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498B1 - 압력조절밸브 - Google Patents

압력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498B1
KR101061498B1 KR1020090076930A KR20090076930A KR101061498B1 KR 101061498 B1 KR101061498 B1 KR 101061498B1 KR 1020090076930 A KR1020090076930 A KR 1020090076930A KR 20090076930 A KR20090076930 A KR 20090076930A KR 101061498 B1 KR101061498 B1 KR 101061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weight
mandrel
rotating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9279A (ko
Inventor
유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엔풍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엔풍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엔풍년
Priority to KR1020090076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498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종류에 따른 밥솥내부의 압력을 고압과 저압으로 조절하여 최적의 조리상태를 제공하고, 조리 완료 후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의해 밥솥 내부 압력을 급속히 빼내는 배기 기능이 구비된 압력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이 수용공간을 둘러싸고 있는 벽체의 내주연 양측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바닥면 중앙에 제1관통공이 형성되며, 압력 밥솥의 뚜껑에 안착되는 본체;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용부가 구비되고, 이 수용부를 둘러싸고 있는 벽체 양측에 3단으로 이루어진 단턱이 형성되며, 바닥면 중앙에 제2관통공이 형성된 회전체; 하부가 개구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 상면 중앙에 차단돌기가 형성되며, 측벽에 후술할 보조무게추의 이탈을 방지하는 후크가 형성되고, 이 후크와 교차되는 양측벽에 안내 홈이 형성되며, 상면에 외부와 상기 수용홈이 연통하도록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게추; 상기 무게추에 설치됨과 동시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직통공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상기 안내홈을 통과하여 끝단이 가이드홈에 수용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보조무게추; 나사산이 구비된 하단은 상기 제1 제2관통공을 관통하며, 몸체 중간에 제1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안착설치되며, 이 제1걸림턱에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회전체가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몸체를 관통하는 수직 유로공이 형성되며, 이 수직 유로공의 상부가 상기 차단돌기에 의해 폐쇄되도 록 설치되는 심봉;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어 상기 심봉이 압력밥솥 뚜껑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력, 조절, 밸브, 무게추, 보조, 단턱, 3단, 심봉, 유로공

Description

압력조절밸브 {PRESSURE CONTROL VALVE}
본 고안은 가열하여 각종 음식물을 조리하는 압력밥솥의 압력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 종류에 따른 밥솥내부의 압력을 고압과 저압으로 조절하여 최적의 조리상태를 제공하고, 조리 완료 후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의해 밥솥 내부 압력을 급속히 빼내는 배기 기능이 구비된 압력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밥솥은 조리물(밥이나 찜 등)이 내장된 밀폐 압력용기를 전기나 가스의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취사를하는 기구로서, 취사도중 압력용기 내부가 고압으로 유지되어 물의 끊는점이 상승되고, 이로써 양질의 조리를 수행하게
되는 기구이다. 그리고 이러한 조리기구에는 통상 내부 압력의 적절한 유지를 위해 증기를 배출하는 압력조절장치(밸브)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고 있는 압력조절밸브는 조리의 종류에 관계없이 밥솥의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고, 이 설정된 내부 압력 이상으로 압력이 증가 하는 경우에는 개방 조작되어 증기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압력조절밸브의 경우에는 밥솥에서 조리되는 조리의 종류에 따라 증기 배출압력을 달리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항상 설정된 압력 이상이면 개방 조작되기 때문에 증기 배출압력을 달리하는 조리 종류에 맞추어
적정한 배출 압력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점과, 이로 인한 양질의 조리가 불가능하다는 큰 문제가 있다.
