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328A - 압력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압력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328A
KR20210050328A KR1020190134803A KR20190134803A KR20210050328A KR 20210050328 A KR20210050328 A KR 20210050328A KR 1020190134803 A KR1020190134803 A KR 1020190134803A KR 20190134803 A KR20190134803 A KR 20190134803A KR 20210050328 A KR20210050328 A KR 20210050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member
locking
stop
line
inn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6962B1 (ko
Inventor
염규현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90134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96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경 방향으로 변위 작동하는 로킹 부재를 가짐으로서, 내솥과 바텀 커버 및 이너 플레이트 사이의 밀착 잠금이 효과적으로 달성되며 조작 과정에서 이물질 발생이 방지되는 압력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력 조리 장치{COOKING APPARATUS USING PRESSURE}
본 발명은 압력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경 방향으로 변위 작동하는 로킹 부재를 가짐으로서, 내솥과 바텀 커버 및 이너 플레이트 사이의 밀착 잠금이 효과적으로 달성되며 조작 과정에서 이물질 발생이 방지되는 압력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력 조리 장치는 내솥 상에 뚜껑을 닫고, 내솥과 뚜껑 사이를 강하게 로킹한 상태에서 압력 조리를 행하게 된다.
따라서, 압력 밥솥 뚜껑 체결에 있어, 증기 누설을 차단할 수 있도록 견고하고 강하며, 일정한 힘으로도 뚜껑 체결구조가 조작되고, 뚜껑 체결 강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뚜껑 체결 구조가 필요하다.
종래의 뚜껑 체결 구조의 경우, 로킹 부재의 회전운동으로 내솥과 로킹 장치 사이의 체결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동작 중에 마찰에 의해 쇳가루 발생 및 이물질이 발생하여 청결한 밥솥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며, 압력 유지에 있어서 일정한 힘을 유지하지 못하고, 편심과 가공불량 발생에 따라 내구성이 약해지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또한, 압력 체결구간의 면적이 회전운동으로 인해 줄어들면서 poise-assy 에 관한 문제도 발생하였다. 또한, 내솥 내에 잔압이 남아있는 경우, 개폐 과정에서 안전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뚜껑 구조를 갖는 압력 조리 장치가 필요하다
실용신안공보 제1997-000483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경 방향으로 변위 작동하는 로킹 부재를 가짐으로서, 내솥과 바텀 커버 및 이너 플레이트 사이의 밀착 잠금이 효과적으로 달성되며 조작 과정에서 이물질 발생이 방지되는 압력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는, 가열 장치가 내장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투입되며 상단에 플랜지를 갖는 내솥, 상기 본체를 덮는 아우터 커버, 및 상기 아우터 커버의 밑면에 결합되며 상기 내솥을 덮는 바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커버는, 뚜껑 하우징과 상기 뚜껑 하우징 외부에 구비되는 핸들, 및 상기 뚜껑 하우징 내에 내장되며 상기 핸들에 의해서 조작되는 로킹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 모듈은, 상기 아우터 커버의 아래면을 구성하는 이너 플레이트, 상기 이너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핸들에 연결되어 상기 핸들에 의해서 회전 이동하게 조작되는 휠 부재, 및 상기 휠 부재가 회전하면 상기 이너 플레이트의 반경 방향으로 위치 변위하는 로킹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이너 플레이트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클로징 위치와 상기 이너 플레이트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오픈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위하고, 상기 로킹 부재가 클로징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내솥의 플랜지와 상기 바텀 커버의 외주연부 사이를 서로 밀착시킨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휠 부재 및 이너 플레이트의 중심을 중심으로 양 측에 대칭으로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이너 플레이트의 중심 방향으로 오픈된 로킹 홈을 갖는 로킹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 부재가 클로징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로킹 홈 내에 상기 내솥의 플랜지와 상기 바텀 커버가 내삽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로킹 블록과 연결되는 가이드 블록을 가지며, 상기 휠 부재는 상기 가이드 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휠 부재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 블록이 상기 휠 부재의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휠 부재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 블록이 상기 휠 부재의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하 방향으로 천공되며 상기 이너 플레이트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레이트 가이드 홀을 포함하며,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스트레이트 가이드 홀 내에 위치하는 스트레이트 가이드 돌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휠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천공된 오픈/클로징 라인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블록은,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오픈/클로징 라인 내에 위치하는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오픈/클로징 라인은 가변 라인을 갖되, 상기 가변 라인은, 전단이 상기 휠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를 갖고, 후단이 상기 휠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제2 거리를 갖고, 상기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큰 크기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변 라인의 전단에는 제1 세이프 라인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세이프 라인은 상기 휠 부재의 반경 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를 갖고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변 라인의 후단에는 제2 세이프 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세이프 라인은 상기 휠 부재의 반경 중심으로부터 제2 거리를 갖고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휠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천공되며 원호 형태로 연장되는 서클 가이드 라인을 가지며,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서클 라인 내에 위치하는 서클 가이드 돌기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킹 모듈은 스톱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톱 모듈은, 상기 내솥 내에 잔압이 있을 때, 상기 로킹 모듈이 클로징 위치에서 오픈 위치로 변위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톱 모듈은,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스톱 돌기, 및 상기 휠 부재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천공되고 상기 스톱 돌기 상에 위치하는 스톱 홀을 포함하며, 상기 휠 부재가 회전할 때 상기 스톱 돌기는 상기 스톱 홀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스톱 돌기는, 내솥 내에 잔압이 있을 때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내솥 내의 잔압이 제거되면 하강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톱 홀은, 복수 개 구비되되, 상기 복수 개의 스톱 홀은 상기 휠 부재의 원호 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위치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킹 모듈은, 상기 로킹 부재가 오픈 위치가 되는 방향으로 상기 휠 부재가 회전할 때, 상기 내솥 내의 잔압을 제거하는 잔압 제거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잔압 제거 모듈은, 상기 휠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휠 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는 잔압 제거 블록, 및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잔압 제거 블록 상에 위치하는 배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잔압 제거 블록은, 상기 휠 부재가 변위할 때 상기 배기 장치를 조작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잔압 제거 블록은 상기 휠 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배기 장치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경사면 상에 위치하여, 상기 휠 부재가 회전하면 상기 배기 장치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서 변위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바텀 커버는, 바텀 플레이트, 및 패킹 링을 포함하며, 상기 바텀 플레이트는, 외측 둘레에 구비되며 내측 방향으로 오픈된 끼움 홈을 구비하고, 상기 패킹 링은, 'ㄷ' 형태의 단면을 갖고, 반경 방향 내주연부가 오픈되며 상면부가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하면에 밀착하고 하면부가 내솥의 플랜지 상에 밀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는, 사용자가 핸들을 회전 조작하면, 로킹 모듈을 구성하는 로킹 부재가 이너 플레이트 및 휠 부재의 반경 방향으로 변위한다. 즉, 종래 기술과 같이 로킹 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변위하지 않는다. 따라서, 로킹 부재가 다른 부재의 각 부분과 마찰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마찰에 의한 쇳가루, 이물질 등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로킹 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체결/해제됨으로서, 로킹 부재의 체결 구간의 면적이 회전 운동으로 인해 감소하면서 poise-assy를 들어올리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양 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변위하는 로킹 부재가 구비됨으로서, 일정한 로킹 힘이 제공되며, 편심과 가공불량 발생에 의해 내구성이 약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로킹 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서, 'ㄷ' 형태의 단면을 갖는 패킹 링이 구비되는 바텀 커버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내솥의 내압이 커지고 바텀 커버에 작용하는 증기압이 커지면 패킹 링과 내솥의 플랜지 사이의 밀착이 더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또한, 로킹 부재의 변위를 가이드하는 오픈/클로징 가이드 라인은 제1 세이프 라인 및 제2 세이프 라인을 가짐으로서, 조작 전, 후에 안전 구간을 갖는다. 따라서, 견고한 잠금이 달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오조작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로킹 부재가 오픈되기 전의 제1 세이프 라인 구간에서는, 스톱 모듈이 작동하여, 잔압이 남아 있을때 로킹 부재가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안전 사고(예컨대 증기에 의한 화상 등)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스톱 모듈은 2 개의 스톱 홀을 가짐으로서, 이중 안전 걸림이 달성되므로, 더욱 안전한 조작이 달성된다.
