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614A - 전기 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614A
KR20190028614A KR1020170115410A KR20170115410A KR20190028614A KR 20190028614 A KR20190028614 A KR 20190028614A KR 1020170115410 A KR1020170115410 A KR 1020170115410A KR 20170115410 A KR20170115410 A KR 20170115410A KR 20190028614 A KR20190028614 A KR 20190028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mode
mode
menu
cookin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1957B1 (ko
Inventor
방호상
신영배
배호준
김덕천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5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957B1/ko
Priority to US16/120,750 priority patent/US11202528B2/en
Priority to RU2018131599A priority patent/RU2693290C1/ru
Priority to JP2018165707A priority patent/JP7232598B2/ja
Priority to TW107131098A priority patent/TWI699182B/zh
Priority to CN202211213146.5A priority patent/CN115381279B/zh
Priority to CN201811035567.7A priority patent/CN109464022A/zh
Publication of KR20190028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614A/ko
Priority to US17/111,624 priority patent/US1136390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모드 및 무압 모드 간의 변경이 가능하며, 변경된 모드에 대응하는 메뉴가 조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는 내솥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지닌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과, 상기 내솥 내부와 상기 뚜껑 외부 사이를 관통 및 차단하는 복수의 배출 경로들을 개폐하여 고압 모드 및 무압 모드를 선택하는 압력 변환부와, 상기 압력 변환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무압 모드 또는 고압 모드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상기 무압 모드와 고압 모드를 적어도 포함하는 압력 모드 중에서,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압력 모드를 판단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기 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ELECTRIC COOKER AND ITS TO METHOD}
본 발명은 전기 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압 모드 및 무압 모드 간의 변경이 가능하며, 변경된 모드에 대응하는 메뉴가 조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조리기는 내솥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재료가 담긴 상태에서 내솥 내부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전기 조리기의 기본적인 구조는, 본체와, 본체 안에 수용되어 조리물이 투입되는 내솥,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본체는 내솥을 가열할 수 있도록 가열수단을 구비하고, 뚜껑은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뚜껑에는 증기 배출 유로를 개폐하여 내솥 내의 증기를 조절하는 증기 배출부(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와, 내솥 내부 압력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압력추 밸브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 조리기는 압력추의 무게압과 증기압의 상호 작용을 통해 내솥 내부를 하나의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하므로 사용자의 취향이나 조리물의 종류에 적합한 조리방식을 적용/선택할 수 없어 조리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압력이 불필요한 조리물의 조리(예를 들면, 채소 찜요리 등)의 경우, 고압으로 인해 식감이 물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밥알이 찰지고 쫀득한 식감의 압력밥을 좋아하지 않고, 부드러운 식감의 무압력밥을 좋아하는 경우 별도의 무압력 전기밥솥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일반 냄비를 이용한 별도의 조리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고압 모드(또는 조리) 및 무압 모드 간의 변경 선택이 가능하며, 선택된 모드와,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메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메뉴의 조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전기 조리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들을 기준으로 하여 고압 모드 및 무압 모드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판단된 모드에 대응하는 표시 및 안내를 수행할 수 있는 전기 조리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는 내솥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지닌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과, 상기 내솥 내부와 상기 뚜껑 외부 사이를 관통 및 차단하는 복수의 배출 경로들을 개폐하여 고압 모드 및 무압 모드를 선택하는 압력 변환부와, 상기 압력 변환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무압 모드 또는 고압 모드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상기 무압 모드와 고압 모드를 적어도 포함하는 압력 모드 중에서,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압력 모드를 판단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기 조리기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압력 모드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 조리기는 기저장된 메뉴들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메뉴들 중에서 메뉴 선택을 위한 메뉴 선택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저장된 메뉴들 중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조리 압력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선택된 메뉴가 상기 판단된 압력 모드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리 알고리즘에 따라 조리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압력 모드의 변경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력 모드의 변경이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를 취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인 고압 모드와 무압 모드를 포함하는 압력 모드에 따른 조리를 수행하는 전기 조리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기 조리기의 압력 모드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압력 모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압 모드(또는 조리) 및 무압 모드 간의 변경 선택이 가능하며, 선택된 모드와,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메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고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메뉴의 조리가 수행되도록 하여 압력이 불필요한 요리를 위한 무압 모드와, 압력취사 등 고압이 요구되는 요리를 위한 고압모드가 손쉽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조리법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고압력밥 특유의 쫀득한 식감과 무압력밥 특유의 부드러운 식감 등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조리가 가능하므로 제품의 호환성 및 조리 품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들을 기준으로 하여 고압 모드 및 무압 모드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판단된 모드에 대응하는 표시 및 안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조리법(고압/무압)에 따른 조리를 제공하며 압력 모드나 메뉴의 잘못된 선택으로 인한 조리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조리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조리기에서 압력전환수단의 개방 및 폐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압력전환수단의 개방 및 폐쇄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기 조리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리 과정에서 압력 모드 변경이 있는 경우의 제어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도면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기재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조리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전기 조리기(100)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0)와, 사용자로부터 메뉴 선택, 인분 또는 용량(조리물의 양), 조리 시작 입력 등을 입력 받는 입력부(112)와, 조리 가능한 메뉴나 현재 진행 중인 공정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14)와, 외력에 의해 고압 모드 및 무압 모드 간의 변경을 수행하여 고압 모드 또는 무압 모드를 선택하는 압력 변환부(도 2 내지 도 4b에 기재됨)와, 고압 모드를 감지하여 제 1 감지 신호를 인가하는 제 1 자기 센서(18a)와, 무압 모드를 감지하여 제 2 감지 신호를 인가하는 제 2 자기 센서(18b)와, 제어부(12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증기 배출부(90b)와, 본체나 뚜껑에 장착되어 내솥의 상측, 측면, 하측 등에서 열을 가하는 가열부(19c)와, 내솥의 상부, 측면 또는 저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116),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압력 변환부에 의한 현재 압력 모드에 대응하는 조리를, 즉 고압 모드에 대응하는 고압 메뉴의 조리와 무압 모드에 대응하는 무압 메뉴의 조리를 수행하는 제어부(12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부(110)와, 증기 배출부(90b), 가열부(19c) 및 온도 감지부(116)는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정도의 기술에 해당되므로, 그 설명이 생략된다.
