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9848B1 - 전기 압력밥솥의 가변압력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압력밥솥의 가변압력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9848B1
KR100279848B1 KR1019980002910A KR19980002910A KR100279848B1 KR 100279848 B1 KR100279848 B1 KR 100279848B1 KR 1019980002910 A KR1019980002910 A KR 1019980002910A KR 19980002910 A KR19980002910 A KR 19980002910A KR 100279848 B1 KR100279848 B1 KR 100279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inner pot
valve
adjusting means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8962A (ko
Inventor
전용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02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9848B1/ko
Publication of KR19990068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848B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의 가변압력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압력추에 의한 압력조정수단 단독에 의해서 획일적으로 내솥 내부압력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어 조리물 종류에 따른 최적의 압력 적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기기의 성능 및 품질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솥을 내뚜껑으로 밀폐시킨 상태에서 가열하여 상기 내솥 내부에서 발생된 압력으로 상기 내솥에 담겨진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내솥 내부에 담겨진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내솥 내부압력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제1압력조정수단 및 제2압력조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이같이 본 발명은 서로 사용압력이 다른 복수개의 압력조정수단을 구비하여 조리물 종류에 따라 가장 적합한 압력조정수단을 선택해서 조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물 종류에 따른 최적의 압력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기기의 성능 및 품질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전기 압력밥솥의 가변압력 조정장치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솥 내부의 조리물 종류에 따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내솥 내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가변압력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밥솥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밥솥본체(1) 내부에 내솥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내솥(2)은 다시 내뚜껑(2A)의 열고 닫음에 의해서 개폐되며, 이와 상부측은 본체뚜껑(1A)의 열고 닫음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솥(2)과 내뚜껑(2A)은 로킹수단에 의해서 로킹 및 해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내솥(2) 상단 주연부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부에 수개의 러그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내뚜껑(2A) 측에는 상기 본 체뚜껑(1A)에 구비된 회전구(3)와 연동하면서 상기 내솥(2)의 러그와 상응하는 또 다른 수개의 러그를 갖는 로커(3A)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구(3)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상호 맞물려짐 또는 어긋남으로 로킹 또는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내솥(2)과 내뚜껑(2A) 사이의 틈새는 패킹(2B)에 의해서 실링되어 있고, 상기 내솥(2)의 외측면에는 상기 내솥(2) 내부에 담겨진 조리물(F)을 사용자의 조작부(4) 조작에 의한 동작신호에 따라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가열수단(5)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뚜껑(2A)에는 상긴 가열수단(5)에 의해서 상기 조리물(F)을 가열함에 따라 발생되는 증기에 의한 내솥(2) 내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압력조정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압력조정수단은 상기 내뚜껑(2A) 내외측을 관통하는 식으로 수직관 형태의 증기배출공(6A)을 갖는 밸브(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밸브(6)의 상단에는 압력추(7)가 상기 밸브(6)의 증기배출공(6A)을 폐쇄시킨 상태로 얹혀져 구비된다. 이때 상기 내솥(2) 내부압력은 상기 압력추(7)의 무게와 상기 증기배출공(6A)의 직경에 따른 상관 관계식으로 사용압력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상기의 전기압력밥솥은 먼저, 본체뚜껑(1A)에 구비된 회전구(3)를 열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내뚜껑(2A)의 내솥(2)에 대한 로킹이 해제되고, 사용자는 본체뚜껑(1A)과 함께 상기 내뚜껑(2A)을 열어 내솥(2)을 개방시킨다. 