아울러, 이러한 이중 안전 걸림 과정에서, 잔압 제거 모듈이 작동하므로, 효과적으로 내솥 내의 잔압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의 바텀 커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의 로킹 모듈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의 로킹 모듈의 이너 플레이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의 로킹 모듈의 휠 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휠 부재의 오픈/클로징 가이드 라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의 로킹 모듈의 로킹 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압력 조리 장치의 로킹 모듈을 위에서 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의 로킹 모듈이 잠금 상태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의 로킹 모듈이 열림 상태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및 1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의 로킹 모듈이 내솥 상에 위치하여 조작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내지 2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의 스톱 모듈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 및 2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의 잔압 제거 모듈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의 바텀 커버(4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는, 가열 장치가 내장된 본체(10), 상기 본체(10) 내에 투입되며 상단에 플랜지를 갖는 내솥(20), 상기 본체(10)를 덮는 아우터 커버(30), 및 상기 아우터 커버(30)의 밑면에 결합되며 상기 내솥(20)을 덮는 바텀 커버(40)를 포함하며, 아우터 커버(30)에는 로킹 모듈(50)이 구비된다.
<전체 구조>
본체(10)는 내부에 가열 장치와 제어 장치를 내장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10) 내에는 내솥(20)이 투입될 수 있는 투입 공간(12)이 마련된다.
내솥(20)은 본체(10) 내에 투입되며, 각종 조리 재료가 투입될 수 있는 가열 조리 공간을 갖는다.
내솥(20)의 상단부 외주연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22)가 구비된다.
아우터 커버(30)는 상기 본체(10)와 내솥(20)을 덮을 수 있는 커버이다. 아우터 커버(30)는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아우터 커버(30)의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
바텀 커버(40)는, 아우터 커버(3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는 커버이다. 바텀 커버(40)는 아우터 커버(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린 커버(clean cover)이다.
바텀 커버(40)는, 바텀 플레이트(41), 및 바텀 플레이트(41)의 외측 둘레에 구비되는 패킹 링(43)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바텀 플레이트(41)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41)의 외측 둘레에는, 내측 방향으로 오픈된 끼움 홈(42)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바텀 플레이트(41)의 외측 둘레는 적어도 일 부분이 내측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서, 내측 방향으로 오픈된 끼움 홈(42)이 구비된다.
패킹 링(43)은 상기 끼움 홈(42)에 끼워진다. 패킹 링(43)은, 'ㄷ' 형태의 단면을 가져서, 상면부(44), 외면부(45), 및 하면부(46)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패킹 링(43)의 내주연부가 오픈되며 외주연부가 상기 끼움 홈(42)에 끼워지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패킹 링(43)의 상면부(44)는 바텀 플레이트(41)의 하면에 밀착할 수 있다. 또한, 바텀 커버(40)가 내솥(20) 상에 덮어졌을 때 상기 패킹 링(43)의 하면부(46)가 내솥(20)의 플랜지(22) 상에 밀착할 수 있다.
<아우터 커버(30)의 구조>
상기 아우터 커버(30)는, 뚜껑 하우징(32)과 상기 뚜껑 하우징(32) 외부로 노출되는 핸들(34), 및 상기 뚜껑 하우징(32) 내에 내장되며 상기 핸들(34)에 의해서 조작되는 로킹 모듈(50)을 포함한다.
뚜껑 하우징(32)은, 아우터 커버(30)의 상부 외면을 구성한다. 뚜껑 하우징(32)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핸들(34)은 뚜껑 하우징(32)의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될 수 있다. 예컨대, 핸들(34)은 사용자에 의해서 회전 조작될 수 있다. 핸들(34)는 미도시되어 있다.
<로킹 모듈(50)의 구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의 로킹 모듈(50)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의 로킹 모듈(50)의 이너 플레이트(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의 로킹 모듈(50)의 휠 부재(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휠 부재(200)의 오픈/클로징 가이드 라인(23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의 로킹 모듈(50)의 로킹 부재(3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압력 조리 장치의 로킹 모듈(50)을 위에서 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로킹 모듈(50)은, 아우터 커버(30)의 아래면을 구성하는 이너 플레이트(100), 상기 핸들(34)에 연결되며 상기 핸들(34)에 의해서 회전 이동하게 조작되는 휠 부재(200), 및 상기 휠 부재(200)가 회전하면 상기 이너 플레이트(100)의 반경 방향으로 위치 변위하는 로킹 부재(3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도면을 참조하여, 로킹 모듈(50)을 구성하는 각 부재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 후, 각 부재의 결합관계와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너 플레이트(100)>
상기 이너 플레이트(100)는, 플레이트 바디(110), 서클 가이드 돌기(120), 스토퍼(130), 스트레이트 가이드 돌기(140), 및 배기 장치(15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 바디(11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판 형태로 구성된다.
