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397B1 -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397B1
KR102418397B1 KR1020210077036A KR20210077036A KR102418397B1 KR 102418397 B1 KR102418397 B1 KR 102418397B1 KR 1020210077036 A KR1020210077036 A KR 1020210077036A KR 20210077036 A KR20210077036 A KR 20210077036A KR 102418397 B1 KR102418397 B1 KR 102418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pressure
flow path
shutte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규현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210077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397B1/ko
Priority to JP2023574250A priority patent/JP7493112B2/ja
Priority to PCT/KR2022/008400 priority patent/WO202226535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내솥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뚜껑 커버 내에 마련된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탑 플레이트 상에 결합된 회전 커버; 상기 내솥의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제1 하부 유로를 포함하는 제1 하부 실린더; 제1 하부 유로와 연통하는 제1 상부 유로를 포함하는 제1 상부 실린더; 및 상기 제1 상부 실린더 상에 있고 상기 내솥의 상기 수용 공간의 증기압에 따라 상기 제1 상부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제1 무게추;를 포함하는 제1 압력 제어 장치; 상기 내솥의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제2 하부 유로를 포함하는 제2 하부 실린더; 제2 하부 유로와 연통하는 제2 상부 유로를 포함하는 제2 상부 실린더; 및 상기 제2 상부 실린더 상에 있고 상기 내솥의 상기 수용 공간의 증기압에 따라 상기 제2 상부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제2 무게추;를 포함하는 제2 압력 제어 장치; 및 상기 제1 하부 유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제1 하부 유로에 삽입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제1 하부 유로를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1 셔터 로드; 상기 제2 하부 유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제2 하부 유로에 삽입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제2 하부 유로를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2 셔터 로드; 및 상기 제1 셔터 로드 및 상기 제2 셔터 로드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셔터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리 장치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압력으로 조리 재료를 조리할 수 있는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전기 압력 밥솥은 밥을 지을 수 있는 취사기능과, 취사된 밥을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보온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다. 전기 압력 밥솥은 본체의 상부에 증기 배출공이 형성된 본체 뚜껑이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내솥이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며, 이 내솥을 덮을 수 있도록 내솥 뚜껑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본체 내에는 상기 내솥에 수용된 조리 재료, 즉 쌀이나 잡곡, 기타 음식 재료에 열을 전달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가열 방식 또는 열판 방식의 히터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편리성 및 조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내솥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뚜껑 커버 내에 마련된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탑 플레이트 상에 결합된 회전 커버; 상기 내솥의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제1 하부 유로를 포함하는 제1 하부 실린더; 제1 하부 유로와 연통하는 제1 상부 유로를 포함하는 제1 상부 실린더; 및 상기 제1 상부 실린더 상에 있고 상기 내솥의 상기 수용 공간의 증기압에 따라 상기 제1 상부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제1 무게추;를 포함하는 제1 압력 제어 장치; 상기 내솥의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제2 하부 유로를 포함하는 제2 하부 실린더; 제2 하부 유로와 연통하는 제2 상부 유로를 포함하는 제2 상부 실린더; 및 상기 제2 상부 실린더 상에 있고 상기 내솥의 상기 수용 공간의 증기압에 따라 상기 제2 상부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제2 무게추;를 포함하는 제2 압력 제어 장치; 및 상기 제1 하부 유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제1 하부 유로에 삽입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제1 하부 유로를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1 셔터 로드; 상기 제2 하부 유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제2 하부 유로에 삽입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제2 하부 유로를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2 셔터 로드; 및 상기 제1 셔터 로드 및 상기 제2 셔터 로드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셔터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압력 제어 장치는 상기 내솥의 상기 수용 공간의 증기압을 제1 압력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압력 제어 장치는 상기 내솥의 상기 수용 공간의 증기압을 상기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뚜껑 커버에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된 리프트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핀은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 각도에 따라 핀-다운 위치와 핀-업 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리프트 핀은 상기 핀-업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상부 실린더의 상기 제1 상부 유로의 유출구가 강제 개방되도록 상기 제1 무게추를 들어올리고 상기 제2 상부 실린더의 상기 제2 상부 유로의 유출구가 강제 개방되도록 상기 제2 무게추를 들어올린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회전 커버는 제1 높이에 있는 제1 표면부 및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에 있는 제2 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핀은 상기 회전 커버의 상기 제1 표면부에 지지되어 상기 핀-업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 커버의 상기 제2 표면부에 지지되어 상기 핀-업 위치로부터 하강된 상기 핀-다운 위치에 위치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솥의 플랜지부에 걸리도록 구성된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잠금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구조체는 상기 탑 플레이트에 선형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잠금 구조체는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내솥의 상기 플랜지부에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위치된 잠금 위치와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격된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선형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회전 커버는 그 연장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된 제1 위치, 제2 위치, 및 제3 위치를 포함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1 위치 및 제3 위치는 각각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로 이격된 위치이고,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회전 커버의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로 이격된 위치이고, 상기 잠금 구조체는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며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1 내지 제3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는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구조체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잠금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잠금 구조체의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잠금 해제 위치에 위치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 각도에 따라 핀-다운 위치와 핀-업 위치 사이에서 승강하여, 상기 제1 무게추 및 상기 제2 무게추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리프트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핀은, 상기 잠금 구조체의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상부 실린더의 상기 제1 상부 유로의 유출구 및 상기 제2 상부 실린더의 상기 제2 상부 유로의 유출구가 강제 개방되도록 상기 제1 무게추 및 상기 제2 무게추를 들어올리는 상기 핀-업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잠금 구조체의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핀-업 위치로부터 하강된 상기 핀-다운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셔터 구조체는, 상기 잠금 구조체의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하부 유로 및 제2 하부 유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1 셔터 로드 및 상기 제2 셔터 로드를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잠금 구조체의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내솥의 상기 수용 공간의 증기압이 제1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셔터 로드를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잠금 구조체의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내솥의 상기 수용 공간의 증기압이 상기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셔터 로드를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 셔터 로드를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리 장치는 다양한 압력 조리 모드, 예를 들어 무압으로 조리하는 무압 조리 모드(또는, 저압 조리 모드), 제1 압력으로 조리하는 제1 고압 조리 모드, 및 제2 압력으로 조리하는 제2 고압 조리 모드를 제공하므로, 조리 재료 및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리성 및 조리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뚜껑 어셈블리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뚜껑 어셈블리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뚜껑 어셈블리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푸시 구조체와 셔터 구조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뚜껑 어셈블리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들이다.