그리고 엘지전자에 부여된 국내공개특허 제2000-51158호에는 압력추의 무게를 선택 조절하여 사용자가 밥솥 내부의 압력을 용이하게 변경하여 원하는 상태의 조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압력 조정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종래 조
리 종류에 따른 압력 조절을 선택할 수 없었던 것에 비하여서는 내부 압력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에서는 진일보된 것이나, 압력추에 대하여 단순히 탈 부착이 가능한 다수의 링을 베이스나 캡에 결함하고 상기 링을 필요에 따라 가감하는 것
에 의해 조절되도록 한 것이어서 링의 분실 우려 및 취사자의 감각에 의존하여 링의 가감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조리에 맞는 적정한 압력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조리 종류에 따른 압력밥솥 내부의 압력을 고압과 저압으로 조절하여 최적의 조리상태를 제공하고, 조리 완료 후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의해 압력밥솥 내부 압력을 급속히 빼내는 배기 기능이 구비된 압력조절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습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이 수용공간을 둘러싸고 있는 벽체의 내주연 양측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바닥면 중앙에 제1관통공이 형성되며, 압력 밥솥의 뚜껑에 안착되는 본체;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용부가 구비되고, 이 수용부를 둘러싸고 있는 벽체 양측에 3단으로 이루어진 단턱이 형성되며, 바닥면 중앙에 제2관통공이 형성된 회전체; 하부가 개구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 상면 중앙에 차단돌기가 형성되며, 측벽에 후술할 보조무게추의 이탈을 방지하는 후크가 형성되고, 이 후크와 교차되는 양측벽에 안내 홈이 형성되며, 상면에 외부와 상기 수용홈이 연통하도록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게추; 상기 무게추에 설치됨과 동시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직통공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상기 안내홈을 통과하여 끝단이 가이드홈에 수용되는 가이드돌기 가 형성된 보조무게추; 나사산이 구비된 하단은 상기 제1 제2관통공을 관통하며, 몸체 중간에 제1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안착설치되며, 이 제1걸림턱에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회전체가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몸체를 관통하는 수직 유로공이 형성되며, 이 수직 유로공의 상부가 상기 차단돌기에 의해 폐쇄되도록 설치되는 심봉;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어 상기 심봉이 압력밥솥 뚜껑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관통공은 내주연 양측에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턱은 상기 제2관통공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대응되게 위치하면 회전체가 상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에 위치조정홈에 수용되는 위치조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턱은 높이가 다른 3개의 수평면과, 이 수평면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면과 경사면이 맞나는 지점에 돌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역"V"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호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에 상기 호형홈을 타고 이송되는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심봉 상단에 외주연에 스톱퍼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무게추의 하부에 걸림고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판체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심봉 하단이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설치편이 구비된 안전망 서포트가 상기 고정너트와 압력밥솥 뚜껑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심봉 하단을 감싸도록 상기 설치편에 설치되는 안전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에 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에 지시화살표가 인쇄되고, 본체에 고압, 저압, 배기 표시가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는 3단 단턱과, 이 단턱과 대응되게 설치되는 가이드 돌기에 의해 보조무게추, 무게추가 승강함으로써 고압, 저압, 배기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조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관통공에 걸림편이 형성되고, 제2걸림턱은 제2관통공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대응되게 위치하면 회전체가 상향으로 이탈되어 청소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위치조정홈과, 위치조정돌기가 형성되어 회전체의 회전 조작 시 고압, 저압, 배기 및 분리 위치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턱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회전체에 잘못된 외압이 발생되어 회전체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형홈과, 돌기가 구비되어 회전체의 회전 반경을 제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톱퍼와, 걸림고리가 구비되어 보조무게추가 심봉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전망 서포트과 안전망이 더 구비되어 심봉의 유로공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체에 손잡이가 더 구비되어 회전체의 회전 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지시화살표와, 고압, 저압, 배기, 분리 표시가 인쇄되어 어떤 상태인지 사용자가 인지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회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돌출부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걸림고리와 스톱퍼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걸림고리와 스톱퍼에 의해 보조무게추가 심봉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제2관통공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제2관통공과 제2걸림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지시화살표와, 고압,저압,배기,분리표시가 인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체와 회전체에 호형홈과 돌기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체와 회전체에 위치조정홈과 위치조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3에 안전망서포트와 안전망이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무게추와 보조무게추가 심봉의 유로공을 누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심봉의 유로공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무게추가 심봉의 유로공을 누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와, 회전체(20)와, 무게추(30)와, 보조무게추(40)와, 심봉(50) 및 고정너트(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상부가 개구되도록 수용공간(11)이 구비되고, 이 수용공간(11)을 둘러싸고 있는 벽체의 내주연 양측에 수직으로 가이드 홈(12)이 형성되며, 바닥면 중앙에 제1관통공(13)이 형성되고 압력 밥솥의 뚜껑에 안착된다.
