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656B1 - 전기조리기 - Google Patents

전기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656B1
KR102203656B1 KR1020180092775A KR20180092775A KR102203656B1 KR 102203656 B1 KR102203656 B1 KR 102203656B1 KR 1020180092775 A KR1020180092775 A KR 1020180092775A KR 20180092775 A KR20180092775 A KR 20180092775A KR 102203656 B1 KR102203656 B1 KR 102203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cooking
separating plate
storage area
electric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642A (ko
Inventor
이창룡
손현범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2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656B1/ko
Priority to CN201910720808.XA priority patent/CN110811295B/zh
Publication of KR20200017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Abstract

취사시 조리대상물의 전분 함량이 감소되면서도 간소한 구조로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내솥; 상기 수용공간이 조리대상물의 수용을 위한 상부측 조리영역과 가열수의 저수를 위한 하부측 저수영역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내솥 내부에 착탈되되, 하면부에 상기 저수영역의 가열수에 잠김되는 사이폰관이 구비된 분리판; 및 상기 내솥의 가열시 상기 저수영역의 증기압력이 증가되어 상기 가열수가 상기 사이폰관을 따라 상승되도록 상기 분리판의 테두리에 장착되어 상기 분리판 및 상기 내솥 사이를 밀폐하는 분리판패킹을 포함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조리기{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취사시 조리대상물의 전분 함량이 감소되면서도 간소한 구조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조리기는 업소 및 가정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밥솥, 전기압력밥솥 등을 의미하며, 가열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내솥이 내장되며, 세척된 쌀이 내솥 내부에 투입되면 상기 가열부에 의해 내솥이 가열되며 취사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쌀 등의 곡물에는 전분 형태로 다량의 탄수화물이 저장되며, 이러한 탄수화물의 과다 흡수는 비만, 당뇨 등의 성인병을 비롯한 각종 심혈관계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다이어트 등을 목적으로 낮은 전분 함량의 취사가 가능하도록,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의 하면부에 전자밸브를 장착하고, 내솥 내부에 가열수를 채워 가열한 후, 전자밸브를 개방하여 가열수를 배출시키는 방법으로 전분을 분리하는 전기조리기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조리기는 전분이 용출된 가열수를 내솥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전자밸브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며, 내솥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수집하기 위한 별도의 수조가 요구되므로 부품의 구성 및 조립이 복잡화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전기조리기는 전분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이 내솥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내솥을 거쳐 수조로 배출되는 일방향 흐름을 가짐에 따라 조리시 소비되는 물의 양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취사 품질이 낮아 소비자의 만족도가 저하되었으며, 저전분 취사를 위해 새로운 제품을 구매하여야 하므로 소비자의 부담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7-007874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취사시 조리대상물의 전분 함량이 감소되면서도 간소한 구조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내솥;
상기 수용공간이 조리대상물의 수용을 위한 상부측 조리영역과 가열수의 저수를 위한 하부측 저수영역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내솥 내부에 착탈되되, 하면부에 상기 저수영역의 가열수에 잠김되는 사이폰관이 구비된 분리판; 및 상기 내솥의 가열시 상기 저수영역의 증기압력이 증가되어 상기 가열수가 상기 사이폰관을 따라 상승되도록 상기 분리판의 테두리에 장착되어 상기 분리판 및 상기 내솥 사이를 밀폐하는 분리판패킹을 포함하되, 상기 사이폰관은 상기 분리판의 하면부에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분리판의 장착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단부에 상기 내솥의 바닥부에 지지되는 크라운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크라운지지부의 측면부에는 상기 저수영역과 상기 사이폰관이 상호 연통되도록 아치홀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상기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내솥을 상하로 구획하는 분리판의 일측에 사이폰관이 구비되므로 내솥의 가열에 따른 증기압력 변화만으로 가열수가 승강되어 조리대상물의 전분이 분리될 수 있어 다이어트, 식이요법 등을 위한 낮은 전분 함량의 취사가 가능하면서도 별도의 저수조나 밸브장치가 요구되지 않는 컴팩트한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분리판이 조리영역의 