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754B1 -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754B1
KR102193754B1 KR1020190068240A KR20190068240A KR102193754B1 KR 102193754 B1 KR102193754 B1 KR 102193754B1 KR 1020190068240 A KR1020190068240 A KR 1020190068240A KR 20190068240 A KR20190068240 A KR 20190068240A KR 102193754 B1 KR102193754 B1 KR 102193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team nozzle
nozzle
pressure cooker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1329A (ko
Inventor
이동우
Original Assignee
세신퀸센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신퀸센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신퀸센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8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754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압력밥솥의 뚜껑에 장착되어 취사시 발생하는 스팀을 배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압력밥솥 뚜껑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중앙에 스팀배출구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 스팀노즐; 상기 스팀노즐의 하단에 체결되어 상기 스팀노즐을 압력밥솥 뚜껑에 고정하는 노즐너트; 상기 압력밥솥 뚜껑의 상부면에 상기 스팀노즐이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경사턱이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턱의 내측에 하나 이상의 슬릿이 형성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중앙에 상기 스팀노즐이 관통하도록 안착 설치되고, 양측이 상기 슬릿에 삽입된 상태로 일정각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스토퍼; 상기 회전스토퍼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가장자리에 승강태그가 형성되는 회전승강판; 상기 스팀노즐의 상단에 거치되어 상기 스팀배출구를 개폐하는 압력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판에 체결되어 상기 압력추, 스팀노즐, 회전스토퍼 및 회전승강판을 수용하는 비산방지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Apparatus for discharging steam with scattering protection cap}
본 발명은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에서 배출되는 스팀 또는 밥물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밥솥은 밥을 지을 수 있는 취사기능과, 취사된 밥을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보온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기 압력 밥솥은 본체의 상부에 증기 배출공이 형성된 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내솥이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며, 이 내솥을 덮을 수 있도록 내솥 뚜껑이 별도로 구비되고, 본체 내에는 상기 내솥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 즉 쌀이나 잡곡, 기타 음식재료에 열을 전달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가열 방식 또는 열판 방식의 히터가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압력 밥솥의 뚜껑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전기 압력 밥솥의 뚜껑(200)은 뚜껑 몸체(210), 압력 추(220), 솔레노이드 밸브(230), 노즐(240)을 포함한다.
뚜껑 몸체(210)에는 취사 운전 중 또는 취사 후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제1증기배출구(212)와 제2증기배출구(214)가 형성되어 있다. 압력 추(220)는 노즐(240)을 매개로 제1증기 배출구(212)에 설치되고, 솔레노이드 밸브(230)는 제2증기 배출구(214)에 설치된다.
압력 추(220)는 상당한 무게를 갖는 금속 재질의 부재로서, 평상시 노즐(240)을 완전히 폐쇄한다. 그러나 전기 압력 밥솥의 내부 압력이 압력 추(220)의 무게보다 커지면, 압력 추(220)는 증기압에 의해 오뚝이처럼 양옆으로 흔들리면서 노즐(240)을 수시로 개방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증기는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압력 추(220)의 동작에 의해 전기 압력 밥솥의 내부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런데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은 제1증기 배출구 및 제2증기 배출구로부터 분사되는 스팀 또는 스팀과 함께 배출되는 밥물이 비산되기 쉽다.
특히, 비산되는 밥물은 압력밥솥 뚜껑 주위를 더럽히게 되어, 미관상 좋지 못하고 자주 닦아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게다가 스팀이나 밥물이 벽지나 튀면 목재 소재 용품에 지속적인 습기를 가해 눅눅해지는 문제도 있다.
