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426B1 - 수직형 구이기 - Google Patents

수직형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426B1
KR102087426B1 KR1020180090828A KR20180090828A KR102087426B1 KR 102087426 B1 KR102087426 B1 KR 102087426B1 KR 1020180090828 A KR1020180090828 A KR 1020180090828A KR 20180090828 A KR20180090828 A KR 20180090828A KR 102087426 B1 KR102087426 B1 KR 102087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hole
fire hole
cook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5248A (ko
Inventor
하정순
Original Assignee
하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정순 filed Critical 하정순
Priority to KR1020180090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426B1/ko
Publication of KR20200015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된 후 보온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며, 소세지, 어묵, 가래떡 등과 같은 일정 길이로 형성된 봉 형상으로 된 조리 대상물을 수직으로 인입시켜 골고루 익힐 수 있으며, 조리시 화기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고, 조리가 완료된 후에도 장시간 따뜻한 상태로 취식할 수 있도록 한 수직형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정 높이를 갖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중앙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화기홀(120)과, 상기 몸체(110)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고 구이 대상물(10)이 인입되도록 하방을 향해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구이홈(130)으로 구성된 몸체부(100);
상기 화기홀(120)의 상부를 커버하며 중앙부에는 조절판축(211)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화기배출공(212)이 다수 개 형성된 화기홀상부커버(210)와, 상기 화기홀상부커버(210)의 상면에 안착되되 중앙부가 상기 조절판축(211)에 관통되어 회동되며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화기조절공(221)이 다수 개 형성된 화기배출조절판(220)과, 상기 조절판축(211)의 상단에 설치된 커버손잡이(230)로 구성된 화기배출조절부(200);
상기 몸체부(100)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리가 완료된 상태의 상기 화기홀(120)의 하부를 폐쇄하여 그 화기홀(120) 내부의 열기가 하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화기홀하부커버(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화기배출조절판(22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화기배출공(212)과 화기조절공(221)을 통해 배출되는 화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직형 구이기{THE VERTICAL TYPE ROASTING CONTAINER}
본 발명은 가열된 후 보온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며, 소세지, 어묵, 가래떡 등과 같은 일정 길이로 형성된 봉 형상으로 된 조리 대상물을 수직으로 인입시켜 골고루 익힐 수 있으며, 조리시 화기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고, 조리가 완료된 후에도 장시간 따뜻한 상태로 취식할 수 있도록 한 수직형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소세지, 어묵, 가래떡 등과 같은 일정 길이로 형성된 봉 형상으로 된 조리 대상물을 구이 방식으로 조리할 때에는 구이판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구이판에 봉 형상의 조리 대상물을 굽고자 할 때에는 그 조리 대상물을 골고루 익히기 위하여 하나씩 돌려가며 익히는 번거로운 조리과정이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조리 대상물을 구이판 상에서 돌리거나 굴려 익히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7008호(2018.06.05.)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일정 높이를 갖는 원형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중앙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화기홀(120)과, 상기 몸체(110)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고 하방을 향해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어 구이 대상물(10)이 인입되는 다수 개의 구이홈(130)으로 구성된 몸체부(100); 상기 화기홀(12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화기배출공(210)이 형성되어 가열시 상기 화기홀(120)로 유입된 화기가 일정량 배출될 수 있도록 된 화기홀상부커버(200); 상기 화기홀(120)의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조리가 완료된 상태의 화기홀(120) 내부의 열기가 하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화기홀하부커버(300); 상기 화기홀상부커버(20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높이조절봉(410)과, 상기 높이조절봉(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홈 또는 홀로 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부(420)와, 상기 고정부(420)에 끼워 고정되는 고정핀(430)으로 구성된 높이조절수단(400); 상기 높이조절봉(410)의 상부에 설치된 손잡이(500); 상기 높이조절봉(4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조리시 화기에 의해 상기 몸체부(100)와 함께 가열되고, 조리가 끝난 후에는 잔열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상기 화기홀(120) 내부를 보온할 수 있도록 된 축열체(6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화기홀상부커버(200)는 가열 후 보온성을 갖도록 석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 기술은 조리 대상물을 사용자가 직접 회전하지 않고 조리 가능하도록 개선된 것이지만 화기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화기의 양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공보 제10-1867008호(2018.06.05, 수직형 구이기)
