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896B1 - 압력 취사용기 - Google Patents

압력 취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896B1
KR101858896B1 KR1020170034730A KR20170034730A KR101858896B1 KR 101858896 B1 KR101858896 B1 KR 101858896B1 KR 1020170034730 A KR1020170034730 A KR 1020170034730A KR 20170034730 A KR20170034730 A KR 20170034730A KR 101858896 B1 KR101858896 B1 KR 101858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utton
container body
lid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권
Original Assignee
김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권 filed Critical 김성권
Priority to KR1020170034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여 코스트가 저렴하면서도 안전성이 우수하고 사용도 편리한 새로운 구성의 압력 취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플랜지(110)가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플랜지(110)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의 걸림공(112)이 형성된 용기본체(100); 상기 용기본체(100)를 커버하며,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플랜지(202)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손잡이(210)가 구비된 뚜껑(200); 및 상기 뚜껑(200)을 상기 용기본체(100)에 체결시키는 체결수단(300);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수단(300)은 상기 손잡이(210)에 형성된 제1관통공(21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져서, 상단부가 상기 제1관통공(211) 상부로 출몰되는 버튼(310); 상기 버튼(310)을 상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320); 상기 버튼(31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버튼(310)에 연동되어 승강하는 중앙승강부재(330); 및 내측단부가 상기 중앙승강부재(330)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단부는 상기 손잡이(210)에 형성된 제2관통공(217)에 끼워지는 수평부(342)와, 상기 수평부(342)의 외측단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며, 하단부에는 외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플랜지(202)의 상면에 접촉되는 제1걸림턱(347)과 상기 제1걸림턱(347)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내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플랜지(110)에 형성된 걸림공(112)에 삽입되는 제2걸림턱(348)이 형성된 하향연장부(346)를 포함하는 좌우 한 쌍의 잠금부재(34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압력 취사용기{Pressure vessel for kitchen}
본 발명은 압력 취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압력 취사용기에 관한 것이다.
압력솥을 이용하여 지은 밥은 일반 솥으로 지은 밥에 비해 밥맛도 좋고 윤기도 많아서 보기에도 좋기 때문에, 압력솥으로 밥을 지어 손님에게 제공하는 음식점들이 많다. 특히, 1인 분량의 밥을 하기에 적당한 크기를 갖는 소형 압력솥으로 밥을 하여, 밥을 밥공기에 옮겨 담지 않고 압력솥 그대로 손님에게 제공하는데, 흔히, 압력솥의 용기본체를 돌로 만든 돌솥압력용기를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압력솥은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상단부를 커버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데, 뚜껑은 용기본체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더라도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잠금수단 등에 의해 용기본체에 결합된다.
등록특허 제10-1645854호는 이러한 압력솥의 뚜껑에 관한 것인데, 뚜껑의 손잡이에 잠금수단이 결합되는데, 잠금수단은 3개의 파트로 분할되어 상호 링크결합되되, 중앙부위는 손잡이와 결합되고, 양측 좌우부재는 뚜껑에 힌지결합되는 복잡한 구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잠금수단이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안전수단이 더 구비되기 때문에 구성이 상당히 복잡하고 고스트도 높은 단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5854호(2016. 07. 28)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여 코스트가 저렴하면서도 안전성이 우수하고 사용도 편리한 새로운 구성의 압력 취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플랜지(110)가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플랜지(110)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의 걸림공(112)이 형성된 용기본체(100); 상기 용기본체(100)를 커버하며,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플랜지(202)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손잡이(210)가 구비된 뚜껑(200); 및 상기 뚜껑(200)을 상기 용기본체(100)에 체결시키는 체결수단(300);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210)는 상하로 관통되는 제1관통공(211)이 중앙에 형성된 파지부(212); 및 상기 파지부(212)의 양측 단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며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관통공(217)이 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뚜껑(200)의 