하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저수영역과 대향 배치되므로 고온 가열된 저수영역의 수증기 열이 분리판의 전체면적을 통해 조리영역으로 전달되어 제품의 가열효율이 개선되고 조리영역으로 상승된 가열수의 온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제품의 조리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사이폰관이 내솥 바닥부에 지지되어 분리판의 장착위치가 고정되되, 사이폰관의 측면부에 형성된 아치홀을 통해 저수영역과 사이폰관의 내부가 상호 연통될 수 있으므로 종래에 일반적인 전기밥솥의 내솥에 손쉽게 적용될 수 있어 제품의 호환성 및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100)는 본체(60), 뚜껑(50), 내솥(10), 분리판(20), 분리판패킹(30), 그리고 가열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60)의 내부에는 상기 내솥(10)이 착탈되는 가열공간(d)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솥(10)은 상부가 개구되되, 내부에 수용공간(a)이 형성된 용기형으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분리판(20)은 상기 내솥(10) 내부에 착탈되며, 상기 수용공간(a)은 상기 분리판(20)에 의해 조리대상물(r)이 수용되는 상부측 조리영역(b)과 가열수(w)가 저수되는 하부측 저수영역(c)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분리판(20)은 상기 내솥(1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판형 부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분리판(20)이 상기 내솥(1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다는 말은 상기 분리판(20)이 상기 내솥(10)의 내주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내솥(10)의 내경 미만의 외경을 갖도록 구비되되, 상기 내솥(10)의 내경에서 상기 분리판(20)의 외주에 장착되는 상기 분리판패킹(30)의 반경방향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을 제외한 외경으로 형성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분리판(20)은 하면부가 상기 저수영역(c)과 대향되는 동시에 상면부가 상기 조리영역(b)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수용공간(a)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판(20)의 테두리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패킹지지부(21)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판(20)에는 상기 패킹지지부(21)에 밀폐성 소재로 구비된 상기 분리판패킹(30)이 장착되어 상기 내솥(10)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리판패킹(30)은 탄성적이면서도 고온에 안정한 소재인 실리콘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패킹몸체부(31), 삽입유도부(32), 그리고 밀폐돌기(33)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킹몸체부(31)는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외주를 감싸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링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패킹지지부(21) 및 상기 내솥(10) 내주 사이의 간격 이상의 반경방향 두께를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패킹몸체부(31)가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외주 및 상기 내솥(10) 내주 사이에서 압착되되 상기 패킹몸체부(31)의 내주 및 외주가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외주 및 상기 내솥(10) 내주에 면접촉되며 상기 수용공간(a)에 장착된 분리판(20) 및 상기 내솥(10) 내주 사이가 정확하게 밀폐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패킹지지부(21)에 의해 상하방향의 원통형으로 지지된 패킹몸체부(31)의 외면이 상기 내솥(10)의 내주를 따라 안내되므로 상기 분리판(20)이 비틀림 없이 정확한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몸체부(31)는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상하방향 높이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고, 상기 삽입유도부(32)는 상기 패킹지지부(21)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도록 상기 패킹몸체부(31)의 하단부에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배지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패킹지지부(21)가 커버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판(20)이 상기 내솥(10)의 내주면과 직접 접촉 없이 착탈될 수 있으므로 상기 내솥(10) 코팅의 긁힘, 벗겨짐 등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유도부(32)의 하단부가 상기 내솥(10) 내경 미만으로 협소화됨에 따라 상기 분리판(20)의 장착시 상기 내솥(10)의 내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분리판패킹(30)이 상기 내솥(10)과의 마찰로 인한 말림, 벗겨짐 없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유도부(32)는 상기 패킹지지부(21)의 하단부에 형합되도록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삽입유도부(32)가 상기 패킹지지부(21)의 하단부를 감싸 밀착됨에 따라 내솥(10) 및 패킹몸체부(31)의 마찰시에도 분리판(20)에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돌기(33)는 상기 패킹몸체부(31)의 