서클 가이드 돌기(120)는 플레이트 바디(110)의 상면의 적어도 일 측에 구비된다. 서클 가이드 돌기(120)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서클 가이드 돌기(120)는 플레이트 바디(110)의 상면에 고정되는 나사 부재일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서클 가이드 돌기(120)는 플레이트 바디(110)의 양 측에, 플레이트 바디(11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130)는 플레이트 바디(110)의 상면의 적어도 일 부분에 구비된다. 스토퍼(130)는 스톱 돌기(132)를 갖는다. 스톱 돌기(132)는 상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돌기로 구성된다. 스톱 돌기(132)는 하방향에서 가해지는 힘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하게 구성된다. 예컨대, 아우터 커버(30)가 닫혔을 때, 내솥(20) 내의 내압이 크면 상기 스톱 돌기(132)가 내솥(20) 내의 증기압에 의해서 상승하여 플레이트 바디(110)보다 상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내솥(20) 내의 내압이 작으면(또는 내압이 없으면) 스톱 돌기(132)에 가해지는 증기압이 작으므로(또는 없으므로) 스톱 돌기(132)가 자중(自重)에 의해서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톱 돌기(132)가 플레이트 바디(110) 상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스트레이트 가이드 돌기(140)는 플레이트 바디(110)의 상면의 적어도 일 측에 구비된다. 스트레이트 가이드 돌기(140)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스트레이트 가이드 돌기(140)는 플레이트 바디(110)의 상면에 고정되는 나사 부재일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스트레이트 가이드 돌기(140)는 플레이트 바디(110)의 양 측에, 플레이트 바디(11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배기 장치(150)는 플레이트 바디(110)의 상부에 구비된다. 배기 장치(150)는 적어도 일 부분이 외력을 받으면 기울어지거나 또는 상방향으로 변위하며, 외력이 제거되면 원복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배기 장치(150)가 기울어지거나 상방향으로 변위하였을 때 내솥(20) 내의 증기가 배기 장치(150)를 통해서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휠 부재(200)>
휠 부재(200)는 이너 플레이트(100) 상에 위치하며, 이너 플레이트(100)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고, 전체적으로 링 형태의 형상을 갖는 부재이다.
휠 부재(200)는 링 형태의 휠 바디(210), 서클 가이드 라인(220), 오픈/클로징 가이드 라인(230), 스톱 블록(240), 및 잔압 제거 블록(250)을 포함한다.
휠 바디(210)는 휠 부재(200)의 바디를 구성하며, 소정의 내경과 외경을 갖는 링 형태의 부재이다.
서클 가이드 라인(220)은 휠 바디(210)의 적어도 일 측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천공된 부분이다. 서클 가이드 라인(220)은 휠 바디(210)의 원호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크기의 원호각 범위에 걸쳐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서클 가이드 라인(220)은 휠 바디(210)의 양 측에, 휠 바디(21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오픈/클로징 가이드 라인(230)은 휠 바디(210)의 적어도 일 측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천공된 부분이다. 오픈/클로징 가이드 라인(230)은 서클 가이드 라인(220)과 유사하게, 전체적으로 휠 바디(210)의 원호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크기의 원호각 범위에 걸쳐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다. 실시예에 의하면, 오픈/클로징 가이드 라인(230)은 휠 바디(210)의 양 측에, 휠 바디(21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오픈/클로징 가이드 라인(230)은 가변 라인(232), 제1 세이프 라인(231), 및 제2 세이프 라인(233)을 갖는다.
가변 라인(232)은 소정의 휠 바디(210)의 원호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크기의 원호각 범위에 걸쳐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이때, 가변 라인(232)의 전단은 상기 휠 부재(200)의 반경 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R1)를 갖고, 가변 라인(232)의 후단은 상기 휠 부재(200)의 반경 중심으로부터 제2 거리(R2)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제2 거리(R2)는 제1 거리(R1)보다 크다. 따라서, 가변 라인(232)은 정(正)원호에서 벗어난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가변 라인(232)은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휠 부재(200)의 반경 중심(C)에서 멀어진다.
제1 세이프 라인(231)은 가변 라인(232)의 전단에 구비되며 가변 라인(232)과 연결된다. 제1 세이프 라인(231)은 상기 휠 부재(200)의 반경 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R1)를 가지며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제1 세이프 라인(231)은 정(正)원호를 따라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제2 세이프 라인(233)은 가변 라인(232)의 후단에 구비되며 가변 라인(232)과 연결된다. 제2 세이프 라인(233)은 상기 휠 부재(200)의 반경 중심(C)으로부터 제2 거리(R2)를 가지며 후방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제2 세이프 라인(233)은 정(正)원호를 따라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이에 따라서, 제1 세이프 라인(231)과 제2 세이프 라인(233)은, 휠 부재(200)의 반경 방향 중심(C)에 대해서 서로 이격 거리(D)를 갖는다.
스톱 블록(240)은 휠 바디(210)의 내측에 구비되며, 휠 바디(210)의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스톱 블록(240)은 휠 바디(210)로부터 연장되는 스톱 플레이트(241), 및 스톱 플레이트(241)에 형성된 스톱 홀을 포함한다. 스톱 홀은 상하 방향으로 천공된 소정의 홀로 구성된다. 스톱 홀은 복수 개 구비되며, 휠 부재(200)의 원호 방향을 따라서 각각 상이한 위치에 위치한다. 예컨대, 스톱 홀은 제1 스톱 홀(242)과 제2 스톱 홀(2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톱 홀(242)은 제2 스톱 홀(243)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톱 블록(240)은 상기 제1 세이프 라인(231)의 내측(휠 바디(210)의 반경 방향으로 내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휠 바디(210)의 중심점과 제1 스톱 홀(242)을 연결한 선의 연장선 상에는 제1 세이프 라인(231)의 일 부분이 위치하며, 휠 바디(210)의 중심점과 제2 스톱 홀(243)을 연결한 선의 연장선 상에는 제1 세이프 라인(231)의 일 부분이 위치한다.
잔압 제거 블록(250)은 휠 바디(210)의 일 측에 구비되는 소정의 블록 형태의 부재이다. 잔압 제거 블록(250)은 휠 부재(200)의 원호 방향을 따라서 경사진 경사면(252)을 포함한다. 경사면(252)은 후방(즉, 상기 가변 라인(232)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후단 방향으로서, 제2 세이프 라인(233)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은 높이를 갖도록 경사져 있다.
