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781B1 - 압력솥의 안전밸브 - Google Patents

압력솥의 안전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781B1
KR101232781B1 KR1020100075977A KR20100075977A KR101232781B1 KR 101232781 B1 KR101232781 B1 KR 101232781B1 KR 1020100075977 A KR1020100075977 A KR 1020100075977A KR 20100075977 A KR20100075977 A KR 20100075977A KR 101232781 B1 KR101232781 B1 KR 101232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ressure
discharge
sub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3766A (ko
Inventor
유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엔풍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엔풍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엔풍년
Priority to KR1020100075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781B1/ko
Publication of KR20120013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솥 내부의 압력에 따라 증기를 조절하여 배출시켜서 식품을 기호에 맞게 조리할 수 있는 압력솥의 안전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압력솥의 뚜껑에 형성된 밸브결합공에 설치되어 솥 내의 증기를 배출시키는 압력솥의 안전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결합공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유입구 및 메인밸브시트를 갖는 하부케이싱; 상기 하부케이싱을 고정시키도록 설치공의 하단부에서 결합되는 너트부재; 상기 메인밸브시트를 개폐하도록 승강가능하게 배치되어 유입구로 유입된 증기의 배출을 단속하는 밸브부재; 상기 메인밸브시트로 유입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일측에는 배출공이 천공되고 내주연으로 승강암나사가 형성되어, 하부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싱; 상기 승강암나사에 승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도록 외주연으로 승강수나사가 구비되고 메인밸브시트와 배출공에 연통되도록 연통공이 천공된 압력조절구; 상기 압력조절구를 승강시키도록 상부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하우징; 상기 압력조절구의 회전에 의해 밸브부재의 배출압력을 탄력적으로 조절하도록 압력조절구와 밸브부재 사이에 개재된 메인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압력솥의 안전밸브{SAFETY VALVE FOR PRESSURE PAN}
본 발명은 압력솥의 안전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솥 내부의 압력에 따라 증기를 조절하여 배출시켜서 식품을 기호에 맞게 조리할 수 있는 압력솥의 안전밸브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압력솥은 뚜껑을 밀폐하여 솥 안의 압력을 높여서 식품을 단시간에 조리하는 기구로서,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솥과 뚜껑을 포함하며, 솥과 뚜껑 사이에는 밀폐용 패킹이 설치된다.
그리고 뚜껑에는 안전밸브가 장착되는데, 이러한 안전밸브는 솥 내부의 압력이 일정한 레벨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밸브가 개방되어 증기를 배출하므로 안전을 유지하게 된다.
첨부된 도 7은 종래의 안전밸브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뚜껑(10)에 형성된 설치공(11)의 상단에는 증기배출구(21)를 갖는 밸브홀더(20)가 설치되고, 설치공(11)의 하단에는 밸브홀더(20)에 나사결합되도록 압력통공(31)이 형성된 록킹너트(30)가 설치되며, 밸브홀더(20)와 록킹너트(30) 사이에는 코일스프링(40) 및 밸브(50)가 내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안전밸브는, 평상시에는 코일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해 밸브(50)가 압력통공(31)을 폐쇄하는 반면에, 식품을 증숙(烝熟)하는 과정에서는 솥 내부의 압력이 소정압력 이상이 되면 코일스프링(40)이 탄력적으로 압축되어 밸브(50)가 상승되고, 이에 따라 압력통공(31)이 개방되어 솥 내부의 증기가 증기배출구(21)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안전밸브는 소정압력 이상에서만 압력통공(31)을 개방함에 따라 솥 내의 식품을 기호에 맞게 조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고들고들한 고두밥 또는 각종 야채를 짧은 시간에 데치기 위해서는 솥 내부의 압력을 낮게 조절해야하는데, 종래의 안전밸브는 소정압력 이상에서만 증기를 배출시키므로 이러한 기능을 구현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안전밸브는 압력통공(31)에 이물질이 막혀서 솥 내부에 과도한 압력이 발생 되거나 예기치 못한 오작동 등으로 인해 안전밸브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을 때, 솥 내의 증기를 배출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식품을 조리하도록 솥 내부의 압력에 따라 증기를 조절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압력솥의 안전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밸브의 오작동 시, 솥 내의 증기를 배출시켜서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압력솥의 안전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압력솥의 뚜껑에 형성된 밸브결합공에 설치되어 솥 내의 증기를 배출시키는 압력솥의 안전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결합공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유입구 및 메인밸브시트를 갖는 하부케이싱; 상기 하부케이싱을 고정시키도록 설치공의 하단부에서 결합되는 너트부재; 상기 메인밸브시트를 개폐하도록 승강가능하게 배치되어 유입구로 유입된 증기의 배출을 단속하는 밸브부재; 상기 메인밸브시트로 