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950A - 전기조리기 및 그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조리기 및 그의 잔류압력제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43950A KR20190043950A KR1020170136104A KR20170136104A KR20190043950A KR 20190043950 A KR20190043950 A KR 20190043950A KR 1020170136104 A KR1020170136104 A KR 1020170136104A KR 20170136104 A KR20170136104 A KR 20170136104A KR 20190043950 A KR20190043950 A KR 201900439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lever
- support
- projection
- pressure
- snap p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뚜껑의 개방시 내솥 내부 잔존압력을 제거하되 간소한 구조로 생산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솥이 수용되는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뚜껑의 개방을 위한 핸들부의 조작시 상기 내솥 내부의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구에 구비된 압력추를 개방하는 전기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추의 하면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증기배출구의 측부에 관통 형성된 상기 뚜껑의 연동홀에 배치되는 수직레버; 상기 수직레버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연동홀의 하단 테두리에 탄발 지지되어 하향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 및 상기 복원스프링이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레버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수직레버가 선택적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핸들부에 연동되는 동력전달부재의 경사돌기부를 따라 슬라이드 가압되는 스냅핀을 포함하는 전기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조리기 및 그의 잔류압력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의 개방시 내솥 내부 잔존압력을 제거하되 간소한 구조로 생산성이 개선되는 전기조리기 및 그의 잔류압력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조리기는 업소 및 가정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밥솥, 전기압력밥솥 등을 의미하며,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내장되며 발열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러한 전기조리기에는 조리 후 내솥 내부에 잔존하는 증기압이 배출되도록 잔류압력제거장치가 구비되며, 이러한 잔류압력제거장치는 조리 후 뚜껑의 개방시 잔존 압력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안전장치의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잔류압력제거장치가 뚜껑의 내부케이스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잔류압력제거장치에서 뚜껑의 외부케이스측 장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잔류압력제거장치(4)는 수직레버(4a), 탄성레버(4b), 복원스프링(4c), 스냅핀(4d)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뚜껑에는 내솥 내부 공간과 뚜껑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증기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증기배출구의 상부에는 압력추가 개재되어 상기 내솥 내부 공간의 압력 높낮이에 따라 상기 증기배출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레버(4a)는 상기 압력추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레버(4b)는 일단부가 뚜껑의 외부케이스(2a)에 구비된 지지구조부(2c)에 체결되어 타단부가 상기 수직레버(4a)의 하단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의 내부케이스(2b)에는 핸들에 연동되는 핸들베이스(1)와, 핸들베이스(1)에 연결되어 핸들베이스(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는 안전레버(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안전레버(3)가 전진 이동되면, 안전레버(3)의 경사면(3a)을 따라 상기 탄성레버(4b)의 타단부가 상승되고, 탄성레버(4b)에 의해 가압된 수직레버(4a)가 상승되어 압력추밸브가 강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레버(4a)의 외주에는 스냅핀(4d)에 의해 복원스프링(4c)이 장착되며, 복원스프링(4c)은 상부가 외부케이스(2a)의 하면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안전레버(3)가 후퇴되면 상기 수직레버(4a)의 하강을 위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종래의 잔류압력제거장치(4)는 탄성레버(4d)의 위치 고정을 위해 뚜껑의 외부케이스(2a)에 별도의 지지구조부(2c)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성요소로 인해 많은 설치 공간을 차지하므로 제품의 조립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뚜껑의 개방시 내솥 내부 잔존압력을 제거하되 간소한 구조로 생산성이 개선되는 전기조리기 및 그의 잔류압력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솥이 수용되는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뚜껑의 개방을 위한 핸들부의 조작시 상기 내솥 내부의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구에 구비된 압력추를 개방하는 전기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추의 하면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증기배출구의 측부에 관통 형성된 상기 뚜껑의 연동홀에 배치되는 수직레버; 상기 수직레버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연동홀의 하단 테두리에 탄발 지지되어 하향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 및 상기 