외주 상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밀폐돌기(33)는 상기 분리판(20)의 삽입시 상기 내솥(10) 내주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 변형되며 하측 방향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내솥(10) 내주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돌기(33)의 가압 변형에 따라 분리판패킹(30)의 내주 상단부(34)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상단부가 구속되므로 상기 분리판(20)의 상향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분리판패킹(30)의 상면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변형되므로 상기 조리영역(b)에 충진된 조리대상물(r) 또는 가열수(w)의 하중을 통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분리판패킹(30) 및 내솥(10)이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판(20)의 중앙 하면부에는 상기 저수영역(c)의 가열수(w)에 잠김되는 중공형 사이폰관(25)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사이폰관(25)은 상기 분리판(20)의 하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분리판(20)의 하면부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 분리판(20) 및 상기 사이폰관(25) 간의 연결부는 밀폐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이폰관(25)의 상부에는 상기 조리영역(b) 및 상기 사이폰관(25)의 내부 중공이 상호 연통되되 상기 조리영역(b)에 수용된 조리대상물(r)의 하향 유동이 제한되도록 타공부(2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타공부(24)는 상기 사이폰관(25)의 상부 개구가 커버되도록 상기 분리판(20)의 중앙부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분리판(2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타공부(24)에는 상기 조리대상물(r)의 입자가 걸림되도록 기설정된 직경 미만으로 복수의 매쉬홀(24a)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매쉬홀(24a)의 직경은 상기 조리대상물(r)의 종류에 따른 입자 크기를 고려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쌀을 기준으로 한 경우에 3mm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부에는 상기 내솥(10)의 바닥부에 지지되되, 측면부에 아치홀(25a)이 관통 형성된 크라운지지부(25b)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크라운지지부(25b)의 하단은 평탄하게 구비되며, 상기 아치홀(25a)은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아치홀(25a)은 상기 크라운지지부(25b)의 하단과 연결된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크라운지지부(25b)는 뒤집어진 왕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크라운지지부(25b)가 상기 내솥(10)의 바닥부에 밀착 지지 상태에서 상기 저수영역(c)과 상기 사이폰관(25)의 내부 중공이 상호 연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아치홀(25a)은 가열수의 원활한 상승을 위해 낮은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크라운지지부(25b)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반원형 이외에도 원형, 다각단면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판(20)의 상면부에는 상기 사이폰관(25)의 외곽 영역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표면높이가 증가되는 배수유도면부(2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수유도면부(22)는 분리판(20)의 상면부에서 상기 타공부(24)의 테두리 및 상기 패킹지지부(21)의 하단 테두리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세히, 상기 배수유도면부(22)는 상기 타공부(24)측으로 갈수록 표면높이가 낮아지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 라운드지게 함몰된 구배면, 단차지게 다단 함몰된 계단식 단차면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판(20)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방사상으로 복수의 요철부(23)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배수유도면부(22)는 요철부(23) 사이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60)의 상부에는 일측에 관통부(50c)가 형성된 뚜껑(50)이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뚜껑(50)은 상기 가열공간(d)이 커버되도록 상기 본체(6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외뚜껑(50a)과, 상기 수용공간(a)이 커버되도록 상기 외뚜껑(50a)의 하면부에 착탈되는 내뚜껑(50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50c)는 상기 외뚜껑(50a)의 증기배출부(51)와, 상기 증기배출부(51)와 연통되도록 상기 내뚜껑(50b)의 일측에 형성된 연통홀(5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증기배출부(51)는 상기 연통홀(52)이 외부 대기와 연통되도록 상기 외뚜껑(50a)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공간부를 의미하며, 상기 증기배출부(51)의 하단 테두리에는 외뚜껑(50a) 및 내뚜껑(50b) 사이의 증기 누설이 방지되도록 상기 연통홀(52)의 외곽 영역에 밀착되는 밀폐패킹(51a)이 구비된다.
