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074B1 -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 - Google Patents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074B1
KR102393074B1 KR1020160024006A KR20160024006A KR102393074B1 KR 102393074 B1 KR102393074 B1 KR 102393074B1 KR 1020160024006 A KR1020160024006 A KR 1020160024006A KR 20160024006 A KR20160024006 A KR 20160024006A KR 102393074 B1 KR102393074 B1 KR 102393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groove
packing
pressure cooker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1464A (ko
Inventor
김시형
김해성
손영동
조동호
장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
Priority to KR1020160024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074B1/ko
Publication of KR20170101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킹 및 이를 구비한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노즐이 막힌 경우에도 내솥의 압력을 안전하게 누설할 수 있는 패킹 및 이를 구비한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lid of electric-pressure cooker thereof}
본 발명은 패킹 및 이를 구비한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노즐이 막힌 경우에도 내솥의 압력을 안전하게 누설할 수 있는 패킹과 이를 구비한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 조리기는 전기를 가열원으로 사용하여 내솥에 담긴 곡식류 등의 음식물을 취사하는 주방기기로서, 곡식류 등의 음식물이 담긴 내솥을 고온 고압으로 유지시켜서 정상 기압보다 높은 상태에서 취사를 수행하여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그 맛을 더해주고 있다.
전기압력 조리기는 내솥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에 기인하는 폭발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솥 내부에서 음식물의 조리 시 발생된 고온 및 고압의 증기를 배출하여 상기 내솥의 내부압력을 일정 압력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전기압력 조리기는 취사가 완료되면, 뚜껑부에 장착된 개폐추를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개폐추와 개폐추 증기배출관 사이의 증기배출 통로를 만들어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거나, 별도의 자동증기배출용 솔레노이드밸브를 뚜껑에 장착하여 취사 완료시 제어기의 전기적 제어로 인해 밸브를 개방하여 내부 증기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압력 조리기의 개폐추를 사용하여 증기를 배출하는 압력밥솥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전기압력 조리기의 개폐추가 열리고 닫힌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전기압력 조리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기압력 조리기는 본체(10), 내솥(20), 뚜껑(30), 내솥(20) 내부를 밀폐시키는 커버패킹(33), 개폐추(31), 개폐추 증기배출관(32), 개폐추(31)와 연동되도록 장착된 증기배출장치(40), 증기배출장치(40)와 연동되도록 장착된 본체의 솔레노이드 밸브(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기압력 조리기는 음식물의 조리 중에 내솥(20) 내부의 압력에 의해 개폐추(31)가 개폐추 증기배출관(32)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도록 하여 내솥(20) 내부의 증기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내솥(20) 내부의 압력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전기압력 조리기의 내솥(20)에 수용된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제어부(11)에서 솔레노이드 밸브(13)를 제어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봉(14)이 압력밥솥 뚜껑(30)의 일측에 장착된 증기배출장치(40)에 형성된 레버(60)의 끝단에서 하강되어 레버(60)의 끝단이 하강되도록 한다.
이때, 증기배출장치(40)의 장착대(62)에 회동축(61)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60)의 선단이 레버(60)의 끝단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승 된다.
이를 통하여, 레버(60)의 선단이 상승됨과 더불어 레버(60)의 선단이 접촉된 개폐추(31)의 일측단이 상승되어 개폐추(31)가 증기배출관(32)을 중심으로 기울어지면서 증기배출관(32)의 상측 개구부에 끼워진 개폐추(31)의 선단부가 개구부에서 이탈되면서 증기배출관(32)의 상면 개구부가 개방되어 내솥(20)에 충진된 잔류증기가 음식물의 조리완료와 더불어 자동으로 배출된다.