도 7은 잠금 구조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회전 커버의 회전에 따른 잠금 구조체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9는 회전 커버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뚜껑 어셈블리의 조작 핸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회전 커버의 회전 각도에 따른 뚜껑 어셈블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12는 조작 핸들의 회전 위치 변화에 따른, 가이드 돌기의 위치 변화, 잠금 구조체의 동작, 리프트 핀의 동작, 셔터 구조체의 동작, 및 내솥의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의 뚜껑 어셈블리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의 뚜껑 어셈블리의 압력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5는 회전 커버의 회전 각도에 따른 뚜껑 어셈블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16은 도 13의 뚜껑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에서, 조작 핸들의 회전 위치 변화에 따른, 가이드 돌기의 위치 변화, 잠금 구조체의 동작, 리프트 핀의 동작, 셔터 구조체의 동작, 및 내솥의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의 뚜껑 어셈블리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뚜껑 어셈블리의 압력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도 17의 뚜껑 어셈블리의 압력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20은 도 17의 뚜껑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에서, 조작 핸들의 회전 위치 변화에 따른, 가이드 돌기의 위치 변화, 잠금 구조체의 동작, 리프트 핀의 동작, 셔터 구조체의 동작, 및 내솥의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뚜껑 어셈블리(100)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뚜껑 어셈블리(100)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조리 장치(10)는 조리 재료를 조리할 수 있는 조리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에 설치된 뚜껑 어셈블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는 조리 재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솥(도 8a의 210)을 수용할 수 있다. 내솥(210)은 용기 형태를 가지며, 조리 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내솥(210)은 본체(200)의 조리 공간 내에 분리 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내솥(210)은 그 상단 테두리에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도 8a의 211)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211)는 내솥(21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내솥(210)의 상단에는 내솥(21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플랜지부(211)가 배치될 수 있다. 본체(200)는 내솥(210)에 수용된 조리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00)는 열판 방식의 히터 또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작동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 어셈블리(100)는 본체(200)의 조리 공간 및/또는 내솥(210)의 수용 공간을 덮을 수 있다. 뚜껑 어셈블리(100)는 조리 재료에 대한 조리가 진행되는 동안에, 내솥(210)의 수용 공간에 조리에 적합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내솥(210)의 수용 공간 및/또는 본체(200)의 조리 공간을 밀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뚜껑 어셈블리(100)는 본체(20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뚜껑 어셈블리(100)는 내솥(210)의 수용 공간을 덮는 닫힌 위치와, 내솥(210)의 수용 공간을 개방하는 열린 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뚜껑 어셈블리(100)는 본체(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뚜껑 어셈블리(100)는 뚜껑 커버(101), 내솥 커버(110), 탑 플레이트(120), 회전 커버(130), 압력 제어 장치(103), 솔레노이드 밸브(160), 잠금 구조체 (170), 및 푸시 구조체(push structure)(190)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 커버(101)는 본체(200)에 결합될 수 있다. 뚜껑 커버(101)는 뚜껑 어셈블리(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뚜껑 커버(101)는 내부에 각종 전장 부품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내솥 커버(110)는 내솥(210)에 마주하는 뚜껑 어셈블리(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내솥 커버(110)는 탑 플레이트(120) 및/또는 뚜껑 커버(101)에 장착될 수 있다. 내솥 커버(110)는 본체(200)에 수용된 내솥(210)을 덮을 수 있다. 내솥 커버(110)는 내솥(210)의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제1 하부 증기 홀(111H1), 제2 하부 증기 홀(111H2), 및 제3 하부 증기 홀(111H3)을 포함할 수 있다. 내솥 커버(110)의 테두리부에는 내솥(210)과 내솥 커버(110) 사이의 밀폐를 위한 패킹(189)이 장착되는 패킹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20)는 내솥 커버(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20)는 뚜껑 커버(101) 내에 배치되며, 뚜껑 커버(101)에 결합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20)는 내솥 커버(110)의 제1 하부 증기 홀(111H1)에 연통하는 제1 상부 증기 홀(121H1), 제2 하부 증기 홀(111H2)에 연통하는 제2 상부 증기 홀(121H2), 및 제3 하부 증기 홀(111H3)에 연통하는 제3 상부 증기 홀(121H3)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커버(130)는 탑 플레이트(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커버(130)는 대략 탑 플레이트(12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된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회전 커버(130)는 탑 플레이트(120)의 테두리를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탑 플레이트(120)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 커버(130)는 회전 축 방향(Z방향)에 대해, 제1 회전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 및 이에 반대된 제2 회전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커버(130)는 뚜껑 커버(101)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조작 핸들(183)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작 핸들(183)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은 회전 커버(130)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을 야기하고, 조작 핸들(183)의 제2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은 회전 커버(130)의 제2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을 야기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조작 핸들(183)과 회전 커버(130)는 조작 핸들(183)의 회전 시 조작 핸들(183)의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연결 레버(도시 생략)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레버의 일단은 조작 핸들(183)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레버의 타단은 회전 커버(130)의 연결 돌기(13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작 핸들(183)이 회전하면, 조작 핸들(183)에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연결 레버가 회동하고, 연결 돌기(131)를 통해 연결 레버에 연결된 회전 커버(130)가 탑 플레이트(120)의 테두리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회전 커버(130)는 탑 플레이트(120) 상에서 미리 정해진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커버(130)는 회전 커버(130)의 회전 방향 또는 회전 커버(13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된 회전 구속 홈(133)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속 홈(133)은 회전 커버(130)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는 것과 함께, 회전 커버(130)의 회전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나사와 같은 체결 구조(185)는 회전 구속 홈(133)을 통해, 회전 구속 홈(133) 아래에 있는 탑 플레이트(120)의 보스(boss)(12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회전 커버(130)의 회전은 상기 체결 구조(185)가 회전 구속 홈(133)의 일 단부에 걸리는 위치로부터, 상기 체결 구조(185)가 회전 구속 홈(133)의 타 단부에 걸리는 위치 사이에서 제한될 수 있다.
압력 제어 장치(103)는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압력 레벨에 따라 증기의 배출을 제어하여,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압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압력 제어 장치(103)는 탑 플레이트(120) 상에 장착된 제1 압력 제어 장치(140) 및 제2 압력 제어 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력 제어 장치(140) 및 제2 압력 제어 장치(150)는 각각 무게추를 이용하여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압력(즉, 증기압)을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포이즈 밸브(poise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력 제어 장치(140)는 제1 하부 증기 홀(111H1) 및 제1 상부 증기 홀(121H1)을 통해 내솥(210)의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유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유로로 유입된 증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압력 제어 장치(150)는 제2 하부 증기 홀(111H2) 및 제2 상부 증기 홀(121H2)을 통해 내솥(210)의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유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유로로 유입된 증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압력 제어 장치(140)는 내솥(210) 내에 기준 압력(예를 들어, 대기압)보다 높은 제1 압력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제2 압력 제어 장치(150)는 내솥(210) 내에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압력은 1.2kgf/cm2 내지 1.8kgf/cm2 사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압력은 1.5kgf/cm2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압력은 1.8kgf/cm2 내지 2.4kgf/cm2 사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압력은 2.1kgf/cm2일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160)는 탑 플레이트(12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160)는 전기적 제어 신호에 따라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를 배출함으로써,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160)는 제3 하부 증기 홀(111H3) 및 제3 상부 증기 홀(121H3)을 통해 내솥(210)의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내부 유로를 포함할 수 있고, 전기적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내부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160)는 조리가 완료된 시점에 상기 내부 유로를 개방하여 내솥(210) 내의 잔압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잠금 구조체(170)는 내솥(210)의 플랜지부(211)에 잠금되는 잠금 위치와, 내솥(210)의 플랜지부(211)에 대해 잠금 해제되는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잠금 구조체(170)의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전환은, 회전 커버(130)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잠금 구조체(170)는 탑 플레이트(120) 상에 장착되며, 선택적으로 내솥(210)의 플랜지부(211)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걸림 돌기(도 8a의 177)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구조체(170)의 잠금 위치는 잠금 구조체(170)의 걸림 돌기(177)가 내솥(210)의 플랜지부(211)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이고, 잠금 구조체(170)의 잠금 해제 위치는 잠금 구조체(170)의 걸림 돌기(177)가 내솥(210)의 플랜지부(211)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일 수 있다. 내솥(210)에 담긴 조리 재료에 대한 조리가 진행되는 동안, 잠금 구조체(170)는 잠금 위치에 위치되며, 걸림 돌기(177)가 내솥(210)에 고정됨에 따라, 내솥(210)과 내솥 커버(110) 사이 또는 내솥(210)과 탑 플레이트(120) 사이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잠금 구조체(170)에 대해서는, 도 7,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
도 4a 및 도 4b는 뚜껑 어셈블리(100)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푸시 구조체(190)와 셔터 구조체(147)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4a는 셔터 구조체(147)가 제1 하부 유로(141P)의 유출구(141PO)를 개방시키는 셔터 구조체(147)의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셔터 구조체(147)가 제1 하부 유로(141P)의 유출구(141PO)를 폐쇄하는 셔터 구조체(147)의 페쇄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는 도 4a에 대응된 셔터 구조체(147)의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5b는 도 4b에 대응된 셔터 구조체(147)의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제1 압력 제어 장치(140)는 제1 하부 실린더(141), 제1 상부 실린더(143), 제1 무게추(145), 및 셔터 구조체(shutter structure)(14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실린더(141)는 내솥(210)의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제1 하부 유로(141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유로(141P)는 탑 플레이트(120)의 제1 상부 증기 홀(121H1) 및 내솥 커버(110)의 제1 하부 증기 홀(111H1)을 통해 내솥(210)의 수용 공간과 연통할 수 있다. 제1 하부 유로(141P)는 탑 플레이트(120)의 제1 상부 증기 홀(121H1)에 연통하는 유입구로부터, 셔터 구조체(147)에 대면하는 제1 하부 실린더(141)의 일 측면을 통해 노출된 유출구(141PO)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상부 실린더(143)는 제1 하부 실린더(141)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1 상부 유로(143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 유로(143P)는 제1 상부 실린더(143)의 하측에 형성된 유입구로부터, 제1 상부 실린더(143)의 상측에 형성된 유출구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무게추(145)는 제1 상부 실린더(143)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무게추(145)는 제1 상부 유로(143P)의 유출구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제1 압력 돌기(14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력 돌기(1451)는 제1 상부 유로(143P)에 형성되는 증기압의 레벨에 따라, 제1 상부 유로(143P)의 유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셔터 구조체(147)는 제1 하부 유로(141P)의 유출구(141PO)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셔터 구조체(147)는 제1 하부 유로(141P)의 유출구(141PO)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제1 하부 유로(141P)의 유출구(141PO)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셔터 구조체(147)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의 전환은 후술하는 푸시 구조체(190)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셔터 구조체(147)가 제1 하부 유로(141P)의 유출구(141PO)를 개방하는 경우, 제1 하부 유로(141P)와 제1 상부 유로(143P)가 서로 연통할 수 있다. 셔터 구조체(147)가 제1 하부 유로(141P)의 유출구(141PO)를 폐쇄하는 경우, 제1 하부 유로(141P)와 제1 상부 유로(143P)가 서로 분리되며 서로 연통하지 않을 수 있다.