상기 가이드 홈(12)은 후술할 가이드 돌기(42)가 본체(10)의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이송되어 가이드 홈(12)에 수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홈(12)의 상단은 본체(10)의 상면과 연통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체(20)는 상기 수용공간(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원형으 로 이루어지며, 상면이 개구된 수용부(21)가 구비되고, 이 수용부(21)를 둘러싸고 있는 벽체 양측 일부가 절개되어 3단으로 이루어진 단턱(22)이 형성되며, 바닥면 중앙에 제2관통공(23)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체(20)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손잡이(24)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단턱(2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높이가 다른 3개의 수평면(22a)과, 이 수평면(22a)을 연결하는 경사면(22b)으로 이루어져 3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단턱(22)은 회전체(20)의 회전 조작 시 후술할 보조무게추(40)의 가이드돌기와 대응하여 무게추(30)와 보조무게추(4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킨다. 보다 상세히 설명자면, 높이가 가장 낮은 수평면(22a) 즉, 1단 상부에 가이드돌기(42)가 위치하면 단턱(22)과 접촉이 안된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체(20)를 회전 조작하면 경사면(22b)에 의해 가이드 돌기(42)가 상승하게 되어 가이드 돌기(42)는 2단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보조무게추(40)는 승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회전체(20)를 회전 조작하면 경사면(22b)에 의해 가이드 돌기(42)가 상승하게 되어 가이드 돌기(42)는 3단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보조무게추(40)의 상승과 연동하여 무게추(30)가 승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높이가 낮은 수평면(22a)인 1단에 가이드 돌기(42)가 위치하면 밥솥 내부 증기압은 후술할 심봉(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때 무게추(30)와 보조무게추(40)의 무게를 이기는 압력(고압)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중간 높이에 위치 한 수평면(22a)인 2단에 가이드 돌기(42)가 안착 위치하면 보조무게추(40)는 상승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무게추(30)의 무게를 이기는 압력(저압) 발생 시 증기압이 외부로 배출되며, 가장 높은 수평면(22a)인 3단에 가이드 돌기(42)가 안착 위치하면 무게추(30)와 보조무게추(40)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 심봉(50)에 형성된 수직 유로공(54)이 개방되어 압력 밥솥 내부의 증기압이 배출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턱(22)은 상기 수평면(22a)과 경사면(22b)이 맞나는 지점에 역"V"자 형상의 돌출부(22c)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22c)는 3단 또는 2단에 위치한 가이드 돌기(42)가 회전체(20)의 오조작에 의해 쉽게 회전 되는 것을 역확을 수행한다.
상기 무게추(30)는 하부가 개구되도록 수용홈(31)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31) 상면 중앙에 차단돌기(32)가 형성되며, 측벽에 후술할 보조무게추(40)의 이탈을 방지하는 후크(33)가 형성되고, 이 후크(33)와 교차되는 양측벽에 안내 홈(34)이 형성되며, 상면에 외부와 상기 수용홈이 연통하도록 통로(35)가 형성된다.
이러한 무게추(30)는 상기 수용부(21)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체(20)의 회전 조작 시 승하강하는 보조무게추(40)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보조무게추(40)는 상기 무게추(30)의 후크(33)에 의해 파지되어 무게추(30)의 수용홈(31)에 설치됨과 동시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직 통공(41)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상기 무게추(30)의 안내 홈(34)과 회전체(20)의 일부가 절개가 이루어진 단턱(22)을 통과하여 끝단이 상기 본체(10)의 가이드홈(12)에 수용되는 가이드돌기(42)가 형성된다.