물론, 상기 증기배출부(51)에는 압력전환밸브장치(미도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취사시 상기 내뚜껑(50b)에 의해 커버된 상기 조리영역(b)은 상기 압력전환밸브장치(미도시)의 개폐에 따라 선택적으로 외부대기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부(40)는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이 증가되어 상기 가열수(w)가 상기 사이폰관(25)을 따라 상기 조리영역(b)에 공급되도록 상기 내솥(10)을 가열한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40)는 열판히터 내지는 유도가열장치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내솥(10)의 바닥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가열공간(d)의 하부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내솥(10)에 물이 충진되면, 상기 사이폰관(25)의 아치홀(25a)이 잠기도록 상기 분리판(20)이 상기 내솥(10) 내부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아치홀(25a)이 완전히 잠김된 상태에서만 물의 가열시 발생된 증기가 상기 저수영역(c) 내에 격리되어, 하부측 가열수(w)를 상기 사이폰관(25)을 통해 밀어 올릴 수 있는 높은 압력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라운지지부(25b)의 하단이 상기 내솥(10)의 바닥부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분리판(20)의 장착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폰관(25)의 길이에 따라 상기 조리영역(b) 및 상기 저수영역(c)의 크기 비율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된 분리판(20)의 상면부로 상기 조리대상물(r)이 배치되되, 상기 뚜껑(50)이 닫힘되고 상기 본체(60)에 구비된 조작버튼(미도시)이 선택되면 조리대상물(r)의 취사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부(40)가 작동되어 상기 내솥(10) 및 상기 저수영역(c)에 수용된 가열수(w)가 가열되고, 가열수(w)의 온도가 끓는점 이상으로 상승되면 수증기가 발생된다.
이때, 상기 분리판(20)의 테두리 및 내솥(10) 사이가 상기 분리판패킹(30)에 의해 밀폐되되 상기 아치홀(25a)이 가열수(w)에 잠김된 상태이므로 가열수(w)의 표면과 분리판(20)의 하면 사이 공간의 증기압력이 증가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뚜껑(50)의 관통부(50c)를 통해 대기와 연통된 상기 조리영역(b)에는 대기압이 유지되며, 상기 타공부(24)를 통해 상기 조리영역(b)과 연통된 상기 사이폰관(25)의 내부에도 대기압이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이 대기압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저수영역(c)과 상기 조리영역(b)의 압력차로 인해 상기 저수영역(c)의 가열수(w)가 상기 사이폰관(25)을 따라 상승되어 조리영역(b)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수영역(c)의 가열수는 표면 수위가 상기 아치홀(25a)의 상단에 대응되는 높이로 하강될 때까지만 상기 사이폰관(25)을 통해 상승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수영역(c)의 수위가 아치홀(25a) 이하로 감소되면, 아치홀(25a)을 통해 증기가 유동되어 상기 조리영역(b) 및 상기 저수영역(c) 간의 압력차가 제거되므로 상기 조리영역(b)으로 상승된 가열수(w)가 다시 상기 저수영역(c)으로 하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저수영역(c)의 가열수 중 아치홀(25a)의 상단으로부터 상부측에 수용된 가열수만이 상기 조리영역(b)으로 상승될 수 있으며, 상기 아치홀(25a)의 위치가 가열수의 승강시 주요 변수로 작용한다.
이때, 상기 사이폰관(25)의 길이는 상기 아치홀(25a) 상단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사이폰관(25) 외곽에 대응되는 상기 저수영역(c)의 부피가 상기 사이폰관(25)의 내부 부피 및 상기 조리영역(b)측 조리대상물(r)이 완전히 잠길 수 있는 가열수 부피의 합을 초과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리대상물(r)이 고온의 가열수(w)에 완전하게 잠겨 조리되도록 상기 가열수(w)가 상기 분리판(20)의 상면부 및 상기 분리판패킹(30)의 상부를 따라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뚜껑(50b)에 의해 상기 내솥(10)의 상단부 개구가 커버됨에 따라 상승된 가열수(w)가 비산 배출되거나 외부 이물질이 상기 조리영역(b)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내뚜껑(50b)의 연통홀(52)을 통해 상기 조리영역(b) 및 외부대기 간의 연통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판(20)은 조리영역(b)의 하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저수영역(c)과 대향 배치된다. 이때, 상기 분리판(20)의 하면부는 고온 가열된 수증기와 접촉되며, 상기 분리판(20)의 상면부는 상기 조리영역(b)으로 상승된 가열수(w)와 접촉된다.
즉, 상기 분리판(20)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a)이 상기 저수영역(c)과 상기 조리영역(b)으로 구획되되, 상기 저수영역(c)에서 고온 가열된 수증기의 열이 상기 분리판(20)의 전체면적을 통해 상기 조리영역(b)의 가열수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리영역(b)의 가열수가 과도한 편차 없이 상기 조리대상물(r)에 적합한 취사온도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제품의 가열효율 및 조리품질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기조리기(100)는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 증감에 따른 상기 조리영역(b)의 급배수가 반복되어 상기 조리대상물(r)의 전분이 분리되도록 상기 가열부(40)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61)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제어부(61)를 통해 가열부(40)에 전원이 공급되면 가열수(w)가 가열 및 기화되어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이 증가되고, 상기 제어부(61)를 통해 가열부(40)의 전원이 차단되면 수증기가 액화되어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이 저하된다.
