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087B1 -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087B1
KR101650087B1 KR1020140064546A KR20140064546A KR101650087B1 KR 101650087 B1 KR101650087 B1 KR 101650087B1 KR 1020140064546 A KR1020140064546 A KR 1020140064546A KR 20140064546 A KR20140064546 A KR 20140064546A KR 101650087 B1 KR101650087 B1 KR 101650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lifting
pressure
hole
pressure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6882A (ko
Inventor
이우정
강문호
박철우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40064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087B1/ko
Publication of KR20150136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도 취반시 밥솥뚜껑의 증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주 배기수단과 보조 배기수단이 형성된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로서, 상기 보조 배기수단은 압력추의 개폐에 의해 선택적으로 증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압력추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승하강 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하강 부재는 뚜껑 본체의 안착홈에 관통형성된 관통구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며, 상기 관통구의 선단에는 패킹링이 설치되어 상기 관통구와 상기 승하강 부재 사이의 틈을 밀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ASSEMBLY FOR EXHAUSTING VAPOR IN ELECTRIC PRESSURE RICE COOKER}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도 취반시 밥솥뚜껑의 내부로 증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밥솥은 내솥 내부를 가열하여 고온 고압의 상태로 만들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압력밥솥은 내솥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에 기인하는 폭발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솥 내부에서 음식물의 조리 시 발생된 고온 및 고압의 증기를 배출하여 상기 내솥의 내부압력을 일정 압력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압력밥솥은 취사가 완료되면, 뚜껑부에 장착된 개폐추를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개폐추와 개폐추 증기배출관 사이의 증기배출 통로를 만들어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거나, 별도의 자동증기배출용 솔레노이드밸브를 뚜껑에 장착하여 취사 완료시 제어기의 전기적 제어로 인해 밸브를 개방하여 내부 증기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압력밥솥의 개폐추를 사용하여 증기를 배출하는 압력밥솥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압력밥솥의 개폐추가 열리고 닫힌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압력밥솥(전기압력밥솥)은 본체(10), 내솥(20), 뚜껑(30), 내솥(20) 내부를 밀폐시키는 커버패킹(33), 개폐추(31), 개폐추 증기배출관(32), 개폐추(31)와 연동되도록 장착된 증기배출장치(40), 증기배출장치(40)와 연동되도록 장착된 본체의 솔레노이드(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종래의 압력밥솥은 음식물의 조리 중에 내솥(20) 내부의 압력에 의해 개폐추(31)가 개폐추 증기배출관(32)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도록 함으로써, 내솥(20) 내부의 증기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내솥(20) 내부의 압력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압력밥솥의 내솥(20)에 수용된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제어부(11)에서 솔레노이드(13)를 제어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봉(14)이 압력밥솥 뚜껑(30)의 일측에 장착된 증기배출장치(40)에 형성된 레버(60)의 끝단에서 하강되어 레버(60)의 끝단이 하강되도록 한다.
이때, 증기배출장치(40)의 장착대(62)에 회동축(61)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60)의 선단이 레버(60)의 끝단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승 된다. 이를 통하여, 레버(60)의 선단이 상승됨과 더불어 레버(60)의 선단이 접촉된 개폐추(31)의 일측단이 상승되어 개폐추(31)가 증기배출관(32)을 중심으로 기울어지면서 증기배출관(32)의 상측 개구부에 끼워진 개폐추(31)의 선단부가 개구부에서 이탈되면서 증기배출관(32)의 상면 개구부가 개방되어 내솥(20)에 충진된 잔류증기가 음식물의 조리완료와 더불어 자동으로 배출된다.
이때 증기배출관(32)를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는 개폐추(31) 내부의 공간을 지나서 뚜껑의 상측 방향으로 방향이 바뀌어 배출된다.
그러나,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증기의 방향은 뚜껑(30)의 상면을 향하므로, 뚜껑 상면의 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압력밥솥은 증기의 배출시 배기되는 증기가 뚜껑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어, 전자부품들이 손상될 우려가 크고, 밥솥의 뚜껑의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게 됨으로써 위생성이 떨어짐은 물론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도 취반시 밥솥뚜껑의 내부로 증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주 배기수단과 보조 배기수단이 형성된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로서, 상기 보조 배기수단은 압력추의 개폐에 의해 선택적으로 증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압력추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승하강 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하강 부재는 뚜껑 본체의 안착홈에 관통형성된 관통구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며, 상기 관통구의 입구에는 패킹링이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과 상기 승하강 부재 사이의 틈을 밀폐하도록 구성된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승하강 부재는 선단이 돌출되어 상기 압력추의 일부에 맞닿아 상기 압력추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며, 상기 승하강 부재의 선단에 근접하도록 패킹링이 장착되고, 상기 승하강 부재의 하단에는 지지단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단에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승하강부재를 탄성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관통구의 입구 주변에는 일정각도의 경사면을 갖는 경사턱이 형성되고 , 상기 경사턱에 상기 패킹링이 안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하강되는 것으로 압력추를 개폐하는 승하강 부재의 주변으로 패킹링을 설치하고, 관통구의 입구측에 경사턱을 형성함으로써 압력추 개폐시 승하강 부재의 주변 틈에 대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 틈으로 증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전자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뚜껑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압력밥솥의 개폐추를 사용하여 증기를 배출하는 압력밥솥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압력밥솥의 개폐추가 열리고 닫힌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뚜껑 본체(100)의 상부에 일정면적으로 형성된 안착홈(190)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190)에 주 배기수단으로서 솔레노이드 밸브(120)가 형성되고, 보조 배기 수단으로서 압력추(110)와 배기 조립체(130)가 뚜껑 본체(100)에 장착된다.
한편, 뚜껑 본체(100)의 안착홈(190)에는 장착공(140)과 관통구(181)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장착공(140)에는 배기 조립체(130)가 삽입되고 배기 조립체(130)의 상부에 압력추(110)가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관통구(181)에는 승하강 부재(150)가 장착되어 관통구(181)에서 승하강하는 것으로 압력추(1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승하강 부재(150)는 전방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된 선단(152)이 형성되고, 이 선단(152)이 압력추(110)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승하강 부재(150)가 상승하면 압력추(110)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배기 조립체(130)의 배기 유로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승하강 부재(150)는 스프링(S)에 의해 관통구(181) 내에서 상부측으로 탄성 지지 되는데, 이때 승하강 부재(150)의 말단에는 스프링(S)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단(153)이 형성된다.
한편, 안착홈(190)에 형성된 관통구(181)의 입구에는 경사턱(182)이 형성된다. 이때 경사턱(182)은 상부를 향해 넓은 지름을 갖는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하강 부재(150)의 선단(152)의 바로 아래의 하부면에는 패킹링(151)이 삽입된다. 이때 패킹링(151)은 관통구(181)의 입구에 형성된 경사턱(182)에 안착됨으로써 승하강 부재(150)가 승하강시 승하강 부재(150)와 관통구(181) 사이를 밀폐함으로써 이 틈으로 증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밀폐를 위해 패킹링(151)은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는 승하강 부재(150)가 승하강되는 것으로 압력추(110)를 개폐하고, 승하강 부재(150)의 둘레로 패킹링(151)을 설치하고, 관통구(181)의 입구측에 경사턱(182)을 형성함으로써 압력추 (110)의 개폐시 승하강 부재(150)의 주변 틈에 대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 틈으로 증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이를 통해 전자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뚜껑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뚜껑본체
110: 압력추
120: 솔레노이드 밸브
130: 배기 조립체
140: 장착공
150: 승하강부재
190: 안착홈