셔터 구조체(147)는 셔터 프레임(1471), 셔터 로드(1473), 탄성 커버(1475), 및 제1 탄성체(1477)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 프레임(1471)은 제1 하부 실린더(141)에 결합되어 제1 하부 유로(141P)의 유출구(141PO)와 제1 상부 유로(143P)의 유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셔터 로드(1473)는 셔터 프레임(1471)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셔터 로드(1473)는 셔터 프레임(1471)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미리 정해진 이동 범위 내에서 선형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하부 유로(141P)의 유출구(141PO)와 마주하는 셔터 로드(1473)의 제1 단부는 셔터 프레임(1471)의 관통홀의 직경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셔터 로드(1473)의 상기 제1 단부에는 고무 등의 우수한 탄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된 탄성 커버(1475)가 결합될 수 있다. 탄성 커버(1475)는 셔터 로드(1473)의 상기 제1 단부를 덮을 수 있다. 제1 탄성체(1477)는 셔터 구조체(147)의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즉 셔터 로드(1473)의 상기 제1 단부가 제1 하부 유로(141P)의 유출구(141PO)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셔터 로드(1473)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셔터 로드(1473)는 제1 탄성체(1477)에 의해 개방 위치에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탄성체(1477)는 탄성 스프링일 수 있다. 제1 탄성체(1477)는 셔터 로드(1473)의 외주를 감싸고, 제1 탄성체(1477)는 셔터 로드(1473)의 제2 단부에 인접하여 셔터 로드(1473)에 고정된 고정 링(1479)과 셔터 프레임(1471)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셔터 구조체(147)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의 전환은 셔터 로드(1473)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므로, 본 명세서에서 셔터 구조체(147)의 개방 위치는 제1 하부 유로(141P)의 유출구(141PO)를 개방시키는 셔터 로드(1473)의 개방 위치를 의미할 수 있고, 셔터 구조체(147)의 폐쇄 위치는 제1 하부 유로(141P)의 유출구(141PO)를 폐쇄시키는 셔터 로드(1473)의 폐쇄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푸시 구조체(190)는 셔터 구조체(147)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푸시 구조체(190)는, 셔터 구조체(147)가 폐쇄 위치에 고정되어 제1 하부 유로(141P)의 유출구(141PO)를 폐쇄하도록, 셔터 구조체(147)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는, 푸시 구조체(190)는 셔터 구조체(147)에 인가되는 외력을 해제하여,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셔터 구조체(147)를 전환시킬 수 있다.
푸시 구조체(190)는 고정 몸체(191), 이동 몸체(193), 및 제2 탄성체(19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몸체(191)는 회전 커버(130)에 결합되며, 회전 커버(130)의 회전 시 회전 커버(13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 몸체(193)는 고정 몸체(191)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몸체(193)는 회전 커버(130)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 몸체(191)에 장착되며, 이동 몸체(193)의 이동 범위는 고정 몸체(191)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제2 탄성체(195)는 이동 몸체(193)와 고정 몸체(191) 사이에 배치되며, 이동 몸체(193)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탄성체(195)는 반경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몸체(193)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 몸체(193)는 제2 탄성체(195)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셔터 로드(1473)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셔터 로드(1473)를 가압할 수 있다.
셔터 구조체(147)의 셔터 로드(1473)는 회전 커버(130)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하는 이동 몸체(193)의 이동 궤적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커버(13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셔터 로드(1473)는 푸시 구조체(190)에 가압되어 폐쇄 위치에 위치되거나 푸시 구조체(190)로부터 분리되어 개방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압력 제어 장치(140) 및 제2 압력 제어 장치(150)에 의한 압력 제어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구조체(190)가 셔터 구조체(147)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되었을 때, 셔터 구조체(147)에는 푸시 구조체(190)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셔터 구조체(147)의 셔터 로드(1473)는 제1 탄성체(1477)에 의해 개방 위치에 탄성 바이어스되므로, 제1 하부 유로(141P)의 유출구(141PO)가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제1 하부 유로(141P)의 유출구(141PO)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내솥(210)의 수용 공간에서 발생된 증기는 제1 하부 유로(141P)를 통해 제1 상부 유로(143P)로 유입될 수 있다. 만약,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이 미리 정해진 제1 압력보다 낮은 경우, 제1 상부 유로(143P)의 유출구는 제1 무게추(145)의 제1 압력 돌기(1451)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만약,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이 미리 정해진 제1 압력 또는 이에 근접한 수준까지 높아진 경우, 제1 무게추(145)의 제1 압력 돌기(1451)가 증기압에 의해 들려 제1 상부 유로(143P)의 유출구가 개방되고,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은 제1 압력 또는 이에 근접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구조체(190)가 셔터 구조체(147)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로 회전 커버(130)가 회전되면, 푸시 구조체(190)의 이동 몸체(193)가 셔터 구조체(147)의 셔터 로드(1473)에 간섭되고, 제2 탄성체(195)에 탄성 지지된 이동 몸체(193)는 셔터 로드(1473)에 외력을 인가한다. 셔터 로드(1473)는 푸시 구조체(190)에 의해 가압되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셔터 로드(1473)의 제1 단부에 결합된 탄성 커버(1475)는 제1 하부 유로(141P)의 유출구(141PO)에 밀착되어 제1 하부 유로(141P)의 유출구(141PO)를 폐쇄하게 된다. 이 때, 푸시 구조체(190)가 셔터 구조체(147)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셔터 로드(1473)가 폐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2 탄성체(195)의 복원력은 제1 탄성체(1477)의 복원력 및 내솥(210) 내의 증기압에 의해 셔터 로드(1473)에 가해지는 힘의 합력보다 클 수 있다. 제1 하부 유로(141P)의 유출구(141PO)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제1 압력 제어 장치(140)를 통한 증기 배출은 불능 상태가 된다. 제1 하부 유로(141P)의 유출구(141PO)가 셔터 구조체(147)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동안,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는 제2 하부 에어 홀(111H2) 및 제2 상부 증기 홀(121H2)에 연통하는 제2 압력 제어 장치(150)의 제2 실린더(도 6a의 151)의 제2 유로(도 6a의 151P)로 유입될 수 있다. 만약,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이 제1 압력을 넘어 제2 압력 및 이에 근접한 수준까지 높아지면, 제2 무게추(도 6a의 155)의 제2 압력 돌기(도 6a의 1551)가 증기압에 의해 들려 제2 유로(151P)의 유출구가 개방되고,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은 제2 압력 또는 이에 근접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뚜껑 어셈블리(100)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들로서, 도 6a는 리프트 핀(181)이 핀-업(pin-up)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6b는 리프트 핀(181)이 핀-다운(pin-down)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를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조리 장치(10)는 뚜껑 커버(101)에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된 리프트 핀(181)을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핀(181)은 뚜껑 커버(101)의 관통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리프트 핀(181)의 헤드부는 뚜껑 커버(10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리프트 핀(181)의 하단부는 회전 커버(130)에 접촉되며, 회전 커버(130)의 회전 시 회전 커버(130)의 표면부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프트 핀(181)의 승강 동작은 회전 커버(130)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핀(181)이 제1 높이 레벨에 있는 회전 커버(130)의 제1 표면부(137)에 지지된 경우, 리프트 핀(181)은 핀-업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핀(181)이 제1 높이 레벨보다 낮은 제2 높이 레벨에 있는 회전 커버(130)의 제2 표면부(138)에 지지된 경우, 리프트 핀(181)은 핀-다운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커버(130)가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리프트 핀(181)과 회전 커버(130) 간의 접촉 위치는 회전 커버(130)의 제1 표면부(137)에서 제2 표면부(138)로 이동하게 되며, 리프트 핀(181)은 핀-업 위치로부터 핀-다운 위치로 하강할 수 있다. 반대로, 회전 커버(130)가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리프트 핀(181)과 회전 커버(130) 간의 접촉 위치는 회전 커버(130)의 제2 표면부(138)에서 제1 표면부(137)로 이동하게 되며, 리프트 핀(181)은 핀-다운 위치로부터 핀-업 위치로 상승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핀(181)의 핀-업 위치에서, 리프트 핀(181)은 제1 압력 제어 장치(140)의 제1 무게추(145) 및 제2 압력 제어 장치(150)의 제2 무게추(155)를 함께 들어올릴 수 있다. 리프트 핀(181)에 의해 제1 무게추(145)와 제2 무게추(155)가 들어올려지면, 제1 압력 제어 장치(140)의 제1 상부 유로(143P)의 유출구 및 제2 압력 제어 장치(150)의 제2 유로(151P)의 유출구가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 레벨과 무관하게 강제 개방될 수 있다. 제1 상부 유로(143P)의 유출구 및 제2 유로(151P)의 유출구가 리프트 핀(181)에 의해 강제 개방되었을 때,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는 제1 압력 제어 장치(140) 및 제2 압력 제어 장치(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조리 장치(10)에서 조리가 진행되는 동안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은 대기압 또는 이에 근접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핀(181)의 핀-다운 위치에서, 리프트 핀(181)은 제1 무게추(145) 및 제2 무게추(155)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프트 핀(181)이 제1 무게추(145) 및 제2 무게추(155)로부터 이격된 것은, 리프트 핀(181)이 제1 무게추(145) 및/또는 제2 무게추(155)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경우와, 리프트 핀(181)이 제1 무게추(145) 및/또는 제2 무게추(155)에 물리적으로 접촉되었으나 제1 무게추(145) 및/또는 제2 무게추(155)를 들어올리기에 충분한 외력이 리프트 핀(181)에 의해 제공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핀(181)의 핀-다운 위치에서, 제1 압력 제어 장치(140) 및 제2 압력 제어 장치(150)에 의한 증기 배출은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 레벨 및/또는 셔터 구조체(147)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잠금 구조체(17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회전 커버(130)의 회전에 따른 잠금 구조체(170)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들로서, 도 8a는 잠금 구조체(170)의 잠금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8b는 잠금 구조체(170)의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회전 커버(130)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도 8a, 도 8b, 및 도 9를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잠금 구조체(170)는 탑 플레이트(12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평면적 관점에서 곡선 형태를 가지는 잠금 블레이드(171)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블레이드(171)는 탑 플레이트(120)의 테두리 및 내솥 커버(110)의 테두리를 측 방향에서 감싸는 측벽부(1713)와, 측벽부(1713)의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탑 플레이트(120)의 상면 테두리부에 걸리는 상부 몸체(1711)와, 상기 측벽부(1713)의 하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하부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블레이드(171)의 하부 몸체는 내솥(210)의 플랜지부(211)에 걸림 고정되도록 구성된 걸림 돌기(177)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구조체(170)는 잠금 블레이드(171)의 상단부의 내주에 연결되며, 탑 플레이트(120)와 회전 커버(130) 사이에 배치된 연결 플레이트(17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173)는 직선 방향으로 연장된 홈(174)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173)의 홈(174)은 잠금 구조체(170)의 선형 이동을 안내하는 것과 함께, 잠금 구조체(17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나사와 같은 체결 구조(187)는 연결 플레이트(173)의 홈(174)을 통해, 탑 플레이트(120)의 보스(123)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잠금 구조체(170)의 선형 이동은, 홈(174)의 일 단부가 체결 구조(187)에 걸리는 위치로부터 홈(174)의 타 단부가 체결 구조(187)에 걸리는 위치 사이로 제한될 수 있다.
