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516B1 -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 - Google Patents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516B1
KR102432516B1 KR1020210079212A KR20210079212A KR102432516B1 KR 102432516 B1 KR102432516 B1 KR 102432516B1 KR 1020210079212 A KR1020210079212 A KR 1020210079212A KR 20210079212 A KR20210079212 A KR 20210079212A KR 102432516 B1 KR102432516 B1 KR 102432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pot lid
lid
discharge slot
steam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환
Original Assignee
윤정기
박금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기, 박금채 filed Critical 윤정기
Priority to KR1020210079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내솥이 수용되는 몸체, 몸체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뚜껑, 뚜껑에 장착되어 내솥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내솥 뚜껑을 구비하여 밥을 짓는 전기밥솥에서, 내솥 뚜껑에 천공되어 내솥 내부의 증기가 배출되도록 생성된 증기배출슬롯; 증기배출슬롯의 양측에 쌍을 이루어 내솥 뚜껑에 천공되어 생성된 체결구; 내솥 뚜껑의 상면이면서 증기배출슬롯에 끼워져 내솥의 내압에 의해 상승하고, 내압보다 외압 및 자중이 크면 하강하도록 설치된 승강밸브; 내솥 뚜껑의 상면에 양측부가 고정되고, 승강밸브가 상승하면 닿는 가운데 부위가 양측부에 비해 볼록하게 제작된 스토퍼;와, 체결구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내솥 뚜껑과 스토퍼의 양측부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호 체결되는 상부리벳 및 하부리벳;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승강밸브가 내솥의 내압에 의해 상승되면 증기배출슬롯이 개방되어 내솥의 증기 및 열이 배출되고, 내솥의 내압이 낮아져 승강밸브가 하강하면 증기배출슬롯이 폐쇄되어 내솥의 증기 및 열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Electronic rice cooker having inner pot lid installed auto pressure control module}
본 발명은 전기밥솥의 내솥 압력을 조절하도록 된 내솥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솥 뚜껑에 장착된 승강밸브가 내솥의 내압에 의해 상승하여 증기배출슬롯이 개방되거나 자중(自重)에 의해 하강하여 증기배출슬롯이 폐쇄되어 내솥의 내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을 주식으로 하는 나라에서는 밥을 짓은 일이 매우 중요하다. 과거에는 가마솥이나 냄비를 이용하여 밥을 짓은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전자제품의 발달과 더불어 등장한 전기밥솥을 이용하여 밥을 짓는다. 전기밥솥은 예약 취사가 가능하고 보온밥통으로서의 기능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밥을 짓고 난 후에 별도의 용기에 옮겨 담을 필요가 없으므로 매우 편리하게 밥을 지을 수가 있다. 또한, 전기밥솥의 품질향상으로 인해 밥솥 바닥에는 거의 밥이 눌어붙지 않아 누룽지가 거의 만들어지지 않게 되므로 식량의 활용 면에서도 유리하다.
이러한 전기밥솥은 본체, 이 본체를 개폐하는 뚜껑, 쌀 또는 밥을 수용하는 내솥과, 내솥의 상면을 개폐하도록 뚜껑에 장착된 내솥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전기밥솥은 음식물이 수용된 내솥을 가열함으로써 고온 고압의 상태를 만들어 쌀을 조리하고, 조리가 완료된 밥을 보온 상태에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조리 과정 및 보온 유지를 위해 전기밥솥의 내부는 항상 고온 다습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하지만, 외부와의 밀폐, 특히 내솥과 외부와의 밀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내부의 온도가 떨어지고, 습도가 낮아짐으로써, 밥이 빨리 마르거나 변색되어 밥맛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5747호(2018.03.30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9902호(2000.08.05 등록)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솥 뚜껑으로 내솥이 개폐되고, 내솥 뚜껑에 증기배출슬롯 및 승강밸브가 장착됨으로써, 내솥을 밀폐시키도록 내솥 뚜껑을 닫으면 내솥의 내압에 의해 승강밸브가 상승 및 증기배출슬롯이 개방되어 내솥의 증기 및 열이 배출되고, 이후 내압이 낮아지면 승강밸브가 하강하여 증기배출슬롯이 폐쇄되면서 내솥이 밀폐되도록 한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은 내솥이 수용되는 몸체, 몸체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뚜껑, 뚜껑에 장착되어 내솥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내솥 뚜껑을 구비하여 밥을 짓는 전기밥솥에서, 내솥 뚜껑에 천공되어 내솥 내부의 증기가 배출되도록 생성된 증기배출슬롯; 증기배출슬롯의 양측에 쌍을 이루어 내솥 뚜껑에 천공되어 생성된 체결구; 내솥 뚜껑의 상면이면서 증기배출슬롯에 끼워져 내솥의 내압에 의해 상승하고, 내압보다 외압 및 자중이 크면 하강하도록 설치된 승강밸브; 내솥 뚜껑의 상면에 양측부가 고정되고, 승강밸브가 상승하면 닿는 가운데 부위가 양측부에 비해 볼록하게 제작된 스토퍼;와, 체결구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내솥 뚜껑과 스토퍼의 양측부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호 체결되는 상부리벳 및 하부리벳;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증기배출슬롯은 단면상 내솥 뚜껑의 상면에서 하방이면서 내향으로 경사지게 가공된 제1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승강밸브는 단면상 측면이 상면에서 하방이면서 내향으로 경사지게 가공된 제2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증기배출슬롯에 승강밸브가 밀착되면,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밀착되어 내솥이 밀폐될 수 있다.