<로킹 부재(300)>
실시예에 의하면, 로킹 부재(300)는 이너 플레이트(100)의 양 측에, 이너 플레이트(10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로킹 부재(300)는 로킹 블록(310), 및 가이드 블록(320)을 포함한다.
로킹 블록(310)은 일 측 방향으로 오픈된 로킹 홈(312)을 갖는다. 따라서, 로킹 블록(310)은 전체적으로 일 측이 오픈된 'ㄷ' 형태의 단면을 갖는다. 로킹 블록(310)은 상기 로킹 홈(312) 내에 상기 이너 플레이트(100)의 외주연부 및 내솥(20)의 플랜지(22)의 외주연부가 내삽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는 원호(초승달(eclipse))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블록(320)은 로킹 블록(310)에 연결된다. 가이드 블록(320)은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 및 스트레이트 가이드 홀(324)을 포함한다.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소정의 돌기일 수 있다.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는 상기 오픈/클로징 가이드 라인(230) 내에 투입될 수 있는 돌기이다.
스트레이트 가이드 홀(324)은 상하 방향으로 천공된 홀로 구성된다. 스트레이트 가이드 홀(324)은 직선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스트레이트 가이드 홀(324)은, 상기 로킹 부재(300)가 이너 플레이트(100)와 결합되었을 때, 이너 플레이트(10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로킹 모듈(50)의 결합 구조>
이하에서는 로킹 모듈(50)을 구성하는 이너 플레이트(100), 휠 부재(200), 및 로킹 부재(300) 사이의 연결 및 결합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상하 방향으로는, 이너 플레이트(100) 상에 로킹 부재(300)가 위치하며, 로킹 부재(300) 상에 상기 휠 부재(200)가 위치한다. 즉, 이너 플레이트(100)와 휠 부재(200) 사이의 로킹 부재(300)가 위치한다.
이때, 이너 플레이트(100)와 휠 부재(200)는 동심으로 배치된다. 즉, 이너 플레이트(100)와 휠 부재(200)는 중심점(C)을 공유한다.
<로킹 부재(300)와 이너 플레이트(100) 사이의 결합 구조>
로킹 부재(300)와 이너 플레이트(100) 사이의 결합 구조는 아래와 같다.
로킹 부재(300)는 이너 플레이트(100)의 중심을 중심으로 양 측에 대칭으로 배치된다. 로킹 부재(300)의 로킹 블록(310)의 로킹 홈(312)은 이너 플레이트(100)의 중심 방향으로 오픈되어 있다.
로킹 부재(300)의 스트레이트 가이드 홀(324)은 이너 플레이트(100)의 스트레이트 가이드 돌기(140)와 연결된다. 예컨대, 스트레이트 가이드 돌기(140)가 플레이트 바디(110)의 상면에 고정되는 나사 부재일 경우, 상기 나사 부재가 스트레이트 가이드 홀(324)을 통과하여 플레이트 바디(110)에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로킹 부재(300)는 이너 플레이트(100)의 반경 방향으로 위치 가변할 수 있다. 즉, 이너 플레이트(100)의 중심과 로킹 부재(300) 사이의 거리는 가변할 수 있다. 이때, 스트레이트 가이드 홀(324)과 스트레이트 가이드 돌기(140) 사이의 상호 연결에 의해서, 로킹 부재(300)의 변위(이너 플레이트(100)의 반경 방향을 따른 변위)가 안내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00)와 휠 부재(200) 사이의 결합 구조>
휠 부재(200)는 로킹 부재(300) 상에 위치한다. 물론, 휠 부재(200)는 이너 플레이트(100) 상에 위치한다. 휠 부재(200)는 이너 플레이트(100)의 원호 방향으로 위치 가변할 수 있다. 즉, 휠 부재(200)는 이너 플레이트(100)의 중심(휠 부재(20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중심각 범위만큼 회전 변위할 수 있다.
휠 부재(200)의 서클 가이드 라인(220) 내에 이너 플레이트(100)의 서클 가이드 돌기(120)가 위치한다. 예컨대, 서클 가이드 돌기(120)가 플레이트 바디(110)의 상면에 고정되는 나사 부재일 경우, 상기 나사 부재가 서클 가이드 라인(220)을 통과하여 플레이트 바디(110)에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휠 부재(200)가 이너 플레이트(100)의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서클 가이드 홀과 서클 가이드 돌기(120) 사이의 상호 연결에 의해서, 휠 부재(200)의 변위(이너 플레이트(100)의 원호 방향을 따른 변위)가 안내될 수 있다.
휠 부재(200)의 스톱 블록(240)은 이너 플레이트(100)의 스톱 돌기(132) 상에 위치한다. 휠 부재(200)가 이너 플레이트(100)의 원호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스톱 블록(240)은 이너 플레이트(100)의 스톱 돌기(132) 상을 지나게 된다.
이때, 스톱 돌기(132) 상에 스톱 블록(240)의 제1 스톱 홀(242) 또는 제2 스톱 홀(243)이 위치할 때, 스톱 돌기(132)가 상승하면, 스톱 돌기(132)가 제1 스톱 홀(242) 또는 제2 스톱 홀(243) 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스톱 홀(242) 또는 제2 스톱 홀(243) 내에 스톱 돌기(132)가 걸려짐으로서 휠 부재(20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스톱 돌기(132)와 스톱 블록(240)은 스톱 모듈(V)을 구성한다. 스톱 모듈(V)의 구체적인 작동은 후술한다.
휠 부재(200)의 잔압 제거 블록(250) 상에는 배기 장치(150)가 위치한다. 이때, 배기 장치(150)는 적어도 일 부분이 잔압 제거 블록(250)의 경사면(252)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휠 부재(200)가 이너 플레이트(100)의 중심(휠 부재(20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 배기 장치(150)는 잔압 제거 블록(250)의 경사면(252)을 따라서 승하강하거나, 또는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배기 장치(150)와 잔압 제거 블록(250)은 잔압 제거 모듈(W)을 구성한다. 잔압 제거 모듈(W)의 구체적인 작동은 후술한다.
<로킹 부재(300)와 휠 부재(200) 사이의 결합 구조>
휠 부재(200)의 오픈/클로징 가이드 라인(230) 내에 로킹 부재(300)의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위치한다.