회전 커버(130)는 대체로 회전 커버(1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홈(135)을 포함하며, 잠금 구조체(170)의 연결 플레이트(173)는 회전 커버(130)의 가이드 홈(135)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17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커버(130)가 회전하는 동안, 회전 커버(130)와 가이드 홈(135)에 수용된 가이드 돌기(175) 사이의 물리적인 간섭에 의해 잠금 구조체(170)의 선형 이동이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135)은 가이드 홈(135)의 일 단부와 타 단부 사이에서 가이드 홈(135)의 연장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된 제1 위치(P1), 제2 위치(P2), 제3 위치(P3), 및 제4 위치(P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135)의 제1 위치(P1), 제3 위치(P3), 및 제4 위치(P4)는 회전 커버(130)의 회전 중심(RC)으로부터 제1 거리(D1)로 이격될 수 있고, 가이드 홈(135)의 제2 위치(P2)는 회전 커버(130)의 회전 중심(RC)으로부터 제1 거리(D1)보다 큰 제2 거리(D2)로 이격될 수 있다.
회전 커버(130)의 회전 각도에 따라, 가이드 홈(135)에 대한 가이드 돌기(175)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하게 된다. 가이드 돌기(175)가 회전 커버(130)의 회전 중심(RC)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1 거리(D1)로 이격된 가이드 홈(135)의 제1 위치(P1), 제3 위치(P3), 및 제4 위치(P4)에 있을 때, 잠금 구조체(170)는 걸림 돌기(177)가 내솥(210)의 플랜지부(211)에 걸림 가능한 잠금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75)가 회전 커버(130)의 회전 중심(RC)으로부터 제1 거리(D1)보다 큰 제2 거리(D2)로 이격된 가이드 홈(135)의 제2 위치(P2)에 있을 때, 잠금 구조체(170)는 잠금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격된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즉, 가이드 돌기(175)가 가이드 홈(135)의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및 가이드 홈(135)의 제3 위치(P3)로부터 제2 위치(P2)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잠금 구조체(170)는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가이드 돌기(175)가 가이드 홈(135)의 제2 위치(P2)로부터 제1 위치(P1)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및 가이드 홈(135)의 제2 위치(P2)로부터 제3 위치(P3)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잠금 구조체(170)는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0은 뚜껑 어셈블리(100)의 조작 핸들(183)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조작 핸들(183)은 제1 회전 방향으로 차례로 이격된 제1 회전 위치, 제2 회전 위치, 제3 회전 위치, 및 제4 회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조작 핸들(183)의 제1 내지 제4 회전 위치는 임의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조작 핸들(183)이 회전된 회전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 핸들(183)의 제1 회전 위치는 조작 핸들(183)의 정렬 돌기(1831)가 뚜껑 커버(101)에 마련된 제1 표식자(188a)에 정렬되는 위치일 수 있고, 조작 핸들(183)의 제2 회전 위치는 조작 핸들(183)의 정렬 돌기(1831)가 뚜껑 커버(101)에 마련된 제2 표식자(188b)에 정렬되는 위치일 수 있고, 조작 핸들(183)의 제3 회전 위치는 조작 핸들(183)의 정렬 돌기(1831)가 뚜껑 커버(101)에 마련된 제3 표식자(188c)에 정렬되는 위치일 수 있고, 조작 핸들(183)의 제4 회전 위치는 조작 핸들(183)의 정렬 돌기(1831)가 뚜껑 커버(101)에 마련된 제4 표식자(188d)에 정렬되는 위치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커버(130)는 조작 핸들(183)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므로, 조작 핸들(183)의 회전 시 회전 커버(130)가 회전하고, 회전 커버(130)의 가이드 홈(135)에 대한 가이드 돌기(175)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조작 핸들(183)의 제1 회전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 돌기(175)는 가이드 홈(135)의 제1 위치(P1)에 위치되고, 조작 핸들(183)의 제2 회전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 돌기(175)는 가이드 홈(135)의 제2 위치(P2)에 위치되고, 조작 핸들(183)의 제3 회전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 돌기(175)는 가이드 홈(135)의 제3 위치(P3)에 위치되고, 조작 핸들(183)의 제4 회전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 돌기(175)는 가이드 홈(135)의 제4 위치(P4)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1은 회전 커버(130)의 회전 각도에 따른 뚜껑 어셈블리(1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12는 조작 핸들(183)의 회전 위치 변화에 따른, 가이드 돌기(175)의 위치 변화, 잠금 구조체(170)의 동작, 리프트 핀(181)의 동작, 셔터 구조체(147)의 동작, 및 내솥(210)의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뚜껑 어셈블리(100)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10)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의 (a)는 조작 핸들(183)이 제1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뚜껑 어셈블리(100)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핸들(183)이 제1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가이드 돌기(175)는 가이드 홈(135)의 제1 위치(P1)에 위치되므로, 잠금 구조체(17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구조체(170)의 걸림 돌기(177)가 내솥(210)의 플랜지부(211)에 걸림되는 잠금 위치에 위치된다.
