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32418A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32418A1
WO2023132418A1 PCT/KR2022/009223 KR2022009223W WO2023132418A1 WO 2023132418 A1 WO2023132418 A1 WO 2023132418A1 KR 2022009223 W KR2022009223 W KR 2022009223W WO 2023132418 A1 WO2023132418 A1 WO 202313241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cover
top plate
pack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922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염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0092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3316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첸
Publication of WO202313241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324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Definitions

  • 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ver plate of the cover assembly.
  • the top plate 210 is movable within a certain range in the vertical direction (eg, the Z direction or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plane (eg, XY plane) on which the cooking appliance 10 is placed). can be installed within.
  • the top plate 210 may be configured to move within a certain range in a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vapor pressure in the inner pot 110 .
  • the top plate 210 has an elevate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ot 110 by a first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lowere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ot 110 by a second distance smaller than the first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can be configured to move between them.
  • the pressure slider 290 may provide an external force for moving the locking structure 270 in one direction.
  • the pressure slider 290 may provide an external force for sliding the locking structure 270 from a locking position toward an unlocking position.
  • the pressure slider 29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 the fixed body 291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220 .
  • the fixed body 291 may provide a space into which the movable body 293 and the spring 295 can be inserted.
  • the movable body 293 is movably mounted on the fixed body 29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ate 273 of the locking structure 270 .
  • the moving body 293 is accommodated in the fixed body 291 and may be configured to linearly move within the fixed body 291 .
  • the spring 29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ovable body 293 and the fixed body 291 .
  • Spring 295 may include, for example, a compression spring.
  • the movable body 293 may include a hook 2931 that is hooked to the hook of the fixed body 291 .
  • the moving body 293 may be configured to linearly move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ed by two springs 295 spaced apart with the guide protrusion 275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safety protrusion 242 When the safety protrusion 242 is in the raised position, the safety protrusion 242 is located on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safety protrusion 239 of the rotating cover 230, and is in contact with the sidewall of the safety protrusion 239 to rotate the cover ( 230) can be limited.
  • the guide protrusion 275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P1 of the guide groove 235 and the locking structure 270 fits the inner pot 110. It is located in the engaged locking position, and the safety protrusion 242 contacts the sidewall of the safety protrusion 239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cover 230, and accordingly, the locking structure 270 moves to the unlocking position unintentionally. doing can be blocked.
  • the depth of the upper auxiliary groove 347 may be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upper air groove 341, and the horizontal width of the upper auxiliary groove 347 (ie, the width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acking 330) and the extension length ( That is, the radial direction of the packing 330 or the length extending away from the center of the packing 330) may be smaller than the horizontal width and extension length of the upper air groove 341, respectively.
  • the upper auxiliary groove 347 and the lower auxiliary groove 349 may not b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upper air groove 341 allows air to flow between the first space SA and an external space outside the packing 330.
  • the lower air groove 343 allows air flow between the second space SB and the outer space outside the packing 330, the first space SA and/or the second space SB A vacuum can be prevented from forming. Accordingly, deformation and abrasion of the packing 330 that may be caused by a vacuum being formed in the first space SA and/or the second space SB may be preve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체; 상기 본체에 수용된 내솥;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내솥을 덮는 본체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뚜껑은, 상기 내솥을 덮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탑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회전 커버; 상기 내솥의 플랜지부에 걸리도록 구성된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에 연동하여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선형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잠금 위치는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내솥의 상기 플랜지부에 수직 방향으로 중첩된 위치이고, 상기 잠금 해제 위치는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인, 잠금 구조체; 및 상기 잠금 구조체에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해제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된 가압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의 대표적인 예로서 전기 압력 밥솥은 밥을 지을 수 있는 취사기능과, 취사된 밥을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보온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다. 전기 압력 밥솥은 본체의 상부에 증기 배출공이 형성된 본체 뚜껑이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내솥이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며, 이 내솥을 덮을 수 있도록 내솥 뚜껑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본체 내에는 상기 내솥에 수용된 조리 재료, 즉 쌀이나 잡곡, 기타 음식 재료에 열을 전달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가열 방식 또는 열판 방식의 히터가 구비된다. 이러한 전기 압력 밥솥은 높은 압력 하에서 조리 재료를 조리하므로, 내솥 내의 높은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내솥 내의 공간에 대한 효과적인 밀폐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체; 상기 본체에 수용된 내솥;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내솥을 덮는 본체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뚜껑은, 상기 내솥을 덮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탑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회전 커버; 상기 내솥의 플랜지부에 걸리도록 구성된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에 연동하여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선형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잠금 위치는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내솥의 상기 플랜지부에 수직 방향으로 중첩된 위치이고, 상기 잠금 해제 위치는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인, 잠금 구조체; 및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해제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 구조체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된 가압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가압 슬라이더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 내에서 선형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잠금 구조체에 접촉된 이동 몸체; 및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이동 몸체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이동 몸체를 상기 회전 커버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회전 커버는 상기 회전 커버의 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제1 구간과 상기 회전 커버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거리로 이격된 제2 구간을 포함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구조체는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며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가이드 홈 내에서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구조체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1 구간 내에 있는 동안 상기 잠금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2 구간 내에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솥의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실린더 및 상기 내솥의 내의 증기압에 따라 상기 실린더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무게추를 포함하는 무게추 밸브; 및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 각도에 따라 핀-다운 위치와 핀-업 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된 리프트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핀은 상기 핀-업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유로의 유출구가 강제 개방되도록 상기 무게추를 들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리프트 핀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1 구간 내에서 이동하는 동안 상기 핀-다운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2 구간 내에서 이동하는 동안 상기 핀-업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본체 뚜껑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커버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 