복원스프링이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레버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수직레버가 선택적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핸들부에 연동되는 동력전달부재의 경사돌기부를 따라 슬라이드 가압되는 스냅핀을 포함하는 전기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내솥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되, 상기 내솥 내부의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구에 압력 높낮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압력추가 구비되고, 상기 증기배출구의 측부에 연동홀이 형성된 뚜껑; 상기 뚜껑 및 상기 내솥이 선택적으로 잠금되도록 조작되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의 조작에 따라 회동되되, 회동시 상기 연동홀의 하부를 경유하도록 경사돌기부가 형성된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압력추의 하면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연동홀에 배치되는 수직레버와, 상기 수직레버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복원스프링과, 상기 수직레버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경사돌기부를 따라 슬라이드 가압되는 스냅핀을 포함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상기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핸들부를 잠금 해제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록킹링의 경사돌기부를 통해 수직레버 및 압력추가 상승되어 증기배출구가 강제 개방되므로 내솥 내부의 잔존 압력이 제거된 상태로 뚜껑이 안전하게 개방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둘째, 뚜껑에 고정된 별도의 탄성레버를 통해 수직레버가 가압되는 종래와 달리, 상기 복원스프링을 고정을 위한 스냅핀이 라운드지게 밴딩 가공되어 수직레버로부터 돌출되는 밴딩접촉부를 형성하고 상기 밴딩접촉부가 경사돌기부를 슬라이드 가압되어 수직레버가 승강되므로 부품 수가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경제성 및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밴딩접촉부가 상기 경사돌기부와 점접촉되는 원형으로 구비되므로 낮은 마찰 저항으로 부드러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되, 리드히터를 통해 가열된 록킹링의 경사돌기부 및 밴딩접촉부 간의 열전달면적이 감소되므로 스냅핀의 가열로 인한 수직레버의 열변형 및 피로파괴가 최소화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스냅핀의 걸림부 및 과삽입방지부가 상기 수직레버의 양단부를 지지하므로, 상기 경사돌기부의 역방향 회동시 마찰력으로 인한 스냅핀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스냅핀의 슬라이드 가압 및 그를 통한 수직레버의 승강 구동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스냅핀 및 상기 수직레버가 상기 경사돌기부의 회동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경사돌기부를 통한 가압시 스냅핀의 분리가 방지되며, 상기 밴딩접촉부가 상기 경사돌기부의 경사면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가압될 수 있어 제품의 작동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잔류압력제거장치가 뚜껑의 내부케이스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잔류압력제거장치에서 뚜껑의 외부케이스측 장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잔류압력제거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a의 A-B방향에서 잔류압력제거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C-D방향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잔류압력제거장치에서 뚜껑의 외부케이스측 장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잔류압력제거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a의 A-B방향에서 잔류압력제거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C-D방향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잔류압력제거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4a의 A-B방향에서 잔류압력제거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조리기(100)는 본체(미도시), 뚜껑(10), 핸들부(11), 동력전달부재, 그리고 잔류압력제거장치(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미도시)는 가열수단이 구비된 내부측 장착공간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미도시)이 장착되며, 상기 내솥(미도시)의 상단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복수의 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10)은 상기 본체(미도시)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되 각종 전장부품 및 배선이 설치되는 내부케이스(10b)와, 상기 내부케이스(10b)를 커버하는 외부케이스(10a)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10b)의 하면부에는 록킹링(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록킹링(20)의 내주에는 상기 각 플랜지부에 대응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복수의 잠금돌기(21)가 돌설된다. 이때, 상기 록킹링(20)이 잠금해제 각도로 회전되면 상기 각 잠금돌기(21)가 플랜지부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뚜껑(10)과 내솥(미도시)이 분리 및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10)이 닫힌 상태로 상기 록킹링(20)이 잠금 각도로 회전되면 상기 각 잠금돌기(21)가 플랜지부의 하단에 구속되어 뚜껑(10)과 내솥(미도시)이 잠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케이스부(10a)의 상면부에는 핸들부(11)가 구비되며, 상기 핸들부(11)의 하단부가 핸들베이스부(30)의 중앙측 지지부(30c)에 키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0c)는 하단부가 내부케이스부(10b)의 상면부에 돌설된 지지돌기(14)에 회전 지지되되, 외면에 상기 록킹링(20)의 회전궤적과 중첩되도록 록킹링연동부(30a)가 돌설된다. 