자세하게는, 입력부(112)는 사용자로부터 메뉴 선택 입력, 인분 또는 용량(조리물의 양), 조리 시작 입력을 획득하여 제어부(120)에 인가한다. 또한, 입력부(112)는 고압 모드 조리 시작 또는 무압 모드 조리 시작과 같이 압력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입력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표시부(114)는 조리 가능한 메뉴나 현재 진행 중인 공정을 표시하는 것 이외에도, 압력 변환부에 의한 현재 압력 모드(고압 모드 및 무압 모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14)는 현재 압력 모드를 독립적으로 표시하는 하부 표시부를 핸들부(도 2의 11)나 그 근처의 뚜껑의 상면에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14)는 고압 모드 및 무압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메뉴를 각각 표시하여, 사용자가 고압 모드 및 무압 모드에 대응하는 메뉴를 입력부(112)를 통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압력 변환부는 제어부(12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핸들부(도 2의 11)의 동작에 의해 적어도 고압 모드 및 무압 모드 간의 변경(또는 고압 모드 및 무압 모드 중의 선택)을 수행하는 장치에 해당되며, 압력 변환부의 구성 및 동작은 하기의 도 2 내지 4b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또한, 제 1 자기 센서(18a) 및 제 2 자기 센서(18b)는 리드 스위치나 MR 센서(magnetoresistive sens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제 1 자기 센서(18a) 및 제 2 자기 센서(18b) 중의 하나의 센서만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현재의 압력 모드 및 압력 변환부에 의해 변경된 현재 압력 모드를 제 1 및 제 2 자기 센서(18a), (18b)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의 제 1 또는 제 2 감지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거나 판단하여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기저장된 메뉴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분 메뉴들에 대한 조리 압력 정보를 저장한다. 이 조리 압력 정보는 고압 모드로 조리되어야 하는 메뉴(고압 메뉴)와 무압 모드로 조리되어야 하는 메뉴(무압 메뉴)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제어부(120)의 세부적인 제어 방법에 대하여 기재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조리기에서 압력전환수단의 개방 및 폐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조리기에서 압력전환수단의 개방 및 폐쇄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조리기(10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지닌 본체(미도시), 본체의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내솥과,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10), 압력대응 작동수단(90), 그리고 압력전환수단(50)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3a를 참조하면, 뚜껑(10)은 본체(미도시)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내부뚜껑부(10b)와, 내부뚜껑부(10b)를 커버하되 상면부 일측에 핸들부(11)가 구비된 외부뚜껑부(10a)를 구비된다. 이하에서, 일측은 상기 뚜껑(10)의 개방단부(17)를 향하는 방향으로, 타측은 뚜껑(10)의 힌지연결부(16)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핸들부(11)는 내솥의 잠금을 위한 내솥잠금수단과 연동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내솥잠금수단은 내부뚜껑부(10b)의 하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각도에 따라 플랜지부에 선택적으로 잠금되는 록킹링(20)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록킹링(20)의 내주에는 각 플랜지부에 대응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복수의 잠금돌기(21)가 돌설된다.
여기서, 핸들부(11)의 하단부에는 핸들베이스부(30)가 연결되며, 핸들베이스부(30)는 지지부(30c), 그리고 지지부(30c)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돌설된 록킹링연동부(30a) 및 레버연동부(30b)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부(30c)는 상면부에 핸들부(11)의 하단부가 키결합되되, 하면부에 형성된 회전지지홈부(34)에 내부뚜껑부(10b)의 지지돌기(14)가 삽입되어 회전 지지된다. 그리고, 록킹링연동부(30a)는 록킹링(20)의 회전궤적과 중첩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록킹링(20)과 중첩 배치된 일측에 연결홀(31)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연결홀(31)에는 록킹링(20)의 상면부에 돌설된 연결돌기(23)가 내부뚜껑부(10b)의 원호형 장공(15)을 관통하여 삽입 및 결합된다.