뚜껑은 상기 탑 플레이트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고정 포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조립체는, 상기 내솥을 덮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둘레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기 둘레를 따라 연장된 링 형태를 가지고, 상기 내솥과 상기 탑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솥과 상기 탑 플레이트 사이를 밀폐하도록 구성된 패킹;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제공되고, 상기 고정 포스트가 삽입되는 삽입 홈을 포함하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패킹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끼워지는 체결 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링 형태의 중심 몸체; 상기 중심 몸체로부터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중심 몸체를 따라 연장된 링 형태이고, 상기 탑 플레이트와 연속적으로 접촉된 상부 밀착 돌기; 상기 중심 몸체로부터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중심 몸체를 따라 연장된 링 형태이고, 상기 내솥과 연속적으로 접촉된 하부 밀착 돌기; 상기 중심 몸체의 상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에어 홈; 및 상기 중심 몸체의 하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에어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면, 회전 커버의 회전에 연동하여 잠금 구조체가 선형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잠금 구조체의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전환은 잠금 구조체의 선형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면, 잠금 구조체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외력을 제공하는 가압 슬라이더를 포함하므로, 잠금 구조체의 동작의 재현성 및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조리기기의 본체 뚜껑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조리기기의 본체 뚜껑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조리기기의 본체 뚜껑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잠금 구조체 및 가압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가압 슬라이더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회전 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회전 커버의 회전 각도에 따른 잠금 구조체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회전 커버의 회전에 따른 잠금 구조체 및 가압 슬라이더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들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조리기기의 본체 뚜껑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들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체 뚜껑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12는 조작 핸들의 회전 위치 변화에 따른, 가이드 돌기의 위치, 잠금 구조체의 위치, 리프트 핀의 위치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XIV- XIV'선에 따른 커버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5은 커버 조립체의 커버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는 커버 조립체의 패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는 커버 조립체의 패킹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XIX"로 표시된 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개념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임은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기(1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조리기기(10)의 본체 뚜껑(200)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조리기기(10)의 본체 뚜껑(200)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조리기기(10)의 본체 뚜껑(200)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0)는 조리 재료를 조리할 수 있는 조리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100), 본체(100)의 조리 공간에 수용되는 내솥(110), 상기 본체(100)의 조리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본체 뚜껑(200), 및 상기 본체 뚜껑(2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커버 조립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솥(110)은 용기 형태를 가지며, 조리 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내솥(110)은 본체(100)의 조리 공간 내에 분리 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내솥(110)은 그 상단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도 9a의 11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111)는 내솥(110)의 상단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또한 내솥(110)의 상단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체(100)는 내솥(110)에 수용된 조리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는 열판 방식의 히터 또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작동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뚜껑(200)은 조리 재료에 대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에, 본체(100)의 조리 공간 내에 적합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본체(100)의 조리 공간 및 내솥(110)의 수용 공간을 덮어 밀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뚜껑(200)은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본체(100)의 조리 공간 및 내솥(110)의 수용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본체 뚜껑(200)은 본체(10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본체(100)의 조리 공간 또는 내솥(110)의 수용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본체 뚜껑(200)은 본체(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본체 뚜껑(200)은 뚜껑 프레임(201), 탑 플레이트(210), 지지 플레이트(220), 회전 커버(230), 안전 구조체(240), 무게추 밸브(250), 솔레노이드 밸브(260), 잠금 구조체(270), 및 가압 슬라이더(290)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 프레임(201)은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뚜껑 프레임(201)은 본체 뚜껑(2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뚜껑 프레임(201)은 내부에 각종 전장 부품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210)는 내솥(110)에 마주하는 본체 뚜껑(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210)는 본체(100)에 수용된 내솥(110)을 덮을 수 있다. 탑 플레이트(210)는 내솥(110)의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제1 증기 홀(211H1) 및 제2 증기 홀(211H2)을 포함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210)는 수직 방향(예를 들어, Z방향 또는 조리기기(10)가 놓이는 기준면(예를 들어, XY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본체 뚜껑(2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 플레이트(210)는 내솥(110) 내의 증기압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 플레이트(210)는 내솥(110)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제1 거리로 이격된 상승 위치와, 내솥(110)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로 이격된 하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210)의 상승 위치는 내솥(110) 내의 증기압이 상대적으로 고압일 때의 위치이고, 탑 플레이트(210)의 하강 위치는 내솥(110) 내의 증기압이 상대적으로 저압일 때의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솥(110) 내의 증기압이 저압에서 고압으로 전환하는 경우 탑 플레이트(210)는 상방으로(즉, 탑 플레이트(210)의 하강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내솥(110) 내의 증기압이 고압에서 저압으로 전환하는 경우 탑 플레이트(210)는 하방으로(즉, 탑 플레이트(210)의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210)의 이동 시, 탑 플레이트(210)에 고정 결합된 지지 플레이트(220) 및 커버 조립체(300)는 탑 플레이트(210)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20)는 뚜껑 프레임(201)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20)는 탑 플레이트(210)의 상측에 배치되며, 탑 플레이트(2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20)는 대략 원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20)에는 각종 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회전 커버(230)는 탑 플레이트(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커버(230)는 대략 탑 플레이트(210)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회전 커버(230)는 탑 플레이트(210)의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탑 플레이트(210) 상에 탑재될 수 있다. 회전 커버(230)는 수직 방향(예를 들어, Z 방향)을 회전 축으로 하여, 제1 회전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 및 이에 반대된 제2 회전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커버(230)는 뚜껑 프레임(201)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조작 핸들(283)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작 핸들(283)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은 회전 커버(230)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을 야기하고, 조작 핸들(283)의 제2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은 회전 커버(230)의 제2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을 야기할 수 있다. 즉, 조작 핸들(283)의 회전 각도(예를 들어, 조작 핸들(283)의 기준 위치로부터 측정된 각도)를 조절하여, 회전 커버(230)의 회전 각도(예를 들어, 회전 커버(230)의 기준 위치로부터 측정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조작 핸들(283)과 회전 커버(230)는 조작 핸들(283)의 회전 시 조작 핸들(283)의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연결 레버(284)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레버(284)의 일단은 조작 핸들(283)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레버(284)의 타단은 회전 커버(230)의 연결 돌기(231)에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작 핸들(283)이 회전하면, 조작 핸들(283)에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연결 레버(284)가 회동하고, 연결 돌기(231)를 통해 연결 레버(284)에 연결된 회전 커버(230)가 탑 플레이트(21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회전 커버(230)는 탑 플레이트(210) 상에서 미리 정해진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커버(230)는 회전 커버(230)의 회전 방향 또는 회전 커버(230)의 둘레를 따라 호(arc) 형태를 가지도록 연장된 회전 구속 홈(233)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속 홈(233)은 회전 커버(230)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는 것과 함께, 회전 커버(230)의 회전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나사와 같은 체결 구조(285)는 회전 구속 홈(233)을 통해, 회전 구속 홈(233) 아래에 있는 지지 플레이트(220)의 보스(boss)(22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회전 커버(230)의 회전은 상기 체결 구조(285)가 회전 구속 홈(233)의 일 단부에 걸리는 위치로부터, 상기 체결 구조(285)가 회전 구속 홈(233)의 타 단부에 걸리는 위치 사이에서 제한될 수 있다.