이러한 보조무게추(40)는 끝단이 본체(10)의 가이드 홈(12)에 수용되는 가이드 돌기(42)에 의해 회전하지 아니하며, 회전체(20)의 회전 시 단턱(22)의 경사면(22b)에 의해 가이드 돌기(42)가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되고, 가이드 돌기(42)가 단턱(22)의 3단에 위치하게 되면 무게추(30)는 승강상태를 유지하며, 이때, 무게추(30)의 차단돌기(32)가 심봉(50)의 유로공(54)과 이격되어 유로공(54)이 개방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상기 심봉(50)은 하단에 나사산(51)이 구비되고, 이 하단이 상기 제1, 제2관통공(13, 23) 및 압력밥솥 뚜껑을 관통하며, 몸체 중간에 제1걸림턱(52)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 저면에 안착설치되며, 이 제1걸림턱(52) 상부에 제2걸림턱(53)이 형성되어 회전체(20)가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몸체를 관통하는 수직 유로공(54)이 형성되며, 이 수직 유로공(54)의 상부가 상기 차단돌기(32)에 의해 폐쇄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 너트(60)는 상기 심봉(50)의 나사산(51)에 체결되어 본체(10), 회전체(20), 심봉(50)이 압력밥솥 뚜껑에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너트(60)와 압력 밥솥 뚜껑 사이에 오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무게추(40)의 하면에 한 쌍의 걸림고리(43)가 형성되고, 상기 심봉(50) 상단에 외주연에 상기 걸림고리(43)가 걸리는 스톱퍼(55)가 더 구비되어 상기 보조무게추(40)가 심봉(50)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톱퍼(55)는 상면과 하면에 테이퍼면(55a)이 구비되어 걸림고리(43)가 테이퍼면(55a)에 의해 휘어져 끼움 설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관통공(23)은 상기 제2걸림턱(53)과 동일한 형상 즉, 양단이 절개된 원형으로 이루어져 서로 대응되게 위치하면 회전체(20)가 상향으로 이탈되어 청소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돌기(42)가 단턱(22)의 1단에 위치하여 무게추(30)와 보조무게추(40)의 무게에 의해 심봉(50)의 유로공(54)이 막힌 고압상태, 2단에 위치하여 무게추(30)의 무게에 의해 심봉(50)의 유로공(54)이 막힌 저압상태, 3단에 위치하여 심봉(50)의 유로공(54)이 개방된 배기 상태 및 회전체(20)가 상향 분리되는 분리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체(20)는 단턱(22)과 가이드 홈(12)에 위치한 가이드 돌기(42)에 의해 고압, 저압, 배기 구간만 회전함으로써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무 게추(40)가 제거된 상태에서 일정 간격 회전될 때 상기 제2걸림턱(53)과 이 제2걸림턱(53)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관통공(23)이 대응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가 어떤 상태에 놓여 있는지를 사용자가 인지하기 쉽도록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20)에 지시화살표(25)가 인쇄되고, 본체에 고압, 저압, 배기, 분리 표시(14)가 인쇄됨이 좋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20)의 회전 반경 즉, 고압과, 저압과, 배기와, 분리가 되도록 하는 회전체(20)의 회전 반경을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 호형홈(15)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20)에 상기 호형홈(15)을 타고 이송되는 돌기(26)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 일측에 위치조정돌기(17)가 형성되고, 이 위치조정돌기(17)가 수용되도록 상기 회전체(20) 하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위치조정홈(27)이 형성되어, 회전체(20)가 일정 간격 즉, 고압, 저압, 배기, 분리 위치로 회전체(20)가 회전될 때 이를 사용자가 인지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체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심봉(50) 하단이 관통하는 구멍(71)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설치편(72)이 구비된 안전망 서포트(73)가 상기 고정너트(60)와 압력 밥솥 뚜껑 사이에 설치되고, 상 기 심봉(50) 하단을 감싸도록 상기 설치편에 설치되는 안전망(74)이 더 구비되어, 증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심봉(50)의 유로공(54)에 끼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의 작동상태를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력 밥솥에 조리물을 넣은 다음에 뚜껑을 닫고, 조리물에 따라 압력을 조절한다.
즉, 고압이 필요한 조리물이라면, 손잡이(24)를 파지하여 회전체(20)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체(20)의 지시화살표(25)가 본체(10)에 인쇄된 고압 표시(14)를 가리키면, 가이드 돌기(42)는 1단에 위치 즉, 단턱(22)의 수평면(22a) 중 가장 낮은 높이에 위치한 수평면(22a)에 위치하거나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심봉(50)의 유로공(54)을 무게추(30)와 보조무게추(40)가 눌러주게 된다.