유입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일측에는 배출공이 천공되고 내주연으로 승강암나사가 형성되어, 하부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싱; 상기 승강암나사에 승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도록 외주연으로 승강수나사가 구비되고 메인밸브시트와 배출공에 연통되도록 연통공이 천공된 압력조절구; 상기 압력조절구를 승강시키도록 상부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하우징; 상기 압력조절구의 회전에 의해 밸브부재의 배출압력을 탄력적으로 조절하도록 압력조절구와 밸브부재 사이에 개재된 메인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인 사상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상부케이싱의 외면과 회전하우징의 내면 사이에는 배출공으로 배출된 증기를 뚜껑의 상면으로 안내하여 배출시키도록 가이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압력솥의 뚜껑과 하부케이싱 사이에는 회전하우징의 하단부 외경이 삽입되도록 가이드림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가이드유로를 통해 안내된 증기를 집수하여 뚜껑의 표면으로 배출시키도록 집수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케이싱과 압력조절구 사이에는 압력조절구의 상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회전유동을 방지하도록 가압탄성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회전하우징에는 상부케이싱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회전플레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저면에는 회전돌기가 구비되어 압력조절구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회전시키는데, 이때 상기 회전하우징의 상면에는 회전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마감하도록 마감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메인밸브시트를 개폐시키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증기가 유입되는 서브유입구 및 서브밸브시트를 갖는 밸브하우징, 상기 서브밸브시트를 개폐하도록 승강가능하게 배치되어 서브유입구로 유입된 증기의 배출을 단속하는 서브밸브, 서브밸브의 상부에 수직으로 연결된 서브밸브로드, 상기 서브밸브로드의 승강을 안내하면서 서브밸브시트로 유입된 증기를 압력조절구로 배출시키도록 배출안내공이 형성되어 밸브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밸브캡, 상기 밸브캡과 서브밸브 사이에 개재되어 솥 내의 압력이 소정의 안전압력 이상으로 상승될 때 증기의 배출을 단속하도록 서브밸브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서브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회전하우징의 내부에는 슬라이더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케이싱에는 슬라이더의 원호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단부에는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단속하도록 스토퍼가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슬라이더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도록 감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하우징의 회전으로 압력조절구가 회전되면서 메인탄성부재가 압축됨에 따라 밸브부재의 배출압력을 단계적으로 간단히 조절하여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식품을 조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안전밸브의 오작동으로 인한 솥 내부의 압력이 안전압력 이상을 이루게 되면, 서브밸브가 서브밸브시트를 개방하여 솥 내의 증기를 배출시켜서 압력솥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케이싱의 배출구로 배출된 증기가 상부케이싱과 회전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유로로 안내된 후 집수배출공을 통해 뚜껑으로 배출되므로, 증기의 배출로 인한 상해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회전하우징의 1차 회전은 감지돌기에 의해 감지되고 2차 회전은 스토퍼에 의해 단속되므로, 밸브부재의 배출압력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압력조절캡의 1차 회전을 나타낸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압력조절캡의 2차 회전을 나타낸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밸브부재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
도 6은 도 5의 ‘A’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종래의 안전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솥의 뚜껑(100)에 형성된 밸브결합공(1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유입구(310) 및 메인밸브시트(320)를 갖는 하부케이싱(300); 하부케이싱(300)을 고정시키도록 밸브결합공(110)의 하단부에서 결합되는 너트부재(400); 메인밸브시트(320)를 개폐하도록 승강가능하게 배치되어 유입구(310)로 유입된 증기의 배출을 단속하는 밸브부재(500); 상기 메인밸브시트(320)로 유입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일측에는 배출공(650)이 천공되고 내주연으로 승강암나사(620)가 형성되어, 하부케이싱(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싱(600); 승강암나사(620)에 승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도록 외주연으로 승강수나사(720)가 구비되고 메인밸브시트(320)와 배출공(650)에 연통되도록 연통공(710)이 천공된 압력조절구(700); 압력조절구(700)를 회전시키도록 상부케이싱(6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하우징(800); 압력조절구(700)의 회전에 의해 밸브부재(500)의 배출압력을 탄력적으로 조절하도록 압력조절구(700)와 밸브부재(500) 사이에 개재된 메인탄성부재(900);를 포함한다.