무게추 밸브(poise valve)(250)는 내솥(110)의 수용 공간의 압력 레벨에 따라 증기의 배출을 제어하여, 내솥(110)의 수용 공간의 압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게추 밸브(250)는 무게추(252)를 이용하여 내솥(110)의 수용 공간의 압력(즉, 증기압)을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게추 밸브(250)는, 지지 플레이트(220)에 장착되는 실린더(251)와, 상기 실린더(251) 상에 배치된 무게추(25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251)는 제1 증기 홀(211H1)을 통해 내솥(110)의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유로를 가지며, 무게추(252)는 내솥(110)의 수용 공간의 압력 레벨에 따라 실린더(251)의 유로의 단부(즉, 유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솥(110)의 수용 공간의 압력(즉, 증기압)이 미리 정해진 압력 이상인 경우, 무게추(252)가 들려 실린더(251)의 유로의 단부가 개방되며, 상기 실린더(251)의 유로로 유입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내솥(110)의 수용 공간의 압력(즉, 증기압)이 미리 정해진 압력 미만인 경우, 무게추(252)는 실린더(251)의 유로의 단부를 폐쇄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260)는 지지 플레이트(220)에 장착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260)는 전기적 제어 신호에 따라 내솥(110)의 수용 공간의 증기를 배출함으로써, 내솥(110)의 수용 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260)는 탑 플레이트(210)의 제2 증기 홀(211H2)을 통해 내솥(110)의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내부 유로를 포함할 수 있고, 조리기기(10)의 제어부(예를 들어, 마이컴)에서 인가된 전기적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내부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260)는 조리가 완료된 시점에 상기 내부 유로를 개방하여 내솥(110) 내의 잔압을 외부로 빠르게 방출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잠금 구조체(270)는 내솥(110)의 플랜지부(111)에 잠금되는 잠금 위치와, 내솥(110)의 플랜지부(111)에 대해 잠금 해제되는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잠금 구조체(270)의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전환은, 회전 커버(230)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잠금 구조체(270)는 탑 플레이트(210) 상에 장착되며, 선택적으로 내솥(110)의 플랜지부(111)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걸림 돌기(도 9a의 277)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구조체(270)의 잠금 위치는 잠금 구조체(270)의 걸림 돌기(277)가 내솥(110)의 플랜지부(111)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이고, 잠금 구조체(270)의 잠금 해제 위치는 잠금 구조체(270)의 걸림 돌기(277)가 내솥(110)의 플랜지부(111)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일 수 있다. 내솥(110)에 담긴 조리 재료에 대한 조리가 진행되는 동안, 잠금 구조체(270)는 잠금 위치에 위치되며, 걸림 돌기(277)가 내솥(110)에 고정됨에 따라, 내솥(110)과 탑 플레이트(210) 사이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잠금 구조체(270)에 대해서는 뒤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가압 슬라이더(290)는 잠금 구조체(270)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슬라이더(290)는 잠금 구조체(270)를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가압 슬라이더(290)에 대해서는 뒤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안전 구조체(240)는 회전 커버(23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허용 또는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구조체(240)는, 취사 시와 같이 내솥(110) 내에 높은 압력에 형성되었을 때, 회전 커버(230)의 회전을 제한하여 회전 커버(230)의 회전에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된 잠금 구조체(27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안전 구조체(240)에 대해서는 뒤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잠금 구조체(270) 및 가압 슬라이더(29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가압 슬라이더(29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회전 커버(23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회전 커버(230)의 회전 각도에 따른 잠금 구조체(270)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들로서, 가이드 돌기(275)가 가이드 홈(235)의 제1 내지 제3 위치(P1, P2, P3)에 있을 때의 잠금 구조체(270)의 상태들을 보여준다. 도 9a 및 도 9b는 회전 커버(230)의 회전에 따른 잠금 구조체(270) 및 가압 슬라이더(290)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들로서, 도 9a는 잠금 구조체(270)의 잠금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9b는 잠금 구조체(270)의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9b를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잠금 구조체(270)는 탑 플레이트(21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평면적 관점에서 곡선 형태를 가지는 잠금 블레이드(271)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블레이드(271)는 탑 플레이트(210) 및 탑 플레이트(210)의 저면에 결합된 커버 조립체(300)의 패킹(330)을 측 방향에서 감싸는 측벽부(2713)와, 측벽부(2713)의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탑 플레이트(210)의 상면에 접하는 상부 몸체(2711)와, 상기 측벽부(2713)의 하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하부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블레이드(271)의 하부 몸체는 내솥(110)의 플랜지부(111)에 걸림 고정되도록 구성된 걸림 돌기(277)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구조체(270)는 잠금 블레이드(271)의 상부 몸체(2711)에 연결된 연결 플레이트(27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273)는 수직 방향에 대해 탑 플레이트(210)와 회전 커버(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273)는 직선 방향으로 연장된 홈(274)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273)의 홈(274)은 잠금 구조체(270)의 선형 이동을 안내하는 것과 함께, 잠금 구조체(27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나사와 같은 체결 구조(287)는 연결 플레이트(273)의 홈(274)을 통해, 탑 플레이트(210)의 보스(223)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잠금 구조체(270)의 선형 이동은, 홈(274)의 일 단부가 체결 구조(287)에 걸리는 위치로부터 홈(274)의 타 단부가 체결 구조(287)에 걸리는 위치 사이로 제한될 수 있다.
회전 커버(230)는 대체로 회전 커버(2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곡선 형태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235)을 포함하며, 잠금 구조체(270)의 연결 플레이트(273)는 회전 커버(230)의 가이드 홈(235)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27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커버(230)가 회전하는 동안, 회전 커버(230)와 가이드 홈(235)에 수용된 가이드 돌기(275) 사이의 물리적인 간섭에 의해 잠금 구조체(270)의 선형 이동이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235)은 가이드 홈(235)의 일 단부와 타 단부 사이에서 가이드 홈(235)의 연장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된 제1 위치(P1), 제2 위치(P2), 및 제3 위치(P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235)의 제1 위치(P1)는 가이드 홈(235)의 일 단부에 있는 위치이고, 가이드 홈(235)의 제3 위치(P3)는 가이드 홈(235)의 타 단부에 있는 위치이고, 가이드 홈(235)의 제2 위치(P2)는 가이드 홈(235)의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 사이에 있는 위치일 수 있다. 가이드 홈(235)의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는 회전 커버(230)의 회전 중심(RC)으로부터 제1 거리(D1)로 이격될 수 있고, 가이드 홈(235)의 제3 위치(P3)는 회전 커버(230)의 회전 중심(RC)으로부터 제1 거리(D1)보다 큰 제2 거리(D2)로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가이드 홈(235)에서,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사이의 구간은 잠금 구간(2351)으로 지칭될 수 있고, 제2 위치(P2)와 제3 위치(P3) 사이의 구간은 슬라이딩 이동 구간(2352)으로 지칭될 수 있다. 잠금 구간(2351)은 회전 중심(RC)으로부터 제1 거리(D1)만큼 이격된 구간일 수 있고, 슬라이딩 이동 구간(2352)은 회전 중심(RC)으로부터 제1 거리(D1) 내지 제2 거리(D2) 사이로 이격된 구간일 수 있다.
회전 커버(230)의 회전 각도에 따라, 가이드 홈(235)에 대한 가이드 돌기(275)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하게 된다. 가이드 돌기(275)가 회전 커버(230)의 회전 중심(RC)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1 거리(D1)로 이격된 가이드 홈(235)의 잠금 구간(2351) 내에서 상대 이동하는 동안, 잠금 구조체(270)는 걸림 돌기(277)가 내솥(110)의 플랜지부(111)에 걸림 가능한 잠금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75)가 회전 커버(230)의 회전 중심(RC)으로부터 제1 거리(D1)보다 큰 제2 거리(D2)로 이격된 가이드 홈(235)의 슬라이딩 이동 구간(2352) 내에서 상대 이동하는 동안, 잠금 구조체(270)는 잠금 위치와 잠금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격된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돌기(275)가 가이드 홈(235)의 슬라이딩 이동 구간(2352)에서 이동하는 동안, 잠금 구조체(270)는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거나,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돌기(275)가 가이드 홈(235)의 제2 위치(P2)로부터 제3 위치(P3)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잠금 구조체(270)는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가이드 돌기(275)가 가이드 홈(235)의 제3 위치(P3)로부터 제2 위치(P2)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잠금 구조체(270)는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본체 뚜껑(200)에는 회전 커버(23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리드 스위치(289)가 제공될 수 있다. 리드 스위치(289)는 뚜껑 프레임(201)에 고정되며, 회전 커버(230)가 회전하는 동안 리드 스위치(289)와 표식자(236) 간의 상대 거리가 변하게 된다. 리드 스위치(289)는 회전 커버(230)에 부착되어 회전 커버(23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 표식자(236)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식자(236)는 자성을 갖는 물체, 예를 들어 자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돌기(275)가 가이드 홈(235)의 제1 위치(P1)에 위치되었을 때, 리드 스위치(289)와 회전 커버(230)의 표식자(236)는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위치되며, 리드 스위치(289)는 제1 동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돌기(275)가 가이드 홈(235)의 제1 위치(P1)로부터 벗어나 제2 위치(P2)와 제3 위치(P3) 사이에 위치되었을 때, 리드 스위치(289)와 회전 커버(230)의 표식자(236)가 일정 거리 이격되며, 리드 스위치(289)는 제2 동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체(100)의 제어부는 리드 스위치(289)의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배기 조립체 등 조리기기(10)의 부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10)에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과 같이 내솥(110) 내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고압 상태일 때, 외부 충돌에 의해 회전 커버(230)가 의도치 않게 회전되어 리드 스위치(289)와 회전 커버(230)의 표식자(236)가 일정 거리 이격되면, 제어부는 리드 스위치(289)에서 생성된 제2 동작 신호를 기초로 솔레노이드 밸브(260)의 내부 유로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260)를 통해 내솥(110) 내의 증기가 배출되어,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조작 핸들(283)의 회전에 연동된 회전 커버(230)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통해 가이드 돌기(275)가 잠금 구간(2351) 내에서 이동하는 동안, 잠금 구조체(270)의 위치는 잠금 위치로 유지되며, 잠금 구조체(270)와 내솥(110) 간의 잠금 상태는 유지될 수 있다.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면, 조작 핸들(283)의 회전에 연동된 회전 커버(230)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통해 가이드 돌기(275)가 슬라이딩 이동 구간(2352) 내에서 이동하는 동안, 잠금 구조체(270)는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까지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며, 잠금 구조체(270)와 내솥(110) 간의 잠금 상태는 해제될 수 있다.