한편, 내솥 뚜껑의 테두리에 끼워지도록 가공된 끼움홈과, 끼움홈의 하부에서 하향 연장되어 내솥의 상부 테두리에 가공된 단턱과 밀착되는 밀폐날개를 구비한 밀폐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밀폐날개는 단면상 하부로 갈수록 점점 폭이 얇아질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솥 뚜껑이 닫혀 내솥이 밀폐되고, 내솥 뚜껑에 설치된 승강밸브가 내솥의 내압에 의해 상승되면 증기배출슬롯이 개방되어 내솥의 증기 및 열이 배출되고, 내솥의 내압이 낮아져 승강밸브가 하강하면 증기배출슬롯이 폐쇄되어 내솥의 증기 및 열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솥의 내압의 변화에 따라 승강밸브의 승강 정도 및 증기배출슬롯의 개폐 정도가 변하게 되고, 증기밸브의 개폐 정도에 따라 내솥의 증기 및 열의 배출 시간 및 배출량이 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최적의 내솥의 내압 및 온도가 설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내솥 뚜껑 및 밀폐링을 매개로 내솥이 완전히 밀폐되고, 내솥의 증기 및 열이 증기배출슬롯를 통해서만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내솥의 증기 및 열의 배출 및 차단이 완벽히 제어되도록 하여 내솥 내부의 압력, 증기 및 온도가 최적으로 설정 및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솥 뚜껑이 확대 도시된 일부 구성요소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내솥 뚜껑에서 승강밸브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내솥 뚜껑의 추가 실시 예로, 밀폐용 밀폐링이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 및 도 4의 내솥 뚜껑, 자동압력조절모듈 및 밀폐링이 함께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언급된 구성들 중 각 실시 예에서 상호 유사한 구성 및 관련 구성은 대체 또는 교체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 뚜껑(200), 내솥(300), 내솥 뚜껑(400)과 자동압력조절모듈(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기밥솥은 위에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에도 내솥(300)을 가열하는 장치, 외부 전원과 연결된 장치와 안전장치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구성요소가 설치되어 있음을 이미 알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속품에 대해서는 자세히 언급하고, 나머지 부속품에 대해서는 필요시 언급하기로 한다.
먼저, 몸체(100)는 내솥(300)을 수용하는 부재이다. 이외에도 몸체(100)는 외부에서 전기를 인가받아 내솥(300)을 고온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장치가 내장되고, 이 전기장치에 외부 전원을 인가를 비롯하여 전기밥솥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판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0)는 대체적으로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음으로, 뚜껑(200)은 몸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부재이다. 이 뚜껑(200)은 일부위가 뚜껑(200)의 상부 일부위에 장착되어 축회전하도록 설치되고, 몸체(100)측 일면의 중앙부위에 내솥 뚜껑(400)이 탈착하도록 설치된 장착돌기(210)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내솥(300)은 쌀 또는 밥이 수용되는 일종의 그릇일 수 있다. 이 내솥(300)은 쌀과 적당한 물이 담겨 몸체(100)에 수용되어 가열되거나, 밥이 담긴 내솥(300)이 몸체(100)에 삽입된 상태로 보온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 내솥(300)은 몸체(100)에 수용되는 원통형 형상이고, 상부 테두리에 외향으로 굴절되어 내솥 뚜껑(400)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단턱(, 도 5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내솥 뚜껑(400)은 내솥(300)의 개방된 상면을 개페하는 부재이다. 이 내솥 뚜껑(400)은 중앙 부위에 뚜껑(200)의 안쪽 면에 장착된 장착돌기(210)가 탈착 가능하도록 천공된 장착구(410)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장착돌기(210)와 장착구(410)는 결합시 밀폐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내솥 뚜껑(400)에는 자동압력조절모듈(500)이 설치될 수 있다.