압력솥은 상부가 개방된 솥(도시생략), 솥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뚜껑(100), 뚜껑(100)과 솥 사이에 개재되어 솥의 개방된 상부를 기밀히 밀폐시키는 패킹(도시생략)을 포함하며, 뚜껑(100)의 중앙에는 상하로 연통된 밸브결합공(110)이 천공되고 일측에는 손잡이(도시생략)가 구비된다.
그리고 뚜껑(100)의 상면 중앙에는 원판형의 베이스플레이트(20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200)의 중앙에는 밸브결합공(110)에 연통되도록 통공(210)이 형성되고, 상면 가장자리에는 가이드림(220)이 형성되며 그 단부 내경으로 회전하우징(800)의 하단부 외경이 삽입되며, 가이드림(220)의 일측에는 집수배출공(230)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집수된 증기를 뚜껑(100)의 표면으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압력솥의 뚜껑(100) 표면은 중심에서 그 둘레를 따라 완만히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고려하여, 집수배출공(230)의 내측 상면(2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케이싱(300)은 베이스플레이트(200)의 상면에 안착되어 밸브결합공(110)의 내경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하부케이싱(300)의 중앙에는 상하로 연통되어 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10)가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대략 반구형의 메인밸브시트(320)가 형성되어 밸브부재(500)에 의해 증기를 배출시키도록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폐쇄된다. 그리고 하부케이싱(300)의 상부 외주연에는 상부케이싱(600)에 나사결합되도록 케이싱수나사(330)가 형성되고, 하부 외주연에는 너트부재(400)에 나사결합되도록 결합수나사(340)가 형성된다.
너트부재(400)는 하부케이싱(300)의 결합수나사(340)에 나사결합되어 뚜껑(100)에 하부케이싱(300)을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너트부재(400)의 하부에는 복수의 슬릿(410)이 형성되어 증기의 유입을 가능케 하면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한다.
밸브부재(500)는 메인밸브시트(320)를 개폐하여 증기의 배출을 단속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밸브부재(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하우징(510), 서브밸브(520), 서브밸브로드(530), 밸브캡(540), 서브탄성부재(550)를 포함한다.
먼저, 밸브하우징(510)은 메인밸브시트(32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승강가능하게 배치되어 메인탄성부재(90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데, 그 중앙에는 상하로 연통된 서브유입구(512)가 천공되어 소정의 안전압력 이상으로 상승된 증기가 유입되고, 그 상단부에는 서브밸브시트(514)가 형성되어 서브밸브(520)에 의해 증기를 배출시키도록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폐쇄시킨다.
서브밸브(520)는 서브밸브시트(514)를 개폐하도록 밸브하우징(51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데, 그 상부에는 외경이 작은 서브밸브로드(530)가 수직으로 연결된다.
밸브캡(540)은 밸브하우징(510)의 내경에 나사결합되어 서브밸브로드(530)의 승강을 안내하는데, 이를 위해 밸브캡(540)의 중앙에는 배출안내공(542)이 형성되어 서브밸브로드(530)의 승강을 안내하면서 서브밸브시트(514)로 유입된 증기를 압력조절구(700)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겸한다.