조작 핸들(183)이 제1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커버(130)의 제1 표면부(137)에 지지된 리프트 핀(181)은 핀-업 위치로 상승되어 있어 제1 압력 제어 장치(140)의 제1 상부 유로(143P)의 유출구 및 제2 압력 제어 장치(150)의 제2 유로(151P)의 유출구를 강제 개방시키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구조체(147)는 제1 하부 유로(141P)의 유출구(141PO)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조리가 진행되는 동안, 내솥(210)의 수용 공간에 발생된 증기는 제1 압력 제어 장치(140) 및 제2 압력 제어 장치(15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므로,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압력은 무압(예를 들어, 대기압 또는 이에 근접한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1의 (b)는 조작 핸들(183)이 제2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뚜껑 어셈블리(100)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핸들(183)이 제1 회전 위치에서 제2 회전 위치로 전환되면, 가이드 돌기(175)는 가이드 홈(135)의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이동하고, 잠금 구조체(17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잠금 해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잠금 구조체(170)의 잠금 해제 위치에서 걸림 돌기(177)는 내솥(210)에 맞물리지 않으므로, 뚜껑 어셈블리(100)의 개방을 위한 회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조작 핸들(183)이 제2 회전 위치에 있을 때, 뚜껑 어셈블리(100)를 개방하여, 조리 재료의 투입 및 조리 상태 점검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조작 핸들(183)이 제2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조작 핸들(183)이 제1 회전 위치에 있을 때와 마찬가지로 리프트 핀(181)은 핀-업 위치에 있고 셔터 구조체(147)는 개방 위치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조리가 진행되는 동안, 내솥(210)의 수용 공간에 발생된 증기는 제1 압력 제어 장치(140) 및 제2 압력 제어 장치(15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므로,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압력은 무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1의 (c)는 조작 핸들(183)이 제3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뚜껑 어셈블리(100)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핸들(183)이 제2 회전 위치에서 제3 회전 위치로 전환되면, 가이드 돌기(175)는 가이드 홈(135)의 제2 위치(P2)로부터 제3 위치(P3)로 이동하고, 잠금 구조체(17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잠금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조작 핸들(183)이 제3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커버(130)의 제2 표면부(138)에 지지된 리프트 핀(181)은 핀-다운 위치로 하강되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구조체(147)는 제1 하부 유로(141P)의 유출구(141PO)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조리가 진행되는 동안, 내솥(210)의 수용 공간에 발생된 증기는 서로 연통하는 제1 압력 제어 장치(140)의 제1 하부 유로(141P) 및 제1 상부 유로(143P)로 유동하게 되며,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압력은 제1 압력 제어 장치(14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이 미리 정해진 제1 압력 또는 이에 근접한 수준까지 높아진 경우에 증기가 제1 압력 제어 장치(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압력은 제1 압력 또는 이에 근접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1의 (d)는 조작 핸들(183)이 제4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뚜껑 어셈블리(100)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핸들(183)이 제3 회전 위치에서 제4 회전 위치로 전환되면, 가이드 돌기(175)는 가이드 홈(135)의 제3 위치(P3)로부터 제4 위치(P4)로 이동하고, 잠금 구조체(170)는 조작 핸들(183)이 제3 회전 위치에 있을 때와 마찬가지로 잠금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조작 핸들(183)이 제4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리프트 핀(181)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다운 위치에 위치되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구조체(147)는 제1 하부 유로(141P)의 유출구(141PO)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조리가 진행되는 동안, 제1 압력 제어 장치(140)를 통한 증기의 배출이 불능 상태가 되므로, 내솥(210)의 수용 공간에 발생된 증기는 제2 압력 제어 장치(150)의 제2 유로(151P)로 유동하게 되며,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압력은 제2 압력 제어 장치(15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이 미리 정해진 제2 압력 또는 이에 근접한 수준까지 높아진 경우에 증기가 제2 압력 제어 장치(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압력은 제2 압력 또는 이에 근접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리 장치(10)는 다양한 압력 조리 모드, 예를 들어 무압으로 조리하는 무압 조리 모드(또는, 저압 조리 모드), 제1 압력으로 조리하는 제1 고압 조리 모드, 및 제2 압력으로 조리하는 제2 고압 조리 모드를 제공하므로, 조리 재료 및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리성 및 조리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의 뚜껑 어셈블리(100a)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의 뚜껑 어셈블리(100a)의 압력 제어 장치(103a)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4a는 셔터 구조체(310)가 제1 하부 유로(141Pa)를 개방하는 셔터 구조체(310)의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b는 셔터 구조체(310)가 제1 하부 유로(141Pa)를 폐쇄하는 셔터 구조체(310)의 페쇄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뚜껑 어셈블리(100a)는 푸시 구조체(도 3의 190 참조)가 생략된 점, 제1 압력 제어 장치(140a)의 구성 및 동작 상의 차이점 등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 뚜껑 어셈블리(100a)와 대체로 유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 뚜껑 어셈블리(100)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1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13,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뚜껑 어셈블리(100a)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압력 제어 장치(103a)는 내솥(210)의 수용 공간에 제1 압력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1 압력 제어 장치(140a)와, 내솥(210)의 수용 공간에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2 압력 제어 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력 제어 장치(140a)는 전기적 제어 신호에 따라 증기의 배출 여부를 조절하는 전자 제어식 밸브일 수 있다. 제1 압력 제어 장치(140a)는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제1 하부 실린더(141a) 및 제1 상부 실린더(143)를 포함하는 제1 실린더, 제1 무게추(145), 및 셔터 구조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실린더(141a)는 내솥(210)의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제1 하부 유로(141P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유로(141Pa)는 탑 플레이트(120)의 제1 상부 증기 홀(121H1) 및 내솥 커버(110)의 제1 하부 증기 홀(111H1)을 통해 내솥(210)의 수용 공간과 연통할 수 있다. 제1 하부 유로(141Pa)는 탑 플레이트(120)의 제1 상부 증기 홀(121H1)에 연통하는 유입구로부터, 제1 하부 실린더(141a)의 상측에 마련된 유출구까지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상부 실린더(143)는 제1 하부 실린더(141a)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1 하부 유로(141Pa)에 연통하는 제1 상부 유로(143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 유로(143P)는 제1 하부 실린더(141a)의 유출구와 연통하는 유입구로부터, 제1 상부 실린더(143)의 상측에 마련된 유출구까지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무게추(145)는 제1 상부 실린더(143)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무게추(145)는 제1 상부 유로(143P)의 유출구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제1 압력 돌기(14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력 돌기(1451)는 제1 상부 유로(143P)에 형성되는 증기압의 레벨에 따라, 제1 상부 유로(143P)의 유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셔터 구조체(310)는 제1 압력 제어 장치(140a)를 통한 증기 배출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셔터 구조체(310)는 제1 하부 유로(141Pa)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셔터 구조체(310)는 제1 하부 유로(141Pa)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제1 하부 유로(141Pa)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셔터 구조체(310)는 탑 플레이트(120) 상에 장착된 프레임(311)과, 상기 프레임(31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셔터 로드(313)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 로드(313)는 모터와 같은 액츄에이터(312)에 연결되며, 셔터 로드(313)의 이동은 액츄에이터(31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구조체(310)의 폐쇄 위치에서, 셔터 로드(313)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하부 유로(141Pa)의 중간 부분에 삽입되어, 제1 하부 유로(141Pa)를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하부 유로(141Pa)가 폐쇄되어, 제1 압력 제어 장치(140a)를 통한 증기 배출이 불능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구조체(310)의 개방 위치에서, 셔터 로드(313)는 제1 하부 유로(141Pa)가 막히지 않도록 셔터 구조체(310)의 폐쇄 위치로부터 후퇴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셔터 구조체(310)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의 전환은 셔터 로드(313)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므로, 셔터 구조체(310)의 개방 위치는 제1 하부 유로(141Pa)를 개방시키는 셔터 로드(313)의 개방 위치를 의미할 수 있고, 셔터 구조체(310)의 폐쇄 위치는 제1 하부 유로(141Pa) 를 폐쇄시키는 셔터 로드(313)의 폐쇄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조리 장치는 조작 핸들(도 10의 183)의 회전 위치 및/또는 회전 커버(13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과, 감지 수단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제1 압력 제어 장치(140a)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수단은 예를 들어 리드 스위치(reed switch), 광 센서, 기계식 센서 등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도 1의 200)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수단은, 조작 핸들(183)의 회전 위치 및/또는 회전 커버(13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감지 수단은 회전 커버(130)의 회전에 따라 가변하는 가이드 홈(135) 내의 가이드 돌기(175) 위치, 및/또는 회전 커버(130)의 회전에 따라 가변하는 회전 구속 홈(133) 내의 체결 구조(185)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기는 감지 수단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셔터 구조체(310)를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1 제어 신호 및 셔터 구조체(310)를 폐쇄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압력 제어 장치(103a)에 의한 압력 제어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는 셔터 로드(313)에 연결된 액츄에이터(312)에 제1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셔터 로드(313)를 개방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셔터 로드(313)의 개방 위치에서, 제1 하부 유로(141Pa)와 제1 상부 유로(143P)는 서로 연통하며, 내솥(210)의 수용 공간에서 발생된 증기는 제1 하부 유로(141Pa)를 통해 제1 상부 유로(143P)로 유입될 수 있다. 만약,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이 미리 정해진 제1 압력보다 낮은 경우, 제1 상부 유로(143P)의 유출구는 제1 무게추(145)의 제1 압력 돌기(1451)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만약,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이 미리 정해진 제1 압력 또는 이에 근접한 수준까지 높아진 경우, 제1 무게추(145)의 제1 압력 돌기(1451)가 증기압에 의해 들려 제1 상부 유로(143P)의 유출구가 개방되고,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은 제1 압력 또는 이에 근접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장치의 제어기는 셔터 로드(313)에 연결된 액츄에이터(312)에 제2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셔터 로드(313)를 폐쇄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어기에서 제공된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셔터 로드(313)는 제1 하부 유로(141Pa)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하부 유로(141Pa)가 셔터 로드(313)에 의해 폐쇄되므로, 제1 압력 제어 장치(140a)를 통한 증기 배출은 불능 상태가 된다. 제1 하부 유로(141Pa)가 셔터 구조체(310)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동안,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는 제2 하부 에어 홀(111H2) 및 제2 상부 증기 홀(121H2)에 연통하는 제2 실린더(151)의 제2 유로(151P)로 유입될 수 있다. 만약,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이 제1 압력을 넘어 제2 압력 및 이에 근접한 수준까지 높아지면, 제2 무게추(155)의 제2 압력 돌기(1551)가 증기압에 의해 들려 제2 유로(151P)의 유출구가 개방되고,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은 제2 압력 또는 이에 근접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5는 회전 커버(130)의 회전 각도에 따른 뚜껑 어셈블리(100a)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16은 도 13의 뚜껑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에서, 조작 핸들(183)의 회전 위치 변화에 따른, 가이드 돌기(175)의 위치 변화, 잠금 구조체(170)의 동작, 리프트 핀(181)의 동작, 셔터 구조체(310)의 동작, 및 내솥(210)의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참고로, 도 16의 테이블에서, 조작 핸들(183)이 제3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잠금 구조체(147)의 위치, 리프트 핀(181)의 위치, 셔터 구조체(310)의 위치, 및 내솥(210)의 압력은 조작 핸들(183)이 제4 회전 위치에 있을 때와 동일하여 생략되었다.