Claims (3)

  1. 주 배기수단과 보조 배기수단이 형성된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로서,
    상기 보조 배기수단은 압력추의 개폐에 의해 선택적으로 증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압력추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승하강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부재는 뚜껑 본체에 형성된 안착홈에 관통형성된 관통구에 삽입되어 승하강되고, 그리고
    상기 승하강 부재는, 선단이 돌출되어 상기 압력추의 일부에 맞닿아 상기 압력추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며, 상기 승하강 부재의 선단에 근접하도록 패킹링이 장착되고, 상기 승하강 부재의 하단에는 지지단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단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승하강 부재를 탄성지지하고,
    상기 관통구의 상부는 상방으로 일정높이로 연장되되, 상기 승하강 부재가 상기 관통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추의 하단에 상기 승하강 부재의 선단이 맞닿기 충분한 높이까지 연장되며,
    상기 관통구의 입구 주변에는 상부를 향해 넓은 지름을 갖는 방사형의 경사면을 갖는 경사턱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턱에 상기 패킹링이 안착되어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
  2. 삭제
  3. 삭제
KR1020140064546A 2014-05-28 2014-05-28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 KR101650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546A KR101650087B1 (ko) 2014-05-28 2014-05-28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546A KR101650087B1 (ko) 2014-05-28 2014-05-28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882A KR20150136882A (ko) 2015-12-08
KR101650087B1 true KR101650087B1 (ko) 2016-08-23

Family

ID=5487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546A KR101650087B1 (ko) 2014-05-28 2014-05-28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0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074B1 (ko) 2016-02-29 2022-05-03 주식회사 위니아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708Y1 (ko) 2000-08-31 2001-02-15 김동길 전기 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848B1 (ko) * 1995-11-14 1998-11-16 구자홍 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0123801Y1 (ko) * 1995-11-23 1998-09-15 임근배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0157760Y1 (ko) * 1995-11-24 1999-10-01 전주범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708Y1 (ko) 2000-08-31 2001-02-15 김동길 전기 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882A (ko) 201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7855B1 (ko) 전기조리기
EP2052653B1 (fr) Autocuiseur pourvu d'un système de sécurité à la surpression
FR2862856A1 (fr) Appareil de cuisson d'aliments sous pression
KR101731601B1 (ko) 압력조절밸브 조정장치
KR101650087B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
KR101697731B1 (ko) 숯불 가스를 이용한 조리기구
KR101965664B1 (ko) 전기 밥솥의 뚜껑 닫힘 방지 장치
KR200417390Y1 (ko) 압력밥솥
KR101061498B1 (ko) 압력조절밸브
US20060289538A1 (en) Sleeve-suspended and color-coded safety valve for a pressure cooker and a pressure cooker using the same
JP2009195594A (ja) 炊飯器
KR20120008073U (ko) 솔레노이드밸브
KR20160074063A (ko) 압력 밥솥의 증기배출관에 결합되는 안전 캡
CN1713844B (zh) 烹饪液体排出装置和相应的方法
KR102393074B1 (ko)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
EP3446043B1 (en) Boiler
KR20100056360A (ko)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도자기 내솥 덮개의 배출장치
KR102069540B1 (ko) 압력솥용 비복귀식 안전밸브
KR101842892B1 (ko) 압력조리용기의 증기배출장치
KR20190129632A (ko) 조리 장치
KR200157760Y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KR200421225Y1 (ko) 압력 조리기의 압력추
KR20120017224A (ko) 솔레노이드밸브
KR101815040B1 (ko) 압력식 조리기의 안전 어셈블리
KR20120103130A (ko) 조리용 압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