이렇게 상기 내솥(2)이 개방되면 조리물(F)을 상기 내솥(2) 내부에 넣은 후, 다시 내뚜껑(2A) 및 뚜껑본체()를 닫은 후, 상기 회전구(3)를 닫힘방향으로 회전시켜 내솥(2)에 대한 상기 내뚜껑(2A)의 로킹상태로 밀폐시킨 다음, 상기 밥솥본체(1)의 일측에 구비된 조작부(4)를 조작하여 조리를 시작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조작부(4)를 조작하게 된면, 상기 내솥(2) 외측면 수곳에 설치된 가열수단(5)에 의해서 상기 내솥(2) 내부의 조리물(F)이 조리되고, 상긴 내솥(2)에는 증기에 의한 내부압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내부압력이 설정압력, 즉 상기 내뚜껑(2A)을 관통하는 식으로 수직설치된 밸브(6)의 증기배출공(6A) 직경과 상기 밸브(6)의 상단에 구비된 압력추(7)의 무게 관계식으로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밸브(6)의 압력추(7)는 상기 압력에 의해서 상향으로 들려지면서 상기 밸브(6)의 증기배출공(6A)을 개방시키게 되게 되고, 이 개방된 증기배출공(6A)을 통해 상기 내솥(2)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며, 다시 상기 내솥(2) 내부의 압력의 설정된 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압력추(7)는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면서 상기 증기배출공(6A)을 폐쇄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내솥(2)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은 전술한 바와같이 압력추에 의한 압력 조정수단 단독에 의해서 획일적으로 내솥 내부압력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어 조리물 종류에 따른 최적의 압력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즉, 쌀의 품종이나 햅쌀, 묶은 쌀 종류 및 압력세기에 따라 취사상태가 달라짐은 물론 야채나 생선 등의 조리물은 높은 압력하에서는 영양소가 파괴되으로 상기의 전기압력밥솥으로는 조리물 종류에 따른 최적의 압력 적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밥의 찰기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폭이 좁아 기기의 성능 및 품질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물 종류에 따른 최적의 압력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전기압력밥솥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내뚜껑의 평면도.
제3(a)도, 제3(b)도는 본 발명의 제1압력조정수단의 구조를 보인 단연도로서,
제3(a)도는 작동상태도.
제3(b)도는 미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 : 조리 물 1 : 밥솥본체
IA : 본체뚜껑 2 : 내솥
2A : 내 뚜껑 2B,17 : 패킹
3 : 회 전 구 3A : 로커
4 : 조작부 5 : 가열수단
6,10 : 밸브 6A : 증기배출공
7 : 압력추 8,9 : 제1,2압력조정수단
11 : 원통체 12 : 지지체
12A : 유입공 12B : 경사면
13 : 구체 14 : 배출공
14A,16A : 고정돌편 15 : 체결부재
16 : 배기관 18 : 끼움돌부
18A : 오목홈 19 : 고정부
19A : 고정홈 20 : 솔레노이드
21 : 솔레노이드 몸체 22 : 스프링
23 : 가동체 23A : 스프링 수용홈
23B : 가압봉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솥을 내뚜껑으로 밀폐시킨 상태에서 가열하여 상패 내솥 내부에서 발생된 압력으로 상기 내솥에 담겨진 조리물을 조리하며, 상기 내솥 내부에 담겨진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내솥 내부압력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제1압력조정수단 및 제2압력조정수단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제1압력조정수단은 상기 내솥 내부의 증기가 유입되어 상기 내솥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입공 및 배출공이 형성되고, 이의 내부에는 구체가 구비되어 상기 유입공을 내솥 내부압력 및 자중에 의해서 개폐시키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를 상기 내뚜껑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밸브체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수증기를 밥솥본체 외부로 유도하는 배기관과; 전원공급에 의한 온/오프 작동에 의해서 상기 밸브체 내부의 구체를 내솥 내부압력에 의해서 들려질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구체를 가압하여 상기 밸브체의 유입공을 차단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가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압력밥솥의 가변압력조정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이 전기압력밥솥은 통상에서와 같이 밥솥본체(1) 내부에 내솥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내솥(2)은 다시 내뚜껑(2A)의 열고 닫음에 의해서 개폐되며, 이의 상부측은 본 체뚜껑(1A)의 열고 닫음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솥(2)과 내뚜껑(2A)은 로킹수단에 의해서 로킹 및 해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내솥(2) 상단 주연부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부에 수개의 러그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내뚜껑(2A) 