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479B1 - 전기조리기 - Google Patents

전기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479B1
KR101985479B1 KR1020170087328A KR20170087328A KR101985479B1 KR 101985479 B1 KR101985479 B1 KR 101985479B1 KR 1020170087328 A KR1020170087328 A KR 1020170087328A KR 20170087328 A KR20170087328 A KR 20170087328A KR 101985479 B1 KR101985479 B1 KR 101985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inner pot
locking ring
lid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388A (ko
Inventor
김원영
김승윤
손수호
방호상
신영배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7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479B1/ko
Priority to US16/012,853 priority patent/US10736457B2/en
Priority to JP2018121099A priority patent/JP7150495B2/ja
Priority to CN201810687398.9A priority patent/CN109222617B/zh
Publication of KR20190006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3Locking devices using a clamping ring or clamping seg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Abstract

내솥 내부의 압력 상태 및 비압력 상태에서 각각 조리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조리 품질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상단에 플랜지부가 구비된 내솥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되 일측에 핸들부가 구비된 뚜껑; 상기 핸들부와 연동 회전되어 상기 플랜지부에 선택적으로 물림되되 상면부에 회전방향을 표지하는 표식자가 구비된 록킹링; 상기 뚜껑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핸들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내솥 내부 증기의 배출을 위한 개폐상태가 전환 및 유지되는 압력전환수단; 상기 록킹링의 잠금 및 잠금해제 회전시 상기 표식자를 각각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 중 어느 하나의 감지신호 수신시 상기 본체의 전원공급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조리기{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솥 내부의 압력 상태 및 비압력 상태에서 각각 조리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조리 품질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조리기는 업소 및 가정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밥솥, 전기압력밥솥 등을 의미하며, 발열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내장되며, 상기 뚜껑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개폐되되 하부에 상기 내솥의 상단 개구를 밀폐하도록 내솥커버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내솥커버의 일측에는 내솥 내부와 연통되는 유동홀이 형성되며, 내솥 내부 증기는 상기 유동홀을 거쳐 상기 뚜껑에 구비된 압력조절수단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내솥 내부와 조리기 외부를 연결하는 증기배출유로가 개폐되도록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내솥 내부 압력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압력추 밸브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조리가 시작되면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증기배출유로가 폐쇄되어 내솥 내부 압력이 증가되되, 압력추 밸브를 통해 내솥 내부 압력이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조리기는 압력추의 무게압과 증기압의 상호 작용을 통해 내솥 내부를 하나의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하므로 사용자의 취향이나 음식물의 종류에 적합한 조리방식이 적용/선택할 수 없어 조리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압력이 불필요한 조리재료의 경우 고압으로 인해 식감이 물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밥알이 찰지고 쫀득한 식감의 압력밥을 좋아하지 않고, 부드러운 식감의 비압력밥을 좋아하는 경우 별도의 비압력 전기밥솥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일반 냄비를 이용한 별도의 조리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취사공정 중 솔레노이드밸브를 압력밥보다 일정시간/주기로 더 열어주고 화력을 줄이거나, 불림시간을 길게하는 등으로 부드러운 식감을 제공하고 있으나, 비압력 전기밥솥으로 취사한 밥맛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그리고, 조리 중 내솥 내부에 압력이 존재하는 경우, 내솥의 고압상태에서 뚜껑의 개방을 차단하는 압력안전장치로 인해 조리 상태를 확인하거나 재료를 추가로 투입하기 위한 뚜껑의 개폐가 불가능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27285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솥 내부의 압력 상태 및 비압력 상태에서 각각 조리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조리 품질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단에 플랜지부가 구비된 내솥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하는 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뚜껑; 상기 개폐하는 수단과 연동하여 상기 플랜지부에 선택적으로 물림되되 상면부에 회전방향을 표지하는 표식자가 구비된 록킹링; 상기 뚜껑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개폐하는 수단과 연동하여 상기 내솥 내부 증기의 배출을 위한 개폐상태가 전환 및 유지되는 압력전환수단; 상기 록킹링의 잠금 및 잠금해제 회전시 상기 표식자를 각각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 중 어느 하나의 감지신호 수신시 상기 본체의 전원공급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내솥의 가열을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전원공급 활성화시 조작패널을 통해 입력된 조리명령에 따라 상기 가열수단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록킹링의 잠금 회전에 대응되는 감지신호 수신시 상기 입력된 조리명령에 따라 기설정된 압력조리모드의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내솥의 조리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록킹링의 잠금해제 회전에 대응되는 감지신호 수신시 상기 입력된 조리명령에 따라 기설정된 비압력조리모드의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내솥의 조리 온도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전환수단은 상기 록킹링의 내주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록킹링의 상면부에는 상기 압력전환수단의 외주에 돌설된 승강날개부와 대향되는 부분을 따라 잠금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리프트돌기부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압력전환수단은 상기 뚜껑의 하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내부에 상기 내솥 내부와 연통되는 압력전환유로가 형성된 하부실린더와, 상기 리프트돌기부의 경사면을 따라 승강되어 상기 압력전환유로의 개폐 상태가 전환되도록 상기 승강날개부가 외주에 돌설된 승강피스톤과, 상기 압력전환유로의 개폐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하부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날개부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압력전환수단의 개방 및 폐쇄에 따라 압력이 불필요한 요리를 위한 비압력조리모드와, 고압이 요구되는 요리를 위한 압력조리모드가 손쉽게 전환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조리법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으며, 