상면에 연결되는 좌, 우측연결부(216)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수단(300)은 상기 손잡이(210)에 형성된 제1관통공(21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져서, 상단부가 상기 제1관통공(211) 상부로 출몰되는 버튼(310); 상기 버튼(310)을 상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320); 상기 버튼(31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버튼(310)에 연동되어 승강하는 중앙승강부재(330); 및 내측단부가 상기 중앙승강부재(330)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단부는 상기 제2관통공(217)에 끼워지는 수평부(342)와, 상기 수평부(342)의 외측단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며, 하단부에는 외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플랜지(202)의 상면에 접촉되는 제1걸림턱(347)과 상기 제1걸림턱(347)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내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플랜지(110)에 형성된 걸림공(112)에 삽입되는 제2걸림턱(348)이 형성된 하향연장부(346)를 포함하는 좌우 한 쌍의 잠금부재(3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취사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평부(342)의 외측단부에는 상향으로 만곡되는 만곡부(343)가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340)는 상기 만곡부(343)가 상기 제2관통공(217)에 위치되도록 상기 손잡이(210)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평부(342)의 내측단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힌지공(341)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승강부재(330)의 단부에는 상기 힌지공(341)에 끼워지는 고리(332)가 형성되어, 상기 중앙승강부재(330)의 고리(332)가 수평부(342)의 힌지공(341)에 끼워져서 수평부(342)의 내측단부가 중앙승강부재(330)에 대해 상하로 회동되되, 상기 잠금부재(340)는 금속밴드를 절곡하여 성형되어, 상기 힌지공(341)은 수평부(342)의 내측단부에 구멍을 천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중앙승강부재(330)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리(332)는 중앙승강부재(330)의 단부 일부를 만곡시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뚜껑(200)을 용기본체(100)에 체결시키는 체결수단(300)이 버튼(310)과, 버튼(310)을 상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320)과, 버튼(310)의 하단에 결합된 중앙승강부재(330)와, 중앙승강부재(330)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잠금부재(340)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중앙승강부재와 잠금부재(340)가 별도의 부품없이 상호 결합되기 때문에, 부품수가 절감되고, 코스트도 저렴하다.
특히, 본 발명은 잠금부재(340)의 수평부(342) 내측단부가 중앙승강부재(33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잠금부재(340)가 시소운동을 하여 뚜껑(200)을 용기본체(100)에 가압고정시키되, 잠금부재(340)가 금속밴드를 절곡시켜 성형되므로 잠금부재(340)의 오작동의 우려가 없고, 잠금부재(340)의 작동 신뢰도가 높다. 따라서 뚜껑(200)이 용기본체(100)에 가압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안전성이 우수하고, 사용자는 버튼(310)만 조작하면 되므로 사용도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뚜껑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각각 뚜껑이 결합 및 개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플랜지(110)가 상단부에 형성된 용기본체(100)와, 용기본체(100)를 커버하며 상면에는 손잡이(210)가 구비된 뚜껑(200)과, 뚜껑(200)을 용기본체(100)에 체결시키는 체결수단(300)을 포함하며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상부가 개구된 솥형상으로 되어 상단 둘레부에는 상기 제1플랜지(110)가 외향으로 돌출형성되는데, 제1플랜지(110)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의 걸림공(11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용기본체(100)는 돌로 성형되고, 제1플랜지(110)는 금속으로 성형되어 용기본체(100)의 상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200)은 용기본체(100)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하단 둘레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플랜지(202)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랜지(202) 내부에는 패킹(204)이 끼워져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뚜껑(200)을 용기본체(100)에 씌우면 패킹(204)이 용기본체(100)의 상단에 접촉되어 용기본체(100) 내부가 밀폐된다.
이러한 뚜껑(200)에 구비되는 상기 손잡이(210)는 손으로 잡기 위한 부분인 파지부(212)와, 파지부(212)의 양측 단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좌, 우측연결부(216)로 이루어지는데, 파지부(212)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제1관통공(211)이 형성되고, 좌, 우측연결부(216)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관통공(217)이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210)는 금속밴드를 절곡성형하여 제조되어 좌, 우측연결부(216)가 뚜껑(200) 상면에 용접되며, 파지부(212)에는 합성수지 등의 단열소재로 성형된 손잡이커버(218)가 씌워진다.