서브탄성부재(550)는 밸브캡(540)과 서브밸브(520) 사이에 개재되어, 솥 내부의 압력이 소정의 안전압력(예컨대, 1.5 kgf/㎠) 이상으로 상승될 때 증기의 배출을 단속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서브탄성부재(5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밸르로드(530)의 외경으로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일스프링의 상단부는 배출안내공(542)의 하단부에 지지되고 하단부는 서브밸브(520)의 상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밸브부재(500)는 메인밸브시트(320)를 개폐하여 배출압력이 조절된 증기의 배출을 단속하는 동시에, 다른 구성요소의 오작동 시 솥 내부의 증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겸하여 안전성을 유지하게 된다.
상부케이싱(6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 중앙에는 상하로 연통된 축공(610)이 형성되고 하부 내주연에는 케이싱암나사(630)가 형성되어 하부케이싱(300)의 케이싱수나사(330)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부케이싱(600)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는 증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공(650)이 형성되고 상부 내주연에는 승강암나사(620)가 형성되어 압력조절구(700)의 승강을 유도한다. 또한 상부케이싱(60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원호형상의 가이드레일(640)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회전하우징(800) 슬라이더(840)의 원호슬라이딩을 안내하고, 가이드레일(640)의 양단부에는 스토퍼(642)가 구비되어 슬라이더(840)의 회전각도를 단속하며, 가이드레일(640)의 중앙에는 감지돌기(644)가 형성되어 슬라이더(840)의 원호회전 시 그 회전각도를 손의 느낌으로 감지하도록 알려주게 된다.
한편, 상부케이싱(600)의 축공(610)에는 회전플레이트(920)의 회전축(92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러한 회전플레이트(9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그 상면에는 회전축(922)이 구비되고 그 중앙에는 탭홀(924)이 형성되어 회전하우징(800)을 관통하는 고정볼트(B)가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회전플레이트(920)의 저면 양측에는 회전돌기(926)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압력조절구(700)의 걸림돌기(740)를 회전시킨다.
압력조절구(700)는 밸브부재(500)의 배출압력을 조절하도록 회전하우징(800)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압력조절구(700)는 적절한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연에는 승강수나사(720)가 구비되어 상부케이싱(600)의 승강암나사(620)에 나사결합되며, 상면 양측에는 걸림돌기(740)가 구비된다.
이러한 압력조절구(700)의 상면과 회전플레이트(920)의 저면 사이에는 가압탄성부재(910)가 개재되는데, 이러한 가압탄성부재(910)는 압력조절구(700)의 상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회전된 압력조절구(70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가압탄성부재(9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하우징(800)은 상부케이싱(600)을 내장하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상부케이싱(6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회전하우징(800)의 상부 중앙에는 볼트공(810)이 천공되어 고정볼트(B)가 관통되고, 이 고정볼트(B)는 회전플레이트(920)의 탭홀(924)에 나사결합되며, 이에 따라 회전하우징(800)은 상부케이싱(6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하우징(800)의 외면 일측에는 작동레버(830)가 구비되어 회전하우징(800)의 회전을 용이하게 도모하게 된다. 또한 회전하우징(800)의 상면에는 마감커버(930)가 결합되어 고정볼트(B)가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하는데, 이러한 마감커버(930)의 양측에는 탄성후크(932)가 구비되고, 이 탄성후크(932)가 탄력적으로 후크결합되도록 회전하우징(800)의 상면 양측에는 후크홈(820)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하우징(800)의 내부에는 슬라이더(840)가 구비되어 상부케이싱(600)의 가이드레일(640)을 따라 원호슬라이딩된다.
한편, 회전하우징(800)의 내경과 상부케이싱(600)의 외경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을 이루는 가이드유로(P)가 형성되어 상부케이싱(600)의 배출공(650)으로 배출된 증기를 뚜껑(100)의 상면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데, 이러한 가이드유로(P)는 앞서 언급한 베이스플레이트(200)의 집수배출공(230)에 연이어지게 형성된다.