한편, 내부뚜껑부(10b)의 하면부에는 리드플레이트(80)가 결합되며, 내솥(미도시)의 상단 개구를 밀폐하는 밀폐패킹(82)이 리드플레이트(80)의 하면부에 구비된다. 상기 리드플레이트(80)의 하면부에는 내솥커버(미도시)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내솥(미도시)의 상단 개구를 밀폐하는 밀폐패킹(82)이 상기 내솥커버(미도시)의 테두리에 구비된다. 이때, 내솥커버(미도시)의 타측에는 내솥 내부의 증기가 배출되도록 복수의 증기유동홀이 관통 형성되며, 리드플레이트(80)에는 증기유동홀과 대면되는 부분에 복수의 연통홀(81a,81b,81c)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리드플레이트(80) 및 내부뚜껑부(10b) 사이에는 각 연통홀(81a,81b,81c)을 일체로 커버하되, 각 연통홀(81a,81b,81c)에 대응되는 장착홀(71a,71b,71c)이 관통 형성된 컨트롤플레이트(70)가 구비된다. 한편, 외부뚜껑부(10a)의 타측에는 각 장착홀(71a,71b,71c)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상부관통부(13a,13b,13c)가 형성되며, 내부뚜껑부(10b)에는 각 상부관통부(13a,13b,13c)의 형성영역을 포괄하는 크기의 하부관통부(13d)가 형성된다. 이때, 압력전환수단(50)은 상부관통부(13a,13b,13c) 중 하나(13a)와 하부관통부(13d)를 통해 뚜껑(10)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내솥 내부의 증기 배출을 위한 선택적인 개폐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압력대응 작동수단(90)은 압력전환수단(50)이 배치되지 않은 나머지 상부관통부(13b,13c) 및 하부관통부(13d)를 통해 뚜껑(10)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제어부(1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증기 배출부(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밸브)(90b)와, 내솥 내부의 증기 압력에 따라 승강되는 무게추가 구비된 압력추밸브(90a)를 포함한다.
그리고, 외부뚜껑부(10a)의 상면부에는 상부관통부(13a,13b,13c)의 테두리를 따라 장착홈부(12)가 함몰 형성되어 압력대응 작동수단(90) 및 압력전환수단(50)의 증기 배출을 안내하는 스팀캡부(60)가 착탈될 수 있다. 여기서, 스팀캡부(60)는 타측에 압력추관통홀(63)이 형성되어 압력추밸브(90a)의 외주를 감싸도록 장착되며, 내부에 형성된 안내공간(61)에 압력전환수단(50) 및 증기 배출부(90b)의 상단부가 배치된다. 이때, 압력전환수단(50) 및 증기 배출부(90b)의 증기는 안내공간(61)에 돌설된 유속제어리브(미도시)에 충돌되며 감속되어 안내공간(61) 타단의 증기안내홀(6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미도시)에는 뚜껑(10)의 개방단부(17)에 돌설된 걸림돌기(17a)를 잠금하는 보조잠금수단이 구비되며, 록킹링(20)이 잠금 해제되되 압력전환수단(50)이 개방된 무압모드에서도 뚜껑(20)의 닫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압력전환수단(50)은 하부실린더(53), 승강피스톤(52), 상부실린더(51), 그리고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부실린더(53)는 중공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압력전환유로(53a)가 형성되되, 하부관통부(13d)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하부실린더(53)의 하단부에는 디컷결합부(53c)가 형성되되, 하부실린더(53)와 대향되는 연통홀(81a)은 디컷결합부(53c)에 대응되도록 디컷단면으로 가공된 디컷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디컷결합부(53c)는 외주에 밀폐오링(59)이 장착된 상태에서 디컷홀에 삽입되며, 디컷홀에 삽입된 디컷결합부(53c)의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실린더캡(58)의 외주측 나사산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캡(58)에는 내솥 내부 증기가 유동되도록 복수의 증기배출홀(58b)이 관통 형성되되, 외주를 따라 디컷홀의 하단 테두리에 걸림되는 체결단턱(58a)이 형성된다. 이때, 실린더캡(58)이 디컷결합부(53c)에 결합되면, 체결단턱(58a) 및 하부실린더(53)의 하단부 사이에 디컷홀의 테두리가 물림되어 하부실린더(53)가 고정될 수 있으며, 밀폐오링(59)에 의해 하부실린더(53)의 하단부 및 디컷홀의 테두리 사이가 밀폐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피스톤(52)은 하부실린더(53)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승강피스톤(52)의 승강에 따라 압력전환유로(53a)가 개폐된다. 여기서, 승강피스톤(52)는 압력전환유로(53a)를 초과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하부실린더(53)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안착판부(52a)와, 안착판부(52a)의 외측단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슬라이드관부(52c) 및 하부슬라이드관부(52b)를 포함한다. 