이때, 상기 록킹링(20)의 상면부에 돌설된 연결돌기(23)가 내부케이스(10b)의 원호형 장공(15)을 관통하여 록킹링연동부(30a)의 연결홀(31)에 삽입 및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핸들부(11)의 회전 조작시 상기 록킹링(20)이 회동되어 상기 뚜껑(10)과 내솥(미도시)이 선택적으로 잠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케이스(10b)의 하면부에는 리드플레이트(40)가 결합되며, 상기 리드플레이트(40)의 하면부에는 내솥(미도시)의 상단 개구를 밀폐하는 밀폐패킹(42)이 장착된다. 물론, 상기 리드플레이트(40)의 하면부에 밀폐패킹이 구비된 내솥커버(미도시)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리드플레이트(40)에는 내솥의 증기가 유동되도록 증기유동홀(43)이 관통 형성되며, 상면부에 내솥의 보온 등을 위한 리드히터(41)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리드플레이트(40) 및 상기 내부케이스(10b) 사이에는 솔레노이드 밸브, 비복귀형 증기배출부 및 뚜껑열림방지부 등 여러 종류의 압력대응 작동수단이 구비된 컨트롤플레이트 등이 추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케이스(10a)에는 상기 증기유동홀(43)에 대응되는 부분에 배출홀(13a)이 형성되고, 증기유동홀(43)의 측부에 연동홀(13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케이스(10b)에는 상기 배출홀(13a) 및 연동홀(13b)의 형성영역을 포괄하는 크기로 하부관통부(13d)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배출홀(13a) 및 상기 하부관통부(13d)를 관통하도록 증기배출구(12a)가 설치되되, 상기 증기배출구(12a)의 하단부가 상기 증기유동홀(43)의 테두리에 고정되어 상기 내솥 내부 공간과 뚜껑(10)의 외부공간이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기배출구(12a)의 상단부에는 압력추(12b)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추(12b)는 자중에 의해 상기 증기배출구(12a)를 폐쇄한 상태에서 자중 이상의 압력에서 상승되어 내솥 내부 압력을 일정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내솥 내부 압력이 압력추(12b)의 자중 이상으로 증가되면 압력추(12b)가 상승되고 증기배출구(12a)가 순간적으로 개방되어 내솥 내부 증기가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재에는 회동시 상기 연동홀(13b)의 하부를 경유하도록 경사돌기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핸들부(11)의 조작에 따라 회동되는 부품으로, 상기 핸들베이스부(30), 상기 록킹링(20), 안전레버(도 2의 3 참조)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경사돌기부는 상기 핸들베이스부(30), 상기 록킹링(20) 및 상기 안전레버(도 2의 3 참조) 등을 포괄하는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부품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록킹링(20)에 경사돌기부(24)가 형성된 것을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한다.
이때, 상기 경사돌기부(24)는 상기 록킹링(20)의 내주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록킹링(20)의 잠금 각도에서 상기 연동홀(13b)의 하부로부터 이탈되되, 상기 록킹링(20)의 잠금 해제 각도에서 상기 연동홀(13b)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잔류압력제거장치(50)는 수직레버(50a), 복원스프링(50b), 스냅핀(50c)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수직레버(50a)는 상기 연동홀(13b)의 단면적을 초과하는 단면적의 헤드부(51)와, 상기 헤드부(51)의 하부를 따라 연장되되 상기 연동홀(13b)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단면적의 몸통부(52)를 갖는 핀 형상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몸통부(52) 및 상기 연동홀(13b)은 승강시 회전 유동이 방지되도록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디컷단면 또는 다각단면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52)가 상기 연동홀(13b)에 삽입되면, 상기 헤드부(51)는 상기 연동홀(13b)의 상단 테두리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부(51)에는 상기 몸통부(52)가 상기 연동홀(13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추(12b)의 하면부와 대향 배치되도록 외주 일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가압돌기(51a)가 돌설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헤드부(51)의 외주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설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원스프링(50b)은 코일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연동홀(13b)의 하부로 돌출된 몸통부(52)의 외주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연동홀(13b)의 하단 테두리에 탄발 지지되되 하단부가 상기 몸통부(52)의 하부에 결합된 스냅핀(50c)에 걸림 지지되어 상기 수직레버(50a)에 하향 탄발 복원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도 4b와 같이, 상기 핸들부(11)가 잠금 해제 방향으로 조작되면, 상기 경사돌기부(24)가 상기 연동홀(13b)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냅핀(50c)을 상향 가압하며, 상기 스냅핀(50c)과 함께 상승된 수직레버(50a)의 가압돌기(51a)에 의해 상기 압력추(12b)가 상향 가압되어 상기 증기배출구(12a)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a와 같이, 상기 핸들부(11)가 잠금 방향으로 조작되면, 상기 경사돌기부(24)가 상기 연동홀(13b)로부터 이탈되며 스냅핀(50c)의 가압 상태가 해제되며, 복원스프링(50b)의 탄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수직레버(50a)가 하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력추(12b)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고, 내솥 내부의 압력 높낮이에 따라 증기배출구(12a)의 