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596Y1 - 전기압력밥솥의 압력조절부재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의 압력조절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596Y1
KR200308596Y1 KR20-2002-0031482U KR20020031482U KR200308596Y1 KR 200308596 Y1 KR200308596 Y1 KR 200308596Y1 KR 20020031482 U KR20020031482 U KR 20020031482U KR 200308596 Y1 KR200308596 Y1 KR 200308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pressure
lower body
upper body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한성
배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비타
Priority to KR20-2002-0031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5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5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0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reacting to pressure and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의 압력조절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몸체의 양측으로 증기가 유입되는 증기유입홀이 마련되어 열판의 일측에 고정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 개방부를 통해 그 하단의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하단에 증기가 유입되는 증기유입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홀이 마련된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 제1탄성부재를 매개로 승ㆍ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몸체의 증기유입공을 개폐시키는 플런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하부몸체 외부에 설치된 패킹부재를 매개로 결합되어 소정의 압력 이상에서 그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취사 진행중, 전기압력밥솥 내부의 증기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아 이상압력으로 상승할 때 고압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밥솥이 폭발하는 위험성을 해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의 압력조절부재{PRESSURE CONTROL EQUIPMENT OF ELECTRIC PRESSURE RICE COOKER}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의 압력조절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취사 동작시 내통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재의 상ㆍ하부몸체를 패킹부재로 결합함으로써 고압에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고압에 의한 폭발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전기압력밥솥의 압력조절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밥솥은 조리물이 내장된 압력용기를 전기적인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취사를 하는 장치로 취사도중 압력용기 내부를 고압으로 유지하면 물의 끓는점이 상승하여 양질의 조리가 수행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1의 A부분 확대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내부에 안착됨과 아울러 상단 테두리부에 다수의 걸림턱(2a)이 형성된 내통(2)과, 상기 본체의 상측을 개폐시키도록 그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뚜껑수단(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뚜껑수단(3)은 외관을 형성하는 뚜껑케이스(4)와, 상기 뚜껑케이스(4)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뚜껑(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뚜껑(5)의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내통(2)의 걸림턱(2a)에 맞물림되는 다수의 걸림턱(6a)이 형성된 열판(6)으로 구성된다.
상기 열판(6)에는 내통(2)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수단으로서 상기 열판(6)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취사시 내통(2) 내부의 압력을 소정의 압력으로 유지시키는 압력조절부재(7)와, 취사 완료시 상기 내통(2)의증기를 빼내는 솔레노이드밸브(8)와, 상기 압력조절부재(7) 및 솔레노이드밸브(8)의 고장 등으로 인해 증기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해 상기 내통(2) 내부에 고압의 이상 상태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가 밥솥의 외부에서 조작하여 내통(2)의 내부에 존재하는 고압의 증기를 빼내도록 하는 안전장치(9)로 구성된다.
여기서, 열판(6)의 하부에 마련되어 취사시, 내통(2) 내부를 소정의 압력으로 유지시키는 압력조절부재(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유입홀(7b)을 갖는 하부몸체(7d)와 증기배출홀(7a)을 갖는 상부몸체(7c)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몸체(7d)의 내부 및 상기 상부몸체(7c)의 외주에는 나사부(7h)가 마련되어 나사 결합된다.
상기 상ㆍ하부몸체(7c,7d)의 내부는 중공상태를 이루며 내부에 탄성부재(7e)를 매개로 플런저(7f)가 승ㆍ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통(2)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에서는 취사 진행중에 밥솥 내부의 음식물 등에 의해 상기 증기배출수단(압력조절부재(7), 솔레노이드밸브(8), 안전장치(9))이 막혀 작동하지 않게 되어 내부의 고온 고압의 증기가 배출되지 못할 경우, 밥솥 내부에는 이상 압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밥솥의 폭발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전기압력밥솥 내부에 이상 압력의 발생시, 압력조절부재의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고온 고압의 증기를 배출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개선된 압력조절부재를 갖는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압력조절부재를 구성하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결합수단으로 착탈이 용이한 패킹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분리가 용이하게 하여 청소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개선된 압력조절부재를 갖는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압력조절부재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압력조절부재의 결합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1 : 내통 110 : 뚜껑수단
130 : 열판 141 : 증기배출관
170 : 압력조절부재 171 : 상부몸체
172 : 하부몸체 171a : 증기배출홀
172a : 증기유입홀 173a : 제1탄성부재
173b : 제2탄성부재 174 : 플런저
176 : 패킹부재 176a : 걸림돌기
176b : 걸림턱 177 ; 패킹부재고정홈
180 : 솔레노이드밸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되고 몸체의 양측으로 증기가 유입되는 증기유입홀이 마련되어 열판의 일측에 고정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 개방부를 통해 그 하단의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하단에 증기가 유입되는 증기유입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홀이 마련된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 제1탄성부재를 매개로 승ㆍ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몸체의 증기유입공을 개폐시키는 플런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하부몸체 외부에 설치된 패킹부재를 매개로 결합되어 소정의 압력 이상에서 그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하부몸체의 상단 내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재는 그 중앙부에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마련되어 소정의 압력 이하에서는 상기 걸림턱에 상기 패킹부재의 걸림돌기가 걸려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압력조절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4는압력조절부재의 결합사시도로써,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압력밥솥 내부에 설치된 열판(130)의 중앙부에 관 형태의 몸체를 취하는 증기배출관(141)을 구비하여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수단이 설치된다.
