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043B1 -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043B1
KR101359043B1 KR1020120047765A KR20120047765A KR101359043B1 KR 101359043 B1 KR101359043 B1 KR 101359043B1 KR 1020120047765 A KR1020120047765 A KR 1020120047765A KR 20120047765 A KR20120047765 A KR 20120047765A KR 101359043 B1 KR101359043 B1 KR 101359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lid
bolt
hole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4112A (ko
Inventor
김차식
Original Assignee
김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차식 filed Critical 김차식
Priority to KR1020120047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043B1/ko
Publication of KR20130124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는: 조리기구의 뚜껑에 삽입 설치되고, 증기이동공을 갖는 볼트형체결부재와, 뚜껑 상측으로부터 볼트형체결부재에 결합되고, 내부에 설치공간부와 증기 배출을 위한 증기배출공을 형성하는 증기배출몸체부재와, 증기배출몸체부재의 설치공간부에 구비되고, 볼트형체결부재에 안착되어 자중에 의해 증기배출을 차단하는 무게추부재를 포함하며, 설치공간부의 내벽면에는 증기이동공을 통해 무게추부재의 하부 둘레방향으로 배출되는 증기가 이동하는 증기이동공간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추승강안내돌기부가 마련되어 조리기구의 증기 배출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PRESSURE CONTROLLING DEVICE OF COOKER}
본 발명은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기배출몸체부재의 설치공간부 내벽 면에 형성된 추승강안내돌기부 사이의 증기이동공간을 통해 증기 배출을 유도하여 증기 압력 조절을 용이하게 해주고, 증기배출공을 통해 증기를 상측으로 배출하므로 조리물 찌꺼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손잡이부에 구비된 경사지지면과 뚜껑의 테두리를 이용하여 뚜껑을 경사지게 안치할 수 있게 해주는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솥, 압력냄비 등은 본체에 음식물을 담고 뚜껑으로 닫은 상태에서 저면부에 열을 가하여 조리를 수행하면서, 내부 증기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차단하여 음식물에 고온, 고압을 지속적으로 가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기구이다.
기존의 압력솥 및 압력냄비에는 본체의 내부 증기를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진다. 이 압력조절장치는 조리기구 본체의 뚜껑에 마련되고,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 배출구멍을 구비하는 밸브 몸체와, 밸브 몸체 내에 구비되고, 증기 배출구멍을 차단하는 무게추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압력조절장치는 무게추를 들어올려 밸브 몸체로부터 단순히 증기를 배출하거나 증기의 배출을 차단하는 상태의 작동만을 갖게 된다.
기존의 압력밥솥의 압력조절장치에 대한 배경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127046호가 제안된 바 있다.
기존의 압력조절장치는 본체 내부에서 뚜껑으로 배출되는 증기가 밸브 몸체의 측면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증기와 함께 배출되는 조리물 찌꺼기가 밥솥 뚜껑을 통해 밥솥의 측면으로 흘러내려 눌러 붙으므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압력조절장치는 별도의 손잡이를 구비하지 않아 사용자는 반드시 압력밥솥 상부 측면에 별개로 마련된 한 쌍 손잡이를 양손으로 잡고 들어올리므로 뚜껑을 들어올릴 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압력조절장치가 마련된 뚜껑은 압력밥솥 본체로부터 열어 줄 때, 엎어 놓거나 뒤집어 주어야 하는데, 엎어 놓는 경우, 바닥의 이물질이 뚜껑 저면에 묻을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뒤집어 놓는 경우, 뜨거운 뚜껑에 사용자의 손등이 닿게 되어 화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증기배출몸체부재의 설치공간부 내벽 면에 형성된 추승강안내돌기부 사이의 증기이동공간을 통해 증기 배출을 유도하여 증기 압력 조절을 용이하게 해주는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증기배출몸체부재의 상측 면에 형성된 증기배출공을 통해 증기를 상측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조리물 찌꺼기가 뚜껑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부에 구비된 경사지지면과 뚜껑의 테두리를 이용하여 뚜껑을 경사지게 안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뚜껑에 이물질 묻는 것과 손을 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해주는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는, 조리기구의 뚜껑에 삽입 설치되고, 증기이동공을 갖는 볼트형체결부재와, 뚜껑 상측으로부터 상기 볼트형체결부재에 결합되고, 내부에 설치공간부와 증기 배출을 위한 증기배출공을 형성하는 증기배출몸체부재와, 상기 증기배출몸체부재의 설치공간부에 구비되고, 상기 볼트형체결부재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자중에 의해 증기배출을 차단하는 무게추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공간부의 내벽면에는 추승강안내돌기부를 다수 형성하여 무게추부재가 증기 압력으로 증기이동공간으로 이동하면서 증기배출공을 통해서 배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기배출몸체부재는 중심부에 추승강공이 형성되고, 상기 증기배출공은 상기 추승강공을 중심 기준점으로 하여 주변에 1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게추부재는, 상기 추승강공에 삽입되어 승강 이동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하단에 원주방향으로 넓게 확장 형성되는 