개폐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록링킹(20) 및 뚜껑(10)이 잠금 해제되도록 상기 핸들부(11)를 잠금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상기 증기배출구(12a)가 개방되어 내솥 내부의 잔존 압력이 제거된 상태로 뚜껑(10)이 안전하게 개방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부(51)의 하면부 및 상기 연동홀(13b)의 상단부 테두리에는 상호 형합되는 형상의 안착홈부(51b) 및 안착돌기부(13c)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직레버(50a)의 하강시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레버(50a)의 반복적인 승강시에도 하강된 스냅핀(50c)이 경사돌기부(24)의 회동궤적에 대응되는 위치로 정확하게 복원될 수 있어 제품의 작동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통부(52)의 하부에는 상기 경사돌기부(24)의 회동방향(R)에 대응되도록 상기 스냅핀(50c)이 결합 및 지지되는 결합지지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경사돌기부(24)의 회동방향(R)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라 함은 상기 경사돌기부(24)의 회동궤적에 중첩되도록 회동방향(R)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지지부는 상기 몸통부(52)의 측면부 하부에 관통 형성된 결합부(52a)와, 상기 몸통부(52)의 하단 중앙부가 상향 함몰되어 형성된 지지홈부(52e)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52a) 및 상기 지지홈부(52e)는 상기 경사돌기부(24)의 회동방향(R)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부(52a)는 상기 가압돌기(51a)가 상기 압력추(12b)와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직레버(50a)가 상기 연동홀(13b)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돌기부(24)의 회동방향(R)에 대향되는 수직레버(50a)의 측면 일단으로부터 측면 타단을 향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지지홈부(52e)는 상기 수직레버(50a)의 하단부가 상기 결합부(52a)와 동일한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헤드부(51)의 외주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부(51)에 상기 스냅핀(50c)의 결합방향을 안내하는 안내표시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냅핀(50c)은 상기 결합부(52a) 및 상기 지지홈부(52e)를 통해 상기 경사돌기부(24)의 회동방향(R)으로 결합 및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돌기부(24)의 회동방향과 상기 스냅핀(50c)의 결합방향이 일치됨에 따라 상기 경사돌기부(24)의 마찰력이 후술되는 과삽입방지부(53c) 및 걸림부(55a)가 상기 결합부(52a) 및 상기 지지홈부(52e)의 테두리에 걸림되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경사돌기부(24)의 회동시 상기 스냅핀(50c)에 의한 간섭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상기 경사돌기부(24)를 통해 가압된 스냅핀(50c)이 수직레버(50a)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동방향(R)은 상기 핸들부(11)가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경사돌기부(24)가 이동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물론, 상기 결합부(52a) 및 상기 지지홈부(52e)는 상기 경사돌기부(24)의 회동방향(R)과 정확하게 매칭되는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제조 편의성을 의해 상기 경사돌기부(24)의 회동방향(R)에 대응되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스냅핀(50c)은 걸림지지부(53), 밴딩접촉부(54), 그리고 고정지지부(5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걸림지지부(53), 밴딩접촉부(54), 고정지지부(55)는 스냅핀(50c)의 각 부분을 기능에 따라 구분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스냅핀(50c)은 소정의 강도를 갖는 직선형의 와이어부재가 휨가공된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지지부(53)는 상기 스냅핀(50c)의 상단측 직선 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밴딩접촉부(54)와 연결되지 않은 타단(53a)측이 상기 경사돌기부(24)의 회동시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된 상기 결합부(52a)의 일단을 통해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52a)는 일단 테두리 부분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확관된 유도경사부(52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지지부(53)의 조립 방향이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지지부(53)의 타단부(53a)가 유도경사부(52b)의 경사면을 따라 유도되어 상기 결합부(52a)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지지부(53)는 상기 복원스프링(50b)의 직경을 초과하는 크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림지지부(53)는 밴딩접촉부(54)와 연결되는 일단(53b)으로부터 타단(53a)까지의 간격이 복원스프링(50b)의 직경을 초과하도록 구비되며, 일단부(53b) 및 타단부(53a)가 상기 결합부(52a)의 양단으로 노출되어 상기 복원스프링(50c)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지지부(53)는 상기 결합부(52a)의 일단측으로 노출된 일측이 하측을 향해 연장되되 하단부가 라운드지게 밴딩되어 절첩된 과삽입방지부(53c)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과삽입방지부(53c)는 상기 결합부(52a)의 직경을 초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지지부(53)의 일단부(53b)가 상기 결합부(52a)의 일단측으로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삽입방지부(53c)는 절첩된 부분이 복원스프링(50b)의 두께 미만으로 밀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과삽입방지부(53c)의 접철된 부분 상측에 상기 복원스프링(50b)의 하부가 걸림되어 이탈이 방지되면서도 