이하에서, 도 13 내지 도 16을 도 6a 내지 도 10과 함께 참조하여, 뚜껑 어셈블리(100a)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의 (a)는 조작 핸들(183)이 제1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뚜껑 어셈블리(100a)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핸들(183)이 제1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가이드 돌기(175)는 가이드 홈(135)의 제1 위치(P1)에 위치되며, 잠금 구조체(17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구조체(170)의 걸림 돌기(177)가 내솥(210)의 플랜지부(211)에 걸림되는 잠금 위치에 위치된다.
조작 핸들(183)이 제1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커버(130)의 제1 표면부(137)에 지지된 리프트 핀(181)은 핀-업 위치로 상승되어 있어 제1 압력 제어 장치(140a)의 제1 상부 유로(143P)의 유출구 및 제2 압력 제어 장치(150)의 제2 유로(151P)의 유출구를 강제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 핸들(183)이 제1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감지 수단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제어기는 셔터 구조체(310)를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셔터 구조체(310)에 인가할 수 있다. 셔터 구조체(310)는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제1 하부 유로(141Pa)를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에 위치된다. 이 경우, 조리가 진행되는 동안, 내솥(210)의 수용 공간에 발생된 증기는 제1 압력 제어 장치(140a) 및 제2 압력 제어 장치(15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므로,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압력은 무압(예를 들어, 대기압 또는 이에 근접한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5의 (b)는 조작 핸들(183)이 제2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뚜껑 어셈블리(100a)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핸들(183)이 제1 회전 위치에서 제2 회전 위치로 전환되면, 가이드 돌기(175)는 가이드 홈(135)의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이동하고, 잠금 구조체(17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잠금 해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잠금 구조체(170)의 잠금 해제 위치에서 걸림 돌기(177)는 내솥(210)에 맞물리지 않으므로, 뚜껑 어셈블리(100a)의 개방을 위한 회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조작 핸들(183)이 제2 회전 위치에 있을 때, 뚜껑 어셈블리(100a)를 개방하여, 조리 재료의 투입 및 조리 상태 점검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조작 핸들(183)이 제2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조작 핸들(183)이 제1 회전 위치에 있을 때와 마찬가지로 리프트 핀(181)은 핀-업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조작 핸들(183)이 제2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감지 수단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제어기는 셔터 구조체(310)를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셔터 구조체(310)에 인가할 수 있다. 셔터 구조체(310)는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제1 하부 유로(141Pa)를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조리가 진행되는 동안, 내솥(210)의 수용 공간에 발생된 증기는 제1 압력 제어 장치(140a) 및 제2 압력 제어 장치(15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므로,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압력은 무압(예를 들어, 대기압 또는 이에 근접한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5의 (c)는 조작 핸들(183)이 제4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뚜껑 어셈블리(100a)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5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핸들(183)이 제2 회전 위치에서 제4 회전 위치로 전환되면, 가이드 돌기(175)는 가이드 홈(135)의 제2 위치(P2)로부터 제4 위치(P4)로 이동하고, 잠금 구조체(17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잠금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조작 핸들(183)이 제4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커버(130)의 제2 표면부(138)에 지지된 리프트 핀(181)은 핀-다운 위치로 하강되며,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은 제1 압력 제어 장치(140a) 및/또는 제2 압력 제어 장치(15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조작 핸들(183)이 제4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감지 수단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제어기는 셔터 구조체(310)를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1 제어 신호 및 셔터 구조체(310)를 폐쇄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2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셔터 구조체(310)에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는 미리 정해진 조리 레시피에 따라, 셔터 구조체(310)에 제1 제어 신호 또는 제2 제어 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는 미리 정해진 조리 레시피에 따른 조리 시간에 따라 셔터 구조체(310)에 제1 제어 신호 또는 제2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을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조작 핸들(183)이 제4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제어기가 셔터 구조체(310)에 제1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셔터 로드(313)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부 유로(141Pa)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위치되며, 제1 하부 유로(141Pa)와 제1 상부 유로(143P)는 서로 연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가 진행되는 동안, 내솥(210)의 수용 공간에 발생된 증기는 제1 압력 제어 장치(140a)의 제1 하부 유로(141Pa) 및 제1 상부 유로(143P) 유동하게 되며,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압력은 제1 압력 제어 장치(140a)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이 미리 정해진 제1 압력 또는 이에 근접한 수준까지 높아진 경우에 증기가 제1 압력 제어 장치(140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압력은 제1 압력 또는 이에 근접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만약, 조작 핸들(183)이 제4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제어기가 셔터 구조체(310)에 제2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셔터 로드(313)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부 유로(141Pa)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위치되며, 조리가 진행되는 동안 제1 압력 제어 장치(140a)를 통한 증기의 배출이 불능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내솥(210)의 수용 공간에 발생된 증기는 제2 압력 제어 장치(150)의 제2 유로(151P)로 유동하게 되며,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압력은 제2 압력 제어 장치(15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이 미리 정해진 제2 압력 또는 이에 근접한 수준까지 높아진 경우에 증기가 제2 압력 제어 장치(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압력은 제2 압력 또는 이에 근접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의 뚜껑 어셈블리(100b)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뚜껑 어셈블리(100b)의 압력 제어 장치(103b)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도 17의 뚜껑 어셈블리(100b)의 압력 제어 장치(103b)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9a는 제1 셔터 로드(323)가 제1 하부 유로(141Pb)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있고 제2 셔터 로드(324)가 제2 하부 유로(152P)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9b는 제1 셔터 로드(323)가 제1 하부 유로(141Pb)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있고 제2 셔터 로드(324)가 제2 하부 유로(152P)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9c는 제1 셔터 로드(323)가 제1 하부 유로(141Pb)를 폐쇄 하는 폐쇄 위치에 있고 제2 셔터 로드(324)가 제2 하부 유로(152P)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7, 도 18, 도 19a 내지 도 19c에 도시된 뚜껑 어셈블리(100b)는 압력 제어 장치(103b)의 구성 및 동작 상의 차이점 등을 제외하고는, 도 13 내지 도 17를 참조하여 설명된 뚜껑 어셈블리(100b)와 대체로 유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된 뚜껑 어셈블리(100a)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17, 도 19a 내지 도 19c에 도시된 뚜껑 어셈블리(100b)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 도 18, 도 19a 내지 도 19c를 참조하면, 압력 제어 장치(103b)는 내솥(210)의 수용 공간에 제1 압력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1 압력 제어 장치(140b)와, 내솥(210)의 수용 공간에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2 압력 제어 장치(150a)와, 제1 압력 제어 장치(140b) 및 제2 압력 제어 장치(150a) 각각을 통한 증기 배출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셔터 구조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력 제어 장치(140b) 및 제2 압력 제어 장치(150a)는 각각, 전기적 제어 신호에 따라 증기의 배출 여부를 조절하는 전자 제어식 밸브일 수 있다.