압력밥 특유의 쫀득한 식감과 비압력밥 특유의 부드러운 식감 등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취사가 가능하므로 제품의 호환성 및 취사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비압력조리모드시에는 압력안전장치로 인한 제한 없이 뚜껑이 자유롭게 개폐될 수 있으므로 조리 중 추가 재료의 투입이나 조리상태 점검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제어부가 상기 록킹링의 잠금 및 잠금 해제시 표식자의 위치에 따른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통해 압력전환수단의 개폐를 판별하여, 상기 핸들부의 회전에 따라 전환된 비압력조리모드 및 압력조리모드에 적합한 조리 온도 제어 알고리즘이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 및 조리품질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핸들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압력전환수단의 개폐상태가 전환되므로 핸들부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비압력조리모드 및 압력조리모드가 손쉽게 선택 사용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상기 핸들부 및 압력전환수단의 연동을 위한 링크수단이 상기 록킹링에 돌설된 간단한 돌기 구조로 구비되므로 부품 수의 감소 및 부품 간 연결구조의 간소화를 통해 제품의 생산성 및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승강피스톤의 하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가압수단이 기설정된 이상압력에 대응되는 탄성력이나 하중을 갖도록 구비되므로 압력조리시 압력전환유로가 안정적으로 폐쇄 가능하되 압력대응 작동수단의 이상에 따른 내솥 내압의 과상승시에는 압력전환유로가 강제 개방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승강피스톤의 전환배출홀이 비산방지판 또는 비상방지단턱에 의해 커버되어 압력전환유로 내면에 응축된 수분이 증기와 함께 비산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비산된 수분으로 인한 안전사고 예방과 함께 점성의 밥물로 인한 뚜껑 및 스팀캡부의 오염이 최소화되어 보다 안전하고 청결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압력전환수단의 개방 및 폐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압력전환수단의 개방 및 폐쇄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가압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하부실린더의 결합구조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압력전환수단의 개방 및 폐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압력전환수단의 개방 및 폐쇄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가압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하부실린더의 결합구조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조리기(100)는 본체(미도시), 뚜껑(10), 록킹링(20), 압력전환수단(50), 압력대응 작동수단(90), 센서부(18a,18b), 그리고 제어부(19a)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미도시)의 내부에는 열판히터나 유도가열장치 등의 가열수단(19c)이 구비된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간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미도시)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내솥(미도시)의 상단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복수의 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뚜껑(10)은 상기 본체(미도시)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되 각종 전장부품 및 배선이 설치되는 내부뚜껑부(10b)와, 상기 내부뚜껑부(10b)를 커버하되 상면부 일측에 핸들부(11)가 구비된 외부뚜껑부(10a)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하에서, 일측은 상기 뚜껑(10)의 개방단부(17)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타측은 상기 뚜껑(10)의 힌지연결부(16)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록킹링(20)은 상기 내부뚜껑부(10b)의 하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에 선택적으로 잠금된다.
상세히, 상기 록킹링(20)의 내주에는 상기 각 플랜지부에 대응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복수의 잠금돌기(21)가 돌설된다. 이때, 상기 록킹링(20)이 잠금해제 각도로 회전되면 상기 각 잠금돌기(21)가 플랜지부 사이 공간에 배치되고, 뚜껑(10)과 내솥(미도시)이 분리되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10)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록킹링(20)이 잠금 각도로 회전되면 상기 각 잠금돌기(21)가 플랜지부의 하단에 구속되어 뚜껑(10)과 내솥(미도시)이 잠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링(20)의 상면부에는 회전방향을 표지하기 위해 영구자석 등의 표식자(22a,22b)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부뚜껑부(10b)에는 상기 표식자(22a,22b)를 각각 감지하는 센서부(18a,18b)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18a,18b)는 자력감지센서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록킹링(20)의 회전시 인접한 표식자(22a,22b)의 자력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9a)는 상기 센서부(18a,18b)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록킹링(20)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상태를 판별한다.
이때, 상기 표식자(22a,22b)는 하나 또는 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18a,18b)는 상기 록킹링(20)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상태를 각각 감지하기 위해 한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식자가 하나인 경우 상기 센서부(18a,18b)는 상기 록킹링(20)의 잠금시 표식자의 위치 및 상기 록킹링(20)의 잠금해제시 표식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식자는 상기 록킹링(20)의 잠금 및 잠금 해제시 각 센서부(18a,18b)에 교번하여 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식자가 둘로 구비된 경우 상기 센서부(18a,18b)는 상기 록킹링(20)의 잠금시 제1표식자(22a)의 위치 및 상기 록킹링(20)의 잠금해제시 제2표식자(22b)의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표식자는 상기 록킹링(20)의 잠금 및 잠금 해제시 대응되는 위치의 각 센서부(18a,18b)에 선택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부(11)의 하단부에는 핸들베이스부(30)가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핸들베이스부(30)는 지지부(30c), 그리고 상기 지지부(30c)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돌설된 록킹링연동부(30a) 및 안전바연동부(30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30c)는 상면부에 상기 핸들부(11)의 하단부가 키결합되되, 하면부에 형성된 회전지지홈부(34)에 내부뚜껑부(10b)의 지지돌기(14)가 삽입되어 회전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핸들베이스부(30)가 비틀림 없이 상기 핸들부(11)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록킹링연동부(30a)는 상기 록킹링(20)의 회전궤적과 중첩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록킹링(20)과 중첩 배치된 일측에 연결홀(31)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홀(31)에는 상기 록킹링(20)의 상면부에 돌설된 연결돌기(23)가 내부뚜껑부(10b)의 원호형 장공(15)을 관통하여 삽입 및 결합되며, 이를 통해 상기 록킹링(20)이 상기 핸들부(11)와 연동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바연동부(30b)에는 상기 핸들베이스부(30)의 회전시 일측 및 타측으로 직선 이동되되, 압력안전장치(90c)에 의해 선택적으로 직선 이동이 제한되는 안전바(35)가 연결된다.