본 발명의 목적은 소세지와 가래떡같은 일정 길이로 형성된 봉형상의 조리 대상물을 사용자가 조리과정에서 직접 회전시키지 않아도 골고루 구울 수 있도록 하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기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화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조리가 완료된 후에도 장시간 따뜻한 상태로 취식할 수 있도록 한 수직형 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직형 구이기는, 일정 높이를 갖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중앙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화기홀(120)과, 상기 몸체(110)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고 구이 대상물(10)이 인입되도록 하방을 향해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구이홈(130)으로 구성된 몸체부(100);
상기 화기홀(120)의 상부를 커버하며 중앙부에는 조절판축(211)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화기배출공(212)이 다수 개 형성된 화기홀상부커버(210)와, 상기 화기홀상부커버(210)의 상면에 안착되되 중앙부가 상기 조절판축(211)에 관통되어 회동되며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화기조절공(221)이 다수 개 형성된 화기배출조절판(220)과, 상기 조절판축(211)의 상단에 설치된 커버손잡이(230)로 구성된 화기배출조절부(200);
상기 몸체부(100)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리가 완료된 상태의 상기 화기홀(120)의 하부를 폐쇄하여 그 화기홀(120) 내부의 열기가 하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화기홀하부커버(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화기배출조절판(22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화기배출공(212)과 화기조절공(221)을 통해 배출되는 화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수직형 구이기에 따르면, 구이홈에 수직방향으로 인입된 구이 대상물을 조리과정에서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골고루 구울 수 있고, 조리시 조리대상물의 종류에 맞추어 화기배출조절부를 통해 화기홀로 유입된 후 배출되는 화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조리가 완료된 후에도 장시간 따뜻한 상태로 취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직형 구이기를 나타낸 사시 상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수직형 구이기를 나타낸 분리 상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수직형 구이기의 화기홀하부커버를 나타낸 저면 사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직형 구이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직형 구이기를 나타낸 분리 단면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직형 구이기의 구이홈을 나타낸 평면 상태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수직형 구이기 화기배출수단을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직형 구이기의 조리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직형 구이기의 조리시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직형 구이기의 조리 후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구이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수직형 구이기는 몸체부(100), 화기배출조절부(200), 화기홀하부커버(3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일정 높이를 갖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중앙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화기홀(120)과, 상기 몸체(110)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고 구이 대상물(10)이 인입되도록 하방을 향해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구이홈(130)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는 상기 몸체(110)의 형상이 일정 높이를 갖는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정 높이를 갖는 사각형 또는 팔각형 등의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는 그 몸체(11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 형태의 파손방지돌기(101)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기홀(1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레인지와 같은 조리기기(G)의 화기가 상기 몸체(110)의 저면에 직접 가해짐과 동시에 화기홀(120) 내부로도 유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하면 된다.
아울러, 상기 구이홈(130)의 형상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크기와 깊이는 소세지, 어묵, 가래떡 등과 같은 일정 길이로 형성된 봉 형상으로 된 구이 대상물(10)이 완전하게 인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이홈(130)이 형성되는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그보다 적거나 많게 형성해도 무방하다.