휠 부재(200)가 이너 플레이트(100)의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로킹 부재(300)의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는 휠 부재(200)의 오픈/클로징 가이드 라인(230) 내에 위치한다.
이때,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는 오픈/클로징 가이드 라인(230)을 따라서 변위할 수 있다.
즉,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제1 세이프 라인(231) 또는 제2 세이프 라인(233) 내에 위치할 때에는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는 변위하지 않는다. 그러나,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가변 라인(232) 내에 위치할 때에는,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는 가변 라인(232)을 따라서 휠 부재(200)의 반경 방향으로 변위한다.
즉,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제1 세이프 라인(231) 또는 제2 세이프 라인(233)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휠 부재(200)가 회전하는 구간(θ1, θ3)에서는 로킹 부재(300)가 변위하지 않는다. 그러나,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가변 라인(232)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휠 부재(200)가 회전하는 구간(θ2)에서는 로킹 부재(300)가 반경 방향으로 변위한다.
<휠 부재(200)의 회전에 의한 로킹 부재(300)의 작동>
도 9 내지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의 로킹 모듈(50)이 잠금 상태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의 로킹 모듈(50)이 열림 상태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9 및 13 은, 로킹 모듈(50)을 나타낸 것이며, 도 10 및 13 은 아우터 커버(30) 아래에 바텀 커버(4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 및 12 는 내솥(20) 상에 바텀 커버(40) 및 로킹 모듈(50)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이며, 도 12 및 13 은 각각 도 9 의 T1, 도 13 의 T2 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휠 부재(200)의 회전에 의한 로킹 부재(3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휠 부재(200)와 이너 플레이트(100)는 중심점(C)을 공유하며, 상기 중심점을 중심으로 휠 부재(200)가 이너 플레이트(100)에 대해서 상대 회전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휠 부재(200)의 회전은 상기 서클 가이드 돌기(120) 및 서클 가이드 라인(220)에 의해서 안내될 수 있다.
휠 부재(200)가 회전하면 휠 부재(200)에 구비되는 오픈/클로징 가이드 라인(230)도 회전하게 된다. 오픈/클로징 가이드 라인(230)이 회전하면 상기 오픈/클로징 가이드 라인(230) 내에 위치하는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변위할 수 있다. 따라서, 로킹 부재(300)의 위치가 변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오픈/클로징 가이드 라인(230)을 따라서 이동하며, 그에 따라서 로킹 부재(300)가 변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제1 세이프 라인(231) --> 가변 라인(232) --> 제2 세이프 라인(233)을 따라서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제1 세이프 라인(231)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로킹 부재(300)는 변위하지 않는다. 제1 세이프 라인(231)은 휠 부재(200)의 반경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인 제1 거리(R1)를 갖고 정(正)원호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이다.
이어서,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가변 라인(232)에 도달하여, 가변 라인(232)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이동하면 로킹 부재(300)는 가변 라인(232)을 따라서 휠 부재(200)의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변위하게 된다.
이어서,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제2 세이프 라인(233)에 도달하여 제2 세이프 라인(233) 내에서 이동하는 상태에서는 로킹 부재(300)는 변위하지 않는다. 제2 세이프 라인(233)은 휠 부재(200)의 반경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인 제2 거리(R2)를 갖고 정(正)원호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제2 세이프 라인(233) --> 가변 라인(232) --> 제1 세이프 라인(231)을 따라서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위의 설명과 반대이다. 먼저,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제2 세이프 라인(233) 내에서 이동하는 상태에서는 로킹 부재(300)가 변위하지 않는다. 이어서,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가변 라인(232)에 도달하여 가변 라인(232)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이동하면 로킹 부재(300)는 가변 라인(232)을 따라서 휠 부재(200)의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어서,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제1 세이프 라인(231)에 도달하여 제1 세이프 라인(231) 내에서 이동하는 상태에서는 로킹 부재(300)가 변위하지 않는다.
위 설명과 같이, 제1 세이프 라인(231)과 제2 세이프 라인(233)은, 휠 부재(20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로킹 부재(300)가 변위되지 않는 구간이다.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제1 세이프 라인(231) 내에 위치할 때, 로킹 부재(300)는 잠금 상태이며, 휠 부재(20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1 세이프 라인(231)이 구비되는 효과는 이하와 같다. 사용자가 휠 부재(200)를 조작하여 로킹 부재(300)를 잠금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경하고자 할 때, 로킹 부재(300)는 즉시 조작되지 않고, 제1 세이프 라인(231)이 구비되는 구간 만큼 잠금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소정의 범위의 안전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제2 세이프 라인(233) 내에 위치할 때, 로킹 부재(300)는 열림 상태이며, 휠 부재(20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열림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세이프 라인(233)이 구비되는 효과는 이하와 같다. 사용자가 휠 부재(200)를 조작하여 로킹 부재(300)를 열림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변경하고자 할 때, 로킹 부재(300)는 즉시 조작되지 않고, 제2 세이프 라인(233)이 구비되는 구간 만큼 열림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소정의 범위의 안전 구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로킹 부재(300)의 변위(휠 부재(200)의 반경 방향 변위)에 의한 오픈/클로징 작동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오픈/클로징 가이드 라인(230)의 제1 세이프 라인(231) 내에 위치할 때에는 로킹 부재(300)가 클로징 위치에 위치한다. 즉, 로킹 부재(300)가 이너 플레이트(100)의 내측에 위치한다. 즉, 클로징 상태이다. 이 경우, 도 9 및 10 의 화살표 A 와 같이 로킹 부재(300)가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여 있다.
로킹 부재(300)가 클로징 상태일 경우에는, 로킹 블록(310)의 로킹 홈(312) 내에 이너 플레이트(100)의 외주연부, 및 내솥(20)의 플랜지(22)가 내삽된다. 따라서 잠금이 달성된다. 물론,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20) 상에는 바텀 커버(40)가 덮여진 상태로서, 내솥(20)의 플랜지(22) 상에 바텀 커버(40)의 패킹 링(43)이 밀착해 있다.