이때, 안착판부(52a)의 하면부에는 압력전환유로(53a)를 차폐하는 차폐돌기(52f)가 돌설되되, 차폐돌기(52f)의 외곽을 따라 복수로 분할된 원호형의 전환배출홀(52e)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부실린더(51)는 중공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상부관통부(13a)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부실린더(51) 및 상부관통부(13) 사이는 관형 밀폐부재(57)에 의해 밀폐되며, 상부실린더(51)의 상단 외주에는 링형 밀폐홈부(51c)가 함몰 형성되어 관형 밀폐부재(57)의 내주측 실링돌기(57a)가 걸림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실린더(51)의 하단부에는 복수로 분할된 원호형의 컬럼체결부(51b)가 구비되며, 컬럼체결부(51b)의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컬럼체결부(51b)가 전환배출홀(52e)을 관통하여 하부실린더(53)의 상단 외주(53d)측 나사산에 체결됨에 따라 상부실린더(51)가 하부실린더(53)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부실린더(51)의 내주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비산방지판(51f)이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슬라이드관부(52b)는 하부실린더(53)의 상부 외경을 초과하는 내경으로 구비되되, 상부슬라이드관부(52c)는 상부실린더(51)의 하부 외경을 초과하는 내경으로 구비되어, 승강피스톤(52)이 하부실린더(53)의 외주 및 상부실린더(51)의 외주를 감싸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실린더(51)의 하부 외주 및 하부실린더(53)의 상부외주에는 링형 밀폐홈부(51d,53b)가 함몰 형성되어 밀폐부재(55,56)가 장착된다. 이때, 밀폐부재(55,56)의 외주에는 복수의 밀폐리브(55a,56a)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슬라이드관부(52b)의 외주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승강날개부(52d)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승강날개부(52d)가 가압수단에 의해 하방 가압되어 압력전환유로(53a)의 폐쇄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수단은 압력전환유로(53a)가 기설정된 이상압력 이상에서 강제 개방되도록 이상압력에 대응되는 탄성계수를 갖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54)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부실린더(51)의 외주에는 스프링지지돌기(51a)가 돌설되되, 스프링지지돌기(51a)의 하단부에는 탄성부재(54)의 직경을 초과하는 크기의 와셔부재(51e)가 장착된다. 그리고, 승강날개부(52d) 및 와셔부재(51e) 사이에 탄성부재(54)가 개재됨에 따라 차폐돌기(52f) 및 압력전환유로(53a)의 밀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압력전환수단(50) 및 핸들베이스부(30) 사이에는 레버연동부(30b)의 회전에 대응하여 일측 및 타측으로 직선 이동되는 리프트레버부(40)가 구비된다. 상세히, 리프트레버부(40)는 레버연동부(30b)의 회전궤적을 커버하는 면적의 판형으로 구비된 연결몸체부(40c)와 연결몸체부(40c)의 타단부로부터 압력전환수단(50)의 외주 양측에 접하도록 연장된 제1레버몸체부(40a) 및 제2레버몸체부(40b)를 포함한다. 이때, 제1레버몸체부(40a) 및 제2레버몸체부(40b)는 직선 이동시 승강날개부(52d)와 하면부와 중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리프트레버부(40)의 직선 이동 간격 이상으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레버몸체부(40a)에는 연결몸체부(40c)와 인접한 일단부에 가이드장공(44a)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나사부재(18c)가 가이드장공(44a)을 통과하여 내부뚜껑부(10b)에 체결되면, 나사부재(18c)의 헤드부에 구비된 와셔부재가 가이드장공(44a)의 상단 테두리를 지지하되, 가이드장공(44a)의 내면부가 나사부재(18c)의 외주를 따라 안내되어 리프트레버부(40)가 일측 및 타측으로 직선이동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몸체부(40c)에는 레버연동부(30b)의 하단에 돌설된 연동돌기(32)가 삽입되도록 관통되되, 연동돌기(32)의 회전궤적 일단으로부터 접선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크랭크홀(41)이 구비된다. 이때, 연동돌기(32)의 회전궤적은 록킹링(20)의 잠금 회전시 연동돌기(32)의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회전시 연동돌기(32)의 위치를 연결한 곡선을 의미하되, 회전궤적 일단은 록킹링(20)의 잠금 회전시 연동돌기(32)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핸들베이스부(30)가 회전되면 연동돌기(32)가 원호를 그리며 크랭크홀(41)의 내부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되되 크랭크홀(41)의 일측 테두리를 당겨 리프트레버부(40)가 일측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핸들베이스부(30)가 반대로 회전되면 연동돌기(32)가 반대방향으로 원호 이동되며 크랭크홀(41)의 타측 테두리를 밀어 리프트레버부(40)가 타측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레버몸체부(40a) 및 제2레버몸체부(40b)의 상면부에는 리프트레버부(40)의 직선 이동시 압력전환수단(50)의 외주에 접하는 테두리 부분을 따라 리프트돌기부(43)가 돌설된다. 이때, 리프트돌기부(43)는 리프트레버부(40)의 직선 이동시 승강날개부(52d)와 대면되는 부분을 따라 형성되되, 핸들부(11)의 잠금 회전시 직선 이동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a 및 도 4a와 같이, 리프트레버부(40)가 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핸들부(11)가 잠금 해제 회전되면 리프트레버부(40)가 일측으로 당겨지며 승강날개부(52d)가 리프트돌기부(43)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상승된다. 그리고, 상승된 승강날개부(52d)가 리프트돌기부(43)의 최고단(43b)에 의해 지지되면 압력전환유로(53a)가 완전하게 개방되고, 개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내솥 내부 증기는 증기유동홀, 증기배출홀(58b), 연통홀(81a), 압력전환유로(53a), 전환배출홀(52e), 상부실린더(51)의 중공, 스팀캡부(6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솥 내부의 증기가 지속적으로 배출되며 내솥 내부 압력이 증가되지 않는 무압모드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b 및 도 4b와 같이, 리프트레버부(40)가 일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핸들부(11)가 잠금 회전되면 리프트레버부(40)가 타측으로 밀려나며 승강날개부(52d)가 리프트돌기부(43)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하강된다. 