원형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 면에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원주 둘레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저면부가 상기 볼트형체결부재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기밀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승강안내돌기부는 상기 증기이동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설치공간부의 내벽 면에 원주 방향으로 설정간격을 가지면서 상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기배출몸체부재의 둘레에는 상기 뚜껑을 들어올릴 수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에는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뚜껑의 테두리와 함께 바닥에 지지되되, 상기 뚜껑이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경사지게 놓이게 하는 경사지지면을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부를 제외한 상기 증기배출몸체부재의 둘레에는 상기 뚜껑이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뚜껑의 회전 유동을 방지해주는 유동방지안착면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게추부재는, 상기 추승강공에 삽입되어 승강 이동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둘레에 확장 형성되고, 상기 추승강안내돌기부를 따라 안내 이동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수직바의 하측에 형성된 중앙부홈에 삽입되고, 증기이동공 상에 위치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넓게 확장 형성되는 고무재질의 원형의 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는 하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형체결부재의 상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볼트형체결부재의 상측면은 밀폐부의 밀착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주방향으로 갈수록 상방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는, 증기배출몸체부재의 설치공간부 내벽 면에 형성된 추승강안내돌기부 사이의 증기이동공간을 통해 증기 배출을 유도하여 증기 압력 조절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기배출몸체부재의 상측 면에 형성된 증기배출공을 통해 증기를 상측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조리물 찌꺼기가 뚜껑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부에 구비된 경사지지면과 뚜껑의 테두리를 이용하여 뚜껑을 경사지게 안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뚜껑에 이물질 묻는 것과 사용자의 손을 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1의 C-C선 단면도,
도 7은 도 1의 C-C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무게추부재와 볼트형체결부재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이 손잡이에 의해 세워진 상태도이며,
도 9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이 증기배출몸체부재에 의해 눕혀진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C-C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무게추부재와 볼트형체결부재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이 손잡이에 의해 세워진 상태도이며, 도 9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이 증기배출몸체부재에 의해 눕혀진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는, 볼트형체결부재(20), 증기배출몸체부재(30), 무게추부재(50)(150) 및 추승강안내돌기부(60)를 포함한다.
볼트형체결부재(20)는 조리기구의 뚜껑(10)에 끼움공(12)을 통해 저면으로부터 삽입 설치되고,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증기이동공(22)을 갖는다.
본 발명의 압력조절장치가 적용되는 조리기구는 압력밥솥, 전기 압력밥솥, 압력냄비 등과 같이 압력을 이용하는 조리기구에 포괄적으로 적용된다.
증기이동공(22)은 조리용기의 본체에서 조리시 발생되는 증기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증기이동공(22)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증기 이동을 위해 원형 단면이 바람직하다.
볼트형체결부재(20)는 뚜껑(10)의 저면에 접촉 지지되는 볼트부재턱(24)이 형성된다.
테두리부(24)와 뚜껑(10)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시일링부재(26)가 설치되며, 시일링부재(26)는 원형,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나, 본 실시 예에서의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직사각형상의 단면을 도시하도록 한다.
볼트부재턱(24)을 기준으로 볼트형체결부재(20)의 상측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8)가 형성된다. 수나사부(28)는 연속적으로 전체 구간에 형성되거나 비연속적으로 일부 구간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비연속적으로 일부 구간에는 형성되지 않는 상태도 도시한다.
시일링부재(26)는 볼트형체결부재(20)와 증기배출몸체부재(30)의 나사 결합시, 볼트부재턱(24)과 뚜껑(10)의 저면부를 기밀 시켜 볼트형체결부재(20)의 둘레와 뚜껑(10)의 끼움공(12) 틈새 사이로 증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증기배출몸체부재(30)는 뚜껑 상측으로부터 볼트형체결부재(20)에 결합되고, 내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부(32)와 상측으로 증기 배출을 위한 증기배출공(36)을 형성한다.
증기배출몸체부재(30)는 중심부에 후술하는 수직바(52)가 승강 이동하는 추승강공(34)이 형성되고, 증기배출공(36)은 추승강공(34)을 중심 기준점으로 하여 주변에 1개 이상 형성된다.