측에는 상기 본체뚜껑(1A)에 구비된 회전구(3)와 연동하면서 상기 내솥(2)의 러그와 상응하는 또다른 수개의 러그를 갖는 로커(3A)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구(3)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상호 맞물려짐 또는 어긋남으로 로킹 또는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함께 상기 내솥(2)과 내뚜껑(2A) 사이의 틈새는 패킹()에 의해서 실링되어 있고, 상기 내솥(2)의 외측면에는 상기 내솥(2) 내부에 당겨진 조리물(F)을 사용자의 조작부(4) 조작에 의한 동작신호에 따라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가열수단(5)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전기압력밥솥에 있어, 본 발명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내뚜껑(2A)에 조리물(F) 종류에 따라 사용압력을 조정할 수 있는 제1압력조정수단(8)과, 제2압력조정수단(9)이 구비된다. 상기 계2압력조정수단(9)은 종래의 압력조정수단과 마찬가지로 상기 내뚜껑(2A) 내외측을 관통하는 식으로 수직관 형태의 증기배출공(6A)을 갖는 밸브(6)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6)의 상단에는 압력추(7)가 상기 밸브(6)의 증기배출공(6A)을 폐쇄시킨 상태로 얹혀져 구비된다. 이때 상기 내솥(2) 내부압력은 상기 압력추(7)의 무게와 상기 증기배출공(6A)의 직경에 따른 상관 관계식으로 사용압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압력조정수단(8)은 제3(a)도 및 제3(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내뚜껑(2A)에 설치되어 상기 내솥(2) 내부의 증기를 상기 내솥(2) 외부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밸브(10)가 체결부재(15)에 의해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밸브(10)는 중공의 원통체(11)로 상기 원통체(11) 하부측은 내솥(2) 내부의 증기가 상기 원통체(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유입공(12A)이 형성된 지지체(12)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12)의 상면은 상기 유입공(12A)으로 향하는 경사면(12B)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체(12)의 상면에는 내솥(2)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들려지고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어 상기 유입공(12A)을 개폐하는 구체(13)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구체(13)의 무게 및 상기 유입공(12A)의 지름에 따라서 사용압력이 결정된다. 이와함께 상기 원통체(11)의 상부 일측벽에는 상기 유입공(12A)을 통해 상기 원통체(11) 내부로 유입된 증기를 상기 내뚜껑(2A)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공(14)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4)에는 본체뚜껑(1A) 외부로 증기를 유도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기관(16)이 상기 배출공(14)과 연이어 통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원통체(11)의 상부측 개방부는 패킹(17)에 의해서 밀폐된다. 상기 패킹(17)은 중간부에 오목홈(18A)을 갖는 끼움돌부(18)가 형성되어 이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20)의 가압봉(23B)이 상기 오목홈(18A)에 삽입되어 연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끼움돌부(18)의 양측으로는 고정홈(19A)을 갖는 고정부(19)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10)의 고정돌편(14A) 및 상기 배기관의 고정돌편(16A)에 각각 끼움 고정되도록 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20)는 상기 패킹(17)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솔레노이드 몸체(21) 내부에는 전원공급에 의한 작용 및 전원차단에 의한 스프링(22) 탄성력에 의해서 전후진되는 가동체(23)가 내재되고, 상기 가동체(23)는 후방측 중앙부에 스프링 수용홈(23A)이 형성됨과 아울러 선단부에는 상기 패킹(17)의 오목홈(18A)에 삽입되어 연동되는 가압봉(23B)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다음은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밥솥본체(1) 내부의 내솥(2)에 조리물(F)을 넣는 과정과, 상기 내솥(2)과 내뚜껑(2A) 간의 로킹과정은 종래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4) 조작에 의해서 상기 내솥(2) 외측에서 설치된 가열수단(5)을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가열수단(5)에 의해서 상기 내솥(2) 내부의 조리물(F)은 가열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내솥(2) 내부에는 압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조리물(F)의 종류에 따라 상기 내뚜껑(2A)에 설치된 제1압력조정수단(8) 또는 제2압력조정수단(9)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조리물(F)이 야채 또는 생선 등과 같은 높은 사용압력에 적합하지 않은 것일 경우에는 상기 제1압력조정수단(8)을 작동시되게 되고, 상기 조리물(F)이 쌀 등과 같이 다소 높은 사용압력에 적합할 경우에는 상기 제1압력조정수단(8)이 작동되지 않게 조작하게 되는 것이다. 