상기 과삽입방지부(53c)의 접철된 부분 사이로 상기 복원스프링(50b)의 끼임으로 인한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밴딩접촉부(54)는 상기 걸림지지부(53)의 일단(53b)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며 상기 걸림지지부(53)의 타단(53a)측으로 라운드지게 밴딩된 반원형의 고리부분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밴딩접촉부(54)는 상기 지지홈부(52e)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경사돌기부(24)의 회동궤적에 중첩 배치되는 크기로 형성되되, 상기 경사돌기부(24)는 회동시 상기 밴딩접촉부(54)가 상향 가압되도록 회동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경사돌기부(24)의 최저단 높이는 상기 헤드부(51)가 상기 연동홀(13b)에 안착되도록 하강된 상태에서 밴딩접촉부(54)의 하단 높이보다 낮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사돌기부(24)의 최고단 높이는 상기 가압돌기(51a)가 상기 압력추(12b)의 하면부 높이 이상으로 상승된 상태에서 밴딩접촉부(54)의 하단 높이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상기 경사돌기부(24)가 상기 연동홀(13b)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밴딩접촉부(54)가 상기 경사돌기부(24)의 경사면과 접촉되어 부드럽게 슬라이드 상승될 수 있으며, 스냅핀(50c)과 함께 상승된 수직레버(50a)가 증기배출구(12a)를 안정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밴딩접촉부(54)가 상기 수직레버(50a)의 하단부로부터 하향 돌출되되, 상기 과삽입방지부(53c)를 통한 상기 걸림지지부(53)의 일단부(53b) 및 상기 결합부(52a)의 일단 간의 이격을 통해 수직레버(50a)의 측면부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직레버(50a) 및 상기 경사돌기부(24)의 접촉이 차단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레버(50a)로부터 측부 및 하부로 돌출된 금속재 스냅핀(50c)의 밴딩접촉부(54)가 금속재 록킹링(20)에 구비된 경사돌기부(24)와 먼저 접촉됨에 따라 수지재 수직레버(50a)의 마모가 방지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경사돌기부(24)의 회동방향(R)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결합부(52a) 및 지지홈부(52e)를 통해 상기 스냅핀(50c)이 상기 경사돌기부(24)의 회동방향으로 결합 및 지지되므로 상기 밴딩접촉부(54)가 상기 경사돌기부(24)의 경사면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안전레버 및 탄성레버를 통해 수직레버(50a)가 가압되는 종래와 달리, 복원스프링(50b)의 고정을 위한 스냅핀(50c)이 라운드지게 밴딩 가공되어 수직레버(50a)로부터 돌출되는 밴딩접촉부(54)를 형성하고, 상기 밴딩접촉부(54)가 경사돌기부(24)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압되어 수직레버(50a)가 승강될 수 있으므로 부품 수가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경제성 및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딩접촉부(54)는 상기 경사돌기부(24)와 접촉되도록 상기 경사돌기부(24)와 대향되는 일단부에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경사돌기부(24)의 회동방향(R)으로 구배진 슬라이드부(54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슬라이드부(54a)는 양단부가 상기 경사돌기부(24)의 경사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원호형으로 밴딩 가공되어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경사돌기부(24)와 점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밴딩접촉부(54) 및 상기 경사돌기부(24)는 상호 간의 접촉면적이 감소되므로 낮은 마찰 저항으로 부드러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밴딩접촉부(54) 및 상기 경사돌기부(24) 간의 열전달면적이 감소되므로 두 부재의 접촉시 리드히터(41)로부터 리드플레이트(40) 및 록킹링(20)을 거쳐 스냅핀(50c)으로 전도되는 열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냅핀(50c)의 가열로 인한 수직레버(50a)의 열변형 및 피로파괴가 최소화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지부(55)는 상기 걸림지지부(53)와 연결되지 않은 밴딩접촉부(54)의 단부로부터 상기 걸림지지부(53)의 일단(53b)측으로 연장된 직선 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걸림지지부(53) 및 상기 결합부(52a)의 결합시 상기 지지홈부(52e)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고정지지부(55)는 상기 지지홈부(52e)의 양측 내면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돌기부(24)를 통한 가압시 스냅핀(50c)의 회전이나 비틀림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밴딩접촉부(54)가 상기 경사돌기부(24)의 회전궤적에 정확하게 정렬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돌기부(24)의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접촉되어 정확하게 슬라이드 승강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작동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지지부(55) 및 상기 걸림지지부(53)는 상기 결합부(52a) 및 상기 지지홈부(52e)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지지부(55) 및 상기 걸림지지부(53) 사이에서 상기 결합부(52a)의 하면부 및 지지홈부(52e)의 상면부가 물림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스냅핀(50c)의 상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지부(55)에는 상기 과삽입방지부(53c) 및 상기 결합부(52a)의 걸림시 상기 지지홈부(52e)의 타단 테두리와 대향되는 타측에 단차지게 상향 절곡된 걸림부(55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과삽입방지부(53c)가 상기 결합부(52a)의 일단 테두리에 밀착되도록 상기 걸림지지부(53)가 상기 결합부(52a)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걸림부(55a)의 단차진 부분이 상기 지지홈부(52e)의 타단 테두리에 걸림된다.