전술한 종래의 전기압력 조리기는 내솥의 내용물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와 노즐이 막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증기배출장치가 그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며, 이때 전기압력 조리기가 작동시 내솥(20) 내부의 압력은 계속 증가하는 상황이 되고, 증가되는 압력을 안전하게 배출시켜 전기압력 조리기의 폭발 등을 방지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비정상적인 압력을 누설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나, 비정상적인 압력 상승량에 비해 압력의 누설량이 적어, 가압 속도가 빠를 경우에는 여전히 전기압력 조리기의 폭발의 위험성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13688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기압력 조리기의 뚜껑에 위치하며, 솔레노이드 밸브와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증기배출장치가 막힌 경우에도 내솥의 압력을 안전하게 누설할 수 있는 패킹 및 이를 구비한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패킹은 링 형상을 가지며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홀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제2면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패킹은 상기 홈은 제1측벽과 제2측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측벽의 외면에는 라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패킹은 상기 제2측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날개가 더 포함되며, 상기 날개는 상기 제2측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은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에 있어서, 패킹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압력뚜껑이 결합되는 탑플레이트; 상기 탑플레이트에는 상기 패킹의 날개가 수용되는 날개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은 상기 날개 수용홈은 상기 탑플레이트의 내주면과 상기 압력뚜껑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날개 수용홈의 하부에는 상기 패킹의 제2턱이 접하는 제1수직 걸림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은 상기 날개 수용홈은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와 연결되는 제1경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패킹 및 이를 구비한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솔레노이드 밸브와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증기배출장치가 막힌 경우, 내솥의 압력을 안전하게 유출시킬 수 있다.
(2) 간단한 구조로 내솥의 비정상적인 압력을 유출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전기압력 조리기에서 개폐추를 사용하여 증기를 배출하는 전기압력 조리기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압력밥솥의 개폐추가 열리고 닫힌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패킹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의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례는 다음과 같다.
먼저 패킹(10)은 링 형상을 가지며 제1면(21)과 제2면(22)을 포함하는 몸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의 제1면(21)은 후술할 탑플레이트(150)를 향하며, 몸체의 제2면(22)은 내솥(미도시)을 개폐하는 압력 뚜껑(110)을 향한다.
참고로 압력 뚜껑(110)에는 내솥을 개폐하는 압력 뚜껑 패킹(미도시)이 결합된다.
몸체(20)의 전체적인 형상은 링과 같다.
몸체의 제1면(21)과 몸체의 제2면(22)을 관통하도록 제1홀(25)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패킹(10)의 실시례에서는 제1홀(25)은 홈(30)의 전후에 2개가 위치하며, 이는 링 모양을 갖는 패킹(10)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제1홀(25)은 인접하는 다른 제1홀(25)과의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형성되므로, 제1홀(25)은 몸체(20)에 복수 개가 형성된다.
몸체의 제2면(22)에는 홈(30)이 위치한다.
홈(30)은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홈(30)의 대략적인 형상은 직사각형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홈(3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홈(30)은 몸체의 내면(20a)의 일부와 몸체의 외면(20b)의 일부를 측벽으로 삼는다.
즉, 홈(30)은 제1측벽(31)과 제2측벽(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홈(30)은 전술한 제1홀(25) 가운데 홈(30)과 근접한 제1홀(25)로부터 유입되는 이상 압력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의 내면(20a) 일부가 홈의 제1측벽(31)을 이룬다.
몸체의 외면(20b) 일부는 홈의 제2측벽(32)을 이룬다.
제1면(21)의 후면 일부는 홈의 저면(35)을 이룬다.
한편, 몸체(20)의 일부가 홈의 제3면(33)과 제4면(34)을 각각 이룬다.
패킹(10)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볼 경우 제2측벽(32)의 외면에는 라운드(36)가 형성된다.
한편 제1측벽(31)은 제2측벽(32)에 비해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형성한다.
제2측벽(32)의 외면에는 라운드(36)가 형성된다.
라운드(36)는 완만한 곡선을 갖는 경사부로 이루어진다.
홈(30)은 제2면(22)으로부터 제1면(21)을 향해 오목하게 파서 일정한 공간을 갖도록 형성한다.
한편, 제2면(22)에는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는 턱(40)이 형성된다.
턱은 제1턱(41)과 제2턱(42)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몸체의 내면(20a)에 위치하는 것을 제1턱(41)이라 한다.
몸체의 외면(20b)에 위치하는 것을 제2턱(42)이라 한다.
한편, 제2면(22)에는 제1턱(41)과 제2턱(42)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제3턱(43)이 위치한다.
제3턱(43)은 몸체(20)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제1턱(41)과 제2턱(42)을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며, 제2면(22)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다.
본 발명의 패킹(10)은 홈(30)의 일부를 이루는 제2측벽(32)과 일체로 형성되는 날개(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날개(50)는 제2측벽(32)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돌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미도시)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100)은 본체의 일측에 힌지로 개폐할 수 있게 구비된다.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100)은 압력뚜껑(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압력뚜껑(110)은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100)에 수용되는 탑플레이트(150)와 결합한다.
탑플레이트(150)에 전술한 패킹(10)이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패킹의 몸체(20)가 탑플레이트(150)에 형성된 수용홈(155)에 끼워져 장착된다.