상세히, 내솥의 내부압력이 설정된 안전압력 이상으로 증가되면 압력안전장치(90c)의 안전핀이 상승되어 안전바(35)가 구속되고, 상기 안전바(35)의 직선 이동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안전바(35)에 연결된 핸들베이스부(30)의 회전이 제한되며, 내솥의 고압시 록킹링(20)의 잠금 해제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뚜껑부(10b)의 하면부에는 리드플레이트(80)가 결합되며, 상기 리드플레이트(80)의 하면부에는 내솥커버(미도시)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솥(미도시)의 상단 개구를 밀폐하는 밀폐패킹(82)이 리드플레이트(80)의 하면부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써 도시하나, 상기 밀폐패킹(82)은 상기 내솥커버(미도시)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내솥커버(미도시)의 타측에는 내솥 내부의 증기가 배출되도록 복수의 증기유동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리드플레이트(80)에는 상기 증기유동홀과 대면되는 부분에 복수의 연통홀(81a,81b,81c)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드플레이트(80) 및 상기 내부뚜껑부(10b) 사이에는 상기 각 연통홀(81a,81b,81c)을 일체로 커버하되, 상기 각 연통홀(81a,81b,81c)에 대응되는 장착홀(71a,71b,71c)이 관통 형성된 컨트롤플레이트(70)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컨트롤플레이트(70) 및 상기 리드플레이트(80)는 일체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외부뚜껑부(10a)의 타측에는 각 장착홀(71a,71b,71c)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상부관통부(13a,13b,13c)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뚜껑부(10b)에는 상기 각 상부관통부(13a,13b,13c)의 형성영역을 포괄하는 크기의 하부관통부(13d)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압력전환수단(50)은 상기 상부관통부(13a,13b,13c) 중 하나(13a)와 하부관통부(13d)를 통해 상기 뚜껑(10)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내솥 내부의 증기 배출을 위한 선택적인 개폐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압력전환수단(50)은 개방 및 폐쇄 중 선택된 하나의 상태가 조리 과정 중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압력전환수단(50)은 상기 내솥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부재와, 제1방향의 압력에 의해 상기 연통부재의 개방 및 폐쇄상태 중 하나를 유지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방향이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인 경우를 예로써 설명하며, 후술될 링크수단 및 개폐부재의 위치에 따라 제1방향은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는 방향, 좌측에서 우측,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는 제1방향의 압력에 의해 연통부재의 열림을 유지하도록 구비되거나, 연통부재의 닫힘을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핸들부(11)의 회전시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의 압력을 형성하는 링크수단에 의해 개폐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의 압력이 개폐부재가 열림되도록 유지하는 경우에 제2방향의 압력은 개폐부재를 폐쇄상태로 전환하며, 제1방향의 압력이 개폐부재가 닫힘되도록 유지하는 경우 제2방향의 압력은 개폐부재를 개방상태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핸들부(11)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압력전환수단(50)의 개폐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링크수단이 상기 핸들부(11)와 연동되는 록킹링(20)의 리프트돌기부(24)인 경우를 예로써 설명하며, 상기 링크수단은 핸들부(11)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핸들부(11)와 연동되는 핸들베이스부(30) 등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통부재가 하부실린더(53) 및 상부실린더(51)로 구비되어 상기 내솥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내부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개폐부재가 하부실린더(53) 및 상부실린더(51) 사이에서 승강되는 승강피스톤(52)으로 구비되어 내부 유로의 개폐상태를 전환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이때, 상기 승강피스톤(52)은 가압수단에 의해 하방 가압되어 내부 유로의 폐쇄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링크수단은 상기 록킹링(20)에 일체로 구비된 돌기 형태로 핸들부의 회전시 승강피스톤(52)를 상방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90)은 상기 압력전환수단(50)이 배치되지 않은 나머지 상부관통부(13b,13c) 및 하부관통부(13d)를 통해 상기 뚜껑(10)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90)은 전기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90b)와, 상기 내솥 내부의 증기 압력에 따라 승강되는 무게추가 구비된 압력추밸브(90a)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전환수단(30)이 폐쇄된 압력조리모드에서 상기 내솥 내부의 압력 높낮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즉, 상기 록킹링(20)이 잠금 해제되도록 상기 핸들부(11)가 회전되면, 상기 압력전환수단(50)이 개방되어 조리시 내솥 내부의 증기가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비압력조리모드로 조리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압력전환수단(50)의 내부 유로는 조리시 발생된 증기가 모두 배출되어 내솥 내부에 압력을 발생시키지 않는 크기의 단면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록킹링(20)이 잠금되도록 상기 핸들부(11)가 회전되면, 상기 압력전환수단(50)이 폐쇄되어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90)에 의해 내솥 내부 압력이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압력조리모드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9a)는 상기 센서부(18a,18b)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신호 수신시 상기 본체(미도시)에 대한 전원공급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상세히, 상기 센서부 중 하나(18a)는 상기 록킹링(20)의 잠금시 잠금 회전방향측 제1표식자(22a)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다른 하나(18b)는 상기 록킹링(20)의 잠금 해제시 잠금 해제 회전방향측 제2표식자(22b)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이때, 상기 록킹링(20)이 잠금 회전되면 압력전환수단(50)이 폐쇄되고 제1센서부(18a)가 상기 제1표식자(22a)의 자력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출한다. 그리고, 상기 록킹링(20)이 잠금 해제 회전되면 압력전환수단(50)이 개방되고 제2센서부(18b)가 상기 제2표식자(22b)의 자력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9a)는 제1센서부(18a) 및 제2센서부(18b)의 감지신호 중 하나가 수신되면, 상기 본체의 전원공급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본체(미도시)의 전원공급이 활성화되면 본체의 조작패널(19b)을 통해 입력된 조리명령에 따라 내솥의 가열을 위한 가열수단(19c)이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록킹링(20)이 잠금된 압력조리모드뿐만 아니라, 상기 록킹링(20)이 잠금 해제된 비압력조리모드에서도 가열수단(19c)의 구동되어 내솥의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9a)는 상기 감지신호의 미수신시 상기 본체(미도시)에 대한 전원공급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비활성화는 조리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도 가열수단(19c)이 구동되지 않는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지신호가 미수신된다는 말은 상기 표식자(22a,22b)가 양측 센서부(18a,18b) 모두에 감지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기 록킹링(20)이 잠금되어 압력전환수단(50)이 완전하게 폐쇄되거나, 상기 록킹링(20)이 잠금 해제되어 압력전환수단(50)이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에서만 상기 본체(미도시)에 대한 전원공급이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압력전환수단(50)이 부분적으로 열리거나 닫힌 상태에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압력전환수단(50)의 부분적인 개폐로 인한 조리품질 저하, 안전사고 발생 등이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9a)는 상기 록킹링(20)의 잠금에 대응되는 감지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명령이 입력되면 기설정된 