더불어, 취사가 완료되어 스팀이 자연 배출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종종 취사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스팀을 강제 배출할 목적으로 압력추를 기울여야 하는데, 이러한 행위는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안전하게 강제배출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1-0084034(2001.9.6.) "전기압력밥솥의 가변식 증기배출장치"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63807(2002.1.28.)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취사 완료시 배출되는 스팀 또는 밥물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비산방지캡을 회전시키면 스팀이 자연배출되기 전에 미리 강제로 스팀를 배출할 수 있는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압력밥솥의 뚜껑에 장착되어 취사시 발생하는 스팀을 배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압력밥솥 뚜껑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중앙에 스팀배출구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 스팀노즐; 상기 스팀노즐의 하단에 체결되어 상기 스팀노즐을 압력밥솥 뚜껑에 고정하는 노즐너트; 상기 압력밥솥 뚜껑의 상부면에 상기 스팀노즐이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경사턱이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턱의 내측에 하나 이상의 슬릿이 형성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중앙에 상기 스팀노즐이 관통하도록 안착 설치되고, 양측이 상기 슬릿에 삽입된 상태로 일정각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스토퍼; 상기 회전스토퍼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가장자리에 승강태그가 형성되는 회전승강판; 상기 스팀노즐의 상단에 거치되어 상기 스팀배출구를 개폐하는 압력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판에 체결되어 상기 압력추, 스팀노즐, 회전스토퍼 및 회전승강판을 수용하는 비산방지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팀노즐은, 중심을 관통하는 스팀배출구가 형성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에 하부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노즐너트과 나사 결합되며, 상단에 상부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압력추와 나사 결합되고, 일측면에 평평하게 절삭된 걸림면이 형성되어 단면이 'D'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은, 중앙에 상기 스팀노즐이 관통하는 베이스홀이 형성된 원형판 형상을 이루고, 가장자리를 따라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비산방지캡의 하단을 수용하며, 상기 베이스홀 주위에 일측으로 경사진 원호형상의 경사턱이 일정 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경사턱과 베이스홀 사이에는 원호형상의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회전스토퍼는, 중앙에 상기 스팀노즐이 관통하되, 상기 스팀노즐의 일측에 평평하게 형성된 걸림면에 걸릴 수 있도록 단면이 'D' 형상인 스토퍼홀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하향 절곡되어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가이드태그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승강판은, 중앙에 상기 스팀노즐이 관통하되, 상기 스팀노즐의 일측에 평평하게 형성된 걸림면에 걸릴 수 있도록 단면이 'D' 형상인 스토퍼홀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상향 절곡되어 상기 압력추를 지지하는 승강태그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태그 사이에는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경사턱 사이 사이에 배치되는 승강편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경사턱이 상기 회전승강판을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승강태그가 상기 압력추를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비산방지캡은, 상부에 스팀을 배출할 수 있는 상부홀이 형성되고, 하단에 하나 이상의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베이스판의 단턱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베이스판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취사 완료 후 배출되는 스팀이나 밥물이 비산방지캡에 의해 차단되므로 주위로 튀지 않는다. 이것은 미관상, 위생상, 관리상 매우 장점이 크다. 따라서, 가끔 비산방지캡을 열어 내부만 청소해주면 된다.
그리고 베이스판을 회전시켜 강제로 스팀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취사 완료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 즉, 스팀이 자연배출되기 전에 미리 강제로 배출시킴으로써 좀더 빠른 시간 내에 취사를 완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압력추를 건드리지 않고 안전하게 스팀을 강제 배출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압력밥솥 뚜껑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조립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조립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압력밥솥의 뚜껑에 장착되어 고온, 고압 하에서 취사시 발생하는 스팀을 자동적으로 배출하되, 배출되는 스팀과 함께 밥물이 뚜껑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막고, 자동 배출전에 강제로 스팀을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노즐(100), 노즐너트(200), 베이스판(300), 회전스토퍼(400), 회전승강판(500), 압력추(600) 및 비산방지캡(7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스팀노즐(100)은 대략 긴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심을 관통하여 스팀이 통과하는 스팀배출구(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노즐(100)은 하단 외주에는 외경이 다른 제1단(130)이 형성되어 압력밥솥의 뚜껑에 삽입된 상태로 걸리도록 안착된다.
이때, 상기 스팀노즐(100)의 하단 일부에는 하부수나사산(120)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노즐너트(200)와 나사 결합되어 압력밥솥 뚜껑(10)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노즐너트(200)와 압력밥솥 뚜껑(10) 사이에는 와셔 또는 실링부재(2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 상기 스팀노즐(100)의 중간에는 제2단(140) 및 제3단(150)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단(130)과 2단() 사이에는 후술하는 베이스판(300) 및 회전스토퍼(400)가 위치하고, 제2단(140)과 제3단(150) 사이에는 후술하는 회전승강판(500)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단(150)의 상측으로 안착턱(16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턱(160)의 외경은 상기 압력추(600)의 하부에 형성된 수용홀(620)의 내경보다 크다.
한편, 상기 스팀노즐(100)의 상단에는 상부수나사산(170)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홀(62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21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상기 스팀노즐(100)의 제3단(150) 위치부터 하단부까지 일측이 절삭되어 평평한 걸림면(180)이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면(180)이 형성된 부분의 스팀노즐 단면은 대략 'D'와 같은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걸림면(180)은 후술하는 상기 회전스토퍼(400)의 스토퍼홀(410)과 회전승강판(500)의 승강판홀()에 상기 스팀노즐(100)이 삽입된 상태에서 헛돌지 않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토퍼홀(410)과 승강판홀()도 상기 걸림면(180)이 형성된 스팀노즐(100)의 단면과 대응되도록 대략 'D'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걸림면(180)이 상기 스토퍼홀(410)과 승강홀(510)에 걸리기 때문에 상기 스팀노즐(100)이 헛돌지 않게 되며, 후술하겠지만 베이스판을 돌리더라도 상기 스팀노즐, 회전스토퍼 및 회전승강판은 회전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노즐너트(200)는 상기 스팀노즐(100)의 하단에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막힌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노즐너트(200)의 내주면에 암나사산(210)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스팀이 통과할 수 있도록 배출공(220)이 형성된다.