끝으로, 자동압력조절모듈(500)은 내솥(300)의 내부 압력 및 온도가 밥을 짓거나 보온할 때의 최적의 압력 및 온도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자동압력조절모듈(500)은 도 2에서 보듯이, 증기배출슬롯(510), 승강밸브(520), 체결구(530), 스토퍼(540)와 상부리벳(550) 및 하부리벳(5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증기배출슬롯(510)은 도 2에서 보듯이, 내솥 뚜껑(400)을 장착구(410) 주변에 일정 길이로 천공된 구멍일 수 있다. 이 증기배출슬롯(510)은 1개 이상이고, 평면상 직선 또는 곡선 등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일례로, 증기배출슬롯(510)은 도 2에서처럼 장착구(41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칭된 위치에 테두리를 따라 곡선으로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증기배출슬롯(510)은 도 3a에서 보듯이 스토퍼(540)가 위치하는 내솥 뚜껑(400)의 상면, 즉 상단에서 아래 방향이면서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가공된 제1경사면(511)과, 이 제1경사면(511)이 끝나는 지점에서 수직으로 가공된 제1수직면(512)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외에 제1경사면(511)으로만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승강밸브(520)는 도 2에서 보듯이 증기배출슬롯(510)에 끼워지고, 내솥(300)의 내압의 크기에 따라 증기배출슬롯(510)을 개폐하는 부재이다. 이 승강밸브(520)는 도 3a 및 도 3b에서 보듯이, 증기배출슬롯(510)에 끼워 맞춤되고, 하강하면 증기배출슬롯(510)에 밀착하여 증기배출슬롯(510)을 폐쇄하고, 상승하면 증기배출슬롯(510)과 떨어져 증기배출슬롯(510)을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승강밸브(520)의 자중 및 외압과 내솥(300)의 내압 간의 차이에 따라 승강밸브(520)의 승강이 이루어지므로, 승강밸브(520)의 승강 높이에 따라 증기배출슬롯(510)의 개방 정도가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승강밸브(520)는 증기배출슬롯(510)에 끼워맞춤되도록 증기배출슬롯(510)보다 약간 더 크게 가공되고, 양측면은 아래 방향이면서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가공된 제2경사면(521)과, 이 제2경사면(521)이 끝나는 지점에서 수직으로 가공된 제2수직면(522)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외에 제2경사면(521)으로만 가공될 수 있다.
또, 승강밸브(520)가 증기배출슬롯(510)에 밀착되었을 때, 승강밸브(520)의 제2경사면(521)은 증기배출슬롯(510)의 제1경사면(511)과 밀착되고, 승강밸브(520)의 제2수직면(522)은 증기배출슬롯(510)의 제1수직면(512)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경사면(511)과 제2경사면(521), 제1수직면(512)과 제2수직면(522)의 밀착으로 인해 승강밸브(520)가 증기배출슬롯(510)을 완전히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 제1경사면(511)과 제2경사면(521)가 가공되고, 이들 제1경사면(511)과 제2경사면(521)의 밀착만으로 승강밸브(520)에 의해 증기배출슬롯(510)의 완전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밸브(520)는 미리 설정된 무게를 가지고, 증기배출슬롯(510)에 밀착력이 강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승강밸브(520)가 내솥(300)의 내압에 의해 상승하고, 증기배출슬롯(510)이 개방되어 내압이 배출되도록 하며, 내압이 충분히 배출되어 떨어지면 외압 및 자중(自重)에 의해 하강하여 증기배출슬롯(510)이 폐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승강밸브(520)의 무게는 내솥(30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내압과, 밥을 짓거나 보온을 위한 내솥(300)의 최적의 내압을 고려하여 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밸브(520)는 밀착력이 좋고 가볍지 않은 고무 재질 또는 유연한 합성재질일 수 있다. 이외에도 고무 또는 합성재질 안에 금속을 넣어 밀착력은 유지되면서 무게가 증가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체결구(530)는 승강밸브(520)의 상승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540)를 내솥 뚜껑(4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이고, 상부리벳(550) 및 하부리벳(560)이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구(530)는 평면상 증기배출슬롯(510)의 양측에 대칭되어 천공되고, 증기배출슬롯(510)을 따라 1쌍 이상 가공될 수 있다.