참고로 수용홈(155)은 개구가 구비되며, 패킹의 몸체(20)가 개구를 통해 수용홈(155) 내부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100)은 탑플레이트의 수용홈(155)의 상부에 위치하는 날개 수용홈(1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날개 수용홈(160)의 대략적인 형상은 다음과 같다.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100)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할 때, 날개 수용홈(160)은 사각형과 유사하며, 상부와 일면이 개구된다.
날개 수용홈(160)의 사시도를 기준으로 날개 수용홈(160)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날개 수용홈(160)은 탑플레이트(150)의 일부, 탑플레이트의 제1면(151)과 제2면(152)을 오목하게 파서 형성되는 공간을 말한다.
먼저 날개 수용홈(160)은 수용홈(155)을 향하는 제2경사부(162)가 형성된다.
제2경사부(162)의 아래에는 제2경사부(162)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1수직부(161)가 형성된다.
제1수직부(161)의 아래에는 제1수직부(161)와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비스듬하게 수용홈(155)을 향하는 제3경사부(163)가 형성된다.
제3경사부(163)의 아래에는 제3경사부(163)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1수평부(171)가 형성된다.
제1수평부(171)의 아래에는 제1수평부(171)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1경사부(172)가 형성된다.
제1경사부(172)는 패킹(10)이 제1수평부(171)에 쉽게 걸리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경사부(172)는 패킹(10)의 일부인 홈의 제2측벽(32)이 제1수평부(171)에 쉽게 걸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날개 수용홈(160)의 하부에는 제1수직 걸림턱(165)이 형성되며, 제1수직 걸림턱(165)은 제1경사부(172)의 아래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패킹(10)과 탑플레이트(150)의 결합은 다음과 같다.
패킹(10)은 탑플레이트(150)에 형성된 수용홈(155)에 수용된다.
이때 몸체의 제2면(22)은 수용홈(155)의 저면과 접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의 제2면(22)에는 홈(30)이 위치한다.
패킹(10)과 탑플레이트(150)의 결합시 홈의 제2측벽(32)은 날개 수용홈(160) 측에 위치한다.
이때 날개(50)는 날개 수용홈(160)에 수용된다.
날개(50)는 전기압력 조리기의 압력이 정상적인 경우에는 제1수평부(171)와 제1경사부(172)에 걸쳐지도록 위치함으로써, 날개 수용홈(160)으로부터 새는 압력을 막아 정상 압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이상 압력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상 압력과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압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홈(30)이 제1수평부(171)에 확실하게 걸칠 수 있도록 한다.
솔레노이드 밸브와 노즐이 막혀 더 이상 증기 배출이 되지 않는 등의 일정압력 이상인 이상 압력 발생시 패킹(1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몸체의 제1홀(25)을 통해 압력이 몸체의 홈(30)에 수용된다.
여기서 몸체의 홈(30)은 이상 압력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의 역할을 한다.
몸체의 홈(30)에 수용되는 압력의 점점 높아지게 되면, 홈의 제2측벽(32)은 탑플레이트(150)에 형성된 날개 수용홈(160)을 향해 압력을 받게 된다.
이상 압력이 계속 증가하게 되면, 홈의 제2측벽(32)을 지지하고 있던 제1수직 걸림턱(165)으로부터 홈의 제2측벽(32)이 이탈된다.
이탈된 홈의 제2측벽(32)은 또한 제1경사부(172)를 넘게 되며, 홈의 제2측벽(32)은 제1수평부(171)에 걸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홈의 제2측벽(32)이 날개 수용홈의 제1수평부(171)에 걸쳐지게 되면, 패킹(10)이 갖는 밀폐기능의 일부가 상실하게 되며, 날개 수용홈(160) 쪽으로 이상 압력의 누설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킹(10)에 작용하는 압력이 대기압력보다 클 경우, 날개 수용홈(160)으로 패킹(10)의 일부가 밀려 이동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이상 압력이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100)의 공간으로 안전하게 누설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압력이 해소된 후에는 패킹의 날개(50)를 패킹(10)을 수용하는 수용홈(155)을 향해 눌러주게 되면, 홈의 제2측벽(32)은 제1경사부(172)를 지나 쉽게 제1수직 걸림턱(165)으로 내려갈 수 있으므로, 패킹(20)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홈의 제2측벽(32)에 형성된 라운드(36)는 제1경사부(172)를 지나 제1수직 걸림턱(165)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패킹 및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은 뚜껑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노즐이 막힌 경우에도 내솥의 압력을 안전하게 누설할 수 있어 안전성이 확보된다는 장점이 있다.