그리고, 승강날개부(52d)와 리프트돌기부(43)의 최저단(43a)이 대향 배치되면, 승강날개부(52d)에 대한 상측 방향 가압이 해제되어 승강피스톤(52)이 하강되고 압력전환유로(53a)가 완전하게 폐쇄될 수 있다. 이때, 가압수단(54)에 의해 승강피스톤(52)의 하강 상태가 유지되므로 내솥 내부 증기는 증기유동홀을 거쳐 압력대응 작동수단(90)으로 유동되어 내솥 내부 압력 높낮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출되며 내솥 내부의 압력이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압력전환수단(50)이 폐쇄된 상태에서 내솥 내부 압력이 증가되어 고압모드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솥 내부 압력이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높아지거나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압력대응 작동수단(90)이 개방되어 내솥 내부 증기가 증기유동홀, 압력대응 작동수단(90), 스팀캡부(6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록킹링(20)에는 잠금 회전방향 및 잠금 해제 회전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어 회전방향을 표지하는 한쌍의 표식자(22a,22b)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표식자(22a,22b)는 영구자석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뚜껑부(10b)의 상면부에는 각 표식자(22a,22b)의 회전궤적 상에 설치되어 각 표식자(22a,22b)의 자력을 감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및 제 2 자기 센서(18a,18b)가 구비된다. 제 1 자기 센서(18a)는 록킹링(20)의 잠금시 잠금 회전방향측 제1표식자(22a)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제 2 자기 센서(18b)는 록킹링(20)의 잠금 해제시 잠금 해제 회전방향측 제2표식자(22b)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록킹링(20)이 잠금되면 제 1 자기 센서(18a)가 제1표식자(22a)의 자력을 감지하여 제 1 감지 신호를 제어부(120)로 인가하고, 록킹링(20)이 잠금 해제되면 제 2 자기 센서(18b)가 제2표식자(22b)의 자력을 감지하여 제 2 감지 신호를 제어부(120)로 인가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전기 조리기는 증기유동홀, 증기배출홀(58b), 연통홀(81a), 압력전환유로(53a), 전환배출홀(52e), 상부실린더(51)의 중공 및 스팀캡부(60)로 이루어지며, 내솥 내부(또는 수용 공간)와 본체(또는 뚜껑) 외부 사이를 관통하는 제 1 배출 경로와, 증기유동홀과 압력대응 작동수단(90)으로 이루어지며 압력대응 작동수단(90)의 동작(또는 개폐 동작)에 의해 내솥 내부(또는 수용 공간)와 본체 외부 사이가 관통 및 차단되는 제 2 배출 경로로 구성되며, 제 1 배출 경로와 제 2 배출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내솥 내부의 증기가 제 1 배출 경로 또는 제 2 배출 경로로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압력 변환부의 작용이다. 이 압력 변환부는 뚜껑(10)에 구비되는 핸들부(11), 록킹링(20), 핸들베이스부(30), 리프트레버부(40) 및 압력전환수단(50)로 구성되며, 이들 간의 연쇄적인 동작에 의해, 압력전환유로(53a)의 개폐가 수행되며, 압력전환유로(53a)의 개방(완전 개방) 시가 무압 모드(제 1 배출 경로의 선택)이며, 압력전환유로(53a)의 폐쇄(완전 폐쇄) 시가 고압 모드(제 2 배출 경로의 선택)에 해당된다.
상술된 압력 변환부는 제 1 배출 경로와 제 2 배출 경로가 분리 독립된 경우이다, 다만, 압력 변환부는 무압 모드를 위한 제 1 배출 경로와 고압 모드를 위한 제 2 배출 경로가 일정 공간을 공유하면서 직렬로 다단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직렬 다단 배치의 경우, 각 제 1 및 제 2 배출 경로의 개방 및 폐쇄 동작에 따라 무압 모드와 고압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무압 모드를 위한 제 1 배출 경로의 개방 시에는 무압 모드로 동작하고, 무압 모드를 위한 제 1 배출 경로의 폐쇄 시에는 고압 모드를 위한 제 2 배출 경로를 통한 고압 모드로 동작될 수 있으며, 그 반대로 고압 모드를 위한 제 2 배출 경로의 폐쇄 시에는 무압 모드로 동작하고, 고압 모드를 위한 제 2 배출 경로의 개방 시에는 고압 모드로 동작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압력 변환부는 독립되거나 직렬 다단 배치되며, 내솥 내부(또는 수용 공간)와 본체 외부 사이를 관통 및 차단하는 복수의 배출 경로들을 개폐하여 고압 모드 및 무압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도 5는 도 1의 전기 조리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자기 센서(18a)만이 구비된 경우이며, 전원부(110)를 통하여 전원이 각 구성요소들에 공급되면서 시작되며, 제어부(120)는 제 1 자기 센서(18a)로부터의 제 1 감지 신호에 따라 압력 변환부에 의한 압력 모드를 판단하여 표시부(114)(또는 하부 표시부)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20)가 제 1 자기 센서(18a)로부터 제 1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고압 모드를 표시부(114)를 표시하고, 제 1 자기 센서(18a)로부터 제 1 감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무압 모드를 표시부(114)에 표시한다.