제3(a)도는 상기 계1압력조정수단(8)의 작동상태도이고, 제3(b)도는 상기 제1압력조정수단(8)의 미작동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솥(2)의 내부압력이 상기 제1압력조정수단(8)에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이에 압력에 의해서 밸브(10)의 유입공(12A)을 차단하고 있는 구체(13)가 들려져 상기 유입공(12A)을 개방시키게 되고, 상기 내솥(2) 내부의 증기는 상기 밸브(10)의 유입공(12A)을 통해 상기 밸브(1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10) 내부로 유입된 증기는 다시 상기 밸브(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배출공(14)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배출증기는 다시 상기 배출공(14)과 연이어 통하게 설치된 배기관(16)을 통해서 밥솥본체(1)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같이 상기 배출과정을 통해서 상기 내솥(2) 내부의 압력이 다시 설정압력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상기 내부압력에 의해서 들려졌던 구체(13)가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고, 낙하된 상기 구체(13)는 상기 밸브(10)의 하부측에 구비된 지지체(12)의 경사면(12B)을 따라 상기 지지체(12)의 중앙부 유입공(12A)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입공(12A)을 다시 차단함으로써 상기 내솥(2)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솔레노이드(20)는 온(on) 상태로 상기 솔레노이드 몸체(21) 내부로 가동체(23)가 스프링(22)을 압축하면서 후진된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 제2압력조정수단(9)에 의한 상기 내솥(2) 내부압력을 조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3(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는 다시 조작부(4)를 조작하여 이의 신호로써 상기 솔레노이드(20)를 오프(off)시키게 된다. 이게 따라 상기 스프링(22)을 압축하면서 후진되었던 가동체(23)는 압축된 상기 스프링(22)의 순간팽창에 의한 탄성력으로 전진되면서 밸브(10)의 개방부를 밀폐시키는 패킹(17)의 중간 끼움돌부(18)의 오목홈(18A)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패킹(17)과 함께 상기 밸브(10) 내부의 구체(13)를 가압하여 상기 밸브(10)의 유입공(12A)을 차단한 상태로 지속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압력조정수단(9)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압력추(7)의 들려짐 및 자중으로 상기 내솥(2) 내부의 증기가 상기 내뚜껑(2A)에 수직 설치된 배관()의 증기배출공(6A)을 통해 배출되거나 차단되는 것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서로 사용압력이 다른 복수개의 압력조정수단을 구비하여 조리물 종류에 따라 가장 적합한 압력조정수단을 선택해서 조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물 종류에 따른 최적의 압력 적용이 가능하다. 일예로 취반시 자신의 기호에 맞는 밥의 찰기를 압력세기를 조정하여 취사할 수 있는 등 사용자의 선택폭이 넓어 기기의 성능 및 품질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3)

  1. 내솥을 내뚜껑으로 밀폐시킨 상태에서 가열하여 상패 내솥 내부에서 발생된 압력으로 상기 내솥에 담겨진 조리물을 조리하며, 상기 내솥 내부에 담겨진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내솥 내부압력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제1압력조정수단 및 제2압력조정수단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제1압력조정수단은 상기 내솥 내부의 증기가 유입되어 상기 내솥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입공 및 배출공이 형성되고, 이의 내부에는 구체가 구비되어 상기 유입공을 내솥 내부압력 및 자중에 의해서 개폐시키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를 상기 내뚜껑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밸브체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수증기를 밥솥본체 외부로 유도하는 배기관과; 전원공급에 의한 온/오프 작동에 의해서 상기 밸브체 내부의 구체를 내솥 내부압력에 의해서 들려질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구체를 가압하여 상기 밸브체의 유입공을 차단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가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압력솥의 가변압력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밸브의 일측 개방부를 패킹으로 차단시키고, 상기 패킹의 후방측에는 솔레노이드를 설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해서 상기 밸브의 구체를 가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압력밥솥의 가변압력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력조정수단은 뚜껑에 설치되고, 내솥 내부와 연이어 통하도록 증기배출공을 갖는 수직관 형댈의 압력밸브와; 상기 압력밸브를 상기 뚜껑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압력밸브의 상단에 얹혀지는 식으로 설치되는 압력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압력밥솥의 가변압력조정장치.