따라서, 열을 가하여 압력 밥솥의 내부 증기압이 무게추(30)와 보조무게추(40)의 무게를 이기는 압력이 발생될 때 심봉(50)의 유로공(54)을 통해 증기압이 간헐적으로 배출된다.
조리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압력밥솥의 내부 증기압을 배출할 수 있다.
즉, 회전체(20)를 회전하여 지시화살표(25)가 배기 표시(14)에 위치시키면, 가이드 돌기(42)는 단턱(22)의 수평면(22a)을 연결하는 경사면(22b)을 타고 높이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수평면(22a) 즉, 3단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끝단이 본체(10)의 가이드 홈(12)에 수용된 가이드 돌기(42)에 의해 보조무게추(40)는 회전 하지 아니하고 승강하게 되며, 이 승강에 의해 무게추(30) 또한 승강하게 되어 심봉(50)의 수직 유로공(54)을 차단하고 있던 차단돌기(32) 또한 승강함으로써 수직 유로공(54)이 개방된다.
따라서, 압력 밥솥 내부 증기압이 심봉(50)의 수직 유로공(54)과 무게추(30)의 통로(3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저압이 필요한 조리물이라면, 손잡이(24)를 파지하여 회전체(20)를 회전시켜 지시화살표(25)가 본체(10)에 인쇄된 저압 표시(14)를 가리키도록 한다.
그러면, 가이드 돌기(42)는 2단에 위치 즉, 단턱(22)의 수평면(22a) 중 중간 높이에 위치한 수평면(22a)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보조무게추(40)는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심봉(50)의 유로공(54)을 무게추(30)가 눌러주게 된다.
따라서, 열을 가하여 압력 밥솥의 내부 증기압이 무게추(30)의 무게를 이기는 압력(저압) 발생될 때 심봉(50)의 유로공(54)을 통해 증기압이 간헐적으로 배출되면서 조리물이 조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내용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회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돌출부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걸림고리와 스톱퍼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걸림고리와 스톱퍼에 의해 보조무게추가 심봉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제2관통공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제2관통공과 제2걸림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지시화살표와, 고압,저압,배기,분리표시가 인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체와 회전체에 호형홈과 돌기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체와 회전체에 위치조정홈과 위치조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3에 안전망서포트와 안전망이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무게추와 보조무게추가 심봉의 유로공을 누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심봉의 유로공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무게추가 심봉의 유로공을 누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1)

  1.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이 수용공간을 둘러싸고 있는 벽체의 내주연 양측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바닥면 중앙에 제1관통공이 형성되며, 압력 밥솥의 뚜껑에 안착되는 본체;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용부가 구비되고, 이 수용부를 둘러싸고 있는 벽체 양측에 3단으로 이루어진 단턱이 형성되며, 바닥면 중앙에 제2관통공이 형성된 회전체;
    하부가 개구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 상면 중앙에 차단돌기가 형성되며, 측벽에 후술할 보조무게추의 이탈을 방지하는 후크가 형성되고, 이 후크와 교차되는 양측벽에 안내 홈이 형성되며, 상면에 외부와 상기 수용홈이 연통하도록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게추;
    상기 무게추에 설치됨과 동시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직통공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상기 안내홈을 통과하여 끝단이 가이드홈에 수용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보조무게추;
    나사산이 구비된 하단은 상기 제1 및 제2관통공을 관통하며, 몸체 중간에 제1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안착설치되며, 이 제1걸림턱 상부에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회전체가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몸체를 관통하는 수직 유로공이 형성되며, 이 수직 유로공의 상부가 상기 차단돌기에 의해 폐쇄되도록 설치되는 심봉;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어 상기 심봉이 압력밥솥 뚜껑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단턱 중 1단에 위치하면 보조무게추와 무게추가 상기 심봉에 안착되어 압력솥 내부 증기압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고압이 필요하며, 가이드돌기가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단턱 중 2단에 위치하면 보조무게추는 상기 2단에 의해 승강상태를 유지하여 무게추만 심봉에 안착됨과 동시에 돌기가 심봉의 유로공을 폐쇄하게 되어 압력솥 내부 증기압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상기 고압에 비해 적은 저압이 필요하며, 가이드돌기가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단턱 중 3단에 위치하면 보조무게추와 무게추는 승강하게되고 이때 유로공을 폐쇄하고 있던 돌기 또한 승강하여 유로공의 폐쇄가 해제되어 압력솥 내부의 증기압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배기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제2걸림턱이 통과할 수 있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대응되게 위치하면 회전체가 상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위치조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에 위치조정돌기가 수용되는 위치조정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밸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턱은 높이가 다른 3개의 수평면과, 이 수평면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밸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과 경사면이 맞나는 지점에 돌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밸브.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역"V"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밸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호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에 상기 호형홈을 타고 이송되는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밸브.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봉 상단에 외주연에 스톱퍼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무게추의 하부에 걸림고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밸브.