제1 압력 제어 장치(140b)는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제1 하부 실린더(141b) 및 제1 상부 실린더(143)를 포함하는 제1 실린더, 및 제1 무게추(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실린더(141b)는 내솥(210)의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제1 하부 유로(141P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유로(141Pb)는 탑 플레이트(120)의 제1 상부 증기 홀(121H1) 및 내솥 커버(110)의 제1 하부 증기 홀(111H1)을 통해 내솥(210)의 수용 공간과 연통할 수 있다. 제1 하부 유로(141Pb)는 탑 플레이트(120)의 제1 상부 증기 홀(121H1)에 연통하는 유입구로부터, 제1 하부 실린더(141b)의 유출구까지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상부 실린더(143)는 제1 하부 실린더(141b)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1 하부 실린더(141b)에 연통하는 제1 상부 유로(143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 유로(143P)는 제1 하부 실린더(141b)의 유출구와 연통하는 유입구로부터, 제1 상부 실린더(143)의 상측에 마련된 유출구까지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무게추(145)는 제1 상부 실린더(143)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무게추(145)는 제1 상부 유로(143P)의 유출구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제1 압력 돌기(14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력 돌기(1451)는 제1 상부 유로(143P)에 형성되는 증기압의 레벨에 따라, 제1 상부 유로(143P)의 유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제2 압력 제어 장치(150a)는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제2 하부 실린더(152) 및 제2 상부 실린더(153)를 포함하는 제2 실린더, 및 제2 무게추(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부 실린더(152)는 내솥(210)의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제2 하부 유로(152P)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부 유로(152P)는 탑 플레이트(120)의 제2 상부 증기 홀(121H2) 및 내솥 커버(110)의 제2 하부 증기 홀(111H2)을 통해 내솥(210)의 수용 공간과 연통할 수 있다. 제2 하부 유로(152P)는 탑 플레이트(120)의 제2 상부 증기 홀(121H2)에 연통하는 유입구로부터, 제2 하부 실린더(152)의 상측에 마련된 유출구까지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상부 실린더(153)는 제2 하부 실린더(152)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하부 유로(152P)에 연통하는 제2 상부 유로(153P)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부 유로(153P)는 제2 하부 실린더(152)의 유출구와 연통하는 유입구로부터, 제2 상부 실린더(153)의 상측에 마련된 유출구까지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무게추(155)는 제2 상부 실린더(153)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무게추(155)는 제2 상부 유로(153P)의 유출구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제2 압력 돌기(15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압력 돌기(1551)는 제2 상부 유로(153P)에 형성되는 증기압의 레벨에 따라, 제2 상부 유로(153P)의 유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셔터 구조체(320)는 탑 플레이트(120) 상에 장착된 프레임(321), 프레임(32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 하부 유로(141Pb)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제1 셔터 로드(323), 프레임(31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2 하부 유로(152P)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제2 셔터 로드(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셔터 로드(323)는 제1 하부 유로(141Pb)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제1 하부 유로(141Pb)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형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셔터 로드(324)는 제2 하부 유로(152P)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제2 하부 유로(152P)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형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셔터 로드(323) 및 제2 셔터 로드(324)는 액츄에이터(322)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셔터 로드(323)의 이동 및 제2 셔터 로드(324)의 이동은 액츄에이터(32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셔터 로드(323)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제1 셔터 로드(323)의 일부분이 제1 하부 유로(141Pb)의 중간 부분에 삽입되어 제1 하부 유로(141Pb)를 폐쇄하므로, 제1 압력 제어 장치(140b)를 통한 증기 배출이 불능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셔터 로드(323)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제1 셔터 로드(323)는 제1 하부 유로(141Pb)가 막히지 않도록 폐쇄 위치로부터 후퇴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셔터 로드(324)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제2 셔터 로드(324)의 일부분이 제2 하부 유로(152P)의 중간 부분에 삽입되어 제2 하부 유로(152P)를 폐쇄하므로, 제2 압력 제어 장치(150a)를 통한 증기 배출이 불능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셔터 로드(324)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제2 셔터 로드(324)는 제2 하부 유로(152P)가 막히지 않도록 폐쇄 위치로부터 후퇴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조리 장치는 조작 핸들(도 10의 183)의 회전 위치 및/또는 회전 커버(13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과, 감지 수단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압력 제어 장치(103b)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수단은 예를 들어 리드 스위치(reed switch), 광 센서, 기계식 센서 등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도 1의 200)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수단은, 조작 핸들(183)의 회전 위치 및/또는 회전 커버(13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감지 수단은 회전 커버(130)의 회전에 따라 가변하는 가이드 홈(135) 내의 가이드 돌기(175) 위치, 및/또는 회전 커버(130)의 회전에 따라 가변하는 회전 구속 홈(133) 내의 체결 구조(185)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기는 감지 수단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제1 셔터 로드(323)를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1 제어 신호, 제1 셔터 로드(323)를 폐쇄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2 제어 신호, 제2 셔터 로드(324)를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3 제어 신호, 및 제2 셔터 로드(324)를 폐쇄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4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압력 제어 장치(103b)에 의한 압력 제어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는 액츄에이터(322)에 제1 제어 신호 및 제3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1 셔터 로드(323) 및 제2 셔터 로드(324)를 각각 개방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1 셔터 로드(323) 및 제2 셔터 로드(324)가 각각 개방 위치에 위치되면, 제1 압력 제어 장치(140b)의 제1 하부 유로(141Pb) 및 제1 상부 유로(143P)가 서로 연통하고, 제2 압력 제어 장치(150a)의 제2 하부 유로(152P) 및 제2 상부 유로(153P)가 서로 연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압력 제어 장치(140b)는 제2 압력 제어 장치(150a)보다 낮은 레벨로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므로, 내솥(210) 내에서 발생된 증기는 대체로 제1 압력 제어 장치(140b)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만약,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이 미리 정해진 제1 압력 또는 이에 근접한 수준까지 높아진 경우, 제1 무게추(145)의 제1 압력 돌기(1451)가 증기압에 의해 들려 제1 상부 유로(143P)의 유출구가 개방되고,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은 제1 압력 또는 이에 근접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는 액츄에이터(322)에 제1 제어 신호 및 제4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1 셔터 로드(323)를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고 제2 셔터 로드(324)를 폐쇄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2 하부 유로(152P)가 제2 셔터 로드(324)에 의해 폐쇄되므로, 제2 압력 제어 장치(150a)를 통한 증기 배출은 불능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내솥(210) 내에서 발생된 증기는 제1 압력 제어 장치(140b)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만약,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이 미리 정해진 제1 압력 또는 이에 근접한 수준까지 높아진 경우, 제1 무게추(145)의 제1 압력 돌기(1451)가 증기압에 의해 들려 제1 상부 유로(143P)의 유출구가 개방되고,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은 제1 압력 또는 이에 근접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는 액츄에이터(322)에 제2 제어 신호 및 제3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1 셔터 로드(323)를 폐쇄 위치에 위치시키고 제2 셔터 로드(324)를 개방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1 하부 유로(141Pb)가 제1 셔터 로드(323)에 의해 폐쇄되므로, 제1 압력 제어 장치(140b)를 통한 증기 배출은 불능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내솥(210) 내에서 발생된 증기는 제2 압력 제어 장치(150a)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만약,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이 제1 압력을 넘어 제2 압력 및 이에 근접한 수준까지 높아지면, 제2 무게추(155)의 제2 압력 돌기(1551)가 증기압에 의해 들려 제2 유로(151P)의 유출구가 개방되고,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은 제2 압력 또는 이에 근접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20은 도 17의 뚜껑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에서, 조작 핸들(183)의 회전 위치 변화에 따른, 가이드 돌기(175)의 위치 변화, 잠금 구조체(170)의 동작, 리프트 핀(181)의 동작, 셔터 구조체(320)의 동작, 및 내솥(210)의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참고로, 도 20의 테이블에서, 조작 핸들(183)이 제3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잠금 구조체(147)의 위치, 리프트 핀(181)의 위치, 제1 셔터 로드(323)의 위치, 제2 셔터 로드(324)의 위치, 및 내솥 압력은 조작 핸들(183)이 제4 회전 위치에 있을 때와 동일하여 생략되었다.