10:패킹
20:몸체 20a:몸체의 내면
20b:몸체의 외면 21:몸체의 제1면
22:몸체의 제2면 25:제1홀
30:홈 31:홈의 제1측벽
32:홈의 제2측벽 33:홈의 제3면
34:홈의 제4면 35:홈의 저면
36:라운드 40:턱
41:제1턱 42:제2턱
50:날개 100: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
110:압력뚜껑 150:탑플레이트
151:탑플레이트의 제1면 152:탑플레이트의 제2면
155:탑플레이트의 수용홈 160:날개 수용홈
161:제1수직부 162:제2경사부
163:제3경사부 165:제1수직 걸림턱
171:제1수평부 172:제1경사부

Claims (6)

  1.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에 있어서,
    패킹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압력뚜껑이 결합되는 탑플레이트을 포함하되,
    상기 패킹은,
    링 형상을 가지며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제2면에 형성되며, 제1측벽과 제2측벽을 포함하는 홈과,
    상기 홈의 전후에 위치하는 제1홀과,
    상기 제2측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탑플레이트에는 상기 날개가 수용되는 날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날개 수용홈은 상기 탑플레이트의 내주면과 상기 압력뚜껑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날개 수용홈의 하부에는 상기 패킹의 제2턱이 접하는 제1수직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날개 수용홈은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와 연결되는 제1경사부를 포함하는,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의 외면에는 라운드가 형성되는,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24006A 2016-02-29 2016-02-29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 KR102393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006A KR102393074B1 (ko) 2016-02-29 2016-02-29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006A KR102393074B1 (ko) 2016-02-29 2016-02-29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464A KR20170101464A (ko) 2017-09-06
KR102393074B1 true KR102393074B1 (ko) 2022-05-03

Family

ID=59925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006A KR102393074B1 (ko) 2016-02-29 2016-02-29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0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378942U (zh) * 2013-07-24 2014-01-08 中山雄基电器有限公司 一种定向泄压的电压力煲
KR101616073B1 (ko) 2014-11-28 2016-04-27 주식회사 해피콜 패킹, 이 패킹을 이용한 진공냄비용 뚜껑 및 진공냄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433A (ko) * 2002-06-21 2003-12-31 박종도 압력 조절용 패킹
KR101979617B1 (ko) * 2012-12-26 2019-05-17 (주)쿠첸 전기 압력 밥솥용 패킹 구조체
KR101650087B1 (ko) 2014-05-28 2016-08-23 (주)쿠첸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378942U (zh) * 2013-07-24 2014-01-08 中山雄基电器有限公司 一种定向泄压的电压力煲
KR101616073B1 (ko) 2014-11-28 2016-04-27 주식회사 해피콜 패킹, 이 패킹을 이용한 진공냄비용 뚜껑 및 진공냄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464A (ko)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841B1 (ko)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JP7175665B2 (ja) 電気炊飯器
US9681770B2 (en) Cookware pressure indicator
KR200450617Y1 (ko) 음식물 넘침 방지용 진공 조리용기 뚜껑
US20210113008A1 (en) Pressure Cooker Having Pressure Release Mechanism
KR102393074B1 (ko)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
KR200391165Y1 (ko) 가열용기의 음식물 넘침 방지용 자동 압력조절 구조
KR101061498B1 (ko) 압력조절밸브
US2086219A (en) Portable oil can
US2614723A (en) Closure means for pressure cookers
KR101359043B1 (ko)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
KR200456862Y1 (ko) 조리용 압력용기의 압력장치
KR101650087B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
KR20160074063A (ko) 압력 밥솥의 증기배출관에 결합되는 안전 캡
KR102338728B1 (ko) 진공 냄비
CN220205714U (zh) 蒸汽发生装置及烹饪器具
KR101482075B1 (ko) 조리용기의 뚜껑
KR102436784B1 (ko)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
KR100191569B1 (ko) 취사기구
KR200308596Y1 (ko) 전기압력밥솥의 압력조절부재
EP2881023A1 (en) Sealing diaphragm
JPH044661Y2 (ko)
KR200277662Y1 (ko) 압력솥용 안전밸브
KR20000013747U (ko) 고압 용기용 개폐밸브
KR200289816Y1 (ko) 압력용기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