높이 거칠기 Rz의 측정
JIS B0601(2001)에 준거해서 표면 거칠기 측정기(Mitutoyo Corporation 제작의 「서프 테스트 SJ-400」)를 사용해서 측정했다.
<측정 조건>
·촉침 선단 반경; 2㎛
·측정력; 0.75mN
·컷오프값; λs=2.5㎛, λc=0.8mm
(엠보스 처리 후의 컷오프값; λs=2.5㎛, λc=2.5mm)
[실시예 1]
이형층/지지층/배면층의 3층 적층 구성의 이형 필름을, 하기의 원료를 이용하여 3층 용융 공압출법으로 제작했다. 각 층의 다이 온도를, 이형층이 225℃, 지지층이 250℃, 배면층이 220℃로 설정되고, 60℃로 유지된 캐스팅 드럼 상에 이형층의 두께가 20㎛, 지지층의 두께가 60㎛, 배면층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압출하고, 총두께가 100㎛인 이형 필름을 제작했다.
이 이형 필름의 지지층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도는 70%이었다.
<각 층의 원료>
·이형층 원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 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0540; 밀도 0.903g/cm3)
·지지층 원료; 폴리프로필렌(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작 "노바텍 PP(등록상표)" FL4) 90질량부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 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0540; 밀도 0.903g/cm3) 10질량부의 혼합물
·배면층 원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0540; 밀도 0.903g/cm3)
[실시예 2]
지지층 원료를 이하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층/지지층/배면층의 3층 적층 구성의 이형 필름을 제작했다. 이 이형 필름의 지지층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도는 70%이었다.
·지지층 원료; 폴리프로필렌(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작 "노바텍 PP(등록상표)" FL4) 97질량부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0540; 밀도 0.903g/cm3) 3질량부의 혼합물
[실시예 3]
지지층 원료를 이하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층/지지층/배면층의 3층 적층 구성의 이형 필름을 제작했다. 이 이형 필름의 지지층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도는 70%이었다.
·지지층 원료; 폴리프로필렌(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작 "노바텍 PP(등록상표)" FL4) 93질량부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0540; 밀도 0.903g/cm3) 7질량부의 혼합물
[실시예 4]
지지층 원료를 이하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층/지지층/배면층의 3층 적층 구성의 이형 필름을 제작했다. 이 이형 필름의 지지층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도는 70%이었다.
·지지층 원료; 폴리프로필렌(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작 "노바텍 PP(등록상표)" FL4) 80질량부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0540; 밀도 0.903g/cm3) 20질량부의 혼합물.
[실시예 5]
지지층 원료를 이하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층/지지층/배면층의 3층 적층 구성의 이형 필름을 제작했다. 이 이형 필름의 지지층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도는 70%이었다.
·지지층 원료; 폴리프로필렌(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작 "노바텍 PP(등록상표)" FL4) 70질량부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0540; 밀도 0.903g/cm3) 30질량부의 혼합물
[실시예 6]
각 층의 원료를 이하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했다. 이 이형 필름의 지지층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도는 70%이었다.
<각 층의 원료>
·이형층 원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 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2540; 밀도 0.924g/cm3)
·지지층 원료; 폴리프로필렌(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작 "노바텍 PP(등록상표)" FL4) 90질량부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 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2540; 밀도 0.924g/cm3) 10질량부의 혼합물
·배면층 원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 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 2540; 밀도 0.924g/cm3)
[실시예 7]
각 층의 원료를 이하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했다. 이 이형 필름의 지지층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도는 70%이었다.
<각 층의 원료>
·이형층 원료; 분기상 저밀도 폴리에틸렌(Sumitomo Chemical Co., Ltd.제작 "스미카센(등록상표)" CE3059; 밀도 0.924g/cm3)
·지지층 원료; 폴리프로필렌(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작 "노바텍 PP(등록상표)" FL4) 90질량부와 분기상 저밀도 폴리에틸렌(Sumitomo Chemical Co., Ltd.제작" 스미카센(등록상표)" CE3059; 밀도 0.924g/cm3) 10질량부의 혼합물
·배면층 원료; 분기상 저밀도 폴리에틸렌(Sumitomo Chemical Co., Ltd. 제작 "스미카센(등록상표)" CE3059; 밀도 0.924g/cm3)
[실시예 8]
각 층의 원료를 이하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했다. 이 이형 필름의 지지층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도는 70%이었다.