  9. 청구항 1에 있어서,
    판체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심봉 하단이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설치편이 구비된 안전망 서포트가 상기 고정너트와 압력밥솥 뚜껑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심봉 하단을 감싸도록 상기 설치편에 설치되는 안전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밸브.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 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밸브.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 지시화살표가 인쇄되고, 본체에 고압, 저압, 배기 표시가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밸브.
KR1020090076930A 2009-08-19 2009-08-19 압력조절밸브 KR101061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930A KR101061498B1 (ko) 2009-08-19 2009-08-19 압력조절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930A KR101061498B1 (ko) 2009-08-19 2009-08-19 압력조절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279A KR20110019279A (ko) 2011-02-25
KR101061498B1 true KR101061498B1 (ko) 2011-09-01

Family

ID=43776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930A KR101061498B1 (ko) 2009-08-19 2009-08-19 압력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4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895B1 (ko) 2013-05-29 2014-06-17 (주)현대가전업 다용도 믹서기용 안전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4563A (zh) * 2019-03-26 2019-06-11 青岛乐家电器有限公司 电饭煲蒸汽阀装置及电饭煲
KR102193754B1 (ko) * 2019-06-10 2020-12-21 세신퀸센스 주식회사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001Y1 (ko) 2003-04-19 2003-07-07 주식회사 부영실업 압력솥의 압력조절밸브
KR200422394Y1 (ko) 2006-05-18 2006-07-26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분배기용 유량조절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001Y1 (ko) 2003-04-19 2003-07-07 주식회사 부영실업 압력솥의 압력조절밸브
KR200422394Y1 (ko) 2006-05-18 2006-07-26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분배기용 유량조절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895B1 (ko) 2013-05-29 2014-06-17 (주)현대가전업 다용도 믹서기용 안전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279A (ko) 201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495B1 (ko) 압력조절밸브
EP0998869B1 (en) Cookware lid and handle assemblies
EP3153079B1 (en) Microwave pressure cooker
KR101506497B1 (ko) 하나의 밸브로 냄비의 일정압력 유지와 진공유도를 위한 밸브가 장착된 조리용 냄비
GB2476846A (en) Microwave pressure cooker with pressure regulator devices
JP2007503236A (ja) 加圧下で食品を調理するための器具
KR101061498B1 (ko) 압력조절밸브
KR101731601B1 (ko) 압력조절밸브 조정장치
KR20110131191A (ko) 조리 음식용 용기를 위한 개선된 천공 뚜껑
KR20140009738A (ko) 압력조리기의 압력조절장치
KR101632998B1 (ko)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KR101433097B1 (ko) 조리용 진공냄비
KR102393821B1 (ko)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KR100916296B1 (ko) 압력용기를 이용한 조리장치
KR102087426B1 (ko) 수직형 구이기
KR102003378B1 (ko) 압력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
KR200383514Y1 (ko)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US11395556B2 (en) Apparatus for automatic and fast cooking of food
KR101650087B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
KR200308596Y1 (ko) 전기압력밥솥의 압력조절부재
KR102193754B1 (ko)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
KR200361213Y1 (ko) 전기압력밥솥의 안전증기배출장치
KR102393074B1 (ko)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
KR20080008581A (ko) 냉각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뚜껑
KR200427915Y1 (ko) 냉각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