상세히, 도 3b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이 대기압이상으로 증가되면 상기 저수영역(c)의 가열수가 상기 조리영역(b)으로 급수되고, 상기 조리대상물(r)이 고온의 가열수(w)에 잠김됨에 따라 아밀로펙틴 등의 전분 구성 물질이 가열수(w)에 용출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이 감소되면, 상기 조리영역(b)의 가열수(w)가 타공부(24)를 통해 상기 저수영역(c)으로 배수되며 상기 조리대상물(r)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출된 전분은 상기 가열수(w)와 함께 유동되며, 상기 조리대상물(r)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판(20)의 상면부는 상기 배수유도면부(22)를 통해 타공부(24)가 낮아진 형태로 구비되므로 전분이 용출된 점성의 가열수(w)가 중력에 의해 상기 타공부(24)측으로 원활하게 유동되어 상기 저수영역(c)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1)에 의해 기설정된 주기로 상기 가열부(40)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이 반복됨에 따라 가열수(w)가 조리영역(b)으로 급수되고, 급수된 가열수(w)가 저수영역(c)으로 배수되는 과정이 반복되며, 상기 조리대상물(r)이 조리됨과 동시에 조리대상물(r)에 함유된 전분이 효율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솥(10)의 바닥부는 상기 크라운지지부(25b)가 지지되는 중앙부의 외곽 영역(19)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분이 용출된 고비중의 가열수(w)가 함몰된 부분에 수집되며, 후속 가열시 상기 조리영역(b)으로 공급되는 가열수(w) 내의 전분 함량이 감소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내솥(10)의 수용공간(a)을 상하로 구획하는 상기 분리판(20)의 일측에 상기 저수영역(c) 및 상기 조리영역(b)을 연결하는 상기 사이폰관(25)이 구비되므로 상기 가열부(40)를 통한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 변화만으로도 가열수(w)가 상기 조리영역(b) 및 상기 저수영역(c)으로 상호 유동되며 상기 조리대상물(r)의 전분이 효율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어트, 식이요법 등을 위한 낮은 전분 함량의 취사가 가능하면서도 가열수의 배출을 위한 별도의 저수조나 밸브장치가 요구되지 않는 컴팩트한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찜조리와 달리, 상기 저수영역(c) 및 상기 조리영역(b) 간의 증기압력 차에 따라 가열수(w)가 상기 조리대상물(r)과 직접 접촉되도록 상승되므로 조리대상물(r)이 충분한 수분을 흡수하며 조리될 수 있어 제품의 조리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하단 측면부에 아치홀(25a)이 형성된 상기 사이폰관(25)을 통해 상기 저수영역(c)과 상기 사이폰관(25)의 내부가 상호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판(20)의 장착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종래에 일반적인 전기밥솥의 내솥에 손쉽게 적용될 수 있어 제품의 호환성 및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전기조리기 10: 내솥
20: 분리판 25: 사이폰관
30: 분리판패킹 40: 가열부
50: 뚜껑 50c: 관통부
60: 본체

Claims (13)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내솥;
    상기 수용공간이 조리대상물의 수용을 위한 상부측 조리영역과 가열수의 저수를 위한 하부측 저수영역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내솥 내부에 착탈되되, 하면부에 상기 저수영역의 가열수에 잠김되는 사이폰관이 구비된 분리판; 및
    상기 내솥의 가열시 상기 저수영역의 증기압력이 증가되어 상기 가열수가 상기 사이폰관을 따라 상승되도록 상기 분리판의 테두리에 장착되어 상기 분리판 및 상기 내솥 사이를 밀폐하는 분리판패킹을 포함하되,
    상기 사이폰관은 상기 분리판의 하면부에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분리판의 장착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단부에 상기 내솥의 바닥부에 지지되는 크라운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크라운지지부의 측면부에는 상기 저수영역과 상기 사이폰관이 상호 연통되도록 아치홀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에는 상기 조리영역 및 상기 사이폰관이 상호 연통되되 상기 조리대상물의 하향 유동이 제한되도록 타공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에는 상기 조리대상물의 입자가 걸림되도록 기설정된 직경 미만으로 복수의 매쉬홀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저수영역과 대향 배치되며 상기 조리영역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내솥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의 상면부에는 상기 사이폰관의 외곽 영역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표면높이가 증가되는 