<각 층의 원료>
·이형층 원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 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0540; 밀도 0.903g/cm3) 80질량부와 분기상 저밀도 폴리에틸렌(Sumitomo Chemical Co., Ltd.제작 "스미카센(등록상표)" CE3059; 밀도 0.924g/cm3) 20질량부의 혼합물
·지지층 원료; 폴리프로필렌(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작 "노바텍 PP(등록상표)" FL4) 90질량부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0540; 밀도 0.903g/cm3) 10질량부의 혼합물
·배면층 원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0540; 밀도 0.903g/cm3) 80질량부와 분기상 저밀도 폴리에틸렌(Sumitomo Chemical Co., Ltd.제작 "스미카센(등록상표)" CE3059; 밀도 0.924g/cm3) 20질량부의 혼합물
[실시예 9]
각 층의 원료를 이하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했다. 이 이형 필름의 지지층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도는 70%이었다.
<각 층의 원료>
·이형층 원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0540; 밀도 0.903g/cm3) 75질량부와 분기상 저밀도 폴리에틸렌(Sumitomo Chemical Co., Ltd. 제작 "스미카센(등록상표)" CE3059; 밀도 0.924g/cm3) 15질량부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Mitsui Chemicals, Inc. 제작 "터푸마 P(등록상표)" P0180) 10질량부의 혼합물
·지지층 원료; 폴리프로필렌(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작 "노바텍 PP(등록상표)" FL4) 90질량부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 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0540; 밀도 0.903g/cm3) 10질량부의 혼합물
·배면층 원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 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0540; 밀도 0.903g/cm3)
[실시예 10]
이형층/지지층의 2층 적층 구성의 이형 필름을, 하기의 원료를 이용하여 2층 용융 공압출법으로 제작했다. 각 층의 다이 온도를, 이형층이 225℃, 지지층이 250℃로 설정하고, 60℃로 유지된 캐스팅 드럼 상에 이형층의 두께가 25㎛, 지지층의 두께가 75㎛가 되도록 압출하고, 총두께가 100㎛인 이형 필름을 제작했다.
이 이형 필름의 지지층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도는 70%이었다.
<각 층의 원료>
·이형층 원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 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0540; 밀도 0.903g/cm3)
·지지층 원료; 폴리프로필렌(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작 "노바텍 PP(등록상표)" FL4) 90질량부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 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0540; 밀도 0.903g/cm3) 10질량부의 혼합물
[실시예 11]
이형층/지지층/배면층의 3층 적층 구성의 이형 필름을, 하기의 원료를 이용하여 3층 용융 공압출법으로 제작했다. 각 층의 다이 온도를, 이형층이 225℃, 지지층이 250℃, 배면층이 250℃로 설정되고, 60℃로 유지된 캐스팅 드럼 상에 이형층의 두께가 15㎛, 지지층의 두께가 40㎛, 배면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압출하고, 총두께가 60㎛인 이형 필름을 제작했다. 얻어진 이형 필름은 90℃에서 60초간 가열 처리했다.
또한, 배면층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는 0.3㎛, 최대 높이 거칠기 Rz는 2.6㎛이었다.
<각 층의 원료>
·이형층 원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2540; 밀도 0.924g/cm3) 90질량부와 직쇄상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Dow Chemical Company 제작 "어피니티(등록상표)" KC8852G; 밀도 0.875g/cm3) 10질량부의 혼합물
·지지층 원료; 고밀도 폴리에틸렌(Japan polyethylene Corporation 제작 "노바텍(등록상표)" HF562; 밀도=0.961g/cm3) 75질량부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Prime Polymer Co., Ltd. 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2540; 밀도 0.924g/cm3) 25질량부의 혼합물
·배면층 원료; 폴리프로필렌(Sumitomo Chemical Co., Ltd.제작 "노부렌(등록상표)" FLX80E4) 80질량부와 프로필렌-에틸렌·랜덤 공중합체(에틸렌 함유량 5질량%) 20질량부의 혼합물.