메인탄성부재(900)는 압력조절구(700)의 저면과 밸브부재(500) 사이에 개재되어 밸브부재(500)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메인탄성부재(9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코일스프링의 상단부는 압력조절구(700)의 저면에 지지되고 하단부는 밸브부재(500)의 밸브하우징(510)에 지지된다.
따라서 메인탄성부재(900)는 압력조절구(700)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어 밸브부재(500)를 보다 큰 힘으로 가압하므로 밸브부재(500)의 배출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즉, 압력조절구(700)의 1차 회전은 솥 내부의 압력이 0.5kgf/㎠ 이상을 이룰 때 밸브부재(500)가 메인밸브시트(320)를 개방하도록 메인탄성부재(900)를 압축시키고, 압력조절구(700)의 2차 회전은 솥의 내부 압력이 0.9kgf/㎠ 이상을 이룰 때 밸브부재(500)가 메인밸브시트(320)를 개방하도록 메인탄성부재(900)를 압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증기 배출 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작동레버(830)를 화살표방향으로 돌려서 회전하우징(800)을 1/3 회전시킨 1차 회전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로서, 회전하우징(800)을 1차 회전시키면 고정볼트(B)로 연결된 회전플레이트(920)가 회전축(92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회전돌기(926) 또한 회전되고, 이 회전돌기(926)에 의해 걸림돌기(740)가 회전되어 결과적으로 압력조절구(700)가 회전되며, 압력조절구(700)의 저면과 하부케이싱(300)의 상면 사이의 간극(G)은 도 2에 비해 좁아지는데, 이때 회전하우징(800)의 슬라이더(840)는 상부케이싱(600)의 감지돌기(620)에 감지되어 그 회전 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이 회전되는 압력조절구(700)의 승강수나사(720)는 상부케이싱(600)의 승강암나사(620)를 따라 나사결합되면서 압력조절구(700)를 하강시켜서 메인탄성부재(900)를 압축시키는데, 이러한 메인탄성부재(900)의 압축은 솥 내부의 압력이 0.5kgf/㎠ 이상을 이룰 때 밸브부재(500)가 메인밸브시트(320)를 개방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즉, 솥 내부의 압력이 0.5kgf/㎠ 이상을 이룰 때 증기는 유입구(310)로 유입되어 메인탄성부재(90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밸브부재(500)를 상승시켜서 메인밸브시트(320)를 개방하고, 이같이 메인밸브시트(320)를 통과한 증기는 압력조절구(700)의 연통공(710)을 지나 상부케이싱(600)의 배출공(650)을 통해 배출되며, 배출공(650)으로 배출된 증기는 가이드유로(P)를 지나 집수배출공(230)을 통해서 뚜껑(100)의 상면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작동레버(830)를 화살표방향으로 돌려서 회전하우징(800)을 2/3 회전시킨 2차 회전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로서, 회전하우징(800)을 2차 회전시키면 고정볼트(B)로 연결된 회전플레이트(920)가 회전축(92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회전돌기(926) 또한 회전되고, 이 회전돌기(926)에 의해 걸림돌기(740)가 회전되어 결과적으로 압력조절구(700)가 회전되며, 압력조절구(700)의 저면과 하부케이싱(300)의 상면 사이의 간극(G)은 도 3에 비해 좁아지는데, 이때 회전하우징(800)의 슬라이더(840)는 상부케이싱(600)의 스토퍼(650)에 걸리게 되어 그 회전 상태가 단속된다.