이하에서, 도 17 내지 도 20를 도 6a 내지 도 10과 함께 참조하여,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뚜껑 어셈블리(100a)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의 동작 방법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뚜껑 어셈블리(100b)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 핸들(183)이 제1 회전 위치에 있을 때는, 앞서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뚜껑 어셈블리(100a)에서와 유사하게, 잠금 구조체(170)는 잠금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조작 핸들(183)이 제1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앞서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뚜껑 어셈블리(100a)에서와 유사하게, 제1 압력 제어 장치(140b)의 제1 상부 유로(143P)의 유출구 및 제2 압력 제어 장치(150a)의 제2 상부 유로(153P)의 유출구는 핀-업 위치로 상승된 리프트 핀(181)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조작 핸들(183)이 제1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제어기는 셔터 구조체(320)에 제1 제어 신호 및 제3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1 셔터 로드(323) 및 제2 셔터 로드(324)를 개방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조리가 진행되는 동안, 내솥(210)의 수용 공간에 발생된 증기는 제1 압력 제어 장치(140b) 및 제2 압력 제어 장치(150a)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므로,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압력은 무압(예를 들어, 대기압 또는 이에 근접한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조작 핸들(183)이 제2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앞서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뚜껑 어셈블리(100a)에서와 유사하게, 잠금 구조체(170)는 잠금 해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조작 핸들(183)이 제2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앞서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뚜껑 어셈블리(100a)에서와 유사하게, 제1 압력 제어 장치(140b)의 제1 상부 유로(143P)의 유출구 및 제2 압력 제어 장치(150a)의 제2 상부 유로(153P)의 유출구는 핀-업 위치로 상승된 리프트 핀(181)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조작 핸들(183)이 제2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제어기는 셔터 구조체(320)에 제1 제어 신호 및 제3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1 셔터 로드(323) 및 제2 셔터 로드(324)를 개방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조리가 진행되는 동안, 내솥(210)의 수용 공간에 발생된 증기는 제1 압력 제어 장치(140b) 및 제2 압력 제어 장치(150a)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므로,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압력은 무압(예를 들어, 대기압 또는 이에 근접한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조작 핸들(183)이 제4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앞서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뚜껑 어셈블리(100a)에서와 유사하게, 잠금 구조체(170)는 잠금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조작 핸들(183)이 제4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앞서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뚜껑 어셈블리(100a)에서와 유사하게, 리프트 핀(181)은 핀-다운 위치로 하강되며,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은 제1 압력 제어 장치(140b) 및/또는 제2 압력 제어 장치(150a)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조작 핸들(183)이 제4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감지 수단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제어기는 제1 셔터 로드(323)에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인가하고 제2 셔터 로드(324)에 제3 제어 신호 및 제4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는 미리 정해진 조리 레시피에 따라, 제1 셔터 로드(323)에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인가하고 제2 셔터 로드(324)에 제3 제어 신호 및 제4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는 미리 정해진 조리 레시피에 따른 조리 시간에 따라 셔터 구조체(320)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를 조절하여,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을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조작 핸들(183)이 제4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제1 셔터 로드(323)에 제1 제어 신호가 인가되고 제2 셔터 로드(324)에 제3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셔터 로드(323) 및 제2 셔터 로드(324)는 각각 개방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압력 제어 장치(140b)는 제2 압력 제어 장치(150a)보다 낮은 레벨로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므로, 내솥(210) 내에서 발생된 증기는 대체로 제1 압력 제어 장치(140b)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은 제1 압력 및 이에 근접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만약, 조작 핸들(183)이 제4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제1 셔터 로드(323)에 제1 제어 신호가 인가되고 제2 셔터 로드(324)에 제4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셔터 로드(323)는 개방 위치에 위치되고 제2 셔터 로드(324)는 폐쇄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압력 제어 장치(150a)를 통한 증기 배출은 불능 상태가 되며, 내솥(210) 내에서 발생된 증기는 제1 압력 제어 장치(140b)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은 제1 압력 및 이에 근접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만약, 조작 핸들(183)이 제4 회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제1 셔터 로드(323)에 제2 제어 신호가 인가되고 제2 셔터 로드(324)에 제3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셔터 로드(323)는 폐쇄 위치에 위치되고 제2 셔터 로드(324)는 개방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압력 제어 장치(140b)를 통한 증기 배출은 불능 상태가 되며, 내솥(210) 내에서 발생된 증기는 제2 압력 제어 장치(150a)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솥(210)의 수용 공간의 증기압은 제2 압력 및 이에 근접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조리 장치 100: 뚜껑 어셈블리
101: 뚜껑 커버 110: 내솥 커버
120: 탑 플레이트 130: 회전 커버
140: 제1 압력 제어 장치 150: 제2 압력 제어 장치
170: 잠금 구조체 181: 리프트 핀
183: 조작 핸들 190: 푸시 구조체
200: 본체 210: 내솥

Claims (7)

  1. 내솥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뚜껑 커버 내에 마련된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탑 플레이트 상에 결합된 회전 커버;
    상기 내솥의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제1 하부 유로를 포함하는 제1 하부 실린더; 제1 하부 유로와 연통하는 제1 상부 유로를 포함하는 제1 상부 실린더; 및 상기 제1 상부 실린더 상에 있고 상기 내솥의 상기 수용 공간의 증기압에 따라 상기 제1 상부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제1 무게추;를 포함하는 제1 압력 제어 장치;
    상기 내솥의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제2 하부 유로를 포함하는 제2 하부 실린더; 제2 하부 유로와 연통하는 제2 상부 유로를 포함하는 제2 상부 실린더; 및 상기 제2 상부 실린더 상에 있고 상기 내솥의 상기 수용 공간의 증기압에 따라 상기 제2 상부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제2 무게추;를 포함하는 제2 압력 제어 장치; 및
    상기 제1 하부 유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제1 하부 유로에 삽입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제1 하부 유로를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1 셔터 로드; 상기 제2 하부 유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제2 하부 유로에 삽입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제2 하부 유로를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2 셔터 로드; 및 상기 제1 셔터 로드 및 상기 제2 셔터 로드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셔터 구조체;
    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제어 장치는 상기 내솥의 상기 수용 공간의 증기압을 제1 압력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압력 제어 장치는 상기 내솥의 상기 수용 공간의 증기압을 상기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조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커버에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된 리프트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핀은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 각도에 따라 핀-다운 위치와 핀-업 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리프트 핀은 상기 핀-업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상부 실린더의 상기 제1 상부 유로의 유출구가 강제 개방되도록 상기 제1 무게추를 들어올리고 상기 제2 상부 실린더의 상기 제2 상부 유로의 유출구가 강제 개방되도록 상기 제2 무게추를 들어올리는 조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커버는 제1 높이에 있는 제1 표면부 및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에 있는 제2 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핀은 상기 회전 커버의 상기 제1 표면부에 지지되어 상기 핀-업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 커버의 상기 제2 표면부에 지지되어 상기 핀-업 위치로부터 하강된 상기 핀-다운 위치에 위치되는 조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의 플랜지부에 걸리도록 구성된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잠금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구조체는 상기 탑 플레이트에 선형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잠금 구조체는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내솥의 상기 플랜지부에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위치된 잠금 위치와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격된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선형 이동하도록 구성된 조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커버는 그 연장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된 제1 위치, 제2 위치, 및 제3 위치를 포함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1 위치 및 제3 위치는 각각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로 이격된 위치이고,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회전 커버의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로 이격된 위치이고,
    상기 잠금 구조체는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며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1 내지 제3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는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구조체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잠금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잠금 구조체의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잠금 해제 위치에 위치되는 조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 각도에 따라 핀-다운 위치와 핀-업 위치 사이에서 승강하여, 상기 제1 무게추 및 상기 제2 무게추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리프트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핀은,
    상기 잠금 구조체의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상부 실린더의 상기 제1 상부 유로의 유출구 및 상기 제2 상부 실린더의 상기 제2 상부 유로의 유출구가 강제 개방되도록 상기 제1 무게추 및 상기 제2 무게추를 들어올리는 상기 핀-업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잠금 구조체의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핀-업 위치로부터 하강된 상기 핀-다운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셔터 구조체는,
    상기 잠금 구조체의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하부 유로 및 제2 하부 유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1 셔터 로드 및 상기 제2 셔터 로드를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잠금 구조체의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내솥의 상기 수용 공간의 증기압이 제1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셔터 로드를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잠금 구조체의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내솥의 상기 수용 공간의 증기압이 상기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셔터 로드를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 셔터 로드를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조리 장치.
KR1020210077036A 2021-06-14 2021-06-14 조리 장치 KR102418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036A KR102418397B1 (ko) 2021-06-14 2021-06-14 조리 장치
JP2023574250A JP7493112B2 (ja) 2021-06-14 2022-06-14 調理装置
PCT/KR2022/008400 WO2022265351A1 (ko) 2021-06-14 2022-06-14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036A KR102418397B1 (ko) 2021-06-14 2021-06-14 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397B1 true KR102418397B1 (ko) 2022-07-08

Family

ID=82407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036A KR102418397B1 (ko) 2021-06-14 2021-06-14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3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848B1 (ko) * 1998-02-03 2001-06-01 구자홍 전기 압력밥솥의 가변압력 조정장치
KR20090002411A (ko) * 2007-06-28 2009-01-09 웅진쿠첸 주식회사 증기배출 기능을 구비한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장치
KR20100000564U (ko) * 2008-07-09 2010-01-19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JP2010178964A (ja) * 2009-02-06 2010-08-19 Sanyo Electric Co Ltd 圧力式炊飯器
KR20210050328A (ko) * 2019-10-28 2021-05-07 (주)쿠첸 압력 조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848B1 (ko) * 1998-02-03 2001-06-01 구자홍 전기 압력밥솥의 가변압력 조정장치
KR20090002411A (ko) * 2007-06-28 2009-01-09 웅진쿠첸 주식회사 증기배출 기능을 구비한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장치
KR20100000564U (ko) * 2008-07-09 2010-01-19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JP2010178964A (ja) * 2009-02-06 2010-08-19 Sanyo Electric Co Ltd 圧力式炊飯器
KR20210050328A (ko) * 2019-10-28 2021-05-07 (주)쿠첸 압력 조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2064B2 (en) Electric cooker
JP4235669B2 (ja) 減圧およびロック/アンロックのための単一の制御部材を有する圧力調理器具
US10863850B2 (en) Electric cooker
CN109222617B (zh) 电炊具
CN1954746B (zh) 高压锅
US11363904B2 (en) Electric cooker
US20160007789A1 (en) Pressure cooker
KR20180056141A (ko)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KR102418397B1 (ko) 조리 장치
KR102418398B1 (ko) 조리 장치
JP2021006252A (ja) 取外し可能な加熱装置を備えた電気調理器
KR20090002411A (ko) 증기배출 기능을 구비한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장치
JP2021006251A (ja) 加圧下または無加圧で食品を調理するための調理器
KR102418396B1 (ko) 조리 장치
JP7493112B2 (ja) 調理装置
KR102673316B1 (ko) 조리기기
KR20190051126A (ko)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
KR102474672B1 (ko) 조리 장치
KR102213161B1 (ko) 조리 장치
KR102158281B1 (ko)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KR102475266B1 (ko) 조리 장치
KR20190028614A (ko) 전기 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40946B1 (ko) 조리 장치
KR20170127936A (ko) 압력뚜껑 자동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압력조리기
KR102213166B1 (ko) 조리기기용 패킹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