이와 같은 클로징 상태에서는, 패킹 링(43)의 상면부(44)는 바텀 플레이트(41)의 하면에 밀착하며, 패킹 링(43)의 하면부(46)가 내솥(20)의 플랜지(22) 상에 밀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내솥 내의 내압이 증가하여, 패킹 링(43)에 증기압(P)을 가하면, 상면부(44)와 하면부(46)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패킹 링(43)과 내솥(20)의 플랜지(22) 사이가 밀착하고, 더욱 효과적인 밀폐가 달성된다.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오픈/클로징 가이드 라인(230)의 제2 세이프 라인(233) 내에 위치할 때에는 로킹 부재(300)가 오픈 위치에 위치한다. 상태이다. 즉, 로킹 부재(300)가 이너 플레이트(100)의 외측에 위치한다. 즉, 오픈 상태이다. 이 경우, 도 13 및 14 의 화살표 B 와 같이 로킹 부재(300)가 중심 방향의 반대편 방향으로 이동하여 있다.
로킹 부재(300)가 오픈 상태일 경우에는, 로킹 블록(310)의 로킹 홈(312)은 이너 플레이트(100)의 외주연부, 및 내솥(20)의 플랜지(22)로부터 이탈한다. 따라서 열림이 달성되며, 아우터 커버(30)를 본체(1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즉, 아우터 커버(30)를 열수 있다.
물론,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가변 라인(232) 내에서 이동할 때에는, 로킹 부재(300)는 오픈 위치와 클로징 위치 사이에서 위치 가변한다. 따라서 오픈 상태와 클로징 상태 사이에서 상태 가변하게 된다.
<스톱 모듈 및 잔압 제거 모듈의 작동>
도 17 및 1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의 로킹 모듈(50)이 내솥(20) 상에 위치하여 조작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내지 21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의 스톱 모듈(V)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 및 2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의 잔압 제거 모듈(W)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스톱 모듈은 이너 플레이트(100)의 스토퍼(130)에 구비되는 스토퍼(130)와 휠 부재(200)의 스톱 블록(240)로 구성되는 모듈이다.
아울러, 잔압 제거 모듈은 이너 플레이트(100)에 구비되는 배기 장치(150), 및 잔압 제거 블록(250)으로 구성되는 모듈이다.
우선, 스톱 모듈(V)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내솥(20) 내에 압력이 있을 경우에는 스톱 돌기(132)는 상방향으로 상승한다. 내솥(20) 내의 압력이 제거되면 스톱 돌기(132)는 하강한다. 아울러, 상기 휠 부재(200)가 회전할 때 상기 스톱 돌기(132)는 상기 제1 및 제2 스톱 홀(242, 243)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휠 부재(200)가 회전할 때, 내솥(20) 내에 잔압이 있을 경우, 스톱 돌기(132)가 상승하여 스톱 홀(242, 243)에 걸려질 수 있다. 따라서, 내솥(20) 내에 잔압이 있을 때 휠 부재(200)의 회전을 걸어 잠가서, 로킹 모듈(50)이 조작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17, 19, 20 과 같이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제1 세이프 라인(231)이 위치하는 구간 내에 위치(중심점(C)과 제1 세이프 라인(231) 사이를 연결하는 선(L) 상의 일 위치)하며, 스톱 돌기(132)가 제1 스톱 홀(242) 아래에 위치한 상태를 설명한다. 이 상태는, 로킹 부재(300)가 열림 상태가 되기 전이다. 내솥(20) 내의 잔압이 있을 때에는 스톱 돌기(132)가 상승하여 제1 스톱 홀(242)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스톱 돌기(132)가 제1 스톱 홀(242)에 걸려서 휠 부재(200)의 회전 및 로킹 부재(300)의 열림이 제한된다. 즉, 스톱 모듈(V)의 제1 차 안전 걸림 작동이 수행된다.
내솥(20) 내의 증기가 배기되고 잔압이 어느 정도 제거되어 스톱 돌기(132)가 하강하면 휠 부재(200)가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휠 부재(20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내솥(20) 내의 잔압이 아직 남아 있는 경우에는, 스톱 돌기(132)가 다시 상승한다.
따라서, 도 18, 21 과 같이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제1 세이프 라인(231)이 위치하는 구간(중심점(C)과 제1 세이프 라인(231) 사이의 일 위치) 내에 위치하며, 스톱 돌기(132)가 제1 스톱 홀(242)이 위치하는 지점에 도달하면, 스톱 돌기(132)는 제1 스톱 홀(242)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스톱 홀(243)에 다시 걸려지게 된다. 따라서, 다시 휠 부재(200)의 회전 및 로킹 부재(300)의 열림이 제한된다. 즉, 스톱 모듈(V)의 제2 차 안전 걸림 작동이 수행된다. 물론, 내솥(20) 내의 증기가 배기되고 잔압이 제거되어 스톱 돌기(132)가 하강하면 휠 부재(200)가 다시 회전하며,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가변 라인(232)에 도달함으로서 로킹 부재(300)의 열림/닫힘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잔압 제거 모듈(W)이 작동한다. 즉, 이너 플레이트(100)에 구비된 배기 장치(150)는 잔압 제거 블록(250) 상에 위치한다. 휠 부재(200)가 회전하면, 잔압 제거 블록(250)의 경사면(252)을 따라서 배기 장치(150)의 적어도 일 부분이 변위(기울어지거나 상승)한다. 따라서, 증기를 배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잔압 제거 모듈(W)에 의한 내솥(20) 내의 잔압 제거는, 휠 부재(200)의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322)가 오픈/클로징 가이드 라인(230)의 제1 세이프 라인(231) 내에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연계하여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톱 모듈(V)의 제1 안전 걸림 작동이 수행되는 시점에서 잔압 제거 모듈(W)이 작동하여 배기가 이루어진다. 즉, 잔압 제거 블록(250)의 경사면(252) 상에 배기 장치(150)가 위치하여 배기가 이루어진다. 또는 스톱 모듈(V)의 제2 안전 걸림 작동이 수행되는 시점에서 잔압 제거 모듈(W)이 작동할 수도 있다.