일례로, 체결구(530)는 도 2에서처럼 평면상 증기배출슬롯(510)의 일측부, 중간부, 타측부에 각 1쌍씩, 총 3쌍이 가공될 수 있다. 물론, 체결구(530)의 직경은 상부리벳(550) 및 하부리벳(560)이 관통하여 체결되는 정도일 수 있다.
또한, 스토퍼(540)는 승강밸브(520)의 최대 상승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스토퍼(540)는 도 3a에서 보듯이, 대략 양측부가 평평하고, 가운데 부위가 볼록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540)는 양측부가 내솥 뚜껑(400)의 상면에 고정되고, 볼록한 가운데 부위에 승강밸브(520)가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승강밸브(520)가 상승하여 볼록한 가운데 부위에 접촉되면서 더 이상을 상승이 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540)는 1개 이상 제작될 수 있다.
일례로, 스토퍼(540)는 도 2에서 보듯이, 체결구(530)가 가공된 증기배출슬롯(510)의 일측부, 중간부, 타측부에 각 1개씩 총 3개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체결구(530)와 더불어 스토퍼(540)의 개수를 더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부리벳(550) 및 하부리벳(560)은 스토퍼(540)를 내솥 뚜껑(400)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상하부리벳(560)은 도 2에서 보듯이, 상부리벳(550)과 하부리벳(56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 상부리벳(550)과 하부리벳(560)은 내솥 뚜껑(400)의 체결구(530)마다 배치되어 억지끼움 또는 나사체결 등을 포함한 일반적인 방식으로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도 3a에서와같이, 상부리벳(550)과 하부리벳(560)은 체결구(530)와 스토퍼(540)의 양측부에 끼워진후 상호 체결됨으로써, 스토퍼(540)를 내솥 뚜껑(400)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상부리벳(550) 및 하부리벳(560)은 스토퍼(540)가 닳아 증기배출슬롯(510)에 대해 헐거워지거나, 파손 등으로 인해 스토퍼(540)를 교환할 때, 상부리벳(550) 및 하부리벳(560)을 분리할 수 있도록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자동압력조절모듈(500)은 도 4에서 보듯이, 밀폐링(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밀폐링(600)은 내솥 뚜껑(400)의 테두리에 장착되어 내솥 뚜껑(400)과 내솥(300)이 완전히 밀폐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이 밀폐링(600)은 측단면상 대략 'F' 형상이고, 끼움홈(610)과, 밀폐날개(620)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끼움홈(610)은 밀폐링(600)의 상부에 위치하고, 내솥 뚜껑(400)의 테두리가 끼워지도록 내측면에 가공될 수 있다. 이 끼움홈(610)의 폭과 깊이는 한정되지 않고, 내솥 뚜껑(400)의 테두리가 끼워져 고정된 후 빠지거나 이탈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밀폐날개(620)는 도 5에서처럼 내솥 뚜껑(400)이 내솥(300)을 폐쇄하였을 때, 내솥(300)의 단턱(310) 부위에 밀착되어 내솥(300)을 완전히 밀폐시키는 부위이다. 이 밀폐날개(620)는 도 4에서처럼 밀폐링(600)의 하부이면서 끼움홈(610)의 아래에 위치하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폭이 점점 얇아져 더욱 유연해지도록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내솥 뚜껑(400)이 닫혀 내솥(300)을 밀폐시킬 때 폭이 좁은 밀폐날개(620)의 하부가 유연하게 내솥(300)의 단턱(310) 부위와 밀착되고, 폭이 넓은 밀폐날개(620)의 상부가 견고히 지지함으로써, 내솥(300)이 완전히 밀폐될 수 있다.
<작동>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의 작동에 대해 도 3a, 도 3b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내솥 뚜껑(400)을 닫아 내솥(300)을 밀폐시키는 경우에 대해 자동압력조절모듈(500) 및 밀폐링(6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a에서는 뚜껑(200) 및 내솥 뚜껑(400)(이하, '내솥 뚜껑(400)'으로 통칭함)을 젖혀 열어 내솥(300)의 밥을 퍼낸 다음, 뚜껑(200) 및 내솥 뚜껑(400)을 닫을 때의 상태일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밥을 푸기 위해 내솥 뚜껑(400)을 열면 내솥(300) 안의 밥이 차지하지 않은 빈공간에 공기가 채워질 수 있다. 이후 내솥 뚜껑(400)이 닫히면 밀폐날개(620)의 폭이 얇아 유연성이 좋은 하부가 내솥(300)의 단차 부위에 완전히 밀착하게 되어 내솥(300)이 완전하게 밀폐될 수 있다.