한편, 상기 체결수단(300)은 상단부가 상기 손잡이(210)에 형성된 제1관통공(21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지는 버튼(310)과, 버튼(310)을 상향으로 탄지시키는 스프링(320)과, 버튼(3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중앙승강부재(330)와, 중앙승강부재(330)에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잠금부재(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310)은 제1관통공(21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져서 상단부가 손잡이(210) 상부로 출몰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212) 하측에는 상단이 제1관통공(211)과 연통되는 원통형 하우징(311)이 결합되고, 이 하우징(311)에 상기 스프링(320)과 버튼(310)이 내장되어, 버튼(310)은 스프링(320)에 탄지되면서 하우징(311)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드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승강부재(330)는 원반형상으로 되어 중앙부가 버튼(310)의 하단에 나사결합되어 버튼(310)과 연동되어 승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승강부재(330)가 버튼(310)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중앙승강부재(330)가 상기 하우징(211)의 하단에 접촉됨에 따라 버튼(310)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도시되었다.
한편, 상기 잠금부재(340)는 수평부(342)와, 수평부(342)의 외측단부에서 수평부(342)와 직교되도록 하향으로 연장되는 하향연장부(346)로 이루어져서 대략 ㄱ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잠금부재(340)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중앙승강부재(330)에 좌우로 대칭되도록 결합되는데, 잠금부재(340)는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구성 및 결합된다.
상기 잠금부재(340)는 손잡이(210)의 좌,우측연결부(216)에 형성된 제2관통공(217)에 끼워지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10)의 외측단부가 제2관통공(217)에 위치되어 잠금부재(340)의 수평부(342)는 뚜껑(200)과 손잡이(210) 사이에 위치되고, 하향연장부(346)는 손잡이(210)와 뚜껑(200)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수평부(342)의 내측단부는 중앙승강부재(330)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부(342)의 내측단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힌지공(341)이 형성되고 중앙승강부재(330)의 단부에는 상기 힌지공(341)에 끼워지는 고리(332)가 형성되어, 수평부(342)의 힌지공(341)에 중앙승강부재(330)의 고리(332)가 끼워져서 수평부(342)의 내측단부가 중앙승강부재(330)에 대해 상하로 회동되도록 도시되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부재(340)는 금속밴드를 절곡시켜 성형되되, 상기 힌지공(341)은 수평부(342)의 내측단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을 천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중앙승강부재(330)도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되, 고리(332)가 중앙승강부재(330)의 단부 일부를 절곡시켜 형성되면 여러 개의 부품없이도 잠금부재(340)와 중앙승강부재(330)를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부품수도 감소되어 코스트도 저렴하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관통공(217)은 상기 중앙승강부재(330)가 최대로 상승되어 상기 하우징(311)의 하단에 접촉된 위치와 정렬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따라서 버튼(310)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수평부(342)가 수평으로 위치되고, 하향연장부(346)는 수직으로 하향된다.
이와 같이 수평부(342)의 내측단부는 중앙승강부재(330)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수평부(342)의 외측단부가 손잡이(210)의 제2관통공(217)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잠금부재(340)는 제2관통공(217)을 중심으로 시소(seesaw)운동을 한다. 즉, 수평부(342)의 내측단부가 중앙승강부재(330)에 의해 승강될 때 수평부(342)의 제2관통공(217)에 끼워진 부분이 시소의 지지점 기능을 하며, 따라서 중앙승강부재(330)에 의해 수평부(342)의 내측단부가 하강하면 하향연장부(347)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들어 올려진다.