상기 화기배출조절부(200)는 상기 화기홀(120)의 상부를 커버하며 중앙부에는 조절판축(211)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화기배출공(212)이 다수 개 형성된 화기홀상부커버(210)와, 상기 화기홀상부커버(210)의 상면에 안착되되 중앙부가 상기 조절판축(211)에 관통되어 회동되며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화기조절공(221)이 다수 개 형성된 화기배출조절판(220)과, 상기 조절판축(211)의 상단에 설치된 커버손잡이(230)로 구성된 것으로, 가열시 화기홀(120)로 유입된 화기를 배출할 때에 그 배출되는 화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리되는 구이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익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화기홀상부커버(21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기홀(120)의 상부에 안착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상 바람직하며 상기 화기홀(120)의 상부에 체결 및 결합되는 구성으로 형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화기배출조절판(220)에 형성된 화기조절공(22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기배출공(212)에 대응되는 형상 및 개수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기배출공(212)과 화기조절공(221)이 연통되도록 상기 화기배출조절판(22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배출되는 화기의 양이 최대가 되며, 그 상태에서 상기 화기배출조절판(220)을 더 회전시켜 상기 화기배출공(212)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거나 폐쇄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화기배출조절판(22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화기배출조절판(220)의 상면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판회전용돌기(222)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손잡이(230)는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화기배출조절부(200)를 들어올리기 용이한 형상의 것이면 어떠한 형상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상기 조절판축(211)의 상단부와 나사 결합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화기홀하부커버(300)는 상기 화기홀(12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리가 완료된 상태의 화기홀(120) 내부의 열기가 하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으로, 그 바람직한 설치방법과 형상으로는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그 몸체(110)의 외측에서 상기 화기홀(120)을 향해 하부커버인입홈(102)을 형성하고 그 하부커버인입홈(102)에 상기 화기홀하부커버(300)를 인입시킴으로써 상기 화기홀(120)의 하부를 막아 밀폐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화기홀(120)의 하부를 막아 밀폐시킬 때 가열된 몸체(110)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지 않도록 상기 화기홀하부커버(3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기홀(120)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된 하부커버몸체(310)와, 상기 하부커버몸체(310)의 외측에 돌출시켜 형성된 하부커버손잡이(320)로 구성하고, 사용자는 상기 하부커버손잡이(320)를 파지하여 상기 하부커버몸체(310)를 상기 하부커버인입홈(102)에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몸체부(100)는 조리시 가열된 후 그 잔열로 인해 보온성을 갖도록 석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이 몸체부(100)를 석재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석재 중에 각섬석으로도 불리는 곱돌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곱돌은 활석(滑石), 액석(液石), 탈석(脫石)이라고도 하며, 규산염류(硅酸鹽類)의 광물질 덩어리로서 무른 성질을 가지고 있어 취성이 강하지 않아 가공이 용이하고 흡습성이 없어 용기로 사용하기 적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곱돌이 아닌 구이기를 형성함에 있어 작업이 용이한 다른 석재를 사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수직형 구이기에 따르면, 상기 구이홈(130)에 수직방향으로 인입된 구이 대상물(10)을 조리과정에서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몸체(110) 전체가 가열되어 골고루 구울 수 있게 되며, 따라서 구이 대상물(10)을 골고루 익히기 위해 회전시키는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화기배출조절판(22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화기배출공(212)과 화기조절공(221)을 완전히 연통시켜 배출되는 화기의 양이 최대가 되게 하거나, 상기 화기배출공(212)의 일부만 개방되게 할 수도 있고, 반대로 상기 화기배출공(212)을 완전히 폐쇄할 수도 있으므로 구이 대상물(10)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화기배출공(212)으로 배출되는 화기의 양을 조절하여 그 구이 대상물(10)의 익힘정도를 달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화기홀(120)의 개방된 하부를 상기 화기홀하부커버(300)를 사용하여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화기홀(120) 내부의 열기가 하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오랜 시간 동안 그 화기홀(120) 내부의 열기를 보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리가 완료된 상태의 수직형 구이기를 조리기기(G)가 아닌 테이블(T)에 올려두더라도, 몸체(110)의 잔열과 상기 화기홀(120) 내부의 열기에 의해 상기 구이홈(130)에 인입되어 있는 구이 대상물(10)을 장시간 따뜻한 상태로 취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화기홀(120) 내부에서 화기가 그 화기홀(120)의 내주면을 따라 골고루 펴져 나갈 수 있도록 화기유도부(400)를 구성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화기유도부(400)는, 