이처럼, 도 5에서처럼 밀폐날개(620)를 비롯한 밀폐링(600)에 의해 내솥(300)이 밀폐될 때, 내솥(300) 안의 내압이 상승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내솥(300) 안의 공기가 상승하는 내압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내솥 뚜껑(400)이 내솥(300)을 밀폐시키면, 도 3a에서처럼 내솥(300)의 내압이 외압 및 승강밸브(520)의 자중보다 더 크므로 승강밸브(520)가 상승하고, 증기배출슬롯(510)이 개방될 수 있다. 또, 상승한 승강밸브(520)는 스토퍼(540)에 의해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저지될 수 있다. 이렇게 개방된 증기배출슬롯(510)을 통해 내솥(300)의 내부 공기, 증기 및 열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후, 내솥(300)의 내부가 적당한 내압 및 온도가 되면 증기배출슬롯(510)이 폐쇄되고, 이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그리고 도 3b를 보면, 내솥 뚜껑(400)을 닫은 후, 상기된 과정을 통해 내솥(300)의 내압이 충분히 낮아지고, 승강밸브(520)가 하강하여 증기배출슬롯(510)을 폐쇄한 상태일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내솥 뚜껑(400)이 닫힌 후, 내솥(300)의 내압이 증기배출슬롯(510)을 통해 배출되고, 내압보다 외압 및 승강밸브(520)의 자중의 압력이 더 커지면서 승강밸브(520)가 점점 하강하고, 최종적으로 승강밸브(520)가 증기배출슬롯(510)을 완전히 폐쇄하게 될 수 있다.
이렇게 증기배출슬롯(510)이 완전히 폐쇄되면, 내솥(300)의 내압이 외압 및 승강밸브(520)의 자중보다 낮은 상태이고, 내솥(300)의 내부에는 밥을 보관하기 위한 내압, 증기 및 열의 보관 최적인 상태일 수 있다.
이처럼, 승강밸브(520)의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증기배출슬롯(510)이 개방 또는 폐쇄되면서 내솥(300)의 내압이 일정하게 조정되고, 내솥(300) 내부의 증기 및 열 역시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몸체.
200:뚜껑
210:장착돌기.
300:내솥
310:단턱.
400:내솥 뚜껑
410:장착구.
500:자동압력조절모듈
510:증기배출슬롯 511:제1경사면
512:제1수직면 520:승강밸브
521:제2경사면 522:제2수직면
530:체결구 540:스토퍼
550:상부리벳 560:하부리벳
600:밀폐링 610:끼움홈
620:밀폐날개.

Claims (3)

  1. 몸체(100), 이 몸체(100)에 수용되는 내솥(300), 몸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뚜껑(200), 뚜껑(200)에 장착되어 내솥(300)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내솥 뚜껑(400)을 구비하여 밥을 짓는 전기밥솥에서,
    상기 내솥 뚜껑(400)에 천공되어 내솥(300) 내부의 증기가 배출되도록 생성된 증기배출슬롯(510);
    상기 증기배출슬롯(510)의 양측에 쌍을 이루어 내솥 뚜껑(400)에 천공된 체결구(530);
    상기 내솥 뚜껑(400)의 상면으로부터 증기배출슬롯(510)에 끼워져 내솥(300)의 내압에 의해 상승하고, 내압보다 외압 및 자중이 크면 하강하도록 설치된 승강밸브(520);
    상기 내솥 뚜껑(400)의 상면에 양측부가 고정되고, 승강밸브(520)가 상승하게 되면 닿는 가운데 부위가 양측부에 비해 볼록하게 제작된 스토퍼(540)와,
    상기 체결구(530)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내솥 뚜껑(400)과 스토퍼(540)의 양측부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호 체결되는 상부리벳(550) 및 하부리벳(560);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540) 복수개가 상기 내솥 뚜껑(400)의 상면에 상기 승강밸브(520)를 스토핑하도록 서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되며, 상기 스토퍼(540)들 사이를 통하여 상기 승강밸브(520)를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써 승강밸브(520)의 작동상태를 이러한 관찰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
  2. 청구항 1에서,
    상기 증기배출슬롯(510)은 단면상 내솥 뚜껑(400)의 상면에서부터 하방이면서 내향으로 경사지게 가공된 제1경사면(511)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밸브(520)는 단면상 측면이 상면에서부터 하방이면서 내향으로 경사지게 가공된 제2경사면(521)을 구비하고,
    상기 증기배출슬롯(510)에 승강밸브(520)가 밀착되면, 제1경사면(511)과 제2경사면(521)이 밀착되어 내솥(300)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
  3. 청구항 1에서,
    상기 내솥 뚜껑(400)의 테두리에 끼워지도록 가공된 끼움홈(610)과, 끼움홈(610)의 하부에서 하향 연장되어 내솥(300)의 상부 테두리에 가공된 단턱(310)과 밀착되는 밀폐날개(620)를 구비한 밀폐링(6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밀폐날개(620)는 단면상 하부로 갈수록 점점 폭이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