상기 노즐너트(200)를 상기 스팀노즐(100)의 하단에 체결하면, 상기 스팀노즐(100)이 압력밥솥 뚜껑(1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베이스판(300)은 압력밥솥 뚜껑(10) 위에 안착되는 것으로 원형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이 베이스판(300)의 중앙에는 상기 스팀노즐(100)의 하단이 관통, 삽입되는 원형의 베이스홀(310)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홀(310)의 내경은 삽입되는 스팀노즐(100)의 외경보다 커서 상기 베이스판(300)은 상기 스팀노즐(100)에 구속되지 않는다.
또 상기 베이스판(300)의 테두리를 따라 단턱(320)이 형성되어 내측으로 후술하는 상기 비산방지캡(700)의 하단이 안착되면서 수용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홀(310)의 주위에는 원의 궤적을 따르는 경사턱(330)이 일정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경사턱(33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턱(330)은 원의 일부, 즉 원호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베이스홀(310) 주위에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경사턱(330)과 베이스홀(310) 사이에 원호 형상의 슬릿(340)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340)은 상기 회전스토퍼(400)의 회전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경사턱(330)은 3개가 60°간격으로 이격되되, 각 경사턱(330)도 60°범위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340)도 60°범위에 형성되되, 어느 하나의 경사턱(330)과 인접하는 경사턱(330) 사이에서 인접하는 경사턱(330)의 중간까지 형성된다.
이것은 후술하겠지만, 상기 회전스토퍼(400)의 회전범위와 상기 회전승강판(500)의 승강 높이를 제어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회전스토퍼(4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회전스토퍼(400)는 상기 베이스판(300)의 중앙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경사턱(330)의 내측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스토퍼(400)는 원형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상기 스팀노즐(100)이 관통하는 스토퍼홀(4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홀(410)은 원형이 아니라 상기 스팀노즐(100)의 걸림면(180)이 있는 단면과 대응되도록 'D'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홀(310)과 연통된다.
또 상기 회전스토퍼(400)의 가장자리에 하향 절곡된 가이드태그(420) 한 쌍이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태그(420)가 상기 베이스판(300)의 슬릿(340)에 삽입되므로 상기 회전스토퍼(400)는 상기 슬릿(340)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슬릿(340)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회전승강판(5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회전승강판(500)은 상기 회전스토퍼(40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원형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상기 스팀노즐(100)이 관통하는 승강홀(5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홀(510)도 상기 스토퍼홀(4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토퍼홀(410) 및 베이스홀(310)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승강판(500)의 가장자리에 상향 절곡된 승강태그(520)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승강태그(520)는 후술하는 압력추(600)에 접촉되면서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압력추(6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3개가 적절할 것이다.
또 상기 회전승강판(500)의 가장자리에는 승강편(530)이 외측으로 연장,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승강편(530)은 복수개가 형성되되, 각각 상기 승강태그(520)의 사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편(530)은 3개가 적절하다.
이때, 상기 승강편(530)은 각각 60°범위로 형성되고 각 승강편(530)은 60°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편(530)은 각각 상기 경사턱(330) 사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판(300)을 회전시키면 상기 경사턱(330)이 상기 승강편(530)을 밀어올리게 되고 상기 승강편(530)이 올라가면 상기 회전승강판(500)이 상승하는데, 결국 상기 승강태그(520)가 압력추(600)를 밀어올리게 된다.
다음으로 압력추(60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중량체로서, 종래의 형상과 대동소이하다.
상기 압력추(600)는 내부에 중공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팀노즐(100)의 상단이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추(600)의 내부 상부에는 역원추 형상의 밸브핀(610)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핀(610)은 상기 스팀노즐(100)의 스팀 배출구에 안착되어 스팀배출을 차단한다.