이때, 증기배출공(36)은 추승강공(34)을 중심 기준점으로 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원호 형상으로 한 쌍 대응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는 증기배출공(36)이 2개 형성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1개 및 3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으며, 형성되는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증기배출공(36)은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구멍으로서, 증기 배출시 종래에는 뚜껑으로 흘러내리는 것과 달리, 증기에 포함된 조리물물 찌꺼기가 뚜껑(10)으로 흘러 내리지않고 증기배출몸체부재(30)이 상측 면에만 잔류하게 함으로써, 조리물 찌꺼기의 제거가 용이하고, 조리용기 뚜껑을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증기배출몸체부재(30)의 하부 내측면에는 암나사부(38)가 형성되어 볼트형체결부재(20)의 수나사부(28)에 체결됨으로써 볼트형체결부재(20)와 증기배출몸체부재(30)가 뚜껑(10)에서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게 해준다.
무게추부재(50)(150)는 증기배출몸체부재(30)의 설치공간부(32)에 구비되고, 볼트형체결부재(20)의 상측 면에 안착되어 자중에 의해 증기배출을 차단한다.
일 예에 따른 무게추부재(50)는, 증기배출몸체부재(30)의 추승강공(34)에 삽입되어 승강 이동하는 수직바(52)와, 수직바(52)의 하단에 원주방향으로 넓게 확장 형성되는 원형의 플랜지부(54)와. 플랜지부(54)의 상부 면에 형성되는 돌기(56)를 포함하고, 플랜지부(54)의 원주 둘레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저면부(58)가 볼트형체결부재(20)의 상측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수행한다.
수직바(52)는 추승강공(34)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원형의 봉(棒)으로서, 수직바(52)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플랜지부(54)는 수직바(52)의 하단부에서 증기이동공(22)의 반경에 비해 더 큰 반경으로 돌출 형성되어 증기이동공(22)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증기이동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돌기(56)는 플랜지부(54)의 상측 면에 수직바(52)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어 플랜지부(54)에 가해지는 압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돌기(56)는 본 실시 예에서는 4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형성되는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저면부(58)는 볼트형체결부재(20)의 상측면에 안착됨으로써, 조리기구에서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가 볼트형체결부재(20)의 증기이동공(22)을 통하여 이동하다가 플랜지부(54)에서 차단되어 측면방향 즉, 원주 방향으로 이동할 때,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저면부(56)는 플랜지부(54)의 가장자리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저면부(5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무게추부재(150)는, 추승강공(34)에 삽입되어 승강 이동하는 수직바(152)와, 수직바(152)의 둘레에 확장 형성되고, 추승강안내돌기부(60)를 따라 안내 이동되는 플랜지부(155)와, 수직바(152)의 하측에 형성된 중앙부홈(157)에 삽입되고, 증기이동공(22) 상에 위치하는 몸체부(156)와. 몸체부(156)의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넓게 확장 형성되는 고무재질의 원형의 밀폐부(154)를 포함한다.
몸체부(156)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밀폐부(154)와 일체로 형성된다. 수직바(152)의 하측에는 중앙부홈(157)이 형성되어 몸체부(156)의 상측 돌기와 삽입결합된다. 수직바(152)와 몸체부(156)는 일체 또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 가능하다.
밀폐부(154)는 하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볼트형체결부재(20)의 상측면에 밀착된다.
이때, 볼트형체결부재(20)의 상측면은 밀폐부(154)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주방향으로 갈수록 상방 경사지게 형성된다.
증기배출몸체부재(30)의 설치공간부(32)의 내벽 면에는 추승강안내돌기부(60)를 다수 형성하여 무게추부재(50)(150)가 증기 압력으로 증기이동공간(62)으로 이동하면서 증기배출공(36)을 통해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조리기구의 증기 배출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추승강안내돌기부(60)는 증기이동공간(62)을 형성하도록 설치공간부(32)의 내벽 면에 원주 방향으로 설정간격을 가지면서 상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추승강안내돌기부(60)는 사각형 또는 반구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도시한다.
증기배출몸체부재(30)의 둘레에는 뚜껑(10)을 들어올릴 수 있는 손잡이부(40)가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손잡이부(40)의 단부에는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뚜껑(10)의 테두리와 함께 바닥에 지지되되, 뚜껑(10)이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경사지게 놓이게 하는 경사지지면(42)을 형성한다. 경사지지면(42)은 지지력을 높여주기 위해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경사지지면(42)은 조리시 뚜껑(10)을 열어줄 때, 뚜껑(10)이 전면에 이물질이 묻는 것과, 뚜껑(10)이 완전하게 젖혀질 때, 사용자의 손을 데는 것을 방지하게 해준다.