바람직하게는 수평부(342) 외측단부의 상기 제2관통공(217)에 끼워지는 부위에는 상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만곡부(343)가 형성되며, 이러한 만곡부(343)에 의해 잠금부재(340)가 한층 더 부드럽게 시소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잠금부재(340)의 하향연장부(346) 하단에는 뚜껑(200)의 제2플랜지(202) 상면에 맞닿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걸림턱(347)과, 제1걸림턱(347)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내측으로 돌출되어 제1플랜지(110)의 걸림공(112)에 삽입되는 제2걸림턱(348)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걸림턱(347)과 제2걸림턱(348)에 의해 하향연장부(346)의 하단에는 수용부(349)가 형성되며, 잠금부재(340)의 제2걸림턱(348)이 용기본체(100)의 걸림공(112)에 삽입되면, 뚜껑(200)의 제2플랜지(202)가 제1걸림턱(347)에 의해 하향으로 가압되어 용기본체(100)의 제1플랜지(110) 상단에 가압밀착되고 뚜껑(200)이 용기본체(100)에 가압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기 버튼(310)을 누르면 버튼(310)과 함께 중앙승강부재(330)가 하강되고, 이에 따라 잠금부재(340)는 시소운동을 하여 수평부(342) 내측단부는 하강되며 하향연장부(346)는 하단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상향으로 회동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버튼(310)을 누른 상태에서 잠금부재(340)의 하향연장부(346)가 용기본체(100)의 끼움공(112)에 정렬되게 위치되도록 뚜껑(200)을 용기본체(100)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버튼(310)을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버튼(310)은 스프링(320)에 의해 상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이에 따라 중앙승강부재(330)와 수평부(342)의 내측단부도 상향으로 이동되며, 잠금부재(340)의 하향연장부(346)는 하향으로 회동되면서 오므려져서 하향연장부(346)의 제2걸림턱(348)이 용기본체(100)의 걸림공(11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제2걸림턱(348)이 걸림공(112)에 삽입되면 뚜껑(200)의 제2플랜지(202)가 제1걸림턱(347)에 의해 가압되어, 용기본체(100)의 제1플랜지(110)의 상단에 가압밀착되고 용기본체(100) 내부가 밀폐된다. 버튼(310)이 스프링(320)에 의해 상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잠금수단(340)에는 상기 제2관통공(217)을 중심으로 수평부(342)는 상향으로 회동되고, 하향연장부(346)는 용기본체(100) 중심을 향해 내향으로 회동하려는 힘이 작용되므로 잠금수단(340)이 쉽게 벌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뚜껑(200)이 용기본체(100)에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고, 용기본체(100) 내부에 높은 증기압이 발생되더라도 뚜껑(200)이 용기본체(10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밥을 짓는 도중에 뚜껑(200)이 개방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다. 미 설명 부호 2는 용기본체(200)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된 경우에 용기본체(200) 내부의 압력을 배출시키는 증기배출밸브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특히, 중앙승강부재(330)와 잠금부재(340)가 금속판 또는 금속밴드로 이루어져서 별도의 연결부품없이 연결조립되므로 부품수가 절감되어 코스트가 저렴하다. 또한, 버튼(310)의 승강에 따라 잠금부재(340)가 시소운동을 하여 뚜껑(200)을 용기본체(100)에 가압고정시키는데, 잠금부재(340)가 금속밴드를 절곡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잠금부재(340)의 오작동의 우려가 없고 잠금부재(340)의 작동 신뢰도가 높다. 따라서 뚜껑(200)이 용기본체(100)에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안전성이 우수하며, 사용자는 버튼(310)만 조작하면 되므로 사용도 편리하다.
100. 용기본체 110. 제1플랜지
112. 걸림공 200. 뚜껑
202. 제2플랜지 204. 패킹
210. 손잡이 211. 제1관통공
212. 파지부 216. 좌, 우측연결부
217. 제2관통공 300. 체결수단
310. 버튼 311. 하우징
320. 스프링 330. 중앙승강부재
332. 고리 340. 잠금부재
341. 힌지공 342. 수평부
343. 만곡부 346. 하향연장부
347. 제1걸림턱 348. 제2걸림턱
349. 수용부

Claims (3)

  1.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플랜지(110)가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플랜지(110)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의 걸림공(112)이 형성된 용기본체(100);
    상기 용기본체(100)를 커버하며,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플랜지(202)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손잡이(210)가 구비된 뚜껑(200); 및
    상기 뚜껑(200)을 상기 용기본체(100)에 체결시키는 체결수단(300);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210)는,
    상하로 관통되는 제1관통공(211)이 중앙에 형성된 파지부(212); 및
    상기 파지부(212)의 양측 단부에서 하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며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관통공(217)이 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뚜껑(200)의 상면에 연결되는 좌, 우측연결부(216)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수단(300)은,
    상기 손잡이(210)에 형성된 제1관통공(21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져서, 상단부가 상기 제1관통공(211) 상부로 출몰되는 버튼(310);
    상기 버튼(310)을 상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320);
    상기 버튼(31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버튼(310)에 연동되어 승강하는 중앙승강부재(330); 및