[실시예 12]
이형층 원료를 이하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층/지지층/배면층의 3층 적층 구성의 이형 필름을 제작하고, 마찬가지로 가열 처리했다. 또한, 배면층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는 0.3㎛, 최대 높이 거칠기 Rz는 2.6㎛이었다.
·이형층 원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2540; 밀도 0.924g/cm3) 85질량부와 직쇄상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Mitsui Chemicals, Inc.제작 "터푸마 P(등록상표)" P1070S; 밀도 0.870g/cm3) 15질량부의 혼합물.
[실시예 13]
지지층 원료를 이하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층/지지층/배면층의 3층 적층 구성의 이형 필름을 제작하고, 마찬가지로 가열 처리했다. 이 이형 필름의 지지층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도는 70%이었다. 또한, 배면층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는 0.3㎛, 최대 높이 거칠기 Rz는 2.6㎛이었다.
·지지층 원료; 폴리프로필렌(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작 "노바텍 PP(등록상표)" FL4) 75질량부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2540; 밀도 0.924g/cm3) 25질량부의 혼합물.
[실시예 14]
지지층 원료를 이하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층/지지층/배면층의 3층 적층 구성의 이형 필름을 제작하고, 마찬가지로 가열 처리했다. 이 이형 필름의 지지층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도는 70%이었다. 또한, 배면층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는 0.3㎛, 최대 높이 거칠기 Rz는 2.6㎛이었다.
·지지층 원료; 고밀도 폴리에틸렌(Japan polyethylene Corporation 제작 "노바텍(등록상표)" HF562; 밀도=0.961g/cm3) 60질량부와 폴리프로필렌(Sumitomo Chemical Co., Ltd.제작 "노부렌(등록상표)" FLX80E4) 15질량부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2540; 밀도0.924g/cm3) 25질량부의 혼합물
[비교예 1]
각 층의 원료를 이하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했다. 이 이형 필름의 지지층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도는 70%이었다.
<각 층의 원료>
·이형층 원료; 분기상 저밀도 폴리에틸렌(Sumitomo Chemical Co., Ltd.제작 "스미카센(등록상표)" CE3059; 밀도 0.924g/cm3)
·지지층 원료; 폴리프로필렌(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작 "노바텍 PP(등록상표)" FL4)
·배면층 원료; 분기상 저밀도 폴리에틸렌(Sumitomo Chemical Co., Ltd.제작 "스미카센(등록상표)" CE3059; 밀도 0.924g/cm3).
[비교예 2]
각 층의 원료를 이하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했다. 이 이형 필름의 지지층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도는 70%이었다.
<각 층의 원료>
·이형층 원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0540; 밀도 0.903g/cm3) 75질량부와 분기상 저밀도 폴리에틸렌(Sumitomo Chemical Co., Ltd.제작 "스미카센(등록상표)" CE3059; 밀도 0.924g/cm3) 15질량부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Mitsui Chemicals, Inc.제작 "터푸마 P(등록상표)" P0180) 10질량부의 혼합물
·지지층 원료; 폴리프로필렌(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제작 "노바텍 PP(등록상표)" FL4)
·배면층 원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0540; 밀도 0.903g/cm3).
[비교예 3]
두께가 5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Toray Industries, Inc. 제작 "루미러(등록상표) S-105) 상에 탠덤 방식으로, 우선, 분기상 저밀도 폴리에틸렌(Sumitomo Chemical Co., Ltd.제작 "스미카센(등록상표)" CE3059; 밀도 0.924g/cm3)을 다이 온도 325℃에서 압출하고 적층하여 언더코트층(UC층; 건조 두께 10㎛)을 형성했다. 이어서, 이 언더코트층 상에 하기의 이형층 원료를 다이 온도 273℃에서 압출하여 이형층(건조 두께 두께 10㎛)을 적층했다.