압력조리모드의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내솥의 조리 온도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9a)는 압력밥 등의 압력조리에 적합한 조리 온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가열수단(19c)의 가열량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9a)는 상기 록킹링(20)의 잠금 해제에 대응되는 감지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명령이 입력되면 기설정된 비압력조리모드의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량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9a)는 비압력밥 등의 비압력조리에 적합한 조리 온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가열수단(19c)의 가열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핸들부(11)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록링킹(20)의 잠금 및 잠금해제가 전환됨과 동시에 압력전환수단(50)의 개폐상태가 전환되되, 전환된 압력/비압력조리모드에 적합한 조리 온도 제어 알고리즘이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 및 조리품질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뚜껑부(10a)의 상면부에는 상기 상부관통부(13a,13b,13c)의 테두리를 따라 장착홈부(12)가 함몰 형성되어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90) 및 상기 압력전환수단(50)의 증기 배출을 안내하는 스팀캡부(60)가 착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팀캡부(60)는 일측에 압력추관통홀(63)이 형성되어 상기 압력추밸브(90a)의 외주를 감싸도록 장착되며, 내부에 형성된 안내공간(61)에 상기 압력전환수단(50)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90b)의 상단부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압력추밸브(90a)의 증기는 상기 압력추관통홀(63)의 내벽면에 충돌되며 감속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압력전환수단(50)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90b)의 증기는 상기 안내공간(61)에 돌설된 유속제어리브(미도시)에 충돌되며 감속되어 안내공간(61) 타단의 증기안내홀(6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온/고압 증기의 급속 배출로 인한 화상 등의 안전사고나 증기 배출 소음 등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미도시)에는 상기 뚜껑(10)의 개방단부(17)에 돌설된 걸림돌기(17a)를 잠금하는 보조잠금수단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록킹링(20)이 잠금 해제되되 상기 압력전환수단(50)이 개방된 비압력조리모드에서도 뚜껑(20)의 닫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리시 증기 압력으로 인한 뚜껑(10)의 개방 또는 들썩임 등이 방지되어 내솥(미도시)과 내솥커버의 밀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내솥의 증기가 누설 없이 압력전환수단(50) 및 스팀캡부(60)를 거쳐 안전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압력전환수단(50)은 하부실린더(53), 승강피스톤(52), 상부실린더(51), 그리고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실린더(53)는 중공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압력전환유로(53a)가 형성되되, 상기 하부관통부(13d)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실린더(53)의 하단부가 상기 연통홀(81a)에 밀착되도록 결합됨에 따라 상기 압력전환유로(53a)와 내솥 내부가 상호 연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실린더(53)의 하단부에는 디컷결합부(53c)가 형성되되, 상기 하부실린더(53)와 대향되는 연통홀(81a)은 상기 디컷결합부(53c)에 대응되는 디컷단면으로 가공된 디컷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디컷결합부(53c)의 외주가 상기 디컷홀의 내주에 형합 지지되어 증기 압력으로 인한 하부실린더(53)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컷결합부(53c)는 외주에 밀폐오링(59)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디컷홀에 삽입되며, 상기 디컷홀에 삽입된 디컷결합부(53c)의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실린더캡(58)의 외주측 나사산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캡(58)에는 상기 내솥 내부 증기가 유동되도록 복수의 증기배출홀(58b)이 관통 형성되되, 외주를 따라 상기 디컷홀의 하단 테두리에 걸림되는 체결단턱(58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증기배출홀(58b)은 스냅링 플라이어 등을 이용하여 실린더캡(58)이 용이하게 회전 체결될 수 있도록 실린더캡(58)의 면적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 대칭되어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실린더캡(58)이 상기 디컷결합부(53c)에 결합되면, 상기 체결단턱(58a) 및 상기 하부실린더(53)의 하단부 사이에 디컷홀의 테두리가 물림되어 상기 하부실린더(53)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밀폐오링(59)에 의해 하부실린더(53)의 하단부 및 디컷홀의 테두리 사이가 밀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솥 내부의 증기가 누설 없이 상기 압력전환유로(53a) 내부로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캡(58)은 상기 리드플레이트(80)의 연통홀(81a)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도 5와 같이, 상기 하부실린더(153)는 상기 컨트롤플레이트(170)의 장착홀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하부실린더(153)의 하단부에 구비된 고정체결부(153c)의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171a)의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고정체결부(153c)가 상기 장착홀(171a)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체결부(153c)의 상단 외주에는 상기 장착홀(171a)의 테두리에 지지되는 오링고정턱(153e)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오링고정턱(153e)의 하부에 밀폐오링(159a)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체결부(153c)가 상기 장착홀(171a)의 내주에 결합되면 상기 하부실린더(153) 및 장착홀(171a) 사이가 밀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결부(153c)의 하단에 실링부재(159b)가 배치되어, 상기 고정체결부(153c) 및 상기 연통홀(181a)의 테두리 사이가 밀폐되며 상기 하부실린더(153)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솥 내부의 증기가 누설 없이 압력전환유로를 향해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실린더(153) 및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90)이 하나의 부품에 취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실린더는 상기 장착홀(171a)에 끼움 고정되는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압력전환유로 및 상기 연통홀의 연통시 증기 누설 방지를 위해 밀폐오링 및 실링부재의 장착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피스톤(52)은 상기 하부실린더(53)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승강피스톤(52)의 승강에 따라 상기 압력전환유로(53a)가 개폐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피스톤(52)는 상기 압력전환유로(53a)를 초과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실린더(53)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안착판부(52a)와, 상기 안착판부(52a)의 외측단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슬라이드관부(52c) 및 하부슬라이드관부(52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안착판부(52a)의 하면부에는 상기 압력전환유로(53a)를 차폐하는 차폐돌기(52f)가 돌설되되, 상기 차폐돌기(52f)의 외곽을 따라 복수로 분할된 원호형의 전환배출홀(52e)이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승강피스톤(52)의 하강시 차폐돌기(52f)에 의해 상기 압력전환유로(53a)의 상단부가 밀폐되며, 상기 승강피스톤(52)의 상승시 차폐돌기(52f)가 압력전환유로(53a)의 상단부로부터 이격되어 내솥 내부 증기가 전환배출홀(52e)을 통과하여 상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실린더(51)는 중공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관통부(13a)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실린더(51) 및 상기 상부관통부(13) 사이는 관형 밀폐부재(57)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상부실린더(51)의 상단 외주에는 링형 밀폐홈부(51c)가 함몰 형성되어 관형 밀폐부재(57)의 내주측 실링돌기(57a)가 