단계(S1)에서, 제어부(120)는 입력부(112)로부터 메뉴 선택 입력이 획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메뉴 선택 입력이 획득되었으면 단계(S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5)로 진행한다.
단계(S3)에서, 제어부(120)는 기저장된 메뉴들을 표시부(114)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입력부(112)를 통하여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도록 한다. 사용자의 메뉴 선택이 완료되면 단계(S7)로 진행한다.
단계(S5)에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메뉴 선택 입력이 없기에, 기저장된 메뉴(이전에 조리되어 제어부(120)에 저장된 메뉴) 또는 이전에 선택된 메뉴를 이번 조리 과정에서의 선택된 메뉴로 결정한다.
단계(S7)에서, 제어부(120)는 단계(S3) 또는 (S5)에서의 선택된 메뉴에 대한 조리 시작 입력이 입력부(112)로부터 획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조리 시작 입력이 획득되었으면 단계(S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고 조리 시작 입력이 획득되지 않으면 단계(S1)로 진행하여 다시 메뉴를 선택하도록 한다.
단계(S9)에서, 제어부(120)는 단계(S3) 또는 (S5)에서 선택된 메뉴가 고압 메뉴인지를 판단한다. 고압 메뉴는 고압 모드에서 조리되어야 하는 메뉴이며, 반면에 무압 메뉴는 무압 모드에서 조리되어야 하는 메뉴이다. 예를 들면, 고압 메뉴는 백미, 잡곡, 누룽지, 현미/발아, 삼계탕, 고압찜 등이며, 무압 메뉴는 무압 백미, 이유식, 무압찜, 건강죽 등이다. 만약 단계(S3) 또는 (S5)에서 선택된 메뉴가 고압 메뉴이면 단계(S1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고 무압 메뉴이면 단계(S17)로 진행한다.
단계(S11)에서, 제어부(120)는 압력 변환부에 의한 현재 압력 모드가 고압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현재 압력 모드가 고압 모드이면 단계(S1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5)로 진행한다.
단계(S13)에서, 제어부(120)는 선택된 메뉴가 고압 메뉴이고 현재 압력 모드가 고압 모드이므로,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고압 조리 알고리즘에 따라 온도 감지부(116)로부터의 감지 온도를 기준으로 가열부(19c) 및 증기 배출부(90b)를 제어하여 고압 조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고압 조리의 수행에 의해, 제어부(120)는 사용자에게 고압 조리 특유의 쫀득한 식감 등을 지닌 조리물을 제공한다.
단계(S15)에서, 제어부(120)는 선택된 메뉴가 고압 메뉴인데, 현재 압력 모드가 무압 모드이므로, 표시부(114)를 통하여 선택된 고압 메뉴가 현재의 무압 모드로 조리될 수 없음(즉, 선택된 메뉴와 현재 압력 모드가 대응되지 않음)나타내는 오류 표시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고, 단계(S1)로 진행하여 이전에 선택된 메뉴에 대한 선택을 삭제하여 초기화하고 다시 메뉴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러한 오류 표시 및 메뉴 선택의 재수행에 의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가 대응하는 압력 모드로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한다. 다만, 단계(S15)에서, 제어부(120)가 단계(S1)로 바로 진행하는 것 대신에 오류 표시와 함께 압력 모드를 고압 모드로 변경할 것을 안내하고 기준 시간 동안 현재 압력 모드가 고압 모드로 변경되는지를, 즉 현재 압력 모드가 고압 메뉴에 대응하는 압력 모드인지를 기준 시간 동안 판단할 수도 있다. 만약 기준 시간 이내에 고압 모드로의 변경으로 판단되면, 즉 판단된 현재 압력 모드가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면 단계(S1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로 진행하면서 제어부(120)는 이전에 선택된 메뉴에 대한 선택을 삭제하여 초기화하고 다시 메뉴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S17)에서, 제어부(120)는 압력 변환부에 의한 현재의 압력 모드가 고압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현재의 압력 모드가 고압 모드이면 단계(S1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21)로 진행한다.
단계(S19)에서,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가 무압 메뉴이고 현재 압력 모드가 고압 모드이므로, 표시부(114)를 통하여 선택된 무압 메뉴가 현재의 고압 모드로 조리될 수 없음(즉, 선택된 메뉴와 현재의 압력 모드가 대응되지 않음)나타내는 오류 표시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고, 이전에 선택된 메뉴에 대한 선택을 삭제하여 초기화하고 단계(S1)로 진행하여 다시 메뉴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러한 오류 표시 및 메뉴 선택의 재수행에 의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가 대응하는 압력 모드로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한다. 다만, 단계(S19)에서, 제어부(120)가 단계(S1)로 진행하는 것 대신에 오류 표시와 함께 압력 모드를 무압 모드로 변경할 것을 표시부(114)를 통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안내하고 기준 시간 동안 현재 압력 모드가 무압 모드로 변경되는지를, 즉 현재 압력 모드가 무압 메뉴에 대응하는 압력 모드인지를 기준 시간 동안 판단할 수도 있다. 만약 기준 시간 이내에 무압 모드로의 변경으로 판단되면, 즉 판단된 현재 압력 모드가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면 단계(S2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로 진행하면서 제어부(120)는 이전에 선택된 메뉴에 대한 선택을 삭제하여 초기화하고 다시 메뉴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S21)에서, 제어부(120)는 선택된 메뉴가 무압 메뉴이고 현재 압력 모드가 무압 모드이므로, 기저장된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무압 조리 알고리즘에 따라 온도 감지부(116)로부터의 감지 온도를 기준으로 가열부(19c)를 제어하여 무압 조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무압 조리의 수행에 의해, 제어부(120)는 사용자에게 무압 조리 특유의 부드러운 식감 등을 지닌 조리물을 제공한다.