그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열판(13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취사시 내통(11) 내부의 압력을 소정의 압력으로 유지시키는 압력조절부재(170)와, 취사 완료시 동작되어 상기 내통(11)의 증기를 빼내는 솔레노이드밸브(180)와, 상기 압력조절부재(170) 및 솔레노이드밸브(180)의 고장 등으로 인해 증기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해 상기 내통(11)의 내부에 존재하는 고압의 증기를 빼내도록 하는 안전장치(미도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력조절부재(170)는 상부몸체(171)와 하부몸체(172)로 구성되어, 상부몸체(171)의 상부에는 증기배출홀(171a)을 형성하고 외면 하부에는 패킹부재고정홈(177)을 형성하여 걸림돌기(176a)를 갖는 패킹부재(176)를 수용한다.
상기 상부몸체(171)의 하단에는 상기 상부몸체(171) 내부로 증기를 유입시키는 증기유입공(171c)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172)는 상기 상부몸체(171)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내면 상부에는 상기 걸림돌기(176a)를 지지하는 걸림턱(176b)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증기유입홀(172a)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171)의 내부에는 상기 증기유입공(171c)을 개폐하며 제1탄성부재(173a)를 매개로 승ㆍ하강 동작되는 플런저(174)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몸체(171)와 하부몸체(172)는 상기 패킹부재(176)를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하부몸체(172)의 걸림턱(176b)은 상기 패킹부재(176)에 형성된 걸림돌기(176a)가 소정의 압력 이하에서는 걸려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패킹부재(176)의 걸림돌기(176b)가 형성된 부분의 외경은 상기 하부몸체(172)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172)의 내부에서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상부몸체(171)의 외주면에는 제2탄성부재(173b)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2탄성부재(173b)는 상기 상부몸체의 자중을 고려하여 상기 상부몸체(171)가 상기 하부몸체(172)의 내부로 소정 깊이만큼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정도의 탄성계수가 고려된 것이다.
다음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기압력밥솥 압력조절부재의 작용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전기압력밥솥의 뚜껑수단(110)을 닫고 전기압력밥솥을 작동시키면 내통(11)의 내부가 밀폐되어 소정의 압력으로 상승되어 취사동작이 진행된다.
이때,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에 압력이 소정의 압력(예컨대, 0.04기압)이하에서는 상기 상부몸체(171)는 자중에 의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걸림돌기(176a)가 상기 걸림턱(176b)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떨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취사가 진행되어 내부 조리물이 물과 함께 가열되어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예컨대, 0.04기압에 도달하면, 자중에 의해 하부몸체(172)에 소정깊이 만큼 하강되어 있던 상부몸체(171)가 상승하여 패킹부재(176)의 걸림돌기(176a)가 하부몸체(171)의 걸림턱(176b)에 걸려서 지지되게 된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내부압력이 계속 상승하여 소정의 압력(예컨대, 0.7기압)이상의 압력에 도달하면, 플런저(174)가 상승되어 증기유입공(171c)을 개방하여 증기를 배출시킴으로써 밥솥 내부의 압력을 상기 0.7기압상태로 유지시켜 취사를 진행하게 된다.