걸림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실린더(51)의 하단부에는 복수로 분할된 원호형의 컬럼체결부(51b)가 구비되며, 컬럼체결부(51b)의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컬럼체결부(51b)가 상기 전환배출홀(52e)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실린더(53)의 상단 외주(53d)측 나사산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상부실린더(51)가 상기 하부실린더(53)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컬럼체결부(51b)는 상기 승강피스톤(52)의 상승시 증기 유동 면적이 확보되도록 상기 전환배출홀(52e)의 단면적 미만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실린더(51)의 내주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비산방지판(51f)이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비산방지판(51f)은 상기 승강피스톤(52)의 상승시 전환배출홀(52e)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전환배출홀(52e)을 커버하는 크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압력전환장치(50)의 개방시 증기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면서도, 압력전환유로(53a) 내면에 응축된 수분이 증기와 함께 비산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비산된 수분으로 인한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으며, 점성의 밥물로 인한 뚜껑(10) 표면이나 스팀캡부(60) 내부의 오염이 최소화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고 청결한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하부슬라이드관부(52b)는 상기 하부실린더(53)의 상부 외경을 초과하는 내경으로 구비되되, 상기 상부슬라이드관부(52c)는 상기 상부실린더(51)의 하부 외경을 초과하는 내경으로 구비되어, 상기 승강피스톤(52)이 상기 하부실린더(53)의 외주 및 상기 상부실린더(51)의 외주를 감싸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슬라이드관부(52b,52c)가 각 실린더(51,53)의 외주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승강피스톤(52)이 정확한 방향으로 승강되고, 압력전환유로(53a)의 개폐상태가 안정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실린더(51)의 하부 외주 및 상기 하부실린더(53)의 상부 외주에는 링형 밀폐홈부(51d,53b)가 함몰 형성되어 밀폐부재(55,56)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55,56)의 외주에는 복수의 밀폐리브(55a,56a)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피스톤(52)의 승강시에도 상기 각 슬라이드관부(52b,52c) 및 각 실린더(51,53) 사이 공간이 정확하게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피스톤(52)의 상단부 및 하단부 내주가 상기 밀폐리브(55a,56a)의 단부에 의해 지지되므로 반경방향 유동이 최소화되어 상기 승강피스톤(52)이 더욱 정확한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으며, 상기 차폐돌기(52f) 및 압력전환유로(53a)가 동심 정렬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압력전환유로(53a)의 정확한 개폐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하부슬라이드관부(52b)의 외주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승강날개부(52d)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승강날개부(52d)가 가압수단에 의해 하방 가압되어 상기 압력전환유로(53a)의 폐쇄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압력전환유로(53a)가 기설정된 이상압력 이상에서 강제 개방되도록 상기 이상압력에 대응되는 탄성계수를 갖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54)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실린더(51)의 외주에는 스프링지지돌기(51a)가 돌설되되, 상기 스프링지지돌기(51a)의 하단부에는 탄성부재(54)의 직경을 초과하는 크기의 와셔부재(51e)가 장착된다. 물론, 상기 와셔부재(51e)는 상기 스프링지지돌기(51a)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스프링지지돌기(51a)가 상기 탄성부재(54)의 직경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날개부(52d) 및 상기 와셔부재(51e) 사이에 탄성부재(54)가 개재됨에 따라 상기 차폐돌기(52f) 및 상기 압력전환유로(53a)의 밀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물론, 도 4와 같이,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이상압력에 대응되는 중량으로 구비되어 상기 승강피스톤(152)의 외주에 결합되는 압력하중추(154)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압력하중추(154)는 링형상으로 구비되어 승강날개부(152d)의 상면부에 안착되거나 상기 승강날개부(152d)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상압력은 압력조리모드에서 압력대응 작동수단(90)에 의해 제어되는 내솥 내부 압력을 초과하는 크기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압력전환유로(53a)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90)에 의해 내솥 내부 압력이 제어되면, 상기 가압수단(54,154)을 통한 하측 방향 가압력에 의해 상기 승강피스톤(52)의 하강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압력전환유로(53a)의 폐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90)의 제어오류나 고장 등으로 내솥 내부 압력이 과다 증가되면, 상기 차폐돌기(52f)가 증가된 증기압력에 의해 상승되어 압력전환유로(53a)가 강제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솥 내부의 과도한 압력 상승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전환유로(53a)는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협소화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차폐돌기(52f)에 대한 증기의 압력면적이 감소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피스톤(52)의 하강 상태 유지를 위한 가압수단(54)의 압력 요구량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돌기(52f)는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협소화도록 구비되되, 상기 압력전환유로(53a)의 상단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관된 밀폐접촉부(53f)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피스톤(52)의 하강시 상기 차폐돌기(52f)의 경사진 하면부 및 상기 밀폐접촉부(53f)의 경사진 내면부가 상호 면접촉되어 더욱 정확하게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력전환수단(50)은 상기 록킹링(20)의 내주에 인접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록킹링(20)의 상면부에는 상기 압력전환수단(50)의 외주에 돌설된 승강날개부(52d)와 대향되는 부분을 따라 감금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리프트돌기부(24)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1 내지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압력전환수단(50)은 상기 승강피스톤(52)의 승강날개부(52d)가 상기 록킹링(20)의 상면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돌기부(24)는 상기 록킹링(20)의 잠금 및 잠금 해제 회전시 상기 승강날개부(52d)와 대면되는 상기 록킹링(20)의 상면부 내주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되, 잠금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리프트돌기부(24)는 상기 록킹링(20)의 잠금 회전 상태에서 상기 승강날개부(52d)의 하면부와 대면되는 부분의 돌출높이가 낮고, 상기 록킹링(20)의 잠금 해제 회전 상태에서 상기 승강날개부(52d)의 하면부와 대면되는 부분의 돌출높이가 높게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록킹링(20)의 잠금 회전시 상기 승강날개부(52d)와 대향되는 리프트돌기부(24)의 최저단(24a) 높이는 상기 차폐돌기(52f)가 하강되어 압력전환유로(53a)가 폐쇄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링(20)의 잠금 해제 회전시 상기 승강날개부(52d)와 대향되는 리프트돌기부(24)의 최고단(24b) 높이는 상기 차폐돌기(52f) 및 압력전환유로(53a) 사이에 충분한 증기 유동 면적이 형성되도록 설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록킹링(2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압력전환수단(50)의 개폐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즉, 도 2a 및 도 3a와 같이, 상기 록킹링(20)이 잠금된 상태에서 잠금 해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승강날개부(52d)가 상기 리프트돌기부(24)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상승된다.