배수유도면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의 테두리에는 상기 분리판패킹과 면접촉되도록 상측으로 연장된 패킹지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영역의 증기압력이 증가되어 상기 가열수가 상기 사이폰관을 따라 상기 조리영역에 공급되도록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패킹의 하단부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배진 삽입유도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패킹의 외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폐돌기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영역의 증기압력 증감에 따른 상기 조리영역의 급배수가 반복되어 상기 조리대상물의 전분이 분리되도록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의 상단부에는 상기 조리영역을 커버하는 뚜껑이 구비되되,
    상기 뚜껑의 일측에는 상기 조리영역이 대기와 연통되도록 관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KR1020180092775A 2018-08-09 2018-08-09 전기조리기 KR102203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775A KR102203656B1 (ko) 2018-08-09 2018-08-09 전기조리기
CN201910720808.XA CN110811295B (zh) 2018-08-09 2019-08-06 电炊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775A KR102203656B1 (ko) 2018-08-09 2018-08-09 전기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642A KR20200017642A (ko) 2020-02-19
KR102203656B1 true KR102203656B1 (ko) 2021-01-15

Family

ID=6966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775A KR102203656B1 (ko) 2018-08-09 2018-08-09 전기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6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07164A1 (de) * 2020-06-08 2021-12-09 BSH Hausgeräte GmbH Dampfgargerät mit spezifischen Aufnahmebehälter für einen Wassertan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3950A (ja) * 2005-11-29 2007-06-14 Yamamoto Denki Kk 液状食品の調理方法および液状食品調理器
JP2014097176A (ja) * 2012-11-14 2014-05-29 Zojirushi Corp 釜置き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5241B2 (ja) * 1997-09-10 2002-03-11 シャープ株式会社 炊飯装置及び高周波加熱装置
CN101006836B (zh) 2006-01-27 2011-05-11 本视力(香港)有限公司 健康电饭煲及去除大米中淀粉的方法
KR20180023219A (ko) * 2016-08-25 2018-03-07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 가열 조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3950A (ja) * 2005-11-29 2007-06-14 Yamamoto Denki Kk 液状食品の調理方法および液状食品調理器
JP2014097176A (ja) * 2012-11-14 2014-05-29 Zojirushi Corp 釜置き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642A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5773A (en) Steam oven
CN110811294B (zh) 电炊具
CN110811295B (zh) 电炊具
US9801491B2 (en) Food cooking basket and corresponding cooking system
KR102023172B1 (ko) 전기밥솥
KR100988212B1 (ko) 진공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체크밸브
KR102203661B1 (ko) 전기조리기
KR102203656B1 (ko) 전기조리기
KR102203658B1 (ko) 전기조리기
JP7225429B2 (ja) 調理器具
KR102203660B1 (ko) 전기조리기
CN213640538U (zh) 一种压力低糖饭烹饪器具
CN211559750U (zh) 沥水组件及具有沥水组件的烹饪器具
KR200387420Y1 (ko) 압력 가마솥
CN211534051U (zh) 烹饪器具、用于烹饪器具的烹饪附件
CN110811293B (zh) 电炊具
CN208551362U (zh) 蒸笼盖、蒸笼组件、烹饪厨具盖体组件和烹饪厨具
JP2022524358A (ja) 調理器具及びその調理構造
CN216416790U (zh) 用于制作低糖饭的烹饪器具
CN112006522B (zh) 烹饪器具、用于烹饪器具的烹饪附件以及控制方法
KR20130118128A (ko) 조리용기의 증기회수식 덮개장치
CN216702333U (zh) 具有汽蒸功能的空气炸锅
CN219846066U (zh) 一种高温速蒸锅
CN217524597U (zh) 脱糖电饭煲
KR101720428B1 (ko) 전자레인지용 조리용기의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