상기 화기홀상부커버(210)의 하면 중앙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화기유도판고정축(410)과, 상기 화기유도판고정축(41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며 수직 단면이 하부가 볼록한 호형의 형태로 된 화기유도판(420)과, 상기 화기유도판(420)의 테두리에 외측면에 방사형으로 다수 개 형성된 상기 유동방지돌기(430)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화기유도판(420)의 직경은 상기 화기홀(1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기 화기유도판(420)의 볼록한 하부를 따라 상기 화기홀(120)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화기가 화기홀(120)의 내주면을 향해 골고루 퍼져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유동방지돌기(430)는 외측 단부가 상기 화기홀(120)의 내주면과 근접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화기유도판(420)이 상승하는 화기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화기유도판(420)을 형성하는 재질은 화기에 연소되지 않는 재질로 일단 가열되면 쉽게 식지 않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재나 석재 또는 세라믹과 같은 비금속 무기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쉽게 식지 않는 재질로 화기유도판(420)을 형성함으로써 그 화기유도판(420)이 열기를 오랫동안 유지하여 가열이 완료된 후에도 상기 화기홀(120) 내부를 보온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이홈(130)에 인입되어 조리되는 구이 대상물(10)에는 일반적으로 액체류의 소스를 발라 조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소스로 인해 오염된 상기 구이홈(130)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는 상·하로 분리 형성된 상부몸체(111)와, 하부몸체(112)로 구성하고, 상기 구이홈(130)은 상기 상부몸체(111)를 수직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몸체(111)를 관통하여 구이홈(130)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상부몸체(111)가 하부몸체(112)에 안착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구이홈(130)의 하부가 상기 하부몸체(112)의 상면에 의해 밀폐되어 홈 형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상부몸체(111)를 하부몸체(112)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홀 형태가 되어 고압수를 상기 구이홈(130)으로 분사하여 소스로 오염된 구이홈(130)의 내부를 손쉽게 씻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분리 형성된 상부몸체(111)와 하부몸체(112)는 상호 결합하는 구성이 아닌 하부몸체(112)의 상부에 상부몸체(111)를 안착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하부몸체(112)의 상부에 안착된 상부몸체(111)가 수평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112)의 상부 테두리 및 화기홀(120)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안착돌기(112a,112b)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상부몸체(111)의 저면에는 상기 안착돌기(112a,112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안착홈(111a,111b)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안착돌기(112a,112b)와 안착홈(111a,111b)을 형성함으로써 구이홈(130)의 세척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상기와 같이 관통형성된 구이홈(130)의 하부로 조리시에 소스가 흘러나와 상기 상부몸체(111)와 하부몸체(112)가 마주하는 사이 틈새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두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111) 및 하부몸체(112)가 조리시 가열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상부몸체(111) 및 하부몸체(112)의 외주면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로 된 파손방지밴드(140)를 하나 이상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파손방지밴드(140)의 외주면 일측에는 손잡이(150)를 설치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손잡이(150)를 형성함으로써 그 손잡이(150)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부몸체(111) 및 하부몸체(112)를 용이하게 옮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상부몸체(111) 및 하부몸체(112)를 형성하는 재질은 서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거나, 상기 상부몸체(111)는 석재로 형성하고 상기 하부몸체(112)는 금속재로 형성하는 등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몸체부 110 : 몸체
120 : 화기홀 130 : 구이홈
200 : 화기배출조절부 210 : 화기홀상부커버
220 : 화기배출조절판 230 : 커버손잡이
300 : 화기홀하부커버 400 : 화기유도부

Claims (5)

  1. 일정 높이를 갖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중앙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화기홀(120)과, 상기 몸체(110)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고 구이 대상물(10)이 인입되도록 하방을 향해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구이홈(130)으로 구성하되,
    상기 몸체(110)는 상·하로 분리 형성된 상부몸체(111)와, 하부몸체(112)로 구성되며, 상기 구이홈(130)은 상기 상부몸체(111)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함으로써 상기 구이홈(130)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상부몸체(111) 및 하부몸체(112)의 외주면에는 금속재로 된 파손방지밴드(140)를 하나 이상 설치하고, 상기 파손방지밴드(140)의 외주면 일측에는 손잡이(150)를 설치하여 그 상부몸체(111) 및 하부몸체(112)가 가열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몸체부(100);