즉, 상기 과삽입방지부(53c) 및 상기 걸림부(55a)를 통해 수직레버(50a)의 양단부가 그립되므로 상기 스냅핀(50c)의 횡방향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돌기부(24)가 상기 스냅핀(50c)에 접촉된 상태에서, 반대방향 회동시 마찰력으로 인한 스냅핀(50c)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복적인 슬라이드 가입시에도 상기 스냅핀(50c)의 슬라이드 가압 및 그를 통한 수직레버(50a)의 승강 구동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C-D방향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제2실시예에서는 몸통부(252)에 추가 형성된 보조결합부(252c)와 스냅핀(250c)의 세부구조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이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지지부는 결합부(252a), 지지홈부(252e), 그리고 상기 결합부(252a) 및 상기 지지홈부(252e) 사이에 상기 경사돌기부(24)의 회동방향(R)에 대응되도록 관통 형성된 보조결합부(252c)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냅핀(250c)은 걸림지지부(253), 밴딩접촉부(254), 고정지지부(255), 과삽입방지부(256), 보조지지부(257)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걸림지지부(253)는 상기 스냅핀(250c)의 상단측 직선 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결합홀(252a)에 관통 삽입된다.
또한, 상기 밴딩접촉부(254)는 상기 걸림지지부(253)의 일단(253b)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상기 걸림지지부(253)의 타단(253a)측으로 라운드지게 밴딩되며 상기 경사돌기부(24)와 대향되는 부분에 슬라이드부(254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밴딩접촉부(254)는 상기 지지홈부(252e)의 하단 및 일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경사돌기부(24)의 회동궤적에 중첩 배치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지부(255)는 밴딩접촉부(254)의 단부로부터 상기 걸림지지부(253)의 일단(253b)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지지홈부(252e)에 삽입 및 지지된다.
이때, 상기 과삽입방지부(256)는 상기 고정지지부(255)의 일단부로부터 상향 절곡되도록 연장된 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과삽입방지부(256)가 상기 지지홈부(252e)의 일단 테두리에 걸림됨에 따라 상기 걸림지지부(253)의 삽입 깊이가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딩접촉부(254)는 상기 과삽입방지부(256) 및 상기 지지홈부(252e)의 일단 테두리가 밀착된 상태에서 스냅핀(250c)의 일단 외측으로 충분히 돌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밴딩접촉부(254)가 손쉽게 그립될 수 있으며, 제품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지지부(257)는 상기 과삽입방지부(256)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걸림지지부(253)의 타단(253a)을 향해 횡방향 연장된 부분으로 상기 보조결합부(252c)에 삽입 및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냅핀(250c)이 결합부(252a), 보조결합부(252c), 지지홈부(252e)의 내면을 통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지지부(257)는 타단부가 상기 걸림지지부(253)의 타단(253a)으로부터 일단측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짧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지지부(253)의 타단부(253a)가 유도경사부(252b)를 통해 안내되어 상기 결합부(252a)에 삽입되면, 상기 보조지지부(257)의 타단부가 보조결합부(252c)에 대향 배치되어 손쉽게 삽입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지지부(257)에는 상기 과삽입방지부(256) 및 상기 지지홈부(252e)의 일단 테두리의 밀착시 상기 보조결합부(252c)의 타단 테두리에 걸림되도록 라운드지게 상향 밴딩된 걸림부(257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결합부(252c)는 상기 걸림지지부(253)가 상기 결합부(25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지지부(257)의 평탄부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걸림부(257a)의 상하방향 폭에 대응되도록 하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257a)의 타단측 구배면이 상기 보조결합부(252c)의 일단 테두리에 접촉되어 상기 보조지지부(257)가 하강되고, 상기 걸림부(257a)가 상기 보조결합부(252c)를 통과하면 상기 보조지지부(257)가 상향 복원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지지부(257) 및 상기 걸림지지부(253) 사이에서 상기 결합부(252a)의 하면부 및 보조결합부(252c)의 상면부가 물림되어 상기 스냅핀(250c)의 상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삽입방지부(256)가 상기 지지홈부(252e)의 일단 테두리에 밀착되면 상기 걸림부(257a)의 일단측 구배면이 상기 보조결합부(252c)의 타단 테두리에 걸림 지지된다. 이때, 상기 보조결합부(252c)의 내면에는 상기 걸림부(257a)의 일단측 구배면에 형합되는 아치형합부(252d)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257a)의 일단측 구배면이 상기 아치형합부(252d)에 밀착되어 상기 스냅핀(250c)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전기조리기
10: 뚜껑
20: 록킹링 30: 핸들베이스부
40: 리드플레이트 50,250: 잔류압력제거장치
50a,250a: 수직레버 50b,250b: 복원스프링
50c,250c: 스냅핀 51,251: 헤드부
52,252: 몸통부
20: 록킹링 30: 핸들베이스부
40: 리드플레이트 50,250: 잔류압력제거장치
50a,250a: 수직레버 50b,250b: 복원스프링
50c,250c: 스냅핀 51,251: 헤드부
52,252: 몸통부
Claims (13)