KR1020210079212A 2021-06-18 2021-06-18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 KR102432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212A KR102432516B1 (ko) 2021-06-18 2021-06-18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212A KR102432516B1 (ko) 2021-06-18 2021-06-18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516B1 true KR102432516B1 (ko) 2022-08-16

Family

ID=8306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212A KR102432516B1 (ko) 2021-06-18 2021-06-18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5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062B1 (ko) 2023-03-02 2023-08-09 허용국 밥솥의 수증기 배출 조절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0412A (ko) * 1997-12-31 1999-07-26 구자홍 압력조리기의 압력조절장치
KR200199902Y1 (ko) 2000-03-04 2000-10-16 김진수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전기밥솥의 속뚜껑
KR200394881Y1 (ko) * 2005-06-27 2005-09-06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안전장치
KR200401418Y1 (ko) * 2005-09-07 2005-11-15 국방과학연구소 폭발성 대기시험 장치용 폭발 완충 밸브
KR101332512B1 (ko) * 2013-05-08 2013-11-22 류은영 조리기구용 뚜껑
KR101845747B1 (ko) 2012-12-26 2018-04-05 (주)쿠첸 전기 압력 밥솥의 내솥 커버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0412A (ko) * 1997-12-31 1999-07-26 구자홍 압력조리기의 압력조절장치
KR200199902Y1 (ko) 2000-03-04 2000-10-16 김진수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전기밥솥의 속뚜껑
KR200394881Y1 (ko) * 2005-06-27 2005-09-06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안전장치
KR200401418Y1 (ko) * 2005-09-07 2005-11-15 국방과학연구소 폭발성 대기시험 장치용 폭발 완충 밸브
KR101845747B1 (ko) 2012-12-26 2018-04-05 (주)쿠첸 전기 압력 밥솥의 내솥 커버 고정 장치
KR101332512B1 (ko) * 2013-05-08 2013-11-22 류은영 조리기구용 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062B1 (ko) 2023-03-02 2023-08-09 허용국 밥솥의 수증기 배출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981B1 (ko) 전자렌지 조리용 시스템용기
US5515773A (en) Steam oven
AU2014319872B2 (en) Pressure cooker
MX2010004891A (es) Sistema de coccion de presion con microondas.
KR100988212B1 (ko) 진공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체크밸브
EP1240860B1 (en) Cooking vessel
KR102432516B1 (ko)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
KR20080060271A (ko) 내부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조절기가 달린 냄비
KR101332512B1 (ko) 조리기구용 뚜껑
CN110811294B (zh) 电炊具
KR102523956B1 (ko)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
KR20110072862A (ko)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KR200391165Y1 (ko) 가열용기의 음식물 넘침 방지용 자동 압력조절 구조
KR101409033B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KR200387420Y1 (ko) 압력 가마솥
CN210300706U (zh) 蒸汽阀、盖体及烹饪器具
KR200383124Y1 (ko)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
KR102203656B1 (ko) 전기조리기
KR102565062B1 (ko) 밥솥의 수증기 배출 조절장치
WO2010049942A1 (en) Microwave pressure cooker
KR102648107B1 (ko) 넘침 방지 기능을 가진 진공 조리기
KR101436010B1 (ko) 안전 냄비
KR20100055189A (ko) 증기배출조절용 음식 조리용기 덮개
JP2000116507A (ja) 炊飯器の蒸気孔構造
CN219712505U (zh) 一种防溢阀、防溢装置以及液体加热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