    상기 화기홀(120)의 상부를 커버하며 중앙부에는 조절판축(211)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화기배출공(212)이 다수 개 형성된 화기홀상부커버(210)와, 상기 화기홀상부커버(210)의 상면에 안착되되 중앙부가 상기 조절판축(211)에 관통되어 회동되며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화기조절공(221)이 다수 개 형성된 화기배출조절판(220)과, 상기 조절판축(211)의 상단에 설치된 커버손잡이(230)로 구성된 화기배출조절부(200);
    상기 몸체부(100)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리가 완료된 상태의 상기 화기홀(120)의 하부를 폐쇄하여 그 화기홀(120) 내부의 열기가 하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화기홀하부커버(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화기배출조절판(22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화기배출공(212)과 화기조절공(221)을 통해 배출되는 화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구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기홀상부커버(210)의 하면 중앙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화기유도판고정축(410)과, 상기 화기유도판고정축(41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며 수직 단면이 하부가 볼록한 호형의 형태로 된 화기유도판(420)과, 상기 화기유도판(420)의 테두리에 외측면에 방사형으로 다수 개 형성된 유동방지돌기(430)로 구성된 화기유도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화기유도판(420)은 상기 화기홀(120)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화기가 화기홀(120)의 내주면을 따라 골고루 퍼져나갈 수 있도록 유도하고, 상기 유동방지돌기(430)는 외측 단부가 상기 화기홀(120)의 내주면과 근접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화기유도판(420)이 수평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구이기.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12)의 상부에 안착된 상부몸체(111)가 수평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상기 하부몸체(112)의 상부 테두리 및 화기홀(120)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안착돌기(112a,112b)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상부몸체(111)의 저면에는 상기 안착돌기(112a,112b)에 대응되는 안착홈(111a,111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구이기.
KR1020180090828A 2018-08-03 2018-08-03 수직형 구이기 KR102087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828A KR102087426B1 (ko) 2018-08-03 2018-08-03 수직형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828A KR102087426B1 (ko) 2018-08-03 2018-08-03 수직형 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248A KR20200015248A (ko) 2020-02-12
KR102087426B1 true KR102087426B1 (ko) 2020-03-11

Family

ID=69569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828A KR102087426B1 (ko) 2018-08-03 2018-08-03 수직형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4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635B1 (ko) * 2019-08-19 2020-12-28 하정순 수직형 구이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008B1 (ko) * 2017-09-27 2018-07-17 하정순 수직형 구이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624U (ja) * 1992-11-17 1994-06-03 真男 平岡 魚の串焼き器
KR20110102570A (ko) * 2010-03-11 2011-09-19 김영준 직화구이기
KR20130088279A (ko) * 2012-01-31 2013-08-08 한아툴스 (주) 꼬치구이 기능을 갖는 구이판을 형성한 직화 가열식 조리용기
KR20130138540A (ko) * 2012-06-11 2013-12-19 한아툴스 (주) 직화 가열식 꼬치구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008B1 (ko) * 2017-09-27 2018-07-17 하정순 수직형 구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635B1 (ko) * 2019-08-19 2020-12-28 하정순 수직형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248A (ko) 202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7260Y1 (ko) 직화 조리가 가능한 이중냄비
KR102087426B1 (ko) 수직형 구이기
KR20150042983A (ko) 옹기 항아리를 이용하는 바비큐 구이기
KR101867008B1 (ko) 수직형 구이기
KR101135662B1 (ko) 구이용 불판
KR101538588B1 (ko) 구이용 불판
KR100753622B1 (ko) 이중 항아리 가마솥
KR100650985B1 (ko) 항아리 가마솥
KR20200090604A (ko) 열조절층이 형성되는 직화용기
KR101251739B1 (ko) 구이판
KR101280021B1 (ko) 다기능 구이판
KR101545437B1 (ko) 구이용 화덕
KR102195635B1 (ko) 수직형 구이기
KR200371930Y1 (ko) 직열 투입 조리용기
KR102193754B1 (ko)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
KR200472341Y1 (ko) 기름 또는 이물질 배출 구조를 구비한 구이판
KR101580445B1 (ko) 라운드 슬로우 쿠킹 바비큐 그릴 장치
KR102322304B1 (ko) 구이용 다용도 불판
KR20230118231A (ko) 구이용 불판
KR100774361B1 (ko) 조리용 옥돌 구이판
KR20160069290A (ko) 항아리 구이기
US2526437A (en) Toaster
US7564010B2 (en) Jar type cauldron
KR20230117980A (ko) 구이용 불판
KR20150080734A (ko)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