가압 슬라이더(290)는 회전 커버(230)의 회전 중심(R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또는, 탑 플레이트(21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잠금 구조체(270)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잠금 구조체(270)는 가압 슬라이더(290)에 의해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잠금 구조체(270)가 회전 커버(230)의 회전에 연동하여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까지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가압 슬라이더(290)는 잠금 구조체(270)의 선형 이동을 위한 외력(예를 들어,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압 슬라이더(290)는 잠금 구조체(270)를 탄성 지지하여, 잠금 해제 위치에 위치된 잠금 구조체(270)가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의도치 않게 잠금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가압 슬라이더(290)가 제공하는 외력은 잠금 구조체(270)의 선형 이동을 위해 보조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바꿔 말해서, 잠금 구조체(270)의 선형 이동은 조작 핸들(283)을 통해 인가되는 힘에 의해 주도적으로 실현되며, 가압 슬라이더(290)가 제공하는 외력은 슬라이딩 이동 구간(2352) 내에서 가이드 돌기(275)가 이동하여 잠금 구조체(270)가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시기 동안 잠금 구조체(270)의 선형 이동에 보조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잠금 구조체(270)의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까지의 선형 이동은 가압 슬라이더(290)가 제공하는 외력에 의해 독립적으로 또는 주도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즉, 잠금 구조체(270)가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전환하는 동작에서, 조작 핸들(283)을 통해 인가되는 힘에 의해 가이드 돌기(275)가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까지 이동되면, 가이드 돌기(275)의 제2 위치(P2)로부터 제3 위치(P3)까지의 이동은 가압 슬라이더(290)가 제공하는 외력에 의해 독립적으로 또는 주도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가압 슬라이더(290)는 고정 몸체(291), 이동 몸체(293), 및 스프링(295)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몸체(291)는 지지 플레이트(2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몸체(291)는 그 내부에 이동 몸체(293) 및 스프링(295)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몸체(293)는 고정 몸체(291)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잠금 구조체(270)의 연결 플레이트(27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동 몸체(293)는 고정 몸체(291) 내에 수용되며 고정 몸체(291) 내에서 선형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295)은 이동 몸체(293)와 고정 몸체(29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295)은,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몸체(293)는 고정 몸체(291)의 걸림턱에 걸림되는 걸림 후크(29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몸체(293)의 선형 이동 범위는 이동 몸체(293)의 걸림 후크(2931)와 고정 몸체(291)의 걸림턱 간의 걸림은 이동 몸체(293)의 선형 이동 범위를 제한하며 이동 몸체(293)가 고정 몸체(29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프링(295)은 이동 몸체(293)를 선형 이동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스프링(295)은 잠금 구조체(270)의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를 향하는 방향(또는, 회전 커버(23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몸체(293)를 선형 이동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스프링(295)에서 제공된 복원력은 이동 몸체(293)를 통해 이동 몸체(293)에 접촉된 또는 연결된 연결 플레이트(273)에 인가될 수 있으며, 잠금 구조체(270)의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까지의 선형 이동을 야기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잠금 구조체(270)가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전환할 때, 가이드 돌기(275)가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까지 이동하는 동안 이동 몸체(293)는 고정된 상태이고 스프링(295)의 압축량은 변하지 않으나, 가이드 돌기(275)가 제2 위치(P2)로부터 제3 위치(P3)까지의 이동하는 동안 스프링(295)의 복원력은 이동 몸체(293) 및 이동 몸체(293)에 접하는 잠금 구조체(270)를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이동 몸체(293)는 가이드 돌기(275)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2개의 스프링(295)이 제공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선형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전 구조체(240)는 지지 플레이트(220)에 장착될 수 있다. 안전 구조체(240)는 회전 커버(230)의 내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안전 돌출부(239)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전 구조체(240)는 회전 커버(230)의 안전 돌출부(239)에 물리적으로 간섭되어 회전 커버(230)가 의도치 않게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리기기(10)를 이용한 취사 시와 같이 내솥(110) 내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고압(예를 들어, 1.2kgf/cm2 이상)인 경우, 회전 커버(230)의 회전을 제한하여, 회전 커버(230)의 회전에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잠금 구조체(27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10)를 이용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 가이드 돌기(275)는 가이드 홈(235)의 제1 위치(P1)에 위치되고 잠금 구조체(270)는 내솥(110)에 맞물리는 잠금 위치에 위치되는데, 안전 구조체(240)는 회전 커버(230)의 회전을 제한하여 잠금 구조체(270)가 의도치 않게 잠금 해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안전 구조체(240)는 지지 플레이트(220)의 장착 구조(227)에 체결되는 케이스(241), 지지 플레이트(220)의 관통홀을 덮도록 지지 플레이트(220)에 결합된 바닥 커버부(244), 상기 케이스(241) 내에 수용되고 바닥 커버부(244) 상에 배치된 안전 돌기(242), 및 안전 돌기(242)를 하방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된 스프링(2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 커버부(244)는 우수한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돌기(242)는 케이스(241) 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돌기(242)는 케이스(24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회전 커버(230)의 안전 돌출부(239)에 물리적으로 간섭 가능한 위치까지 상승된 상승 위치와, 회전 커버(230)의 안전 돌출부(239)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된 하강 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243)은 안전 돌기(242)의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안전 돌기(242)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안전 돌기(242)의 수직 위치는 내솥(110) 내의 압력 레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10)를 이용한 취사가 진행되는 중과 같이 내솥(110) 내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고압(예를 들어, 1.2kgf/cm2 이상)인 경우, 지지 플레이트(220)의 관통홀을 통해 노출된 바닥 커버부(244) 및 바닥 커버부(244) 상의 안전 돌기(242)는 증기압에 가압되며, 증기압에 가압된 안전 돌기(242)는 스프링(243)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상승 위치까지 상승하게 된다. 반면, 내솥(110) 내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저압(예를 들어, 대기압과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수준의 압력)인 경우, 안전 돌기(242)는 스프링(243)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안전 돌기(242)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안전 돌기(242)는 회전 커버(230)의 안전 돌출부(239)의 이동 궤적 상에 위치되며, 안전 돌출부(239)의 측벽에 접촉되어 회전 커버(23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10)를 이용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 가이드 돌기(275)는 가이드 홈(235)의 제1 위치(P1)에 위치되고 잠금 구조체(270)는 내솥(110)에 맞물리는 잠금 위치에 위치되는데, 안전 돌기(242)는 안전 돌출부(239)의 측벽에 접촉되어 회전 커버(230)의 회전을 제한하며, 이에 따라 잠금 구조체(270)가 의도치 않게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안전 돌기(242)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안전 돌기(242)는 회전 커버(230)의 안전 돌출부(239)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강되므로, 회전 커버(230)의 회전 및 회전 커버(230)의 회전에 연동하는 잠금 구조체(270)의 슬라이딩 이동이 안전 돌기(242)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0a 및 도 10b는 조리기기(10)의 본체 뚜껑(200)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들로서, 도 10a는 리프트 핀(281)이 핀-다운(pin-down)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b는 리프트 핀(281)이 핀-업(pin-up)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a 및 도 10b를 도 1 내지 도 4, 및 도 7과 함께 참조하면, 조리기기(10)는 뚜껑 프레임(201)에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된 리프트 핀(281)을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핀(281)은 뚜껑 프레임(201)의 관통홀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리프트 핀(281)의 헤드부는 뚜껑 프레임(20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리프트 핀(281)의 하단부는 회전 커버(230)에 접촉되며, 회전 커버(230)의 회전 시 회전 커버(230)의 표면부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핀(281)이 제1 높이 레벨에 있는 회전 커버(230)의 제2 표면부(238)에 지지된 경우, 리프트 핀(281)은 핀-다운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리프트 핀(281)이 핀-다운 위치에 있을 때, 리프트 핀(281)은 무게추(25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프트 핀(281)이 무게추(252)로부터 이격된 것은, 리프트 핀(281)이 무게추(252)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경우와, 리프트 핀(281)이 무게추(252)에 물리적으로 접촉되었으나 무게추(252)를 들어올리기에 충분한 외력이 리프트 핀(281)에 의해 제공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핀(281)의 핀-다운 위치에서, 무게추 밸브(250)에 의한 증기 배출은 내솥(1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 레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핀(281)이 제1 높이 레벨보다 위에 있는 제2 높이 레벨에 있는 회전 커버(230)의 제1 표면부(237)에 지지된 경우, 리프트 핀(281)은 핀-업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리프트 핀(281)이 핀-업 위치에 있을 때, 리프트 핀(281)은 무게추 밸브(250)의 무게추(252)를 들어올릴 수 있다. 리프트 핀(281)에 의해 무게추(252)가 들어올려지면, 무게추 밸브(250)의 실린더(251)의 유로의 유출구가 내솥(1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 레벨과 무관하게 강제 개방되고, 내솥(110)의 수용 공간의 증기는 무게추 밸브(250)를 통해 조리기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커버(230)가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리프트 핀(281)과 회전 커버(230) 간의 접촉 위치는 회전 커버(230)의 제1 표면부(237)에서 제2 표면부(238)로 이동하게 되며, 리프트 핀(281)은 핀-업 위치로부터 핀-다운 위치로 하강할 수 있다. 반대로, 회전 커버(230)가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리프트 핀(281)과 회전 커버(230) 간의 접촉 위치는 회전 커버(230)의 제2 표면부(238)에서 제1 표면부(237)로 이동하게 되며, 리프트 핀(281)은 핀-다운 위치로부터 핀-업 위치로 상승할 수 있다.