이같이 회전되는 압력조절구(700)의 승강수나사(720)는 상부케이싱(600)의 승강암나사(620)를 따라 나사결합되면서 압력조절구(700)를 하강시켜서 메인탄성부재(900)를 도 3에 비해 더욱 압축시키는데, 이러한 메인탄성부재(900)의 압축은 솥 내부의 압력이 0.9kgf/㎠ 이상을 이룰 때 밸브부재(500)가 메인밸브시트(320)를 개방하도록 작용하며, 증기의 배출경로는 도 3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다른 한편, 도 5 및 도 6은 다른 구성 요소의 오작동으로 인해 메인밸브시트(320)를 개방할 수 없어서 솥 내부의 압력이 소정의 안전압력(예컨대, 1.5 kgf/㎠) 이상으로 상승 될 때의 증기 배출을 나타낸 작동도로서, 솥 내부의 압력이 안전압력 이상으로 상승 될 경우, 증기는 밸브하우징(510)의 서브유입구(512)로 유입되어 서브탄성부재(55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서브밸브(520)를 상승시켜서 서브밸브시트(514)를 개방한다.
이어서, 서브밸브시트(514)를 통과한 증기는 배출안내공(542)을 통해 압력조절구(700) 방향으로 배출되고, 이후의 배출경로는 상술한 도 3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전하우징(800)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솥 내부의 압력에 따른 배출압력을 적절히 조절하여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식품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구성 요소의 오작동으로 인한 솥 내부의 압력이 안전압력 이상으로 발생할 경우, 서브밸브(520)가 서브밸브시트(514)를 개방하여 솥 내부의 증기를 배출시므로 압력솥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 대체, 부가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100 : 뚜껑 200 : 베이스플레이트
230 : 집수배출공 300 : 하부케이싱
320 : 메인밸브시트 330 : 케이싱수나사
400 : 너트부재 500 : 밸브부재
510 : 밸브하우징 520 : 서브밸브
530 : 서브밸브로드 540 : 밸브캡
550 : 서브탄성부재 600 : 상부케이싱
620 : 승강암나사 640 : 가이드레일
650 : 배출공 700 : 압력조절구
710 : 연통공 720 : 승강수나사
800 : 회전하우징 830 : 작동레버
840 : 슬라이더 B : 고정볼트

Claims (9)

  1. 압력솥의 뚜껑에 형성된 밸브결합공에 설치되어 솥 내의 증기를 배출시키는 압력솥의 안전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결합공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유입구 및 메인밸브시트를 갖는 하부케이싱; 상기 하부케이싱을 고정시키도록 설치공의 하단부에서 결합되는 너트부재; 상기 메인밸브시트를 개폐하도록 승강가능하게 배치되어 유입구로 유입된 증기의 배출을 단속하는 밸브부재; 상기 메인밸브시트로 유입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일측에는 배출공이 천공되고 내주연으로 승강암나사가 형성되어, 하부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싱; 상기 승강암나사에 승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도록 외주연으로 승강수나사가 구비되고 메인밸브시트와 배출공에 연통되도록 연통공이 천공된 압력조절구; 상기 압력조절구를 승강시키도록 상부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하우징; 상기 압력조절구의 회전에 의해 밸브부재의 배출압력을 탄력적으로 조절하도록 압력조절구와 밸브부재 사이에 개재된 메인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하우징에는 상부케이싱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회전플레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저면에는 회전돌기가 구비되어 압력조절구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의 안전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싱의 외면과 회전하우징의 내면 사이에는 배출공으로 배출된 증기를 뚜껑의 상면으로 안내하여 배출시키도록 가이드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의 안전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력솥의 뚜껑과 하부케이싱 사이에는 회전하우징의 하단부 외경이 삽입되도록 가이드림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가이드유로를 통해 안내된 증기를 집수하여 뚜껑의 표면으로 배출시키도록 집수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의 안전밸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싱과 압력조절구 사이에는 압력조절구의 상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회전유동을 방지하도록 가압탄성부재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의 안전밸브.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하우징의 상면에는 회전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마감하도록 마감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의 안전밸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메인밸브시트를 개폐시키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증기가 유입되는 서브유입구 및 서브밸브시트를 갖는 밸브하우징, 상기 서브밸브시트를 개폐하도록 승강가능하게 배치되어 서브유입구로 유입된 증기의 배출을 단속하는 서브밸브, 서브밸브의 상부에 수직으로 연결된 서브밸브로드, 상기 서브밸브로드의 승강을 안내하면서 서브밸브시트로 유입된 증기를 압력조절구로 배출시키도록 배출안내공이 형성되어 밸브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밸브캡, 상기 밸브캡과 서브밸브 사이에 개재되어 솥 내의 압력이 소정의 안전압력 이상으로 상승될 때 증기의 배출을 단속하도록 서브밸브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서브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의 안전밸브.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하우징의 내부에는 슬라이더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케이싱에는 슬라이더의 원호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단부에는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단속하도록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의 안전밸브.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슬라이더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도록 감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의 안전밸브.