상술된 단계(S9), (S11) 및 (S17)의 과정에서, 제어부(120)는 먼저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가 고압 메뉴인지를 판단한 후, 현재 압력 모드가 고압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순서로 수행하나, 다른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먼저 현재 압력 모드가 고압 모드(또는 무압 모드)인지를 판단한 이후에, 선택한 메뉴가 고압 메뉴(또는 무압 메뉴)인지를 판단하는 순서도 가능하다. 추가적인 실시예로, 먼저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가 무압 메뉴인지를 판단한 후, 현재 압력 모드가 무압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순서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된 제 1 자기 센서(18a) 대신에, 제 2 자기 센서(18b)만이 구비될 경우, 도 5의 순서도의 각 단계들이 동일하게 수행될 수도 있다. 다만, 단계(S9)에서 선택된 메뉴가 무압 메뉴인지를 판단하고, 단계(S11) 및 (S17)에서 현재의 압력 모드가 무압 모드인지를 판단하고, 단계(S13)에서 무압 조리를 수행하고, 단계(S21)에서 고압 조리를 수행하면 된다.
도 6은 도 5의 조리 과정에서 압력 모드 변경이 있는 경우의 제어 순서도이다. 사용자에 의해 압력 변환부의 압력 모드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120)는 도 5의 단계(S13) 및 (S21)를 수행하는 중에 도 6의 제어를 수행한다.
단계(S81)에서, 제어부(120)는 단계(S13)(또는 단계(S21))을 수행하는 중에 현재 압력 모드에 변경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을 위해, 제어부(120)는 현재 압력 모드에서의 제 1 감지 신호의 수신 및 미수신 상태의 변경이 있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현재 압력 모드에 변경이 있으면 단계(S8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핸들부(11)의 위치 변경이나 회전이 없는 경우이므로 단계(S13)(또는 단계(S21))로 진행한다.
단계(S83)에서, 현재 압력 모드가 변경되어 변경된 현재 압력 모드와 선택된 메뉴가 대응되지 않으므로, 제어부(120)는 현재 수행하는 조리를 취소하며, 가열부(19c)의 가열 동작 등도 중단시킨다.
단계(S85)에서, 제어부(120)는 조리 과정에서 현재 압력 모드의 변경이 있었음을 알리며, 현재 수행되는 조리가 취소되었음을 표시부(114)에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한다. 제어부(120)는 단계(S85) 이후에 사용자가 현재 압력 모드와 메뉴가 대응하도록 압력 모드의 변경 또는 메뉴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단계(S1)로 진행한다.
단계(S83) 및 (S85)에서, 무압 모드 알고리즘 또는 고압 모드 알고리즘에 따른 조리를 진행하는 중에, 압력 모드가 변경되면, 특히 고압 모드에서 무압 모드로 압력 모드가 변경된 경우, 내솥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갑자기 배출되어 사용자의 화상 등을 야기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제어부(120)는 조리를 취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력 모드의 변경에 의해, 선택된 메뉴가 변경된 현재 압력 모드에 대응되지 않게 되며, 변경 시점까지 변경 이전의 압력 모드에 대응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조리된 조리물을 다른 압력 모드의 알고리즘으로 조리해야 하는 것으로, 조리물의 조리 품질이 나빠질 수 있는 문제도 있기에, 제어부(120)는 조리를 취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0: 전원부 112: 입력부
114: 표시부 116: 온도 감지부
120: 제어부

Claims (29)

  1. 내솥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지닌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과;
    상기 내솥 내부와 상기 뚜껑 외부 사이를 관통 및 차단하는 복수의 배출 경로들을 개폐하여 고압 모드 및 무압 모드를 선택하는 압력 변환부와;
    상기 압력 변환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무압 모드 또는 고압 모드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상기 무압 모드와 고압 모드를 적어도 포함하는 압력 모드 중에서,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압력 모드를 판단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 조리기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압력 모드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 조리기는 기저장된 메뉴들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메뉴들 중에서 메뉴 선택을 위한 메뉴 선택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저장된 메뉴들 중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조리 압력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압력 정보는 고압 메뉴 및 무압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선택된 메뉴가 상기 판단된 압력 모드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메뉴가 상기 판단된 압력 모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메뉴를 상기 판단된 압력 모드에 따른 조리 알고리즘에 따라 조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메뉴가 상기 판단된 압력 모드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메뉴가 상기 판단된 압력 모드에 대응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오류 표시를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류 표시와 함께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한 선택을 삭제하여 초기화하고 다시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압력 모드를 변경할 것을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내 이후에 기준 시간 동안 상기 판단된 압력 모드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판단된 압력 모드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한 선택을 삭제하여 초기화하고 다시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메뉴가 상기 판단된 압력 모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메뉴를 상기 판단된 압력 모드에 따른 조리 알고리즘에 따라 조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3. 제 6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리 알고리즘에 따라 조리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압력 모드의 변경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모드의 변경이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를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의 취소와 함께 상기 압력 모드의 변경을 나타내는 오류 표시를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의 취소 이후에 다시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7. 고압 모드와 무압 모드를 포함하는 압력 모드에 따른 조리를 수행하는 전기 조리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 조리기의 압력 모드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압력 모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표시 단계 이후에, 기저장된 메뉴들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메뉴들 중에서 메뉴 선택을 위한 메뉴 선택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메뉴가 상기 판단된 압력 모드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메뉴가 상기 판단된 압력 모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메뉴를 상기 판단된 압력 모드에 따른 조리 알고리즘에 따라 조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제어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메뉴가 상기 판단된 압력 모드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선택된 메뉴가 상기 판단된 압력 모드에 대응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오류 표시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제어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오류 표시 단계 이후에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한 선택을 삭제하여 초기화하고 다시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제어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압력 모드를 변경할 것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제어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안내 이후에 기준 시간 동안 상기 판단된 압력 모드가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제어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판단된 압력 모드가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한 선택을 삭제하여 초기화하고 다시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제어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선택된 메뉴가 상기 판단된 압력 모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메뉴를 상기 판단된 압력 모드에 따른 조리 알고리즘에 따라 조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제어 방법.