리프트 핀(281)의 승강 동작은 회전 커버(230)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가이드 돌기(275)가 가이드 홈(235)의 잠금 구간(2351)에서 이동하는 동안, 리프트 핀(281)은 회전 커버(230)의 제2 표면부(238)에 접촉되며 핀-다운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가이드 돌기(275)가 가이드 홈(235)의 슬라이딩 이동 구간(2352)에서 이동하는 동안, 리프트 핀(281)은 회전 커버(230)의 제1 표면부(237)에 접촉되며 핀-업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275)가 가이드 홈(235)의 제2 위치(P2)에 위치되었을 때, 리프트 핀(281)은 핀-업 위치에 있을 수도 있고 핀-다운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체 뚜껑(2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12는 조작 핸들(283)의 회전 위치 변화에 따른, 가이드 돌기(275)의 위치, 잠금 구조체(270)의 위치, 리프트 핀(281)의 위치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체 뚜껑(200)을 포함하는 조리기기(10)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1a에 도시된 봐와 같이, 조작 핸들(283)이 제1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가이드 돌기(275)는 가이드 홈(235)의 제1 위치(P1)에 위치되며, 잠금 구조체(270)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구조체(270)의 걸림 돌기(277)가 내솥(110)의 플랜지부(111)에 걸림 가능한 잠금 위치에 위치된다.
조작 핸들(283)이 제1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커버(230)의 제2 표면부(238)에 지지된 리프트 핀(281)은 핀-다운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무게추 밸브(250)에 의한 증기 배출은 내솥(1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 레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만일, 조작 핸들(283)이 제1 회전 위치에 위치되어 잠금 구조체(270)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취사를 진행하여 내솥(110) 내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고압(예를 들어, 1.2kgf/cm2 이상)인 경우, 안전 돌기(242)가 회전 커버(230)의 안전 돌출부(239)의 측벽에 접촉되어, 회전 커버(230)의 회전(예를 들어, 가이드 돌기(275)를 가이드 홈(235)의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를 향하여 상대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 커버(23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만일, 내솥(110) 내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저압인 경우, 안전 돌기(242)는 회전 커버(230)의 안전 돌출부(239)에 간섭되지 않는 높이로 하강하므로, 회전 커버(230)는 안전 돌기(242)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 가능하다.
도 11b를 참조하면, 조작 핸들(283)이 제1 회전 위치에서 제2 회전 위치로 전환되면, 가이드 돌기(275)는 가이드 홈(235)의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이동하고, 잠금 구조체(270)는 잠금 위치에 고정된다. 조작 핸들(283)이 제2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리프트 핀(281)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커버(230)의 제1 표면부(237)에 지지되어 핀-다운 위치로부터 핀-업 위치로 상승할 수 있다. 또는, 리프트 핀(281)은 조작 핸들(283)이 제2 회전 위치에 위치된 시점에 핀-다운 위치에 있을 수도 있고, 리프트 핀(281)이 무게추(252)를 들어올리는 핀-업 위치는 가이드 핀이 가이드 홈(235)의 제2 위치(P2)로부터 제3 위치(P3)로 이동하는 동안 또는 제3 위치(P3)에 도달한 시점에 달성될 수도 있다.
조작 핸들(283)이 제2 회전 위치에서 제3 회전 위치로 전환되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275)는 가이드 홈(235)의 제2 위치(P2)로부터 제3 위치(P3)로 이동하고, 잠금 구조체(270)는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까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잠금 구조체(270)의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를 향한 슬라이딩 이동은 가압 슬라이더(290)가 제공하는 외력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조작 핸들(283)이 제2 회전 위치에서 제3 회전 위치로 전환되면, 리프트 핀(281)은 제1 표면부(237)에 지지되어 핀-업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면, 회전 커버(230)의 회전에 연동하여 잠금 구조체(270)가 선형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잠금 구조체(270)의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전환은 잠금 구조체(270)의 선형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면, 잠금 구조체(270)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외력을 제공하는 가압 슬라이더(290)를 포함하므로, 잠금 구조체(270)의 동작의 재현성 및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3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XIV- XIV'선에 따른 커버 조립체(300)의 단면도이다. 도 15은 커버 조립체(300)의 커버 플레이트(3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는 커버 조립체(300)의 패킹(33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는 커버 조립체(300)의 패킹(330)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를 참조하면, 커버 조립체(300)는 조리기기(도 1의 10)를 이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 고압의 증기 누설을 차단하도록 조리기기(10)에 제공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300)는 조리기기(10)의 본체 뚜껑(도 1의 20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300)는 조리기기(10)의 본체 뚜껑(200)에 체결되어, 조리기기(10)의 본체(도 1의 100)에 수용된 내솥(도 1의 110)과 조리기기(10)의 본체 뚜껑(200)의 탑 플레이트(도 1의 210) 사이의 틈을 밀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300)는 커버 플레이트(310), 핸들(320), 및 패킹(33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310)는 내솥(110)을 덮기에 적절한 형태 및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310)는 평면적 관점에서 대략 원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310)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커버 플레이트(310)에 맺힐 수 있도록 하여, 조리 과정에서 발생한 증기로 인한 탑 플레이트(210) 및 탑 플레이트(210)에 탑재된 각종 전장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310)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의 경량으로 쉽게 휘지 않는 강도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핸들(320)은 커버 플레이트(310)의 중심부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320)은 커버 플레이트(310)의 중심부에 제공된 체결 홀(313)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핸들(32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이 커버 플레이트(310)의 체결 홀(313)을 정의하는 몸체 부분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핸들(320)과 커버 플레이트(310) 간의 체결이 실현될 수 있다. 핸들(320)의 상부는 커버 플레이트(3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핸들(320)의 하부는 커버 플레이트(31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핸들(320)은 본체 뚜껑(200)에 마련된 고정 포스트(282)(도 18 참조)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삽입 홈(32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포스트(282)는 탑 플레이트(21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기둥 형태이며, 핸들(320)의 삽입 홈(321)은 핸들(32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고정 포스트(282)가 끼움 결합되기에 적합한 사이즈 및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정 포스트(282)가 핸들(320)의 삽입 홈(321)에 끼움 결합되는 것에 의해, 커버 조립체(300)가 본체 뚜껑(2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포스트(282)가 핸들(320)의 삽입 홈(32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의해, 커버 조립체(300)가 본체 뚜껑(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300)를 본체 뚜껑(20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커버 플레이트(3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핸들(320)의 하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인가하여, 커버 플레이트(310)를 본체 뚜껑(2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핸들(320)은 탄성 변형 가능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320)은 실리콘 고무 또는 합성 고무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킹(330)은 커버 플레이트(310)의 둘레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패킹(330)은 커버 플레이트(310)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링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커버 플레이트(310)의 둘레에 연속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커버 플레이트(310)는 외곽부(311)는 커버 플레이트(31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평판 형태를 가지며, 패킹(330)의 내측면에는 커버 플레이트(310)의 외곽부(311)를 수용하는 체결 홈(3311)이 제공될 수 있다. 