KR1020100075977A 2010-08-06 2010-08-06 압력솥의 안전밸브 KR101232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977A KR101232781B1 (ko) 2010-08-06 2010-08-06 압력솥의 안전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977A KR101232781B1 (ko) 2010-08-06 2010-08-06 압력솥의 안전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766A KR20120013766A (ko) 2012-02-15
KR101232781B1 true KR101232781B1 (ko) 2013-02-13

Family

ID=45837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977A KR101232781B1 (ko) 2010-08-06 2010-08-06 압력솥의 안전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7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6448A1 (ko) * 2019-07-10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뚜껑 개방 시 내부 증기를 배출하는 전기압력밥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493B1 (ko) 2019-07-22 2021-04-09 주식회사 시코코리아 비자동 복원 구조의 압력 밸브 및 이를 가진 압력 조리 용기
JP7201246B2 (ja) * 2020-03-04 2023-01-10 株式会社 鋳物屋 圧力鍋蓋、圧力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339Y1 (ko) 2001-07-27 2001-11-23 최길두 다단식 압력조절밸브
KR20090014809A (ko) * 2007-08-07 2009-02-11 웅진쿠첸 주식회사 압력 조절 장치
KR20100028383A (ko) * 2008-09-04 2010-03-12 주식회사 클래드 향상된 압력 표시 기능 및 압력 배출 기능을 갖는 압력 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339Y1 (ko) 2001-07-27 2001-11-23 최길두 다단식 압력조절밸브
KR20090014809A (ko) * 2007-08-07 2009-02-11 웅진쿠첸 주식회사 압력 조절 장치
KR20100028383A (ko) * 2008-09-04 2010-03-12 주식회사 클래드 향상된 압력 표시 기능 및 압력 배출 기능을 갖는 압력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6448A1 (ko) * 2019-07-10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뚜껑 개방 시 내부 증기를 배출하는 전기압력밥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766A (ko)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5665B2 (ja) 電気炊飯器
CN107647771B (zh) 一种压力锅
CN108720580B (zh) 电炊具
KR101985479B1 (ko) 전기조리기
US20180177322A1 (en) Low vacuum and vacuum release device for electric rice cooker
KR200440495Y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기구용 뚜껑
KR101232781B1 (ko) 압력솥의 안전밸브
JP5055036B2 (ja) 炊飯器
KR101618846B1 (ko) 전기밥솥
KR100857454B1 (ko) 전기압력밥솥
CN111281161A (zh) 蒸汽阀及烹饪器具
KR20100067167A (ko) 전기 보온압력밥솥의 이상 압력 배출장치
KR101061498B1 (ko) 압력조절밸브
KR102291028B1 (ko) 펄프 조절부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CN112568706A (zh) 设置有中间腔室安全装置的压力炊具
KR200336743Y1 (ko)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
KR100249628B1 (ko) 전기압력밥솥의 상압조정장치
KR102357794B1 (ko)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
KR102565062B1 (ko) 밥솥의 수증기 배출 조절장치
US20230142074A1 (en) Rice Input Structure of Automatic Electric Pressure Cooker
KR200279293Y1 (ko) 개선된 응축수 배출장치를 구비한 전기압력밥솥
KR200340488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뚜껑열림 방지장치
KR200336736Y1 (ko) 압력솥의 뚜껑개폐장치
CN212281049U (zh) 蒸汽阀及烹饪器具
KR20100002196U (ko) 압력냄비의 압력조절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