KR1019980002910A 1998-02-03 1998-02-03 전기 압력밥솥의 가변압력 조정장치 KR100279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910A KR100279848B1 (ko) 1998-02-03 1998-02-03 전기 압력밥솥의 가변압력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910A KR100279848B1 (ko) 1998-02-03 1998-02-03 전기 압력밥솥의 가변압력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962A KR19990068962A (ko) 1999-09-06
KR100279848B1 true KR100279848B1 (ko) 2001-06-01

Family

ID=65892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910A KR100279848B1 (ko) 1998-02-03 1998-02-03 전기 압력밥솥의 가변압력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984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994B1 (ko) 2005-03-12 2006-10-25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밥솥의 압력변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방법
KR102418398B1 (ko) * 2021-06-14 2022-07-08 (주)쿠첸 조리 장치
KR102418396B1 (ko) * 2021-06-14 2022-07-08 (주)쿠첸 조리 장치
KR102418397B1 (ko) * 2021-06-14 2022-07-08 (주)쿠첸 조리 장치
WO2022265351A1 (ko) * 2021-06-14 2022-12-22 주식회사 쿠첸 조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639A (ko) * 2001-12-06 2003-06-18 주식회사 토광엔지니어링 밥솥용 압력발생장치
CN108255078B (zh) * 2016-12-29 2023-07-0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的控制方法、控制系统、烹饪器具和终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6222U (ko) * 1995-05-15 1996-12-16 엘지전자주식회사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압력 가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6222U (ko) * 1995-05-15 1996-12-16 엘지전자주식회사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압력 가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994B1 (ko) 2005-03-12 2006-10-25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밥솥의 압력변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방법
KR102418398B1 (ko) * 2021-06-14 2022-07-08 (주)쿠첸 조리 장치
KR102418396B1 (ko) * 2021-06-14 2022-07-08 (주)쿠첸 조리 장치
KR102418397B1 (ko) * 2021-06-14 2022-07-08 (주)쿠첸 조리 장치
WO2022265351A1 (ko) * 2021-06-14 2022-12-22 주식회사 쿠첸 조리 장치
JP7493112B2 (ja) 2021-06-14 2024-05-30 クチェ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調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962A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5665B2 (ja) 電気炊飯器
CN101420893B (zh) 具有可控减压功能的压力烹饪器具
EP3479741A1 (en) Electric cooking appliance having temperature sensor and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KR100361508B1 (ko) 전기 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JP5028050B2 (ja) 圧力式炊飯器及び圧力式炊飯方法
KR100279848B1 (ko) 전기 압력밥솥의 가변압력 조정장치
AU644695B2 (en)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hot drinks
US20030010216A1 (en) Pressure cooker
KR20030044585A (ko) 이중냄비의 에어포켓 내부 압력조절장치
AU2002364311A1 (en) Cooking basket for pressure cooker comprising means for adjusting the passage of steam
KR101061620B1 (ko) 압력식 취반기
JPS5930085B2 (ja) 高圧自動瞬間蒸煮器
CN101420892A (zh) 具有可控减压功能的可调压力烹饪器具
CA2311568A1 (en) Cooking appliance
CN214128322U (zh) 一种烹饪器具
KR200336743Y1 (ko)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
KR100311388B1 (ko) 전기압력밥솥의조리물균일뜸들임방법
KR200279293Y1 (ko) 개선된 응축수 배출장치를 구비한 전기압력밥솥
JP3828456B2 (ja) 炊飯器における蒸気逃がし構造
KR19990032716A (ko) 전기압력밥솥의 상압조정장치
KR200152597Y1 (ko) 전기압력밥솥에 있어서 압력배출용 솔레노이드밸브
KR200308596Y1 (ko) 전기압력밥솥의 압력조절부재
JPH0131138Y2 (ko)
CA1339273C (en) Microwave steam-pressure cooking
KR200165198Y1 (ko) 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