패킹(330)의 체결 홈(3311)은 커버 플레이트(310)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며, 커버 플레이트(310)의 외곽부(311)가 패킹(330)의 내측면에 제공된 체결 홈(3311)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310)와 패킹(330) 간의 체결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킹(330)은 탄성 변형 가능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킹(330)은 실리콘 고무 또는 합성 고무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킹(330)은 중심 몸체(331), 상부 밀착 돌기(333), 및 하부 밀착 돌기(335)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330)의 중심 몸체(331)는 커버 플레이트(310)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평면적 관점에서 커버 플레이트(310)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중심 몸체(331)의 내측면에는 커버 플레이트(310)의 외곽부(31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체결 홈(3311)이 제공될 수 있다. 중심 몸체(331)는 커버 플레이트(310)의 외곽부(311)의 상면 상에서 연장된 상부, 중심 몸체(331)는 커버 플레이트(310)의 외곽부(311)의 하면 상에서 연장된 하부, 및 상기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밀착 돌기(333)는 중심 몸체(331)로부터 내측으로(즉, 패킹(330)의 중심 또는 커버 플레이트(31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고, 하부 밀착 돌기(335)는 중심 몸체(331)로부터 내측으로(즉, 패킹(330)의 중심 또는 커버 플레이트(31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부 밀착 돌기(333)는 커버 플레이트(310)의 외곽부(311)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고, 커버 플레이트(310)의 외곽부(311)의 상면 상에 있을 수 있다. 하부 밀착 돌기(335)는 커버 플레이트(310)의 외곽부(311)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고, 커버 플레이트(310)의 외곽부(311)의 하면 아래에 있을 수 있다.
패킹(330)은 상하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패킹(330)은 패킹(330)의 수직 방향 또는 높이 방향에 따른 중심을 지나는 중심 평면(CP)에 대해 상하 대칭된 구조(예를 들어, 패킹(330)의 수직 방향 또는 높이 방향에 따른 중심을 지나는 중심 평면(CP)을 기준으로 대칭된 거울 형상)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패킹(330)의 상하 방향성이 제거되므로, 패킹(330)과 커버 플레이트(310) 간의 조립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상부 밀착 돌기(333)는 중심 몸체(331)의 단부로부터 상향 절곡된 또는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부 밀착 돌기(333)는 평면적 관점에서 링 형태의 중심 몸체(331)를 따라 또는 커버 플레이트(310)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링 형태이며, 그 연장 방향을 따라 탑 플레이트(210)와 연속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300)가 조리기기(10)에 탑재되었을 때, 상부 밀착 돌기(333)와 탑 플레이트(210)의 접촉면에서 하방으로 작용하는 외력은 패킹(330)의 상부 밀착 돌기(333)에 인가되어 패킹(330)의 상부(즉, 커버 플레이트(310)의 외곽부(311) 상에 있는 패킹(330)의 일부분)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탄성 변형된 패킹(3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부 밀착 돌기(333)는 탑 플레이트(210)에 밀착될 수 있다. 상부 밀착 돌기(333)는 탑 플레이트(210)에 밀착되어, 탑 플레이트(210)와 패킹(330)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조리기기(10)를 이용한 조리과정에서 발생된 증기가 탑 플레이트(210)와 패킹(330)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하부 밀착 돌기(335)는 중심 몸체(331)의 단부로부터 하향 절곡된 또는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부 밀착 돌기(335)는 평면적 관점에서 링 형태의 중심 몸체(331)를 따라 또는 커버 플레이트(310)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링 형태이며, 그 연장 방향을 따라 내솥(110)과 연속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300)가 조리기기(10)에 탑재되었을 때, 하부 밀착 돌기(335)와 내솥(110)의 접촉면에서 상방으로 작용하는 외력은 패킹(330)의 하부 밀착 돌기(335)에 인가되어 패킹(330)의 하부(즉, 커버 플레이트(310)의 외곽부(311) 아래에 있는 패킹(330)의 일부분)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탄성 변형된 패킹(3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하부 밀착 돌기(335)는 내솥(110)에 밀착될 수 있다. 하부 밀착 돌기(335)는 내솥(110)에 밀착되어, 내솥(110)과 패킹(330)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조리기기(10)를 이용한 조리과정에서 발생된 증기가 내솥(110)과 패킹(330)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패킹(330)은 중심 몸체(331)의 상면(331U)(즉, 탑 플레이트(210)와 마주하는 표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에어 홈(341)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부 에어 홈(341)은 대체로 커버 플레이트(31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대체로 선형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부 에어 홈(341)은 탑 플레이트(210)와 연속적으로 접촉되어 패킹(330)과 탑 플레이트(210) 사이에 연속적인 밀폐 구간을 형성하는 상부 밀착 돌기(333)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부 에어 홈(341)은 상부 밀착 돌기(333)와 탑 플레이트(210) 간의 접촉부로부터 이격된 일 단부로부터 중심 몸체(331)의 외측면(331S)까지 선형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킹(330)은 1개의 상부 에어 홈(341)을 포함할 수도 있고, 패킹(3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상부 에어 홈(341)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패킹(330)이 복수의 상부 에어 홈(341)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상부 에어 홈(341)은 균일한 간격을 일정할 수 있다. 즉, 이웃하는 2개의 상부 에어 홈(341) 사이의 원주 방향에 따른 거리는 일정할 수 있다.
패킹(330)은 중심 몸체(331)의 하면(331L)(즉, 내솥(110)과 마주하는 표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에어 홈(343)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하부 에어 홈(343)은 대체로 커버 플레이트(31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대체로 선형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부 에어 홈(343)은 내솥(110)과 연속적으로 접촉되어 패킹(330)과 내솥(110) 사이에 연속적인 밀폐 구간을 형성하는 하부 밀착 돌기(335)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부 에어 홈(343)은 하부 밀착 돌기(335)와 내솥(110) 간의 접촉부로부터 이격된 일 단부로부터 중심 몸체(331)의 외측면(331S)까지 선형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킹(330)은 1개의 하부 에어 홈(343)을 포함할 수도 있고, 패킹(3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하부 에어 홈(343)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패킹(330)이 복수의 하부 에어 홈(343)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하부 에어 홈(343)은 균일한 간격을 일정할 수 있다. 즉, 이웃하는 2개의 하부 에어 홈(343) 사이의 원주 방향에 따른 거리는 일정할 수 있다.