이때, 상기 승강날개부(52d)의 하단 테두리(52g)는 상기 록킹링(20)의 회전시 접촉된 리프트돌기부(24)가 부드럽게 슬라이드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승된 승강날개부(52d)가 리프트돌기부(24)의 최고단(24b)에 의해 지지되면 압력전환유로(53a)가 완전하게 개방되고, 개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솥 내부 증기는 증기유동홀, 증기배출홀(58b), 연통홀(81a), 압력전환유로(53a), 전환배출홀(52e), 상부실린더(51)의 중공, 스팀캡부(6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솥 내부의 증기가 지속적으로 배출되며 내솥 내부 압력이 증가되지 않는 비압력조리모드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b 및 도 3b와 같이, 상기 록킹링(20)이 잠금 해제된 상태에서 잠금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승강날개부(52d)가 상기 리프트돌기부(24)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하강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날개부(52d)와 리프트돌기부(24)의 최저단(24a)이 대향 배치되면, 상기 승강날개부(52d)에 대한 상측 방향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승강피스톤(52)이 하강되고 압력전환유로(53a)가 완전하게 폐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수단(54)에 의해 승강피스톤(52)의 하강 상태가 유지되므로 상기 내솥 내부 증기는 증기유동홀을 거쳐 압력대응 작동수단(90)으로 유동되어 내솥 내부 압력 높낮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출되며 내솥 내부의 압력이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압력전환수단(50)이 폐쇄된 상태에서 내솥 내부 압력이 증가되어 압력조리모드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솥 내부 압력이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높아지면 압력대응 작동수단(90)이 개방되어 내솥 내부 증기가 증기유동홀, 압력대응 작동수단(90), 스팀캡부(6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압력전환수단(50)의 개방 및 폐쇄에 따라 압력이 불필요한 요리를 위한 비압력조리모드와, 압력취사 등 고압이 요구되는 요리를 위한 압력조리모드가 손쉽게 전환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조리법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으며, 압력밥 특유의 쫀득한 식감과 비압력밥 특유의 부드러운 식감 등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취사가 가능하므로 제품의 호환성 및 취사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비압력조리모드에서는 압력안전장치가 구동되지 않아 뚜껑(10)의 자유로운 개폐가 가능하므로, 조리 중 추가 재료의 투입이나 조리상태 점검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와 함께, 핸들부(11)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록링킹(20)이 회전되며 압력전환수단(50)의 개폐상태가 전환되므로 비압력조리모드 및 압력조리모드가 손쉽게 선택 사용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 록킹링(20)에 돌설된 간단한 돌기 구조를 통해 핸들부와 압력전환수단(50)이 연동될 수 있으므로 부품 수의 감소 및 부품 간 연결구조의 간소화를 통해 제품의 생산성 및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11)를 잠금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압력전환수단(50) 내부의 넓은 유로를 통해 내솥 내부의 증기가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내솥의 잔류압 제거를 위해 압력추밸브(90a)를 강제 개방하는 텀블러핀 등의 구조가 생략될 수 있으며, 비압력조리모드시에는 조리 중 압력추 밸브(90a) 특유의 증기 배출 소음이 제거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정숙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제2실시예에서는 승강피스톤(252)의 형상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로 도시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압력전환수단(250)은 하부실린더(253), 승강피스톤(252), 그리고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피스톤(252)은 상기 상부관통부(13a)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하부실린더(253)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하부슬라이드관부(252b)의 하부 내주에는 탭조립돌기(252m)가 돌설되되, 상기 하부실린더(253)의 상단 외주에는 탭결합돌기(253k) 및 돌기수용홈(253m)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탭조립돌기(252m)의 내주 및 상기 탭결합돌기(253k)의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수용홈(253m)은 상기 탭결합돌기(253k)의 하부를 따라 상기 승강피스톤(252)의 승강간격에 대응되는 상하폭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탭조립돌기(252m)는 상기 탭결합돌기(253k)에 회전 체결되며 하강되고, 상기 탭결합돌기(253k)의 나사산을 통과하여 상기 돌기수용홈(253m)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탭조립돌기(252m)는 상기 탭결합돌기(253k)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돌기수용홈(253m)의 내부에 대응되는 범위로 상하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피스톤(252)이 상기 하부실린더(253)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압력전환장치(250)의 개방시 증기 배출 흐름으로 인한 승강피스톤(252) 및 하부실린더(253)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슬라이드관부(252c)는 상기 상부관통부(13a)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슬라이드관부(252c)는 상기 차폐돌기(252f)가 상기 압력전환유로(253a) 상단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관통부(13a)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압수단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탄성부재(254) 또는 압력하중추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수단이 탄성부재(254)로 구비된 경우에 상기 탄성부재(254)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관통부(13a)의 하부측 테두리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슬라이드관부(252c) 및 상기 상부관통부(13a) 사이는 관형 밀폐부재(57)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상부슬라이드관부(252c)의 상단 외주에는 링형 밀폐홈부(252k)가 함몰 형성되어 관형 밀폐부재(57)의 내주측 실링돌기(57a)가 걸림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홈부(252k)는 상기 승강피스톤(252)의 승강간격에 대응되도록 상하방향으로 확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피스톤(252)의 승강시에도 상기 실링돌기 및 상기 밀폐홈부(252k)의 밀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피스톤(252)이 상승되면, 내솥 내부 증기는 증기유동홀, 증기배출홀(58b), 연통홀(81a), 압력전환유로(253a), 전환배출홀(252e), 상부슬라이드관부(252c), 스팀캡부(60)를 거쳐 뚜껑(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슬라이드관부(252c)의 내주에는 상기 전환배출홀(252e)의 상부를 커버하는 비산방지단턱부(252h)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별도의 상부실린더(도 1의 51참조) 없이도 내솥 내부가 뚜껑(10) 외부로 연통 가능하되, 상기 승강피스톤(252)의 승강시 상부실린더 및 상부슬라이드관부(252c) 사이의 밀폐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밀폐부재(도 1의 55 참조)가 생략되므로 부품 수가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성 및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200: 전기조리기 10: 뚜껑
20: 록킹링 30: 핸들베이스부
40: 리프트레버부 50,250: 압력전환수단
60: 스팀캡부 70,170: 컨트롤플레이트
80,180: 리드플레이트 90: 압력대응 작동수단

Claims (18)

  1. 상단에 플랜지부가 구비된 내솥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하는 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뚜껑;
    상기 개폐하는 수단과 연동하여 상기 플랜지부에 선택적으로 물림되되 상면부에 회전방향을 표지하는 표식자가 구비된 록킹링;