또 상기 압력추(600)의 하부에 형성된 수용홀(620)의 내주에 상기 스팀노즐(100)의 상부수나사산(17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산(6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수나사산(170)과 수용홀(620)의 암나사산(621)의 체결이 완료되면 체결이 해제되면서 상기 스팀노즐(100)의 상단이 상기 압력추(600) 내부로 완전히 수용되고, 상기 수용홀(620)을 통해 이탈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스팀노즐(100)의 상단이 상기 수용홀(620)에 걸린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인 비산방지캡(7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비산방지캡(700)은 상기 베이스판(300)에 안착,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압력추(600)를 덮어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비산방지캡(700)은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상기 압력추가 노출되고 배출되는 스팀이 빠져나오도록 배출홀(7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비산방지캡(700)의 하단에는 상기 베이스판(300)에 걸림, 체결되도록 돌출된 복수개의 걸림돌기(720)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판(300)의 단턱(320)에는 상기 걸림돌기(720)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걸림홈(350)이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720)가 상기 걸림홈(35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비산방지캡(700)을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돌기(720)가 상기 걸림홈(350)을 따라 이동하면서 걸리게 되어 상기 비산방지캡(700)이 고정된다.
즉, 상기 비산방지캡(700)은 상기 베이스판(300)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4, 5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4, 5는 작동상태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점선은 스팀의 흐름을 나타낸다.
먼저, 도 4와 같이, 스팀이 자연적으로 배출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때는 상기 회전스토퍼(400)가 일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이고, 상기 회전승강판(500)의 승강편(530)이 상기 경사턱(330) 사이 사이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스토퍼(400)와 회전승강판(500)이 밀착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태그(520)는 상기 압력추(600)와 이격되므로 상기 압력추를 지지하지 않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압력추(600)의 밸브핀(610)은 상기 스팀노즐(100)의 스팀배출구(110)를 차단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취사가 진행되면 상기 스팀노즐(100)의 스팀배출구(110)를 통해 스팀이 배출되려고 하는데, 상기 밸브핀(610)이 막고 있으므로 배출되지 못하지만, 스팀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밸브핀(610)이 개방되면서 상기 압력추(600)는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스팀이 배출된다.
배출된 스팀은 상기 수용홀(620)을 통해 빠져나와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함께 비산되는 밥물은 상기 비산방지캡(700)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 비산되지 않는다.
청소를 위해 상기 비산방지캡(700)을 열고 상기 베이스판(300)의 내부를 주기적으로 닦아줄 수 있다.
도 5와 같이, 스팀이 자연 배출되기 전에 강제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판(300)을 손으로 잡고 정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스팀노즐(100)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판(300)만 회전한다. 이때, 상기 스팀노즐(100)의 걸림면(180)에 걸린 상기 회전스토퍼(400)와 회전승강판(500)은 회전하지 않는다.
그래서 상기 베이스판(3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경사턱(330)도 회전하지만, 상기 회전승강판(500)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경사턱(330)이 상기 승강편(530)을 밀어올리게 된다. 즉, 상기 승강편(530)이 상기 경사턱(330)을 타고 올라가게 되어 상기 회전승강판(500)이 상승한다.
그리고 상승하는 상기 회전승강판(500)의 승강태그(520)는 상기 압력추(600)를 지지하면서 상승시키고, 상승된 압력추(600)의 밸브핀(610)은 상기 스팀배출구(110)를 개방하게 되어 스팀이 강제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판(300)의 회전각 또는 이동거리는 상기 슬릿(340)의 각도 또는 길이로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슬릿(340)의 일측에 위치하던 상기 회전스토퍼(400)의 가이드태그(420)가 타측까지 이동하게 되면 상기 베이스판(300)은 더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때가 상기 승강편(530)이 상기 경사턱(330)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다. 즉, 상기 회전승강판(500)이 가장 상승한 위치이다.