패킹(330)은 중심 몸체(331)의 상면(331U)에 마련된 상부 에어 홈(341)의 일 단부로부터 중심 몸체(331)의 하면(331L)에 마련된 하부 에어 홈(343)의 일 단부까지 연장된 연결 홈(3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홈(345)은 중심 몸체(331)의 외측면(331S)에 마련되며,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 에어 홈(341)과 하부 에어 홈(343)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부 에어 홈(341)과 하부 에어 홈(343)이 연결 홈(345)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패킹(330)에는 하부 밀착 돌기(335)에 인접한 패킹(330)의 하부의 일 지점에서 시작되어 상부 밀착 돌기(333)에 인접한 패킹(330)의 상부의 일 지점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패킹(330)은 중심 몸체(331)의 상면(331U)(즉, 탑 플레이트(210)와 마주하는 표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보조 홈(347)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부 보조 홈(347)은 대체로 커버 플레이트(31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대체로 선형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부 보조 홈(347)은 탑 플레이트(210)와 연속적으로 접촉되어 패킹(330)과 탑 플레이트(210) 사이에 연속적인 밀폐 구간을 형성하는 상부 밀착 돌기(333)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부 보조 홈(347)은 상부 밀착 돌기(333)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또는 중심 몸체(331)와 상부 밀착 돌기(333) 사이의 경계로부터 중심 몸체(331)의 외측면(331S)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킹(330)은 1개의 상부 보조 홈(347)을 포함할 수도 있고, 패킹(3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상부 보조 홈(347)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패킹(330)의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상부 에어 홈(341) 사이에는, 복수의 상부 보조 홈(347)이 제공될 수 있다.
상부 보조 홈(347)의 깊이는 상부 에어 홈(341)의 깊이보다 작을 수 있고, 또한 상부 보조 홈(347)의 수평 폭(즉, 패킹(330)의 원주 방향에 따른 폭) 및 연장 길이(즉, 패킹(330)의 반경 방향 또는 패킹(33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각각 상부 에어 홈(341)의 수평 폭 및 연장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패킹(330)은 중심 몸체(331)의 하면(331L)(즉, 내솥(110)과 마주하는 표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보조 홈(349)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하부 보조 홈(349)은 대체로 커버 플레이트(31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대체로 선형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부 보조 홈(349)은 내솥(110)과 연속적으로 접촉되어 패킹(330)과 내솥(110) 사이에 연속적인 밀폐 구간을 형성하는 하부 밀착 돌기(335)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부 보조 홈(349)은 하부 밀착 돌기(335)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또는 중심 몸체(331)와 하부 밀착 돌기(335) 사이의 경계로부터 중심 몸체(331)의 외측면(331S)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킹(330)은 1개의 하부 보조 홈(349)을 포함할 수도 있고, 패킹(3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하부 보조 홈(349)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패킹(330)의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하부 에어 홈(343) 사이에는, 복수의 하부 보조 홈(349)이 제공될 수 있다.
하부 보조 홈(349)의 깊이는 하부 에어 홈(343)의 깊이보다 작을 수 있고, 또한 하부 보조 홈(349)의 수평 폭(즉, 패킹(330)의 원주 방향에 따른 폭) 및 연장 길이(즉, 패킹(330)의 반경 방향 또는 패킹(33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각각 하부 에어 홈(343)의 수평 폭 및 연장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부 에어 홈(341)과 하부 에어 홈(343)이 연결 홈(345)을 통해 연결된 것과 다르게, 상부 보조 홈(347)과 하부 보조 홈(349)은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패킹(330)이 상하 대칭 구조를 가지는 경우, 상부 에어 홈(341)의 개수 및 배열(예를 들어, 이웃하는 상부 에어 홈(341) 사이의 간격)은 하부 에어 홈(343)의 개수 및 배열과 동일하고, 또한 상부 보조 홈(347)의 개수 및 배열은 하부 보조 홈(349)의 개수 및 배열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8은 커버 조립체(300)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XIX"로 표시된 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도 1, 도 13 내지 도 17과 함께 참조하면, 커버 조립체(300)는 본체 뚜껑(20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21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고정 포스트(282)가 핸들(320)의 삽입 홈(321)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커버 조립체(300)는 본체 뚜껑(200)에 체결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300)가 본체 뚜껑(200)에 체결되었을 때, 커버 조립체(300)는 탑 플레이트(210)의 이동 시 탑 플레이트(21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커버 조립체(300)가 본체 뚜껑(200)에 체결되었을 때, 커버 조립체(300)의 패킹(330)은 탑 플레이트(210)와 내솥(110) 사이에 배치되어, 탑 플레이트(210)와 내솥(110) 사이의 틈으로 증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커버 조립체(300)의 패킹(330)은 탑 플레이트(210)와 내솥(110) 사이에서 압착되어, 탑 플레이트(210)와 내솥(110) 사이의 틈으로 증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리기기(10)에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 상부 밀착 돌기(333)가 탑 플레이트(210)에 밀착되면, 상부 밀착 돌기(333)와 탑 플레이트(210) 간의 접촉부 근방에는, 패킹(330)의 상부와 탑 플레이트(210)에 의해 둘러싸인 제1 공간(S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간(SA)은 중심 몸체(331)의 상면(331U)과 탑 플레이트(210) 사이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210)와 마주하는 패킹(330)의 표면에 마련된 상부 에어 홈(341)은 패킹(330)의 외측 또는 내솥(110)의 외측에 있는 외부 공간과 제1 공간(SA) 사이를 연통시켜, 패킹(330)의 외측 또는 내솥(110)의 외측에 있는 상기 외부 공간과 제1 공간(SA) 사이에서 공기의 유동을 허용할 수 있다.
비교예로서, 패킹(330)에 상부 에어 홈(341)이 없는 경우, 조리기기(10)에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 제1 공간(SA)에 진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패킹(330)이 탑 플레이트(210)에 강하게 부착되어 있어, 취사 종료 후 패킹(330)과 탑 플레이트(210) 간의 분리에 요구되는 힘이 커지게 되며, 패킹(330)과 탑 플레이트(210) 간의 분리를 위해 패킹(330)에 인가된 힘에 의해 패킹(330)이 변형 및 마모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330)의 변형 및 마모로 인해, 패킹(330)의 밀폐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10)에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 하부 밀착 돌기(335)가 내솥(110)에 밀착되면, 패킹(330)의 하부와 내솥(110)에 의해 둘러싸인 제2 공간(S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간(SB)은 중심 몸체(331)의 하면(331L)과 내솥(110) 사이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내솥(110)과 마주하는 패킹(330)의 표면에 마련된 하부 에어 홈(343)은 패킹(330)의 외측 또는 내솥(110)의 외측에 있는 외부 공간과 제2 공간(SB) 사이를 연통시켜, 패킹(330)의 외측 또는 내솥(110)의 외측에 있는 상기 외부 공간과 제2 공간(SB) 사이에서 공기의 유동을 허용할 수 있다.