즉, 뚜껑(10)은 뚜껑(10)의 둘레면과 손잡이부(40) 단부에 형성된 경사지지면(42)에 의해 씽크대 또는 식탁 바닥에 안정적으로 놓여짐으로써 뚜껑(10)의 전면에 이물질이 묻는 것과, 사용자의 손이 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해준다.
도 9를 참조하면, 손잡이부(40)를 제외한 증기배출몸체부재(30)의 둘레에는 뚜껑(10)이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뚜껑(10)의 회전 유동을 방지해주는 유동방지안착면부(31)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유동방지안착면부(31)는 증기배출몸체부재(30)의 하측 둘레에서 상측 둘레로 갈수록 협소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뚜껑(10)이 젖혀질 때, 뚜껑(10)의 테두리와 유동방지안착면부(31)가 접촉됨으로써 뚜껑(10)이 회동이 방지된 상태로 바닥면에 안착지지 되게 해준다.
유동방지안착면부(31)는 손잡이부(40)의 반대측에 있는 증기배출몸체부재(30)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동방지안착면부(31)의 주변에는 증기배출몸체부재(30)의 상측 전체 둘레에 동일한 형상의 절삭면이 다수 형성된다. 이 절삭면은 유동방지안착면부(31)와 동일하게 형성됨으로 사용자에게 미감을 제공한다.
한편, 조리기구의 뚜껑(10)에 구비된 압력조절장치의 일 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조리기구의 본체에 조리물을 투입하고 뚜껑(10)을 덮은 후, 본체 저면에 열을 가하여 조리를 수행하면, 고온 고압에 의해 조리물이 익으면서 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조리기구에서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는 볼트형체결부재(20)의 증기이동공(22)을 통하여 이동하고, 플랜지부(54)에서 차단된 증기는 측면방향 즉,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무게추부재(50)를 들어올릴 정도의 내부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 무게추부재(50)가 살짝 들어 올려지면서, 볼트형체결부재(20)의 상측 면과 저면부(58) 사이에 발생한 틈새 사이로 배출되어 이동하게 된다.
연이어, 볼트형체결부재(20)의 상측 면과 저면부(58) 사이에 발생한 틈새 사이로 배출되는 증기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공간부(32)의 벽면에 부딪히면서 상측으로 이동하여 증기안내돌부(60) 사이에 형성된 증기이동공간(62)을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고, 설치공간부(32) 및 증기배출공(3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압력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조리가 완료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구 본체에서 뚜껑(10)을 열어서 뚜껑(10)의 테두리부와 손잡이부(40)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지지면(42)을 이용하여 뚜껑(10)을 조리대의 바닥면에 경사지게 젖혀주거나, 도 9에 도시돈 바와 같이, 뚜껑(10)의 테두리부와 증기배출몸체부재(30)의 유동방지안착면부(31)를 이용하여 뚜껑(10)을 조리대의 바닥면에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눕혀줌으로써, 뚜껑(10)의 전면에 이물질을 묻는 것과 뜨거운 뚜껑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리용기의 압력조절장치는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편리함을 제공해준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뚜껑 20 : 볼트형체결부재
22 : 증기이동공 24 : 볼트부재턱
26 : 시일링부재 30 : 증기배출몸체부재
32 : 설치공간부 34 : 추승강공
36 : 증기배출공 40 : 손잡이부
42 : 경사지지면 50,150 : 무게추부재
52,152 : 수직바 54 : 플랜지부
56 : 돌기 58 : 저면부
60 : 추승강안내돌기부 62 : 증기이동공간
154 : 밀폐부 155 : 플랜지부
156 : 몸체부 157 : 중앙부홈

Claims (6)

  1. 조리기구의 뚜껑(10)에 삽입 설치되고, 증기이동공(22)을 갖는 볼트형체결부재(20)와, 뚜껑(10) 상측으로부터 상기 볼트형체결부재(20)에 결합되고, 내부에 설치공간부(32)와 증기 배출을 위한 증기배출공(36)을 형성하는 증기배출몸체부재(30)와, 상기 증기배출몸체부재(30)의 설치공간부(32)에 구비되고, 상기 볼트형체결부재(20)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자중에 의해 증기배출을 차단하는 무게추부재(50)(150)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공간부(32)의 내벽면에는 추승강안내돌기부(60)를 다수 형성하여 무게추부재(50)(150)가 증기 압력으로 증기이동공간(62)으로 이동하면서 증기배출공(36)을 통해서 배출하게 되고,
    상기 증기배출몸체부재(30)는 중심부에 추승강공(34)이 형성되고,
    상기 증기배출공(36)은 상기 추승강공(34)을 중심 기준점으로 하여 주변에 1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무게추부재(150)는, 상기 추승강공(34)에 삽입되어 승강 이동하는 수직바(152)와,
    상기 수직바(152)의 둘레에 확장 형성되고, 상기 추승강안내돌기부(60)를 따라 안내 이동되는 플랜지부(155)와,
    상기 수직바(152)의 하측에 형성된 중앙부홈(157)에 삽입되고, 증기이동공(22) 상에 위치하는 몸체부(156)와.