다시, 상기 베이스판(300)의 역회전시키면 상기 승강편(530)이 상기 경사턱(330)을 따라 내려오고 상기 회전승강판(500)이 하강하면서 상기 압력추(600)의 밸브핀(610)은 상기 스팀배출구(110)를 닫게 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스팀노즐
110 : 스팀배출구 120 : 하부수나사산
130 : 제1단 140 : 제2단
150 : 제3단 160 : 안착턱
170 : 상부수나사산 180 : 걸림면
200 : 노즐너트 210 : 암나사산
220 : 배출공 230 : 와셔 또는 실링부재
300 : 베이스판 310 : 베이스홀
320 : 단턱 330 : 경사턱
340 : 슬릿 350 : 걸림홈
400 : 회전스토퍼
410 : 스토퍼홀 420 : 가이드태그
500 : 회전승강판 510 : 승강홀
520 : 승강태그 530 : 승강편
600 : 압력추 610 : 밸브핀
620 : 수용홀 621 : 암나사산

700 : 비산방지캡
710 : 배출홀 720 : 걸림돌기
10 : 압력밥솥 뚜껑

Claims (5)

  1. 압력밥솥의 뚜껑에 장착되어 취사시 발생하는 스팀을 배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압력밥솥 뚜껑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중앙에 스팀배출구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 스팀노즐;
    상기 스팀노즐의 하단에 체결되어 상기 스팀노즐을 압력밥솥 뚜껑에 고정하는 노즐너트;
    중앙에 상기 스팀노즐이 관통하는 베이스홀이 형성된 원형판 형상을 이루고, 가장자리를 따라 단턱이 형성되어 비산방지캡의 하단을 수용하며, 상기 베이스홀 주위에 일측으로 경사진 원호형상의 경사턱이 일정 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경사턱과 베이스홀 사이에는 원호형상의 슬릿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중앙에 상기 스팀노즐이 관통하도록 안착 설치되고, 양측이 상기 슬릿에 삽입된 상태로 일정각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스토퍼;
    중앙에 상기 스팀노즐이 관통하되, 상기 스팀노즐의 일측에 평평하게 형성된 걸림면에 걸릴 수 있도록 단면이 'D' 형상인 스토퍼홀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상향 절곡되어 압력추를 지지하는 승강태그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태그 사이에는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경사턱 사이 사이에 배치되는 승강편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회전으로 상기 경사턱에 의해 상승함으로써 상기 승강태그가 상기 압력추를 상승시키는 회전승강판;
    상기 스팀노즐의 상단에 거치되어 상기 스팀배출구를 개폐하는 압력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판에 체결되어 상기 압력추, 스팀노즐, 회전스토퍼 및 회전승강판을 수용하는 비산방지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스토퍼는,
    중앙에 상기 스팀노즐이 관통하되, 상기 스팀노즐의 일측에 평평하게 형성된 걸림면에 걸릴 수 있도록 단면이 'D' 형상인 스토퍼홀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하향 절곡되어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가이드태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캡은,
    상부에 스팀을 배출할 수 있는 상부홀이 형성되고,
    하단에 하나 이상의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베이스판의 단턱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베이스판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
KR1020190068240A 2019-06-10 2019-06-10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 KR102193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240A KR102193754B1 (ko) 2019-06-10 2019-06-10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240A KR102193754B1 (ko) 2019-06-10 2019-06-10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329A KR20200141329A (ko) 2020-12-18
KR102193754B1 true KR102193754B1 (ko) 2020-12-21

Family

ID=7404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240A KR102193754B1 (ko) 2019-06-10 2019-06-10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7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726B1 (ko) 2017-07-10 2018-11-02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034A (ko) 2000-02-23 2001-09-06 구자홍 전기 압력밥솥의 가변식 증기배출장치
KR200263807Y1 (ko) 2001-11-08 2002-02-09 성광전자 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
KR101061498B1 (ko) * 2009-08-19 2011-09-01 주식회사 피엔풍년 압력조절밸브
KR102358888B1 (ko) * 2015-12-03 2022-02-08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전기밥솥의 스팀 비산 방지장치
KR102358889B1 (ko) * 2015-12-09 2022-02-09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전기압력밥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726B1 (ko) 2017-07-10 2018-11-02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329A (ko) 2020-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83718C (en) Cooking vessel
US10045659B2 (en) Lid of containers for cooking food
USRE45375E1 (en) Cooking vessel top to prevent boil over of liquids
US4677905A (en) Food steaming apparatus
EP0998869A1 (en) Cookware lid and handle assemblies
KR200440495Y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기구용 뚜껑
KR200473900Y1 (ko) 로스터의 구이판 조립체
US6029652A (en) Cover hood for frying or cooking utensils
KR102193754B1 (ko)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
KR101136091B1 (ko)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KR20080024501A (ko) 구이용 불판
KR102087426B1 (ko) 수직형 구이기
KR102292222B1 (ko) 열조절층이 형성되는 직화용기
KR200472341Y1 (ko) 기름 또는 이물질 배출 구조를 구비한 구이판
US11607074B2 (en) Cooking assembly, cooking pot and pot lid with vapour passage
KR20210122508A (ko) 구이용 타공 불판
KR20110000683U (ko) 오븐형 직화조리기
KR101773710B1 (ko) 증기압 조절부를 구비한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
KR101359043B1 (ko)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
KR200491879Y1 (ko) 조리용기 뚜껑
KR200297361Y1 (ko) 전기보온밥솥의 보조용기 구조
KR200407505Y1 (ko) 육류 구이판
KR102275838B1 (ko) 조리 장치
KR101165368B1 (ko) 전기 압력 조리기
KR0162474B1 (ko) 전기튀김기의 식용유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