    상기 뚜껑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개폐하는 수단과 연동하여 상기 내솥 내부 증기의 배출을 위한 개폐상태가 전환 및 유지되는 압력전환수단;
    상기 록킹링의 잠금 및 잠금해제 회전시 상기 표식자를 각각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 중 어느 하나의 감지신호 수신시 상기 본체의 전원공급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내솥의 가열을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전원공급 활성화시 조작패널을 통해 입력된 조리명령에 따라 상기 가열수단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록킹링의 잠금 회전에 대응되는 감지신호 수신시 상기 입력된 조리명령에 따라 기설정된 압력조리모드의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내솥의 조리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록킹링의 잠금해제 회전에 대응되는 감지신호 수신시 상기 입력된 조리명령에 따라 기설정된 비압력조리모드의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내솥의 조리 온도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전환수단은 상기 내솥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부재와, 제1방향의 압력에 의해 상기 연통부재의 개방 및 폐쇄상태 중 하나를 유지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개폐하는 수단의 회전시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의 압력을 형성하는 링크수단에 의해 개폐상태가 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록킹링의 잠금해제시 상기 뚜껑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잠금하는 보조잠금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전환수단이 폐쇄된 압력조리모드에서 상기 내솥 내부의 압력 높낮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압력대응 작동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상면부에는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 및 상기 압력전환수단의 증기배출을 안내하는 스팀캡부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은 전기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내솥 내부의 증기 압력에 따라 승강되는 무게추가 구비된 압력추밸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전환수단은 상기 록킹링의 내주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록킹링의 상면부에는 상기 압력전환수단의 외주에 돌설된 승강날개부와 대향되는 부분을 따라 잠금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리프트돌기부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전환수단은
    상기 뚜껑의 하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내부에 상기 내솥 내부와 연통되는 압력전환유로가 형성된 하부실린더와,
    상기 리프트돌기부의 경사면을 따라 승강되어 상기 압력전환유로의 개폐 상태가 전환되도록 상기 승강날개부가 외주에 돌설된 승강피스톤과,
    상기 압력전환유로의 개폐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하부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날개부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날개부의 테두리는 상기 리프트돌기부의 접촉시 슬라이드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압력전환유로가 기설정된 이상압력 이상에서 강제 개방되도록 상기 승강피스톤의 외주에 장착되되, 상기 이상압력에 대응되는 탄성계수를 갖는 탄성부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압력전환유로가 기설정된 이상압력 이상에서 강제 개방되도록 상기 이상압력에 대응되는 중량으로 상기 승강피스톤의 외주에 구비된 압력하중추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피스톤은
    하면부에 상기 압력전환유로를 차폐하는 차폐돌기가 돌설되되 상기 차폐돌기의 외곽을 따라 전환배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실린더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안착판부와,
    상기 하부실린더의 외주를 감싸도록 상기 안착판부의 외측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슬라이드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돌기는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협소화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압력전환유로의 상단에는 상기 차폐돌기가 접촉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관된 밀폐접촉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피스톤은 상기 안착판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상기 뚜껑의 상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상부슬라이드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슬라이드관부의 내주에는 상기 전환배출홀의 상부를 커버하는 비산방지단턱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전환수단은 상기 뚜껑의 상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상부실린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실린더의 하단부에는 상기 전환배출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실린더에 체결되도록 원호형으로 분할되어 하향 연장된 컬럼체결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실린더의 내주에는 상기 전환배출홀과 대향 배치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설된 비산방지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피스톤은 상기 상부실린더의 외주를 감싸도록 상기 안착판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슬라이드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실린더의 외주에는 상기 상부슬라이드관부의 내주를 밀폐하는 밀폐부재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KR1020170087328A 2017-07-10 2017-07-10 전기조리기 KR101985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328A KR101985479B1 (ko) 2017-07-10 2017-07-10 전기조리기
US16/012,853 US10736457B2 (en) 2017-07-10 2018-06-20 Electric cooker
JP2018121099A JP7150495B2 (ja) 2017-07-10 2018-06-26 電気炊飯器
CN201810687398.9A CN109222617B (zh) 2017-07-10 2018-06-28 电炊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328A KR101985479B1 (ko) 2017-07-10 2017-07-10 전기조리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261A Division KR102226478B1 (ko) 2018-08-17 2018-08-17 전기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388A KR20190006388A (ko) 2019-01-18
KR101985479B1 true KR101985479B1 (ko) 2019-09-03

Family

ID=6490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328A KR101985479B1 (ko) 2017-07-10 2017-07-10 전기조리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36457B2 (ko)
JP (1) JP7150495B2 (ko)
KR (1) KR101985479B1 (ko)
CN (1) CN1092226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64480S1 (en) * 2016-07-07 2019-10-22 Calor Water tank for hair straightening apparatus
DE202018006413U1 (de) 2017-08-09 2020-04-23 Sharkninja Operating Llc Kochgerät und Komponenten davon
EP3669711B1 (en) * 2017-09-29 2022-01-05 Foshan Shunde Midea Electrical Heating Appliances Manufacturing Co., Limited Lid body and cooker
EP3931493A1 (en) 2019-02-25 2022-01-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system with guard
FR3097732B1 (fr) * 2019-06-27 2022-12-16 Seb Sa Appareil de cuisson pour cuire des aliments avec ou sans pression.