<이형층 원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Prime Polymer Co., Ltd.제작 "에보류(등록상표)" SP0540; 밀도 0.903g/cm3) 75질량부와 분기상 저밀도 폴리에틸렌(Sumitomo Chemical Co., Ltd.제작 "스미카센(등록상표)" CE3059; 밀도 0.924g/cm3) 15질량부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Mitsui Chemicals, Inc.제작 "터푸마 P(등록상표)" P0180) 10질량부의 혼합물
[평가]
상기에서 제작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이형 필름에 대해서, 상술의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에 따라서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21∼31]
실시예 1 및 실시예 6∼11에서 제작한 각각의 이형 필름에 이하의 엠보스 롤 을 이용하여 엠보스 처리를 실시하고, 이형층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 이형 필름을 얻었다. 엠보스 처리는 140℃에 가열된 엠보스 롤을 이형 필름의 이형층에 압박함으로써 실시했다. 엠보스 처리 전의 이형 필름과 엠보스 롤의 관계를 표 2에 나타낸다.
<엠보스 롤>
·엠보스 롤 1; 비교적 깊은 이지 형상으로 가공된 엠보스 롤
·엠보스 롤 2; 비교적 얕은 이지 형상으로 가공된 엠보스 롤
·엠보스 롤 3; 견직물 형상으로 가공된 엠보스 롤
[평가]
상기에서 제작한 실시예의 이형 필름에 대해서, 상술의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에 따라서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Claims (14)

  1. 적어도 지지층과 이형층을 갖는 이형 필름으로서, 상기 이형층은 밀도가 0.940g/cm3 이하인 저밀도 폴리에틸렌(A)을 함유하고, 상기 지지층은 폴리프로필렌(B) 및 밀도가 0.941g/cm3 이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C)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밀도가 0.940g/cm3 이하인 저밀도 폴리에틸렌(D)을 함유하는 이형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에 있어서의 저밀도 폴리에틸렌(A)은 적어도 밀도가 0.850∼0.940g/cm3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이형 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은 밀도가 0.850∼0.940g/cm3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 밀도가 0.900g/cm3 이상 0.940g/cm3 이하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밀도가 0.850g/cm3 이상 0.900g/cm3 미만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이형 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이, 상기 밀도가 0.900g/cm3 이상 0.940g/cm3 이하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밀도가 0.850g/cm3 이상 0.900g/cm3 미만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2∼30질량부 함유하는 이형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에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B)의 결정화도가 40% 이상인 이형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가 0.5∼7.0㎛인 이형 필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B)과 고밀도 폴리에틸렌(C)의 합계(B+C)와 저밀도 폴리에틸렌(D)의 함유 비율{(B+C):(D)}이 질량비로 97:3∼60:40인 이형 필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두께(St)에 대한 상기 이형층의 두께(Rt)의 비율(Rt/St)이 0.05∼0.50인 이형 필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이형층을 갖는 면과는 반대면에 배면층을 갖는 이형 필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층이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이형 필름.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층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가 0.1∼0.5㎛인 이형 필름.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의 다층 공압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형 필름과 점착 시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 적층체로서, 상기 점착 시트는 기재 필름 상에 점착층을 구비한 점착 시트이고, 상기 이형 필름의 이형층과 상기 점착 시트의 점착층이 접하도록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 적층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인 점착 시트 적층체.