- 내솥이 수용되는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뚜껑의 개방을 위한 핸들부의 조작시 상기 내솥 내부의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구에 구비된 압력추를 개방하는 전기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추의 하면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증기배출구의 측부에 관통 형성된 상기 뚜껑의 연동홀에 배치되는 수직레버;
상기 수직레버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연동홀의 하단 테두리에 탄발 지지되어 하향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 및
상기 복원스프링이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레버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수직레버가 선택적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핸들부에 연동되는 동력전달부재의 경사돌기부를 따라 슬라이드 가압되는 스냅핀을 포함하는 전기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레버의 하부에는 상기 경사돌기부의 회동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스냅핀이 결합 및 지지되는 결합지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스냅핀은 상기 복원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걸림지지부와, 상기 걸림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며 상기 걸림지지부의 타단측으로 라운드지게 밴딩되어 상기 경사돌기부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압되는 밴딩접촉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돌기부는 회동시 상기 밴딩접촉부가 상향 가압되도록 회동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밴딩접촉부는 상기 경사돌기부의 회동궤적에 중첩 배치되도록 상기 수직레버로부터 하향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접촉부는 상기 경사돌기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경사돌기부와 대향되는 일단부에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경사돌기부의 회동방향으로 구배진 슬라이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레버는 상기 연동홀의 상단 테두리에 안착되되 선택적으로 상승되어 상기 압력추를 가압하는 헤드부와,
상기 복원스프링이 장착되도록 상기 헤드부에 하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되, 측면부에 상기 스냅핀이 결합되도록 상기 경사돌기부의 회동방향에 대응되도록 결합부가 관통 형성되고, 하단부에 상기 결합된 스냅핀이 지지되도록 지지홈부가 상향 함몰 형성된 몸통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핀은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복원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걸림지지부와,
상기 걸림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며 상기 걸림지지부의 타단측으로 라운드지게 밴딩되어 상기 경사돌기부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압되는 밴딩접촉부와,
상기 밴딩접촉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걸림지지부의 일단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홈부에 삽입 및 지지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일단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지지부의 타단부가 유도 삽입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확관된 유도경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지지부는 상기 복원스프링의 직경을 초과하는 크기로 구비되되, 일측에 상기 결합부의 일단 테두리에 걸림되도록 과삽입방지부가 절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과삽입방지부 및 상기 결합부의 걸림시 상기 지지홈부의 타단 테두리와 대향되는 타측에 단차지게 상향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지지홈부 사이에는 보조결합부가 관통 형성되되,
상기 고정지지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지지홈부의 일단 테두리에 걸림되도록 상향 절곡된 과삽입방지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과삽입방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보조결합부에 삽입되도록 횡방향으로 연장된 보조지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과삽입방지부 및 상기 지지홈부의 걸림시 상기 보조결합부의 타단 테두리에 걸림되도록 라운드지게 상향 밴딩된 걸림부가 형성되되,
상기 보조결합부의 내면에는 상기 걸림부에 형합되는 아치형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내솥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되, 상기 내솥 내부의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구에 압력 높낮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압력추가 구비되고, 상기 증기배출구의 측부에 연동홀이 형성된 뚜껑;
상기 뚜껑 및 상기 내솥이 선택적으로 잠금되도록 조작되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의 조작에 따라 회동되되, 회동시 상기 연동홀의 하부를 경유하도록 경사돌기부가 형성된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압력추의 하면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연동홀에 배치되는 수직레버와, 상기 수직레버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복원스프링과, 상기 수직레버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경사돌기부를 따라 슬라이드 가압되는 스냅핀을 포함하는 전기조리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핀은
상기 경사돌기부의 회동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수직레버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걸림지지부와,