비교예로서, 패킹(330)에 하부 에어 홈(343)이 없는 경우, 조리기기(10)에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 제2 공간(SB)에 진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패킹(330)이 내솥(110)에 강하게 부착되어 있어, 본체 뚜껑(200)의 개방 동작 시 패킹(330)과 내솥(110) 간의 분리에 요구되는 힘이 커지게 되며, 패킹(330)과 내솥(110) 간의 분리를 위해 패킹(330)에 인가된 힘에 의해 패킹(330)이 변형 및 마모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330)의 변형 및 마모로 인해, 패킹(330)의 밀폐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조리기기(10)에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 상부 에어 홈(341)은 제1 공간(SA)과 패킹(330)의 외측에 있는 외부 공간 사이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고 하부 에어 홈(343)은 제2 공간(SB)과 패킹(330)의 외측에 있는 외부 공간 사이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므로, 제1 공간(SA) 및/또는 제2 공간(SB)에 진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공간(SA) 및/또는 제2 공간(SB)에 진공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패킹(330)의 변형 및 마모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탑 플레이트(210)에 마주하는 패킹(330)의 표면에 제공된 상부 보조 홈(347)은 상부 에어 홈(341)과 함께 패킹(330)의 상부와 탑 플레이트(210) 사이에 진공이 형성되는 것을 보다 더 억제하도록 기능할 수 있고, 내솥(110)에 마주하는 패킹(330)의 표면에 제공된 하부 보조 홈(349)은 하부 에어 홈(343)과 함께 패킹(330)의 하부와 내솥(110) 사이에 진공이 형성되는 것을 보다 더 억제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조리기기(10)는 탑 플레이트(210) 상에 제공되어, 하방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스프링(288)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288)은 예를 들어, 탑 플레이트(210) 상에 제공된 지지 기둥(229)에 장착되며, 탑 플레이트(21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스프링(288)은 탑 플레이트(210)의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탑 플레이트(210)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288)은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288)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288)이 제공하는 탄성 복원력이 탑 플레이트(210) 전체에 걸쳐 대체로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탑 플레이트(210) 상에는 탑 플레이트(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배치된 복수의 스프링(288)이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288)은 내솥(110) 내의 압력이 고압 상태일 때 탑 플레이트(210) 및/또는 본체 뚜껑(200)으로 작용하는 힘을 흡수하여, 탑 플레이트(210) 및/또는 본체 뚜껑(200)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나아가, 스프링(288)은 탑 플레이트(210)의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탑 플레이트(210) 및 패킹(330)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탑 플레이트(210)와 내솥(110) 사이에 배치된 패킹(330)은 스프링(288)이 제공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스프링(288)이 제공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내솥(110) 내의 압력이 고압 상태인 경우에도, 내솥(110)과 탑 플레이트(210) 사이에 배치된 패킹(330)이 적정 수준으로 압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면, 커버 조립체(300)는 조리기기(10)의 본체 뚜껑(20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며, 커버 조립체(300)의 패킹(330)은 패킹(330)과 탑 플레이트(210) 사이의 공간 및 패킹(330)과 내솥(110) 사이의 공간에 진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패킹(330)을 본체 뚜껑(200) 및/또는 내솥(11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패킹(330)에 과도한 외력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킹(330)의 변형 및 마모가 방지되어 패킹(330)에 의한 밀폐 성능이 향상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조리기기(10)의 조리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본체;
    상기 본체에 수용된 내솥;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내솥을 덮는 본체 뚜껑;
    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뚜껑은,
    상기 내솥을 덮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탑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회전 커버;
    상기 내솥의 플랜지부에 걸리도록 구성된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에 연동하여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선형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잠금 위치는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내솥의 상기 플랜지부에 수직 방향으로 중첩된 위치이고, 상기 잠금 해제 위치는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인, 잠금 구조체; 및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해제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 구조체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된 가압 슬라이더;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슬라이더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 내에서 선형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잠금 구조체에 접촉된 이동 몸체; 및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이동 몸체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이동 몸체를 상기 회전 커버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커버는 상기 회전 커버의 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제1 구간과 상기 회전 커버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거리로 이격된 제2 구간을 포함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구조체는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며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가이드 홈 내에서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구조체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1 구간 내에 있는 동안 상기 잠금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2 구간 내에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조리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의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실린더 및 상기 내솥의 내의 증기압에 따라 상기 실린더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무게추를 포함하는 무게추 밸브; 및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 각도에 따라 핀-다운 위치와 핀-업 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된 리프트 핀;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핀은 상기 핀-업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유로의 유출구가 강제 개방되도록 상기 무게추를 들어올리는 조리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핀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1 구간 내에서 이동하는 동안 상기 핀-다운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2 구간 내에서 이동하는 동안 상기 핀-업 위치에 위치되는 조리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뚜껑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커버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 뚜껑은 상기 탑 플레이트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고정 포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조립체는,
    상기 내솥을 덮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둘레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기 둘레를 따라 연장된 링 형태를 가지고, 상기 내솥과 상기 탑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솥과 상기 탑 플레이트 사이를 밀폐하도록 구성된 패킹;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제공되고, 상기 고정 포스트가 삽입되는 삽입 홈을 포함하는 핸들;
    을 포함하고,
    상기 패킹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끼워지는 체결 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링 형태의 중심 몸체;
    상기 중심 몸체로부터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중심 몸체를 따라 연장된 링 형태이고, 상기 탑 플레이트와 연속적으로 접촉된 상부 밀착 돌기;
    상기 중심 몸체로부터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중심 몸체를 따라 연장된 링 형태이고, 상기 내솥과 연속적으로 접촉된 하부 밀착 돌기;
    상기 중심 몸체의 상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에어 홈; 및
    상기 중심 몸체의 하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에어 홈;
    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PCT/KR2022/009223 2022-01-04 2022-06-28 조리기기 WO202313241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929 2022-01-04
KR1020220000929A KR102673316B1 (ko) 2022-01-04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2418A1 true WO2023132418A1 (ko) 2023-07-13

Family

ID=87073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9223 WO2023132418A1 (ko) 2022-01-04 2022-06-28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13241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757A (ko) * 1998-05-29 1999-12-15 김용진 전기보온압력밥솥
KR100797149B1 (ko) * 2007-05-31 2008-01-23 주식회사 노비타 전기압력보온밥솥 및 그 뚜껑
KR20190043950A (ko) * 2017-10-19 2019-04-29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및 그의 잔류압력제거장치
CN111358287A (zh) * 2018-12-25 2020-07-03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密封圈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20210050328A (ko) * 2019-10-28 2021-05-07 (주)쿠첸 압력 조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757A (ko) * 1998-05-29 1999-12-15 김용진 전기보온압력밥솥
KR100797149B1 (ko) * 2007-05-31 2008-01-23 주식회사 노비타 전기압력보온밥솥 및 그 뚜껑
KR20190043950A (ko) * 2017-10-19 2019-04-29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및 그의 잔류압력제거장치
CN111358287A (zh) * 2018-12-25 2020-07-03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密封圈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20210050328A (ko) * 2019-10-28 2021-05-07 (주)쿠첸 압력 조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491A (ko)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39332A2 (ko) 고무패킹이 없는 전기 압력밥솥 및 압력식 조리기구
WO2013118992A1 (ko) 전기밥솥
WO2012053734A1 (ko) 내부압력 해제기능을 갖춘 음식물 보관용기용 밀폐뚜껑
WO2020050548A1 (ko)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WO2023132418A1 (ko) 조리기기
WO2015088250A1 (ko) 병 진공밀폐장치
WO2020246687A1 (ko) 버튼 출몰식 용기
WO2009151250A2 (en) Slide gate
AU5064793A (en) Pressure cooker
US20200038152A1 (en) Dental Treatment Deevice
WO2020218830A1 (ko)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WO2023106527A1 (ko)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CA1120684A (en) Slide closure for the pouring nozzle of a molten metal vessel
WO2022265359A1 (ko) 조리 장치
WO2016099074A1 (ko) 조리용기용 뚜껑
WO2022265351A1 (ko) 조리 장치
WO2023018253A1 (ko) 컨덕턴스 조절이 가능한 진공밸브
KR102673316B1 (ko) 조리기기
WO2023224285A1 (ko) 와피지 제어 가능한 진공 흡착핀을 구비하는 기판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방법
WO2022265356A1 (ko) 조리 장치
WO2022265353A1 (ko) 조리 장치
WO2022265361A1 (ko) 조리 장치
CN114440638B (zh) 高温物料输送装置
WO2019208993A1 (ko)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
KR102418398B1 (ko) 조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189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