US11647861B2 (en) 2020-03-30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KR102238461B1 (ko) * 2020-04-01 2021-04-09 (주)쿠첸 조리 장치용 뚜껑
JP7464836B2 (ja) 2020-06-19 2024-04-10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加圧調理器
KR102474672B1 (ko) * 2021-06-14 2022-12-06 (주)쿠첸 조리 장치
KR102418398B1 (ko) * 2021-06-14 2022-07-08 (주)쿠첸 조리 장치
KR102440946B1 (ko) * 2021-06-14 2022-09-07 (주)쿠첸 조리 장치
US20240032721A1 (en) * 2022-07-28 2024-02-01 Instant Brands Holdings Inc. Lid of pressure cooker and pressure cooker using the l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013Y1 (ko) * 2007-06-28 2009-06-23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잠금 상태 감지장치
JP2012157757A (ja) * 2012-05-29 2012-08-23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炊飯器
KR101731601B1 (ko) * 2015-11-06 2017-05-02 주식회사 피엔풍년 압력조절밸브 조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0308U (ja) 1995-12-07 1998-07-14 バン スン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電気圧力調理器の圧力蓋を自動的に固定する装置
KR100272856B1 (ko) 1998-07-25 2000-11-15 구자신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 배출 제어 방법
KR20040077305A (ko) * 2003-02-28 2004-09-04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
KR20060016070A (ko) * 2005-12-12 2006-02-21 박희운 용기 보냉장치
CN100428906C (zh) * 2006-09-19 2008-10-29 佛山市富士宝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电压力锅的压力转换装置
CN102307500B (zh) 2009-02-08 2014-02-12 气高电机株式会社 电饭锅
CN101554288B (zh) 2009-05-08 2012-02-01 美的集团有限公司 压力电饭煲的上盖
JP5230544B2 (ja) 2009-06-26 2013-07-10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201855095U (zh) * 2009-12-04 2011-06-08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多段调压的电压力锅
JP5861026B2 (ja) 2011-03-15 2016-02-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炊飯器
CN202173242U (zh) 2011-07-21 2012-03-28 M·托马木图 压力锅锅盖
JP5579201B2 (ja) 2012-01-10 2014-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203369757U (zh) * 2013-06-28 2014-01-01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电压力锅
US10016085B2 (en) * 2015-05-27 2018-07-10 Capbran Holdings, Llc Pressure cooker
KR102369153B1 (ko) * 2015-06-24 2022-03-03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 조리기
JP6129275B1 (ja) 2015-11-02 2017-05-17 三菱電機株式会社 調理器
WO2017077571A1 (ja) 2015-11-02 2017-05-11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及び蓋
CN206102385U (zh) * 2016-06-08 2017-04-1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锅盖组件及压力锅
CN106606293B (zh) * 2017-02-16 2019-01-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压力锅排气装置及具有其的压力锅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013Y1 (ko) * 2007-06-28 2009-06-23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잠금 상태 감지장치
JP2012157757A (ja) * 2012-05-29 2012-08-23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炊飯器
KR101731601B1 (ko) * 2015-11-06 2017-05-02 주식회사 피엔풍년 압력조절밸브 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50495B2 (ja) 2022-10-11
US20190008310A1 (en) 2019-01-10
CN109222617B (zh) 2020-11-27
US10736457B2 (en) 2020-08-11
KR20190006388A (ko) 2019-01-18
CN109222617A (zh) 2019-01-18
JP2019013743A (ja)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479B1 (ko) 전기조리기
KR101914726B1 (ko) 전기조리기
US10863850B2 (en) Electric cooker
US10827870B2 (en) Electric cooker
JP6004069B2 (ja) 炊飯器
KR102226478B1 (ko) 전기조리기
RU2693290C1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скороварка
KR101618846B1 (ko) 전기밥솥
KR20190051126A (ko)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
KR100753651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뚜껑 안전 개폐장치
KR20190028614A (ko) 전기 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42824B1 (ko) 전기조리기
KR102361959B1 (ko) 전기 조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18398B1 (ko) 조리 장치
KR101165368B1 (ko) 전기 압력 조리기
KR102418397B1 (ko) 조리 장치
KR102357794B1 (ko)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
JPH06121748A (ja) 電気湯沸器
ITMI20010842A1 (it) Dispositivo automatico antiapertura acccidentale di una pentola a pressione
KR19990006892A (ko) 취반기
JP2005253688A (ja) 電気ポ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