상기 걸림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며 상기 걸림지지부의 타단측으로 라운드지게 밴딩되되, 상기 수직레버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경사돌기부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압되는 밴딩접촉부와,
상기 밴딩접촉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걸림지지부의 일단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레버의 하단부측 지지홈부에 삽입 및 지지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6104A KR102345948B1 (ko) | 2017-10-19 | 2017-10-19 | 전기조리기 및 그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6104A KR102345948B1 (ko) | 2017-10-19 | 2017-10-19 | 전기조리기 및 그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3950A true KR20190043950A (ko) | 2019-04-29 |
KR102345948B1 KR102345948B1 (ko) | 2021-12-31 |
Family
ID=6628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6104A KR102345948B1 (ko) | 2017-10-19 | 2017-10-19 | 전기조리기 및 그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5948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8461B1 (ko) * | 2020-04-01 | 2021-04-09 | (주)쿠첸 | 조리 장치용 뚜껑 |
KR20210050328A (ko) * | 2019-10-28 | 2021-05-07 | (주)쿠첸 | 압력 조리 장치 |
WO2023132418A1 (ko) * | 2022-01-04 | 2023-07-13 | 주식회사 쿠첸 | 조리기기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4419Y1 (ko) * | 1998-12-19 | 2004-08-21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압력조리기의증기배출장치 |
KR200368271Y1 (ko) * | 2004-09-03 | 2004-11-18 | 쿠쿠전자주식회사 | 전기압력밥솥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KR20090002411A (ko) * | 2007-06-28 | 2009-01-09 | 웅진쿠첸 주식회사 | 증기배출 기능을 구비한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장치 |
KR200450045Y1 (ko) | 2008-07-09 | 2010-09-01 | 쿠쿠전자주식회사 | 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KR101632998B1 (ko) * | 2014-12-16 | 2016-06-23 | 쿠쿠전자주식회사 |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
2017
- 2017-10-19 KR KR1020170136104A patent/KR1023459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4419Y1 (ko) * | 1998-12-19 | 2004-08-21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압력조리기의증기배출장치 |
KR200368271Y1 (ko) * | 2004-09-03 | 2004-11-18 | 쿠쿠전자주식회사 | 전기압력밥솥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KR20090002411A (ko) * | 2007-06-28 | 2009-01-09 | 웅진쿠첸 주식회사 | 증기배출 기능을 구비한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장치 |
KR200450045Y1 (ko) | 2008-07-09 | 2010-09-01 | 쿠쿠전자주식회사 | 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KR101632998B1 (ko) * | 2014-12-16 | 2016-06-23 | 쿠쿠전자주식회사 |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50328A (ko) * | 2019-10-28 | 2021-05-07 | (주)쿠첸 | 압력 조리 장치 |
KR102238461B1 (ko) * | 2020-04-01 | 2021-04-09 | (주)쿠첸 | 조리 장치용 뚜껑 |
WO2023132418A1 (ko) * | 2022-01-04 | 2023-07-13 | 주식회사 쿠첸 | 조리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45948B1 (ko) | 2021-12-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222633B (zh) | 电炊具 | |
KR102297855B1 (ko) | 전기조리기 | |
CN1954746B (zh) | 高压锅 | |
KR20190043950A (ko) | 전기조리기 및 그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
US20050166908A1 (en) | Food pressure-cooking device with a rotary locking/unlocking control device | |
KR101985479B1 (ko) | 전기조리기 | |
CN108720580B (zh) | 电炊具 | |
KR101528024B1 (ko) | 음료용기의 마개체 | |
US6705209B2 (en) | Pressure cooker | |
US9526367B2 (en) | Cooking utensil for cooking food under pressure that has an improved control device | |
CN109310226A (zh) | 改进控制人体工程学的压力烹饪器具 | |
JPS62290419A (ja) | 圧力鍋 | |
US20210007532A1 (en) | Electric pressure cooker discharging internal steam when lid is opened | |
CN109998370B (zh) | 盖体组件及烹饪器具 | |
KR102226478B1 (ko) | 전기조리기 | |
CN220988449U (zh) | 能够进行压力烹饪和空气煎炸的盖以及具有该盖的设备 | |
KR101690687B1 (ko) | 휴대용 조리용기 | |
JP2009000316A (ja) | 炊飯器 | |
EP1029483B1 (en) | Cover for pressure pots | |
KR101858896B1 (ko) | 압력 취사용기 | |
KR101907831B1 (ko) | 보조잠금수단이 구비된 압력용기 | |
CN209995965U (zh) | 盖体组件及烹饪器具 | |
KR200462264Y1 (ko) | 전기조리기기 | |
KR200461727Y1 (ko) | 전기 압력 조리기 | |
KR102065078B1 (ko) | 다용도 음식제조기용 오븐 안전 잠금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