KR1020217003657A 2018-09-07 2019-08-22 이형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점착 시트 적층체 KR102627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67531 2018-09-07
JP2018167531 2018-09-07
PCT/JP2019/032749 WO2020050037A1 (ja) 2018-09-07 2019-08-22 離型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積層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007A true KR20210057007A (ko) 2021-05-20
KR102627147B1 KR102627147B1 (ko) 2024-01-19

Family

ID=69722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657A KR102627147B1 (ko) 2018-09-07 2019-08-22 이형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점착 시트 적층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0075509A (ko)
KR (1) KR102627147B1 (ko)
CN (1) CN112638647B (ko)
TW (1) TWI816873B (ko)
WO (1) WO20200500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0642B2 (ja) 2019-12-04 2023-09-26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0650A (ja) 2004-05-14 2005-12-22 Nitto Denko Corp 剥離ライナー及びそれを用いた感圧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WO2009060924A1 (ja) 2007-11-08 2009-05-14 Lintec Corporation 剥離シート及び粘着体
JP2013136791A (ja) * 2008-06-27 2013-07-11 Tredegar Film Products Corp 剥離面を備えた保護フィルム
JP2015120249A (ja) * 2013-12-20 2015-07-02 サン・トックス株式会社 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
JP2017177579A (ja) * 2016-03-30 2017-10-05 株式会社細川洋行 易剥離性シーラント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2020Y2 (ko) * 1988-05-11 1991-09-03
JP2965825B2 (ja) * 1993-07-22 1999-10-18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多層構造物及び易開封性容器
JP2006321164A (ja) * 2005-05-20 2006-11-30 Tosoh Corp ポリプロピレン系多層フィルム
JP5158301B2 (ja) * 2005-12-22 2013-03-06 東ソー株式会社 剥離ライナー
US9138979B2 (en) * 2012-05-02 2015-09-22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Low peel force surface protection film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6103078A (zh) * 2014-03-21 2016-11-09 德国英菲亚纳有限责任两合公司 包装
US10150896B2 (en) * 2014-12-19 2018-12-11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Surface protection film
KR102399713B1 (ko) * 2016-12-16 2022-05-19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이형 필름 및 보호 필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0650A (ja) 2004-05-14 2005-12-22 Nitto Denko Corp 剥離ライナー及びそれを用いた感圧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WO2009060924A1 (ja) 2007-11-08 2009-05-14 Lintec Corporation 剥離シート及び粘着体
JP2013136791A (ja) * 2008-06-27 2013-07-11 Tredegar Film Products Corp 剥離面を備えた保護フィルム
JP2015120249A (ja) * 2013-12-20 2015-07-02 サン・トックス株式会社 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
JP2017177579A (ja) * 2016-03-30 2017-10-05 株式会社細川洋行 易剥離性シーラント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638647B (zh) 2022-12-06
TW202022074A (zh) 2020-06-16
CN112638647A (zh) 2021-04-09
WO2020050037A1 (ja) 2020-03-12
TWI816873B (zh) 2023-10-01
JP2020075509A (ja) 2020-05-21
KR102627147B1 (ko) 2024-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6369B2 (ja) 粘着フィルム
JP5761571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20090126275A (ko) 박리시트 및 점착체
JP5292763B2 (ja) 粘着フィルム
KR20100075614A (ko) 박리 시트 및 점착체
JP2007253435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5600905B2 (ja) 粘着フィルム
KR20160126973A (ko) 가열 공정용 표면 보호 필름
KR102494458B1 (ko) 고광학 특성의 종방향 배향된 라벨 페이스스톡
JP5544821B2 (ja) 粘着フィルムロール
KR102627147B1 (ko) 이형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점착 시트 적층체
JP5445023B2 (ja) 粘着フイルム
JP7350642B2 (ja) 離型フィルム
JP6655238B1 (ja) 離型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積層体
JP2023142503A (ja) 離型フィルム
JP2009287005A (ja) 粘着フィルム
JP2021195498A (ja) 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用ホットメルト接着剤、積層体、及び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
JP5531441B2 (ja) 粘着フィルム
CN107073911A (zh) 超高阻隔金属化膜
JP2016176026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5445022B2 (ja) 粘着フイルム
JP2020066174A (ja) 粘着シート用離型フィルムおよび粘着シート積層体
JP4780944B2 (ja) 粘着テープ
JP2010229222A (ja) 粘着フィルム
JP2009299019A (ja) 粘着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