다음, 취사가 완료되면 솔레노이드밸브(180)가 동작되어 내통(11) 내부에 증기를 완전히 빼낸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증기배출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될 경우 내통(11) 내부의 압력이 고압의 압력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패킹부재(176)의 걸림돌기(176a)가 걸림턱(176b)으로부터 이탈되어 하부몸체(172)가 상부몸체(171)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증기가 배출되어 전기압력밥솥이 고압에 의해 폭발하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패킹부재(176)가 분리되는 구조를 채용하여 종래에 사용되었던 안전장치(도 1의 부호9)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안전장치(9)가 동작되는 압력보다 낮은 압력에서 작용하도록 하여 안전장치(9)의 기능을 보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내용에서,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수치의 압력(0.04기압, 0.7기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에 한정된 것은 물론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취사 진행중, 전기압력밥솥의 기기고장 등으로오작동시 압력조절부재의 상ㆍ하부 몸체가 분리되어 고압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밥솥이 폭발하는 위험성을 해소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력조절부재의 상ㆍ하부 몸체의 분리가 용이함에 따라 취사시 발생한 조리물의 부양물 등이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내부에 끼게 될 경우 청소의 용이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

  1. 상부가 개방되고 몸체의 양측으로 증기가 유입되는 증기유입홀이 마련되어 열판의 일측에 고정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 개방부를 통해 그 하단의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하단에 증기가 유입되는 증기유입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홀이 마련된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 제1탄성부재를 매개로 승ㆍ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몸체의 증기유입공을 개폐시키는 플런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하부몸체 외부에 설치된 패킹부재를 매개로 결합되어 소정의 압력 이상에서 그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압력조절부재.
  2.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단 내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재는 그 중앙부에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마련되어 소정의 압력 이하에서는 상기 걸림턱에 상기 패킹부재의 걸림돌기가 걸려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압력조절부재.
KR20-2002-0031482U 2002-10-22 2002-10-22 전기압력밥솥의 압력조절부재 KR200308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482U KR200308596Y1 (ko) 2002-10-22 2002-10-22 전기압력밥솥의 압력조절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482U KR200308596Y1 (ko) 2002-10-22 2002-10-22 전기압력밥솥의 압력조절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596Y1 true KR200308596Y1 (ko) 2003-03-28

Family

ID=4940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482U KR200308596Y1 (ko) 2002-10-22 2002-10-22 전기압력밥솥의 압력조절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5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8992A1 (ko) * 2012-02-07 2013-08-15 Kim Cha Sik 전기밥솥
EP3479741A4 (en) * 2016-06-27 2020-03-04 Sammi Industrial Co. ELECTRIC COOKER WITH TEMPERATURE SENSOR AND AUTOMATIC OPENING / CLOS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8992A1 (ko) * 2012-02-07 2013-08-15 Kim Cha Sik 전기밥솥
EP3479741A4 (en) * 2016-06-27 2020-03-04 Sammi Industrial Co. ELECTRIC COOKER WITH TEMPERATURE SENSOR AND AUTOMATIC OPENING / CLOS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5665B2 (ja) 電気炊飯器
KR200440495Y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기구용 뚜껑
KR100542335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0308596Y1 (ko) 전기압력밥솥의 압력조절부재
JP3820541B2 (ja) 炊飯器
KR101632998B1 (ko)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KR200383124Y1 (ko)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
KR20100067167A (ko) 전기 보온압력밥솥의 이상 압력 배출장치
KR101232781B1 (ko) 압력솥의 안전밸브
KR200427341Y1 (ko) 넘침 방지 기능이 있는 조리용기
KR200336743Y1 (ko)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
KR200419066Y1 (ko) 조리용기용 넘침방지 뚜껑
KR200279293Y1 (ko) 개선된 응축수 배출장치를 구비한 전기압력밥솥
KR200368271Y1 (ko) 전기압력밥솥의 잔류압력제거장치
JP3828456B2 (ja) 炊飯器における蒸気逃がし構造
KR200279295Y1 (ko) 개선된 응축수 배출장치를 구비한 전기압력밥솥
KR100350165B1 (ko) 전기압력밥솥의 안전장치
KR200357933Y1 (ko) 전자렌지용 솥의 신호장치
KR200302361Y1 (ko) 전기압력밥솥
KR200340488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뚜껑열림 방지장치
KR200279296Y1 (ko) 증기배출부 이물질침투방지장치를 갖는 전기압력밥솥
KR200149699Y1 (ko) 전기보온밥솥용 보습캡
KR101086285B1 (ko) 내솥뚜껑 분리형 전기 압력조리기의 안전장치
KR200437605Y1 (ko)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KR200157760Y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