  26. 제 19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조리 수행 단계에서, 상기 압력 모드의 변경을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제어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압력 모드 변경 판단 단계에서, 상기 압력 모드의 변경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조리를 취소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제어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조리 취소 단계에서 상기 압력 모드의 변경을 나타내는 오류 표시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제어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조리 취소 단계 이후에 다시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제어 방법.
KR1020170115410A 2017-09-08 2017-09-08 전기 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61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410A KR102361957B1 (ko) 2017-09-08 2017-09-08 전기 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US16/120,750 US11202528B2 (en) 2017-09-08 2018-09-04 Electric cooker
RU2018131599A RU2693290C1 (ru) 2017-09-08 2018-09-04 Электрическая скороварка
JP2018165707A JP7232598B2 (ja) 2017-09-08 2018-09-05 電気炊飯器
TW107131098A TWI699182B (zh) 2017-09-08 2018-09-05 電烹飪器
CN202211213146.5A CN115381279B (zh) 2017-09-08 2018-09-06 电烹饪器
CN201811035567.7A CN109464022A (zh) 2017-09-08 2018-09-06 电烹饪器
US17/111,624 US11363904B2 (en) 2017-09-08 2020-12-04 Electric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410A KR102361957B1 (ko) 2017-09-08 2017-09-08 전기 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614A true KR20190028614A (ko) 2019-03-19
KR102361957B1 KR102361957B1 (ko) 2022-02-14

Family

ID=65908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410A KR102361957B1 (ko) 2017-09-08 2017-09-08 전기 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9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844B1 (ko) * 2020-01-13 2021-07-12 (주)쿠첸 메뉴 변경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75845B1 (ko) * 2020-01-13 2021-07-12 (주)쿠첸 메뉴 변경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571B1 (ko) * 1997-02-19 1999-06-15 주식회사노비타 전기압력밥솥의 구동제어방법
KR200445013Y1 (ko) * 2007-06-28 2009-06-23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잠금 상태 감지장치
CN204015964U (zh) * 2014-06-30 2014-12-1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热锅
CN106606293A (zh) * 2017-02-16 2017-05-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压力锅排气装置及具有其的压力锅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571B1 (ko) * 1997-02-19 1999-06-15 주식회사노비타 전기압력밥솥의 구동제어방법
KR200445013Y1 (ko) * 2007-06-28 2009-06-23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잠금 상태 감지장치
CN204015964U (zh) * 2014-06-30 2014-12-1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热锅
CN106606293A (zh) * 2017-02-16 2017-05-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压力锅排气装置及具有其的压力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844B1 (ko) * 2020-01-13 2021-07-12 (주)쿠첸 메뉴 변경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75845B1 (ko) * 2020-01-13 2021-07-12 (주)쿠첸 메뉴 변경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957B1 (ko) 202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381279B (zh) 电烹饪器
US10722064B2 (en) Electric cooker
JP7150495B2 (ja) 電気炊飯器
JP7175665B2 (ja) 電気炊飯器
US10827870B2 (en) Electric cooker
US9763531B2 (en) Pressure cooker provided with an electronic information device
JP6941961B2 (ja) 蓋開口部を備える圧力調理器
KR20190028614A (ko) 전기 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CA2588532A1 (en) Pressure cooker lid
JP2007507268A (ja) 安全開放手段を有する加圧調理器具
KR102226478B1 (ko) 전기조리기
CN102783905A (zh) 加热烹饪机
KR102361959B1 (ko) 전기 조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58296B1 (ko) 다용도 조리용기
KR102673316B1 (ko) 조리기기
JP4214956B2 (ja) 炊飯器
KR100579047B1 (ko) 전기압력밥솥의 안전장치
KR100235452B1 (ko) 전기압력밥솥
KR19980018031A (ko) 전기압력밥솥
JP2024037015A (ja) 加熱調理器
CN114947514A (zh) 煮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