    상기 몸체부(156)의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넓게 확장 형성되는 고무재질의 원형의 밀폐부(154)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154)는 하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형체결부재(20)의 상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볼트형체결부재(20)의 상측면은 밀폐부(154)의 밀착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주방향으로 갈수록 상방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승강안내돌기부(60)는 상기 증기이동공간(62)을 형성하도록 상기 설치공간부(32)의 내벽 면에 원주 방향으로 설정간격을 가지면서 상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몸체부재(30)의 둘레에는 상기 뚜껑(10)을 들어올릴 수 있는 손잡이부(40)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40)의 단부에는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뚜껑(10)의 테두리와 함께 바닥에 지지되되, 상기 뚜껑(10)이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경사지게 놓이게 하는 경사지지면(42)을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부(40)를 제외한 상기 증기배출몸체부재(30)의 둘레에는 상기 뚜껑(10)이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뚜껑(10)의 회전 유동을 방지해주는 유동방지안착면부(31)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
  6. 삭제
KR1020120047765A 2012-05-04 2012-05-04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 KR101359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765A KR101359043B1 (ko) 2012-05-04 2012-05-04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765A KR101359043B1 (ko) 2012-05-04 2012-05-04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112A KR20130124112A (ko) 2013-11-13
KR101359043B1 true KR101359043B1 (ko) 2014-02-06

Family

ID=49853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765A KR101359043B1 (ko) 2012-05-04 2012-05-04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9074A1 (ko) * 2014-12-17 2016-06-23 (주)조이쿡 조리용기용 뚜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008A (ko) * 2002-09-10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의 압력유지장치
KR200368218Y1 (ko) * 2004-08-23 2004-11-17 주식회사 해피콜 조리용기용 뚜껑
KR20100086101A (ko) * 2009-01-22 2010-07-30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조리용기의 뚜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008A (ko) * 2002-09-10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의 압력유지장치
KR200368218Y1 (ko) * 2004-08-23 2004-11-17 주식회사 해피콜 조리용기용 뚜껑
KR20100086101A (ko) * 2009-01-22 2010-07-30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조리용기의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112A (ko)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69090B (zh) 一種可提高蒸燉壓力的炒鍋及其使用密封圈
US10827871B2 (en) Safety lid for a pressure cooker
US9681770B2 (en) Cookware pressure indicator
KR20000035270A (ko) 조리 기구 손잡이 조립체
CN104622274A (zh) 一种新型供两种模式可选的电压力锅
KR101332512B1 (ko) 조리기구용 뚜껑
US20210113008A1 (en) Pressure Cooker Having Pressure Release Mechanism
KR101359043B1 (ko)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
KR101136091B1 (ko)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KR101409033B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CN102973128A (zh) 密封平底锅
CN108968647A (zh) 一种锅具
KR20120084058A (ko) 중탕기
KR20170039330A (ko) 조리용기용 뚜껑
JP3962357B2 (ja) 吹きこぼれ及び蒸気圧の制御システムを具えたマイクロウェーブ調理器
JP3163168U (ja) 調理器具
KR20110040069A (ko) 다단조절 찜기 겸용 조리기구
CN207101147U (zh) 蒸汽阀座、蒸汽阀、盖子和烹饪厨具及其组件
CN206586801U (zh) 一种各腔室受热均匀的蒸锅
KR102648107B1 (ko) 넘침 방지 기능을 가진 진공 조리기
KR102193754B1 (ko)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
KR20050094730A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CN209315529U (zh) 一种锅具
CN106419499A (zh) 易清理黏贴食物的锅具及电加热炊具
CN202761025U (zh) 一种可调节排气的锅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