잔압 제거 모듈(W)에 의해서 내솥(20) 내의 증기가 배기되고 잔압이 제거되면 스톱 돌기(132)가 다시 하강한다. 따라서, 스톱 돌기(132)와 제1 스톱 홀(242) 또는 제2 스톱 홀(243) 사이의 걸림이 해제되어 휠 부재(200)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로킹 부재(300)가 열릴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해서, 사용자가 핸들(34)을 회전 조작하면, 로킹 모듈(50)을 구성하는 로킹 부재(300)가 이너 플레이트(100) 및 휠 부재(200)의 반경 방향으로 변위한다. 즉, 종래 기술과 같이 로킹 부재(300)가 반경 방향으로 변위하지 않는다. 따라서, 로킹 부재(300)가 다른 부재의 각 부분과 마찰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마찰에 의한 쇳가루, 이물질 등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로킹 부재(300)가 반경 방향으로 체결/해제됨으로서, 로킹 부재(300)의 체결 구간의 면적이 회전 운동으로 인해 감소하면서 poise-assy를 들어올리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양 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변위하는 로킹 부재(300)가 구비됨으로서, 일정한 로킹 힘이 제공되며, 편심과 가공불량 발생에 의해 내구성이 약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로킹 부재(300)가 반경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서, 'ㄷ' 형태의 단면을 갖는 패킹 링(43)이 구비되는 바텀 커버(40)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내솥(20)의 내압이 커지고 바텀 커버(40)에 작용하는 증기압이 커지면 패킹 링(43)과 내솥(20)의 플랜지(22) 사이의 밀착이 더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또한, 로킹 부재(300)의 변위를 가이드하는 오픈/클로징 가이드 라인(230)은 제1 세이프 라인(231) 및 제2 세이프 라인(233)을 가짐으로서, 조작 전, 후에 안전 구간을 갖는다. 따라서, 견고한 잠금이 달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오조작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로킹 부재(300)가 오픈되기 전의 제1 세이프 라인(231) 구간에서는, 스톱 모듈이 작동하여, 잔압이 남아 있을때 로킹 부재(300)가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안전 사고(예컨대 증기에 의한 화상 등)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스톱 모듈(V)은 2 개의 스톱 홀을 가짐으로서, 이중 안전 걸림이 달성되므로, 더욱 안전한 조작이 달성된다.
아울러, 이러한 이중 안전 걸림 과정에서, 잔압 제거 모듈(W)이 작동하므로, 효과적으로 내솥(20) 내의 잔압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본체
12: 투입 공간
20: 내솥
22: 플랜지
30: 아우터 커버
32: 뚜껑 하우징
34: 핸들
40: 바텀 커버
41: 바텀 플레이트
42: 끼움 홈
43: 패킹 링
44: 상면부
45: 외면부
46: 하면부
50: 로킹 모듈
100: 이너 플레이트
110: 플레이트 바디
120: 서클 가이드 돌기
130: 스톱 돌기
140: 스트레이트 가이드 돌기
150: 배기 장치
200: 휠 부재
210: 휠 바디
220: 서클 가이드 라인
230: 오픈/클로징 가이드 라인
231: 제1 세이프 라인
232: 가변 라인
233: 제2 세이프 라인
240: 스톱 블록
241: 스톱 플레이트
242: 제1 스톱 홀
243: 제2 스톱 홀
250: 잔압 제거 블록
252: 경사면
300: 로킹 부재
310: 로킹 블록
312: 로킹 홈
320: 가이드 블록
322: 오픈/클로징 돌기
324: 스트레이트 가이드 홀

Claims (17)

  1. 가열 장치가 내장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투입되며 상단에 플랜지를 갖는 내솥, 상기 본체를 덮는 아우터 커버, 및 상기 아우터 커버의 밑면에 결합되며 상기 내솥을 덮는 바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커버는,
    뚜껑 하우징과 상기 뚜껑 하우징 외부에 구비되는 핸들, 및
    상기 뚜껑 하우징 내에 내장되며 상기 핸들에 의해서 조작되는 로킹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 모듈은,
    상기 아우터 커버의 아래면을 구성하는 이너 플레이트,
    상기 이너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핸들에 연결되어 상기 핸들에 의해서 회전 이동하게 조작되는 휠 부재, 및
    상기 휠 부재가 회전하면 상기 이너 플레이트의 반경 방향으로 위치 변위하는 로킹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이너 플레이트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클로징 위치와 상기 이너 플레이트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오픈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위하고,
    상기 로킹 부재가 클로징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내솥의 플랜지와 상기 바텀 커버의 외주연부 사이를 서로 밀착시키는 압력 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휠 부재 및 이너 플레이트의 중심을 중심으로 양 측에 대칭으로 배치되는 압력 조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이너 플레이트의 중심 방향으로 오픈된 로킹 홈을 갖는 로킹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 부재가 클로징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로킹 홈 내에 상기 내솥의 플랜지와 상기 바텀 커버가 내삽되는 압력 조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로킹 블록과 연결되는 가이드 블록을 가지며,
    상기 휠 부재는 상기 가이드 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휠 부재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 블록이 상기 휠 부재의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휠 부재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 블록이 상기 휠 부재의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압력 조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하 방향으로 천공되며 상기 이너 플레이트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레이트 가이드 홀을 포함하며,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스트레이트 가이드 홀 내에 위치하는 스트레이트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휠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천공된 오픈/클로징 라인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블록은,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오픈/클로징 라인 내에 위치하는 오픈/클로징 가이드 돌기를 갖는 압력 조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클로징 라인은 가변 라인을 갖되,
    상기 가변 라인은,
    전단이 상기 휠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를 갖고,
    후단이 상기 휠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제2 거리를 갖고,
    상기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큰 압력 조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라인의 전단에는 제1 세이프 라인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세이프 라인은 상기 휠 부재의 반경 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를 갖고 연장되는 압력 조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라인의 후단에는 제2 세이프 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세이프 라인은 상기 휠 부재의 반경 중심으로부터 제2 거리를 갖고 연장되는 압력 조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천공되며 원호 형태로 연장되는 서클 가이드 라인을 가지며,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서클 라인 내에 위치하는 서클 가이드 돌기를 갖는 압력 조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모듈은 스톱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톱 모듈은,
    상기 내솥 내에 잔압이 있을 때,
    상기 로킹 모듈이 클로징 위치에서 오픈 위치로 변위하지 못하도록 하는 압력 조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모듈은,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스톱 돌기, 및
    상기 휠 부재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천공되고 상기 스톱 돌기 상에 위치하는 스톱 홀을 포함하며,
    상기 휠 부재가 회전할 때 상기 스톱 돌기는 상기 스톱 홀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스톱 돌기는, 내솥 내에 잔압이 있을 때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내솥 내의 잔압이 제거되면 하강하는 압력 조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홀은,
    복수 개 구비되되,
    상기 복수 개의 스톱 홀은 상기 휠 부재의 원호 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는 압력 조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모듈은,
    상기 로킹 부재가 오픈 위치가 되는 방향으로 상기 휠 부재가 회전할 때,
    상기 내솥 내의 잔압을 제거하는 잔압 제거 모듈을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잔압 제거 모듈은,
    상기 휠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휠 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는 잔압 제거 블록, 및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잔압 제거 블록 상에 위치하는 배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잔압 제거 블록은,
    상기 휠 부재가 변위할 때 상기 배기 장치를 조작하는 압력 조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잔압 제거 블록은 상기 휠 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배기 장치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경사면 상에 위치하여,
    상기 휠 부재가 회전하면 상기 배기 장치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서 변위하는 압력 조리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커버는,
    바텀 플레이트, 및 패킹 링을 포함하며,
    상기 바텀 플레이트는,
    외측 둘레에 구비되며 내측 방향으로 오픈된 끼움 홈을 구비하고,
    상기 패킹 링은, 'ㄷ' 형태의 단면을 갖고, 반경 방향 내주연부가 오픈되며 상면부가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하면에 밀착하고 하면부가 내솥의 플랜지 상에 밀착하는 압력 조리 장치.