    내측단부가 상기 중앙승강부재(330)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단부는 상기 제2관통공(217)에 끼워지는 수평부(342)와, 상기 수평부(342)의 외측단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며, 하단부에는 외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플랜지(202)의 상면에 접촉되는 제1걸림턱(347)과 상기 제1걸림턱(347)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내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플랜지(110)에 형성된 걸림공(112)에 삽입되는 제2걸림턱(348)이 형성된 하향연장부(346)를 포함하는 좌우 한 쌍의 잠금부재(340);로 이루어져서,
    상기 버튼(310)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잠금부재(340)가 상기 제2관통공(217)을 지지점으로 하여 시소운동하되, 버튼(310)이 상기 스프링(320)에 의해 상향으로 상승된 상태에서는 잠금부재(340)의 하향연장부(346) 하단에는 상기 용기본체(100)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힘이 작용되어 상기 제2걸림턱(348)이 상기 걸림공(112)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취사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342)의 외측단부에는 상향으로 만곡되는 만곡부(343)가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340)는 상기 만곡부(343)가 상기 제2관통공(217)에 위치되도록 상기 손잡이(210)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취사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342)의 내측단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힌지공(341)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승강부재(330)의 단부에는 상기 힌지공(341)에 끼워지는 고리(332)가 형성되어, 상기 중앙승강부재(330)의 고리(332)가 수평부(342)의 힌지공(341)에 끼워져서 수평부(342)의 내측단부가 중앙승강부재(330)에 대해 상하로 회동되되,
    상기 잠금부재(340)는 금속밴드를 절곡하여 성형되어, 상기 힌지공(341)은 수평부(342)의 내측단부에 구멍을 천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중앙승강부재(330)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리(332)는 중앙승강부재(330)의 단부 일부를 만곡시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취사용기.
KR1020170034730A 2017-03-20 2017-03-20 압력 취사용기 KR101858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730A KR101858896B1 (ko) 2017-03-20 2017-03-20 압력 취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730A KR101858896B1 (ko) 2017-03-20 2017-03-20 압력 취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896B1 true KR101858896B1 (ko) 2018-05-16

Family

ID=62451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730A KR101858896B1 (ko) 2017-03-20 2017-03-20 압력 취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8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719B1 (ko) * 2021-05-25 2021-09-23 엠지엠씨(주) 산화방지 진공 용기
KR102485741B1 (ko) * 2021-08-23 2023-01-05 김영세 전기 밥솥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843Y1 (ko) 2002-04-08 2002-07-13 주식회사 부영실업 압력밥솥의 뚜껑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843Y1 (ko) 2002-04-08 2002-07-13 주식회사 부영실업 압력밥솥의 뚜껑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719B1 (ko) * 2021-05-25 2021-09-23 엠지엠씨(주) 산화방지 진공 용기
KR102485741B1 (ko) * 2021-08-23 2023-01-05 김영세 전기 밥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1323B2 (ja) 改善された制御装置を有する、圧力下で食品を調理するための調理器具
CN107647771B (zh) 一种压力锅
KR101792111B1 (ko)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CN108968668B (zh) 烹饪器具
EP3009053B1 (en) Lid assembly and drink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CN101357040B (zh) 具有挡板的压力锅
US20120012584A1 (en) Pressure-cooking utensil provided with a locking/unlocking control member that operates asymmetrically
CN107874602B (zh) 一种压力锅
US11641970B2 (en) Cooking appliance
US9211034B2 (en) Utensil with simplified handling
JP2013154216A (ja) 係止/係止解除兼用制御部材を有する圧力調理器具
JP2016221289A (ja) 容器ハンドルが設けられたバヨネット継手圧力調理器
KR101858896B1 (ko) 압력 취사용기
CN110623535A (zh) 烹饪器具
KR101246679B1 (ko) 압력조리기구
CN106859360B (zh) 锅盖及应用其的烹饪器具
KR101379001B1 (ko)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CN109892967A (zh) 一种改进的便携式烹饪器具
KR20150064336A (ko)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KR20190002991A (ko) 분리형 진공 텀블러
KR200454958Y1 (ko) 양면 후라이팬
CN203749177U (zh) 一种电压力烹饪器具
KR101244391B1 (ko)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
KR101645854B1 (ko) 돌솥압력뚜껑
CN220988449U (en) Cover capable of pressure cooking and air frying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