KR1020190134803A 2019-10-28 2019-10-28 압력 조리 장치 KR102286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803A KR102286962B1 (ko) 2019-10-28 2019-10-28 압력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803A KR102286962B1 (ko) 2019-10-28 2019-10-28 압력 조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328A true KR20210050328A (ko) 2021-05-07
KR102286962B1 KR102286962B1 (ko) 2021-08-09

Family

ID=75916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803A KR102286962B1 (ko) 2019-10-28 2019-10-28 압력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96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397B1 (ko) * 2021-06-14 2022-07-08 (주)쿠첸 조리 장치
KR102418398B1 (ko) * 2021-06-14 2022-07-08 (주)쿠첸 조리 장치
KR102418396B1 (ko) * 2021-06-14 2022-07-08 (주)쿠첸 조리 장치
KR102440946B1 (ko) * 2021-06-14 2022-09-07 (주)쿠첸 조리 장치
KR102474672B1 (ko) * 2021-06-14 2022-12-06 (주)쿠첸 조리 장치
KR102475266B1 (ko) * 2021-06-14 2022-12-08 (주)쿠첸 조리 장치
WO2022265351A1 (ko) * 2021-06-14 2022-12-22 주식회사 쿠첸 조리 장치
WO2023132418A1 (ko) * 2022-01-04 2023-07-13 주식회사 쿠첸 조리기기
RU2817465C2 (ru) * 2021-06-14 2024-04-16 Кучен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838A (ko) 1995-06-30 1997-01-29 배순훈 기준신호 제거기능을 갖는 디스크램블러
KR20040077305A (ko) * 2003-02-28 2004-09-04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
KR100797149B1 (ko) * 2007-05-31 2008-01-23 주식회사 노비타 전기압력보온밥솥 및 그 뚜껑
KR20190027604A (ko) * 2017-09-07 2019-03-15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KR20190043950A (ko) * 2017-10-19 2019-04-29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및 그의 잔류압력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838A (ko) 1995-06-30 1997-01-29 배순훈 기준신호 제거기능을 갖는 디스크램블러
KR20040077305A (ko) * 2003-02-28 2004-09-04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
KR100797149B1 (ko) * 2007-05-31 2008-01-23 주식회사 노비타 전기압력보온밥솥 및 그 뚜껑
KR20190027604A (ko) * 2017-09-07 2019-03-15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KR20190043950A (ko) * 2017-10-19 2019-04-29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및 그의 잔류압력제거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359A1 (ko) * 2021-06-14 2022-12-22 주식회사 쿠첸 조리 장치
WO2022265351A1 (ko) * 2021-06-14 2022-12-22 주식회사 쿠첸 조리 장치
KR102418396B1 (ko) * 2021-06-14 2022-07-08 (주)쿠첸 조리 장치
KR102440946B1 (ko) * 2021-06-14 2022-09-07 (주)쿠첸 조리 장치
KR102418397B1 (ko) * 2021-06-14 2022-07-08 (주)쿠첸 조리 장치
KR102475266B1 (ko) * 2021-06-14 2022-12-08 (주)쿠첸 조리 장치
KR102418398B1 (ko) * 2021-06-14 2022-07-08 (주)쿠첸 조리 장치
WO2022265361A1 (ko) * 2021-06-14 2022-12-22 주식회사 쿠첸 조리 장치
KR102474672B1 (ko) * 2021-06-14 2022-12-06 (주)쿠첸 조리 장치
WO2022265349A1 (ko) * 2021-06-14 2022-12-22 주식회사 쿠첸 조리 장치
RU2817465C2 (ru) * 2021-06-14 2024-04-16 Кучен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CN117337146A (zh) * 2021-06-14 2024-01-02 (株)酷晨 烹饪装置
CN117377414A (zh) * 2021-06-14 2024-01-09 (株)酷晨 烹饪装置
CN117396109A (zh) * 2021-06-14 2024-01-12 (株)酷晨 烹饪装置
CN117425421A (zh) * 2021-06-14 2024-01-19 (株)酷晨 烹饪装置
WO2023132418A1 (ko) * 2022-01-04 2023-07-13 주식회사 쿠첸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962B1 (ko) 202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6962B1 (ko) 압력 조리 장치
CN109463978B (zh) 电炊具
CN109222617B (zh) 电炊具
CN109222633B (zh) 电炊具
KR20170115968A (ko) 덮개 개구부를 구비한 압력 조리용기
US20160167847A1 (en) Side press-type safety cap
JPH0381369B2 (ko)
JP2009528959A5 (ko)
KR920003642B1 (ko) 압력 쿠커용 잠금장치
JP6572009B2 (ja) 遠心分離機のスイング型ロータ用バケット
JP2020508935A (ja) 飲用ボトル密閉蓋、とりわけ魔法瓶のための飲用ボトル密閉蓋
JP6387862B2 (ja) 飲食物用容器
JP2020522327A (ja) 調理器具用蓋及びそれを含む調理器具
JP5793293B2 (ja) キャップ
US20160207667A1 (en) Cover for closing a box and assembly comprising a box and a cover of said type
KR101173773B1 (ko) 뚜껑 회전방지수단이 구비된 압력솥
KR102177422B1 (ko) 캔뚜껑
JP6634690B2 (ja) 蓋付き容器
JP7068951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CN209789543U (zh) 烹饪器具
KR102213166B1 (ko) 조리기기용 패킹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299435B1 (ko) 조리기기
KR20240037424A (ko) 압력 밥솥
CN106820955A (zh) 锅盖连接结构及锅
EP0131985A1 (en) Device for closing the loading aperture of a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